KR101283552B1 - Audio output electronics - Google Patents

Audio output electronic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3552B1
KR101283552B1 KR1020110061521A KR20110061521A KR101283552B1 KR 101283552 B1 KR101283552 B1 KR 101283552B1 KR 1020110061521 A KR1020110061521 A KR 1020110061521A KR 20110061521 A KR20110061521 A KR 20110061521A KR 101283552 B1 KR101283552 B1 KR 1012835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audio output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ud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152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06825A (en
Inventor
김형호
Original Assignee
김형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호 filed Critical 김형호
Priority to KR10201100615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3552B1/en
Publication of KR201300068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682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35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355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5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992Circuits for stereophonic or quadraphonic recording or reproduc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악세사리형 무선 오디오통신 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소형화되고 있는 오디오 출력 기기를 악세사리와 같이 보다 용이하게 휴대하며 분실의 위험을 예방하도록 하기 위해 고무밴드나 자석과 같은 구성을 부가함으로써 평상시 목걸이나 안경에 착탈가능하도록 하는 것은 물론이고 악세사리로도 활용 가능하도록 한 오디오 출력 기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ccessory type wireless audio communication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by adding a configuration such as a rubber band or a magnet to easily carry down the miniaturized audio output device as an accessory and to prevent the risk of los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dio output device that can be used as an accessory as well as being detachable to a necklace or glasses.

Description

오디오 출력 및 무선 오디오 통신 기기{Audio output electronics}Audio output and wireless audio communication equipment {Audio output electronics}

본 발명은 오디오 출력 기기 및 무선 오디오 통신 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안경테에 착탈 가능한 헤드셋을 구현해 줌으로써 보청기나 오디오 감상 혹은 무선 오디오 통신의 사용상의 편리성을 제공해주는 오디오 출력 및 무선 오디오 통신기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dio output device and a wireless audio communication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udio output device and a wireless audio communication device that provide convenience in hearing aids, audio listening, or wireless audio communication by implementing a headset detachable to the eyeglass frame. It is about.

최근 들어 고기능의 오디오 출력 전자기기 및 통신 기기 등이 출시되고 있고 그러한 고기능의 기기들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부가기능과 악세사리가 생산되고 있다. Recently, high-performance audio output electronic devices and communication devices have been released, and various additional functions and accessories have been produced to perform functions of such high-performance devices.

이러한 기기중의 한 종류를 예를 들면, 휴대폰 사용자의 종래의 유선형태의 이어폰의 사용을 대체할 수단으로서 저 전력의 근거리 무선전송 규약방식인 소위 ‘블루투스(Bluethooth)’ 통신규약을 채용한 헤드셋이 보급되고 있다.One such type of device is, for example, a headset employing a so-called 'Bluetooth' communication protocol, which is a low-power short-range wireless transmission protocol as a means of replacing the conventional wired earphone of a mobile phone user. It is spreading.

상기 불루투스란 근거리에 놓여 있는 컴퓨터(Computer)와 주변기기, 이동 기기와 컴퓨터, 가전제품 등을 상호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복잡한 전선 없이도 양방향 실시간 통신이 가능하게 하는 무선 근거리 통신을 의미하는데, 통신규약에 의한 헤드셋은 송신음과 수신음을 저전력으로 전송함으로서 별도의 와이어나 케이블에 의한 구속 없이 통화가 가능하고 전력소모가 극히 적음으로서 유지비 또한 무시될 정도로 그 유용성이 높아 널리 보급되고 있다.The Bluetooth refers to wireless short-range communication that enables two-way real-time communication without a complicated wire by connecting a computer and a peripheral device, a mobile device, a computer, and a home appliance that are located at a short distance to each other through a wireless network. The headset transmits the transmission sound and the reception sound at low power so that the call can be made without restraining by a separate wire or cable, and the power consumption is extremely low.

또한, 현대에 들어서면서 안경을 착용하는 사람들의 수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데, 이는 꼭 시력의 문제가 아니더라도 운전이나 레저용으로 안경을 착용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다.In addition, the number of people wearing glasses is increasing rapidly in modern times, because the case of wearing glasses for driving or leisure is increasing even though it is not necessarily a problem of vision.

더욱이 최근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무선으로 휴대폰과 통신 가능한 블루투스 헤드셋이 개발되어 제품화되고 있으므로, 이러한 기술을 응용한 보청기 혹은 수신전용 헤드셋 등등의 오디오 관련 무선 기기가 많이 개발되는 실정이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since a Bluetooth headset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a mobile phone wirelessly has been developed and commercialized as described above, many audio related wireless devices such as hearing aids or reception-only headsets have been developed.

이러한 개발 제품들은 통상적으로 헤드폰(Headphone)형 블루투스 헤드셋 혹은 이어폰(Earphone)형 블루투스 헤드셋 등이 있는데, 상술한 종래 블루투스 헤드셋 중 헤드폰형 블루투스 헤드셋은 사용시에 손이 자유로운 장점은 있으나 착용시 모자 또는 안경 등과 함께 착용이 불편하고, 상기 이어폰형 블루투스 헤드셋은 귀에 바로 착용할 수 있기 때문에 착용시 모자 또는 안경 등의 사용이 편리하긴 하지만 마이크 부분이 따로 외부로 돌출되어 입 근처까지 와야 하므로 장시간 착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Such development products typically include a headphone-type Bluetooth headset or an earphone-type Bluetooth headset. Among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Bluetooth headsets, the headphone-type Bluetooth headset has a free hand when used, but a hat or glasses when worn. It is inconvenient to wear together, and the earphone-type Bluetooth headset can be worn directly on the ear, so it is convenient to use a hat or glasses when worn, but the microphone part has to protrude to the outside and comes near the mouth so that it is inconvenient to wear for a long time. there was.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안경테나 머리띠 또는 금속제의 악세사리에 착탈 가능한 기능을 구현해 줌으로써 보청기나 오디오 감상 즉, 오디오 출력 전자기기 혹은 휴대폰등과 같은 무선 오디오 통신 기기의 사용자에게 휴대와 사용의 편리성을 제공해주는 오디오 출력 전자기기 또는 무선 오디오 통신 기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to implement a function that can be attached to the eyeglass frame, headband or metal accessories to carry the user of a wireless audio communication device such as hearing aids or audio listening, that is, audio output electronic devices or mobile phones, etc. And to provide an audio output electronic device or a wireless audio communication device that provides ease of us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출력 전자기기는, 장방형의 일정길이를 갖는 본체의 전면 상단부에 이어폰줄을 통해 분리 가능한 이어폰부가 구비되어 오디오가 출력되는 전자기기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출력 기기의 본체의 일측에는 머리띠나 안경에 끼울수 있도록 오디오 출력기기의 본체의 일측에 고무밴드가 마련되어 머리띠나 안경에 탄력적으로 끼울수 있게되며, 상기 오디오 출력기기의 본체의 고무밴드와 인접된 일측에는 금속제 악세사리에 탈부착될 수 있도록 자석이 더 구비되고, 상기 오디오 출력기긱 본체는 한쌍으로 구비되고 오디오 연결선에 의해 연결되어 스테레오 음향을 지원할 수 있도록 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장방형의 일정길이를 갖는 본체의 전면 상단부에 이어폰줄을 통해 분리 가능한 이어폰부가 구비되고, 블루투스 등의 무선통신 기능을 구비한 무선 오디오 통신 기기에 있어서, 상기 무선 오디오통신 기기 본체의 일측에 머리띠나 안경에 끼울 수 있도록 무선 오디오 통신 기기 본체의 일측에는 고무밴드가 마련되어 머리띠나 안경에 탄력적으로 끼워 삽입할 수 있도록 되며, 상기 무선 오디오 통신 기기 본체의 일측에는 자석이 구비되어 자력에 의해 금속제 악세사리에 탈착 가능하도록 되고, 상기 무선 오디오 통신 기기 본체는 각 한쌍으로 구비되며, 오디오 연결선에 의해 연결되어 스테레오 음향을 지원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audio output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provided with an earphone unit that is detachable through an earphone string at the front upper end of the main body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of a rectangular, the audio output in the electronic device, One side of the main body of the output device is provided with a rubber ban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of the audio output device to be fitted to the headband or glasses to be elastically fitted to the headband or glasses, one side adjacent to the rubber band of the main body of the audio output device The magnet is further provided to be detachable to a metal accessory, the audio output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ody is provided in pairs and connected by an audio connection line to support stereo sound.
In the wireless audio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such as Bluetooth, the earphone unit is provided at the front upper end of the main body having a rectangular constant leng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of the wireless audio communication device. A rubber band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main body of the wireless audio communication device so that it can be fitted to the headband or glasses. The rubber band is elastically inserted into the headband or the eyeglass. The magnet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main body of the wireless audio communication device. Removable to, and the main body of the wireless audio communication device is provided in pairs,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connected by an audio connection line to support stereo sound.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특징으로 인해 기대되는 효과로는, 소형화되고 있는 무선 오디오 출력기기 또는 무선 오디오 통신 기기상에 보다 용이하게 휴대하며 분실의 위험을 예방하도록 하기 위해 탄력밴드 혹은 자석과 같은 구성을 부가함으로써 평상시 안경뿐만 아니라 목걸이, 머리핀등에 다양하게 부착하여 하나의 악세사리 기능을 부여함으로써 별도의 악세사리를 구입하지 않아도 충분한 악세사리의 효과를 발휘함으로써 다양한 기능을 요망하는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게 된다.Advantageous effects due to the above-describe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 configuration such as an elastic band or a magnet in order to more easily carry on the miniaturized wireless audio output device or wireless audio communication device and prevent the risk of loss. By adding various accessories to not only glasses, necklaces, hairpins, etc., but also to provide a single accessory function, it is possible to satisfy the needs of consumers who desire various functions by exerting sufficient effects of accessories without purchasing separate accessories.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오디오 통신 기기의 사용 예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고정수단을 자석을 이용한 경우의 사시도
1 and 2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n example of use of the wireless audio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xing means using a magnet

발명의 상술한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 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bove and 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FIG.

첨부한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오디오 출력 전자기기 또는 무선 오디오 통신 기기의 사용 예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고정수단을 자석을 이용한 경우의 사시도이다.1 and 2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n example of use of a wireless audio output electronic device or a wireless audio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xing means using a magnet.

그리고 이하에서는 무선 오디오 출력 전자기기 또는 무선 오디오 통신 기기를 구분하지 않고 한 가지 예를 들어 설명한다.Hereinafter, one example will be described without distinguishing between a wireless audio output electronic device or a wireless audio communication device.

이는 각각은 그 기능만 다른 것이지 실질적으로 추구하는 목적은 동일하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each one differs only in its function, but the same purpose is pursued.

도시되어진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출력 전자기기 또는 무선 오디오 출력 기기(20)는, 장방형의 일정길이를 갖는 몸체(21)의 전면에 기기의 조작을 위한 키버튼(22)이 구비되며, 오디오 와이어에 의해 이어폰(23)이 연결되어진다.As shown, the audio output electronic device or the wireless audio output device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key button 22 for operating the device on the front of the body 21 having a rectangular constant length. Earphones 23 are connected by wires.

이때 상기 몸체(21)의 일측면(도시항 실시예에서는 후면)에는 안경의 다리에 끼워 고정 안착할 수 있도록 참조번호 24로 지칭되는 탄력밴드가 구비되어 있어 첨부한 도 2에 도시되어진 바와 같이 안경다리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였다.At this time, one side of the body 21 (the rear in the embodiment shown) is provided with an elastic band referred to by reference numeral 24 so as to be fixed and seated on the leg of the glasses as shown in Figure 2 attached To be fixed to the leg.

이때 상기 탄력밴드(24) 대신에 자석 혹은 집개 등의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고정하는 실시예의 응용도 가능하다.At this time, instead of the elastic band 24, it is also possible to apply the embodiment of fixing using a fixing means such as a magnet or a cage.

또한, 상기 탄력밴드(24) 대신에 자석(M)을 이용하는 경우는 첨부한 도 3과 같으며, 자석의 자력에 의해 금속제 악세사리에 탈착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using the magnet (M) instead of the elastic band 24 as shown in Figure 3, it is to be detachable to the metal accessories by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또한, 본 발명에 오디오 출력 기기(20)의 몸체(21)의 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마이크부가 일체로 구비된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front of the body 21 of the audio output device 20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icrophone unit is integrally provided.

이때 상기 오디오통신 기기의 통신방식은 대표적으로 블루투스를 이용하는 기기일 수 있으나, 범용적으로 이와 유사한 ZigBee, Binary CDMA, KLEER, 혹은 아나로그 방식 등등의 통신방식을 적용한 모든 통신 기기에 적용가능 하다.At this time, the communication method of the audio communication device may be a device that typically uses Bluetooth, but can be universally applicable to all communication devices applying a similar communication method such as ZigBee, Binary CDMA, KLEER, or analog method.

또한, 첨부한 도 1과 같은 형태의 사용은 보청기 혹은 휴대폰 헤드셋 혹은 모노 음향감상용으로 사용하는 경우이며, 스테레오 음향을 지원받고자 하는 경우는 첨부한 도 2에 도시되어진 형태의 실시예에 따른다.In addition, the use of the form as shown in FIG. 1 is used for a hearing aid or a mobile phone headset or a mono sound recording, and to support stereo soun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form shown in FIG.

즉, 상기 무선 오디오통신 기기(20) 2개가 오디오 연결선(30)에 의해 연결되어 스테레오 음향을 지원하는 것이다.That is, the two wireless audio communication devices 20 are connected by the audio connection line 30 to support stereo sound.

이때 상기 무선 오디오통신 기기(20)는 블루투스뿐 아니라 소리 증폭기 (보청기)의 기능도 갖는데, 기술적으로는 몸체(21)에 구비되어진 마이크로 취합되는 음향이 이어폰(23)으로 출력되도록 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In this case, the wireless audio communication device 20 has a function of a sound amplifier (hearing aid) as well as Bluetooth. Technically, the wireless audio communication device 20 is achieved by outputting the micro-collected sound provided in the body 21 to the earphone 23. .

따라서, 무선통신기능을 가지고 있어, 무선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소리를 전달하고, 이어폰을 통해 소리를 내는 기기에 적용될 수 있으며, 자체적으로 외부소리를 마이크를 통해 받아서 증폭하여 이어폰을 통해 소리를 내는 기기인 보청기로 활용될 수 있으며, 저장매체에 있는 데이타를 오디오로 변환시켜 이어폰을 통해 소리를 내는 기기 모두에 포괄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Therefore, it has a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it can be applied to a device that transmits and receives data through wireless, and transmits the sound, and can be applied to the device that makes a sound through the earphone, and receives the external sound through the microphone itself to amplify the sound through the earphone It can be used as a hearing aid, which is a device, and can be applied to any device that converts data in a storage medium into audio and makes a sound through earphones.

이와 같이 밴드등을 이용하여 안경에 부착할 경우 이어폰줄이 일종의 악세사리 기능을 수행할 것이다.In this way, if the band is attached to the glasses using the earphone strap will perform a kind of accessory function.

또한 자석 등을 이용하여 목걸이나 머리핀등에 고정할 경우 일종의 악세사리 기능이 수행됨으로써 별도로 악세사리를 구입하지 않고도 다양한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by fixing a necklace or hairpin using a magnet, etc., a kind of accessory function is performed, so that it is possible to satisfy various consumer's needs without purchasing accessories separately.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While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indicated by the claims. Anyone can grow up easily.

Claims (9)

장방형의 일정길이를 갖는 본체의 전면 상단부에 이어폰줄을 통해 분리 가능한 이어폰부가 구비되어 오디오가 출력되는 전자기기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출력 기기의 본체의 일측에는 머리띠나 안경에 끼울수 있도록 오디오 출력기기의 본체의 일측에 고무밴드가 마련되어 머리띠나 안경에 탄력적으로 끼울수 있게되며,
상기 오디오 출력기기의 본체의 고무밴드와 인접된 일측에는 금속제 악세사리에 탈부착될 수 있도록 자석이 더 구비되고,
상기 오디오 출력기긱 본체는 한쌍으로 구비되고 오디오 연결선에 의해 연결되어 스테레오 음향을 지원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출력 기기.
In the electronic device that the audio output is provided in the front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of the rectangle detachable through the earphone cord,
One side of the main body of the audio output device is provided with a rubber ban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of the audio output device to be fitted to the headband or glasses, it can be elastically fitted to the headband or glasses,
One side adjacent to the rubber band of the main body of the audio output device is further provided with a magnet to be detachable to the metal accessories,
The audio output device is provided with a pair of audio out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by an audio connection line to support stereo sound.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장방형의 일정길이를 갖는 본체의 전면 상단부에 이어폰줄을 통해 분리 가능한 이어폰부가 구비되고, 블루투스 등의 무선통신 기능을 구비한 무선 오디오 통신 기기에 있어서,
상기 무선 오디오통신 기기 본체의 일측에 머리띠나 안경에 끼울 수 있도록 무선 오디오 통신 기기 본체의 일측에는 고무밴드가 마련되어 머리띠나 안경에 탄력적으로 끼워 삽입할 수 있도록 되며,
상기 무선 오디오 통신 기기 본체의 일측에는 자석이 구비되어 자력에 의해 금속제 악세사리에 탈착 가능하도록 되고,
상기 무선 오디오 통신 기기 본체는 각 한쌍으로 구비되며, 오디오 연결선에 의해 연결되어 스테레오 음향을 지원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오디오 통신 기기.
In the wireless audio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such as Bluetooth, the earphone unit is provided in the front upper end of the main body having a rectangular constant length, and detachable through an earphone string.
A rubber band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main body of the wireless audio communication device so as to be fitted to the headband or the glasses at one side of the main body of the wireless audio communication device, so that the elastic band can be elastically inserted into the headband or the eyeglasses.
One side of the main body of the wireless audio communication device is provided with a magnet to be detachable to a metal accessory by magnetic force,
The main body of the wireless audio communication device is provided in pairs, and is connected by an audio connection line to support stereo sound.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10061521A 2011-06-24 2011-06-24 Audio output electronics KR10128355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1521A KR101283552B1 (en) 2011-06-24 2011-06-24 Audio output electronic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1521A KR101283552B1 (en) 2011-06-24 2011-06-24 Audio output electronic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6825A KR20130006825A (en) 2013-01-18
KR101283552B1 true KR101283552B1 (en) 2013-07-15

Family

ID=47837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1521A KR101283552B1 (en) 2011-06-24 2011-06-24 Audio output electronic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355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813744A1 (en) * 2013-06-14 2014-12-17 Sennheiser Communications A/S Control device for call control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39096A (en) * 1983-12-27 1985-07-23 Mitsubishi Electric Corp Acoustic system and its speaker device
KR20020078755A (en) * 2001-04-10 2002-10-19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Headset attachable to glass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39096A (en) * 1983-12-27 1985-07-23 Mitsubishi Electric Corp Acoustic system and its speaker device
KR20020078755A (en) * 2001-04-10 2002-10-19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Headset attachable to glass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6825A (en) 2013-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368253A1 (en) Neck-strap type earphone
JP4158117B2 (en) Headphone device
US9455677B2 (en) Wireless audio control apparatus
US10321218B2 (en) Ear device for fixing earphone
US2020031452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n earpiece
KR20150063328A (en) Bluetooth Built-in Combination Necklace Earphones
EP1969897B1 (en) Headphones with detachable headband
KR101713808B1 (en) Bluetooth Headset
US8081789B2 (en) Microphone holder and microphone device using same
US20150312668A1 (en) Headphone wire clasp apparatus
US20230276156A1 (en) Sound output device
KR101283552B1 (en) Audio output electronics
KR101109018B1 (en) Hands-free apparatus having improved utility
KR20160001507U (en) Earing having the temperature sensor with bluetooth
KR200415723Y1 (en) Ear-hook hands free set
KR100901361B1 (en) Wireless ear-set/ear-phone with both mono and stereo usage
KR100689881B1 (en) Wireless headset using receiver
KR200483250Y1 (en) Necklace type wireless earphone apparatus
JP2019068112A (en) Device for connecting mobile phone and headset detachably
KR20060090112A (en) System for wireless transmission/reception using of electromagnetic induction
KR20180136167A (en) Bone Conduction Speaker Glass
CN204733316U (en) A kind of ear hook structure and use the In-Ear Headphones of this structure
KR101427120B1 (en) earphone on tragus
KR101806238B1 (en) Bluetooth headset with cover type neckband accessories
CN210247018U (en) Bluetooth headset pendant convenient to adjus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