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3460B1 - Method for providing call service using other terminal, and terminal and service device - Google Patents

Method for providing call service using other terminal, and terminal and service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3460B1
KR101283460B1 KR1020110128267A KR20110128267A KR101283460B1 KR 101283460 B1 KR101283460 B1 KR 101283460B1 KR 1020110128267 A KR1020110128267 A KR 1020110128267A KR 20110128267 A KR20110128267 A KR 20110128267A KR 101283460 B1 KR101283460 B1 KR 1012834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service
call
receiving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826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61939A (en
Inventor
정재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101282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3460B1/en
Publication of KR201300619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193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34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346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3/00Speech synthesis; Text to speech systems
    • G10L13/08Text analysis or generation of parameters for speech synthesis out of text, e.g. grapheme to phoneme translation, prosody generation or stress or intonation determin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22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 H04M3/2218Call detail recor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4Accounting or bi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6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logging of communication history, e.g. outgoing or incoming calls, missed calls, messages or UR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 단말을 이용한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단말, 서비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타 단말을 이용한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은, 서비스 장치가 발신 단말로부터 통화 요청 신호, 제3 단말의 식별 정보 및 발신 단말을 이용하여 통화를 수행하는 제3 단말의 사용자 여부를 인증하기 위한 인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서비스 장치가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제3 단말의 사용자 여부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서비스 장치가 인증이 완료되면 발신 단말로 제3 단말의 주소록을 전송하는 단계, 서비스 장치가 발신 단말로부터 수신 단말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서비스 장치가 수신 단말로 통화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ll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another terminal, a terminal thereof, and a servi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providing a call service using another terminal may include determining whether a service device is a user of a third terminal performing a call using a call request signal from a calling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third terminal, and a calling terminal. Receiving authentication information for authentication, authenticating whether the service device is a user of the third terminal by using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and when the service device completes authentication, transmitting the address book of the third terminal to the calling terminal. The method may include receiv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eceiving terminal from the calling terminal by the service device and transmitting the call request signal to the receiving terminal by the service device.

Description

타 단말을 이용한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단말, 서비스 장치 {Method for providing call service using other terminal, and terminal and service device}Method for providing call service using another terminal, terminal and service device thereof {Method for providing call service using other terminal, and terminal and service device}

본 발명은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타인의 단말을 이용하여 본인의 번호로 통화를 송수신하는 타 단말을 이용한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단말, 서비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viding a call ser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providing a call service using another terminal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call to a user's number using a terminal of another person, a terminal, and a service apparatus.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에 따라 이동통신 서비스의 가입자들은 언제 어디서든지 자유롭게 상대방과 통화할 수 있는 무선 통화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생활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되었다.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ubscribers of mobile communication services can be provided with a wireless communication service that can freely talk with the other party anytime and anywher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ceive a variety of information necessary for life through the wireless Internet service.

이러한 이동통신 서비스는 발신 단말에서 수신 단말로의 통화를 요청하면 발신 단말과 수신 단말의 통화를 연결한 후, 발신 단말과 수신 단말의 통화에 따른 통화 요금을 발신 단말에 과금하게 된다. 이때, 수신 단말은 발신 단말의 번호를 포함하는 통화 요청 신호를 수신하게 되며, 수신 단말은 통화 요청 신호에 포함된 발신 단말의 번호를 수신하여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requests a call from the calling terminal to the called terminal, the call is connected to the calling terminal and the called terminal, and then, the call charge according to the call of the calling terminal and the called terminal is charged to the calling terminal. In this case, the receiving terminal receives the call request signal including the number of the calling terminal, and the receiving terminal receives the number of the calling terminal included in the call request signal and displays it on the screen.

다만, 이와 같은 과금 체계에서 본인의 단말을 분실하거나 단말의 전원이 꺼진 경우와 같이 본인의 단말을 이용할 수 없어 타인의 단말을 이용하여 통화를 하게 되는 경우, 해당 통화 요금은 타인에게 과금이 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수신 단말의 사용자의 경우도 자신이 모르는 번호가 수신 단말에 표시되게 되어 통화 상대방을 알지 못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However, in the above billing system, if the user cannot use his terminal, such as when his terminal is lost or the terminal is turned off, the call fee is charged to another person. There is this. In addition, the user of the receiving terminal also has a disadvantage that the unknown number is displayed on the receiving terminal does not know the other party.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타인의 단말을 이용하여 본인의 번호로 통화를 송수신할 수 있는 타 단말을 이용한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ll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another terminal, which allows a user to send and receive a call to his / her own number using another terminal. .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타인의 단말을 이용하여 통화가 연결된 경우 통화 요금은 본 사용자에게 과금하는 타 단말을 이용한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of providing a call service using another terminal in which a call charge is charged to the user when a call is connected using another terminal.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타인의 단말을 이용하더라도 자신의 주소록을 확인하여 통화를 연결할 수 있는 타 단말을 이용한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ll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another terminal, which may be connected to a call by checking its address book even when the user uses another terminal.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본인 단말의 통화 이력, 메시지 내용을 타인의 단말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타 단말을 이용한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ll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another terminal, which allows a user to check a call history and a message content of his or her terminal through another terminal.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술한 방법들을 지원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supporting the above-described methods.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사항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이하 설명할 본 발명의 실시예들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고려될 수 있다.Technical objects to be achiev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matters,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which are not mentioned are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described below. Can be considered.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타 단말을 이용한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은, 제3 단말의 식별 정보로 통화를 연결하는 서비스를 제공 하는 방법으로, 서비스 장치가 발신 단말로부터 통화 요청 신호, 제3 단말의 식별 정보 및 발신 단말을 이용하여 통화를 수행하는 제3 단말의 사용자 여부를 인증하기 위한 인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서비스 장치가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제3 단말의 사용자 여부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서비스 장치가 인증이 완료되면 발신 단말로 제3 단말의 주소록을 전송하는 단계, 서비스 장치가 발신 단말로부터 수신 단말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서비스 장치가 수신 단말로 통화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The method for providing a call service using another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method for providing a service for connecting a call with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third terminal. Receiv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and authentication information for authenticating whether or not the user of the third terminal is making a call using the calling terminal, and the service device performs authentication of the user of the third terminal using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When the service device is authenticated, transmitting the address book of the third terminal to the calling terminal, the service device receiv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eceiving terminal from the calling terminal, and the service device sending a call request signal to the receiving terminal. It includes a step.

본 발명의 타 단말을 이용한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제3 단말의 주소록은 제3 단말 내 저장된 주소록과 연동될 수 있다. In the call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another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ddress book of the third terminal may be linked with the address book stored in the third terminal.

본 발명의 타 단말을 이용한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서비스 장치가 발신 단말로부터 검색 인자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제3 단말의 주소록은 서비스 장치가 검색 인자를 이용하여 검색한 결과일 수 있다.In the method of providing a call service using another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receiving, by the service apparatus, a search factor from the calling terminal, and the address book of the third terminal may be a result of the search by the service apparatus using the search factor. have.

본 발명의 타 단말을 이용한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은, 서비스 장치가 발신 단말과 수신 단말의 통화 시간을 조회하는 단계 및 서비스 장치가 조회한 통화 시간에 따른 서비스 요금을 제3 단말에게 과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method of providing a call service using another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the step of inquiring the call time between the calling terminal and the receiving terminal by the service device and charging the service fee according to the call time inquired by the service device to the third terminal. It may include.

본 발명의 타 단말을 이용한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은, 서비스 장치가 발신 단말과 수신 단말의 통화 시간에 따른 통화 요금을 조회하는 단계 및 서비스 장치가 조회한 통화 요금을 제3 단말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of providing a call service using another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the step of inquiring of the call charge according to the call time between the calling terminal and the receiving terminal by the service device, and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call charge inquired by the service device to the third terminal. It may include.

본 발명의 타 단말을 이용한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은, 서비스 장치가 제3 단말의 통화 이력 정보 또는 메시지 정보를 조회하여 발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of providing a call service using another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transmitting, by the service apparatus, the call history information or the message information of the third terminal to the calling terminal.

본 발명의 타 단말을 이용한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은, 서비스 장치가 제3 단말의 주소록, 통화 이력 정보 또는 메시지 정보를 STT(Speech-To-Text) 또는 TTS(Text-To-Speech) 변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a method of providing a call service using another terminal may include converting, by a service device, address book, call history information, or message information of a third terminal into speech-to-text or text-to-speech. It may further include.

본 발명의 타 단말을 이용한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서비스 장치가 발신 단말의 식별 정보를 제3 단말의 수신 단말 정보로 설정하는 단계 및 서비스 장치는 제3 단말로의 통화 요청 신호 또는 메시지를 발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call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another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ice apparatus set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alling terminal as the receiving terminal information of the third terminal, and the service apparatus sends a call request signal or a message to the third terminal.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transmitting to the terminal.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타 단말을 이용한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은, 제3 단말의 식별 정보로 통화를 연결하는 서비스를 제공 하는 방법으로, 발신 단말이 통화 요청 신호, 제3 단말의 식별 정보 및 발신 단말을 이용하여 통화를 수행하는 제3 단말의 사용자 여부를 인증하기 위한 인증 정보를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발신 단말이 서비스 장치로부터 제3 단말의 주소록을 수신하여, 제3 단말의 주소록을 출력하는 단계 및 발신 단말이 수신 단말의 식별 정보를 입력 받아, 수신 단말의 식별 정보를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The method for providing a call service using another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method for providing a service for connecting a call with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third terminal, and the calling terminal identifies the call request signal and the third terminal. Transmitting information and authentication information for authenticating whether a user of the third terminal making a call using the calling terminal to the service apparatus, wherein the calling terminal receives an address book of the third terminal from the service apparatus, Outputting an address book, and receiving, by the calling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eceiving terminal, and transmitt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eceiving terminal to the service device.

발명의 타 단말을 이용한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제3 단말의 주소록은 제3 단말 내 저장된 주소록과 연동될 수 있다.In the call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another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ddress book of the third terminal may be linked with the address book stored in the third terminal.

본 발명의 타 단말을 이용한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발신 단말이 서비스 장치로 검색 인자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제3 단말의 주소록은 서비스 장치가 검색 인자를 이용하여 검색한 결과일 수 있다.In the method of providing a call service using another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further includes the step of sending, by the calling terminal, a search factor to the service device, and the address book of the third terminal may be a result of the service device searching using the search factor. have.

본 발명의 타 단말을 이용한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발신 단말이 서비스 장치로부터 제3 단말의 통화 이력 정보 또는 메시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method of providing a call service using another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lling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receiving call history information or message information of the third terminal from the service apparatus.

본 발명의 타 단말을 이용한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발신 단말이 서비스 장치에 접속하여 발신 단말의 식별 정보를 제3 단말의 수신 단말 정보로 설정하는 단계 및 발신 단말이 서비스 장치로부터 제3 단말로의 통화 요청 신호 또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method of providing a call service using another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lling terminal accesses the service apparatus and set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alling terminal as the receiving terminal information of the third terminal, and the calling terminal from the service apparatus to the third terminal.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receiving a call request signal or a message.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서비스 장치는, 제3 단말의 식별 정보로 통화를 연결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로,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장치 송수신부, 제3 단말의 주소록을 저장하는 장치 저장부 및 장치 송수신부를 통해 발신 단말로부터 통화 요청 신호, 제3 단말의 식별 정보 및 발신 단말을 이용하여 통화를 수행하는 제3 단말의 사용자 여부를 인증하기 위한 인증 정보를 수신하면,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제3 단말의 사용자 여부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이 완료되면 장치 송수신부를 통해 발신 단말로 제3 단말의 주소록을 전송하고, 장치 송수신부를 통해 발신 단말로부터 수신 단말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면, 장치 송수신부를 통해 수신 단말로 통화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장치 제어부를 포함한다. The servic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device for providing a service for connecting a call with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hird terminal, the device transceiver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he device storage for storing the address book of the third terminal When the call request signal,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hird terminal, and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for authenticating whether or not the user of the third terminal conducts the call using the calling terminal are received from the calling terminal and the device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is used. When the authentication of the user of the third terminal is performed, and when the authentication is completed, the address book of the third terminal is transmitted to the calling terminal through the device transceiver, and whe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eceiving terminal is received from the calling terminal through the device transceiver, It includes a device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a call request signal to the receiving terminal through the transceiver.

본 발명의 서비스 장치에 있어서, 제3 단말의 주소록은 제3 단말 내 저장된 주소록과 연동될 수 있다.In the servic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ddress book of the third terminal may be linked with the address book stored in the third terminal.

본 발명의 서비스 장치에 있어서, 장치 제어부는 장치 송수신부를 통해 발신 단말로부터 검색 인자를 수신하고, 제3 단말의 주소록은 검색 인자를 이용하여 검색한 결과일 수 있다.In the servic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vice controller may receive a search factor from the calling terminal through the device transceiver, and the address book of the third terminal may be a search result using the search factor.

본 발명의 서비스 장치에 있어서, 장치 제어부는 발신 단말과 수신 단말의 통화 시간을 조회하고, 조회한 통화 시간에 따른 서비스 요금을 제3 단말에게 과금할 수 있다.In the servic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vice controller may inquire the call time between the calling terminal and the receiving terminal, and charge the third terminal a service fee according to the called call time.

본 발명의 서비스 장치에 있어서, 장치 제어부는 발신 단말과 수신 단말의 통화 시간에 따른 통화 요금을 조회하고, 조회한 통화 요금을 장치 송수신부를 통해 제3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다.In the servic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vice controller may inquire a call charge according to the call time of the calling terminal and the receiving terminal, and transmit the inquired call charge to the third terminal through the device transceiver.

본 발명의 서비스 장치에 있어서, 장치 제어부는 제3 단말의 통화 이력 정보 또는 메시지 정보를 조회하여 장치 송수신부를 통해 발신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In the servic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vice controller may inquire the call history information or the message information of the third terminal and transmit it to the calling terminal through the device transceiver.

본 발명의 서비스 장치에 있어서, 장치 제어부는 제3 단말의 주소록, 통화 이력 정보 또는 메시지 정보를 STT(Speech-To-Text) 또는 TTS(Text-To-Speech) 변환할 수 있다.In the servic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vice controller may convert speech-to-text (STT) or text-to-speech (TTS) of the address book, call history information or message information of the third terminal.

본 발명의 서비스 장치에 있어서, 장치 제어부는 발신 단말의 식별 정보를 제3 단말의 수신 단말 정보로 설정하고, 제3 단말로의 통화 요청 신호 또는 메시지를 발신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In the servic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vice controller may set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alling terminal as the receiving terminal information of the third terminal and transmit a call request signal or a message to the third terminal to the calling terminal.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단말은, 제3 단말의 식별 정보로 통화를 연결하는 서비스에 이용되는 단말로,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단말 송수신부, 정보 입력을 위한 단말 입력부, 정보 출력을 위한 단말 출력부 및 단말 송수신부를 통해 통화 요청 신호, 제3 단말의 식별 정보 및 발신 단말을 이용하여 통화를 수행하는 제3 단말의 사용자 여부를 인증하기 위한 인증 정보를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고, 단말 송수신부를 통해 서비스 장치로부터 제3 단말의 주소록을 수신하면 단말 출력부를 통해 제3 단말의 주소를 출력하며, 단말 입력부를 통해 수신 단말의 식별 정보를 입력 받아, 단말 송수신부를 통해 수신 단말의 식별 정보를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는 단말 제어부를 포함한다.A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terminal used for a service for connecting a call with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hird terminal, a terminal transceiver for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a terminal input unit for information input, for information output The terminal output unit and the terminal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transmits a call request sig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hird terminal and authentication information for authenticating whether or not the user of the third terminal performing a call using the calling terminal to the service device, and the terminal transceiver unit When receiving the address book of the third terminal from the service device through the terminal output unit outputs the address of the third terminal, receiv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eceiving terminal through the terminal input unit,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eceiving terminal through the terminal transceiver unit It includes a terminal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to.

본 발명의 단말에 있어서, 제3 단말의 주소록은 제3 단말 내 저장된 주소록과 연동될 수 있다.In th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ddress book of the third terminal may be linked with the address book stored in the third terminal.

본 발명의 단말에 있어서, 단말 제어부는 단말 송수신부를 통해 서비스 장치로 검색 인자를 전송하고, 제3 단말의 주소록은 서비스 장치가 검색 인자를 이용하여 검색한 결과일 수 있다.In th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controller transmits a search factor to the service device through the terminal transceiver, and the address book of the third terminal may be a result of the search by the service device using the search factor.

본 발명의 단말에 있어서, 단말 제어부는 단말 송수신부를 통해 서비스 장치로부터 제3 단말의 통화 이력 정보 또는 메시지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In th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controller may receive call history information or message information of the third terminal from the service apparatus via the terminal transceiver.

본 발명의 단말에 있어서, 단말 제어부는 단말송수신부를 통해 서비스 장치에 접속하여 단말의 식별 정보를 제3 단말의 수신 단말 정보로 설정하고, 서비스 장치로부터 단말송수신부를 통해 제3 단말로의 통화 요청 신호 또는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In th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control unit connects to the service apparatus through the terminal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set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as the receiving terminal information of the third terminal, and the call request signal from the service apparatus to the third terminal through the terminal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Or receive a message.

본 발명에 의하면, 타인의 단말을 이용하여 본인의 번호로 통화를 송수신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이며 통화 상대방은 본인의 번호를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sending and receiving a call to the person's number using the terminal of the other person,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convenience of the user and the call counterpart can confirm the person's number.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타인의 단말을 이용하여 본인의 번호로 연결된 통화 요금을 본 사용자에게 과금하여 합리적인 요금 체계를 구축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build a reasonable rate system by charging to the user the call charge connected to his or her number using the terminal of another person.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타인의 단말을 이용하더라도 본인 단말의 주소록을 확인하고 통화를 연결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check the address book of the user's terminal and connect the call even when using the terminal of another person can increase the user's convenience.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타인의 단말을 이용하여 본인 단말의 통화 이력, 메시지 내용을 확인할 수 있어, 본인의 단말을 이용할 수 없더라도 통화, 메시지 상대방에게 실시간으로 응답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heck the call history and message contents of the own terminal by using the terminal of the other person, even if the user's terminal is not availabl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call, the message counterpart in real time.

본 발명의 부가적인 장점, 목적, 특징들은 이하의 설명을 통해 또는 당업자가 이하의 설명에 기반하여 본 발명을 실시함에 따라 용이하게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당업자가 이하의 설명에 기반하여 본 발명을 실시함에 따라 예측치 않은 장점을 가질 수도 있다. Additional advantages, object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readily apparent as the invention proceeds through the following description or on the basis of the following descriptio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unexpected advantages as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ma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타 단말을 이용한 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타 단말을 이용한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타 단말을 이용한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타 단말을 이용한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의 구성을 기능 단위로 구분한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발신 단말의 구성을 기능 단위로 구분한 구성도이다.
1 is a configuration of a call service providing system using anoth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all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anoth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all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another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all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another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servi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divided into functional units.
6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calling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divided into functional units.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과 특징들을 소정 형태로 결합한 것들이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별도의 명시적 언급이 없는 한 선택적인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다른 구성요소나 특징과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요소들 및/또는 특징들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어느 실시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예의 대응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 있다.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a combination of element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predetermined form. Each component or feature may be considered to be optional unless otherwise stated. Each component or feature may be implemented in a form that is not combined with other components or features. In addition, some of the elements and / or features may be combined to form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rder of the operation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hanged. Some configurations or features of certain embodiments may be included in other embodiments, or may be replaced with corresponding configurations or features of other embodiments.

도면에 대한 설명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흐릴 수 있는 절차 또는 단계 등은 기술하지 않았으며, 당업자의 수준에서 이해할 수 있을 정도의 절차 또는 단계는 또한 기술하지 아니하였다. 또한,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In the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re is no description of procedures or steps that may obscure the technical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nor is any description of steps or steps enough to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n addition,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about the same part through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comprising 또는 including)"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일(a 또는 an)", "하나(one)", "그(the)" 및 유사 관련어는 본 발명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특히, 이하의 청구항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comprising" or " including ", it is meant that the element does not exclude other elements, do. Also, the terms " part, "" module," and " module ", etc. in the specification mean a unit for processing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and may be implemented by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have. Also, the terms " a or ", "one "," the ", and the like are synonyms in the context of describing the invention (particularly in the context of the following claims) May be used in a sense including both singular and plural,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특정(特定) 용어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며, 이러한 특정 용어의 사용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The specific terms us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use of such specific terms may be changed into other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s intended to illustrat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nd is not intended to represent the only embodiments in which the invention may be practic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타 단말을 이용한 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1 is a configuration of a call service providing system using anoth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타 단말을 이용한 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서비스 장치(110), 발신 단말(130), 수신 단말(150) 및 네트워크(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1, a call service providing system using another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rvice device 110, a calling terminal 130, a receiving terminal 150, and a network 170.

서비스 장치(110)는 발신 단말(130)을 통해 통화를 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단말인 제3 단말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발신 단말(130)과 수신 단말(150) 간의 통화를 중개하는 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서비스 장치(110)는 통신 사업자와 별개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며, 통신 사업자 내에 포함된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The service device 110 refers to an apparatus for mediating a call between the calling terminal 130 and the receiving terminal 150 us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third terminal, which is a terminal of a user who wants to make a call through the calling terminal 130. The service device 110 may be implemented as a separate device from the service provider, or may be implemented as a device included in the service provider.

단말 식별 정보는 많은 단말 중에서 1개의 단말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말한다. 예를 들어, 단말 식별 정보는 MIN(Mobile Identification Number),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MSN(mobile subscriber number), ESN(electronic serial numb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fers to information for identifying one terminal among many terminals. For example,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a mobile identification number (MIN), an 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IMSI), a mobile subscriber number (MSN), an electronic serial number (ESN), and the like.

서비스 장치(110)는 발신 단말(130)로부터 통화 요청 신호와 제3 단말의 식별 정보 및 제3 단말의 인증 정보를 수신하면, 제3 단말의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제3 단말의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한다. When the service device 110 receives the call request signal,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hird terminal, and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of the third terminal from the calling terminal 130, the service device 110 authenticates the user of the third terminal using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of the third terminal. Do this.

제3 단말의 인증 정보는 발신 단말(130)을 이용하여 제3 단말의 식별정보로 통화를 수행하는 경우, 제3 단말의 진정한 사용자인지 여부를 검증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수단을 말한다. 제3 단말의 인증 정보는 서비스 가입자에게 할당된 특정의 문자열과 같이 서비스 장치(110)가 임의로 설정한 정보일 수 있으며, 사용자가 사전에 서비스 장치(110)에 설정한 정보일 수도 있다. 이때, 서비스 장치(110)가 임의로 설정한 정보인 경우 일회적으로 제3 단말의 사용자에게 부여한 정보일 수 있다.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of the third terminal refers to a means used to verify whether the user is a true user of the third terminal when the call is performed with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hird terminal using the calling terminal 130.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of the third terminal may be information arbitrarily set by the service device 110, such as a specific character string assigned to the service subscriber, or may be information previously set by the user in the service device 110. In this case, when the service device 110 arbitrarily set information, the service device 110 may be information that is given to the user of the third terminal once.

서비스 장치(110)는 제3 단말의 사용자의 인증이 완료되는 경우, 제3 단말의 주소록을 발신 단말(130)로 전송한다. When the authentication of the user of the third terminal is completed, the service device 110 transmits the address book of the third terminal to the calling terminal 130.

제3 단말의 주소록은 서비스 장치(110)에 저장된 제3 단말 사용자의 주소록을 의미한다. 이때, 서비스 장치(110)는 제3 단말의 주소록 전부를 발신 단말(13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장치(110)는 발신 단말(130)로부터 수신한 검색 인자를 이용하여 제3 단말의 주소록에서 검색한 결과만을 발신 단말(130)로 전송할 수도 있다. The address book of the third terminal refers to the address book of the third terminal user stored in the service device 110. In this case, the service device 110 may transmit all of the address book of the third terminal to the calling terminal 130. In addition, the service device 110 may transmit only the search results from the address book of the third terminal to the calling terminal 130 using the search factor received from the calling terminal 130.

서비스 장치(110)에 저장된 제3 단말의 주소록은 사전에 제3 단말의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으며, 제3 단말 내에 저장된 주소록과 실시간으로 연동될 수 있다. 이때, 제3 단말 내에 저장된 주소록과 연동되는 경우, 서비스 장치(110)는 주기적으로 제3 단말에 주소록을 요청하여 업데이트 할 수 있다. 또한, 제3 단말이 주기적으로 주소록을 서비스 장치(110)에 전송하여 업데이트 할 수 있으며, 새로운 정보가 주소록에 추가될 때마다 주소록을 서비스 장치(110)에 전송할 수도 있다.The address book of the third terminal stored in the service device 110 may be set by the user of the third terminal in advance, and may be linked with the address book stored in the third terminal in real time. In this case, when interworking with the address book stored in the third terminal, the service device 110 may periodically update the request of the address book from the third terminal. In addition, the third terminal may periodically update the address book by transmitting it to the service device 110, and may transmit the address book to the service device 110 whenever new information is added to the address book.

또한, 서비스 장치(110)는 제3 단말의 주소록 외에도 제3 단말의 통화 이력 정보, 메시지 정보를 조회하여 발신 단말(130)로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rvice device 110 may query the call history information and the message information of the third terminal in addition to the address book of the third terminal and provide the same to the calling terminal 130.

통화 이력 정보는 제3 단말의 식별 정보를 통해 통화 발신한 내역, 통화 수신한 내역, 부재중 전화 내역을 말한다. 통화 이력 정보는 통화를 한 상대 단말의 식별 정보, 통화 시각, 통화 시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장치(110)는 제3 단말의 주소록에서 통화 한 상대 단말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대방의 이름, 그룹 정보 등과 같은 개인 정보를 추출하여 발신 단말(130)로 제공할 수 있다. The call history information refers to a call origination history, a call reception history, and a missed call history through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hird terminal. The call history information may includ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 call time, a call time, etc. of the counterpart terminal making the call. In this case, the service device 110 may extract the personal information such as the name and the group information of the other party and provide the calling party 130 with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other party called from the address book of the third terminal.

메시지 정보는 제3 단말이 송수신한 문자 메시지와 음성 메시지를 말하며, 메시지의 송수신 시간과 메시지의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The message information refers to a text message and a voice message transmitted and received by the third terminal, and may include a transmission / reception time of the message and contents of the message.

서비스 장치(110)는 발신 단말(130)로부터 수신 단말(150)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면, 수신 단말(150)로 통화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 이때, 발신 단말(130)이 전송하는 수신 단말(150)의 식별 정보는 발신 단말(130)이 직접 입력 받은 정보일 수 있으며, 상술한 주소록에서 선택 받은 정보일 수도 있다. 이후 수신 단말(150)이 통화 수신 입력에 따라 발신 단말(130)과 수신 단말(150)의 통화가 연결된다.When the service device 110 receiv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eceiving terminal 150 from the calling terminal 130, the service device 110 transmits a call request signal to the receiving terminal 150. In this cas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eceiving terminal 150 transmitted by the calling terminal 130 may be information directly input by the calling terminal 130 or may be information selected from the address book. Then, the receiving terminal 150 is connected to the call of the calling terminal 130 and the receiving terminal 150 according to the call receiving input.

한편, 이러한 서비스는 제3 단말의 사용자는 자신의 단말의 배터리가 방전된 경우나 혹은 잃어 버린 경우 등과 같이 자신의 단말을 사용할 수 없는 상황일 때 발신 단말(130)과 같이 타 단말을 통해 이용할 수 있다. 다만, 제3 단말의 사용자가 발신 단말(130)을 이용한 후 자신의 단말을 이용할 수 있게 되는 때, 제3 단말의 사용자는 자신의 단말, 즉 제3 단말을 이용하여 서비스 장치(110)에 접속하여 본 서비스의 이용을 중단 내지 해제할 수 있다. 이처럼 자신의 단말을 이용하여 서비스의 이용을 중단 내지 해제함으로써, 사용자의 인증 정보가 노출되더라도 타인에 의한 사용자 본인의 번호의 도용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On the other hand, such a service can be used by other users, such as the calling terminal 130 when the user of the third terminal when the user's terminal is not available, such as when the battery of their terminal is discharged or lost. have. However, when the user of the third terminal is able to use his terminal after using the calling terminal 130, the user of the third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service device 110 using his terminal, that is, the third terminal. The service can be stopped or released. By stopping or releasing the use of the service by using the terminal as described above, even if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is expos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theft of the user's number by others.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서비스 장치(110)는 통신 사업자와 별개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며, 통신 사업자 내에 포함된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장치(110)가 통신 사업자와 별개의 장치로 구현되는 경우, 서비스 장치(110)는 별도의 사업자에 의하여 운용되는 경우를 의미한다.As described above, the service device 110 may be implemented as a separate device from th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or may be implemented as a device included in the service provider. In this case, when the service device 110 is implemented as a separate device from th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the service device 110 means that the case is operated by a separate service provider.

1) 발신 단말(130) 및 제3 단말의 통신 사업자가 동일하고, 해당 통신 사업자 내에 서비스 장치(110)가 포함된 경우1) When th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s of the calling terminal 130 and the third terminal are the same, and the service device 110 is included in th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통화 측면에서, 제3 단말의 사용자는 발신 단말(130)을 이용하여 서비스 장치(110)로 통화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3 단말의 사용자는 발신 단말(130)을 이용하여 서비스 장치(110)에 접속하고, 제3 단말의 주소록을 검색하거나 통화 이력 정보, 메시지 정보 등을 확인할 수 있다.In terms of a call, the user of the third terminal may transmit a call request signal to the service device 110 using the calling terminal 130. In addition, the user of the third terminal may access the service apparatus 110 using the calling terminal 130, search the address book of the third terminal, or check call history information and message information.

과금 측면에서, 서비스 장치(110)는 발신 단말(130)과 수신 단말(150)의 통화가 종료된 후, 제3 단말의 사용자에게 통화 요금을 과금하게 된다. In terms of billing, the service device 110 charges a call fee to the user of the third terminal after the call between the calling terminal 130 and the receiving terminal 150 ends.

2) 발신 단말(130) 및 제3 단말의 통신 사업자가 동일하고, 해당 통신 사업자와 별개로 서비스 장치(110)가 구현되는 경우2) When th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calling terminal 130 and the third terminal is the same, and the service device 110 is implemented separately from the corresponding carrier

통화 측면에서, 제3 단말의 사용자는 발신 단말(130)을 이용해 발신 단말(130)의 통신 사업자를 경유하여 서비스 장치(110)로 통화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장치(110)은 제3 단말의 통신 사업자를 통해 발신 단말(130)과 수신 단말(150)의 통화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제3 단말의 사용자는 발신 단말(130)을 이용해 발신 단말(130)의 통신 사업자를 경유하여 서비스 장치(110)에 접속하고, 제3 단말의 주소록을 검색하거나 통화 이력 정보, 메시지 정보 등을 확인할 수 있다. In terms of a call, the user of the third terminal may transmit a call request signal to the service device 110 via th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of the calling terminal 130 using the calling terminal 130. In this case, the service device 110 may connect a call between the calling terminal 130 and the receiving terminal 150 through a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of the third terminal. In addition, the user of the third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service device 110 via th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of the calling terminal 130 using the calling terminal 130, search the address book of the third terminal, call history information, message information, etc. You can check it.

과금 측면에서, 발신 단말(130)의 통신 사업자는 발신 단말(130)의 사용자에게 통화 요금을 과금하지 않으며, 제3 단말의 통신 사업자가 통화 시간에 따른 통화 요금을 제3 단말의 사용자에게 과금할 수 있다. In terms of billing, the telecommunications operator of the calling terminal 130 does not charge the call fee to the user of the calling terminal 130, and the telecommunications operator of the third terminal charges the call fee according to the talk time to the user of the third terminal. Can be.

또한, 제3 단말의 통신 사업자는 서비스 장치(110)를 운용하는 사업자에게 통화 요금을 과금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서비스 장치(110)는 제3 단말의 사용자에게 서비스 요금을 과금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of the third terminal may charge the call charge to the service provider operating the service device 110, in which case the service device 110 may charge the service charge to the user of the third terminal.

한편, 발신 단말(130)을 통해 데이터 통신을 이용하는 경우, 발신 단말(130)의 통신 사업자는 이용 패킷(packet)을 카운팅(counting)하여 서비스 장치(110)을 운용하는 사업자에게 비용을 청구할 수 있다. 다만, 서비스 장치(110)을 운용하는 사업자와 발신 단말(130)의 통신 사업자가 연계하지 않은 경우, 발신 단말(130)의 통신 사업자는 발신 단말(130)의 사용자에게 데이터 통신 비용을 청구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using the data communication through the calling terminal 130, th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of the calling terminal 130 may be charged to the operator operating the service device 110 by counting the use packet (packet). have. However, when the operator operating the service device 110 and the communication operator of the calling terminal 130 are not connected, the communication operator of the calling terminal 130 may charge a data communication cost to the user of the calling terminal 130. have.

3) 발신 단말(130)과 제3 단말의 통신 사업자가 상이하고, 제3 단말의 통신 사업자 내에 서비스 장치(110)가 포함된 경우3) When th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calling terminal 130 and the third terminal is different, and the service device 110 is included in th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of the third terminal

통화 측면에서, 제3 단말의 사용자는 발신 단말(130)을 이용해 발신 단말(130)의 통신 사업자를 경유하여 서비스 장치(110)로 통화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3 단말의 사용자는 발신 단말(130)을 이용해 발신 단말(130)의 통신 사업자를 경유하여 서비스 장치(110)에 접속하고, 제3 단말의 주소록을 검색하거나 통화 이력 정보, 메시지 정보 등을 확인할 수 있다.In terms of a call, the user of the third terminal may transmit a call request signal to the service device 110 via th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of the calling terminal 130 using the calling terminal 130. In addition, the user of the third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service device 110 via th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of the calling terminal 130 using the calling terminal 130, search the address book of the third terminal, call history information, message information, etc. You can check it.

과금 측면에서, 발신 단말(130)의 통신 사업자는 발신 단말(130)의 사용자에게 통화 요금을 과금하지 않으며, 서비스 장치(110)가 제3 단말의 사용자에게 통화 요금을 과금할 수 있다. In terms of billing, the communication provider of the calling terminal 130 does not charge the call fee to the user of the calling terminal 130, and the service device 110 may charge the call fee to the user of the third terminal.

4) 발신 단말(130)과 제3 단말의 통신 사업자가 상이하고, 각 통신 사업자와 별개로 서비스 장치(110)가 구현되는 경우4) When th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calling terminal 130 and the third terminal is different, and the service device 110 is implemented separately from each communication provider

통화 측면에서, 제3 단말의 사용자는 발신 단말(130)을 이용해 발신 단말(130)의 통신 사업자를 경유하여 서비스 장치(110)로 통화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장치(110)은 제3 단말의 통신 사업자를 통해 발신 단말(130)과 수신 단말(150)의 통화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제3 단말의 사용자는 발신 단말(130)을 이용해 발신 단말(130)의 통신 사업자를 경유하여 서비스 장치(110)에 접속하고, 제3 단말의 주소록을 검색하거나 통화 이력 정보, 메시지 정보 등을 확인할 수 있다.In terms of a call, the user of the third terminal may transmit a call request signal to the service device 110 via th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of the calling terminal 130 using the calling terminal 130. In this case, the service device 110 may connect a call between the calling terminal 130 and the receiving terminal 150 through a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of the third terminal. In addition, the user of the third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service device 110 via th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of the calling terminal 130 using the calling terminal 130, search the address book of the third terminal, call history information, message information, etc. You can check it.

과금 측면에서, 발신 단말(130)의 통신 사업자는 발신 단말(130)의 사용자에게 통화 요금을 과금하지 않으며, 제3 단말의 통신 사업자가 통화 시간에 따른 통화 요금을 제3 단말의 사용자에게 과금할 수 있다.In terms of billing, the telecommunications operator of the calling terminal 130 does not charge the call fee to the user of the calling terminal 130, and the telecommunications operator of the third terminal charges the call fee according to the talk time to the user of the third terminal. Can be.

또한, 제3 단말의 통신 사업자는 서비스 장치(110)를 운용하는 사업자에게 통화 요금을 과금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서비스 장치(110)는 제3 단말의 사용자에게 서비스 요금을 과금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of the third terminal may charge the call charge to the service provider operating the service device 110, in which case the service device 110 may charge the service charge to the user of the third terminal.

한편, 발신 단말(130)을 통해 데이터 통신을 이용하는 경우, 발신 단말(130)의 통신 사업자는 이용 패킷(packet)을 카운팅(counting)하여 서비스 장치(110)을 운용하는 사업자에게 비용을 청구할 수 있다. 다만, 서비스 장치(110)을 운용하는 사업자와 발신 단말(130)의 통신 사업자가 연계하지 않은 경우, 발신 단말(130)의 통신 사업자는 발신 단말(130)의 사용자에게 데이터 통신 비용을 청구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using the data communication through the calling terminal 130, th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of the calling terminal 130 may be charged to the operator operating the service device 110 by counting the use packet (packet). have. However, when the operator operating the service device 110 and the communication operator of the calling terminal 130 are not connected, the communication operator of the calling terminal 130 may charge a data communication cost to the user of the calling terminal 130. have.

발신 단말(130)은 제3 단말의 식별 정보를 통화 발신 정보로 이용하여 수신 단말(150)로 통화를 요청하는 단말을 말한다. The calling terminal 130 refers to a terminal requesting a call to the receiving terminal 150 us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hird terminal as call originating information.

발신 단말(130)은 제3 단말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통화를 수행하기 위해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또는 default로 제공된 UI(User Interface)를 이용하여 서비스 장치(110)에 접속할 수 있다. The calling terminal 130 may access the service device 110 using an application that provides a corresponding service or a UI provided by default to perform a call us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hird terminal. .

또한, 서비스 장치(110)가 ARS(Automatic Response Service) 장치로 구현되는 경우, 발신 단말(130)은 서비스 장치(110)에 접속 후 전체 기능 중 통화 발신 기능을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발신 단말(130)은 특정의 문자열로 구성된 서비스 번호와 수신 단말(150)의 번호를 포함하는 형태로 서비스 장치(110)에 접속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서비스 장치(110)는 제3 단말의 사용자 인증 후 바로 수신 단말(150)로 통화 요청 신호를 전송하여 통화를 연결하게 된다. In addition, when the service device 110 is implemented as an ARS (Automatic Response Service) device, the calling terminal 130 may select and use a call originating function among all functions after accessing the service device 110. In addition, the originating terminal 130 may access the service apparatus 110 in a form including a service number consisting of a specific character string and the number of the receiving terminal 150, in which case the service apparatus 110 of the third terminal Immediately after user authentication, a call request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receiving terminal 150 to connect the call.

수신 단말(150)은 제3 단말의 식별 정보가 통화 발신 정보로 포함된 통화를 수신하는 단말을 말한다. The reception terminal 150 refers to a terminal that receives a call in which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hird terminal is included as call origination information.

이때, 수신 단말(150)은 통화 요청 신호를 수신할 때, 제3 단말의 식별 정보가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발신 단말(130)의 식별 정보와 제3 단말의 식별 정보가 화면에 함께 표시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수신 단말(150)의 사용자는 발신 단말(130)을 이용하여 제3 단말의 번호로 전화가 걸려 왔음을 알 수 있다. 수신 단말(150)의 사용자는 이후 제3 단말의 사용자와 재차 통화를 수행하길 원하는 경우, 발신 단말(130)로 통화 요청 신호를 전송하여 제3 단말의 사용자와 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reception terminal 150 receives the call request sig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hird terminal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In additi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alling terminal 130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hird terminal may be displayed together on the screen. In this case, the user of the receiving terminal 150 may use the calling terminal 130 to identify the number of the third terminal. You can see that a call has been received. When the user of the receiving terminal 150 wants to perform a call again with the user of the third terminal, the user may transmit a call request signal to the calling terminal 130 to perform a call with the user of the third terminal.

발신 단말(130) 및 수신 단말(150)은 통화를 수행하거나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는 사용자가 이용 가능한 통신 장치라면 어떠한 장치라도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발신 단말(130) 및 수신 단말(150)은 PC(Personal Computer), 노트북 컴퓨터, 휴대폰(mobile phone), 태블릿 PC, 스마트폰(smart phon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유선전화, 공중전화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이는 예시에 불과할 뿐이며, 상술한 예 이외에도 현재 개발되어 상용화되었거나 향후 개발될 모든 통신이 가능한 장치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originating terminal 130 and the receiving terminal 150 may be any device as long as the communication device is available to a user who can make a call or transmit and receive a message. For example, the calling terminal 130 and the receiving terminal 150 may be a personal computer (PC), a notebook computer, a mobile phone, a tablet PC, a smart phone,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landline phone. Can include payphones. Of course, this is merely an example, and it should be construed as a concept including a device that is currently developed, commercialized, or capable of all communication to be developed in the future,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examples.

네트워크(170)는 서비스 장치(110), 발신 단말(130) 및 수신 단말(150) 간의 데이터 전송, 정보 교환을 위한 데이터 통신망을 의미하며, 그 종류에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인터넷 프로토콜(IP)을 통하여 대용량 데이터의 송수신 서비스 및 끊기는 현상이 없는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아이피망으로, 아이피를 기반으로 서로 다른 망을 통합한 아이피망 구조인 올 아이피(All IP)망 일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170)는 유선망, Wibro(Wireless Broadband)망, WCDMA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망,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망 및 LTE망을 포함하는 이동통신망, LTE advanced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망, 위성 통신망 및 와이파이(Wi-Fi)망 중에서 하나 이상을 결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network 170 refers to a data communication network for data transmission and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the service device 110, the originating terminal 130, and the receiving terminal 150, a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hereto. For example, i-bimnet, which provides high-capacity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services through Internet Protocol (IP), and data service without disconnection, is an i-bimetal architecture that integrates different networks based on IP, It can be network. In addition, the network 170 includes a wired network, a wireless broadband network (WBRO),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cluding WCDMA,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cluding 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network and an LTE network,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cluding LTE advanced, and a satellite. One or more of a communication network and a Wi-Fi network may be combined.

상술한 타 단말을 이용한 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서비스 장치(110)는 서버-클라이언트 컴퓨팅 방식으로 동작할 수도 있고,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으로 동작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장치(110)는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으로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In the above-described call service providing system using another terminal, the service device 110 may operate in a server-client computing scheme, or may operate based on cloud computing. For example, the service device 110 may be implemented as one or more servers operating on a cloud computing basis.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타 단말을 이용한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all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anoth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발신 단말(130)은 통화 요청 신호와 함께 제3 단말의 식별 정보, 제3 단말의 인증 정보를 서비스 장치(110)로 전송한다(S201).1 and 2, the calling terminal 130 transmit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hird terminal and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of the third terminal to the service device 110 together with the call request signal (S201).

발신 단말(130)이 특정의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이용하여 본 서비스를 제공받는 경우,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통화 연결 시 서비스 장치(110)로 접속할 수 있다. 이때, 발신 단말(130)은 default로 제공된 UI(User Interface)에 본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해당 기능을 이용하여 통화 연결을 요청하며 서비스 장치(110)에 접속하게 된다.When the calling terminal 130 is provided with the service using a specific application, the call terminal 130 may access the service device 110 when making a call through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In this case, the calling terminal 130 may be implemented to include a function of providing the service to a UI provided by default. In this case, the user requests a call connection using the corresponding function and accesses the service device 110.

발신 단말(130)은 제3 단말의 식별 정보 및 인증 정보를 입력 받아 서비스 장치(11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발신 단말(130)은 발신에 사용되는 식별 정보로써 제3 단말의 식별 정보를 미리 저장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발신 단말(130)은 발신 단말(130)의 식별 정보를 이용할 것인지 제3 단말의 식별 정보를 이용할 것인지 사용자로부터 선택을 받을 수 있다. The calling terminal 130 may receiv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authentication information of the third terminal and transmit the receiv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authentication information to the service device 110. In addition, the calling terminal 130 may stor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hird terminal in advance as identification information used for calling, and in this case, the calling terminal 130 may us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alling terminal 130. The user may be selected whether to us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단계(S201)에서 연결 정보, 제3 단말의 식별 정보 및 제3 단말의 인증 정보를 수신한 서비스 장치(110)는 제3 단말의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제3 단말 사용자의 인증을 수행한다(S203). In operation S201, the service device 110 that receives the connection informati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hird terminal, and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of the third terminal performs authentication of the third terminal user using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of the third terminal (S203). ).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인증 정보는 서비스 가입자에게 할당된 특정의 문자열과 같이 서비스 장치(110)가 임의로 설정한 정보일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가 사전에 서비스 장치(110)에 설정한 정보일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arbitrarily set by the service apparatus 110, such as a specific character string assigned to the service subscriber, or may be information previously set by the user in the service apparatus 110.

서비스 장치(110)가 서비스 가입자에게 인증 정보를 할당한 경우, 서비스 장치(110)는 제3 단말의 식별 정보와 할당된 인증 정보가 일치하는 여부를 판단하여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When the service device 110 allocates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to the service subscriber, the service device 110 may perform authentication by determining whether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hird terminal and the assigned authentication information match.

사용자가 사전에 자신의 단말인 제3 단말을 이용하여 인증 정보를 설정한 경우, 서비스 장치(110)는 사용자가 설정한 인증 정보와 발신 단말(130)로부터 수신한 인증 정보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제3 단말의 사용자가 설정한 인증 정보로 특정의 문자열, 음성, 사용자 인식 영상, 휴대 단말의 움직임 정보, 터치 동작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인증 정보는 하나일 수 있으며, 복수개의 조합일 수 있음은 물론이다.When the user sets authentication information using a third terminal which is his terminal in advance, the service device 110 determines whether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set by the user and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calling terminal 130 match. Authentication can be performed. In this case,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set by the user of the third terminal may include a specific character string, voice, user recognition image, mo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nd a touch operation. In addition,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may be one, it may be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course.

단계(S203)에서 제3 단말의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 서비스 장치(110)는 사용자 인증에 성공한 경우, 사용자 메뉴를 발신 단말(130)로 전송한다(S207).In operation S203, when the user authentication of the third terminal is performed, the service device 110 transmits the user menu to the calling terminal 130 when the user authentication is successful (S207).

사용자 메뉴는 서비스 장치(110)가 제3 단말의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제3 단말에 대한 정보를 열거한 일람표를 말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 사용자 메뉴는 주소록 검색, 통화 이력 정보 조회, 메시지 정보 조회를 포함할 수 있다. The user menu refers to a list of information on the third terminal that the service apparatus 110 may provide to the user of the third terminal. In particular, the user menu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ddress book search, call history information query, message information query.

단계(S207)에서 사용자 메뉴를 수신한 발신 단말(130)은 사용자로부터 주소록 검색 메뉴의 선택 및 검색 인자를 입력 받고(S209), 주소록 검색 메뉴의 선택 정보와 입력 받은 검색 인자를 서비스 장치(110)로 전송한다(S211).In step S207, the caller terminal 130 that receives the user menu receives input of the address book search menu and a search factor from the user (S209), and the service device 110 inputs the selected information of the address book search menu and the received search factor. Transfer to (S211).

검색 인자는 주소록에서 특정의 사용자를 검색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정보를 말한다. 구체적으로, 검색 인자는 사용자 이름으로 주소록을 검색하기 위하여 초성, 자음 등과 같은 정보 혹은 사용자 그룹 정보를 이용하여 검색하기 위한 그룹명 등이 될 수 있다.The search factor refers to information used to search for a specific user in the address book. In more detail, the search factor may be a group name for searching by using information such as consonants, consonants, or the like, for searching an address book by a user name, or user group information.

단계(S211)에서 검색 인자를 수신한 서비스 장치(110)는 제3 단말의 사용자 주소록에서 검색 인자를 이용하여 검색을 수행하고(S213), 검색 결과를 발신 단말(130)로 전송한다(S215).The service device 110 that has received the search factor in step S211 performs a search using the search factor in the user address book of the third terminal (S213), and transmits the search result to the calling terminal 130 (S215). .

이와 같이 서비스 장치(110)는 발신 단말(130)로부터 검색 인자를 수신하여, 제3 단말의 주소록에서 검색한 결과를 발신 단말(13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3 단말의 주소록 전체를 발신 단말(130)로 전송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As such, the service device 110 may receive a search factor from the calling terminal 130 and transmit the search result from the address book of the third terminal to the calling terminal 130. In addition,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the entire address book of the third terminal can be transmitted to the calling terminal 130.

한편, 발신 단말(130)이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메뉴에서 통화 이력 정보 조회 또는 메시지 정보 조회를 선택 받은 경우, 서비스 장치(110)는 제3 단말의 통화 이력 정보 및 메시지 정보를 조회하여 발신 단말(13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3 단말의 사용자는 제3 단말로의 부재 중 전화를 확인할 수 있으며, 부재 중 전화 상대방에게 통화를 시도할 수 있다. 또한, 제3 단말의 사용자는 제3 단말로 수신된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으며, 발신 단말(130)을 통해 음성 또는 문자로 수신된 메시지의 확인 및 수신된 메시지에 대한 회신을 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calling terminal 130 receives call history information inquiry or message information inquiry from the user menu, the service device 110 queries the call history information and the message information of the third terminal to call the calling terminal 130. Can be sent to. In this case, the user of the third terminal may check the missed call to the third terminal, and may try to talk to the missed call counterpart. In addition, the user of the third terminal may check the message received by the third terminal, and may check the message received by voice or text through the calling terminal 130 and reply to the received message.

또한, 서비스 장치(110)는 TTS(Text-To-Speech), STT(Speech-To-Text)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비스 장치(110)는 주소록 정보, 통화 이력 정보, 문자 메시지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역으로 음성 메시지를 문자로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the service device 110 may be implemented to provide text-to-speech (TTS) and speech-to-text (STT) functions. In detail, the service device 110 may convert address book information, call history information, and text message into voice and provide the same. In addition, it is of course possible to provide a voice message as a text.

단계(S215)에서 검색 결과를 수신한 발신 단말(130)은 사용자로부터 통화 대상을 선택 받고(S217), 선택 받은 통화 대상인 수신 단말(150)의 식별 정보를 서비스 장치(110)로 전송한다(S219).In step S215, the caller terminal 130 receiving the search result is selected by the user as a call target (S217), and transmit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eceiver terminal 150 as the selected call target to the service device 110 (S219). ).

단계(S219)에서 수신 단말(150)의 식별 정보를 수신한 서비스 장치(110)는 통화 요청 신호를 수신 단말(150)로 전송하고(S221), 수신 단말(150)의 통화 수신 응답에 따라 발신 단말(130)과 수신 단말(150)의 통화가 연결된다. The service device 110 that has receive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eceiving terminal 150 in step S219 transmits a call request signal to the receiving terminal 150 (S221), and makes a call according to the call reception response of the receiving terminal 150. The call of the terminal 130 and the receiving terminal 150 is connected.

한편, 제3 단말의 사용자는 발신 단말(130)을 이용하여 서비스 장치(110)에 접속하고, 발신 단말(110)의 식별 정보를 수신 단말 정보로 서비스 장치(110)에 설정할 수 있다. 수신 단말 정보는 제3 단말의 사용자가 제3 단말로의 통화 내지 메시지를 실제적으로 연계하여 수신하기 위한 단말로써 설정하는 단말 식별 정보를 말한다. 즉, 수신 단말 정보로 발신 단말(130)의 식별 정보를 설정함으로써, 제3 단말의 사용자는 제3 단말로 수신된 통화 요청 신호나 메시지를 발신 단말(130)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 Meanwhile, the user of the third terminal may access the service apparatus 110 using the calling terminal 130 and set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alling terminal 110 as the receiving terminal information in the service apparatus 110. Receiving terminal information refers to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at a user of the third terminal sets as a terminal for receiving a call or a message to the third terminal in actual connection. That is, by sett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alling terminal 130 as the receiving terminal information, the user of the third terminal can receive the call request signal or message received by the third terminal through the calling terminal 130.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타 단말을 이용한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all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another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발신 단말(130)은 서비스 접속 정보를 입력 받는다(S301). 1 and 3, the calling terminal 130 receives service access information (S301).

서비스 접속 정보는 서비스 장치(110)로 연결하기 위한 입력 정보를 말한다. 서비스 장치(110)가 ARS(Automatic Response Service) 장치로 구현되는 경우, 발신 단말(130)은 사용자로부터 긴급 통화 입력을 받거나 특정의 전화 번호를 입력 받아 통화 연결 시 서비스 장치(110)에 음성 통화 형태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접속 정보는 긴급 통화 입력이나 특정의 전화 번호를 의미한다.The service connection information refers to input information for connecting to the service device 110. When the service device 110 is implemented as an ARS (Automatic Response Service) device, the calling terminal 130 receives an emergency call input from a user or receives a specific phone number and forms a voice call to the service device 110 when a call is connected. Can be connected to. In this case, the service access information refers to an emergency call input or a specific telephone number.

한편, 발신 단말(130)은 사용자로부터 특정의 문자열을 입력 받아 발신을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발신 단말(130)은 사용자로부터 특정의 문자열(##)을 입력 받아, 수신 단말(150)의 식별 정보(010-123-1234)와 특정의 문자열을 함께(##-010-123-1234) 서비스 장치(110)에 전송할 수 있다. 서비스 장치(110)는 해당 통화를 수신하면 사용자 인증 후 수신 단말(150)로 바로 통화를 연결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originating terminal 130 may receive a specific string input from the user to make a call. For example, the calling terminal 130 receives a specific character string (##) from the user, and together with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010-123-1234) of the receiving terminal 150 (##-010-) 123-1234) to the service device 110. When the service device 110 receives the call, the service device 110 directly connects the call to the receiving terminal 150 after user authentication.

단계(S301)에서 서비스 접속 정보를 입력 받은 발신 단말(130)은 서비스 접속 정보와 통화 요청 신호를 서비스 장치(110)로 전송하고(S303), 발신 단말(130)과 서비스 장치(110) 간의 통화가 연결된다.The originating terminal 130 which has received the service access information in step S301 transmits the service access information and the call request signal to the service apparatus 110 (S303), and the call between the originating terminal 130 and the service apparatus 110. Is connected.

이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발신 단말(130)과 서비스 장치(110) 간의 통화 연결에 따른 통화 요금을 발신 단말(130)에게 과금하지 않을 수 있으며, 제3 단말에게 과금할 수 있다. In this case, as described above, the call charge according to the call connection between the calling terminal 130 and the service device 110 may not be charged to the calling terminal 130, but may be charged to the third terminal.

단계(S305)에서 서비스 장치(110)와 호가 연결된 발신 단말(130)은 서비스 장치(110)의 음성 안내에 따라, 제3 단말의 식별 정보 및 제3 단말의 인증 정보를 서비스 장치로 전송한다(S307).In operation S305, the calling terminal 130 connected to the call with the service apparatus 110 transmit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hird terminal and authentication information of the third terminal to the service apparatus according to the voice guidance of the service apparatus 110 ( S307).

이후, 단계(S309) 내지 단계(S329)는 도 2의 단계(S203) 내지 단계(S223)와 동일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한다. Subsequently, steps S309 to S329 are the same as steps S203 to S223 of FIG. 2, and thus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타 단말을 이용한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all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another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는 발신 단말(130)과 제3 단말의 통신 사업자가 상이하고, 각 통신 사업자와 별개로 서비스 장치(110)가 구현되는 경우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발신 단말의 통신 사업자는 공중전화 사업자 또는 유선전화 사업자가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This embodiment describes a case where th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calling terminal 130 and the third terminal is different, and the service device 110 is implemented separately from each communication provider. In this embodiment, th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calling terminal may be a public telephone operator or a landline telephone operator.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발신 단말(130)은 서비스 접속 정보를 입력 받는다(S401). 서비스 접속 정보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서비스 장치(110)로 연결하기 위한 입력 정보를 말한다. 1 and 4, the calling terminal 130 receives service access information (S401). The service access information refers to input information for connecting to the service device 110 as described above.

단계(S401)에서 서비스 접속 정보를 입력 받은 발신 단말(130)은 서비스 접속 정보와 통화 요청 신호를 발신 단말(130)의 통신 사업자에게 전송한다(S403).The originating terminal 130 receiving the service access information in step S401 transmits the service access information and the call request signal to th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of the calling terminal 130 (S403).

단계(S403)에서 서비스 접속 정보와 통화 요청 신호를 수신한 발신 단말(130)의 통신 사업자는 서비스 접속 정보를 확인하여, 통화 요청 신호를 서비스 장치(110)로 전송한다(S405). 이어서, 발신 단말(130)과 서비스 장치(110)는 발신 단말(130)의 통신 사업자를 통해 통화가 연결된다(S407).Th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of the calling terminal 130 having received the service access information and the call request signal in step S403 checks the service access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call request signal to the service device 110 (S405). Subsequently, a call is connected to the calling terminal 130 and the service device 110 through a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of the calling terminal 130 (S407).

단계(S407)에서 발신 단말(130)의 통신 사업자를 통해 서비스 장치(110)와 호가 연결된 발신 단말(130)은 서비스 장치(110)의 음성 안내에 따라, 제3 단말의 식별 정보 및 제3 단말의 인증 정보를 서비스 장치로 전송한다(S409).In step S407, the caller terminal 130 connected to the call with the service apparatus 110 through th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of the caller terminal 130 according to the voice guidance of the service apparatus 110,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hird terminal and the third terminal.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service device (S409).

단계(S409)에서 제3 단말의 식별 정보 및 제3 단말의 인증 정보를 수신한 서비스 장치(110)는 제3 단말의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제3 단말 사용자의 인증을 수행한다(S411).In operation S409, the service device 110 receiv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hird terminal and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of the third terminal performs authentication of the third terminal user using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of the third terminal (S411).

단계(S411)에서 제3 단말의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 서비스 장치(110)는 사용자 인증에 성공한 경우, 사용자 메뉴를 발신 단말(130)로 전송한다(S413).In operation S411, when the user authentication of the third terminal is performed, the service device 110 transmits a user menu to the calling terminal 130 when the user authentication is successful (S413).

단계(S413)에서 사용자 메뉴를 수신한 발신 단말(130)은 사용자로부터 주소록 검색 메뉴의 선택 및 검색 인자를 입력 받고(S415), 주소록 검색 메뉴의 선택 정보와 입력 받은 검색 인자를 서비스 장치(110)로 전송한다(S417).The originating terminal 130 receiving the user menu in step S413 receives a selection and search factor of the address book search menu from the user (S415), and the service device 110 inputs the selection information of the address book search menu and the received search factor. To transmit (S417).

단계(S417)에서 검색 인자를 수신한 서비스 장치(110)는 제3 단말의 사용자 주소록에서 검색 인자를 이용하여 검색을 수행하고(S419), 검색 결과를 발신 단말(130)로 전송한다(S421).The service device 110 receiving the search factor in step S417 performs a search using the search factor in the user address book of the third terminal (S419), and transmits the search result to the calling terminal 130 (S421). .

단계(S421)에서 검색 결과를 수신한 발신 단말(130)은 사용자로부터 통화 대상을 선택 받고(S423), 선택 받은 통화 대상인 수신 단말(150)의 식별 정보를 서비스 장치(110)로 전송한다(S425).The originating terminal 130 receiving the search result in step S421 selects a call target from the user (S423), and transmit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eception terminal 150, which is the selected call target, to the service device 110 (S425). ).

단계(S425)에서 수신 단말(150)의 식별 정보를 수신한 서비스 장치(110)는 통화 요청 신호를 제3 단말의 통신 사업자로 전송한다(S427).The service device 110 that has receive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eceiving terminal 150 in step S425 transmits a call request signal to th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of the third terminal (S427).

이때, 서비스 장치(110)는 통화 요청 신호와 함께 제3 단말의 사용자 인증 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인증 정보는 앞서 단계(S411)에서 서비스 장치(110)가 제3 단말을 인증하기 위한 인증 정보와 동일할 수 있으며, 상이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service device 110 may transmit the user authentication information of the third terminal together with the call request signal. In this case, the user authentication information may be the same as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for authenticating the third terminal by the service device 110 in step S411, and may be different.

단계(S427)에서 통화 요청 신호를 수신한 제3 단말의 통신 사업자는 통화 요청 신호를 수신 단말(150)로 전송하고(S429), 수신 단말(150)의 통화 수신 응답에 따라 제3 단말의 통신 사업자를 통해 발신 단말(130)과 수신 단말(150)의 통화가 연결된다(S431). 이어서, 발신 단말(130)과 수신 단말(150)의 통화 연결이 해제되면(S433), 제3 단말의 통신 사업자는 과금 정보를 생성하게 된다(S435)Th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of the third terminal receiving the call request signal in step S427 transmits the call request signal to the receiving terminal 150 (S429), and communicates with the third terminal according to the call reception response of the receiving terminal 150. The call of the calling terminal 130 and the receiving terminal 150 is connected through the operator (S431). Subsequently, when the call connection between the calling terminal 130 and the receiving terminal 150 is released (S433), th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of the third terminal generates the charging information (S435).

이때, 제3 단말의 통신 사업자는 단계(S431)에서 발신 단말(130)과 수신 단말(150)의 통화 연결이 시작된 후부터 과금 정보의 생성을 시작하고, 단계(S433)에서 발신 단말(130)과 수신 단말(150)의 통화 연결이 해제된 후 과금 정보의 생성을 완료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of the third terminal starts the generation of charging information after the call connection between the calling terminal 130 and the receiving terminal 150 starts in step S431, and the calling terminal 130 and the calling terminal 130 in step S433. After the call connection of the receiving terminal 150 is released, the generation of the charging information may be completed.

한편, 서비스 장치(110)는 제3 단말의 통신 사업자로부터 발신 단말(130)과 수신 단말(150)의 통화 시간을 조회하고, 조회한 통화 시간에 따른 서비스 요금을 제3 단말에게 과금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service device 110 may query the call time between the calling terminal 130 and the receiving terminal 150 from th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of the third terminal, and may charge the third terminal a service fee according to the called call time. .

또한, 서비스 장치(110)는 제3 단말의 통신 사업자로부터 발신 단말(130)과 수신 단말(150)의 통화 시간에 따른 통화 요금을 조회하고, 통화 요금을 제3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제3 단말의 사용자는 타 단말을 이용하여 통화를 수행한 경우 통화 시간에 따라 자신에게 부과되는 통화 요금을 서비스 장치(110)로부터 제공받아 인지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service device 110 may inquire from th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of the third terminal a call rate according to the call time of the calling terminal 130 and the receiving terminal 150, and transmit the call rate to the third terminal. Thus, when a user of the third terminal performs a call using another terminal, the user of the third terminal may receive and recognize a call charge charged to the user according to the call time.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110)의 구성을 기능 단위로 구분한 구성도이다.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the service device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divided into functional units.

도 5에 개시하는 서비스 장치(110)는 상술한 도 1 내지 도 4에서 타 단말을 이용한 통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장치이다. The service device 110 disclosed in FIG. 5 is a device capable of providing a call service using another terminal in FIGS. 1 to 4.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서비스 장치(110)는 장치 송수신부(510), 장치 저장부(530), 장치 제어부(5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1 and 5, the service device 110 includes a device transceiver 510, a device storage 530, and a device controller 550.

장치 송수신부(510)는 발신 단말(130) 또는 수신 단말(150)과 네트워크(170)를 통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가진다. The device transceiver 510 has an interfa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hrough the network 170 with the calling terminal 130 or the receiving terminal 150.

장치 저장부(530)는 서비스 장치(110)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 및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수단으로서, 기본적으로 서비스 장치(110)에 의해 실행될 운영 프로그램 및 응용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저장부(530)는 제3 단말의 주소록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소가 될 수 있다. The device storage unit 530 is a means for storing data and programs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service device 110, and basically stores an operating program and an application program to be executed by the service device 110.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orage unit 530 may be a storage for storing the address book of the third terminal.

장치 제어부(550)는 송수신부(510), 저장부(53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The device controller 550 generally controls the operations of the transceiver 510 and the storage 530.

장치 제어부(550)는 장치 송수신부(510)를 통해 발신 단말(130)로부터 통화 요청 신호와 제3 단말의 식별 정보 및 제3 단말의 인증 정보를 수신하면, 제3 단말의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제3 단말의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한다. When the device controller 550 receives the call request signal,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hird terminal, and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of the third terminal from the originating terminal 130 through the device transceiver 510, the device control unit 550 uses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of the third terminal. The authentication of the user of the third terminal is performed.

이어, 장치 제어부(550)는 제3 단말의 사용자의 인증이 완료되는 경우, 장치 송수신부(510)를 통해 제3 단말의 주소록을 발신 단말(130)로 전송한다. 이때, 장치 제어부(550)는 발신 단말(130)로부터 검색 인자를 수신하고, 제3 단말의 주소록에서 수신한 검색 인자를 이용해 검색한 결과를 발신 단말(130)로 전송할 수도 있다.Subsequently, when the authentication of the user of the third terminal is completed, the device controller 550 transmits the address book of the third terminal to the calling terminal 130 through the device transceiver 510. In this case, the device controller 550 may receive a search factor from the calling terminal 130 and transmit a search result to the calling terminal 130 using the search factor received from the address book of the third terminal.

이후 장치 제어부(550)는 장치 송수신부(510)를 통해 발신 단말(130)로부터 수신 단말(150)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면, 장치 송수신부(510) 수신 단말(150)로 통화 요청 신호를 전송하여 발신 단말(130)과 수신 단말(150)의 통화를 중개한다. 또한 장치 제어부(550)는 통화 이력 정보, 메시지 정보를 발신 단말(130)로 제공할 수 있다.Thereafter, when the device controller 550 receiv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eceiver terminal 150 from the caller terminal 130 through the device transceiver 510, the device controller 550 transmits a call request signal to the receiver terminal 150 of the device transceiver 510. By mediating the call between the calling terminal 130 and the receiving terminal 150. In addition, the device controller 550 may provide call history information and message information to the calling terminal 130.

장치 제어부(550)가 수행하는 기능은 상술한 도 2 내지 도 4에서 설명한 기능과 동일하므로 이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Since the function performed by the device controller 550 is the same as the functio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4,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발신 단말(130)의 구성을 기능 단위로 구분한 구성도이다. 6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alling terminal 1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divided into functional units.

도 6에 개시하는 발신 단말(130)은 상술한 도 1 내지 도 4에서 타 단말을 이용한 통화 서비스를 제공받는 단말이다. The originating terminal 130 disclosed in FIG. 6 is a terminal that receives a call service using another terminal in FIGS. 1 to 4.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 발신 단말(130)은 단말 송수신부(610), 단말 입력부(630), 단말 출력부(650), 단말 제어부(6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1 and 6, the calling terminal 130 includes a terminal transceiver 610, a terminal input unit 630, a terminal output unit 650, and a terminal controller 670.

단말 송수신부(610)는 서비스 장치(110) 또는 수신 단말(150)과 네트워크(170)를 통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가진다. The terminal transceiver 610 has an interfa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hrough the network 170 and the service device 110 or the receiving terminal 150.

단말 입력부(63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사용자 입력 신호를 발생한다. 이러한 단말 입력부(630)는 다양한 방식의 입력 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말 입력부(630)는 키 입력 수단, 터치 입력 수단, 제스처 입력 수단, 음성 입력 수단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키 입력 수단은, 키 조작에 따라서 해당 키에 대응하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으로서, 키패드, 키보드가 해당된다. 터치 입력 수단은, 사용자가 특정 부분을 터치하는 동작을 감지하여 입력 동작을 인식하는 것으로서, 터치 패드, 터치 스크린, 터치 센서를 들 수 있다. 제스처 입력 수단은, 사용자의 동작, 예를 들어, 발신 단말(130)을 흔들거나 움직이는 동작, 발신 단말(130)에 접근하는 동작, 눈을 깜빡이는 동작 등 지정된 특정 동작을 특정 입력 신호로 인식하는 것으로서, 지자기 센서, 가속도 센서, 카메라, 고도계, 자이로 센서, 근접 센서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단말 입력부(630)를 통해 제3 단말의 식별 정보, 제3 단말의 인증 정보, 수신 단말(150)의 식별 정보, 사용자 메뉴에서의 선택 입력, 주소록 검색 인자의 입력을 할 수 있다. The terminal input unit 630 generates a user input signal according to a user's manipulation. The terminal input unit 630 may be implemented by various means of input. For example, the terminal input unit 630 may include one or more of a key input unit, a touch input unit, a gesture input unit, and a voice input unit. The key input means generates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key according to the key operation, and corresponds to a keypad and a keyboard. The touch input means recognizes an input operation by detecting an operation of touching a specific portion of the user, and may include a touch pad, a touch screen, and a touch sensor. The gesture input means recognizes a specific input signal such as a user's motion, for example, shaking or moving the calling terminal 130, approaching the calling terminal 130, or blinking an eye, as a specific input signal. As, may include at least one of geomagnetic sensor, acceleration sensor, camera, altimeter, gyro sensor, proximity sensor. In particula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user input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hird terminal, authentication information of the third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eceiving terminal 150, selection input in the user menu, and input of an address book search factor through the terminal input unit 630. can do.

단말 출력부(650)는 단말 제어부(670)의 제어에 따라서 발신 단말(130)의 동작 상태 및 동작 결과를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부분으로서,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 단말 출력부(650)는 사용자 메뉴, 제3 단말의 주소록, 제3 단말의 통화 이력 정보, 제3 단말의 메시지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단말 출력부(650)는 디스플레이 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LCD((Liquid Crystal Display), TFT-LCD(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s),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 중에서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The terminal output unit 650 outputs an operation state and an operation result of the calling terminal 130 to the user under the control of the terminal control unit 670. In particular, the terminal output unit 650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user menu. , The address book of the third terminal, call history information of the third terminal, and message information of the third terminal may be output. The terminal output unit 650 may be implemented as a display means, for exampl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LCD), a light emitting diode (LED), an OLED (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AMOLED), 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AMOLED), a flexible display, a three-dimensional display can be any one.

단말 제어부(670)는 단말 송수신부(610), 단말 입력부(630), 단말 출력부(65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The terminal controller 670 controls overall operations of the terminal transceiver 610, the terminal input unit 630, and the terminal output unit 650.

단말 제어부(670)는 단말 송수신부(610)를 통해 통화 요청 신호, 제3 단말의 식별 정보 및 제3 단말의 인증 정보를 서비스 장치(110)로 전송한다. The terminal controller 670 transmits a call request sig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hird terminal, and authentication information of the third terminal to the service device 110 through the terminal transceiver 610.

단말 제어부(670)는 단말 송수신부(610)를 통해 서비스 장치(110)로부터 제3 단말의 주소록을 수신하면, 단말 출력부(650)를 통해 제3 단말의 주소록 정보를 출력한다. 이때, 단말 제어부(670)는 서비스 장치(110)로 검색 인자를 전송할 수 있으며, 검색 인자에 대한 제3 단말의 주소록 검색 결과를 수신할 수도 있다.When the terminal controller 670 receives the address book of the third terminal from the service device 110 through the terminal transceiver 610, the terminal controller 670 outputs address book information of the third terminal through the terminal output unit 650. In this case, the terminal controller 670 may transmit a search factor to the service device 110, and may receive an address book search result of the third terminal for the search factor.

이어, 단말 제어부(670)는 단말 입력부(63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수신 단말의 식별 정보를 입력 받아 단말 송수신부(610)를 통해 서비스 장치(110)로 전송함으로써, 수신 단말(150)로의 통화를 시도하게 된다. Subsequently, the terminal controller 670 receiv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eceiving terminal from the user through the terminal input unit 630 and transmits the call to the receiving terminal 150 by transmitt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eceiving terminal to the service device 110 through the terminal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610. Will try.

단말 제어부(670)가 수행하는 기능을 상술한 도 2 및 도 3에서의 기능과 동일하므로 이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Since the functions performed by the terminal controller 670 are the same as those in FIGS. 2 and 3,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수단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Meanwhil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through various means. For exampl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by hardware, firmware, soft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콘트롤러, 마이크로 콘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For a hardware implementation, the method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one or more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DSP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PLDs) ,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FPGAs), processors, controllers, microcontrollers, microprocessors, and the like.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또는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 유닛(미도시)에 저장되어 프로세서(미도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기기 또는 장치의 각 기능을 제어하는 구성이다. 메모리 유닛은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이미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상술한 프로세서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In the case of an implementation by firmware or software, the method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module, a procedure or a function for performing the functions or operations described above. For example, software code may be stored in a memory unit (not shown) and driven by a processor (not shown). The processor is a component that controls each function of the device or device. The memory unit may be located inside or outside the processor, and may exchange data with the above-described processor by various known means.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Accordingly,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in all respects but should be considered as illustrati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reasonable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of the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In addition, claims that do not have an explicit citation in the claims can be combined to form an embodiment or included as a new claim by amendment after the application.

본 발명의 타 단말을 이용한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안은 기존의 시스템에 비해 별도의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아 추가적인 비용 발생을 최소화한다. 특히, 이동통신 서비스의 이용률이 높아지는 추세를 감안하면, 본 발명의 타 단말을 이용한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안은 그 활용도가 적지 않을 것이다.The scheme for providing a call service using another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require a separate device as compared to the existing system, thereby minimizing additional costs. In particular, in consideration of the trend of increasing the utilization r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the method for providing a call service using the other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t be less useful.

110: 서비스 장치 130: 발신 단말
150: 수신 단말 170: 네트워크
110: service device 130: calling terminal
150: receiving terminal 170: network

Claims (26)

발신 단말을 이용하여 제3 단말의 식별 정보로 통화를 연결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
서비스 장치가 상기 발신 단말로부터 상기 제3 단말의 식별 정보 및 상기 제3 단말의 사용자 여부를 인증하기 위한 인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장치가 상기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3 단말의 사용자 여부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장치가 상기 인증이 완료되면 상기 발신 단말로 상기 서비스 장치에 저장된 상기 제3 단말의 주소록 및 상기 제3 단말에 수신된 메시지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장치가 상기 발신 단말로부터 상기 제3 단말의 주소록에서 선택된 수신 단말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장치가 상기 수신 단말로 상기 통화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타 단말을 이용한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A method of providing a service for connecting a call with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third terminal by using a calling terminal,
Receiving, by the service apparatu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hird terminal and authentication information for authenticating whether the third terminal is a user from the calling terminal;
The service device performing authentication on whether the third terminal is a user by using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Transmitting, by the service apparatus, the address book of the third terminal stored in the service apparatus and the message information received to the third terminal to the calling terminal when the authentication is completed;
Receiving, by the service apparatu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receiving terminal selected from an address book of the third terminal from the calling terminal; And
And transmitting, by the service apparatus, the call request signal to the receiving terminal, a call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another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말의 주소록은 상기 제3 단말 내 저장된 주소록과 연동되는, 타 단말을 이용한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address book of the third terminal is interlocked with the address book stored in the third terminal, a call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another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장치가 상기 발신 단말로부터 검색 인자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단말의 주소록은 상기 서비스 장치가 상기 검색 인자를 이용하여 검색한 결과인, 타 단말을 이용한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Receiving, by the service apparatus, a search factor from the originating terminal,
The address book of the third terminal is a result of the search by the service device using the search factor, call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another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장치가 상기 발신 단말과 상기 수신 단말의 통화 시간을 조회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장치가 상기 조회한 통화 시간에 따른 서비스 요금을 상기 제3 단말에게 과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타 단말을 이용한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Querying, by the service apparatus, a call time between the calling terminal and the receiving terminal; And
And charging the third terminal with a service fee based on the inquired talk time by the service apparatu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장치가 상기 발신 단말과 상기 수신 단말의 통화 시간에 따른 통화 요금을 조회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장치가 상기 조회한 통화 요금을 상기 제3 단말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타 단말을 이용한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Querying, by the service apparatus, a call charge according to a call time between the calling terminal and the receiving terminal; And
The service device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inquiry call rate to the third terminal, the call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another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장치가 상기 제3 단말의 통화 이력 정보를 조회하여 상기 발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타 단말을 이용한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service apparatus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querying the call history information of the third terminal and transmitting to the calling terminal, the call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another terminal.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장치가 상기 제3 단말의 주소록, 상기 통화 이력 정보 또는 상기 메시지 정보를 STT(Speech-To-Text) 또는 TTS(Text-To-Speech) 변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타 단말을 이용한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service apparatus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converting the address book, the call history information or the message information of the third terminal STT (Speech-To-Text) or TTS (Text-To-Speech), the call using another terminal How we deliver the ser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장치가 상기 발신 단말의 식별 정보를 상기 제3 단말의 수신 단말 정보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장치가 상기 제3 단말로의 통화 요청 신호 또는 메시지를 상기 발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타 단말을 이용한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Setting, by the service apparatu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alling terminal as receiving terminal information of the third terminal; And
And transmitting, by the service device, a call request signal or message to the third terminal to the calling terminal.
발신 단말을 이용하여 제3 단말의 식별 정보로 통화를 연결하는 서비스를 제공 하는 방법으로,
상기 발신 단말이 상기 제3 단말의 식별 정보 및 상기 제3 단말의 사용자 여부를 인증하기 위한 인증 정보를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발신 단말이 상기 서비스 장치로부터 상기 서비스 장치에 저장된 상기 제3 단말의 주소록 및 상기 제3 단말에 수신된 메시지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3 단말의 주소록을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발신 단말이 상기 제3 단말의 주소록에서 수신 단말의 식별 정보를 선택 받아, 상기 선택된 수신 단말의 식별 정보를 상기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타 단말을 이용한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A method for providing a service for connecting a call with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third terminal by using a calling terminal,
Transmitting, by the calling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hird terminal and authentication information for authenticating whether the third terminal is a user;
Receiving, by the calling terminal, an address book of the third terminal stored in the service device and message information received by the third terminal from the service device, and outputting an address book of the third terminal; And
And receiv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eceiving terminal from the address book of the third terminal by the calling terminal, and transmitt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elected receiving terminal to the service devic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말의 주소록은 상기 제3 단말 내 저장된 주소록과 연동되는, 타 단말을 이용한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address book of the third terminal is interlocked with the address book stored in the third terminal, a call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another terminal.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 단말이 상기 서비스 장치로 검색 인자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단말의 주소록은 상기 서비스 장치가 상기 검색 인자를 이용하여 검색한 결과인, 타 단말을 이용한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Transmitting, by the calling terminal, a search factor to the service device;
The address book of the third terminal is a result of the search by the service device using the search factor, call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another terminal.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 단말이 상기 서비스 장치로부터 상기 제3 단말의 통화 이력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타 단말을 이용한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And receiving, by the originating terminal, call history information of the third terminal from the service apparatus.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 단말이 상기 서비스 장치에 접속하여 상기 발신 단말의 식별 정보를 상기 제3 단말의 수신 단말 정보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발신 단말이 상기 서비스 장치로부터 상기 제3 단말로의 통화 요청 신호 또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타 단말을 이용한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Accessing, by the calling terminal, the service device, sett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alling terminal as receiving terminal information of the third terminal; And
And receiving, by the originating terminal, a call request signal or a message from the service device to the third terminal.
발신 단말을 이용하여 제3 단말의 식별 정보로 통화를 연결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로,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장치 송수신부;
상기 제3 단말의 주소록을 저장하는 장치 저장부; 및
상기 장치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발신 단말로부터 상기 제3 단말의 식별 정보 및 상기 제3 단말의 사용자 여부를 인증하기 위한 인증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3 단말의 사용자 여부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인증이 완료되면 상기 장치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발신 단말로 상기 서비스 장치에 저장된 상기 제3 단말의 주소록 및 상기 제3 단말에 수신된 메시지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장치 송수신부를 통해 발신 단말로부터 상기 제3 단말의 주소록에서 선택된 수신 단말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장치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수신 단말로 상기 통화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장치 제어부를 포함하는 서비스 장치.
An apparatus for providing a service for connecting a call with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third terminal by using a calling terminal,
Device transceiver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A device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address book of the third terminal; And
Whe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hird terminal and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for authenticating the user of the third terminal are received from the originating terminal through the device transceiver, the authentication of the user of the third terminal is performed using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When the authentication is completed, and transmits the address book of the third terminal and the message information received to the third terminal to the originating terminal through the device transceiver and the originating terminal through the device transceiver And a device control unit which transmits the call request signal to the receiving terminal through the device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when receiv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eceiving terminal selected from the address book of the third terminal.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말의 주소록은 상기 제3 단말 내 저장된 주소록과 연동되는, 서비스 장치.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address book of the third terminal is linked with the address book stored in the third terminal.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제어부는 상기 장치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발신 단말로부터 검색 인자를 수신하고, 상기 제3 단말의 주소록은 상기 검색 인자를 이용하여 검색한 결과인, 서비스 장치.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device control unit receives a search factor from the calling terminal through the device transceiver, and the address book of the third terminal is a result of searching using the search factor.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제어부는 상기 발신 단말과 상기 수신 단말의 통화 시간을 조회하고, 상기 조회한 통화 시간에 따른 서비스 요금을 상기 제3 단말에게 과금하는 서비스 장치.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device control unit inquires the call time between the calling terminal and the receiving terminal, and the service device for charging the third terminal with the service fee according to the inquiry time.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제어부는 상기 발신 단말과 상기 수신 단말의 통화 시간에 따른 통화 요금을 조회하고, 상기 조회한 통화 요금을 상기 장치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제3 단말에게 전송하는, 서비스 장치.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device control unit inquires the call rate according to the call time between the caller terminal and the receiver terminal, and transmits the inquiry call rate to the third terminal through the device transceiver.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제어부는 상기 제3 단말의 통화 이력 정보를 조회하여 상기 장치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발신 단말로 전송하는, 서비스 장치.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device control unit inquires the call history information of the third terminal and transmits to the calling terminal through the device transceiver unit.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제어부는 상기 제3 단말의 주소록, 상기 통화 이력 정보 또는 상기 메시지 정보를 STT(Speech-To-Text) 또는 TTS(Text-To-Speech) 변환하는, 서비스 장치.
20. The method of claim 19,
The device control unit converts a speech-to-text (STT) or a text-to-speech (TST) of the address book, the call history information, or the message information of the third terminal.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제어부는 상기 발신 단말의 식별 정보를 상기 제3 단말의 수신 단말 정보로 설정하고, 상기 제3 단말로의 통화 요청 신호 또는 메시지를 상기 발신 단말로 전송하는, 서비스 장치.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device control unit set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alling terminal as the receiving terminal information of the third terminal, and transmits a call request signal or message to the third terminal to the calling terminal.
제3 단말의 식별 정보로 통화를 연결하는 서비스에 이용되는 발신 단말로,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단말 송수신부;
정보 입력을 위한 단말 입력부;
정보 출력을 위한 단말 출력부; 및
상기 단말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제3 단말의 식별 정보 및 상기 제3 단말의 사용자 여부를 인증하기 위한 인증 정보를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단말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서비스 장치로부터 상기 서비스 장치에 저장된 상기 제3 단말의 주소록 및 상기 제3 단말에 수신된 메시지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단말 출력부를 통해 상기 제3 단말의 주소록을 출력하며, 상기 단말 입력부를 통해 상기 제3 단말의 주소록에서 수신 단말의 식별 정보를 선택 받아, 상기 선택된 단말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수신 단말의 식별 정보를 상기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는 단말 제어부를 포함하는, 단말.
A calling terminal used for a service for connecting a call with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third terminal,
Terminal transceiver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A terminal input unit for inputting information;
A terminal output unit for outputting information; And
And transmitt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hird terminal and authentication information for authenticating whether the third terminal is a user to the service device through the terminal transceiver, and the third device stored in the service device from the service device through the terminal transceiver. Receiving the address book of the terminal and the message information received by the third terminal to output the address book of the third terminal through the terminal output unit, select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eceiving terminal from the address book of the third terminal through the terminal input unit And a terminal controller configured to transmit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eceiving terminal to the service device through the selected terminal transceiver.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말의 주소록은 상기 제3 단말 내 저장된 주소록과 연동되는, 단말.
The method of claim 22,
The address book of the third terminal is linked with the address book stored in the third terminal.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제어부는 상기 단말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서비스 장치로 검색 인자를 전송하고, 상기 제3 단말의 주소록은 상기 서비스 장치가 상기 검색 인자를 이용하여 검색한 결과인, 단말.
The method of claim 22,
The terminal controller transmits a search factor to the service device through the terminal transceiver, and the address book of the third terminal is a result of the service device searching using the search factor.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제어부는 상기 단말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서비스 장치로부터 상기 제3 단말의 통화 이력 정보를 수신하는, 단말.
The method of claim 22,
The terminal controller is configured to receive call history information of the third terminal from the service apparatus through the terminal transceiver.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제어부는 상기 단말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서비스 장치에 접속하여 상기 단말의 식별 정보를 상기 제3 단말의 수신 단말 정보로 설정하고, 상기 서비스 장치로부터 상기 단말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제3 단말로의 통화 요청 신호 또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말.
The method of claim 22,
The terminal controller accesses the service apparatus through the terminal transmitter / receiver, set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as reception terminal information of the third terminal, and requests a call from the service apparatus to the third terminal through the terminal transmitter / receiver. Terminal for receiving a signal or message.
KR1020110128267A 2011-12-02 2011-12-02 Method for providing call service using other terminal, and terminal and service device KR10128346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8267A KR101283460B1 (en) 2011-12-02 2011-12-02 Method for providing call service using other terminal, and terminal and servic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8267A KR101283460B1 (en) 2011-12-02 2011-12-02 Method for providing call service using other terminal, and terminal and service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1939A KR20130061939A (en) 2013-06-12
KR101283460B1 true KR101283460B1 (en) 2013-07-12

Family

ID=48859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8267A KR101283460B1 (en) 2011-12-02 2011-12-02 Method for providing call service using other terminal, and terminal and service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3460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7464A (en) * 2002-08-21 2004-0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Billing method and system for using mobile phone
KR20060033246A (en) * 2004-10-14 2006-04-19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Charging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and method thereof
KR20080078214A (en) * 2007-02-22 2008-08-27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speaking by anther phone when they have not the cellular phone
KR20110087903A (en) * 2010-01-27 2011-08-03 주식회사 인스프리트 System for connecting call using message over mobile terminal of other people and fee levy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7464A (en) * 2002-08-21 2004-0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Billing method and system for using mobile phone
KR20060033246A (en) * 2004-10-14 2006-04-19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Charging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and method thereof
KR20080078214A (en) * 2007-02-22 2008-08-27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speaking by anther phone when they have not the cellular phone
KR20110087903A (en) * 2010-01-27 2011-08-03 주식회사 인스프리트 System for connecting call using message over mobile terminal of other people and fee levy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1939A (en) 2013-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73680B2 (en) Electronic device providing dialog contents, server and method thereof
CN103827846A (en) Context awareness proximity-based wireless connection establishment
US9485358B2 (en) Information acquisition method, device, and system
KR101653723B1 (en) Method, device,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for obtaining voice service
JP2009514440A5 (en)
RU2008120636A (en) ACCESS TO TELECOMMUNICATION DEVICES USING MOBILE PHONE NUMBERS
WO2016108533A1 (en) Roaming method using call forwarding service,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KR101742691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providing two number service
KR101283460B1 (en) Method for providing call service using other terminal, and terminal and service device
KR2016000082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position
CN114422472B (en) Network address conversion method and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US9560200B2 (en) Method and device for obtaining voice service
KR20140140319A (en) Method of transmitting e-card usnig smart-phone
KR101531828B1 (en) terminal having function of real time text transmission/reception and mail
CN106992882B (en) Router file migration method and device
KR2014005257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intergrated message
KR102088017B1 (en) Server, Terminal, Method, and Recording Medium for Multi-Number One-Device Communication
KR101195741B1 (en) Call system using name
US11575793B2 (en) Service system supporting voice call using digital assistant device, method thereof,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on
KR101599282B1 (en) Method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during telephone call and apparatus thereof
KR102399456B1 (en) System for voice call service using distal assistance device, method thereof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on
KR102597423B1 (en) Service system supporting voice call using digital assistant device, method thereof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on
KR102402412B1 (en) System for voice call service using distal assistance device, method thereof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on
KR101247200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aller identification using personal number
WO2011052982A2 (en) Mobile device, control method thereof, message sending apparatus and message send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