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2136B1 - 고속 해빙기 - Google Patents

고속 해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2136B1
KR101282136B1 KR1020100138159A KR20100138159A KR101282136B1 KR 101282136 B1 KR101282136 B1 KR 101282136B1 KR 1020100138159 A KR1020100138159 A KR 1020100138159A KR 20100138159 A KR20100138159 A KR 20100138159A KR 101282136 B1 KR101282136 B1 KR 1012821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burner
water tank
injection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8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76132A (ko
Inventor
황규철
지병식
송대영
Original Assignee
한국수자원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수자원공사 filed Critical 한국수자원공사
Priority to KR10201001381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2136B1/ko
Publication of KR201200761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61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21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21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9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E03B7/14Devices for thawing frozen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27/00Instantaneous or flash steam boilers
    • F22B27/16Instantaneous or flash steam boilers involving spray nozzles for sprinkling or injecting water particles on to or into hot heat-exchange elements, e.g. into tub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속 해빙기에 관한 것으로, 동절기 관로결빙으로 인하여 수돗물 공급이 중단되는 사태에 조속히 대처하고, 작업 지연으로 인한 사용자 불편을 최소화하는 한편, 해빙을 위한 경비 절감을 달성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공급되는 연료를 연소시켜 열을 공급하는 버너, 상기 버너가 공급하는 열을 이용하여 내부에 배치되어 흐르는 물을 가열시키는 온수통, 상기 온수통의 물 유입을 지원하는 유입 펌프, 상기 온수통에 의하여 가열된 온수에 분사압에 제공하는 분사 펌프, 상기 분사 펌프와 연결되어 상기 가열된 일정 온도의 온수를 결빙 관로에 직접적으로 제공하는 분사기를 포함하는 고속 해빙기의 구성을 개시한다.

Description

고속 해빙기{Enhanced Thawing Device}
본 발명은 해빙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결빙된 관로를 빠르게 해빙시킬 수 있는 고속 해빙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수도는 가정에서 발생되는 생활폐수를 일정 장소로 보내기 위해 가정의 주방 또는 욕실 또는 옥외 세면장 등으로부터 복잡하게 배관된다. 이러한 하수도 배관 파이프의 내부에는 항상 물이 존재하므로, 추운 겨울철에는 배관 내에 정체된 물이 쉽게 동결되어 버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 결과, 생활폐수를 버릴 수 없을 경우가 발생하게 되고, 심한 경우에는 하수도 배관 자체가 파열되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상수도 역시 하수도와 마찬가지로 물의 공급을 위하여 항상 물이 관내에 존재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상수도는 추운 겨울철에 동결되는 경우가 많다.
상술한 바와 같은 동절기 관로결빙으로 인하여 수돗물 공급이 중단되는 사태가 발생하면 많은 사용자들이 불편을 겪게 된다. 이러한 관로 결빙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결빙된 관로 주위에 뜨거운 물을 붓거나 관로를 가열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해왔다. 그러나 이러한 작업은 관로 결빙을 빠르게 해빙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작업의 제약이 많아 별다른 실효성을 얻지 못하고 있었다.
따라서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동절기 관로결빙으로 인하여 수돗물 공급이 중단되는 사태에 조속히 대처하고, 작업 지연으로 인한 사용자 불편을 최소화하는 한편, 해빙을 위한 경비 절감을 달성할 수 있는 고속 해빙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고속 해빙기는 버너, 온수통, 유입 펌프, 분사 펌프, 분사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너는 공급되는 연료를 연소시켜 열을 공급하는 구성이며, 상기 온수통은 상기 버너가 공급하는 열을 이용하여 내부에 배치되어 흐르는 물을 가열시키는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유입 펌프는 상기 온수통의 물 유입을 지원하며, 상기 분사 펌프는 상기 온수통에 의하여 가열된 온수에 분사압을 제공하고, 상기 분사기는 상기 분사 펌프와 연결되어 상기 가열된 일정 온도의 온수를 결빙 관로에 직접적으로 제공한다.
상기 버너는 상기 버너의 점화를 위한 점화기, 상기 버너의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 공급기, 상기 연료를 저장하는 연료 저장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온수통은 상기 유입 펌프와 상기 분사 펌프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온수통의 내통에 코일형상으로 나선형으로 배치되는 가열관, 상기 버너에서 공급되는 불꽃과 열을 온수통 내부로 환원하는 관통로를 포함하며, 상기 관통로는 상기 버너에서 공급되는 불꽃과 열을 지체시키기 위한 불막이를 다수개 포함하거나 관통로의 내벽 형상이 일정 개수의 돌출부들이 마련되는 요철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분사기는 상기 분사 펌프에 연결되는 연결 호스, 상기 연결 호스에 마련되어 온수 유출을 차단 또는 개방하는 레바, 상기 레바 동작에 따라 상기 온수를 결빙 관로에 직접적으로 분사하는 주입 호스 및 노즐, 상기 연결 호스와 상기 주입 호스가 정리 배치되며 상기 레바가 고정되는 분사기 거치대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고속 해빙기는 작업자의 버튼 조작 또는 스위치 조작에 따라 상기 버너의 연료 공급량을 조절하여 상기 온수통의 온수 온도를 조절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더 포함하거나, 상기 분사기의 온수 분사량 조절에 따라 상기 분사 펌프의 분사압을 조정하며, 상기 온수 분사량 조절에 따라 상기 유입 펌프의 물 공급량을 조정하고, 상기 물 공급량 조정에 따라 상기 온수통이 일정 온도를 가지도록 상기 버너의 연료 공급량을 자동 조절하는 제어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분사기에 마련된 레바의 조절에 따라 상기 분사 펌프, 유입 펌프, 버너의 동작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속 해빙기는 상기 버너, 온수통, 유입 펌프, 분사 펌프를 감싸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각 구성들을 지지함과 아울러 작업자의 요구에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이동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속 해빙기에 따르면, 본 발명은 기존 결빙된 관로를 해빙하기 위한 작업 속도에 비하여 매우 뛰어난 해빙 속도를 제공하고, 이로 인하여 해빙 작업에 소요되는 경비와 시간을 절약할 수 있어 관로 결빙에 따른 사용자의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속 해빙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실제 구성된 고속 해빙기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의 케이스 내에 위치하는 구조물들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고속 해빙기의 구조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속 해빙기의 개략적인 구조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고속 해빙기(100)는 온수통(110), 버너(120), 유입 펌프(130), 분사 펌프(140), 분사기(150)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본 발명의 고속 해빙기(100)는 유입 펌프(130)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 공급수단 예를 들면 물공급차(21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고속 해빙기(100)의 분사기(150)는 일정 온도의 온수를 분사하여 결빙 관로(220)를 해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의 고속 해빙기(100)는 유입 펌프(130)를 조절하여 물공급차(210)가 저장하고 있는 물 예를 들면 냉수를 공급받아 온수통(110)에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고속 해빙기(100)는 버너(120)를 가동시켜 온수통(110) 내부에 열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여 온수통(110) 내부에 공급된 냉수를 가열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후 고속 해빙기(100)를 운용하는 사용자는 분사 펌프(140) 및 분사기(150)에 마련된 레바 등을 조절하여 분사기(150)로 분사되는 물의 분사압 및 분사량을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분사기(150)는 결빙된 관로(220) 내부로 직접 온수를 공급할 수 있는 주입 호스로 구성되며 노즐을 통하여 일정 온도의 온수를 결빙 관로(220) 내부로 분사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고속 해빙기(100)는 결빙 관로(220)의 결빙 지역에 일정 온도의 온수를 분사하되 주입 호스를 이용하여 결빙 영역에 직접적으로 분사함으로써 결빙 영역을 빠르게 해빙시킬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고속 해빙기(100)는 높은 온도의 온수를 분사함으로써 결빙된 부분을 보다 효율적으로 해빙할 수 있으며, 액체 상태의 온수를 일정 압력으로 분사함으로써 분사압을 가지는 온수를 결빙 영역에 직접 충돌시킴으로써 해빙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이하 상기 고속 해빙기(100)의 각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온수통(110)은 원통형에 일측이 개구되는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온수통(110)은 상기 버너(120)가 상기 개구된 구조에 장착됨으로써 버너(120)의 열기가 유입되는 버너 삽입구(111), 버너(120)의 열기가 온수통(110) 내부를 휘돌아 배기되는 배기구(113)를 포함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온수통(110)의 외부는 방열재가 배치될 수 있다. 이 방열재는 온수통(110) 외부로 열이 발산되는 것을 막아서 온수통(110) 내부에서의 열교환 효율을 개선하고, 온수통(110)에 의한 화상 등의 위험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온수통(110) 내부에는 물이 일정 관로를 따라 흐르며 버너(120)가 제공하는 열기에 의하여 가열되는 가열관(115)이 나선형으로 코일처럼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온수통(110) 내부에는 버너(120)가 배치되는 버너 삽입구(111)를 중심으로 배기구(113) 끝단까지 버너(120)에서 방출되는 열기를 전달되는 관통로(117)가 마련된다. 이 관통로(117)는 버너(120)의 열을 효율적으로 머물도록 하고 버너(120)의 불꽃과 열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도록 보다 많은 면적을 가지도록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굴곡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관통로(117)는 다수개의 불막이가 관통로(117) 전체 직경 중 일부분씩에 형성될 수 있으며, 연통되는 좁은 통로 형상을 갖도록 함으로써 상기 버너(120)에서 방출된 열이 지체 배출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상기 가열관(115)은 크기 및 길이는 온수통(110)의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이동성과 작업 적용성 등을 고려하여 직경이 20mm인 관을 상기 온수통(110)에 나선형으로 배치하되 약 50m 길이를 가지는 형태로 제작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가열관(115) 형태가 상술한 크기나 길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온수통(110)의 크기 및 기타 작업 적용 목적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온수통(110)은 상기 가열관(115)의 크기와 길이 및 배치에 따라 그 크기가 조절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코일형의 가열관(115)은 상기 관통로(117)의 외관을 감싸며 나선형으로 배기구(113)가 배치되는 방향까지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가열관(115)의 일측은 상기 유입 펌프(130)와 연결되며 타측은 상기 분사 펌프(140)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유입 펌프(130)로부터 유입된 냉수가 가열관(115)을 통하여 가열되면서 분사 펌프(140) 방향으로 이동하였다가 분사 펌프(140) 조절에 따라 분사기(150)로 공급되어 일정 분사압을 가지며 결빙 관로(220)에 분사되도록 지원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온수통(110) 내부에 배치되는 상기 코일형의 가열관(115)은 상기 버너(120)가 배치되는 버너 삽입구(111)에서부터 배기구(113) 끝단까지 온수통(110) 내통의 외곽 쪽과 대면되면 나선형으로 배설된다. 이때 상기 가열관(115)은 상기 버너 삽입구(111) 쪽 직경과 상기 배기구(113)쪽 직경이 다르게 제작될 수 있다. 즉 버너 삽입구(111) 쪽에 위치하는 가열관(115)의 경우 냉수 유입에 따라 일정 온도 이하로 유지되는 시간이 많으며 배기구(113) 끝단 방향으로 갈수록 온수통(110) 및 관통로(117)에서 제공되는 열에 의하여 가열관(115)의 물이 가열되어 일정 온도 이상으로 유지되는 시간이 많아지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배기구(113) 쪽 가열관(115)의 직경을 상기 버너 삽입구(111) 쪽에 위치하는 가열관(115)의 직경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함으로써 물의 가열에 의한 물 이동 속도 즉 유속을 일정하도록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물의 분사압에 의한 영향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온수통(110) 내부와 상기 관통로(117) 사이의 공간에는 메틸알콜이나 파라핀, 합성유등과 같은 열매체유가 충진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온수통(110)과 관통로(117) 사이에 배치된 열매체유는 버너(120)의 불꽃과 연소열에 의하여 충분히 가열되면서 일정 온도로 가열관(115)을 가열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상기 온수통(110)과 관통로(117) 사이에 충진되는 열매체유는 비점과 비중이 낮아 물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원하는 온도를 얻기까지 시간상 수배이상 빠르기 때문에 가열관(115)에 흐르는 물을 단시간에 가열시킬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온수통(110) 내부에 충진되는 열매체유는 발화점이 물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매우 높은 온도 예를 들면 300℃ 이상의 물질로 구성되어 가열관(115)을 물의 끓는점보다 높은 약200℃까지 가열해 줄 수 있다. 따라서 열매체유를 통과하는 코일형 가열관(115)의 물이 열매체유에 의해 가열될 시 상기 열매체유는 신속하고도 높은 온도로 가열관(115)을 가열함으로 물이 유입되어 코일형의 가열관(115)을 통과하기 전에 충분히 가열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온수통(110)의 구조는 상기 열매체유를 일정 온도까지 가열시켜 놓으면 버너(120)로부터 불꽃이나 열이 공급되지 않더라도 가열관(115)을 통과하는 물과의 열교환으로 가열관(115)을 통해 공급되는 물을 일정 온도로 유지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온수통(110)은 버너(120)의 열효율을 개선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버너(120) 구동 주기를 길게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연료 소비를 절약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온수통(110)에 충진되는 열매체유는 온수통(110)의 밀폐 구조 제작이 필요하며, 이에 따라 설계자의 의도 하에 상기 열매체유 충진을 생략될 수 있다.
상기 버너(120)는 내부 관통로(117)에 열을 제공하여 가열관(115)을 가열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러한 버너(120)는 점화기, 연료 저장기 및 연료 공급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고속 해빙기(100)는 버너(120)의 점화 제어 및 연료 공급기의 연료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더 포함하여, 상기 버너(120)의 점화 시점과 연료 공급량을 작업자 제어에 따라 제어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그리고 이러한 상기 버너(120)는 유입 펌프(130) 시동에 따라 동기되어 점화될 수 있으며, 상기 유입 펌프(130)의 물 유입량 또는 분사 펌프(140)의 물 분사량에 따라 제어 장치의 제어 하에 연료 공급기의 연료 공급량이 조절될 수 있다. 즉 상기 버너(120)는 물 분사량이 많은 경우 또는 물 유입량이 많은 경우 상기 버너(120)에 공급되는 연료 공급량이 증가될 수 있으며, 상기 물 분사량이 적거나 또는 물 유입량이 적은 경우 상기 버너(120)에 공급되는 연료 공급량이 감소될 수 있다. 이러한 연료 공급량의 증가 또는 감소는 실질적으로 온수통(110) 내에 가해지는 열량의 증가 또는 감소로 작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너(120)는 제어 장치에서 요구하는 분사되는 물의 온도에 따라 연료 공급량이 조절될 수 있다. 상기 버너(120)의 연료는 다양한 형태가 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가스나, 휘발유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유입 펌프(130)는 상기 물공급차(210)와 온수통(110) 사이에 배치되어 물공급차(210)가 제공하는 물을 유입하여 온수통(110) 내부로 공급하는 구성이다. 상술한 설명에서는 유입 펌프(130)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물공급차(210)를 예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유입 펌프(130)는 물을 유입할 수 있는 펌핑 동작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공급압을 제공하지 않는 구조물이라 하더러도 수원을 호스 등으로 연결할 수 있는 경우 펌핑 동작에 의하여 수원의 물을 온수통(110) 내부로 유입시킬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유입 펌프(130)의 펌핑 동작은 제어 장치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상기 고속 해빙기(100)를 운용하는 운용자의 제어에 따라 펌핑 동작이 제어되어 온수통(110) 내부로 공급하는 물 유입량이 조절될 수 있다.
상기 분사 펌프(140)는 상기 가열관(115)을 통하여 가열된 물을 분사기(150)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지원하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분사 펌프(140)는 분사기(150)를 통하여 분사되는 온수가 일정한 압력을 가지며 분사되도록 펌핑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분사 펌프(140)의 펌핑 동작 역시 제어 장치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으며, 결빙 관로(220)의 특성에 따라 작업자가 제어 장치 운용 또는 레바 등을 제어하여 온수 분사압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분사기(150)는 분사 펌프(140)와 연결되는 연결 호스(151), 연결 호스(151)와 연결되는 레바(153), 레바(153)에 연결되는 주입 호스와 노즐(155)을 포함할 수 있다. 실질적으로 상술한 고속 해빙기(100)의 구조에서 분사기(150)는 별도의 구조물로서 구성되어 버너(120)와 온수통(110)을 포함하는 구성물과 분리 운용될 수 있다. 현장에서 결빙 관로(220)에 온수를 공급하는 구조물은 분사기(150)인데, 이러한 분사기(15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호스와 같은 구조물이 많아서 필요에 따라 호스의 길이를 교체하거나 호스의 길이를 늘일 필요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고속 해빙기(100)는 분사기(150)를 상기 분사 펌프(140)와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는 구조물로서 배치하여 분사기(150)의 이동과 관리, 보수 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상기 분사기(150)에 마련된 레바(153)는 상기 주입 호스와 노즐(155) 방향으로 온수가 분사되도록 개방되거나 상기 주입 호스와 노즐(155) 방향으로 온수가 분사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고속 해빙기(100)를 이용한 해빙 작업에서 해당 장비를 1인이 운용할 경우 버너(120)와 온수통(110)을 제어하여 일정 온도를 가지는 온수가 공급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작업 과정에서 온수의 분사량 또는 분사 시기 조절과 버너(120) 조절을 동시에 수행하고자 할 때 분사기(150)와 버너(120)가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는 경우 위치적인 불편함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고속 해빙기(100)는 상술한 레바(153)를 분사기(150) 일측에 마련하여 작업자가 결빙 지역과 인접한 영역에서 온수를 분사하여 작업하고 분사 중지 작업을 동시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속 해빙기(100)는 온수통(110)을 마련하고 온수통(110)의 내통에 물을 가열시키기 위한 가열관(115)을 버너 삽입구(111) 방향에서 배기구(113) 방향으로 코일 타입의 나선형 형상을 가지도록 배치하여 가열 구간을 충분히 확보하며, 버너(120)의 불꽃과 열이 공급되는 관통로(117)에 다수개의 불막이 형상이 마련되도록 요철 형태로 마련함으로써 버너(120)에서 공급된 열이 배기구(113)를 통하여 출소되기까지 충분히 지체될 수 있도록 지원하여 온수통(110) 내로 환원되는 열이 많아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고속 해빙기(100)는 온수통(110)과 상기 관통로(117) 사이의 공간에 가열관(115)을 감싸며 열전도율이 뛰어난 열매체유를 충진함으로써 가열관(115)에 전달되는 열효율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고속 해빙기(100)는 유입 펌프(130)를 마련하여 온수통(110) 내부의 유량 공급을 조절하는 한편 분사 펌프(140)를 마련하여 분사기(150)를 통하여 분사되는 온수의 수압을 조절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은 상기 온수통(110)을 가열하는 버너(120)의 가열량 제어를 유입 펌프(130) 및 분사 펌프(140)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 상태에 따라 조절하도록 하는 한편 작업자가 요구하는 온수 온도가 되도록 조절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속 해빙기(100)의 구조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고속 해빙기(100)의 개략적인 구조를 기반으로 실제 제조한 고속 해빙기(100)의 구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실제 구성된 고속 해빙기(100)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케이스 내에 위치하는 온수 공급기(400) 구조물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고속 해빙기(100)는 크게 분사기(150)와 온수 공급기(400)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분사기(150)는 분사 펌프(140)의 온수 유출구(141)와 연결되는 연결 호스(151), 결빙 관로(220)에 직접적으로 온수를 분사하는 주입 호스와 노즐(155), 연결 호스(151) 및 주입 호스와 노즐(155) 사이에 배치되어 온수 공급 및 차단을 제어하는 레바(153), 상기 연결 호스(151)와 주입 호스와 노즐(155) 및 레바(153) 등이 거치되는 분사기 거치대(15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 호스(151) 및 상기 주입 호스와 노즐(155)은 상기 분사기 거치대(157)에 정리될 수 있으며, 분사기 거치대(157) 일측에는 상기 레바(153)가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분사기 거치대(157)는 회전형으로 제조되어 상기 연결 호스(151) 및 주입 호스 등의 배치와 정리가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상기 온수 공급기(400)는 온수통(110)과 버너(120), 유입 펌프(130)와 분사 펌프(140) 등을 감싸는 케이스(310), 케이스(310) 일측에 배치되어 온수 공급기(400)의 온수 온도나 버너(120)의 연료 공급량 등의 조절을 수행하는 제어 장치(330), 케이스(310)에 감싸여 있는 온수 공급기(400)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수단(32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온수 공급기(400)는 상기 제어 장치(330)가 안착 및 고정되는 제어 장치 안착부(340)를 마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장치 안착부(340)는 안착되는 제어 장치(330)의 운용을 위한 전원, 상기 유입 펌프(130) 및 상기 분사 펌프(140) 운용을 위한 전원 등을 지원하기 위한 배터리 또는 전원 연결 구성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310)는 상기 온수통(110)과 버너(120), 유입 펌프(130) 및 분사 펌프(140)를 외부의 물리력 등으로부터 보호하고 내부 구조물에 의한 작업자의 안전을 제공하기 위하여 일정한 강성을 가지는 재질 예를 들면 철재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케이스(310)는 고속 해빙기(100)의 미관을 고려하여 일정한 디자인적 요소가 가미될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제품명이나 알림말 등의 글자가 프린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310) 일측에는 유입 펌프(130)로 물을 유입하기 위한 냉수 유입구(131), 분사 펌프(140)에 분사하는 온수 유출구(141)가 외부로 노출되기 위한 공간을 마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310) 일측에는 제어 장치(330)가 마련되는 공간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어 장치(330)는 작업자가 상기 고속 해빙기(100)를 제어하기 위해 필요한 일정한 버튼이나, 스위치, 레바 등이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케이스(310)는 제어 장치(330)가 마련되는 공간이 작업자에게 노출되어 상술한 버튼이나 스위치 등을 작업자가 직접적으로 운용할 수 있도록 디자인될 수 있다.
상기 제어 장치(330)는 본 발명의 고속 해빙기(100)의 온수 공급을 위한 다양한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버튼이나 스위치 등이 다수개가 마련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어 장치(330)는 버너(120) 제어를 위한 제어 모듈, 상기 유입 펌프(130) 제어를 위한 제어 모듈, 상기 분사 펌프(140) 제어를 위한 제어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너(120) 제어를 위한 제어 모듈은 작업자의 버튼 조작이나 스위치 조작에 따라 상기 버너(120)의 점화 시점 및 연료 공급량 등의 조절을 수행하고, 연료 저장량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유입 펌프(130) 제어를 위한 제어 모듈은 작업자의 버튼 조작이나 스위치 조작에 따라 유입 펌프(130)의 동작을 제어하는 모듈이다. 이러한 유입 펌프(130) 제어를 위한 제어 모듈은 유입 펌프(130)의 펌핑을 조절하여 온수통(110)에 공급되는 물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입 펌프(130) 제어를 위한 제어 모듈은 유입 펌프(130)에 의하여 공급되는 물의 공급량이 변화되면 해당 변화 정보를 버너(120) 제어를 위한 제어 모듈에 전달하여 버너(120)의 연료 공급량을 조정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상기 분사 펌프(140) 제어를 위한 제어 모듈은 작업자의 버튼 조작이나 스위치 조작에 따라 분사 펌프(140)의 분사압 조정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사 펌프(140) 제어를 위한 제어 모듈은 분사기(150)에 마련된 레바(153) 조절에 따라 분사기(150)를 통하여 분사되는 온수의 유량이 달라지는 경우 온수의 분사압이 일정한 분사압을 가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제어 장치(330)는 분사기(150)로부터 분사되는 온수의 유량 조절에 따라 상기 분사 펌프(140)의 분사압 조정, 유입 펌프(130)의 물 공급량 조절, 버너(120)의 연료 공급량 조절 등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 장치(330)는 분사기(150)의 온수 분사량을 늘리기 위한 레바(153) 조절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분사 펌프(140)의 사전 설정된 분사압이 유지되도록 펌핑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 장치(330)는 온수 분사량이 달라지는 경우 유입 펌프(130)의 물 공급량을 늘리기 위하여 유입 펌프(130)의 동작을 제어하게 되며, 온수통(110)에 냉수 공급이 늘어나는 경우 버너(120)의 연료 공급량을 늘려서 온수통(110)의 온도가 일정 온도 이상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장치(330)는 상기 온수통(110)의 온도를 특정 온도로 유지하도록 작업자가 설정하는 경우, 버너(120)의 연료 공급량을 조절하여 온수통(110)의 온도를 조절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이동수단(320)은 상기 케이스(310)를 지지하며, 작업자의 작업 유도 방향에 따라 상기 케이스(310)에 의하여 감싸여진 온수 공급기(400)가 이동되도록 지원하는 수단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이동수단(320)은 상기 온수 공급기(400)를 지지하는 일정 형태의 프레임과, 프레임의 적어도 여러 곳에 마련된 바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퀴는 상기 온수 공급기(400)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강성을 가지는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퀴의 일측에는 상기 온수 공급기(400)의 고정 사용을 지원하기 위하여 바퀴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브레이커가 마련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속 해빙기(100)는 크게 분사기(150)와, 분사기(150)를 통하여 분사되는 온수를 공급하는 온수 공급기(400)를 마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고속 해빙기(100)는 온수 공급기(400)가 냉수를 일정 온도의 온수로 가열하는 동안 분사기(150)를 통하여 유출되는 온수 유출량에 따라 분사 펌프(140), 유입 펌프(130), 버너(120) 등을 동시에 제어하도록 지원함으로써, 작업자가 각각의 구성들을 개별적으로 조절하는 불편함 없이 빠른 온수 공급을 결빙 관로(220)에 제공함으로써 해빙 작업을 보다 빠르게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고속 해빙기(100)는 유입 펌프(130)를 통하여 제공된 냉수를 가열관(115)에서 순간 가열하여 분사 펌프(140)를 거쳐 일정한 분사압을 가지며 주입호수 및 노즐(155)을 통하여 온수로서 결빙 관로(220)에 분사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고속 해빙기(100)는 모든 관종 및 관경에 적용가능하며, 이동식이라 어느 현장에서도 손쉽게 운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고속 해빙기(100)는 온수를 직접 관체에 주입하는 방식으로 그 효율성이 매우 높은 특징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몇 가지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들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제시된 권리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균등론에 따라 다양한 변화와 수정을 가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100 : 고속 해빙기 110 : 온수통
111 : 버너 삽입구 113 : 배기구
115 : 가열관 117 : 관통로
120 : 버너 130 : 유입 펌프
131 : 냉수 유입구 140 : 분사 펌프
141 : 온수 유출구 150 : 분사기
151 : 연결 호스 153 : 레바
155 : 주입 호스 및 노즐 157 : 분사기 거치대
210 : 물공급차 220 : 결빙 관로
310 : 케이스 320 : 이동수단
330 : 제어 장치 340 : 제어 장치 안착부
400 : 온수 공급기

Claims (8)

  1. 공급되는 일정량의 연료를 연소시켜 열을 공급하는 버너;
    일측 삽입구에 삽입되는 상기 버너가 공급하는 열을 이용하여 내통에 배치되어 흐르는 물을 가열시키는 온수통;
    상기 온수통의 물 유입을 지원하는 유입 펌프;
    상기 온수통에 의하여 가열된 온수에 분사압을 제공하는 분사 펌프;
    상기 분사 펌프와 연결되어 상기 가열된 일정 온도의 온수를 결빙 관로에 직접적으로 제공하는 분사기;를 포함하며,
    상기 온수통은
    상기 유입 펌프와 상기 분사 펌프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온수통의 내통에 코일형상이며 나선형으로 배치되어 상기 물이 흐르는 통로를 제공하며, 상기 버너가 제공하는 열기에 의하여 가열되는 가열관;
    상기 버너에서 공급되는 불꽃과 열을 온수통 내부로 환원하되, 상기 버너가 배치되는 상기 삽입구를 중심으로 상기 온수통의 배기구 끝단까지 상기 버너에서 방출되는 열기를 전달하는 관통로;를 포함하며,
    상기 온수통과 상기 관통로 사이에 충진되며, 물에 비해서 높은 발화점을 갖는 열매체유가 충진되며,
    상기 관통로는
    상기 버너에서 공급되는 불꽃과 열을 지체시키기 위한 불막이를 적어도 하나포함하거나, 상기 관통로의 내벽 형상이 불꽃과 열을 지체시키기 위한 일정 길이의 돌출부들이 마련된 요철형태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 해빙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너는
    상기 버너의 점화를 위한 점화기;
    상기 버너에 일정량의 연료를 공급하며 상기 온수통의 설정 온도에 따라 공급되는 연료 공급량을 조절하는 연료 공급기;
    상기 연료를 저장하는 연료 저장기;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 해빙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관은
    상기 배기구 쪽 가열관의 직경을 상기 삽입구 쪽 가열관의 직경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 해빙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기는
    상기 분사 펌프에 연결되는 연결 호스;
    상기 연결 호스에 마련되어 온수 유출을 차단 또는 개방하는 레바;
    상기 레바 동작에 따라 상기 온수를 결빙 관로에 직접적으로 분사하는 주입 호스 및 노즐;
    상기 연결 호스와 상기 주입 호스가 정리 배치되며 상기 레바가 일측에 고정되는 분사기 거치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 해빙기.
  5. 제1항에 있어서,
    작업자의 버튼 조작 또는 스위치 조작에 따라 상기 버너의 연료 공급량을 조절하여 상기 온수통의 온수 온도를 조절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장치;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 해빙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기의 온수 분사량 조절에 따라 상기 분사 펌프의 분사압을 조정하며, 상기 온수 분사량 조절에 따라 상기 유입 펌프의 물 공급량을 조정하고, 상기 물 공급량 조정에 따라 상기 온수통이 일정 온도를 가지도록 상기 버너의 연료 공급량을 자동 조절하는 제어 장치;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 해빙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분사기에 마련된 레바의 조절에 따라 상기 분사 펌프, 유입 펌프, 버너의 동작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 해빙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너, 온수통, 유입 펌프, 분사 펌프를 감싸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버너, 온수통, 유입 펌프 및 분사 펌프를 지지함과 아울러 작업자의 요구에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이동수단;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 해빙기.
KR1020100138159A 2010-12-29 2010-12-29 고속 해빙기 KR1012821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8159A KR101282136B1 (ko) 2010-12-29 2010-12-29 고속 해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8159A KR101282136B1 (ko) 2010-12-29 2010-12-29 고속 해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6132A KR20120076132A (ko) 2012-07-09
KR101282136B1 true KR101282136B1 (ko) 2013-07-17

Family

ID=46709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8159A KR101282136B1 (ko) 2010-12-29 2010-12-29 고속 해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213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9745B1 (ko) * 2021-07-16 2023-10-17 에스에이치종합설비 주식회사 온수를 활용한 구조물 배관 해빙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93587A (en) * 1991-05-20 1993-03-16 Miller Jr Floyd Pipe thawing apparatus
KR20000052181A (ko) * 1999-01-30 2000-08-16 전상길 상,하수도용 스팀 해빙기
KR200418556Y1 (ko) * 2006-03-30 2006-06-12 강상규 증기분사기능을 갖는 배관해빙기
KR20100096793A (ko) * 2009-02-25 2010-09-02 박정식 스팀 해빙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93587A (en) * 1991-05-20 1993-03-16 Miller Jr Floyd Pipe thawing apparatus
KR20000052181A (ko) * 1999-01-30 2000-08-16 전상길 상,하수도용 스팀 해빙기
KR200418556Y1 (ko) * 2006-03-30 2006-06-12 강상규 증기분사기능을 갖는 배관해빙기
KR20100096793A (ko) * 2009-02-25 2010-09-02 박정식 스팀 해빙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6132A (ko) 2012-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4544B1 (ko) 중화렌지 열을 이용한 온수발생장치
CN203687333U (zh) 双加热一体式热水器
CN104196656B (zh) 一种工程机械用低温节能系统
CN103743572A (zh) 小型火箭发动机试验台喷淋装置
RU2015154320A (ru) Система аккумулирования энергии
WO2009013781A3 (en) Stratification type heat accumulation system
KR101282136B1 (ko) 고속 해빙기
US20110180019A1 (en) Rapid heating water storage water heater structure
CN204186502U (zh) 工程机械用低温节能系统
JP2006002670A (ja) 液化ガス燃料供給装置の加温システム
CN2921682Y (zh) 储水式气、电两用的中央热水器
CN206670005U (zh) 燃气热水器
CN106194517B (zh) 燃油加热系统
JP3121393U (ja) 蓄熱式電気ボイラーの水供給装置
KR20110006913A (ko) 전기 순간온수기
KR20190069288A (ko) Lpg 직접 분사 연소장치
KR100690278B1 (ko) 이중관 구조를 갖는 온수 및 난방 겸용 보일러
CN204477685U (zh) 液化气的余热循环利用气化装置
KR20130005803U (ko) 휴대용 보일러 및 해빙기, 찜기
CN103215879A (zh) 一种沥青循环洒布装置
RU127175U1 (ru) Электроводонагреватель
JP5247382B2 (ja) 暖房給湯システム、省エネルギー化および温暖化ガス排出量削減方法
CN204345919U (zh) 消防车车载消防用水加热装置
WO2004081463A1 (en) Potable water heating system
KR100759115B1 (ko) 전도체 열 발생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