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1207B1 -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1207B1
KR101281207B1 KR1020110054474A KR20110054474A KR101281207B1 KR 101281207 B1 KR101281207 B1 KR 101281207B1 KR 1020110054474 A KR1020110054474 A KR 1020110054474A KR 20110054474 A KR20110054474 A KR 20110054474A KR 101281207 B1 KR101281207 B1 KR 1012812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b
holder
camera module
opening
screw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44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5645A (ko
Inventor
이세진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544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1207B1/ko
Publication of KR201201356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56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12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12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08Filters for use with infrared or ultraviolet radiation, e.g. for separating visible light from infrared and/or ultraviolet radi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9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for automatic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0Camera modules comprising integrated lens units and imaging uni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e.g. mobile phones or veh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Studio Devices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은 외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된 렌즈부와;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개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렌즈부의 나사부에 대응되는 나사부가 상기 개구 내측벽에 형성되어 있는 홀더와; 상기 개구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이물질을 수집하는 리브(Rib)를 포함하며, 상기 리브의 상측으로 상기 렌즈부가 위치된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 { Camera module }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각종 휴대단말기의 보급이 널리 일반화되고, 무선 인터넷 서비스가 상용화됨에 따라 휴대단말기와 관련된 소비자들의 요구도 다양화되고 있는바, 이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부가장치들이 휴대단말기에 장착되고 있다.
그 중에서 피사체를 사진이나 동영상으로 촬영하여 그 이미지데이터를 저장한 후 필요에 따라 이를 편집 및 전송할 수 있는 대표적인 것이 카메라 모듈이다.
근래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 카메라 폰, PDA, 스마트, 토이(toy)등의 다종다양한 멀티미디어 분야, 나아가서는 감시 카메라나 비디오 테이크 레코더의 정보단말 등의 화상입력기기용으로 소형의 카메라 모듈의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카메라 모듈에 적용되는 센서의 픽셀사이즈가 소형화되고 모듈의 높이가 낮아짐에 따라, 이물질의 유입에 대한 관리와 렌즈 광축의 틸트(tilt)나 시프트(Shift) 등의 카메라 모듈의 기구적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한 마운트 구조의 개발이 매우 중요한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현재, 카메라 모듈의 신뢰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곳은 홀더인데, 홀더는 렌즈 배럴과 센서를 기구적으로 연결해주고 센서를 이물질과 기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렌즈 배럴과 홀더를 체결할 때, 신뢰성에 가장 영향을 미친다.
한편, 렌즈부와 홀더를 체결하기 위해서 나사 결합 방식을 이용하는데, 나사 결합 시 나사산의 마찰로 인해 발생하는 이물질이 홀더 내부로 떨어져 이물질에 의한 불량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렌즈부와 홀더의 나사 결합 시 발생하는 이물질을 리브에서 수집하여 카메라 모듈에서 촬영된 화상에 얼룩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외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된 렌즈부와;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개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렌즈부의 나사부에 대응되는 나사부가 상기 개구 내측벽에 형성되어 있는 홀더와;
상기 개구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이물질을 수집하는 리브(Rib)를 포함하며,
상기 리브의 상측으로 상기 렌즈부가 위치되는 카메라 모듈이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리브에 이물질이 접착되는 접착부가 구비되어 있다.
또, 상기 리브에 홈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홈의 바닥면은 경사져 있다.
더불어, 상기 홈은 V홈이다.
게다가, 상기 리브는 상기 홀더의 개구의 내측면으로부터 연장된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로부터 돌출된 돌출부로 구성된다.
또, 상기 리브는 상기 홀더의 개구의 내측면으로부터 연장된 연장부로 구성되며, 상기 개구와 대향되는 연장부의 전체 표면 또는 일부 표면이 경사져 있다.
그리고, 상기 홀더에 형성되며, 상기 연장부의 표면과 연통되는 이물질 유통로와; 상기 이물질 유통로와 연통되는 수집부를 더 포함한다.
또, 상기 수집부는 상기 홀더 내부 또는 외부에 형성되어 있다.
더불어, 상기 렌즈부와 광정렬되어 있고, 상기 리브의 하측에 위치된 적외선 차단 필터와 이미지 센서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렌즈부와 홀더의 나사 결합 시 나사산의 마찰로 인해 발생하는 이물질이 리브로 낙하되어 수집됨으로써, 이물질이 홀더 내부 및 적외선 차단 필터를 오염시켜 카메라 모듈에서 촬영된 화상에 얼룩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리브의 홈의 바닥면을 경사지게 하여, 낙하되는 이물질이 경사진 바닥면을 따라 홈의 오목한 측으로 수집되어, 이물질이 홈에서 이탈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개략적인 일부 구성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비교예의 개략적인 일부 구성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개략적인 일부 구성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개략적인 일부 구성 단면도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개략적인 일부 구성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개략적인 일부 구성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개략적인 일부 구성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 적외선 차단 필터 및 이미지 센서가 위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개략적인 일부 구성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비교예의 개략적인 일부 구성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외주면에 나사부(110)가 형성된 렌즈부(100)와;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개구(21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렌즈부(100)의 나사부(110)에 대응되는 나사부(220)가 상기 개구(210) 내측벽에 형성되어 있는 홀더(200)와; 상기 개구(210)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이물질(300)을 수집하는 리브(Rib)(2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리브(280)가 구비되어 도 1과 같이, 상기 렌즈부(100)의 나사부(110)과 상기 홀더(200)의 나사부(220)의 마찰로 인하여 발생되는 이물질(300)을 수집할 수 있으나, 상기 리브(280)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도 2와 같은 비교예의 카메라 모듈은 렌즈(10)의 나사부(11)과 상기 홀더(20)의 나사부(21)의 마찰로 발생된 이물질(300)이 상기 홀더(20) 내부(A방향)로 낙하되어 카메라 모듈에서 촬영된 화상에 얼룩이 발생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상기 렌즈부(100)와 상기 홀더(200)의 나사 결합 시 나사산의 마찰로 인해 발생하는 이물질이 상기 리브(280)로 떨어져 상기 리브(280)에 수집됨으로써, 이물질(300)이 상기 홀더(200) 내부 및 적외선 차단 필터를 오염시켜 카메라 모듈에서 촬영된 화상에 얼룩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리브(280)의 상측으로 상기 렌즈부(100)가 위치되고, 상기 리브(280)의 하측으로 적외선 필터(미도시) 및 이미지 센서(미도시)가 위치된다.
상기 리브(280)는 상기 홀더(200)의 상기 개구(210) 내측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개구(210)의 일부를 폐색(閉塞)함으로써, 상기 적외선 필터 및 상기 이미지 센서로 입사되는 광로의 크기를 정의하게 된다.
즉, 상기 렌즈부(100)를 통한 광은 상기 리브(280)의 내측에 형성된 개구를 통하여 상기 적외선 필터 및 상기 이미지 센서로 입사된다.
또, 상기 리브(280)의 하부에 상기 적외선 필터가 장착될 수도 있다.
상기 리브(280)에 수집된 이물질(300)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리브(280)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230)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리브(280)에는 이물질(300)의 수집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접착부(미도시)가 부착될 수 있다.
즉, 낙하된 이물질(300)은 상기 접착부에 접착되어, 외력에 의해서도 이물질(300)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접착부는 접착 영역이 노출된 테이프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부는 후술된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또, 상기 홀더(200)와 상기 리브(280)는 동일 물질로 일체로 사출 성형되어 구현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개략적인 일부 구성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개략적인 일부 구성 단면도이다.
제 1 실시예는 리브(280)의 홈(210)의 바닥면(210a)이 'α ' 각도로 경사져 있는 것이다.
즉, 렌즈부(100)와 홀더(200)의 나사산의 마찰로 인해 발생하는 이물질(300)이 상기 리브(280)의 홈(210)의 바닥면(210a)에 낙하될 때, 상기 경사진 바닥면(210a)에 떨어져서 상기 홈(210)의 오목한 측으로 상기 이물질(300)이 수집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도 4와 같이, 상기 리브(280)는 상기 홀더(200)의 개구(210)의 내측면으로부터 연장된 연장부(211)와 상기 연장부(211)로부터 돌출된 돌출부(212)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장부(211) 및 상기 돌출부(212)는 상기 홀더(200)와 이종 물질 또는 동질 물질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연장부(211)는 상기 돌출부(212)와 이종 물질 또는 동질 물질로 구현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개략적인 일부 구성 단면도이다.
이 제 3 실시예는 리브(280)에 형성된 홈이 V홈으로 구현하는 것이다.
즉, 렌즈부(100)와 홀더(200)의 나사산에서 낙하는 이물질(300)을 V홈의 경사에 의해 V홈 내측에 수집을 수월하게 함과 동시에, V홈의 높이에 의해 이물질(300)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a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브(280)는 홀더(200)의 개구(210)의 내측면으로부터 연장된 연장부(211)로 구성되며, 상기 개구(210)와 대향되는 연장부(211)의 전체 표면(250a)이 경사져 있거나(도 5a), 상기 개구(210)와 대향되는 연장부(211)의 일부 표면(250b)이 경사져 있게 구성할 수 있다.(도 5b)
그러므로, 상기 홀더(200)의 개구(210)의 내측면과 상기 개구(210)와 대향되는 연장부(211)의 경사진 표면들(250a,250b)은 V홈 형상을 이루게 되고, 상기 경사진 표면들(250a,250b)에 떨어진 이물질(300)은 상기 경사진 표면들(250a,250b)의 경사 각도에 의해 V홈의 오목한 정점으로 수집되는 것이다.
또, 도 5c와 같이, 리브(280)는 홀더(200)의 개구(210)의 내측면으로부터 연장된 연장부(211)로 구성되며, 상기 개구(210)와 대향되는 연장부(211)의 표면에는 V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V홈의 오목한 정점(255a)은 렌즈부(100)의 광축(O)과 평행하게 위치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개략적인 일부 구성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개략적인 일부 구성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4와 제 5 실시예는 낙하된 이물질(300)을 수집하는 수집부가 구비된 것이다.
즉, 리브(280)는 홀더(200)의 개구(210)의 내측면으로부터 연장된 연장부(211)로 구성되며, 상기 개구(210)와 대향되는 연장부(211)의 표면(270)은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장부(211)의 표면(270)과 연통되는 이물질 유통로(275)가 홀더(200)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6을 참조하면, 제 4 실시예는 상기 이물질 유통로(275)와 연통되는 수집부(276)가 상기 홀더(200)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고, 제 5 실시예는 도 7과 같이, 상기 이물질 유통로(275)와 연통되는 수집부(277)가 상기 홀더(200) 외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낙하된 이물질(300)은 상기 리브(280)의 연장부(211)의 경사진 표면(270)에 떨어지고, 상기 경사진 표면(270)을 따라 상기 이물질 유통로(275)로 흘러가게 되고, 상기 이물질 유통로(275)에서 빠져나와 상기 수집부(276,277)에 수집되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제 4와 제 5 실시예는 이물질(300)을 수집하는 수집부(276,277)가 별도로 구비되어 있어, 상기 수집부(276,277)에서 이물질(300)이 누출되기 어려워, 이물질(300)이 상기 홀더(200) 내부 및 적외선 차단 필터를 오염시킬 가능성이 지극히 낮아, 카메라 모듈에서 촬영된 화상에 얼룩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카메라 모듈의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 적외선 차단 필터 및 이미지 센서가 위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홀더(200)의 개구(210)에는 적외선 차단 필터(510)와 이미지 센서(520)가 순차적으로 정렬되어 있고,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510)와 이미지 센서(520)는 렌즈부(100)와 광정렬되어 있다.
그러므로, 상기 렌즈부(100)의 나사부(110)과 상기 홀더(200)의 나사부(220)의 마찰로 인하여 발생되는 이물질(300)은 리브(280)에서 수집되어, 이물질(300)이 홀더(200) 내부 및 적외선 차단 필터(510)에 위치되는 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본 발명은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15)

  1. 외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된 렌즈부와;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개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렌즈부의 나사부에 대응되는 나사부가 상기 개구 내측벽에 형성되어 있는 홀더와;
    상기 개구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이물질을 수집하는 리브(Rib)를 포함하며,
    상기 리브의 상측으로 상기 렌즈부가 위치되고, 상기 리브에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홈의 바닥면은 경사져 있는 카메라 모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브에 이물질이 접착되는 접착부가 구비되어 있는 카메라 모듈.
  3. 삭제
  4. 삭제
  5. 외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된 렌즈부와;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개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렌즈부의 나사부에 대응되는 나사부가 상기 개구 내측벽에 형성되어 있는 홀더와;
    상기 개구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이물질을 수집하는 리브(Rib)를 포함하며,
    상기 리브의 상측으로 상기 렌즈부가 위치되고, 상기 리브에 V홈이 형성되어 있는 카메라 모듈.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상기 홀더의 개구의 내측면으로부터 연장된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로부터 돌출된 돌출부로 구성된 카메라 모듈.
  7. 외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된 렌즈부와;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개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렌즈부의 나사부에 대응되는 나사부가 상기 개구 내측벽에 형성되어 있는 홀더와;
    상기 개구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이물질을 수집하는 리브(Rib)를 포함하며,
    상기 리브의 상측으로 상기 렌즈부가 위치되고, 상기 리브는 상기 홀더의 개구의 내측면으로부터 연장된 연장부로 구성되며, 상기 개구와 대향되는 연장부의 전체 표면 또는 일부 표면이 경사져 있는 카메라 모듈.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홀더에 형성되며, 상기 연장부의 표면과 연통되는 이물질 유통로와;
    상기 이물질 유통로와 연통되는 수집부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홀더 내부 또는 외부에 이물질 수집부가 더 형성되어 있는 카메라 모듈.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와 광정렬되어 있는 적외선 차단 필터와 이미지 센서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11. 외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된 렌즈부와;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개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렌즈부의 나사부에 대응되는 나사부가 상기 개구 내측벽에 형성되어 있는 홀더와;
    상기 홀더의 개구의 내측면으로부터 연장된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로부터 돌출된 돌출부로 구성되며,
    상기 연장부의 전체 표면 또는 일부 표면이 경사져 있는 카메라 모듈.
  12. 외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된 렌즈부와;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개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렌즈부의 나사부에 대응되는 나사부가 상기 개구 내측벽에 형성되어 있는 홀더와;
    상기 홀더의 개구의 내측면으로부터 연장된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로부터 돌출된 돌출부로 구성되며,
    상기 연장부에 V홈이 형성되어 있는 카메라 모듈.
  13. 청구항 11 또는 12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 상측으로 상기 렌즈부가 위치되는 카메라모듈.
  14. 청구항 11 또는 12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 상측으로 상기 돌출부가 형성되는 카메라모듈.
  15. 청구항 1,5,7,11,12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와 광정렬되어 있고, 상기 리브에 위치된 적외선 차단 필터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20110054474A 2011-06-07 2011-06-07 카메라 모듈 KR1012812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4474A KR101281207B1 (ko) 2011-06-07 2011-06-07 카메라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4474A KR101281207B1 (ko) 2011-06-07 2011-06-07 카메라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5645A KR20120135645A (ko) 2012-12-17
KR101281207B1 true KR101281207B1 (ko) 2013-07-02

Family

ID=47903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4474A KR101281207B1 (ko) 2011-06-07 2011-06-07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120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5803B1 (ko) * 2013-11-05 2020-08-1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102140794B1 (ko) * 2013-12-09 2020-08-0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102509123B1 (ko) * 2017-05-24 2023-03-1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4908U (ko) * 2007-11-19 2009-05-2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이물질 유입 방지를 위한 카메라 모듈
KR20090055978A (ko) * 2007-11-29 2009-06-03 삼성전기주식회사 이물 유입 방지용 카메라 모듈
JP2009145598A (ja) 2007-12-13 2009-07-02 Sharp Corp 固体撮像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電子機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4908U (ko) * 2007-11-19 2009-05-2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이물질 유입 방지를 위한 카메라 모듈
KR20090055978A (ko) * 2007-11-29 2009-06-03 삼성전기주식회사 이물 유입 방지용 카메라 모듈
JP2009145598A (ja) 2007-12-13 2009-07-02 Sharp Corp 固体撮像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電子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5645A (ko) 2012-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72538B2 (en) Solid-state image pickup device including lens unit held by holding section included in same lens unit, and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same solid-state image pickup device
KR100983045B1 (ko) 카메라 모듈 및 이의 제조방법
US20080309807A1 (en) Solid-state image pickup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same
US7929045B2 (en) Solid-state image pickup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same
US8363148B2 (en) Image capturing device with multiple image capturing modes and electronic device using same
KR101281207B1 (ko) 카메라 모듈
KR102052760B1 (ko) 렌즈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US20080297925A1 (en) Camera module
KR20130041056A (ko) 카메라 모듈
US20080023545A1 (en) Lens module
KR20130076287A (ko) 카메라 모듈
KR20120120419A (ko) 촬상 장치 및 휴대 단말기
KR200467844Y1 (ko) 이물질 유입 방지를 위한 카메라 모듈
US10018328B2 (en) Light emitting module and image surveillance device thereof
US10009531B1 (en) Field of view extender for camera
CN217718535U (zh) 电子设备
KR100966343B1 (ko) 카메라 모듈
KR20110016155A (ko) 카메라 모듈
KR20100113733A (ko) 카메라 모듈
KR20090055978A (ko) 이물 유입 방지용 카메라 모듈
US7365329B2 (en) Method for determining location of infrared-cut filter on substrate
US20120140342A1 (en) Optical Lens Device
US8582027B2 (en) Image pick-up apparatus
CN105704358A (zh) 一种摄像模组底座及其摄像模组
JP2009003058A (ja) カメラモジュール、台座マウント及び撮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