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0374B1 - Air conditioner - Google Patents

Air conditio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0374B1
KR101280374B1 KR1020060091860A KR20060091860A KR101280374B1 KR 101280374 B1 KR101280374 B1 KR 101280374B1 KR 1020060091860 A KR1020060091860 A KR 1020060091860A KR 20060091860 A KR20060091860 A KR 20060091860A KR 101280374 B1 KR101280374 B1 KR 1012803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air conditioner
front panel
clip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186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80026811A (en
Inventor
김강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918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0374B1/en
Publication of KR200800268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681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03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037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실내를 공조시키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와; 상기 디스플레이에 구비되고 상기 본체에 탄성적으로 착탈되는 클립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디스플레이를 본체의 전면부 테두리를 따라 상,하,좌,우 자유롭게 위치 이동시킬 수 있고, 사용자 등이 디스플레이를 손쉽게 위치 이동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in body for air conditioning the room; A display for displaying information of the main body;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clip provided on the display and elastically detachable to the main body, the display can be moved freely up, down, left and right along the front edge of the main body, the user can easily position the display There is an advantage to move.

공기조화기, 본체, 디스플레이, 클립, 연장부, 절곡부 Air Conditioner, Main Unit, Display, Clip, Extension, Bend

Description

공기조화기 {Air conditioner}Air condition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 1 실시예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rst embodiment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 1 실시예의 정면도,2 is a front view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 1 실시예의 종단면도,3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 1 실시예의 횡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 1 실시예의 전면부를 전방으로 열었을 때의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when the fron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pened forward;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클립이 공기조화기에 고정된 상태가 도시된 주요부 단면도,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ssential part showing a state in which a clip illustrated in FIG. 5 is fixed to an air conditioner;

도 7은 도 5에 도시된 클립이 공기조화기와 분리된 상태가 도시된 주요부 단면도,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ssential part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lip illustrated in FIG. 5 is separated from an air conditioner;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 2 실시예의 전면부를 전방으로 열었을 때의 사시도,8 is a perspective view when the fron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pened forward;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클립이 공기조화기에 고정된 상태가 도시된 주요부 단면도,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ssential part showing a state in which a clip shown in FIG. 8 is fixed to an air conditioner;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클립이 공기조화기와 분리된 상태가 도시된 주요부 단면도,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ssential part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lip shown in FIG. 8 is separated from an air conditioner;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 3 실시예의 전면부를 전방으로 열었을 때의 사시도,11 is a perspective view when the fron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pened forward;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클립이 공기조화기에 고정된 상태가 도시된 주요부 단면도,1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ssential part showing a state in which a clip illustrated in FIG. 11 is fixed to an air conditioner;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클립이 공기조화기와 분리된 상태가 도시된 주요부 단면도,1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ssential part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lip shown in FIG. 11 is separated from an air conditioner;

도 14는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사시도,14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15는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정면도이다.15 is a front view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REFERENCE NUMERALS

20: 본체 30: 캐비닛20: main body 30: cabinet

32: 후방 캐비닛 33: 전방 캐비닛32: rear cabinet 33: front cabinet

34: 전면 상부 패널 35: 좌측 흡입 패널34: Front top panel 35: Left suction panel

36: 우측 흡입 패널 41: 송풍기36: right suction panel 41: blower

42: 열교환기 43: 좌측 프리 필터42: heat exchanger 43: left pre-filter

44; 우측 프리 필터 45: 전면 하부 패널44; Right Prefilter 45: Front Lower Panel

45a: 관통홀 60: 전면 패널45a: through hole 60: front panel

62: 전방 글래스 64: 후방 패널62: front glass 64: rear panel

68: 힌지 68a: 브래킷68: hinge 68a: bracket

68b: 관통홀 80: 착탈부68b: through hole 80: detachable portion

82: 걸림홀부 82′: 걸림홈부82: locking hole 82 ': locking groove

84: 전후 돌출부 86: 좌우 돌출부84: front and rear protrusions 86: left and right protrusions

100: 디스플레이 110: 디스플레이 케이싱100: display 110: display casing

112: 개구부 114: 엘시디 피시비 어셈블리112: opening 114 LCD assembly

118: 연성 인쇄 회로 150: 롤러118: flexible printed circuit 150: roller

154: 휠 200: 클립154: wheel 200: clip

210: 연장부 220: 절곡부210: extension portion 220: bend portion

222: 접촉부 224: 삽입부222: contact portion 224: insertion portion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공기조화기의 각종 운전 정보 등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가 상하 또는 좌우 자유롭게 위치 조절되게 하는 클립이 구비된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nditio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ir conditioner having a clip for freely adjusting the display to display various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air conditioner.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사용자에게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압축기, 응축기, 팽창기구, 증발기로 이루어지는 냉매의 냉동사이클을 이용하여 실내를 냉난방 시키거나 공기를 정화시키는 것으로, 크게 분리형과 일체형으로 구분된다.In general, an air conditioner is divided into a separable type and an integral type in which a room is cooled or cleaned by using a refrigerating cycle of a refrigerant composed of a compressor, a condenser, an expansion device, and an evaporator to create a more comfortable indoor environment for the user .

상기한 분리형과 일체형은 기능적으로는 같지만 분리형은 실내기에 냉각/방열 장치를 설치하고 실외기에 방열/냉각 및 압축 장치를 설치하여 서로 분리된 실 내기와 실외기를 냉매 배관으로 연결시킨 것이고, 일체형은 냉각 방열의 기능을 일체화하여 가옥의 벽에 구멍을 뚫거나 창에 장치를 걸어서 직접 설치한 것이다.The separate type and the integrated type are functionally the same, but the separate type connects the indoor unit and the outdoor unit with refrigerant piping by installing a cooling / heating device in an indoor unit and a heat radiating / cooling and compression device in an outdoor unit. It integrates the function of heat dissipation, and installs it by drilling a hole in the wall of the house or hanging the device on the window.

도 14는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사시도이고, 도 15는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정면도이다.14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and FIG. 15 is a front view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종래의 공기조화기는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와, 상기 베이스(1)의 후방부 상측에 배치되고 전면이 개방된 캐비닛(2)과, 상기 베이스(1)의 전방부 상측에 배치되고, 전면 상부에 전면 공기 토출구(4a)가 형성되며, 경사진 양측면부에 좌,우 공기 토출구(4b,4c)가 형성된 전면 상부 패널(4)과, 상기 전면 패널(4)의 전면부와 상기 베이스(1)의 사이에 배치된 전면 하부 패널(5)과, 상기 전면 패널(4)의 좌,우 양측면부와 상기 베이스(1)의 사이에 배치된 좌,우 흡입 그릴(6)(7)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14 and 15, a conventional air conditioner includes a base 1, a cabinet 2 disposed above the rear portion of the base 1 and having a front surface open, and a base of the base 1. The front upper panel 4 is disposed above the front part, and the front air discharge port 4a is formed on the front upper part, and the left and right air discharge ports 4b and 4c are formed on both inclined side surfaces, and the front panel 4 ), The front lower panel 5 disposed between the front portion of the front panel and the base 1, and the left and right suctions disposed between the left and right side portions of the front panel 4 and the base 1, respectively. And grills 6 and 7.

상기 전면 상부 패널(4)에는 상기 전면 공기 토출구(4a)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전방 캐비닛(4)의 전면에 상하 구동 패널(10)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상하 구동 패널(10)의 상승시 전방 캐비닛(4)과 상하 구동 패널(10)의 단차를 해소할 수 있도록 상기 전방 캐비닛(4)의 전면에 전후 구동 패널(12)이 진퇴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좌,우 공기 토출구(4b,4c)를 개폐함과 아울러 좌,우 공기 토출구(4b,4c)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전면 상부 패널(4)의 양측 상부에 좌,우 베인(14,16)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In the front upper panel 4, a vertical driving panel 10 is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ront cabinet 4 so that the front air discharge port 4a can be opened and closed, and the upper and lower driving panels 10 may be lifted up and down. In order to eliminate the step between the front cabinet 4 and the upper and lower drive panel 10 during the lift, the front and rear drive panel 12 is removably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front cabinet 4, and the left and right air outlets ( Left and right vanes 14 and 16 on both sides of the front upper panel 4 so as to open and close 4b and 4c and adjust the wind direction of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left and right air outlets 4b and 4c. This is rotatably mounted.

한편, 상기 공기조화기의 대략 전면부 중앙측인 상기 전면 하부 패널(5)의 상측에는 상기 공기조화기의 운전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17)가 고정 설치된 다.On the other hand, a display 17 for displaying the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air conditioner is fixedly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front lower panel 5, which is substantially the front side of the air conditioner.

상기 디스플레이(17)는 공기조화기의 운전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창(18a)과, 공기조화기를 운전 조작하기 위한 버튼(18b)이 구비된 디스플레이 패널(18)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8)의 표시창(18a) 후방에 설치된 엘이디(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display 17 includes a display panel 18a for displaying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air conditioner, a display panel 18 including a button 18b for driving and operating the air conditioner, and a display window of the display panel 18. It comprises an LED (not shown) installed in the rear (18a).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디스플레이(17)가 공기조화기의 대략 전면부 중앙에 위치 고정되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표시창(18a)이 표시하는 운전 정보를 확인하거나 버튼(18b)을 누르기 위해서 키가 큰 사용자 등은 허리를 구부려야 할 수가 있고, 공기조화기의 주변에 앉은 상태에서 표시창(18a)이 표시하는 운전 정보의 식별이 어렵거나 버튼(18b)에 손이 닿지 않을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ince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is installed so that the display 17 is positioned and fixed in the center of the front part of the air conditioner, the key for confirming the operation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window 18a or pressing the button 18b. A large user may have to bend the waist, and may be difficult to identify driving information displayed by the display window 18a while sitting near the air conditioner or may not reach the button 18b. .

한편, 등록특허공보 10-0402619에는 콘트롤부가 토출 그릴의 양단에 일체로 구비되어 토출 그릴의 승강시 토출 그릴과 함께 실내기의 내부로 입출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가 개시되어 있으나, 상기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미사용시 토출 그릴이 실내기의 내부에 위치되면 콘트롤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되므로, 그 운전 조작이나 정보 표시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0402619 discloses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in which a control unit is integrally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discharge grill and is introduced into the indoor unit together with the discharge grill when the discharge grill is lifted. When the indoor unit is not in use, when the discharge grille is positioned inside the indoor unit, the control unit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us there is a problem that its operation and information display are difficult.

또한, 상기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토출 그릴이 실내기의 저면부를 통해 하측으로 출입되므로, 스텐드형 공기조화기의 경우에는 토출 그릴 및 콘트롤부의 승강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ha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lift and lower the discharge grill and the control unit in the case of the stand-type air conditioner because the discharge grill is passed out through the bottom portion of the indoor unit.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자 등이 디스플레이를 손쉽게 위치 이동시킬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conditioner that can be easily moved by the user and the display.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실내를 공조시키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와; 상기 디스플레이에 구비되고 상기 본체에 탄성적으로 착탈되는 클립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and the main body for air conditioning the room; A display for displaying information of the main body;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clip provided on the display and elastically detachable to the main body.

상기 본체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의 전면에 배치되고 상기 클립이 탄성적으로 착탈되는 전면 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main body includes a cabinet and a front panel disposed on the front of the cabinet and the clip is elastically detachable.

상기 클립은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후방으로 형성된 연장부와, 상기 디스플레이의 배면과 이격되도록 상기 연장부에서 절곡되고 상기 전면 패널의 배면측에 착탈되는 절곡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clip includes an extension formed rearward from the display and a bent portion that is bent at the extension portion to be spaced apart from the back side of the display and detached from the back side of the front panel.

상기 절곡부는 상기 캐비닛과 전면 패널 사이의 틈으로 출입되는 두께로 이루어진다.The bent portion is formed to have a thickness entering and exiting a gap between the cabinet and the front panel.

상기 전면 패널은 배면측에 걸림홀부를 갖는 착탈부의 복수개가 상하 방향 혹은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절곡부에는 상기 착탈부의 걸림홀부에 삽입되어 상,하,좌,우로 걸리는 삽입부가 형성된다.The front panel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detachable portions having a locking hole on the rear side spaced apart in the vertical direction or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nd the bent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engaging hole of the detachable portion to be inserted into the upper, lower, left, right. .

상기 전면 패널은 배면측에 복수개의 걸림홀부가 상하 방향 혹은 좌우 방향 으로 이격되게 형성된 착탈부가 형성되고, 상기 절곡부에는 상기 착탈부의 걸림홀부에 삽입되어 상,하,좌,우로 걸리는 삽입부가 형성된다.The front panel is provided with a detachable part formed with a plurality of engaging holes spaced apart in the vertical direction or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on the rear side, the bent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engaging hole portion of the detachable portion is formed with an insertion portion caught up, down, left, right. .

상기 전면 패널은 배면측에 복수개의 걸림홈부가 상하 방향 혹은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절곡부에는 상기 걸림홈부에 삽입되어 상,하,좌,우로 걸리는 삽입부가 형성된다.The front panel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locking grooves spaced apart in the vertical direction or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on the rear side, the bent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portion is formed with the insertion portion is caught up, down, left, right.

상기 삽입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배면을 향해 볼록하게 라운드지게 형성된다.The insertion portion is formed to be convexly rounded toward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 1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 1 실시예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 1 실시예의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 1 실시예의 횡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rst embodimen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view of a first embodimen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0)에 실내 공기가 본체(20)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 흡입구(23)(24)가 형성됨과 아울러 본체(20)의 내부에서 공조된 공기를 본체(20)의 외부로 토출하는 공기 토출구(25)(26)(27)가 형성되어, 실내의 공기를 흡입한 후 본체(20) 내부에서 공조하여 실내로 토출한다.As shown in FIGS. 1 to 4,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includes air inlets 23 and 24 through which the indoor air is sucked into the main body 20. Air discharge ports 25, 26, and 27 are formed to discharge air that is air-conditioned inside the body 20 to the outside of the body 20. Discharge.

본체(20)는 좌측 하부와 우측 하부와 전면 하부 중 적어도 일측에 공기 흡입구가 형성되고, 좌측 상부와 우측 상부와 전면 상부와 상면부 중 적어도 일측에 공 기 토출구가 형성된다.The main body 20 has an air inlet formed on at least one side of a lower left side, a lower right side, and a front lower side, and an air outlet is formed on at least one side of an upper left side, an upper right side, and an upper front side and an upper surface side.

즉, 본체(20)는 좌측 하부와 우측 하부와 전면 하부 각각에 공기 흡입구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좌측 하부와 우측 하부에만 공기 흡입구가 각각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하 좌측 하부에 좌측 공기 흡입구(23)가 형성되고, 우측 하부에 우측 공기 흡입구(24)가 형성된 것으로 설명한다.That is, the main body 20 may have an air inlet formed in each of the lower left side, the lower right side, and the lower front side, and an air inlet may be formed only in the lower left side and the lower right side, respectively. 23) is formed, and the right air intake port 24 is formed in the lower right.

그리고, 본체(20)는 좌측 상부와 우측 상부와 전면 상부와 상면부에 공기 토출구가 각각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좌측 상부와 우측 상부와 전면 상부에만 공기 토출구가 각각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좌측 상부와 우측 상부와 상면부만 공기 토출구가 각각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좌측 상부와 우측 상부에만 공기 토출구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하, 좌측 상부에 좌측 공기 토출구(25)가 형성되고, 우측 상부에 우측 공기 토출구(26)가 형성되며, 상면부에 상면 공기 토출구(27)가 형성된 것으로 설명한다.In addition, the main body 20 may have air discharge holes formed in the upper left and upper right portions, the front upper part and the upper surface, respectively, and the air discharge holes may be formed only in the upper left and right upper parts and the upper front, respectively, and the upper left part. And the air outlets may be formed only at the upper right and upper surfaces, respectively, and the air outlets may be formed only at the upper left and the upper right. Hereinafter, the left air outlets 25 may be formed at the upper left and the upper right. The right air discharge port 26 is formed, and the upper air discharge port 27 is formed in the upper surface portion.

한편, 본체(20)는 공기 흡입구(23)(24)와 공기 토출구(25)(26)(27)가 형성됨과 아울러 공기조화기의 전면측 이외의 외관을 형성하고, 내부에 공조를 위한 열교환기와 송풍기가 설치된 캐비닛(30)과; 캐비닛(30)의 전면에 배치되어 공기조화기의 전면측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 패널(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On the other hand, the main body 20 has air inlets 23, 24 and air outlets 25, 26, 27, and forms an appearance other than the front side of the air conditioner, and heat exchange for air conditioning therein. A cabinet 30 in which a tile blower is installed;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front panel 60 disposed on the front of the cabinet 30 to form the front side appearance of the air conditioner.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스탠드형 공기조화기로서, 캐비닛(30)은 베이스(31)와, 베이스(31)의 상측에 배치된 후방 캐비닛(32)과, 후방 캐비닛(32)의 전방에 배치된 전방 캐비닛(3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 stand-type air conditioner, the cabinet 30 is in front of the base 31, the rear cabinet 32 disposed above the base 31, the rear cabinet 32 It is comprised including the front cabinet 33 arrange | positioned.

전방 캐비닛(33)은 후방 캐비닛(32)의 전방 상부에 베이스(31)와 이격되게 설치되고 좌,우측에 공기 토출구(25)(26)가 형성되며 상면에 공기 토출구(27)가 형성된 전면 상부 패널(34)과, 베이스(31)와 전면 상부 패널(34)의 좌,우측 사이에 설치되고 공기 흡입구(23)(24)가 형성된 좌,우 흡입 패널(35)(3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front cabinet 33 is installed on the front upper part of the rear cabinet 32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base 31, and air outlets 25 and 26 are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and the front upper part is formed with the air outlets 27 on the upper surface. It includes a panel 34 and left and right suction panels 35 and 36 which are installed betwee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ase 31 and the front upper panel 34 and have air inlets 23 and 24 formed therein. do.

전면 상부 패널(32)에는 좌측 공기 토출구(25)를 개폐함과 아울러 좌측 공기 토출구(25)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좌측 토출 베인(37)과, 우측 공기 토출구(26)를 개폐함과 아울러 우측 공기 토출구(26)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우측 토출 베인(38)과, 상면 공기 토출구(27)를 개폐함과 아울러 상면 공기 토출구(27)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상부 토출 베인(39)이 구비된다.The front upper panel 32 opens and closes the left air outlet 25, and opens and closes the left discharge vane 37 and the right air outlet 26 that control the wind direction of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left air outlet 25. In addition to opening and closing the right discharge vane 38 and the upper air discharge port 27, which controls the wind direction of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right air discharge port 26,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upper air discharge port 27 An upper discharge vane 39 for adjusting the wind direction is provided.

좌측 흡입 패널(35)에는 좌측 공기 흡입구(23)를 개폐하는 좌측 흡입 베인(39)이 구비되고, 우측 흡입 패널(36)에는 우측 공기 흡입구(24)를 개폐하는 우측 흡입 베인(40)이 구비된다.The left intake panel 35 is provided with a left intake vane 39 for opening and closing the left air intake 23, and the right intake panel 36 is provided with a right intake vane 4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right air intake 24. do.

한편, 캐비닛(20)의 내부에는 실내 공기를 공기 흡입구(23)(24)로 흡입하여 캐비닛(20)의 내부를 통과하도록 한 후 공기 토출구(25)(26)를 통해 토출하는 송풍기(41)와, 캐비닛(20) 내부를 통과하는 공기를 가열하거나 냉각시키는 열교환기(42)가 설치된다.On the other hand, the inside of the cabinet 20, the air blower 41 for sucking the indoor air through the air intake port (23, 24) to pass through the interior of the cabinet 20, and then discharges through the air discharge port (25, 26) And a heat exchanger 42 for heating or cooling the air passing through the cabinet 20.

송풍기(41)는 캐비닛(20)의 내측 하부에 설치되는 바, 후방 캐비닛(32)에 장착된 모터(41a)와, 상기 모터(41a)의 회전축에 축설된 송풍팬(41b)과, 내측에 송풍팬(41b)이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고 상면에 공기 토출홀(41c)이 형성된 팬 하우 징(41d)과, 팬 하우징(41d)의 전면에 결합되고 공기 흡입홀(41e)이 형성된 오리피스(41f)로 구성된다.The blower 41 is installed in the inner lower part of the cabinet 20, and includes a motor 41a mounted on the rear cabinet 32, a blower fan 41b built in the rotation shaft of the motor 41a, and an inner side thereof. The fan housing 41d rotatably positioned and the air discharge hole 41c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and the orifice 41f coupl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fan housing 41d and formed with the air suction hole 41e. It is composed of

열교환기(42)는 캐비닛(20)의 내측 상부에 설치된다.The heat exchanger 42 is installed at the upper inside of the cabinet 20.

한편, 좌,우 흡입 패널(35)(36)에는 공기 흡입구(23)(24)로 흡입된 공기를 정화하는 정화수단(43)(44)이 설치되는 바, 정화수단(43)(44)은 공기 중의 이물질을 거르는 좌, 우 프리 필터로 이루어진다.Meanwhile, the left and right suction panels 35 and 36 are provided with purifying means 43 and 44 for purifying the air sucked through the air suction ports 23 and 24, and the purifying means 43 and 44 are provided. Consists of left and right pre-filters that filter out foreign matter from the air.

좌,우 흡입 패널(35)(36)의 각각에는 좌,우 프리 필터(43)(44)가 설치되는 필터 가이드(35a)(36a)가 각각 설치된다.Each of the left and right suction panels 35 and 36 is provided with filter guides 35a and 36a on which the left and right pre-filters 43 and 44 are installed, respectively.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좌,우 프리 필터(43)(44)의 청소를 위해 좌,우 흡입 패널(35)(36)이 후단 혹은 하단을 중심으로 회전되게 배치되어 좌,우 흡입 패널(35)(36)을 옆으로 회전시킨 후 좌,우 프리 필터(43)(44)를 좌,우 흡입 패널(35)(36)에서 상하 혹은 전후로 착탈하는 것도 가능하고, 좌,우 프리 필터(43)(44)를 베이스(31)와 전면 상부 패널(34)와, 좌,우 흡입 패널(35)(36) 사이의 공간을 통해 출입시켜 좌,우 흡입 패널(35)(36)에서 전후로 착탈하는 것도 가능하다.Meanwhile,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disposed to rotate the left and right suction panels 35 and 36 about the rear end or the lower end for cleaning the left and right prefilters 43 and 44. After rotating the suction panels 35 and 36 sideways, the left and right pre-filters 43 and 44 can be detached from the left and right suction panels 35 and 36 up and down or forward and backward. The pre-filters 43 and 44 enter and exit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base 31 and the front upper panel 34 and the left and right suction panels 35 and 36, thereby allowing left and right suction panels 35 and 36 to pass through. It is possible to put on and take off in the back and forth.

또한, 공기조화기는 좌,우 프리 필터(43)(44)에서 먼지를 분리하는 에지테이터와, 에지테이터에 의해 분리된 먼지를 흡인하여 모으거나 공기조화기의 외부로 배출하는 처리기를 포함하여 좌,우 프리 필터(43)(44)를 자동 청소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In addition, the air conditioner includes an edge data separator for separating dust from the left and right pre-filters 43 and 44, and a processor for sucking and collecting dust separated by the edge data or exhausting the dust to the outside of the air conditioner. 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o automatically clean the right pre-filter 43, 44.

한편, 전방 캐비닛(33)은 베이스(31)와 전면 상부 패널(34)과, 좌,우 흡입 패널(35)(36) 사이를 막는 전면 하부 패널(45)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Meanwhile, the front cabinet 33 further includes a base 31, a front upper panel 34, and a front lower panel 45 blocking the left and right suction panels 35 and 36.

여기서, 전면 하부 패널(45)은 베이스(31)와 전면 상부 패널(34)과, 좌,우 흡입 패널(35)(36) 사이의 개구부를 막는 것으로서, 미관이 저해되지 않게 하는 장식 기능을 함과 아울러 통상적인 사용자가 개구부의 후방에 위치한 각종 전장부품을 접하지 못하도록 차폐하는 안정장치 기능을 한다.Here, the front lower panel 45 blocks an opening between the base 31, the front upper panel 34, and the left and right suction panels 35 and 36, and serves as a decorative function to prevent aesthetics from being impaired. In addition, it functions as a stabilizer to shield a typical user from contacting various electrical components located behind the opening.

그리고, 전면 하부 패널(45)은 베이스(31)와 전면 상부 패널(34)과, 좌,우 흡입 패널(35)(36) 중 적어도 하나와 조립되는 바, 케이싱(30)의 내측 하부의 서비스시 베이스(31)와 전면 상부 패널(34)과, 좌,우 흡입패널(35)(36)의 사이인 개구부를 개방함과 아울러 그 분리가 너무 쉽지 않도록 베이스(31)와 전면 상부 패널(34)과, 좌,우 흡입 패널(35)(36) 중 적어도 하나와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front lower panel 45 is assembled with at least one of the base 31, the front upper panel 34, and the left and right suction panels 35 and 36, and the service of the inner lower portion of the casing 30 is performed. The base 31 and the front top panel 34 are opened so that the opening between the sea base 31 and the front top panel 34 and the left and right suction panels 35 and 36 is not easy to separate. ), And at least one of the left and right suction panels 35 and 36 and a fastening member such as a screw.

전면 하부 패널(45)에는 좌,우 흡입 패널(35)(36)을 통해 흡입된 공기를 정화하는 각종 필터(46)(47)(48)가 착탈되는 필터 홀더(50)가 전방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The front lower panel 45 has a filter holder 50 to which various filters 46, 47 and 48 which purify the air sucked through the left and right suction panels 35 and 36 are detachable. Is installed.

여기서, 필터 홀더(50)에 착탈되는 필터(46)(47)(48)는 서로 다른 종류의 필터가 공기를 단계적으로 정화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종류에 한정되지 않으나, 이하 선택적으로 장착하는 황사 필터나 탈취 필터 등의 옵션 필터(46)와, 부직포와 조밀도가 다른 복수개의 폴리 우레탄 등이 조합된 하이브리드 필터(47)와, 먼지를 이온화하여 포집하는 플라즈마 전기 집진 필터(48)로 이루어진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Here, the filters 46 and 47 and 48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filter holder 50 are preferably arranged such that different types of filters are gradually purged with air, and are not limited thereto. An optional filter 46 such as a yellow dust filter or a deodorizing filter, a hybrid filter 47 including a nonwoven fabric and a plurality of polyurethanes having different densities, and a plasma electrostatic filter 48 which ionizes dust and collects them. It demonstrates only what was comprised.

필터 홀더(50)에는 좌,우 공기 흡입구(23)(24)로 흡입된 공기가 필터(46)(47)(48)의 전방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양측면부와 하면부에 개구부(51)(52)(53)가 형성된다.The filter holder 50 has an opening 51 at both side and bottom surfaces thereof so that the air sucked into the left and right air inlets 23 and 24 can flow into the front of the filters 46, 47, and 48. 52) 53 are formed.

그리고, 캐비닛(30)의 내부에는 송풍기(41)의 모터(41a)나 후술하는 디스플레이(100) 등의 각종 전장부품을 제어하는 컨트롤 박스(54)가 설치된다.And inside the cabinet 30, the control box 54 which controls various electrical components, such as the motor 41a of the blower 41, the display 100 mentioned later, is provided.

컨트롤 박스(54)는 전면 하부 패널(45)을 열었을 때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개구부의 후방측에 설치되고, 송풍기(41)의 팬 하우징(41d)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trol box 54 is preferably installed at the rear side of the opening so as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when the front lower panel 45 is opened, and is installed at the fan housing 41d side of the blower 41.

한편, 전면 패널(60)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캐비닛(33)의 전면부 전체를 덮거나 개방하는 일종의 도어로서, 베이스(31)의 하단에서부터 전면 상부 패널(34)의 상단 사이의 높이와 같거나 비슷한 높이로 이루어지고, 좌측 흡입 패널과 우측 패널 사이의 폭과 같거나 비슷한 폭으로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the front panel 60 is a kind of door that covers or opens the entire front portion of the front cabinet 33, as shown in Figures 1 to 4, the front top panel 34 from the bottom of the base 31 It has a height equal to or similar to the height between the top of the, and the width equal to or similar to the width between the left suction panel and the right panel.

전면 패널(60)은 전방 글래스(62)와, 전방 글래스(62)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방 패널(6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front panel 60 includes a front glass 62 and a rear panel 64 disposed behind the front glass 62.

전면 패널(60)은 전방 글래스(62)와 후방 패널(64)의 상,하,좌,우 네 테두리를 사각 프레임 형상의 커버(미도시)로 전후 감싸서 커버가 전방 글래스(62)와 후방 패널(64)을 전,후 겹치게 결합한다.The front panel 60 surrounds the upper, lower, left, and right four edges of the front glass 62 and the rear panel 64 back and forth with a cover of a rectangular frame shape (not shown) so that the front glass 62 and the rear panel are covered. Combine (64) before and after overlap.

전면 패널(60)은 캐비닛(30)에 좌,우 중 일측을 중심으로 전방으로 회전되도록 좌,우 중 일측이 힌지(68)로 캐비닛(30)에 연결된다.The front panel 60 is connected to the cabinet 30 by a hinge 68 on one side of the left and right sides so that the front panel 60 is rotated forward with respect to one side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abinet 30.

전면 패널(60)은 그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함과 아울러 후술하는 클립(200)의 착탈을 위해 캐비닛(30)의 전면과의 사이에 틈(66)을 갖는다.The front panel 60 has a gap 66 betwee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cabinet 30 to allow the rotation of the front panel 60 to be smoothly and the attachment and detachment of the clip 200 to be described later.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00)가 본체(20)에 위치 조절 가능하게 배치된다.Meanwhile,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rranged such that the display 100 is positioned in the main body 20.

여기서, 디스플레이(100)는 본체의 각종 운전 정보를 표시하거나 공기조화기의 각종 운전을 입력하는 일종의 컨트롤부로서, 본체의 운전 정보를 표시하는 엘이디나 엘시디 등의 표시부품(이하, 표시부품이라 칭함)만이 설치되어 표시부의 기능만을 하는 것도 가능하고, 공기조화기의 각종 운전을 입력하는 버튼이나 스위치 등의 입력부품(이하, 입력부품이라 칭함)만이 설치되어 입력부의 기능만을 하는 것도 가능하며, 표시부품(101)과 입력부품(102)이 각각 별도로 구비되거나 표시부품이 터치 스크린 등의 입력부가 설치되어 입력부와 표시부의 기능을 겸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Here, the display 100 is a kind of control unit that displays various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main body or inputs various operations of the air conditioner, and displays a component such as an LED or an LCD for displaying the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main body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display part).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only a function of the display part by installing only the input part, and only an input part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input part) such as a button or a switch for inputting various operations of the air conditioner may be installed to function only as an input part. The component 101 and the input component 102 may be provided separately, or the display component may be provided with an input unit such as a touch screen to serve as an input unit and a display unit.

한편, 디스플레이(100)는 전면 패널(60)의 좌우 혹은 상하로 위치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On the other hand, the display 100 is disposed to be movable in position to the left and right or up and down of the front panel 60.

여기서, 디스플레이(100)는 전면 패널(60)의 중앙측에서 위치 이동되는 것도 가능하고 상,하,좌,우 네 테두리측를 따라 위치 이동되는 것도 가능하다.Here, the display 100 may be moved in the center side of the front panel 60, and may be moved along the top, bottom, left, and right edges.

그리고, 디스플레이(100)는 본체(20)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구동 기구에 의해 자동으로 위치 조절되는 것도 가능하고, 사용자 등에 의해 수동으로 위치 조절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the display 100 may be automatically adjusted by a display driving mechanism installed in the main body 20, or may be manually adjusted by a user or the like.

이하, 디스플레이(100)는 사용자 등에 의해 전면 패널(60)의 좌,우 중 일측을 따라 상하 위치 이동 가능하게 착탈되거나 전면 패널(60)의 상측을 따라 좌우 위치 이동 가능하게 착탈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display 100 is limited to being detachable to be moved up and down along one side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ront panel 60 by a user or the like. do.

그리고, 디스플레이(100)는 사용자 등에 의해 그 높이가 다단으로 조절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display 100 has a structure in which its height can be adjusted in multiple stages by a user or the like.

즉, 디스플레이(100)는 전면 패널(60)의 좌,우측단 중 일측단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드되게 배치되는데, 전면 패널(60)의 좌,우측단 중에서 힌지(68)가 구비된 측단을 따라 상하 이동되게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고, 전면 패널(60)의 좌,우측단 중에서 힌지(68)의 반대편 측단을 따라 상하 이동되게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That is, the display 100 is arranged to slide up and down along one side of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front panel 60, along the side end with the hinge 68 among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front panel 60. It may be arranged to be moved up and down, and may be arranged to be moved up and down along the opposite side end of the hinge 68 among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front panel 60.

여기서, 디스플레이(100)는 전면 패널(60)의 좌,우측단 중에서 힌지(68)가 구비된 측단에 상하 이동되게 배치될 경우, 디스플레이(100)와 캐비닛(30)의 간섭 가능성이 크고, 힌지(68)로 인해 디스플레이(100)의 초기 장착 및 탈거가 용이하지 않게 되는 바, 전면 패널(60)의 좌,우측단 중에서 힌지(68)의 반대편 측단을 따라 상하 이동되게 배치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Here, when the display 100 is arranged to be moved up and down at the left end and the right end of the front panel 60, the hinge 68 is provided, the interference between the display 100 and the cabinet 30 is large, and the hinge Due to the 68, the initial installation and removal of the display 100 may not be easy.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front panel 60 may be disposed to move up and down along the opposite side end of the hinge 68. .

즉, 전면 패널(60)의 대략 좌측에 힌지(68)가 구비될 경우, 디스플레이(100)는 전면 패널(60)의 우측단을 따라 상하 이동되게 배치되고, 전면 패널(60)의 대략 우측에 힌지(68)가 구비될 경우, 디스플레이(100)는 전면 패널(60)의 좌측단을 따라 상하 이동되게 배치된다.That is, when the hinge 68 is provided at approximately the left side of the front panel 60, the display 100 is disposed to move up and down along the right end of the front panel 60, and is disposed at approximately the right side of the front panel 60. When the hinge 68 is provided, the display 100 is disposed to move up and down along the left end of the front panel 60.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 1 실시예의 전면부를 전방으로 열었을 때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클립이 공기조화기에 고정된 상태가 도시된 주요부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5에 도시된 클립이 공기조화기와 분리된 상태가 도시된 주요부 단면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when the front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opened forward,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part is shown the state in which the clip shown in Figure 5 is fixed to the air conditioner, Figure 7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ssential part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lip shown in FIG. 5 is separated from the air conditioner.

도 5에 도시된 공기조화기는, 캐비닛(30)과 전면 패널(60) 중 일측에 힌지(68)의 브래킷(68a)이 형성되고, 타측에 브래킷(68a)이 관통되는 관통홀(68b)이 형성됨과 아울러 브래킷(68a)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부(미도시)가 형성된다. In the air conditioner illustrated in FIG. 5, a bracket 68a of the hinge 68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cabinet 30 and the front panel 60, and a through hole 68b through which the bracket 68a is passed at the other side thereof. In addition, a support portion (not shown) to which the bracket 68a is rotatably supported is formed.

그리고, 전방 캐비닛(33)에는 디스플레이(100)와 같이 캐비닛(30)의 외부에 설치되는 전장부품이 전면 하부 패널(45)의 후방에 위치하는 컨트롤 박스(54)와 전선이나 케이블나 연성 인쇄 회로(Flexible Printed Circuit: FPC) 등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관통홀(45a)이 형성된다.In addition, the front cabinet 33 has a control box 54 and a wire, a cable, or a flexible printed circuit in which electrical components installed outside the cabinet 30, such as the display 100, are located behind the front lower panel 45. A through hole 45a is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FPC).

즉, 전면 상부 패널(34)과 전면 하부 패널(45)과 필터 홀더(50)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전선이나 케이블이나 연성 인쇄 회로(Flexible Printed Circuit: FPC) 등이 관통되는 관통홀(45a)이 전후 방향으로 개구되게 형성된다.That is, at least one of the front upper panel 34, the front lower panel 45, and the filter holder 50 has a through hole 45a through which an electric wire, a cable, a flexible printed circuit (FPC), and the like pass. It is formed to open in the direction.

한편, 디스플레이(100)는 그 외관을 형성하는 디스플레이 케이싱(110)이 전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의 리어 케이싱(110a)과, 상기 리어 케이싱(110a)의 전면을 덮고 개구부(112)가 형성된 프론트 커버(110b)로 이루어진다.Meanwhile, the display 100 includes a box-shaped rear casing 110a having an open front surface and a front cover having an opening 112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rear casing 110a. 110b.

그리고, 디스플레이 케이싱(110)은 디스플레이(100)가 전면 패널(60)에 설치되었을 때, 전면 패널(60)의 전방측에 위치되게 배치되는 것으로서, 전면부에 표시 창과 버튼이 각각 구비됨과 아울러 내부에 표시창을 통해 공기조화기의 각종 운전 정보를 표시하는 엘이디 어셈블리나 엘시디 어셈블리 등의 표시부품과 버튼에 의해 스위칭되는 스위치 등의 입력 부품이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고, 전면부에 개구부(112)가 형성되됨과 아울러 공기조화기의 운전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이 구비된 엘시디 피시비 어셈블리(114)가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하 터치 스크린이 구비된 엘시디 피시비 어셈블리(114)가 설치된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In addition, when the display 100 is installed at the front panel 60, the display casing 110 is disposed to be located at the front side of the front panel 60. Display parts such as an LED assembly or an LCD assembly for displaying various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air conditioner through the display window and an input part such as a switch switched by a button may be installed on the display window, and an opening 112 is formed in the front portion. In addition, it is also possible to install the LCD PCB assembly 114 having a touch screen for inputting the operation command of the air conditioner,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limited to the LCD PCB assembly 114 is provided with a touch screen. .

디스플레이(100)는 엘시디 피시비 어셈블리(114)에 연결되는 연성 인쇄 회로 (118)가 디스플레이 케이싱(110)의 외부로 연장된다.The display 100 has a flexible printed circuit 118 connected to the LCD PCB assembly 114 and extends out of the display casing 110.

연성 인쇄 회로(118)는 일부가 후술하는 클립(200)에 테잎이나 걸이구에 의해 고정되고, 전면 상부 패널(34)과 전면 하부 패널(45)과 필터 홀더(50) 중 일측에 형성된 관통홀(45a)을 관통하여 컨트롤 박스(54)에 연결된다.The flexible printed circuit 118 is fixed to the clip 200 to be described later by a tape or a hook, and a through hole formed at one side of the front upper panel 34, the front lower panel 45, and the filter holder 50. It is connected to the control box 54 through 45a.

디스플레이(100)는 그 위치 이동을 위한 조작시, 디스플레이 케이싱(110)이 전면 패널(60)의 전면을 따라 용이하게 슬라이드되도록 디스플레이 케이싱(110)의 배면에 설치된 롤러(150)를 더 포함한다.The display 100 further includes a roller 150 install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casing 110 such that the display casing 110 slides easily along the front surface of the front panel 60 when the display 100 is operated to move its position.

롤러(150)는 디스플레이 케이싱(110)의 배면에 좌우 방향으로 배치된 지지구(152)와, 지지구(15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휠(15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roller 150 includes a support 152 dispos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on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casing 110 and a wheel 154 rotatably connected to the support 152.

휠(154)에는 지지구(152)의 일부가 삽입되는 지지구 홀이 좌우 방향으로 개구되게 형성된다.The wheel 154 is formed such that a support hole in which a portion of the support 152 is inserted is open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롤러(150)는 디스플레이 케이싱(110)의 배면에 좌우 혹은 상하 이격되어 복 수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rollers 150 may be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casing 110 in a plurality of spaced apart from left and right or up and down.

한편, 디스플레이(100)에는 디스플레이(100)를 본체(20)의 전면측에 탄성적으로 착탈시키는 클립(200)이 구비된다.On the other hand, the display 100 is provided with a clip 200 for detachably attaching the display 100 to the front side of the main body 20.

클립(200)은 캐비닛(30)과 전면 패널(60) 중에서 전면 패널(60)에 착탈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전면 패널(60)의 상,하,좌,우 네 테두리 중 좌측단과 우측단 중 하나를 따라 상하 위치 조절 가능하게 착탈되는 것도 가능하고, 상측단과 하측단 중 하나를 따라 좌우 위치 조절 가능하게 착탈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하, 전면 패널(60)의 좌측단 또는 우측단을 따라 상하 위치 조절되게 착탈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Clip 200 is preferably detachable from the cabinet 30 and the front panel 60 to the front panel 60, in particular, the left and right of the upper, lower, left, right four edges of the front panel 60. It is also possible to be detachable to adjust the position up and down along one, it is also possible to be detachable to adjust the left and right position along one of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below, the upper and lower positions along the left end or the right end of the front panel 60 The description will be limited to being detached and controlled.

클립(200)은 디스플레이 케이싱(110)의 배면 또는 측면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디스플레이 케이싱(110)과 별도로 형성된 후 디스플레이 케이싱(110)에 형성된 끼움부에 일부가 삽입되어 끼움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clip 20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back or side portion of the display casing 110, or may be separately inserted into the fitting portion formed in the display casing 110 after being formed separately from the display casing 110. Do.

클립(200)은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케이싱(110)에서 후방으로 돌출 형성된 연장부(210)와, 연장부(210)에서 디스플레이 케이싱(110)의 배면과 이격되도록 연장되고 전면 패널(60)의 배면측에 탄성적으로 접촉되는 절곡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5 to 7, the clip 200 extends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casing 110 in the extension 210 protruding rearward from the display casing 110. And a bent portion 220 elastically contacting the rear side of the front panel 60.

클립(200)은 연장부(210)와 절곡부(220)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절곡부(220)의 탄성 변형시 연장부(210)가 일부 변형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Clip 200 is preferably formed integrally with the extension portion 210 and the bent portion 220, it is preferable that the extension portion 210 is formed to be partially deformed during elastic deformation of the bent portion 220.

한편, 디스플레이(100)는 전면 패널(60)이 캐비닛(30)의 전방에서 회전되어 전면부를 노출시킨 상태에서 전면 패널(60)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고, 전면 패널(60)이 캐비닛(30)의 전면부를 덮는 상태에서 전면 패널(60)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the display 100 may be installed in the front panel 60 while the front panel 60 is rotated in front of the cabinet 30 to expose the front portion, the front panel 60 is the cabinet 30 It is also possible to be installed on the front panel 60 while covering the front portion of the.

클립(200)은 전면 패널(60)이 캐비닛(30)의 전면부를 덮는 상태에서 전면 패널(60)에 설치될 경우, 절곡부(220)가 전면 패널(60)과 캐비닛(30) 사이의 틈(66)으로 출입되고 틈(66) 내에서 탄성 변형될 수 있도록 그 전체적인 두께(W1) 및 탄성 변형시의 변형 폭(W2)이 틈(66)의 폭(W3) 보다 작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clip 200 is installed on the front panel 60 while the front panel 60 covers the front portion of the cabinet 30, the bent portion 220 is a gap between the front panel 60 and the cabinet 30. It is preferable that the overall thickness W1 and the deformation width W2 at the time of elastic deformation are made smaller than the width W3 of the gap 66 so that it can enter and exit at 66 and elastically deform within the gap 66.

한편, 전면 패널(60)에는 클립(200)이 접촉됨과 아울러 걸림되는 착탈부(80)가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front panel 60 is formed with a detachable portion 80 that is in contact with the clip 200 is also engaged.

착탈부(80)는 힌지(68)의 브래킷(68a)이 전면 패널(60)의 대략 좌측에 형성될 경우 전면 패널(60)의 우측단에 가깝게 형성되고, 힌지(68)의 브래킷(68a)이 전면 패널(60)의 대략 우측에 형성될 경우 전면 패널(60)의 좌측단에 가깝게 형성된다. The detachable portion 80 is formed to be close to the right end of the front panel 60 when the bracket 68a of the hinge 68 is formed approximately on the left side of the front panel 60, and the bracket 68a of the hinge 68. When formed on the right side of the front panel 60 is formed close to the left end of the front panel 60.

여기서, 착탈부(80)는 전면 패널(60)의 후방 패널(64)에서 후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클립(200)의 일부가 상,하,좌,우로 걸리게 형성된 걸림홀부(82)를 갖는다.Here, the detachable portion 80 has a locking hole 82 formed to protrude rearward from the rear panel 64 of the front panel 60 and a part of the clip 200 to be caught up, down, left and right.

착탈부(80)는 전면 패널(60)의 후방 패널(64)의 배면에서 후방으로 돌출된 전후 돌출부(84)와, 상기 전후 돌출부(84)의 후단에서 좌우방향으로 돌출되고 걸림홀부(82)가 전후 방향으로 개구되게 형성된 좌우 돌출부(86)로 이루어진다.The detachable portion 80 protrudes rearward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rear panel 64 of the front panel 60, and protrudes from the rear end of the front and rear protrusions 84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nd engages the locking hole 82. Is composed of left and right protrusions 86 formed to be open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즉, 착탈부(80)는 전면 패널(60)의 후방 패널(64)의 배면에 단면 형상이 대 략 ‘ㄱ’형상으로 돌출된다.That is, the detachable portion 80 protrudes in a 'b' shape on the rear surface of the rear panel 64 of the front panel 60.

한편, 착탈부(80)는 전면 패널(60)의 후방 패널(64)에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게 복수개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detachable portion 80 is formed in a plurality of spaced apart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rear panel 64 of the front panel 60.

, 이하 복수개의 착탈부(80a)(80b)(80c)(80d)가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된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a limited number of detachable parts 80a, 80b, 80c, 80d formed to be spaced apart in the vertical direction.

여기서, 복수개의 착탈부(80a)(80b)(80c)(80d)는 그 사이로 클립(200)의 절곡부(220)가 삽입되어 걸리지 않도록 절곡부(220)의 높이(H1)보다 작은 간격(H2)으로 상하 이격되게 형성된다.Here, the plurality of detachable parts 80a, 80b, 80c, and 80d may have a spacing smaller than the height H1 of the bent part 220 so that the bent part 220 of the clip 200 is not inserted therebetween. H2)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vertically.

한편, 공기조화기는 복수개의 착탈부(80)의 전체 높이에 따라 디스플레이(100)의 최대 높이 조절 폭이 결정되므로, 복수개의 착탈부(80)가 최대한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걸림홀부(82)의 개수 즉, 착탈부(80)의 개수에 따라 높이 조절 단수가 결정되므로, 걸림홀부(82)의 개수가 많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since the maximum height adjustment width of the display 100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overall height of the plurality of detachable parts 80, the air conditioner preferably has a plurality of detachable parts 80 formed as long as possible, and the locking hole part 82 is provided. Since the number of height adjustment stages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that is, the number of the detachable parts 80, it is preferable that the number of the engaging holes 82 is large.

그리고, 디스플레이(100)는 디스플레이 케이싱(110)측과 절곡부(220) 측이 전면 패널(60)의 전후에 각각 위치하면서 절곡부(220)의 탄성력에 의해 전면 패널(60)에 고정되는 바, 연장부(210)는 전면 패널(60)의 두께 보다 길게 후방으로 돌출되고, 절곡부(220)는 디스플레이 케이싱(110)의 후방측에 디스플레이 케이싱(110)과 대략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된다.In addition, the display 100 is fixed to the front panel 60 by the elastic force of the bent portion 220 while the display casing 110 side and the bent portion 220 side are positioned before and after the front panel 60, respectively. The extension part 210 protrudes rearward longer than the thickness of the front panel 60, and the bent part 220 is formed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display casing 110 at the rear side of the display casing 110.

절곡부(220)는 적어도 일부분(222)(224)이 전방으로 향해 볼록하게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바, 착탈부(80)의 좌우 돌출부(86)에 접촉되는 접촉부(222)가 라운드 지게 형성되고, 착탈부(80)의 걸림홀부(82)에 삽입되어 걸림홀부(82)에 상,하,좌,우로 걸리는 삽입부(224)가 라운드지게 형성된다.The at least one bent portion 220 is formed to be rounded convexly toward at least a portion 222 and 224, and the contact portion 222 contacting the left and right protrusions 86 of the detachable portion 80 is rounded, The insertion part 224, which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hole 82 of the detachable part 80 and is caught up and down, left and right, is formed to be rounded in the locking hole 82.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클립(200)을 디스플레이 케이싱(110)에 대해 벌어지는 형상으로 휘게 하면서 디스플레이 케이싱(110)을 전면 패널(60)의 전방측에 위치시키고 클립(200)의 일부인 절곡부(220)를 전면 패널(60)의 후방에 위치시키면, 디스플레이(100)가 전면 패널(80)의 일측 테두리의 전방과 측방과 후방에 걸쳐 위치된다.First, the display casing 110 is positioned at the front side of the front panel 60 while the clip 200 is bent in a shape that is unfolded with respect to the display casing 110, and the bent portion 220, which is a part of the clip 200, is placed on the front panel. When positioned behind the 60, the display 100 is positioned over the front, side, and rear of one edge of the front panel 80.

그리고, 클립(200)의 삽입부(224)를 복수개의 착탈부(80) 중 하나(80a)의 후방에 위치시킨 후 클립(200)에 가했던 힘을 제거하면, 즉 클립(200)을 더 이상 휘게 하지 않으면, 클립(200)은 탄성력에 의해 절곡부(220)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케이싱(110)을 향해 오무라드는 형상으로 복원되고, 클립(200)의 삽입부(224)는 복수개의 착탈부(80) 중 하나(80a)의 걸림홀부(82)로 삽입되어 상,하,좌,우로 걸린다.Then, if the insertion part 224 of the clip 200 is positioned behind one of the plurality of detachable parts 80, and then the force applied to the clip 200 is removed, that is, the clip 200 is further removed. If it is not bent over, the clip 200 is restored to the shape where the bent portion 220 is moved toward the display casing 110 by the elastic force, as shown in FIG. 11, and the insertion portion of the clip 200 ( 224 is inserted into the engaging hole 82 of one (80a) of the plurality of detachable portion 80 is caught up, down, left, right.

이때, 디스플레이(100)는 클립(200)의 탄성력에 의해 롤러(150)가 전면 패널(60)의 전면에 접촉된다.In this case, in the display 100, the roller 150 contacts the front surface of the front panel 60 by the elastic force of the clip 200.

즉, 디스플레이(100)는 클립(200)의 절곡부(220)가 전면 패널(60)의 배면측에 걸린 상태에서, 클립(200)의 절곡부(220)와 디스플레이 케이싱(110)이 전면 패널(60)에 탄성적으로 압착되어 전면 패널(60)에 고정된다.That is, in the display 100, the bent portion 220 of the clip 200 is caught by the rear side of the front panel 60, and the bent portion 220 and the display casing 110 of the clip 200 are placed on the front panel. It is elastically compressed to 60 and fixed to the front panel 60.

이후, 클립(200)을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케이싱(110)에 대해 벌어지는 형상으로 휘게 하면, 클립(200)은 절곡부(220)의 삽입부(224)가 상,하,좌,우로 걸려있던 착탈부(80a)의 걸림홀부(82)에서 빠져나와 착탈부(80)에 걸리지 않게 되고, 디스플레이(100)는 상하 방향의 위치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Thereafter, as shown in FIG. 12, when the clip 200 is bent in a shape that is opened with respect to the display casing 110, the clip 200 has an insertion portion 224 of the bent portion 220. , It escapes from the catching hole portion 82 of the detachable portion 80a that is hanging to the right and is not caught by the detachable portion 80, and the display 100 can m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와 같이 클립(200)을 전면 패널(60)에 걸지 않은 상태에서 디스플레이(100)를 상측 또는 하측으로 상하 이동시키면, 클립(200)의 절곡부(220)는 복수개의 착탈부(80a)(80b)(80c)(80d)의 후방 위치에서 상측 또는 하측으로 위치 이동되고, 이때 롤러(150)는 휠(154)이 전면 패널(60)의 전면을 따라 구르면서 디스플레이(100)가 안정감 있게 하강되게 돕는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display 100 is moved up or down in the state in which the clip 200 is not hooked on the front panel 60, the bent portion 220 of the clip 20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detachable portions 80a ( 80b) 80c (80d) is moved from the rear position to the upper or lower position, wherein the roller 150 is lowered to the display 100 stable while the wheel 154 rolls along the front of the front panel 60. Help me very much.

디스플레이(100)가 상측 또는 하측으로 위치 이동되어, 클립(200)의 절곡부(220)가 다른 착탈부(80d)의 후방에 위치된 상태에서 클립(200)에 가했던 힘을 제거하면, 즉 클립(200)을 더 이상 휘게 하지 않으면, 클립(200)은 탄성력에 의해 절곡부(220)가 디스플레이 케이싱(110)을 향해 오무라드는 형상으로 복원되고, 클립(200)의 삽입부(224)는 복수개의 착탈부(80) 중 다른 하나(80d)의 걸림홀부(82)로 삽입되어 상,하,좌,우로 걸린다.If the display 100 is moved upward or downward to remove the force applied to the clip 200 while the bent portion 220 of the clip 200 is positioned behind the other detachable portion 80d, that is, When the clip 200 is no longer bent, the clip 200 is restored to a shape in which the bent portion 220 is moved toward the display casing 110 by the elastic force, and the insertion portion 224 of the clip 200 is restored. Is inserted into the engaging hole 82 of the other one (80d) of the plurality of removable portion 80 is caught up, down, left, right.

즉, 디스플레이(100)는 그 높이가 조절된 상태에서 클립(200)의 절곡부(220)와 디스플레이 케이싱(110)이 전면 패널(60)에 탄성적으로 압착되어 전면 패널(60)에 고정된다.That is, in the display 100, the bent portion 220 and the display casing 110 of the clip 200 are elastically compressed to the front panel 60 while the height thereof is adjusted to be fixed to the front panel 60. .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 2 실시예의 전면부를 전방으로 열었을 때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클립이 공기조화기에 고정된 상태가 도시된 주요부 단면도이며,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클립이 공기조화기와 분리된 상태가 도시된 주요부 단면도이다.FIG. 8 is a perspective view when the front part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opened forward,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ssential part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lip shown in FIG. 8 is fixed to the air conditioner, and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ssential part showing a state where the clip illustrated in FIG. 8 is separated from the air conditioner.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패널(60)에 클립(200)이 높이 조절 가능하게 착탈되는 착탈부(80′)가 하나 형성된다.As shown in FIGS. 8 to 10,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detachable part 80 ′ in which the clip 200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front panel 60.

착탈부(80′)는 전면 패널(60)은 후방 패널(64) 배면에 후방으로 돌출되고,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The detachable part 80 ′ protrudes rearward from the rear panel 64 back and is formed long in the vertical direction.

착탈부(80′)에는 클립(200)의 삽입부(224)가 삽입되어 상,하,좌,우로 걸리는 걸림홀부(82)가 복수개가 형성되는 바, 복수개의 걸림홀부(82a)(82b)(82c)(82d)는 좌우 돌출부(86)에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된다.The insertion part 224 of the clip 200 is inserted into the detachable part 80 ′, and thus a plurality of locking hole parts 82, which are caught up, down, left, and right are formed, and thus a plurality of locking hole parts 82a and 82b are provided. 82c and 82d are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protrusions 86 to be spaced apart in the vertical direction.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클립(200)의 절곡부(220)를 착탈부(80′)의 좌우 돌출부(86) 배면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클립(200)의 삽입부(224)를 복수개의 걸림홀부(82a)(82b)(82c)(82d) 중 하나에 삽입시키면, 클립(200)의 절곡부(220)가 전면 패널(60)의 배면측에 걸린 상태에서, 클립(200)의 절곡부(220)와 디스플레이 케이싱(110)이 전면 패널(60)에 탄성적으로 압착되어 전면 패널(60)에 고정된다.In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insertion portion 224 of the clip 200 is moved in a state in which the bent portion 220 of the clip 200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rear and left and right protrusions 86 of the detachable portion 80 '. When inserted into one of the plurality of engaging holes 82a, 82b, 82c, and 82d, the clip 200 in a state where the bent portion 220 of the clip 200 is caught on the back side of the front panel 60. The bent portion 220 and the display casing 110 are elastically compressed to the front panel 60 and fixed to the front panel 60.

디스플레이(100)의 높이를 높이고자 할 경우, 클립(200)의 절곡부(220)을 디스플레이 케이싱(110)에 대해 조금 벌어지게 하면서 상측으로 이동시키면, 클립(200)은 절곡부(220)의 삽입부(224)가 상,하,좌,우로 걸려있던 걸림홀부(82b)에서 빠져나와 상측에 위치하는 다른 걸림홀부(82a)에 삽입되어 걸리고, 디스플레 이(100)는 그 높이가 높아진다.In order to increase the height of the display 100, if the bent portion 220 of the clip 200 is moved upward while opening a little with respect to the display casing 110, the clip 200 is formed of the bent portion 220. The insertion part 224 is pulled out of the locking hole 82b held up, down, left, and right, and is inserted into and caught in another locking hole 82a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and the display 100 is increased in height.

반대로, 디스플레이(100)의 높이를 낮추고자 할 경우, 클립(200)의 절곡부(220)를 디스플레이 케이싱(110)에 대해 조금 벌어지게 하면서 하측으로 이동시키면, 클립(200)은 절곡부(220)의 삽입부(224)가 상,하,좌,우로 걸려있던 걸림홀부(82b)에서 빠져나와 하측에 위치하는 다른 걸림홀부(82c)에 삽입되어 걸리고, 디스플레이(100)는 그 높이가 낮아진다.On the contrary, when the height of the display 100 is to be lowered, when the bent portion 220 of the clip 200 is moved downward while opening slightly with respect to the display casing 110, the clip 200 is bent portion 220. The insertion portion 224 of the) exits from the locking hole portion 82b held up, down, left, and right, and is inserted into and caught by another locking hole portion 82c positioned below, and the display 100 is lowered in height.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 3 실시예의 전면부를 전방으로 열었을 때의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클립이 공기조화기에 고정된 상태가 도시된 주요부 단면도이며,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클립이 공기조화기와 분리된 상태가 도시된 주요부 단면도이다.FIG. 11 is a perspective view when the front part of the third embodimen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opened forward, FIG. 1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ain part of the clip shown in FIG. 11 is a sectional view of an essential part showing a state in which a clip shown in FIG. 11 is separated from an air conditioner.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패널(60)의 자체에 클립(200)의 일부(224)가 상,하,좌,우로 걸리게 형성된 걸림홈부(82′)가 형성되고, 기타의 구성은 본 발명 제 1 실시예 또는 제 2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호를 사용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As shown in FIGS. 11 to 13,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includes a locking groove 82 formed so that a part 224 of the clip 200 is caught up, down, left, or right in the front panel 60 itself. ′) Is formed, and the rest of the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or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전면 패널(60)은 후방 패널(64)에 복수개의 걸림홈부(82a′)(82b′)(82c′)(82d′)가 일정 간격으로 상하 이격되게 형성된다.The front panel 60 is formed in the rear panel 64 such that the plurality of locking grooves 82a ', 82b', 82c 'and 82d' are spaced up and down at regular intervals.

한편,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착탈부(80)가 전면 패널(60)의 배면 상부에 좌우로 형성되어, 디스플레이(100)가 전면 패널(60)의 상부 테두리를 따라 좌우로 위치 이동되는 것도 가능하고, 전면 패널(60)의 배면에는 클립(200)이 착탈되기 위한 별도의 착탈부나 걸림홈부가 형성되지 않으며, 클립(200)이 전면 패널(60)의 배면 자체에 강한 탄성으로 미끄러지지 않게 접촉되는 것도 가능하고,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적 범주 내에서 그 다양한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the removable portion 80 is formed left and right on the upper back of the front panel 60, the display 100 along the upper edge of the front panel 60 It is also possible to move from side to side, the rear of the front panel 60 is not formed a separate detachable portion or the engaging groove for detaching the clip 200, the clip 200 on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panel 60 itself It is also possible to contact with non-slip with a strong elasticity, and of course, various implement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technical scop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디스플레이에 본체와 탄성적으로 착탈되는 클립이 구비되어, 디스플레이를 본체의 전면부 테두리를 따라 상,하,좌,우 자유롭게 위치 이동시킬 수 있고, 사용자 등이 디스플레이를 손쉽게 위치 이동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air conditioner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provided with a clip that is elastically detachable from the main body on the display, and can move the display freely up, down, left, right along the front edge of the main body, and the like. The advantage is that this display can be easily mov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디스플레이가 본체의 전면측 색상이나 본체의 전면에 부착된 사진이나 공기조화기 주변의 인테리어와 조화되게 상,하,좌,우 자유롭게 위치 이동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 display can be moved freely up, down, left, right in accordance with the interior color of the front side of the main body, the photo attached to the front of the main body or the interior of the air conditioner. .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클립을 디스플레이에 대해 벌어지는 방향으로 휘게 하여 본체의 상,하,좌,우 중 한 방향으로 잡아당기면 디스플레이가 본체에서 손쉽게 분리되므로, 디스플레이의 서비스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ends the clip in a direction that is open to the display, and pulls it in one of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main body, so that the display is easily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so that the display can be easily serviced. hav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본체가 캐비닛과 캐비닛의 전방에 배치되는 전면 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클립이 디스플레이에서 후방으로 돌출 형성된 연장부와 디스플레이의 배면과 이격되도록 연장부에서 연장되고 전면 패널의 배 면측에 걸림/분리되는 절곡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클립이 탄성부재의 기능과 걸이부재의 기능을 겸하므로, 구조가 간단한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include a cabinet and a front panel disposed in front of the cabinet, the extension extending from the front and the extension so that the clip is spaced apart from the back of the display and the extension protruding rearward from the display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bent portion that is latched / separated on the back side of the panel, the clip has the function of the elastic member and the function of the hook member, the structure has a simple advantag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클립의 절곡부가 캐비닛과 전면 패널 사이의 틈으로 출입되는 두께로 이루어져, 전면 패널을 캐비닛에서 분리하거나 캐비닛의 전방으로 회전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를 손쉽게 착탈하거나 그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thickness in which the bent portion of the clip enters and exits the gap between the cabinet and the front panel, so that the display is easily detached from the cabinet or not rotated toward the front of the cabinet.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height can be adjusted.

Claims (8)

삭제delete 삭제delete 실내를 공조시키는 본체와;A main body for air conditioning the room; 상기 본체의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와;A display for displaying information of the main body; 상기 디스플레이에 구비되고 상기 본체에 탄성적으로 착탈되는 클립을 포함하고,Includes a clip provided on the display and elastically detachable to the main body, 상기 본체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의 전면에 배치되고 상기 클립이 탄성적으로 착탈되는 전면 패널을 포함하며, The main body includes a cabinet and a front panel disposed on the front of the cabinet and the clip is elastically detachable, 상기 클립은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후방으로 형성된 연장부와, 상기 디스플레이의 배면과 이격되도록 상기 연장부에서 절곡되고 상기 전면 패널의 배면측에 착탈되는 절곡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And the clip includes an extension part formed rearward from the display and a bent part bent from the extension part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and detachable from the back side of the front panel.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절곡부는 상기 캐비닛과 전면 패널 사이의 틈으로 출입되는 두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The bent portion is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a thickness that enters into the gap between the cabinet and the front panel.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전면 패널은 배면측에 걸림홀부를 갖는 착탈부의 복수개가 상하 방향 혹은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되고,The front panel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detachable parts having a locking hole on the rear side spaced apart in the vertical direction or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상기 절곡부에는 상기 착탈부의 걸림홀부에 삽입되어 상,하,좌,우로 걸리는 삽입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The bent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engaging hole in the detachable portion of the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ertion portion is caught up, down, left, right.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전면 패널은 배면측에 복수개의 걸림홀부가 상하 방향 혹은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된 착탈부가 형성되고,The front panel is provided with a removable portion formed with a plurality of engaging holes spaced apart in the vertical direction or left and right on the rear side, 상기 절곡부에는 상기 착탈부의 걸림홀부에 삽입되어 상,하,좌,우로 걸리는 삽입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The bent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engaging hole in the detachable portion of the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ertion portion is caught up, down, left, right.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전면 패널은 배면측에 복수개의 걸림홈부가 상하 방향 혹은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되고,The front panel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engaging grooves spaced apart in the vertical direction or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n the rear side, 상기 절곡부에는 상기 걸림홈부에 삽입되어 상,하,좌,우로 걸리는 삽입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The bent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engaging groove portion, the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ertion portion is caught up, down, left, right. 제 5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5 to 7, 상기 삽입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배면을 향해 볼록하게 라운드진 것을 특징 으로 하는 공기조화기.And the insertion portion is convexly rounded toward the back of the display.
KR1020060091860A 2006-09-21 2006-09-21 Air conditioner KR10128037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1860A KR101280374B1 (en) 2006-09-21 2006-09-21 Air conditio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1860A KR101280374B1 (en) 2006-09-21 2006-09-21 Air conditio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6811A KR20080026811A (en) 2008-03-26
KR101280374B1 true KR101280374B1 (en) 2013-07-01

Family

ID=39414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1860A KR101280374B1 (en) 2006-09-21 2006-09-21 Air conditio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037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9518B1 (en) * 2007-02-05 2013-1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Air conditioner
KR102228515B1 (en) * 2019-02-28 2021-03-15 엘지전자 주식회사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CN109959132A (en) * 2019-04-22 2019-07-02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A kind of automatically controlled box mounting structure and air condition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1313A (en) * 1991-07-29 1993-02-09 N Ii R:Kk Air cleaner
KR20040069636A (en) * 2003-01-30 2004-08-06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Monitor for refrigerato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1313A (en) * 1991-07-29 1993-02-09 N Ii R:Kk Air cleaner
KR20040069636A (en) * 2003-01-30 2004-08-06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Monitor for refrige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6811A (en) 2008-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9310B1 (en) Air conditioner
KR101280375B1 (en) Air conditioner
KR101280374B1 (en) Air conditioner
KR101252163B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101280373B1 (en) Air conditioner
KR101318358B1 (en) Air conditioner
KR101384154B1 (en) Air conditioner
KR20090042525A (en) Air conditioner
KR100844341B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20080056510A (en) Air conditioner
KR101315604B1 (e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KR20080055461A (en) Air conditioner
KR101325767B1 (en) Air conditioner
KR20080056509A (en) Air conditioner
KR101466292B1 (en) air conditioner
KR101517969B1 (en) air conditioner
KR101280376B1 (en) Air conditioner
KR100479077B1 (en) display panel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of framed air conditioner
KR20080055012A (en) Air conditioner
KR20080027810A (en) Air conditioner
KR101384153B1 (en) Air conditioner
KR20080065129A (en) Air conditioner
KR20080055460A (en) Air conditioner
KR20060016007A (en) Filter unit of air conditioner
KR20080055014A (en) Air conditio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