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9753B1 - 검색 결과에 대한 사용자 응답에 기반하여 검색 결과값을 재구성하는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검색 결과에 대한 사용자 응답에 기반하여 검색 결과값을 재구성하는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9753B1
KR101279753B1 KR20110095158A KR20110095158A KR101279753B1 KR 101279753 B1 KR101279753 B1 KR 101279753B1 KR 20110095158 A KR20110095158 A KR 20110095158A KR 20110095158 A KR20110095158 A KR 20110095158A KR 101279753 B1 KR101279753 B1 KR 1012797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rch result
link
user
search
lin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100951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1529A (ko
Inventor
양진홍
최준균
박효진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201100951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9753B1/ko
Publication of KR201300315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15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97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9753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Abstract

검색 결과에 대한 사용자 응답에 기반하여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장치는, 수신된 쿼리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링크를 포함하는 제1 검색 결과를 생성하는 검색 결과 생성부, 상기 제1 검색 결과에 포함된 복수 개의 링크 중 제1 링크와 제2 링크 사이의 유사성을 판단하는 검색 결과 분석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치는, 상기 제1 링크와 상기 제2 링크 사이의 유사성이 인정되는 경우 상기 제2 링크를 상기 제1 검색 결과에서 제외한 제2 검색 결과를 생성하는 검색 결과 조정부; 및 상기 제2 검색 결과를 상기 수신된 쿼리에 대응하여 제공하는 검색 결과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검색 결과에 대한 사용자 응답에 기반하여 검색 결과값을 재구성하는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SEARCH SERVICE PROVIDING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NSTRUCTING SEARCH RESULT BASED ON USER'S RESPONSE FOR SEARCH RESULT}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에 연관되며, 보다 특정하게는 인터넷 검색 엔진을 통해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개선된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에 연관된다. 본 연구는 지식경제부 및 정보통신산업진흥원의 대학 IT연구센터 지원사업의 연구결과로 수행되었다(과제 고유 번호 NIPA-2011-(C1090-1111-0013)).
검색 서비스 제공을 수행하는 검색 엔진은 사용자에게서 입력 받은 쿼리를 이용하여 복수 개의 링크들을 리스트로 생성하여 검색 결과로서 제공한다.
그런데, 종래의 검색 서비스 제공에 있어서는 사용자 쿼리에 대응하여 검색되는 다양한 링크들 중에 동일한 내용의 문서가 여러 개 존재할 수 있어서 사용자로서는 다양한 정보를 쉽게 제공받지 못하고 시간을 낭비하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검색 쿼리에 대응하여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았던 링크들이 여러 개 포함되어 있는 경우라도 사용자가 직접 검색 대상을 더 한정할 수 있도록 쿼리를 조정하지 않으면 사용자가 관심이 없는 엉뚱한 내용의 링크들도 지속적으로 노출이 되는 불편이 있었다.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한 종래의 접근은 아래와 같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09095호 (공개일: 2007.01.18)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36699호 (공개일: 2004.04.30)
사용자가 입력한 쿼리에 대응한 검색 결과를 제공함에 있어서 중복된 링크를 여러 개 제시함으로써 발생되는 사용자 불편을 최소화 한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된다.
검색 결과를 제시한 후 사용자가 검색 결과에 포함된 각각의 링크에 대해 가지는 관심도를 분석하여, 사용자 관심도에 맞는 조정된 검색 결과를 제시하는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된다.
검색 결과에 포함된 복수 개의 링크들 각각의 중요도나 사용자 관심도에 따라 검색 결과를 정렬하거나 시각화하여 제공하는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수신된 쿼리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링크를 포함하는 제1 검색 결과를 생성하는 검색 결과 생성부, 상기 제1 검색 결과에 포함된 복수 개의 링크 중 제1 링크와 제2 링크 사이의 유사성을 판단하는 검색 결과 분석부, 상기 제1 링크와 상기 제2 링크 사이의 유사성이 인정되는 경우 상기 제2 링크를 상기 제1 검색 결과에서 제외한 제2 검색 결과를 생성하는 검색 결과 조정부, 및 상기 제2 검색 결과를 상기 수신된 쿼리에 대응하여 제공하는 검색 결과 제공부를 포함하는,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검색 결과 분석부는, 상기 제1 링크에 대응하는 제1 문서와 상기 제2 링크에 대응하는 제2 문서의 태그를 서로 비교하여 미리 지정된 레벨 이상 중복되는 경우 상기 제1 링크와 상기 제2 링크의 유사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여기서 상기 태그는 타이틀 태그 및 헤딩 태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검색 결과 분석부는, 상기 제1 링크에 대응하는 제1 문서와 상기 제2 링크에 대응하는 제2 문서가 모두 동일한 제3 문서를 링크하고 있는 경우 상기 제1 링크와 상기 제2 링크의 유사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한편, 상기 검색 결과 조정부는, 상기 제2 검색 결과를 생성하는 경우, 상기 제1 검색 결과에 포함된 복수 개의 링크 중 다른 링크들과 유사성이 인정되지 않는 제3 링크보다 상기 제1 링크의 우선순위를 높게 하여 정렬하여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는, 상기 제2 검색 결과에 포함된 복수 개의 링크 각각에 대한 사용자의 방문 지속 시간 및 방문 횟수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제2 검색 결과에 포함된 복수 개의 링크 각각에 대한 사용자의 관심도를 계산하는 사용자 관심도 계산부를 더 포함하고, 이 경우, 상기 검색 결과 조정부는, 상기 사용자 관심도를 이용하여 상기 제2 검색 결과를 재조정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측에 따르면, 수신된 쿼리에 대응하여 제공된 제1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검색 결과 제공부, 상기 제1 검색 결과에 포함된 복수 개의 링크 각각에 대한 사용자의 방문 기록을 분석하여 상기 제1 검색 결과에 포함된 복수 개의 링크 각각에 대한 사용자의 관심도를 계산하는 사용자 관심도 계산부, 및 상기 사용자 관심도를 이용하여 상기 제1 검색 결과를 조정한 제2 검색 결과를 생성하는 검색 결과 조정부를 포함하는,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가 제공된다.
이 경우, 상기 사용자 관심도 계산부는, 상기 제1 검색 결과에 포함된 복수 개의 링크 각각에 대한 사용자의 방문 지속 시간 및 방문 횟수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관심도를 계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검색 결과 제공부는, 상기 제2 검색 결과에 포함되는 복수 개의 링크들 간의 유사도에 따라 유사성이 인정되지 않는 링크들에는 서로 다른 칼라를 할당하여 상기 제2 검색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는, 상기 제2 검색 결과에 포함되는 복수 개의 링크들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문서들을 서로 비교하여, 태그 정보 및 하이퍼링크 정보가 미리 지정된 레벨 이상 중복되는 경우에 유사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검색 결과 분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수신된 쿼리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링크를 포함하는 제1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검색 결과 제공부, 상기 제1 검색 결과에 포함된 복수 개의 링크 중 제1 링크와 제2 링크 사이의 유사성을 판단하는 검색 결과 분석부, 및 상기 제1 링크와 상기 제2 링크 사이의 유사성이 인정되고 사용자로부터 검색 결과 재조정 명령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2 링크를 상기 제1 검색 결과에서 제외한 제2 검색 결과를 생성하는 검색 결과 조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검색 결과 제공부는 상기 제2 검색 결과를 상기 검색 결과 재조정 명령에 대응하여 제공하는,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가 제공된다.
이 경우, 상기 검색 결과 재조정 명령은 별도로 할당된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통한 입력이거나 또는 검색 결과 페이지 변경 명령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수신된 쿼리에 대응하는 제1 검색 결과에 포함되는 복수 개의 페이지 중 제1 페이지를 제공하는 검색 결과 제공부, 상기 제1 페이지에 포함되어 제공된 복수 개의 링크 각각에 대한 사용자의 방문 기록을 분석하여 상기 복수 개의 링크 각각에 대한 사용자의 관심도를 계산하는 사용자 관심도 계산부, 및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1 검색 결과에 포함되는 복수 개의 페이지 중 상기 제1 페이지와 상이한 제2 페이지에 대한 제공 명령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관심도를 이용하여 상기 제1 검색 결과를 조정한 제2 검색 결과를 생성하는 검색 결과 조정부를 포함하는,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수신된 쿼리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링크를 포함하는 제1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검색 결과 제공 단계, 상기 제1 검색 결과에 포함된 복수 개의 링크 중 제1 링크와 제2 링크 사이의 유사성을 판단하는 검색 결과 분석 단계, 상기 제1 링크와 상기 제2 링크 사이의 유사성이 인정되고 사용자로부터 검색 결과 재조정 명령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2 링크를 상기 제1 검색 결과에서 제외한 제2 검색 결과를 생성하는 검색 결과 조정 단계, 및 상기 제2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가 입력한 쿼리에 대응한 검색 결과를 제공함에 있어서 중복된 링크를 여러 개 제시함으로써 발생되는 사용자 불편이 최소화된다.
또한, 검색 결과를 제시한 후 사용자가 검색 결과에 포함된 각각의 링크에 대해 가지는 관심도를 분석하여, 사용자 관심도에 맞는 조정된 검색 결과가 제시될 수 있다.
나아가, 검색 결과에 포함된 복수 개의 링크들 각각의 중요도나 사용자 관심도에 따라 검색 결과를 정렬하거나 시각화하여 제공하여 사용자 편의성이 높아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검색 결과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 검색 결과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검색 결과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 검색 결과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 검색 결과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을 도시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통상적인 검색 엔진의 검색 결과 제공 내용을 개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검색 결과에 포함되는 복수 개의 링크들 중 동일 또는 유사한 내용을 포함하는 적어도 일부의 링크를 검색 결과 노출에서 삭제하거나 및/또는 숨김 처리 하여 표시한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에게 동일한 문서에 관한 링크들이 중복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다양한 정보를 한 눈에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삭제하거나 및/또는 숨김 처리 하는 동일 또는 유사한 문서에 연관된 링크들에 관해서는 보다 상세히 후술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부 실시예에서는 검색 결과에 포함되어 제시된 복수 개의 링크들 각각에 대한 사용자의 링크 방문 형태를 분석하여 사용자 관심도를 계산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관심이 있어 하는 주제나 카테고리에 관한 링크들 위주로 검색 결과를 다시 조정하여 제공한다. 사용자 관심도 계산이나 검색 결과 조정에 관해서는 보다 상세히 후술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검색 결과 제공 장치(100)는 검색 결과 생성부(100)를 포함한다. 검색 결과 생성부(100)는 통상적인 키워드 검색을 위한 엔진(engine) 또는 알고리즘(algorithm)을 통칭하는 개념으로 이해되며, 하드웨어적인 구성뿐만 아니라 사용자 입력 쿼리에 대응하여 검색 결과, 이를테면 링크들의 리스트를 제공하는 것이라면 범용 프로세서 등의 일반적 하드웨어 구성일 수도 있다. 이는 검색 결과 분석부(120) 내지 검색 결과 제공부(150) 등 다른 구성도 마찬가지이다.
검색 결과 생성부(100)는 사용자가 입력한 쿼리, 이를테면 키워드에 대응한 제1 검색 결과(이하에서는 1차 검색 결과라고도 함)를 생성한다. 이러한 1차 검색 결과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조정 또는 재조정 되기 전의 최초 검색 결과인 하이퍼 링크들의 리스트로 이해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이러한 1차 검색 결과가 일단 사용자에게 제공된 후, 검색 결과 조정/재조정을 위한 별도의 사용자 명령을 수신한 다음 이를 조정/재조정 한 제2 검색 결과(이하에서는 2차 검색 결과라고도 함)를 생성할 수도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1차 검색 결과는 사용자에게 제공되지 않고, 이를 조정/재조정 한 2차 검색 결과를 사용자가 입력한 쿼리에 대응한 검색 결과로서 제공할 수도 있다. 2차 검색 결과 생성을 위한 내용은 이하에서 설명한다.
검색 결과 분석부(120)는 상기 1차 검색 결과에 포함된 복수 개의 링크들에 대해 다른 링크와의 유사성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유사성 판단과 함께, 또는 이와 별도로 상기 검색 결과 분석부(120)는 미리 사용자에게 제공되었던 1차 검색 결과에 대한 사용자의 링크 방문을 분석하여, 각각의 링크에 대한 사용자 관심도를 계산할 수도 있다.
검색 결과 분석부(120)는 1차 검색 결과에 포함된 복수 개의 링크들 중 제1 링크와 제2 링크 사이의 유사성을 판단함에 있어서, 제1 링크에 대응하는 웹 페이지인 제1 문서와 제2 링크에 대응하는 웹 페이지인 제2 문서의 내용을 비교한다.
이러한 내용의 비교는 웹 페이지의 태그(tag) 정보 비교일 수 있다. 태그 정보가 미리 지정한 수준 이상으로 중복되는 두 개의 웹 문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내용의 페이지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태그에는 타이틀 태그(title tag), 헤딩 태그(heading tag) 등이 포함되며, 본 발명에서 웹 페이지 내용 비교가 태그 비교에 국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태그 정보뿐만 아니라, 웹 페이지에 포함된 일반 텍스트들도 비교될 수 있으며, 일반적인 문서간 내용 비교 알고리즘이 제한 없이 사용될 수도 있다.
예시적이고 제한적이지 않은 일부 실시예에서, 어떤 사용자가 특정 신문 기사를 스크랩하여 자신의 블로그에 포스팅 한 경우, 다른 사용자가 검색 엔진을 통해 상기 신문 기사의 내용에 관련된 키워드 검색을 쿼리로 입력할 수 있다. 이 때에 상기 신문 기사의 최초 링크도 상기 검색 쿼리에 대한 결과로서 제공되는 동시에 상기 블로그의 링크도 상기 검색 쿼리에 대한 결과로서 함께 제공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검색 결과는 상기 쿼리를 입력한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사용자는 한 번의 검색 결과 노출에서 불필요하게 중복되는 링크들이 복수 개 제공되지 않는 것을 원하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내용상 유사성이 인정되는 복수 개의 링크들 중 적어도 일부는 검색 결과에서 제외되거나, 최소한 숨김 처리되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조정을 거쳐서 제공되는 2차 검색 결과가 사용자에게 제공되어 사용자의 검색 서비스 활용 만족도가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문서 내용 비교에 있어서 태그나 텍스트의 비교뿐만 아니라, 상기 제1 문서와 상기 제2 문서에 동일한 제3의 문서로의 하이퍼링크가 포함된 경우에도 상기 제1 링크와 상기 제2 링크의 유사성이 인정되는 것으로 볼 수도 있다.
이렇게 검색 결과 분석부(120)는 1차 검색 결과에 포함된 복수 개의 링크들 각각에 대한 유사성 인정 여부를 파악하고, 이러한 파악이 완료되면 검색 결과 조정부(130)는 유사성이 인정되는 링크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거나 숨김 처리하여 조정된 2차 검색 결과를 생성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관심도 계산을 위해 사용자 관심도 계산부(140)는 미리 사용자에게 제공된 1차 검색 결과에 대한 사용자의 방문 여부와 방문 지속 시간 등을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입력한 쿼리에 대해 1차 검색 결과로서 제공된 링크들 중 일부에서는 사용자가 링크를 클릭 한 후 90초 동안 머무르고, 다른 링크를 클릭한 후에는 3초 동안 머무르며, 또 다른 링크는 클릭하지 않고 다른 페이지로 넘어갈 경우에, 90초 동안 머물렀던 링크가 사용자 관심이 높은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1차 검색 결과에 있어서 다음 페이지를 보여주거나 사용자의 검색 결과 조정/재조정 명령이 있다면 사용자 관심도가 높은 내용 위주로 2차 검색 결과를 만들어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관심도 계산부(120)는 이러한 실시예에서 1차 검색 결과에 포함된 복수 개의 링크들 각각에 대한 사용자의 방문 여부(링크 클릭 여부) 및/또는 방문 지속 시간을 측정한다.
방문 지속 시간의 측정은 링크 클릭으로 열리는 페이지가 닫아지거나 다른 페이지로 변경될 때까지의 시간 카운트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그러면 검색 결과 조정부(130)는 2차 검색 결과를 만드는 과정에서 사용자 관심도가 높은 주제 또는 카테고리 위주로 링크들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예에서 1차 검색 결과에 포함된 링크 중 사용자가 다른 페이지로 넘어가기 전에 클릭하지 않았던 링크에 연관된 주제나 카테고리에 대한 검색 결과 리스트들은 2차 검색 결과에서 제거되거나 적어도 숨김 처리 될 수 있다.
검색 결과 제공부(150)는 이러한 1차 검색 결과 및/또는 2차 검색 결과를 사용자에게 다양한 방법으로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구체적인 예시들을 도시하면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해 상술한다. 문서 간의 유사도 계산에 의해 검색 결과를 조정하는 과정에 대해서는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사용자 관심도 계산을 반영하여 검색 결과를 조정하는 과정에 대해서는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검색 결과를 도시한다.
사용자가 쿼리 입력 인터페이스(201)을 통해 쿼리를 입력하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내부적으로 제1 검색 결과(210)를 생성한다.
상기 제1 검색 결과는 검색 엔진(Search engine)이 고유의 검색 결과 추출 알고리즘을 통해 데이터베이스(DB)로부터 추출한 복수 개의 링크들을 포함하는 리스트이다.
이러한 리스트는 복수 개의 페이지들로 구분될 수 있으며, 각각의 페이지에 표시되는 검색 결과 링크들의 노출 개수는 설정에 의해 변경이 가능하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검색 결과의 제1 페이지에 링크 A-1, 링크 B-1, 링크 A-2, 링크 A-3, 링크 C-1 및 링크 B-2가 포함되었다.
그런데, 이러한 가공되지 않은 1차적 검색 결과에 포함되는 복수 개의 링크들 중에서는 실제로 동일한 웹 문서를 링크하는 것도 존재할 수 있다. 여기서 웹 문서는 특정한 URL을 갖는 웹 페이지를 의미할 수 있으며, 링크는 상기 웹 페이지에 연관되는 하이퍼링크(Hyper link)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동일한 웹 문서를 링크한다는 것은 URL이 동일한 동일 웹 문서를 링크하는 것뿐만 아니라, URL이 동일하지는 않더라도 내용이 거의 동일한 웹 문서를 링크하는 것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어떤 신문 기사를 'Copy and Paste' 하여 자신의 블로그에 그대로 포스팅하는 경우, 원래의 신문 기사가 제공된 웹 문서와 상기 블로그의 해당 페이지는, URL은 서로 다르지만 그 내용은 동일하다.
이하에서는 별다른 언급이 없더라도 이렇게 실제로 동일하거나, 내용이 거의 유사한 문서를 유사성이 있는 문서라고 지칭한다.
그런데, 사용자가 키워드 검색을 수행하는 경우, 동일하거나 유사성이 있는 문서들 각각에 대응하는 링크들이 동일 화면 내에 많이 노출되면 사용자의 만족도가 낮아질 수 있다. 추가적 키워드를 조합한 새로운 검색이나, 페이지 변경 없이도 사용자는 다양한 정보를 접하고 싶을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는 이렇게 유사성이 있는 문서가 한 번의 검색 결과에서 여러 개 중복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다양한 검색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쿼리에 대응하여 검색 결과를 제공함에 있어서, 미리 검색 결과에 포함된 복수 개의 링크들이 서로 유사성이 인정되는 문서를 링크하고 있는 경우 이러한 링크들 전부를 노출시키지 않고, 그 중 적어도 일부를 검색 결과에서 숨기거나 또는 제거하여, 정제된(refined) 또는 조정된(adjusted) 2차 검색 결과를 제시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가 도 2에 도시된 제1 검색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하지 않고, 즉 디스플레이 하지 않고 내부적으로만 제1 검색 결과를 추출하였다가 이를 조정한 제2 검색 결과를 바로 제공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 실시예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가 일단 상기 제1 검색 결과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가 검색 결과 조정 명령을 입력하는 경우에 비로소 제2 검색 결과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별다른 언급이 없더라도 조정되기 전의 제1 검색 결과를 일단 제공하였다가 조정된 제2 결과를 제공하는 실시예와 제1 검색 결과를 제공하지 않고 바로 조정된 제2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실시예 중 어느 하나만 언급하는 경우라도, 기술적으로 가능한 한도에서는 얼마든지 다른 쪽도 적용 가능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2에서 도시하고 있는 예시적인 제1 검색 결과에서 링크 A-1, 링크 A-2 및 링크 A-3는 모두 유사한 내용을 포함하며, 주제(subject) 또는 기술분야(field)가 공통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링크 B-1과 링크 B-2는 서로 유사한 내용을 포함하며, 주제나 기술분야가 공통되는 것이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링크 A-1, 링크 A-2 및 링크 A-3 중 적어도 일부를 검색 결과에서 숨기거나 또는 제거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방식으로 조정된 제2 검색 결과가 도 3에 도시된다.
제1 검색 결과가 일단 디스플레이 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별도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202)를 다시 선택하면 제2 검색 결과가 제공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를 검색 결과 조정 명령의 수신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 내에서 상기 검색 결과 조정 명령을 검색 결과 재조정 명령이라고 할 수도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검색 결과 조정 명령은 제1 검색 결과, 또는 어떤 다른 검색 결과가 제공되는 상태에서 여러 개의 페이지 중의 현재 페이지가 아닌 다른 페이지를 선택하는 인터랙션일 수 있다. 즉, 도 2와 같이 제1 검색 결과의 제1 페이지가 디스플레이 되어 있는 중에, 사용자가 상기 제1 검색 결과의 제2 페이지 또는 다른 어떤 페이지를 선택하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이러한 페이지 변경 명령을 상기 검색 결과 조정 명령으로 받아들여서 변경되는 페이지는 제2 검색 결과에 따른 페이지가 될 수 있다. 이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후술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 검색 결과(310)를 도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도 2에 도시된 제1 검색 결과에 포함된 복수 개의 링크들 간의 유사성 인정 여부를 판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해당 링크들 각각에 대응하는 문서들의 태그를 비교해서, 이를테면 타이틀(title) 태그나 헤딩(heading) 태그가 미리 지정한 수준 이상으로 공통되는 경우에 상기 두 링크 사이의 유사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두 링크 각각에 대응하는 문서들 내에 포함된 또 다른 하이퍼링크를 비교하여, 해당 문서들이 서로 동일한 제3의 문서를 링크하고 있는 경우에 상기 유사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2에 도시되었던 제1 검색 결과를 조정하여 도 3에 도시된 제2 검색 결과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 검색 결과의 제1 페이지에 포함되었던 링크 A-1, 링크 A-2 및 링크 A-3 중, 대표성이 있는 링크로 선택된 링크 A-1은 제2 검색 결과에서도 정상적으로 표시되었지만, 링크 A-2 및 링크 A-3는 숨김 처리 되어, 별도의 유저 인터페이스(311)를 선택하는 경우에 다시 정상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2) more' 라는 유저 인터페이스는 두 개의 링크가 숨김 처리 되어 있다는 것을 가리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링크 B-2는 숨김 처리 되고 링크 B-1만이 정상 표시되어 있을 수 있으며, 링크 B-1이 표시된 부분 옆에 하나의 링크 B-2가 숨김 처리 되었다는 유저 인터페이스(312)가 제공될 수도 있다.
한편, 제2 검색 결과의 제공 타이밍에 관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도 2의 제1 검색 결과(210)의 디스플레이는 생략되고 사용자가 쿼리 입력 인터페이스(201)을 통해 쿼리를 입력하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제1 검색 결과(210)를 디스플레이하지 않고 이를 제2 검색 결과(310)로 재조정 한 다음 바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한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라서는 도 2에서 도시된 제1 검색 결과(210)가 일단 디스플레이 되었다가 사용자의 선택, 즉 검색 결과 조정 명령에 따라서 도 3과 같은 제2 검색 결과(310)가 디스플레이 될 수도 있다.
한편 후자의 경우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도 2의 제1 검색 결과(210)를 재조정하는 경우 각각의 링크에 대한 사용자의 관심도를 반영하여 제2 검색 결과를 생성할 수도 있으며, 이는 도 4 를 참조하여 다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검색 결과(410)를 도시한다.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 쿼리에 대응하여 일단 제1 검색 결과가 제공되었다. 이 경우, 사용자가 각 링크들에 대해 클릭 하여 각각의 링크들에 대응하는 문서들을 방문한다고 가정한다. 일부 링크들에는 사용자가 방문을 하지만, 다른 일부 링크들은 사용자가 방문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일부 링크에는 연결된 문서에 사용자가 긴 시간 동안 방문할 수도 있지만, 다른 일부 링크는 연결된 문서에 방문 했다가 짧은 시간 내에 방문을 종료할 수도 있다. 이를테면, 앞서 방문 했던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으로 보인다던지, 원래 검색하고자 했던 주제와 상관 없는 내용의 문서로 보이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링크를 클릭하여 해당 페이지를 방문하였다가 빠르게 뒤로 가기(move backward)하거나 또는 브라우저를 닫을 수 있다.
이러한 취지에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검색 결과(410)에서 제공된 각각의 링크들에 대해 사용자의 방문 지속 시간이나 및/또는 방문 횟수를 분석하여, 제1 검색 결과의 제1 페이지를 보던 사용자가 다른 페이지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이러한 분석 결과에 따라 사용자의 관심이 높을 것으로 보이는 페이지 위주로 표시해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서, 도 4에 도시된 예에서, 링크 A-1에 35초, 링크 B-1에 8초, 링크 C-1에는 5초, 링크 A-2에는 94초 동안 사용자가 방문하는 것으로 측정 되었고, 사용자가 페이지 이동 인터페이스(420)을 누르기 전까지 다른 링크에는 방문하지 않았다면,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은 링크 A-1 또는 링크 A-2에 대응하는 'A' 주제 또는 카테고리에 대해 관심이 높다고 판단한다. 나아가 'B' 주제 또는 카테고리에 대해서는 'A' 만큼은 아니나 'C' 보다는 관심이 높다고 판단할 수 있다.
링크 D-1에는 사용자가 방문하지 않았기 때문에 'D' 주제 또는 카테고리에 대해서는 사용자 관심이 낮다고 볼 수 있다.
이 경우에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가 생성하는 제2 검색 결과를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 검색 결과(510)를 도시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A' 및 'B' 주제 또는 카테고리에 관련해서만 관심을 가지고 있다고 분석하였기 때문에,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제2 검색 결과(510)에서 링크 A-3, 링크 B-3, 링크 A-4, 링크 A-5, 링크 A-6 및 링크 A-7를 표시하였다. 도 4에서 이미 표시되었던 제1 검색 결과(410)의 제1 페이지에 포함되지 않은 새로운 링크들을 보여주고 있으므로 링크 A-1 등은 표시되지 않고 있다.
그리고 이렇게 현재 제공되고 있는 제2 검색 결과(510)의 추출 기준을 사용자에게 알려주기 위해 'A' 및 'B' 주제 또는 카테고리에 관련한 결과라는 점을 알려주는 표시(501)가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도 4를 참조한 상기 설명에서 사용자가 'A' 및 'B' 주제 또는 카테고리에 관련해서 관심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였지만, 그 중에서도 'B' 주제 또는 카테고리에 관해서는 'A'에 비해서는 관심이 낮으므로, 'B'의 경우에는 일부 링크는 제2 검색 결과(510)에 노출시키고, 일부 링크는 숨김 처리를 할 수도 있다.
나아가, 이 경우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2 검색 결과(510)를 디스플레이 함에 있어서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주제 또는 카테고리 별로 제2 검색 결과(510)에 포함된 링크들의 칼라를 할당하는 시각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를테면 비슷한 카테고리에 속하는 링크 A-3, 링크 A-4, 링크 A-5 등에 제1 칼라를 할당하고, 이와는 다른 카테고리에 속하는 링크 B-3에는 제2 칼라를 할당하는 방식이다.
그리고 숨김 처리된 내용이 존재한다는 점을 알려주는 표시(502)와 함께 링크가 숨겨진 내역의 표시(503)가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이렇게 숨겨진 내역의 표시(503)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검색 결과(510)와는 다른 부분에서 제공될 수도 있지만,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2 검색 결과(510)에 포함된 링크들 사이에서 제공될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예는 도 6을 참고하여 후술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 검색 결과(610)를 도시한다.
도 5에서와는 달리 제2 검색 결과(610) 내에 숨김 처리 되지 않은 링크들(611 및 612)이 표시되면서, 그 사이에 숨김 처리 된 링크들에 대한 정보(602 및 603)도 표시되었다. 디렉토리 트리 구조에서처럼 수준(level)을 달리하여 숨김 처리 된 링크들의 카테고리 또는 주제 정보가 숨김 처리 된 링크들의 개수와 함께 표시되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을 도시한다.
사용자가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가 제공하는 쿼리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한 쿼리가 수신된다(710).
그러면 단계(720)에서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통상적인 검색 엔진의 검색 결과인 1차 검색 결과를 생성한다(720).
이러한 1차 검색 결과는 별도의 조정/재조정을 거치기 전에 일단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도 있고, 다른 실시예에서는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 내부적으로 보유할 수도 있다.
그리고 단계(730)에서는 검색 결과 분석부(120)가 1차 검색 결과에 포함된 복수 개의 링크들 중 제1 링크와 제2 링크 사이의 유사성을 판단함에 있어서, 제1 링크에 대응하는 웹 페이지인 제1 문서와 제2 링크에 대응하는 웹 페이지인 제2 문서의 내용을 비교한다.
이러한 내용의 비교는 웹 페이지의 태그(tag) 정보 비교, 텍스트 비교 및 문서에 포함되어 있는 다른 웹 페이지로의 하이퍼링크의 중복 여부 판단일 수 있으며, 상세한 내용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다.
이러한 내용상 분석 결과에 따라 검색 결과 조정부(130)가 1차 검색 결과에 포함된 복수 개의 링크들 중 유사성이 인정되는 적어도 일부의 링크를 제외하거나 숨김 처리 한 2차 검색 결과를 생성한다(740).
이렇게 해서 단계(750)에서는 조정된 검색 결과가 제공되며, 단계(760)에서는 설정에 따라서 또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서 검색 결과 조정이 필요한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술한 사용자 관심도 계산을 수행하여 이를 검색 결과 조정/재조정에 반영하도록 설정되거나 사용자가 이를 원하는 경우에는 상기 판단의 결과가 YES가 된다.
이 경우에는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술한 방식에 의해 사용자 관심도가 계산되며(770), 그 결과를 이용하여 검색 결과 조정부(130)가 2차 검색 결과에 사용자 관심도가 높은 주제나 카테고리를 우선하여 표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 및 사용자 브라우저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 및 자바 스크립트 언어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
110: 검색 결과 생성부
120: 검색 결과 분석부
130: 검색 결과 조정부
140: 사용자 관심도 계산부
150: 검색 결과 제공부

Claims (15)

  1. 수신된 쿼리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링크를 포함하는 제1 검색 결과를 생성하는 검색 결과 생성부;
    상기 제1 검색 결과에 포함된 복수 개의 링크 중 제1 링크에 대응하는 제1 문서와 상기 복수 개의 링크 중 제2 링크에 대응하는 제2 문서가 동일한 제3 문서를 링크하고 있는지의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링크와 상기 제2 링크 사이의 유사성을 판단하는 검색 결과 분석부;
    상기 제1 링크와 상기 제2 링크 사이의 유사성이 인정되는 경우 상기 제2 링크를 상기 제1 검색 결과에서 숨김 처리한 제2 검색 결과를 생성하는 검색 결과 조정부; 및
    상기 제2 검색 결과를 상기 수신된 쿼리에 대응하여 제공하는 검색 결과 제공부
    를 포함하는,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결과 분석부는, 상기 제1 링크에 대응하는 제1 문서와 상기 제2 링크에 대응하는 제2 문서의 태그를 서로 비교하여 상기 태그가 미리 지정된 레벨 이상 중복되는 경우 상기 제1 링크와 상기 제2 링크의 유사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는 타이틀 태그 및 헤딩 태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결과 제공부는 상기 제2 검색 결과 제공 이후에 사용자로부터 검색 결과 재조정 명령이 수신된 경우에 상기 제1 검색 결과를 제공하고,
    상기 검색 결과 재조정 명령은 별도로 할당된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통한 입력이거나 및 검색 결과 페이지 변경 명령 중 어느 하나인,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결과 조정부는, 상기 제2 검색 결과를 생성하는 경우, 상기 제1 검색 결과에 포함된 복수 개의 링크 중 다른 링크들과 유사성이 인정되지 않는 제3 링크보다 상기 제1 링크의 우선순위를 높게 하여 정렬하여 제공하는,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는,
    상기 제2 검색 결과에 포함된 복수 개의 링크 각각에 대한 사용자의 방문 지속 시간 및 방문 횟수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제2 검색 결과에 포함된 복수 개의 링크 각각에 대한 사용자의 관심도를 계산하는 사용자 관심도 계산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검색 결과 조정부는, 상기 사용자 관심도를 이용하여 상기 제2 검색 결과를 재조정하는,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
  7. 수신된 쿼리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링크를 포함하는 제1 검색 결과를 생성하는 검색 결과 생성부;
    상기 제1 검색 결과에 포함된 복수 개의 링크 중 제1 링크와 제2 링크 사이의 유사성을 판단하는 검색 결과 분석부;
    상기 제1 링크와 상기 제2 링크 사이의 유사성이 인정되는 경우 상기 제1 검색 결과에서 제2 링크를 숨김처리 하고, 상기 복수 개의 링크 중 상기 제1 링크와 유사성이 인정되지 않는 제3 링크는 상기 제1 링크와 서로 다른 칼라를 할당하는 처리를 하여 상기 제1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검색 결과 제공부;
    상기 제1 검색 결과에 포함된 복수 개의 링크 각각에 대한 사용자의 방문 기록을 분석하여 상기 제1 검색 결과에 포함된 복수 개의 링크 각각에 대한 사용자의 관심도를 계산하는 사용자 관심도 계산부; 및
    상기 사용자 관심도를 이용하여 상기 제1 검색 결과를 조정한 제2 검색 결과를 생성하는 검색 결과 조정부
    를 포함하는,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관심도 계산부는, 상기 제1 검색 결과에 포함된 복수 개의 링크 각각에 대한 사용자의 방문 지속 시간 및 방문 횟수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관심도를 계산하는,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결과 분석부는, 상기 제1 링크에 대응하는 제1 문서와 상기 제2 링크에 대응하는 제2 문서가 동일한 제3 문서를 링크하고 있는지의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링크와 상기 제2 링크 사이의 상기 유사성을 판단하는,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결과 분석부는, 상기 제1 문서와 상기 제2 문서의 태그 정보가 미리 지정된 레벨 이상 중복되는 경우에 유사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
  11.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의 검색 결과 생성부가, 수신된 쿼리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링크를 포함하는 제1 검색 결과를 생성하는 검색 결과 생성 단계;
    상기 장치의 검색 결과 분석부가, 상기 제1 검색 결과에 포함된 복수 개의 링크 중 제1 링크에 대응하는 제1 문서와 상기 복수 개의 링크 중 제2 링크에 대응하는 제2 문서가 동일한 제3 문서를 링크하고 있는지의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링크와 상기 제2 링크 사이의 유사성을 판단하는 검색 결과 분석 단계;
    상기 장치의 검색 결과 조정부가, 상기 제1 링크와 상기 제2 링크 사이의 유사성이 인정되는 경우 상기 제2 링크를 상기 제1 검색 결과에서 숨김 처리한 제2 검색 결과를 생성하는 검색 결과 조정 단계; 및
    상기 장치의 검색 결과 제공부가, 상기 제2 검색 결과를 상기 수신된 쿼리에 대응하여 제공하는 검색 결과 제공 단계
    를 포함하는,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결과 분석 단계는, 상기 제1 링크에 대응하는 제1 문서와 상기 제2 링크에 대응하는 제2 문서의 태그를 서로 비교하여 상기 태그가 미리 지정된 레벨 이상 중복되는 경우 상기 제1 링크와 상기 제2 링크의 유사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검색 결과 제공 이후에 사용자로부터 검색 결과 재조정 명령이 수신된 경우에, 상기 검색 결과 제공부가 상기 제1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검색 결과 재조정 명령은 별도로 할당된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통한 입력이거나 및 검색 결과 페이지 변경 명령 중 어느 하나인,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14.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의 검색 결과 생성부가, 수신된 쿼리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링크를 포함하는 제1 검색 결과를 생성하는 검색 결과 생성 단계;
    상기 장치의 검색 결과 분석부가, 상기 제1 검색 결과에 포함된 복수 개의 링크 중 제1 링크와 제2 링크 사이의 유사성을 판단하는 검색 결과 분석 단계;
    상기 장치의 검색 결과 제공부가, 상기 제1 링크와 상기 제2 링크 사이의 유사성이 인정되는 경우 상기 제1 검색 결과에서 제2 링크를 숨김처리 하고, 상기 복수 개의 링크 중 상기 제1 링크와 유사성이 인정되지 않는 제3 링크는 상기 제1 링크와 서로 다른 칼라를 할당하는 처리를 하여 상기 제1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검색 결과 제공 단계;
    상기 장치의 사용자 관심도 계산부가, 상기 제1 검색 결과에 포함된 복수 개의 링크 각각에 대한 사용자의 방문 기록을 분석하여 상기 제1 검색 결과에 포함된 복수 개의 링크 각각에 대한 사용자의 관심도를 계산하는 사용자 관심도 계산 단계; 및
    상기 장치의 검색 결과 조정부가, 상기 사용자 관심도를 이용하여 상기 제1 검색 결과를 조정한 제2 검색 결과를 생성하는 검색 결과 조정 단계
    를 포함하는,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결과 분석 단계는, 상기 제1 링크에 대응하는 제1 문서와 상기 제2 링크에 대응하는 제2 문서가 동일한 제3 문서를 링크하고 있는지의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링크와 상기 제2 링크 사이의 상기 유사성을 판단하는,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10095158A 2011-09-21 2011-09-21 검색 결과에 대한 사용자 응답에 기반하여 검색 결과값을 재구성하는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2797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095158A KR101279753B1 (ko) 2011-09-21 2011-09-21 검색 결과에 대한 사용자 응답에 기반하여 검색 결과값을 재구성하는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095158A KR101279753B1 (ko) 2011-09-21 2011-09-21 검색 결과에 대한 사용자 응답에 기반하여 검색 결과값을 재구성하는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1529A KR20130031529A (ko) 2013-03-29
KR101279753B1 true KR101279753B1 (ko) 2013-07-04

Family

ID=48180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10095158A KR101279753B1 (ko) 2011-09-21 2011-09-21 검색 결과에 대한 사용자 응답에 기반하여 검색 결과값을 재구성하는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97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4518B1 (ko) * 2015-03-16 2022-09-16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영상 검색 방법 및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6699A (ko) * 2004-03-31 2004-04-30 김상권 온라인을 이용한 통합 검색 방법
KR20070009095A (ko) * 2005-07-15 2007-01-1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자의 상황에 따라 검색 엔진별 가중치를 부여하는시스템, 장치, 방법 및 이를 구현할 수 있는 컴퓨터로 읽을수 있는 기록 매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6699A (ko) * 2004-03-31 2004-04-30 김상권 온라인을 이용한 통합 검색 방법
KR20070009095A (ko) * 2005-07-15 2007-01-1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자의 상황에 따라 검색 엔진별 가중치를 부여하는시스템, 장치, 방법 및 이를 구현할 수 있는 컴퓨터로 읽을수 있는 기록 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1529A (ko) 2013-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45067B2 (en) Presenting comments from various sources
US9430573B2 (en) Coherent question answering in search results
CA2747441C (en) Identifying comments to show in connection with a document
US10380197B2 (en) Network searching method and network searching system
US8639680B1 (en) Hidden text detection for search result scoring
US10346457B2 (en) Platform support clusters from computer application metadata
US20090240638A1 (en) Syntactic and/or semantic analysis of uniform resource identifiers
CN104537065A (zh) 一种搜索结果的推送方法及系统
US9244891B2 (en) Adjusting search result rankings based on multiple user highlighting of documents
KR20140050217A (ko) 키워드 연관 관계 시각화 제공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지원하는 장치
US10635725B2 (en) Providing app store search results
Wu Language independent web news extraction system based on text detection framework
WO2016022223A1 (en) In-application recommendation of deep states of native applications
US9600579B2 (en) Presenting search results for an Internet search request
CN105447191A (zh) 提供图文引导步骤的智能摘要方法及相应装置
Farina et al. Interest identification from browser tab titles: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KR101279753B1 (ko) 검색 결과에 대한 사용자 응답에 기반하여 검색 결과값을 재구성하는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US11520973B2 (en) Providing user-specific previews within text
Seifert et al. Towards a feature-rich data set for personalized access to long-tail content
RU2589856C2 (ru) Способ обработки целевого сообщения, способ обработки нового целевого сообщения и сервер (варианты)
KR101421819B1 (ko) 온라인 환경에서의 벌룬을 이용한 키워드 검색 결과 제공 방법
Yue et al. Improving navigation page detection by using DOM-based block text identification
KR101727821B1 (ko) 컨텐츠 내 단어에 대한 정답성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Long Privacy Observatory: Collecting Privacy Policies and Terms of Service on a Regular Basis
JP2013156876A (ja) 推薦クエリ抽出装置及び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