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7697B1 - Guide device for transfering rolled steel - Google Patents

Guide device for transfering rolled stee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7697B1
KR101277697B1 KR1020100094648A KR20100094648A KR101277697B1 KR 101277697 B1 KR101277697 B1 KR 101277697B1 KR 1020100094648 A KR1020100094648 A KR 1020100094648A KR 20100094648 A KR20100094648 A KR 20100094648A KR 101277697 B1 KR101277697 B1 KR 1012776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pper
pin
guide device
rolling material
ro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464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033051A (en
Inventor
노세환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946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7697B1/en
Publication of KR201200330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305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76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769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14Guiding, positioning or align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7/00Control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or the work produced thereby
    • B21B37/68Camber or steering control for strip, sheets or plates, e.g. preventing meand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02Feeding or supporting work; Braking or tensioning arrangements, e.g. thread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203/00Auxiliary arrangements, devices or methods in combination with rolling mills or rolling methods
    • B21B2203/24Hydrostatic bearings or gui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earings For Parts Moving Linear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연롤사이를 통과한 압연재의 하단을 지지하는 하단스트리퍼와, 상기 하단스트리퍼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하단스트리퍼를 지지하는 몸체를 구비하고, 상기 몸체에 상기 하단스트리퍼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수평조절부 및 수직조절부가 형성된 스트리퍼 홀더를 포함하는, 압연재 이송 가이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lower end stripper for supporting the lower end of the rolling material passed between the rolling rolls, and a body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lower end stripper to support the lower end stripper, and the position of the lower end stripper on the bod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lled material conveying guide apparatus including a stripper holder having a horizontal adjusting portion and a vertical adjusting portion for adjusting.

Description

압연재 이송 가이드 장치{GUIDE DEVICE FOR TRANSFERING ROLLED STEEL}Rolling material transfer guide device {GUIDE DEVICE FOR TRANSFERING ROLLED STEEL}

본 발명은 압연과정을 거쳐 생산된 압연재의 형상을 유지해주면서 이송하기 위한 압연재 이송 가이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lling material transfer guide device for transferring while maintaining the shape of the rolling material produced through the rolling process.

일반적으로, 제철공장에서 압연재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압연공정을 거치게 되는데, 상기 압연공정은 연속주조공정에서 제작된 슬래브, 블룸, 빌렛 등을 2개의 회전하는 롤(ROLL) 사이에 끼워 가늘고 길게 성형하는 것이다.In general, in order to produce a rolled material in a steel mill, a rolling process is performed, and the rolling process is performed by inserting slabs, blooms, billets, etc., produced in a continuous casting process, between two rotating rolls to form a thin and long shape. will be.

압연기는 상온 또는 고온에서 회전하는 롤 사이에 재료를 통과시키면서 재료의 소성변형을 통해 판재, 봉재 등을 성형하는 장치이다. 상기 압연기와 압연기의 사이에 이송 가이드가 설치되어 압연재를 다음 공정의 압연롤 측으로 이송시키게 된다.A rolling mill is a device for forming a plate material, a bar material or the like through plastic deformation of a material while passing the material between rotating rolls at room temperature or high temperature. A conveyance guide is provided between the rolling mill and the rolling mill to feed the rolling mill to the rolling mill in the next step.

상기 압연기에서 압연재가 생산되어 나오면 압연재 자체의 중량에 의해서 압연재가 휘어지는 등 형상의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압연재가 압연롤에서 빠져 나오면 압연재의 형상이 변형되지 않도록 압연재를 지지하면서 이송하는 이송 가이드 장치를 이용하게 된다.
When the rolling material is produced in the rolling mill, the deformation of the shape may occur, such as the rolling material is bent by the weight of the rolling material itself. Therefore, when the rolled material comes out of the rolling rolls, a transport guide device for transporting while supporting the rolled material is used so that the shape of the rolled material is not deformed.

본 발명의 목적은, 압연재의 규격에 따라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용이하게 위치 조절이 가능한 압연재 이송 가이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olled material conveyance guide device which can be easily adjusted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s of the rolled material.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압연재 이송 가이드 장치는, 압연롤 사이를 통과한 압연재의 하단을 지지하는 하단스트리퍼와, 상기 하단스트리퍼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하단스트리퍼를 지지하는 몸체와 받침부를 구비하고, 상기 몸체에 상기 하단스트리퍼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수평조절부 및 수직조절부가 형성된 스트리퍼 홀더를 포함할 수 있다.Rolling material conveying guid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 object is a lower end stripper for supporting the lower end of the rolling material passed between the rolling rolls, and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lower end stripper, the lower end It may include a stripper holder having a body and a support for supporting a stripper, and a horizontal adjusting portion and a vertical adjusting portion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lower stripper in the body.

상기 하단스트리퍼는, 상기 압연재의 하단과 접하여, 상기 압연재가 하방향으로 휘어지지 않게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몸체에 삽입되는 형태로, 상기 지지부와 상기 스트리퍼 홀더를 연결하도록 내외부를 관통하는 결합공이 형성된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lower end stripper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end of the rolled material, the support part for supporting the rolled material so as not to bend downward, and integrally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part and inserted into the body, the support part and the stripper It may include a coupling portion formed with a coupling hole penetrating the inside and outside to connect the holder.

상기 스트리퍼 홀더는, 상기 하단스트리퍼를 상기 금속판재의 토출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중심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tripper holder may further include a center adjusting unit capable of moving the lower strippe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metal plate.

상기 수평조절부는, 상기 삽입부가 외부와 통하도록 관통 형성된 핀홀과, 상기 핀홀에 삽입되는 핀과, 상기 몸체의 외부에서 상기 핀홀과 상기 핀의 내부까지 이어지는 수평조절축을 포함할 수 있다.The horizontal adjustment unit may include a pinhole formed to penetrate the insertion portion to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a pin inserted into the pinhole, and a horizontal adjustment shaft extending from the outside of the body to the pinhole and the inside of the pin.

상기 수직조절부는, 상기 받침부의 하단에 형성되며, 내부에 스크류가 삽입될 수 있는 통로가 형성된 작동부와, 상기 작동부에 형성된 상기 통로에 삽입되는 스크류로 형성될 수 있다.The vertical adjustment part may be formed at an lower end of the support part, and an operating part having a passage in which a screw may be inserted therein, and a screw inserted into the passage formed in the operating part.

상기 몸체 상단 일측에는, 상기 결합부가 삽입가능한 삽입부가 형성될 수 있다.On one side of the upper end of the body, the insertion portion may be inserted into the insert portion.

상기 삽입부는, 상기 결합부가 삽입되었을 때, 상기 결합부가 상기 삽입부 내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결합부의 폭보다 길이가 긴 폭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insertion portion may be formed to have a width longer than the width of the coupling portion so that the coupling portion is movable horizontally inside the insertion portion when the coupling portion is inserted.

상기 중심조절부는, 상기 몸체의 하단에 고정 결합되며, 상기 압연재의 토출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 홈을 구비한 나사산형성부와, 상기 홈에 대응되어 삽입될 수 있는 나사산이 형성된 중심조절나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center adjusting portion is fixedly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body, the thread forming portion having a groove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rolling material, and a central adjustment screw formed with a thread that can be inserted corresponding to the groove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figuration.

상기 핀은, 상기 삽입부에 상기 결합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삽입부에 형성된 핀홀과 상기 결합부에 형성된 상기 결합공을 관통하여 끼워질 수 있다.The pin may be inserted through the pin hole formed in the insertion portion and the coupling hole formed in the coupling portion in a state where the coupling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ortion.

상기 핀홀은 상기 핀의 직경보다 큰 지름을 갖는 것으로, 상기 핀과 상기 핀홀의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pinhole may have a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pin, and a space may be formed between the pin and the pinhole.

상기 공간에는 탄성부재가 더 형성될 수 있다.An elastic member may be further formed in the space.

상기 핀은, 상기 결합공과 유격이 없도록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The pin may be inserted so that there is no play with the coupling hole.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관련된 압연재 이송 가이드 장치에 의하면, 압연재의 규격에 맞추어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용이하게 위치 조절이 가능하여 작업 시간을 단축하고,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rolling material conveying guid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position can be easily adjusted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 in accordance with the specifications of the rolling material, there is an effect that the work time is shortened, workability is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연재 이송 가이드 장치의 개략적인 모습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연재 이송 가이드 장치의 개략적인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연재 이송 가이드 장치의 개략적인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연재 이송 가이드 장치의 일부의 모습을 상세하게 나타낸 확대도이다.
1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 schematic view of a rolling material conveyance guid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view showing a schematic view of a rolling material conveyance guid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lan view showing a schematic view of the rolling material conveying guid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nlarged view showing in detail the part of the rolling material conveyance guid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압연재 이송 가이드 장치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Hereinafter, a rolled material conveyance guide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ame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different embodiments in the same or similar configuration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연재 이송 가이드 장치의 개략적인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다.1 is a side view showing a schematic view of a rolling material conveyance guid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연재 이송 가이드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drawings,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rolling material conveyance guid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연재 이송 가이드 장치는 상단스트리퍼(100)와, 하단스트리퍼(200)와, 스프리퍼 홀더(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Rolling material conveying guid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top stripper 100, a bottom stripper 200, and a sputter holder (300).

상단스트리퍼(100)는 한 쌍의 압연롤(R) 사이를 통과하여 토출되는 압연재(P)의 상단과 접하여 압연재(P)가 상측으로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단스트리퍼(100)는 압연롤(R)에서 생산되는 압연재(P)의 상측에 일정한 위치에 고정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단스트리퍼(100)는 압연재(P)와 직접 맞닿는 부분이 상하로 소정의 유격을 갖도록 설치되어 압연재(P) 상단 표면의 미세한 굴곡에 대응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단스트리퍼(100)는 압연재(P)와 직접 맞닿는 부분과 이를 지지하는 부분이 구분되어 이를 결합시키는 고정축(110)이 형성될 수 있으며, 고정축(110)의 볼트 등으로 결합될 수 있다. 고정축(110)을 조이는 강도에 따라 압연재(P)와 맞닿는 부분이 압연재(P)의 상단과 접할 때 소정의 유격을 형성하여 압연재(P)의 표면 굴곡에 대응할 수 있다.The upper stripper 100 may contact the upper end of the rolling material P discharged through a pair of rolling rolls R to prevent the rolling material P from bending upward. The upper stripper 100 may be formed to be fix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upper side of the rolling material P produced in the rolling roll R. In addition, the upper stripper 100 may be formed so that the portion directly contacting the rolling material (P) is installed to have a predetermined clearance up and down to correspond to the fine bending of the upper surface of the rolling material (P). The upper stripper 100 may be divided into a portion in direct contact with the rolled material P and a portion supporting the same, and a fixed shaft 110 may be formed to couple the upper stripper 100. The upper stripper 100 may be coupled with a bolt of the fixed shaft 110. . According to the strength of tightening the fixed shaft 110 when the portion in contact with the rolling material (P)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end of the rolling material (P) may form a predetermined play may correspond to the surface bending of the rolling material (P).

하단스트리퍼(200)는 압연롤(R)에서 토출되는 압연재(P)의 하단을 지지하는 것일 수 있다. 하단스트리퍼(200)는 압연재(P)가 자체의 하중에 의하여 하방향으로 휘어지거나, 상하방향으로 요동치면서 그 형태의 변형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하단스트리퍼(200)는 지지부(210)와 결합부(2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lower stripper 200 may support the lower end of the rolling material P discharged from the rolling roll R. The lower stripper 200 may be to prevent the rolling material P from being bent downward by its own load or swing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while preventing its deformation. The lower stripper 200 may be formed of the support part 210 and the coupling part 220.

지지부(210)는 상기 압연재(P)의 하단과 접하여 상기 압연재(P)가 하방향으로 휘어지지 않게 지지하는 판상의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지지부(210)는 압연재(P)의 토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판의 형태일 수 있다.The support part 210 may be in the form of a plate that contacts the lower end of the rolled material P to support the rolled material P so as not to bend downward. The support portion 210 may be in the form of a plate formed long in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rolling material (P).

결합부(220)는 지지부(210)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220)에는 결합공(221)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공(221)은 결합부(220)를 관통하는 중공 형태일 수 있다. 결합공(221)은 어떠한 형상이든 가능하나, 핀 등이 꽂힐 수 있는 원형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coupling part 220 may be integrally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part 210. A coupling hole 221 may be formed in the coupling part 220. The coupling hole 221 may have a hollow shape passing through the coupling part 220. The coupling hole 221 may be any shape, but is preferably a circular shape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pin.

스트리퍼 홀더(300)는 하단스트리프를 장착할 수 있도록 하단스트리퍼(200)의 하단에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스트리퍼 홀더(300)는 생산되는 압연재(P)의 폭이나 두께 등에 따라 하단스트리퍼(200)의 위치를 수평 또는 수직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스트리퍼 홀더(300)는 하단스트리퍼(200)를 압연재(P)의 토출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시켜 하단스트리퍼(20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일 수 있다. The stripper holder 300 may be formed at the bottom of the bottom stripper 200 to mount the bottom strip. The stripper holder 300 may be capable of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lower stripper 200 in a horizontal or vertical direction according to the width or thickness of the rolled material P produced. In addition, the stripper holder 300 may be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lower stripper 200 by moving the lower stripper 200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rolling material (P).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연재(P) 이송 가이드 장치의 개략적인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연재(P) 이송 가이드 장치의 개략적인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다.Figure 2 is a side view showing a schematic view of a rolling material (P) transfer guid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chematic view of a rolling material (P) transfer guid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plan view showing the appearance.

본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연재(P) 이송 가이드 장치의 상세한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rolling material (P) transfer guid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하단스트리퍼(200)는 압연재(P)의 폭의 중심에서 양방향으로 치우친 위치에 대응되도록 제 1스트리퍼(200a)와, 제 2스트리퍼(200b)로 나누어 구성될 수 있다. 제 1스트리퍼(200a)와 제 2스트리퍼(200b)는 압연재(P)의 양측 일부를 각각 지지하여 압연재(P)의 무게중심을 유지하면서 압연재(P)를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제 1스트리퍼(200a)와 제 2스트리퍼(200b)에는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제 1스트리퍼(200a)와 제 2스트리퍼(200b)는 각각 스트리퍼 홀더(300)와 결합되어 수평 혹은 수직방향으로의 조절이 개별적으로 가능할 수 있다.The lower stripper 200 may be divided into a first stripper 200a and a second stripper 200b to correspond to a position biased in both directions at the center of the width of the rolled material P. FIG. The first stripper 200a and the second stripper 200b may respectively support portions of both sides of the rolling material P so as to transfer the rolling material P while maintaining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rolling material P. have. The first stripper 200a and the second stripper 200b may be configured in the same manner. Therefore, the first stripper 200a and the second stripper 200b may be combined with the stripper holder 300, respectively, to allow adjustment in the horizontal or vertical direction separately.

하단스트리퍼(200)는 상단면이 압연재(P)의 하단과 접촉하면서 압연재(P)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부(210)가 형성되며, 지지부(210)의 하단에 지지부(210)와 일체되는 결합부(220)가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220)는 지지부(210)의 하단에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는데, 결합부(220)에는 중공 형태의 결합공(221)이 형성될 수 있다.The lower stripper 200 is formed with a support portion 210 capable of supporting the rolled material P while the upper surface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end of the rolled material P, and integrated with the support portion 210 at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portion 210. Coupling portion 220 may be formed. Coupling portion 220 is formed to protrude to the bottom of the support portion 210, the coupling portion 220 may be a coupling hole 221 of the hollow form.

스트리퍼 홀더(300)는 하단스트리퍼(200)와 결합이 가능한 몸체(310)와 몸체(310)를 지지하는 받침부(320)를 구비할 수 있다.The stripper holder 300 may include a body 310 that can be coupled to the lower stripper 200 and a support 320 that supports the body 310.

몸체(310)는 하단스트리퍼(200)의 하단에 배치되어 하단스트리퍼(200)와 결합되는 부분일 수 있다. 몸체(310)는 하단스트리퍼(200)를 지지할 수 있다. The body 310 may be a portion that is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bottom stripper 200 and coupled to the bottom stripper 200. The body 310 may support the lower stripper 200.

받침부(320)는 몸체(310)의 하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몸체(310)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받침부(320)의 상단에서 몸체(310)가 수평하게 이동할 수 있는 레일 등이 형성될 수 있다. 받침부(320)는 몸체(310)의 하단에 형성된 홈과 대응하는 상단의 형상을 구비하여, 몸체(310)에 끼워진 상태에서 압연재(P)의 토출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The support 320 may be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310 to support the body 310. In addition, a rail or the like in which the body 310 may move horizontally may be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320. Support portion 320 has a shape of the upper end corresponding to the groove formed in the lower end of the body 310, it can mov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rolling material (P) in the state fitted to the body (310).

또한, 스트리퍼 홀더(300)에는 수직조절부(330)와, 중심조절부(340)와, 수평조절부(350)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ripper holder 300 may be formed with a vertical adjustment unit 330, a central adjustment unit 340, and a horizontal adjustment unit 350.

수직조절부(330)는 하단스트리퍼(200)를 상하방향으로 수직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작동부(331)와, 스크류(333)로 구성될 수 있다. The vertical adjuster 330 may move the lower stripper 200 vertically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may include an operating part 331 and a screw 333.

작동부(331)는 받침부(320)의 하단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받침부(320)와 일체될 수 있다. 작동부(331)는 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어 있는 형태일 수 있다. 내부에 형성된 중공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중공은 작동부(331)를 관통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작동부(331)의 길이방향을 따라 내부에 일정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The operation part 331 is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part 320 and may be integrated with the support part 320. The operation part 331 may be formed to be elongated downward and have a hollow formed therein. The hollow formed therein may have a thread formed therein. The hollow may be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therei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perating portion 331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penetrate the operating portion 331.

스크류(333)는 작동부(331)에 형성된 중공에 대응되어 결합되는 것으로서 스크류(333)를 작동부(331)보다 긴 길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크류(333)는 일측 끝단은 작동부(331)에 형성된 중공에 삽입되고, 반대편 끝단은 바닥인, 작업대 등의 수평한 면에 접하여 놓여질 수 있다. 스크류(333)를 내부로 삽입하면 받침부(320)가 아래쪽으로 내려오고, 스크류(333)를 작동부(331)의 중공에서 토출되도록 하면 작동부(331)에 고정 결합된 받침부(320)가 상방향으로 올라가게 될 수 있다.The screw 333 is coupled to correspond to the hollow formed in the operating unit 331, it is preferable that the screw 333 has a longer length than the operating unit 331. One end of the screw 333 is inserted into the hollow formed in the operating portion 331, the other end may be placed in contact with a horizontal surface, such as a workbench, which is the bottom. When the screw 333 is inserted into the base, the support 320 is lowered, and when the screw 333 is discharged from the hollow of the actuator 331, the support 320 is fixedly coupled to the actuator 331. May rise upwards.

중심조절부(340)는 생산되는 압연재(P)의 폭이 변화하는 등의 이유로 압연재(P)의 무게중심이 변경되었을 때, 하단스트리퍼(200)를 압연재(P)의 무게중심에 재배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중심조절부(340)는 하단스트리퍼(200)와 고정 결합된 스트리퍼 홀더(300)의 몸체(310) 자체를 압연재(P)의 토출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밀거나 당겨주는 것일 수 있다. 결과적으로 중심조절부(340)는 하단스트리퍼(200)를 압연재(P)의 토출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중심조절부(340)는 나사산형성부(341)와 중심조절나사(343)로 구성될 수 있다.When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rolled material (P) is changed due to the change in the width of the rolled material (P) produced, etc., the center adjusting unit (340) moves the lower stripper (200) to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rolled material (P). It may be to be able to relocate. The center adjusting unit 340 may push or pull the body 310 itself of the stripper holder 300 fixedly coupled to the lower stripper 200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rolling material P. As a result, the center adjusting unit 340 may be to move the lower stripper 200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rolling material (P). The central adjustment unit 340 may be composed of a thread forming unit 341 and the center adjustment screw (343).

나사산형성부(341)는 몸체(310)의 하단 위치하며, 몸체(310)와는 고정되어 있지 않은 것일 수 있다. 나사산형성부(341)는 받침부(320)의 상측에 위치하여 받침부(320)와는 볼트 등으로 결합될 수 있다. 나사산형성부(341)에는 측면에 입구가 형성되어 나사산형성부(341)를 관통하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나사산형성부(341)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홈은 몸체(310)에 형성된 조절홈까지 이어질 수 있다. 홈은 나사산형성부(341)와 몸체(310)의 측면에서 시작하여 중심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홈의 내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스크류(333) 등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The thread forming portion 341 is positioned at the bottom of the body 310 and may not be fixed to the body 310. The thread forming portion 341 may be positioned above the base portion 320 and may be coupled to the base portion 320 by a bolt or the like. The thread forming portion 341 may have an inlet formed at a side thereof, and a groove penetrating the thread forming portion 341 may be formed. The groove formed through the thread forming portion 341 may extend to the adjustment groove formed in the body 310. The groove may be formed along the direction toward the center starting from the side of the thread forming portion 341 and the body 310. A thread is formed in the groove to allow the screw 333 or the like to be inserted therein.

중심조절나사(343)는 나사산형성부(341)의 홈을 관통하여 몸체(310)에 형성된 조절홈(345)으로 삽입과 토출이 가능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중심조절나사(343)는 홈에 형성된 나사산에 대응되는 형상의 볼트 형태일 수 있다. 중심조절나사(343)는 나사산형성부(341)의 외부로 일부가 돌출된 형태로 중심조절나사(343)를 돌려 몸체(31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상세하게 나사산형성부(341)는 받침부와 고정되어 있고, 몸체(310)는 받침부 상단을 따라 이동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나사산형성부(341)를 관통한 중심조절나사(343)가 몸체(310) 내부에 형성된 조절홈(345)에 삽입되었다 토출되었다 하면서 몸체(310)를 압연재 토출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The center adjustment screw 343 may be inserted into and discharged from the adjustment groove 345 formed in the body 310 by penetrating the groove of the thread forming portion 341. Specifically, the center adjustment screw 343 may be a bolt shape of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thread formed in the groove. The center adjusting screw 343 may adjust the position of the body 310 by turning the center adjusting screw 343 in a form in which a part of the center forming screw 341 protrudes outward. In detail, the thread forming portion 341 is fixed to the support portion, and the body 310 is movable along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portion. Therefore, the center adjusting screw 343 penetrating the thread forming portion 341 is inserted into the adjusting groove 345 formed inside the body 310, and the body 310 is moved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rolling material discharge direction while being discharged. You can.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연재 이송 가이드 장치의 일부의 모습을 상세하게 나타낸 확대도이다.Figure 4 is an enlarged view showing in detail the part of the rolling material conveyance guid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연재 이송 가이드 장치의 수평조절부(350)에 대한 상세한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horizontal adjustment unit 350 of the rolled material conveyance guid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s follows.

수평조절부(350)는 하단스트리퍼(200)를 수평방향으로 움직여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수평조절부(350)는 핀홀(351)과 핀(353)과 수평조절축(355)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Horizontal adjustment unit 350 is to be able to adjust the position by moving the lower stripper 20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horizontal adjustment unit 350 may include a pinhole 351, a pin 353, and a horizontal adjustment shaft 355.

핀홀(351)은 몸체(310)에 형성되는 구멍일 수 있는데, 핀홀(351)은 몸체(310)에 형성된 삽입부(311)가 몸체(310) 외부와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구멍일 수 있다. 삽입부(311)는 몸체(310)의 상단 일측에 결합부(220)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것일 수 있다. 삽입부(311)는 몸체(310)의 상단에 결합부(220)가 삽입될 수 있는 홈의 형태일 수 있다. 삽입부(311)는 결합부(220)가 삽입되었을 때 결합부(220)가 수평방향으로 일정 간격만큼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부(220)의 폭보다 긴 폭을 가지는 홈일 수 있다. 핀홀(351)은 어떠한 형태로든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핀홀(351)은 사각형이나 원형 등이 모두 가능하다.The pinhole 351 may be a hole formed in the body 310, the pinhole 351 may be a hole formed so that the insertion portion 311 formed in the body 310 communicates with the outside of the body 310. Insertion portion 311 may be to form a space in which the coupling portion 220 can be inserted on one side of the upper end of the body (310). Insertion portion 311 may be in the form of a groove in which the coupling portion 220 can be inserted into the upper end of the body (310). The insertion part 311 may be a groove having a width longer than the width of the coupling part 220 so that the coupling part 220 may move by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hen the coupling part 220 is inserted. The pinhole 351 may be in any form. In detail, the pinhole 351 may be a quadrangle or a circle.

핀(353)은 핀홀(351)에 삽입되는 것일 수 있다. 핀(353)은 하단스트리퍼(200)와 스트리퍼 홀더(300)를 연결할 수 있는 역할을 하는 것일 수 있다. 핀(353)은 하단스트리퍼(200)에 형성된 결합공(221)과 스트리퍼 홀더(300)에 형성된 핀홀(351)을 결합하여 결과적으로 하단스트리퍼(200)와 스트리퍼 홀더(300)를 결합시킬 수 있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몸체(310)에 형성된 삽입부(311)에 하단스트리퍼(200)의 결합부(220)가 삽입되면, 삽입부(311)가 외부로 통하도록 형성된 핀홀(351)과 결합부(220)에 형성된 결합공(221)이 일직선상에 놓일 수 있다. 이와 같이, 핀(353)은 삽입부(311)에 결합부(220)가 삽입되어 일직선상에 놓여진 핀홀(351)과 결합공(221)을 관통하여 꽂히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핀(353)에 의하여 하단스트리퍼(200)와 스트리퍼 홀더(300)가 결합될 수 있다. The pin 353 may be inserted into the pinhole 351. The pin 353 may serve to connect the lower stripper 200 and the stripper holder 300. The pin 353 may combine the coupling hole 221 formed in the lower stripper 200 and the pin hole 351 formed in the stripper holder 300, and as a result, may combine the lower stripper 200 and the stripper holder 300. It may be. Specifically, when the coupling portion 220 of the lower stripper 20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ortion 311 formed in the body 310, the pin hole 351 and the coupling portion 220 formed so that the insertion portion 311 passes through the outside. Coupling hole 221 formed in the) may be placed in a straight line. As described above, the pin 353 is inserted through the pin hole 351 and the coupling hole 221 placed in a straight line by inserting the coupling portion 220 into the insertion portion 311. As a result, the lower stripper 200 and the stripper holder 300 may be coupled by the pins 353.

핀(353)은 핀홀(351)의 직경보다 작은 지름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핀(353)과 핀홀(351)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어 핀(353)이 핀홀(351)에서 일정 정도 이동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The pin 353 may be formed to have a diameter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pinhole 351. A space may be formed between the pin 353 and the pinhole 351 to allow the pin 353 to move to a certain extent in the pinhole 351.

핀(353)의 직경은 결합공(221)과 유격이 생기지 않는 정도의 지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핀(353)은 몸체(310)의 외부에서 핀홀(351)을 통과하여 결합공(221)에 끼워진다. 이때 결합공(221)과 핀(353)의 지름이 동일하면 핀(353)과 결합공(221)은 단단히 결합될 수 있다. 즉, 핀(353)은 하단스트리퍼(200)와 스트리퍼 홀더(300)를 결합시키되, 하단스트리퍼(200)에 형성된 결합공(221)과는 유격이 없이 고정되도록 결합됨으로써, 하단스트리퍼(200)와 일체가 되는 것과 동일하게 설치되는 것이다.The diameter of the pin 353 may be a diameter such that a gap does not occur with the coupling hole 221. Specifically, the pin 353 passes through the pin hole 351 from the outside of the body 310 to be fitted into the coupling hole 221. At this time, if the diameter of the coupling hole 221 and the pin 353 is the same, the pin 353 and the coupling hole 221 may be firmly coupled. That is, the pin 353 is coupled to the lower stripper 200 and the stripper holder 300, but is coupled to be fixed to the coupling hole 221 formed in the lower stripper 200 without play, thereby the lower stripper 200 and It is installed in the same way as being one.

수평조절축(355)은 몸체(310)의 외부에서 핀홀(351)을 통과하여 핀(353)의 내부에 일체되도록 형성되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막대의 형상일 수 있다. 몸체(310)에는 수평조절축(355)이 삽입될 수 있는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수평조절축(355)이 형성되는 통로의 입구는 압연롤(R)이 형성된 방향을 지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평조절축(355)은 압연롤(R)이 위치한 방향인 몸체(310)의 앞쪽에서 핀홀(351)을 통과하고 핀홀(351) 내부에 삽입되어 결합공(221)과 고정된 핀(353)의 내부까지 이어지는 볼트의 형태일 수 있다. 몸체(310)의 외부에서는 볼트에 대응하는 너트가 있어 너트를 돌려 볼트를 조이고 푸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몸체(310)에 수평조절축(355)이 삽입되는 통로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수평조절축(355)의 외측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맞물리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평조절축(355)은 핀(353)을 관통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핀(353)의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수평조절축(355)이 볼트의 형태인 경우, 몸체(310) 외부에 수평조절축(355)이 몸체(310) 외부에서 핀홀(351)을 관통하여 핀(353) 내부까지 이어졌을 때, 핀(353)과 핀홀(351)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탄성부재(357)가 더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탄성부재(357)는 수평조절축(355)의 외부를 감싸면서 핀(353)과 핀홀(351)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용수철 등일 수 있다. 물론 수평조절축(355)은 볼트와 너트의 형태가 아니라, 일정 간격으로 구멍이 형성된 막대의 형상으로, 원하는 길이만큼 당기거나 밀어서 구멍에 막대 등을 끼워넣어 몸체(310) 외부에서 고정하는 형태 등으로 다양한 실시가 가능하다.
The horizontal adjustment shaft 355 may be in the shape of a rod elong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ormed to pass through the pinhole 351 from the outside of the body 310 to be integrated into the inside of the pin 353. The body 310 may be formed with a passage through which the horizontal adjustment shaft 355 can be inserted. The inlet of the passage where the horizontal adjustment shaft 355 is formed may be direct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rolling roll (R) is formed. Specifically, the horizontal adjustment shaft 355 passes through the pin hole 351 in the front of the body 310 in the direction of the rolling roll (R) is inserted into the pin hole 351 is fixed to the coupling hole 221 and the pin It may be in the form of a bolt leading to the inside of (353). Outside of the body 310 there is a nut corresponding to the bolt to turn the nut to tighten and loosen the bolt. A thread is formed in the passage through which the horizontal adjustment shaft 355 is inserted into the body 310 to be engaged with the thread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rizontal adjustment shaft 355. The horizontal adjustment shaft 355 may be installed to be inserted and fixed inside the pin 353 within a range not penetrating the pin 353. When the horizontal adjusting shaft 355 is in the form of a bolt, when the horizontal adjusting shaft 355 outside the body 310 passes through the pin hole 351 from the outside of the body 310 to the inside of the pin 353, the pin An elastic member 357 may be further formed in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353 and the pinhole 351. In detail, the elastic member 357 may be a spring formed to surround the outside of the horizontal adjustment shaft 355 to be located in a space between the pin 353 and the pin hole 351. Of course, the horizontal adjustment shaft 355 is not in the form of bolts and nuts, but in the shape of a bar formed with holes at a predetermined interval, such as a shape to fix the outside of the body 310 by inserting a rod into the hole by pulling or pushing the desired length. Various implementations are possible.

상기와 같은 압연재 이송 가이드 장치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Such a rolling material conveying guide device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 above embodiments may be configured such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selectively combining all or part of the embodiments.

100: 상단스트리퍼 110: 고정축
200: 하단스트리퍼 200a: 제 1스트리퍼
200b: 제 2스트리퍼 210: 지지부
220: 결합부 221: 결합공
300: 스트리퍼 홀더 310: 몸체
311: 삽입부 320: 받침부
330: 수직조절부 331: 작동부
333: 스크류 340: 중심조절부
341: 나사산형성부 343: 중심조절나사
350: 수평조절부 351: 핀홀
353: 핀 355: 수평조절축
357: 탄성부재
100: upper stripper 110: fixed shaft
200: lower stripper 200a: first stripper
200b: second stripper 210: support portion
220: coupling portion 221: coupling hole
300: stripper holder 310: body
311: inserting portion 320: support portion
330: vertical adjustment unit 331: operating unit
333: screw 340: center control unit
341: thread forming portion 343: center adjustment screw
350: horizontal adjustment unit 351: pinhole
353: pin 355: leveling shaft
357: elastic member

Claims (12)

압연롤 사이를 통과한 압연재의 하단을 지지하는 하단스트리퍼; 및
상기 하단스트리퍼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하단스트리퍼를 지지하는 몸체와 받침부를 구비하고, 상기 몸체에 상기 하단스트리퍼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수평조절부 및 수직조절부가 형성된 스트리퍼 홀더;를 포함하며,
상기 수평조절부는, 상기 몸체에 외부와 통하도록 관통 형성된 핀홀과, 상기 핀홀에 삽입되는 핀 및 상기 몸체의 외부에서 상기 핀홀과 상기 핀의 내부까지 이어지는 수평조절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압연재 이송 가이드 장치.
A lower stripper for supporting a lower end of the rolling material passed between the rolling rolls; And
And a stripper holder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lower stripper, the body supporting the lower stripper and a supporting portion, and having a horizontal adjusting portion and a vertical adjusting portion formed on the body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lower stripper.
The horizontal adjustment portion, the pin hole is formed through the body to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the pin is inserted into the pin hole and the horizontal adjustment shaft made from the outside of the body to the pin hole and the inside of the pin, rolling material transfer guide device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단스트리퍼는,
상기 압연재의 하단과 접하여, 상기 압연재가 하방향으로 휘어지지 않게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몸체에 삽입되는 형태로, 상기 지지부와 상기 스트리퍼 홀더를 연결하도록 내외부를 관통하는 결합공이 형성된 결합부;를 포함하는, 압연재 이송 가이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ower stripper is,
A support part in contact with a lower end of the rolled material to support the rolled material in a downward direction; And
And a coupling part integrally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support part and inserted into the body and having a coupling hole penetrating an inner and an outer part so as to connect the support part and the stripper hold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트리퍼 홀더는,
상기 하단스트리퍼를 금속판재의 토출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중심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압연재 이송 가이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ripper holder,
Rolling material transfer guide device further comprising a center control unit for moving the lower strippe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metal sheet.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직조절부는,
상기 받침부의 하단에 형성되며, 내부에 스크류가 삽입될 수 있는 통로가 형성된 작동부; 및
상기 작동부에 형성된 상기 통로에 삽입되는 스크류;로 형성되는, 압연재 이송 가이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vertical adjustment unit,
An operation part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support part and having a passage through which a screw can be inserted; And
And a screw inserted into the passage formed in the operation part.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몸체 상단 일측에는,
상기 결합부가 삽입가능한 삽입부가 형성되는, 압연재 이송 가이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n one side of the upper body,
Rolling material transfer guide device is formed, the insert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portion.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상기 결합부가 삽입되었을 때, 상기 결합부가 상기 삽입부 내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결합부의 폭보다 길이가 긴 폭을 갖도록 형성되는, 압연재 이송 가이드 장치.
The method of claim 6,
The insertion portion
When the coupling portion is inserted, the coupling member is formed to have a width longer than the width of the coupling portion, so that the coupling portion is movabl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side the insertion portion.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중심조절부는,
상기 몸체의 하단에 고정 결합되며, 상기 압연재의 토출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 홈을 구비한 나사산형성부; 및
상기 홈에 대응되어 삽입될 수 있는 나사산이 형성된 중심조절나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재 이송 가이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The center control unit,
A thread forming portion fixedly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body and having a groove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rolled material; And
Rolling material transfer guid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center adjustment screw formed with a thread that can be inserted corresponding to the groov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핀은,
상기 몸체에 상기 하단스트리퍼의 일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몸체와 상기 하단스트리퍼를 관통하여 상기 핀홀을 통해 끼워지는, 압연재 이송 가이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in,
Rolled material conveying guide device is inserted through the pin hole through the body and the lower stripper in a state that a portion of the lower stripper is inserted into the body.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핀홀은,
상기 핀의 직경보다 큰 지름을 갖는 것으로, 상기 핀과 상기 핀홀의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재 이송 가이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inhole is,
Rolling material transfer guide device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pin, a space is formed between the pin and the pin hole.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공간에는, 탄성부재가 더 형성되는, 압연재 이송 가이드 장치.
The method of claim 10,
An elastic member is further formed in the space, the rolling material conveyance guide device.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핀은,
상기 결합공과 유격이 없도록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재 이송 가이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pin,
Rolling material transfer guid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tting hole so as not to play with the play.
KR1020100094648A 2010-09-29 2010-09-29 Guide device for transfering rolled steel KR10127769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4648A KR101277697B1 (en) 2010-09-29 2010-09-29 Guide device for transfering rolled ste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4648A KR101277697B1 (en) 2010-09-29 2010-09-29 Guide device for transfering rolled stee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3051A KR20120033051A (en) 2012-04-06
KR101277697B1 true KR101277697B1 (en) 2013-06-21

Family

ID=46135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4648A KR101277697B1 (en) 2010-09-29 2010-09-29 Guide device for transfering rolled stee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7697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39109A (en) * 1979-04-17 1980-10-30 Kawasaki Steel Corp Guide plate unit of rolling mill
JPH09276919A (en) * 1996-04-16 1997-10-28 Nippon Steel Corp Method for automatically operating side guide of rolling mill
KR100514137B1 (en) * 2003-07-04 2005-09-08 아이앤아이스틸 주식회사 stripper for the mill
KR20100060266A (en) * 2008-11-27 2010-06-07 현대제철 주식회사 Supporter of stripper for the mill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39109A (en) * 1979-04-17 1980-10-30 Kawasaki Steel Corp Guide plate unit of rolling mill
JPH09276919A (en) * 1996-04-16 1997-10-28 Nippon Steel Corp Method for automatically operating side guide of rolling mill
KR100514137B1 (en) * 2003-07-04 2005-09-08 아이앤아이스틸 주식회사 stripper for the mill
KR20100060266A (en) * 2008-11-27 2010-06-07 현대제철 주식회사 Supporter of stripper for the mil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3051A (en) 2012-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8503349A (en) Cold roll forming equipment
JP2011073088A (en) Pipe cutting tool
KR101277697B1 (en) Guide device for transfering rolled steel
KR200355399Y1 (en) Side Roller Stand for Pipe Making Machine
KR101353890B1 (en) Apparatus for moving of rest bar
CN213763546U (en) Forming mechanism for machining angle of hanging roller for cold roll forming machine
KR20100041876A (en) Device for adjusting the distance of a stripper chisel
CN103451740B (en) A kind of LED alloying furnace Jin Zhou mechanism
KR102258563B1 (en) Pipe forming roller and pip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in pipe manufacturing system
KR200364267Y1 (en) supporter of sripper guide for the mill
KR101129891B1 (en) apparatus for mounting a stipper of rolling mill
JP5173975B2 (en) Sliding member for rails and bars
JP2015226929A (en) Roll screw-down device
KR101051300B1 (en) Roller support
CN203737730U (en) Adjusting device used for supporting guiding device of vertical rolling mill
CN211539014U (en) Optical element wire drawing straightening device for metal material processing
CN219683644U (en) Steel plate bending tool
JP3829299B2 (en) Correction piece adjusting device for press mold
CN203498508U (en) Boat feeding mechanism of LED (Light Emitting Diode) alloy furnace
US3653244A (en) Bending and twisting fixture
KR101224944B1 (en) Top stripper for adjusting a level easily
KR20120132902A (en) Guide device for transfering
KR200438050Y1 (en) Connecting structure for shear hanger
KR101424433B1 (en) Transferring apparatus for fuel and raw material
KR20240010189A (en) Apparatus For Bending Correct Of Rolling Mil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