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7345B1 - 구지뽕을 활용한 굼벵이 사육 방법 및 구지뽕으로 사육된 굼벵이 - Google Patents

구지뽕을 활용한 굼벵이 사육 방법 및 구지뽕으로 사육된 굼벵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7345B1
KR101277345B1 KR1020110015156A KR20110015156A KR101277345B1 KR 101277345 B1 KR101277345 B1 KR 101277345B1 KR 1020110015156 A KR1020110015156 A KR 1020110015156A KR 20110015156 A KR20110015156 A KR 20110015156A KR 101277345 B1 KR101277345 B1 KR 1012773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jippong
slugs
breeding
plantation
slu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51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95686A (ko
Inventor
조영손
윤철호
Original Assignee
윤철호
조영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철호, 조영손 filed Critical 윤철호
Priority to KR10201100151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7345B1/ko
Publication of KR201200956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56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73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73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0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or modified breeds of animals
    • A01K67/033Rearing or breeding invertebrates; New breeds of invertebrat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구지뽕 재배지에서 굼벵이 또는 흰점박이 꽃무지를 사육하거나, 굼벵이 또는 흰점박이 꽃무지 사육지에 구지뽕을 먹이로 투입함으로써 상기 굼벵이 또는 상기 흰점박이 꽃무지를 사육하는 굼벵이 사육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사육된 굼벵이를 기재한다.

Description

구지뽕을 활용한 굼벵이 사육 방법 및 구지뽕으로 사육된 굼벵이{BREEDING METHOD OF CICADA LARVA USING CUDRANIA TRICUSPIDATA AND CICADA LARVA BREEDED BY CUDRANIA TRICUSPIDATA}
본 발명은 굼벵이 사육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하여 사육된 굼벵이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구지뽕을 먹이로 활용한 굼벵이 사육 방법 및 구지뽕으로 사육된 굼벵이에 관한 것이다.
구지뽕의 후라보노이드계 성분이 암세포의 성장을 저해하는 효과가 탁월하며 항암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구지뽕 나무를 이용한 후라보노이드계 항암물질의 연구가 활발한 실정이다. 구지뽕의 성분으로서 후라보노이드계의 모린, 루틴, 모르찐 등은 각종 암에 좋은 성분들로써 항암 효과가 탁월하다. 그 밖에도 구지뽕에는, 아스파라긴산, 글루타민산, 리보플라빈 등의 성분과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C가 다량 함유되어 있다.
굼벵이는 풍뎅이과에 속하는 곤충의 애벌레를 일컫는다. 시장에서 거래되고 있는 굼벵이의 대부분은 흰점박이 꽃무지 애벌레로, 일부 농가에서는 대량으로 사육하고 있다. 흰점박이 꽃무지는 몸길이가 17~24mm로 약간 편평하며, 광택 있는 검정 구릿빛을 띠고 황백색 무늬가 흩어져 있다. 흰점박이 꽃무지의 애벌레인 굼벵이는 약으로 많이 쓰이며, '동의보감'에는 사람의 간에서 비롯되는 질병 즉, 간암, 간경화, 간염, 누적된 피로 해소 등을 포함하여 시력 감퇴, 백내장, 악성 종기, 구내염, 파상풍, 중풍 등의 성인병을 치료하는 데 효과가 있다고 적혀 있다.
도 1은 종래의 퇴비를 활용한 일반적인 굼벵이 사육 장면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2는 종래의 참나무 부산물을 활용한 일반적인 굼벵이 사육 장면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3은 종래의 굼벵이 사육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굼벵이 사육지에서의 폐사 장면을 촬영한 사진이다.
일반적인 흰점박이 꽃무지의 사육 방법은 참나무와 여기에 여러 가지 영양 요소를 가미한 물질을 발효시켜 유충을 사육한다. 성충 1마리가 놓는 알의 수는 보통 130~150개 정도이고, 성충이 산란후 약 10여일 경과 후 부화하는데 그때 온도는 25℃~30℃ 사이가 바람직하고, 습도는 65%~70%가 바람직하다. 실내 누대 사육에서 좋은 품질의 종을 만들려면 다른 지역의 사육농가와 교환 순환 교배를 시키면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부화는 성충의 우화 후 약 1주일 뒤부터 교미를 한 후 10일 정도 후부터 산란을 시작하며 노지에서는 6월경부터 8월까지 우화한다.
알에서 부화한 유충은 곧바로 발효 톱밥을 먹고 자라며 1령은 약 12일, 2령은 19일, 3령은 39일, 번데기 36일이 걸리는데, 흰점박이 꽃무지의 생활사를 조금씩 단축시키려면 온도를 33℃ 까지 서서히 올려주면 된다.
한편, 기존의 굼벵이 먹이원으로는 참나무 톱밥이 주로 사용되었으나, 참나무 톱밥의 사용은 산림의 훼손을 가져오는 문제와, 굼벵이 사료로 이용하기 위해서 참나무 톱밥을 50일 정도의 장시간 동안 발효시켜야 하는 사육 방법의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와 같은 삼림 생태계 훼손을 방지하려면 폐목이나, 과수원의 전정 작업 후 버려지는 전정목을 굼벵이 사료로 활용하는 방안을 생각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톱밥 사용에 의한 삼림 훼손 문제를 해결하는 1차적 목적에서 출발하여, 나아가 구지뽕의 약리 작용에 착안하여 구지뽕 또는 구지뽕의 폐목을 굼벵이 사료로 활용함으로써 구지뽕의 약리 작용이 굼벵이의 약리 효과에 더해진 효과적인 굼벵이 사육 방법과 이에 의하여 제조된 굼벵이를 제안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구지뽕 및 굼벵이의 약리 효과가 결합되어 상승 작용을 할 수 있도록 구지뽕을 먹이로 하여 사육된 굼벵이를 약재로 사용하여 구지뽕과 굼벵이의 중첩된 약효를 얻을 수 있다.
지금까지 알려진 구지뽕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가지에 가시가 있으며 소지에는 털이 있다. 잎은 3개로 갈라지는 것과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난형인 것이 있다. 꽃은 5~6월에 핀다. 가을에 익은 종자를 채취하여 과육은 제거한 후 직파하거나 노천에 매장하였다가 파종하면 당해년에 발아하기도 하고 2년째 발아하기도 한다. 나무 껍질와 뿌리는 약용으로 쓰거나 제지 원료, 염료로 쓰이고 잎은 뽕잎 대용이며 과실은 쨈을 만들거나 술을 담그기도 한다.
구지뽕 나무(Cudrania tricuspidata)에서 식물세포 배양에 의한 후라보노이드(Flavonoid)계 활성 물질인 Gericudranin A-D 물질을 추출하여 정제한 후 항균 활성, 항암 활성, 항바이러스 활성, 지질과산화 활성 등에 대한 효과에 대하여 연구한 바 있다(농촌진흥청, "구지뽕의 번식과 기능성 성분 분석 및 상품개발").
그러나, 구지뽕은 3년 이상이 되면 뿌리 썩음병이 다량 발생하기 때문에 구지뽕 자체의 생산성은 그리 좋은 편이 아니며, 구지뽕 재배시 근부병에 감염된 구지뽕은 방제 방법이 없기 때문에 근부병에 감염된 구지뽕을 굼벵이의 먹이로 사용함으로써 근부병에 감염된 구지뽕을 방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구지뽕 및 굼벵이의 약리 효과가 결합되어 상승 작용을 할 수 있도록 구지뽕을 먹이로 하여 사육된 굼벵이를 약재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하므로 구지뽕와 굼벵이의 중첩된 약효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구지뽕 재배시 근부병에 감염된 구지뽕은 방제 방법이 없기 때문에 근부병에 감염된 구지뽕을 굼벵이의 먹이로 사용함으로써 근부병에 감염된 구지뽕을 방제할 수 있다. 구지뽕을 먹이로 공급할 때 각종 짚류를 함께 공급함으로써 참나무 톱밥을 주 먹이원으로 하지 않아도 되므로 삼림 훼손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근부병에 걸린 썩은 구지뽕 뿌리는 굼벵이의 먹이 활동에 의하여 자연 제거되므로 구지뽕 재배지에서 근부병의 확산을 자연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건전한 구지뽕은 별도로 상품화할 수 있게 함으로써 구지뽕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고 농가의 소득 증대를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퇴비를 활용한 일반적인 굼벵이 사육 장면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2는 종래의 참나무 부산물을 활용한 일반적인 굼벵이 사육 장면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3은 종래의 굼벵이 사육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굼벵이 사육지에서의 폐사 장면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구지뽕 재배지의 생육 장면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굼벵이 사육 방법의 첫 번째 실시예로서, 구지뽕 재배지에 굼벵이를 도입하여 사육하는 장면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굼벵이 사육 방법의 두 번째 실시예로서, 10년생 구지뽕 뿌리를 굼벵이 사육지 표면에 먹이로 공급하는 장면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굼벵이 사육 방법의 두 번째 실시예에 대한 변형예로서, 굼벵이 사육지를 리빙 박스에 형성하여 실내외를 불문하고 사육할 수 있도록 한 장면을 촬영한 사진이다.
본 발명에서 '굼벵이'라 함은 그 대표적인 예로서 흰점박이 꽃무지(Protaetia brevitarsis)의 유충을 포함하며 딱정벌레 (Coleoptera) 유충으로 풍데이과 (Scarabaeidae)와 사슴벌레과 (Lucanidae)를 중심으로 한 곤충류의 유충을 포함하는 용어로 사용된다.
흰점박이 꽃무지는 알에서 부화하여 3령을 경과하여 번데기 방을 만든 후 우화하는 완전변태를 하는 곤충이다. 흰점박이 꽃무지는 알 11일, 유충 50일, 번데기 28일, 성충 40일 정도의 생활사를 가지고 있고, 성충을 분리하여 쌍으로 사육시 집단으로 사육하는 것보다 오래 사는 특징이 있다.
예로부터 흰점박이 꽃무지의 유충을 민간요법으로 많이 사용해 왔으며, 동의보감에서는 등을 땅에 기대고 하늘을 보며 기는 곤충이 제일 좋은 약재라고 했는데 그 곤충이 바로 흰점박이 꽃무지의 유충이다. 흰점박이 꽃무지는, 항암제, 간경화 치료제, 이뇨 작용제, 숙치 해소제, 자양 강장제로서 각광을 받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구지뽕 재배지의 생육 장면을 촬영한 사진이다. 최근에 구지뽕의 중요성이 인식되면서 구지뽕 재배면적이 크게 증가하고 있지만, 3년 이내의 약효가 미약하고 가격이 싼 구지뽕 생산이 대부분이다.
실제 구지뽕이 약효를 제대로 나타내기 위해서는 5년근 이상이 되어야 한다. 하지만 대부분의 농가에서는 3년 이상이 되면 뿌리 썩음병이 다량 발생하므로 5년 동안 이식 없이 한 장소에서 재배할 경우 30%의 생존을 기대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5년근 이상의 중생 또는 장생으로 구지뽕을 재배하고 이 구지뽕으로 굼벵이를 사육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실험 결과, 3년 이내의 어린 구지뽕의 뿌리에 대하여는 굼벵이 또는 흰점박이 꽃무지 유충이 활발한 먹이 활동을 하지 않으므로 실험 결과에 의하면 구지뽕에 대한 가해량도 미미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반면, 실험 결과 굼벵이 사육지에 중생 또는 장생 구지뽕의 뿌리나 줄기 등을 투입하여 사육하는 경우, 굼벵이가 활발한 먹이 활동을 하는 것은 물론, 중생/장생 구지뽕의 성숙한 약효가 굼벵이의 약효와 자연적으로 어우러져 약효 중첩 효과가 크게 강화됨을 관찰하였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구지뽕 및 굼벵이의 약리 효과가 결합되어 상승 작용을 할 수 있도록 구지뽕을 먹이로 사육된 굼벵이를 약재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주목적이다.
그 밖에 본 발명에 의하면, 구지뽕 재배지의 근부병 발생지의 구지뽕을 굼벵이의 먹이로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참나무 사육시에 비하여 삼림 훼손을 최소화하고, 썩은 구지뽕 뿌리는 굼벵이의 먹이 활동에 의하여 자연 제거되게 함으로써 구지뽕 재배지에서 근부병의 확산을 자연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건전한 구지뽕은 별도로 상품화할 수 있게 함으로써 구지뽕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굼벵이 사육 기술 및 약리 효과가 증강된 굼벵이가 제안된다. 구지뽕 먹은 굼벵이는 건강 보조제로 탁월한 효능을 갖는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는 크게 두 종류로서, 구지뽕 재배지에 굼벵이를 사육하는 첫 번째 실시예와 구지뽕 재배지가 아닌 제3의 장소에서 굼벵이를 사육하는 두 번째 실시예가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은 구지뽕 재배지의 주변에 짚이나 다양한 유기물로 된 퇴비 더미를 피복한다. 퇴비 더미를 만들어 두면 풍뎅이류의 기호성이 증가되므로 풍뎅이류가 구지뽕 재배지의 구지뽕 뿌리 근처에 서식하게 된다. 이에 따라, 퇴비 더미의 유기물은 굼벵이의 일반적인 먹이로 쓰이게 하고 근부병에 걸린 구지뽕 뿌리도 굼벵이의 먹이로 함께 활용할 수 있다. 즉, 구지뽕 재배지에 굼벵이의 서식이 개시되게 하거나 서식 밀도를 증가시키는 방법으로 굼벵이를 사육한다. 또한, 굼벵이 사육지에 인위적으로 구지뽕 뿌리를 투입하여 굼벵이류를 사육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굼벵이 사육 방법의 첫 번째 실시예로서, 구지뽕 재배지에 굼벵이를 도입하여 사육하는 장면을 촬영한 사진이다.
첫 번째 실시예는, 굼벵이 또는 그 성충(풍뎅이 또는 흰점박이 꽃무지)을 퇴비 등의 기호 물질을 이용하여 구지뽕 재배지에 서식하게 하고, 굼벵이 또는 그 성충이 구지뽕 재배지에 서식하는 구지뽕을 먹이로 삼도록 하는 사육 방법이다. 이 실시예는 크게 보아, 구지뽕 재배지를 조성하는 단계, 굼벵이 또는 그 성충을 구지뽕 재배지에 도입하는 단계, 구지뽕 재배지의 구지뽕을 먹여 굼벵이를 사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구지뽕은 한곳에 오래 재배하면 뿌리 썩음병(근부병)이 발생하므로 상품화가 어렵다. 이때, 굼벵이 또는 그 성충이 접근 가능한 곳에 구지뽕 재배지를 조성하면 굼벵이 또는 그 성충이 구지뽕 재배지에 알을 낳는다. 알은 구지뽕 재배지에 분포하는 구지뽕 또는 그 발효된 유기물을 먹이로 하며 굼벵이나 흰점박이 꽃무지로 사육된다.
즉, 구지뽕 재배지에서 4년생 미만의 중생 구지뽕 또는 4년생 이상의 장생 구지뽕을 재배할 때, 세균에 의하여 썩은 구지뽕 뿌리는 굼벵이의 먹이로 활용하고 건전한 구지뽕 뿌리는 구지뽕 상품으로 판매한다. 이로써, 구지뽕을 먹인 굼벵이의 획득 및 상품 구지뽕의 재배라는 일거양득의 효과를 얻는다.
첫 번째 실시예에 대한 구체적인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 단계로서, 구지뽕 재배지를 조성한다. 구지뽕 재배지에서 구지뽕의 생육이 어느 정도 진행된 후 근부병이 염려되는 시점에서 굼벵이 도입을 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구지뽕 재배지는 2~4년차 지로 조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단계로서, 2~4년차 지로 조성된 구지뽕 재배지에 굼벵이나 그 성충을 도입하기 위한 기호 물질을 살포한다. 기호 물질은 참나무 톱밥, 짚, 퇴비, 왕겨, 구지뽕 뿌리, 사과나 배 등의 당분을 포함한 과실, 셀룰로오스를 함유한 기타 유기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이때, 기호 물질은 구지뽕 재배지의 표면에 10~30cm 두께로 살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기호 물질의 적층에 의하여 구지뽕의 줄기나 잎이 가려지면 구지뽕의 광합성 및 호흡 작용이 방해를 받으므로 이를 방해하지 않는 두께로 기호 물질이 살포되어야 하고, 기호 물질에 물이 뿌려지면 기호 물질을 거쳐 그 하부의 구지뽕 재배지 표면까지 물이 쉽게 스며들 수 있어야 하며, 기호 물질을 발효시키는 세균의 원활한 공기 접촉성 및 수분 공급성을 확보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다양한 실험 결과 이러한 조건을 만족시키는 기호 물질의 살포 두께는 상기와 같이 10~30cm 두께인 것으로 최적화할 수 있다,
제3 단계로서, 구지뽕 재배지에 도입된 성충의 알에서 부화되거나 타 장소로부터 구지뽕 재배지로 도입된 굼벵이는 근부병에 걸린 구지뽕 뿌리를 먹고 사육된다.
그 밖에 제4 단계로서, 년차별로 굼벵이나 그 성충인 흰점박이 꽃무지의 서식 밀도를 높임으로써 굼벵이 생산성을 강화한다. 또한, 구지뽕 재배지 중에서 근부병이 발생한 위치에 영양 강화 물질을 집중 공급한다. 이는 근부병이 발생한 위치에 굼벵이의 먹이 활동 및 생장 활동을 집중시킴으로써 구지뽕 및 굼벵이 생산성 제고는 물론 구지뽕와 굼벵이의 중첩적 약리 작용을 배가시키기 위함이다.
굼벵이의 서식 밀도를 높이기 위하여 기호 물질 그 자체 또는 기호 물질의 영양 기능을 강화한 영양 강화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양 강화 물질은 베이스 물질과 첨가 물질로 구성된다. 베이스 물질은 기호 물질과 유사하게 참나무 톱밥, 짚, 퇴비, 왕겨, 구지뽕 뿌리, 사과나 배 등의 당분을 포함한 과실, 셀룰로오스를 함유한 기타 유기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첨가 물질은 비타민, 유지방, 당분이 함유된 젤리, 굼벵이 면역 증강 물질, 굼벵이 생장 촉진 물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영양 강화 물질의 조성비에 관한 예를 들면, 베이스 물질의 총중량 대비 첨가 물질이 10 중량% 미만이 되거나, 베이스 물질의 총중량 대비 50 중량% 이상의 수분이 첨가될 수 있다. 영양 강화 물질은 40℃ 이상에서 7일 이상 호기성 발효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영양 강화 물질의 살포 두께는 구지뽕 및 굼벵이의 생육에 방해가 되지 않고, 구지뽕 재배지의 수분 및 공기 침투성이 저하되지 않도록 기호 물질과 동등하거나 그보다 작은 10~30cm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굼벵이의 연차별로 영양 강화 물질의 조성비 또는 1회 투여량이 최적화되는 것이 굼벵이 생산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알이나 1령기 이하의 굼벵이는 영양 강화 물질의 투여량을 상대적으로 작게 2~3일에 1회 10~20 cm 두께로 하고, 3령기 이후에는 2~3일에 2회 이상 10~30cm 두께로 하며, 굼벵이가 탈피하면 굼벵이를 수확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굼벵이 사육 방법의 두 번째 실시예로서, 10년생 구지뽕 뿌리를 굼벵이 사육지 표면에 먹이로 공급하는 장면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시된 두 번째 실시예는, 구지뽕을 재배하지 않는 제3의 장소인 굼벵이 사육지에서 굼벵이를 사육하고, 4-7년생의 중생 구지뽕 또는 장생 구지뽕을 먹이로서 굼벵이 사육지의 표면이나 퇴비 더미 속에 공급하는 방식이다. 즉, 구지뽕 재배지가 아닌 제3의 장소로서 풍뎅이가 많이 접근하는 곳을 굼벵이 사육지로 삼아 굼벵이를 사육하는 방법이다.
발효된 참나무 톱밥, 짚, 보릿짚 등을 굼벵이 사육지에 살포하고, 근부병이 발생하거나 상품성이 낮은 구지뽕 뿌리를 살포 작업을 통하여 굼벵이 사육자에 먹이로 공급함으로써 구지뽕 먹은 굼벵이를 획득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굼벵이 사육 방법의 두 번째 실시예에 대한 변형예로서, 굼벵이 사육지를 리빙 박스에 형성하여 실내외를 불문하고 사육할 수 있도록 한 장면을 촬영한 사진이다.
리빙 박스에 굼벵이 사육지를 형성하면 실내외를 불문하고 굼벵이 사육이 가능한 장점이 있으며, 자연 재해에 의한 굼벵이 유실이나 병충해 등에 의한 굼벵이 유실을 방지할 수 있으며, 구지뽕 투입 시기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이때, 리빙 박스에 RF ID를 설치하여 년령차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굼벵이 사육 정보나 구지뽕의 투입 시기, 투입량, 투입 횟수 등을 포함하는 구지뽕 투입 정보를 기록해 두고, 리빙 박스가 수납되는 선반에는 리빙 박스에 설치된 RF ID의 정보를 리드-인 또는 리드-아웃할 수 있는 RF 안테나를 설치해두면 중앙의 메인 제어부에서 굼벵이 사육 정보 또는 구지뽕 투입 정보를 원격 제어할 수 있으므로 자동화된 무인 사육 장치의 구현도 가능하다.
즉, 굼벵이 또는 흰점박이 꽃무지 사육지를 리빙 박스에 형성한다. 리빙 박스에 RF ID를 설치한다. 굼벵이 또는 흰점박이 꽃무지의 사육 정보 및 구지뽕의 투입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RF ID에 기록한다. 리빙 박스가 수납되는 선반에는 상기 리빙 박스에 설치된 상기 RF ID의 정보를 리드-인 또는 리드-아웃할 수 있는 RF 안테나가 설치된다. 원격지의 메인 제어부에서 RF-ID 또는 RF 안테나를 억세스함으로써 굼벵이 사육 정보 또는 구지뽕 투입 정보를 원격 제어할 수 있도록 굼벵이 사육 방법을 자동화한다.
상기 2 가지의 모든 실시예는 뿌리 썩음병이 발생하거나 불량 환경에 처한 구지뽕을 구지뽕 재배지에서 서식하는 굼벵이 또는 굼벵이 사육지에서 서식하는 굼벵이의 먹이로 사용한다. 이에 따라서, 구지뽕과 굼벵이의 약리 효과를 중첩시키되, 건전한 구지뽕은 상품 구지뽕로 활용하고 근부병이 발생한 구지뽕은 굼벵이의 먹이로 활용한다.
또한, 근부병이 발생한 불량 구지뽕은 구지뽕 재배지에 서식하는 굼벵이의 자연적 먹이 활동에 의하여 제거되므로, 구지뽕 재배지에서 뿌리 썩음병의 확산이 방지되며, 구지뽕의 생산성이 향상되고, 구지뽕 먹은 굼벵이가 추가 소득원이 된다.
기호 물질 또는 영양 강화 물질을 구성하는 퇴비 더미 속에 있어서 발효 성숙이 덜된 미숙 퇴비는 초기에 50cm 이내의 두께를 유지하여야 발효 성숙시 퇴비의 적층 두께가 과다하게 증가되지 않고 퇴비 더미의 발효성 및 굼벵이 사육성이 향상된다.
기호 물질 또는 영양 강화 물질을 구성하는 퇴비 더미의 관리 방법에 있어서, 미숙 퇴비의 최하층은 굼벵이 재배지 또는 구지뽕 재배지의 표면과 접하게 한다. 반면에, 발효 성숙된 부숙(腐熟) 퇴비는 30cm 이내의 두께를 유지하도록 한다. 온도가 높은 여름철에는 퇴비 더미 주변의 온도를 낮추어 발효 속도를 조절하고, 온도가 낮은 겨울철에는 보온을 하면서 굼벵이를 사육한다.
굼벵이는 약효가 가장 뛰어난 3-4월경에 출하하며 구지뽕은 약효가 가장 뛰어난 11월경에 출하할 수 있도록 구지뽕 및 굼벵이의 사육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양한 실험예를 제시한다.
투입량(g/m2) 0 20 40 60 80 100
굼벵이 3.0 3.1 3.2 3.2 3.2 3.3
흰점박이꽃무지 1.0 1.0 1.1 1.2 1.2 1.3
표 1은 실내 사육조건에서 구지뽕 뿌리 급이에 따른 굼벵이와 흰점박이 꽃무지의 무게(g) 변화를 측정한 값이다. 즉, 구지뽕의 투입량을 달리하는 경우에 2달동안 굼벵이의 무게 변화를 측정하거나, 2 달 동안의 흰점박이 꽃무지의 무게 변화를 측정한 값이다. 이를 살펴보면, 흰점박이 꽃무지보다 굼벵이의 무게 변화량이 더 큰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구지뽕 투입량의 변화에 불구하고 굼벵이 또는 흰점박이 꽃무지의 먹이 활동은 급격한 증가세를 보이지는 않는 것으로 파악된다.
사육기간(주) 1 2 3 4 5 6
무처리 0.5 0.7 0.9 1.2 1.5 1.9
구지뽕
뿌리, 줄기
0.5 0.7 1.0 1.4 1.7 2.4
표 2는 실내 사육조건에서 구지뽕 뿌리 급이에 따른 굼벵이 개체당 무게 변화 양상(g/개체)을 측정한 값이다. 구지뽕을 먹이지 않은 무처리군에 비하여 구지뽕을 먹이로 공급한 대조군에서 개체당 무게 변화가 굼벵이 년차가 증가할수록 증가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구지뽕은 굼벵이의 생산성 증가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침을 확인할 수 있다.
사육기간(주) 1 2 3 4 5 6
무처리 0.3 0.4 0.6 0.8 1.0 1.2
구지뽕 뿌리, 줄기 0.3 0.4 0.7 1.0 1.2 1.4
표 3은 실내 사육조건에서 구지뽕 뿌리 급이에 따른 흰점박이 꽃무지의 개체당 무게 변화 양상(g/개체)을 측정한 값이다. 표 2의 굼벵이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흰점박이 꽃무지의 생산성 증가에 구비뽕이 긍정적 효과를 미침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일반적인 굼벵이 먹이인 참나무 톱밥만 먹고 자란 무처리군의 굼벵이에 비하여 구지뽕을 뿌리 또는 줄기를 먹고 자란 대조군의 굼벵이는 개체당 무게에 있어서 낮은 연차에서 동일하거나 그 이상이고 높은 연차에서는 확연하게 무게 증가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구지뽕은 굼벵이의 약효에 구지뽕의 약효를 중첩시키는 기능 이외에 굼벵이의 생장을 도와주는 효과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두께(cm) 10 20 30 40 50 60
굼벵이 15 35 68 63 61 59
흰점박이꽃무지 10 30 70 65 58 57
표 4는 구지뽕 재배 5년차 서식지 베드에서 기호 물질 또는 영양 강화 물질로 투입되는 참나무와 볏집의 두께별 굼벵이 서식 양상 (개체/m2)을 나타낸다. 살포 두께가 10~30cm 이내에 있을 때 서식 개체 분포가 양호함을 알 수 있다. 이 범위를 벗어나면 살포 두께 증가에 따라 개체 분포도 감소 추이에 있으므로 기호 물질 또는 영양 강화 물질의 살포 두께의 최적값은 10~30cm 이내로 밝혀졌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2)

  1. 구지뽕 재배지에서 굼벵이 또는 흰점박이 꽃무지를 사육하거나, 굼벵이 또는 흰점박이 꽃무지 사육지에 구지뽕을 먹이로 투입함으로써 상기 굼벵이 또는 상기 흰점박이 꽃무지를 사육하는 굼벵이 사육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지뽕 재배지를 조성하는 단계;
    상기 굼벵이 또는 상기 흰점박이 꽃무지를 상기 재배지로 도입하는 단계;
    상기 재배지에서 재배되면서 근부병에 걸린 상기 구지뽕을 상기 굼벵이 또는 상기 흰점박이 꽃무지에 먹여 상기 굼벵이 또는 상기 흰점박이 꽃무지를 사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굼벵이 사육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지뽕 재배지는 2~4년차 지로 조성되는 굼벵이 사육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굼벵이 또는 상기 흰점박이 꽃무지를 상기 재배지로 도입하기 위하여 상기 재배지에 상기 굼벵이 또는 상기 흰점박이 꽃무지의 기호 물질을 살포하는 굼벵이 사육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호 물질은 참나무 톱밥, 짚, 퇴비, 왕겨, 구지뽕 뿌리, 당분을 포함한 과실, 셀룰로오스를 함유한 유기물 중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기호 물질은 상기 재배지의 표면에 10~30cm 두께로 살포되는 굼벵이 사육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굼벵이 또는 상기 흰점박이 꽃무지를 상기 재배지로 도입하기 위하여 상기 재배지에 상기 굼벵이 또는 상기 흰점박이 꽃무지의 기호 물질을 살포하며,
    상기 재배지 중에서 상기 근부병이 발생한 위치에 영양 강화 물질을 집중 공급함으로써 상기 굼벵이 또는 상기 흰점박이 꽃무지의 서식 밀도를 높이고,
    상기 영양 강화 물질은 베이스 물질 또는 첨가 물질을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물질은 참나무 톱밥, 짚, 퇴비, 왕겨, 구지뽕 뿌리, 당분을 포함한 과실, 셀룰로오스를 함유한 유기물 중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첨가 물질은 비타민, 유지방, 당분이 함유된 젤리, 굼벵이 면역 증강 물질, 굼벵이 생장 촉진 물질 중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영양 강화 물질의 조성비로서, 상기 베이스 물질의 총중량 대비 상기 첨가 물질이 10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거나, 상기 베이스 물질의 총중량 대비 50 중량% 이상의 수분이 첨가되고,
    상기 영양 강화 물질은 40℃ 이상에서 7일 이상 호기성 발효 처리되며,
    상기 영양 강화 물질의 살포 두께는 상기 기호 물질의 살포 두께와 동등하거나 그보다 작으며 10~30cm 이내인 굼벵이 사육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참나무 톱밥, 짚, 보릿짚, 퇴비, 왕겨, 당분을 포함한 과실, 셀룰로오스를 함유한 유기물 중 하나를 상기 사육지에 살포하여 상기 굼벵이 또는 상기 흰점박이 꽃무지를 사육하는 단계;
    상기 사육지에 4~7년생의 중생 구지뽕 또는 장생 구지뽕를 상기 사육지의 표면이나 상기 사육지의 퇴비 더미 속에 공급함으로써 상기 사육지에 서식하는 상기 굼벵이 또는 상기 흰점박이 꽃무지의 먹이로 투입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굼벵이 사육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퇴비 더미 속에 상기 굼벵이 또는 상기 흰점박이 꽃무지를 도입한 후, 근부병이 발생하였거나 상기 근부병 발생 징후가 있는 상기 구지뽕을 상기 사육지에 먹이로 투입하거나,
    상기 사육지의 표면 또는 상기 사육지의 표면 속에 투입된 구지뽕를 상기 굼벵이 또는 상기 흰점박이 꽃무지의 먹이로 활용하거나,
    상기 구지뽕에 당류를 혼합하여 만든 젤리를 상기 사육지에 투입하여 상기 굼벵이 또는 상기 흰점박이 꽃무지의 먹이로 활용하는 굼벵이 사육 방법.
  9. 삭제
  10. 구지뽕 재배지에서 재배되면서 근부병에 걸린 상기 구지뽕을 먹고 사육되거나, 외부에서 재배되어 굼벵이 또는 흰점박이 꽃무지의 사육지에 투입되는 구지뽕을 먹고 상기 사육지의 굼벵이 또는 흰점박이 꽃무지가 사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지뽕으로 사육된 굼벵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구지뽕 재배지는 2~4년차 지로 조성되고,
    상기 재배지에 살포된 기호 물질에 의하여 굼벵이 또는 흰점박이 꽃무지가 상기 재배지에 도입되고,
    상기 재배지에 도입된 상기 굼벵이 또는 흰점박이 꽃무지는 상기 구지뽕을 먹고 자라며 상기 재배지에 알을 낳거나 상기 재배지에서 번식되고,
    상기 기호 물질은 참나무 톱밥, 짚, 퇴비, 왕겨, 구지뽕 뿌리, 당분을 포함한 과실, 셀룰로오스를 함유한 유기물 중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기호 물질은 상기 재배지의 표면에 10~30cm 두께로 살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지뽕으로 사육된 굼벵이.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굼벵이 또는 상기 흰점박이 꽃무지를 사육하기 위하여 상기 사육지에 참나무 톱밥, 짚, 보릿짚, 퇴비, 왕겨, 당분을 포함한 과실, 셀룰로오스를 함유한 유기물 중 하나가 살포되고,
    이와 함께 상기 사육지에 4~7년생의 중생 구지뽕 또는 장생 구지뽕이 상기 사육지의 표면이나 상기 사육지의 퇴비 더미 속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지뽕으로 사육된 굼벵이.
KR1020110015156A 2011-02-21 2011-02-21 구지뽕을 활용한 굼벵이 사육 방법 및 구지뽕으로 사육된 굼벵이 KR1012773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5156A KR101277345B1 (ko) 2011-02-21 2011-02-21 구지뽕을 활용한 굼벵이 사육 방법 및 구지뽕으로 사육된 굼벵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5156A KR101277345B1 (ko) 2011-02-21 2011-02-21 구지뽕을 활용한 굼벵이 사육 방법 및 구지뽕으로 사육된 굼벵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5686A KR20120095686A (ko) 2012-08-29
KR101277345B1 true KR101277345B1 (ko) 2013-06-20

Family

ID=46886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5156A KR101277345B1 (ko) 2011-02-21 2011-02-21 구지뽕을 활용한 굼벵이 사육 방법 및 구지뽕으로 사육된 굼벵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734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0962A (ko) 2015-04-09 2016-10-19 장현수 구지뽕과 콩을 이용한 건강식품의 제조방법
CN106234313A (zh) * 2016-08-11 2016-12-21 付道坤 一种低成本四季养殖金蝉的方法
CN108967367A (zh) * 2018-07-31 2018-12-11 王小艳 金蝉人工快速养殖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12387A (zh) * 2017-11-30 2018-04-17 窦琪瑛 提高金蝉产量的方法
CN107853252A (zh) * 2017-12-19 2018-03-30 陈永魁 一种金蝉的养殖方法
CN108477074A (zh) * 2018-01-23 2018-09-04 江泉儒 原生态立体种植养殖金蝉的方法
KR102230056B1 (ko) * 2019-08-20 2021-04-30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굼벅스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의 사육 방법
CN111345268B (zh) * 2020-03-09 2021-10-22 沧州市农林科学院 一种大田饲养白星花金龟幼虫的方法及幼虫和虫粪的应用
CN112931424A (zh) * 2021-04-09 2021-06-11 山东猴发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金蝉养殖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8541B1 (ko) * 1997-02-27 1999-11-01 박호군 흰점박이꽃무지(Protaetia brevitarsis)의 인공 사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377252B1 (ko) * 2000-08-04 2003-03-26 김도진 항암용 건강식품
KR100586921B1 (ko) * 2004-05-20 2006-06-08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초식가축의 사료섭취량 자동조사장치 및 방법
KR100937152B1 (ko) * 2009-06-16 2010-01-15 경상북도 예천군(예천군곤충연구소장) 뽕나무를 이용한 흰점박이꽃무지의 유충 및 성충의 사료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8541B1 (ko) * 1997-02-27 1999-11-01 박호군 흰점박이꽃무지(Protaetia brevitarsis)의 인공 사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377252B1 (ko) * 2000-08-04 2003-03-26 김도진 항암용 건강식품
KR100586921B1 (ko) * 2004-05-20 2006-06-08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초식가축의 사료섭취량 자동조사장치 및 방법
KR100937152B1 (ko) * 2009-06-16 2010-01-15 경상북도 예천군(예천군곤충연구소장) 뽕나무를 이용한 흰점박이꽃무지의 유충 및 성충의 사료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0962A (ko) 2015-04-09 2016-10-19 장현수 구지뽕과 콩을 이용한 건강식품의 제조방법
CN106234313A (zh) * 2016-08-11 2016-12-21 付道坤 一种低成本四季养殖金蝉的方法
CN108967367A (zh) * 2018-07-31 2018-12-11 王小艳 金蝉人工快速养殖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5686A (ko) 2012-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7345B1 (ko) 구지뽕을 활용한 굼벵이 사육 방법 및 구지뽕으로 사육된 굼벵이
KR101367984B1 (ko) 초롱꽃과 식물을 활용한 굼벵이 사육 방법 및 초롱꽃과 식물로 사육된 굼벵이
KR101466474B1 (ko) 약초의 재배방법
Maruza et al. Future prospects of Ziziphus mauritiana in alleviating household food insecurity and illnesses in arid and semi-arid areas: A review
CN110810117A (zh) 玉米秸秆-赤松茸-白星花金龟循环模式养殖方法
CN108703010A (zh) 一种猴头菇林下仿野生种植方法
Teketay et al. Traditional tree crop based agroforestry in coffee producing areas of Harerge, Eastern Ethiopia
Lim Sericulture training manual
Rajan et al. Prospective of tree lucerne in hilly areas for fodder, soil health and carbon sequestration: a review
KR101219937B1 (ko) 굼벵이 분변토를 포함한 식물 생장 촉진물 및 그 제조 방법
CN113100002A (zh) 一种大豆-豆丹一年三季种养模式
CN104351556A (zh) 一种人工养殖水牛混合饲料
Murugesan Sustainable food security: edible and medicinal mushroom
CN107624497A (zh) 一种室内鸡枞菌白蚁共生栽培方法
Ortiz Theobroma cacao L
CN106577533A (zh) 一种林下养鸡方法
Munshi et al. Button mushroom cultivation
CN105993551A (zh) 一种何首乌和鸭立体养殖的方法
Singh et al. Assessment of different organic supplements (pulses flour) on growth and yield of oyster mushrooms (Pleurotus djamor)
Kubkomawa et al. Fodder bank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for dry season maintenance of small scale livestock industry: A review
Huber et al. Diversity over time and space in enset landraces (Ensete ventricosum) in Ethiopia
CN111052979A (zh) 一种茶树修剪枝叶原位利用的茶园灵芝二次栽培方法
CN104137806A (zh) 一种边隙地养殖鸿雁的方法
CN113728906B (zh) 一种川芎芽苗菜的室内培育方法
Mazumdar et al. Relevance of assamese folk song, bihu geet in practicing natural farming in the traditional baree (homestead garden) system of Assam, Ind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