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7317B1 -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 - Google Patents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7317B1
KR101277317B1 KR1020120024472A KR20120024472A KR101277317B1 KR 101277317 B1 KR101277317 B1 KR 101277317B1 KR 1020120024472 A KR1020120024472 A KR 1020120024472A KR 20120024472 A KR20120024472 A KR 20120024472A KR 101277317 B1 KR101277317 B1 KR 1012773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ergy storage
storage device
frequency
load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44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진영
원동준
Original Assignee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244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73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73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73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38Arrangements for parallely feeding a single network by two or more generators, converters or transformers
    • H02J3/46Controlling of the sharing of output between the generators, converters, or transform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28Arrangements for balancing of the load in a network by storage of energy
    • H02J3/32Arrangements for balancing of the load in a network by storage of energy using batteries with convert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14Energy storage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은 계통과의 연계점에 연결되는 제1 에너지저장장치 및 상기 제1 에너지저장장치와 부하 사이에 연결되는 제2 에너지저장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에너지저장장치는 주파수 및 전압의 변동에 대응하여 앞 단 선로의 조류를 제어하는 조류 제어 모드로 운영되고, 상기 제2 에너지저장장치는 상기 주파수 및 전압의 변동에 대응되는 전력을 출력하는 출력 제어 모드로 운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MICROGRID SYSTEM}
본 발명은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계통과의 연결 유무에 따라 2개의 에너지저장장치의 협조 제어를 조절함으로써, 계통의 부담을 줄이면서 시스템의 신뢰도 및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마이크로그리드(Microgrid)는 지·단락 사고, 대규모 발전기 탈락 등의 심각한 사고 발생 시나 계획적으로 주 계통으로부터 분리하여 마이크로그리드(Microgrid) 내부 분산전원만으로 부하에 지속적인 전력 공급을 유지할 수 있는 소규모 전력 시스템이다. 마이크로그리드는 분산전원, 에너지저장장치, 부하로 구성되어 있으며, 마이크로그리드 내부의 신재생에너지원은 출력 변동이 심하기 때문에 마이크로그리드의 운영에 있어서 안정적인 전력 공급 전략이 필요하다.
분산전원의 제어 방법으로는 기존 화력 발전의 제어와 같은 원리로 주파수/전압 제어 모드(F/V control mode), 일정 출력 모드(Constant power mode), 드룹 제어 모드(Droop control mode)가 있다.
주파수/전압 제어 모드는 설정된 주파수 및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며 출력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계통 내 한 대의 분산전원이 운영될 경우 적합하며, 마이크로그리드 내부 부하의 총수요를 만족할 수 있는 능력을 보유하고 있어야 한다. 일정 출력 모드는 계통의 주파수 및 전압에 상관없이 마이크로그리드 에너지 관리 시스템(μ-EMS)에서 지령한 값으로 일정하게 출력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마이크로그리드에서는 열병합 발전의 목적으로 쓰이는 마이크로가스터빈이나 연료전지가 주로 채택하는 제어 방법이다. 드룹 제어 모드는 주파수 변동 및 전압 변동에 대하여 유효전력 및 무효전력 값의 기울기를 주는 방식으로 기존 화력 발전의 조속기와 같은 원리로 제어하는 방법이다.
드룹 제어 모드는 두 대 이상의 제어 가능한 전원이 연계되어 있을 경우, 부하 변동에 대하여 드룹 기울기에 따라서 자동적으로 각 전원들의 부하 분담률을 정해줄 수 있어 ‘헌팅 현상(Hunting effect)‘을 방지하고 안정적인 분산전원 운영이 가능하다.
드룹 제어 모드는 제어 위치에 따라 조류 제어 모드(Feeder Flow Control mode)와 출력 제어 모드(Unit Power Control mode)로 나눌 수 있다. 조류 제어 모드는 주파수 변동 및 전압 변동에 대하여 분산전원 앞 단 선로의 조류를 제어하는 방법이며, 출력 제어 모드는 주파수 변동 및 전압 변동에 대하여 분산전원의 출력을 제어하는 방법이다.
마이크로그리드 내부의 신재생에너지원과 능동적 부하는 변동이 심하고 예측 오차가 큰 특징을 가지고 있다. 또한, 계통과의 연계운영과 독립운전으로 변환 시 안정적인 운영 방안이 필요하다. 이러한 마이크로그리드의 특성을 고려하여 출원번호 제207-0094311호(명칭: 다수의 분산전원 및 에너지 저장장치를 포함하는 마이크로그리드의 제어 방법)에 기재된 바와 같이, 주 계통과 마이크로그리드의 연계점에 다른 분산전원보다 출력 동특성이 빠르고 충?방전이 가능한 에너지저장장치가 설치되었으며, 에너지저장장치는 드룹 제어를 통한 주파수 조정 및 전압 조정에 참여한다.
연계점에서의 조류 제어 모드는 독립운전으로 변경 시 드룹 계수에 의해 주파수가 변동하고, 별도의 주파수 회복 기능이 없으면 부하의 변동과 상관없이 변동된 주파수로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는 신재생에너지의 잦은 부하의 변동에 대해 주파수 변동을 최소로 하여 전력 품질을 향상할 수 있다. 하지만 계통연계 시 부하의 변동이 에너지저장장치의 최대 출력을 초과할 경우, 수급 균형을 담당하는 제어원의 부재에 대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연계점에서의 출력 제어 모드는 계통연계 시 에너지저장장치의 활용도가 적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계통과의 연결 유무에 따라 2개의 에너지저장장치간의 협조 제어를 조절함으로써, 계통의 부담을 줄이면서 시스템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일 측면에 따른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은, 계통과의 연계점에 연결되는 제1 에너지저장장치 및 상기 제1 에너지저장장치와 부하 사이에 연결되는 제2 에너지저장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에너지저장장치는 주파수 및 전압의 변동에 대응하여 앞 단 선로의 조류를 제어하는 조류 제어 모드로 운영되고, 상기 제2 에너지저장장치는 상기 주파수 및 전압의 변동에 대응되는 전력을 출력하는 출력 제어 모드로 운영될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에너지저장장치는 상기 조류 제어 모드로 운영되되, 상기 부하의 부하량이 상기 제1 에너지저장장치의 최대 전력 이상인 구간에서는 일정 출력 모드로 운영될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계통과 연계 운전하는 계통 연계 구간에서, 상기 제1 에너지저장장치의 최대 전력을 초과한 상기 부하의 부하량은 상기 계통이 담당할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계통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운전하는 독립 운전 구간에서, 상기 제1 에너지저장장치의 최대 전력을 초과한 상기 부하의 부하량은 상기 제2 에너지저장장치가 담당할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계통과의 연계에서 독립운전으로 변환되는 구간에서, 상기 제1 에너지저장장치는 상기 주파수 및 전압이 변동한 경우 변동된 주파수 및 전압을 상용주파수 및 상용전압으로 회복시키는 주파수/전압 회복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에너지저장장치에 의해 상기 변동된 주파수 및 전압이 상기 상용주파수 및 상용전압이 되면, 상기 제2 에너지저장장치의 출력은 0이 될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에너지저장장치의 앞 단 선로와 상기 제2 에너지저장장치의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앞 단 선로의 조류 변화량을 필터링하는 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에너지저장장치는 상기 필터로부터 입력되는 조류 변화량에 대응되는 전력을 출력하여 상기 제1 에너지저장장치와 협조 제어할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에너지저장장치는 BESS(Battery Energy Storage System)이고, 상기 제2 에너지저장장치는 슈퍼 커패시터일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계통과 마이크로그리드의 연결관계에 따라 제1 에너지저장장치 및 제2 에너지저장장치의 동작을 변경하여 2개의 에너지저장장치가 상호 협조 제어하도록 함으로써, 마이크로그리드 내의 에너지저장장치들 간의 출력 동특성을 고려하여 효율적으로 마이크로그리드를 운영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실시예에서는 부하 변동에 따라 제1 및 제2 에너지제어장치를 협조 제어함으로써, 에너지저장장치가 부하의 변동을 담당하여 계통의 부담을 줄일 수 있다.
계통연계에서 독립운전으로 변환되는 구간(scenario2)에서 제1 에너지저장장치보다 동특성이 빠른 제2 에너지저장장치를 이용하여 주파수 변동에 따른 전력을 부하에 공급함으로써, 마이크로그리드시스템의 신뢰도 및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부하의 부하량이 제1 에너지저장장치의 최대 전력 이상인 구간에서는 제1 에너지저장장치를 일정 출력 모드로 변환함으로써, 제어원의 부재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계통연계에서 독립운전으로 변환되는 구간(scenario2) 및 독립 운전 구간(scenario3)에서 제1 에너지저장장치가 주파수/전압 회복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제2 에너지저장장치의 가용시간 내에 주파수 및 전압이 상용주파수 및 상용전압으로 빠르게 회복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필터를 이용하여 제2 에너지저장장치 앞 단 선로의 조류 변화량을 필터링하고, 조류 변화량에 대응되는 전력을 제2 에너지저장장치가 출력함으로써, 제2 에너지저장장치의 활용도를 높이면서 제1 에너지저장장치의 출력 변동에 따른 부담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원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100)의 구성도이다.
도 2는 출력 제어 모드로 운영되는 에너지저장장치의 드룹 특성 곡선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조류 제어 모드로 운영되는 에너지저장장치의 드룹 특성 곡선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는 조류 제어 모드로 운영되면서 주파수/전압 회복 제어를 수행하는 에너지저장장치의 드룹 특성 곡선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출력 제어 모드로 운영되면서 주파수/전압 회복 제어를 수행하는 에너지저장장치의 드룹 특성 곡선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조류 제어 모드에서 일정 출력 모드로 모드 변환이 가능한 에너지저장장치의 모드 변환 알고리즘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은 모드 변환이 가능한 에너지저장장치의 국부제어기의 예시도이다.
도 8은 에너지저장장치의 제어 모드 설정기의 예시도이다.
도 9는 계통 연계 구간(scenario1)에서 제1 및 제2 에너지저장장치의 드룹 특성 곡선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계통연계에서 독립운전으로 변환되는 구간(scenario2)에서 제1 및 제2 에너지저장장치의 드룹 특성 곡선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독립 운전 구간(scenario3)에서 제1 및 제2 에너지저장장치의 드룹 특성 곡선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1에서 필터가 없으면서 제1 에너지저장장치가 주파수/전압 회복 제어를 수행하지 않는 경우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시뮬레이션한 결과이다.
도 13은 제1 에너지저장장치가 주파수/전압 회복 제어를 수행하는 경우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시뮬레이션한 결과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마쿠시 형식의 표현에 포함된 “이들의 조합”의 용어는 마쿠시 형식의 표현에 기재된 구성 요소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혼합 또는 조합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상기 구성 요소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의 실시예에서는 마이크로그리드가 계통과 연결되어 운영되는 시기를 "계통 연계 구간(scenario1)"이라 하고, 마이크로그리드가 계통과의 연결에서 독립 운전으로 변환되는 시기를 "계통연계에서 독립운전으로 변환되는 구간(scenario2)"이라 하고, 마이크로그리드가 독립 운전하는 시기를 "독립 운전 구간(scenario3) "이라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계통연계에서 독립운전으로 변환되는 구간(scenario2)은 독립 운전 구간(scenario3)에 해당되나, 본원의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은 계통연계에서 독립운전으로 변환되는 구간(scenario2)에 발명의 특징이 있으므로, 이를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본원의 실시예에서는 독립 운전 구간을 계통연계에서 독립운전으로 변환되는 구간(scenario2) 및 독립 운전 구간(scenario3)으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원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100)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100)은 계통과 연계점(PCC, Point of Common Coupling)을 통해 연계되며,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100)은 계통과의 연계점(PCC)과 부하(PL)(30) 사이에 연결되는 제1 에너지저장장치(10) 및 제2 에너지저장장치(20)를 포함하고, 제2 에너지저장장치(20)의 앞 단 선로에 연결되어 조류의 변화량을 필터링하여 제2 에너지저장장치(20)로 출력하는 필터(40)를 포함한다.
계통과 마이크로그리드 사이의 연계점(PCC)에는 계통이나 마이크로그리드에서 사고가 발생할 경우 둘 사이를 차단할 수 있는 스위치(STS, Static Transfer Switch)가 존재한다.
에너지저장장치는 한정된 에너지 밀도를 가지고 있고, 빠른 출력 동특성과 SOC(State of Charge)에 따른 출력 특성, 자기 방전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안정적인 운영을 위해서 SOC의 범위가 100~20%를 만족하도록 에너지저장장치를 운영하고 있다. 본원의 실시예에서 제2 에너지저장장치(20)는 제1 에너지저장장치보다 동특성이 빠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제1 에너지저장장치(10)는 BESS(Battery Energy Storage System)일 수 있고, 제2 에너지저장장치(20)는 슈퍼 커패시터(SC, Super Capacitor)일 수 있다.
이러한 2개의 에너지저장장치(10, 20)는 시스템의 신뢰도 및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상호 협조 제어하며, 계통 연계 구간(scenario1), 계통연계에서 독립운전으로 변환되는 구간(scenario2) 및 독립 운전 구간(scenario3)에 따라 여러 모드로 운영될 수 있다.
우선, 제1 에너지저장장치(10)는 계통 연계 구간(scenario1) 및 독립 운전 구간(scenario3)에서 주파수 변동 및 전압 변동에 대하여 제1 에너지저장장치(10)의 앞 단 선로의 조류를 제어하는 조류 제어 모드(Feeder Flow Control mode)로 운영된다. 제1 에너지저장장치(10)는 계통연계에서 독립운전으로 변환되는 구간(scenario2) 및 독립 운전 구간(scenario3)에서 조류 제어 모드로 운영되면서 주파수 및 전압을 상용주파수 및 상용전압으로 회복시키는 주파수/전압 회복 제어를 수행한다. 또한, 제1 에너지저장장치(10)는 전 구간에 걸쳐 부하의 부하량이 제1 에너지저장장치(10)의 최대 출력 이상이면 설정된 일정 전력을 출력하는 일정 출력 모드(Constant power mode)로 운영된다.
다음으로, 제2 에너지저장장치(20)는 전 구간에 걸쳐 주파수 변동 및 전압 변동에 대하여 출력을 제어하는 출력 제어 모드(Unit Power Control mode)로 운영된다. 다만, 제2 에너지저장장치(20)는 필터(40)로부터 조류 변화량이 입력되는 경우에는 조류 변화량에 기초하여 전력을 출력하는 출력 제어 모드로 운영된다.
본원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에너지저장장치 및 제2 에너지저장장치의 협조 제어를 설명하기에 앞서, 도 2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에너지저장장치의 운영 모드에 대해 기본 개념을 설명한다.
도 2는 출력 제어 모드로 운영되는 에너지저장장치의 드룹 특성 곡선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드룹 계수는 수학식 1과 같다.
Figure 112012019349418-pat00001
여기서, f0는 주파수의 기준값이고, f는 주파수의 계측값이고, V0는 전압의 기준값이고, V는 전압의 측정값이고, P0는 유효전력의 기준값이고, P는 유효전력의 측정값이고, Q0는 무효전력의 기준값이고, Q는 무효전력의 측정값이고, Rf는 주파수의 드룹 계수이고, RV는 전압의 드룹 계수이고, Pmax는 유효전력의 최대값이고, Qmax는 무효전력의 최대값이고, fmax는 주파수의 최대값이고, fmin는 주파수의 최소값이고, Vmax는 전압의 최대값이고, Vmin는 전압의 최소값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통 연계 구간(scenario1)에서 주파수는 고정되어 있으므로 에너지저장장치의 출력(PESSO)은 0KW로 고정되며, 마이크로그리드 에너지 관리 시스템(μ-EMS, 도시하지 않음)의 지령에 따라 에너지저장장치의 출력(PESSO)을 변경할 수 있다.
계통연계에서 독립운전으로 변환되는 구간(scenario2)에서 주파수가 A점에서 B점으로 변동하게 되면, 에너지저장장치의 출력(PESSO)은 A점에서 B점으로 변동하게 된다.
도 3은 조류 제어 모드로 운영되는 에너지저장장치의 드룹 특성 곡선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드룹 계수는 상기 수학식 1과 같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통 연계 구간(scenario1)에서 주파수는 고정되어 있으므로 부하의 변동에 따라 에너지저장장치의 드룹 곡선은 좌우로 이동하게 된다. 부하가 ΔP만큼 증가 또는 감소할 경우 드룹 곡선은 A점에서 A′점으로 이동한다.
계통연계에서 독립운전으로 변환되는 구간(scenario2)에서 선로 조류가 0이 되면서, 드룹 곡선에 의해 주파수가 A점에서 B점으로 변동한다. 그러면, 에너지저장장치의 드룹 곡선은 A점에서 B점으로 변동한다. 전압은 지역제어를 통해 제어되기 때문에 전압/무효전력의 드룹 특성 곡선은 도 3과 같다.
도 4 는 조류 제어 모드로 운영되면서 주파수/전압 회복 제어를 수행하는 에너지저장장치의 드룹 특성 곡선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출력 제어 모드로 운영되면서 주파수/전압 회복 제어를 수행하는 에너지저장장치의 드룹 특성 곡선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계통연계에서 독립운전으로 변환되는 구간(scenario2) 및 독립 운전 구간(scenario3)에서는 마이크로그리드의 주파수를 상용주파수로 회복시키기 위해서 주파수/전압 회복 제어 기능을 수행해야 한다.
주파수/전압 회복 제어는 상용주파수에서의 출력 참조값을 변동시켜주는 제어로써, 도 4의 조류 제어 모드에서는 조류가 A점에서 B점으로 이동함에 따라 주파수가 fo에서 f′로 이동하고, 에너지저장장치의 출력(PESSO)은 A′점에서 B′점으로 이동한다. 그러면, 주파수 회복 제어를 통해 드룹 곡선이 C로 옮겨지면서 에너지저장장치의 출력(PESSO)은 B′점에서 C′점으로 이동하고, 출력 참조값은 PEL0에서 0으로 변동한다.
도 5의 출력 제어 모드에서는 부하의 변동시 주파수가 fo에서 f′로 이동하면 에너지저장장치의 출력(PESSO)이 A점에서 B점으로 이동한다. 그러면, 주파수 회복 제어를 통해 드룹 곡선이 C로 옮겨지면서 에너지저장장치의 출력(PESSO)은 B점에서 C점으로 이동하고, 주파수가 다시 fo로 회복하면서 출력 참조값은 PESSO에서 P′ESSO로 변동한다.
도 6은 조류 제어 모드에서 일정 출력 모드로 모드 변환이 가능한 에너지저장장치의 모드 변환 알고리즘을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7은 모드 변환이 가능한 에너지저장장치의 국부제어기의 예시도이고, 도 8은 에너지저장장치의 제어 모드 설정기의 예시도이다.
조류 제어 모드에서는 부하량이 에너지저장장치의 최대 출력 이상이 되면, 수급 균형을 담당하는 제어원의 부재에 대한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원의 실시예에서는 조류 제어 모드에서 부하량이 에너지저장장치의 최대 출력(PESS _ max) 이상이 되면, 에너지저장장치의 운영 모드를 조류 제어 모드에서 일정 출력 모드(Constant Power Control mode)로 변환하여 에너지저장장치의 최대 출력(PESS _ max)을 제외한 나머지 부하량은 계통 전력(Pgird _ FFC)이 담당하도록 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너지저장장치의 국부제어기는 일정 출력 모드로 변환시 유효전력의 출력 참조값을 정격출력의 0.9배로 제한하였고, 무효전력의 출력 참조값을 정격출력의 0.4배로 제한하였다. 이는 지상역률 0.9에서 진상역률 0.95범위에 해당하는 무효전력을 정격출력 범위 내에서 공급할 수 있는 성능을 갖추기 위함이다. 본원의 실시예에서는 도 7의 국부제어기와 같은 제어기를 이용하여 조류 제어 모드에서 일정 출력 모드로 모드를 변환할 수 있으며, 일정 출력 모드에서도 무효전력의 출력 범위 내에서 전압 제어가 가능하다.
본원의 실시예에서는 도 7을 이용하여 에너지저장장치의 모드 변환을 대신하여 도 8과 같은 히스테리시스 제어를 통한 제어 모드 설정기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한 에너지저장장치의 운영 모드에 대한 기본 개념을 토대로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원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도 9내지 도 11은 각각 계통 연계 구간(scenario1), 계통연계에서 독립운전으로 변환되는 구간(scenario2), 독립 운전 구간(scenario3)에서 제1 및 제2 에너지저장장치의 드룹 특성 곡선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원의 실시예에서 기본적으로 제1 에너지저장장치(10)는 조류 제어 모드로 운영되며, 제2 에너지저장장치(20)는 출력 제어 모드로 운영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통 연계 구간(scenario1)에서는 주파수 변동이 없기 때문에 부하(30)의 변동에 대하여 제1 및 제2 에너지저장장치(10, 20)의 앞 단 조류(PFL1)의 변동이 없다. 따라서, 계통 연계 구간(scenario1)에서 부하(30)의 변동(ΔPL)은 제1 에너지저장장치(10)가 담당한다. 도 9와 같이, 제1 에너지저장장치(10)의 출력(PBESS)은 부하가 변동(Δ PL) 함에 따라 제1 출력(PBESS0)에서 제2 출력(PBESS1)으로 이동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통연계에서 독립운전으로 변환되는 구간(scenario2)에서는 제1 에너지저장장치(10)의 앞 단의 조류(PFL1)가 사라짐에 따라 주파수는 제1 에너지저장장치(10)의 드룹 계수에 의해 fo에서 f′로 변동한다. 드룹 계수에 따른 주파수 변동값은 PFLO*RF _ BESS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제1 에너지저장장치(10)와 협조 제어하는 제2 에너지저장장치(20)는 출력 제어 모드(Unit Power Control mode)로 운영되므로, 제2 에너지저장장치(20)는 주파수 변동값에 대응되는 출력 변동값(Psc)을 출력한다. 이때, 출력 변동값은 Δf/Rf _ SC와 같이 표현될 수 있으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에너지저장장치(20)의 출력 변동값(Psc)은 A점에서 B점으로 이동하게 된다.
제1 에너지저장장치(10)는 조류(PFLO)와 제2 에너지저장장치(20)의 출력 변동값(Δf/Rf_SC)의 차(PFLO-Δf/Rf_SC)에 대응되는 전력을 출력한다.
이와 같이, 본원의 실시예에서는 계통연계에서 독립운전으로 변환되는 구간(scenario2)에서 제1 에너지저장장치(10)보다 동특성이 빠른 제2 에너지저장장치(20)를 이용하여 주파수 변동에 따른 전력을 부하(30)에 빠르게 공급함으로써, 마이크로그리드시스템의 신뢰도 및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계통연계에서 독립운전으로 변환되는 구간(scenario2)에서 제1 에너지저장장치(10)는 주파수 및 전압을 상용주파수 및 상용전압으로 회복시키는 주파수/전압 회복 제어를 수행한다. 제1 에너지저장장치(10)가 주파수/전압 회복 제어를 수행하여 주파수가 상용주파수로 회복되면, 주파수 변동값이 0이 되어 제2 에너지저장장치(20)의 출력 전력은 0kW가 될 수 있다. 이때, 제2 에너지저장장치(20)의 출력 전력은 0외에 에너지 관리 시스템(μ-EMS)에서 지령하는 값일 수도 있다.
이로 인해, 본원의 실시예에서는 제2 에너지저장장치(20)의 가용시간 내에 주파수 및 전압을 상용주파수 및 상용전압으로 회복시킬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독립 운전 구간(scenario3)에서는 제1 에너지저장장치(10)가 부하(30)의 변동에 따라 출력전력을 변동시키는 조류 제어 모드로 운영된다.
전 구간에 걸쳐 필터(40)는 부하(30)의 변동에 따른 제2 에너지저장장치(20)의 앞 단 선로의 조류 변화량을 필터링하며, 필터링된 조류 변화량을 제2 에너지저장장치(20)로 출력할 수 있다. 그러면, 제2 에너지저장장치(20)는 필터링된 조류 변화량에 대응되는 전력을 빠르게 충전 또는 방전함으로써, 제2 에너지저장장치(20)의 활용도를 높이면서 제1 에너지저장장치(10)의 출력 변동에 따른 부담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전 구간(scenario0~scenario3)에 걸쳐, 부하(30)의 부하량이 제1 에너지저장장치(10)의 최대 출력 이상인 경우, 제1 에너지저장장치(10)는 일정 출력 모드(Constant power mode)로 변환 운영되고, 제1 에너지저장장치(10)의 일정 출력으로 부족한 부하(30)의 부하량은 계통이 담당한다. 이로 인해, 부하의 부하량이 제1 에너지저장장치(10)의 최대 출력 이상일 경우 발생하는 제어원의 부재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원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및 제2 에너지저장장치(10, 20)의 협조 제어 운영 방법을 설명하였으며, 상기한 제1 및 제2 에너지저장장치(10, 20)의 협조 제어 시 주파수 변동값, 부하 변동값, 조류 변화량을 수식화하면 하기 표 1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ΔPDG
조류
변화량
(ΔPFL)

부하
변동값
(ΔPL)

주파수
변동값 (Δf)
제1 에너지저장장치
(BESS)
제2 에너지저장장치
(SC)
출력 제어 모드
(UPC)
출력 제어 모드
(UPC)
Scenario 1 ΔPL 0 0 ΔPL 0
Scenario 2 PFLO-Δf/Rf _ SC Δf/Rf _ SC -ΔPFL0 0 -PFLO*RF _ BESS
Scenario 3 ΔPL 0 0 ΔPL 0
이와 같이, 본원의 실시예에서는 계통과 마이크로그리드의 연결관계에 따라 제1 에너지저장장치(10) 및 제2 에너지저장장치(20)의 동작을 변경하여 2개의 에너지저장장치(10, 20)가 상호 협조 제어하도록 함으로써, 마이크로그리드 내의 에너지저장장치들 간의 출력 동특성을 고려하여 효율적으로 마이크로그리드를 운영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실시예에서는 부하 변동에 따라 제1 및 제2 에너지제어장치를 협조 제어함으로써, 에너지저장장치가 부하의 변동을 담당하여 계통의 부담을 줄일 수 있다.
아래에서는 상기한 제1 및 제2 에너지저장장치(10, 20)의 협조 제어 방법을 전력계통 해석 프로그램인 PSCAD/EMTDC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시뮬레이션한 결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제1 및 제2 에너지저장장치(10, 20)의 협조 제어 방법은 본원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의 제어방법이므로, 아래에서는 에너지저장장치간의 협조 제어 방법에 대해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의 제어방법이라 한다.
도 12는 도 1에서 필터가 없으면서 제1 에너지저장장치(10)가 주파수/전압 회복 제어를 수행하지 않는 경우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시뮬레이션한 결과이다.
시뮬레이션 결과에 앞서, 모의 조건은 다음과 같다.
- 제1 및 제2 에너지저장장치(10, 20)의 정격 출력(최대 출력): 50kW
- 분산전원의 정격 출력(PDG0): 0kW
- 제1 및 제2 에너지저장장치(10, 20) 앞 단 선로의 조류(PFL0): 2pu
- 제1 에너지저장장치(10)의 드룹 계수(Rf _ BESS): 0.01
- 제2 에너지저장장치(20)의 드룹 계수(Rf - SC): 0.02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0~5초는 계통 연계 구간(scenario1)이고, 5~6초는 계통연계에서 독립운전으로 변환되는 구간(scenario2)이고, 6~10초는 독립 운전 구간(scenario3)이다.
2~3초 구간 및 7~8초 구간은 부하의 부하량(P_Load)이 제1 에너지저장장치(10)의 최대 전력(50kW) 이상이 되는 구간이다.
우선, 계통 연계 구간(scenario1)에서는 주파수 변동이 없기 때문에 조류 제어 모드로 운영 중인 제1 에너지저장장치(10)가 부하의 변동을 담당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부하가 계단 형태로 증가 또는 감소함에 따라 제1 에너지저장장치(10)의 출력 전력(P_BESS)도 계단 형태로 증가 또는 감소한다. 이때, 2~3초 구간과 같이 부하(P_Load)가 제1 에너지저장장치(10)의 최대 전력(50kw) 이상이 되는 구간에서는 제1 에너지저장장치(10)는 최대 출력을 유지하는 일정 출력 모드로 변경된다. 그리고, 부하(P-Load) 70kw에서 제1 에너지저장장치(10)의 최대 출력 50kw을 초과한 부하(P-Load) 20kw는 계통(P_Grid)이 담당한다.
계통연계에서 독립운전으로 변환되는 구간(scenario2)에서는 제1 에너지저장장치(10)의 앞 단 조류(0.2pu)가 사라지고, 제1 에너지저장장치(10)의 드룹 계수에 의한 주파수 변동값은 0.2*0.01=0.2%이므로, 주파수는 60Hz에서 59.88Hz로 변동된다.
제2 에너지저장장치(20)는 제1 에너지저장장치(10)를 협조 제어하기 위해서, 주파수 변동값에 대응되는 출력 변동값(P_SC)를 출력한다. 도 12와 같이 5초 구간에서 제2 에너지저장장치(20)의 출력 변동값(P_SC)이 5kW일 때, 제1 에너지저장장치(10)는 25kW를 담당한다.
도 12에서는 제1 에너지저장장치(10)가 주파수/전압 회복 제어를 수행하지 않기 때문에, 계통연계에서 독립운전으로 변환되는 구간(scenario2) 및 독립 운전 구간(scenario3)에서 제2 에너지저장장치(20)의 출력은 5kW를 유지하고, 제1 에너지저장장치(10)가 부하의 부하량을 담당한다. 다만, 7~8초 구간과 같이 부하량이 제1 에너지저장장치(10)의 최대 전력 이상인 경우, 제1 에너지저장장치(10)는 일정 출력 모드로 변환되어 최대 출력을 유지하고 최대 출력을 초과한 부하는 제2 에너지저장장치(20)가 담당한다.
도 13은 제1 에너지저장장치(10)가 주파수/전압 회복 제어를 수행하는 경우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시뮬레이션한 결과이다.
시뮬레이션 결과에 앞서, 모의 조건은 다음과 같다.
- 제1 및 제2 에너지저장장치(10, 20)의 정격 출력(최대 출력): 50kW
- 분산전원의 정격 출력(PDG0): 0kW
- 제1 및 제2 에너지저장장치(10, 20) 앞 단 선로의 조류(PFL0): 2pu
- 제1 에너지저장장치(10)의 드룹 계수(Rf _ BESS): 0.01
- 제2 에너지저장장치(20)의 드룹 계수(Rf - SC): 0.02
- 필터(40)의 게인(gain): 1
- characteristic frequency(wc): 60Hz
- damping ratio: 3.2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0~5초는 계통 연계 구간(scenario1)이고, 5~6초는 계통연계에서 독립운전으로 변환되는 구간(scenario2)이고, 6~10초는 독립 운전 구간(scenario3)이다.
2~3초 구간 및 7~8초 구간은 부하의 부하량(P_Lode)이 제1 에너지저장장치(10)의 최대 전력(50kW) 이상이 되는 구간이다.
계통 연계 구간(scenario1)에서는 주파수 변동이 없기 때문에 조류 제어 모드로 운영 중인 제1 에너지저장장치(10)가 부하의 변동을 담당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부하가 계단 형태로 증가 또는 감소함에 따라 제1 에너지저장장치(10)의 출력 전력(P_BESS)도 계단 형태로 증가 또는 감소한다. 또한, 제2 에너지저장장치(20)는 필터(40)를 통해 입력되는 조류 변화량에 기초하여 제1 에너지저장장치(10)보다 빠르게 전력을 출력함으로써, 제1 에너지저장장치(10)의 부담을 줄여준다.
이때, 2~3초 구간과 같이 부하(P_Load)가 제1 에너지저장장치(10)의 최대 전력(50kw) 이상이 되는 구간에서는 제1 에너지저장장치(10)는 최대 출력을 유지하는 일정 출력 모드로 변경된다. 그리고, 부하(P-Load) 70kw에서 제1 에너지저장장치(10)의 최대 출력 50kw을 초과한 부하(P-Load) 20kw는 계통(P_Grid)이 담당한다.
계통연계에서 독립운전으로 변환되는 구간(scenario2)에서는 제1 에너지저장장치(10)의 앞 단 조류(0.2pu)가 사라지고, 제1 에너지저장장치(10)의 드룹 계수에 의한 주파수 변동값은 0.2*0.01=0.2%이므로, 주파수는 60Hz에서 59.88Hz로 변동된다.
제2 에너지저장장치(20)는 제1 에너지저장장치(10)를 협조 제어하기 위해서, 주파수 변동값에 대응되는 출력 변동값(P_SC)를 출력한다. 도 12와 같이 5초 구간에서 제2 에너지저장장치(20)의 출력 변동값(P_SC)이 5kW일 때, 제1 에너지저장장치(10)는 5kW를 초과한 부하량인25kW를 담당한다.
또한, 계통연계에서 독립운전으로 변환되는 구간(scenario3)에서는 제1 에너지저장장치(10)가 주파수/전압 회복 제어를 수행한다. 5~6초 구간에 보면, 제1 에너지저장장치(10)의 주파수/전압 회복 제어에 의해 주파수가 상용주파수로 회복됨에 따라 제2 에너지저장장치(20)의 출력은 0kW가 된다.
독립 운전 구간(scenario3)과 같이, 제2 에너지저장장치(20)의 출력이 0kW가 됨에 따라, 부하는 제1 에너지저장장치(10)가 담당한다. 다만, 부하의 부하량이 제1 에너지저장장치(10)의 최대 출력 이상이 되는 구간(7~8초)에서는 제1 에너지저장장치(10)는 최대 출력을 유지하는 일정 출력 모드로 변경되고, 최대 전력을 초과한 부하는 제2 에너지저장장치(20)가 담당한다. 또한, 독립 운전 구간(scenario3)에서 제2 에너지저장장치(20)는 필터(40)로부터 입력되는 조류 변화량에 따라 전력을 신속하게 출력하여 제1 에너지저장장치(10)를 협조 제어한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제1 에너지저장장치
20: 제2 에너지저장장치
30: 부하
40: 필터

Claims (9)

  1.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에 있어서,
    계통과의 연계점에 연결되는 제1 에너지저장장치 및 상기 제1 에너지저장장치와 부하 사이에 연결되는 제2 에너지저장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에너지저장장치는 주파수 및 전압의 변동에 대응하여 앞 단 선로의 조류를 제어하는 조류 제어 모드로 운영되고, 상기 제2 에너지저장장치는 상기 주파수 및 전압의 변동에 대응되는 전력을 출력하는 출력 제어 모드로 운영되며,
    상기 제1 에너지저장장치는 상기 부하의 부하량이 상기 제1 에너지저장장치의 최대 전력 이상인 구간에서는 일정 출력 모드로 변환되는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통과 연계 운전하는 계통 연계 구간에서, 상기 제1 에너지저장장치의 최대 전력을 초과한 상기 부하의 부하량은 상기 계통이 담당하는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통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운전하는 독립 운전 구간에서, 상기 제1 에너지저장장치의 최대 전력을 초과한 상기 부하의 부하량은 상기 제2 에너지저장장치가 담당하는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통과의 연계에서 독립운전으로 변환되는 구간에서, 상기 제1 에너지저장장치는 상기 주파수 및 전압이 변동한 경우 변동된 주파수 및 전압을 상용주파수 및 상용전압으로 회복시키는 주파수/전압 회복 제어를 수행하는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에너지저장장치에 의해 상기 변동된 주파수 및 전압이 상기 상용주파수 및 상용전압이 되면, 상기 제2 에너지저장장치의 출력은 0이 되는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에너지저장장치의 앞 단 선로와 상기 제2 에너지저장장치의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앞 단 선로의 조류 변화량을 필터링하는 필터를 더 포함하는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에너지저장장치는 상기 필터로부터 입력되는 조류 변화량에 대응되는 전력을 출력하여 상기 제1 에너지저장장치와 협조 제어하는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에너지저장장치는 BESS(Battery Energy Storage System)이고, 상기 제2 에너지저장장치는 슈퍼 커패시터인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
KR1020120024472A 2012-03-09 2012-03-09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 KR1012773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4472A KR101277317B1 (ko) 2012-03-09 2012-03-09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4472A KR101277317B1 (ko) 2012-03-09 2012-03-09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7317B1 true KR101277317B1 (ko) 2013-06-24

Family

ID=48867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4472A KR101277317B1 (ko) 2012-03-09 2012-03-09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731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51507A (zh) * 2016-10-11 2017-02-22 许昌许继软件技术有限公司 综合应用超级电容和蓄电池的微电网功率平衡方法和装置
US9620960B2 (en) 2014-01-13 2017-04-11 Abb Schweiz Ag Control of a stabilizing energy storage in a microgrid
KR102594004B1 (ko) 2022-12-06 2023-10-26 주식회사 그리드위즈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7459B1 (ko) * 2010-02-10 2011-12-23 한국전기연구원 건물용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 및 운전방법
KR101112609B1 (ko) * 2009-12-17 2012-02-15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철도시스템용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2609B1 (ko) * 2009-12-17 2012-02-15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철도시스템용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
KR101097459B1 (ko) * 2010-02-10 2011-12-23 한국전기연구원 건물용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 및 운전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20960B2 (en) 2014-01-13 2017-04-11 Abb Schweiz Ag Control of a stabilizing energy storage in a microgrid
CN106451507A (zh) * 2016-10-11 2017-02-22 许昌许继软件技术有限公司 综合应用超级电容和蓄电池的微电网功率平衡方法和装置
KR102594004B1 (ko) 2022-12-06 2023-10-26 주식회사 그리드위즈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ahman et al. Distributed multi-agent based coordinated power management and control strategy for microgrids with distributed energy resources
Abadlia et al. Energy management strategy based on fuzzy logic for compound RES/ESS used in stand-alone application
JP5811227B2 (ja) 需要家端末
CN107482608B (zh) 基于需求侧功率分配的直流微电网母线电压协调控制方法
Zeng et al. State-of-charge dynamic balancing strategy for distributed energy storage system in DC shipboard microgrid
Heidary et al. Stability enhancement and energy management of AC-DC microgrid based on active disturbance rejection control
KR101277317B1 (ko)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
KR20170092976A (ko) 독립형 마이크로그리드의 안정적인 운영을 위한 충전 상태 기반의 드룹 제어 방법 및 장치
Alassi et al. Design of an intelligent energy management system for standalone PV/battery DC microgrids
Mosayebi et al. Stabilization of DC nanogrids based on non-integer general type-II fuzzy system
Liu et al. Fuzzy control for hybrid energy storage system based on battery and Ultra-capacitor in Micro-grid
Yang et al. Power management for hybrid AC/DC microgrid with multi-mode subgrid based on incremental costs
Deshmukh et al. A control algorithm for energy management and transient mitigation in DC microgrid
Vedulla et al. PSO based power sharing scheme for an islanded DC microgrid system
Haresh et al. Conservation voltage reduction based comprehensive power management scheme for an isolated solar photovoltaic battery based microgrid
Tabrizi et al. Micro grid voltage profile improvement using micro grid voltage controller
Tian et al. An improved droop control strategy for accurate current sharing and DC-BUS voltage compensation in DC microgrid
WO2014167830A1 (ja) 電力制御システム
Li et al. Autonomous energy management strategy for a hybrid power system of more-electric aircraft based on composite droop schemes
KR101277303B1 (ko)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
Prompinit et al. Ramp rate consideration of a BESS using active power control for PV generation
Hesaroor et al. Optimal siting and sizing of batteries in radial autonomous microgrids considering congestion
Zaery et al. Fully Distributed Fixed-Time Optimal Dispatch for Islanded DC Microgrids
Bharath et al. Cost-Effective and Retrofit Solution Control Algorithm of Renewable Fed DC Microgrid System
KR101936293B1 (ko) 에너지 저장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