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7116B1 - 무채혈 혈당측정기능이 구비된 인체상태진단의자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무채혈 혈당측정기능이 구비된 인체상태진단의자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7116B1
KR101277116B1 KR1020110113333A KR20110113333A KR101277116B1 KR 101277116 B1 KR101277116 B1 KR 101277116B1 KR 1020110113333 A KR1020110113333 A KR 1020110113333A KR 20110113333 A KR20110113333 A KR 20110113333A KR 101277116 B1 KR101277116 B1 KR 1012771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od
chair
blood glucose
diagnosis
analysis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33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8470A (ko
Inventor
신재호
김경하
Original Assignee
(주)휴비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휴비딕 filed Critical (주)휴비딕
Priority to KR10201101133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7116B1/ko
Publication of KR201300484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84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71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71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68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using chemical or electrochemical methods, e.g. by polarographic means
    • A61B5/1477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using chemical or electrochemical methods, e.g. by polarographic means non-invas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32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for measuring glucose, e.g. by tissue impedance measur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8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mounted on external non-worn devices, e.g. non-medical devices
    • A61B5/6891Furni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61B5/7445Display arrangements, e.g. multiple display un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5Arrangement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 and care services, e.g. by using a telephone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75User input or interface means, e.g. keyboard, pointing device, joystick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urs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채혈 혈당측정부를 통해 무채혈로 혈당데이터를 산출함과 더불어 PPG센서와 ECG센서로부터 검출된 검출신호들을 분석하여 정밀한 혈압신호를 산출한후 이를 분석하여 내장된 진단프로그램에 따라 진단하고 그 진단결과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외부로 색채 및 그래프형태로 표시함과 더불어 그 결과값에 대응하는 건강관리정보를 제안한 다음 그 제안된 개별 건강관리정보에 따라 건강을 개인별로 관리하도록 대화형 음성안내를 실행하는 진단분석모듈부와; 상기 진단분석모듈부의 표시제어신호에 따라 그 진단결과를 외부로 색채 및 그래프형태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가 구비되는 장비프레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무채혈 혈당측정기능이 구비된 인체상태진단의자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무채혈로 혈당을 측정할 수 있는 측정수단을, 인체의 허벅지가 닿은 부분에 PPG센서를, 등받이에 EKG센서를 각각 설치한후 이들 센서를 통해 주기적으로 혈당 및 혈압을 체킹한 다음 그 값들을 분석하고 그 진단결과를 의자몸체의 일측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외부로 색채 및 그래프형태로 표시함과 더불어 그 결과값에 대응하는 건강관리정보를 제안한 후 그 제안된 개별 건강관리정보에 따라 건강을 개인별로 관리하도록 음성안내를 실행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무채혈 혈당측정기능이 구비된 인체상태진단의자 및 그 제어방법{Human condition diagnosis chair having a non-drawing blood type blood sugar checking function and controlling method therefore}
본 발명은 무채혈 혈당측정기능이 구비된 인체상태진단의자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의자의 손잡이 부분에 무채혈로 혈당을 측정할 수 있는 측정수단을, 인체의 허벅지가 닿은 부분에 PPG센서를, 등받이에 EKG센서를 각각 설치한후 이들 센서를 통해 주기적으로 혈당 및 혈압을 체킹한 다음 그 값들을 분석하고 그 진단결과를 의자몸체의 일측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외부로 색채 및 그래프형태로 표시하는 무채혈 혈당측정기능이 구비된 인체상태진단의자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자 형태는 크게 착석 상태에서 착석자의 둔부를 떠받쳐 주는 좌석과 상기 좌석의 배면에 세워져 착석자의 등부위를 지지하는 등받이 및 이들 좌석과 등받이가 지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 만큼 이격된 상태로 지지되도록 하는 다리를 포함하는 프레임의 세 구성부재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통상의 의자에서는 착석자의 거의 대부분의 하중이 둔부와 허벅지부와 접촉하고 있는 좌석에 의해서 지지되며, 착석자가 등받이에 상체를 기대고 앉았을 때에는 부분적으로 상체의 하중이 등받이에 의해서 지지되기도 한다. 물론 일부 안락 의자나 등받이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의자의 경우에 있어서는 등받이를 통해서 보다 많은 양의 하중이 지지되긴 하나, 사무용 의자나 학생용 의자를 비롯한 거의 모든 의자에서는 착석자의 체중이 좌석에 의해 지지되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
그런대, 최근에는 이러한 의자에 안마기나 혈압센서를 구비하여 그 의자에 앉은 사람들의 건강상태를 체킹하는 건강의자시스템이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건강의자와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일본국 세콤 가부시끼 가이샤 한다 아끼라에 의해 출원된 한국특허출원 제 1997-0081405호와, 주식회사 신흥기계에 의해 출원된 한국특허출원 제1989-001269호 가 공지되어 있다.
그러면, 상기와 같은 종래 건강의자를 도 1을 참고로 살펴보면, 양측에 팔걸이(70)가 각각 구비된 의자몸체부(71)와;
상기 의자몸체부(71)의 일측 팔걸이(70)의 상면에 설치되어 인체의 팔이 삽입될 경우 이를 가압하고 내측 일부에 혈압을 검출하는 혈압검출센서(72)가 구비된 원통형상의 커프부재(73)와;
상기 커프부재(73)에 공기를 가압시키고 혈압검출센서(72)로부터 검출한 혈압을 디스플레이화면(74)에 표시하고 키패널부(75)를 통해 혈압측정동작을 제어하는 혈압측정몸체부(7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종래 건강의자의 동작을 살펴보면, 먼저 혈압체킹을 원하는 사용자가 의자몸체부(71)의 등받이에 몸을 지대어 앉는다. 그리고 상기 의자몸체부(71)의 일측 팔걸이(70)에 설치된 커프부재(73)의 내부측으로 손을 밀어넣어 팔뚝 위부분이 대략 커프부재(73)의 단부측에 이를때까지 밀어넣는다. 또한 상기와 같이 팔이 커프부재(73)에 위치할 경우 혈압측정몸체부(76)의 디스플레이화면(74)을 보면서 키패널부(75)를 조작하여 혈압측정을 시작한다. 이때 상기 혈압측정몸체부(76)는 내부의 가압모터(도시안됨)를 구동하여 커프부재(73)로 공기를 가압하고 혈압검출센서(72)가 팔뚝에 위치한 혈관으로부터 혈압을 측정한 후 이를 혈압측정몸체부(76)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혈압측정몸체부(76)는 혈압검출센서(72)로부터 검출한 혈압검출값을 수치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화면(74)상에 표시하므로 통상의 혈압측정을 종료하게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건강의자는 커프부재로 팔의 혈관을 눌러 체킹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측정자가 의사 앞에서와 같이 측정에 대한 부담을 느껴 긴장한 상태로 측정을 하게 되므로 정확한 측정이 어려웠고, 특히 커프부재 방식이기 때문에 장시간 검출계획에 따라 인체의 정확한 혈압데이터를 얻기가 매우 어려웠으며, 또한 개인에게 필요한 다양한 체킹항목 예컨대 혈당과 같은 측정장비 등이 정상적으로 구비되어 있지 않을 뿐만아니라 그 측정된 값을 분석하고 진단할 수 있는 시스템이 구비되어 있지 않아 그에 따라 인체의 건강상태 관리가 비효율적으로 진행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해 발명된 것으로, 의자의 다수곳에 설치된 센서들로부터 검출되는 인체에 대한 측정값들을 분석하고 그 진단결과를 의자몸체의 일측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외부로 색채 및 그래프형태로 표시하고, 그 결과값에 대응하는 건강관리정보를 측정대상자에게 제안한 후 그 제안된 개별 건강관리정보에 따라 건강을 개인별로 관리하도록 음성안내를 실행하는 무채혈 혈당측정기능이 구비된 인체상태진단의자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의자몸체의 일측에 인터넷연결단자 혹은 무선모듈을 구비하여 원격지에서도 인터넷이나 무선모듈을 통해 의자에 앉은 사람의 신체상태를 계속 체킹한후 그 사람에 맞는 개선책을 제안하여 음성가이드로 관리하는 무채혈 혈당측정기능이 구비된 인체상태진단의자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양측에 팔걸이가 각각 구비된 의자부와;
상기 의자부의 일측 팔걸이에 설치되고 삽입된 인체의 손가락으로부터 무채혈로 혈당을 측정하는 무채혈 혈당측정부와;
상기 의자부의 바닥부에 설치되고 그 착석된 인체의 허벅지가 닿은 부분에서 PPG신호를 검출하는 PPG센서와;
상기 의자부의 등받이에 설치되고 그 착석된 인체의 등으로부터 ECG신호를 검출하는 ECG센서와;
상기 무채혈 혈당측정부를 통해 무채혈로 혈당데이터를 산출함과 더불어 PPG센서와 ECG센서로부터 검출된 검출신호들을 분석하여 정밀한 혈압신호를 산출한후 이를 분석하여 내장된 진단프로그램에 따라 진단하고 그 진단결과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외부로 색채 및 그래프형태로 표시함과 더불어 그 결과값에 대응하는 건강관리정보를 제안한 다음 그 제안된 개별 건강관리정보에 따라 건강을 개인별로 관리하도록 대화형 음성안내를 실행하는 진단분석모듈부와;
상기 진단분석모듈부의 표시제어신호에 따라 그 진단결과를 외부로 색채 및 그래프형태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마이크, 카메라 및 키패널부를 포함하는 케이스부재를 형성하는 장비프레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무채혈 혈당측정기능이 구비된 인체상태진단의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측정자가 의자에 앉아 본연의 업무를 보는 동안 의자의 각부에 설치된 PPG센서와 ECG센서가 그 업무중인 측정자로부터 혈압관련신호를 계속 검출하고 아울러 측정자가 손가락을 무채혈 혈당측정부로 밀어넣을 경우 무채혈로 측정자의 혈당을 측정하여 진단분석모듈부로 전송하는 인체무자각 측정과정과;
상기 인체무자각 측정과정후에 진단분석모듈부가 무채혈 혈당측정부를 통해 무채혈로 검출한 혈당데이터를 산출정리하고 그와 더불어 PPG센서와 ECG센서로부터 검출된 검출신호들을 분석하여 정밀한 혈압신호를 산출한후 이들 검출신호들을 분석하여 내장된 진단프로그램에 따라 진단하는 인체상태진단과정과;
상기 인체상태진단과정후에 진단분석모듈부가 그 진단결과를 장비프레임부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외부로 색채 및 그래프형태로 표시하는 진단결과 표시과정과;
상기 진단결과 표시과정후에 진단분석모듈부가 그 진단결과값에 대응하는 건강관리정보를 디스플레이나 음성신호를 통해 측정자에게 제안한 다음 측정자가 그 제안에 대해 동의할 경우 그 제안된 개별 건강관리정보에 따라 건강상태를 개인별로 관리하도록 대화형 음성안내를 실행하는 개별제안 관리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무채혈 혈당측정기능이 구비된 인체상태진단의자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의자의 손잡이 부분에 무채혈로 혈당을 측정할 수 있는 측정수단을, 인체의 허벅지가 닿은 부분에 PPG센서를, 등받이에 EKG센서를 각각 설치한후 이들 센서를 통해 주기적으로 혈당 및 혈압을 체킹한 다음 그 값들을 분석하고 그 진단결과를 의자몸체의 일측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외부로 색채 및 그래프형태로 표시함과 더불어 그 결과값에 대응하는 건강관리정보를 제안한 후 그 제안된 개별 건강관리정보에 따라 건강을 개인별로 관리하도록 음성안내를 실행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의자몸체의 일측에 인터넷연결단자 혹은 무선모듈을 구비하여 원격지에서도 인터넷이나 무선모듈을 통해 의자에 앉은 사람의 신체상태를 계속 체킹할 수 있기 때문에 오랫동안 의자에서 일하는 사무원이나 신체장애자들의 건강상태를 본인들이 의식하지 않더라도 외부 원격지에서 의료관리자에 의해서 실시간으로 관리하게되므로 그에 따라 인체의 예방의학적 측면에서 상당히 실효적인 효과를 확보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종래 건강의자의 일례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무채혈 혈당측정기능이 구비된 인체상태진단의자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의 의자에 대한 회로블록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해 무채혈 혈당측정이 실행되는 과정을 간략하게 설명하는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의 플로우차트.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에 팔걸이(1)가 각각 구비된 의자부(2)와;
상기 의자부(2)의 일측 팔걸이(1)에 설치되고 삽입된 인체의 손가락(3)으로부터 무채혈로 혈당을 측정하는 무채혈 혈당측정부(4)와;
상기 의자부(2)의 바닥부(5)에 설치되고 그 착석된 인체의 허벅지가 닿은 부분에서 PPG신호를 검출하는 PPG센서(6)와;
상기 의자부(2)의 등받이(7)에 설치되고 그 착석된 인체의 등으로부터 ECG신호를 검출하는 ECG센서(8)와;
상기 무채혈 혈당측정부(4)를 통해 무채혈로 혈당데이터를 산출함과 더불어 PPG센서(6)와 ECG센서(8)로부터 검출된 검출신호들을 분석하여 정밀한 혈압신호를 산출한후 이를 분석하여 내장된 진단프로그램에 따라 진단하고 그 진단결과를 디스플레이(9)를 통해 외부로 색채 및 그래프형태로 표시함과 더불어 그 결과값에 대응하는 건강관리정보를 제안한 다음 그 제안된 개별 건강관리정보에 따라 건강을 개인별로 관리하도록 대화형 음성안내를 실행하는 진단분석모듈부(10)와;
상기 진단분석모듈부(10)의 표시제어신호에 따라 그 진단결과를 외부로 색채 및 그래프형태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9), 마이크로폰(11), 카메라(12) 및 키패널부(13)를 포함하는 케이스부재를 형성하는 장비프레임부(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장비프레임부(14)에는 진단분석모듈부(10)의 기능제어신호를 받아 외부의 인터넷(15)을 경유하여 단말기(22)나 이통망(16)을 통해 특정 스마트폰(17)으로 건강분석정보를 전송하는 통신모듈(18)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진단분석모듈부(10)는 그 진단결과 인체의 검출데이터가 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하는 상태에 이를 경우 통신모듈(18)을 통해 설정된 담당주치의의 스마트폰(17)으로 검출데이터와 함께 긴급체킹요청신호를 전송하는 기능을 더 포함한다.
한편 상기 무채혈 혈당측정부(4)는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인체의 손가락 특히 중지를 밀어넣을 수 있도록 라운딩된 홈부(19)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홈부(19)의 하단부에 빛을 손가락 내부로 쏘는 발광다이오드(20)와 이 발광다이오드(20)로부터 발광된 빛을 회수하는 수광다이오드(21)가 설치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PPG센서(6)는 혈관 속 적혈구의 광흡수 또는 반사량을 측정하여 심장박동과 동기된 혈량과 박출량을 검출하는 것이고, 상기 ECG(electrocadiography)센서(8)는 심장이 박동할때마다 심장내에서 발생하는 전기적 활동을 기록하는 심전도를 측정하는 것이다.
다음에는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의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상태(S1)에서 측정자가 의자에 앉아 본연의 업무를 보는 동안 의자의 각부에 설치된 PPG센서와 ECG센서가 그 업무중인 측정자로부터 혈압관련신호를 계속 검출하고 아울러 측정자가 손가락을 무채혈 혈당측정부로 밀어넣을 경우 무채혈로 측정자의 혈당을 측정하여 진단분석모듈부로 전송하는 인체무자각 측정과정(S2)과;
상기 인체무자각 측정과정(S2)후에 진단분석모듈부가 무채혈 혈당측정부를 통해 무채혈로 검출한 혈당데이터를 산출정리하고 그와 더불어 PPG센서와 ECG센서로부터 검출된 검출신호들을 분석하여 정밀한 혈압신호를 산출한후 이들 검출신호들을 분석하여 내장된 진단프로그램에 따라 진단하는 인체상태진단과정(S3)과;
상기 인체상태진단과정(S3)후에 진단분석모듈부가 그 진단결과를 장비프레임부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외부로 색채 및 그래프형태로 표시하는 진단결과 표시과정(S4)과;
상기 진단결과 표시과정(S4)후에 진단분석모듈부가 그 진단결과값에 대응하는 건강관리정보를 디스플레이나 음성신호를 통해 측정자에게 제안한 다음 측정자가 그 제안에 대해 동의할 경우 그 제안된 개별 건강관리정보에 따라 건강상태를 개인별로 관리하도록 대화형 음성안내를 실행하는 개별제안 관리과정(S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개별제안 관리과정(S5)에는 개별 건강관리정보에 따라 산출된 구체적인 개인별 음식조절에 대해 음성으로 가이드하고, 그 날 계획된 운동프로그램을 마이크로폰을 통해 외부로 알려준 후 주기적으로 측정자에게 그 프로그램을 이행하였는 지를 확인하는 음성가이드 단계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개별제안 관리과정(S5)에는 진단분석모듈부가 그 진단결과 인체의 검출데이터가 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하는 상태에 이를 경우 통신모듈을 통해 설정된 담당주치의의 스마트폰으로 검출데이터와 함께 긴급체킹요청신호를 전송하는 긴급체킹요청단계를 더 포함한다.
환언하면, 본 발명의 의자를 이용하여 측정기능을 실행하려면, 먼저, 장비프레임부(14)의 키패널부(13)를 통해 설정된 메뉴값들을 설정한 후 시스템을 구동시킬 경우 측정자는 의자(2)에 앉아 본연의 업무를 보는 동안 의자(2)의 각부에 설치된 PPG센서(6)와 ECG센서(8)가 그 업무중인 측정자로부터 혈압관련신호를 계속 검출하고 아울러 측정자가 손가락을 무채혈 혈당측정부(4)로 밀어넣을 경우 무채혈로 측정자의 혈당을 측정하여 진단분석모듈부(10)로 전송하게된다. 그러면 상기 진단분석모듈부(10)는 무채혈 혈당측정부(4)를 통해 무채혈로 검출한 혈당데이터를 산출정리하고 그와 더불어 PPG센서(6)와 ECG센서(8)로부터 검출된 검출신호들을 분석하여 정밀한 혈압신호를 산출한후 이들 검출신호들을 분석하여 내장된 진단프로그램에 따라 진단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인체상태를 진단한 후에 진단분석모듈부(10)는 그 진단결과를 장비프레임부(14)의 디스플레이(9)를 통해 외부로 색채 및 그래프형태로 표시한다.
이때 상기 진단분석모듈부(10)는 그 진단결과값에 대응하는 건강관리정보를 디스플레이나 음성신호를 통해 측정자에게 제안한다. 여기서 만약 상기 제안과정중에 측정자가 키패널부(13)를 통해 그 제안에 대해 동의할 경우 진단분석모듈부(10)는 그 제안된 개별 건강관리정보에 따라 건강상태를 개인별로 관리하도록 대화형 음성안내를 실행한다.
예컨대, 상기 대화형 음성안내에는 개별 건강관리정보에 따라 산출된 구체적인 개인별 음식조절에 대해 음성으로 가이드하게 되는데, “소금으로 간절이된 생선은 먹으면 안됩니다”와 같이 구체적인 음성가이드를 실행하거나 또는 그 날 계획된 운동프로그램을 마이크로폰(11)을 통해 외부로 알려준 후 즉, “30분간 조깅을 하였습니까?”와 같이 음성질문을 한 후에 주기적으로 측정자에게 그 프로그램을 이행하였는 지를 확인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측정데이터 및 진단결과가 산출되면 진단분석모듈부(10)는 장비프레임부(14)에 연결된 인터넷연결단자(23)를 통해 외부 특정한 장소에 위치한 단말기(22)로, 혹은 통신모듈(18)을 경유하여 이통망(16)을 통해 특정 스마트폰(17)으로 그 측정데이터가 포함된 건강분석정보를 전송한다. 이 과정에서 카메라(12)를 통해 측정자의 상태를 영상으로 촬상하여 전송할 수도 있게 된다.
그러면 상기 스마트폰(17)의 사용자는 자신의 어플을 구동하여 그 전송받은 건강분석정보를 그래프나 도표 혹은 텍스트 형태로 실시간으로 살펴보게 된다. 이과정에서 상기 진단분석모듈부(10)는 그 진단결과 인체의 검출데이터가 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하는 상태에 이를 경우 통신모듈(18)을 통해 설정된 담당주치의의 스마트폰(17)으로 그 검출데이터와 함께 긴급체킹요청신호를 전송하여 적절한 조치를 받게 한다.
1 : 팔걸이 2 : 의자부
3 : 손가락 4 : 무채혈 혈당측정부
5 : 바닥부 6 : PPG센서
7 : 등받이 8 : ECG센서
9 : 디스플레이 10: 진단분석모듈부
11: 마이크로폰 12: 카메라
13: 키패널부 14: 장비프레임부
15: 인터넷 16: 이통망
17: 스마트폰 18: 통신모듈
19: 홈부 20: 발광다이오드
21: 수광다이오드 22: 단말기
23: 인터넷연결단자

Claims (5)

  1. 양측에 팔걸이가 각각 구비된 의자부와;
    상기 의자부의 일측 팔걸이에 설치되고 삽입된 인체의 손가락으로부터 무채혈로 혈당을 측정하는 무채혈 혈당측정부와;
    상기 의자부의 바닥부에 설치되고 그 착석된 인체의 허벅지가 닿은 부분에서 PPG신호를 검출하는 PPG센서와;
    상기 의자부의 등받이에 설치되고 그 착석된 인체의 등으로부터 ECG신호를 검출하는 ECG센서와;
    상기 무채혈 혈당측정부를 통해 무채혈로 혈당데이터를 산출함과 더불어 PPG센서와 ECG센서로부터 검출된 검출신호들을 분석하여 정밀한 혈압신호를 산출한후 이를 분석하여 내장된 진단프로그램에 따라 진단하고 그 진단결과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외부로 색채 및 그래프형태로 표시함과 더불어 그 결과값에 대응하는 건강관리정보를 제안한 다음 그 제안된 개별 건강관리정보에 따라 건강을 개인별로 관리하도록 대화형 음성안내를 실행하는 진단분석모듈부와;
    상기 진단분석모듈부의 표시제어신호에 따라 그 진단결과를 외부로 색채 및 그래프형태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마이크, 카메라 및 키패널부를 포함하는 케이스부재를 형성하는 장비프레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무채혈 혈당측정기능이 구비된 인체상태진단의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비프레임부에는 진단분석모듈부의 기능제어신호를 받아 외부의 인터넷이나 이통망을 통해 특정 스마트폰으로 건강분석정보를 전송하는 통신모듈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채혈 혈당측정기능이 구비된 인체상태진단의자.
  3. 측정자가 의자에 앉아 본연의 업무를 보는 동안 의자의 각부에 설치된 PPG센서와 ECG센서가 그 업무중인 측정자로부터 혈압관련신호를 계속 검출하고 아울러 측정자가 손가락을 무채혈 혈당측정부로 밀어넣을 경우 무채혈로 측정자의 혈당을 측정하여 진단분석모듈부로 전송하는 인체무자각 측정과정과;
    상기 인체무자각 측정과정후에 진단분석모듈부가 무채혈 혈당측정부를 통해 무채혈로 검출한 혈당데이터를 산출정리하고 그와 더불어 PPG센서와 ECG센서로부터 검출된 검출신호들을 분석하여 정밀한 혈압신호를 산출한후 이들 검출신호들을 분석하여 내장된 진단프로그램에 따라 진단하는 인체상태진단과정과;
    상기 인체상태진단과정후에 진단분석모듈부가 그 진단결과를 장비프레임부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외부로 색채 및 그래프형태로 표시하는 진단결과 표시과정과;
    상기 진단결과 표시과정후에 진단분석모듈부가 그 진단결과값에 대응하는 건강관리정보를 디스플레이나 음성신호를 통해 측정자에게 제안한 다음 측정자가 그 제안에 대해 동의할 경우 그 제안된 개별 건강관리정보에 따라 건강상태를 개인별로 관리하도록 대화형 음성안내를 실행하는 개별제안 관리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무채혈 혈당측정기능이 구비된 인체상태진단의자의 제어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제안 관리과정에는 개별 건강관리정보에 따라 산출된 구체적인 개인별 음식조절에 대해 음성으로 가이드하고, 그 날 계획된 운동프로그램을 마이크로폰을 통해 외부로 알려준 후 주기적으로 측정자에게 그 프로그램을 이행하였는 지를 확인하는 음성가이드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채혈 혈당측정기능이 구비된 인체상태진단의자의 제어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제안 관리과정에는 진단분석모듈부가 그 진단결과 인체의 검출데이터가 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하는 상태에 이를 경우 통신모듈을 통해 설정된 담당주치의의 스마트폰으로 검출데이터와 함께 긴급체킹요청신호를 전송하는 긴급체킹요청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채혈 혈당측정기능이 구비된 인체상태진단의자의 제어방법.







KR1020110113333A 2011-11-02 2011-11-02 무채혈 혈당측정기능이 구비된 인체상태진단의자 및 그 제어방법 KR1012771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3333A KR101277116B1 (ko) 2011-11-02 2011-11-02 무채혈 혈당측정기능이 구비된 인체상태진단의자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3333A KR101277116B1 (ko) 2011-11-02 2011-11-02 무채혈 혈당측정기능이 구비된 인체상태진단의자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8470A KR20130048470A (ko) 2013-05-10
KR101277116B1 true KR101277116B1 (ko) 2013-06-20

Family

ID=48659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3333A KR101277116B1 (ko) 2011-11-02 2011-11-02 무채혈 혈당측정기능이 구비된 인체상태진단의자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71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08246A (zh) * 2014-04-25 2014-07-09 秦皇岛市康泰医学系统有限公司 一种快速体检测试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2076B1 (ko) 2014-04-29 2015-04-14 길영준 다중 생체신호를 이용한 혈당 측정 방법 및 혈당 측정 장치
CN104146702B (zh) * 2014-08-14 2016-03-16 张新房 新型生物电感应健康风险评估系统
CN104257144A (zh) * 2014-09-24 2015-01-07 中山市乐居智能技术开发有限公司 一种具有健康提示功能的椅子
JP6938378B2 (ja) 2015-01-21 2021-09-22 デックスコム・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複数のディスプレイ装置との連続グルコースモニタ通信
CN105832049A (zh) * 2016-04-28 2016-08-10 上海理工大学 一种多功能椅子
US20220117489A1 (en) * 2020-10-16 2022-04-21 Kesavan Jagadeesan Console for Multiple Medical Diagnosis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7130A (ko) * 2004-10-27 2006-05-0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다기능 의자를 이용한 건강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60038049A (ko) * 2004-10-29 2006-05-0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통신망을 이용한 건강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0697211B1 (ko) * 2005-10-27 2007-03-22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무구속 맥파도달시간 측정을 이용한 혈압측정시스템 및방법
KR100919838B1 (ko) * 2009-05-14 2009-10-01 한국 한의학 연구원 건강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7130A (ko) * 2004-10-27 2006-05-0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다기능 의자를 이용한 건강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60038049A (ko) * 2004-10-29 2006-05-0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통신망을 이용한 건강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0697211B1 (ko) * 2005-10-27 2007-03-22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무구속 맥파도달시간 측정을 이용한 혈압측정시스템 및방법
KR100919838B1 (ko) * 2009-05-14 2009-10-01 한국 한의학 연구원 건강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08246A (zh) * 2014-04-25 2014-07-09 秦皇岛市康泰医学系统有限公司 一种快速体检测试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8470A (ko) 2013-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7116B1 (ko) 무채혈 혈당측정기능이 구비된 인체상태진단의자 및 그 제어방법
CN110327024B (zh) 一种基于按摩椅的健康参数检测方法、装置和系统
RU2674087C2 (ru) Сбор персональных данных о состоянии здоровья
CN105559762B (zh) 个人健康数据采集
US8469884B2 (en) Medical sensor kit for combination with a chair to enable measurement of diagnostic information
CA3016496C (en) Systems, computer medium and computer-implemented methods for monitoring and improving health and productivity of employees
JP6073919B2 (ja) ユーザの圧受容器反射をモニタリングする方法及び装置
EP2729065B1 (en) Systems, computer medium and computer-implemented methods for monitoring and improving cognitive and emotive health of employees
US20030208109A1 (en) Chair and ancillary apparatus with medical diagnostic features in a remote health monitoring system
KR20020009724A (ko) 원격진료측정장치 및 진료방법
CN106163387A (zh) 用于检测用户的心率的变化的系统和方法
CA2840969A1 (en) Systems, computer medium and computer-implemented methods for monitoring and improving biometric health of employees
CA2957680A1 (en) Chair pad system and associated, computer medium and computer-implemented methods for monitoring and improving health and productivity of employees
EP2729056B1 (en) Systems, computer medium and computer-implemented methods for monitoring and improving biomechanical health of employees
KR20140003820A (ko) 의자에서 획득한 생체정보를 기반으로 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방법
WO2007082593A1 (en) A system for blood pressure measurement and a method for blood pressure measurement
CN105167763B (zh) 一种健康检测仪
KR20130048471A (ko) 긴급진단기능이 구비된 좌변기 및 그 제어방법
CN102670184B (zh) 自助式心血管机能检测系统及其使用方法
CN111558148B (zh) 颈部按摩仪的健康检测方法及颈部按摩仪
CN105997029A (zh) 一种智能身体检测装置
CN208551795U (zh) 一种多功能坐便器盖板
KR20190005268A (ko) 심장 질환자의 운동기능 평가 및 재활을 위한 운동 상황에 따른 생체신호 분석 및 운동제어 방법과 장치
JPH01223934A (ja) 健康管理測定装置
CN219001020U (zh) 按摩器及按摩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