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5853B1 - 배수시스템 - Google Patents

배수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5853B1
KR101275853B1 KR1020110023758A KR20110023758A KR101275853B1 KR 101275853 B1 KR101275853 B1 KR 101275853B1 KR 1020110023758 A KR1020110023758 A KR 1020110023758A KR 20110023758 A KR20110023758 A KR 20110023758A KR 101275853 B1 KR101275853 B1 KR 1012758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drainage
sewage
body portion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37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05976A (ko
Inventor
박정규
Original Assignee
한국미니맥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미니맥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미니맥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237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5853B1/ko
Publication of KR201201059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59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58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58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1/00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 E03F1/001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into a body of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21/00Applications of separation devices
    • B01D2221/12Separation devices for treating rain or storm wat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토목,환경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우수 및/또는 오수의 배수를 안내하는 배수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우,오수가 배수되는 배수로(10)에 연결되어 상기 배수로(10)의 우,오수가 우회하는 본체부(100) 및, 상기 본체부(100)를 우회하는 우,오수를 여과시키는 스크린(200)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100)는, 상기 우,오수가 우회하며 상기 우,오수 속 오염물이 침전되는 내부공간(102)을 가지며, 상기 본체부(100)의 일측에 상기 배수로(10)로부터 상기 우,오수가 유입되는 유입구(104)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된 우,오수가 상기 유입구(104)의 우,오수 유입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100)의 타측에 배출구(106)가 형성되며, 상기 본체부(100)의 배출구(106)에 상기 스크린(20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시스템을 제시한다.

Description

배수시스템{DRAIN SYSTEM FOR RAINWATER, POLLUTED WATER}
본 발명은 토목,환경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우수 및/또는 오수의 배수를 안내하는 배수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도심지의 우수 및 오수(하수)는 배수로(10)를 통해서 하천(2)으로 방류되고 있다.
그런데, 우수 및 오수와 함께 오염물이 하천(2)으로 방류되지 않도록 배수로(10)의 하천으로의 배출구 측에 정화 처리를 위해 스크린을 설치하는데, 이 경우 스크린의 메쉬 크기가 작을수록 오니, 슬러지, 중금속 등의 미세오염물까지 정화 처리할 수 있지만, 스크린이 쉽게 오염되고 막힐 수 있다는 단점이 있어 수시로 스크린을 세척, 교체해야되는 바, 현실적으로 사용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또한, 우수 및 오수의 유량이 많지 않을 때에는 배수로(10)에 미세 오염물 등이 쉽게 퇴적되는데 이로 인해 배수로(10) 자체가 오염될 수 있는바, 배수로(10)를 수시로 청소해야된다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으며, 무엇보다 배수로(10)가 상당히 길고 접근성이 용이하지 않아서 현실적으로 배수로(10)의 청소가 용이하지 않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배수로에 미세 오염물까지도 충분히 여과시키며, 배수로, 스크린을 용이하게 유지,보수할 수 있는 배수시스템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우,오수가 배수되는 배수로(10)에 연결되어 상기 배수로(10)의 우,오수가 우회하는 본체부(100) 및, 상기 본체부(100)를 우회하는 우,오수를 여과시키는 스크린(200)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100)는, 상기 우,오수가 우회하며 상기 우,오수 속 오염물이 침전되는 내부공간(102)을 가지며, 상기 본체부(100)의 일측에 상기 배수로(10)로부터 상기 우,오수가 유입되는 유입구(104)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된 우,오수가 상기 유입구(104)의 우,오수 유입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100)의 타측에 배출구(106)가 형성되며, 상기 본체부(100)의 배출구(106)에 상기 스크린(20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시스템을 제시한다.
상기 본체부(100)의 유입구(104)는 상기 본체부(100)의 상면에 우,오수가 하향 유입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본체부(100)의 배출구(106)는 상기 본체부(100)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수로(10)의 하측면에 각각 우,오수가 상기 본체부(100)로 하향 유입되는 우회구(12), 우,오수가 상기 본체부(100)로부터 회수되는 회수구(14)가 형성되며; 상기 본체부(100)는 상기 본체부(100)의 유입구(104), 배출구(106)가 각각 상기 배수로(10)의 우회구(12), 회수구(14)에 합치되도록 상기 배수로(10)의 하측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00)의 상면에는 상기 우,오수가 상기 본체부(100)로부터 상기 스크린(200)을 경유하지 않고 바로 상기 배수로(10)로 토출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공간(102)과 연결되며 상기 본체부(100)의 상측으로 돌출된 바이패스 배출구(108)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공간(102)은 상기 우,오수가 상하방향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원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본체부(100)의 내벽은 상향 회전류가 형성될 수 있도록 나선(100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공간(102)에는 상기 우,오수가 상하방향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부재(11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수로(10)에는 상기 배수로(10) 내 수위가 소정 수위보다 낮으면 상기 배수로(10) 내 우,오수가 상기 본체부(100)로 우회하고, 상기 배수로(10) 내 수위가 상기 소정 수위 이상이면 상기 배수로(10) 내 우,오수가 상기 본체부(100)로 우회하지 않고 월류하여 상기 배수로(10)를 따라 배수될 수 있도록 격벽(2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크린(200)은 단면이 쐐기 형상인 복수의 웨지 와이어를 상하방향으로 배열한 웨지 와이어 스크린(21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수로(10)의 상,하면 외 측면 일측에 상기 본체부(100)로 상기 우,오수가 우회하는 우회구(12)가 형성되고, 상기 배수로(10)의 측면 타측에 상기 본체부(100)를 우회한 우,오수가 회수되는 회수구(14)가 형성되며;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공간(102)은 상기 우,오수가 상하방향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원형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부(100)의 유입구(104)는 상기 본체부(100)의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100)의 배출구(106)는 상기 본체부(100)의 상면에 형성되며; 상기 배수로(10)와 나란히 설치되며, 상기 본체부(100)가 설치되는 내부공간(1002)을 갖고, 상기 배수로(10)의 우,오수가 바로 상기 본체부(100)에 유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유입구(1004) 및 상기 본체부(100)의 배출구(106)로부터 배출된 우,오수를 상기 배수로(10)로 안내할 수 있도록 배수로(10)의 회수구(14)와 연결되는 배출구(1006)를 갖는 챔버(10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초기우수만을 분리하여 효율적으로 미세오염물까지 정화처리할 수 있으며, 특히 본체부에 형성되는 회전수류에 의해 스크린이 자동으로 세척될 수 있는바, 관리가 용이해질 수 있다. 또한,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배수로의 오염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배수시스템의 적용 예.
도 2 이하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도 2는 제1실시 예에 따른 초기우수시 측단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도 2의 B-B선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제1실시 예에 따른 지속우수시 측단면도.
도 6은 제2실시 예에 따른 측단면도.
도 7은 도 4와 대응되는 도면으로서, 제3실시 예에 따른 평단면도.
도 8에서, (a)는 웨지 와이어 스크린의 전방에서 본 사시도이고, (b)는 이를 경사진 상방에서 본 사시도.
도 9는 웨지 와이어 스크린을 구성하는 웨지 와이어와 슬릿의 부분 확대 단면도.
도 10은 제3실시 예에 따른 단면도로서, 도 2과 대응되는 도면.
도 11은 도 10의 F-F선에 따른 단면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수시스템은, 기본적으로 우,오수가 배수되는 배수로(10)에 연결되어 배수로(10)의 우,오수가 우회하는 본체부(100) 및, 본체부(100)를 우회하는 우,오수를 여과시키는 스크린(200)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체부(100)는, 우,오수가 우회하며 우,오수 속 오염물이 침전되는 내부공간(102)을 가지며, 본체부(100)의 일측에 배수로(10)로부터 우,오수가 유입되는 유입구(104)가 형성되고, 유입된 우,오수가 유입구(104)의 우,오수 유입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본체부(100)의 타측에 배출구(106)가 형성되며, 본체부(100)의 배출구(106)에 스크린(20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본체부(100)에서 오염물의 침전이 이루어짐에 따라 우수 및 오수가 1차적으로 정화처리될 수 있으며, 2차적으로 오염물이 스크린(200)에 의해 걸려 우수 및 오수가 여과될 수 있다.
특히, 유입구(104)에서의 우,오수 유입방향과 배출구(106)에서의 우,오수 배출방향이 상이하기 때문에, 본체부(100)에 유입된 우,오수가 바로 본체부(100)의 배출구(106)를 통해 배출되지 않고 본체부(100)의 내부공간(102)에서 충분히 담수된 후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본체부(100)의 내부공간(102)에서 충분히 침전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는바, 여과효율을 증대될 수 있다. 아울러, 위와 같이 침전작용에 의해 우,오수가 1차 정화 처리된 후 스크린(200)을 통해 배출되기 때문에, 스크린(200)에서의 여과 처리 부하가 감소될 수 있어, 스크린(200)의 장시간 사용이 가능해질 수 있다.
또한, 유입구(104)에서의 우,오수 유입방향과 배출구(106)에서의 우,오수 배출방향이 상이하기 때문에, 본체부(100)의 내부공간(102)에 형성되는 수류에 의해 스크린(200)이 닦여질 수 있는바, 스크린(200)의 지속적인 세척이 가능하여, 유지,보수 측면에서 월등히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오염물이 본체부(100)의 내부공간(102)에 포집될 수 있는바, 오염물이 배수로(10)에 퇴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본체부(100)의 내부공간(102)에 포집, 침전된 오염물의 제거가 용이할 수 있다.
또한, 우수시 등에 급류가 바로 스크린(200)을 통하지 않기 때문에, 급류에 의한 스크린(200)의 압력이 줄어들 수 있어, 스크린(200)의 내구성 향상에 보다 유리할 수 있다.
나아가, 본체부(100)의 유입구(104)는 본체부(100)의 상면에 우,오수가 하향 유입되도록 형성되며, 본체부(100)의 배출구(106)는 본체부(100)의 상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본체부(100)의 내부공간(102)에 상하방향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수류(W)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 회전수류(W)에 의해 본체부(100)의 상면에 설치된 스크린(200)이 원활하게 지속적으로 자가 세척될 수 있다. 특히, 집중 강우시 등과 같이 우수 및 오수의 유량이 많고 유속이 빠른 경우, 급류에 의해 본체부(100)의 내부공간(102)에 회전수류(W)가 충분히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본체부(100)의 내부공간(102)에 형성된 회전수류(W)에 의한 스크린(200)의 자가 세척이 전혀 문제없다.
여기서, 본체부(100)의 유입구(104)는 용이한 회전수류(W) 형성을 위해, 하향 유입되는 우,오수를 본체부(100)의 바닥까지 안내할 수 있도록 본체부(100)의 내부공간(102)으로 소정 길이(104L) 하향 돌출될 수 있다.
아울러, 본체부(100)의 내부공간(102)은 상술한 회전수류(W)가 충분히 형성될 수 있도록, 우,오수가 상하방향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원형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 이와 함께, 도 6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본체부(100)의 내벽은 상향 회전류가 형성될 수 있도록 나선(100A)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나선(100A)에 의해 수류의 회전이 안내될 수 있기 때문에 회전수류(W)가 보다 충분히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본체부(100)의 내부공간(102)에는 우,오수가 상하방향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부재(110)가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부재(110)는 회전수류(W)를 안내할 수 있다면 어떠한 것이든 무방하며, 특히 본체부(100)의 유입구(104)를 통해 유입되는 우,오수가 경유하도록 일단이 본체부(100)의 유입구(104)에 연결되며, 적어도 우,오수를 본체부(100)의 내부공간(102)으로 방류하는 타단부가 상하방향을 축중심으로 소정 곡률로 굴곡진 곡관(11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본체부(1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로(10) 아래에 설치되는 것이 보다 유리할 수 있다. 즉, 우,오수가 배수로(10)로부터 본체부(100)로 바로 하향 유입될 수 있으며, 우,오수가 본체부(100)로부터 배수로(10)로 바로 회수될 수 있기 때문에, 본체부(100)와 배수로(10)를 연결하기 위한 별도의 관로 등의 부재가 더 추가되지 않아도 된다. 즉, 배수로(10)의 하측면에 각각 우,오수가 본체부(100)로 하향 유입되는 우회구(12)와, 우,오수가 본체부(100)로부터 회수되는 회수구(14)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체부(100)는 본체부(100)의 유입구(104), 배출구(106)가 각각 배수로(10)의 우회구(12), 회수구(14)에 합치되도록 배수로(10)의 하측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배수로(10)의 우회구(12)는, 우,오수가 하나의 본체부(100)로 우회토록 하나 형성될 수 있으며, 우,오수가 복수의 본체부(100)로 나뉘어 우회토록 복수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체부(100)의 상면에는 우,오수가 스크린(200)을 경유하지 않고 바로 배수로(10)로 토출될 수 있도록, 본체부(100)의 내부공간(102)과 연결되며 본체부(100)의 상측으로 돌출된 바이패스 배출구(108)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우수의 경우, 초기우수는 오염물과 함께 배수되지만, 지속우수는 오염물이 초기우수와 함께 배수된 후이므로 비교적 깨끗한 수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도 2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초기우수시에는 유량이 많지 않은 상태이므로 초기우수가 본체부(100)에서 스크린(200)을 통해 배수로(10)로 다시 회수되게 하고, 도 5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지속우수시에는 유량이 증가되어 많은 상태이므로 지속우수가 스크린(200)을 거치지 않고 바이패스 배출구(108)를 통해 바로 배수로(10)로 회수되게 할 수 있다. 이 결과, 본체부(100) 및 스크린(200)은 초기우수에 대응하는 정화용량을 갖도록 형성되어도 충분히 제기능을 할 수 있는바, 본체부(100) 및 스크린(200)을 소형화할 수 있으며, 스크린(200)의 마모를 지연시킬 수 있다.
여기서, 바이패스 배출구(108)는 배수로(10) 내 우,오수가 바이패스 배출구(108)를 통해 본체부(100)로 역류하지 않도록, 본체부(100)의 상면으로부터 소정 높이(108H)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나아가, 바이패스 배출구(108)는 본체부(100)의 내부공간(102)에 회전수류(W)가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도록, 회전수류(W)의 중심에 대응되게 위치되며 본체부(100)의 내부공간(102)을 향해 본체부(100)의 상면으로부터 소정 길이(108L)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배수로(10)에는 배수로(10) 내 우,오수가 본체부(100)를 우회할 수 있도록, 배수로(10)를 가로지르도록 배수로(10)에 설치되어 우,오수의 흐름을 차단하는 격벽(20)이 구비될 수 있다.
특히, 격벽(20)은, 도 2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배수로(10) 내 수위가 소정 수위보다 낮으면 우,오수가 본체부(100)로 우회하고, 도 5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배수로(10) 내 수위가 상기한 소정 수위 이상이면 우,오수가 본체부(100)로 우회하지 않고 격벽(20)을 월류하여 배수로(10)를 따라 배수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격벽(20)은 배수로(10) 내 하측부 배수 흐름만을 차단할 수 있도록, 배수로(10)의 하측면에서부터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배수로(10)의 높이(10H)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초기우수는 상대적으로 유량이 많지 않기 때문에 배수로(10) 내 수위가 낮아서 본체부(100)를 우회하게 되며, 지속우수는 유량이 많기 때문에 일부는 본체부(100)를 우회하겠지만 대부분이 본체부(100)를 우회하지 않고 격벽(20)을 월류하여 계속해서 배수로(10)를 따라 배수될 수 있다.
스크린(200)은 철망과 같은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특히 상술한 바와 같이 회전수류(W)에 의해 지속적으로 자가 세척 가능하기 때문에, 오니, 슬러지, 중금속 등의 미세 오염물도 걸러낼 수 있도록 극세사 필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스크린(200)은 단면이 쐐기 형상인 복수의 웨지 와이어를 상하방향으로 배열한 웨지 와이어 스크린(21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웨지 와이어 스크린(210)은,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다.
웨지 와이어 스크린(210)은 단면이 쐐기 형상인 복수의 웨지 와이어(212)를 평행하게 배열하여 구성되고, 각 웨지 와이어(212) 사이에 10μm~lmm 정도의 미소한 슬릿(slit)(214)가 형성될 수 있다.
각 웨지 와이어(212)는 복수의 지지봉(216)에 점용접 등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각 웨지 와이어(212) 및 지지봉(216)은 스텐레스와 같은 내식성의 금속재료에 의해 제작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웨지 와이어 스크린(210)에 형성되는 각 슬릿(214)는 10μm~lmm 정도의 고형물의 통과를 저지하여, 슬릿폭보다 작은 고형물을 포함한 액체만을 통과시킨다.
단면이 쐐기 형상인 웨지 와이어(212)는 소정간격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어 있고, 그 머리부(212a)의 면이 유입실측의 면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그 머리부(212a)의 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쐐기의 축선 S는, 화살표 L에 의해 도시된 상하방향의 선회류 방향의 하류 측에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선회류방향 L과 머리부(212a)의 면과의 각도(α)는 3도 ~ 8도, 통상 5도 정도로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 웨지 와이어(212)의 축선 S가 경사지도록 형성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선회류의 상류측에 위치하는 머리부(212a)의 단부(212b)가 하류측에 위치하는 머리부(212a)의 단부(212c)보다 유입실(5)의 내측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그 때문에 선회류가 각 웨지 와이어(212)의 돌출된 단부(212b)에 충돌하여, 코안다 효과(Coanda effect)에 의해 슬릿(214)에 효율적으로 끌어 들여질 수 있다. 따라서, 미크론 단위의 고형물을 분리하기 위하여 슬릿폭을 작게 하면 스크린(200)의 개구율이 매우 작아지지만, 코안다 효과에 의해 액체의 투과성이 향상되므로 스크린(200)의 개구율을 실질적으로 증대시키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액체의 투과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면, 미세한 고형물을 분리하기 위해서 슬릿 간격을 지극히 작게 하더라도, 분리 처리 능력을 상당한 레벨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스크린(200)은 상기한 바와 같이 본체(100)의 내부공간(102)(102)에 발생된 회전수류(W)에 의해 자동으로 세척이 가능하기 때문에, 아주 작은 크기의 오염원도 걸러낼 수 있는 극세사 필터로 이루어지더라도 막힘 현상이 방지될 수 있으며, 수체의 정화효율은 극대화될 수 있다.
한편, 또 다른 실시 예로써,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질 수 있다.
배수로(10)의 상,하면 외 측면 일측에 본체부(100)로 상기 우,오수가 우회하는 우회구(12)가 형성되고, 배수로(10)의 측면 타측에 상기 본체부(100)를 우회한 우,오수가 회수되는 회수구(14)가 형성될 수 있다.
본체부(100)의 내부공간(102)은 우,오수가 상하방향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원형 구조로 이루어지며, 본체부(100)의 유입구(104)는 본체부(100)의 측면에 형성되고, 본체부(100)의 배출구(106)는 상기 본체부(100)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우,오수가 본체부(100)의 측면을 통해 유입되어 원활하게 회전수류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아울러, 본 발명은, 내부에 본체부(100)가 설치되어 본체부(100)로부터 우,오수가 배출되며, 이 배출된 우,오수가 배수로(10)로 유입되게 하는 챔버(10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챔버(1000)는 배수로(10)의 우,오수가 측면을 통해 유입될 수 있도록 배수로(10)와 나란히 설치되며, 배수로(10)의 우,오수가 본체부(100)에 유입될 수 있도록 본체부(100)가 설치되는 내부공간(1002)을 가질 수 있다. 아울러, 챔버(1000)는 배수로(10)의 우,오수가 바로 본체부(100)에 유입될 수 있도록 측면 일측에 유입구(1004)가 형성되며, 본체부(100)의 배출구(106)로부터 배출된 우,오수를 배수로(10)로 안내할 수 있도록 측면 타측에 배수로(10)의 회수구(14)와 연결되는 배출구(1006)가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10; 배수로 20; 격벽
100; 본체부 102; 내부공간
104; 유입구 106; 배출구
108; 바이패스 배출구 110; 가이드부재
112; 곡관 200; 스크린

Claims (10)

  1. 우,오수가 배수되는 배수로(10)에 연결되어 상기 배수로(10)의 우,오수가 우회하는 본체부(100) 및, 상기 본체부(100)를 우회하는 우,오수를 여과시키는 스크린(200)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100)는, 상기 우,오수가 우회하며 상기 우,오수 속 오염물이 침전되는 내부공간(102)을 가지며, 상기 본체부(100)의 일측에 상기 배수로(10)로부터 상기 우,오수가 유입되는 유입구(104)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된 우,오수가 상기 유입구(104)의 우,오수 유입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100)의 타측에 배출구(106)가 형성되며, 상기 본체부(100)의 배출구(106)에 상기 스크린(200)이 설치되고,
    상기 배수로(10)의 상,하면 외 측면 일측에 상기 본체부(100)로 상기 우,오수가 우회하는 우회구(12)가 형성되고, 상기 배수로(10)의 측면 타측에 상기 본체부(100)를 우회한 우,오수가 회수되는 회수구(14)가 형성되며;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공간(102)은 상기 우,오수가 상하방향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원형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부(100)의 유입구(104)는 상기 본체부(100)의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100)의 배출구(106)는 상기 본체부(100)의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배수로(10)와 나란히 설치되며, 상기 본체부(100)가 설치되는 내부공간(1002)을 갖고, 상기 배수로(10)의 우,오수가 바로 상기 본체부(100)에 유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유입구(1004) 및 상기 본체부(100)의 배출구(106)로부터 배출된 우,오수를 상기 배수로(10)로 안내할 수 있도록 배수로(10)의 회수구(14)와 연결되는 배출구(1006)를 갖는 챔버(10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0)의 유입구(104)는 상기 본체부(100)의 상면에 우,오수가 하향 유입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본체부(100)의 배출구(106)는 상기 본체부(100)의 상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배수로(10)의 하측면에 각각 우,오수가 상기 본체부(100)로 하향 유입되는 우회구(12), 우,오수가 상기 본체부(100)로부터 회수되는 회수구(14)가 형성되며;
    상기 본체부(100)는 상기 본체부(100)의 유입구(104), 배출구(106)가 각각 상기 배수로(10)의 우회구(12), 회수구(14)에 합치되도록 상기 배수로(10)의 하측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시스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0)의 상면에는 상기 우,오수가 상기 본체부(100)로부터 상기 스크린(200)을 경유하지 않고 바로 상기 배수로(10)로 토출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공간(102)과 연결되며 상기 본체부(100)의 상측으로 돌출된 바이패스 배출구(108)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공간(102)은 상기 우,오수가 상하방향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원형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0)의 내벽은 상향 회전류가 형성될 수 있도록 나선(100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공간(102)에는 상기 우,오수가 상하방향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부재(11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시스템.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로(10)에는 상기 배수로(10) 내 수위가 소정 수위보다 낮으면 상기 배수로(10) 내 우,오수가 상기 본체부(100)로 우회하고, 상기 배수로(10) 내 수위가 상기 소정 수위 이상이면 상기 배수로(10) 내 우,오수가 상기 본체부(100)로 우회하지 않고 월류하여 상기 배수로(10)를 따라 배수될 수 있도록 격벽(2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시스템.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200)은 단면이 쐐기 형상인 복수의 웨지 와이어를 상하방향으로 배열한 웨지 와이어 스크린(21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시스템.
  10. 삭제
KR1020110023758A 2011-03-17 2011-03-17 배수시스템 KR1012758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3758A KR101275853B1 (ko) 2011-03-17 2011-03-17 배수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3758A KR101275853B1 (ko) 2011-03-17 2011-03-17 배수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5976A KR20120105976A (ko) 2012-09-26
KR101275853B1 true KR101275853B1 (ko) 2013-06-17

Family

ID=47112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3758A KR101275853B1 (ko) 2011-03-17 2011-03-17 배수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585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2624A (ko) * 2004-05-27 2005-12-01 동양특수콘크리트 (주) 우수처리장치
KR100807192B1 (ko) 2007-08-31 2008-02-28 주식회사 한미엔텍 와류형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0937580B1 (ko) 2009-03-25 2010-01-20 김영현 유수 분리 장치
KR101157738B1 (ko) 2008-02-19 2012-06-25 가부시키가이샤 하넥스 분리장치 및 분리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2624A (ko) * 2004-05-27 2005-12-01 동양특수콘크리트 (주) 우수처리장치
KR100807192B1 (ko) 2007-08-31 2008-02-28 주식회사 한미엔텍 와류형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1157738B1 (ko) 2008-02-19 2012-06-25 가부시키가이샤 하넥스 분리장치 및 분리방법
KR100937580B1 (ko) 2009-03-25 2010-01-20 김영현 유수 분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5976A (ko) 2012-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0689B1 (ko) 집수구형 비점오염 저감장치
US9068337B2 (en) Fluid stream hydrodynamic separator with high flow bypass
KR100896015B1 (ko) 비점 오염원 저감 맨홀
KR101327526B1 (ko) 수처리 구조물
KR101545448B1 (ko) 초기우수의 수처리 시스템
JP4681641B2 (ja) 分離装置
JP2012036711A (ja) 路面排水処理装置
KR101453163B1 (ko) 초기우수 내 오염물 및 합류식 하수관 내 오염물 처리장치
JP4729589B2 (ja) 分離装置
KR100891940B1 (ko) 교량용 비점오염원 처리장치
KR100762981B1 (ko) 도수로의 비점오염 저감장치
KR101747162B1 (ko) 초기 우수 처리 장치
KR101143866B1 (ko) 비점오염원 정화장치
KR101275853B1 (ko) 배수시스템
KR101924508B1 (ko) 우수 오염물 배제장치
KR101236215B1 (ko) 하천정화장치
KR101275854B1 (ko) 배수시스템
KR101159474B1 (ko) 비점오염물질 정화 장치
KR100883616B1 (ko) 협잡물 거름용 스크린을 구비한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0867740B1 (ko) 오염수 정화장치
KR101052546B1 (ko) 측구용 초기우수 처리장치
JP2012026256A (ja) 路面排水処理装置
KR101300784B1 (ko) 하천정화장치
WO2014146178A1 (en) Solids separator
KR101232215B1 (ko) 우수 처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