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3653B1 - Fishing rod - Google Patents

Fishing r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3653B1
KR101273653B1 KR1020110074485A KR20110074485A KR101273653B1 KR 101273653 B1 KR101273653 B1 KR 101273653B1 KR 1020110074485 A KR1020110074485 A KR 1020110074485A KR 20110074485 A KR20110074485 A KR 20110074485A KR 101273653 B1 KR101273653 B1 KR 1012736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rod
fishing line
grip
bl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448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09533A (en
Inventor
현광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도요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도요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도요엔지니어링
Publication of KR201300095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953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36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365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08Fishing rods with attached auxiliary devices, e.g. for keeping the rod afloat or for line cutting
    • A01K87/009Hook or tackle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4Fishing-line guides on rods, e.g. tip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ishing R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낚싯바늘 및 봉돌 걸이가 구비된 낚싯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가이드가 구비된 블랭크; 상기 블랭크의 일단부에 연결되고, 릴(reel)이 장착되는 릴시트; 상기 릴시트의 전방 또는 후방 또는 이들 모두에 연결되는 그립부; 및 상기 그립부 또는 상기 블랭크, 또는 이들 모두에 연결되고, 상기 릴과 연결된 낚싯줄, 또는 상기 낚싯줄에 연결된 낚싯바늘, 또는 상기 낚싯바늘의 인접한 위치의 낚싯줄, 또는 상기 낚싯줄 단부에 연결되는 봉돌, 또는 상기 봉돌과 상기 낚싯줄을 연결하는 봉돌걸이를 고정시키기 위한 걸이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낚싯대의 이동이나 운반 시 낚싯줄, 낚시바늘, 봉돌 등이 요동하거나, 또는 늘어져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낚싯줄, 낚시바늘, 봉돌 등을 고정시키는 걸이수단을 도입하여 낚싯대의 이동이나 운반이 편리하도록 하고, 또한 낚싯바늘이나 봉돌에 의한 상해나 손상을 방지함으로써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이동 및 운반이 편리한 낚싯대를 제안하고자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shing rod provided with a fishing needle and a hook hook, more specifically, a blank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guides; A reel seat connected to one end of the blank and mounted with a reel; A grip portion connected to the front or rear of the reel seat or both; And a fishing line connected to the grip portion or the blank, or both, and a fishing line connected to the reel, or a fishing needle connected to the fishing line, or a fishing line at an adjacent position of the fishing needle, or a rod that is connected to an end of the fishing line, or the rod. It comprises a; hook means for fixing the rod hanger for connecting the fishing line.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convenient to move or transport the fishing rod by introducing a hook means for fixing the fishing line, fishing needles, rods, etc. in order to prevent the fishing line, fishing needles, rods and the like from swinging or sagging when moving or carrying the rods. In addition, to prevent the injury or damage caused by fishing hooks or rods, it is proposed a fishing rod that is convenient to move and transport to increase the safety.

Description

이동 및 운반이 편리한 낚싯대{FISHING ROD}Fishing rod for easy movement and transportation {FISHING ROD}

본 발명은 낚싯대의 이동이나 운반 시 낚싯줄, 낚시바늘, 봉돌 등이 요동하거나, 또는 늘어져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낚싯줄, 낚시바늘, 봉돌 등을 고정시키는 걸이수단을 도입하여 낚싯대의 이동이나 운반이 편리하도록 하고, 또한 낚싯바늘이나 봉돌에 의한 상해나 손상을 방지함으로써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이동 및 운반이 편리한 낚싯대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ntroduces a hook means for fixing the fishing line, fishing needles, rods, etc. in order to prevent the fishing line, fishing needles, rods and the like from swinging or sagging during the movement or transportation of the rods so as to facilitate the movement or transportation of the rods.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shing rod that is easy to move and carry, which can increase safety by preventing injury or damage caused by fishing needles or sticks.

일반적으로 낚싯대라 함은 낚싯줄을 매어 물고기를 잡을 때 쓰는 가늘고 긴 대를 말하는 것으로,Generally, a fishing rod refers to a thin and long rod used to catch a fish by tying a fishing line.

종래에는 대나무 낚싯대를 주로 사용하였으나 근래에 들어서는 글라스파이버, 카본 등을 이용한 낚싯대가 개발되어 고탄력, 고강도, 저하중의 낚싯대가 제작되고 있다.
Conventionally, a bamboo fishing rod was mainly used, but recently, a fishing rod using glass fiber, carbon, etc. has been developed, and a fishing rod of high elasticity, high strength, and low weight has been manufactured.

이러한 낚싯대를 이용한 낚시에 있어 장소의 선정은 어획량과 관련이 된 중요한 요소로 어획량이 많지 않은 경우, 일반적으로 다른 장소로 이동하여 낚시를 하게 된다.
In the fishing using such a fishing rod, the selection of a place is an important factor related to the catch, and when the catch is not large, it is generally moved to another place to fish.

이동시는 낚시바늘과 낚싯줄이 낚시터 부근의 나무, 풀 등에 엉키지 않도록 손으로 파지하고 이동하는데,When moving, the fishing needle and fishing line are grasped by hand so as not to get tangled in the trees and grass near the fishing ground.

이때 낚시바늘에 의해 손을 다칠 수 있으며, 낚시바늘에 주의를 집중하는 과정에서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hand may be injured by the fishing needle, and a safety accident may occur in the process of focusing attention on the fishing needle.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낚싯대 외주면에 낚시바늘을 임시로 고정시키기 위해 원형고리를 설치하였으나, 이러한 원형고리는 낚시바늘을 고리의 중심부로 낚시바늘의 삽입하고, 이탈시켜야 하는바 사용이 불편한 단점이 있다.
Conventionally,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circular ring was installed to temporarily fix the fishing needle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shing rod. However, this circular ring has to be inserted and detached from the fishing needle into the center of the hook, and it is inconvenient to use. There is this.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등록실용 제20-0339248호(2004.01.08. 이하 '종래기술'이라 함.) "낚시바늘 고정구"가 개시되어 있다.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registered practical application No. 20-0339248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has been disclosed.

상기 종래기술은 일자형 바닥편과, 바닥편 상면 양 단부에 각각 돌출된 한 쌍의 단부벽과 두 단부벽의 각 대향면 중앙부에서 바닥편의 중앙부를 향하여 연장 형성되며 서로 이격되는 한 쌍의 결합벽과, 상기 각 단부벽과 이에 연장 형성된 각 결합벽의 상단면 전체에 저면이 결합되는 한 쌍의 상편으로 이루어지며,The prior art includes a straight bottom piece, a pair of end walls protruding from both ends of the bottom piece, and a pair of coupling walls extending from the center of each of the opposing surfaces of the two end walls toward the center of the bottom piece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t consists of a pair of upper pieces that the bottom is coupled to the entire upper end surface of each of the end wall and each coupling wall formed therein,

상기 두 결합벽의 이격 틈새를 통하여 각 결합벽이 낚시바늘의 내공간에 끼워지는 방식으로 낚시바늘과 결합하여 낚시바늘을 고정시키게 된다.
Through the gap between the two coupling walls are combined with the fishing needle in a manner that each coupling wall is fitt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fishing needle to secure the fishing needle.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낚시바늘이 걸리는 결합벽의 높이가 높아 낚시바늘을 결합벽에 건 후, 이동하거나 보행하는 경우 발생하는 진동이나 흔들림으로 낚시바늘이 배출될 수 있어 안전사고의 위험이 여전하고,However, the prior art has a high height of the coupling wall that the fishing needle is caught, the fishing needle can be discharged by vibration or shaking generated when moving or walking after hooking the fishing needle on the coupling wall, the risk of safety accidents still,

또한 낚시바늘 이외에 봉돌이나, 낚싯줄을 고정시킬 수 없어 낚시대의 운반이나 이동이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inconvenient to carry or move the fishing rod because it is not able to fix the rod or the fishing line in addition to the fishing needle.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낚싯대의 이동이나 운반 시에 낚싯바늘과 봉돌이 걸이수단에 고정되어 낚시바늘과 봉돌이 요동치는 것이 방지되어 안정화되고,When the fishing rod is moved or transported, the fishing needle and the pedestal are fixed to the hook means to prevent the fishing needle and the pedestal from swinging and stabilizing.

또한 낚싯줄의 꼬임이나 엉킴을 방지하여 낚싯대의 사용 편의성을 보장할 뿐만 아니라, 낚싯바늘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견고히 고정됨으로써 낚싯바늘에 의한 상해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것을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fishing line can be prevented from being twisted or tangled to ensure the ease of use of the fishing rod, and the fishing needle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and is firmly fixed to prevent injury or damage caused by the fishing needle. For the purpose of.

또한 본 발명은 걸이수단은 낚싯줄, 낚싯바늘, 낚싯바늘에 인접한 위치의 낚싯줄, 봉돌, 봉돌과 낚싯줄을 연결하는 봉돌걸이 등을 선택적으로 또는 이들 모두를 고정시킬 수 있는 다양한 변형 모델들을 도입하여 보다 편리한 낚싯대의 사용을 보장하는 것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hook means is more convenient by introducing a variety of models that can be fixed to the fishing line, fishing needles, fishing line in the position adjacent to the fishing needles, rods, rods and hooks hooking rods and the like, or all of them Another object is to ensure the use of a fishing rod.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및 운반이 편리한 낚싯대는 다수의 가이드가 구비된 블랭크; 상기 블랭크의 일단부에 연결되고, 릴(reel)이 장착되는 릴시트; 상기 릴시트의 전방 또는 후방 또는 이들 모두에 연결되는 그립부; 및 상기 그립부 또는 상기 블랭크, 또는 이들 모두에 연결되고, 상기 릴와 연결된 낚싯줄, 또는 상기 낚싯줄에 연결된 낚싯바늘, 또는 상기 낚싯바늘의 인접한 위치의 낚싯줄, 또는 상기 낚싯줄 단부에 연결되는 봉돌, 또는 상기 봉돌과 상기 낚싯줄을 연결하는 봉돌걸이를 고정시키기 위한 걸이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Fishing rod easy to move and trans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lank with a plurality of guides; A reel seat connected to one end of the blank and mounted with a reel; A grip portion connected to the front or rear of the reel seat or both; And a fishing line connected to the grip portion or the blank, or both, and a fishing line connected to the reel, or a fishing needle connected to the fishing line, or a fishing line at an adjacent position of the fishing needle, or a rod that is connected to an end of the fishing line, or the rod. It comprises a; hook means for fixing the rod hanger for connecting the fishing line.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걸이수단은 상기 그립부에 형성된 결합부에 상응하는 대응결합부와, 상기 대응결합부와 연결된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에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낚시바늘이 삽입 고정되는 걸이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hook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orresponding coupling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portion formed in the grip portion, the support member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coupling portion, and the hook hole is formed radially to the support member inserted and fixed to the fishing needle Characterized in that the made up.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걸이수단은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고, 분지된 형태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전방에 형성된 제1 장착부와, 상기 제1 장착부와 이어져 절곡 형성되고, 상호 맞닿는 가압부와, 상기 가압부와 이어져 절곡 형성되고, 상호 이격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와 이어져 절곡 형성된 제2 장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hook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the body of the branched form, the first mounting portion formed in front of the body, the bending portion is formed in connection with the first mounting portion, the pressing portion is in contact with each oth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in connection with the pressing portion, the support portion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second mounting portion formed in connection with the support portion bent.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걸이수단에는 상기 가압부를 감싸도록 형성된 손상방지부재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hook means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urther provided with a damage preventing member formed to surround the pressing portion.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걸이수단은 상기 봉돌이 수용되는 수납부와, 상기 봉돌의 양측부를 감싸는 측면지지부재와,상기 봉돌의 전방부를 감싸는 전면지지부재와, 상기 측면지지부재와 연결되고, 상호 맞닿는 접촉부와, 상기 전면지지부재와 연결된 이음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hook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ccommodating portion accommodating the pedestal, a side support member surrounding both sides of the pedestal, a front support member surrounding the front portion of the pedestal, and a contact portion connected to and contacted with each other. And,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joint connected to the front support member.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및 운반이 편리한 낚싯대는 낚싯대의 이동이나 운반 시에 낚싯바늘과 봉돌이 걸이수단에 고정되어 낚시바늘과 봉돌이 요동치는 것이 방지되어 안정화되고,The fishing rod which is easy to move and car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tabilized by preventing the fishing needle and the stick from being shaken by being fixed to the hook and the hook by the hook means when the rod is moved or transported.

또한 낚싯줄의 꼬임이나 엉킴을 방지하여 낚싯대의 사용 편의성을 보장할 뿐만 아니라, 낚싯바늘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견고히 고정됨으로써 낚싯바늘에 의한 상해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전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fishing line is prevented from being twisted or tangled to ensure the ease of use of the fishing rod, and the fishing needle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and is firmly fixed to prevent injury or damage by the fishing needle, thereby increasing safety.

또한 본 발명은 걸이수단은 낚싯줄, 낚싯바늘, 낚싯바늘에 인접한 위치의 낚싯줄, 봉돌, 봉돌과 낚싯줄을 연결하는 봉돌걸이 등을 선택적으로 또는 이들 모두를 고정시킬 수 있는 다양한 변형 모델들을 도입하여 보다 편리한 낚싯대의 사용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hook means is more convenient by introducing a variety of models that can be fixed to the fishing line, fishing needles, fishing line in the position adjacent to the fishing needles, rods, rods and hooks hooking rods and the like, or all of them The use of a fishing rod can be guaranteed.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및 운반이 편리한 낚싯대의 제1 구현례를 나타내는 측면도, 사시도 및 단면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및 운반이 편리한 낚싯대의 제2 구현례를 나타태는 측면도, 사시도 및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및 운반이 편리한 낚싯대의 제3 구현례를 나타내는 사시도.
1 and 2 are a side view,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fishing rod easy to move and trans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to 5 is a side view,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fishing rod easy to move and trans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fishing rod easy to move and trans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및 운반이 편리한 낚싯대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fishing rod that is easy to move and trans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우선 본 명세서상에서 사용되는 방향기준을 첨부된 도 1을 참조하여 특정하면,First, referring to the attached reference to the direction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1,

본 발명에 따른 그립부 또는 릴시트가 구비된 쪽을 '후단부 또는 원단부'라 하고, 그 반대 쪽을 '전단부 또는 선단부'라고 특정한다.
The side provided with the grip part or the reel she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referred to as the 'rear end or distal end', and the opposite side is designated as 'front end or end part'.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및 운반이 편리한 낚싯대는As shown in Figures 1 to 4 the fishing rod is convenient to move and trans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다수의 가이드(11)가 구비된 블랭크(10); 상기 블랭크(10)의 일단부에 연결되고, 릴(R)(reel)이 장착되는 릴시트(20); 상기 릴시트(20)의 전방 또는 후방 또는 이들 모두에 연결되는 그립부(30); 및 상기 그립부(30) 또는 상기 블랭크(10), 또는 이들 모두에 연결되고, 상기 릴(R)과 연결된 낚싯줄(L), 또는 상기 낚싯줄(L)에 연결된 낚싯바늘(1), 또는 상기 낚싯바늘(1)의 인접한 위치의 낚싯줄(L), 또는 상기 낚싯줄(L) 단부에 연결되는 봉돌(3), 또는 상기 봉돌(3)과 상기 낚싯줄(L)을 연결하는 봉돌걸이를 고정시키기 위한 걸이수단(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A blank 10 having a plurality of guides 11; A reel seat 20 connected to one end of the blank 10 and to which a reel R is mounted; A grip portion 30 connected to the front or rear of the reel seat 20 or both; And a fishing line L connected to the grip portion 30 or the blank 10 or both, and a fishing line L connected to the reel R, or a fishing needle 1 connected to the fishing line L, or the fishing needle. Hook line (1) in the adjacent position of (1), or the hook means (3) connected to the end of the fishing line (L), or hook means for fixing the rod hook connecting the rod (3) and the fishing line (L) 40; consisting of.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및 운반이 편리한 낚싯대에서, 상기 블랭크(10)는1 to 4, in the fishing rod, which is convenient to move and trans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lank 10 is

낚싯대의 골격을 구성하고, 다단의 접힙구조로 이루어져 슬라이드방식으로 상호간에 인출입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It consists of a frame of the fishing rod and consists of a multi-stage folding structure and is configured to be able to draw in and out of each other by a slide method.

즉 상기 블랭크(10)는 카본 그라파이트, 글라스 파이버, 하이브리드, 대나무 등과 같이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재질들은 그 특장단점을 갖기 때문에 낚시의 종류나 용도, 사이즈 등에 따라 가장 최적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at is, the blank 10 is made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carbon graphite, glass fiber, hybrid, bamboo, and the like, and the above-described materials have their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and thus the most suitable ones according to the type, use, size, etc. of fishing. It is preferable to use.

또한 상기 블랭크(10)는 1피스, 또는 여러 피스로 이루어지고, 여러 피스의 경우, 각 피스는 다단의 접이식 구조로 슬라이드방식으로 각 피스 상호간에 인출입되면서 펴지고 접히게 되며,In addition, the blank 10 is made of one piece, or several pieces, in the case of several pieces, each piece is a multi-stage foldable structure to be expanded and folded as each piece withdrawal in and out of each other by a slide method,

상기 블랭크(10)에는 가이드(11)가 연결되어 있어 상기 가이드(11)에 낚싯줄(L)이 삽입되고 안내된다.
A guide 11 is connected to the blank 10 so that the fishing line L is inserted into the guide 11 and guided.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및 운반이 편리한 낚싯대에서, 상기 릴시트(20)는1 to 4, in the fishing rod convenient to move and trans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el seat 20 is

낚싯줄(L)이 감긴 릴(R)(reel)을 장착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블랭크(10) 또는 그립부(30)에 구비된다.
Fishing line (L) is provided on the blank (10) or the grip portion 30 in a configuration for mounting and fixing the reel (R) (reel) wound.

상기 릴시트(20)는 상기 릴(R)을 원터치, 또는 스냅타입 등의 방식으로 손쉽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The reel seat 20 is preferably to be easily mounted to the reel (R) in a one-touch, snap type or the like manner,

또한 상기 릴시트(20)는 릴(R)의 종류나 사이즈에 따라, 또는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 편의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하는 것 또한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reel seat 20 is also preferably to be able to ensure the ease of use by adjusting the position or according to the type or size of the reel (R).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및 운반이 편리한 낚싯대에서, 상기 그립부(30)는As shown in Figure 1 to 4 in the rod easy to move and transport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the grip portion 30 is

상기 블랭크(10)의 원단부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 편의성을 보장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It is provided on the distal end of the blank 10 so that the user can grip it serves to ensure the ease of use.

상기 그립부(30)는 상기 블랭크(10)의 원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릴시트(20) 전방에 위치하는 제1 그립(30A) 또는 상기 릴시트(20) 후방에 위치하는 제2 그립(30B), 또는 이들 모든 위치에 배열되는 것이 가능하고,The grip part 30 is provided at the distal end of the blank 10, and is provided with a first grip 30A positioned in front of the reel seat 20 or a second grip 30B positioned behind the reel seat 20. Or it can be arranged in all these positions,

또한 상기 그립부(30)는 사용자가 파지하는 경우 편안함과,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해 일정한 탄성을 갖고, 마찰계수가 큰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grip portion 30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a high coefficient of friction and a certain elasticity to prevent slippage when the user grips the grip portion.

아울러 상기 그립부(30)는 미끄럼방지를 보다 확실하게 하기 위해 엠보싱, 요철 등과 같이 미끄럼방지부(33)를 형성하여 보다 미끄럼방지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grip portion 30 may be provided with a non-slippery portion 33 such as embossing, unevenness or the like in order to more reliably prevent slipping, thereby enhancing the slip prevention effect.

더 나아가 상기 그립부(30)에서 상기 릴시트(20)의 전방에 배열된 제1 그립부(30A)는 그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블랭크(10)의 후단부의 외측면에 나선부(13)가 형성되고,Further, the first grip portion 30A arranged in front of the reel seat 20 in the grip portion 30 has a spiral portion 13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rear end of the blank 10 to adjust its position. ,

상기 제1 그립은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그 내측면에 상기 나선부(13)에 상응하는 대응나선부가 형성된다.
The first grip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so that a corresponding spiral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piral portion 13 is formed on an inner side thereof.

따라서 상기 제1그립(30A)은 상기 나선부(13)와 대응나선부에 의하여 상기 블랭크(10)를 따라 이동이 가능하게 되므로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그립부(30)의 위치를 조절하여 사용자에 따라 가장 편리한 그립 위치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since the first grip 30A is movable along the blank 10 by the spiral part 13 and the corresponding spiral part, the grip part 30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user's convenience according to the user. The most convenient grip position can be adjusted.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및 운반이 편리한 낚싯대에서, 상기 걸이수단(40)은1 to 6 in the fishing rod convenient to move and trans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ook means 40 is

상기 릴(R)과 연결된 낚싯줄(L), 또는 상기 낚싯줄(L)에 연결된 낚싯바늘(1), 또는 상기 낚싯바늘(1)의 인접한 위치의 낚싯줄(L), 또는 상기 낚싯줄(L) 단부에 연결되는 봉돌(3), 또는 상기 봉돌(3)과 상기 낚싯줄(L)을 연결하는 봉돌걸이 등을 선택적으로 또는 이들 모두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On the fishing line (L) connected to the reel (R), or the fishing needle (1) connected to the fishing line (L), or at the end of the fishing line (L), or the fishing line (L) at an adjacent position of the fishing needle (1) It is to play a role of selectively or all of the rods (3) to be connected, or the rods hook for connecting the rods 3 and the fishing line (L).

우선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걸이수단(40)의 제1 구현례는First, as shown in FIG. 1 and FIG. 2, the first embodiment of the hook means 4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그립부(30)에 형성된 결합부(31)에 상응하는 대응결합부(41)와, 상기 대응결합부(41)와 연결된 지지부재(42)와, 상기 지지부재에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낚싯바늘(1)이 삽입 고정되는 걸이공(4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Corresponding coupling portion 41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portion 31 formed on the grip portion 30, the support member 42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coupling portion 41, and the fishing member is formed radially on the fishing needle (1) comprises a hook hole 43 is fixed.

이때 상기 그립부(30)는 상기 릴시트(20)를 사이에 두고 제1 그립(30A)과 제2 그립(30B)으로 구성되어 상기 걸이수단(40)은 상기 제1 및 제2 그립(30A)(30B)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 모두에 구비된다.
In this case, the grip part 30 is composed of a first grip 30A and a second grip 30B with the reel seat 20 interposed therebetween, and the hook means 40 includes the first and second grips 30A ( 30B), or both.

따라서 상기 각 그립부(30A)(30B)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단부 부분에 상기 결합부(31)가 형성되어 상기 걸이수단(40)의 대응결합부(41)가 억지끼워지거나, 또는 볼트 형태로 체결되어 걸이수단이 각 그립부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걸이공(43)에 낚싯바늘(1)을 걸어 고정시킴으로써 낚싯대을 이동시키거나, 운반하는 경우 낚싯바늘(1)이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이동이나, 운반 작업이 안전하고, 편리해질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the grip portions 30A and 30B have a cylindrical shape, and the coupling portion 31 is formed at an end portion thereof, so that the corresponding coupling portion 41 of the hooking means 40 is clamped or bolted. The hook means is coupled to each grip part.
And by hooking the fishing hook (1) to the hook hole 43 to move the fishing rod, or in case of transporting the fishing needle (1) is fixed so that the movement or transport operation can be safe and convenient.

삭제delete

다음으로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걸이수단(40)의 제2 구현례는Next, as shown in FIGS. 3 to 5,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hook means 4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고, 분지된 형태의 몸체(44)와, 상기 몸체(44)의 전방에 형성된 제1 장착부(47)와, 상기 제1 장착부(47)와 이어져 절곡 형성되고, 상호 맞닿는 가압부(45)와, 상기 가압부(45)와 이어져 절곡 형성되고, 상호 이격된 지지부(46)와, 상기 지지부(46)와 이어져 절곡 형성된 제2 장착부(4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A first mounting portion 47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body 44 and a second mounting portion 47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body 44. The first mounting portion 47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A pressing part 45 and a second mounting part 47 formed by bending the pressing part 45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second mounting part 47 bent and connected to the supporting part 46.

이때 상기 가압부(45)에는 낚싯바늘(1)과 봉돌(3)의 인접한 낚싯줄(L)이 끼워지고, 이때 상기 가압부(45)는 탄성을 발휘하여 상기 낚싯바늘(1)이나 낚싯줄(L)을 가압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At this time, the fishing line 1 and the adjacent fishing line L between the fishing rod 1 and the fishing rod 3 are fitted to the pressing portion 45. At this time, the pressing portion 45 exerts an elasticity so that the fishing line 1 and the fishing line L Is pressed and fixed.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장착부(47)는 상기 그립부(30)나 또는 블랭크(10)에 연결되는데,And the first and second mounting portion 47 is connected to the grip portion 30 or the blank 10,

이때 각 장착부(47)는 와이어(미도시)나 또는 클램프(미도시)를 사용하여 상기 그립부나 또는 블랭크에 결합시키게 된다.
아울러 상기 각 지지부(46) 사이에는 공간부(46a)가 형성되는데,
At this time, each mounting portion 47 is coupled to the grip portion or the blank by using a wire (not shown) or a clamp (not shown).
In addition, the space portion 46a is formed between the support portions 46,

삭제delete

이는 상기 가압부(45)에 낚싯바늘(1)이나 낚싯줄(L)을 삽입하여 고정시키는 경우 상기 공간부(46a)를 통하여 낚싯바늘(1)이나 낚싯줄(L)을 가압부(45)에 쉽게 삽입시킬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성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This allows the fishing needle 1 and the fishing line L to be easily attached to the pressing portion 45 through the space portion 46a when the fishing needle 1 or the fishing line L is inserted and fixed to the pressing portion 45 So that it is possible to ensure ease of use.

아울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걸이수단(40)의 제3 구현례는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6 the third embodiment of the hook means 4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봉돌(3)이 수용되는 수납부(48)와, 상기 봉돌(3)의 양측부를 감싸는 측면지지부재(48a)와, 상기 봉돌(3)의 전방부를 감싸는 전면지지부재(48b)와, 상기 측면지지부재(48a)와 연결되고, 상호 맞닿는 접촉부(48c)와, 상기 전면지지부재(48b)와 연결되고, 상기 그립부(30) 또는 블랭크(10)에 연결되는 이음부(48d)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An accommodating part 48 in which the pedestal 3 is accommodated, a side support member 48a surrounding both sides of the pedestal 3, a front support member 48b surrounding the front portion of the pedestal 3, and Including a contact portion 48c connected to the side support member 48a and abutting each other, and a joint portion 48d connected to the front support member 48b and connected to the grip portion 30 or the blank 10. Is done.

상기 수납부(48)에 봉돌(3)이 위치하고, 상기 봉돌(3)의 양측면부를 지지하는 측면지지부재(48a)는 만곡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봉돌(3)의 지지를 보다 안정적으로 구현하며,The side wall supporting member 48a for supporting both sides of the barrel 3 is formed to be curved so as to more reliably support the barrel 3,

상기 전면지지부재(48b)는 상기 봉돌(3)이 전방으로 빠지거나,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봉돌(3)의 전면부 하부 부분을 받침는 역할을 하게 된다.
The front support member 48b serves to support the lower portion of the front portion of the pedestal 3 in order to prevent the pedestal 3 from falling out or moving forward.

또한 상기 접촉부(48c)는 낚싯바늘(1)이나, 낚시바늘 또는 봉돌(3)에 인접한 낚싯줄(L)이 끼워지고, 또한 상기 접촉부(48c) 또한 탄성을 발휘하여 가압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고정구조를 취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contact portion 48c is fitted with a fishing line 1 adjacent to the fishing needle 1, the fishing needle or the stick 3, and the contact portion 48c also exerts elasticity and presses to take a more stable fixing structure. It becomes possible.

더 나아가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부(45)와 접촉부(48c)에는 낚싯바늘(1)과 낚싯줄(L)의 손상을 방지하고,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일정한 탄성과, 마찰계수가 큰 소재로 이루어진 보호부재(49)가 외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Furthermore, as shown in FIGS. 4 and 6, the pressing part 45 and the contact part 48c have a constant elasticity and friction to prevent damage to the fishing needle 1 and the fishing line L, and to prevent slipping. It is preferable that the protective member 49 made of a large modulus material is formed to surround the outer surface.

아울러 첨부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보호부재는 상기 봉돌을 지지하기 위한 측면지지부재나 전면지지부재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수납부에 수용된 봉돌이 상기 각 지지부재에서 미끄러져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otection member is formed to surround the side support member or the front support member for supporting the pedestal to prevent the pedestal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portion from slipping out of the respective support members. It is also desirable to.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이동 및 운반이 편리한 낚싯대를 설명함에 있어 특정 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In the abov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a fishing rod for easy movement and transport, but described mainly in a specific shape and direc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such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right.

L : 낚싯줄 R : 릴
1 : 낚싯바늘 3 : 봉돌
3a : 봉돌고리
10 : 블랭크 11 : 가이드
13 : 나선부
20 : 릴시트
30 : 그립부 31 : 결합부
33 : 대응나선부 35 : 미끄럼방지부
40 : 걸이수단 41 : 대응결합부
42 : 지지부재 43 : 걸이공
44 : 몸체 45 : 가압부
46 : 지지부 46a : 공간부
47 : 장착부 48 : 수납부
48a : 측면지지부재 48b : 전면지지부재
48c : 접촉부 48d : 이음부
49 : 보호부재
L: Fishing Line R: Reel
1: fishing needle 3: bongle
3a: Bengal rings
10: blank 11: guide
13:
20: reel seat
30: grip part 31:
33: corresponding spiral portion 35: non-slip portion
40: hook means 41: counterpart coupling portion
42: support member 43: hanger ball
44: body 45:
46: Support part 46a:
47: mounting portion 48:
48a: side support member 48b: front support member
48c: contact portion 48d:
49: protective member

Claims (4)

다수의 가이드(11)가 구비된 블랭크(10);
상기 블랭크(10)의 일단부에 연결되고, 릴(R)이 장착되는 릴시트(20);
상기 릴시트(20)의 전방 또는 후방 또는 이들 모두에 연결되는 그립부(30); 및
상기 그립부(30) 또는 상기 블랭크(10), 또는 이들 모두에 연결되고,
상기 릴(R)과 연결된 낚싯줄(L), 또는 상기 낚싯줄(L)에 연결된 낚싯바늘, 또는 상기 낚싯바늘의 인접한 위치의 낚싯줄(L), 또는 상기 낚싯줄(L) 단부에 연결되는 봉돌(3), 또는 상기 봉돌(3)과 상기 낚싯줄(L)를 연결하는 봉돌걸이를 고정시키기 위한 걸이수단(4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걸이수단(40)은
상기 봉돌(3)이 수용되는 수납부(48)와,
상기 봉돌(3)의 양측부를 감싸는 측면지지부재(48a)와,
상기 봉돌(3)의 전방부를 감싸는 전면지지부재(48b)와,
상기 측면지지부재(48a)와 연결되고, 상호 맞닿는 접촉부(48c)와,
상기 전면지지부재(48b)와 연결되고, 상기 그립부(30) 또는 블랭크(10)에 연결되는 이음부(48d)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측면지지부재(48a)는 상기 봉돌(3)의 지지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만곡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전면지지부재(48b)는 상기 봉돌(3)이 전방으로 빠지거나,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봉돌(3)의 전면부 하부 부분을 받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및 운반이 편리한 낚싯대.
A blank 10 having a plurality of guides 11;
A reel seat 20 connected to one end of the blank 10 and having a reel R mounted thereto;
A grip portion 30 connected to the front or rear of the reel seat 20 or both; And
Connected to the grip portion 30 or the blank 10, or both,
Fishing line (L) connected to the reel (R), or a fishing hook (L) connected to the fishing line (L), or a fishing line (L) at an adjacent position of the fishing needle, or a rod (3) connected to the end of the fishing line (L) Or hook means (40) for fixing the rod hooks for connecting the rods (3) and the fishing line (L);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The hook means 40 is
An accommodating part 48 in which the pedestal 3 is accommodated;
Side support members 48a surrounding both sides of the pedestal 3,
A front support member 48b surrounding the front part of the pedestal 3,
A contact portion 48c connected to the side support member 48a and in contact with each other;
It is connected to the front support member 48b, and comprises a joint portion 48d connected to the grip portion 30 or the blank 10,
The side support member 48a is formed to be curved to more stably support the support of the pedestal 3,
The front support member (48b) is easy to move and carry, characterized in that for suppor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front portion of the bottom portion (3) in order to prevent the bottom portion (3) to fall forward or awa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48c)는 낚싯바늘(1)이나, 낚싯바늘 또는 봉돌(3)에 인접한 낚싯줄(L)이 끼워지고, 탄성을 발휘하여 가압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고정구조를 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및 운반이 편리한 낚싯대.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act portion (48c) is a fishing needle (1), a fishing line (L) adjacent to the fishing needle or the rod 3 is fitted, and the elastic and pressurized by exerting a pressurized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take a more stable fixed structure Fishing rod for easy carry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48c)에는 낚싯바늘(1)과 낚싯줄(L)의 손상을 방지하고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일정한 탄성과, 마찰계수가 큰 소재로 이루어진 보호부재(49)가 외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및 운반이 편리한 낚싯대.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act portion 48c is formed to sur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protective member 49 made of a material having a constant elasticity and a large coefficient of friction to prevent damage to the fishing needle 1 and the fishing line L and to prevent slipping. Convenient fishing rod and transport characterized in that.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30)는 상기 릴시트(20)를 사이에 두고 전단부의 제1 그립(30A)과 후단부의 제2 그립(30B)으로 구성되고, 상기 각 구성부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각 단부 모두에 결합부(31)를 갖고,
상기 걸이수단(40)은 상기 그립부(30)에 형성된 결합부(31)에 상응하는 대응결합부(41)와
상기 대응결합부(41)와 연결된 지지부재(42)와,
상기 지지부재(42)에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낚싯바늘이 삽입 고정되는 걸이공(4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블랭크(10)의 후단부의 외측면에 나선부(13)가 형성되고,
상기 제1 그립(30A)은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그 내측면에 상기 나선부(13)에 상응하는 대응나선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 그립(30A)의 위치가 조절되고
상기 걸이수단(40)이 상기 제1 및 제2 그립(30A)(30B)의 결합부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 모두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및 운반이 편리한 낚싯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및 운반이 편리한 낚싯대.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grip portion 30 is composed of a first grip 30A of the front end portion and a second grip 30B of the rear end portion with the reel seat 20 interposed therebetween, and each of the components has a cylindrical shape and is coupled to both ends. Have 31,
The hook means 40 and the corresponding coupling portion 41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portion 31 formed in the grip portion 30 and
A support member 42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coupling part 41;
Is formed radially to the support member 42 and comprises a hook hole 43 is inserted into the fishing needle fixed,
The spiral portion 13 is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rear end of the blank 10,
The first grip 30A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a corresponding spiral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piral portion 13 is formed on an inner side thereof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first grip 30A.
Fishing rod is convenient to move and carry, characterized in that the hook means (40) is provided on any one or both of the engaging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grips (30A, 30B). Convenient fishing rod and transport characterized in that.
KR1020110074485A 2011-07-13 2011-07-27 Fishing rod KR101273653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9603 2011-07-13
KR20110069603 2011-07-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9533A KR20130009533A (en) 2013-01-23
KR101273653B1 true KR101273653B1 (en) 2013-06-17

Family

ID=47839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4485A KR101273653B1 (en) 2011-07-13 2011-07-27 Fishing r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3653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72334B2 (en) 2015-03-16 2017-02-21 Doyo Engineering Co., Ltd Fishing reel equipped with hidden line stopper
US20220201997A1 (en) * 2019-05-16 2022-06-30 Pro Tek Offshore Llc Fishing rod with suspension system and method for using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68001B2 (en) * 2018-03-29 2022-05-16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Fishing rod with gimmick keeper
JP7277555B2 (en) * 2018-03-29 2023-05-19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Fishing rod with tackle keep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12548A (en) * 1999-04-30 2000-11-14 Daiwa Seiko Inc Fishhook
JP2007116993A (en) * 2005-10-28 2007-05-17 Daiwa Seiko Inc Fishing ro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12548A (en) * 1999-04-30 2000-11-14 Daiwa Seiko Inc Fishhook
JP2007116993A (en) * 2005-10-28 2007-05-17 Daiwa Seiko Inc Fishing rod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72334B2 (en) 2015-03-16 2017-02-21 Doyo Engineering Co., Ltd Fishing reel equipped with hidden line stopper
US20220201997A1 (en) * 2019-05-16 2022-06-30 Pro Tek Offshore Llc Fishing rod with suspension system and method for us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9533A (en) 2013-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3653B1 (en) Fishing rod
JP5695019B2 (en) Fishing reel having fishhook holding means and fishing rod having the same
US20140326843A1 (en) Apparatus for securing a walking assist device
US8528796B1 (en) Sock donning appliance
KR20140034121A (en) Carrying device for a wind instrument
KR101280564B1 (en) Supporter of gunny bag
US20160374323A1 (en) Portage system for fishing rods, spikes and accessories
US20200085027A1 (en) Fishing Rod Caddy
US20140084074A1 (en) Connector for toy track set
CN211097350U (en) Pull-up frame
US7789224B2 (en) Jewelry chain holder
US3020014A (en) Fishing rod holder
KR20130063460A (en) Fishing reel equipped with hanger for fishhook and fishing rod using the same
US20060249550A1 (en) Flexible apparel hook
US6860364B1 (en) Cart and ladder combination
US20150201738A1 (en) Shoulder Carry Assist
KR101373632B1 (en) Fishing Scoop Net
US20110131862A1 (en) Fishing Rod Attachment Apparatus
KR101578852B1 (en) IV pole for support on shoulder
KR20140004501U (en) the fruit harvester
US9573788B2 (en) Device for winding elongate flexible objects
TW201016377A (en) Folding tool stand
GB2413079A (en) Height adjustable limb cradle
JP5900999B1 (en) Chair
KR20140066128A (en) Fishing reel equipped with hanger for fishhook and fishing rod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