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2431B1 - Iptv 방송 서비스를 상이한 전송방식 기반의 단말에 지원하는 통신 장치 및 유니캐스트 방식으로 실시간 iptv 방송 서비스가 가능한 단말 - Google Patents

Iptv 방송 서비스를 상이한 전송방식 기반의 단말에 지원하는 통신 장치 및 유니캐스트 방식으로 실시간 iptv 방송 서비스가 가능한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2431B1
KR101272431B1 KR1020110089679A KR20110089679A KR101272431B1 KR 101272431 B1 KR101272431 B1 KR 101272431B1 KR 1020110089679 A KR1020110089679 A KR 1020110089679A KR 20110089679 A KR20110089679 A KR 20110089679A KR 101272431 B1 KR101272431 B1 KR 1012724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terminal
communication device
real
inte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96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6199A (ko
Inventor
이광희
박명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100896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2431B1/ko
Publication of KR201300261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61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24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24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encoded video stream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04N21/4383Accessing a communication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H04L12/18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 H04L12/189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in combination with wireless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04N21/42684Client identification by a unique number or address, e.g. serial number, MAC address, socket I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04N21/4623Processing of entitlement messages, e.g. ECM [Entitlement Control Message] or EMM [Entitlement Management Mess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4Addressing
    • H04N21/6405Multicas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4Addressing
    • H04N21/6408Unica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방송 센터 서버로부터 멀티캐스트 기반으로 정보가 입력되고, 상기 정보의 최종 목적지인 단말에서, 상기 멀티캐스트 기반으로의 정보 수신이 불가능한 경우, 상기 정보를 유니캐스트 기반으로 상기 단말로 제공하는, IPTV 방송 서비스를 상이한 전송방식 기반의 단말에 지원하는 통신 장치 및 유니캐스트 방식으로 실시간 IPTV 방송 서비스가 가능한 단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IPTV 방송 서비스를 상이한 전송방식 기반의 단말에 지원하는 통신 장치 및 유니캐스트 방식으로 실시간 IPTV 방송 서비스가 가능한 단말{COMMUNICATION APPARATUS FOR SUPPORTING IPTV BROADCAST SERVICE OF TERMINAL BASED ON DIFFERENCE TRANSMISSION AND TERMINAL FOR SUPPORTING IPTV BROADCAST SERVICE BY UNICAST IN REAL TIM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방송 센터 서버로부터 멀티캐스트 기반으로 정보가 입력되고, 상기 정보의 최종 목적지인 단말에서, 상기 멀티캐스트 기반으로의 정보 수신이 불가능한 경우, 상기 정보를 유니캐스트 기반으로 상기 단말로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 프로토콜 텔레비전(IPTV: Internet Protocol Television)이란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의 초고속 인터넷을 이용하여 패킷 방식으로 정보 서비스, 동영상 콘텐츠 및 방송 등을 텔레비전 수상기로 제공하는 양방향 서비스를 의미한다.
IPTV 방송 서비스는 인터넷과 텔레비전의 융합이라는 점에서 디지털 컨버전스의 한 유형이라고 할 수 있으며, 텔레비전 수상기와 인터넷 회선을 셋톱박스 또는 전용 모뎀을 통해 서로 연결하고 전원을 넣은 후 간단한 리모콘의 조작을 통하여 누구나 쉽게 제공받을 수 있다.
이러한 IPTV 방송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전송방식은 유니캐스트 전송방식과 멀티캐스트 전송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IPTV 방송 서비스 제공을 위한 유니캐스트 전송방식은 하나의 송신자가 하나의 수신자에게 데이터를 전송하는 일대일 전송방식으로서, 다수의 수신자에게 동일한 데이터를 개별적으로 전송할 경우, 중복된 데이터의 전송으로 인해 네트워크의 효율이 저하되고, 한정된 회선 용량으로 인해 접속자가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다.
반면, IPTV 방송 서비스 제공을 위한 멀티캐스트 전송방식은 일대다 전송방식으로서, 하나의 송신자가 복수의 수신자들이 속해 있는 그룹에게 동일한 데이터를 동시에 전송하는 방식이다. IPTV 방송 서비스 제공을 위한 멀티캐스트 전송방식은 한 번의 데이터 전송으로 다수의 수신자에게 동시에 전송할 수 있으므로 유니캐스트 전송방식과는 달리 네트워크 자원의 낭비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그러나, IPTV 방송 서비스 제공을 위한 멀티캐스트 전송방식은 수신 단말이 멀티캐스트 기반의 방송 네트워크에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멀티캐스트 전송방식을 지원해야 한다.
따라서, 멀티캐스트 기반의 데이터를 유니캐스트 기반으로 변환하여 수신 단말로 제공 함으로써, 수신 단말이 멀티캐스트 기반의 방송 네트워크에 직접 연결되지 않거나, 또는 멀티캐스트 전송방식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에도, 멀티캐스트 기반의 데이터를 수신 단말에서 실행할 수 있게 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유니캐스트 네트워크 상의 단말에게 방송할 수 있게, 방송 센터 서버로부터 방송 관련 정보를 멀티캐스트 기반으로 입력받아 유지해두고, 유지한 방송 관련 정보 중에서, 단말이 요청한 특정 채널의 방송 관련 정보를, 유니캐스트 기반으로 단말로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유니캐스트 기반의 세션을 통해 다수 단말과 접속하고, 방송 센터 서버로부터 수신한 방송 관련 정보를 상기 다수 단말에 실시간으로 방송하되, 동기(Sync) 모드로 접속한 단말에게 채널전환 권한을 부여하여 방송되는 방송 관련 정보를 변경할 수 있게 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멀티캐스트 기반의 정보 수신이 불가한 단말에게, 유니캐스트 기반으로 정보를 전송 함으로써, 단말이 멀티캐스트를 지원하지 않거나, 또는 단말이 위치하는 네트워크가 멀티캐스트 기반의 정보 전송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에도 정보를 단말에서 실행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에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예컨대, 멀티캐스트 지원 공유기, IPTV 셋톱박스, 무선 AP)에 구현하여, 상이한 전송방식 기반의 정보 전송을 지원 함으로써, 별도의 장치 설치에 대한 비용을 절감하고, 설치의 용이함을 제공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PTV 방송 서비스를 상이한 전송방식 기반의 단말에 지원하는 통신 장치는, 방송 센터 서버로부터 멀티캐스트 네트워크를 통해 멀티캐스트 기반으로 방송부가 정보 또는 실시간 방송 정보를 수신하는 제1 인터페이스와, 유니캐스트 기반의 세션을 통해 연결된 단말과, 유니캐스트 네트워크를 통해 정보를 송수신하는 제2 인터페이스, 및 상기 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제1 인터페이스를 통해 멀티캐스트 기반으로 수신한 방송부가 정보 또는 실시간 방송 정보를 상기 제2 인터페이스를 통해 유니캐스트 기반으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을 수행하는, 유니캐스트 방식으로 실시간 IPTV 방송 서비스가 가능한 단말은, 방송 센터 서버로부터 멀티캐스트 네트워크를 통해 멀티캐스트 기반으로 방송부가 정보 또는 실시간 방송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 장치와, 유니캐스트 기반으로 세션을 연결하여 정보를 송수신하는 제3 인터페이스, 및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라, 상기 제3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통신 장치와 접속 요청을 수행하고, 상기 제3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방송부가 정보 또는 상기 실시간 방송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단말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유니캐스트 네트워크 상의 단말에게 방송할 수 있게, 방송 센터 서버로부터 방송 관련 정보를 멀티캐스트 기반으로 입력받아 단말이 요청한 특정 채널의 방송 관련 정보를, 유니캐스트 기반으로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유니캐스트 기반의 세션을 통해 다수 단말과 접속하고, 방송 센터 서버로부터 수신한 방송 관련 정보를 상기 다수 단말에 실시간으로 방송하되, 동기(Sync)모드로 접속한 특정 단말에게 채널전환 권한을 부여하여 방송되는 방송 관련 정보를 변경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멀티캐스트 기반의 정보 수신이 불가한 단말에게, 유니캐스트 기반으로 정보를 전송 함으로써, 단말이 멀티캐스트를 지원하지 않거나, 또는 단말이 위치하는 네트워크가 멀티캐스트 기반의 정보 전송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에도 멀티캐스트 기반의 정보를 단말에서 실행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기존에 구축된 개별 장치(예컨대, 멀티캐스트 지원 공유기, IPTV 셋톱박스, 무선 AP)에 구현하여, 상이한 전송방식 기반의 정보 전송을 지원 함으로써, 별도의 유니캐스트 기반 방송 전송을 위한 중앙 서버 장치 설치에 대한 비용을 절감하고, 설치의 용이함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IPTV 방송 서비스를 상이한 전송방식 기반의 단말에 지원하는 통신 장치에 관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통신 장치를 중심으로 설명하는 장치 관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니캐스트 방식으로 실시간 IPTV 방송 서비스가 가능한 단말에 관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단말을 중심으로 설명하는 장치 관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IPTV 방송 서비스를 상이한 전송방식 기반의 단말에 지원하는 통신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IPTV 방송 서비스를 상이한 전송방식 기반의 단말에 지원하는 통신 제어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IPTV 방송 서비스를 상이한 전송방식 기반의 단말에 지원하는 통신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메시지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단말과 주요 방송기기 간에 유니캐스트 기반으로 교환되는 정보에 대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IPTV 방송 서비스를 상이한 전송방식 기반의 단말에 지원하는 통신 장치 및 유니캐스트 방식으로 실시간 IPTV 방송 서비스가 가능한 단말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IPTV 방송 서비스를 상이한 전송방식 기반의 단말에 지원하는 통신 장치에 관한 블록도이고, 도 2는 상기 통신 장치를 중심으로 설명하는 장치 관계도이다.
도 1, 2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통신 장치(110)는, 제1 인터페이스(112), 제2 인터페이스(114), 및 제어부(116)를 구성으로 포함하며, 방송 센터 서버(120) 사이에서는 멀티캐스트 기반으로, 또한 하나 이상의 세션(session)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단말(130) 사이에서는 유니캐스트 기반으로 방송하고 있다. 여기서, 통신 장치(110)는 멀티캐스트 지원 공유기, IPTV 셋톱박스, 무선 AP(Access Point)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또는 이들 장치에 통신 장치(110)가 포함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우선, 제1 인터페이스(112)는 방송 센터 서버(120)로부터 멀티캐스트 네트워크를 통해 멀티캐스트 기반으로 방송부가 정보 또는 실시간 방송 정보를 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즉, 제1 인터페이스(112)는 다량의 방송 관련 정보(방송 컨텐츠 등)를 멀티캐스트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입력 받을 수 있고, 이를 후속하는 복수의 단말로 제공할 수 있게 유지한다(또는 실시간으로 배포한다).
상기 방송 센터 서버(120)는 계약된 단말들 또는 본 발명의 통신 장치(110)로 방송 관련 정보를 전송하는 수단으로, 다량의 방송 관련 정보(방송부가 정보, 실시간 방송 정보 등)를 멀티캐스트 기반의 통신 방식으로, 멀티캐스트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방송 센터 서버(120)는, 예컨대 무선 방송국 내, 인터넷 방송국 내 위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멀티캐스트 기반의 통신 방식이란, 방송 관련 정보(방송부가 정보, 실시간 방송 정보, 방송 컨텐츠, 메시지 등)를 특정 기준을 만족하는 그룹으로 전송하면, 그룹 내 장비에서 상기 정보를 관리하고, 사전에 등록된 그룹원, 즉 그룹에 속하는 사용자가 상기 그룹 내 장비에 접근하여 정보를 획득할 수 있게 하는 방식을 지칭할 수 있다.
또한, 방송부가 정보는 방송편성 정보(EPG: 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자격관리 정보(EMM: Entitlement Management Messag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방송편성 정보는 방송채널 별 프로그램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자격관리 정보는 방송화면의 스크램블을 제거할 수 있는 암호 키 및 채널시청 권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인터페이스(114)는 유니캐스트 기반의 세션을 통해 연결된 단말(130)과, 유니캐스트 네트워크를 통해 정보를 송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제2 인터페이스(114)는 멀티캐스트 기반의 방송 서비스 제공이 불가한 단말(130), 또는 멀티캐스트 기반의 방송 서비스를 지원하지 않는 네트워크 상의 단말(130)에게, 유니캐스트 기반으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제2 인터페이스(114)는 단말(130) 각각에 대해, 접속용 세션을 유니캐스트 기반으로 설정하고, 상기 세션이 위치하는 유니캐스트 네트워크를 통해, 방송 관련 정보 등을 포함한 다양한 정보를 단말(130)과 교환하게 된다.
또한, 제2 인터페이스(114)는, 상기 정보의 교환에 있어서, 단말(130)과 와이파이(WIFI) 기반의 무선 통신을 지원하여, 무선 인터넷망을 통한 IPTV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환경을 마련할 수 있다.
제어부(116)는, 단말(130)의 요청에 따라, 제1 인터페이스(112)를 통해 멀티캐스트 기반으로 수신한 방송부가 정보 또는 실시간 방송 정보를 제2 인터페이스(114)를 통해 유니캐스트 기반으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즉, 제어부(116)는, 단말(130)로의 방송 관련 정보 수신이 가능한지를 판단하고, 상기 멀티캐스트 기반으로 수신한 방송 관련 정보를, 유니캐스트 기반으로 단말(130)로 제공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통신 장치(110)는 멀티캐스트 네트워크에 접속하고, 접속된 멀티캐스트 네트워크를 통해 방송 센터 서버(120)로부터 멀티캐스트 기반으로 방송 관련 정보(방송부가 정보, 실시간 방송 정보 등)를 수신하며, 후단의 단말(130)로의 방송 관련 정보 수신이 가능한지를 판단하고, 상기 멀티캐스트 기반으로 수신한 방송 관련 정보를, 유니캐스트 기반으로 단말(130)로 제공할 수 있다.
즉, 통신 장치(110)는 단말(130)에서의 어플리케이션 구동에 따라 요청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단말(130)이, 방송 센터 서버(120)로부터 멀티캐스트 기반으로 수신한 방송 관련 정보에 접근하여 수신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고, 수신된 방송 관련 정보를, 유니캐스트 기반으로 단말(130)로 제공하게 된다.
여기서, 유니캐스트 기반의 통신 방식이란, 지정된 특정의 수신자에게로, 방송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통신 장치(110)는 정보 내 목적지 주소를 조정하여 입력된 상기 방송 관련 정보가 지정된 위치의 단말(130)로 제공되도록 한다.
또한, 통신 장치(110)는 단말(130)로부터의 방송 데이터 요청에 연동하여, 방송 데이터 요청과 연관된 멀티캐스트 주소를 이용하여, 멀티캐스트 네트워크에 접속하고, 접속된 멀티캐스트 네트워크를 통해 방송 센터 서버(120)로부터 멀티캐스트 기반으로 방송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 장치(110)는 방송 데이터 또한, 상기 단말(130)로부터의 접근 여부를 고려하여, 멀티캐스트 기반 또는 유니캐스트 기반으로 단말(130)에 제공할 수 있다.
즉, 통신 장치(110)는 단말(130)이 위치하는 네트워크가 멀티캐스트 기반의 정보 전송을 지원하는지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 지원하지 않는 경우, 멀티캐스트 기반의 방송 관련 정보(방송부가 정보, 실시간 방송 정보 등)를 유니캐스트 기반으로 단말(130)로 제공 함으로써, 단말(130)이 멀티캐스트를 지원하지 않는 경우에도 방송 센터 서버(120)에서 멀티캐스트 기반으로 송신한 정보를 단말(130)에서 실행시킬 수 있다.
단말(130)은 유니캐스트 기반의 정보 전송을 지원하는 장치로서 예컨대,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된 PC, 스마트 폰, 랩탑 컴퓨터 등이 될 수 있다. 단말(130)은 통신 장치(110)로 방송부가 정보를 요청하여, 통신 장치(110)로부터 유니캐스트 기반으로 방송 관련 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통신 장치(110)는 하나 이상의 단말(130)과, 유니캐스트 기반으로 세션을 설정하여, 단말(130)과 정보의 교환 가능 상태를 이룬다. 이를 위해, 통신 장치(110)의 제2 인터페이스(114)는, 단말(130)로부터의 접속 요청시, 메시지에 포함된 통신 장치(110)의 정보가 통신 장치(110)의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인증 처리하고, 세션 ID를 생성하여 단말(130)과 세션을 통해 연결한다.
즉, 제2 인터페이스(114)는 단말(130)에서 보내오는 접속용 메시지 내의, 접속할 통신 장치에 관한 정보와, 고유로 가지고 있는 통신 장치에 관한 정보를 비교하고, 설정된 범위 내에서 일치한다고 판단되면 해당 단말(130)에 대해 인증 승인 처리한다.
여기서 통신 장치의 정보는, 상기 통신 장치의 MAC(Media Access Control) 또는 상기 통신 장치(110)에 고유하게 부여된 정보(예, 장치 식별자, 부여 코드 등)일 수 있다. 상기 통신 장치의 정보에 대한 획득에 있어서, 단말(130)은 통신 장치(110)와 접속 요청을 위해, 이동통신망 또는 인터넷망을 통해 가입자 정보서버(140)로부터 통신 장치의 정보 또는 게이트웨이 주소인 접속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정보들을 포함하는 접속용 메시지를 작성하여, 통신 장치(110)로 전송한다.
승인 처리 이후, 제2 인터페이스(114)는, 세션 ID를 생성하고, 생성된 세션 ID를 이용하여 유니캐스트 기반의 세션을 해당 단말(130)과 설정 함으로써, 통신 장치(110)와 단말(130)과의 정보 교환이 유니캐스트 네트워크 상에서 원활히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통신 장치(110)는 단말(130)에서 채널선택 이벤트가 발생 함에 따라, 특정 채널의 방송 관련 정보를 선택하여 제공하거나, 타채널의 방송 관련 정보로 전환하여 단말(130)에 제공할 수 있다.
즉, 통신 장치(110)의 제어부(116)는, 상기 세션을 통해 연결된 단말(130)로부터의, 특정 채널을 포함한 채널 전환 요청에 따라, 제1 인터페이스(114)를 통해 상기 특정 채널에 해당하는 멀티캐스트 주소에 연결(join)하여 채널 전환을 수행하여, 멀티캐스트 기반으로 실시간 방송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후 통신 장치(110)의 제어부(116)는, 통신 장치(110)의 제2 인터페이스(114)를 통해 상기 채널 전환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유니캐스트 기반으로 상기 실시간 방송 정보를 단말(130)에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채널 전환에 있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채널 전환 요청을 발생시킬 수 있는 단말(130)을, 제2 인터페이스(114)를 통해 연결된 단말(130) 중에서, 채널전환 권한이 있는 단말(130), 즉 동기 모드(Sync mode)로 접속되는 단말(130)로 제한 함으로써, 무작위적이고 빈번한 채널 전환에 따른 혼란을 방지하고, 방송의 안정적인 제공을 보장할 수 있게 한다.
이하, 도 3, 4를 참조하여, 유니캐스트 방식으로 실시간 IPTV 방송 서비스가 가능한 단말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니캐스트 방식으로 실시간 IPTV 방송 서비스가 가능한 단말에 관한 블록도이고, 도 4는 상기 단말을 중심으로 설명하는 장치 관계도이다.
도 3, 4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단말(300)은 제3 인터페이스(310)와 단말제어부(32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우선, 제3 인터페이스(310)는, 앞서 설명한 통신 장치(STB)와, 유니캐스트 기반으로 세션을 연결하여 정보를 송수신 한다. 즉, 제3 인터페이스(310)는, 방송 센터 서버로부터, 멀티캐스트 기반으로 방송 관련 정보(방송부가 정보, 실시간 방송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 장치(STB)와, 세션으로 연결되고, 상기 세션을 매개체로 하여 정보를 교환하는 역할을 한다.
실시예에 따라, 제3 인터페이스(310)는 방송편성 정보 제공서버(340)(EPG Server)로부터 방송편성 정보(EPG)를 수신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단말(300)은 현재 방송 센터 서버에서 송출되는 방송 현황을 단말 사용자에게 상세하게 안내하고, 또한 단말 사용자에게 채널 선택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3 인터페이스(310)는, 상기 정보의 교환에 있어서, 통신 장치(STB)와 와이파이(WIFI) 기반의 무선 통신을 지원하여, 무선 인터넷망을 통한 IPTV 방송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할 수 있다.
단말의 일구성으로서의 단말제어부(320)는,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라, 제3 인터페이스(310)를 통해 통신 장치(STB)와 접속 요청을 수행하고, 제3 인터페이스(310)를 통해 방송 관련 정보(방송부가 정보, 실시간 방송 정보 등)를 수신하여 출력부(330)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즉, 단말제어부(320)는 유니캐스트 기반의 세션으로 통신 장치(STB)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세션을 매개로하여 유니캐스트 네트워크 상에서 정보 교환이 수행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방송부가 정보는, 방송편성 정보(EPG), 자격관리 정보(EM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단말과 주요 방송기기 간에 유니캐스트 기반으로 교환되는 정보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방송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PC 단에서는, 우선 방송 센터로, 셋탑박스의 위치를 문의하는 '가입자 STB 정보'를 요청한다. 이에 응답한 방송센터에서는, PC에게 최적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예컨대 계약 관계에 있는 셋탑박스 등을 결정하고, 결정된 셋탑박스을 식별하기 위한 '가입자 STB 정보'를 생성하여 PC로 전송한다.
이어, PC는 수신된 '가입자 STB 정보' 내 STB MAC을 이용하여 식별된 셋탑박스로, '가입자 STB 연결'을 요청하고, 해당 셋탑박스는 상기 STB MAC과의 일치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일치하면, 상기 셋탑박스는 session ID를 생성하고, 이를 PC에 전달한다. 만약, 판단 결과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셋탑박스는 Fail을 결정하여 상기 요청을 거부하고, 이를 PC에 통지할 수 있다.
상기 '가입자 STB 연결'이 요청되는 경우, 상기 셋탑박스는 상기 PC의 요청에 따라 방송 센터 서버로부터 실시간 방송 정보(실시간 A/V)를 수신할 채널 전환이 가능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이 때, 셋탑박스는 세션 연결 상황을 판단하여, 제한 조건을 만족하면, session ID를 생성하고, 해당 session ID로 접속한 단말에게 채널 변경 권한을 부여한 후 이를 PC에 전달한다. 상기 제한 조건은, 예를 들면 세션 연결된 단말 중 1개의 단말에만 채널 전환 권한을 부여하는 조건일 수 있고, 셋탑박스는 기존 세션 연결된 단말 중에서 채널 전환 권한이 부여되었던 이력이 없는 단말을 선별하고 이 단말로 상기 session ID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후, PC는 상기 session ID를 이용하여 상기 셋탑박스와의 사이에 세션이 설정되도록 하고, 이를 통해 셋탑박스로 'EPG 정보', 'EMM 정보', '실시간 A/V' 등을 선택적으로 요청하게 되고, 이에 응답하여, 셋탑박스는 요청된 정보를 유니캐스트 기반으로 상기 PC로 제공할 수 있다.
PC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특정 채널을 포함한 채널 전환 요청을 셋탑 박스에게 요청한 경우, 셋탑박스는 해당 PC의 session ID로 채널 전환 권한이 부여된 단말인지 확인 후, 채널 전환 권한이 있으면 채널 전환을 수행하고, 채널 전환 이후 상기 요청된 정보를 유니캐스트 기반으로 상기 PC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라, PC의 단말제어부(320)는, 방송부가 정보 또는 상기 실시간 방송 정보를 출력부(330)의 형식에 맞도록 변환할 수 있다. 즉, 단말제어부(320)는, 유니캐스트 방식으로 제공되는 방송 관련 정보가, 출력부(330)의 환경, 예컨대 디스플레이 해상도, 화면 크기 등을 고려하여 최적한 디스플레이 조건에서 재생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단말(300)에서 동작할 수 있는 모드로는, Relay Mode, STB Clone Mode, STB Sync Mode를 예시할 수 있다.
1. Relay Mode : Convert Multicast Live Stream to UDP unicast Live Stream
Relay Mode는, PC에서 Live Multicast가 지원되지 않는 네트워크 망에서 근접한 STB에 접속하여 Live Stream을 Unicast로 받아오기 위한 모드이다. 또한, Relay Mode에서는 Live Relay를 지원하는 AP가 근접하고 있다면 AP에서 Live stream을 Unicast로 받아올 수 있다. 이를 통해, Relay Mode는, Multicast 가 지원 되지 않는 네트워크에서의 실시간 방송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고, PC의 서비스 정책에 의해 Live 채널 서비스가 다채롭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Relay Mode는 PC의 가상 MAC을 통한 DRM 해제를 유도하여, 방송 서비스의 원활한 제공을 가능하게 한다.
2. STB Clone Mode : 또다른 STB처럼 PC가 동작함.
STB Clone Mode는, PC의 가입자 번호와 일치하는 근접한 STB의 MAC 주소를 가져오기 위한 모드이다. 또한, STB Clone Mode는, PC에서 Live Multicast가 지원되지 않는 네트워크 망에서 근접한 STB에 접속하여 Live Stream를 Unicast로 받아 올 수 있다. 이를 통해, STB Clone Mode는 Live 채널 정책과 VOD 서비스를 STB의 정책에 따라 서비스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STB Clone Mode는 STB의 MAC 주소로 DRM 해제를 유도하여, 방송 서비스의 원활한 제공을 유도할 수 있다.
3. STB Sync Mode
STB Sync Mode는 PC의 가입자 번호와 일치하는 근접한 STB의 MAC 주소를 가져오기 위한 모드이다. 또한, STB Sync Mode는 PC 에서 Live Multicast 가 지원 되지 않는 네트워크 망에서 근접한 STB에 접속하여 Live Stream를 Unicast로 받아 올 수 있다. 이를 통해, STB Sync Mode는 Live 채널 정책과 VOD 서비스를 STB의 정책에 따라 서비스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STB Sync Mode는 STB의 MAC 주소로 DRM 해제를 구현할 수 있고, PC 에서 실시간 채널 시청 중일 경우 STB의 실시간도 해당 채널로 전환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을 참조하면, IPTV 방송 서비스를 상이한 전송방식 기반의 단말에 지원하는 통신 장치(110)는 수신 인터페이스(510), 프로세서(520) 및 송신 인터페이스(53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수신 인터페이스(510)는 단말로부터의 정보 요청에 따라, 방송 센터 서버(120)로부터 멀티캐스트 기반으로 입력되는 정보를 입력 받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수신 인터페이스(510)는, 단말에 설치되며 상기 정보 요청과 관련한 어플리케이션이 구동 됨에 따라, 상기 방송 센터 서버(120)에서 방송부가 정보를 멀티캐스트의 통신 방식으로 수신한다.
상기 수신된 방송부가 정보는 목적지 주소로서, 그룹을 식별하는 제1 어드레스를 가지고 있다.
만약, 단말이 상기 그룹으로 접근할 수 있는 경우, 즉 단말이 상기 그룹의 등록된 단말일 경우, 송신 인터페이스(530)은 상기 그룹 내 장비를 통해, 상기 방송부가 정보가 단말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반면, 상기 입력된 정보의 전송방식을 단말이 지원하지 않는 경우, 단말에서 정보 수신이 가능하도록 방송 센터 서버(120)로부터 입력된 전송방식과 상이한 전송방식으로 예컨대, 유니캐스트 기반으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즉, 상기 그룹으로의 상기 단말 접근이 불가능한 경우, 상기 송신 인터페이스(530)는 상기 방송부가 정보의 목적지 주소를, 상기 단말의 제2 어드레스로 대체 함으로써, 상기 방송부가 정보가 단말로 전송될 수 있게 한다.
구체적으로, 수신 인터페이스(510)는 단말로부터의 방송부가 정보 요청 즉, 단말에서의 어플리케이션 구동에 연동하여, 방송 센터 서버(120)로부터 멀티캐스트 기반으로 방송부가 정보를 입력받는다. 이때, 수신 인터페이스(510)는 멀티캐스트 네트워크에 접속하고, 접속된 멀티캐스트 네트워크를 통해 방송 센터 서버(120)로부터 멀티캐스트 기반으로 방송부가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으며, 상기 방송부가 정보로서, 방송편성 정보(EPG: 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자격관리 정보(EMM: Entitlement Management Message)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수신 인터페이스(510)는 상기 방송부가 정보를 수신한 단말로부터의 방송 데이터 요청 즉, 단말에서 채널선택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방송 센터 서버(120)로부터, 상기 채널선택 이벤트에 의해 식별되는 방송 데이터를 멀티캐스트 기반으로 입력 받을 수 있다. 이때, 수신 인터페이스(510)는 상기 채널선택 이벤트에 대응하는 멀티캐스트 주소를 이용하여, 멀티캐스트 네트워크에 접속하고, 상기 접속된 멀티캐스트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방송 센터 서버(120)로부터 상기 멀티캐스트 기반으로 방송 데이터를 입력 받을 수 있다.
한편, 송신 인터페이스(530)는 상기 단말과 근거리 무선 통신 예컨대, 무선랜(Wireless LAN) 통신, 와이파이(Wi-Fi) 통신, 지그비(Zigbee) 통신, UWB(Ultra Wide Band system) 통신 또는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중 어느 하나를 지원할 수 있다.
프로세서(520)는 상기 단말로의 상기 방송부가 정보 수신이 가능한지를 판단한다. 즉, 프로세서(520)는 상기 방송부가 정보와 연관된 소정 그룹으로 상기 단말의 접근이 가능한지를 판단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프로세서(520)는 상기 단말이 위치하는 네트워크 또는 단말 자체가 상기 멀티캐스트 기반의 정보 전송을 지원하는지를 확인하여, 상기 단말로의 상기 방송부가 정보 수신이 가능한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약, 프로세서(520)에 의해, 지원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면, 송신 인터페이스(530)는, 유니캐스트 기반으로, 즉 방송부가 정보의 목적지 주소를, 상기 소정 그룹의 제1 어드레스에서, 단말의 제2 어드레스로 대체한 후, 방송부가 정보를 단말로 제공하게 된다.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단말이 위치하는 네트워크가 변동되면, 프로세서(520)는 상기 변동된 네트워크가 상기 멀티캐스트 기반의 정보 전송을 지원하는지를 재확인하여, 정보의 전송방식을 제어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단말의 네트워크 위치가 변동되고, 프로세서(520)에 의해 변동된 해당 네트워크에서도 단말로의 상기 방송부가 정보 수신 불가로 판단하는 경우, 송신 인터페이스(530)는 상기 방송부가 정보를 유니캐스트 기반으로 상기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반해, 예컨대, 프로세서(520)에 의해, 상기 변동된 해당 네트워크가 상기 멀티캐스트 기반의 정보 전송을 지원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송신 인터페이스(530)는 상기 유니캐스트로의 전환 없이, 상기 방송부가 정보를 멀티캐스트 기반으로 상기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통신 장치(110)에 대한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방송부가 정보를 수신한 단말에서 채널선택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수신 인터페이스(510)는 방송 센터 서버로부터 상기 채널선택 이벤트에 의해 식별되는 방송 데이터를 멀티캐스트 기반으로 입력받을 수 있으며, 송신 인터페이스(530)는 상기 방송 데이터를, 유니캐스트 기반으로 상기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또 달리, 상기 단말에서 채널변경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프로세서(520)는 상기 입력된 방송부가 정보를 저장공간에 유지할 수 있고, 선정된 시간격 내에, 타단말로부터 상기 방송부가 정보와 연관된 채널선택 이벤트가 발생하면, 송신 인터페이스(530)는 상기 저장공간에서 상기 방송부가 정보를 추출하여, 멀티캐스트 기반 또는 유니캐스트 기반으로 상기 타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통신 장치(110)는 한번 입력받은 방송부가 정보를 저장공간에 일시적으로 유지하고, 상기 유지된 방송부가 정보를 필요로하는 타단말로 제공 함으로써, 타단말로 제공하기 위한 방송 센터 서버로부터의 방송부가 정보 재수신을 생략하여 타단말로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으며, 정보 처리에 대한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IPTV 방송 서비스를 상이한 전송방식 기반의 단말에 지원하는 통신 제어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통신 장치는 단말로부터의 정보 요청에 따라, 방송 센터 서버로부터 멀티캐스트 기반으로 입력되는 멀티캐스트 기반의 정보(예컨대, 방송부가 정보, 방송 데이터)를 단말로 전달하되, 상기 입력된 정보의 전송방식 즉, 멀티캐스트를 단말 또는 단말이 위치하는 네트워크가 지원하지 않는 경우, 단말에서 정보 수신이 가능하도록 방송 센터 서버로부터 입력된 전송방식과 상이한 전송방식으로 예컨대, 유니캐스트 기반으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장치는 댁내에 위치하는 IPTV 셋톱박스(610)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댁내에 위치하는 멀티캐스트 지원 공유기 또는 무선 AP일 수 있다.
IPTV 셋톱박스(610)은 제1, 2 단말(130-1, 130-2)로부터의 정보 요청에 따라, 방송 센터 서버로부터 멀티캐스트 기반으로 입력된 정보를 댁내에 위치하는 제1 단말(130-1) 또는 외부에 위치하는 제2 단말(130-2)로 유니캐스트 기반하여 제공할 수 있다. IPTV 셋톱박스(610)은 방송 센터 서버와 상이한 전송방식 기반의 단말에 정보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외부에 위치하는 제2 단말(130-2)로 전송 함으로써, 제2 단말(130-2)이 댁내 공간에 제한되지 않고,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방송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한다.
또한, 통신 장치는 외부 공공장소에 설치되는 WIFI 핫스팟(Hot-Spot, 620)의 무선 AP일 수도 있다.
WIFI 핫스팟(620)은 제3, 4 단말(130-3, 130-4)로부터의 정보 요청에 따라, 방송 센터 서버로부터 멀티캐스트 기반으로 입력된 정보를 랩탑 컴퓨터의 제3 단말(130-3) 및 스마트 폰의 제4 단말(130-4)로 유니캐스트 기반하여 제공 함으로써, 보다 많은 사용자에게 단말 또는 단말이 위치하는 네트워크의 전송방식에 제한되지 않고, 방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7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IPTV 방송 서비스를 상이한 전송방식 기반의 단말에 지원하는 통신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메시지 흐름도이다. 여기서, 통신 장치(110)와 단말(130)은 근거리 무선 통신(예컨대, 무선랜(Wireless LAN), 와이파이(Wi-Fi), 지그비(Zigbee), UWB(Ultra Wide Band system) 또는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통신)을 지원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7를 참조하면, 단계 701에서, 단말(130)은 방송 관련 어플리케이션 구동하여, 통신 장치(110)로 방송부가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단계 703에서, 통신 장치(110)는 단말(130)로부터의 방송부가 정보 요청에 연동하여, 멀티캐스트 네트워크에 접속하고, 접속된 멀티캐스트 네트워크를 통해 방송 센터 서버(120)로부터 멀티캐스트 기반으로 방송부가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방송부가 정보는 방송편성 정보(EPG) 또는 자격관리 정보(EMM)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단계 703에서, 통신 장치(110)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구동에 연동하여, 그룹의 제1 어드레스를 목적지 주소로 갖는 방송부가 정보를, 방송 센터 서버로부터 입력받는다.
단계 705에서, 통신 장치(110)는 방송 센터 서버(120)로부터 수신한 방송부가 정보에 대해, 단말(130)로의 수신이 가능한지를 판단하고, 수신 불가로 판단하는 경우, 유니캐스트 기반으로 상기 방송부가 정보를 단말(130)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장치(110)는 단말(130)이 위치하는 네트워크 또는 단말 자체가 상기 멀티캐스트 기반의 정보 전송을 지원하는지를 확인하여, 단말(130)로의 상기 방송부가 정보 수신이 가능한지를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단계 705에서의 통신 장치(110)는 상기 그룹으로 상기 단말의 접근이 가능한지를 판단하고, 만약 접근 불가로 판단되면, 단말의 제2 어드레스를 식별하여, 상기 방송부가 정보의 목적지 주소를, 상기 제1 어드레스에서 상기 식별된 제2 어드레스로 대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통신 장치(110)는 멀티캐스트 통신 방식으로는 정보의 획득이 불가능하였던 단말에게, 방송부가 정보(이후의 방송 데이터)를 유연하게 제공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하게 된다.
단계 707에서, 단말(130)은 방송부가 정보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서, 통신 장치(110)로부터 유니캐스트 기반으로 방송부가 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단계 709에서, 단말(130)은 방송부가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로부터 채널을 선택받은 경우, 단계 711에서, 채널선택 이벤트를 발생 함에 따라, 방송 데이터를 요청할 수 있다.
단계 713에서, 통신 장치(110)는 단말(130)로부터 수신한 방송 데이터 요청으로부터 채널선택 이벤트를 확인하고, 방송 센터 서버(120)로부터 상기 채널선택 이벤트에 의해 식별되는 방송 데이터를 멀티캐스트 기반으로 입력받을 수 있다. 이때, 통신 장치(110)는 상기 채널선택 이벤트에 대응하는 멀티캐스트 주소를 이용하여, 멀티캐스트 네트워크에 접속하고, 상기 접속된 멀티캐스트 네트워크를 통해, 방송 센터 서버(120)로부터 멀티캐스트 기반으로 방송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다.
단계 715에서, 통신 장치(110)는 방송 센터 서버(120)로부터 수신한 방송 데이터에 대해, 단말(130)이 수신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방송 센터 서버(120)로부터 멀티캐스트 기반으로 수신한 방송 데이터를 유니캐스트 기반하여 단말(130)로 제공할 수 있다. 즉, 통신 장치(110)는, 상술한 방송부가 정보에서와 유사하게, 상기 방송 데이터의 목적지 주소를, 그룹의 제1 어드레스에서 상기 단말의 제2 어드레스로 대체 함으로써, 상기 방송 데이터가 단말로 전송될 수 있게 한다.
단계 717에서, 단말(130)은 방송 데이터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서, 통신 장치(110)로부터 유니캐스트 기반으로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장치(110)는 단말(130)에서 채널변경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방송부가 정보(또는 방송 데이터)를 저장공간에 유지하고, 선정된 시간격 내에, 타단말로부터 상기 방송부가 정보에 연관된 채널선택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저장공간에서 상기 방송부가 정보를 추출하여, 멀티캐스트 기반 또는 유니캐스트 기반으로 타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방송 센터 서버로부터 멀티캐스트 기반으로 입력된 멀티캐스트 기반의 정보 수신이 불가한 단말로 제공하는 경우, 유니캐스트 기반으로 상기 정보를 단말로 제공 함으로써, 단말이 멀티캐스트를 지원하지 않거나, 또는 단말이 위치하는 네트워크가 멀티캐스트 기반의 정보 전송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에도 멀티캐스트 기반의 정보를 단말에서 실행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기존에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예컨대, 멀티캐스트 지원 공유기, IPTV 셋톱박스, 무선 AP)에 구현하여, 상이한 전송방식 기반의 정보 전송을 지원 함으로써, 별도의 장치 설치에 대한 비용을 절감하고, 설치의 용이함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10: IPTV 방송 서비스를 상이한 전송방식 기반의 단말에 지원하는 통신 장치
112 : 제1 인터페이스 114 : 제2 인터페이스
116 : 제어부 120 : 방송 센터 서버
130 : 단말
300 : 유니캐스트 방식으로 실시간 IPTV 방송 서비스가 가능한 단말
310 : 제3 인터페이스 320 : 단말제어부

Claims (18)

  1. 방송 센터 서버로부터 멀티캐스트 네트워크를 통해 멀티캐스트 기반으로 제1 실시간 방송 정보를 수신하는 제1 인터페이스;
    유니캐스트 기반의 세션을 통해 연결된 단말과, 유니캐스트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1 실시간 방송 정보를 유니캐스트 기반으로 송신하는 제2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1 실시간 방송 정보의 수신 중 상기 단말로부터의, 채널을 포함한 채널 전환 요청에 따라, 상기 제1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채널에 해당하는 멀티캐스트 주소에 연결(join)하여 채널 전환을 수행하여, 상기 멀티캐스트 기반으로 제2 실시간 방송 정보를 수신하도록 하고, 상기 제2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단말에게, 유니캐스트 기반으로 상기 제2 실시간 방송 정보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IPTV 방송 서비스를 상이한 전송방식 기반의 단말에 지원하는 통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터페이스는,
    방송편성 정보(EPG: 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자격관리 정보(EMM: Entitlement Management Message) 중 적어도 하나의 방송부가 정보를, 상기 멀티캐스트 기반으로 수신하는,
    IPTV 방송 서비스를 상이한 전송방식 기반의 단말에 지원하는 통신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인터페이스는
    상기 단말로부터의 접속 요청시, 메시지에 포함된 통신 장치의 정보가 상기 통신 장치의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인증 처리하고, 세션 ID를 생성하여 상기 단말과 세션을 통해 연결하는,
    IPTV 방송 서비스를 상이한 전송방식 기반의 단말에 지원하는 통신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의 정보는,
    MAC(Media Access Control) 또는 상기 통신 장치에 고유하게 부여된 정보인,
    IPTV 방송 서비스를 상이한 전송방식 기반의 단말에 지원하는 통신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상기 통신 장치와 접속 요청을 위해, 가입자 정보서버로부터 상기 통신 장치의 정보 또는 게이트웨이 주소인 접속 정보를 수신하는,
    IPTV 방송 서비스를 상이한 전송방식 기반의 단말에 지원하는 통신 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전환을 수행하는 것은,
    상기 제2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된 단말 중 채널전환 권한이 있는 단말로부터의 요청이 있는 경우 수행하는,
    IPTV 방송 서비스를 상이한 전송방식 기반의 단말에 지원하는 통신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인터페이스는,
    상기 단말과 와이파이(WIFI) 기반의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IPTV 방송 서비스를 상이한 전송방식 기반의 단말에 지원하는 통신 장치.
  9. 통신 장치와, 유니캐스트 기반으로 세션을 연결하여 제1 실시간 방송 정보를 수신하는 제3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1 실시간 방송 정보의 수신 중,
    상기 제3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통신 장치에게 채널을 포함한 채널 전환 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통신 장치로부터, 상기 제3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2 실시간 방송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단말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장치는,
    상기 채널에 해당하는 멀티캐스트 주소에 연결하여 채널 전환을 수행하여 멀티캐스트 기반으로 방송 센터 서버로부터 상기 제2 실시간 방송 정보를 수신하는
    유니캐스트 방식으로 실시간 IPTV 방송 서비스가 가능한 단말.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인터페이스는,
    방송편성 정보(EPG) 또는 자격관리 정보(EMM) 중 적어도 하나의 방송부가 정보를, 상기 통신 장치로부터 상기 유니캐스트 기반으로 수신하는,
    유니캐스트 방식으로 실시간 IPTV 방송 서비스가 가능한 단말.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인터페이스는,
    방송편성 정보 제공서버로부터 방송편성 정보(EPG)를 수신하는,
    유니캐스트 방식으로 실시간 IPTV 방송 서비스가 가능한 단말.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제어부는,
    상기 통신 장치의 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제3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통신 장치와 접속 요청을 수행하는,
    유니캐스트 방식으로 실시간 IPTV 방송 서비스가 가능한 단말.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의 정보는,
    MAC 또는 상기 통신 장치에 고유하게 부여된 정보인,
    유니캐스트 방식으로 실시간 IPTV 방송 서비스가 가능한 단말.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인터페이스는,
    상기 통신 장치와 접속 요청을 위해, 가입자 정보서버로부터 상기 통신 장치의 정보 또는 게이트웨이 주소인 접속 정보를 수신하는,
    유니캐스트 방식으로 실시간 IPTV 방송 서비스가 가능한 단말.
  15. 삭제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제어부는,
    채널전환 권한을 포함하여 상기 제3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통신 장치와 접속 요청을 수행하는,
    유니캐스트 방식으로 실시간 IPTV 방송 서비스가 가능한 단말.
  17.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인터페이스는,
    상기 통신 장치와 와이파이(WIFI) 기반의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유니캐스트 방식으로 실시간 IPTV 방송 서비스가 가능한 단말.
  18.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제어부는,
    상기 제2 실시간 방송 정보를 상기 출력부의 형식에 맞도록 변환하는,
    유니캐스트 방식으로 실시간 IPTV 방송 서비스가 가능한 단말.
KR1020110089679A 2011-09-05 2011-09-05 Iptv 방송 서비스를 상이한 전송방식 기반의 단말에 지원하는 통신 장치 및 유니캐스트 방식으로 실시간 iptv 방송 서비스가 가능한 단말 KR1012724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9679A KR101272431B1 (ko) 2011-09-05 2011-09-05 Iptv 방송 서비스를 상이한 전송방식 기반의 단말에 지원하는 통신 장치 및 유니캐스트 방식으로 실시간 iptv 방송 서비스가 가능한 단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9679A KR101272431B1 (ko) 2011-09-05 2011-09-05 Iptv 방송 서비스를 상이한 전송방식 기반의 단말에 지원하는 통신 장치 및 유니캐스트 방식으로 실시간 iptv 방송 서비스가 가능한 단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6199A KR20130026199A (ko) 2013-03-13
KR101272431B1 true KR101272431B1 (ko) 2013-06-07

Family

ID=48177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9679A KR101272431B1 (ko) 2011-09-05 2011-09-05 Iptv 방송 서비스를 상이한 전송방식 기반의 단말에 지원하는 통신 장치 및 유니캐스트 방식으로 실시간 iptv 방송 서비스가 가능한 단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243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2688B1 (ko) * 2015-02-06 2022-02-14 주식회사 케이티 이기종망을 통한 iptv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전송 서버 및 시스템
KR102415606B1 (ko) * 2015-05-19 2022-06-30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Iptv 방송 중계기 및 그 동작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76079A (ja) * 2004-03-26 2005-10-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ータ配信サーバおよびデータ配信システム
JP2011010208A (ja) * 2009-06-29 2011-01-13 Hitachi Ltd 無線区間におけるマルチキャスト転送方式
KR101024980B1 (ko) * 2010-05-18 2011-03-30 주식회사 디지캡 모바일 아이피티브이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KR20110060675A (ko) * 2009-11-30 2011-06-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아이피티브이 기반의 셋탑박스를 이용한 모바일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모바일 콘텐츠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76079A (ja) * 2004-03-26 2005-10-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ータ配信サーバおよびデータ配信システム
JP2011010208A (ja) * 2009-06-29 2011-01-13 Hitachi Ltd 無線区間におけるマルチキャスト転送方式
KR20110060675A (ko) * 2009-11-30 2011-06-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아이피티브이 기반의 셋탑박스를 이용한 모바일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모바일 콘텐츠 제공 방법
KR101024980B1 (ko) * 2010-05-18 2011-03-30 주식회사 디지캡 모바일 아이피티브이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6199A (ko) 2013-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43408B2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bandwidth
RU2530016C2 (ru) Способ локализации контента и узел сети доставки контента
US8108901B2 (en) Managing access to high definition content
CN100518311C (zh) 一种减少直播频道切换响应时间的方法
US20120324049A1 (en) Remote access with media translation
CN101472155B (zh) 一种用于实现iptv业务的家庭网络系统及其实现方法
US20110252451A1 (en) Personal tv gateway stb/router
US20090222874A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session mobility of internet protocol television (iptv) content between end user communication devices
CN102037703A (zh) Iptv通信网络中传递方法之间的切换
US20170264967A1 (en) Content transfer device and content transfer method, content reproduction device and content reproduction method, content distribution system and computer program
KR20060004098A (ko) 디지털 케이블 tv 네트워크에서 주문형 비디오 서비스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9930410B2 (en) Video receiving apparatus for processing a video content receivable from a plurality of distribution platforms, and method thereof
US20120124628A1 (en) Method for requesting transmission of broadcast progra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broadcast program
KR101272431B1 (ko) Iptv 방송 서비스를 상이한 전송방식 기반의 단말에 지원하는 통신 장치 및 유니캐스트 방식으로 실시간 iptv 방송 서비스가 가능한 단말
WO2010066082A1 (zh) 移动电视网络间切换方法及装置
US9306759B2 (en) Ultra high-fidelity content delivery using a mobile device as a media gateway
KR100597590B1 (ko) 다수의 셋탑박스에 저장장치 공유 기능을 제공하는홈게이트웨이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저장장치 공유서비스 방법
CA2847703C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bandwidth
WO201700015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p multicast grouping
CN102098551A (zh) 流媒体业务处理方法和系统
CN101931787B (zh) 一种组播节目的控制方法、装置和系统
US8295200B2 (en) Discovering multicast routing capability of an access network
KR101238781B1 (ko) 휴대인터넷상에서 멀티캐스트 방식을 이용한 ucc방송 및디지털방송 재전송 방법
KR100971830B1 (ko) Iptv 사업자 또는 방송프로그램 공급자가 공동주택의 구내방송망을 통해 방송수신자 단말에 실시간 방송을 송출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100042907A (ko) 이동통신 디바이스를 이용한 iptv 원격 제어방법 및 iptv 제어서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