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2087B1 -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location based multimedia data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location based multimedia data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2087B1
KR101272087B1 KR1020110035925A KR20110035925A KR101272087B1 KR 101272087 B1 KR101272087 B1 KR 101272087B1 KR 1020110035925 A KR1020110035925 A KR 1020110035925A KR 20110035925 A KR20110035925 A KR 20110035925A KR 101272087 B1 KR101272087 B1 KR 1012720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recording
location information
multimedia
abnormal termin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592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118519A (en
Inventor
오주석
Original Assignee
(주)라람인터랙티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라람인터랙티브 filed Critical (주)라람인터랙티브
Priority to KR10201100359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2087B1/en
Publication of KR201201185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851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20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208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14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operation
    • G06F11/1402Saving, restoring, recovering or retrying
    • G06F11/1415Saving, restoring, recovering or retrying at system level
    • G06F11/1438Restarting or rejuvena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9Geographical information databa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기기의 비정상 종료시에도 데이터 기록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위치인식 기반 멀티미디어 기록 방법 및 그 시스템이 개시된다.Disclosed is a location-based multimedia recording method and system for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data recording even in abnormal termination of a device.

Description

위치인식 기반 멀티미디어 기록 방법 및 그 시스템{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LOCATION BASED MULTIMEDIA DATA}Location-based multimedia recording method and system thereof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LOCATION BASED MULTIMEDIA DATA}

본 발명은 위치인식 기반 멀티미디어 기록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기의 비정상 종료시에도 데이터 기록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위치인식 기반 멀티미디어 기록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cation-based multimedia recording method and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location-based multimedia recording method and system that can improve the reliability of data recording even in abnormal termination of the device.

종래에 나와 있던 위치기반 기술들은 변화하는 모바일 환경에 대한 고려가 되어 있지 않다. The location-based technologies previously presented are not considered for the changing mobile environment.

휴대이동기기(이하 "모바일 기기"라고도 한다)의 사용환경에서는 배터리 기술 및 위치 보정 기술의 설계가 정교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In the use environment of the mobile mobile device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mobile device"), the design of the battery technology and the position correction technology must be precisely made.

특히, 모바일 환경에서는 배터리에 의하지 않으면 지속적으로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배터리의 상태 변화 및 그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데이터 저장 기술이 고도화될 필요가 있다. In particular, in the mobile environment, power is not continuously supplied unless it is a battery, and thus, a data storage technology that can cope with a change in the state of the battery and the change needs to be advanced.

그동안의 모바일 기기에서는 기기의 위치를 셀 방식 또는 GSP 방식으로 확인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었다. In the past, mobile devices focused on checking the location of the device in a cellular or GSP manner.

그러나, 사용자의 위치를 추적하고 사용자의 행동에 기반하여 데이터를 기록하고 배터리를 제어하는 기술 측면에서는 소홀함이 있었다. However, there has been a neglect in the technology of tracking the location of the user, recording data based on the user's behavior, and controlling the battery.

따라서, 배터리 부족 등으로 인한 모바일 기기의 비정상 종료시에는 데이터 기록이 유실되고, 이후 배터리를 교체하더라도 데이터의 무결성에 심각한 문제가 생기는 등의 불편이 있었다. Therefore, when the mobile device is abnormally terminated due to lack of battery, data recording is lost, and even after replacing the battery, serious problems occur in the integrity of the data.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착안된 것으로서, 기기의 비정상 종료시에도 데이터 기록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위치인식 기반 멀티미디어 기록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ocation recognition-based multimedia recording method and system that can improve the reliability of data recording even when the device is abnormally terminated.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위치인식 기반 멀티미디어 기록 장치는, 현재의 지리적 위치에 대응하는 지리적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위치정보 생성부와, 상기 지리적 위치정보가 소정의 기록영역에 기록시각 정보와 함께 기록되는 지리적 위치정보 저장부와, 상기 지리적 위치정보의 상기 기록시각 정보에 대응되는, 실행중인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미디어 위치정보가 기록되는 미디어 위치정보 저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location-based multimedia recor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location information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geographic lo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geographic location, and the geographic location information in a predetermined recording area; And a geographic loca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recorded with the recording time information, and a media loca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in which media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ultimedia content being executed corresponding to the recording time information of the geographic location information is recorded.

이 때, 멀티미디어 기록 애플리케이션의 비정상종료 여부를 판단하는 비정상종료 여부 판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n abnormal termination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abnormal termination of the multimedia recording application.

또한, 비정상종료된 경우, 비정상종료 직전에 실행된 멀티미디어 기록 애플리케이션을 재기동하는 애플리케이션 재기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when abnormally terminated,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n application restarting unit for restarting the multimedia recording application executed immediately before the abnormal termination.

또한, 비정상종료된 경우, 지리적 위치정보 및 미디어 위치정보의 데이터를 복구하는 데이터 복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when abnormally terminated,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data recovery unit for recovering the data of the geographic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media location information.

나아가, 상기 데이터 복구부는 비정상종료시 기록된 상기 데이터를 정상동작시의 데이터 기록 패턴과 소정의 데이터 단위별로 비교하여 상기 데이터 단위가 복구 대상인지 여부를 판단한 후, 복구 대상인 데이터의 복구를 수행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Further, the data recovery unit compares the data recorded at abnormal termination with a data recording pattern in a normal operation for each predetermined data unit, determines whether the data unit is a recovery target, and then restores the data to be restored. desirabl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위치인식 기반 멀티미디어 기록 방법은, 기기의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지리적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위치정보 생성단계와, 상기 지리적 위치정보를 주기적으로 상기 기기의 소정의 기록영역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기록영역에는 상기 지리적 위치정보가 기록되는 시각에 대응되는, 실행중인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미디어 위치정보가 함께 기록되도록 수행된다. In addition, the location-based multimedia record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ation information generation step of generating geographic lo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location of the device, and periodically recording the geographic location information in a predetermined recording area of the device And the media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ultimedia content being executed corresponding to the time when the geographical location information is recorded in the recording area.

이 때, 상기 미디어 위치정보는,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타임라인 중의 상기 시각에 대응되는 데이터 단위의 정보인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media position information is preferably information of a data unit corresponding to the time in the timeline of the multimedia content.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위치인식 기반 멀티미디어 기록 방법은, 멀티미디어 기록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기기의 비정상종료 여부를 판단하는 비정상종료 여부 판단단계와, 상기 기기가 비정상종료된 경우, 비정상종료 직전에 실행된 멀티미디어 기록 애플리케이션을 재기동하는 애플리케이션 재기동 단계와, 상기 멀티미디어 기록 애플리케이션의 상기 비정상종료시 기록된 데이터를 복구하는 데이터 복구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된다. In addition, the position recognition-based multimedia recording method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bnormal termination determination step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abnormal termination of the device running the multimedia recording application, and if the abnormal termination of the device, immediately before the abnormal termination An application restarting step of restarting the executed multimedia recording application, and a data recovery step of recovering data recorded upon abnormal termination of the multimedia recording application.

이 때, 상기 데이터 복구단계에서는 상기 비정상종료시 기록된 데이터를 정상동작시의 데이터 기록 패턴과 소정의 데이터 단위별로 비교하여 상기 데이터 단위가 복구 대상인지 여부를 판단한 후, 복구 대상인 데이터의 복구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in the data recovery step, the data recorded at the end of abnormality is compared with a data recording pattern in a normal operation for each predetermined data unit to determine whether the data unit is a recovery target, and then the data to be recovered is restored. It is preferable.

본 발명을 이용하면, 기기의 비정상 종료시에도 데이터 기록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위치인식 기반 멀티미디어 기록 방법 및 그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location-based multimedia recording method and system capable of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data recording even when the device is abnormally terminat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인식 기반 멀티미디어 기록 시스템의 일례를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인식 기반 멀티미디어 기록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위치인식 기반 멀티미디어 기록 방법의 일례를 나타낸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에 따른 위치인식 기반 멀티미디어 기록 방법의 일례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location-based multimedia recor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showing a location-based multimedia recor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 chart showing an example of a location-based multimedia recording method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location-aware multimedia recording method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인식 기반 멀티미디어 기록 시스템의 일례를 나타낸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location-based multimedia recor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인식 기반 멀티미디어 기록 시스템(10)은, 위치정보 생성부(100), 지리적 위치정보 저장부(110), 미디어 위치정보 저장부(120), 비정상종료 여부 판단부(130)와, 애플리케이션 재기동부(140), 데이터 복구부(150), 패턴 저장부(16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1, the location-based multimedia recording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ocation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00, a geographical loca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110, and a media loca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120. ), An abnormal termination determination unit 130, an application restart unit 140, a data recovery unit 150, and a pattern storage unit 160.

위치정보 생성부(100)는 현재의 지리적 위치에 대응하는 지리적 위치정보를 생성한다. The location information generator 100 generates geographic lo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geographic location.

위치정보 생성부(100)는 내부에 GPS 모듈과 같은 위치측정수단(도면에 나타내지 않음)을 포함하여 직접 위치를 측정하고 그에 따른 지리적 위치정보를 생성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이처럼 기기 내부에 직접 위치측정수단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라도, 가령 이동통신망으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기기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가공하여 위치인식 기반 멀티미디어 기록 시스템(10)에서 활용될 수 있는 포맷의 지리적 위치정보를 가공하여 생성하도록 할 수도 있다.The location information generating unit 100 may include a location measuring means (not shown) such as a GPS module therein to directly measure a location and generate geographical location information accordingly. However, even when such a device does not directly include a position measuring means, it is possible to process information related to the location of the device, for example, transmitted from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so that it can be utilized in the location-based multimedia recording system 10. Geographic location information may be processed and generated.

지리적 위치정보 저장부(100)에는 위치정보 생성부(100)에서 생성된 지리적 위치정보가 소정의 기록영역에 기록시각 정보와 함께 기록된다. In the geographic loca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100, geographic location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location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00 is recorded together with recording time information in a predetermined recording area.

미디어 위치정보 저장부(120)에는 지리적 위치정보가 기록되는 시각의 기록시각 정보에 대응되는, 실행중인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미디어 위치정보가 기록된다. 예컨대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소정의 시간길이를 가지는 동영상 데이터인 경우를 생각해 볼 수 있다. 이 때, 해당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구성하는 동영상 데이터는 소정의 크기로 분할한 데이터 단위로 구분지어 생각할 수 있다. 이들 데이터 단위는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재생되는 타임라인 상에서 규칙적으로 배열될 수 있게 된다. 본 명세서에서 타임라인 상에서 각각의 데이터 단위가 규칙적으로 배열되는 시점을 "미디어 위치"라 하고, 각각의 데이터 단위가 배열된 타임라인 상에서의 미디어 위치의 정보를 "미디어 위치정보"라고 한다면, 특정 시각의 지리적 위치정보를 미디어 위치정보와 대응시킬 수 있게 된다. The media loca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120 records the media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ultimedia content being executed corresponding to the recording time information of the time at which the geographical location information is recorded. For example, consider a case where the multimedia content is moving picture data having a predetermined time length. At this time, the moving picture data constituting the multimedia content can be considered divided into data units divided into predetermined sizes. These data units can be arranged regularly on the timeline in which the multimedia content is play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a time point at which each data unit is regularly arranged on the timeline is referred to as "media position", and the information on the media position on the timeline where each data unit is arranged as "media position information", a specific time point Geographic location information can be mapped to media location information.

비정상종료 여부 판단부(130)는 멀티미디어 기록 애플리케이션의 비정상종료 여부를 판단한다. Abnormal termination determination unit 130 determines whether abnormal termination of the multimedia recording application.

애플리케이션 재기동부(140)는 기기가 비정상종료된 경우, 비정상종료 직전에 실행된 멀티미디어 기록 애플리케이션을 재기동한다. If the device restarts abnormally, the application restarting unit 140 restarts the multimedia recording application executed immediately before the abnormal termination.

데이터 복구부(150)는 비정상종료 등의 사유로 인하여 데이터에 오류를 일으킨 지리적 위치정보 및 미디어 위치정보의 데이터를 복구한다. 이 때, 데이터 복구부는 복구 대상이 되는 데이터를 소정의 크기 또는 시간 길이를 가지는 데이터 단위로 분할하여, 각 데이터 단위별로 복구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에서의 데이터 단위는 앞서 미디어 위치정보 저장부(120)를 설명하면서 언급한 데이터 단위와 동일한 개념이다.The data recovery unit 150 recovers the data of the geographic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media location information that caused the data error due to abnormal termination or the like. In this case, the data recovery unit may divide the data to be recovered into data units having a predetermined size or length of time and recover the data for each data unit. Here, the data unit is the same concept as the data unit mentioned while explaining the media loca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120.

패턴 저장부(160)에는 데이터 복구부(150)가 비정상종료시 기록된 데이터 단위의 오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해당 데이터 단위와 비교되는 정상동작시의 데이터 기록 패턴이 저장된다. The pattern storage unit 160 stores a data recording pattern in normal operation compared with the data unit so that the data recovery unit 150 can determine whether or not an error occurred in the data unit recorded at abnormal termination.

정상 동작했을 때 저장되는 패턴은 독립된 필드에 기록될 수도 있다. 그 밖에, 기록 종료 시각이나 기록 번호 등으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Patterns stored during normal operation may be recorded in separate fields. In addition, it is also possible to set the recording end time, the record number, and the like.

복구 여부 판단의 대상이 되는 데이터단위와 패턴 저장부에 저장된 정상동작시의 데이터 기록 패턴이 일치하는 경우에는 기기가 정상종료된 상황인 것으로 인식되지만, 만약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비정상 종료된 상황인 것으로 인식되어, 데이터 복구부(150)에 의한 데이터 복구가 수행된다.
If the data unit that is the object of recovery judgment and the data recording pattern in the normal operation stored in the pattern storage unit coincide, the device is recognized as a normal shutdown. If not, it is regarded as abnormally terminated. Thus, data recovery by the data recovery unit 150 is performed.

위치인식 기반 멀티미디어 기록 시스템(10)은 예컨대 모바일 단말기 내에 설치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Location-based multimedia recording system 10 may be implemented, for example, to be installed in a mobile terminal.

만약 사용자가 이동중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그 지리적 위치정보와 연동하여 기록하기를 원한다면, 이 때부터 지리적 위치정보와 연동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실시간으로 기록되고 저장된다. If the user wants to record the multimedia data in association with the geographical location information by using the mobile terminal, the multimedia data associated with the geographical location information is recorded and stored in real time.

기록이 실시간으로 저장되기 때문에, 모바일 디바이스가 오동작을 일으키거나 배터리가 분리 또는 소진되어 기기가 비정상종료되더라도, 유실되는 기록을 최소화할 수 있고, 추후 실시간으로 기록 및 저장된 데이터에 이어서 연속 기록을 할 수 있게 된다. Because the records are stored in real time, even if the device malfunctions due to malfunction of the mobile device or the battery is disconnected or exhausted, the lost records can be minimized, and subsequent recording and stored data can be continuously recorded in real time. Will be.

예컨대, 위치 추적이 가능한 프로그램을 통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추적하는 경우에는, 추적된 위치가 맵 화면 상에서 경로로 표현될 수 있다. 사용자가 사진을 찍어서 기록을 남기고 싶을 때에는, 사진 관련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진을 촬영하게 되고, 사진 기능이 활성화되어 사진을 찍으면 사진 촬영 시각정보와 연동되어 사진의 이미지 데이터가 실시간으로 저장된다.
For example, when the user's location is tracked through a program capable of tracking the location, the tracked location may be represented as a path on the map screen. When a user wants to take a picture by taking a picture, a picture is taken by a photo-related application. When a picture is activated and a picture is taken, the image data of the picture is stored in real time in conjunction with the picture taking time informa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인식 기반 멀티미디어 기록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location-based multimedia recor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의 실시예에서는 지리적 위치정보와 연동하여 실시간으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기록하는 방법을 설명한다.2 illustrates a method of recording multimedia data in real time in association with geographical location information.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위치인식 기반 멀티미디어 기록 방법의 일례는 위치정보 생성단계(S100), 지리적 위치정보 기록단계(S110) 및 미디어 위치정보 기록단계(S12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2, an example of the location-based multimedia recording method includes a location information generation step S100, a geographical location information recording step S110, and a media location information recording step S120.

먼저 위치정보 생성단계(S100)에서는 기기의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지리적 위치정보가 생성된다. First, in the location information generation step (S100), geographic lo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location of the device is generated.

지리적 위치정보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위치정보 생성부(100)의 내부에 GPS 모듈과 같은 위치측정수단(도면에 나타내지 않음)을 포함하여 직접 위치를 측정하고 그에 따른 지리적 위치정보를 생성하도록 할 수도 있지만, 기기 내부에 직접 위치측정수단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라도, 가령 이동통신망으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기기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가공하여 위치인식 기반 멀티미디어 기록 시스템(10)에서 활용될 수 있는 포맷의 지리적 위치정보를 가공하여 생성하도록 할 수도 있다.Geographic loc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a location measuring means (not shown) such as a GPS module inside the location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00 to measure the location directly and generate geographical location information accordingly as mentioned above. However, even if it does not include a position measuring means directly inside the device, for example, the geographical position of the format that can be utilized in the location-based multimedia recording system 10 by processing information about the location of the device transmitt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e location information may be processed and generated.

지리적 위치정보 저장부(100)에는 위치정보 생성부(100)에서 생성된 지리적 위치정보가 소정의 기록영역에 기록시각 정보와 함께 기록된다. In the geographic loca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100, geographic location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location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00 is recorded together with recording time information in a predetermined recording area.

지리적 위치정보는 애플리케이션에 입력되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기록이 개시된다. 물론 사용자의 요청 대신 미리 설정된 규칙에 따라 지리적 위치정보의 기록이 개시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Geographic location information is recorded at the request of the user input to the application. 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o start the recording of the geographical lo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 preset rule instead of the user's request.

이후, 사용자로부터의 요청이 입력되거나 미리 설정된 규칙에 따라 지리적 위치정보의 기록이 종료될 때까지는 지리적 위치정보의 기록 및 저장이 실시간으로 수행된다. Thereafter, recording and storing of the geographical location information are performed in real time until a request from the user is input or recording of the geographical location information is terminated according to a preset rule.

실시간으로 기록이 수행되는 까닭은, 일괄작업방식으로 다수의 위치정보를 한꺼번에 기록하는 경우에는 시스템의 부하를 경감하는 장점은 있을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 우려하는 기기의 비정상종료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기록의 대상이 되는 다수의 위치정보가 한꺼번에 유실됨으로써 데이터 손실에 따른 피해의 정도가 커지기 때문이다. The reason why recording is performed in real time may be an advantage of reducing the load of the system when recording a plurality of location information at once by a batch operation method, but in the event of abnormal termination of the device of concern in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because a large amount of location information to be recorded is lost all at once, thereby increasing the degree of damage due to data loss.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위치인식 기반 멀티미디어 기록 방법에서는 비정상종료로 인하여 지리적 위치정보 또는 미디어 위치정보 등 데이터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에, 데이터 오류를 치유하고 데이터를 복구하도록 하고 있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n the location-based multimedia recording method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event of an error in the data, such as geographic location information or media location information due to abnormal termination, to heal the data error and recover the data Doing.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위치인식 기반 멀티미디어 기록 방법의 일례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location recognition based multimedia recording method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위치인식 기반 멀티미디어 기록 방법은 비정상종료 여부 판단단계(S200), 애플리케이션 재기동 단계(S210) 및 데이터 복구단계(S220)를 포함하여 이루이진다. As shown in FIG. 3, the location-based multimedia recording method includes an abnormal termination determination step (S200), an application restarting step (S210), and a data recovery step (S220).

비정상종료 여부 판단단계(S200)에서는, 멀티미디어 기록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실행되는 모바일 기기 등 기기가 비정상종료되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In the abnormal termination determination step (S200),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abnormal termination of the device, such as a mobile device that is installed and executed multimedia recording application.

비정상종료 상황이 발생하면, 데이터 입력에 오류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비정상종료 시각 이후로 데이터가 더 이상 입력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특성을 반영하는 사항에 의거하여 기기의 비정상종료 여부에 관한 판단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When abnormal termination occurs, not only an error occurs in the data input, but also the data is no longer input after the abnormal termination tim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make a judgment as to whether or not abnormal termination of the device based on the matter reflecting these characteristics.

애플리케이션 재기동 단계(S210)에서는, 비정상종료 여부 판단단계(S200)에서 기기가 비정상종료된 경우에 비정상종료 직전에 실행된 멀티미디어 기록 애플리케이션을 재기동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기능은 사용자로부터의 재기동 요청신호 입력 또는 미리 설정된 규칙에 따라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In the application restarting step S210, when the device is abnormally terminated in the abnormal termination determination step S200, the multimedia recording application executed immediately before the abnormal termination is restarted. Such a function may be performed according to a restart request signal input from a user or a preset rule.

애플리케이션 재기동이 이루어지면, 비정상종료 직전에 마지막으로 입력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단위가 로딩됨으로써, 해당 데이터 단위의 오류 여부가 분석되도록 할 수 있다. When the application restarts, at least one data unit inputted immediately before the abnormal termination is loaded, so that an error of the data unit may be analyzed.

데이터 복구단계(S220)에서는 멀티미디어 기록 애플리케이션의 비정상종료시 기록된 데이터 상의 오류를 치유하고 데이터를 복구하는 기능이 수행된다. In the data recovery step (S220), a function of healing an error on the recorded data and restoring the data upon abnormal termination of the multimedia recording application is performed.

이 때, 비정상종료시 기록된 데이터 단위는 정상동작시의 데이터 기록 패턴과 데이터 단위별로 비교될 수 있다. 또한, 이를 위하여 정상동작시의 데이터 기록 패턴이 필요한데, 이러한 정상동작시의 데이터 기록 패턴은 위에서 언급한 패턴 저장부로부터 불러와 이용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data unit recorded at abnormal termination may be compared with the data recording pattern during normal operation for each data unit. Further, for this purpose, a data recording pattern in normal operation is required, and this data recording pattern in normal operation can be loaded and used from the pattern storage unit mentioned above.

데이터의 복구가 완료되면, 사용자로부터의 요청신호 또는 미리 설정된 규칙에 따라 비정상종료 직전에 수행되던 내용에 따라 지리적 위치정보와 미디어 위치정보를 연동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연속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는 이에 대한 대안으로서 해당 기기의 위치에서의 지리적 위치정보에 미디어 위치정보를 연동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재기록하는 것도 가능하다.When the data recovery is completed, the multimedia data may be continuously stored in association with the geographic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media lo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 request signal from the user or a content performed immediately before the abnormal termination according to a preset rule. Alternatively, the multimedia data may be rewritten by interworking the media location information with the geographical location information of the location of the device.

도 4는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에 따른 위치인식 기반 멀티미디어 기록 방법의 일례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location-aware multimedia recording method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의 실시예를 통해서는 실시간 기록과 데이터 복구의 과정이 함께 수행되는 경우를 설명하기로 한다. 4, a case in which real-time recording and data recovery are performed together will be described.

도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애플리케이션이 시작되면(S300), 사용자의 요청신호에 따라 또는 미리 설정된 규칙에 따라 데이터 기록 시작이 요청된다(S310). 이에 따라 지리적 위치정보 데이터, 미디어 위치정보 데이터 및 해당 시각에서의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시각을 기준으로 상호 연동되어 실시간 기록된다(S320). As shown in FIG. 4, when the application is started (S300), data recording starts to be requested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signal or according to a preset rule (S310). Accordingly, the geographic location information data, the media location information data, and the multimedia data at the corresponding time are recorded in real time by interlocking with each other based on the time (S320).

이후, 실시간 기록작업이 수행되는 도중에 비정상종료상황이 발생하게 되면(S330), 비정상종료시각 이후로 더 이상의 데이터 입력은 중지된다(S340).Thereafter, when an abnormal termination situation occurs while the real-time recording operation is performed (S330), further data input is stopped after the abnormal termination time (S340).

이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의 재기동이 수행된다((S350). 애플리케이션의 재기동 후, 비정상종료 직전의 마지막 데이터베이스 필드값이 로딩된다(S360). 또한, 이 때에 패턴 저장부로부터 정상동작시의 데이터 저장패턴에 관한 정보가 함께 로딩된다.Accordingly, the application is restarted (S350). After the application is restarted, the last database field value immediately before the abnormal termination is loaded (S360). At this time, the pattern storage unit relates to the data storage pattern during normal operation. Information is loaded together.

이 마지막 데이터베이스 필드값은 정상동작시의 데이터 저장패턴과 비교가 된다(S370). This last database field value is compared with the data storage pattern in normal operation (S370).

비교 결과에 따라 패턴이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마지막 데이터 단위가 오류 없이 저장된 데이터 단위라고 판단된 후, 데이터 복구 작업이 종료된다(S372). 이후, 데이터 기록을 계속하여 수행할 수도 있고, 그 밖의 작업을 수행할 수도 있는 상태가 된다.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patterns match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it is determined that the last data unit is a stored data unit without error, and then the data recovery operation is terminated (S372). Thereafter, data recording can be continued or other operations can be performed.

비교 결과에 따라 패턴이 불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마지막 데이터 단위에 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어, 추가적인 데이터 복구 작업이 수행된다(S374). 이러한 추가적인 데이터 복구 작업의 완료 후에는 다시 데이터 기록을 계속하여 수행할 수도 있고, 그 밖의 작업을 수행할 수도 있게 된다.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pattern is inconsistent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it is determined that an error has occurred in the last data unit, and an additional data recovery operation is performed (S374). After completion of this additional data recovery operation, data recording may be continued again or other operations may be performed.

한편, 사용자가 기록하고자 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음성과 영상이 합쳐진 동영상일 수도 있고, 청각적 데이터만을 포함하는 것일 수도, 시각적인 데이터만을 포함하는 것일 수도 있다. 따라서, 실시간 데이터베이스에 데이터가 입력되는 때에는 사용자의 미디어 기록 요청신호에 따라 기록될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성격을 파악하는 단계가 더 수행될 수 있다(S380). Meanwhile, the multimedia data to be recorded by the user may be a moving picture and a video combined with audio, may include only audio data, or may include only visual data. Therefore, when data is input to the real-time database, the step of determining the nature of the multimedia data to be recorded according to the user's media recording request signal may be further performed (S380).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성격이 파악되면(S382), 해당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성격에 적합한 방식으로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기록되고(S384), 해당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해당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관한 미디어 위치정보 및 지리적 위치정보가 연동되어 기록 및 저장된다(S386).
When the nature of the multimedia data is identified (S382), the multimedia data is recorded in a manner suitable for the nature of the multimedia data (S384), and the media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geographical location information about the multimedia data are linked and recorded. It is stored (S386).

Claims (10)

현재의 지리적 위치에 대응하는 지리적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위치정보 생성부와,
상기 지리적 위치정보가 소정의 기록영역에 기록시각 정보와 함께 기록되는 지리적 위치정보 저장부와,
상기 지리적 위치정보의 상기 기록시각 정보에 대응되는, 실행중인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미디어 위치정보가 기록되는 미디어 위치정보 저장부, 및
멀티미디어 기록 애플리케이션의 비정상종료 여부를 판단하는 비정상종료 여부 판단부를 포함하는 위치 인식 기반 멀티미디어 기록 장치.
A location information generator for generating geographic lo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geographic location;
A geographical loca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for recording the geographical location information together with recording time information in a predetermined recording area;
A media loca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for recording media location information of multimedia content being executed corresponding to the recording time information of the geographical location information;
Location recognition-based multimedia recording device including an abnormal termination whether or not determining whether the abnormal termination of the multimedia recording application.
제1항에 있어서,
비정상종료된 경우, 비정상종료 직전에 실행된 멀티미디어 기록 애플리케이션을 재기동하는 애플리케이션 재기동부를 더 포함하는 위치 인식 기반 멀티미디어 기록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if abnormally terminated, further comprising an application restarting unit for restarting the multimedia recording application executed immediately before the abnormal termination.
제2항에 있어서,
비정상종료된 경우, 지리적 위치정보 및 미디어 위치정보의 데이터를 복구하는 데이터 복구부를 더 포함하는 위치인식 기반 멀티미디어 기록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And a data recovery unit for recovering data of the geographical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media location information when abnormally terminate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복구부는 비정상종료시 기록된 상기 데이터를 정상동작시의 데이터 기록 패턴과 소정의 데이터 단위별로 비교하여 상기 데이터 단위가 복구 대상인지 여부를 판단한 후, 복구 대상인 데이터의 복구를 수행하는 위치인식 기반 멀티미디어 기록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data recovery unit compares the data recorded at abnormal termination with a data recording pattern in a normal operation for each predetermined data unit to determine whether the data unit is a recovery target, and then performs recovery of the data to be restored. Recording devic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정상동작시의 데이터 기록 패턴을 저장하는 패턴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위치인식 기반 멀티미디어 기록 장치.The location-based multimedia recording apparatus of claim 4, further comprising a pattern storage unit configured to store a data recording pattern in the normal operation. 위치인식 기반 멀티미디어 기록 방법으로서,
기기의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지리적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위치정보 생성단계와,
상기 지리적 위치정보를 주기적으로 상기 기기의 소정의 기록영역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기록영역에는 상기 지리적 위치정보가 기록되는 시각에 대응되는, 실행중인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미디어 위치정보가 함께 기록되며,
상기 미디어 위치정보는,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타임라인 중의 상기 시각에 대응되는 데이터 단위의 정보인 위치인식 기반 멀티미디어 기록 방법.
Location-based multimedia recording method,
Generating lo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location of the device;
Periodically recording the geographic location information in a predetermined recording area of the device;
In the recording area, the media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ultimedia content being executed corresponding to the time at which the geographical location information is recorded is recorded together.
And the media position information is information of a data unit corresponding to the time in the timeline of the multimedia content.
위치인식 기반 멀티미디어 기록 방법으로서,
멀티미디어 기록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기기의 비정상종료 여부를 판단하는 비정상종료 여부 판단단계와,
상기 기기가 비정상종료된 경우, 비정상종료 직전에 실행된 멀티미디어 기록 애플리케이션을 재기동하는 애플리케이션 재기동 단계와,
상기 멀티미디어 기록 애플리케이션의 상기 비정상종료시 기록된 데이터를 복구하는 데이터 복구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 복구단계에서는 상기 비정상종료시 기록된 데이터를 정상동작시의 데이터 기록 패턴과 소정의 데이터 단위별로 비교하여 상기 데이터 단위가 복구 대상인지 여부를 판단한 후, 복구 대상인 데이터의 복구를 수행하는 위치인식 기반 멀티미디어 기록 방법.
Location-based multimedia recording method,
Abnormal termination determination step of determining whether abnormal termination of the device running the multimedia recording application;
An application restarting step of restarting the multimedia recording application executed immediately before the abnormal termination when the device is abnormally terminated;
And a data recovery step for recovering the recorded data at the abnormal termination of the multimedia recording application.
In the data recovery step, the data recorded at the end of abnormality is compared with a data recording pattern in a normal operation for each predetermined data unit to determine whether the data unit is a recovery target, and then based on the position recognition to recover the data to be restored. Multimedia recording method.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10035925A 2011-04-19 2011-04-19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location based multimedia data KR10127208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5925A KR101272087B1 (en) 2011-04-19 2011-04-19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location based multimedia dat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5925A KR101272087B1 (en) 2011-04-19 2011-04-19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location based multimedia data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8519A KR20120118519A (en) 2012-10-29
KR101272087B1 true KR101272087B1 (en) 2013-06-07

Family

ID=47285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5925A KR101272087B1 (en) 2011-04-19 2011-04-19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location based multimedia data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2087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0766A (en) * 2004-08-30 2006-05-19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Recording method for splicing and apparatus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KR20070018436A (en) * 2005-08-10 2007-0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controlling play of optical disc
KR20070070578A (en) * 2005-12-29 2007-07-04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Method of detecting the obstacle of a driving program in an at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0766A (en) * 2004-08-30 2006-05-19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Recording method for splicing and apparatus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KR20070018436A (en) * 2005-08-10 2007-0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controlling play of optical disc
KR20070070578A (en) * 2005-12-29 2007-07-04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Method of detecting the obstacle of a driving program in an at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8519A (en) 2012-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1241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computing systems utilizing augmented reality
KR20180105675A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synchronizing data
US20230041089A1 (en) State management methods, methods for switching between master application server and backup application server, and electronic devices
CN105094903A (en) Method and device for upgrading firmware
CN105117246A (en) Method for rapidly booting electronic equipment
US8219767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data recovering method
CN107817950B (en) Data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CN102411523A (en) Method and device for storing file backups and backup method for file systems
WO2019140739A1 (en) Method for determining return visits to client, and electronic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CN112579820B (en) Time hopping video data processing method, device, medium and electronic equipment
CN104049999A (en) Automatic storage device repair system based on network and method thereof
CN105550071A (en) System file upgrading and detecting method and communication device
KR10127208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location based multimedia data
CN112000623A (en) Metadata access method and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KR10227466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updating software of AVN system in vehicle
CN111130856A (en) Server configuration method, system, equipment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JP2008104251A (en) Power supply failure detection method
CN110018986B (en) Abnormal snapshot identification method and device
CN110968456A (en) Method and device for processing fault disk in distributed storage system
CN103150222A (en) Method and device for restoring embedded system from abnormal state
CN109426589B (en) File repair method and device
CN101997665B (en) Timer synchronization method and device of different device
CN111913918A (en) File storage method and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CN109308778A (en) Mobile detection alarm method, device, acquisition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CN112905218B (en) Firmware upgrading method, device and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