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1500B1 - Method and touch screen device for implementing character inputting interface using skin type interface - Google Patents

Method and touch screen device for implementing character inputting interface using skin type interfa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1500B1
KR101271500B1 KR1020110145463A KR20110145463A KR101271500B1 KR 101271500 B1 KR101271500 B1 KR 101271500B1 KR 1020110145463 A KR1020110145463 A KR 1020110145463A KR 20110145463 A KR20110145463 A KR 20110145463A KR 101271500 B1 KR101271500 B1 KR 1012715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face screen
character
screen
skin type
type inte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546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권태경
나사랑
Original Assignee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1454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150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15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150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2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cursor appearance or behaviour, e.g. being affected by the presence of displayed obj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4Connections between sensors and controllers, e.g. routing lines between electrodes and connection 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3Split screen, i.e. subdividing the display area or the window area into separate subare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8Several contacts: gestures triggering a specific function, e.g. scrolling, zooming, right-click, when the user establishes several contacts with the surface simultaneously; e.g. using several fingers or a combination of fingers and p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PURPOSE: A method for implementing a character input interface by using a skin type interface and a touch screen device therefor are provided to ease manipulation by inputting a character key by using a dragging motion after touching the touch screen. CONSTITUTION: A display unit(130) a basic interface screen of a touch screen with a mobile skin type interface screen. An input sensing unit(110) senses a touch and dragging to generate a screen motion input value according to the touch and the dragging. A skin interface control unit(120) moves the skin type interface screen based on the screen motion input value. When an area of a pointer object placed on the basic interface screen is overlapped with the character key placed on the skin type interface screen basic interface screen, a selection character input unit(140) selects and inputs the character key. [Reference numerals] (100) Touch screen device; (110) Input sensing unit; (120) Skin interface control unit; (130) Display unit; (140) Selection character input unit

Description

스킨형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문자 입력 인터페이스 구현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터치스크린 기기{METHOD AND TOUCH SCREEN DEVICE FOR IMPLEMENTING CHARACTER INPUTTING INTERFACE USING SKIN TYPE INTERFACE}Character input interface using skin type interface and touch screen device implementing the same {METHOD AND TOUCH SCREEN DEVICE FOR IMPLEMENTING CHARACTER INPUTTING INTERFACE USING SKIN TYPE INTERFACE}

본 발명은 스킨형(skin-type)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문자 입력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터치스크린 기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implementing a text input interface using a skin-type interface and a touch screen device implementing the same.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ATM 기기 등 터치스크린을 이용하는 기기의 보급이 증가함에 따라, 일상 생활 속에서 터치스크린 상에서 문자를 입력해야 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다. 이러한, 터치스크린은 스크린에 나타난 키보드 혹은 키패드에 직접 터치하여 한글, 영문, 숫자, 특수기호 등의 문자를 입력 받아 목적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게 된다. As the spread of devices using a touch screen, such as a smartphone, a tablet computer, an ATM device, and the like, it is frequently required to input characters on the touch screen in daily life. Such a touch screen is directly touched on a keyboard or keypad displayed on the screen to receive characters such as Korean, English, numbers, and special symbols to perform processing according to the purpose.

일반적으로, 스마트폰 등의 터치스크린 기기의 예에서 살펴볼 때, 터치스크린 상의 키보드는 문자 입력이 필요한 경우에 출력되며, 통상적으로 스크린 하단에 배치되어 스크린의 절반 정도의 면적을 차지하고 있다. 이때, 사용자는 스크린 내의 키보드를 직접 터치함으로 해당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In general, when looking at an example of a touch screen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the keyboard on the touch screen is output when character input is required, and is generally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screen to occupy about half the area of the screen. In this case, the user may directly input the corresponding character by directly touching the keyboard in the screen.

그런데, 터치스크린상에 디스플레이 되는 키보드는 다른 실제 키보드와 달리, 터치스크린의 크기에 따라 제한된 크기를 가질 뿐만 아니라, 평면상에서 구현되어야 하는 특성상 터치 입력의 한계로 인하여 서로 다른 문자 키를 손가락의 감각으로 구분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However, the keyboard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has a limited siz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touch screen, unlike other real keyboards, and due to the limitation of touch input due to the characteristics that must be implemented on a flat surface, different character keys may be used for the sense of a finger. There is a problem that cannot be distinguished.

특히, 스마트폰과 같은 소형 모바일 기기의 경우, 한 손가락 또는 두 손가락만으로 작은 문자 키를 접촉하여 입력하게 되므로, 입력 실수가 더욱 많이 발생되고 입력 속도가 저하되는 불편함이 크게 발생되고 있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small mobile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since a small letter key is touched and input with only one finger or two fingers, a large number of input mistakes are generated and inconvenience of lowering an input speed is greatly generated.

이처럼, 터치스크린 기기의 입력 인터페이스 구현 상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대한민국등록특허 1021757호에서는 터치스크린의 화면 상에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곡선 형태의 슬라이드 바를 표시하고 슬라이드 바를 따라 드래그(drag)가 이루어진 경우 그에 상응하는 제어를 수행하는 터치스크린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를 제안하고 있다.As such, in order to overcome limitations in implementing an input interface of a touch screen device, Korean Patent No. 1021757 shows a curved slide bar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on a screen of a touch screen, and a drag is made along the slide bar. A touch screen interface control device for performing a corresponding control is proposed.

그런데, 상기의 터치스크린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는, 상기 슬라이드 바를 드래그함에 따라 음향 관련 제어 또는 멀티미디어 파일의 재생 관련 제어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것으로서, 활용 범위가 제한적이어서 문자 입력 시에는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However, the touch screen interface control device performs at least one of a sound-related control or a playback-related control operation of a multimedia file as the slide bar is dragged, and the range of utilization of the touch screen interface control device does not solve a problem when inputting a text. .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터치스크린 기기의 문자 입력 인터페이스를 구현함에 있어서, 확장된 인터페이스 화면 활용도를 갖는 스킨형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문자 입력 인터페이스 구현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터치스크린 기기를 제공하고자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haracter input interface implementation method using a skin-type interface having an extended interface screen utilization in implementing the character input interface of the touch screen device, and a touch screen device implementing the same.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스킨형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문자 입력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터치스크린 기기는, 터치스크린의 고정된 기본 인터페이스 화면 상에 이동 가능한 스킨형 인터페이스 화면을 겹쳐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발생되는 접촉 및 드래깅(dragging)을 감지하여 상기 접촉 및 드래깅에 따른 화면 동작 입력 값을 생성하는 입력 감지부; 상기 화면 동작 입력 값에 기초하여 상기 스킨형 인터페이스 화면이 상기 드래깅의 방향 및 거리에 따라 이동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이동에 따라 상기 스킨형 인터페이스 화면 및 상기 기본 인터페이스 화면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된 포인터 객체의 영역과 상기 포인터 객체가 배치되지 않은 나머지 하나의 인터페이스 화면 상에 배치된 복수의 문자 키(character key) 중 어느 하나의 영역 간에 겹침이 발생되는지 판단하는 스킨형 인터페이스 제어부; 및 상기 겹침이 발생된 경우 상기 겹침에 대응하는 문자 키를 선택하여 입력을 발생시키는 선택 문자 입력부를 포함한다.As a technical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 a touch screen device for implementing a character input interface using a skin type interfac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kin type interface that is movable on a fixed basic interface screen of the touch screen A display unit for overlapping and outputting a screen; An input detector configured to detect a touch and dragging generated on the touch screen and generate a screen motion input value according to the touch and dragging; The skin type interface screen is controlled to move according to the direction and distance of the dragging based on the screen operation input value, and the pointer object disposed on any one of the skin type interface screen and the basic interface screen according to the movement. A skin type interface controller which determines whether an overlap occurs between an area and a region of a plurality of character keys disposed on the other interface screen on which the pointer object is not disposed; And a selection character input unit for generating an input by selecting a character key corresponding to the overlap when the overlap occurs.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스킨형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문자 입력 인터페이스 구현 방법은, 터치스크린 상에 고정된 기본 인터페이스 화면과 이동 가능한 스킨형 인터페이스 화면을 겹쳐서 출력하는 단계; 터치스크린 상에 발생되는 접촉 및 드래깅(dragging)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드래깅의 방향 및 거리에 따라 상기 스킨형 인터페이스 화면을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기본 인터페이스 화면 및 상기 스킨형 인터페이스 화면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포인터 객체의 영역과, 상기 포인터 객체가 배치되지 않은 나머지 하나의 인터페이스 화면 상에 배치된 복수의 문자 키(character key) 중 어느 하나의 영역 간에 겹침이 발생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겹침이 발생되는 경우 상기 발생된 겹침에 대응하는 문자 키를 선택하여 입력을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method for implementing a character input interface using a skin type interfac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outputting a superimposed basic interface screen and a movable skin type interface screen on a touch screen; Detecting contact and dragging generated on the touch screen; Moving the skin type interface screen according to the direction and distance of the dragging; An area of at least one pointer object disposed on any one of the basic interface screen and the skin type interface screen, and a plurality of character keys disposed on the other interface screen on which the pointer object is not disposed Determining whether an overlap occurs between any one region; And generating an input by selecting a character key corresponding to the generated overlap when the overlap occurs.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터치스크린의 전체 혹은 대부분의 면적(즉, 스킨형 인터페이스 화면)에 대해 접촉한 후 드래그 동작 만으로 문자 키(character key)를 입력할 수 있어 조작이 편리하다.According to any one of the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 character key can be input only by dragging after touching the entire or most of the area of the touch screen (that is, the skin type interface screen). This is convenient.

그리고,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 키를 직접 터치하지 않고 터치스크린 화면의 임의 영역에 접촉한 후 드래그하여 해당 문자를 입력할 수 있어 문자 키를 잘못 누르는 실수를 크게 줄일 수 있다.And, according to any one of the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touch the arbitrary area of the touch screen screen without touching the character key to input directly, and then drag to input the corresponding character, thereby making a mistake of wrongly pressing the character key. Can be greatly reduced.

또한, 터치스크린 상에 문자 키 자판 및 문자 키를 선택하기 위한 포인터 객체를 복수개 배치함으로써 드래깅 거리를 최소화하여 입력의 속도와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by placing a plurality of pointer keys for selecting a character key keyboard and a character key on the touch screen, the dragging distance may be minimized to increase the speed and convenience of the inpu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킨형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문자 입력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터치스크린 기기의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일례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킨형 인터페이스 화면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일례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키 자판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특수 버튼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킨형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문자 키 입력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일례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킨형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문자 키 입력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일례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킨형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문자 입력 인터페이스 구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touch screen device implementing a text input interface using a skin type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ample for describing a touch screen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ample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 skin-type interface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are views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the character key key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special butt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ample for describing a character key input process using a skin type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xample for explaining a character key input process using a skin type interfa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implementing a character input interface using a skin type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it can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withou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킨형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문자 입력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터치스크린 기기의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touch screen device implementing a text input interface using a skin type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터치스크린 기기(100)가 휴대용 통신 기기(예를 들어, 스마트폰)인 것을 예로서 설명하도록 한다. At this tim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that the touch screen device 100 is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for example, a smart phone).

참고로, 도 1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킨형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문자 입력 인터페이스를 구현하기 위한 구성들을 도시하였으나, 터치스크린 기기(100)의 종류에 따라 이 외에도 다른 처리부(미도시)들이 더 포함될 수 있다.For reference, FIG. 1 illustrates a configuration for implementing a character input interface using a skin type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other processing units (not shown) may be added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touch screen device 100. It may be further includ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기기(100)는 휴대용 통신 기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닌 다양한 종류의 기기일 수 있으며, 각 기기의 종류 및 목적에 따라 상이한 처리부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스크린 기기(100)가 은행에서 사용되는 ATM 기기일 경우, 은행 전산과 연결되는 통신 모듈, 각 계좌에 대한 은행 전산 업무를 수행하는 전산 처리부 및 사용자가 은행 업무를 처리하기 위하여 정보를 입력 받거나 은행 업무 처리 결과를 출력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 등 복수의 처리부들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ouch screen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various types of devices, not limited to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nd may further include different processing units according to the type and purpose of each device. For example, when the touch screen device 100 is an ATM device used in a bank, a communication module connected to a bank computer, a computer processing unit that performs banking operation for each account, and a user may process information for processing a banking service. It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processing units, such as a user interface module for receiving input or output the banking business processing results.

도 1에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기기(100)는 입력 감지부(110), 스킨형 인터페이스 제어부(120), 디스플레이부(130), 및 선택 문자 입력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 1, the touch screen device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input sensing unit 110, a skin type interface control unit 120, a display unit 130, and a selection character input unit 140. It is configured to include).

디스플레이부(130)는 기본 인터페이스 화면 및 스킨형 인터페이스 화면을 터치스크린 기기(100)의 화면 상에 출력한다.The display unit 130 outputs a basic interface screen and a skin type interface screen on the screen of the touch screen device 100.

이때, 디스플레이부(130)는 스킨형 인터페이스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 스킨형 인터페이스 화면을 이동시키거나 터치스크린 기기(100)에서 발생된 데이터 처리에 따른 화면을 출력한다.At this time, the display unit 130 moves the skin type interface screen or outputs a screen according to data processing generated by the touch screen device 100 under the control of the skin type interface controller 120.

이하,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디스플레이부(130)를 통해 터치스크린 기기(100)의 터치스크린 상에 출력되는 기본 인터페이스 화면 및 스킨형 인터페이스 화면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basic interface screen and the skin type interface screen output on the touch screen of the touch screen device 100 through the display unit 13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to 6.

터치스크린 기기(100)의 화면 상에 출력되는 기본 인터페이스 화면 및 스킨형 인터페이스 화면은 하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현될 수 있다.The basic interface screen and the skin type interface screen output on the screen of the touch screen device 100 may be implemented as shown in FIG. 2.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일례이다.2 is an example for describing a touch screen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기기(100) 상에, 고정된 기본 인터페이스 화면(P210) 및 이동 가능한 스킨형 인터페이스 화면(P220)이 겹쳐져서 터치스크린 화면에 출력된다. 참고로, 도 2 에서와 같이 기본 인터페이스 화면(P210)이 비칠 수 있도록 스킨형 인터페이스 화면(P220)의 투명도가 설정될 수 있다.In detail, as shown in FIG. 2, the fixed basic interface screen P210 and the movable skin type interface screen P220 are overlapped and touched on the touch screen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utput to the screen screen. For reference, as illustrated in FIG. 2, the transparency of the skin type interface screen P220 may be set so that the basic interface screen P210 may be reflected.

이때, 도 2에서는 기본 인터페이스 화면(P210) 상에, 입력된 문자가 출력되는 문자 입력창(P211) 및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복수의 문자 객체(이하, ‘문자 키’라고 함)(P212, P213)가 구성된 것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도 2에서는 스킨형 인터페이스 화면(P220)에 상기 문자 키(P212, P213)들을 선택할 수 있는 두 개의 포인터 객체(P221, P222)가 스킨형 인터페이스 화면(P220) 및 기본 인터페이스 화면(P210)의 중심으로부터 기설정된 배열 거리만큼 이격되어 구성된 것을 나타내었다. In this case, in FIG. 2, a text input window P211 through which inputted characters are output on the basic interface screen P210 and a plurality of text objects that can be selected by the us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character keys') (P212 and P213). ) Is shown. In addition, in FIG. 2, two pointer objects P221 and P222 for selecting the character keys P212 and P213 may be selected from the skin type interface screen P220 of the skin type interface screen P220 and the basic interface screen P210. It was shown to be configured spaced apart from the center by a predetermined arrangement distance.

또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본 인터페이스 화면(P210) 상에 구성된 복수의 문자 키(P212, P213)들은 자판 형태로 배열되며, 상기 자판은 적어도 하나의 문자 키 그룹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두 개의 문자 키 그룹(즉, 자판 형태)이 기본 인터페이스 화면 상에 상부(P212) 및 하부(P213)에 각각 나뉘어 위치한 것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문자 키 자판의 배열 위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복수의 문자 키 그룹이 서로 대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처럼, 문자 키 자판을 복수의 그룹으로 분류하여 서로 이격된 위치에 배열하고, 복수의 포인터 객체(P221, P222)를 이격하여 배치함으로써, 포인터 객체(P221, P222)와 문자 키(P212, 213) 간의 드래깅 거리가 좁혀지고 일정해질 수 있다. 즉, 스킨형 인터페이스 화면(P220)을 이동시켜 문자 키를 선택하기 위해 효율적인 드래깅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2, the plurality of character keys P212 and P213 configured on the basic interface screen P210 may be arranged in the form of a keyboard, and the keyboard may include at least one letter key group. In FIG. 2, two letter key groups (ie, keyboard shapes) are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portions P212 and P213 on the basic interface screen, respectively. The arrangement position of the character key keyboard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plurality of character key groups may b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In this way, the character key keyboard is classified into a plurality of groups and arranged at posi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pointer objects P221 and P222 and the character keys P212 and 213 are arranged by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dragging distance of the liver can be narrowed and become constant. That is, efficient dragging may be performed to move the skin type interface screen P220 to select a character key.

또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킨형 인터페이스 화면(P220) 상에는 적어도 하나의 특수 키 버튼(P223)이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도 2에서는 스킨형 인터페이스 화면(P220) 상에 특수 문자 변환 버튼, 문자 속성 변환 버튼, 쉬프트 키 버튼, 백스페이스 키 버튼, 스페이스 키 버튼 및 엔터 키 버튼이 구성된 것을 나타내었다. In addition, as illustrated in FIG. 2, at least one special key button P223 may be configured on the skin type interface screen P220. In this case, FIG. 2 shows that a special character conversion button, a character attribute conversion button, a shift key button, a backspace key button, a space key button, and an enter key button are configured on the skin type interface screen P220.

또한, 도 2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스킨형 인터페이스 화면(P220) 상에는 중심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중점 표시 객체(P224)가 구성될 수 있다. 중점 표시 객체(P224)는 스킨형 인터페이스 화면(P220)의 이동을 사용자가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여 드래깅이 편리하도록 한다. 또한, 중점 표시 객체(P224)는 스킨형 인터페이스 화면(P220)을 드래깅한 후 기본 위치로 복귀시킬 기준 영역이 된다. 이때, 중점 표시 객체(P224)는 최초 설정 시 기본 인터페이스 화면(P210) 및 스킨형 인터페이스 화면(P220)의 중심이 겹쳐지는 영역에 위치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2, the center display object P224 may be configured on the skin type interface screen P220 to identify the center. The midpoint display object P224 allows the user to easily recognize the movement of the skin type interface screen P220 so that dragging is convenient. In addition, the midpoint display object P224 becomes a reference area to return to the basic position after dragging the skin type interface screen P220. In this case, the midpoint display object P224 is positioned in an area where the centers of the basic interface screen P210 and the skin type interface screen P220 overlap with each other when initially set.

한편, 도 2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본 인터페이스 화면(P210)에 문자 키(P212, P213)들이 구성되고, 스킨형 인터페이스 화면(P220)에 상기 문자 키(P212, P213)들을 선택할 수 있는 포인터 객체(P221, P222)가 구성된 것을 나타내었다. Meanwhile, in FIG. 2, character keys P212 and P213 are configured on the basic interface screen P2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haracter keys P212 and P213 may be selected on the skin type interface screen P220. The pointer objects P221 and P222 may be configured.

그런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기기(100)에서는 상기 문자 키(P212, P213)와 포인터 객체(P221, P222)가 반대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기 도 3의 (b)에서와 같이 기본 인터페이스 화면(P210) 상에 포인터 객체(P221, P222)가 구성되고, 스킨형 인터페이스 화면(P220) 상에 문자 키(P212, P213)가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However, in the touch screen device 100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letter keys P212 and P213 and the pointer objects P221 and P222 may be configured in reverse. Specifically, as shown in (b) of FIG. 3, pointer objects P221 and P222 are configured on the basic interface screen P210, and text keys P212 and P213 are configured on the skin type interface screen P220. It is also possibl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킨형 인터페이스 화면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일례이다.3 is an example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 skin-type interface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기기(100)의 터치스크린 상에는, 도 3 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문자 입력 창(P211) 및 문자 키 자판(P212, P213)이 구성된 기본 인터페이스 화면(P210)과, 복수의 포인터 객체(P221, P222), 복수의 특수 키 버튼(P223), 및 중점 표시 객체(P224)가 구성된 스킨형 인터페이스 화면(P220)이 출력될 수 있다.On the touch screen of the touch screen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3A, a basic interface including a text input window P211 and a letter key keyboard P212 and P213 is provided. The skin type interface screen P220 including the screen P210, the plurality of pointer objects P221 and P222, the plurality of special key buttons P223, and the midpoint display object P224 may be output.

또한, 터치스크린 기기(100)의 터치스크린 상에는, 도 3 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포인터 객체(P212-1, P213-1)가 구성된 기본 인터페이스 화면(P210)과, 문자 키 자판(P221-1, P222-1), 복수의 특수 키 버튼(P223), 및 중점 표시 객체(P224)가 구성된 스킨형 인터페이스 화면(P220)이 출력될 수 있다.In addition, on the touch screen of the touch screen device 100, as illustrated in FIG. 3B, a basic interface screen P210 including a plurality of pointer objects P212-1 and P213-1, and a text key The skin type interface screen P220 including the keyboards P221-1 and P222-1, the plurality of special key buttons P223, and the midpoint display object P224 may be output.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키 자판은 사용자의 문자 입력 속도를 증가시키고 조작이 편리하도록 다양한 종류의 형태로 설정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haracter key key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et in various types to increase the character input speed of the user and to facilitate the operation.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키 자판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4 and 5 are views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the character key key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및 도 5에서는 기본 인터페이스 화면 또는 스킨형 인터페이스 화면 상에 구성된 문자 키 자판과 포인터 객체가 다양한 형태로 배치되는 것을 나타내었다.4 and 5 illustrate that the character key keyboard and the pointer object configured on the basic interface screen or the skin type interface screen are arranged in various forms.

먼저, 도 4의 (a)에서와 같이, 두 개의 문자 키 자판(P251)이 각각 중점 표시 객체와 포인터 객체를 향해 곡선으로 배치된 것을 나타내었다. 이처럼, 문자 키 자판이 곡선으로 배치될 경우 문자 키 별로 포인터 객체와의 거리가 일정해질 수 있어 효율적인 드래깅이 가능하다.First, as shown in (a) of FIG. 4, two letter key keyboards P251 are respectively arranged in a curve toward the midpoint display object and the pointer object. As such, when the character key keyboard is arranged in a curve, the distance from the pointer object may be constant for each character key, thereby enabling efficient dragging.

또한, 도 4의 (b)에서와 같이, 두 개의 문자 키 자판이 세로형으로 터치스크린의 양 측면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문자 키 자판에 대한 선택 속도 및 화면 이동 편의성을 위하여 두 개의 포인터 객체는 세로 형 문자 키 자판에 가깝도록 가로형으로 배치되고, 특수 키 버튼은 중점 표시 객체를 중심으로 상부 및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b) of FIG. 4, two letter key keyboards may be vertically arranged on both sides of the touch screen. In this case, two pointer objects may be disposed horizontally to be close to the vertical character key keyboard, and special key buttons may be disposed above and below the center display object for the selection speed and convenience of screen movement for the character key keyboard. have.

또한, 도 5의 (a) 및 (b)에서는 문자 키 자판(P252)이 쿼티(qwerty) 형인 것을 나타내었다. 5 (a) and 5 (b) show that the character key keyboard P252 is a qwerty type.

쿼티 형 자판은 문자 키의 입력 속도를 증대시키기 위해 문자 키가 글자 또는 숫자 등의 원래 순서에 따라 배열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입력에 편리하도록 순서가 배열된 자판을 의미한다. 또한, 도 5의 (b)에서는 문자 키 자판(P253)에 다단 처리를 하여 문자 키들이 차등된 높이를 갖도록 배열된 것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사용자가 동일 문자 키 그룹 내에서도 문자 키 별로 포인터 객체와의 겹침을 용이하게 발생시킬 수 있다. 즉, 일반적인 키보드 사용에 익숙한 키보드의 키 배열을 고려한 쿼티(qwerty) 형 배열을 제공할 수 있다.QWERTY type keyboard means that the key is not arranged in the original order of letters or numbers to increase the input speed of the letter key, but is arranged in order to facilitate user input. In addition, in Fig. 5B, the character key keyboard P253 is subjected to multiple steps to show that the character keys are arranged to have a differential height. In this way, the user can easily generate overlapping with the pointer object for each character key even in the same character key group. That is, a qwerty array can be provided in consideration of the key arrangement of a keyboard familiar with general keyboard usage.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특수 버튼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6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special butt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킨형 인터페이스 화면(P220) 상에는 포인터 객체로부터 기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복수의 특수 키 버튼(P223)이 구성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6, a plurality of special key buttons P223 may be configur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pointer objec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on the skin type interface screen P220.

이때, 특수 문자 변환 버튼은 문자 키 자판을 숫자, 도형, 글자 등의 특수 문자로 변환하여 사용하기 위한 버튼이고, 문자 속성 변환 버튼은 글자로 선택된 문자 키 자판 상에 문자 속성(즉, 영어, 한문, 한글 등)을 변환하여 사용하기 위한 버튼이고, 쉬프트 키 버튼은 문자 키의 개수를 확장하여 사용하기 위하여 하나의 문자 키에 매칭된 둘 이상의 문자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버튼이고, 백스페이스 키 버튼은 입력된 문자를 지우기 위한 버튼이고, 스페이스 키 버튼은 문자 간의 간격을 띄우기 위한 버튼이며, 엔터 키 버튼은 입력된 문자들에 대한 제어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special character conversion button is a button for converting a character key keyboard into special characters such as numbers, figures, and characters, and the character property conversion button is a character attribute (ie, English, Chinese) on the character key keyboard selected as the character. , Hangul, etc.) button to convert and use, the shift key button is a button for selecting any one of two or more characters matched to one character key to expand the number of character keys, the backspace key The button is a button for erasing input characters, the space key button is a button for increasing a space between characters, and the enter key button may be a button for executing a control process on the input characters.

이처럼, 특수 키 버튼(P223)이 스킨형 인터페이스 화면(P220) 상에 구성되는 것은, 실제적으로 터치스크린 상에 발생되는 접촉은 스킨형 인터페이스 화면(P220) 상에서 발생되므로, 문자 키 자판을 제어하기 위한 특수 키 버튼(P223) 들의 조작은 스킨형 인터페이스 화면(P220) 상에서 가능해야 하기 때문이다.As such, the special key button P223 is configured on the skin-type interface screen P220, since the contact generated on the touch screen is actually generated on the skin-type interface screen P220, so that the special key button P223 may be used to control the character key keyboard. This is because the manipulation of the special key buttons P223 should be possible on the skin type interface screen P220.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스킨형 인터페이스 화면(P220) 상의 쉬프트 키 버튼(P223-1)에 접촉하여 쉬프트 키 버튼(P223-1)을 선택할 수 있다. 이때, 도 6에서와 같이, 선택된 쉬프트 키 버튼(P223-1)은 활성화 상태로 변화되어 출력될 수 있다. 참고로, 쉬프트 키 버튼(P223-1)을 누른 후 문자 키(P212, P213)자판이 변환되는 경우와 쉬프트 키 버튼(P223-1)을 누른 상태에서만 문자 키 (P212, P213)자판이 변환되는 경우로 나눌 수 있다.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 6, the user may contact the shift key button P223-1 on the skin type interface screen P220 to select the shift key button P223-1.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6, the selected shift key button P223-1 may be changed into an active state and output. For reference, when the character keys P212 and P213 are converted after pressing the shift key button P223-1, and the character keys P212 and P213 are converted only when the shift key buttons P223-1 are pressed. It can be divided into cases.

다시 도 1로 돌아가서, 입력 감지부(110)는, 터치스크린 상에 발생되는 접촉 및 드래깅(dragging)을 감지하여 상기 접촉 및 드래깅에 따른 화면 동작 입력 값을 생성하여 스킨형 인터페이스 제어부(120)로 전달한다. 실제적으로, 터치스크린 상에 발생되는 접촉 및 드래깅은 스킨형 인터페이스 화면(P220) 상에 발생되는 것이다.1, the input detector 110 detects contact and dragging generated on the touch screen to generate a screen operation input value according to the contact and dragging to the skin type interface controller 120. To pass. In practice, the contact and dragging generated on the touch screen are generated on the skinned interface screen P220.

스킨형 인터페이스 제어부(120)는, 상기 화면 동작 입력 값에 기초하여 스킨형 인터페이스 화면이 드래깅의 방향 및 거리에 따라 이동되도록 제어한다.The skin type interface controller 120 controls the skin type interface screen to be moved according to the direction and distance of dragging based on the screen operation input value.

그리고, 스킨형 인터페이스 제어부(120)는 상기 이동에 따라 스킨형 인터페이스 화면 또는 기본 인터페이스 화면 중 어느 하나의 인터페이스 화면 상에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포인터 객체의 영역과, 포인터 객체가 구성되지 않은 나머지 하나의 인터페이스 화면 상에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문자 키의 영역 간에 기설정된 기준 거리 이내로 겹침이 발생되는지 판단한다. 참고로, 문자 키의 영역은 실제 문자 키의 크기의 이상 또는 이하로 설정될 수 있다.The skin type interface controller 120 may further include an area of at least one pointer object configured on any one of the skin type interface screen or the basic interface screen according to the movement, and the other interface on which the pointer object is not configured. It is determined whether an overlap occurs within a predetermined reference distance between areas of at least one letter key configured on the screen. For reference, the area of the character key may be set above or below the size of the actual character key.

이때, 스킨형 인터페이스 제어부(120)는 상기 판단의 결과를 선택 문자 입력부(140)로 전달한다. 참고로, 상기 기준 거리는 각 문자 키의 중심을 기준으로 외부 방향으로 기설정된 거리 범위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skin type interface controller 120 transmits the result of the determination to the selection character input unit 140. For reference, the reference distance may be a distance range preset in the outward direction based on the center of each letter key.

또한, 스킨형 인터페이스 제어부(120)는 적어도 하나의 포인터 객체와 문자 키 간에 겹침이 발생된 후 기설정된 겹침 유지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다른 접촉 또는 드래깅이 발생되지 않거나 상기 기준 거리 내에 포인터 객체가 지속적으로 위치하는 경우 겹침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kin type interface controller 120 does not generate another contact or dragging or the pointer object within the reference distance until the preset overlapping retention time elapses after the overlap between the at least one pointer object and the character key is generated. If the location is consistent, it may be determined that overlap has occurred.

한편, 스킨형 인터페이스 제어부(120)는 상기 겹침이 발생된 상기 문자 키의 상태를 활성화 상태로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참고로, 활성화 상태에서는 문자 키의 상태가 상기 겹침이 발생되기 이전의 일반 상태와 식별 되도록 변경된다. Meanwhile, the skin type interface controller 120 may control to change the state of the text key in which the overlap occurs to an active state. For reference, in the activated state, the state of the character key is changed to be identified with the general state before the overlapping occurs.

또한, 스킨형 인터페이스 제어부(120)는 상기 할성화 대상 객체에 대한 선택 이후, 상기 스킨형 인터페이스 화면을 상기 드래깅 이전의 기설정된 기본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참고로, 기본 위치는 상기 중점 표시 객체가 기본 인터페이스 화면의 중심과 겹쳐지는 위치로 설정될 수 있다. 이처럼, 스킨형 인터페이스 화면이 문자 키의 입력 이후 다시 원위치로 복귀됨에 따라, 다음으로 입력할 문자 키를 선택하는 속도 및 조작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참고로, 스킨형 인터페이스 화면은 이동 궤도에 따른 이동 없이 곧바로 상기 원위치로 복귀하거나, 사전에 설정된 복귀 방향(즉, 이동 궤도)에 따라 이동하여 상기 원위치로 복귀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skin type interface controller 120 may return the skin type interface screen to a preset default position before the dragging after the selection of the active object. For reference, the basic position may be set to a position where the midpoint display object overlaps the center of the basic interface screen. As such, as the skin type interface screen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after the input of the character key, the speed and the operation of selecting the character key to be input next are convenient. For reference, the skin type interface screen may return to the home position immediately without moving according to the moving trajectory, or may move according to a preset return direction (that is, the moving trajectory) to return to the home position.

선택 문자 입력부(140)는 스킨형 인터페이스 제어부(120)로부터 수신된 판단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겹침에 대응하는 문자 키를 선택하여 입력을 발생시킨다.The selection character input unit 140 selects a character key corresponding to the overlap and generates an input based on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received from the skin type interface controller 120.

이때, 선택 문자 입력부(140)는 상기 겹침이 발생된 이후, 터치스크린 상의 접촉의 종료 및 드래깅의 멈춤 중 적어도 하나가 발생된 후 기설정된 동작 유지 시간이 경과되면 해당 문자 키를 선택하여 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그리고, 선택 문자 입력부(140)는 선택된 문자 키에 대응하는 문자가 기본 인터페이스 화면의 문자 입력 창을 통해 출력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로 문자 값을 전송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election character input unit 140 generates an input by selecting a corresponding character key when a preset operation holding time elapses after at least one of the termination of the contact on the touch screen and the stopping of dragging occurs after the overlap occurs. You can. The selected text input unit 140 may transmit a text value to the display 130 so that the text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text key is output through the text input window of the basic interface screen.

이하,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킨형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문자 키를 입력하는 방식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inputting a character key using a skin type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7 and 8.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킨형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문자 키 입력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일례이다.7 is an example for describing a character key input process using a skin type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 상에 기본 인터페이스 화면과 스킨형 인터페이스 화면이 겹쳐져 출력된 기본 상태에서, 도 7의 (b)에서와 같이, 화살표 방향(즉, Y축 상향)으로 스킨형 인터페이스 화면을 드래깅하면 2개의 포인터 객체 중 상부 포인터 객체가 문자 키 ‘g ‘와 겹쳐지게 되어 활성화 상태의 객체(P300)가 출력된다. 그리고, 활성화 상태에서 접촉이 종료되거나 드래깅이 종료되면, 도 7의 (c)에서와 같이 문자 입력 창(P211)에 문자 ‘g’가 입력된다.First, as shown in (a) of FIG. 7, in a basic state in which a basic interface screen and a skin type interface screen are overlapped and output on a touch screen, as shown in FIG. When the skin type interface screen is dragged, the upper pointer object of the two pointer objects overlaps with the letter key 'g', and the object P300 is activated. When the contact ends or the dragging ends in the activated state, the letter 'g' is input to the letter input window P211 as shown in FIG.

또한, 드래깅 또는 터치스크린 접촉이 종료되면 스킨형 인터페이스 화면이 화살표 방향(즉, Y축 하향)으로 원위치 되면서 문자 키 ‘g’와 겹침이 발생하였던 포인터 객체는 겹침이 해제된다. In addition, when the dragging or touching of the touch screen is terminated, the skinned interface screen is returned to the direction of the arrow (ie, the Y-axis downward), and the pointer object that has overlapped with the letter key 'g' is released.

이때, 도 7에서는 드래깅 또는 접촉이 종료되면 스킨형 인터페이스 화면이 원위치 되는 것을 나타내었으나, 사용자가 직접 스킨형 인터페이스 화면을 상기 화살표 방향(즉, y축 하향)으로 드래깅하여 다음 문자 키를 선택할 수 있도록 조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7에서 (c) 단계를 생략하고, (b) 단계에서 (d) 단계로 바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드래깅 또는 터치스크린의 접촉의 종료 후 스킨형 인터페이스 화면(P220)이 원위치로 복귀되기 이전에 다시 스킨형 인터페이스 화면(P220) 상에 접촉 및 드래깅을 수행할 수 있다.In this case, although the dragging or contacting is terminated in FIG. 7, the skin type interface screen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However, the user can directly drag the skin type interface screen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ie, down the y axis) to select the next character key. It is also possible to operate.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omit step (c) in FIG. 7 and to perform step (d) directly from step (b). That is, the contact and dragging may be performed on the skin type interface screen P220 again before the skin type interface screen P220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after the dragging or the touch screen is terminated.

또한, 도 7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위치로 복귀되어 있던 스킨형 인터페이스 화면을 다시 화살표 방향(즉, 우측 사선 상향)으로 드래깅하면, 2개의 포인터 객체 중 상부 포인터 객체가 문자 키 ‘h’와 겹쳐지게 되어 활성화 상태의 객체가 출력된다. 그리고, 활성화 상태에서 접촉 또는 드래깅이 종료되면, 도 7의 (e)와 같이 문자 입력 창(P211)에 문자 ‘h’가 입력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d) of FIG. 7, when the skin type interface screen, which has been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is dragged again in the direction of an arrow (that is, upward diagonally right), the upper pointer object of the two pointer objects is the letter key ' Overlapping with h ', the active object is displayed. When the contact or the dragging ends in the activated state, the letter 'h' is input to the letter input window P211 as shown in FIG.

또한, 드래깅 또는 터치스크린 접촉이 종료되면 스킨형 인터페이스 화면이 화살표 방향(즉, 좌측 사선 하향)으로 원위치 되면서 문자 키 ‘h’와 겹침이 발생하였던 포인터 객체는 겹침이 해제된다. 이때, 도 7에서 (c) 단계를 생략하고 (b) 단계에서 (d) 단계로 바로 수행되는 경우, 문자 키 ‘g’ 에 대한 겹침 발생 후 문자 키 ‘g’가 활성화 상태가 되고, 곧바로 드래깅이 발생되어 문자 키 ‘h’에 대한 겹침이 발생되어 문자 키 ‘h’가 활성화 상태가 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dragging or touching of the touch screen is terminated, the skinned interface screen is returned to the direction of the arrow (that is, downward diagonally left), and the pointer object that has overlapped with the letter key 'h' is released. In this case, when step (c) is omitted in FIG. 7 and is directly performed in step (d) to step (d), the character key 'g' becomes activated after the overlap of the letter key 'g' and is dragged immediately. Is generated and an overlap for the letter key 'h' is generated, and the letter key 'h' may be activated.

이와 같은 방식으로, 스킨형 인터페이스 화면을 드래깅하여 터치스크린 상부 및 하부에 배치되어 있던 문자 키 자판의 문자 키도 선택할 수 있다.In this manner, the character key of the character key keyboard disposed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touch screen may be selected by dragging the skin type interface screen.

한편, 도 7에서는 기본 인터페이스 화면 상에 문자 키 자판이 구성되어 문자 키의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스킨형 인터페이스 화면 상에 포인터 객체가 구성되는 것을 설명하였다. 즉, 도 7에서는 스킨형 인터페이스 화면의 이동에 따라 포인터 객체가 이동하며 문자 키와의 겹침이 발생된다.Meanwhile, FIG. 7 illustrates that the pointer object is configured on the skin type interface screen while the character key keyboard is configured on the basic interface screen and the position of the character key is fixed. That is, in FIG. 7, the pointer object moves with the movement of the skin type interface screen, and overlaps with the character keys.

그런데, 하기 도 8 에서와 같이, 기본 인터페이스 화면 상에 포인터 객체가 구성되어 포인터 객체가 고정된 상태에서, 스킨형 인터페이스 화면 상에 문자 키 자판이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도 8에 따르면, 스킨형 인터페이스 화면에 이동에 따라 문자 키 자판이 이동하며 포인터 객체 중 어느 하나와의 겹침이 발생된다.However, as shown in FIG. 8, in the state where the pointer object is configured on the basic interface screen and the pointer object is fixed, the character key keyboard may be configured on the skin type interface screen. At this time, according to FIG. 8, the character key keyboard moves as the skin-type interface screen moves, and overlaps with any one of the pointer objects.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킨형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문자 키 입력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일례이다.8 is an example for explaining a character key input process using a skin type interfa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8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 상에 기본 인터페이스 화면과 스킨형 인터페이스 화면이 겹쳐져 출력된 기본 상태에서, 도 8의 (b)에서와 같이, 화살표 방향(즉, Y축 하향)으로 스킨형 인터페이스 화면을 드래깅하면 2개 그룹의 문자 키 자판 중 상부 문자 키 자판 상의 문자 키 ‘g’와 포인터 객체 중 상부 포인터 객체가 겹쳐지게 되어 활성화 상태의 객체(P300)가 출력된다. 활성화 상태에서 접촉 또는 드래깅이 종료되면, 도 8의 (c)에서와 같이 문자 입력 창(P211)에 문자 ‘g’가 입력된다. First, as shown in (a) of FIG. 8, in a basic state in which the basic interface screen and the skin type interface screen are overlapped and output on the touch screen, as shown in FIG. When the skin type interface screen is dragged, the character key 'g' on the upper character key keyboard and the upper pointer object among the pointer objects are overlapped and the active object P300 is output. . When contact or dragging is terminated in the active state, the letter 'g' is input to the letter input window P211 as shown in FIG.

참고로, 스킨형 인터페이스 제어부(120)는 문자 키를 활성화 상태로 변환되도록 제어함에 있어서, 문자 키가 기본 인터페이스 화면 상에 구성된 경우 디스 플레이부(130)로 기본 인터페이스 화면 상의 문자 키를 활성화 상태로 변화시키는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스킨형 인터페이스 제어부(120)는 문자 키가 스킨형 인터페이스 화면 상에 구성된 경우 디스플레이부(130)로 스킨형 인터페이스 상의 문자 키를 활성화 상태로 변화시키는 제어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For reference, the skin type interface controller 120 controls the text key to be converted into an active state. When the text key is configured on the basic interface screen, the skin type interface controller 120 activates the text key on the basic interface screen to the activated state. A control command to change can be sent. In addition, when the text key is configured on the skin type interface screen, the skin type interface controller 120 may transmit a control command to the display 130 to change the text key on the skin type interface to an active state.

그리고, 드래깅 또는 터치스크린 접촉이 종료되면 스킨형 인터페이스 화면이 화살표 방향(즉, Y축 상향)으로 원위치 되면서 상부 포인터 객체 와 겹침이 발생하였던 문자 키 ‘g’는 겹침이 해제된다.When the dragging or touching of the touch screen is terminated, the skin-type interface screen is returned to the direction of the arrow (that is, the Y-axis upward), and the letter key 'g' that overlaps with the upper pointer object is released.

이하,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킨형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문자 입력 인터페이스 구현 방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implementing a character input interface using a skin type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9.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킨형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문자 입력 인터페이스 구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implementing a character input interface using a skin type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터치스크린 상에 문자 키 인터페이스 및 포인터 객체 인터페이스를 출력한다(S910). First, a character key interface and a pointer object interface are output on the touch screen (S910).

이때, 상기 문자 키 인터페이스 및 포인터 객체 인터페이스는, 터치스크린 상에 겹쳐서 출력된 기본 인터페이스 화면과 스킨형 인터페이스 화면에 구성되되, 서로 상이한 인터페이스 화면에 구성된다.In this case, the text key interface and the pointer object interface are configured on a basic interface screen and a skin type interface screen that are overlaid on the touch screen, and are configured on different interface screens.

그런 후, 터치 스크린 상에 발생된 접촉 및 드래그를 감지한다(S920).Then, the touch and drag generated on the touch screen is sensed (S920).

그리고, 감지된 접촉 및 드래그에 기초하여 상기 드래그 방향(및 거리)에 따라 스킨형 인터페이스를 이동시킨다(S930).In operation S930, the skin type interface is moved according to the drag direction (and distance) based on the detected contact and drag.

그런 후, 포인트 영역과 문자 키 영역 간의 겹침 발생을 검출한다(S940). Then, the occurrence of overlap between the point area and the character key area is detected (S940).

구체적으로, 스킨형 인터페이스 화면 또는 기본 인터페이스 화면 상에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포인터 객체의 영역과, 상기 포인터 객체가 구성되지 않은 나머지 하나의 인터페이스 화면 상에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문자 키 영역 간에 기설정된 기준 거리 이내로 겹침이 발생되는지 판단한다.Specifically, within a predetermined reference distance between an area of at least one pointer object configured on the skin type interface screen or the basic interface screen and at least one letter key area configured on the other interface screen on which the pointer object is not configured. Determine if overlap occurs.

이때, 상기 겹침이 발생된 문자 키의 상태를 활성화 대기 상태로 변경되도록 제어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때, 활성화 대기 상태에서는 상기 문자 키가 상기 겹침이 발생되기 이전의 일반 상태와 식별 되도록 해당 인터페이스 화면 상에서 변경된다.In this case, the state of the overlapped character key may be controlled to be changed to an activation standby state and output. At this time, in the activation standby state, the character key is changed on the corresponding interface screen to be identified with the general state before the overlap occurs.

그런 다음, 상기 겹침이 발생된 문자 키(즉, 겹침 발생 객체)를 입력 문자로 선택한다(S950).Then, the overlapping character key (that is, the overlapping object) is selected as the input character (S950).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겹침의 발생 이후, 상기 접촉의 종료 및 상기 드래깅의 멈춤 중 적어도 하나가 발생된 후 기설정된 동작 유지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선택을 수행할 수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selection may be performed after a preset operation holding time elapses after at least one of the termination of the contact and the stopping of the dragging occurs after the occurrence of the overlap.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킨형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현 시, 단계(S950) 이후에 스킨형 인터페이스 화면을 상기 드래깅 이전의 기본 위치로 복귀 시키는 단계를 더 수행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기본 위치는, 상기 스킨형 인터페이스 화면의 중심과 상기 기본 인터페이스 화면의 중심이 겹쳐지는 위치일 수 있다.In addition, when implementing the user interface using the skin-type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step S950, the step of returning the skin-type interface screen to the basic position before the dragging may be further performed. For reference, the basic position may be a position where the center of the skin type interface screen overlaps with the center of the basic interface screen.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for illustration, an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asily modif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entity may be distributed and implemented, and components described as being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lso be embodied in the form of a recording medium including instructions executable by a computer, such as program modules, being executed by a computer. Computer readable media can be any available media that can be accessed by a computer and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media,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In addition,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both computer storage media and communication media. Computer storage media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implemented in any method or technology for storage of information such as computer readable instructions, data structures, program modules or other data. Communication media typically includes any information delivery media, including computer readable instructions, data structures, program modules, or other data in a modulated data signal such as a carrier wave, or other transport mechanism.

또한,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은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그것들의 구성 요소 또는 동작의 일부 또는 전부는 범용 하드웨어 아키텍쳐를 갖는 컴퓨터 시스템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In addition, while the methods and system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specific embodiments, some or all of their components or operations may be implemented using a computer system having a general purpose hardware architecture.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100: 터치스크린 기기
110: 입력 감지부
120: 스킨형 인터페이스 제어부
130: 디스플레이부
140: 선택 문자 입력부
P210: 기본 인터페이스 화면
P220: 스킨형 인터페이스 화면
P211: 문자 입력 창
P223: 특수 키 버튼
P224: 중점 표시 객체
P212, P213, P221-1, P222-1: 문자 키
P221, P222, P212-1, P213-1: 포인터 객체
100: touch screen device
110: input detection unit
120: skin type interface control unit
130:
140: selection character input unit
P210: Main Interface Screen
P220: Skinned Interface Screen
P211: Character Entry Window
P223: Special Key Button
P224: Midpoint Display Object
P212, P213, P221-1, P222-1: Character Key
P221, P222, P212-1, P213-1: Pointer Objects

Claims (16)

스킨형(skin-type)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문자 입력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터치스크린 기기에 있어서,
터치스크린의 고정된 기본 인터페이스 화면 상에 이동 가능한 스킨형 인터페이스 화면을 겹쳐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발생되는 접촉 및 드래깅(dragging)을 감지하여 상기 접촉 및 드래깅에 따른 화면 동작 입력 값을 생성하는 입력 감지부;
상기 화면 동작 입력 값에 기초하여 상기 스킨형 인터페이스 화면이 상기 드래깅의 방향 및 거리에 따라 이동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이동에 따라 상기 스킨형 인터페이스 화면 및 상기 기본 인터페이스 화면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된 포인터 객체의 영역과 상기 포인터 객체가 배치되지 않은 나머지 하나의 인터페이스 화면 상에 배치된 복수의 문자 키(character key) 중 어느 하나의 영역 간에 겹침이 발생되는지 판단하는 스킨형 인터페이스 제어부; 및
상기 겹침이 발생된 경우 상기 겹침에 대응하는 문자 키를 선택하여 입력을 발생시키는 선택 문자 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포인터 객체는,
상기 스킨형 인터페이스 화면 또는 상기 기본 인터페이스 화면 중 어느 하나에 복수 개가 배치되되,
각 포인터 객체는 상기 스킨형 인터페이스 화면 및 상기 기본 인터페이스 화면의 중심으로부터 기설정된 배열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는 터치스크린 기기.
In a touch screen device that implements a text input interface using a skin-type interface,
A display unit configured to superimpose and output a movable skin type interface screen on a fixed basic interface screen of the touch screen;
An input detector configured to detect a touch and dragging generated on the touch screen and generate a screen motion input value according to the touch and dragging;
The skin type interface screen is controlled to move according to the direction and distance of the dragging based on the screen operation input value, and the pointer object disposed on any one of the skin type interface screen and the basic interface screen according to the movement. A skin type interface controller which determines whether an overlap occurs between an area and a region of a plurality of character keys disposed on the other interface screen on which the pointer object is not disposed; And
A selection character input unit for generating an input by selecting a character key corresponding to the overlap when the overlap occurs;
The pointer object,
A plurality of skin type interface screen or the basic interface screen is arranged in any one,
Each pointer object is disposed apart from the center of the skin type interface screen and the basic interface screen by a predetermined array distanc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문자 키는 적어도 하나의 문자 키 그룹으로 분류되되,
둘 이상의 상기 문자 키 그룹은 상기 기본 인터페이스 화면 또는 상기 스킨형 인터페이스 화면 상에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는 것인, 터치스크린 기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plurality of character keys are classified into at least one character key group.
The at least two character key groups are disposed on the basic interface screen or the skinned interface screen to face each other.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키 그룹은 각각 포인터 객체를 향하여 곡선으로 배치되는 것인, 터치스크린 기기.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Wherein each group of character keys is arranged in a curve towards the pointer object.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키 그룹은 쿼티(qwerty) 형인 것인, 터치스크린 기기.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Wherein the character key group is a qwerty typ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키 그룹은 상기 스킨형 인터페이스 화면 및 상기 기본 인터페이스 화면 중 어느 하나의 양 측면, 상부 및 하부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세로형 또는 가로형으로 배치되는 것인, 터치스크린 기기.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character key group is arranged in a vertical or horizontal position on at least one of the sides, top and bottom of any one of the skin type interface screen and the basic interface screen, the touch screen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킨형 인터페이스 화면 상에는,
특수 문자 변환 버튼, 문자 속성 변환 버튼, 쉬프트 키 버튼, 백스페이스 키 버튼, 스페이스 키 버튼 및 엔터 키 버튼 중 적어도 하나의 버튼이 더 배치되되,
상기 버튼들은 각각 상기 포인터 객체로부터 기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인, 터치스크린 기기.
The method of claim 1,
On the skin type interface screen,
At least one of a special character conversion button, a character attribute conversion button, a shift key button, a backspace key button, a space key button, and an enter key button is disposed.
Each of the buttons is disposed spaced apart from the pointer objec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문자 입력부는,
상기 겹침이 발생된 이후, 상기 접촉의 종료 및 상기 드래깅의 멈춤 중 적어도 하나가 발생된 후 기설정된 동작 유지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선택을 수행하는 터치스크린 기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selected character input unit,
And performing a selection when a preset operation holding time elapses after at least one of the termination of the contact and the stopping of the dragging occurs after the overlap occur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킨형 인터페이스 제어부는,
상기 겹침이 발생된 상기 문자 키의 상태를 활성화 상태로 변경되도록 제어하되,
상기 활성화 상태에서는 상기 선택된 문자 키가 상기 겹침이 발생되기 이전의 일반 상태와 식별 되도록 변경되는 것인, 터치스크린 기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skin type interface control unit,
While the control is to change the state of the character key is generated to the overlapping state,
And wherein in the active state, the selected text key is changed to be identified with the general state before the overlap occurr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킨형 인터페이스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문자 키의 입력 이후, 상기 스킨형 인터페이스 화면을 상기 드래깅 이전의 기설정된 기본 위치로 복귀시키는 터치스크린 기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skin type interface control unit,
And after the input of the selected text key, the skin type interface screen to return to the preset default position before the dragging.
스킨형(skin-type)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문자 입력 인터페이스 구현 방법에 있어서,
(a) 터치스크린 상에 고정된 기본 인터페이스 화면과 이동 가능한 스킨형 인터페이스 화면을 겹쳐서 출력하는 단계;
(b) 터치스크린 상에 발생되는 접촉 및 드래깅(dragging)을 감지하는 단계;
(c) 상기 드래깅의 방향 및 거리에 따라 상기 스킨형 인터페이스 화면을 이동시키는 단계;
(d) 상기 기본 인터페이스 화면 및 상기 스킨형 인터페이스 화면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된 복수의 포인터 객체 중 어느 하나의 영역과 상기 포인터 객체가 배치되지 않은 나머지 하나의 인터페이스 화면 상에 배치된 복수의 문자 키(character key) 중 어느 하나의 영역 간에 겹침이 발생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e) 상기 겹침이 발생된 경우 상기 발생된 겹침에 대응하는 문자 키를 선택하여 입력을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포인터 객체는,
각각 상기 스킨형 인터페이스 화면 및 상기 기본 인터페이스 화면의 중심으로부터 기설정된 배열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인 스킨형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문자 입력 인터페이스 구현 방법.
In the character input interface implementation method using a skin-type interface,
(a) overlapping and outputting a fixed basic interface screen and a movable skin type interface screen on the touch screen;
(b) detecting contact and dragging occurring on the touch screen;
(c) moving the skin type interface screen according to the direction and distance of the dragging;
(d) a plurality of character keys disposed on any one area of a plurality of pointer objects disposed on any one of the basic interface screen and the skin type interface screen and the other interface screen on which the pointer object is not disposed ( determining whether an overlap occurs between any one of a character key; And
(e) selecting the character key corresponding to the generated overlap and generating an input when the overlap occurs;
The plurality of pointer objects,
A method of implementing a character input interface using a skin type interface, wherein each of the skin type interface screen and the basic interface screen is disposed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array distance.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에서,
상기 겹침이 발생된 이후, 상기 접촉의 종료 및 상기 드래깅의 멈춤 중 적어도 하나가 발생된 후 기설정된 동작 유지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선택을 수행하는, 스킨형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문자 입력 인터페이스 구현 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In the step (e)
And performing the selection when a predetermined operation holding time elapses after at least one of the termination of the contact and the stopping of the dragging occurs after the overlapping occurs.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 이후에,
상기 스킨형 인터페이스 화면을 상기 드래깅 이전의 기본 위치로 복귀 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스킨형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문자 입력 인터페이스 구현 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After the step (e)
And returning the skinned interface screen to a default position before the dragging.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 이후에,
상기 겹침이 발생된 상기 문자 키의 상태를 활성화 상태로 변경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활성화 상태는 상기 문자 키가 상기 겹침이 발생되기 이전의 일반 상태와 식별 되도록 변경되는 것인, 스킨형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문자 입력 인터페이스 구현 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After the step (d)
Changing the state of the character key in which the overlap has occurred to an active state;
And wherein the activation state is changed such that the character key is identified with a general state before the overlap occurs.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문자 키는 적어도 하나의 문자 키 그룹으로 분류되되,
둘 이상의 상기 문자 키 그룹은 상기 기본 인터페이스 화면 또는 상기 스킨형 인터페이스 화면 상에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는 것인, 스킨형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문자 입력 인터페이스 구현 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The plurality of character keys are classified into at least one character key group.
And at least two character key groups ar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on the basic interface screen or the skinned interface screen.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킨형 인터페이스 화면 상에는,
특수 문자 변환 버튼, 문자 속성 변환 버튼, 쉬프트 키 버튼, 백스페이스 키 버튼, 스페이스 키 버튼 및 엔터 키 버튼 중 적어도 하나의 버튼이 더 배치되되,
상기 버튼들은 각각 상기 포인터 객체로부터 기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인, 스킨형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문자 입력 인터페이스 구현 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On the skin type interface screen,
At least one of a special character conversion button, a character attribute conversion button, a shift key button, a backspace key button, a space key button, and an enter key button is disposed.
And each of the buttons spaced apart from the pointer objec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KR1020110145463A 2011-12-29 2011-12-29 Method and touch screen device for implementing character inputting interface using skin type interface KR10127150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5463A KR101271500B1 (en) 2011-12-29 2011-12-29 Method and touch screen device for implementing character inputting interface using skin type interfa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5463A KR101271500B1 (en) 2011-12-29 2011-12-29 Method and touch screen device for implementing character inputting interface using skin type interfa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1500B1 true KR101271500B1 (en) 2013-06-05

Family

ID=48866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5463A KR101271500B1 (en) 2011-12-29 2011-12-29 Method and touch screen device for implementing character inputting interface using skin type interfa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1500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4119A (en) * 2000-01-22 2000-05-06 배창희 A method of automatic re-positioning of the computer cursor
KR100675089B1 (en) * 2006-05-10 2007-01-29 (주) 엘지텔레콤 Character input method by movement of mobile terminal
US20090288043A1 (en) * 2007-12-20 2009-11-19 Purple Labs Method and system for moving a cursor and selecting objects on a touchscreen using a finger point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4119A (en) * 2000-01-22 2000-05-06 배창희 A method of automatic re-positioning of the computer cursor
KR100675089B1 (en) * 2006-05-10 2007-01-29 (주) 엘지텔레콤 Character input method by movement of mobile terminal
US20090288043A1 (en) * 2007-12-20 2009-11-19 Purple Labs Method and system for moving a cursor and selecting objects on a touchscreen using a finger point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146667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put control method and program of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KR101915444B1 (en) Using pressure differences with a touch-sensitive display screen
KR101545804B1 (en) Using pressure differences with a touch-sensitive display screen
US8860693B2 (en) Image processing for camera based motion tracking
EP2738654B1 (en) Touch screen operation method and terminal
US10061510B2 (en) Gesture multi-function on a physical keyboard
US9336753B2 (en) Executing secondary actions with respect to onscreen objects
US20100149099A1 (en) Motion sensitive mechanical keyboard
US10387033B2 (en) Size reduction and utilization of software keyboards
CN103164156B (en) The touch inputting method and equipment of portable terminal
CN102346592A (en) Touch input transitions
KR20130090138A (en) Operation method for plural touch panel and portable device supporting the same
US20140123051A1 (en) Graphic object selection by way of directional swipe gestures
CN103970460A (en) Touch screen-based operation method and terminal equipment using same
CN102221957A (en) Electronic equipment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EP3224703B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graphical object thereof
JP2016115231A (en) Object operation system, object operation control program and object operation control method
US20140123036A1 (en) Touch screen display process
US2017019246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ambiguating information input to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100033214A (en) Automatic switching method of input-mode by input pattern
US9436304B1 (en) Computer with unified touch surface for input
CN105474164B (en) The ambiguity inputted indirectly is eliminated
CN10332443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items with multiple fingers
US9501161B2 (en) User interface for facilitating character input
KR101271500B1 (en) Method and touch screen device for implementing character inputting interface using skin type interfa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