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0844B1 - Post or package position detecting and control belt device for post or package automatically distribution system - Google Patents

Post or package position detecting and control belt device for post or package automatically distribution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0844B1
KR101270844B1 KR1020110113512A KR20110113512A KR101270844B1 KR 101270844 B1 KR101270844 B1 KR 101270844B1 KR 1020110113512 A KR1020110113512 A KR 1020110113512A KR 20110113512 A KR20110113512 A KR 20110113512A KR 101270844 B1 KR101270844 B1 KR 1012708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l
belt conveyor
tray
postal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351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48586A (en
Inventor
장희상
Original Assignee
장희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희상 filed Critical 장희상
Priority to KR10201101135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0844B1/en
Publication of KR201300485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858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08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084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3/00Sorting according to destination
    • B07C3/02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B07C3/08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using arrangements of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1/00Measures preceding sorting according to destination
    • B07C1/02Forming articles into a stream; Arranging articles in a stream, e.g. spacing, orientating
    • B07C1/04Forming a stream from a bulk; Controlling the stream, e.g. spacing th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3/00Sorting according to destination
    • B07C3/18Devices 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destination, e.g. by code marks

Landscapes

  • Sorting Of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편 또는 소화물 분류자동화시스템용 위치제어 벨트장치에 관한 것으로, 인식가능한 고유 ID가 할당된 라벨을 우편물에 부착하는 우편물 선적대, 상기 고유 ID를 인식하고 산술ㆍ연산ㆍ저장 기능을 갖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인 제어부, 무한궤도 형태로 배열된 벨트컨베이어, 벨트컨베이어를 타고 이동되면서 상기 라벨이 부착된 우편물을 반송하는 우편물 트레이, 벨트컨베이어의 궤도 외측에 배치되고 우편물이 지역별로 분류 집하되게 유도하는 낙하물수납대, 우편물 선적대에 설치되고 우편물 트레이의 통과 갯수를 검출하여 상기 제어부로 송신하는 광학식 엔코더 혹은 광센서로 이루어진 센서부, 상기 낙하물수납대 상에서 분류될 지점별로 각각 설치되고 상기 센서부의 검출값에 따라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우편물 트레이를 타격하여 기울이도록 구비된 작동실린더를 포함하는 우편 또는 소화물 분류자동화시스템용 위치제어 벨트장치로서, 상기 벨트컨베이어는 세워 설치된 평벨트이고; 상기 우편물 트레이는 상기 벨트컨베이어의 상단 에지부에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고정되며; 상기 벨트컨베이어의 상하폭중 임의의 위치에는 벨트컨베이어의 길이방향으로 수평하면서 상기 우편물 트레이와 대응되는 갯수의 투과공이 형성되되, 상기 투과공은 상기 센서부가 검출하는 부분으로서 상기 우편물 트레이의 길이 중심과 수직한 선상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편 또는 소화물 분류자동화시스템용 위치제어 벨트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우편물 분류자동화시스템 구축시 초기 설비비를 낮추고, 작은 공간에서도 효율적인 분류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으며, 정확한 위치제어가 가능하여 우편물 분류 불량율을 낮출 수 있어 처리효율을 높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sition control belt apparatus for a postal or package sorting automation system, comprising: a postal shipping stand for attaching a label assigned with a recognizable unique ID to a postal matter; A control unit which is a processor, a belt conveyor arranged in a caterpillar form, a mail tray for conveying the label-labeled mail while moving on a belt conveyor, and a drop material storage arranged outside the track of the belt conveyor and causing mail to be sorted by region. A sensor unit comprising an optical encoder or an optical sensor installed on a postal mail carrier and detecting and passing the number of postal mail trays to the control unit, and installed at each point to be classified on the dropping unit, and according to the detection value of the sensor unit. The mail tray is controlled by a control signal of a controller. A position control belt device for a postal or package sorting automation system including an actuating cylinder provided to be inclined at an extreme angle, the belt conveyor being a flat belt installed upright; The mail tray is fixed to the upper edge portion of the belt conveyor at regular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y number of through holes corresponding to the postal tray is formed at an arbitrary position of the belt conveyor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is horizontal to the length of the belt conveyor. Provided is a position control belt device for a postal or package sorting automation system, characterized by being located on a vertical l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initial equipment cost when constructing the automatic mail sorting system, to build an efficient sorting system even in a small space, and to reduce the mail sorting failure rate by enabling accurate position control, thereby increasing the processing efficiency. .

Figure R1020110113512
Figure R1020110113512

Description

우편 또는 소화물 분류자동화시스템용 위치제어 벨트장치{POST OR PACKAGE POSITION DETECTING AND CONTROL BELT DEVICE FOR POST OR PACKAGE AUTOMATICALLY DISTRIBUTION SYSTEM}POS OR PACKAGE POSITION DETECTING AND CONTROL BELT DEVICE FOR POST OR PACKAGE AUTOMATICALLY DISTRIBUTION SYSTEM}

본 발명은 우편 또는 소화물 분류자동화시스템용 위치제어 벨트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우편물 또는 소화물을 자동으로 분류하는 분류자동화시스템에서 우편물 또는 소화물 분류시 분류위치를 정확하게 제어함으로써 분류 효율을 높이고 공간활용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우편 또는 소화물 분류자동화시스템용 위치제어 벨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sition control belt device for an automatic mail or package sorting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improve the sorting efficiency and space by precisely controlling the sorting position when sorting a mail or package in a sorting automation system that automatically sorts mail or package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sition control belt device for an automated mail or package sorting system for maximizing utilization.

알려진 바와 같이, 국내에서 처리되는 우편물의 양은 년간 50억 통을 훨씬 넘어서고 있다.As is known, the volume of mail processed in the country is well over 5 billion a year.

이와 같이 많은 양의 우편물 처리는 국내 뿐만 아니라, 세계 각국에서도 유사한 추세에 있다.Such a large amount of mail processing is in a similar trend not only in Korea, but also around the world.

때문에, 국내를 비롯한 세계 각국에서는 효과적인 우편물의 분류 방법을 개발하기 위한 많은 연구들을 수행하고 있다.Therefore,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develop an effective mail classification method in domestic and international countries.

전통적인 방식으로 이렇게 많은 양의 우편물을 분류하는 것은 사실상 한계에 직면해 있기 때문에 특히, 우편집중국과 같은 곳에서는 분류자동화시스템을 도입하고 있다.The sorting of this large volume of mail in the traditional way is virtually limiting, especially in places such as China.

우편물 분류자동화시스템은 각 우편물마다 부여된 바코드를 인식하여 배송지 별로 기계적 수단을 통해 자동 분류하는 시스템을 말하며, 이를 통해 많은 인력과 시간 낭비를 막을 수 있고 일간 처리량도 커버하게 되었다.The automatic mail sorting system is a system that recognizes barcodes assigned to each mail and automatically sorts them by mechanical means. This can prevent a lot of manpower and time wasted, and also covers daily throughput.

이와 관련하여 국내에서는 공개특허 제2004-0016075호, 등록특허 제0408741호, 등록특허 제0832533호 등이 개시된 바 있다.In this regard,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4-0016075, Registered Patent No. 00408741, and Registered Patent No. 0832533 have been disclosed.

그런데, 이들 개시 기술들은 모두 다 우편물의 분류 자동화를 위한 센서기술, 이를 테면 바코드 인식기술, RFID를 통한 인식기술, 스마트 테이블을 이용한 무선인식 기술 등과 같이, 우편물 분류를 위한 인식시 오류를 최소화하기 위한 시스템적 구현에만 촛점이 맞추어져 있어 사실상 분류시스템을 구성하는 기계적 위치제어 기술에 대해서는 개발이 전무한 상황이다.By the way, all of these disclosed technologies, such as sensor technology for automated sorting of mails, such as barcode recognition technology, RFID recognition technology, wireless recognition technology using smart table, etc. Since the focus is only on the system implementation, there is virtually no development of the mechanical position control technology constituting the classification system.

예컨대, 현재까지 개시되어 있는 우편물 분류자동화시스템은 벨트컨베이어를 이용하고 있는데, 도 1의 예시와 같이, 벨트(10)의 폭이 수평한 상태로 배열된 상태로 분류자동화시스템이 갖추어져 있기 때문에 효율적인 처리(연속처리)를 위해 원형으로 구현하려면 설치공간이 광대해지는 단점을 가진다.For example, the mail sorting automation system disclosed so far uses a belt conveyor. As illustrated in FIG. 1, the sorting automation system is provided in a state where the width of the belt 10 is arranged in a horizontal state. To implement a prototype for (continuous processing) has the disadvantage that the installation space is vast.

또한, 상술한 선행기술들이 개시하고 있는 바와 같은 센서 수단을 갖춘다고 하더라도 우편물(20)이 평벨트(10)를 타고 이동하다가 지정된 위치(분류지점)에 왔을 때 이를 인식하고 스윙암(30)을 통해 해당 우편물(20)을 분류컨베이어(40)로 스윙이송시켜 분류하려면 센서 시스템 구축에 따른 비용이 급격히 증가되고, 뿐만 아니라 시스템을 구축한다고 하더라도 이를 감지하여 스윙암(30)이 동작하는데 걸리는 시간과 벨트컨베이어의 구동 속도간 오차(평벨트의 슬립현상)로 인해 분류 불량을 초래하기도 한다.In addition, even if the above-described prior art is provided with the sensor means as described above when the mail 20 moves on the flat belt 10 to the designated position (classification point) and recognizes the swing arm 30 In order to classify the mail 20 by swing transfer to the sorting conveyor 40, the cost of building a sensor system is rapidly increased, as well as the time required for the swing arm 30 to operate by detecting the system even if the system is built. Errors between the driving speeds of the belt conveyors (slip phenomenon in the flat belt) may cause poor classification.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벨트컨베이어에 사용되는 평벨트(10)를 타이밍벨트로 교체하여 정확한 위치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면 좋겠지만, 타이밍벨트는 일측면에 기어치형을 가져야 하므로 두께를 얇게 만들 수 없고 곡면가공(엔드리스 접착)이 어렵고 가공한다고 하더라도 비용이 워낙 고가이기 때문에 분류자동화시스템 자체를 원형상으로 배열하기 힘들어 결국 도 1의 예시와 같은 직선형으로 간격을 두고 다수개를 연계 설치할 수 밖에 없어 연속처리가 불가능하므로 분류 효율이 급격히 떨어지는 단점을 가진다.
In order to prevent this, it is good to replace the flat belt 10 used in the belt conveyor with a timing belt to enable accurate position control. However, the timing belt must have a gear tooth shape on one side, so that the thickness cannot be made thin and curved processing ( Endless adhesion) is difficult and the process cost is so high that it is difficult to arrange the sorting automation system itself in a circular shape, and as a result, it is impossible to continuously process a plurality of lines in a linear manner as shown in FIG. It has the disadvantage that the sorting efficiency drops sharply.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두께를 마음대로 조절할 수 있어 원형 배열이 용이하고 제조비용이 저렴한 평벨트를 이용하되, 기존처럼 수평하게 배치하는 것이 아니라 이를 세워 배치하며, 슬립현상을 줄이면서 정확한 위치제어가 가능하도록 평벨트의 일부를 요홈 가공하고 이를 가이드로 가이딩하면서 하나의 광학식엔코더 혹은 광센서를 이용하여 평벨트의 이동거리를 정확하게 자동산출함으로써 정확한 분류지점에서 정확한 분류작업이 수월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설비비를 줄이고 처리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우편 또는 소화물 분류자동화시스템용 위치제어 벨트장치를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in view of the above-mentioned problems in the prior art, and was created to solve this problem. However,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thickness at will and use a flat belt which is easy to arrange circularly and has low manufacturing cost. Instead, it is placed upright, and part of the flat belt is grooved and guided with a guide to reduce slip and accurate positioning, and automatically calculates the moving distance of the flat belt using one optical encoder or light sensor. Therefore, the mai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sition control belt device for a mail or package sorting automation system, which enables accurate sorting work to be easily performed at the correct sorting point, thereby reducing equipment costs and increasing processing efficiency.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인식가능한 고유 ID가 할당된 라벨을 우편물에 부착하는 우편물 선적대, 상기 고유 ID를 인식하고 산술ㆍ연산ㆍ저장 기능을 갖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인 제어부, 무한궤도 형태로 배열된 벨트컨베이어, 벨트컨베이어를 타고 이동되면서 상기 라벨이 부착된 우편물을 반송하는 우편물 트레이, 벨트컨베이어의 궤도 외측에 배치되고 우편물이 지역별로 분류 집하되게 유도하는 낙하물수납대, 우편물 선적대에 설치되고 우편물 트레이의 통과 갯수를 검출하여 상기 제어부로 송신하는 광학식 엔코더 혹은 광센서로 이루어진 센서부, 상기 낙하물수납대 상에서 분류될 지점별로 각각 설치되고 상기 센서부의 검출값에 따라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우편물 트레이를 타격하여 기울이도록 구비된 작동실린더를 포함하는 우편 또는 소화물 분류자동화시스템용 위치제어 벨트장치로서, 상기 벨트컨베이어는 세워 설치된 평벨트이고; 상기 우편물 트레이는 상기 벨트컨베이어의 상단 에지부에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고정되며; 상기 벨트컨베이어의 상하폭중 임의의 위치에는 벨트컨베이어의 길이방향으로 수평하면서 상기 우편물 트레이와 대응되는 갯수의 투과공이 형성되되, 상기 투과공은 상기 센서부가 검출하는 부분으로서 상기 우편물 트레이의 길이 중심과 수직한 선상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편 또는 소화물 분류자동화시스템용 위치제어 벨트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mailing stand for attaching a label assigned with a recognizable unique ID to a mail, a control unit which is a microprocessor that recognizes the unique ID and has arithmetic, arithmetic and storage functions, and infinite. Belt conveyors arranged in track form, a mail tray for conveying the above-labeled mail while moving on a belt conveyor, a drop-water rack that is arranged outside the track of the belt conveyor, and guides mails to be collected by region. A sensor unit consisting of an optical encoder or an optical sensor for detecting the number of passages of the postal matter tray and transmitting to the control unit, and installed at respective points to be classified on the dropping unit storage table,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detection value of the sensor unit. Operating chamber provided to strike and tilt the mail tray by A position control belt device for a postal or package sorting automation system including a linder, wherein the belt conveyor is a flat belt mounted upright; The mail tray is fixed to the upper edge portion of the belt conveyor at regular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y number of through holes corresponding to the postal tray is formed at an arbitrary position of the belt conveyor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is horizontal to the length of the belt conveyor. Provided is a position control belt device for a postal or package sorting automation system, characterized by being located on a vertical line.

이때, 상기 우편물 트레이는, 벨트컨베이어의 에지부 상단에 끼워진 채 볼트 고정되고 상단은 길이보다 작은 크기의 원통형부재를 적어도 하나 이상 일체로 구비한 고정브라켓; 상기 고정브라켓의 원통형부재와 엇갈리게 배치되어 경첩 형태를 이루도록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우편물 트레이의 저면에 일체로 고정된 트레이브라켓; 원통형부재와 트레이브라켓을 관통하여 회전가능하게 결속하는 힌지축; 힌지축에 끼워지고 일단은 고정브라켓에 고정되며 타단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각각 우편물 트레이의 저면에 고정되는 한 쌍의 토션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At this time, the mail tray, the fixing bracket is bolted to the top of the edge portion of the belt conveyor and the upper end is integrally provided with at least one cylindrical member of a size smaller than the length; A tray bracket which is alternately disposed with the cylindrical member of the fixing bracket and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so as to form a hinge shape and is fixed integrally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l tray; A hinge shaft rotatably coupled through the cylindrical member and the tray bracket;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pair of torsion springs, which are fitted to the hinge shaft, one end of which is fixed to the fixing bracket,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postal tray, respectively.

또한, 상기 벨트컨베이어는 일측면 또는 양측면이 수직하게 설치된 다수의 가이드롤에 의해 구름접촉되면서 지지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In addition, the belt conveyo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one side or both sides are supported while rolling contact by a plurality of guide rolls installed vertically.

뿐만 아니라, 상기 벨트컨베이어의 폭 방향으로 투과공과 간섭되지 않게 벨트컨베이어의 일측 혹은 양측에 볼록부가 형성되되, 상기 볼록부는 벨트컨베이어의 길이방향으로 수평하게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롤은 상기 볼록부가 대응삽입될 수 있도록 오목부를 더 포함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In addition, the convex portion is formed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belt conveyor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penetration hol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elt conveyor, the convex portion is formed horizontal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elt conveyor, the guide roll is inserted into the corresponding convex portion It is also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recess so that it can be.

본 발명에 따르면, 우편물 분류자동화시스템 구축시 초기 설비비를 낮추고, 작은 공간에서도 효율적인 분류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으며, 정확한 위치제어가 가능하여 우편물 분류 불량율을 낮출 수 있어 처리효율을 높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initial equipment cost when constructing the automatic mail sorting system, to build an efficient sorting system even in a small space, and to reduce the mail sorting failure rate by enabling accurate position control, thereby increasing the processing efficiency. .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우편물 분류자동화시스템의 일 예를 보인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우편물 분류자동화시스템의 일 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우편물 분류자동화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벨트컨베이어의 배열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형태로 배열된 벨트컨베이어에 장착되는 우편물 수납용 트레이의 설치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우편물 분류자동화시스템에 적용되는 위치제어 벨트장치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벨트컨베이어의 요부를 보인 예시도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mail classification autom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example of an automatic mail class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arrangement of the belt conveyor for building the automatic mail class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example of installation of the mail receiving tray mounted on the belt conveyor arranged in the form of FIG.
Figure 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main portion of the belt conveyor for explaining the concept of the position control belt apparatus applied to the automatic mail class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위치제어 벨트장치는 우편물 분류자동화시스템에 적용되는 것으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우편물 분류자동화시스템은 벨트컨베이어 시스템으로 구축된다.The position control bel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mail sorting automated system, and the mail sorting automated system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s constructed as a belt conveyor system.

즉,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우편물 분류자동화시스템은 우편물 선적대(100)를 포함한다.That is, as shown in Figures 2 and 3, the automated mail class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l shipping platform (100).

우편물 선적대(100)는 분류대상 우편물들이 대기하고 있다가 앞서 설명한 선행기술들에 나타난 바코드 혹은 RF태그 등이 부착된 후 분류시스템으로 투입되기 위한 대기 장소이다.The mail shipment stand 100 is a waiting place for being put into the sorting system after the mails to be classified are waiting for the bar code or the RF tag shown in the above-described prior art.

아울러, 상기 우편물 선적대(100)에는 제어부(200)와 센서부(300)를 포함하는데, 제어부(200)는 마이크로프로세서로서, 통상 마이콤으로 통칭되는 소자를 포함하며, 산술, 연산, 저장 기능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mail shipment table 100 includes a control unit 200 and a sensor unit 300. The control unit 200 is a microprocessor, and includes a device commonly referred to as a microcomputer, and performs arithmetic, arithmetic, and storage functions. Include.

그리고, 센서부(300)는 기존 시스템과 달리 각 분기점에 설치할 필요없이 상기 우편물 선적대(100)의 벨트컨베이어(400) 구동 시작점에만 설치되면 되는 것으로, 광학식 엔코더 혹은 광센서가 될 수 있다.In addition, unlike the existing system, the sensor unit 300 may be installed only at the starting point of the belt conveyor 400 of the mail carrier 100 without being installed at each branch point, and may be an optical encoder or an optical sensor.

아울러, 상기 센서부(300)는 검출한 신호를 상기 제어부(200)로 송신하고, 검출신호를 수신한 제어부(200)는 각 우편물마다 할당된, 다시 말해 부착된 ID(여기서는 바코드 혹은 RF태그에 부여된 고유번호)별로 각 우편물이 분기되어야 할 위치(거리)를 인식하고 제어하게 된다.In addition, the sensor unit 300 transmits the detected signal to the control unit 200, the control unit 200 receiving the detection signal is assigned to each mail, that is to say attached to the ID (here bar code or RF tag Recognizing and controlling the location (distance) to which each mail is to be branched according to the assigned unique number).

다시 말해, 상기 제어부(200)는 인스톨된 프로그램에 의해 우편물의 ID를 인식한 후 분류될 분기점을 정확하게 계산하여 제어하게 되며, 분류될 위치에 따라 후술되는 우편물 트레이(420)의 회전방향도 제어하게 된다.In other words, the control unit 200 recognizes the ID of the mail item by the installed program and then calculates and controls the branch point to be classified correctly, and controls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mail tray 420 to be described later according to the position to be classified. do.

이때, 상기 우편물 트레이(420)가 분류되어야 할 쪽으로 분기점에서 정확히 회전되기 위해서는 도 3에서 개념적으로 보이고 있는 분기점 상부, 더 정확히는 낙하물수납대(410)의 상부에 설치된 작동실린더(430)에 의해 이루어지고, 이 작동실린더(430)는 제어부(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At this time, the mail tray 420 is made by the operation cylinder 430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branch point, which is conceptually shown in FIG. The operation cylinder 43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200.

여기에서, 도 3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상기 작동실린더(430)는 설명을 위해 단순화시켜 하나만 도시한 것일 뿐 사실상 각 분기점마다 하나씩 설치되어 있음은 물론이며, 분기점은 특별히 지정된 특정 지점이 아니고 작동실린더(430)가 동작하면서 우편물 트레이(420)를 회전시키는 지점을 설명의 편의상 '분기점'이라 정의하기로 한다.Here, the actuating cylinder 430 illustrated in FIG. 3 is merely illustrated for simplicity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on, and is installed in fact, one for each branch point, and the branch point is not a specific point specifically designated, but the operation cylinder. The point at which the mail tray 420 is rotated while the 430 operates is defined as a 'branch point'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따라서, 작동실린더(430)는 제어부(200)로부터 전기적인 신호를 받으면 순간적으로 스트로크하면서 우편물 트레이(420)의 상면 모퉁이, 혹은 일측단 상면을 타격하게 되고, 그에 따라 타격받은 쪽으로 우편물 트레이(420)가 기울어지면서 올려져 있던 우편물이 흘러내리면서 낙하하게 된다.Therefore, when the operation cylinder 430 receives an electric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200, the stroke momentarily strokes the top corner of the postal tray 420, or one side of the top end surface, and thus the postal tray 420 is hit. While tilting, the postal mail falls and falls.

그리고, 낙하되는 우편물을 받을 수 있도록 낙하물수납대(410)가 구비되는데, 상기 낙하물수납대(410)는 벨트컨베이어(400)의 궤도 외측에 설치된다.Then, the falling object storage 410 is provided to receive the falling mail, the falling object storage 410 is installed outside the track of the belt conveyor 400.

여기에서, 상술한 제어부(200)와 센서부(300)를 통한 제어알고리즘은 현재 우편물 분류자동화시스템에 그대로 적용되고 있는 사항으로 단지 센서만 광학식 엔코더 혹은 광센서로 바뀔 뿐 전체적인 제어로직은 그대로 사용되므로 더 이상 세부적인 구성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 the control algorithm through the control unit 200 and the sensor unit 300 is a matter that is currently applied to the mail classification automation system as it is, only the sensor is changed to an optical encoder or an optical sensor, so the overall control logic is used as it is.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onfiguration will be omitted.

덧붙여, 본 발명은 그러한 제어를 위한 방법적인 것에 있지 아니하고, 그들에 의해 위치제어될 우편물 트레이(420)를 움직이는 벨트컨베이어(400)가 기계적으로 정확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안내하기 위한 장치적 구성에 주된 관심이 있는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벨트컨베이어(400)을 세워서 설치하고, 벨트컨베이어(400)의 길이방향으로 수평선상에 일정간격(우편물 트레이의 센터간 간격)을 두고 다수의 투과공(440)이 형성되며, 이 투과공(400)을 센서부(300)가 광센싱하여 길이를 엔코딩, 즉 산출할 수 있도록 하되, 이 벨트컨베이어(400)가 흔들리거나 변형되지 않도록 견실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항상 일정하고 균일한 센싱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에 있는 것이므로 기본적인 제어로직은 현 시스템 것을 그대로 적용해도 무방하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 a method for such control, but the main interest is in the device configuration for guiding the belt conveyor 400 moving the mail tray 420 to be positioned by them so as to mechanically and accurately move. To be more specific, the belt conveyor 400 is installed in an upright position, and a plurality of penetrating holes 440 are provid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terval between centers of the mail tray) on a horizontal lin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elt conveyor 400. It is formed, so that the sensor unit 300 by the sensor unit 300 is light-sensing, so that the length can be encoded, that is, calculated, but the belt conveyor 400 is firmly and stably supported so as not to shake or deform at all times and The basic control logic can be applied to the current system as it is to enable uniform sensing.

한편, 벨트컨베이어(4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벨트가 세워진 상태에서 무한궤도를 이루도록 설치된다.On the other hand, the belt conveyor 400, as shown in Figures 2 and 3, is installed to achieve an endless track in a state where the flat belt is standing.

그리고, 상기 벨트컨베이어(400)의 에지부인 상단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우편물을 수납하는 우편물 트레이(420)가 설치되는데, 우편물 트레이(420)는 도 4와 같이 평벨트로 이루어진 벨트컨베이어(400)의 상단에 끼워진 다음 볼트 등의 고정수단으로 고정되고 상단은 원통형부재(C)로 형성된 고정브라켓(402)과, 상기 우편물 트레이(420)의 저면에 일체로 형성되고 원통형상을 갖는 트레이브라켓(406)과, 고정브라켓(402)의 원통형부재(C)와 트레이브라켓(406)의 원통 부분이 경첩처럼 서로 엇갈리게 배치된 상태에서 이들을 관통하여 힌지결합되는 힌지축(404)을 통해 회전유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And, the upper end of the belt conveyor 400, the mail tray 420 for storing mail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s installed, the mail tray 420 of the belt conveyor 400 made of a flat belt as shown in FIG. The upper end is fixed by a fixing means such as a bolt, the upper end is fixed bracket 402 formed of a cylindrical member (C), and the tray bracket 406 integrally formed on the bottom of the mail tray 420 and having a cylindrical shape And, the cylindrical member (C) of the fixed bracket 402 and the cylindrical portion of the tray bracket 406 are configured to be rotated through the hinge shaft 404 hinged through them in a state where they are alternately arranged like a hinge. do.

뿐만 아니라, 상기 고정브라켓(402)과 트레이브라켓(406)이 엇갈려 끼워지는 부위에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배치된 한 쌍의 토션스프링(408a,408b)이 설치되어 상기 우편물 트레이(420)가 항상 수평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되며, 앞서 설명한 작동실린더(430)의 작동 후에는 원래 위치인 수평한 상태로 자동 복귀도록 작동하게 된다.In addition, a pair of torsion springs 408a and 408b disposed in opposite directions are installed at portions where the fixing bracket 402 and the tray bracket 406 are interleaved so that the mail tray 420 is always horizontal. It is configured to maintain the state, and after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cylinder 430 described above is operated to automatically return to the horizontal state of the original position.

다시 말해, 상기 한 쌍의 토션스프링(408a,408b) 중 어느 하나는 상기 힌지축(404)에 끼워진 상태에서 일단이 도 4를 기준으로 우편물 트레이(420)의 좌측 저면에 고정되도록 하고, 타단은 고정브라켓(402)에 고정되며; 나머지 하나는 상기 힌지축(404)에 끼워진 상태에서 일단이 도 4를 기준으로 우편물 트레이(420)의 우측 저면에 고정되도록 하고, 타단은 고정브라켓(402)에 고정되는 형태로 구성됨으로써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우편물 트레이(420)의 수평 유지가 가능해진다.In other words, any one of the pair of torsion springs 408a and 408b is fixed to the bottom left side of the postal tray 420 based on FIG. 4 while the one end of the pair of torsion springs 408a and 408b is fitted to the hinge shaft 404. Fixed to the fixing bracket 402;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bottom of the right side of the mail tray 420 in the state fitted to the hinge shaft 404, and the other end is configured to be fixed to the fixing bracket 402 as described above The same postal tray 420 can be kept horizontal.

그리고, 세워진 벨트컨베이어(400)의 상단부 양측면은 다수의 가이드롤(G)에 의해 구름접촉되게 지지된다.And, both sides of the upper end of the belt conveyor 400 is supported in a rolling contact by a plurality of guide rolls (G).

이 경우, 상기 가이드롤(G)은 도 4의 도시와 같이 민자형태일 수도 있으나,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도 5의 (a),(b)에서와 같이 오목부(Gv)를 갖는 오목한 형태를 갖는 것이 특히 좋다.In this case, the guide roll (G) may be in the form of a private letter, as shown in Figure 4, more preferably has a concave shape having a concave portion (Gv), as shown in Figure 5 (a), (b). Is especially good.

이는 벨트컨베이어(400)의 대응 개소를 볼록하게 한 볼록부(Gb)를 구성함으로써 이들이 상호 결합된 상태로 구름접촉되게 하여 벨트컨베이어(400)가 처지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이를 통해 도 5의 (c)에 예시한 바와 같은 투과공(440)이 항상 일직선을 유지하면서 이동되게 하여 준다.This not only prevents the belt conveyor 400 from sagging by constructing the convex portion Gb which convex the corresponding portion of the belt conveyor 400 so that they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in a coupled state. The through hole 440 as illustrated in c) is always allowed to move while maintaining a straight line.

이것은 본 발명의 가장 핵심적인 사항으로 광학식 엔코더 혹은 광센서로 이루어진 센서부(300)가 상기 투과공(440)을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감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인 바, 이를 위해서는 벨트컨베이어(400)가 무한궤도 형태로 회전할 때 처지거나 비틀리거나 하여 투과공(440)의 위치가 변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관건이기 때문이다.This is the most important poi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enable the sensor unit 300 made of an optical encoder or an optical sensor to accurately and stably detect the transmission hole 440. To this end, the belt conveyor 400 This is because it is important that the position of the penetration hole 440 does not change by sagging or twisting when rotating in the caterpillar form.

덧붙여, 상기 가이드롤(G)은 도 5의 (a)와 같이 하나만을 통해 편면 지지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고, 또 도 5의 (b)와 같이 두 개를 통해 양면 지지형태로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the guide roll (G) may be configured as a single-sided support form through only one as shown in Figure 5 (a), and may be configured as a double-sided support form through two as shown in Figure 5 (b). Of course.

아울러, 도 4에서는 상기 가이드롤(G)을 모식적으로 설명하고 있기 때문에 구체적으로 가이드롤(G)을 고정하는 수단이 개시되어 있지 않으나, 이는 개념설명을 위한 것이기 때문에 오해를 배제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과감하게 생략하였으므로 이를 참고하여 도면을 살피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since the guide roll (G) is schematically illustrated in FIG. 4, a means for fixing the guide roll (G) is not specifically disclos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exclude misunderstandings because it is for conceptual explanation. In boldly omitted, it is preferable to look at the drawings with reference to this.

특히, 상기 투과공(440)은 앞서 설명한 우편물 트레이(420)의 길이방향 중앙, 즉 센터에 하나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다시 말하자면 우편물 트레이(420) 당 하나씩 구비하고 이들 투과공(440) 간의 거리를 정해져 있으므로 센서가 투과공(440)의 개수만 체크하여도 체크를 시작한 투과공(440)이 몇 개의 투과공을 거치게 되면 어디에 위치할 것인지를 제어부(200)가 쉽게 계산할 수 있게 된다.In particular, the through hole 440 is preferably formed in the longitudinal center, that is, the center of the postal mail tray 420 described above, that is, one provided per postal mail tray 420 and the distance between these through holes 440 Since the sensor checks only the number of the through holes 440, the control unit 200 can easily calculate where to be located if the through holes 440 start the check through the through holes.

덧붙여, 경우에 따라서는 도 2의 확대 도시된 일부 측면도에서와 같이, 상기 볼록부(Gb)를 직접 지지하는 지지롤(R)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some cases, as shown in an enlarged side view of the portion of FIG. 2, a support roll R directly supporting the convex portion Gb may be further provided.

뿐만 아니라, 센싱을 위한 투과공(440)은 특별히 위치를 제한하지는 않으나 벨트컨베이어(400)의 상하폭 안에 구비되며, 벨트컨베이어(400)의 길이방향으로 수평해야 한다.In addition, the transmission hole 440 for sensing is not particularly limited in position but provided in the upper and lower width of the belt conveyor 400, it should be horizonta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elt conveyor 400.

또한, 도 4의 도시와 같이, 필요한 경우 벨트컨베이어(400)의 하단부로 하부지지롤(45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는데, 하부지지롤(450)까지 포함하게 되면 벨트컨베이어(400)의 변형을 더욱 더 최소화시킬 수 있으므로 더 정확한 거리 산출이 가능하고, 이는 더 정확한 위치제어를 구현시키게 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4, if necessary, the lower portion of the belt conveyor 400 may be supported by the lower support roll 450, and the lower support roll 450 may include deformation of the belt conveyor 400. Further minimization allows more accurate distance calculation, which results in more accurate position control.

아울러, 이렇게 분류된 우편물 혹은 소화물은 수납박스(미도시)에 일정량씩 취합되어 수납된 후 벨트컨베이어(400)의 하부에 배열설치된 반송컨베이어(510)를 타고 반송되며, 반송된 수납박스는 상차컨베이어(520)를 타고 상차대(500)로 반송되어 차량에 탑재, 즉 상차됨으로써 최종 지역별 배송지로 배송될 수 있는 상태에 놓이게 된다.In addition, the mail or packages classified in this way are collected and stored in a storage box (not shown) by a predetermined amount, and then transported through a conveying conveyor 510 arranged below the belt conveyor 400, and the transported storage box is a carousel conveyor. The vehicle 520 is transported to the vehicle 500 and mounted on the vehicle, that is, the vehicle is placed in a state that can be delivered to the final destination for each region.

이 경우, 수납박스의 반송을 위한 작업은 현재도 인부들이 직접 수작업하고 있는 바, 본 발명에서도 그대로 적용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은 상차까지의 시스템이 아니고, 수납박스에 담기기 전까지의 분류과정에서 분류를 위한 위치검출과 제어를 어떻게 정확하게 하면서 설치공간은 줄이고, 효율화시킬 것인가에 있는 것이므로 부연설명되는 상차방식이나 절차는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는 것이지만, 우편물분류시스템의 일부이기도 하므로 여기에서는 이해를 돕기 위해 보충적으로 설명하고 있을 뿐이다.In this case, the operation for the conveyance of the storage box is still manually handed by the workers, it can b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as it is, the technical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a system until the vehicle, but until the storage box The method and procedure described above are beyo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because they are part of the mail classification system, because the installation space is reduced and efficient while precisely detecting and controlling the location for classification in the classification process. It is only supplementary for better understanding.

따라서, 반송컨베이어(510)를 타고 반송된 수납박스는 반송작업시 각 지역별로 바코드가 부착되고, 상차컨베이어(520)를 타고 이동할 때 상차대(500)에서는 이 바코드를 인식하여 상차할 위치를 결정(기존 시스템)하게 되는데, 이 부분도 본 발명 범주를 벗어나는 것이므로 간략한 설명한 부연한다.Therefore, the storage box conveyed by the conveying conveyor 510 is attached to a bar code for each region during the conveying operation, and when the vehicle is carried on the conveying conveyor 520, the vehicle loading table 500 recognizes the barcode to determine the position to be loaded. (An existing system), which is also beyo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us is briefly explained.

아울러, 상기 상차대(500)는 이를 테면 '서울시', '인천광역시', '경기도', '강원도', '충청남도', '충청북도', '전라남도', '전라북도', '부산광역시', '경상남도', '경상북도', '광주광역시', '대구광역시', '대전광역시' 등과 같이 대단위 지역으로 나뉠 수 있고, 더 세분화 될 수도 있고, 각 상차대(500) 앞에는 탑재할 차량이 대기하게 된다.In addition, the vehicle 500 is such as' Seoul City ',' Incheon Metropolitan City ',' Gyeonggi-do ',' Gangwon-do ',' Chungcheongnam-do ',' Chungcheongbuk-do ',' Jeollanam-do ',' Jeollabuk-do ',' Busan ',' Gyeongsangnam-do, Gyeongsangbuk-do, Gwangju Metropolitan City, Daegu Metropolitan City, Daejeon Metropolitan City, etc. .

정리하자면, 본 발명의 가장 핵심적인 개념은 벨트컨베이어(400)를 세운 상태로 무한궤도 형태로 설치함으로써 점유공간을 크게 하지 않고도 충분히 우편물 분류자동화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는 것이고, 이에 더하여 하나의 광학식 엔코더 혹은 광센서와, 벨트컨베이어(400)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된 투과공(440) 및 벨트컨베이어(400)를 처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가이드롤(G)의 구성을 통해 간단하면서도 정확한 거리측정이 가능하여 우편물의 분류위치를 쉽고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도록 한 것에 있다.In summary, the most essential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by installing the belt conveyor 400 in the form of an endless track, it is possible to construct an automatic mail sorting system without increasing the occupied space, and in addition, an optical encoder. Or through the configuration of the optical sensor, the belt conveyor 400, the transmission hole 440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guide roll (G) for supporting the belt conveyor 400 so as not to sag, a simple and accurate distance.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sorting position of mails easily and accurately by measuring it.

그 외, 이를 구현하기 위해 부대되는 구성들은 본 발명의 구성을 구현하기 위해 수반되는 수단들이다. In addition, the components accompanying to implement this are the means involved to implement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작동관계를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has the following operational relationship.

먼저, 우편물 선적대(100)에 우편물이 배치되고, 각 우편물을 구분하고 자동 인식하기 위한 ID가 부여되면 ID가 할당된 우편물은 우편물 트레이(420)에 올려진다.First, postal matters are arranged on the postal shipping table 100, and an ID for identifying and automatically recognizing each postal mail is assigned to the postal mail tray 420.

이때, 상기 ID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바코드 혹은 RF태그가 될 수 있고, ID가 부여되거나 혹은 할당된다는 의미는 바코드 혹은 RF태그가 우편물에 부착되고, 해당 ID를 일종의 컴퓨터인 제어부(200)가 인식할 수 있는 상태에 놓인다는 것을 의미한다.In this case, as described above, the ID may be a barcode or an RF tag, and an ID is assigned or assigned, and the barcode 200 or an RF tag is attached to the mail, and the controller 200 recognizes the ID. It means you can do it.

이렇게 하여, 우편물 트레이(420)에 올려진 우편물은 벨트컨베이어(400)의 회전구동과 함께 이동되게 되고, 우편물 선적대(100)의 특정지점(주로 최종단)을 지나면서 할당된 ID가 검출되면서 분류지역, 예컨대 '충정남도'라면 제어부(200)는 이 우편물의 분류지역을 충청남도로 인식함과 동시에 센서부(300)는 충청남도로 분류할 우편물이 수납된 우편물 트레이(420)의 하부, 즉 벨트컨베이어(400) 상에 형성된 투과공(440)을 광센서로 검출하여 제어부(200)로 송신하면, 제어부(200)는 충청남도로 분류될 위치까지의 거리, 즉 몇개의 투과공(440)을 거쳐야 하는지를 산출한 후 저장하고, 센서부(200)로부터 연속적으로 검출되어오는 검출값을 카운트한다.In this way, the mail placed on the mail tray 420 is moved with the rotational drive of the belt conveyor 400, while the assigned ID is detected while passing through a specific point (mainly the end) of the mail carrier (100) If the classification area, for example, 'Chungjeongnam-do', the control unit 200 recognizes the classification area of the mail as Chungcheongnam-do, while the sensor unit 300 is the lower part of the mail tray 420, that is, the belt containing mails to be classified as Chungcheongnam-do, that is, the belt. When the transmission hole 440 formed on the conveyor 400 is detected by the optical sensor and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200, the control unit 200 must go through a distance to a position to be classified as Chungcheongnam-do, that is, several transmission holes 440. After calculating whether or not it is calculated and stored, the detection value continuously detected from the sensor unit 200 is counted.

물론, 그 이후에 진행되어 오는 다른 분류지역을 갖는 우편물도 동일한 방식으로 인식 및 검출되며, 이는 인간이 아닌 컴퓨터 개념을 도입한 것이기 때문에 충분히 구현 가능한 것이며, 앞서 설명한 과정을 동시 다발적으로 반복실시하게 된다.Of course, postal matters with other classification areas that proceed afterwards are also recognized and detected in the same way, which is sufficiently feasible because of the introduction of computer concepts, not humans, and it is possible to repeat the above-described process repeatedly. do.

그리하여, 벨트컨베이어(400)가 이송되던 도중 충청남도로 분류될 위치에 해당 우편물을 가진 우편물 트레이(420)가 도착하면, 곧바로 작동실린더(430)가 하강하여 우편물 트레이(420)를 기울임으로써 우편물은 충청남도로 분류되어야 할 낙하물수납대(410) 상에 쏟아져 쌓이게 되고, 이를 작업자가 수납박스에 수납처리하여 상차대(500)로 반송시키며, 반송이 완료되면 상차대(500)에서는 수납박스를 상차한 후 해당 지역으로 배송된다.Thus, if the mail tray 420 with the mail arrives at the position to be classified as Chungcheongnam-do while the belt conveyor 400 is being transferred, the operation cylinder 430 descends and tilts the mail tray 420 so that the mail is in Chungcheongnam-do. Poured on the falling object storage rack 410 to be classified as being stacked, the worker is stored in the storage box and transported to the vehicle loading table 500, and when the transport is completed, the vehicle loading table 500 after loading the storage box Will be shipped to your area.

이때, 상기의 과정은 제어부(200)가 센서부(300)로부터 수신한 검출신호를 연속적으로 카운트하여 충청남도로 분류될 위치까지의 거리를 정확하게 기억하고 있다가 우편물 트레이(420)의 센터, 즉 투과공(440)이 형성된 직상방 위치가 통과되는 순간 작동실린더(430)를 동작시키게 되는 것이며, 그 순간에도 벨트컨베이어(400)는 멈추지 않고 정해진 속도로 계속 움직이는 상태를 유지한다.In this process, the control unit 200 continuously counts the detection signal received from the sensor unit 300 to accurately store the distance to the position to be classified as Chungcheongnam-do, and then transmits to the center of the mail tray 420, that is, the transmission. The operating cylinder 430 is operated as soon as the upright position where the ball 440 is formed passes, and the belt conveyor 400 continues to move at a predetermined speed without stopping even at that moment.

따라서, 투과공(440)의 위치가 변하지 않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롤(G)에 구비된 오목부(Gv)와 벨트컨베이어(400)에 구비된 볼록부(Gb)의 조합은 매우 중요하다 하겠다.Therefore, the combination of the concave portion Gv provided in the guide roll G to guide the position of the transmission hole 440 and the convex portion Gb provided in the belt conveyor 400 is very important.

이러한 과정이 복합적으로 일어나면서 무수히 많은 우편물을 자동으로 아주 쉽고 저렴한 비용으로 분류할 수 있게 된다.This process is a complex process that allows you to automatically classify countless mails at a very easy and low cost.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은 위치제어기능이 필수적으로 뒷받침되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며,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핵심은 우편물 분류자동화시스템 자체에 있는 것이 아니라 그에 속하면서 위치를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는 것이다.
This is possible because the position control function as described above is essentially supported, and thus the co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ans for accurately controlling the position while belonging to the automatic mail classification automation system itself.

100 : 우편물 선적대 200 : 제어부
300 : 센서부 400 : 벨트컨베이어
500 : 상차대
100: mailing table 200: control unit
300: sensor 400: belt conveyor
500: vehicle

Claims (4)

삭제delete 인식가능한 고유 ID가 할당된 라벨을 우편물에 부착하는 우편물 선적대, 상기 고유 ID를 인식하고 산술ㆍ연산ㆍ저장 기능을 갖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인 제어부, 무한궤도 형태로 배열된 벨트컨베이어, 벨트컨베이어를 타고 이동되면서 상기 라벨이 부착된 우편물을 반송하는 우편물 트레이, 벨트컨베이어의 궤도 외측에 배치되고 우편물이 지역별로 분류 집하되게 유도하는 낙하물수납대, 우편물 선적대에 설치되고 우편물 트레이의 통과 갯수를 검출하여 상기 제어부로 송신하는 광학식 엔코더 혹은 광센서로 이루어진 센서부, 상기 낙하물수납대 상에서 분류될 지점별로 각각 설치되고 상기 센서부의 검출값에 따라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우편물 트레이를 타격하여 기울이도록 구비된 작동실린더를 포함하는 우편 또는 소화물 분류자동화시스템용 위치제어 벨트장치로서,
상기 벨트컨베이어는 세워 설치된 평벨트이고;
상기 벨트컨베이어의 상하폭중 임의의 위치에는 벨트컨베이어의 길이방향으로 수평하면서 상기 우편물 트레이와 대응되는 갯수의 투과공이 형성되되, 상기 투과공은 상기 센서부가 검출하는 부분으로서 상기 우편물 트레이의 길이 중심과 수직한 선상에 위치되며;
상기 우편물 트레이는 상기 벨트컨베이어의 상단 에지부에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고정되되, 벨트컨베이어의 에지부 상단에 끼워진 채 볼트 고정되고 상단은 길이보다 작은 크기의 원통형부재를 적어도 하나 이상 일체로 구비한 고정브라켓; 상기 고정브라켓의 원통형부재와 엇갈리게 배치되어 경첩 형태를 이루도록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우편물 트레이의 저면에 일체로 고정된 트레이브라켓; 원통형부재와 트레이브라켓을 관통하여 회전가능하게 결속하는 힌지축; 힌지축에 끼워지고 일단은 고정브라켓에 고정되며 타단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각각 우편물 트레이의 저면에 고정되는 한 쌍의 토션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편 또는 소화물 분류자동화시스템용 위치제어 벨트장치.
A mail carrier that attaches a label assigned with a recognizable unique ID to a mail, a control unit which is a microprocessor that recognizes the unique ID and has arithmetic, arithmetic and storage functions, a belt conveyor arranged in an orbit, and a belt conveyor. And a mailing tray for conveying the mail with the label, which is disposed outside the track of the belt conveyor, which is arranged on the dropping tray for inducing mail to be sorted by region, and installed on the mailing table and detecting the number of passages of the mailing tray. Sensor unit consisting of an optical encoder or an optical sensor to be transmitted to each of the points to be classified on the falling object storage table, the operation cylinder is provided to strike and tilt the postal tray by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detection value of the sensor unit Post or package sorting automation system including Position control belt device for the system,
The belt conveyor is a flat belt installed upright;
Any number of through holes corresponding to the postal tray is formed at an arbitrary position of the belt conveyor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is horizontal to the length of the belt conveyor. Located on a vertical line;
The mail tray is fix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upper edge portion of the belt conveyor, the bolt is fixed while being fitted to the upper edge portion of the belt conveyor and the upper end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cylindrical member of a size smaller than the length integrally One fixing bracket; A tray bracket which is alternately disposed with the cylindrical member of the fixing bracket and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so as to form a hinge shape and is fixed integrally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l tray; A hinge shaft rotatably coupled through the cylindrical member and the tray bracket; A pair of torsion springs fitted to the hinge shafts, one end of which is fixed to the fixing bracket,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fixed to the bottom of the mail tray, while the other ends thereof are disposed in opposite directions, respectively. Positioning belt device for system.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벨트컨베이어는 일측면 또는 양측면이 수직하게 설치된 다수의 가이드롤에 의해 구름접촉되면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편 또는 소화물 분류자동화시스템용 위치제어 벨트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belt conveyor position control belt device for a postal or package sorting autom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one side or both sides are supported while rolling contact by a plurality of guide rolls installed vertically.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벨트컨베이어의 폭 방향으로 투과공과 간섭되지 않게 벨트컨베이어의 일측 혹은 양측에 볼록부가 형성되되, 상기 볼록부는 벨트컨베이어의 길이방향으로 수평하게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롤은 상기 볼록부가 대응삽입될 수 있도록 오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편 또는 소화물 분류자동화시스템용 위치제어 벨트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Convex portions are formed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belt conveyor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transmission hol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elt conveyor, the convex portion is formed horizontal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elt conveyor,
And the guide roll further comprises a concave portion so that the convex portion can be correspondingly inserted.
KR1020110113512A 2011-11-02 2011-11-02 Post or package position detecting and control belt device for post or package automatically distribution system KR10127084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3512A KR101270844B1 (en) 2011-11-02 2011-11-02 Post or package position detecting and control belt device for post or package automatically distribu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3512A KR101270844B1 (en) 2011-11-02 2011-11-02 Post or package position detecting and control belt device for post or package automatically distribution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8586A KR20130048586A (en) 2013-05-10
KR101270844B1 true KR101270844B1 (en) 2013-06-05

Family

ID=48659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3512A KR101270844B1 (en) 2011-11-02 2011-11-02 Post or package position detecting and control belt device for post or package automatically distribution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0844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4270B1 (en) 2013-06-12 2014-04-09 (주)아이콘 Spacer selection output device for camera lens
KR20220129121A (en) 2021-03-15 2022-09-23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lat feed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27466A (en) * 2018-09-30 2019-01-04 中山众信智能自动化设备有限公司 Vegetable and fruit screening and classifying machine
CN109848054A (en) * 2018-10-31 2019-06-07 苏州工业园区职业技术学院 A kind of multilayer delivery type materials-sorting system
KR102651016B1 (en) * 2023-02-20 2024-03-26 (주)로보텍 Non-standard package sorting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22430A (en) 1984-02-03 1988-02-02 Francesco Canziani Carriage for sorting-machines in particular, with independently actioned tiltable plate
JPH09508610A (en) * 1994-01-03 1997-09-02 シモレックス リミテッド Selective delivery conveyor system
JP2000334391A (en) * 1999-06-02 2000-12-05 Kirin Techno-System Corp Automatic inspection device by image processing
US6276510B1 (en) 1998-01-29 2001-08-21 Sunkist Growers, Inc. Conveyor link for monorail conveyor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22430A (en) 1984-02-03 1988-02-02 Francesco Canziani Carriage for sorting-machines in particular, with independently actioned tiltable plate
JPH09508610A (en) * 1994-01-03 1997-09-02 シモレックス リミテッド Selective delivery conveyor system
US6276510B1 (en) 1998-01-29 2001-08-21 Sunkist Growers, Inc. Conveyor link for monorail conveyor system
JP2000334391A (en) * 1999-06-02 2000-12-05 Kirin Techno-System Corp Automatic inspection device by image processing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4270B1 (en) 2013-06-12 2014-04-09 (주)아이콘 Spacer selection output device for camera lens
KR20220129121A (en) 2021-03-15 2022-09-23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lat fee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8586A (en) 2013-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0844B1 (en) Post or package position detecting and control belt device for post or package automatically distribution system
US5868238A (en) High speed smart diverter for a conveyor sorter
CN112896965B (en) Material handling apparatus with a vehicle
US5984078A (en) Automated shuttle sorter for conveyors
US7475520B2 (en) Tray positioning device for stacking of product
CN102639782B (en) Cloth product folding system
JP4171041B2 (en) Sorting device for flat mail
KR100997071B1 (en) Article sorting system using rfid
CN106914424B (en) Sorting system
KR101721829B1 (en) System for automatic sorting product and management method thereof
EP1695927A2 (en) Apparatus for selecting and sorting products
US20070272105A1 (en) Apparatus and process for transporting lithographic plates to a press cylinder
US20060180434A1 (en) Tray positioning device for stacking of product and method of use
JP2000512254A (en) High-speed automatic cog sorter
CN112173654A (en) Express sorting and centering machine and management method thereof
CN204150670U (en) Device is allocated at the right angle of sorter
CN114632704B (en) Logistics sorting equipment and sorting system thereof
KR20120121125A (en) Sorting system for returing goods using image information
KR20120048744A (en) Sorting apparatus
CN210635292U (en) Express delivery is parcel automatic sorting device for commodity circulation
CN212821174U (en) Interval overturning type sorting system for intelligent logistics packages
CN108787498B (en) Sorting method and sorting device for clothes sorting box
CN213409463U (en) Multi-mode sorting equipment
US20080047806A1 (en) Transfer mechanism and method of use
CN213659482U (en) Automatic express delivery bar code input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