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0745B1 - 광 통합 및 분리 장치 - Google Patents

광 통합 및 분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0745B1
KR101270745B1 KR1020090116984A KR20090116984A KR101270745B1 KR 101270745 B1 KR101270745 B1 KR 101270745B1 KR 1020090116984 A KR1020090116984 A KR 1020090116984A KR 20090116984 A KR20090116984 A KR 20090116984A KR 101270745 B1 KR101270745 B1 KR 1012707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enses
focusing
collimating
op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69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0403A (ko
Inventor
이준기
강세경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901169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0745B1/ko
Publication of KR201100604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04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07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07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10Beam splitting or combining systems
    • G02B27/1006Beam splitting or combining systems for splitting or combining different wavelength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6Optical coupling means
    • G02B6/28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data bus means, i.e. plural waveguides interconnected and providing an inherently bidirectional system by mixing and splitting signals
    • G02B6/293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data bus means, i.e. plural waveguides interconnected and providing an inherently bidirectional system by mixing and splitting signals with wavelength selective means
    • G02B6/29379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data bus means, i.e. plural waveguides interconnected and providing an inherently bidirectional system by mixing and splitting signals with wavelength selective mean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use of the complete device
    • G02B6/2938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data bus means, i.e. plural waveguides interconnected and providing an inherently bidirectional system by mixing and splitting signals with wavelength selective mean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use of the complete device for multiplexing or demultiplexing, i.e. combining or separating wavelengths, e.g. 1xN, NxM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01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 G02B6/4204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the coupling comprising intermediate optical elements, e.g. lenses, holograms
    • G02B6/4206Optical fea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01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 G02B6/4204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the coupling comprising intermediate optical elements, e.g. lenses, holograms
    • G02B6/4214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the coupling comprising intermediate optical elements, e.g. lenses, holograms the intermediate optical element having redirecting reflective means, e.g. mirrors, prisms for deflecting the radiation from horizontal to down- or upward direction toward a devic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01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 G02B6/4204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the coupling comprising intermediate optical elements, e.g. lenses, holograms
    • G02B6/4215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the coupling comprising intermediate optical elements, e.g. lenses, holograms the intermediate optical elements being wavelength selective optical elements, e.g. variable wavelength optical modules or wavelength lock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Couplings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광 신호를 통합하거나 분리하기 위한 광 통신용 모듈이나, 영사기 등의 영상 장치에 응용될 수 있는 광 통합 및 분리 장치를 개시한다. 광 통합 장치는 발광부들과, 콜리메이팅(collimating) 렌즈들, 및 포커싱 렌즈(focusing)를 포함한다. 발광부들은 서로 이격된 곳들로부터 광을 각각 발산하여 복수의 광을 발산한다. 콜리메이팅 렌즈들은 발광부들로부터 입력된 복수의 광을 평행 광으로 각각 만들어준다. 포커싱 렌즈는 콜리메이팅 렌즈들을 거쳐 만들어진 각각의 평행 광을 한 곳으로 모아준다. 이에 따라, 간단한 구조와 낮은 비용으로도, 다수 공간에서 입력되는 광은 한 곳으로 통합되거나, 한 곳에서 입력된 광은 다수의 공간으로 분리될 수 있다.

Description

광 통합 및 분리 장치{optical combining and splitting device}
본 발명은 광 신호를 통합하거나 분리하기 위한 광 통신용 모듈이나, 영사기 등의 영상 장치에 응용될 수 있는 광 통합 및 분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연구는 지식경제부의 IT원천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 [과제관리번호: 2008-F-017-02, 과제명: 100Gbps급 이더넷 및 광전송기술개발]
광통신 시스템이나 광통신 네트워크에는 단순히 광의 세기를 통합하거나 분리해야 하는 필요성에서부터 광의 파장을 다중화(Multiplexing)하거나 역다중화(Demultiplexing)해야 하는 필요성이 존재하고 있다. 광의 세기를 통합하거나 분리하는 경우에는 광섬유나 PLC(Planar Light-wave Circuit)형태의 광 분리/통합기(Splitter/Combiner)가 많이 사용되며, 광 신호를 파장별로 분리하거나 통합하는 경우에는 박막필터(Thin film filter)나 PLC 형태의 AWG(Arrayed Waveguide Grating)가 많이 사용된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광 분리 장치의 일 예이다(미국등록번호 4,765,715 참조). 도 1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광 분리 장치(10)는 광 분리를 위한 소자를 포함한다. 광 분리를 위한 소자는 투명 블록(11)의 입력쪽 면에 무반사층(12)과 반 사층(13)이 형성되고, 투명 블록(11)의 출력쪽 면에 해당 파장의 광만을 투과시키는 부분 반투과층들(14a,14b,14c,14d)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광 분리 장치(10)에서는, 단일 입력광이 무반사층(12)을 통과해서 투명 블록(11) 내로 입력되면, 부분 반투과층들(14a,14b,14c,14d)과 반사층(13) 사이에서 직진 또는 지그재그 경로로 진행하면서 해당 파장의 광만이 부분 반투과층들(14a,14b,14c)을 투과한다. 이 과정에서, 단일 입력광은 복수의 출력광으로 분리된다.
도 2는 종래에 따른 광 통합 장치의 일 예이다(미국등록번호 6,005,718 참조).
도 2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광 통합 장치(20)는 광 통합을 위한 소자를 포함한다. 광 통합을 위한 소자는 플랫 플레이트(21)가 투명재료로 형성되고, 플랫 플레이트(21)의 입력쪽 면에 해당 파장의 광만을 투과시키는 비반사 코팅막(22) 및 다이크로익 미러(Dichroic mirror) 코팅막들(23,24)이 형성되며, 플랫 플레이트(21)의 출력쪽 면에 광대역 고반사 코팅막(25)과 광대역 비반사 코팅막(26)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광 통합 장치(20)에서는, 서로 다른 파장(λ1,λ2,λ3)을 갖는 광이 동일 간격으로 플랫 플레이트(21)의 입력쪽 면으로 입력되면, 비반사 코팅막(22) 및 다이크로익 미러 코팅막들(23,24)을 각각 투과한다. 투과된 광 중에서 λ1 파장을 갖는 광과 λ2 파장을 갖는 광은 광대역 고반사 코팅막(25)과 다이크로익 미러 코팅막들(23,24)에 의해 반사되어 지그재그 경로로 진행하면서 통합된 후, 광대 역 비반사 코팅막(26)으로 곧바로 진행하는 λ3 파장을 갖는 광과 통합되어 광대역 비반사 코팅막(26)을 통해 출력된다.
그런데, 전술한 광 분리 장치(10) 및 광 통합 장치(20)뿐 아니라, 기존의 광 분리 장치 및 광 통합 장치는 입력되는 광이 지그재그 경로로 진행하면서 광 분리 및 광 통합되게 하는 광 소자를 갖는 것이 대부분이다. 또한, 기존의 광 분리 장치 및 광 통합 장치는 입력된 광이 퍼지지 않게 하기 위하여 광 소자의 입력단에 콜리메이팅(collimating) 렌즈를 필요로 하고, 광 소자의 출력단에는 광섬유 또는 광검출기에 커플링(coupling)하기 위하여 포커싱(focusing) 렌즈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전체적인 장치의 구조가 복잡해지고, 광 정렬 작업이 복잡해지기 때문에 수율이 낮아지게 된다. 결국, 생산 비용이 높아지는 단점으로 이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간단한 구조와 낮은 비용으로도, 다수 공간에서 입력되는 광을 한 곳으로 통합하거나, 한 곳에서 입력된 광을 다수의 공간으로 분리할 수 있는 광 통합 및 분리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광 통합 장치는, 서로 이격된 곳들로부터 광을 각각 발산하여 복수의 광을 발산하는 발광부들; 상기 발광부들로부터 입력된 복수의 광을 평행 광으로 각각 만들어주는 콜리메이팅(collimating) 렌즈들; 및 상기 콜리메이팅 렌즈들을 거쳐 만들어진 각각의 평행 광을 한 곳으로 모아주는 포커싱(focusing) 렌즈;를 포함한다.
그리고, 광 분리 장치는, 하나의 입력용 광섬유로부터 입력된 광을 평행 광으로 만들어주는 콜리메이팅(collimating) 렌즈; 상기 콜리메이팅 렌즈를 거쳐 만들어진 평행 광을 복수의 광으로 분리하고 서로 이격된 곳들로 각각 모아주는 포커싱(focusing) 렌즈들; 및 상기 포커싱 렌즈들에 의해 모아진 각각의 광을 수렴하는 수광부들;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입력광이 지그재그 경로로 진행하면서 통합 또는 분리되게 하는 광 소자를 필요로 하지 않고, 콜리메이팅 렌즈와 포커싱 렌즈만을 이용하 여 광을 통합하거나 광을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광 통합 및 분리 장치는 구조가 간단해질 수 있고, 광 정렬이 용이할 수 있으며, 저가로 생산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통합 장치에 대한 측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광 통합 장치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광 통합 장치(100)는 복수의 발광부(110)들과, 복수의 콜리메이팅(collimating) 렌즈(120)들, 및 하나의 포커싱(focusing) 렌즈(130)를 포함한다.
발광부(110)들은 서로 이격된 곳들로부터 광을 각각 발산하여, 복수의 광을 발산하는 기능을 한다. 발광부(110)들은 발산된 복수의 광이 콜리메이팅 렌즈(120)들로 입력되게 위치된다. 여기서, 복수의 광은 모두 동일 파장을 갖는 광일 수 있다.
일 예로, 발광부(110)들은 광을 각각 생성해서 발산하는 광원(111)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광원(111)은 LD(laser diode) 또는 VSCEL(vertical-cavity surface-emitting laser)일 수 있다. 광원(111)들은 개별 광원 형태로 구성되어 독립적인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광원(111)들은 어레이 광원 형태로 구성되어 일체화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광원(111)들은 방사상으로 배열되고, 이에 상응하여 콜리메이팅 렌즈(120)들도 방사상으로 배열된 것으로 도시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그리고, 광원(111)들과 콜리메이팅 렌즈(120)들은 동일 평면상에 각각 배열된 것으로 도시하고 있지만, 서로 다른 평면상에 배열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광원(111)들의 배열 모양도 다양할 수 있으므로, 여러 변형 예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다른 예로, 도시하고 있진 않지만, 발광부(110)들은 광을 각각 입력 받아 발산하는 입력용 광섬유들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용 광섬유들은 일정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고, 각각의 출력단이 콜리메이팅 렌즈(120)들에 일대일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
콜리메이팅 렌즈(120)들은 발광부(110)들로부터 발산되어 입력된 복수의 광을 평행 광으로 각각 만들어주기 위한 것이다. 콜리메이팅 렌즈(120)들은 발광부(110)들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를 갖고, 발광부(110)들에 일대일 대응되게 배치된다. 콜리메이팅 렌즈(120)들은 개별 렌즈 형태로 구성되어 독립적인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콜리메이팅 렌즈(120)들은 어레이 렌즈 형태로 구성되어 일체화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포커싱 렌즈(130)는 콜리메이팅 렌즈(120)들을 거쳐 만들어진 각각의 평행 광을 한 곳으로 모아주기 위한 것이다. 포커싱 렌즈(130)는 평행 광을 모두 입력 받아서 한 곳으로 모아줄 수 있는 크기로 이루어진다. 포커싱 렌즈(130)에 의해 하나로 모아진 광은 출력용 광섬유(140)로 입사될 수 있다. 이 경우, 포커싱 렌즈(130)의 개구수(Numerical Aperture)는 출력용 광섬유(140)의 개구수 이하의 값 으로 설정되어, 결합 손실을 최소화함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광 통합 장치(100)의 작용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발광부(110)들이 광원(111)들을 포함하는 경우를 예로 든다. 그리고, 4개의 광원(111)들로부터 발산된 4개의 광이 하나로 통합되는 것으로 예시하고 있지만, 2개 이상의 광이 하나로 통합되도록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먼저, 광원(111)들로부터 복수의 광, 예컨대 모두 동일한 파장을 갖는 4개의 광이 각각 생성되면, 발산각(Divergence angle)에 따라 광이 각각 퍼져서 콜리메이팅 렌즈(120)들로 입력된다. 그러면, 콜리메이팅 렌즈(120)들로 입력된 4개의 광은 콜리메이팅 렌즈(120)들에 의해 평행 광으로 변환된 후 직진하여 포커싱 렌즈(130)로 입력된다. 그러면, 포커싱 렌즈(130)로 입력된 평행 광은 포커싱 렌즈(130)에 의해 한 초점으로 통합된 후, 출력용 광섬유(140)로 커플링되어 출력된다. 즉, 동일한 파장을 갖는 복수의 광은 하나의 광으로 통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광이 지그재그 경로로 진행하면서 하나의 광으로 통합되게 하는 광 소자를 필요로 하지 않고, 복수의 콜리메이팅 렌즈(120)들과 하나의 포커싱 렌즈(130)만을 이용하여 광을 통합할 수 있다. 따라서, 광 통합 장치(100)의 전체적인 구조가 간단해질 수 있다. 이로 인해, 광 통합 장치(100)는 광 정렬이 용이해질 수 있을 뿐 아니라, 저가로 생산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광원(111)은 이와 대응되는 콜리메이팅 렌즈(120)와 티오-캔(T0-can) 형태로 패키징될 수 있다. 즉, 하나의 광 원(111)과 하나의 콜리메이팅 렌즈(120)가 하나의 티오-캔 형태로 패키징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광원(111)과 콜리메이팅 렌즈(120) 간에 정렬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광원(111)들을 콜리메이팅 렌즈(120)들에 대해 개별적으로 정렬할 수 있으므로, 광원(111)들을 콜리메이팅 렌즈(120)들에 대해 한번에 정렬하는 것에 비해, 정렬이 용이해질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 통합 장치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광 통합 장치(200)는, 발광부(210)들은 서로 다른 파장(λ1,λ2,λ3,λ4)을 갖는 복수의 광을 발산하는 점에서 차이가 있으며, 나머지 구성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발광부(210)들로부터 서로 다른 파장(λ1,λ2,λ3,λ4)을 갖는 복수의 광이 발산되면, 발사된 복수의 광은 콜리메이팅 렌즈(120)들을 거쳐 평행 광으로 변환된 후, 포커싱 렌즈(130)를 거쳐 한 초점으로 통합된다. 즉, 서로 다른 파장(λ1,λ2,λ3,λ4)을 갖는 복수의 광이 하나로 통합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분리 장치에 대한 측면도이며, 도 8은 도 7의 광 분리 장치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광 분리 장치(300)는 하나의 콜리메이팅 렌즈(310)와, 복수의 포커싱 렌즈(320)들, 및 복수의 수광부(330)들을 포함한다.
콜리메이팅 렌즈(310)는 하나의 입력용 광섬유(340)로부터 입력된 광을 평행 광으로 만들어주기 위한 것이다. 입력용 광섬유(340)로부터 입력되는 광은 단일 파장을 갖는 광일 수 있다. 콜리메이팅 렌즈(310)는 입력용 광섬유(340)로부터 발산되어 입력되는 광을 모두 입력 받을 수 있는 크기로 이루어진다.
포커싱 렌즈(320)들은 콜리메이팅 렌즈(310)를 거쳐 만들어진 평행 광을 복수의 광으로 분리하고 서로 이격된 곳들로 각각 모아주기 위한 것이다. 포커싱 렌즈(320)들은 분리하고자 하는 광의 개수에 상응하는 개수로 구성된다. 포커싱 렌즈(320)들은 개별 렌즈 형태로 구성되어 독립적인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포커싱 렌즈(320)들은 어레이 렌즈 형태로 구성되어 일체화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포커싱 렌즈(320)들은 방사상으로 배열되고, 동일 평면상에 배열된 것으로 도시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포커싱 렌즈(320)들의 배열 모양도 다양할 수 있으므로, 여러 변형 예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수광부(330)들은 포커싱 렌즈(320)들에 의해 모아진 각각의 광을 수렴한다. 수광부(330)들은 포커싱 렌즈(320)들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를 갖고, 포커싱 렌즈(320)들에 일대일 대응되게 배치된다. 일 예로, 수광부(330)들은 광 데이터를 판별하거나 광의 세기를 모니터링하는 광검출기(331)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광검출기(331)는 PD(photo diode)일 수 있다. 광검출기(331)들은 개별 광검출기 형태로 구성되어 독립적인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광검출기(331)들은 어레이 광검출기 형태로 구성되어 일체화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예로, 도시하고 있진 않지만, 수광부(330)들은 서로 다른 경로로 광을 분배하는 출력용 광섬유들을 포함할 수 있다. 출력용 광섬유들은 일정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고, 각각의 입력단이 포커싱 렌즈(320)들에 일대일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광 분리 장치(300)의 작용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하나의 광이 4개의 광으로 분리되는 것으로 예시하고 있지만, 2개 이상의 광으로 분리되도록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먼저, 입력용 광섬유(340)로부터 단일 파장을 갖는 하나의 광이 발산각도에 따라 퍼져서 콜리메이팅 렌즈(310)로 입력된다. 그러면, 콜리메이팅 렌즈(310)로 입력된 광은 콜리메이팅 렌즈(310)에 의해 평행 광으로 변환된 후 직진하여 포커싱 렌즈(320)들로 입력된다. 그러면, 포커싱 렌즈(320)들로 입력된 평행 광은 포커싱 렌즈(320)들에 의해 각각 다른 초점으로 분리된다. 즉, 하나의 광은 복수의 광으로 분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나의 광이 지그재그 경로로 진행하면서 복수의 광으로 분리되게 하는 광 소자를 필요로 하지 않고, 하나의 콜리메이팅 렌즈(310)와 복수의 포커싱 렌즈(320)들만을 이용하여 광을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광 분리 장치(300)의 전체적인 구조가 간단해질 수 있다. 이로 인해, 광 분리 장치(300)는 광 정렬이 용이해질 수 있을 뿐 아니라, 저가로 생산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 분리 장치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광 분리 장치(400)는, 입력용 광섬유(440)는 서로 다른 파장(λ1,λ2,λ3,λ4)이 다중화된 광을 콜리메이팅 렌즈(310)로 입력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그리고, 포커싱 렌즈(320)들의 출력단에 해당 파장의 광만을 선택하여 투과시키는 파장 선택형 소자(450)들을 더 포함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으며, 나머지 구성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서로 다른 파장(λ1,λ2,λ3,λ4)이 다중화된 광이 입력용 광섬유(440)로부터 콜리메이팅 렌즈(310)로 입력되면, 콜리메이팅 렌즈(310)에 의해 평행 광으로 변환된 후 포커싱 렌즈(320)들로 입력된다. 그러면, 포커싱 렌즈(320)들에 의해 복수의 광으로 분리되어 파장선택형 소자(450)들로 입력된다. 그러면, 파장선택형 소자(450)들은 해당 파장의 광만을 선택하여 투과시킨다. 따라서, 서로 다른 파장(λ1,λ2,λ3,λ4)이 다중화된 광은 파장별로 복수의 광으로 분리될 수 있다.
한편,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광검출기(331)는 이와 대응되는 포커싱 렌즈(320)와 파장선택형 소자(450)와 티오-캔 형태로 패키징될 수 있다. 즉, 하나의 광검출기(331)와 하나의 포커싱 렌즈(320)와 하나의 파장선택형 소자(450)가 하나의 티오-캔 형태로 패키징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광검출기(331)와 포커싱 렌즈(320)와 파장선택형 소자(450) 간에 정렬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광검출기(331)들을 포커싱 렌즈(320)들과 파장선택형 소자(450)들에 대해 각각 개별적으로 정렬할 수 있으므로, 광검출기(331)들을 포커싱 렌즈(320)들과 파장선택형 소자(450)들에 대해 한번에 정렬하는 것에 비해, 정렬이 용이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광 분리 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종래에 따른 광 통합 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통합 장치에 대한 측면도.
도 4는 도 3의 광 통합 장치에 대한 사시도.
도 5는 도 3에 있어서, 광원과 콜리메이팅 렌즈가 패키징된 예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 통합 장치에 대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분리 장치에 대한 측면도.
도 8은 도 7의 광 분리 장치에 대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 분리 장치에 대한 사시도.
도 10은 도 9에 있어서, 광검출기와 포커싱 렌즈와 파장선택형 소자가 패키징된 예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10,210..발광부 111..광원
120,310..콜리메이팅 렌즈 130,320..포커싱 렌즈
140..출력용 광섬유 330..수광부
331..광검출기 340,440..입력용 광섬유
450..파장선택형 소자

Claims (15)

  1. 서로 이격된 곳들에 배치되고 광을 각각 생성해서 복수의 광을 발산하는 광원들을 구비하는 발광부들;
    상기 광원들로부터 입력된 복수의 광을 평행 광으로 각각 만들어주는 콜리메이팅(collimating) 렌즈들; 및
    상기 콜리메이팅 렌즈들을 거쳐 만들어진 각각의 평행 광을 한 곳으로 모아주는 포커싱(focusing) 렌즈;를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광원은 이와 대응되는 상기 콜리메이팅 렌즈와 티오-캔(T0-can) 형태로 패키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통합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들은 서로 다른 파장을 갖는 복수의 광을 발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통합 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들은 개별 광원 형태로 구성되거나 어레이 광원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통합 장치.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콜리메이팅 렌즈들은 개별 렌즈 형태로 구성되거나 어레이 렌즈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통합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커싱 렌즈에 의해 하나로 모아진 광은 출력용 광섬유로 입사되며;
    상기 포커싱 렌즈의 개구수는 상기 출력용 광섬유의 개구수 이하의 값으로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통합 장치.
  9. 서로 다른 파장이 다중화된 광을 하나의 입력용 광섬유로부터 입력 받아 평행 광으로 만들어주는 콜리메이팅(collimating) 렌즈;
    상기 콜리메이팅 렌즈를 거쳐 만들어진 평행 광을 복수의 광으로 분리하고 서로 이격된 곳들로 각각 모아주는 포커싱(focusing) 렌즈들;
    상기 포커싱 렌즈들의 출력단에 해당 파장의 광만을 선택하여 투과시키는 파장 선택형 소자들; 및
    상기 포커싱 렌즈들에 의해 각각 분리되어 모아지고 상기 파장 선택형 소자들을 거친 각각의 광을 수렴하며, 광 데이터를 판별하거나 광의 세기를 모니터링하는 광검출기들을 구비하는 수광부들;을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광검출기는 이와 대응되는 상기 포커싱 렌즈와 상기 파장선택형 소자와 티오-캔(T0-can) 형태로 패키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분리 장치.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광검출기들은 개별 광검출기 형태로 구성되거나 어레이 광검출기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분리 장치. .
  14. 삭제
  15.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포커싱 렌즈들은 개별 렌즈 형태로 구성되거나 어레이 렌즈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분리 장치.
KR1020090116984A 2009-11-30 2009-11-30 광 통합 및 분리 장치 KR1012707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6984A KR101270745B1 (ko) 2009-11-30 2009-11-30 광 통합 및 분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6984A KR101270745B1 (ko) 2009-11-30 2009-11-30 광 통합 및 분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0403A KR20110060403A (ko) 2011-06-08
KR101270745B1 true KR101270745B1 (ko) 2013-06-03

Family

ID=44395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6984A KR101270745B1 (ko) 2009-11-30 2009-11-30 광 통합 및 분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07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31782B2 (en) * 2011-05-23 2016-05-03 Hewlett Packard Enterprise Development Lp Optical transmission system
US10110338B2 (en) 2016-06-24 2018-10-23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optical signal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8761A (ko) * 2008-07-16 2010-01-26 옵티시스 주식회사 광학적 파장분할다중 방식 광통신모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8761A (ko) * 2008-07-16 2010-01-26 옵티시스 주식회사 광학적 파장분할다중 방식 광통신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0403A (ko) 2011-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36757B (zh) 雙向光學資料通訊模組
US10007065B2 (en) Multiplexed optoelectronic engines
US8540437B2 (en) Multi-wavelength optical transmitting and receiving modules
JPH02277008A (ja) 波長多重光伝送装置
CN213659025U (zh) 一种光接收组件及光模块
KR20140079540A (ko) 파장 분할 다중화 방식을 이용한 광수신 모듈
KR20140112012A (ko) 집적된 서브-파장 격자 시스템
JP2010061139A (ja) 光モジュール
WO2011120248A1 (zh) 可扩展和可重构的光路分插复用器
CN101984565B (zh) 多通道双功能波分复用光电集成模块
JPH10307228A (ja) ラインモニタとこれを用いた光増幅装置
KR101270745B1 (ko) 광 통합 및 분리 장치
JP2000171660A (ja) 光分波器
CN102681111A (zh) 一种解波分复用光电接收模块
US20030002101A1 (en) Device and method for multiplexing and/or demultiplexing optical signals of a plurality of wavelengths
US7277607B2 (en) Optical multiplexer/demultiplexer, optical device, and optical transmission system
WO2023061024A1 (zh) 光接收组件及光模块
JPH0918423A (ja) 光接続素子及び光接続装置
KR101886369B1 (ko) 광학 디먹스 모듈 및 광학 먹스 모듈
JP2003066376A (ja) 波長分離光学デバイス及び波長多重光伝送モジュール
KR100786341B1 (ko) 파장 모니터링 장치
US9729243B2 (en) Optoelectronic transmitter, optoelectronic receiver and optoelectronic transceiver
KR100611818B1 (ko) 파장분할다중화용 양방향 통신을 위한 전송시스템 및 광모듈
KR102041589B1 (ko) 파장다중 양방향 광송수신 장치
JP5579817B2 (ja) 多波長光信号の光−光型シリアル−パラレル変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