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0222B1 - Apparatus for seperating of water and oil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seperating of water and oi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70222B1 KR101270222B1 KR1020110145992A KR20110145992A KR101270222B1 KR 101270222 B1 KR101270222 B1 KR 101270222B1 KR 1020110145992 A KR1020110145992 A KR 1020110145992A KR 20110145992 A KR20110145992 A KR 20110145992A KR 101270222 B1 KR101270222 B1 KR 10127022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oil
- wall
- plug
- separa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7/00—Separation of liquid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by thermal diffusion
- B01D17/02—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 B01D17/0208—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17/0211—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by sedimentation with baffle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E03F5/16—Devices for separating oil, water or grease from sewage in drains leading to the main sewer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1/00—Nature of the contaminant
- C02F2101/30—Organic compounds
- C02F2101/32—Hydrocarbons, e.g. oi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Removal Of Floating Material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유수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플러그를 이용하여 월류높이를 조절하므로 물과 기름을 신속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된 유수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il / water separa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oil / water separator that can quickly separate water and oil b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moon by using a plug.
일반적으로 송유관이나 저유소에서 기름이 누출되면 하수도를 통해 흘러가서 논이나 하천으로 유입된다. Generally, oil leaks from oil pipelines or reservoirs flow through sewers and into rice fields or streams.
논이나 하천에 기름이 유입되면 신속하게 펌프를 이용하여 기름과 물이 혼합된 혼합수을 흡입하여 별도로 처리해야 한다.If oil enters rice fields or streams, it is necessary to use a pump to quickly suck up the mixed water mixed with oil and treat them separately.
하지만 혼합수을 별도로 처리하기 위해서는 탱크로리의 용량이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in order to treat the mixed water separately,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apacity of the tank lorry becomes large.
한편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혼합수으로부터 물과 기름을 분리할 수 있는 유수분리기가 개발되었다.Meanwhil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n oil and water separator capable of separating water and oil from mixed water has been developed.
상기한 바와 같은 유수분리기의 일 예가 실용신안등록 제20-0380934호(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함)에 개시되어 있다. An example of the oil / water separator as described above is disclosed i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380934 (hereinafter referred to as 'Patent Document 1').
도 3은 종래기술인 특허문헌 1에 따른 유수분리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oil / water separator according to Patent Document 1, which is a prior art.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허문헌 1에 따른 유수분리기(100)는 유수공급구(112)를 통하여 기름과 물이 혼합된 혼합수가 유입되고, 유입된 혼합수는 기름차단판(150)을 중심으로 하여 유수공급구(112)측의 상부에는 오일이 부유되고, 기름차단판(150)을 중심으로 배수구(170) 측의 상부에는 하부로부터 분리된 물이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유수공급구(112) 측에 형성된 회수구(160)를 통하여 기름이 외부로 배출되고, 배수구(170)측의 물은 배수구(17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As shown in FIG. 3, the oil /
하지만 상기와 같은 유수분리기(100)는 배수구(17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없으므로 물과 기름의 비율에 따라 달라지는 기름의 높이에 대하여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since the oil-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수직관의 상단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플러그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높이가 다른 기름층에 대하여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으므로 분리속도가 향상된 유수분리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is provided to adjust the height of the plug sliding along the top of the vertical pipe can effectively respond to the oil layer having a different height separation of oil and water separation is improved The purpose is to provide a device.
아울러 본 발명은 유입구가 수직관의 상단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자중에 의해 별도의 펌프가 없이도 유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된 유수분리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il-water separation apparatus that is inlet is dispos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pipe to supply the oil water without a separate pump by its own weight.
또한 본 발명은 탱크의 하부에 바퀴가 설치되어 필요시 이동이 가능하도록 된 유수분리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il-water separator that is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tank to be movable when necessary.
또한 본 발명은 플러그의 측면에 수직방향으로 복수개의 개구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필요에 따라 수직관의 상단을 통하여 물이 월류하는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된 유수분리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lurality of openings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side of the plug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oil-water separation device that can easily adjust the height of the water flows through the top of the vertical pipe as needed.
아울러 본 발명은 탱크의 상부에 덮개를 설치하므로 탱크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유수분리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il and water separation device that can be installed to the top of the tank to prevent foreign matter from entering the interior of the tank.
본 발명은 탱크의 내부에서 각각 구획되는 물과 기름의 혼합수가 유입되는 분리유도부, 상기 분리유도부에서 분리된 물이 수용되는 물수용부, 상기 분리유도부에서 분리된 기름이 수용되는 기름수용부, 상기 분리유도부와 상기 기름수용부를 구획하는 제1벽과 상기 분리유도부와 상기 물수용부를 구획하며 상기 제1벽보다 높고 하부에 개구가 형성된 제2벽 및 상기 물수용부와 상기 기름수용부를 구획하며 상기 제1벽보다 높은 제3벽으로 이루어지는 분할부, 상기 물수용부의 내부에 상단이 상기 제1벽보다 높고 상기 제2벽과 제3벽보다 낮으며 하부에 배출관이 연통되는 수직관 및 상기 수직관의 상단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측면에 관통구가 형성된 플러그를 포함하는 유수분리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eparation guide portion into which the mixed water of oil and water partitioned inside the tank is introduced, the water accommodation portion accommodates the water separated in the separation guide portion, the oil accommodation portion accommodates the oil separated in the separation guide portion, A first wall partitioning the separation induction part and the oil receiving part, a second wall partitioning the separation induction part and the water receiving part and having an opening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wall, and partitioning the water receiving part and the oil receiving part; A splitting part consisting of a third wall higher than the first wall, a vertical pipe having an upper end higher than the first wall, lower than the second wall and the third wall, and having a discharge pipe communicating with the lower part in the water receiving part. It is provided to be slidable at the top of the provides a water oil separation device comprising a plug formed with a through hole on the side.
여기서 상기 분리유도부와 연통되어 혼합수가 유입되는 유입관이 상기 수직관의 상단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inlet pipe which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separation guide unit and the mixed water flows into a position higher than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pipe.
아울러 상기 탱크의 하부에 바퀴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wheel is preferably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tank.
또한 상기 플러그의 측면에 형성된 관통구는 수직방향으로 복수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med on the side of the plug is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아울러 상기 탱크의 상부에 설치되는 덮개가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cover is further provided on the top of the tank.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수분리장치는 수직관의 상단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플러그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높이가 다른 기름층에 대하여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oil-water sepa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to adjust the height of the plug sliding along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pipe can effectively cope with different oil layers.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유수분리장치는 유입구가 수직관의 상단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자중에 의해 별도의 펌프가 없이도 유수를 공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il-water sepa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pplied in the inlet is locat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pipe without the need for a separate pump by its own weigh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수분리장치는 탱크의 하부에 바퀴가 설치되어 필요시 이동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oil-water sepa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tank can be moved if necessary.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수분리장치는 플러그의 측면에 수직방향으로 복수개의 개구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필요에 따라 수직관의 상단을 통하여 물이 월류하는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lurality of openings are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side of the plug, the oil / water sepa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adjust the height of the water flowing through the top of the vertical pipe as necessary.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유수분리장치는 탱크의 상부에 덮개를 설치하므로 탱크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oil-water sepa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to cover the upper portion of the tank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from entering the interior of the tank.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수분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수분리장치의 부분절개사시도이다.
도 3은 종래기술인 특허문헌 1에 따른 유수분리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oil / water sepa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artial cutaway perspective view of the oil and water sepa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oil / water separator according to Patent Document 1, which is a prior art.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유수분리장치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oil / water sepa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수분리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수분리장치의 부분절개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oil / water sepa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artial cutaway perspective view of the oil / water sepa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수분리장치는 탱크(10)의 내부에서 각각 구획되는 물과 기름의 혼합수가 유입되는 분리유도부(20), 상기 분리유도부(20)에서 분리된 물이 수용되는 물수용부(30), 상기 분리유도부(20)에서 분리된 기름이 수용되는 기름수용부(40), 상기 분리유도부(20)와 상기 기름수용부(40)를 구획하는 제1벽(52)과 상기 분리유도부(20)와 상기 물수용부(30)를 구획하며 상기 제1벽(52)보다 높고 하부에 개구(55)가 형성된 제2벽(54) 및 상기 물수용부(30)와 상기 기름수용부(40)를 구획하며 상기 제1벽(52)보다 높은 제3벽(56)으로 이루어지는 분할부(50), 상기 물수용부(30)의 내부에 상단이 상기 제1벽(52)보다 높고 상기 제2벽(54)과 제3벽(56)보다 낮으며 하부에 배출관(62)이 연통되는 수직관(60) 및 상기 수직관(60)의 상단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측면에 관통구(72)가 형성된 플러그(70)를 포함하는 유수분리장치를 제공한다.
2 to 3, the oil and water sepa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상기 탱크(10)는 제작이 용이하도록 박스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플러그(70)의 탈착이 용이하도록 상방이 개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탱크(10)는 물과 기름의 혼합수가 유입되는 분리유도부(20), 상기 분리유도부(20)에서 분리된 물이 수용되는 물수용부(30), 상기 분리유도부(20)에서 분리된 기름이 수용되는 기름수용부(4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분리유도부(20)에 유입된 혼합수가 각각 물과 기름으로 분리되므로 상기 분리유도부(20)의 체적이 상기 물수용부(30)나 기름수용부(40)보다 크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탱크(10)는 상기 분리유도부(20)와 연통되는 벽면에 혼합수가 유입되는 유입관(12)이 연통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유입관(12)에는 필요에 따라 펌프(미도시)가 연결 설치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탱크(10)의 하부에는 바퀴(19)가 설치된다. 상기 유입관(12)을 통하여 유입된 물은 탱크의 내부에서 비중의 차이로 인하여 상부에의 기름층과 하부의 물층으로 나뉘어진다.
The
상기 탱크의 내부를 각각 구획하는 분할부(50)는 상기 분리유도부(20)와 상기 기름수용부(40)를 구획하는 제1벽(52)과 상기 분리유도부(20)와 상기 물수용부(30)를 구획하는 제2벽(54) 및 상기 물수용부(30)와 상기 기름수용부(40)를 구획하는 제3벽(46)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2벽(54)과 상기 제3벽(56)은 상기 제1벽(52)보다 높다. 이와 같이 상기 제2벽과(54)과 제3벽(56)이 제1벽(52)보다 높기 때문에 상기 분리유도부(20)로 유입된 혼합수는 혼합수가 차오르면서 기름층이 제2벽(54)을 통해 월류하기 전에 제1벽(52)을 통해 기름수용부(40)로 월류하게 된다.The
아울러 상기 물수용부(30)의 내부에는 상단이 상기 제1벽(52)보다 높고 상기 제2벽(54)과 제3벽(56)보다 낮으며 하부에 배출관(62)이 연통되는 수직관(60)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분리유도부(20)의 내부에서 혼합수가 차오르는 것과 동시에 상기 물수용부(30)에서 분리된 물이 차오르면 혼합수의 기름층이 제1벽(52)을 통해 먼저 기름수용부(40)로 월류하기 시작한다. 여기서 상기 기름층이 제1벽(52)을 통해 월류하면 기름층의 두께가 점점 얇아지는 데 이 때 기름층의 하부가 제1벽(52)을 통해 월류하기 전에 수직관(60)의 상단을 통해서 분리된 물이 수직관(60)의 내부로 월류하도록 함으로서 혼합수의 물이 기름수용부(40)로 월류하는 것을 방지한다.
In addition, a vertical tube having an upper end higher than the
여기서 상기 수직관(60)의 상부에는 상기와 같이 분리유도부(20)에 수용된 기름층 하부의 물이 제1벽(52)을 월류하여 기름수용부(40)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수직관(60) 상단을 슬라이딩하면서 물수용부(30)의 물이 월류하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플러그(70)가 삽입된다.
In the upper portion of the
상기 플러그(70)는 상기 수직관(60)의 상부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측면에 관통구(72)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관통구(72)는 수직방향으로 복수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플러그(70)의 높이에 따라서 물수용부(30)의 물이 수직관(60)의 상단으로 월류하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기름층의 깊을 경우 플러그(70)를 상부로 끌어올려 기름층이 충분히 제거된 후 물이 수직관(60)을 통하여 월류하도록 하고, 기름층의 얕을 경우 플러그(70)를 하부로 내려 분리유도부(20)의 기름층 하부에 위치한 물이 제1벽(52)을 통해 월류하지 않도록 한다.
The
상기 덮개(80)는 상기 탱크(10)의 상부에 씌워지며 상기 탱크(10)의 내부로 이물질이 혼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The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청구범위 기재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는 것은 자명하다.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is defined by the claims, and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adapt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It is self-evident.
10 : 탱크
20 : 분리유도부
30 : 물수용부
40 : 기름수용부
50 : 분할부
60 : 수직관
70 : 플러그
80 : 덮개10 tank
20: separation guide
30: water holding part
40: oil holding part
50: division
60: vertical tube
70: plug
80: cover
Claims (5)
상기 분리유도부에서 분리된 물이 수용되는 물수용부,
상기 분리유도부에서 분리된 기름이 수용되는 기름수용부,
상기 분리유도부와 상기 기름수용부를 구획하는 제1벽과 상기 분리유도부와 상기 물수용부를 구획하며 상기 제1벽보다 높고 하부에 개구가 형성된 제2벽 및 상기 물수용부와 상기 기름수용부를 구획하며 상기 제1벽보다 높은 제3벽으로 이루어지는 분할부,
상기 물수용부의 내부에 상단이 상기 제1벽보다 높고 상기 제2벽과 제3벽보다 낮으며 하부에 배출관이 연통되는 수직관 및
상기 수직관의 상단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측면에 관통구가 형성된 플러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분리장치.
Separation induction part in which the mixed water of the water and oil are respectively partitioned inside the tank,
A water accommodating part accommodating the water separated from the separation guide part;
An oil accommodating part accommodating the oil separated from the separating induction part;
A first wall partitioning the separation induction part and the oil receiving part, a second wall partitioning the separation induction part and the water receiving part and having an opening formed at a lower portion than the first wall, and partitioning the water receiving part and the oil receiving part; A division part comprising a third wall higher than the first wall,
A vertical pipe having an upper end higher than the first wall, lower than the second wall and a third wall, and having a discharge pipe communicating with a lower portion of the water holding part;
Oil-water separato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lug which is provided to be slidable on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pipe and a through-hole formed in the side.
상기 분리유도부와 연통되어 혼합수가 유입되는 유입관이 상기 수직관의 상단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분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oil-water separator, which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separation guide portion, the inflow pipe into which the mixed water flows is dispos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pipe.
상기 탱크의 하부에 바퀴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분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il-water separ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wheel is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tank.
상기 플러그의 측면에 형성된 관통구는 수직방향으로 복수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분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hrough-holes formed on the side of the plug is a plurality of water separ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탱크의 상부에 설치되는 덮개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분리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Oil-water separation device further comprises a cover installed on the top of the tank.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45992A KR101270222B1 (en) | 2011-12-29 | 2011-12-29 | Apparatus for seperating of water and oi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45992A KR101270222B1 (en) | 2011-12-29 | 2011-12-29 | Apparatus for seperating of water and oil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70222B1 true KR101270222B1 (en) | 2013-06-04 |
Family
ID=48866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145992A KR101270222B1 (en) | 2011-12-29 | 2011-12-29 | Apparatus for seperating of water and oil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70222B1 (en)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069649A (en) * | 2014-07-29 | 2014-10-01 | 广西众昌树脂有限公司 | Oil-water separator |
CN104525951A (en) * | 2014-12-31 | 2015-04-22 | 华南理工大学 | Preparation method for super-hydrophobic/super-oleophilic oil-water separation copper fiber felt |
WO2016163581A1 (en) * | 2015-04-06 | 2016-10-13 | (주)거도 | Oil/water separation pack for maritime oil spill recovery device and oil/water separation device using same |
WO2017213350A1 (en) * | 2016-06-09 | 2017-12-14 | 주식회사 미래산업 | Manhole having oil-water separation function |
CN110467284A (en) * | 2019-08-30 | 2019-11-19 | 佛山市科蓝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 A kind of oily-water seperating equipment |
CN111410264A (en) * | 2019-01-07 | 2020-07-14 | 天线工业股份有限公司 | Oil-water separator and oil discharge adjusting device thereof |
KR20220105392A (en) * | 2021-01-20 | 2022-07-27 | 김성호 | Oil-water separator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60767Y1 (en) | 2001-09-08 | 2002-01-17 | 최수만 | The catch basin with apparatus for separator oil from water |
KR20080092511A (en) * | 2007-04-12 | 2008-10-16 | 허창범 | Suction apparatus of waste oil |
KR20080112835A (en) * | 2007-06-22 | 2008-12-26 | 주식회사 포스코 | Apparatus for separating light oil from waste water |
KR101163152B1 (en) | 2010-04-30 | 2012-07-09 | 화천기공 주식회사 | Oil-water separation apparatus for machine tool |
-
2011
- 2011-12-29 KR KR1020110145992A patent/KR101270222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60767Y1 (en) | 2001-09-08 | 2002-01-17 | 최수만 | The catch basin with apparatus for separator oil from water |
KR20080092511A (en) * | 2007-04-12 | 2008-10-16 | 허창범 | Suction apparatus of waste oil |
KR20080112835A (en) * | 2007-06-22 | 2008-12-26 | 주식회사 포스코 | Apparatus for separating light oil from waste water |
KR101163152B1 (en) | 2010-04-30 | 2012-07-09 | 화천기공 주식회사 | Oil-water separation apparatus for machine tool |
Cited B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069649A (en) * | 2014-07-29 | 2014-10-01 | 广西众昌树脂有限公司 | Oil-water separator |
CN104525951A (en) * | 2014-12-31 | 2015-04-22 | 华南理工大学 | Preparation method for super-hydrophobic/super-oleophilic oil-water separation copper fiber felt |
WO2016163581A1 (en) * | 2015-04-06 | 2016-10-13 | (주)거도 | Oil/water separation pack for maritime oil spill recovery device and oil/water separation device using same |
WO2017213350A1 (en) * | 2016-06-09 | 2017-12-14 | 주식회사 미래산업 | Manhole having oil-water separation function |
US10640965B2 (en) | 2016-06-09 | 2020-05-05 | Mirae Industries Co., Ltd | Manhole having oil-water separation function |
CN111410264A (en) * | 2019-01-07 | 2020-07-14 | 天线工业股份有限公司 | Oil-water separator and oil discharge adjusting device thereof |
CN111410264B (en) * | 2019-01-07 | 2022-02-25 | 天线工业股份有限公司 | Oil-water separator and oil discharge adjusting device thereof |
CN110467284A (en) * | 2019-08-30 | 2019-11-19 | 佛山市科蓝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 A kind of oily-water seperating equipment |
KR20220105392A (en) * | 2021-01-20 | 2022-07-27 | 김성호 | Oil-water separator |
KR102558659B1 (en) * | 2021-01-20 | 2023-07-21 | 김성호 | Oil-water separato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70222B1 (en) | Apparatus for seperating of water and oil | |
CN101432054B (en) | Passive grease trap using separator technology | |
US2664963A (en) | Gas and multiple liquid separator apparatus | |
US1864511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immiscible substances | |
KR101390821B1 (en) | Wastewater separating apparatus for vessel | |
CN107349637B (en) | Gas flotation tank | |
CN102614684B (en) | Oil-water separation device for leakage drainage system in hydropower station | |
RU2003103440A (en) | INSTALLATION AND METHOD FOR SEPARATION OF A BOREHOLE FLUID | |
CA2636016A1 (en) | Continuous flow oil water separator | |
CN203212356U (en) | Unpowered oil-water separation device | |
CN205917081U (en) | Mechanism is separated to unpowered profit | |
KR20140070079A (en) | Multi-Stage Oil-Water Separator of Flow Type Using Water Level difference | |
CN106938151A (en) | A kind of oily-water seperating equipment with temperature sensor | |
NO832453L (en) | APPLIANCE FOR WASTE-WASTE Separation. | |
KR101860121B1 (en) | Oil separator apparatus | |
KR101221139B1 (en) | Tank with inlet and outlet pipe for separating oil from water | |
CN208200542U (en) | Oil water separator | |
JP6511310B2 (en) | Waste water treatment equipment | |
KR101657508B1 (en) | an oil-water separator tank | |
CN104069650A (en) | Oil-water separator and method for separating oil-water mixed solution in oil field | |
US7357860B1 (en) | Skimmer system | |
CN106241953A (en) | A kind of oily-water seperating equipment | |
JP2005334839A (en) | Oil-water separator | |
KR0132115Y1 (en) | Oil separating apparatus | |
CN103372331B (en) | Oil water separation device and metho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