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0109B1 - 갯수 변환식 병따개 - Google Patents

갯수 변환식 병따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0109B1
KR101270109B1 KR1020110084071A KR20110084071A KR101270109B1 KR 101270109 B1 KR101270109 B1 KR 101270109B1 KR 1020110084071 A KR1020110084071 A KR 1020110084071A KR 20110084071 A KR20110084071 A KR 20110084071A KR 101270109 B1 KR101270109 B1 KR 1012701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er
bottle
body portion
head
bottle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40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1666A (ko
Inventor
남유정
Original Assignee
남유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유정 filed Critical 남유정
Priority to KR10201100840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0109B1/ko
Publication of KR201300216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16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01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01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BAPPLYING CLOSURE MEMBERS TO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OPENING CLOSED CONTAINERS
    • B67B7/00Hand- or power-operated devices for opening closed containers
    • B67B7/16Hand- or power-operated devices for opening closed containers for removing flanged caps, e.g. crown c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Opening Bottles Or C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갯수 변환식 병따개로서, 특히 병뚜껑의 일부가 삽입되어 병뚜껑을 따는 병따개부의 갯수를 달리하여 다수의 병에서 병뚜껑을 한번에 열 수 있게 하는 갯수 변환식 병따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갯수 변환식 병따개는, 병뚜껑의 일부가 삽입되는 제1삽입부가 관통형성되어 상기 제1삽입부에 삽입된 병뚜껑을 걸어주는 제1걸림돌기가 형성된 제1헤드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헤드부에서 돌출형성되어 상기 제1헤드부를 지지하는 제1몸체부가 형성된 제1오프너와; 병뚜껑의 일부가 삽입되는 제2삽입부가 관통형성되어 상기 제2삽입부에 삽입된 병뚜껑을 걸어주는 제2걸림돌기가 형성된 다수의 제2헤드부를 형성하고, 다수의 상기 제2헤드부에서 돌출형성되어 다수의 상기 제2헤드부를 지지하는 제2몸체부가 형성된 제2오프너와; 상기 제1몸체부 또는 상기 제2몸체부의 후단이 삽입되는 장착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오프너 또는 상기 제2오프너를 작동시키는 손잡이부와: 상기 제1몸체부 또는 상기 제2몸체부의 후단이 상기 장착공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제1오프너 또는 상기 제2오프너를 상기 손잡이부에 탈부착되게 결합시키는 결합부;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갯수 변환식 병따개 { A NUMBER EXCHANGE TYPE BOTTLE OPENER }
본 발명은 갯수 변환식 병따개로서, 특히 병뚜껑의 일부가 삽입되어 병뚜껑을 따는 병따개부의 갯수를 달리하여 다수의 병에서 병뚜껑을 한번에 열 수 있게 하는 갯수 변환식 병따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병에 내용물을 담고 그 입구를 병뚜껑으로 막는다.
이러한 병뚜껑은 여는 방법에 따라 돌려서 열 수 있는 것이 있고, 병따개를 이용하여 강제로 여는 것이 있다.
그 중 병따개를 이용하여 병의 입구에서 병뚜껑을 강제로 여는 것은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병뚜껑을 열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병따개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병따개는, 병뚜껑의 일부가 삽입되는 삽입부(11)가 관통형성되고, 상기 삽입부(11)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삽입부(11)에 일부가 삽입된 병뚜껑의 외측하단을 걸어주는 걸림부(12)가 형성된 헤드부(10)와; 상기 헤드부(10)에서 일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헤드부(10)를 작동시키는 몸체부(20);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병따개는 병의 입구를 막고 있는 병뚜껑에 상기 걸림부(12)를 병뚜껑의 외측하단에 걸고, 병뚜껑의 일부를 상기 삽입부(11)에 삽입하여 상기 몸체부(20)를 상하로 작동시키면 상기 헤드부(10)가 병뚜껑의 상면에 닿아 지지대 역할을 하면서 상기 병의 입구에서 병뚜껑을 열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이러한 병따개는 한번의 동작으로 한 개의 병뚜껑만 열 수 있기 때문에 다량의 병뚜껑 열어야 하는 뷔페, 대형 음식점 등과 같은 곳에서는 병뚜껑을 여는데 장시간 소요되고, 그로 인해 많은 인원이 필요하게 되면서 많은 인건비가 발생하는 문제점 등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필요에 맞게선택하여 1개 또는 다수의 병에서 병뚜껑을 한번에 열 수 있는 갯수 변환식 병따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갯수 변환식 병따개는, 병뚜껑의 일부가 삽입되는 제1삽입부가 관통형성되어 상기 제1삽입부에 삽입된 병뚜껑을 걸어주는 제1걸림돌기가 형성된 제1헤드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헤드부에서 돌출형성되어 상기 제1헤드부를 지지하는 제1몸체부가 형성된 제1오프너와; 병뚜껑의 일부가 삽입되는 제2삽입부가 관통형성되어 상기 제2삽입부에 삽입된 병뚜껑을 걸어주는 제2걸림돌기가 형성된 다수의 제2헤드부를 형성하고, 다수의 상기 제2헤드부에서 돌출형성되어 다수의 상기 제2헤드부를 지지하는 제2몸체부가 형성된 제2오프너와; 상기 제1몸체부 또는 상기 제2몸체부의 후단이 삽입되는 장착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오프너 또는 상기 제2오프너를 작동시키는 손잡이부와: 상기 제1몸체부 또는 상기 제2몸체부의 후단이 상기 장착공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제1오프너 또는 상기 제2오프너를 상기 손잡이부에 탈부착되게 결합시키는 결합부;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1몸체부와 상기 제2몸체부의 측면에 형성된 고정홈과; 상기 손잡이부에 장착되고, 상기 장착공에 삽입된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어 상기 제1오프너 또는 상기 제2오프너를 고정시키는 고정돌기와; 상기 고정돌기를 상기 고정홈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스프링; 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갯수 변환식 병따개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상기 제1오프너와 상기 제2오프너가 상기 손잡이부에서 탈부착 결합됨으로써, 병뚜껑을 하나만 열 경우에는 상기 손잡이부에 상기 제1오프너를 결합하여 열고, 상기 병이 많은 경우에는 상기 제2오프너를 손잡이부에 결합하여 한번에 다수의 병뚜껑을 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결합부에 삽입된 상기 제1몸체부와 상기 제2몸체부의 고정홈에 상기 고정돌기가 삽입되어 고정장착함으로써, 상기 손잡이부에 선택적으로 장착된 상기 제1오프너 또는 상기 제2오프너가 고정되어 상기 손잡이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해 주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병따개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갯수 변환식 병따개의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개수 변환식 병따개에서 손잡이부에 제1오프너가 장착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개수 변환식 병따개에서 손잡이부에 제2오프너가 장착된 사시도.
도 5는 도 3과 도 4에서 결합부의 작동과정을 나타낸 A-A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갯수 변환식 병따개의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개수 변환식 병따개에서 손잡이부에 제1오프너가 장착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개수 변환식 병따개에서 손잡이부에 제2오프너가 장착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3과 도 4에서 결합부의 작동과정을 나타낸 A-A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갯수 변환식 병따개는, 제1오프너(100), 제2오프너(200), 손잡이부(300), 결합부(40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오프너(100)는 도 2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제1오프너(100)는 제1헤드부(110), 제1몸체부(1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헤드부(110)는 병뚜껑을 열 때 병뚜껑의 상면에 접촉되어 지지대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병따개로 병뚜껑을 여는 과정은 일반인은 누구나 알고 있기에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1헤드부(110)에는 제1삽입부(111), 제1걸림돌기(112)가 형성된다.
상기 제1삽입부(111)는 병뚜껑의 일부가 삽입되게 관통형성된다.
이와 같이 관통된 상기 제1삽입부(111)에 병뚜껑의 일부가 삽입되면 상기 제1헤드부(110)의 일측이 병뚜껑의 상면에 위치하면서 접촉되어 지지대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제1걸림돌기(112)는 상기 제1삽입부(111)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병뚜껑을 걸어준다.
즉 상기 제1걸림돌기(112)는 상기 제1삽입부(111)에 삽입된 병뚜껑의 외측하단을 건 후, 상기 제1헤드부(100)와 병뚜껑의 상면과 접하는 부분을 기준으로 상방향이동하면서 병뚜껑을 열어 준다.
상기 제1몸체부(120)는 상기 제1헤드부(110)에서 일측으로 돌출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제1몸체부(120)는 후술하는 손잡이부(300)에 선택적으로 탈부착 된다.
상기 제2오프너(200)는 도 2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제2오프너(200)는 제2헤드부(210), 제2몸체부(2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오프너(200)는 상기 제1오프너(100)와 달리 상기 제2헤드부(210)가 두 개로 이루어진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제2헤드부(210)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안정적으로 두 개의 병에서 두 개의 병뚜껑을 한번에 열 수 있도록 한다.
비록, 본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상기 제2헤드부(210)를 갖는 병따개가 도면 및 설명되어있으나, 본 명세서를 숙지한 당업자라면 3개 이상의 상기 제2헤드부(210)를 갖는 병따개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다는 사실을 인지할 것이다.
두 개로 이루어진 각각의 상기 제2헤드부(210)는 두 개의 병뚜껑의 상면에 각각 접촉되어 지지대 역할을 한다.
각각의 상기 제2헤드부(210)에는 제2삽입부(211), 제2걸림돌기(212)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제2삽입부(211)는 병뚜껑의 일부가 삽입되게 관통형성된다.
이와 같이 관통된 상기 제2삽입부(211)에 병뚜껑의 일부가 삽입되면 상기 제2헤드부(210)의 일측이 병뚜껑의 상면에 위치하면서 접촉되어 지지대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제2걸림돌기(212)는 각각의 상기 제2삽입부(211)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각각의 병뚜껑을 걸어준다.
즉 상기 제2걸림돌기(212)는 각각의 상기 제2삽입부(211)에 삽입된 병뚜껑의 외측하단을 건 후, 각각의 상기 제2헤드부(210)와 병뚜껑의 상면과 접하는 부분을 기준으로 상방향이동하면서 각각의 병뚜껑을 열어 준다.
상기 제2몸체부(220)는 각각의 상기 제2헤드부(200)에서 일측으로 돌출형성되어 하나로 연결된다.
상기 제2몸체부(2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파벳 "T" 자 형상으로 형상화 되어 있고, 이의 상단 양측에는 각각의 상기 제2헤드부(21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의 하단은 상기 손잡이부(300)에 선택적으로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손잡이부(300)는 손으로 잡기 편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3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께가 있는 직사각형 형상에 모서리부분을 라운드 처리하여 잡기 편하도록 하였다.
상기 손잡이부(300)는 손으로 잡아 상기 제1헤드부(110) 또는 각각의 상기 제2헤드부(210)를 지렛대의 원리로 작동시켜 상기 병에서 병뚜껑을 열 수 있게 한다.
상기 손잡이부(300)에는 상기 제1몸체부(120)와 상기 제2몸체부(220)의 하단이 삽입되는 장착공(310)이 형성된다.
상기 장착공(310)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몸체부(120)와 상기 제2몸체부(220)의 하단이 선택적으로 장착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제1오프너(100)와 상기 제2오프너(200)를 필요에 맞게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300), 상기 제1오프너(100) 및 상기 제2오프너(200)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몸체부(120) 또는 상기 제2몸체부(220)의 하단이 상기 장착공(310)에 삽입될 때, 상기 제1오프너(100) 또는 상기 제2오프너(200)를 안정되게 고정하고, 교체가 용이하도록 돕는 결합부(400)가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결합부(400)는 상기 손잡이부(300)에 장착된 상기 제1오프너(100) 또는 상기 제2오프너(200)를 고정시켜 자유롭게 이탈되지 않게 하면서 제1오프너(100)와 상기 제2오프너(200)를 쉽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상기 결합부(400)는 고정홈(410), 고정돌기(420), 스프링(43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홈(410)은 도 2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몸체부(120)와 상기 제2몸체부(220)의 두께가 얇은 측면에 반원통형상으로 파이게 형성된다.
상기 고정홈(410)은 상기 제1몸체부(120)와 상기 제2몸체부(220)의 두께가 얇은 측면이 아닌 다른 위치에 형성할 수도 있지만, 본 실시예와 같이 상기 제1몸체부(120)와 상기 제2몸체부(220)의 하부의 두께가 얇은 측면에 형성하는 것이 가공에 유리하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고정홈(410)을 상기 제1몸체부(120)와 상기 제2몸체부(220)의 두께가 얇은 양측 측면에 모두 형성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상기 장착공(310)에 좌우 방향없이 장착하여 후술하는 고정돌기(420)에 걸리도록 할 수 있어 유리하다.
이러한 구성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상기 고정돌기(420)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홈(410)에 삽입되게 형성된다.
즉 상기 고정돌기(420)는 상기 고정홈(410)에 대응되면서 상기 고정홈(410)에서 상기 제1몸체부(120)와 상기 제2몸체부(220)의 두께가 얇은 측면에서 슬라이딩이 잘 되도록 반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고정돌기(4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부(300)에 장착되어 상기 장착공(310)에 삽입된 상기 고정홈(410)에 삽입하여 상기 제1오프너(100) 또는 상기 제2오프너(200)가 자유상태에서 상기 손잡이부(300)에서 이탈되지 않게 고정한다.
상기 스프링(430)은 도 1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돌기(420)를 상기 고정홈(410)에 방향으로 탄성 지지한다.
이러한 상기 스프링(43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착공(310)에 삽입되는 상기 제1몸체부(120) 또는 상기 제1몸체부(120)의 두께가 얇은 측면에 접촉되어 상기 고정돌기(420)가 외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압축되었다가 상기 제1몸체부(120)와 상기 제2몸체부(220)가 상기 장착공(310)에 완전히 삽입되면 상기 고정홈(410)과 상기 고정돌기(420)의 위치가 같아지면서 상기 고정돌기(420)가 상기 장착공(310)방향으로 탄성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고정홈(410)에 삽입된다.
이렇게 상기 스프링(430)에 의해 도 5(b)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홈(410)에 상기 고정돌기(420)가 삽입되면서 상기 제1몸체부(120)와 상기 제2몸체부(220)를 고정함으로써, 상기 손잡이부(300)에 장착된 상기 제1오프너(100) 또는 상기 제2오프너(200)는 자유롭게 이탈되지 않게 고정된다.
한편, 상기 스프링(430)과 상기 고정돌기(420)를 상기 손잡이부(300)에 장착하기 편하도록 상기 손잡이부(300)의 측면에 스프링장착부(320)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430)과 상기 고정돌기(420)를 스프링장착부(320)에 장착한 후 뚜껑(330)을 이용하여 상기 스프링장착부(320)의 입구를 막아 준다.
본 실시예 달리 상기 스프링장착부(320)를 상기 손잡이부(300)의 양측에 형성하여 양측에 상기 고정돌기(420)와 상기 스프링(430)을 장착하여 상기 제1몸체부(120)와 상기 제2몸체부(220)에 형성된 상기 걸림홈의 좌우 위치에 상관없이 상기 장착공(310)에 장착되어 고정되게 할 수도 있다.
이하,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과정에 대하여 자세히 살펴본다.
도 5(a)는 본 발명의 갯수 변환식 병따개의 결합부에 제1몸체부 또는 제2몸체부가 장착되는 과정을 보인 단면도이고, 도 5(b)는 본 발멸의 갯수 병환식 병따개의 결합부에 제1몸체부 또는 제2몸체부가 완전히 장착된 모습을 보인 단면도이다.
개별적으로 놓인 병의 입구를 막고 있는 병따개를 열기 위해서는 상기 손잡이부(300)에 상기 제1몸체부(120)를 삽입하게 된다.
상기 장착공(310)에 상기 제1몸체부(120)가 삽입될 때,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몸체부(120)가 상기 스프링(430)에 의해 상기 고정홈(410) 방향으로 탄성지지되는 고정돌기(420)를 상기 스프링(430) 방향으로 밀어내며서 삽입되게 된다.
상기 제1몸체부(120)가 상기 장착공(310)에 완전히 삽입되면 상기 제1몸체부(120)의 측면에 형성된 상기 고정홈(410)이 상기 고정돌기(420)의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고정홈(410)에 상기 고정돌기(420)가 위치하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의 측면에 의해 압축되었던 상기 스프링(43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고정돌기(420)는 상기 고정홈(410)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1몸체부(120)를 고정하게 된다.
이렇게 제1몸체부(120)가 상기 장착공(310)에 장착되어 상기 제1오프너(100)는 상기 손잡이부(300)에서 자유상태 즉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상기 제1오프너(100)는 상기 손잡이부(300)에서 이탈되지 않게 된다.
이렇게 상기 손잡이부(300)에 장착된 상기 제1오프너(100)를 이용하여 개별적으로 놓인 병뚜껑을 열면 된다.
상기 병이 개별적으로 놓이지 않고, 붙어있을 경우 또는 박스에 일정한 간격으로 놓여 있는 경우에는 두 개 이상의 병을 한번에 열 수 있게 제2오프너(200)를 상기 손잡이부(300)에 결합한다.
이때, 상기 손잡이부(300)에 먼저 결합되어 있던 상기 제1몸체부(120)를 외력에 의해 빼게 되면, 상기 고정돌기(420)가 상기 고정홈(410)에서 이탈되면서 상기 제1몸체부(120)는 상기 장착공(310)에서 분리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제1오프너(100)를 상기 손잡이부(300)에서 분리한 후 상기 제2오프너(200)의 상기 손잡이부(300)에 장착한다.
이때 상기 결합부(400)는 상기 제1오프너(100)를 장착할 때와 동일하게 작동하여 상기 제2오프너(200)를 상기 손잡이부(300)에 고정장착한다.
이렇게 상기 제2오프너(200)가 장착되면, 두 개의 병뚜껑을 각각의 상기 제2헤드부(210)에 걸어 병뚜껑을 동시에 열게 된다.
상기 제2오프너(200)는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제2헤드부(210)만 형성되어 있지만 필요에 따라 다수 개를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각각의 상기 제2헤드부(210) 사이의 거리가 다르게 여러 종류의 제2오프너(200)를 형성할 수도 있다.
즉 병의 크기에 따라 다양한 거리를 같은 다수의 제2오프너(200)를 형성하여 병의 크기에 따라 병뚜껑과 병뚜껑 사이의 거리에 맞는 상기 제2오프너(200)를 상기 손잡이부(300)에 장착하여 동시에 다수의 병뚜껑을 열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인 갯수 변환식 병따개에 의해 개별적으로 하나의 병뚜껑만 열 경우에는 상기 제1오프너(100)를 상기 손잡이부(300)에 장착하여 열 수 있고, 다수 개가 일률적으로 놓인 병의 병뚜껑을 열 경우에는 상기 제2오프너(200)를 상기 손잡이부(300)에 장착하여 두 개 이상의 병뚜껑을 한번에 열 수 있다.
그로 인해 대형음식점이나 뷔페전문점과 같이 다량의 병이 소비되는 곳에서 사용하게 되면 빠르게 다수의 병의 병뚜껑을 열 수 있어 시간이 단축되고, 그에 따라 인건비 또한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인 갯수 변환식 병따개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0: 제1오프너, 110:제1헤드부, 111: 제1삽입부, 112: 제1걸림돌기, 120: 제1몸체부, 200: 제2오프너, 210: 제2헤드부, 211: 제2삽입부, 212: 제2걸림돌기, 220: 제2몸체부, 300: 손잡이부, 310: 장착공, 320: 스프링장착부, 330: 뚜껑, 400: 결합부, 410: 고정홈, 420: 고정돌기, 430: 스프링

Claims (2)

  1. 병뚜껑의 일부가 삽입되는 제1삽입부가 관통형성되어 상기 제1삽입부에 삽입된 병뚜껑을 걸어주는 제1걸림돌기가 형성된 제1헤드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헤드부에서 돌출형성되어 상기 제1헤드부를 지지하는 제1몸체부가 형성된 제1오프너와;
    병뚜껑의 일부가 삽입되는 제2삽입부가 관통형성되어 상기 제2삽입부에 삽입된 병뚜껑을 걸어주는 제2걸림돌기가 형성된 다수의 제2헤드부를 형성하고, 다수의 상기 제2헤드부에서 돌출형성되어 다수의 상기 제2헤드부를 지지하는 제2몸체부가 형성된 제2오프너와;
    상기 제1몸체부 또는 상기 제2몸체부의 후단이 삽입되는 장착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오프너 또는 상기 제2오프너를 작동시키는 손잡이부와:
    상기 제1몸체부 또는 상기 제2몸체부의 후단이 상기 장착공에 삽입되었을 때상기 제1오프너 또는 상기 제2오프너를 상기 손잡이부에 탈부착되게 결합시키는 결합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1몸체부와 상기 제2몸체부의 측면에 형성된 고정홈과;
    상기 손잡이부에 장착되고, 상기 장착공에 삽입된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어 상기 제1오프너 또는 상기 제2오프너를 고정시키는 고정돌기와;
    상기 고정돌기를 상기 고정홈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갯수 변환식 병따개.
  2. 삭제
KR1020110084071A 2011-08-23 2011-08-23 갯수 변환식 병따개 KR1012701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4071A KR101270109B1 (ko) 2011-08-23 2011-08-23 갯수 변환식 병따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4071A KR101270109B1 (ko) 2011-08-23 2011-08-23 갯수 변환식 병따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1666A KR20130021666A (ko) 2013-03-06
KR101270109B1 true KR101270109B1 (ko) 2013-06-05

Family

ID=48174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4071A KR101270109B1 (ko) 2011-08-23 2011-08-23 갯수 변환식 병따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01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53839A (zh) * 2015-10-12 2016-01-20 杨春建 一种鱼骨开瓶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7489U (ko) * 1994-03-31 1995-10-18 전병규 오프너
KR200319769Y1 (ko) * 2003-04-14 2003-07-12 주식회사 은성산업 탈착이 용이한 팬 손잡이 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7489U (ko) * 1994-03-31 1995-10-18 전병규 오프너
KR200319769Y1 (ko) * 2003-04-14 2003-07-12 주식회사 은성산업 탈착이 용이한 팬 손잡이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53839A (zh) * 2015-10-12 2016-01-20 杨春建 一种鱼骨开瓶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1666A (ko) 2013-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08646B1 (en) Cable arrangement device for cable management arm
KR101270109B1 (ko) 갯수 변환식 병따개
KR20220134507A (ko) 손잡이 하부에 따개가 형성된 수직형 병따개
CN104095577A (zh) 多功能牙刷架
CN209003910U (zh) 洗碗机、用于洗碗机的碗篮组件、奶瓶固定组件
CN202158636U (zh) 一种上加水加湿器的加水机构
KR20120108873A (ko) 한 손으로 병뚜껑 개폐가 가능한 병따개
CN212686198U (zh) 一种折叠式塑料周转箱锁扣结构
CN204049057U (zh) 杯盖扣合结构
USD572595S1 (en) Bottle
KR20120006446U (ko) 개폐가 용이한 병뚜껑과 병따개 구조
CN209467474U (zh) 一种消毒棉球瓶的五件套结构
CN108703731A (zh) 洗碗机、用于洗碗机的碗篮组件、奶瓶固定组件
CN204090475U (zh) 水杯定位装置
CN213494422U (zh) 一种改进型高压清洗机的高压水枪
CN207417447U (zh) 一种可防尘的外锁式磁碟包装盒
CN204090473U (zh) 一种水杯箍紧装置
CN207842494U (zh) 美术绘画用多功能画箱
CN204217364U (zh) 微耕机工具盒及水杯盒总成
CN205807978U (zh) 冰箱
CN204448089U (zh) 一种滑槽式化学试管架
CN204849379U (zh) 安全盖组件及具有其的洗衣机
CN203815210U (zh) 一种高强度抗摔打的锅具
CN204507620U (zh) 一种易启盖的瓶子
CN207444781U (zh) 一种可快速拆卸手柄和附耳的锅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