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0061B1 - 중금속 오염토양 정화를 위한 화학세척장치 - Google Patents

중금속 오염토양 정화를 위한 화학세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0061B1
KR101270061B1 KR1020120026103A KR20120026103A KR101270061B1 KR 101270061 B1 KR101270061 B1 KR 101270061B1 KR 1020120026103 A KR1020120026103 A KR 1020120026103A KR 20120026103 A KR20120026103 A KR 20120026103A KR 101270061 B1 KR101270061 B1 KR 1012700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contaminated soil
stirring chamber
stirring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6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철
조희정
안성균
김장환
Original Assignee
(주)금송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금송이엔지 filed Critical (주)금송이엔지
Priority to KR10201200261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00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00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00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1/00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1/08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chem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9/00Other disintegrating devices or methods
    • B02C19/06Jet mi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1/00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1/02Extraction using liquids, e.g. washing, leaching, flot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금속 오염토양 정화를 위한 화학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오염된 토양과 세척약품이 포함된 세척수를 공급받아 오염된 토양의 세척하여 이물질이나 중금속을 제거하는 세척장치로서, 내부에 세척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세척공간은 하부에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에 단부에는 배출부가 마련되며, 상기 세척공간에는 하부에 이송통로가 형성되게 한쌍의 격벽이 설치되어, 상기 세척공간을 제 1 교반실과 제 2 교반실과 제 3 교반실로 구획,분할되게 형성되는 세척기 본체와 상기 세척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세척공간에 충진되는 오염된 토양을 교반하는 교반부와 상기 세척기 본체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으로 이루어져, 오염된 토양의 체류시간을 늘려 세척효율을 증가시킴과 아울러 세척공간에 제트밀 장치를 더 설치하여 세척효율을 극대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중금속 오염토양 정화를 위한 화학세척장치 { Chemistry Washing Device }
본 발명은 중금속 오염토양 정화를 위한 화학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경사면이 형성된 세척공간 하부에 이송통로가 형성되게 한쌍의 격벽이 설치하여, 세척공간을 제 1 교반실과 제 2 교반실과 제 3 교반실로 구획,분할되게 구성함으로서, 오염된 토양의 체류시간을 늘려 세척효율을 증가시킴과 아울러 세척공간에 제트밀 장치를 더 설치하여 세척효율을 극대화시키는 중금속 오염토양 정화를 위한 화학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토양오염의 경우 일단 오염이 되고 나면 지표수 및 지하수의 수질에도 악영향을 미치게 되는 등 주변 환경에 2차 오염을 유발시킬 가능성이 있으므로 오염된 토양은 반드시 현장에서 빠른 시간 내에 정화시켜 복원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은 관점에서 토양 세척기법은 이미 1970년대 말 미국에서 처음 개발되어 현재는 미국을 비롯하여 독일 네덜란드 등 많은 나라에서 사용빈도가 가장 높은 특허기술중의 하나로서 각 지역, 각 국의 적용범위가 매우 광범위하다.
적용범위가 넓기 때문에 다양한 유기 오염물질 및 중금속이 다량으로 배출되고 있는 현 실정에 비추어 보아 현장 적용이 크고 경제적으로도 효율성이 뛰어난 정화기법의 하나로 인식되고 있다.
최근 들어 정유공장을 비롯한 각종 유류 취급 공장지역 내의 토양오염이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이러한 오염토양을 효율적으로 굴착하고, 이를 복원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통상적으로 볼 때 토양세척기법은 크게 Ex-situ 세척기법과 In-situ 세척기법으로 나눌 수 있다.
상기 Ex-situ 세척기법은 흔히 토양 세척(Soil Washing)이라고도 하는데 토양내 오염 내 물질의 분포 및 토양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파악하여 처리범위의 오염토양을 굴착한 후, 적절한 세척용액을 이용하여 오염된 토양을 세척하는 기법으로 one-site 처리와 off-site 처리로 나눌 수 있다.
상기 In-situ 세척기법은 토양을 굴착하지 않고 세척용액 주입정, 세척용액 배출정, 세척유출수 처리시설, 펌프 및 계장시설, 휘발물질 처리시설 등을 오염된 부지에 설치하여 토양 내에서 세척수를 순환시켜 세척하는 기법으로 처리시간이 길며, 토양공극이 막혀 세척장치에 있어 세척용액의 회수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토양세척기법은 오염물질에 대한 토양의 혼합정도, 입경분포, 비중에 의해 세척효율이 좌우된다.
여기서, 토양 세척은 구체적으로 오염된 토양을 세척수와 함께 투입하여 가압, 진동, 회전 및 교반 등을 통하여 세척하고 망상(網狀)의 스크린을 통과시킴으로써 세척된 토양 입자와 세척수를 분리하여 세척된 토양은 기본적으로 스크린에 의하여 세척수와 분리되는 방식이므로 소정 입경(粒徑) 이상의 토사만이 수거되고 그 미만의 입경을 가지는 토사는 세척수와 함께 배출된다.
따라서, 입경별로 다수의 토양세척장치를 단계적으로 구성하거나 토양세척장치 내 스크린을 다단으로 구성하는 등의 방식이 적용되며, 토양을 구성하는 다양한 입경의 토사를 분류하는 선별장치 또는 탈수장치도 기본적인 작동방식이 전술한 토양세척장치와 유사하므로 실제 토양의 세척 공정에 있어서는 선별장치, 토양세척장치 및 탈수장치가 혼용되고 있다.
이러한 토양세척장치를 통한 오염토사의 입경별 세척과정 중에서 일부의 공정으로 다음의 공정을 거친다.
즉, 토양세척공정에서 1차 세척(로그와셔)과 탈수스크린 및 협잡물 스크린을 거친 대상입경토 이하의 미분(이하 ‘토사’라 함)과 세척수는 전량 조정조로 집수된다.
상기 조정조에서 하이드로사이클론 펌프을 통하여 조정조의 토사와 세척수는 하이드로사이클론을 거치면서 분급이 되어 일정 입경이하의 미분은 순환세척수로 다시 1차 세척으로 투입되며 일정 입경 이상의 토사는 1차 침사조로 투입된다.
최근에는 오염된 토양이 세척기 내부에 체류되는 체류시간을 늘림으로서 세척효율을 향상시키고, 세척되어 배출되는 미분의 토양을 재세척하도록 하는 세척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경사면이 형성된 세척공간 하부에 이송통로가 형성되게 한쌍의 격벽이 설치하여, 세척공간을 제 1 교반실과 제 2 교반실과 제 3 교반실로 구획,분할되게 구성함으로서, 오염된 토양의 체류시간을 늘려 세척효율을 증가시킴과 아울러 세척공간에 제트밀 장치를 더 설치하여 세척효율을 극대화시키는 중금속 오염토양 정화를 위한 화학세척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오염된 토양과 세척약품이 포함된 세척수를 공급받아 오염된 토양의 세척하여 이물질이나 중금속을 제거하는 세척장치로서, 내부에 세척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세척공간은 하부에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에 단부에는 배출부가 마련되며, 상기 세척공간에는 하부에 이송통로가 형성되게 한쌍의 격벽이 설치되어, 상기 세척공간을 제 1 교반실과 제 2 교반실과 제 3 교반실로 구획,분할되게 형성되는 세척기 본체와 상기 세척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세척공간에 충진되는 오염된 토양을 교반하는 교반부와 상기 세척기 본체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출부는 상기 경사면의 단부에 형성되는 배출홈과 외부와 연통되게 상기 배출홈의 저면에 형성되는 배출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교반부는 상기 세척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는 다수의 모터와 상기 모터와 연동되게 상기 제 1 교반실과 상기 제 2 교반실과 상기 제 3 교반실에 각각 배치되게 설치되는 교반날개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세척기 본체에는 상기 배출부를 통해 배출되는 세척수가 포함된 미분의 오염토양을 재차 상기 세척공간에 공급하는 리사이클 라인이 더 설치되고, 상기 리사이클 라인은 메인라인과 상기 메인라인에서 분기되어 제 1 교반실과 제 2 교반실과 제 3 교반실에 인입되게 설치되는 분기라인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세척공간에는 제트밀(jet mill)장치가 더 설치되어 교반된 오염토 입자가 상호 충돌하여 표면의 이물질이나 오염성분이 분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중금속 오염토양 정화를 위한 화학세척장치는 경사면이 형성된 세척공간 하부에 이송통로가 형성되게 한쌍의 격벽이 설치하여, 세척공간을 제 1 교반실과 제 2 교반실과 제 3 교반실로 구획,분할되게 구성함으로서, 오염된 토양의 체류시간을 늘려 세척효율을 증가시킴과 아울러 세척공간에 제트밀 장치를 더 설치하여 세척효율을 극대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중금속 오염토양 정화를 위한 화학세척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중금속 오염토양 정화를 위한 화학세척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중금속 오염토양 정화를 위한 화학세척장치를 다른 실시예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중금속 오염토양 정화를 위한 화학세척장치를 다른 실시예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중금속 오염토양 정화를 위한 화학세척장치의 다른 실시예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중금속 오염토양 정화를 위한 화학세척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중금속 오염토양 정화를 위한 화학세척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로 제시하는 것이며, 본 기술 사상을 통해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중금속 오염토양 정화를 위한 화학세척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중금속 오염토양 정화를 위한 화학세척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중금속 오염토양 정화를 위한 화학세척장치를 다른 실시예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중금속 오염토양 정화를 위한 화학세척장치를 다른 실시예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중금속 오염토양 정화를 위한 화학세척장치의 다른 실시예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중금속 오염토양 정화를 위한 화학세척장치(10)는 오염된 토양과 세척약품이 포함된 세척수를 공급받아 오염된 토양의 세척하여 이물질이나 중금속을 제거하는 세척장치로서, 이에 이와같은 중금속 오염토양 정화를 위한 화학세척장치(10)는 세척기 본체(20)와 교반부(30)와 지지프레임(4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세척기 본체(20)는 금속재로 이루어지며, 사각의 케이스 구조로 형성되고 내부에 세척공간(21)이 마련된다. 상기 세척공간(21)에는 하부에 이송통로(23,23')가 형성되게 한쌍의 격벽(22,22')이 설치되어, 상기 세척공간(21)을 제 1 교반실(24)과 제 2 교반실(25)과 제 3 교반실(26)로 구획,분할되게 형성되며, 상기 세척기 본체(20)에는 상기 제 1 교반실(24)에 오염된 토양을 공급받도록 하는 호퍼(27)가 설치되어, 오염된 토양과 세척수가 상기 호퍼(27)를 내부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제 1 교반실(24)과 상기 제 2 교반실(25) 사이에 설치되는 격벽(22)의 이송통로(23) 보다 상기 제 2 교반실(25)과 상기 제 3 교반실(26) 사이에 설치되는 격벽(22')의 이송통로(23') 더 넓게 형성시킴으로서, 제 1 교반실(24)에 유입된 오염된 토양의 체류시간을 가장 길게 유지시키고, 순차적으로 제 2 교반실(25)과 제 3 교반실(26) 순으로 체류시간이 짧아지게 하여 오염된 토양을 효율적으로 세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세척공간(21)은 세척수가 포함된 오염된 토양이 자중에 의해 이동하도록 하부에 경사면(28)이 형성되어 자중에 의해 세척수가 포함된 오염된 토양이 이동되며, 상기 경사면(28)에 단부에는 배출부(29)가 마련되고, 상기 배출부(29)는 상기 경사면(28)의 단부에 형성되는 배출홈(291)과 외부와 연통되게 상기 배출홈(291)의 저면에 형성되는 배출구(292)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세척공간(21)을 제 1 교반실(24)과 제 2 교반실(25)과 제 3 교반실(26)로 구획,분할하고 각각의 교반실(24,25,26)에서 교반시킴으로서, 오염된 토양의 체류되는 시간을 늘려 세척효율을 향상시키게 된다.
여기서, 오염된 토양은 입도가 작을 수 록 입도가 큰 오염된 토양에 비해 세척시간이 길게 걸리므로, 오염된 토양을 선별하여 입도별로 각각의 교반실(24,25,26)에 선택적으로 투입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후술될 리사이클 라인(50)를 통해 배출되는 세척수에 포함된 미분의 오염토 입자를 입도크기별로 선별하여 각각의 교반실(24,25,26)에 선택적으로 투입하여 재차 세척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시말해, 세척된 토양은 기본적으로 스크린에 의하여 세척수와 분리되는 방식이므로 소정 입경(粒徑) 이상의 토사만이 수거되고 그 미만의 입경을 가지는 미분의 토사는 세척수와 함께 배출된다. 상기 미분의 토사가 포함된 세척수는 리사이클 라인(50)과 하이드로사이클론 펌프를 통해 탈수된 후 탈수된 미분은 각각의 교반실에 투입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미분이 포함되어 배출되는 세척수를 하이드론사이클론 펌프를 통해 탈수,이송시키는 것은 이미 해당분야에 널리 알려지고 사용되는 것이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교반부(30)는 상기 세척기 본체(20)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세척공간(21)에 충진되는 오염된 토양을 교반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교반부(30)는 상기 세척기 본체(20)의 상부에 설치되는 다수의 모터(31)와 상기 모터(31)와 연동되게 상기 제 1 교반실(24)과 상기 제 2 교반실(25)과 상기 제 3 교반실(26)에 각각 배치되게 설치되는 교반날개부(32)로 이루어진다.
상기 모터(31)는 회전축이 상기 제 1 교반실(24)과 상기 제 2 교반실(25)과 상기 제 3 교반실(26)의 내측에 인입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에는 교반날개부(32)가 설치되어 회전된다.
상기 지지프레임(40)은 하부가 경사지게 형성된 세척기 본체(20)를 지지하도록 다수의 프레임을 볼트체결 또는 용접연결하여 형성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세척기 본체(20)에는 상기 배출부(29)를 통해 배출되는 미분의 오염토양을 재차 상기 세척공간에 공급하는 리사이클 라인(50)이 더 설치되고, 상기 리사이클 라인(50)은 메인라인(51)과 상기 메인라인(51)에서 분기되어 제 1 교반실(24)과 제 2 교반실(25)과 제 3 교반실(26)에 인입되게 설치되는 분기라인(52)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리사이클 라인(50)은 금속재로 이루어진 통상의 관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리사이클 라인(50)은 상기 배출구(282)에 설치되어 미분의 오염된 토양이 포함되어 배출되는 세척수를 하이드론사이클론 펌프가 포함되는 탈수장치로 탈수시킨 후 탈수된 미분을 각각의 상기 교반실(24,25,26)로 이동시켜 투입되게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중금속 오염토양 정화를 위한 화학세척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세척공간(21)에는 제트밀(jet mill)장치가 더 설치되어 교반된 오염토 알갱이가 상호 충돌하여 표면의 이물질이나 오염성분이 분리된다.
이때, 상기 제트밀 장치(60)는 상기 경사면(28)의 저면에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서로 마주보게 설치되는 분사노즐부(61)와 상기 분사노즐부(61)에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주입펌프(62)로 이루어져, 상기 분사노즐부(61)들 사이에 배치된 오염된 토양에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오염된 토양의 입자가 상호 충돌되게 함으로서, 표면을 이물질이나 오염성분을 분리시키게 된다.
상기한 제트밀 장치(60)는 상기 제 1 교반실(24)과 상기 제 2 교반실(25)의 하부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0 : 중금속 오염토양 정화를 위한 화학세척장치 20 : 세척기 본체
30 : 교반부 40 : 지지프레임
50 : 리사이클 라인 60 : 제트밀 장치
21 : 세척공간 22,22' : 격벽
23,23' : 이송통로 24 : 제 1 교반실
25 : 제 2 교반실 26 : 제 3 교반실
27 : 호퍼 28 : 경사면
29 : 배출부 291 : 배출홈
282 : 배출구 31 : 모터
32 : 교반날개부 51 : 메인라인
52 : 분기라인

Claims (5)

  1. 오염된 토양과 세척약품이 포함된 세척수를 공급받아 오염된 토양의 세척하여 이물질이나 중금속을 제거하는 세척장치로서, 내부에 세척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세척공간은 하부에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에 단부에는 배출부가 마련되며, 상기 세척공간에는 하부에 이송통로가 형성되게 한쌍의 격벽이 설치되어, 상기 세척공간을 제 1 교반실과 제 2 교반실과 제 3 교반실로 구획,분할되게 형성되는 세척기 본체와 상기 세척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세척공간에 충진되는 오염된 토양을 교반하는 교반부와 상기 세척기 본체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중금속 오염토양 정화를 위한 화학세척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상기 경사면의 단부에 형성되는 배출홈과 외부와 연통되게 상기 배출홈의 저면에 형성되는 배출구로 이루어지고,
    상기 세척공간에는 제트밀(jet mill)장치가 더 설치되어 교반된 오염토 입자가 상호 충돌하여 표면의 이물질이나 오염성분이 분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금속 오염토양 정화를 위한 화학세척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부는 상기 세척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는 다수의 모터와 상기 모터와 연동되게 상기 제 1 교반실과 상기 제 2 교반실과 상기 제 3 교반실에 각각 배치되게 설치되는 교반날개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금속 오염토양 정화를 위한 화학세척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기 본체에는 상기 배출부를 통해 배출되는 세척수가 포함된 미분의 오염토양을 재차 상기 세척공간에 공급하는 리사이클 라인이 더 설치되고, 상기 리사이클 라인은 메인라인과 상기 메인라인에서 분기되어 제 1 교반실과 제 2 교반실과 제 3 교반실에 인입되게 설치되는 분기라인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금속 오염토양 정화를 위한 화학세척장치.
  5. 삭제
KR1020120026103A 2012-03-14 2012-03-14 중금속 오염토양 정화를 위한 화학세척장치 KR1012700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6103A KR101270061B1 (ko) 2012-03-14 2012-03-14 중금속 오염토양 정화를 위한 화학세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6103A KR101270061B1 (ko) 2012-03-14 2012-03-14 중금속 오염토양 정화를 위한 화학세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0061B1 true KR101270061B1 (ko) 2013-05-31

Family

ID=48667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6103A KR101270061B1 (ko) 2012-03-14 2012-03-14 중금속 오염토양 정화를 위한 화학세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006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5428B1 (ko) * 2014-03-20 2015-06-09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정밀 정량 공급탱크 및 이를 이용한 정밀 정량 공급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4970Y1 (ko) 2002-11-11 2003-02-19 (주)영풍티피이 토양 세척장치
JP2006175337A (ja) 2004-12-21 2006-07-06 Shimizu Corp 汚染土壌浄化方法および装置
KR100978588B1 (ko) 2010-05-25 2010-08-27 금호기술검사(주) 이동 설치가 가능한 오염토양 고층야적식 정화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4970Y1 (ko) 2002-11-11 2003-02-19 (주)영풍티피이 토양 세척장치
JP2006175337A (ja) 2004-12-21 2006-07-06 Shimizu Corp 汚染土壌浄化方法および装置
KR100978588B1 (ko) 2010-05-25 2010-08-27 금호기술검사(주) 이동 설치가 가능한 오염토양 고층야적식 정화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5428B1 (ko) * 2014-03-20 2015-06-09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정밀 정량 공급탱크 및 이를 이용한 정밀 정량 공급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475441B (zh) 一种基于减量浓缩设计理念的土壤淋洗修复系统及其方法
KR102099047B1 (ko) 컴팩트형 복합 오염토양 정화 시스템
CN104525556B (zh) 复合污染土壤淋洗的可移动式设备及方法
KR100861334B1 (ko) 토양 세척장치
KR100988047B1 (ko) 토양의 오염물질 세척방법 및 시스템
KR100988942B1 (ko) 오염토양 세척 선별장치
KR101545231B1 (ko) 오염토양의 정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정화방법
KR100903593B1 (ko) 오염토양정화를 위한 초음파 토양세척방법 및 장치
KR101358147B1 (ko) 미세기포를 이용한 오염토양 분리세척 방법 및 그 장치
KR100534067B1 (ko) 오염 토양의 복원과 선별 처리를 위한 토양 세척 방법과장치
CN105598147A (zh) 一种土壤清洗装置及其清洗方法
CN112058889B (zh) 用于石油烃类有机污染土壤的高效一体化清洗系统及方法
KR100847262B1 (ko) 토양 연속 세척장치
JP5990442B2 (ja) 汚染土壌の減容化処理方法
KR101711623B1 (ko) 오염토양 정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오염토양 정화방법
KR20200088943A (ko) 각종 준설토용 정화시스템
KR20170132524A (ko) 오염토양을 파쇄 및 선별하는 습식 드럼 파쇄장치
CN110842017A (zh) 模块化移动式土壤淋洗系统
KR101431161B1 (ko) 모래 및 협잡물 여과, 탈수 장치
KR101769439B1 (ko) 도상자갈용 세척장치
KR100987198B1 (ko) 차량에 탑재된 오염토양 세척 선별장치
KR100460629B1 (ko) 토양세척기 및 이를 이용한 토양세척장치
KR101270061B1 (ko) 중금속 오염토양 정화를 위한 화학세척장치
KR102099048B1 (ko) 컴팩트형 복합 오염토양 정화 시스템에 이용되는 드럼식 중금속 용출조
KR20190123845A (ko) 준설토 처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