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9980B1 - 식품 박스용 냉매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식품 박스용 냉매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9980B1
KR101269980B1 KR1020110061039A KR20110061039A KR101269980B1 KR 101269980 B1 KR101269980 B1 KR 101269980B1 KR 1020110061039 A KR1020110061039 A KR 1020110061039A KR 20110061039 A KR20110061039 A KR 20110061039A KR 101269980 B1 KR101269980 B1 KR 1012699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food
box
storage pocket
fix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1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0511A (ko
Inventor
이효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선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선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선인
Priority to KR10201100610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9980B1/ko
Publication of KR201300005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05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99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99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14Carriers for prepared human fo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5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Toxicology (AREA)
  • Zoology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식품을 담기 위한 수납공간이 구비된 박스(10); 및 상기 박스(10)에 담겨지는 식품 사이에 개재되도록 블록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바디(22)의 내부에는 냉매 수납 포켓(20)이 구비되고 둘레에는 상기 냉매 수납 포켓(20)와 연통된 소통홀(28)이 구비된 냉매 수납 포켓(2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박스용 냉매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식품 박스용 냉매 고정장치{Cooling agent support implement for food box}
본 발명은 식품 신선도 유지 기능을 구비하면서도 식품의 모양은 온전히 유지하여 식품 상품성도 보장할 수 있는 식품 박스용 냉매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량의 식품을 보관 운반할 때에 냉장 보관 기능을 훌륭히 발휘하여 식품의 신선도를 충실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포장된 식품이 냉매에 의해 눌리는 현상으로 인해 식품 본래의 모양이 상하거나 하는 경우를 방지하여 식품의 상품성과 신뢰성 등을 보장할 수 있는 식품 박스용 냉매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품을 택배 주문하는 것과 같이 여러 가지 사정으로 인해 식품을 박스에 담아 운반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가정주부들이 백화점이나 할인 마트 및 재래시장 등에서 식품을 구매한 후 배달을 요구하는 경우가 많고, 이처럼 가정주부들이 식품의 배달을 요구하는 경우 판매자는 그러한 식품들을 가정으로 배달해주고 있으며, 또한 홈쇼핑사에서는 구매자가 택배 등으로 구매한 물건들을 구매자의 가정이나 직장 등으로 배송해주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배달되는 각종 제품들 중 식품종류는 그 식품이 훼손되지 않도록 함은 물론이고 신선도를 유지한 상태로 배달하여야 하며, 배달하고자 하는 물품에 따라 포장박스의 구조도 제각기 다르게 된다.
특히, 굴비와 같은 생선류식품이나 냉동 및 냉장된 육류식품의 경우에는 부패되기 쉬워서 박스 포장 운반 중에 상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고, 과일(예를 들어, 딸기)이나 야채와 같은 식품 역시 신선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다시 말해, 상기 육류나 생선류 식품, 딸기와 같은 과일이나 야채 종류의 식품은 단열이 잘되어 냉장 또는 냉동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는지의 여부가 중요하고, 나아가, 보관 운반시에 다른 물건에 의해 눌려서 모양이 상하지 않도록 하는 것도 역시 중요한 것이다.
상기한 식품 중에서 딸기의 경우 투명의 연성 플라스틱 재질의 딸기 용기에 담은 제품(이하, 편의상 딸기 식품 용기라 칭함)으로 시판되거나 유통되는 경우가 매우 많다. 즉, 다수개의 딸기 식품 용기을 소정 크기의 스티로폼 박스에 담아서 보관 유통시키는데, 딸기의 보관 유통 중에 신선도가 떨어지지 않도록 냉장하기 위해 적재된 딸기 식품 용기 사이에 냉매(이때, 냉매는 비닐팩에 냉매가 담긴 것을 의미함)을 삽입한 상태로 보관 유통시킨다. 각각의 담긴 식품 용기 사이에 투입된 냉매에서 공급되는 냉기에 의해 딸기가 유통중에 상하지 않고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큰 스티로폼 상자에 딸기 식품 용기를 담고, 그러한 식품 용기 사이에 냉매를 껴놓고 보관 운반하는 경우, 즉 냉매를 바로 딸기를 담은 용기 위에 올려놓았을 때에 다음과 같은 문제가 생긴다.
1. 냉매가 직접 닿는 딸기 용기에는 응축수가 생기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온도가 상승하여 딸기가 물러 터지는 등 변질이 된다.
2. 냉매의 냉기가 직접 딸기로 공급되어, 이러한 과도한 냉기로 인해 딸기가 얼어버리게 되고, 이처럼 딸기가 얼어버리면 딸기의 신선도를 그대로 유지하고자 하는 본래의 목적을 잃어버리게 되며, 이로 인해 딸기의 상품성이 없어지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3. 냉매가 배송중에 좌우로 흔들려서 딸기의 온도 품질이 전체적으로 고르지 않게 된다.
4. 냉매의 하중도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졌을 때 많이 눌리게 되므로 냉매의 하중에 의해 딸기가 눌려 모양이 상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딸기를 용기에 담아서 박스에 포장하여 운반하는 경우를 기술하였으나, 딸기의 경우뿐만이 아니라 다른 식품을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포장 운반하는 경우에도 상기와 같은 문제가 초래될 수 있으며, 이처럼 식품이 유통 중에 상기와 같은 냉매의 바람직하지 못한 조건 등으로 인해 상품성을 잃어버리면 판매자에게 경제적 손실이 유발되고 신뢰성 등의 측면에서도 바람직하지 않으므로, 이러한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대책이 절실히 요구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식품 운반할 때에 식품 용기(예를 들어, 딸기 용기)에 직접 냉기가 닿지 않도록 함으로써 식품 용기에 응축수가 생기거나 온도 상승으로 인해 식품이 물러터지는 등의 경우를 방지함으로써 식품의 신선도를 훌륭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포장된 식품이 냉매의 하중에 의해 눌리거나 하는 등의 현상을 방지하여 식품 본래의 모양이 상하게 되는 경우가 방지되므로 식품의 상품성과 신뢰성 등을 충실하게 보장할 수 있는 식품 박스용 냉매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내부에 식품을 담기 위한 수납공간을 구비한 식품 박스에 있어서, 상기 박스에 담겨지는 식품 사이에 배치되도록 블록 형상으로 이루어진 바디와; 상기 바디 내부의 냉매 수납부에 연통되도록 상기 바디에 구비된 냉매 투입부를 포함하는 냉매 수납 포켓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박스용 냉매 고정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바디에는 상기 바디의 둘레부를 상기 박스의 내벽면에서 이격시키는 연장편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장편에는 소통홀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디는 내부에 냉매 수납 포켓이 구비된 사각 블록 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바디의 전후단부에 사각홀 형상의 냉매 투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바디의 상기 냉매 투입부 외측 위치의 둘레부에는 내외부로 연통된 소통홀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박스의 내벽면에는 상기 냉매 수납 포켓의 상기 바디 둘레부에 구비된 상기 연장편이 결합되어 상기 냉매 수납 포켓의 상기 바디 부분을 상기 박스에 수납되는 식품 용기의 표면에서 이격시키기 위한 결합홈부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식품 박스용 냉매 고정장치는 냉매를 직접 식품 용기에 올려놓고 보관 운반하는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는 효과를 가지며, 이러한 본 발명이 가지는 효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냉매를 담는 종이 재질의 냉매 수납 포켓을 사용하여 냉매의 냉기가 직접 식품 용기에 닿지 않도록 함으로써 온도가 급격히 내려가 응축수가 생기는 것을 막을 수 있고, 응축수가 생김으로 인해 유발되는 식품의 품질 저하나 불량 등을 막을 수 있다.
2. 냉매를 담은 냉매 수납 포켓의 측방에서 냉기가 나와서 좌우측에서 서서히 들어가 고르게 퍼지므로 식품의 신선도 유지를 위한 전체적인 냉장 온도를 고르게 유지할 수 있다.
3. 냉매가 흔들리지 않도록 종이 상자, 다시 말해, 종이 재질의 냉매 수납 포켓에 넣듯이 냉매를 감싸 안으므로, 냉매의 유동으로 인해 딸기 등의 식품 품온이 저하되지 않고 고르게 유지될 수 있다.
4. 주요부인 냉매 수납 포켓을 스티로폼 박스의 내경에 맞게 제작하여, 냉매가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지면서 식품을 누르는 경우 없이 하중이 균등하게 퍼지도록 하므로, 냉매에 의해 식품이 눌려 상하는 것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식품 포장 박스용 냉매 고정장치의 주요부인 냉매 수납 포켓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냉매 수납 포켓과 박스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냉매 수납 포켓을 박스에 담은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도 3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박스의 변형된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식품 박스용 냉매 고정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식품 포장 박스용 냉매 고정장치의 주요부인 냉매 수납 포켓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냉매 수납 포켓과 박스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냉매 수납 포켓을 박스에 담은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도 3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박스의 변형된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매 고정장치는 냉매 수납 포켓(20) 내부에 냉매(1)를 집어넣은 상태에서 박스(10)의 내부에 적재 포장되는 식품(예를 들어, 딸기) 용기(3)의 위에 상기 냉매 수납 포켓(20)을 올려놓고 식품을 박스(10)에 담아서 포장 운반하도록 구성된 식품 박스용 냉매 고정장치이다.
상기 냉매 수납 포켓(20)은 스티로폼 박스(10)에 담겨지는 식품 사이에 개재되도록 블록 형상으로 이루어진 바디(22)와, 이러한 바디(22)의 내부에 구비된 냉매 수납부와, 이러한 냉매 수납부와 연통되어 냉매(1)를 투입 가능한 냉매 투입부(21)를 갖는 구조이다.
상기 박스(10)는 통상의 스티로폼 박스(10)가 채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박스(10)는 식품 제품을 담는 수납 공간부가 내부에 형성된 사각 함체 형상의 박스 본체(12)와, 이러한 박스 본체(12)의 상면을 덮는 커버(14)로 구성된다.
상기 냉매 수납 포켓(20)의 바디(22)는 사각 함체의 스티로폼 박스(10)에 대응하도록 대략 사각 블록 형상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사각 블록 형상의 바디(22) 내부에는 냉매(1)(즉, 비닐팩에 냉매(1)가 담긴 제품)를 수납하기 위한 냉매 수납 포켓(20)이 구비된다. 냉매 수납 포켓(20)은 사각팩 형태의 냉매(1)가 담겨지도록 내부의 냉매 수납부가 육면체 공간부 형태로 이루어진다.
또한, 냉매 수납 포켓(20)의 바디(22) 둘레부에는 연장편(26)이 더 구비되는데, 이러한 연장편(26은 바디(22)의 전후방 및 좌우측 네 군데 둘레부 중에서 전후방 및 좌측 또는 우측에 연장된 전방 연장편(26a)과 후방 연장편(26b) 및 일측방 연장편(26c)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냉매 수납 포켓(20)은 바디(22)와 연장편(26a,b,c)이 종이 재질(보다 상세하게는 골판지 재질)에 의해 일체로 구성된다. 다시 말해, 소정 두께의 종이(즉, 골판지)를 접어서 포켓바디(22)와 냉매 수납 포켓(20) 및 연장편(26)이 일체로 구비된 구조의 냉매 수납 포켓(20)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종이를 접어서 바닥부(22a)와 상면부(22b)가 서로 마주하고 양측 벽부(24a,24b)가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며 연장편(26)은 바닥부(22a)의 세 군데 둘레부에 연장된 형태의 냉매 수납 포켓(20)을 만들고, 일측벽부(22c)에서 바닥부(22a)측의 연장편(26c)과 마주하는 플랩부를 접착제와 같은 접합수단에 의해 상기 연장편(26c)에 부착시킴으로써 전체적으로 사각 블록 형상의 냉매 수납 포켓(20)을 형성할 수 있다. 물론, 냉매 수납 포켓(20)을 종이 재질로 구성하는 것 이외에 적절한 경성을 가지는 여러 다른 재료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바디(22) 둘레부의 연장편(26)은 스티로폼 박스(10)의 내벽면에 닿아서 바디(22)의 둘레부(즉, 사각형 바디(22)의 둘레부)를 박스(10)의 내벽면에서 이격시키는 기능을 하는데, 이러한 연장편(26)에 소통홀(28)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전후단 연장편(26a 및 26b)에만 각각 세 개의 반원형 소통홀(28)이 구비될 수도 있고, 일측단의 연장편(26c)에도 반원형의 소통홀(28)이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일측단의 연장편(26c)에도 반원형의 소통홀(28)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냉매 수납 포켓(20)의 바디(22)는 전후단부에 사각홀 형상의 냉매 투입부(21)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냉매 수납 포켓(20)이 구비된 사각 블록 형상으로 구성되는데, 이러한 바디(22)는 상기 냉매 투입부(21)의 외측 위치의 둘레부, 구체적으로 양측벽부(22c 및 22d)에도 내외부로 연통된 소통홀(28)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10)의 내부에 식품이 담긴 식품 용기(3)(예를 들어, 딸기가 담긴 식품 용기)을 복수개로 적층하되, 이러한 식품 용기(3) 사이에 내부의 냉매 수납 포켓(20)에 냉매(1)가 들어있는 냉매 수납 포켓(20)을 올려놓는 방식으로 식품 용기(3)을 포장하여 운반하게 된다. 즉, 각 식품 용기(3) 위에 바로 냉매(1)를 올려놓는 것이 아니라 냉매(1)가 담긴 냉매 수납 포켓(20)을 식품 용기(3) 위에 올려놓고 냉매 수납 포켓(20) 위에 다시 식품 용기(3)를 쌓는 방식으로 스티로폼 박스(10)에 냉매(1)와 식품 용기(3)을 담은 상태로 포장 운반하면, 냉매(1)의 냉기가 직접 식품 용기(3)(딸기 용기 등)에 닿음을 인한 응축수가 생기기 않게 되며, 이러한 응축수 방지 등의 효과로 인해 식품이 물러지거나 하는 등의 상품성이 저하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4를 참조하여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의 냉매 수납 포켓(20)에 냉매(1)를 담은 상태에서 이러한 냉매 수납 포켓(20)을 식품 용기(3) 위에 올려놓고 보관 운반할 수 있는데, 도 4에 점선 화살표로 표시된 것과 같이, 냉매(1)의 냉기는 아래로 내려가고 상대적으로 따뜻한 공기는 위로 부상하는 자연적인 순환 원리에 의해 적절하게 냉기 순환 과정을 거치게 되므로, 식품 용기(3)(예를 들어, 딸기 용기)에 직접 냉매(1)의 냉이 닿지 않게 함으로써 온도가 급격히 내려가 응축수가 생기는 것을 막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양쪽 끝부분, 다시 말해, 냉매 수납 포켓(20)의 좌우측벽에 소통부(작은 구멍)를 형성하여, 냉매(1)의 냉기가 냉매 수납 포켓(20)의 좌우측에서 서서히 들어가 고르게 퍼지기 때문에, 식품의 품온(온도 품질)이 전체적으로 고르게 분포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냉매 수납 포켓(20)의 일측방에 구비된 연장편(26c)에도 소통홀(28)(반원형 구멍)을 형성함으로써, 냉기는 아래로 내려가고 상대적으로 따뜻한 공기는 위로 부상하는 자연 순환 과정을 거치도록 함으로써 식품 용기(3)에 응축수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고 냉기의 자연스러운 고른 순환을 통해 식품의 신선도를 충실하게 유지하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냉매 수납 포켓(20)의 전후단 연장편(26a,26b)에만 각각 소통홀(28)이 구비되기 보다는 일측방의 연장편(26c)에도 반원형의 소통홀(28)이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처럼 추가적으로 생긴 일측단 연장편(26c)의 소통홀(28)에 의해 냉기의 상하 자연 순환 정도를 보다 높일 수 있으므로, 식품의 선도 유지에 더욱더 바람직한 결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냉매(1)가 흔들리지 않도록 냉매 수납 포켓(20)에 감싸 안은 구조를 구현할 수 있으므로, 식품 운반 중에 냉매(1)가 흔들려서 식품의 품온(온도 품질)이 전체적으로 고르게 유지될 수 있으므로, 식품의 신선도 유지를 확실하게 보장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스티로폼 박스(10)의 내경에 맞게 냉매 수납 포켓(20) 사이즈를 제작함으로써 냉매(1)가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져 식품(딸기 등)을 누르지 않고 하중이 균등하게 퍼지도록 하였으므로, 냉매(1)에 의해 식품이 눌려 상하게 되는 바람직하지 않은 현상도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박스(10)의 내벽면에 결합홈부(15)가 더 구비되어, 냉매 수납 포켓(20)의 바디(22) 둘레부에 구비된 연장편(26)이 박스(10) 내벽면의 결합홈부(15)에 끼워 들어가 냉매 수납 포켓(20)의 바디(22) 부분을 박스(10)에 수납되는 식품 용기(3)의 표면에서 이격시킨 상태로 식품을 보관 운반할 수 있는데, 이러한 도 5와 도 6의 실시예의 경우, 냉매(1)와 식품 용기(3) 사이의 거리를 보다 더 이격시킴으로써 냉매(1)의 냉기가 식품 용기(3)에 직접 닿는 현상을 보다 더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식품 용기(3)에 응축수가 생기는 현상과 식품의 변질되는 현상을 보다 더 완전하게 방지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게 되며, 냉매(1)와 이를 수납한 냉매 수납 포켓(20)이 스티로폼 박스(10)의 결합홈부(15)에 끼워져 고정된 상태로 보관 운반할 수 있으므로, 냉매(1)가 유동되어 식품의 품온이 고르게 유지되지 못하거나 냉매(1)에 의해 식품이 눌려 상하게 되는 현상도 역시 더욱 확실하게 방지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냉매 수납 포켓(20)의 상하면에도 소통홀(28)이 구비될 수 있다. 좀더 상세히는 냉매 수납 포켓(20)의 바디(22)를 구성하는 바닥부(22a)와 상면부(22b)에 적당 사이즈와 갯수의 소통홀(28)을 구비할 수 있다.
이처럼 냉매 수납 포켓(20)의 상면과 하면에도 소통홀(28)을 구비하는 경우 냉매(1)의 냉기가 빠져나와 보다 원활하게 순환할 수 있으므로, 식품의 신선도 유지 등의 효율을 보다 향상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0. 박스 20. 냉매 수납 포켓
21. 냉매 투입부 22. 바디
26. 연장편

Claims (5)

  1. 내부에 식품을 담기 위한 수납공간을 구비한 식품 박스에 있어서,
    상기 박스(10)에 담겨지는 식품 사이에 배치되도록 블록 형상으로 이루어진 바디(22)와;
    상기 바디(22)의 내부에 구비된 냉매 수납부에 연통되도록 상기 바디(22)에 구비된 냉매 투입부(21)을 포함하는 냉매 수납 포켓(20)으로 구성되며,
    상기 바디(22)에는 상기 바디(22)의 둘레부를 상기 박스(10)의 내벽면으로 이격시키는 연장편(26)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박스용 냉매 고정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편(26)에는 소통홀(28)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박스용 냉매 고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22)는 내부에 냉매 수납부가 구비된 사각 블록 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바디(22)의 전후단부에 사각홀 형상의 냉매 투입부(21)가 형성되며, 상기 바디(22)의 상기 냉매 투입부(21) 외측 위치의 둘레부에는 내외부로 연통된 소통홀(28)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박스용 냉매 고정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10)의 내벽면에는 상기 냉매 수납 포켓(20)의 상기 바디(22) 둘레부에 구비된 상기 연장편(26)이 결합되어 상기 바디(22) 부분을 상기 박스(10)에 수납되는 식품 용기(3)의 표면에서 이격시키기 위한 결합홈부(15)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박스용 냉매 고정장치.
KR1020110061039A 2011-06-23 2011-06-23 식품 박스용 냉매 고정장치 KR1012699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1039A KR101269980B1 (ko) 2011-06-23 2011-06-23 식품 박스용 냉매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1039A KR101269980B1 (ko) 2011-06-23 2011-06-23 식품 박스용 냉매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0511A KR20130000511A (ko) 2013-01-03
KR101269980B1 true KR101269980B1 (ko) 2013-05-31

Family

ID=47833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1039A KR101269980B1 (ko) 2011-06-23 2011-06-23 식품 박스용 냉매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998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8264Y1 (ko) * 2006-07-14 2006-10-09 이재석 균등한 냉기발생기능을 갖는 포장박스
KR200443141Y1 (ko) 2007-05-29 2009-01-13 이재혁 보냉용 포장박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8264Y1 (ko) * 2006-07-14 2006-10-09 이재석 균등한 냉기발생기능을 갖는 포장박스
KR200443141Y1 (ko) 2007-05-29 2009-01-13 이재혁 보냉용 포장박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0511A (ko) 2013-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814381A (en) Container for dressed poultry and the like
US8490809B2 (en) Produce packaging system enabling improved drainage for hydrocooling
US3280968A (en) Package for flexible pouches and method of making the package
WO2008133374A1 (en) Cool-keeping system
KR200453946Y1 (ko) 가방식 과일포장용기
US6138828A (en) Produce package and display particularly for fresh herbs
US20190359407A1 (en) Packaged Meal Kit
USRE34533E (en) Method for preparing ice for transportation
KR101947386B1 (ko) 보냉 포장상자
KR101269980B1 (ko) 식품 박스용 냉매 고정장치
KR200412378Y1 (ko) 식품포장용 포장박스
US4333571A (en) Packaging unit for fruit or like articles
JP6905286B1 (ja) 保冷型包装容器
US20060263492A1 (en) Produce packaging system and method of use
JP2552485B2 (ja) 生鮮物輸送方法
KR20080051951A (ko) 판매자 중심의 기능성 포장상자
KR200347561Y1 (ko) 신선도 유지 기능을 갖는 포장상자
CN212891827U (zh) 一种新型禽蛋包装盒
KR20230001386U (ko) 냉동팩 포장박스
BR102019014456A2 (pt) bandeja para o acondicionamento, transporte e exposição de embalagens de frutas, e, embalagem de frutas
KR200311777Y1 (ko) 포장용 상자
US10059503B2 (en) Contoured ice pack system for a fish body
JPH0741888B2 (ja) 生鮮食品の包装方法及び包装容器
KR200286786Y1 (ko) 과일 포장상자
JPH107179A (ja) 食肉小パック用トレ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