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9430B1 - 오염수 정화기능을 갖는 물통 - Google Patents

오염수 정화기능을 갖는 물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9430B1
KR101269430B1 KR1020100105395A KR20100105395A KR101269430B1 KR 101269430 B1 KR101269430 B1 KR 101269430B1 KR 1020100105395 A KR1020100105395 A KR 1020100105395A KR 20100105395 A KR20100105395 A KR 20100105395A KR 101269430 B1 KR101269430 B1 KR 1012694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torage
contaminated water
storage area
water
rub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53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4032A (ko
Inventor
임병주
박창대
정경열
Original Assignee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계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to KR10201001053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9430B1/ko
Publication of KR201200440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40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94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94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 C02F1/0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by distillation or evaporation
    • C02F1/18Transportable devices to obtain potable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02F1/003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using household-type filters for producing potable water, e.g. pitchers, bottles, faucet mounted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일 측에 입구가 형성되는 원통 형상의 물통 본체와, 상기 수용공간을 오염수 저장영역과 정화수 저장영역으로 구획하되, 상부 영역이 상호 연통되도록 구획하는 원통 형상의 격벽과, 상기 오염수 저장영역의 하부에 설치되어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수단과, 상기 오염수 저장영역과 정화수 저장영역을 개폐하는 개폐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자연 상태의 물 또는 오염수를 이용하여 음용 가능한 물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오염수 정화기능을 갖는 물통 {WATER BOTTLE HAVING PURIFYING FUNCTION OF POLLUTED WATER}
본 발명은 오염수 정화기능을 갖는 물통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물통 본체 내부 공간을 오염수 저장영역과 정화수 저장영역으로 구획하고, 오염수 저장영역의 하부에 발열수단을 구비하여 발열수단의 열에 의해 오염수를 증발시켜 증발된 물을 정화수 저장영역에 저장시킴으로써 정화수를 얻을 수 있는 오염수 정화기능을 갖는 물통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급속도로 산업이 발달함에 따라 산업현장이나 자동차에서 발생하는 공해물질에 의해 지구의 온난화를 가져와 오존층이 파괴되어 산성비가 내리는 등 환경오염이 심화되고 있다.
따라서, 자연환경이 점차 파괴되면서 현재에는 자연 상태의 물을 마음놓고 음용할 수 없어 물을 끓이거나 정수기로 정수된 물을 음용하던지 아니면 별도로 생수를 구입하여 음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한편, 생활을 여유가 생기면서 여행 등 상주 공간을 떠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한다.
이러한 경우 정수된 물을 휴대용 물병에 담아 휴대하여 다니면서 정수된 물을 음용하고 있다.
그런데, 휴대용 물병의 용량은 제한적이기 때문에, 휴대용 물병에 담아 마실 수 있는 물의 양도 제한적이므로 필요할 때 물을 음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자연 상태의 물을 휴대용 물병에 담아 필요할 때 음용할 수 있지만, 자연 상태의 물은 오염되어 있을 확률이 높기 때문에 마음대로 음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자연 상태의 물을 정화하여 휴대할 수 있는 휴대용 물병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물통 본체 내부 공간을 오염수 저장영역과 정화수 저장영역으로 구획하고, 오염수 저장영역의 하부에 발열수단을 구비하여 발열수단의 열에 의해 오염수를 증발시켜 증발된 물을 정화수 저장영역에 저장시킴으로써 정화수를 얻을 수 있는 오염수 정화기능을 갖는 물통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일 측에 입구가 형성되는 원통 형상의 물통 본체와, 상기 수용공간을 오염수 저장영역과 정화수 저장영역으로 구획하되, 상부 영역이 상호 연통되도록 구획하는 원통 형상의 격벽과, 상기 오염수 저장영역의 하부에 설치되어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수단과, 상기 오염수 저장영역과 정화수 저장영역을 개폐하는 개폐수단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격벽은 단열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열수단은 상기 오염수 저장영역의 바닥 면을 형성하는 금속재의 플레이트와, 상기 금속재의 플레이트 하부에 면접하도록 탄성적으로 설치되는 러버와, 상기 러버에 연결되어 러버를 회전시키는 회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부는 수동 핸들 또는 구동 모터일 수 있다.
이에 의해, 자연 상태의 물 또는 오염수를 이용하여 음용 가능한 물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오염수 정화기능을 갖는 물통의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오염수 정화기능을 갖는 물통의 정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오염수 정화기능을 갖는 물통의 평 단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오염수 정화기능을 갖는 물통의 작동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오염수 정화 기능을 갖는 물통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물통 본체(100)와, 물통 본체(100)의 수용공간을 오염수 저장영역(210)과 정화수 저장영역(220)으로 구획하는 격벽(200)과, 오염수 저장영역(210)의 하부에 설치되어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수단(300)과, 오염수 저장영역(210)과 정화수 저장영역(220)을 개폐하는 개폐수단(400)으로 구성된다.
먼저, 물통 본체(100)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원통형의 구조체로, 상부에 원 형상으로 천공되는 입구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입구는 물통 본체(10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격벽(200)은 물통 본체(100)의 내부 수용공간에 설치되는 중공 원통 형상의 구조체로, 물통 본체(100)의 수용공간을 격벽(200)의 내부 측과 외부 측으로 구획하되, 상부 영역이 상호 연통되도록 구획한다.
즉, 격벽(200)은 물통 본체(100)의 하부 면에서 상부 방향으로 설치되는데, 격벽(200)의 하부는 물통 본체(100)의 하부 내측 면과 맞닿도록 설치되지만, 격벽(200)의 상부는 물통 본체의 상부 내측 면과 이격되도록 설치되어, 이 이격된 공간에 의해 구획된 각 영역이 상호 연통된다.
이때, 격벽(200)에 의해 구획된 수용공간 중 격벽(200)의 내부 측 공간이 오염수 저장영역(210)이고, 격벽(200)의 외부 측 공간이 정화수 저장영역(220)이 된다.
그리고, 격벽(200)은 단열재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중 PL 류의 단열재로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격벽(200)의 내부 측에 수용된 오염수를 발열수단(300)에 의해 가열할 때, 열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격벽(200)이 단열재로 제작됨에 따라 보다 효율적으로 오염수를 가열할 수 있다.
한편, 발열수단(300)은 플레이트(310)와, 플레이트(310)의 하부에 설치되는 러버(320)와, 러버(320)를 회전시키는 회전부(330)로 구성된다.
플레이트(310)는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원 형상의 플레이트로, 격벽(200)의 내부 직경에 대응하는 직경으로 형성되어 격벽(200)의 내부에 설치된다.
즉, 플레이트(310)는 격벽(200)의 내부에 설치되어 오염수 저장영역(210)의 바닥 면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플레이트(310)는 구리, 알루미늄 등의 금속류 재질은 대부분 가능하나 부식에 강한 SUS 류가 바람직하다.
그리고, 러버(320)는 플레이트(310)의 직경에 대응하는 직경으로 형성되어 플레이트(310)의 하부 면에 면접하도록 설치된다.
이때, 러버(320)는 내열, 내마모성이 우수한 브레이크 라이닝 소재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플레이트(310)와 러버(320)가 이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러버(320)의 하부 면과 물통 본체(100)의 하부 내측 면 사이에 설치되어 러버(320)를 플레이트(310) 측으로 밀어주는 탄성부재(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회전부(330)는 러버(320)의 하부 면과 결합되어 러버(320)를 회전시킨다.
여기서, 회전부(330)는 도 2a에 도시된 것처럼 물통 본체(100)의 외부 측으로 연장 형성된 핸들의 형태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수동으로 러버(320)를 회전시킬 수 있고, 도 2b에 도시된 것처럼 러버(320)의 하부와 물통 본체(100)의 하부 면의 사이 공간에 형성되는 모터로 형성되어 자동으로 러버(320)를 회전시킬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발열수단(300)은 회전부(330)에 의해 러버(320)를 회전시키고, 회전되는 러버(320)와 플레이트(310)의 마찰에 의해 열에 발생시켜 오염수 저장영역(210)으로 열을 공급한다.
한편, 개폐수단(400)은 물통 본체(100)의 입구 상에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하 이동에 따라 오염수 저장영역(210)과 정화수 저장영역(220)의 상부 연통 공간을 개폐한다.
즉, 개폐수단(400)은 중공 원통 형상의 구조체로 형성되되 하부가 격벽(200)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개폐수단(400)이 하부로 이동 시 개폐수단(400)의 하부가 격벽(200)의 상부와 결합되어 오염수 저장영역(210)과 정화수 저장영역(220)을 상호 폐쇄시킨다.
이때에는, 오염수 저장공간(210)이 입구를 통해 물통 본체(100)의 외부와 연통된다.
또한, 개폐수단(400)이 상부로 이동 시 개폐수단(400)의 하부와 격벽(200)의 상부가 분리되어 오염수 저장영역(210)과 정화수 저장영역(220)을 상호 연통시킨다.
그리고, 개폐수단(400)의 상부와 결합되는 마개(500)가 구비되어, 물통 본체(100)와 외부를 개폐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오염수 정화기능을 갖는 물통을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4a에 도시된 것처럼 마개(500)를 개방한 후, 개폐수단(400)을 하부로 이동시키고 오염수를 오염수 저장영역(210)에 공급한다.
그 후, 도 4b에 도시된 것처럼 마개(500)를 닫고 개폐수단(400)을 상부로 이동시킨 후, 회전부(330)를 회전시킨다.
회전부(330)의 회전에 따라 러버(320) 또한 회전되고, 회전되는 러버(320)와 플레이트(310) 사이의 마찰에 의해 열이 발생되어 이 열에 의해 오염수가 가열되고, 이에 따라 오염수가 증발된다.
이때, 플레이트(310)와 러버(320) 사이의 마찰열은 40°C ~ 50°C가 적정하며, 마찰열이 상기 온도가 되면 상변화(증발)가 일어나게 된다.
증발된 오염수는 오염수 저장영역(210)과 정화수 저장영역(220)의 상부 연통 공간을 통해 정화수 저장영역(220) 측으로 이동되고, 이동된 증기는 물통 본체(100)의 내면에 응축되어 깨끗한 물로 변환된다.(도 4c 참조)
상기와 같은 과정에 따라 오염수가 정화수로 탈바꿈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작동하는 본 발명에 따른 오염수 정화기능을 갖는 물통에 의해 자연 상태의 물 또는 오염수를 정화수로 변환시킬 수 있어, 언제 어디서나 음용 가능한 물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실시예 및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은 자명하다.
100 : 물통 본체 200 : 격벽
210 : 오염수 저장영역 220 : 정화수 저장영역
300 : 발열수단 310 : 플레이트
320 : 러버 330 : 회전부
340 : 탄성부재 400 : 개폐수단
500 : 마개

Claims (4)

  1.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일 측에 입구가 형성되는 원통 형상의 물통 본체와;
    상기 수용공간을 오염수 저장영역과 정화수 저장영역으로 구획하되, 상부 영역이 상호 연통되도록 구획하는 원통 형상의 격벽과;
    상기 오염수 저장영역의 하부에 설치되어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수단과;
    상기 오염수 저장영역과 정화수 저장영역을 개폐하는 개폐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발열수단은,
    상기 오염수 저장영역의 바닥 면을 형성하는 금속재의 플레이트와;
    상기 금속재의 플레이트 하부에 면접하도록 탄성적으로 설치되는 러버와;
    상기 러버에 연결되어 러버를 회전시키는 회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수 정화기능을 갖는 물통.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단열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수 정화기능을 갖는 물통.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수동 핸들 또는 구동 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수 정화기능을 갖는 물통.
KR1020100105395A 2010-10-27 2010-10-27 오염수 정화기능을 갖는 물통 KR1012694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5395A KR101269430B1 (ko) 2010-10-27 2010-10-27 오염수 정화기능을 갖는 물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5395A KR101269430B1 (ko) 2010-10-27 2010-10-27 오염수 정화기능을 갖는 물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4032A KR20120044032A (ko) 2012-05-07
KR101269430B1 true KR101269430B1 (ko) 2013-05-30

Family

ID=46263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5395A KR101269430B1 (ko) 2010-10-27 2010-10-27 오염수 정화기능을 갖는 물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94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217616A1 (ko) * 2016-06-16 2017-12-21 주식회사 플러스 휴대용 정수 수통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7030617A1 (en) 1996-02-23 1997-08-28 Vicinzino Damico Expresso machine with built-in electric working device
KR200317447Y1 (ko) * 2003-03-13 2003-06-25 정광채 증류수 추출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7030617A1 (en) 1996-02-23 1997-08-28 Vicinzino Damico Expresso machine with built-in electric working device
KR200317447Y1 (ko) * 2003-03-13 2003-06-25 정광채 증류수 추출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217616A1 (ko) * 2016-06-16 2017-12-21 주식회사 플러스 휴대용 정수 수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4032A (ko) 2012-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i et al. Synergistic high‐rate solar steaming and mercury removal with MoS2/C@ Polyurethane composite sponges
US20140305788A1 (en) Distillation apparatus and distillation method
US20170233264A1 (en) Desalination system for the production of potable water
BRPI1102632A2 (pt) processo para regeneração de um adsorvedor ou absorvedor
KR101269430B1 (ko) 오염수 정화기능을 갖는 물통
Taherizadeh et al. Experimental evaluation of solar still efficiencies as a basic step in treatment of wastewater
WO2012077254A1 (ja) 被洗浄物の蒸気洗浄装置
Azmi et al. Effect of water onto porous CaO for CO2 adsorption: Experimental and extended isotherm model
WO2000039507A2 (en) Immiscible, direct contact, floating bed enhanced, liquid/liquid heat transfer process
Li et al. Water harvesting from soils by light-to-heat induced evaporation and capillary water migration
Ji et al. 3D Monolayer Silanation of Porous Structure Facilitating Multi‐Phase Pollutants Removal
Mountadar et al. Equilibrium, kinetic, and thermodynamic studies of the Ca2+ and Mg2+ ions removal from water by Duolite C206A
TNSN08073A1 (fr) Reacteur thermochimique pour appareil de refrigeration et/ou de chauffage
JP2011005428A (ja) 淡水化装置
CN109642776B (zh) 蓄热系统、蓄热容器、使用蓄热容器的蓄热装置及使用蓄热装置的暖气装置
RU2016119063A (ru) Станция перекачки сточных вод
US11724210B2 (en) Heat sink evaporator
CN105324161A (zh) 薄膜系统及其使用方法和制造方法
CN210646476U (zh) 一种用于化学实验的加热架
KR101078334B1 (ko) 야외용 간이 서바이벌 백
JP3229255U (ja) 被爆汚染水の処理装置
RU2006114855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влечения металлов цементацией с вращением потока раствора
KR20160127850A (ko) 담수 생성장치
Lekgoba Thermodynamics and kinetic study of metal adsorption on coal fly ash based on a binary mixture of copper and nickel
JP2005144407A (ja) 吸脱着槽構造および吸脱着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