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8744B1 - 조명등을 이용하는 위치 인식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조명등을 이용하는 위치 인식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8744B1
KR101268744B1 KR1020110125975A KR20110125975A KR101268744B1 KR 101268744 B1 KR101268744 B1 KR 101268744B1 KR 1020110125975 A KR1020110125975 A KR 1020110125975A KR 20110125975 A KR20110125975 A KR 20110125975A KR 101268744 B1 KR101268744 B1 KR 1012687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ation
sample
light
lamp
m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5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용욱
한상국
양세훈
김현승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1259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87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87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87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1/00Systems for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not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 G01S11/12Systems for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not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us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3/00Measuring distances in line of sight; Optical rangefind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02Deta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조명등으로부터 방출된 위치 인식 신호 및 상기 신호의 세기를 이용하여 상기 조명등의 빛을 수신하는 대상 기기의 위치를 검출하는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위치 인식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조명등으로부터 수신된 광을 통하여 상기 조명등의 위치 코드 및 상기 광의 세기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위치 코드 및 상기 검출된 세기와 관련된 파라미터에 해당하는 위치 맵의 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광을 수신하는 광 수신부의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조명등을 이용하는 위치 인식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OF DETECTING LOCATION OF A DEVICE USING A LINGHTING DEVICE}
본 발명은 조명등으로부터 방출된 위치 인식 신호 및 상기 신호의 세기를 이용하여 상기 조명등의 빛을 수신하는 대상 기기의 위치를 검출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실내 공간에서 위치를 파악하기 위하여는 사람이 일일이 자신의 위치를 파악하여야만 했다. 또한, 이마트 등과 같은 실내에서 원하는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서비스 센터를 찾아서 정보를 얻거나 방송을 통하여 획득하여야만 했다. 따라서, 사람들이 자신의 위치를 탐지하거나 정보를 얻기가 불편하였다.
본 발명은 용이하게 자신의 위치를 검출하고 원하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위치 인식 시스템 및 방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치 인식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조명등으로부터 수신된 광을 통하여 상기 조명등의 위치 코드 및 상기 광의 세기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위치 코드 및 상기 검출된 세기와 관련된 파라미터에 해당하는 위치 맵의 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광을 수신하는 광 수신부의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위치 맵은 해당 조명등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의 세기와 관련된 파라미터의 값 및 해당 위치 좌표를 저장하는 복수의 위치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치 인식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조명등으로부터 수신된 광을 통하여 상기 조명등의 위치 코드 및 상기 광의 세기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위치 코드 및 상기 검출된 세기와 관련된 파라미터에 해당하는 위치 맵의 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광을 수신하는 광 수신부의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광 수신부를 포함하는 대상 기기는 상기 위치 맵을 외부 기기로부터 다운받아 로딩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치 인식 방법은 특정 실내 공간의 위치들을 표시한 위치 맵을 로딩하는 단계; 및 조명등들로부터 방출된 광의 세기와 관련된 파라미터의 값에 해당하는 샘플을 상기 위치 맵에 매핑시켜 상기 광을 수신하는 광 수신부의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광은 해당 조명등의 위치 코드 정보를 가지며, 상기 위치 맵은 해당 조명등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의 세기와 관련된 파라미터의 값 및 해당 위치 좌표를 저장하는 복수의 위치들을 포함한다.
삭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인식이 되는 대상 기기는 조명등으로부터 방출된 광으로부터 위치 코드를 검출하는 위치 코드 관리부; 상기 광의 세기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세기와 관련한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신호 세기 검출부; 및 상기 검출된 위치 코드 및 상기 획득된 파라미터의 값을 위치 맵에 매핑시켜 상기 대상 기기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위치 맵은 해당 조명등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의 세기와 관련된 파라미터의 값 및 해당 위치 좌표를 저장하는 복수의 위치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위치 인식 시스템 및 방법은 조명등들로부터 제공되는 광의 세기 및 상기 조명등들에 설정된 위치 코드를 이용하여 광 수신부의 위치, 즉 사용자의 위치를 검출하므로, 상기 사용자는 자신의 위치를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원하는 정보도 용이하게 획득할 수 있다. 특히, 위치 인식을 위하여 조명등을 이용하므로, 별도로 위치 인식을 위한 장치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서 비용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실내에는 조명등이 설치되지 않은 곳이 없으므로, 조명들을 이용하여 실내에 위치하는 로봇, 카트, 스마트폰 등의 위치를 검출하여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명 구조에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인식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인식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위치 검출 과정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상 기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위치 인식 시스템은 실내에 설치된 조명등을 이용하여 실내에 위치한 광 수신부를 가지는 대상 기기의 위치를 검출하는 시스템을 의미하며, 실내에 위치한 로봇의 위치 검출, 대형 쇼핑몰에서의 구매 물건 또는 카트의 위치 검출, 재난 발생시 사람의 위치 검출 등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현재, 스마트폰이 널리 보급되어 있으며, 따라서 스마트폰의 위치를 검출하면 상기 스마트폰 소지자의 위치를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스마트폰은 소지하기도 쉽고 대다수 보유하고 있으며 처리 속도가 빠르고 다양한 기능들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상기 소지자의 위치를 검출하는 데 적합하고 다양한 정보들을 상기 스마트폰을 통하여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마트를 방문한 스마트폰 소유자의 위치를 검출하면, 상기 이마트에 설치된 관리 서버가 상기 스마트폰의 위치에 맞도록 해당 층의 매장 정보, 할인 정보 등을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위치 인식 시스템은 관리 서버가 상기 대상 기기의 위치를 검출한 후 상기 검출된 위치에 관한 정보를 상기 대상 기기로 전송하는 방법이 아닌 상기 대상 기기가 위치 맵을 이용하여 그의 위치를 스스로 검출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다만, 상기 광 수신부와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부가 하나의 대상 기기에 포함되어 있을 수도 있고, 별도로 분리된 기기들로 나뉘어 존재할 수도 있다. 다만,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광 수신부와 상기 위치 검출부가 모두 대상 기기에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하겠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위치 인식 시스템은 광 세기와 관련된 파라미터들에 대한 정보를 가지는 위치들을 포함하는 위치 맵을 이용하여 상기 대상 기기의 위치를 검출한다.
이하, 이러한 본 발명의 위치 검출 시스템 및 방법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술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인식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위치 인식 시스템은 특정 건물(100)의 실내 공간에 위치한 광 수신부를 가지는 대상 기기(102) 및 천정 등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조명등(104)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광 수신부는 포토 다이오드 등과 같이 광을 수신할 수 있는 한 제한되지 않으며, 조명등(104)은 다양한 조명들이 사용될 수 있지만 녹색 환경 등을 고려하여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등인 것이 유리하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위치 인식 시스템은 3개의 조명등들(104a, 104b 및 104c)을 포함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대상 기기(102)는 광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광 신호를 분석할 수 있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며, 예를 들어 스마트폰, 로봇, 카트 등일 수 있다. 여기서, 대상 기기(102)에는 위치 검출을 위한 위치 맵(position map)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위치 맵은 대상 기기(102)에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도 있고, 예를 들어 이마트 내에 있는 카트에 위치 맵이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대상 기기(102)가 건물(100) 내로 진입하면 상기 위치 맵이 대상 기기(102)로 자동 또는 수동으로 다운되고 대상 기기(102)가 상기 다운된 위치 맵을 로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쇼핑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이마트에 진입하면, 상기 위치 맵이 대상 기기(102)로 자동 다운되거나 다운받을지가 사용자에게 문의된 후 사용자가 동의한 경우 다운될 수 있다. 상기 위치 맵은 건물마다 다르고 설계자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공통적으로 광 세기와 관련된 파라미터(SNR, ER 등)에 따라 결정된 위치들을 포함한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겠다.
또한, 대상 기기(102)는 복수의 조명들(104)로부터 방출된 광의 세기와 관련된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자신의 위치를 검출한다.
조명등(104)은 제 1 위치 코드(first location code, LC1)를 가지는 제 1 조명등(104a, L1), 제 2 위치 코드(LC2)를 가지는 제 2 조명등(104b, L2) 및 제 3 위치 코드(LC3)를 가지는 제 3 조명등(104c, L3)을 포함한다. 여기서, 대상 기기(102)는 3개의 조명등들(104a, 104b 및 104c)로부터 발산된 광을 수신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상기 위치 코드들(LC1, LC2 및 LC3)은 해당 조명등(104)의 위치 정보를 표시하며, 따라서 대상 기기(102)는 상기 위치 코드를 분석하여 해당 조명등(104)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상기 위치 코드는 다양한 방법에 의해 설정될 수 있으며, 용이하게는 이진 코드로 설정된다. 예를 들어, 제 1 위치 코드(LC1), 제 2 위치 코드(LC2) 및 제 3 위치 코드(LC3)는 11000, 10100 및 10010으로 각기 표현될 수 있다. 따라서, 대상 기기(102)가 제 1 위치 코드(LC1)를 가지는 조명등(104a)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수신 및 분석하여 제 1 위치 코드(LC1)를 검출하면, 상기 수신된 광에 해당하는 조명등(104a)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으며, 상기 파악된 위치를 위치 맵에 표시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위치 코드는 해당 조명등의 위치를 저장하는 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정리하면, 본 실시예의 위치 인식 시스템에서 각 조명등들(104)은 해당 위치 코드를 가지며, 대상 기기(102)는 조명등들(104)로부터 방출된 광의 세기 및 상기 위치 코드를 통하여 그의 위치를 검출한다. 이러한 위치 검출은 실시간으로 계속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지만 이러한 방법은 부하를 상당히 증가시키므로, 부하를 감소시키도록 기설정된 주기 또는 사용자가 특정 버튼을 누르는 등의 행위를 했을 때만 검출될 수도 있다.
또한, 위에서는 상기 광 수신부가 대상 기기(102) 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센서로서 광 수신부가 대상 기기(102)와 분리되어 개별적으로 존재하고 대상 기기(102)는 상기 광 수신부로부터 전송된 감지 결과를 이용하여 그의 위치를 검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위치 맵 또한 조명등(104)으로부터 대상 기기(102)로 다운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조명등(104) 내에 상기 위치 맵을 저장하고 전송할 수 있는 위치부가 포함되어 있을 것이다.
이하, 대상 기기(102)의 위치를 검출하는 과정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술하겠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인식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위치 검출 과정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광 세기를 기준으로 정해진 위치들(402)을 포함하는 위치 맵(400)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성된다(S200). 즉, 각 위치들(402)은 해당 조명등(104)으로부터 방출된 광의 세기에 해당하는 파라미터의 값을 가진다. 예를 들어, 특정 위치(402)는 제 1 조명등(104a)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의 세기와 관련된 SNR이 10㏈인 정보, 제 2 조명등(104b)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의 세기와 관련된 SNR이 5㏈인 정보 및 제 3 조명등(104C)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의 세기와 관련된 SNR이 3㏈인 정보를 포함한다. 물론, 특정 위치(402)는 건물(100)에서 자신의 위치 좌표에 대한 정보도 포함한다. 즉, 위치 맵(400)은 자신의 좌표 및 해당 조명등들(104)의 세기와 관련된 파라미터들에 대한 정보를 가지는 복수의 위치들(402)을 포함한다. 여기서, 위치들(402)은 일정 간격을 가지고 규칙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위치 맵(400)은 해당 건물(100)의 특성에 맞춰서 다르게 설계되며, 바람직하게는 건물(100)의 관리 서버에 저장될 수 있다. 물론, 필요시 관리자는 위치 맵(400)을 새롭게 설계할 수도 있다.
이어서, 대상 기기(102), 예를 들어 스마트폰은 위치 맵(400)을 다운받아서 로딩한다(S202).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이마트에 진입하면 위치 맵(400)이 사용자의 스마트폰으로 수동 또는 자동으로 다운되어 로딩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위치 맵(400)은 Wi-Fi, 근거리 통신 등과 같은 무선을 통하여 대상 기기(102)로 다운로드될 수 있다.
계속하여, 대상 기기(102)는 자신이 위치한 장소의 조명등들(104)로부터 전송된 광(위치 코드 신호)을 수신한다(S204).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각 조명등들(104)은 자신의 위치 코드를 각기 가지고 있으며, 상기 위치 코드를 가지는 위치 코드 신호를 대상 기기(102), 구체적으로는 광 수신부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조명등(104)은 그의 위치 코드에 따라 깜박거리는 동작을 수행하여 위치 코드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명등(104)은 "1"인 경우 광을 출력하고 "0"인 경우 광을 출력하지 않는 방식으로 위치 코드를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위치 코드가 "10010"인 경우, 조명등(104)은 "출력", "비출력", "비출력", "출력" 및 "비출력"을 일정 간격으로 동작시키고, 위의 전체 동작을 계속적으로 반복한다. 다만, 이러한 조명등(104)의 깜박거림은 사람들에게 깜박거림이 인지되지 않아야 하므로, 연속적으로 "비출력"으로 인식되는 구간이 사람이 깜박거림을 인지할 수 있는 최소 시간(1/70초 = 약 14㎳)보다 작아야 한다. 위의 예에서, 5자리의 코드들을 가지므로, 최대 "비출력" 구간은 5개까지 나올 수 있으며, 따라서 코드들 사이의 간격은 1/350초보다 작아야 한다. 이렇게 간격을 설정하면, 조명등(104)이 자신의 위치 코드를 발생시키면서도 조명으로서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조명등(104)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조명 소자들(302), 예를 들어 LED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각 조명 소자들(302)은 "1" 또는 "0"을 표현하도록 설계된다. 예를 들어, 조명 소자(302)가 발광하면 "1"로 인식되고 소등 상태이면 "0"으로 인식된다. 따라서, 조명 소자들(302)을 직렬로 배열하여 위치 코드가 설정될 수 있다.
각 조명등들(104)은 위에 언급된 방식으로 설정된 위치 코드를 가지는 위치 코드 신호를 광을 방출하는 방식을 통하여 출력한다.
이어서, 대상 기기(102)는 자신이 현재 위치한 장소에서 광을 출력하는 조명등들(104)의 위치 코드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위치 코드 신호를 분석하여 해당 조명등들(104)의 각기 위치 코드를 파악한다(S204).
계속하여, 대상 기기(102)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 맵(400)에 조명등들(104)의 위치들(410)을 표시한다. 물론, 조명등들(104)의 위치들(410)은 위치 맵(400)에 기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이하, 제 1 조명등(104a)에 해당하는 위치(L1)를 410a로 하고, 제 2 조명등(104b)에 해당하는 위치(L2)를 410b로 하며, 제 3 조명등(104c)에 해당하는 위치(L3)를 410c로 하겠다. 도 4(A)에서는 3개의 조명등들(104)을 표시하였으므로, 삼각형 형태로 표시되었으나, 4개의 조명등들(104)을 표시하면 사각형이 되는 등 조명등들(104)의 수에 따라 조명등들(104)의 위치 표시 형태가 달라질 것이다. 결과적으로, 위치 맵(400)에는 조명등들(410a, 410b 및 410c)의 위치 및 위치 좌표 및 광의 세기와 관련된 파라미터들에 대한 정보를 가지는 위치들(402)이 표시된다.
이어서, 대상 기기(102)는 샘플 위치를 특정하고 대칭 샘플 위치를 확정한다(S206). 예를 들어, 제 1 조명등(104a)으로부터 출력된 광의 세기와 관련된 파라미터의 값을 검출하고,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조명등(104a)에 해당한다는 표시를 나타내는 제 1 샘플(420a)을 상기 검출값에 해당하는 위치로 위치 맵(400) 상에 표시하고, 위치(410a)의 대칭선(위치(410a)의 각을 이등분한 선을 의미함)을 기준으로 하여 제 1 샘플(420a)과 대칭되는 위치에 제 1 대칭 샘플(420b)을 표시한다. 한편, 제 1 조명등(104a)으로부터 출력된 광의 세기와 관련된 파라미터의 값이 위치들(402)에 정확하게 매칭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파라미터의 값과 가장 근사한 값을 가지는 위치(402)를 제 1 샘플(420a) 또는 제 1 대칭 샘플(420b)로 표시한다. 따라서, 제 1 조명등(104a)에 해당하는 제 1 샘플(420a) 및 제 1 대칭 샘플(420b)이 위치 맵(400) 상에 표시된다. 제 1 조명등(104a)과 유사한 방법으로 제 2 조명등(104b) 및 제 3 조명등(104c)에 해당하는 샘플들(422a 및 424a) 및 대칭 샘플들(422b 및 424b)이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 맵(400) 상에 표시될 수 있다. 물론, 위치 맵(400)에 위치들(402)을 세밀하게 설정하면 대상 기기(102)의 위치가 좀 더 정확할 수 있지만, 위치들(402)이 세밀하지 않아도 대상 기기(102)의 개략적인 위치를 검출하는 데는 문제 없다.
계속하여, 대상 기기(102)는 샘플들 및 대칭 샘플들 사이의 거리를 계산한다(S208).
이어서, 대상 기기(102)는 계산된 거리가 기설정 거리보다 작은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210).
2개의 샘플들 사이의 거리가 상기 기설정 거리보다 작지 않으면, 단계 S208이 다시 수행된다.
반면에, 2개의 샘플들 사이의 거리가 상기 기설정 거리보다 작으면, 대상 기기(102)는 상기 샘플들을 그룹의 샘플로 선정한다(S212).
계속하여, 거리가 계산되지 않거나 비교되지 않은 샘플이 존재하는 지의 여부가 판단된다(S214).
거리가 계산되지 않거나 비교되지 않은 샘플이 존재하면, 단계 S208이 다시 수행된다.
반면에, 거리가 계산되지 않거나 비교되지 않은 샘플이 존재하지 않으면, 대상 기기(102)는 그룹의 샘플들의 산술 평균을 통하여 그의 위치, 구체적으로는 광 수신부의 위치를 검출한다(S216). 예를 들어, 대상 기기(102)는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설정 거리보다 작은 거리를 가지는 샘플들의 집합(430)을 선정하고, 상기 선정된 샘플들의 산술 평균을 구하여 구해진 값을 대상 기기(102)의 위치로 검출한다.
이어서, 대상 기기(102)의 위치가 확정되면, 관리 서버 등은 대상 기기(102)로 필요한 정보를 전송하여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고, 대상 기기(102) 자체에 저장된 정보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관리자는 원하는 정보를 대상 기기(102)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는 원하는 정보를 자신의 위치를 바탕으로 하여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소지한 채 이마트의 2층에 위치한 경우, 관리 서버는 사용자에게 2층의 매장 정보를 전송하여 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원하는 물건이 있는 위치 및 가격 정보 등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정리하면, 본 실시예의 위치 인식 방법은 조명등들(104)의 위치 코드들을 수신하고, 상기 위치 코드들 및 조명등들(104)로부터 방출된 광의 세기와 관련된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샘플들을 획득하고, 상기 샘플들의 거리들을 이용하여 대상 기기(102)의 위치를 추적한다. 이러한 위치 인식 방법은 계산량이 적어서 대상 기기(102)가 용이하면서도 신속하게 자신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위에서는 각 조명등들(104)에 대하여 1개의 샘플 및 대칭 샘플을 설정하였지만, 동일한 파라미터로 인하여 복수의 샘플들이 있을 때 복수의 대칭 샘플들이 생성되고, 이러한 샘플들 및 대칭 샘플들 사이의 거리를 이용하여 대상 기기(102)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위에서는, 광 수신부가 대상 기기(102)에 포함된 것으로 가정하였으나, 광 수신부가 대상 기기(102)와 별도로 존재하고, 예를 들어 카트 상에 존재하고, 상기 광 수신부가 감지된 위치 코드에 대한 정보를 대상 기기(102), 예를 들어 사용자가 소지한 스마트폰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광 수신부는 대상 기기(102)에 포함되어 위치 코드를 수신하되, 대상 기기(102)와 별도로 대상 기기(102)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부가 존재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상 기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대상 기기(102)는 제어부(500), 광 수신부(502), 위치 코드 관리부(504), 신호 세기 검출부(506), 위치 검출부(508), 정보부(510), 송수신부(512) 및 저장부(514)를 포함한다.
광 수신부(502)는 조명등들(104)로부터 출력된 광을 수신하며, 즉 조명등들(104)로부터 전송된 위치 코드 신호를 수신한다.
위치 코드 관리부(504)는 광 수신부(502)에 의해 수신된 위치 코드 및 위치 맵을 관리한다.
신호 세기 검출부(506)는 조명등들(104)로부터 전송된 위치 코드 신호들의 세기를 검출하고, 상기 세기와 관련된 파라미터들을 파악한다.
위치 검출부(508)는 상기 조명등들(104)의 위치 및 상기 파라미터들에 해당하는 샘플들을 위치 맵(400)에 매칭시킨 후 대상 기기(102)의 위치를 검출한다.
정보부(510)는 관리 서버 등으로부터 각종 정보를 수신하고 관리한다.
송수신부(510)는 상기 관리 서버 등과 연결되는 통로이다.
저장부(514)는 위치 코드, 위치 맵 등과 같은 각종 데이터를 저장한다.
제어부(500)는 대상 기기(102)의 각종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2 : 대상 기기 104 : 조명등
400 : 위치 맵 402 : 위치
410 : 조명등의 위치 420, 422, 424 : 샘플, 대칭 샘플

Claims (11)

  1. 적어도 하나의 조명등으로부터 수신된 광을 통하여 상기 조명등의 위치 코드 및 상기 광의 세기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위치 코드 및 상기 검출된 세기와 관련된 파라미터에 해당하는 위치 맵의 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광을 수신하는 광 수신부의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위치 맵은 해당 조명등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의 세기와 관련된 파라미터의 값 및 해당 위치 좌표를 저장하는 복수의 위치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인식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 수신부의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위치 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조명등을 상기 위치 맵에 매핑시키는 단계;
    상기 광 수신부가 수신한 광에 대응하는 각 조명등들에 대하여 상기 검출된 세기와 관련된 파라미터에 해당하는 샘플을 상기 위치 맵에 매핑시키는 단계;
    상기 광 수신부가 수신한 광에 대응하는 각 조명등들에 대하여 상기 샘플과 대칭되는 대칭 샘플을 상기 위치 맵에 매핑시키는 단계;
    상기 샘플들과 상기 대칭 샘플들 사이의 거리들을 각기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거리들 중 기설정 거리보다 작은 거리를 가지는 샘플 및 대칭 샘플로 구성된 그룹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그룹 내에 포함된 샘플 또는 대칭 샘플의 산술 평균을 구하여 상기 구해진 위치를 상기 광 수신부의 위치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대칭 샘플은 해당 조명등의 위치의 각을 이등분한 가상의 선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샘플과 대칭되는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인식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코드는 상기 조명등의 깜박임으로 표현되거나 상기 조명등에 배열된 조명 소자들의 배열로 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인식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는 SNR 또는 ER이고, 상기 조명등은 LED등이며, 상기 광 수신부를 포함하는 대상 기기는 스마트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인식 방법.
  6. 적어도 하나의 조명등으로부터 수신된 광을 통하여 상기 조명등의 위치 코드 및 상기 광의 세기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위치 코드 및 상기 검출된 세기와 관련된 파라미터에 해당하는 위치 맵의 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광을 수신하는 광 수신부의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광 수신부를 포함하는 대상 기기는 상기 위치 맵을 외부 기기로부터 다운받아 로딩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인식 방법.
  7. 특정 실내 공간의 위치들을 표시한 위치 맵을 로딩하는 단계; 및
    조명등들로부터 방출된 광의 세기와 관련된 파라미터의 값에 해당하는 샘플을 상기 위치 맵에 매핑시켜 상기 광을 수신하는 광 수신부의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광은 해당 조명등의 위치 코드 정보를 가지며, 상기 위치 맵은 해당 조명등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의 세기와 관련된 파라미터의 값 및 해당 위치 좌표를 저장하는 복수의 위치들을 포함하는 것을 위치 인식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광 수신부의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위치 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조명등을 상기 위치 맵에 매핑시키는 단계;
    상기 광 수신부가 수신한 광에 대응하는 각 조명등들에 대하여 상기 검출된 세기와 관련된 파라미터에 해당하는 샘플을 상기 위치 맵에 매핑시키는 단계;
    상기 광 수신부가 수신한 광에 대응하는 각 조명등들에 대하여 상기 샘플과 대칭되는 대칭 샘플을 상기 위치 맵에 매핑시키는 단계;
    상기 샘플들과 상기 대칭 샘플들 사이의 거리들을 각기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거리들 중 기설정 거리보다 작은 거리를 가지는 샘플 및 대칭 샘플로 구성된 그룹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그룹 내에 포함된 샘플 또는 대칭 샘플의 산술 평균을 구하여 상기 구해진 위치를 상기 광 수신부의 위치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대칭 샘플은 해당 조명등의 위치의 각을 이등분한 가상의 선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샘플과 대칭되는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인식 방법.
  9. 위치 인식이 되는 대상 기기에 있어서,
    조명등으로부터 방출된 광으로부터 위치 코드를 검출하는 위치 코드 관리부;
    상기 광의 세기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세기와 관련한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신호 세기 검출부; 및
    상기 검출된 위치 코드 및 상기 획득된 파라미터의 값을 위치 맵에 매핑시켜 상기 대상 기기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위치 맵은 해당 조명등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의 세기와 관련된 파라미터의 값 및 해당 위치 좌표를 저장하는 복수의 위치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인식이 되는 대상 기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검출부는 상기 파라미터와 해당하는 위치 맵의 위치를 샘플로서 각 조명등들마다 특정하고, 상기 위치 맵에서 상기 샘플과 대칭되는 대칭 샘플을 각 조명등들마다 특정하며, 샘플들 및 대칭 샘플들 사이의 거리를 이용하여 상기 대상 기기의 위치를 검출하되,
    상기 대칭 샘플은 해당 조명등의 위치의 각을 이등분한 가상의 선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샘플과 대칭되는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인식이 되는 대상 기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기기는 상기 위치 맵을 외부 기기로부터 다운로드받고, 상기 대상 기기는 스마트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인식이 되는 대상 기기.
KR1020110125975A 2011-11-29 2011-11-29 조명등을 이용하는 위치 인식 시스템 및 방법 KR1012687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5975A KR101268744B1 (ko) 2011-11-29 2011-11-29 조명등을 이용하는 위치 인식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5975A KR101268744B1 (ko) 2011-11-29 2011-11-29 조명등을 이용하는 위치 인식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8744B1 true KR101268744B1 (ko) 2013-05-29

Family

ID=48667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5975A KR101268744B1 (ko) 2011-11-29 2011-11-29 조명등을 이용하는 위치 인식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874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41268A (zh) * 2016-08-30 2017-02-22 西安小光子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光标签的定位方法
KR101743348B1 (ko) * 2015-01-08 2017-06-05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실내 측위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21972A (ja) 2008-11-17 2010-06-03 Honda Motor Co Ltd 位置測定システム及び位置測定方法
KR101016980B1 (ko) 2002-07-10 2011-02-25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광원의 위치에 기초하여 정보를 검색하는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6980B1 (ko) 2002-07-10 2011-02-25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광원의 위치에 기초하여 정보를 검색하는 시스템
JP2010121972A (ja) 2008-11-17 2010-06-03 Honda Motor Co Ltd 位置測定システム及び位置測定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3348B1 (ko) * 2015-01-08 2017-06-05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실내 측위 시스템 및 방법
CN106441268A (zh) * 2016-08-30 2017-02-22 西安小光子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光标签的定位方法
CN106441268B (zh) * 2016-08-30 2019-09-10 西安小光子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光标签的定位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90411B2 (en) Controlling lighting using spatial distribution of users
US11671787B2 (en) Light management system for wireless enabled fixture
US9306660B2 (en) Dynamic interactive zone driven proximity awareness system
US10707960B2 (en) VLC location data applications in a retail setting
US20180012259A1 (en) Product display systems integrated with beacon technology to assist shopper navigation
KR101694119B1 (ko) 가시광통신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장치, 방법 및 그를 위한 단말기
US10869805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navigation information
US9877369B2 (en) Lighting device and method for managing a lighting system
US20160356605A1 (en) Active-Micro-Location-based Apparatus Method and services guide the user by light sign
KR101268744B1 (ko) 조명등을 이용하는 위치 인식 시스템 및 방법
US10499754B2 (en) Sensing device for shopping cart
KR102108820B1 (ko) 조명 제어 시스템 및 그의 등록 방법
JP2019527872A (ja) 情報をプッシュする方法並びに測位方法及びデバイス
EP3974870A1 (en) Indoor positioning system and method using reflected light
US10616978B2 (en) Lighting arrangement, computer program product,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lighting system
KR20160087485A (ko) 지오펜스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Pham et al. VLC-based smart supermarket (SMARTKet): Key concepts and enabling technologies
KR20170065254A (ko) 다수개의 동글의 위치를 감지하는 거리감지시스템
GB2508087A (en) Shopping aid
JPWO2020021737A1 (ja) 位置検出システム、算出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位置検出方法
KR102303000B1 (ko) 복합 대각 측량법을 이용한 실내 위치 측위 방법 및 시스템
KR102208923B1 (ko) 비콘 신호의 신뢰성 검증 방법 및 시스템
KR101017419B1 (ko) 조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위치 인식 방법
KR102122083B1 (ko) 음성 지도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CN106157342A (zh) 信号地图的自动标定方法和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