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8715B1 - 흡착판을 구비하는 접이식 멀티탭 - Google Patents

흡착판을 구비하는 접이식 멀티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8715B1
KR101268715B1 KR1020110138049A KR20110138049A KR101268715B1 KR 101268715 B1 KR101268715 B1 KR 101268715B1 KR 1020110138049 A KR1020110138049 A KR 1020110138049A KR 20110138049 A KR20110138049 A KR 20110138049A KR 101268715 B1 KR101268715 B1 KR 1012687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trip
tap
suction plate
main body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80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정우
서지영
이사야
서다빈
주영훈
Original Assignee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1380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87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87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87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003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the coupling part being secured only to wires or cables

Landscapes

  • Hooks, Suction Cups, And Attachment By Adhes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흡착판을 구비하는 접이식 멀티탭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흡착판을 구비하는 접이식 멀티탭은 상부에 전자기기의 플러그가 접속되는 하나 이상의 접속구가 배열되며 하부에 흡착판이 부착된 본체 멀티탭과, 상부에 전자기기의 플러그가 접속되는 하나 이상의 접속구가 배열되며, 일측에는 전원 연결을 위한 플러그가 연결되고, 타측에는 상기 본체 멀티탭의 일측과 힌지 부재를 통하여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서브 멀티탭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흡착판을 구비하는 접이식 멀티탭은 책상 등의 측면 모서리에 쉽게 설치 및 해체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흡착판을 구비하는 접이식 멀티탭 {Foldable Multi Tap With Sucking Plate }
본 발명은 접이식 멀티탭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흡착판을 이용하여 책상 등에 쉽게 탈부착 가능한 흡착판을 구비하는 접이식 멀태탭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멀티탭은 전기 기기의 플러그가 접속되는 접속구가 다수 구비된 하나의 탭으로서, 복수개의 전기 기기를 동시에 이용하기 위해 사용되는 탭이다. 이러한 멀티탭은 다수의 접속구가 일렬로 배열되는 경우에는 대체로 기다란 바의 형상을 취하게 된다.
기다란 멀티탭의 경우, 접속구의 개수가 증대함에 따라 멀티탭의 길이가 또한 길어지게 되므로, 가정 또는 사무실 등의 공간에서 많은 공간을 차지한채 사용되어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줄 수 있다. 예컨대, 기다란 멀티탭은 통행하는 사람들의 발에 차일 수도 있고, 청소시에도 불필요하게 공간을 많이 차지하므로 취급상 불편함을 줄 수 있다. 또한, 멀티탭에 구비된 모든 접속구에 플러그가 접속되어 사용되지 않고 그 중 일부의 접속구에만 플러그가 접속되어 미사용 접속구가 다수 남게 되면, 긴 길이로 인해 취급상 불편함이 야기되는 문제가 있다.
만일, 멀티탭을 벽 등과 같은 곳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벽을 뚫거나 하는 과정이 필요하며 이로 인하여 벽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멀태탭의 6구 이상의 접속구를 갖는 경우 보관상 어려움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흡착판을 이용하여 멀티탭을 책상 등의 측면 모서리에 쉽게 설치 및 해체 할 수 있는 흡착판을 구비하는 접이식 멀티탭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멀티탭을 접어서 설치하거나 보관할 수 있어 공간 활용성을 높일 수 있는 흡착판을 구비하는 접이식 멀티탭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힌지 부재를 통하여 연결된 멀티탭 각각에 전원 스위치를 구비하여 전원 온(on)/오프(off)를 분리 또는 통합하여 관리할 수 있는 흡착판을 구비하는 접이식 멀티탭을 제공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흡착판을 구비하는 접이식 멀티탭은 상부에 전자기기의 플러그가 접속되는 하나 이상의 접속구가 배열되며 하부에 흡착판이 부착된 본체 멀티탭과, 상부에 전자기기의 플러그가 접속되는 하나 이상의 접속구가 배열되며, 일측에는 전원 연결을 위한 플러그가 연결되고, 타측에는 상기 본체 멀티탭의 일측과 힌지 부재를 통하여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서브 멀티탭을 포함한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본체 멀티탭은 상기 본체 멀티탭의 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본체 멀티탭의 내부에서 상기 흡착판의 상부에 형성된 결합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흡착판에 흡착력을 제공하는 핸들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 멀티탭의 하부에는 홈의 형성되어 있고, 상기 흡착판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홈 내에 형성된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본체 멀티탭과 상기 서브 멀티탭의 각각 전원을 온(on)/오프(off)할 수 있는 전원 스위치를 구비하며, 상기 본체 멀태탭에 구비된 상기 전원스위치를 오프하는 경우 상기 서브 멀티탭의 전원도 함께 오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흡착판을 구비하는 접이식 멀티탭은 책상 등의 측면 모서리에 쉽게 설치 및 해체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멀티탭을 접어서 설치하거나 보관할 수 있어 공간 활용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힌지부재를 통하여 연결된 멀티탭 각각에 전원 스위치를 구비하여 전원 온(on)/오프(off)를 분리 또는 통합하여 관리할 수 있어 소비전력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흡착판을 구비하는 접이식 멀티탭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을 따라 절단한 부분 측단면도이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흡착판을 구비하는 접이식 멀티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흡착판을 구비하는 접이식 멀티탭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흡착판을 구비하는 접이식 멀티탭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을 따라 절단한 부분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흡착판을 구비하는 접이식 멀티탭(10)은 본체 멀티탭(100), 및 서브 멀티탭(200)을 포함한다.
본체 멀티탭(100)은 상부에 전자기기의 플러그가 접속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접속구(110), 예컨대 2개의 접속구가 배열되어 있고, 하부에는 흡착판(120)이 부착되어 있다. 본체 멀티탭(100)의 상면에는 서브 멀티탭(200)을 통하여 입력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는 전원 스위치(130)가 구비되어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본체 멀티탭(100)의 측면에 흡착판(120)에 흡착력을 제공하기 위해 핸들부재(140)를 더 형성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부재(140)는 본체 멀티탭(100)의 내부에서 흡착판(120)의 상부에 형성된 결합부재(121)에 연결되며, 핸들부재(140)를 회전함으로써 흡착판(120)에 흡착력을 제공한다.
즉, 핸들 부재(140)는 본체 멀티탭(100)에 형성된 흡착판(110)을 유리 등에 밀착 시킨 상태에서, 잠금 방향, 예컨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흡착력을 발생 및 증강시키는 역할을 하고, 반대로 풀림 방향, 예컨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흡착력을 해제하는 역할을 한다.
본체 멀티탭(100)의 하부는 결합부재(120)가 관통하는 피싱 구멍(123)을 중심으로 원형으로 오목하게 홈을 형성한다. 오목하게 형성된 홈 공간에 흡착판(120)을 위치시켜 본체 멀티탭(100)의 하부와 흡착판(120) 간의 간격을 밀접하게 한다.
또한, 흡착판(120)을 책상등에 부착 후 흡착판(120)의 노출을 최소화하여 미감을 향상시키고, 흡착판(120)의 부착력 또한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본체 멀티탭(100)의 하부에 한 개의 흡착판(120)이 부착된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2개 이상의 흡착판이 부착될 수도 있다.
서브 멀티탭(110)은 2개의 접속구(210)를 구비하며 외부 전원이 입력된다. 서브 멀티탭(200)의 일측에는 외부 전원과 연결될 수 있는 전원 입력 코드(230)와 전원 입력 코드(230)의 말단에 제공된 플러그(240)가 구비되어 있으며, 전원 입력 코드(230)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는 전원 스위치(220)가 전원 입력 코드(230)가 인출된 측의 서브 멀티탭(200)의 상면에 구비되어 있다. 타측에는 힌지 부재(150)를 통하여 본체 멀티탭(100)과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본체 멀티탭(100)에 2개의 접속구(110)를 구비하고, 서브 멀티탭(200)은 2개의 접속구(210)가 구비된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체 멀티탭(100)과 서브 멀티탭(200)이 각각 1개 또는 3개의 접속구를 구비할 수 있으며, 그 이상의 접속구를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라 본체 멀티탭(100)의 전원 스위치(130)를 오프(off)하는 경우 서브 멀티탭(200)의 전원도 함께 오프(off)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흡착판을 구비하는 접이식 멀티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흡착판을 구비하는 접이식 멀티탭(20)의 본체 멀티탭(100) 일측과 제1힌지(310)로 연결되고 서브 멀티탭(200)의 타측과 제2힌지(320)로 연결되는 연결부재(3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 다른 구성은 동일하다.
연결부재(300)로 인하여 본체 멀티탭(100)은 서브 멀티탭(200)을 기준으로 180도 까지 회전가능하므로 흡착판을 구비하는 접이식 멀티탭(20)을 도 4와 같이 접어서 사용 및 보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흡착판을 구비하는 접이식 멀티탭의 설치 및 해체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흡착판을 구비하는 접이식 멀티탭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책상(400)이나 책상(400) 위에 설치된 유리판(500)등과 같은 설치 대상물의 모서리 상부 면인 설치 대상면(T)의 이물질 등을 제거한다. 이물질이 제거된 상태에서 설치 대상면(T)에 본체 멀티탭(100)을 위치시키고, 서브 멀티탭(200)을 본체 멀티탭(100)을 기준으로 일정한 각도 예컨대 90도 각도로 접어서 설치 대상면(T)의 측면에 밀착시킨다.
이어, 본체 멀티탭(100)을 상부에서 누르면 본체 멀티탭(100) 하부에 부착된 흡착판(120)과 설치 대상면(T) 사이의 진공상태에 의한 제1 흡착력이 발생한다.
이때 상기 제1 흡착력은 흡착판(120)의 재질에 따른 고유 탄성에 의해 발생된 흡착력으로 본체 멀티탭(100)을 설치 대상면(T)에 임시로 고정한다.
다음, 핸들 부재(140)를 잠금 방향, 예컨대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흡착판(120)이 결합부재(121)에 의해 축방향으로 당겨지는 힘이 가해진다. 즉, 흡착판(120)의 고유 탄성에 의해 발생된 제1 흡착력에 핸들 부재(140)에 의해 당겨지는 힘이 더해져서 강화된 제2 흡착력이 발생한다.
이 때, 흡착판(120)이 설치 대상면(T) 상에 밀착된 상태에서 핸들 부재(140)이 잠금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핸들 부재(140)을 이용하여 흡착력을 극대화함으로써 본체 멀티탭(100)을 더욱 견고하게 설치 대상면(T)에 고정(부착)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흡착판을 구비하는 접이식 멀티탭(10)은 흡착판(120)과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유리판(500)과 같은 설치 대상면(T)에 고정됨으로써 고객 구조물의 파손 없이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어, 전자기기들(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의 플러그를 본체 멀티탭(100)과 서브 멀티탭(200)에 형성된 접속구(110, 210)에 각각 접속하고 본체 멀티탭(100)과 서브 멀티탭(200)의 각각에 설치된 전원 스위치(130, 220)를 온(ON)하면 상기 전자기기들이 동작한다.
여기서, 상기 전자기기들에 연결되는 전원을 차단하기 위해서는 본체 멀티탭(100)과 서브 멀티탭(200)의 각각의 구비된 전원 스위치(130, 220)를 오프(OFF)하면 된다. 실시 예에 따라 본체 멀티탭(100)의 전원 스위치(130)을 오프하면, 서브 멀태탭(200)의 전원을 함께 오프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흡착판을 구비하는 접이식 멀티탭(10)을 해체하기 위해서는 본체 멀티탭(100)의 측면에 형성된 핸들 부재(140)를 풀림 방향, 예컨대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흡착판(120)과 설치 대상면(T) 사이의 흡착력을 간단하게 해체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 들은 본 발명이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 20 : 흡착판을 구비하는 접이식 멀티탭 100 : 본체 멀티탭
110, 210 : 접속구 120 : 흡착판
130, 220 : 전원 스위치 140 : 핸들 부재
150 : 힌지 부재 200 : 서브 멀티탭
230 : 전원 입력 코드 240 : 플러그
300 : 연결 부재 400 : 책상
500 : 유리판

Claims (4)

  1. 상부에 전자기기의 플러그가 접속되는 하나 이상의 접속구가 배열되고, 하부에 원형의 홈이 형성되어 상기 원형의 홈 내에 흡착판의 적어도 일부가 안착 고정되며, 상기 흡착판에 흡착력을 제공하기 위한 핸들부재를 구비하는 본체 멀티탭; 및
    상부에 전자기기의 플러그가 접속되는 하나 이상의 접속구가 배열되며, 일측에는 전원 연결을 위한 플러그가 연결되고, 타측에는 상기 본체 멀티탭의 일측과 연결부재와 힌지부재를 통하여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서브 멀티탭;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판을 구비하는 접이식 멀티탭.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재는 상기 본체 멀티탭의 내부에서 상기 흡착판의 상부에 형성된 결합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핸들부재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에 상기 결합부재에 의해 상기 흡착판에 흡착력이 제공되고, 상기 핸들부재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에 상기 결합부재에 의해 상기 흡착판의 흡착력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판을 구비하는 접이식 멀티탭.
KR1020110138049A 2011-12-20 2011-12-20 흡착판을 구비하는 접이식 멀티탭 KR1012687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8049A KR101268715B1 (ko) 2011-12-20 2011-12-20 흡착판을 구비하는 접이식 멀티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8049A KR101268715B1 (ko) 2011-12-20 2011-12-20 흡착판을 구비하는 접이식 멀티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8715B1 true KR101268715B1 (ko) 2013-05-28

Family

ID=48667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8049A KR101268715B1 (ko) 2011-12-20 2011-12-20 흡착판을 구비하는 접이식 멀티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871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0071B1 (ko) * 2014-03-13 2014-05-28 이경열 접이식 블록형 멀티탭
KR101459092B1 (ko) * 2013-10-02 2014-11-12 주식회사 두남 흡착형 멀티탭
KR101502814B1 (ko) 2013-08-28 2015-03-18 정의훈 멀티탭
KR101912231B1 (ko) * 2017-07-20 2018-10-26 (주)이노테크 스마트 전자교탁
KR20200097135A (ko) * 2019-02-07 2020-08-18 용인송담대학교 산학협력단 체인형 콘센트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5144Y1 (ko) * 2001-11-05 2002-05-13 박진규 흡착고정판이 부착된 자유고정식 멀티탭 콘센트
KR101070704B1 (ko) * 2011-04-14 2011-10-07 정문호 안전용 멀티 콘센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5144Y1 (ko) * 2001-11-05 2002-05-13 박진규 흡착고정판이 부착된 자유고정식 멀티탭 콘센트
KR101070704B1 (ko) * 2011-04-14 2011-10-07 정문호 안전용 멀티 콘센트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2814B1 (ko) 2013-08-28 2015-03-18 정의훈 멀티탭
KR101459092B1 (ko) * 2013-10-02 2014-11-12 주식회사 두남 흡착형 멀티탭
KR101400071B1 (ko) * 2014-03-13 2014-05-28 이경열 접이식 블록형 멀티탭
KR101912231B1 (ko) * 2017-07-20 2018-10-26 (주)이노테크 스마트 전자교탁
KR20200097135A (ko) * 2019-02-07 2020-08-18 용인송담대학교 산학협력단 체인형 콘센트
KR102190975B1 (ko) * 2019-02-07 2020-12-14 용인송담대학교 산학협력단 체인형 콘센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8715B1 (ko) 흡착판을 구비하는 접이식 멀티탭
US7771239B1 (en) Power receptacle device with rotatable sockets
JP2013229259A (ja) 壁付型usb充電ハブソケット
US20110256775A1 (en) Electrical outlet with changeable sockets
KR101645466B1 (ko) 회전식 멀티탭
CN103959584B (zh) 电源插座装置
US20120050977A1 (en) Detachable External Hard Drive Enclosure and Bridge Device Therefor
US20180034220A1 (en) Retractable Recessed Electrical Outlet and Data Port Assembly
US20140315415A1 (en) Electrical connector module
US7972152B1 (en) Power socket device having rotation-operated switch function
CN204304180U (zh) 一种魔方插座
WO2015165159A1 (zh) 医用吊塔箱体
JP4686787B2 (ja) 回転自在多機能電源プラグ及び電源コンセント並びにこれらを用いた接続コード
KR101200287B1 (ko) 멀티탭
US9787040B2 (en) Energy-saving power strip
KR200460022Y1 (ko) 이동 확장 가능한 몰딩 콘센트
WO2015035641A1 (zh) 一种音箱
US20110284531A1 (en) Accommodating box
US20070087622A1 (en) Adjustable connection mechanism for use i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apparatus
TW201343042A (zh) 具有理線架之電子裝置殼體
US8035962B2 (en) Computer hot-plug structure
KR20130001418A (ko) 테이블 설치형 콘센트
CA2976631C (en) Retractable recessed electrical outlet and data port assembly
CA2942615A1 (en) Standing structure for shell of extension cord
US20050032405A1 (en) Power cable plug assembly having replaceable plu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