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6576B1 - 풍력 발전장치 - Google Patents

풍력 발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6576B1
KR101266576B1 KR1020120088530A KR20120088530A KR101266576B1 KR 101266576 B1 KR101266576 B1 KR 101266576B1 KR 1020120088530 A KR1020120088530 A KR 1020120088530A KR 20120088530 A KR20120088530 A KR 20120088530A KR 101266576 B1 KR101266576 B1 KR 1012665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
guide structure
delete delete
floor space
gen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85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실
Original Assignee
김영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실 filed Critical 김영실
Priority to KR10201200885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65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65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6576B1/ko
Priority to PCT/KR2013/007198 priority patent/WO201402780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1/00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1/00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1/04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having stationary wind-guiding means, e.g. with shrouds or chan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1/00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1/02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having a plurality of r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80/00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3D1/00 - F03D17/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40/00Components
    • F05B2240/10Stators
    • F05B2240/14Casings, housings, nacelles, gondels or the like, protecting or supporting assemblies there with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40/00Components
    • F05B2240/20Rotors
    • F05B2240/21Rotors for wind turbines
    • F05B2240/221Rotors for wind turbines with horizontal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40/00Components
    • F05B2240/20Rotors
    • F05B2240/21Rotors for wind turbines
    • F05B2240/221Rotors for wind turbines with horizontal axis
    • F05B2240/2211Rotors for wind turbines with horizontal axis of the multibladed, low speed, e.g. "American farm" typ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풍력발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바람안내 구조물을 사용하여 바람의 유입과 순환을 안내하고 바람의 안내 시 이동통로에 설치된 다수 풍력발전기의 회전날개를 바람으로 회전시켜 발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타워에 지지되어 지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에 설치되는 너셀의 일측에 풍력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날개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날개의 회전에 의해 구동하는 풍력발전기에 있어서, 상기 풍력발전기는 1층 공간과 2층 공간을 연결하여 순환구조로 형성되는 바람통로가 내부에 형성되는 바람안내 구조물 내에 일렬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풍력 발전장치{WIND POWER GENERATOR}
본 발명은 풍력발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바람의 유입과 순환이 가능하도록 바람통로가 형성된 바람안내 구조물 내부에 일렬로 풍력발전기들을 설치하고 이 풍력발전기들에서 발생된 바람을 재사용하여 풍력발전기들을 작동시킴으로써, 외부 바람에 의존하는 것을 최소화하면서 발전 효율은 향상되도록 하는 풍력발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화석에너지 고갈에 대비하고 화석에너지 사용에 따른 대기 오염을 줄이기 위하여 풍력, 태양광, 태양열, 조력, 지열 등 자연 에너지를 이용한 대체에너지의 개발이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다.
특히, 자연 에너지를 이용한 발전장치 개발이 많은데 주로 태양열발전, 풍력발전, 조력발전 등이 있다.
통상의 풍력발전기는 지면에 견고하게 세워지는 타워 상단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그 내부에 증속기, 발전기 및 제어장치들을 갖춘 너셀(Nacelle)이 설치되고, 이 너셀 내 발전기의 회전축 선단에 장착되는 로터로 구성되며, 로터에 대부분 2~3개의 회전날개가 장착되고, 너셀 방향 조절장치와 회전날개 피치각 조절장치, 발전기 토크 조절장치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풍력발전기는 바람을 받아 회전하는 날개를 갖고, 이 날개의 회전력을 동력전달장치를 통해 발전기를 가동시켜 전기를 얻는 것으로, 날개가 풍차와 같은 구조를 갖거나 날개가 수직으로 설치된 회전축을 축으로 회전되는 구조로 된 것들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풍력발전기는 설치 장소에서의 풍량의 변화와 상태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있어야 하며 그에 적합한 회전자 및 기타 시스템을 구성하여야 한다.
종래의 풍력발전기는 바람이 잘 부는 지역에 일정 간격을 두고 타워들을 설치하고 너셀에 회전날개를 장착하여 발전하고 있으나, 바람이 없으면 제대로 발전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풍력발전기의 발전 효율을 높이기 위해 타워의 구조를 변경하고 회전날개도 여러 형태로 변경한 풍력발전기를 개발하여 설치하고 있으나 바람에 의존해야 함에 따라 바람이 불지 않는 날에는 발전을 계속할 수 없는 단점이 있고, 이에 따라 발전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풍력발전기가 발전을 계속할 수 없기 때문에 설치장소와 풍향에 따라 전기 생산단가와 경제성 면에서 차이가 발생하는 것은 물론 발전량이 충분하지 않을 경우 수용가의 부하 및 사용량이 증가하는 시점에 맞추어 공급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문헌 1 내지 문헌 6에는 종래의 풍력발전기가 개시되어 있다.
문헌 1에는 윈드 터빈을 설치하고 가변적인 수심에 대응하여 높이를 변화시킬 수 있는 윈드 터빈 기초가 개시되어 있다.
문헌 2에는 블레이드에 대한 부품 경량화 및 최적 배치를 통해 발전용량을 증대시키는 풍력발전기에 상하로 길게 세워져 설치되는 윈드 타워가 개시되어 있다.
문헌 3에는 수평형 풍력발전장치에서 타워에 가해지는 하중을 최소화하여 설치비용 및 설치상의 난이도를 감소시킴과 함께 발전량은 극대화할 수 있는 수평-수직축 가변형 풍력발전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문헌 4에는 풍력발전기의 블레이드에 풍향풍속계를 장착하여 풍향과 풍속을 정확하게 측정함으로써 효율적인 제어가 가능하도록 한 풍력발전기가 개시되어 있다.
문헌 5에는 저속의 바람이라도 풍속을 가속화하여 풍력발전을 구현하고 최적의 바람 각도를 유도하여 풍력발전을 극대화할 수 있는 풍력발전타워가 개시되어 있다.
문헌 6에는 소형기어를 부착한 발전기를 풍향이 낮고 저항이 낮은 소형발전기는 하층부에 중형발전기는 중층부에 대형발전기는 상층부에 각각 방사형으로 다열 배치한 대형 풍력발전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공개특허 제2012-0034723호"가변적인 수심을 위한 윈드 터빈 기초"(2012.04.12. 공개) [특허문헌 2] 등록특허 제0915381호"풍력발전기"(2010.11.22. 공고) [특허문헌 3] 등록특허 제1052683호"수평-수직축 가변형 풍력발전장치" (2011.07.28. 공고) [특허문헌 4] 등록특허 제0743931호 "풍력발전기 및 그 제어방법" (2007.07.30. 공고) [특허문헌 5] 등록특허 제1059160호"풍력발전타워"(2011.08.25. 공고) [특허문헌 6] 등록특허 제0763752호"대형풍력발전시스템"(2007.10.04. 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설치지역과 바람의 많고 적음에 제한을 받지 않고 바람의 재사용을 통해 풍력발전기들을 계속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발전 효율이 향상되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수의 풍력발전기를 바람안내 구조물 내부에 배치함으로써, 외부 바람은 최소로 이용하고 발전 시 발생된 바람을 주로 사용하여 발전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바닥에 일정 높이로 설치되는 타워(4)와, 상기 타워(4)에 지지되어 지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에 설치되는 너셀(6)과, 상기 너셀(6)의 일측에 풍력에 의해 회전하도록 설치되는 회전날개(W)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날개(W)의 회전에 의해 구동하는 풍력발전기(G)와, 상기 풍력발전기(G)가 바람안내 구조물(20)내부에 설치되는 풍력발전장치(2)에 있어서,
상기 풍력발전기(G)는 1층 공간(12a)과 2층 공간(12b)을 연결하여 순환구조로 형성되는 바람통로(12)가 내부에 형성되는 바람안내 구조물(20) 내부에 일렬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풍력발전기(G)는, 1층 공간(12a)에 설치된 제1풍력발전기(G1)의 바람에 의해 뒤쪽의 풍력발전기들(G2~G5)과 2층 공간(12b)에 설치된 풍력발전기들(G6~G10)이 작동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풍력발전기(G)는 바람안내 구조물(20)의 바람통로(12)에 적어도 2개 이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람안내 구조물(20)은 벽체의 일측에 형성되는 외기 유입구(22)와, 상기 외기 유입구(22)에 일정 길이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1층 공간(12a)과, 상기 1층 공간(12a)의 천장 벽 좌우측에 뚫린 연결통로(24)을 통해 바람통로(12) 내부의 바람이 순환할 수 있도록 1층 공간(12a)위에 형성되는 2층 공간(12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기 유입구(22)에는 제어장치(80)의 신호에 의해 외기 유입구(22)를 열거나 닫는 개폐장치(26)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람안내 구조물(20)에는 외기 유입구(22)측에 설치되는 제1풍력발전기(G)에 회전날개(W)를 회전시키는 모터(M)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람안내 구조물(20)에는 뒤쪽 회전날개(W)를 돌리는 바람이 통과하도록 형성되는 바람 통과구멍(32)과, 상기 바람 통과구멍(32)을 통과하는 바람이 바람 통과구멍(32)에 집중되도록 하는 나선형부재(34)를 구비한 바람 통과판(30)이 풍력발전기(G)들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람 통과구멍(32)은 앞쪽 회전날개(W) 측 방향에 형성되는 유입구(32a)와, 뒤쪽 회전날개(W)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회오리 바람을 회전날개(W)에 배출하도록 하는 1자형 배출구(32b)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입구(32a)는, 회전날개(W)의 회전범위에 대응하는 크기의 직경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1자형 배출구(32b)는, 회전날개(W)의 회전범위 내에서 반경 길이에 해당하는 긴 구멍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람안내 구조물(20) 저면에는 바람안내 구조물(2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승강장치(40)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강장치(40) 저면에는 바람 방향을 향해 바람안내 구조물(20)을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장치(50)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설치지역과 바람의 많고 적음에 제한을 받지 않고 바람의 재사용을 통해 풍력발전기들을 계속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발전 효율이 향상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수의 풍력발전기를 바람안내 구조물 내부에 배치함으로써, 외부 바람은 최소로 이용하고 발전 시 발생된 바람을 주로 사용하여 발전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도 1에 나타낸 풍력발전기가 설치된 바람안내 구조물의 측단면도.
도 4는 도 1에 나타낸 바람 통과판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에 나타낸 바람 통과구멍을 도시한 측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장치(2)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2층 구조로 내부가 형성되는 바람안내 구조물(20)의 바람통로(12) 상에 풍력발전기(G)들이 일렬로 설치된다.
바람안내 구조물(20)은 경량 금속 또는 합성수지재 같은 경량 소재로 제조되어 형성되고 바람통로(12)를 형성하는 1층 및 2층 공간(12a)(12b)은 바람이 잘 이동할 수 있도록 층간 공간이 연결되는 구조로 내부가 형성된다.
또한, 바람안내 구조물(20)은 설치 지역에 어울릴 수 있도록 다면체 및 구 형태 등 여러 가지로 형태로 형성할 수 있고, 풍력발전기(G)에 맞춰 크기를 크게 하거나 작게 제작할 수도 있다.
바람통로(12)는 도 1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람안내 구조물(20)의 외형 형태에 제한받지 않고 풍력발전기(G)의 설치와 바람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단면을 원형 또는 사각형 등 여러 가지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바람안내 구조물(20)은 내부가 1층 및 2층으로 형성되고 있기 때문에 풍력발전기(G)를 직렬 또는 병렬로 다수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바람안내 구조물(20)의 바람통로(12)를 확장하면 풍력발전기(G)들을 다수의 열로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바람통로(12)에 설치되는 풍력발전장치(G)는, 후술되는 바람 통과판(30)의 1자형 배출구(32b)에서 배출되는 회오리 바람을 손실 없이 최대한 전달받을 수 있도록 많은 날개로 이루어진 회전날개(W)가 설치된다.
또한, 바람통로(12)는 바람안내 구조물(20)의 1층 및 2층 공간(12a)(12b)에 형성되고, 1층 및 2층 공간(12a)(12b)의 좌우측 천장 벽 끝단에는 바람이 통과하여 순환할 수 있도록 연결통로(24)가 뚫려 있다.
이에 따라, 1층 공간(12a)에 유입된 외부 바람 또는 1층 공간(12a)에 설치된 풍력발전기(G)들에서 발생된 바람은 회전날개(W)들에 의해 좌측에 형성된 연결통로(24)를 통해 2층 공간(12b)에 공급된다.
그리고 2층 공간(12b)에 공급된 바람은 2층 공간(12b)에 설치된 풍력발전기(G)들을 작동시킨 후 우측에 형성된 연결통로(24)를 통해 다시 1층 공간(12a)에 공급됨으로써 순환하게 된다. 즉, 2층 공간(12b)에 공급된 바람은 2층 공간(12b)에 설치된 풍력발전기(G)들에서 발생된 바람과 함께 2층 공간(12b)의 바람통로(12)를 따라 이동한 후 우측 연결통로(24)를 통해 1층 공간(12a)에 설치된 제1풍력발전기(G1)의 전방에 배출된다.
또한, 바람안내 구조물(20)에는 1층 공간(12a)의 일측에 외기 유입구(22)가 형성되어 있다. 외기 유입구(22)에는 도 2에 도시한 제어장치(80)의 신호에 의해 외기 유입구(22)를 열거나 닫는 개폐장치(26)가 설치되어 있다.
개폐장치(26)는 외부의 바람을 사용하지 않거나 외부 바람의 양이 적을 때 1층 및 2층 공간(12a)(12b)에 설치된 풍력발전기(G)들에서 발생된 바람만을 이용하여 발전하고자 할 때 외기 유입구(22)를 차단할 수 있는 장치이다.
이러한 개폐장치(26)에는 수동으로 개폐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개폐 손잡이(도시하지 않음)를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바람안내 구조물(20)에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뒤쪽 회전날개(W)를 돌리는 바람이 통과하도록 형성되는 바람 통과구멍(32)과, 상기 바람 통과구멍(32)을 통과하는 바람이 바람 통과구멍(32)에 집중되도록 하는 나선형부재(34)를 구비한 바람 통과판(30)이 풍력발전기(G)들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바람 통과판(30)의 바람 통과구멍(32)에 형성되는 나선형부재(34)는, 바람이 나선형부재(34)를 지나면서 바람 통과구멍(32)으로 바람이 집중되도록 하고 집중된 바람이 뒤쪽 풍력발전기(G)의 회전날개(W)를 집중적으로 돌리도록 한다.
나선형부재(34)는 바람의 통과에 따른 마찰 손실을 줄일 수 있도록 1회전(360°) 이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람 통과구멍(32)은 앞쪽 회전날개(W) 측 방향에 유입구(32a)가 형성되고 뒤쪽 회전날개(W)가 회전하는 방향을 향해 1자형 배출구(32b)가 형성된다.
상기 유입구(32a)는, 회전날개(W)의 회전범위에 대응하는 크기의 직경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유입구(32a)는 정면에 설치된 회전날개(W)의 회전으로 발생한 바람이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1자형 배출구(32b)는 회전날개(W)의 회전범위 내에서 반경 길이에 해당하는 긴 구멍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1자형 배출구(32b)에는 뒤쪽 회전날개(W)를 회오리 바람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바람 배출방향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1자형 배출구(32b)는 회전날개(W)의 회전으로 발생한 회오리 바람을 뒤쪽의 회전날개(W)에 손실 없이 최대한 많이 공급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바람안내 구조물(20) 저면에는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승강장치(40)가 더 설치된다. 승강장치(40)는 바람안내 구조물(20)을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는 유압리프트, 호이스트 등 통상의 장치가 사용되며 구체적인 구성과 작동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즉, 승강장치(40)를 사용하면 바람이 부는 높이까지 바람안내 구조물(20)을 용이하게 상승시킬 수 있다.
그리고 승강장치(40) 저면에는 바람 방향을 향해 바람안내 구조물(20)을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장치(50)가 더 설치되어 있다. 회전장치(50)는 풍속풍향계(82)의 신호를 판단한 제어장치(80)의 신호에 의해 작동하게 된다. 회전장치(50)는 크레인 및 포크레인에 설치되는 통상적인 선회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바람안내 구조물(20)에는 외부에 주변의 풍향 및 풍속계를 측정할 수 있는 풍향풍속계(82)가 설치된다. 풍향풍속계(82)는 통상의 계측기로 제어장치(80)에 신호를 보내 풍력 발전장치(2)를 제어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풍력 발전장치(2)에는 제1풍력발전기(G1)에 회전날개(W)를 회전시키는 모터(M), 승강장치(40), 회전장치(50), 축전기(60), 송전장치(70)를 제어하도록 조작부와 제어부를 갖춘 제어장치(80)가 설치된다. 즉, 제어장치(80)는 풍향풍속계(82)의 신호를 판단해 모터(M)를 작동 여부를 제어하여 외부에 바람이 많으면 모터(M)를 정지시키고 외부에 바람이 적으면 모터(M)를 작동시킬 수 있다.
제어장치(80)는 승강장치(40), 회전장치(50), 축전기(60), 송전장치(70)등 작동을 조작하고 전원을 온(on)시키는 전원스위치(84) 등이 설치된 조작부와 조작부의 전기신호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풍향풍속계(82)의 신호를 판단하고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된다. 제어장치(80)는 모터(M)에 외부 전기나 제1풍력발전기(G1)에서 생산된 전기를 공급해 모터(M)를 작동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어장치(80)는, 모터(M)가 설치된 제1풍력발전기(G1)와 모터(M)가 설치되지 않은 풍력발전기(G2~G10)들 각각을 독립적인 발전이 가능하도록 운영할 수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전원스위치(84)를 온시켜 제어장치(80)를 작동시킨다. 제어장치(80)는 풍향풍속계(82)를 통해 바람이 충분히 분다고 판단되면 개폐장치(26)를 제어하여 바람안내 구조물(20)의 외기 유입구(22)를 연다.
또한, 제어장치(80)는 풍향풍속계(82)의 신호를 판단한 후 바람안내 구조물(20)을 일정 높이까지 승강장치(40)로 상승시켜 바람의 영향을 잘 받도록 한다.
또한, 제어장치(80)는 회전장치(50)를 작동시켜 일정 높이까지 상승한 바람안내 구조물(20)내에 바람의 유입이 용이하도록 바람 방향을 향해 회전시킨다.
상기한 바와 같이, 바람안내 구조물(20)이 설치되고 풍력발전기(G)가 발전을 하여 전기가 생산되면 제어장치(80)는 송전장치(70)를 제어하여 전기가 필요한 시설 및 설비에 공급하고 남은 전기는 축전기(60)에 저장되도록 한다.
바람안내 구조물(20)을 이용한 풍력발전기(G) 작동을 설명하면, 전원스위치(84)를 조작해서 제1풍력발전기(G1)의 모터(M)를 작동시켜 회전날개(W)를 돌린다. 회전날개(W)가 회전함에 따라 제1풍력발전기(G1)는 발전을 하게 된다.
제1풍력발전기(G1)의 작동으로 회전날개(W)가 회전함에 따라 바람이 발생하게 된다. 바람은 외기 유입구(22)를 통해 유입된 바람과 함께 제1풍력발전기(G1)의 뒤쪽에 설치된 바람 통과판(30)의 바람 통과구멍(32)을 통과해 제2풍력발전기(G2)의 회전날개(W)에 공급된다.
즉, 바람은 바람 통과구멍(32)의 유입구(32a)를 통해 유입된 후 회오리를 일으킨 후 1자형 배출구(32b)를 통해 배출된다.
이에 따라, 회오리 바람은 회전날개(W)에 정확히 전달된다. 회오리 바람을 전달받은 회전날개(W)는 많은 날개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바람을 손실하지 않고 바람의 영향으로 그대로 전달받아 회전하게 된다.
바람 통과판(30)의 바람 통과구멍(32)을 통해 배출되는 회오리 바람은 제2풍력발전기(G2)의 회전날개(W)를 회전시켜 제2풍력발전기(G2)가 발전을 하도록 작동시킨다.
이러한 회오리 바람은 바람 통과판(30)의 바람 통과구멍(32)을 통과한 후 이어서 설치되고 있는 다음 풍력발전기(G)의 회전날개(W)를 회전시키고 다시 바람 통과판(30)을 통과하는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1층 공간(12a)의 풍력발전기(G)들을 먼저 작동시키고 2층 공간(12b)의 풍력발전기(G)들을 연속해서 작동시키는 것을 반복하게 된다.
즉, 1층 공간(12a)의 풍력발전기(G)에서 발생된 바람이 바람 통과판(30)을 거쳐 바람통로(12)상의 좌측 연결통로(24)를 통과한 후 2층 공간(12b)의 풍력발전기(G)에서 발생된 바람과 함께 바람 통과판(30)을 거친 후 다시 바람통로(12)의 우측 연결통로(24)를 통해 1층 공간(12a)으로 순환하는 반복 과정을 통해 바람안내 구조물(20) 내의 풍력발전기(G)들을 작동시켜 발전하게 된다.
상기한 풍력 발전기(G)들에 생산된 전기는 송전장치(70)를 통해 필요로 하는 가정 및 시설 공급되고 남은 전기는 축전기(60)에 저장된다.
2: 풍력 발전장치 4: 타워
6: 너셀 12: 바람통로
12a: 1층 공간 12b: 2층 공간
20: 바람안내 구조물 22: 외기 유입구
24: 연결통로 26: 개폐장치
30: 바람 통과판 32: 바람 통과구멍
32a: 유입구 32b: 1자형 배출구
34: 나선형부재 40: 승강장치
50: 회전장치 60: 축전기
70: 송전장치 80: 제어장치
82: 풍향풍속계 M: 모터
W: 회전날개 G: 풍력발전기
G1~G10: 제1풍력발전기~제10풍력발전기

Claims (12)

  1. 바닥에 일정 높이로 설치되는 타워(4)와, 상기 타워(4)에 지지되어 지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에 설치되는 너셀(6)과, 상기 너셀(6)의 일측에 풍력에 의해 회전하도록 설치되는 회전날개(W)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날개(W)의 회전에 의해 구동하는 풍력발전기(G)와, 상기 풍력발전기(G)가 내부에 설치되는 바람안내 구조물(20)을 포함하되,
    상기 풍력발전기(G)는, 1층 공간(12a)에 설치된 제1풍력발전기(G1)에서 발생된 바람과 외기 유입구(22)를 통해 유입된 바람과 함께 뒤쪽의 풍력발전기들(G2~G5)과 2층 공간(12b)에 설치된 풍력발전기들(G6~G10)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 바람안내 구조물(20) 내부에 일렬로 배치되고,
    상기 바람안내 구조물(20)의 저면에는, 바람안내 구조물(20)을 바람이 부는 높이까지 상승시켜 바람의 영향을 용이하게 받을 수 있도록 바람안내 구조물(2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승강장치(40)를 포함하는 풍력 발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바람안내 구조물(20)에는, 외기 유입구(22)를 통해 외부 바람이 유입되도록 하고, 2층 공간(12b)의 바람이 1층 공간(12a) 내부에 유입되도록 하며, 제1풍력발전기(G1)에 회전날개(W)를 회전시켜 바람을 생성하고 이 바람을 순환시킬 수 있도록 제1풍력발전기(G1)에 모터(M)가 더 설치되고,
    상기 바람안내 구조물(20)의 벽체의 일측에 형성되는 외기 유입구(22)와, 상기 외기 유입구(22)에 일정 길이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1층 공간(12a)과, 상기 1층 공간(12a)의 천장 벽 좌우측에 뚫린 연결통로(24)를 통해 바람통로(12) 내부의 바람이 순환할 수 있도록 1층 공간(12a) 위에 형성되는 2층 공간(12b)을 포함하며,
    상기 바람안내 구조물(20)에는, 뒤쪽 회전날개(W)를 돌리는 바람이 집중적으로 통과하도록 설치된 바람 통과구멍(32)에 뒤쪽 회전날개(W)의 회전범위 내에서 반경 길이에 해당하는 긴 구멍으로 형성되고 뒤쪽 회전날개(W)를 회오리 바람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바람 배출방향이 형성되는 1자형 배출구(32b)와, 상기 유입구(32a)와 1자형 배출구(32b)를 양쪽에 형성한 나선형부재(34)를 구비하면서 풍력발전기(G)들 사이에 설치되는 바람통과판(30)과,
    상기 회전날개(W)는, 바람 통과판(30)의 1자형 배출구(32b)에서 배출되는 회오리 바람을 손실 없이 최대한 전달받을 수 있고 바람이 뒤쪽 풍력발전기(G)의 회전날개(W)를 집중적으로 돌리도록 많은 날개로 이루어진 회전날개(W)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20088530A 2012-08-13 2012-08-13 풍력 발전장치 KR1012665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8530A KR101266576B1 (ko) 2012-08-13 2012-08-13 풍력 발전장치
PCT/KR2013/007198 WO2014027800A1 (ko) 2012-08-13 2013-08-09 풍력 발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8530A KR101266576B1 (ko) 2012-08-13 2012-08-13 풍력 발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6576B1 true KR101266576B1 (ko) 2013-05-22

Family

ID=48666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8530A KR101266576B1 (ko) 2012-08-13 2012-08-13 풍력 발전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66576B1 (ko)
WO (1) WO2014027800A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62811A (ja) * 1997-08-11 1999-03-05 Akiji Matoba 風力を繰返し利用する風車発電装置及び強風遮断装置
EP2229529A4 (en) * 2007-12-10 2012-10-31 Squared Wind Inc V FLUID POWER ENERGY CONVERSION DEVICE IN MODULAR ARRANGEMENT
JP4682230B2 (ja) * 2008-06-21 2011-05-11 雅勇 石津 風力発電用ブースター風車風洞体
KR20110006818A (ko) * 2009-07-15 2011-01-21 (주)창명건업 다층식 풍력 발전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27800A1 (ko) 2014-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218823A1 (en) Wind turbine structure having a plurality of propeller-type rotors
ES2938869T3 (es) Procedimientos y sistemas para hacer funcionar una turbina eólica en modos de funcionamiento de ruido reducido
KR101849052B1 (ko) 방향키 풍력을 이용한 환풍기와 무동력 선풍기 발전 시스템
WO2016023351A1 (zh) 全方位导流无轴风力发电装置
WO2009106922A1 (en) Shaftless vertical axis wind cage turbine
CN112534130A (zh) 涡流加速风能塔
KR20090019880A (ko) 밀폐형 터널식 발전시스템
KR100862319B1 (ko) 깔때기를 이용한 풍력발전기
KR100929111B1 (ko) 풍력 발전장치 설치방법
KR101266576B1 (ko) 풍력 발전장치
KR101169225B1 (ko) 수평 양력형 수직 축 풍력발전기
JP2019060237A (ja) 風車システムまたはウィンドファーム
CN206801790U (zh) 大型立轴式风力发电系统
CN206942930U (zh) 叶片自保护型风能发电装置
CN203463230U (zh) 垂直式聚风罩风力发电动力机组的动力装置
CN101539111A (zh) 一种立式风力发电机
CN108331709A (zh) 一种垂直轴风力发电装置
KR20140142500A (ko) 터빈 및 이를 구비한 터빈 발전기구
CN107327369A (zh) 叶片自保护型风能发电装置
KR101140397B1 (ko) 풍력 발전장치
KR101988917B1 (ko) 건물용 윈드 디플렉터 장치
CN208040620U (zh) 一种垂直轴风力发电装置
US11384734B1 (en) Wind turbine
EP2693046A2 (en) Method of constructing an array of vertical-axis wind turbines
CN205955913U (zh) 中小型多级垂直轴风力发电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