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5670B1 - Drawing type rod - Google Patents

Drawing type r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5670B1
KR101265670B1 KR1020060022128A KR20060022128A KR101265670B1 KR 101265670 B1 KR101265670 B1 KR 101265670B1 KR 1020060022128 A KR1020060022128 A KR 1020060022128A KR 20060022128 A KR20060022128 A KR 20060022128A KR 101265670 B1 KR101265670 B1 KR 1012656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e
prepreg
diameter side
state
straight cylindr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212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70011076A (en
Inventor
쇼타로 타니가와
히토시 타케우치
아키히코 마츠모토
타카후미 하라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0700110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107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56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567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2Connecting devices for parts of the rods
    • A01K87/025Connecting devices for parts of the rods telescop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28Shaping operations therefor
    • B29C70/30Shaping by lay-up, i.e. applying fibres, tape or broadsheet on a mould, former or core; Shaping by spray-up, i.e. spraying of fibres on a mould, former or c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8Impregn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1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arrangement of fibres or filaments of different layers, e.g. the fibres or filaments being parallel or perpendicular to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0Agricultural usage or equipment
    • B29L2031/7002Agricultural usage or equipment for fish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60Fishing; Aquaculture; Aquafarm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00Fishing, trapping, and vermin destroy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shing Rods (AREA)

Abstract

[과제] 제작상의 부담을 경감하면서, 고착(固着) 상태를 회피할 수 있다.[Problem] A fixation state can be avoided, reducing the burden on manufacture.

[해결 수단] 소경(小徑) 측 장대(1)를 대경(大徑) 측 장대(2)에 대하여 신장 상태로 유지하는 이음매부(B)를 형성하는 것과 함께, 이음매부(B)를, 대경 측 장대(2)에 형성되고 접촉면이 일정한 직경을 유지하는 스트레이트 원통부(2B)와, 소경 측 장대(1)에 형성되고 스트레이트 원통부(2B)의 접촉면에 접촉하는 돌면부(突面部, 1a)로 구성하고 있다. 스트레이트 원통부(2B)에 있어서의 표면층을, 장대 축선(X)에 대하여 소정 경사각(θ)을 따라 혼합 배치된 강화 섬유(c)군을 가지는 프리프레그(prepreg)와, 프리프레그의 강화 섬유군과 장대 축선(X)에 대하여 대칭으로 되는 상태로 혼합 배치된 강화 섬유(c)군을 가지는 프리프레그를 겹쳐 맞추어 구성하고 있다. 돌면부(1a)의 표면층을, 장대 축선(X) 방향을 따라 혼합 배치한 강화 섬유(c)군에 수지를 함침(含浸)시킨 프리프레그로 구성하고 있다.[Solution] The joint portion B is formed while the joint portion B is formed to hold the small diameter side pole 1 in an extended state with respect to the large diameter side pole 2. A straight cylindrical portion 2B formed on the large diameter side pole 2 and having a constant contact surface, and a protrusion formed on the small diameter side pole 1 and contacting the contact surface of the straight cylindrical portion 2B; It consists of 1a). A prepreg having a group of reinforcing fibers (c) in which the surface layer in the straight cylindrical portion 2B is mixed and disposed along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ngle θ with respect to the pole axis X, and a group of reinforcing fibers of the prepreg. And a prepreg having a group of reinforcing fibers (c) mixed and arranged in a state of being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pole axis (X). The surface layer of the protrusion part 1a is comprised by the prepreg which impregnated resin in the group of the reinforcing fiber c mixed and arrange | positioned along the pole axis X direction.

뽑이식 장대, 강화 섬유, 이음매부, 스트레이트 원통부, 돌면부 Pull rod, reinforcing fiber, seam, straight cylinder, protrusion

Description

뽑이식 장대{DRAWING TYPE ROD}Pulling Pole {DRAWING TYPE ROD}

도 1의 (a)는 소경 측 장대를 대경 측 장대에 수납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종단 측면도, (b)는 소경 측 장대를 대경 측 장대로부터 뽑아낸 상태를 도시하는 종단 측면도, (c)는 돌면부를 도시하는 사시도.(A) is a longitudinal side view which shows the state before storing a small diameter side pole in the large diameter side pole, (b) is a longitudinal side view which shows the state which pulled out the small diameter side pole from the large diameter side pole, (c)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protruding surface.

도 2는 소경 측 장대와 대경 측 장대의 표면층의 강화 섬유의 배향 방향을 도시하는 도면.The figure which shows the orientation direction of the reinforcing fiber of the surface layer of the small diameter side pole and the large diameter side pole.

도 3은 프리프레그를 맨드릴에 권회하여 소경 측 장대를 제작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repreg is wound on a mandrel to produce a small diameter side pole.

도 4는 프리프레그를 맨드릴에 권회하여 대경 측 장대를 제작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repreg is wound on a mandrel to produce a large diameter side pole.

도 5는 소경 측 장대와 대경 측 장대의 고착 상태의 시험 장치를 도시하는 측면도.It is a side view which shows the test apparatus of the fixed state of the small diameter side pole and the large diameter side pole.

도 6은 뽑아 늘릴 때의 저항력을 측정한 결과를 도시하는 도면.Fig. 6 is a diagram showing the results of measuring resistance at the time of pulling out.

도 7은 뽑아 늘린 후의 되돌림력을 측정한 결과를 도시하는 도면.The figure which shows the result of having measured the return force after pulling out.

도 8의 (a)는 소경 측 장대의 장대 기단에 돌면부만을 형성한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b)는 (a)에 있어서의 배면도.(A) is a side view which shows the state in which only the protrusion part was formed in the pole base end of the small diameter side pole, (b) is a rear view in (a).

도 9는 돌면부를 3개소 설치하고, 각 돌면부의 사이에 노치부를 형성한 상태 를 도시하는 사시도.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ree protrusions are provided and a notch is formed between each protrusion.

도 10은 스트레이트 원통부와 돌면부의 장착 대상을 변경한 상태를 도시하며, (a)는 소경 측 장대를 대경 측 장대에 수납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종단 측면도, (b)는 소경 측 장대를 대경 측 장대로부터 뽑아낸 상태를 도시하는 종단 측면도.Fig. 10 shows a state in which the mounting target of the straight cylindrical portion and the protrusion portion is changed, (a) is a longitudinal side view showing a state before storing the small diameter side pole in the large diameter side pole, and (b) the large diameter side pole is large diameter. Longitudinal side view showing a state pulled out from the side pole.

도 11은 소경 측 장대의 장대 기단에 형성하는 돌면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며, (a)는 종단 측면도, (b)는 배면도.11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otruding portion formed at the pole end of the small diameter side pole, (a) is a longitudinal side view, and (b) is a rear view.

도 12는 스트레이트 원통부와 경사 접촉면을 바꾸어 넣어 형성한 상태를 도시하며, 소경 측 장대를 대경 측 장대로부터 뽑아낸 상태를 도시하는 종단 측면도.12 is a longitudinal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traight cylindrical portion and the inclined contact surface are formed by replacing each other, and the small diameter side pole is extracted from the large diameter side pole.

도 13은 도 11에 있어서의 스트레이트 원통부와 돌면부의 장착 대상을 변경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소경 측 장대를 대경 측 장대로부터 뽑아낸 상태를 도시하는 종단 측면도.It is a longitudinal side view which shows the state which changed the attachment target of the straight cylindrical part and the protrusion part in FIG. 11, and the state which pulled out the small diameter side pole from the large diameter side pole.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소경 측 장대 1A : 경사 접촉면1: small diameter side pole 1A: inclined contact surface

1B : 장대 기단부 1a, 2E : 돌면부1B: pole proximal end 1a, 2E: protrusion

1C, 2B : 스트레이트 원통부 2 : 대경 측 장대1C, 2B: Straight cylindrical portion 2: Large diameter side pole

2A : 경사 받침면 2C : 경사 안내면2A: Inclined support surface 2C: Inclined guide surface

2F : 본체부 8B : 협폭 보강 패턴2F: main body 8B: narrow reinforcement pattern

B : 이음매부 X : 장대 축선B: seam X: pole axis

θ : 소정 경사각 c : 강화 섬유θ: predetermined inclination angle c: reinforcing fiber

본 발명은, 소경(小徑) 측 장대를 대경(大徑) 측 장대 내에 수납하는 상태와, 그 수납 상태로부터 소경 측 장대를 대경 측 장대로부터 뽑아낸 상태로 전환하는 것과 함께 그 뽑아낸 신장 상태를 유지하는 이음매부를 설치하고 있는 뽑이식 장대에 관한 것이다.This invention is a state which accommodates a small diameter side pole in a large diameter side pole, and switches the state of the small diameter side pole to the state which extracted the small diameter side pole from the large diameter side pole from the storing state, and the extracted extended state It relates to a pull-out pole for installing a joint to maintain the.

상기한 이음매부를 구성하는 것으로서 소경 측 장대의 장대 기단 측 단부의 면외주(外周面)과 대경 측 장대의 장대 선단 측 단부의 내주면(內周面)에 서로 접촉하는 상태로 압접(壓接)하는 경사면을 형성하고 있다. 이 경사면끼리의 압접 상태에 의하여 소경 측 장대의 신장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있다.Composed in such a manner as to constitute the above-mentioned joint portion in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pole-end pole side end of the small diameter side pole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ole-end side side end of the large diameter side pol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inclined surface is formed. The inclined surfaces of the inclined surfaces maintain the elongated state of the small diameter side pole.

이와 같이 압접 상태로 소경 측 장대의 신장 상태를 유지하는 구성을 채용하는 경우에, 압접면에 수분 등이 들어가면, 소위, 고착(固着) 상태가 나타난다. 즉, 소경 측 장대를 신장 상태로부터 수축 상태로 되돌리려고 하여도, 압접 부위에서 양 경사면이 강력하게 접착하는 상태에 있기 때문에, 통상의 되돌림력을 가하여도, 그 신장 상태를 해제할 수 없는 경우가 생긴다.In the case of adopting the configuration for maintaining the elongated state of the small diameter side pole in the crimping state as described above, when water or the like enters the crimping contact surface, a so-called fixed state appears. That is, even when the small diameter side pole is to be returned from the stretched state to the contracted state, since both inclined surfaces are strongly adhered at the pressure welding site, even if the normal return force is applied, the stretched state cannot be released. Occurs.

따라서, 이 경우에는 장대를 수납하지 못하여, 마지막에 고심하게 된다.Therefore, in this case, the pole cannot be stored, and the end is troubled.

이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소경 측 장대로서의 소경 장대 관의 후단(後端)의 외주면에 대경 측 장대로서의 대경 장대 관의 선단의 내주면에 압접하는 소돌기를 형성하여, 내외주면끼리의 사이에 수분이 들어가지 않도록 배출 경로를 형성하는 구성의 것이 있었다 (특허 문헌 1 참조).In view of this point, a small protrusion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ar end of the small diameter pole tube as the small diameter side pole and press-contacted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ip of the large diameter pole tube as the large diameter side pole, and water is formed between the inner and outer peripheral surfaces. There existed a structure which forms a discharge path so that it may not enter (refer patent document 1).

<특허 문헌 1> 일본국 실용신안등록공보 제2569413호 (단락 번호 〔0009〕〔0012〕, 도 1)<Patent Document 1> Japanese Utility Model Registration Publication No. 2569413 (Paragraph No. [0009] [0012], Fig. 1)

확실히, 이음매부에 수분이 들어가면 고착 현상이 촉진된다고는 말할 수 있는 것이지만, 고착 현상은 그것만의 원인에 그치지 않는다고 생각된다. 즉, 상기 종래 기술에서도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이음매부는, 대경 측 장대의 장대 선단 측의 경사 내주면과 소경 측 장대의 장대 기단 측에 형성한 경사 외주면이 압접 상태가 되는 것에 의하여 일어나는 것이다. 양 경사면이 압접 상태로 되면, 대경 측 장대의 장대 선단 개구(開口)는 넓혀지는 방향의 힘을 받고, 소경 측 장대의 장대 기단 측 단부는 수축하는 힘을 받아 서로 탄성적으로 변형하는 상태로 압접하게 된다. 따라서, 탄성적인 변형 상태로 압접하기 때문에, 보다 강력한 접합 상태로 되어, 원래 상태로 되돌리는 것이 곤란한 상태가 된다.Certainly, it can be said that the adhesion phenomenon is promoted when moisture enters the joint portion, but it is thought that the adhesion phenomenon is not only its cause. That is, as shown in the above-mentioned prior art, the seam is caused by the inclined inner peripheral surface formed on the pole tip end side of the large diameter side pole and the inclined outer peripheral surface formed on the pole base end side of the small diameter side pole. When both inclined surfaces are pressed, the pole end opening of the large diameter side pole receives the force in the extending direction, and the pole proximal end of the small diameter side pole receives the contracting force and is elastically deformed with each other. Done. Therefore, since the pressure welding is performed in an elastically deformed state, it becomes a stronger bonding state and it is difficult to return to the original state.

이와 같은 압접 상태는 소돌기를 상대 측의 경사면에 압접시키는 상태로 달성하고 있는 종래 기술도 예외는 아니라고 생각되며, 이음 조작을 행하면 단시간으로 또한 짧은 스트로크로 소돌기가 상대 측 경사면에 강하게 눌리는 것에 의하여, 소돌기를 형성하고 있지 않는 것에 비하면 고착 현상에 빠지기 어려운 구성이어도, 이음 조작을 행하면 순간에 압접 상태로 되는 점을 해소하지 못하여, 한층 더, 이음매부의 개선을 필요로 하고 있었다.The state of the art in which the pressure contact state is achieved in the state in which the protrusion is pressed against the inclined surface of the other side is also considered to be no exception. Compared with not forming a small protrusion, even if it is the structure which is hard to fall into a sticking phenomenon, when the joint operation was performed, it did not eliminate the point which becomes a press contact state at the moment, and further improved the joint part.

본 발명의 목적은, 그와 같은 결점을 해소하고, 제작상의 부담을 경감하면 서, 고착 상태를 회피할 수 있는 낚싯대용 장대를 제공하는 점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od for fishing rods capable of avoiding the above-mentioned drawbacks and reducing the production burden while avoiding the stuck state.

〔구성〕〔Configuration〕

청구항 1에 관련되는 발명의 특징 구성은, 소경 측 장대를 대경 측 장대에 대하여 신장 상태로 유지하는 이음매부를 형성하는 것과 함께, 상기 이음매부를, 소경 측 장대와 대경 측 장대의 일방의 장대에 형성되고 접촉면이 일정한 직경을 가지는 스트레이트 원통부와, 소경 측 장대와 대경 측 장대의 타방의 장대에 형성되고 상기 스트레이트 원통부의 접촉면에 접촉하는 돌면부(突面部)로 구성하고 있고, 상기 스트레이트 원통부에 있어서의 상기 돌면부에 접촉하는 표면층을, 장대 축선에 대하여 소정 경사각을 따라 혼합 배치된 강화 섬유군을 가지는 프리프레그(prepreg)와, 상기 프리프레그의 강화 섬유군과 상기 장대 축선에 대하여 대칭으로 되는 상태로 혼합 배치된 강화 섬유군을 가지는 프리프레그를 겹쳐 맞추어 구성하며, 상기 돌면부의 상기 스트레이트 원통부에 접촉하는 표면층을, 상기 장대의 축선 방향을 따라 혼합 배치한 강화 섬유군에 수지를 함침(含浸)시킨 프리프레그로 구성하고 있는 점에 있고, 그 작용 효과는 다음과 같다.The characteristic constitution of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1 is to form a joint portion for holding the small diameter side pole in an extended state with respect to the large diameter side pole, and the joint portion is formed on one pole of the small diameter side pole and the large diameter side pole. The contact surface is composed of a straight cylindrical portion having a constant diameter, and a protrusion formed on the other pole of the small diameter side pole and the large diameter side pole and in contact with the contact surface of the straight cylindrical portion. A surface layer in contact with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prepreg having a reinforcing fiber group mixed and disposed along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ngle with respect to a pole axis, and a state of being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reinforcing fiber group of the prepreg and the pole axis The prepreg having a group of reinforcing fibers arranged and mixed with each other; And a surface layer in contact with the cylindrical section rate, the points that make up the resin in the groups of reinforcing fibers are arranged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mixing rod to the impregnation (含浸) that prepreg, the functions and effects are as follows.

〔작용〕〔Action〕

이음매부의 일방에 스트레이트 원통부를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급격히 뽑아 늘임 조작을 행하여도, 돌면부와 그 스트레이트 원통부가 접촉하는 상태가 나타나기 때문에, 조작력이 돌면부와 스트레이트 원통부에서의 조작 저항에 의하여 완화되는 것과 동시에, 스트레이트 원통부의 존재에 의하여 일정한 조작 저항력이 계속 되기 때문에 그 상태가 낚시꾼에게도 인식되어, 갑자기 고착 상태에 빠지는 일이 적다.By forming a straight cylindrical portion on one of the joint portions, even when the pull-out operation is carried out abruptly, a state in which the protrusion and the straight cylindrical portion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ppears, so that the operating force is alleviated by the operation resistance at the protrusion and the straight cylindrical portion. At the same time, since the constant resistance to resistance is continued due to the presence of the straight cylindrical portion, the angler is also recognized by the angler and rarely falls into a stuck state.

게다가, 스트레이트 원통부에 접촉하는 상대 측으로서 프리프레그로 이루어지는 돌면부를 채용하고 있기 때문에, 소돌기를 수지 등에 의하여 형성하고 있는 것에 비하여, 마모 등에 대한 대항력이 강하다.Moreover, since the protrusion part which consists of prepregs is employ | adopted as the counterpart side which contacts a straight cylindrical part, the counter force to abrasion etc. is strong compared with forming the small protrusion by resin etc.

다만, 단순히 강화 섬유를 포함한 프리프레그로 돌면부를 형성하고 있는 것은 아니고, 강화 섬유의 혼합 방향을 장대 축선을 따른 방향으로 설정하고 있기 때문에, 강화 섬유를 원주 방향으로 혼합한 경우에 비하여 휨 변형하기 쉽게 되어 있다. 예를 들어, 장대의 단면이 타원상으로 변형하려고 하는 경우에, 강화 섬유를 원주 방향으로 배치한 경우에는, 강화 섬유가 대항력을 발휘하여 변형을 저지하려고 하는 점으로부터, 단면이 변형하기 어렵게 된다. 이것에 대하여, 장대 축선 방향으로 혼합 배치된 강화 섬유는, 단면이 타원으로 변형하려고 하는 경우, 강화 섬유를 원주 방향으로 배치한 경우에 비하여 변형 저지력은 크지는 않다. 이것은, 돌면부가 반경 방향으로 휨을 생기게 하기 쉽게 되어 있는 것을 의미하는 점으로부터, 돌면부가 스트레이트 원통부에 접촉하여 이동하는 경우에, 돌면부가 다소 휨을 생기게 하기 때문에, 돌면부와 스트레이트 원통부가 강하게 접촉하는 것이 회피된다. 이것에 의하여, 소경 측 장대를 대경 측 장대로부터 뽑아내는 경우에, 뽑아내기 저항이 안정된 것이 된다.However, the prepreg containing reinforcing fibers is not simply formed, and since the mixing direction of the reinforcing fibers is set in the direction along the pole axis, it is easier to bend and deform than when the reinforcing fibers are mix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t is. For example, when the cross section of the pole is to be deformed in an ellipse shape, when the reinforcing fibers are arrang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cross section becomes difficult to deform from the point that the reinforcing fibers exert a counter force and try to prevent deformation. On the other hand, the reinforcement fibers mixed and arranged in the long axis direction do not have a large strain preventing force when the cross section is deformed in an ellipse,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reinforcing fibers are arrang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is means that the protrusions tend to bend in the radial direction, so that when the protrusions move in contact with the straight cylindrical portion, the protrusions cause some bending, so that the protrusions and the straight cylindrical portion are in strong contact with each other. Avoided. As a result, when the small diameter side pole is pulled out from the large diameter side pole, the extraction resistance becomes stable.

또한, 스트레이트 원통부의 표면층이, 장대 축선에 대하여 소정 경사각을 따라 혼합 배치된 강화 섬유군을 가지는 프리프레그와, 상기 프리프레그의 강화 섬유 군과 상기 장대 축선에 대하여 대칭으로 되는 상태로 혼합 배치된 강화 섬유군을 가지는 프리프레그를 겹쳐 맞추어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축선 방향으로 경사하는 전단력(剪斷力) 등을 작용시킨 경우에도, 서로 경사 상태로 배치되어 있는 강화 섬유가 대항력을 발휘하여, 수지의 박리나 이음매부의 소성 변형 등을 저지할 수 있다.Further, the surface layer of the straight cylindrical portion has a prepreg having a group of reinforcing fibers mixed and disposed along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ngle with respect to the pole axis, and a reinforcement mixed and arranged in a symmetrical state with respect to the reinforcing fiber group of the prepreg and the pole axis. Since the prepregs having the fiber groups are formed so as to overlap each other, even when a shearing force or the like inclined in the axial direction is applied, the reinforcing fibers arranged in the inclined state exert an opposing force, and the resin foil It is possible to prevent plastic deformation and the like of the lining and the joint portion.

그리고, 스트레이트 원통부의 표면층이, 강화 섬유의 방향을 장대 축선에 대하여 경사시킨 상태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강화 섬유를 원주 방향으로 배치한 경우에 비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단면이 변형하기 쉽게 되어 있고, 돌면부가 상기한 바와 같이 강화 섬유를 장대 축심 방향을 따라 혼합하여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변형하기 쉽게 되어 있는 점과 아울러, 스트레이트 원통부와 돌면부가 소정의 치수로부터 어긋난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도, 상대방이 그것에 추종하는 치수 흡수성이 양호하고, 스트레이트 원통부와 돌면부의 접촉 상태는, 적어도 일방에 변형이 생겨도 안정한 접촉 저항을 부여하여, 뽑아내기 저항을 일정한 것으로 할 수 있다.And since the surface layer of a straight cylindrical part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state which inclined the direction of the reinforcing fiber with respect to the pole axis, the cross section is easy to deform | transform as mentioned above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reinforcing fiber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n addition to the fact that the reinforcing fibers are mixed and arranged along the long axis direction as described above, they are easy to deform, and even when the straight cylindrical portion and the protruding portion are formed in a state deviated from a predetermined dimension, The following dimension absorbency is good, and the contact state of a straight cylindrical part and a protrusion part can provide stable contact resistance even if a deformation | transformation arises in at least one, and can make a pull out resistance constant.

게다가, 양자에 있어서는 변형하기 쉬운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무리한 응력이 작용하는 것은 없고, 수지의 박리나 소성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both have a structure which is easy to deform, excessive stress does not act, and peeling of the resin and plastic deformation can be suppressed.

〔효과〕〔effect〕

따라서, 스트레이트 원통부를 형성하는 점, 스트레이트 원통부에 접촉하는 상대방을 돌면부의 형상으로 하는 점, 돌면부를 프리프레그로 형성하는 점 및 그 프리프레그의 강화 섬유를 장대 축심 방향을 따라 혼합하는 점, 스트레이트 원통부 를 프리프레그로 형성하는 점 및 그 프리프레그의 강화 섬유를 장대 축심 방향으로 경사한 상태로 혼합하는 개조를 시행하는 것에 의하여, 수지의 박리나 소성 변형을 억제할 수 있는 것과 함께 고착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소경 측 장대를 대경 측 장대로부터 뽑아내어 이음 조작을 행하는 경우의 조작감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Therefore, the point which forms a straight cylindrical part, the point which contacts the straight cylindrical part in the shape of a protrusion part, the point which forms a protrusion part by a prepreg, the point which mixes the reinforcement fiber of the prepreg along the long axis direction, and the straight By modifying the point where the cylindrical portion is formed into the prepreg and the reinforcing fiber of the prepreg in a state inclined in the direction of the long axis, the separation of the resin and the plastic deformation can be suppressed, It was prevented beforehand, and the operation feeling at the time of extracting the small diameter side pole from the large diameter side pole and performing a joint operation was able to be improved.

청구항 2에 관련되는 발명의 특징 구성은, 상기 대경 측 장대의 내주면에 상기 스트레이트 원통부의 장대 선단에 인접하는 상태로 원추상(圓錐狀)의 경사 받침면을 형성하는 것과 함께, 상기 소경 측 장대의 외주면에, 상기 경사 받침면에 접촉하는 원추상의 경사 접촉면을 형성하고 있는 점에 있고, 그 작용 효과는 다음과 같다.A characteristic configuration of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2 is to form a conical inclined support surface in the state adjacent to the pole tip of the straight cylindrical portion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arge diameter side pole, and the small diameter side pole The conical inclined contact surface which contacts the said inclined support surface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is formed, The effect is as follows.

〔작용 효과〕[Action effect]

돌면부와 스트레이트 원통부의 접촉 상태가 계속되는 최종 단계에 있어서, 경사 접촉면이 경사 받침면에 접촉하게 된다. 즉, 돌면부가 스트레이트 원통부에 접촉하는 상태에 있어서는 대략 일정한 인장 저항이 감지되고 있다. 이 대략 일정한 인장 저항이 작용하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 경사 접촉면이 경사 받침면에 접촉하면, 돌연, 인장 저항이 커져 그 큰 저항이 낚시꾼에게 감지되어, 뽑아내는 양의 종단 위치에 이른 것을 감지할 수 있다.In the final stage where the contact between the protrusion and the straight cylindrical portion is continued, the inclined contact surface comes into contact with the inclined support surface. That is, a substantially constant tensile resistance is sensed in the state where the protruding portion contacts the straight cylindrical portion. In the case where this substantially constant tensile resistance is in operation, when the inclined contact surface comes into contact with the inclined support surface, suddenly, the tensile resistance increases, and the large resistance is detected by the angler, and it can be detected that the positive end position has been reached. have.

이것에 의하여, 너무 많이 뽑아내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고착 현상이 나타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Thereby, it can prevent to pull out too much in advance, and can prevent that a sticking phenomenon appears.

청구항 3에 관련되는 발명의 특징 구성은, 상기 경사 받침면과 상기 경사 접 촉면의 표면층을, 장대 축선에 대하여 소정 경사각을 따라 혼합 배치된 강화 섬유군을 가지는 프리프레그와, 상기 프리프레그의 강화 섬유군과 상기 장대 축선에 대하여 대칭으로 되는 상태로 혼합 배치된 강화 섬유군을 가지는 프리프레그를 겹쳐 맞추어 구성하고 있는 점에 있고, 그 작용 효과는 다음과 같다.The characteristic constitution of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3 includes a prepreg having a reinforcing fiber group in which the inclined support surface and the surface layer of the inclined contact surface are mixed and arranged along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ngle with respect to a pole axis, and the reinforcing fibers of the prepreg. The prepreg which has a group and the reinforcement fiber group mixed and arrange | positioned in the state which becomes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said pole axis line is comprised, and the effect is as follows.

〔작용 효과〕[Action effect]

청구항 1 또는 2에 관련되는 발명과 같은 작용 효과가 있다. 그것에 더하여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가 있다. 즉, 돌면부와 스트레이트 원통부가 접촉을 하여 그 상태가 유지되는 상태로 한층 더 소경 측 장대의 대경 측 장대로부터의 뽑아내기 조작이 계속되면, 경사 받침면과 경사 접촉면이 접촉하여, 그 뽑아내기 상태가 정지된다.There is an effect similar to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1 or 2. In addition, it has the following effects. That is, when the extraction operation from the large diameter side pole of the small diameter side pole continues further in the state which the protrusion part and the straight cylindrical part contact and the state is maintained, the inclined support surface and the inclined contact surface contact, and the extraction state is carried out. Is stopped.

이 경우에, 경사 받침면과 상기 경사 접촉면의 표면층을, 장대 축선에 대하여 소정 경사각을 따라 혼합 배치된 강화 섬유군을 가지는 프리프레그와, 상기 프리프레그의 강화 섬유군과 상기 장대 축선에 대하여 대칭으로 되는 상태로 혼합 배치된 강화 섬유군을 가지는 프리프레그를 겹쳐 맞추어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강화 섬유가 장대 축선 방향으로 작용하는 인장력이나 원주 방향으로 작용하는 인장력 뿐만 아니라, 장대 축선이나 원주 방향에 대하여 경사하는 방향을 따른 전단력에 대해서도 대항력을 발휘하기 때문에, 수지의 박리나 이음매부의 소성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prepreg having the reinforcing fiber group in which the inclined base surface and the surface layer of the inclined contact surface are mixed and arranged along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ngle with respect to the pole axis, the reinforcing fiber group of the prepreg and the symmetry with respect to the pole axis. Since the prepreg having the group of reinforcing fibers mixed and arranged in a superimposed state is configured to overlap, the reinforcing fibers ar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pole axis and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s well as the tensile force acting in the pole axis direction and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Since a counter force is exhibited also about the shear force along a direction, peeling of resin and plastic deformation of a joint part can be suppressed.

게다가, 원주 방향으로 강화 섬유를 배치하고 있는 것에 비하여 그 원주 방향으로도 경사하는 상태로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휘기 쉽고 치수 흡수성에 뛰어나 기 때문에, 경사 받침면과 상기 경사 접촉면이 접촉하여 받아들여지더라도, 강하게 조여지는 것이 없고, 고착 현상에 빠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Furthermore, since the reinforcing fibers are arranged in a state inclin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s compared with the arrangement of the reinforcing fiber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y are easy to bend and are excellent in dimension absorbency. There is no strong tightening, and it can suppress that it falls in a sticking phenomenon.

청구항 4에 관련되는 발명의 특징 구성은, 상기 소경 측 장대의 외주면에 상기 경사 접촉면의 장대 기단 측에 장대 기단부를 형성하는 것과 함께, 상기 장대 기단부의 장대 기단에 상기 돌면부를 세워 설치하고, 상기 장대 기단부에 있어서의 외경을, 상기 경사 접촉면의 장대 기단의 외경, 및 상기 돌면부의 외경보다 소경으로 설정하고 있는 점에 있고, 그 작용 효과는 다음과 같다.The characteristic constitu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4 is to form a pole proximal end on a pole proximal side of the inclined contact surface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mall-diameter side pole, and to install the protruding portion on the pole proximal end of the pole proximal end. The outer diameter at the proximal end is set to a smaller diamet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long proximal end of the inclined contact surface and the outer diameter of the protruding portion, and the effect thereof is as follows.

〔작용 효과〕[Action effect]

즉, 돌면부가 스트레이트 원통부에 접촉하는 상태로, 장대 기단부의 외주면은 경사 접촉면의 장대 기단의 외경, 또는 돌면부의 외경보다도 소경인 점으로부터 스트레이트 원통부에도 경사 받침면에도 접촉하는 일은 없다. 따라서, 소경 측 장대를 대경 측 장대로부터 뽑아내는 상태로, 경사 접촉면이 경사 받침면에 접촉할 때까지의 사이는, 장대 기단부의 장대 기단에 형성되어 있는 돌면부만이 스트레이트 원통부에 접촉하고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뽑아내는 방향이 장대 축선에 대하여 다소의 경사 상태가 되었다고 하여도, 돌면부만의 변형에 의하여 그 경사 상태에 의한 스트레이트 원통부와의 접촉 상태를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뽑아내기 조작시의 조작성이 향상한다.In other words, in the state where the protruding portion contacts the straight cylindrical porti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ole proximal end does not contact the straight cylindrical portion or the inclined support surface from the point that is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proximal proximal end of the inclined contact surface or the outer diameter of the protruding portion. Therefore, in the state where the small diameter side pole is pulled out from the large diameter side pole, only the protrusion formed in the pole base end of the pole base end part contacts the straight cylindrical part until the inclined contact surface contacts the inclined support surface. Since it is in the state, even if the direction of extraction is inclined to some extent with respect to the pole axis, the contact state with the straight cylindrical portion due to the inclination state can be adjusted by the deformation of only the protrusion, Improves the operability.

게다가, 돌면부를 장대 기단 위치에서 지지하게 되는 장대 기단부가 소경이기 때문에 단면 계수가 작아지고 있고, 돌면부에 접촉하는 스트레이트 원통부로부터 받는 반력(反力)에 의하여, 장대 기단부가 경사 접촉면과의 접속 위치를 기단부 로서 장대 기단 측에 위치하는 돌면부가, 캔틸레버 빔(Cantilever Beam)의 선단부와 같이, 직경 방향으로 변위하기 쉽게 되어 있다. 따라서, 스트레이트 원통부의 직경 치수의 변동이 있어도 돌면부가 변위하는 것에 의하여 소정 면압의 접촉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long base end portion that supports the protruding portion at the long proximal end position is a small diameter, the cross-sectional coefficient decreases, and the long proximal end portion is connected to the inclined contact surface by the reaction force received from the straight cylindrical portion that contacts the protruding portion. As the proximal end, the protruding portion positioned on the pole proximal side is easily displaced in the radial direction like the distal end of the cantilever beam. Therefore, even if there exists a fluctuation | variation in the diameter dimension of a straight cylindrical part, the contact surface of predetermined surface pressure can be maintained by displacement of a protrusion.

청구항 5에 관련되는 발명의 특징 구성은, 상기 장대 기단부의 표면층을, 장대 축선에 대하여 소정 경사각을 따라 혼합 배치된 강화 섬유군을 가지는 프리프레그와, 상기 프리프레그의 강화 섬유군과 상기 장대 축선에 대하여 대칭으로 되는 상태로 혼합 배치된 강화 섬유군을 가지는 프리프레그를 겹쳐 맞추어 구성하고 있는 점에 있고, 그 작용 효과는 다음과 같다.A characteristic constitution of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5 includes a prepreg having a reinforcing fiber group in which the surface layer of the pole proximal end is disposed along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ngle with respect to the pole axis, the reinforcing fiber group of the prepreg and the pole axis. The prepreg which has the reinforcing fiber group mixed and arrange | positioned in the state which becomes symmetrical with respect to is piled up, and the effect is as follows.

〔작용 효과〕[Action effect]

즉, 돌면부가 스트레이트 원통부에 접촉하는 상태로, 장대 기단부의 외주면은 경사 접촉면의 장대 기단의 외경, 또는 돌면부의 외경보다도 소경인 점으로부터 스트레이트 원통부에도 경사 받침면에도 접촉하는 일은 없다. 따라서, 장대 기단부에는 스트레이트 원통부로부터도 경사 받침면으로부터도 직접 반력을 받는 일은 없다.In other words, in the state where the protruding portion contacts the straight cylindrical porti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ole proximal end does not contact the straight cylindrical portion or the inclined support surface from the point that is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proximal proximal end of the inclined contact surface or the outer diameter of the protruding portion. Therefore, the pole proximal end does not receive direct reaction force from the straight cylindrical portion nor the inclined support surface.

그러나 장대 기단부의 장대 기단에 형성하고 있는 돌면부에 작용하는 반력이 장대 기단부에 영향을 준다. 이 경우에, 장대 기단부의 표면층이, 장대 축선에 대하여 소정 경사각을 따라 혼합 배치된 강화 섬유군을 가지는 프리프레그와, 상기 프리프레그의 강화 섬유군과 상기 장대 축선에 대하여 대칭으로 되는 상태로 혼합 배치된 강화 섬유군을 가지는 프리프레그를 겹쳐 맞추어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장 대 축선 방향으로 작용하는 하중이나 원주 방향으로 작용하는 하중에 대항력을 발휘할 뿐만 아니라, 장대 축선에 대하여 경사하는 방향으로부터 작용하는 전단력에 대해서도 상기한 장대 축선에 대하여 경사하는 상태로 배치된 강화 섬유가 대항력을 발휘하고, 다방향으로부터의 하중에 대한 대항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However, the reaction force acting on the protrusion formed on the pole base of the pole base affects the pole base. In this case, the mixed layer is arranged in such a manner that the surface layer of the pole proximal end has a prepreg having a group of reinforcing fibers mixed and arranged along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ngle with respect to the pole axis, and the reinforcing fiber group of the prepreg is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pole axis. Since the prepreg having a group of reinforced fibers are superimposed and configured, the shear force acting from the direction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pole axis as well as exerting a force against the load acting in the pole axis direction and the load act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n addition, the reinforcement fiber arrange | positioned in the stat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said long axis axis | shaft exhibits a counter force, and can improve the counter force to the load from a multi-direction.

이것에 의하여, 돌면부를 지지하게 되는 장대 기단부의 강도를 높일 수 있었기 때문에, 돌면부의 스트레이트 원통부에 대한 접촉 상태가 안정된다.Thereby, since the strength of the pole base end part which supports a protrusion part can be raised, the contact state with respect to the straight cylindrical part of a protrusion part is stabilized.

청구항 6에 관련되는 발명의 특징 구성은, 상기 스트레이트 원통부와 그 스트레이트 원통부보다 장대 기단 측에 설치하고 있는 본체부의 사이에 경사 안내 통부를 형성하는 것과 함께, 상기 경사 안내 통부에 있어서의 경사 안내면의 장대 축선 방향을 따라 내면 직경을 확대하는 확경도를, 상기 스트레이트 원통부의 원통면보다 크고, 또한 상기 본체부의 내주면의 상기 장대 축선 방향을 따라 내면 직경을 확대하는 확경도보다 작게 설정하고 있는 점에 있고, 그 작용 효과는 다음과 같다.The characteristic structure of this invention concerning Claim 6 forms the inclination guide cylinder part between the said straight cylinder part and the main-body part provided in the pole base end side rather than this straight cylinder part, and the inclination guide surface in the said inclination guide cylinder part. The enlargement degree which enlarges an inner surface diameter along the pole axis direction of is set larger than the cylindrical surface of the said straight cylindrical part, and smaller than the expansion diameter which enlarges an inner surface diameter along the pole axis direction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aid main body part, The effects are as follows.

〔작용 효과〕[Action effect]

즉, 경사 안내 통부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돌면부가 본체부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로, 장대 축심에 대하여 편심하고 있어 스트레이트 원통부에 대하여 위치 차이를 일으키고 있어도, 돌면부가 경사 안내 통부에 이른 시점에서, 돌면부가 스트레이트 원통부에 접촉하기 전에, 돌면부가 경사 안내 통부의 경사면을 따라 안내되고, 또한 경사 안내 통부의 경사 안내면의 확경도가, 상기 스트레이트 원통부의 원통면보다 크고, 또한 상기 장대 본체부의 내주면의 확경도보다 작게 설정하고 있기 때문에, 돌면부가 스트레이트 원통부의 위치 차이를 수정하도록 안내되게 된다.That is, since the inclined guide cylinder is provided, even when the protrusion is located at the main body portion, the protrusion is eccentric with respect to the pole axis, and the position difference is caused with respect to the straight cylinder, Before the contact with the straight cylindrical portion, the projection is guided along the inclined surface of the inclined guide cylinder portion, and the enlarged diameter of the inclined guide surface of the inclined guide cylinder portion is larger than the cylindrical surface of the straight cylindrical portion, and also the enlarged diameter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ole body portion. Since the setting is made smaller, the protruding portion is guided to correct the position difference of the straight cylindrical portion.

따라서, 돌면부와 스트레이트 원통부의 접촉 상태가 일정한 압접 상태로 조정되기 때문에, 소경 측 장대를 대경 측 장대로부터 뽑아내는 조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since the contact state of a protrusion part and a straight cylindrical part is adjusted to a constant pressure contact state, the operation which pulls out a small diameter side pole from a large diameter side pole can be performed easily.

청구항 7에 관련되는 발명의 특징 구성은, 상기 경사 안내 통부의 표면층을, 장대 축선에 대하여 소정 경사각을 따라 혼합 배치된 강화 섬유군을 가지는 프리프레그와, 상기 프리프레그의 강화 섬유군과 상기 장대 축선에 대하여 대칭으로 되는 상태로 혼합 배치된 강화 섬유군을 가지는 프리프레그를 겹쳐 맞추어 구성하고 있는 점에 있고, 그 작용 효과는 다음과 같다.The characteristic constitution of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7 includes a prepreg having a reinforcing fiber group in which a surface layer of the inclined guide tube portion is mixed along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ngle with respect to a pole axis, a reinforcing fiber group of the prepreg and the pole axis. The prepreg which has a group of reinforcing fibers mixed and arranged in a symmetrical configuration with respect to is superimposed, and the effect is as follows.

〔작용 효과〕[Action effect]

즉, 돌면부가 경사 안내 통부로 유도되어 이동할 때에, 그 돌면부가 경사 안내면에 미치는 하중의 방향은, 경사 안내면에 직교할 뿐만 아니라, 그 경사하는 상태로 작용하게 되어, 복잡한 하중 작용 형태로 되어 있다. 이것에 대하여, 이 경사 안내 통부의 표면층을, 장대 축선에 대하여 소정 경사각을 따라 혼합 배치된 강화 섬유군을 가지는 프리프레그와, 상기 프리프레그의 강화 섬유군과 상기 장대 축선에 대하여 대칭으로 되는 상태로 혼합 배치된 강화 섬유군을 가지는 프리프레그를 겹쳐 맞추어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강화 섬유가 다방향으로부터 작용하는 하중에 대하여 대항력을 발휘하고, 수지의 박리나 소성 변형을 생기게 하는 일은 적다.That is, when the protrusion is guided and moved to the inclined guide tube, the direction of the load exerted on the inclined guide surface is not only orthogonal to the inclined guide surface, but also acts in the inclined state, thereby forming a complicated load action form. On the other hand, the surface layer of this inclined guide tube part is a prepreg which has the reinforcement fiber group mixed and arrange | positioned along the predetermined inclination angle with respect to the pole axis, and the state which becomes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reinforcement fiber group of the said prepreg, and the said pole axis. Since the prepregs having the group of reinforcing fibers mixed and arranged are overlapped and configured, the reinforcing fibers exert an opposing force against loads acting from multiple directions and rarely cause peeling or plastic deformation of the resin.

또한, 이와 같이 경사 상태로 강화 섬유를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원주 방향으로 배치한 경우에 비하여 유연성이 높고, 고착 현상이 발생하는 일은 없다.In addition, since the reinforcing fibers are arranged in the inclined state in this way, the flexibility is higher than that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no sticking phenomenon occurs.

<실시예><Examples>

〔제1 실시예〕[First Embodiment]

뽑이식 장대(A)에 있어서의 2번 장대로부터 원상대까지의 중간대에서, 특히 4번 장대 등에서부터 대경 측의 중간 장대에 주로 적용되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소경 측의 장대를 소경 측 장대(1)로 하고, 대경 측의 장대를 대경 측 장대(2)로 하여 설명한다.The structure mainly applied to the intermediate pole on the large diameter side, especially from the pole 4 and the like, in the intermediate zone from the pole 2 to the original pole in the pull-out pole A will be described. The pole on the small diameter side will be described as the small diameter side pole 1, and the pole on the large diameter side will be described as the large diameter side pole 2.

덧붙여, 도시는 하고 있지 않지만, 장대는 다음과 같이 제작된다. 즉, 탄소 섬유 등의 강화 섬유를 한 방향으로 혼합하고, 그 혼합 강화 섬유군에 에폭시 등의 열경화성 수지 (또는 열가소성 수지)를 함침시켜, 프리프레그를 형성한다. 이 프리프레그를 소정의 형상으로 재단한 것을 맨드릴에 권회(卷回, 돌려 감음)하여, 복수층으로 형성한 것을 소성(燒成)하고 소성 후 소정 길이로 재단하여, 마무리 가공을 시행하여 장대로 한다.In addition, although city is not shown, pole is produced as follows. That is, reinforcing fibers such as carbon fibers are mixed in one direction, and the mixed reinforcing fiber group is impregnated with a thermosetting resin (or thermoplastic resin) such as epoxy to form a prepreg. The prepreg was cut into a mandrel, wound into a mandrel, fired to form a plurality of layers, cut into a predetermined length after firing, and finished with a finish. do.

프리프레그를 구성하는 강화 섬유로서는, 탄소 섬유 이외에 유리 섬유, 아라미드 섬유, 알루미나 섬유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수지로서는, 페놀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등의 열경화성 수지나 PET 등의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As the reinforcing fibers constituting the prepreg, glass fibers, aramid fibers, alumina fibers and the like can be used in addition to carbon fibers. Thermoplastic resins such as phenol resins and polyester resins and thermoplastic resins such as PET can be used as the resin.

소경 측 장대(1)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소경 측 장대(1)는, 그 장대 기단부의 외주면에, 장대 기단 측만큼 대경화하는 원추상의 경사 접촉면(1A)을 형성하는 것과 함께, 경사 접촉면(1A)의 장대 기단 측에 약간 경사 상태 (또는 동일 직경을 유지한다)를 나타내는 장대 기단부(1B)를 설치하고 있고, 장대 기단부(1B)의 장대 기단에 돌면부(1a)를 세워 설치하고 있다.The structure of the small diameter side pole 1 is demonstrated. As shown in Fig. 1 (a), the small diameter side pole 1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ole proximal end and has a conical inclined contact surface 1A which is largely hardened by the pole proximal side, and the inclined contact surface ( The pole base end part 1B which shows a slightly inclined state (or maintains the same diameter) is provided in the pole base end side of 1A), and the protrusion part 1a is provided in the pole base end of the pole base end part 1B.

돌면부(1a)는, 도 1(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주 방향의 3개소에 설치되 어 있고, 장대(1)와 마찬가지로, 프리프레그로 형성되어 있다. 즉,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돌면부(1a)의 후기하는 스트레이트 원통부(2B)에 접촉하는 표면층을, 소경 측 장대(1)의 축선 방향을 따라 혼합 배치한 강화 섬유(c)군에 수지를 함침시킨 프리프레그로 구성하고 있다.As shown in Fig. 1 (c), the protrusion 1a is provided at three place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is formed of a prepreg similarly to the pole 1. That is, as shown in FIG. 2, the group of reinforcing fibers (c) in which the surface layer in contact with the straight cylindrical portion 2B to be described later of the protrusion 1a is mixed and arranged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small diameter side pole 1. It consists of the prepreg in which resin was impregnated.

경사 접촉면(1A) 및 장대 기단부(1B)에 있어서의 표면층에서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경사 접촉면(1A) 및 장대 기단부(1B)에 있어서의 프리프레그에서의 강화 섬유(c)의 혼합 방향은 장대의 원주 방향을 따른 상태로 배설(配設)되어 있다. 이와 같은 강화 섬유(c)의 배설 구성에 의하여, 장대의 단면이 가로로 넓은 타원상이 되는 것을 강화 섬유(c)가 대항력을 발휘하여, 타원상이 되어 장대가 손상되는 것을 억제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The structure in the surface layer in the inclined contact surface 1A and the pole base end part 1B is demonstrated. As shown in FIG. 2, the mixing direction of the reinforcing fiber c in the prepreg in the inclined contact surface 1A and the pole base end part 1B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state along the pole circumferential direction. . By the structure of excretion of the reinforcing fibers (c), the reinforcing fibers (c) exert an opposing force against the fact that the cross section of the rod becomes horizontally wide and elliptical, thereby preventing the rod from being damaged by being elliptic.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소경 측 장대(1)의 제조 공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이 된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맨드릴(6)에 대하여 프리프레그를 소경 측 장대(1)의 전체 길이에 상당하는 길이로 재단한 메인 패턴(3)을 복수매 권회한다. 여기에서는, 내측 메인 패턴(3A), 중간 메인 패턴(3B), 외측 메인 패턴(3C)을 각각 강화 섬유의 방향을 장대의 축선(X)에 직교하는 원주 방향, 축선(X)을 따른 방향, 원주 방향으로 설정하여 권회하고 있다. 메인 패턴(3)을 권회하여 형성한 장대 소재(C)의 장대 기단부에 중간 보강 패턴(7)을 권회한다. 중간 보강 패턴(7)은, 장대 축선(X)에 대하여 소정 경사각(θ)을 따라 혼합 배치된 강화 섬유(c)군을 가지는 프리프레그(7A)와, 프리프레그(7A)의 강화 섬유(c)군과 장대 축선(X)에 대하여 대칭으로 되는 상태로 혼합 배치된 강화 섬유(c)군을 가지는 프리프 레그(7B)를 겹쳐 맞추어 구성하고 있다.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small diameter side pole 1 which consists of the above structures is put together as follows. As shown in FIG. 3, the mandrel 6 is wound around a plurality of main patterns 3 obtained by cutting the prepreg to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entire length of the small diameter side pole 1. Here, the inner main pattern 3A, the middle main pattern 3B, and the outer main pattern 3C are respectively circumferential directions orthogonal to the pole axis X, directions along the axis X, It is woun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intermediate reinforcement pattern 7 is wound around the pole proximal end of the pole material C formed by winding the main pattern 3. The intermediate reinforcement pattern 7 includes a prepreg 7A having a group of reinforcing fibers c mixed and disposed along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ngle θ with respect to the pole axis X, and the reinforcing fibers c of the prepreg 7A. ) And a prepreg 7B having a group of reinforcing fibers (c) arranged in a symmetrical manner with respect to the group and pole axis (X).

중간 보강 패턴(7)의 외층 측에, 프리프레그 테이프(16)를 권회한다. 즉, 강화 섬유(c)군을 장대의 원주 방향으로 배치하여 세폭(細幅)으로 형성한 프리프레그 테이프(16)를 테이프끼리가 겹치지 않는 상태로 또한 접하는 상태로 밀착 감기하여 중간층을 형성한다. 이 프리프레그 테이프(16)를 권회한 장대 소재(C)의 장대 기단부 위치의 외주면에 표면층으로서의 외측 보강 패턴(8)을 권회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외측 보강 패턴(8)은 광폭(廣幅) 보강 패턴(8A)과, 광폭 보강 패턴(8A)보다 단폭으로 강화 섬유(c)군을 장대 축선 방향을 따라 혼합하고 있는 협폭(狹幅) 보강 패턴(8B)으로 구성한다. 광폭 보강 패턴(8A)을 구성하는 프리프레그가 경사 접촉면(1A)을 형성하는 부분(8a)과 장대 기단부(1B)를 형성하는 부분(8b)으로 이루어진다. 광폭 보강 패턴(8A)에 있어서의 장대 기단부(1B)를 형성하는 부분(8b)은, 대략 삼각형상으로 재단된 것이며, 복수 프라이 권회하는 것에 의하여, 경사 접촉면(1A)보다 소경으로 되는 장대 기단부(1B)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장대 기단부(1B)를 형성하는데, 대략 삼각형상의 보강 프리프레그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돌면부(1a)를 형성하고 있는 장대 기단 측만큼 소경화하여 휨 변형하기 쉬운 것으로 장대 기단부(1B)를 형성하고 있다.The prepreg tape 16 is wound on the outer layer side of the intermediate reinforcement pattern 7. That is, the prepreg tape 16 formed in the narrow circumferential direction by arranging the group of reinforcing fibers c is closely wound in a state where the tapes do not overlap and in contact with each other to form an intermediate layer. The outer reinforcement pattern 8 as a surface layer is woun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ole base end position of the pole material C which wound this prepreg tape 16. As shown in FIG. The outer reinforcement pattern 8 is a wide reinforcement pattern 8A and a narrow reinforcement pattern which mixes a group of reinforcing fibers c along the pole axis direction in a shorter width than the wide reinforcement pattern 8A. It consists of 8B. The prepreg constituting the wide reinforcement pattern 8A includes a portion 8a forming the inclined contact surface 1A and a portion 8b forming the pole proximal end 1B. The part 8b which forms the pole base end part 1B in the wide reinforcement pattern 8A is cut | disconnected in substantially triangular shape, and the pole base end part which becomes smaller diameter than the inclined contact surface 1A by winding in multiple fry | wires ( 1B). In this manner, the pole proximal end 1B is formed, and since a substantially triangular reinforcement prepreg is used, the pole proximal end 1B is easy to be hardened and deformed as much as the pole proximal side forming the protruding portion 1a. To form.

대경 측 장대(2)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대 선단 측의 경사 받침 통부의 내주면에 장대 기단 측만큼 대경화하는 곳의, 통상의 확경도 (5/1000 정도)보다 작은 경사도 (3.0/1000 정도)를 나타내는 경사 받침면(2A)을 형성하는 것과 함께, 경사 받침면(2A)의 장대 기단부로부터 한층 더 장대 기단 측을 향하여 내면 직경이 동일 또는 대략 동일 직경 (0.3/1000 정도)의 상태를 유지하는 스트레이트 원통부(2B)를 형성하고, 스트레이트 원통부(2B)의 장대 기단으로부터 장대의 장대 기단을 향하여 일정 길이에 걸쳐 경사 받침면(2A)의 확경도 보다 약간 작은 확경도 (2.55/1000 정도)의 경사 안내면(2C)을 가지는 경사 안내 통부를 설치하며, 나아가 경사 안내면(2C)보다 장대 기단 측에 장대로서의 일반적인 경사도 (5/1000 정도)를 가지는 본체부(2F)를 형성하고 있다.The structure of the large diameter side pole 2 is demonstrated. As shown in Fig. 1 (a), the inclination degree (about 3.0 / 1000) smaller than the normal expansion degree (about 5/1000) of the place where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clined support tube portion on the pole tip side is largely hardened by the pole base end side. In addition to forming the inclined support surface 2A, which is indicative of the shape, the inner surface diameter is maintained at the same or approximately the same diameter (about 0.3 / 1000) toward the longer proximal end from the longer proximal end of the inclined support surface 2A. Magnification (about 2.55 / 1000) that forms a straight cylindrical portion 2B and is slightly smaller than the enlarged diameter of the inclined support surface 2A from the pole end of the straight cylinder 2B toward the pole pole end over a certain length. The inclined guide tube portion having the inclined guide surface 2C is provided, and furthermore, the main body portion 2F having a general inclination (about 5/1000) as a pole is formed on the pole base end side than the inclined guide surface 2C.

이상과 같이, 소경 측 장대(1)의 경사 접촉면(1A)과 돌면부(1a) 및 경사 받침면(2A)과 스트레이트 원통부(2B)로 이음매부(B)를 구성한다.As described above, the joint portion B is constituted by the inclined contact surface 1A, the protruding portion 1a, the inclined support surface 2A, and the straight cylindrical portion 2B of the small diameter side pole 1.

대경 측 장대(2)에 있어서의 경사 받침면(2A), 스트레이트 원통부(2B), 경사 안내면(2C)에 걸치는 범위의 표면층으로서의 내주면층을 구성하는데,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주면층을 내측 보강 패턴(9)으로 구성한다. 내측 보강 패턴(9)을, 장대 축선(X)에 대하여 소정 경사각(θ)을 따라 혼합 배치된 강화 섬유(c)군을 가지는 프리프레그(9A)와, 프리프레그(9A)의 강화 섬유(c)군과 장대 축선(X)에 대하여 대칭으로 되는 상태로 혼합 배치된 강화 섬유(c)군을 가지는 프리프레그(9B)를 겹쳐 맞추어 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강화 섬유(c)군을 바이어스로 배치하는 것에 의하여, 장대 축선(X)에 대하여 경사하는 방향으로부터 걸리는 하중에 대한 대항력을 높일 수 있어 이음매부(B)로서의 강도 향상이 도모된다.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layer is formed as a surface layer in the range spanning the inclined support surface 2A, the straight cylindrical portion 2B, and the inclined guide surface 2C in the large diameter side pole 2, as shown in FIG. Is constituted by the inner reinforcement pattern 9. The inner reinforcement pattern 9 has a prepreg 9A having a group of reinforcing fibers c mixedly arranged along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ngle θ with respect to the pole axis X, and the reinforcing fibers c of the prepreg 9A. ) And a prepreg 9B having a group of reinforcing fibers (c) arranged in a symmetrical manner with respect to the group and pole axis (X). Thus, by arrange | positioning a group of reinforcing fiber c by a bias, the counter force to the load applied from the direction which inclines with respect to the pole axis line X can be raised, and the strength as the joint part B can be improved.

내측 보강 패턴(9)을 시행한 맨드릴(6)에 대하여, 3매의 메인 패턴(3A, 3B, 3C)을 순차로 권회하여, 장대 소재(C)로서의 골격을 형성한다. 메인 패턴(3)을 권회한 후의 공정에 대해서는 도시하는 것을 생략하고 있지만, 상기한 도 3에 도시하 는 바와 같이, 중간 보강 패턴(7), 중간 보강 패턴(7)의 외층 측에 프리프레그 테이프(16) 및 프리프레그 테이프(16)를 권회하여 구성한 장대 소재(C)의 장대 기단부 위치의 외주면에 표면층으로서의 외측 보강 패턴을 권회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외측 보강 패턴으로서는, 도 3에 도시하는 외측 보강 패턴(8)의 광폭 보강 패턴(8A)을 선택하며, 협폭 보강 패턴(8B)은 사용하지 않고, 강화 섬유(c)를 원주 방향으로 배치한 프리프레그의 1매의 것으로 구성한다.With respect to the mandrel 6 which applied the inner reinforcement pattern 9, three main patterns 3A, 3B, and 3C are wound sequentially, and the skeleton as a pole material C is formed. Although illustration is abbreviate | omitted about the process after winding the main pattern 3, as shown in FIG. 3 mentioned above, the prepreg tape on the outer layer side of the intermediate reinforcement pattern 7 and the intermediate reinforcement pattern 7 is shown. The outer reinforcement pattern as the surface layer is woun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ole proximal end position of the pole material C formed by winding the 16 and the prepreg tape 16. As the outer reinforcement pattern, a wider reinforcement pattern 8A of the outer reinforcement pattern 8 shown in Fig. 3 is selected, and the prepreg having the reinforcing fibers c arrang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without using the narrow reinforcement pattern 8B. It consists of one piece of leg.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하여, 대경 측 장대(2) 내에 소경 측 장대(1)를 수납하여 신장 상태로 뽑아내는 경우에는, 우선, 돌면부(1a)가 경사 안내면(2C)에 접촉하여 안내되는 것과 함께, 경사 안내면(2C)으로부터 스트레이트 원통부(2B)로 이행하여 그 스트레이트 원통부(2B)에 내접(內接)한다. 소경 측 장대(1)의 뽑아내기 조작을 계속하는 동안은, 돌면부(1a)가 스트레이트 원통부(2B)에 내접하고, 뽑아내기 조작에 적당한 뽑아내기 저항을 주어, 낚시꾼에게 이음매부(B)가 계합 개시한 것을 인식시킬 수 있다.When the small diameter side pole 1 is accommodated in the large diameter side pole 2 and pulled out in the extended state by the above structure, first, the protrusion 1a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inclined guide surface 2C and guided. At the same time, it moves from the inclined guide surface 2C to the straight cylindrical portion 2B and inscribes the straight cylindrical portion 2B. While continuing the pull-out operation of the small-diameter side pole 1, the protrusion 1a inscribes the straight cylindrical portion 2B, imparts a pull-out resistance suitable for the pull-out operation, and gives the angler the seam B Can recognize that the registration has started.

그리고 뽑아내기 조작을 한층 더 행하여 가면, 도 1(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최종적으로는 경사 접촉면(1A)이 경사 받침면(2A)에 접촉하는 것에 의하여, 소경 측 장대(1)에 돌연 큰 뽑아내기 저항이 작용하고, 이것이 소경 측 장대(1)를 뽑아내기 조작하는 낚시꾼에게 감지시켜, 그 이상으로 소경 측 장대(1)가 뽑아내지는 것이 억제된다.Then, if the extraction operation is further performed, as shown in Fig. 1 (b), the inclined contact surface 1A finally comes into contact with the inclined support surface 2A, and thus suddenly reaches the small diameter side pole 1. The large pull-out resistance acts, and this makes it sense to the angler who pulls out the small diameter side pole 1, and it is suppressed that the small diameter side pole 1 is pulled out further.

한편, 장대 기단부(1B)는, 경사 접촉면(1A)의 장대 기단 측 직경이나 돌면부(1a)의 직경보다도 소경이기 때문에, 이 장대 기단부(1B)가 스트레이트 원통부(2B) 에 접촉하는 일은 없고, 뽑아내기 저항이 과도한 것으로 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ole proximal end 1B is smaller than the pole proximal end diameter of the inclined contact surface 1A and the diameter of the protruding portion 1a, and therefore the pole proximal end 1B does not contact the straight cylindrical portion 2B. In other words, the extraction resistance is not excessive.

상기한 바와 같은 이음매부(B)의 구조로서는, 상기한 고착 방지 효과도 높은 것이며, 그 효과를 증명한 테스트 데이터를 표 1에 나타내는 것이다. 표 1의 데이터를 얻는 테스트 장치가 도 5에 도시되어 있고, 소경 측 장대(1)를 대경 측 장대(2)에 감합(嵌合)시켜, 소경 측 장대(1)를 매달아 지지한다. 소경 측 장대(1)와 대경 측 장대(2)의 감합력은 당초 5kg으로 설정되어 있다.As the structure of the above-mentioned joint part B, the above-mentioned fixation prevention effect is also high, and the test data which demonstrated the effect is shown in Table 1. As shown in FIG. The test apparatus which obtains the data of Table 1 is shown in FIG. 5, The small diameter side pole 1 is fitted to the large diameter side pole 2, and the small diameter side pole 1 is suspended and supported. The fitting force of the small diameter side pole 1 and the large diameter side pole 2 is initially set to 5 kg.

대경 측 장대(2)에 대하여 추(Wh)를 높이 H로부터 낙하시켜, 대경 측 장대(2)에 형성한 받침 플랜지(2D)로 받게 한 상태에서의 대경 측 장대(2)의 이동량(L)을 측정한 것이, 상기 데이터이다.Movement amount L of the large diameter side pole 2 in the state which dropped the weight Wh from the height H with respect to the large diameter side pole 2, and received it with the support flange 2D formed in the large diameter side pole 2 The data is measured.

추(Wh)의 낙하량을 50mm ~ 150mm까지 단계적으로 변화시켜 이동량(L)을 측정하고, 그 이동 상태로부터 추(Wh) = 1Kg을 낙하시키기 전의 초기 상태로 복귀시키는 것이 가능한지 여부를 측정한 것이다. 즉, 대경 측 장대(2)의 이동한 상태로부터 초기 상태로 복귀시키는 것이 가능한지 여부, 이를 테면 고착 상태에 빠져 있지 않은지 여부를 측정한 것으로, 모두, 원래의 상태로 복귀시키는데 곤란하지 않았고, 고착 상태에는 빠지는 것이 적은 이음매부(B)를 제공할 수 있었던 것을 알 수 있다.The movement amount L is measured by changing the fall amount of the weight Wh from 50 mm to 150 mm in steps, and it is measured whether it is possible to return to the initial state before dropping the weight Wh = 1 Kg from the moving state. . That is, it is measured whether it is possible to return to the initial state from the moved state of the large diameter side pole 2, for example, whether it is not stuck in the stuck state, and all were not difficult to return to the original state, It can be seen that the seam portion B with less falling out could be provided.

테스트에 사용한 낚싯대로서는, 본원 발명의 스트레이트 원통부(2B)를 가지는 장대를 사용하고, 종래품의 장대로서는, 이음매부(B)로서, 소경 측 장대의 후단부 외주면에 수지제 도료를 분사하여 형성한 다수의 수지 돌기를 형성한 부분과 그 부분보다 장대 기단 측에 배치한 유연성이 높은 열가소성 수지를 거북이 등상으로 배치한 프리프레그를 가지는 장대를 사용하고 있다.As the rod used for the test, the rod having the straight cylindrical portion 2B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and as the rod of the conventional product, the seam portion B is formed by spraying a resin coating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ear end of the small diameter side pole. The pole which has the part which formed many resin protrusions, and the prepreg which arrange | positioned in the shape of a turtle the thermoplastic resin with higher flexibility arrange | positioned on the pole base end side than that part is used.

Figure 112006016670000-pat00001
Figure 112006016670000-pat00001

◎ ‥‥ 고착은 없고, 용이하게 원래의 상태로 되돌릴 수 있다◎ ‥‥ No sticking, can be easily returned to the original state

○ ‥‥ 원래의 상태로 되돌릴 수 있다○ ‥‥ Can be returned to its original state

△ ‥‥ 고착하고 있기 때문에, 두 명이 겨우 되돌릴 수 있다△ ‥‥ Because it is stuck, two people can only return

× ‥‥ 고착이 강렬하여 되돌릴 수 없다× ‥‥ Strong fixation cannot be reversed

상기한 낙하 테스트기를 이용하여, 낙하 거리 (50mm에서 150mm)에 있어서의 필요한 인장력, 또는 되돌림력에 대하여 측정을 행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이것에 의하면, 본 발명품에 있어서는, 모든 낙하 거리 (50mm에서 150mm)에서, 되돌림력으로서 30kg이하이다. 한 명의 힘으로 되돌릴 수 있는 범위는 50kg 이하이기 때문에, 고착은 생기지 않는다고 판단할 수 있다.Using the said drop tester, the required tensile force or return force in a fall distance (50 mm-150 mm) is measured, and the result is shown in Table 1. According to this, in this invention, it is 30 kg or less as a return force in all the fall distances (50 mm-150 mm). Since the range which can be returned by one force is 50 kg or less, it can be judged that fixation does not occur.

이것에 대하여, 종래품에 있어서는, 낙하 거리 130mm에서 이미 되돌림력으로서 52kg이 필요하고, 혼자서 되돌릴 수 있는 한계를 넘고 있어 고착에 대한 대책을 필요로 한다.On the other hand, in a conventional product, 52 kg is already required as a return force at the fall distance of 130 mm, exceeding the limit which can be returned alone, and the countermeasure against fixation is needed.

상기한 본 발명품과 종래품의 이음매부(B)에 있어서의 평가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테스트를 행하여 보았다.The following test was done as showing evaluation in the joint part B of the above-mentioned this invention and the prior art.

본 발명품과 종래품 (도장 돌기품)의 이음매부(B)의 이동 저항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인장력 및 되돌림력을 가하여 그 이동 저항력을 측정하는 기계 (도시하고 있지 않다)를 사용한다. 측정 결과를 도 6에 도시하지만, 그 결과에 의하면, 인장력과 되돌림력의 차이는 현저하지 않지만, 본 발명품과 종래품의 차이는 현저하다.In order to measure the movement resistance of the joint portion B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ior art (painted projection), a machine (not shown) is used to measure the movement resistance by applying a tensile force and a return force. Although the measurement result is shown in FIG. 6, according to the result, although the difference of a tensile force and a return force is not remarkable, the difference between this invention and a conventional article is remarkable.

즉, 본 발명품에 있어서는, 돌면부(1a)가 스트레이트 원통부(2B)에 접촉하여 저항을 부여하는 상태가 된 후에 경사 접촉면(1A)이 경사 받침면(2A)에 접촉하여, 소경 측 장대(1)의 뽑아내기 상태가 정지할 때까지의 스트로크가 26 ~ 27mm정도이다.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clined contact surface 1A is in contact with the inclined support surface 2A after the protrusion 1a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straight cylindrical portion 2B to impart resistance, so that the small diameter side pole ( The stroke until the extraction condition of 1) stops is about 26 to 27mm.

이것에 대하여, 상기한 종래품에서는 본 발명품에 있어서의 10mm 상당 위치로부터 접촉이 개시되고, 그리고 서서히 저항력이 높아져, 스트로크 종단의 26 ~ 27mm 정도에서는, 본 발명품에 비교하여 2 ~ 3배의 이동 저항력을 나타내어, 고착 상태에 빠진 것을 나타내게 된다.In contrast, in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products, contact is started from a position corresponding to 10 mm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resistance gradually increases, and at about 26 to 27 mm at the end of the stroke, the movement resistance is 2-3 times higher than tha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shown that the stuck state.

여기서, 본 발명품의 경우를 상세하게 검증하여 보면, 스트로크의 10mm 정도에서 22mm 정도까지에서는, 이동 저항력이 3킬로 정도의 일정 저항력으로 유지되어 있다. 이 일정 저항력의 부분은, 돌면부(1a)가 스트레이트 원통부(2B)에 접촉하는 상태를 유지하는 것에 의하여 나타내진 부분이라고 생각할 수 있으며, 본 발명품의 특징으로 하는 부분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평가 결과에 기초하여 본 발명품이 고착 대책에도 우수한 점이 인정된다.Here, in the case of verifying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the movement resistance is maintained at a constant resistance of about 3 kilos from about 10 mm to about 22 mm of the stroke. This constant resistance portion can be considered to be a portion indicated by maintaining the state in which the protrusion 1a is in contact with the straight cylindrical portion 2B, and can be evaluated as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above evaluation results, it is recogniz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excellent also in the fixation measures.

〔제2 실시예〕[Second embodiment]

여기에서는, 소경 측 장대(1)의 장대 기단부에 있어서는, 돌면부(1a)의 설치 개수는 임의이지만, 도 8에서는 4개의 돌면부(1a)를 원주 방향 4개소에 배치한 구성을 도시한다.Here, in the pole base end part of the small diameter side pole 1, although the installation number of the protrusion surface part 1a is arbitrary, the structure which arrange | positioned four protrusion surface parts 1a in four circumferential directions is shown in FIG.

이와 같이 돌면부(1a)만을 형성한 경우에도, 이 돌면부(1a)가, 대경 측 장대(2)에 형성한 경사 안내면(2C)으로부터 스트레이트 원통부(2B)에 걸쳐 접촉하는 것에 의하여, 낚시꾼에게 이음 조작 시의 양호한 조작감을 줄 수 있다.In this way, even when only the protrusions 1a are formed, the anglers by contacting the protrusions 1a over the straight cylindrical portion 2B from the inclined guide surface 2C formed on the large diameter side pole 2 are carried out. It can give a good feeling of operation at the time of joint operation.

〔제3 실시예〕[Third Embodiment]

돌면부와 스트레이트 원통부의 형성 대상을 바꾸어 넣은 상태를 도시한다. 도 10(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소경 측 장대(1)의 장대 기단부의 외주면에 제1 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경사 접촉면(1A)을 형성하는 것과 함께, 그 장대 기단 측에 외면 직경이 일정한 스트레이트 원통부(1C)를 설치하고 있다.The state which replaced the formation object of a protrusion part and a straight cylindrical part is shown. As shown in Fig. 10 (a), the inclined contact surface 1A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ole proximal end of the small diameter side pole 1 as in the case of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outer surface diameter is constant on the pole proximal side. The straight cylindrical part 1C is provided.

한편, 대경 측 장대(2)의 장대 선단부의 내주면에, 상기 경사 접촉면(1A)이 접촉하는 경사 받침면(2A)을 형성하는 것과 함께, 상기 경사 받침면(2A)의 장대 기단 측에 내향(內向)으로 돌출하는 돌면부(2E)를 형성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ole tip of the large-diameter side pole 2, the inclined support surface 2A to which the inclined contact surface 1A comes into contact is formed, and on the pole proximal side of the inclined support surface 2A, A protrusion 2E is formed to protrude to i).

이상과 같은 구성이 되는 소경 측 장대(1)를 대경 측 장대(2) 내에 수납하면, 우선, 소경 측 장대(1)의 스트레이트 원통부(1C)가 대경 측 장대(2)의 돌면부(2E)에 접촉한다. 스트레이트 원통부(1C)와 돌면부(2E)의 접촉 상태를 유지시키면서 뽑아내기 조작을 계속하면, 도 10(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경사 접촉면(1A)이 경사 받침면(2A)에 접촉하여, 뽑아내기 조작을 행할 수 없게 된다.When the small diameter side pole 1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s accommodated in the large diameter side pole 2, first, the straight cylindrical portion 1C of the small diameter side pole 1 is the protrusion 2E of the large diameter side pole 2; ). If the extraction operation is continued while maintaining the contact state between the straight cylindrical portion 1C and the protrusion 2E, the inclined contact surface 1A contacts the inclined support surface 2A, as shown in Fig. 10B. As a result, the extraction operation cannot be performed.

〔제4 실시예〕[Example 4]

상대 측의 스트레이트 원통부에 접촉하는 것으로서 돌면부(1a, 2E)를 형성하는 것을 도시하였지만, 도 11(a)(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돌면부로서의 구성으로서, 소경 측 장대(1)의 장대 기단에 플랜지상 돌면부(1D)를 설치해도 무방하다. 즉, 플랜지상 돌면부(1D)를 형성하고, 플랜지상 돌면부(1D)의 외주면을 대경 측 장대(2)의 스트레이트 원통부(2B)에 접촉하도록 구성한다. 플랜지상 돌면부(1D)의 스트레이트 원통부(2B)에 접촉하는 것을 탄성적으로 하기 위하여, 그 플랜지상 돌면부(1D)에 외주면으로부터 반경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에 걸쳐 깊숙이 들어가는 분할 홈(1d)을 원주 방향 복수 개소에 걸쳐 설치해도 무방하다. 이것에 의하여, 플랜지상 돌면부(1D)의 스트레이트 원통부(2B)에 접촉하는 압력을 경감하여 대략 일정하게 할 수 있다.Although the protrusions 1a and 2E are formed as being in contact with the straight cylindrical portion on the opposite side, as shown in Figs. 11A and 11B, the small-diameter side pole 1 is configured as a protrusion. The flange-shaped protrusion 1D may be provided at the end of the pole. That is, the flange-shaped protrusion part 1D is formed,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lange-shaped protrusion part 1D is comprised so that it may contact the straight cylindrical part 2B of the large diameter side pole 2. As shown in FIG. In order to elastically contact the straight cylindrical portion 2B of the flange-like protrusion 1D, the divided groove 1d deeply enters the flange-like protrusion 1D over a predetermined length along the radial direction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May be provided over a plurality of circumferential directions. Thereby, the pressure which contacts the straight cylindrical part 2B of the flange-shaped protrusion 1D can be reduced, and it can be made substantially constant.

〔제5 실시예〕[Example 5]

여기에서는, 스트레이트 원통부와 경사면의 형성 위치를 장대 축선 방향에 있어서 바꾸어 넣은 구성을 설명한다.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소경 측 장대(1)에 스트레이트 원통부(1C)를 형성하는 것과 함께, 그 장대 기단 측에 경사 접촉면(1A)을 형성하고 있다. 한편, 대경 측 장대(2)에 장대 선단 측 단부의 내주면에 돌면부(2E)를 형성하는 것과 함께, 돌면부(2E)의 장대 기단 측에 경사 받침면(2A)을 형성하여, 이음매부(B)를 구성해도 무방하다.Here, the structure which changed the formation position of a straight cylindrical part and the inclined surface in the long axis direction is demonstrated. As shown in FIG. 12, the straight cylindrical part 1C is formed in the small diameter side pole 1, and the inclined contact surface 1A is formed in the pole base end side. On the other hand, while the projection part 2E is formed i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ole tip side edge part in the large diameter side pole 2, the inclined support surface 2A is formed in the pole base end side of the projection part 2E, and the joint part ( You may comprise B).

이와 같은 구성에서도, 소경 측 장대(1)를 대경 측 장대(2)로부터 뽑아내는 경우에, 소경 측 장대(1)의 스트레이트 원통부(1C)가 돌면부(2E)에 접촉하는 것과 함께 최종적으로 경사 접촉면(1A)이 경사 받침면(2A)에 접촉하여, 소경 측 장대(1)의 대경 측 장대(2)로부터의 신장 상태가 설정된다.Even in such a configuration, when the small-diameter side pole 1 is pulled out from the large-diameter side pole 2, the straight cylindrical portion 1C of the small-diameter side pole 1 comes into contact with the protruding portion 2E and finally 1 A of inclined contact surfaces contact 2 A of inclined support surfaces, and the elongation state from the large diameter side pole 2 of the small diameter side pole 1 is set.

〔제6 실시예〕[Example 6]

여기에서는, 스트레이트 원통부와 경사면의 형성 위치를 장대 축선 방향에 있어서 바꾸어 넣은 구성을 제시한 제4 실시예의 것에 있어서, 돌면부와 스트레이트 원통부의 형성 대상을 바꾸어 넣은 것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경 측 장대(2)의 내주면에 스트레이트 원통부(2B)를 형성하는 것과 함께, 그 장대 기단 측에 경사 받침면(2A)을 형성하고 있다. 한편, 소경 측 장대(1)에 장대 선단 측 단부의 외주면에 돌면부(1a)를 형성하는 것과 함께, 돌면부(1a)의 장대 기단 측에 경사 접촉면(1A)을 형성하여, 이음매부(B)를 구성해도 무방하다.Here, in the 4th Example which showed the structure which changed the formation position of the straight cylinder part and the inclined surface in the pole-axis direction, it demonstrates that the object of formation of a protrusion part and a straight cylinder part was changed. As shown in FIG. 13, the straight cylindrical part 2B is formed i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arge diameter side pole 2, and the inclined support surface 2A is formed in the pole base end side. On the other hand, while forming the projection part 1a i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ole tip side edge part in the small diameter side pole part 1, the inclined contact surface 1A is formed in the pole base end side of the projection part 1a, and the joint part B ) May be configured.

이와 같은 구성에서도, 소경 측 장대(1)를 대경 측 장대(2)로부터 뽑아내는 경우에, 대경 측 장대(2)의 스트레이트 원통부(2B)가 돌면부(1a)에 접촉하는 것과 함께 최종적으로 경사 접촉면(1A)이 경사 받침면(2A)에 접촉하여, 소경 측 장대(1)의 대경 측 장대(2)로부터의 신장 상태가 설정된다.Even in such a configuration, when the small-diameter side pole 1 is pulled out from the large-diameter side pole 2, the straight cylindrical portion 2B of the large-diameter side pole 2 comes into contact with the protruding portion 1a and finally 1 A of inclined contact surfaces contact 2 A of inclined support surfaces, and the elongation state from the large diameter side pole 2 of the small diameter side pole 1 is set.

〔다른 실시예〕[Other Embodiments]

(1) 상기한 구성으로서는, 낚싯줄을 장대 내에 삽입하여 통하게 하는 중통 낚싯대에 적용해도 무방하다.(1) As said structure, you may apply to a fishing rod inserted into a pole and let a fishing line pass.

(2) 또한, 상기한 구성으로서는, 뽑이식 장대의 손잡이 측 장대를 신축 가능한 대경 측 장대로서의 제1 손잡이 측 장대와 그것보다 대경의 대경 측 장대로서의 제2 손잡이 측 장대로 구성하고, 제1 손잡이 측 장대를 제2 손잡이 측 장대로부터 뽑아낸 상태로 압접하는 상기한 이음매부를 형성할 뿐만 아니라, 제1 손잡이 측 장대를 제2 손잡이 측 장대에 수납한 상태에서도 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지는 신축식의 뽑이식 장대에 적용해도 무방하다.(2) Moreover, as said structure, the handle side pole of a pull-out pole is comprised by the 1st handle side pole as a telescopic large pole, and the 2nd handle side pole as a large diameter side pole of larger diameter than that, and a 1st handle Expansion and contraction which not only form the above-mentioned joint part which press-contacts in the state which pulled out the side pole from the 2nd handle side pole, but also maintains the state in the state which received the 1st handle side pole to the 2nd handle side pole. It may be applied to a pull-out pole.

이 경우에, 제1 손잡이 측 장대를 제2 손잡이 측 장대에 수납한 상태에서도 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구성으로서는, 상기한 이음매부(B)를 적용할 필요는 없고, 제1 손잡이 측 장대의 장대 기단을 내감합(內嵌合)하는 유지 고무를 설치하여 구성하는 것이어도 무방하다.In this case, it is not necessary to apply the above-mentioned joint part B as a structure which can maintain the state, even if the 1st handle side pole is accommodated in the 2nd handle side pole, The pole of a 1st handle side pole is not required. What is necessary is just to provide and comprise the holding rubber which fits a base end.

(3)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소경 측 장대(1)의 장대 기단 개구부에, 장대 선단 측을 향하여 삼각형상으로 오목하게 들어가는 노치(notch) 오목부(1b)를 형성해도 무방하다. 돌면부(1a)와 노치 오목부(1b)는 원주 방향 3개소에 형성되어 있고, 각각, 120°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3) As shown in FIG. 9, the notch recessed part 1b which enters concave triangularly toward the pole tip side may be formed in the pole base end opening of the small diameter side pole 1. As shown in FIG. The protrusion 1a and the notch recess 1b are formed at three circumferential directions, and are formed at positions of 120 degrees, respectively.

이와 같이 노치 오목부(1b)를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노치 오목부(1b)를 형성한 부위가 노치 효과에 의한 강성의 연화(軟化)를 초래하고, 이것에 의하여, 장대 기단 개구부가 상하로 단축하고 좌우로 불룩해지는 타원상으로 변형하기 쉽게 되어 있다.By forming the notch recess 1b in this manner, the site where the notch recess 1b is formed causes rigid softening due to the notch effect, whereby the long proximal opening is shortened up and down. It is easy to deform into an ellipse that bulges from side to side.

장대 기단 개구부는 노치 오목부(1b)의 존재에 의하여, 돌면부(1a)가 스트레이트 원통부(2B)의 접촉에 의하여 접촉 저항을 받으면, 돌면부(1a)는 반경 방향을 따른 압력을 받는다. 이 압력에 의하여 노치 오목부(1b)에서 노치 폭을 좁히는 방향으로의 변형이 생겨, 압력이 변동해도 접촉 저항력이 크게 변화하지 않게 할 수 있다.The long proximal end opening receives the contact resistance by the contact of the straight cylindrical portion 2B due to the presence of the notched recess 1b, and the protrusion 1a receives the pressure along the radial direction. This pressure causes deformation in the direction of narrowing the notch width in the notched concave portion 1b, so that even if the pressure fluctuates, the contact resistance does not change significantly.

이와 같이, 돌면부(1a)와 스트레이트 원통부(2B)의 접촉 저항력을 그다지 변화가 없는 상태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조작감이 향상하는 것이다.Thus, since the contact resistance force of the protrusion part 1a and the straight cylindrical part 2B can be made into the state which does not change so much, a feeling of operation improves.

본 발명에 의하면, 결점을 해소하고, 제작상의 부담을 경감하면서, 고착 상태를 회피할 수 있는 낚싯대용 장대를 제공하는 점에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rod for a fishing rod which can avoid a fixing state and reduce a manufacturing burden while avoiding a stuck state.

Claims (7)

소경(小徑) 측 장대를 대경(大徑) 측 장대에 대하여 신장 상태로 유지하는 이음매부를 형성하는 것과 함께, 상기 이음매부를, 소경 측 장대와 대경 측 장대의 일방의 장대에 형성되고 접촉면이 일정한 직경을 가지는 스트레이트 원통부와, 소경 측 장대와 대경 측 장대의 타방의 장대에 형성되고 상기 스트레이트 원통부의 접촉면에 접촉하는 돌면부(突面部)로 구성하고 있고, 상기 스트레이트 원통부에 있어서의 상기 돌면부에 접촉하는 표면층을, 장대 축선에 대하여 소정 경사각을 따라 혼합 배치된 강화 섬유군을 가지는 프리프레그(prepreg)와, 상기 프리프레그의 강화 섬유군과 상기 장대 축선에 대하여 대칭으로 되는 상태로 혼합 배치된 강화 섬유군을 가지는 프리프레그를 겹쳐 맞추어 구성하며, 상기 돌면부의 상기 스트레이트 원통부에 접촉하는 표면층을, 상기 장대의 축선 방향을 따라 혼합 배치한 강화 섬유군에 수지를 함침(含浸)시킨 프리프레그로 구성하고 있는 뽑이식 장대. The joint is formed on one pole of the small diameter side pole and the large diameter side pole, and the contact surface is constant, while forming a joint portion for keeping the small diameter side pole in the extended state with respect to the large diameter side pole. And a straight cylindrical portion having a diameter, and a protrusion formed on the other pole of the small diameter side pole and the large diameter side pole and contacting the contact surface of the straight cylindrical portion, wherein the protrusion face in the straight cylindrical portion The surface layer in contact with the portion is mixed in a state in which a prepreg having a group of reinforcing fibers mixed and arranged along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ngle with respect to a pole axis, and in a symmetrical state with respect to the reinforcing fiber group of the prepreg and the pole axis. The prepreg having a group of reinforced fibers are superimposed and configured to contact the straight cylindrical portion of the protrusion A plane layer, pull rod implant that make up the resin in the groups of reinforcing fibers are arranged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mixing rod to the impregnation (含浸) which prepreg.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대경 측 장대의 내주면(內周面)에 상기 스트레이트 원통부의 장대 선단에 인접하는 상태로 원추상(圓錐狀)의 경사 받침면을 형성하는 것과 함께, 상기 소경 측 장대의 외주면(外周面)에, 상기 경사 받침면에 접촉하는 원추상의 경사 접촉면을 형성하고 있는 뽑이식 장대.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arge diameter side pole, a conical inclined support surface is formed in a state adjacent to the pole end of the straight cylindrical portion, an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mall diameter side pole. And a pulling rod forming a conical inclined contact surface in contact with the inclined support surface. 제2항에 있어서,3.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경사 받침면과 상기 경사 접촉면의 표면층을, 장대 축선에 대하여 소정 경사각을 따라 혼합 배치된 강화 섬유군을 가지는 프리프레그와, 상기 프리프레그의 강화 섬유군과 상기 장대 축선에 대하여 대칭으로 되는 상태로 혼합 배치된 강화 섬유군을 가지는 프리프레그를 겹쳐 맞추어 구성하고 있는 뽑이식 장대. The prepreg having a reinforcing fiber group in which the inclined support surface and the surface layer of the inclined contact surface are mixed and arranged along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ngle with respect to the pole axis, and in a state of being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reinforcing fiber group of the prepreg and the pole axis. Pull-out pole which piles up prepreg with reinforcement fiber group which we arranged mixed, and configures.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소경 측 장대의 외주면에 상기 경사 접촉면의 장대 기단 측에 장대 기단부를 형성하는 것과 함께, 상기 장대 기단부의 장대 기단에 상기 돌면부를 세워 설치하고, 상기 장대 기단부에 있어서의 외경을, 상기 경사 접촉면의 장대 기단의 외경, 및 상기 돌면부의 외경보다 소경으로 설정하고 있는 뽑이식 장대.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mall diameter side pole, a pole base end portion is formed on the pole base end side of the inclined contact surface, and the projection is provided on the pole base end of the pole base end portion, and the outer diameter at the pole base end portion is provided. A pulling rod that is set to a smaller diamet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pole base and the outer diameter of the protruding portion. 제4항에 있어서,5. The method of claim 4, 상기 장대 기단부의 표면층을, 장대 축선에 대하여 소정 경사각을 따라 혼합 배치된 강화 섬유군을 가지는 프리프레그와, 상기 프리프레그의 강화 섬유군과 상기 장대 축선에 대하여 대칭으로 되는 상태로 혼합 배치된 강화 섬유군을 가지는 프리프레그를 겹쳐 맞추어 구성하고 있는 뽑이식 장대. A prepreg having a reinforcing fiber group in which the surface layer of the pole proximal end is mixed and disposed along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ngle with respect to a pole axis, and a reinforcing fiber arranged in a symmetrical state with respect to the reinforcing fiber group of the prepreg and the pole axis. Pull-out pole which puts prepreg with group together, and configures.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스트레이트 원통부와 상기 스트레이트 원통부보다 장대 기단 측에 설치되어 있는 본체부의 사이에 경사 안내 통부를 형성하는 것과 함께, 상기 경사 안내 통부에 있어서의 경사 안내면의 장대 축선 방향을 따라 내면 직경을 확대하는 확경도를, 상기 스트레이트 원통부의 원통면보다 크고, 또한 상기 본체부의 내주면의 상기 장대 축선 방향을 따라 내면 직경을 확대하는 확경도보다 작게 설정하고 있는 뽑이식 장대. The inclined guide cylinder is formed between the straight cylindrical portion and the main body portion provided on the longer base end side than the straight cylindrical portion, and the inner surface diameter is enlarged along the pole axis direction of the inclined guide surface in the inclined guide cylinder portion. A pulling rod having an enlarged diameter larger than a cylindrical surface of the straight cylindrical portion and smaller than an enlarged diameter that enlarges an inner surface diameter along the pole axis direction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경사 안내 통부의 표면층을, 장대 축선에 대하여 소정 경사각을 따라 혼합 배치된 강화 섬유군을 가지는 프리프레그와, 상기 프리프레그의 강화 섬유군과 상기 장대 축선에 대하여 대칭으로 되는 상태로 혼합 배치된 강화 섬유군을 가지는 프리프레그를 겹쳐 맞추어 구성하고 있는 뽑이식 장대.Reinforcement in which the surface layer of the inclined guide tube portion is mixed in a state in which the prepreg having a reinforcing fiber group mixed and disposed along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ngle with respect to the pole axis, and in a symmetrical state with respect to the reinforcing fiber group of the prepreg and the pole axis. Pull-out pole which piles up prepreg with fiber group, and constructs.
KR1020060022128A 2005-07-19 2006-03-09 Drawing type rod KR101265670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208808 2005-07-19
JP2005208808A JP4641886B2 (en) 2005-07-19 2005-07-19 Crad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1076A KR20070011076A (en) 2007-01-24
KR101265670B1 true KR101265670B1 (en) 2013-05-22

Family

ID=37655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2128A KR101265670B1 (en) 2005-07-19 2006-03-09 Drawing type rod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641886B2 (en)
KR (1) KR101265670B1 (en)
CN (1) CN1899036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23063A (en) * 2013-12-27 2015-07-06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Reel seat having fiber-reinforced resin sheet in fixed hood and fishing rod having reel sea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31411A (en) 2000-02-25 2001-08-28 Daiwa Seiko Inc Swinging fishing rod
JP2001238573A (en) 2000-02-29 2001-09-04 Daiwa Seiko Inc Fishing rod
JP2003018947A (en) 2001-05-02 2003-01-21 Shimano Inc Interline rod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23174U (en) * 1992-04-09 1992-12-02 威海渔竿厂 Length-adjustable fishing-rod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31411A (en) 2000-02-25 2001-08-28 Daiwa Seiko Inc Swinging fishing rod
JP2001238573A (en) 2000-02-29 2001-09-04 Daiwa Seiko Inc Fishing rod
JP2003018947A (en) 2001-05-02 2003-01-21 Shimano Inc Interline r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7020496A (en) 2007-02-01
KR20070011076A (en) 2007-01-24
CN1899036B (en) 2011-06-01
JP4641886B2 (en) 2011-03-02
CN1899036A (en) 2007-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176076A1 (en) Low-profile steerable catheter
US11446469B2 (en) High flexibility, kink resistant catheter shaft
KR101265671B1 (en) Drawing type rod
KR20060107898A (en) Drawing type rod
TWI331897B (en)
KR101265670B1 (en) Drawing type rod
KR101232812B1 (en) Drawing type rod
JP2007020497A5 (en)
JP2003009722A (en) Method for producing rod body
KR101198119B1 (en) Top section of a fishing rod
KR20070011072A (en) Drawing type rod
KR101181251B1 (en) Rod for fishing ro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105994205A (en) Reel leg fixing apparatus
US5338604A (en) Fishing rod stock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JP5142259B2 (en) Fishing rod housing and fishing rod
KR20180105076A (en) Fishing rod having rod body to which attachment component is attached, tubular bod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H08107737A (en) Internally threaded fishing rod
WO2021086173A1 (en) Stitching roller for stitching a strip
JP4947611B2 (en) Fishing ro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09095303A (en) Rod body for fishing rod and fishing rod
KR101496693B1 (en) Drawing type rod
JP2006288343A (en) Rod member of fishing rod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US20230414356A1 (en) Device for heart repair
JP2001238576A (en) Method for producing rod body
JP4493544B2 (en) Fishing r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