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4633B1 - 소프트웨어 자산구축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소프트웨어 자산구축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4633B1
KR101264633B1 KR1020090131045A KR20090131045A KR101264633B1 KR 101264633 B1 KR101264633 B1 KR 101264633B1 KR 1020090131045 A KR1020090131045 A KR 1020090131045A KR 20090131045 A KR20090131045 A KR 20090131045A KR 101264633 B1 KR101264633 B1 KR 1012646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flow
event
process control
delete delete
control appl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10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74156A (ko
Inventor
이종현
박영복
김용수
양진석
강교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901310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4633B1/ko
Publication of KR201100741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41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46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46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60Software deployment
    • G06F8/61Instal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2/00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ng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12/02Addressing or allocation; Relocation
    • G06F12/0223User address space allocation, e.g. contiguous or non contiguous base addressing
    • G06F12/023Free address space management
    • G06F12/0238Memory management in non-volatile memory, e.g. resistive RAM or ferroelectric memo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70Software maintenance or management
    • G06F8/71Version control; Configuration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8Execution paradigms, e.g. implementations of programming paradigms
    • G06F9/4488Object-oriented
    • G06F9/4493Object persiste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프트웨어 개발 환경을 구축하는 방법 및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공정제어 애플리케이션의 특징점들을 입력받아 휘처 모델을 생성하는 휘처 모델 생성 과정과, 기존의 사용되는 공정제어 애플리케이션에서 수행하는 이벤트를 입력받아, 각 이벤트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낸 이벤트 DB를 생성하는 이벤트 DB 생성 과정과, 상기 휘처 모델의 각 특징점별로 관련되는 워크플로우 항목을 기술하고, 각 워크플로우별로 발생되는 이벤트들을 기술한 워크플로우 DB를 생성하는 워크플로우 DB 생성 과정과, 상기 워크플로우 DB 내의 워크플로우간에 발생되는 이벤트 흐름을 도시한 다이어그램 형태의 워크플로우 다이어그램을 생성하는 워크플로우 다이어그램 생성 과정과, 상기 워크플로우 다이어그램에 있는 각 워크플로우가 작업 수행해야 하는 컴포넌트들을 순서대로 기술한 워크플로우 작업 리스트를 생성하는 워크플로우 작업 리스트 생성 과정을 포함한다.
철강, 공정, 소프트웨어, 자산, 설계, 구축

Description

소프트웨어 자산구축 기록매체{Storage device for software equity building and storage device}
본 발명은 소프트웨어 개발 환경을 구축하기 위한 자료가 기록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기존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분석하여 재사용 가능한 자산 DB를 구축하기 위한 자료가 기록된 매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의 철강 공정을 위한 시스템 가운데 공정제어 연산장치(P/C; Process Computer)는 철강 공정 시스템들 중에서 중간 계층에 위치하는 시스템이다.
공정제어 연산장치(P/C)는 PLC(Rrogrammable Logic Controller)를 통해 액츄에이터를 구동시켜 특정의 철강 공정 설비를 정밀 제어하며, 또한, 상기 철강 공정 설비에서 측정된 센서 정보와 PLC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상부의 처리장치로 전송한다.
공정제어 연산장치(P/C)는 상기의 작업들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가 애플리케이션으로 실장되어 운영되는데, 각 공장별 설비의 변화 및 소프트웨어 개발자의 역량, 운용 환경 및 외부 여건 등의 차이로 인해 유사한 공정임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형태의 응용 소프트웨어 형태의 애플리케이션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로 인해 매번 새로운 설비를 도입했을 때마다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데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되며, 개발된 소프트웨어의 품질도 상이한 문제가 있다. 또한, 어느 정도 해당 공정에 대한 이해를 가진 운용자라도 다양한 공장의 애플리게이션에 설계되어 있는 소프트웨어를 이해하는데 한계가 있어서 개발자 이외에는 애플리케이션에 적용된 소프트웨어를 수정하거나 보완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야기되고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 기존에는 Ration ROSE나 Together같은 재사용 도구에서 제공하는 방법론에 기초하여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자 시도를 하였으나, 개발 방법론 자체가 무척 어렵고, 각 단계가 너무 많아 산출물을 작성하는데 상당한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하여 각 도구 개발사에서 방법론을 교육시키기 위해 컨설턴트를 파견하여 장기간 개발자를 교육시키고 재사용 효과를 보고자 했으나, 산출물 작성에 과다한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초기 설계안을 바탕으로 하여 소스 코드를 생성하였으나, 개발 후반기에 요구사항 변경 등으로 인한 소스코드 변경에 대해 초기 설계안이 업데이트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해 기대만큼 효과를 보지 못하였다.
이러한 기존 방법들이 가진 가장 큰 문제점은 직전에 만든 단 하나의 공장에서 구축된 소프트웨어 하나만을 분석하여 일부 변경하는 수준에서 재사용을 하려다보니, 새로운 공장을 지어서 공정제어 연산장치를 구축할 때마다 매번 비슷한 기본 설계, 상세설계 작업을 반복해서 수행해야 하는 낭비 요소가 있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기존의 공정제어 애플리케이션에 적용된 소프트웨어를 분석하여 새로운 공정제어 애플리케이션 설계를 위한 자산 DB를 구축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구축된 자산 DB를 이용하여 효율적인 소프트웨어 개발 환경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공정제어하고자 하는 공정설비의 특징점을 기술한 휘처를 기반으로 하여 다양한 자산 DB를 구축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공정제어 애플리케이션의 특징점들을 입력받아 휘처 모델을 생성하는 휘처 모델 생성 과정과, 기존의 사용되는 공정제어 애플리케이션에서 수행하는 이벤트를 입력받아, 각 이벤트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낸 이벤트 DB를 생성하는 이벤트 DB 생성 과정과, 상기 휘처 모델의 각 특징점별로 관련되는 워크플로우 항목을 기술하고, 각 워크플로우별로 발생되는 이벤트들을 기술한 워크플로우 DB를 생성하는 워크플로우 DB 생성 과정과, 상기 워크플로우 DB 내의 워크플로우간에 발생되는 이벤트 흐름을 도시한 다이어그램 형태의 워크플로우 다이어그램을 생성하는 워크플로우 다이어그램 생성 과정과, 상기 워크플로우 다이어그램에 있는 각 워크플로우가 작업 수행해야 하는 컴포넌트들을 순서대로 기술한 워크플로우 작업 리스트를 생성하는 워크플로우 작업 리스트 생성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는, 기존의 사용되는 공정제어 애플리케이션에서 수행하는 이벤트를 입력받아, 각 이벤트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낸 이벤트 DB와, 공정제어 애플리케이션의 각 특징점별로 관련되는 워크플로우 항목을 기술하고, 각 워크플로우별로 발생되는 이벤트들을 기술한 워크플로우 DB와, 상기 워크플로우 DB 내의 워크플로우간에 발생되는 이벤트 흐름을 도시한 다이어그램 형태의 워크플로우 다이어그램과, 상기 워크플로우 다이어그램에 있는 각 워크플로우가 작업 수행해야 하는 컴포넌트들을 순서대로 기술한 워크플로우 작업 리스트가 기록되어 있는 기록매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기존의 공정제어 애플리케이션들에 적용된 소프트웨어를 분석하여 효과적으로 자산 DB를 구축할 수 있다. 새로운 공정제어 애플리케이션 설계 시에 상기 구축된 자산 DB를 이용하여 소프트웨어를 설계함으로써 반복 재설계되는 기존의 낭비적 요소를 없앨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개발자의 역량이나 이해도, 개발 환경의 차이, 재사용 방법론 차이, 설비의 차이 등에 따라 다르게 개발되는 기존의 공정제어 애플리케이션의 소프트웨어로부터 공통점 및 차이점을 추출하여 객체지향적 관점에서 모듈화하여 자산 DB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워크플로우 다이어그램을 제공하기 때문에, 소프트웨어 가독성 및 재사용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의 소프트웨어는 개발자만 이해 가능하여 다른 이들에 의한 수정/보완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구축되는 자산 DB를 통해 가독성이 향상되어 다른 이들에 의한 신속한 유지 보수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하기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이하, 도면 및 상세한 설명에서는 철강 공정 설비 상에서 동작하는 공정제어 연산장치의 예시를 들어 설명하겠으나, 철강 공정 설비 뿐만 아니라 반도체 공정 설비, 자동차 공정 설비 등과 같이 제어 공정을 갖는 설비라면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철강 공정 설비를 공정제어하는 공정제어 애플리케이션의 동작 모습에 대해서 도 1과 함께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철강 공정 설비에서의 공정제어 연산장치의 동작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공정제어 연산장치(110;P/C; Process Computer)는 제철소의 철강 공정을 위한 시스템 중에서 중간 계층에 위치한 프로세서(processor)로서 공정제어 애플리케이션(112)을 통해 공정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공정제어 애플리케이션(112)은 상단의 B/C(100;Bussiness Computer)로부터 작업 계획에 대한 정보를 받아서 세부 작업을 스케줄하고, 원하는 제어로직을 적용해서 하단의 PLC(120;Programmable Logic Controller)를 통해 액츄에이터를 구동시켜 실제 철강 공정 설비(130)를 정밀 제어하게 된다.
또한, 공정제어 애플리케이션(112)은 실제 철강 공정 설비(130)의 센서 정보와 PLC(120)의 I/O(Input/Output) 데이터를 수집하고 그 결과 중 일부를 통신을 통해 상단의 B/C(100)로 전송하게 된다.
또한, 공정제어 애플리케이션(112)은 철강 공정 설비(130)에서 철강재가 흘러가는 정보를 실시간으로 이력 관리를 하여 트래킹 상태를 파악함으로서 PLC(120)와 B/C(100)에 전송해주어 실시간 제어 및 계획에 도움을 준다. 이때 수집되고 제어되는 데이터들은 HMI(Human Machine Interface)를 통해서 실시간으로 조업자에게 보여지게 된다.
또한, 공정제어 애플리케이션(112)은 제조되는 철강 품질을 실시간으로 트래킹하여 품질에 따른 일부 제어 및 데이터 수집을 하는 역할도 수행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수집된 데이터를 물성 정보와 설비 정보와 연동해서 철강재의 제어 상태를 예측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공정제어 애플리케이션(112)은 제어하고자 하는 철강 공정 설비(130)의 환경 조건을 바탕으로 철강 공정 설비(130)를 제어한다. 즉, 공정제어 애플리케이션(112)은 제어하고자 하는 철강 공정 설비(130)에 맞는 장치 환경, 운용 환경, 외부 환경 등의 환경 조건에 따라 소프트웨어 설계되어 제어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A 철강 공정 설비를 제어하는 A 공정제어 애플리케이션은 A 철강 공정 설비에 맞는 환경 조건에 따라 소프트웨어 설계된 후 제어를 수행한다. 마찬가지로, B 철강 공정 설비를 제어하는 B 공정제어 애플리케이션은 B 철강 공정 설비에 맞는 환경 조건에 따라 소프트웨어 설계된 후 제어를 수행한다.
따라서 새로운 신규 철강 공정 설비로 교체된다면, 공정제어 연산장치 내의 공정제어 애플리케이션은 새롭게 교체된 신규 철강 장비의 환경 조건에 맞도록 소프트웨어 설계되어야 한다.
그런데, 새로운 공정제어 애플리케이션의 소프트웨어 설계 시에, 바로 직전에 단 하나의 공장에서 구축된 소프트웨어 하나만을 분석하여 일부 변경하는수준에서 재사용을 하려다 보니, 새로운 공장을 지어서 공정제어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할 때마다 매번 비슷한 분석 및 설계 작업을 반복해서 수행해야 하는 낭비적 요소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미 사용되고 있어 신뢰성을 가지고 있는 기존의 공정제어 애플리케이션들을 분석하여 이들의 차이점 또는 공통점 등을 파악하여 자산 DB를 구축하는 것이다. 따라서 새로운 공정제어 애플리케이션 설계 시에 상기 구축된 자산 DB를 이용하여 설계함으로써 반복 재설계 등의 낭비적 요소를 없앨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프트웨어 자산구축 애플리케이션의 동작 을 도시한 그림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소프트웨어 자산구축 애플리케이션(200)은, 연산이 가능한 컴퓨터와 같은 프로세서에 실리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된 프로그램으로서 자산 DB를 생성한다.
이를 위하여 소프트웨어 자산구축 애플리케이션(200)은, 각 공정제어 연산장 치(P/C; Process Computer)에 있는 기존의 공정제어 애플리케이션들에 적용되는 소프트웨어들의 특징 등을 분석하여 새로운 철강 공정 설비에 적용할 자산 DB로서 생성해낸다.
개발자가 새로운 공동제어 애플리케이션의 소프트웨어 설계 시에 상기 구축된 자산 DB를 이용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새로운 철강 공정 설비에 적용하고자 공정제어 애플리케이션을 설계할 경우, 소프트웨어 자산구축 애플리케이션(200)이 구축해 놓은 자산 DB를 이용할 경우 수월한 개발을 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자산구축 애플리케이션(200)에서 생성되는 자산 DB는 이벤트 DB, 워크플로우 DB, 워크플로우 다이어그램, 워크플로우 작업 리스트를 포함한다. 소프트웨어 자산구축 애플리케이션(200)이 상기 자산 DB들을 생성하는 과정을 도 3의 플로차트와 함께 상술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프트웨어 자산구축 애플리케이션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플로차트이다.
소프트웨어 자산구축 애플리케이션은 휘처 모델 생성 과정(S302), 이벤트 DB 생성 과정(S304), 워크플로우 DB 생성 과정(S306), 워크플로우 다이어그램 생성 과정(S308) 및 워크플로우 작업 리스트 생성 과정(S310)을 포함한다.
휘처 모델 생성 과정(S302)은 철강 공정 설비의 명칭과 해당 철강 공정 설비의 특징점을 입력받아 해당 철강 공정 시스템의 특징점 모델인 휘처 모델(Feature Model)을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철강 공정 설비의 명칭과 특징점 입력을 받기 위하여, 별도의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를 GUI(Graphic User Interface) 형태로 된 입력 에디터 툴(input editor tool)을 제공한다. 상기 입력 에디터 툴은 공정제어 애플리케이션 설계자로부터 설계되는 대상의 명칭 및 특징점을 입력받는다. 이때, 소프트웨어 자산을 구축하는 구축자로부터 상기 입력 에디터 툴을 통해 입력받을 수 있다.
휘처(feature)란 특정 영역의 개발 환경에서 관심을 가지는 영역 내의 속성 또는 특징점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철강 공정 설비를 제어하는 소프트웨어의 경우, 철강 공정 설비 중에서 관심있는 특정 공정 설비의 특징점이 해당된다.
따라서 철강 공정 설비는 연주 공정 설비, 제강 공정 설비 등과 같은 다양한 공정 설비를 가질 수 있는데, 특정한 공정 설비의 명칭을 입력받은 후 이에 대응하는 특징점(휘처)들을 입력받는다.
입력받는 공정 설비의 명칭은 표준 용어로서 입력받는데, 기존 공정제어 애플리케이션의 개발에 사용된 설계서를 통해서, 또는, 공정제어 애플리케이션의 개발자와 운영자들과의 인터뷰를 통해서 해당 공정 설비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ies)들이 해당된다.
예를 들어, 철강 공정 설비가 연주 공정과 관련된 설비라면, 입력받는 용어들은 하기의 표와 같다.
용어(한글) 용어(영어) 설 명 유 사 어 어 원
연주 공정 Continuos Casting System 연속 주조 공정 주조, CC -
상기 표에서, 용어(한글/영어) 필드는 이벤트 표준화에서 사용하기로 결정된 한글 및 영어 이름, 설명 필드는 해당 용어에 대한 설명, 유사어 필드는 표준 용어는 아니지만 유사하게 통용되어 사용되는 용어, 어원 필드는 정의되는 용어가 특정 시스템에서만 사용되는 경우 용어의 출처를 나타낸다.
상기 제어하고자 하는 공정 설비의 명칭을 입력받은 후, 특징점인 휘처(feature)들을 입력받아 휘처 모델(Feature Model)을 구성한다.
이때, 입력받는 특징점들은 상기에서 입력받은 용어를 바탕으로 하여 입력받는다. 예를 들어, 상기 입력된 공정 용어가 '연주 공정'이라면, 입력받을 특징점들은 '연주 공정'과 관련된 특징점들의 입력 필드를 디스플레이하여 구축자로부터 연주 공정과 관련된 특징점들(예컨대, 공정 제어 서비스, 제품 등)을 입력받는다. 각 공정별로 특징점의 목록을 별도의 DB로 가지고 있어, 입력되는 용어와 관련된 특징점 입력 필드를 통해 입력받을 수 있다.
소프트웨어 자산구축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하는 구축자로부터 입력받는 특징점들은, 예컨대, '연주 공정'과 관련된 휘처들의 경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정 제어 서비스(Process Control Service), 제품(Product), 시스템 서비스(System Service), 외부 시스템 네트워크 링크 (External System Network Link), 장비(Equipments), 개발언어(Language), 플랫폼(Flatform), 공정 방식(Some Process Method), 통신 방식(Communication Method) 등의 특징점(feature)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상기 각각의 휘처에 대한 설명은 하기와 같다.
- 공정 제어 서비스(Process Control Service); 새롭게 운영될 공정제어 애 플리케이션이 공정 제어와 관련하여 제공하고자 하는 서비스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예컨대, 트래킹(tracking), 실적수집, 그리고 제품 계획과 관련된 내용들이 될 수 있다. 하위 휘처로 추가될 수 있다.
- 제품(Product); 공정제어 애플리케이션의 공정제어에 의해 철강 공정 설비가 생산하는 제품에 관련된 내용들임
- 시스템 서비스(System Service); 공정제어 애플리케이션이 해당 철강 공정 설비의 운영상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로서, 유지보수에 관련된 기능이나 HMI(Human Machine Interface) 관련된 내용들임
- 외부 시스템 네트워크 링크 (External System Network Link); 공정제어 연산장치(Process Computer)와 연결되는 외부 시스템으로서, 아키텍쳐에 따라서 계층별로 구분될 수 있음.
- 장비(Equipments); 공정제어 애플리케이션의 공정제어를 받는 장비들로서, 실제로 철강 공정 설비에 영향을 주는 주요 요소임
- 개발언어(Language); 공정제어 연산장치 내의 공정제어 애플리케이션을 구현할 때 사용된 프로그래밍 언어임
- 플랫폼(Flatform); 공정제어 연산장치 내의 공정제어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하는 기반 구조로서, 예컨대, 미들웨어나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가 이에 해당됨.
- 공정 방식(Some Process Method); 공정제어 애플리케이션에서 특별히 사용하는 기술(알고리즘)이 해당되는데, 예컨대, 각종 동작 태스크의 명칭dl기술될 수 있으며, 태스크 내부의 워크플로우 아이디(ID)들이 기술될 수 있음
- 통신 방식(Communication Method); 공정제어 애플리케이션이 사용하는 통신 기술이 해당됨
도 4에 도시된 각 휘처들은 트리 구조로서 CA, OE, DT, IT 레벨별로 나누어 구성된다. CA(Capability) 레벨은 시스템 능력을 나타내는 레벨이며, OE(Operating Environment)는 OS, 개발언어 등과 같은 동작 환경의 레벨이며, DT(Domain Technology)는 공정 수행하는 알고리즘 레벨이며, IT(Information Technology)는 외부 통신 레벨이다. 이러한 레벨별 그룹내 휘처 목록은 미리 정의되어 있다.
이벤트 DB 생성 과정(S304)은 현재 사용되고 있는 다수의 공정제어 애플리케이션들의 소프트웨어에서 수행하는 이벤트(event)를 분석하여 이벤트 DB를 생성하는 이벤트 표준화 작업을 수행한다.
상기 이벤트 표준화는 기존에 사용되던 각 공정제어 애플리케이션들의 소프에서 발생되는 이벤트를 파악하여 분류하는 것이다. 즉, 기존의 각 공정제어 애플리케이션이 공정 제어 시에 수행하는 이벤트를 파악하여 공통되는 이벤트 집합과 의존 이벤트 집합으로 분류하여 DB화 하는 것이다.
참고로, 각 공정제어 애플리케이션의 이벤트 파악은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예컨대, 각 공정제어 애플리케이션의 소스 코드를 입력받아, 해당 소스 코드에 있는 이벤트 주석문 부분이나 이벤트 ID를 리딩하여 각 공정제어 애플 리케이션에서 수행되는 이벤트의 내용들을 파악할 수 있다. 또는, 각 공정제어 애플리케이션에서 별도로 만들어 저장해 놓은 이벤트 주석문 파일을 리딩하여 각 공정제어 애플리케이션에서 수행하는 이벤트의 내용들을 파악할 수 있다.
이벤트는 도 5와 같이 두 가지 종류로 구분된다. 공통 이벤트들(Common Events)은 각 공정제어 애플리케이션에서 동일하게 수행하는 이벤트이고, 의존 이벤트들(Subordinate Events)은 공장의 설비에 따라서 특정 공동제어 애플리케이션에서만 수행하는 이벤트들이다. 따라서 이벤트 DB는 공통 이벤트 DB 및 의존 이벤트 DB 두가지 형태로 구성된다.
공통 이벤트 DB(Common Event DB)는 공통 이벤트들에게 공통된 이벤트 아이디(ID)를 부여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한다. 각 공정제어 애플리케이션에서 발생시키는 이벤트들은 시스템 내에서 서로 다른 고유 아이디를 비록 가지고 있지만, 실질적으로 동일한 의미를 갖는 이벤트들에 대해서는 공통 아이디를 부여하여 공통 이벤트 DB에 포함시키는 것이다.
의존 이벤트 DB(Subordinate Event DB)는 상호 대체 가능한 이벤트들과 상호 대체 불가능한 고유의 이벤트들에 대하여 각각 분류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한다. 의존 이벤트들 중에서 상호간에 대체 가능한 이벤트들의 경우에는, 해당 공정제어 애플리케이션에서 쓰이는 고유 이벤트 아이디와 동일한 아이디로 설정한 후 상호 대체할 수 있음을 별도로 표시하여 의존 이벤트 집합에 포함시킨다.
의존 이벤트들 중에서 특정 공정제어 애플리케이션에서만 수행되는 상호 대체 불가능한 고유 이벤트들의 경우에는, 해당 공정제어 애플리케이션에서 쓰이는 고유 이벤트 아이디와 동일한 아이디로 설정한 후 상호 대체 불가능함을 별도로 표시하여 의존 이벤트 집합에 포함시킨다.
도 6은 공통 이벤트 DB(Common Event DB)의 예시를 도시한 그림으로서, 각 필드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참고로, 의존 이벤트 DB 역시 동일한 목록을 갖는다.
- 이벤트 ID; 공정제어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할 이벤트의 표준 아이디
- 이벤트 설명; 이벤트에 대한 설명
- 발생조건; 이벤트가 발생되는 조건을 기술
- 소스 레벨;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소스(source)의 레벨
- 데이터 구조 타입; 이벤트에 의해서 전달되는 데이터의 구조 타입
- 구분; 외부/내부 이벤트, 이벤트의 발생 원인이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받는 데이터인 경우에는 외부 이벤트로 명시
- 변화요인; 모든 공정제어 애플리에케이션에서 사용되는 공통 이벤트(common event)인지, 아니면 특정 공정제어 애플리케이션에서만 사용되는 의존 이벤트(sub event)인지를 표시
도 6에 도시한 예에서, E_TEST 이벤트 발생 시에 'BASIC'이라는 타입을 갖는 데이터 구조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E_TEST 이벤트 발생 시에 'BASIC'이라는 타입을 갖는 데이터 구조가 호출되어야 함을 이벤트 DB를 통해 알 수 있게 된다.
이벤트의 종류에 따라서 다양한 자료구조 타입으로서 정의될 수 있다. 각각의 자료구조 타입은 일반적으로 C Language의 데이터 구조체로서 정의된다.
각 데이터 구조 타입별로 구조체가 정의되는데, 'BASIC'이라는 타입의 데이터 구조체의 예시를 도 7에 도시하였다. 이벤트 DB는 각 데이터 구조의 타입이 어떤 형태의 데이터 구조체인지를 정의하여 DB로서 함께 가지고 있다.
데이터 구조체의 각 필드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 데이터 명칭(Data Name); 이벤트와 함께 전달되는 데이터의 이름
- 타입(Type); 데이터의 타입
- 데이터 설명(Data Comment); 데이터에 대한 설명으로서, 주로 공정제어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할 이벤트의 고유 아이디인 이벤트 아이디를 기록함
상기에서 설명한 이벤트 DB를 생성한 후에는,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공정제어 애플리케이션에서 동작되어야 하는 워크플로우 DB 생성 과정(S306)과 워크플로우 다이어그램(S308)을 생성한다. 워크플로우(Workflow)란 어떤 일을 수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절차나 작업 단위의 묶음이다.
워크플로우 DB는 휘처 모델 생성 과정(S302)에서 생성한 휘쳐 모델에서의 각 휘처별로 관련되는 워크플로우 항목들을 리스트로 하여 생성된다.
예컨대, 도 4에 '연주 공정'의 휘처 모델 중에서 '공정방식(some process method)'라는 휘처의 경우, 'Message_Receive', 'Message_Send' 등을 포함한 다양 한 워크플로우 항목들을 가질 수 있는데, 이러한 워크플로우 항목들을 리스트로서 생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워크플로우 항목은 기존의 개발되어 운영되는 각 공정제어 애플리케이션의 소프웨어에서 수행되는 워크플로우를 분석하여 파악할 수 있다. 예컨대, 각 공정제어 애플리케이션의 소스 코드를 입력받아, 해당 소스 코드에 있는 워크플로우 주석문 부분을 리딩하여 각 공정제어 애플리케이션에서 수행되는 워크플로우의 내용들을 파악할 수 있다. 또는, 각 공정제어 애플리케이션에서 별도로 만들어 저장해 놓은 워크플로우 주석문 파일을 리딩하여 각 공정제어 애플리케이션에서 수행하는 이벤트의 내용들을 파악할 수 있다.
도 8은 'some process method'라는 휘처가 가지는 워크플로우 DB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각 필드의 설명은 다음과 같다.
- 워크플로우 아이디(Workflow ID); 사용할 고유의 영문 이름
- 이름; 사용자들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한글 이름
- 역할; 워크플로우에서 수행해야 하는 역할
- 외부 시스템과의 연관성; 워크플로우의 종류로서, 예컨대, 외부 시스템과의 통신을 담당하는 워크플로우일때는 연결(link)로 표기함
- 연관 이벤트; 워크플로우에서 처리해야 하는 이벤트들의 목록으로서, 이벤트 DB 과정에서 작성된 이벤트 집합에 포함되어 있어야 하며, 또한, 주기적으로 발생되는 이베트도 포함될 수 있음
- 변화요인; 워크플로우 변화요소가 되게 하는 요인으로서, 모든 공정제어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되는 워크플로우인지 아니면 특정 공정제어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되는 워크플로우인지를 표시
따라서 워크플로우 DB 내의 각 워크플로우 항목별로 해당 워크플로우에서 발생되는 연관 이벤트가 기술되는데, 이를 통해서 개발자는 각 워크플로우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의 목록을 알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이벤트의 설명 및 이벤트의 데이터 구조체는 도 6 및 도 7의 이벤트 DB를 통해 얻어낼 수 있다.
워크플로우 다이어그램 생성 과정(S308)은, 상기 워크플로우 리스트에 나타난 워크플로우간에 발생되는 이벤트 흐름을 다이어그램 형태로 표시하여 출력한다.
도 9에 워크플로우 상호작용 다이어그램의 예시를 도시하였다. 도 9를 참조하면, 메시지리시브(MessageRessive) 라는 아이디를 갖는 워크플로우는 스케쥴관리자 워크플로우에게 E_DCstSCh, E_DCStOrd라는 이벤트를 발생시키며, 더불어, 분석 관리자(AnalysisManager)라는 아이디를 갖는 워크플로우에게 E_TEST, E_SMlm라는 이벤트를 발생시킴을 알 수 있다.
기존의 공정제어 애플리케이션들에서 수행되는 워크플로우에서 발생되는 이벤트들의 흐름은, 상기 워크플로우 DB에 기술된 워크플로우 항목들을 추출하여 이들의 상호 발생 이벤트를 연관 분석하여 다이어그램 상호간의 흐름을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개발자는 도 9의 워크플로우 다이어그램을 통해서 워크플로우간에 발생되는 이벤트의 흐름을 알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9의 워크플로우 다이어그램은 워크플로우 상호간에 이벤트 동작 흐름만을 도시한 것으로서, 각 워크플로우 내에서 수행되는 잡(job)은 기술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각 워크플로우 내에서 수행되는 잡의 목록을 워크플로우 작업 리스트로서 생성하는 과정(S310)을 가진다.
워크플로우 작업 리스트 생성 과정(S310)은, 상기 워크플로우 다이어그램에 있는 각 워크플로우가 작업 수행해야 하는 컴포넌트들을 순서대로 기술한 리스트를 생성하는 과정이다. 상기 컴포넌트란 각 워크플로우 내에서 세부적으로 수행해야 하는 잡(job)을 프로그래밍할 때 필요한 데이터이다.
도 10은 워크플로우 작업 리스트를 도시한 그림으로서, 예시로서 메시지 리시브(MessageReceive)라는 워크플로우에 대한 워크플로우 작업 리스트를 도시하였다. 각 필드의 설명은 다음과 같다.
- 순서; 컴포넌트를 실행하는 순서
- 컴포넌트; 실행할 컴포넌트의 이름
- 인터페이스 이름; 컴포넌트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이름
따라서, 개발자는 도 9의 워크플로우 다이어그램에서 'MessageReceive'라는 워크플로우가 활성화되면 도 10의 컴포넌트들이 순서대로 실행됨을 알 수 있다.
상기 생성된 워크플로우 작업 리스트는 DB형태로 제공되며, 개발자가 새로운 철강 공정 설비에 적용될 공정제어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할 때 이러한 워크플로우 작업 리스트를 통해서, 특정 워크플로우에서 수행되는 컴포넌트 목록을 알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각 컴포넌트에는 인터페이스 이름이 할당되어 있는데, 개발자가 애플리케이션 설계 시에 해당 컴포넌트의 데이터 특성을 함수 호출하여 얻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하여 컴포넌트 라이브러리를 생성한다. 상기 컴포넌트 라이브러리는 인터페이스별로 컴포넌트가 할당되어 컴파일된 것으로서, 특정 인터페이스 호출이 있을 때 해당 인터페이스와 대응되는 컴포넌트의 데이터 특성이 호출한 함수로 제공된다.
상기 컴포넌트 라이브러리는 컴포넌트 리스트를 컴파일하여 생성한다.
상기 컴포넌트 리스트의 예를 도 11에 도시하였다.
- 인터페이스 이름; 공정제어 애플리케이션 개발자에게 제공될 컴포넌트 라이브러리의 컴포넌트 인터페이스의 이름
- 컴포넌트 아이디; 공정제어 애플리케이션에서 수행해야 할 작업 내용을 나타내는 아이디(ID)
- 데이터 처리 단위; 해당 컴포넌트 아이디(ID) 호출이 있을 때 처리해야 하는 데이터 및 그 데이터의 처리 단위를 기록, 데이터는 심볼로 표기 가능함
- 작업 설명; 해당 컴포넌트 데이터가 쓰이는 작업 설명
- 변화요인; 모든 공정제어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되는 컴포넌트인지, 아니면 특정 공정제어 애플리케이션에서만 사용되는 컴포넌트인지를 표시
따라서 공정제어 애플리케이션 개발자가 프로그램 코딩 시에 특정 인터페이스 이름을 컴포넌트 라이브러리에서 호출하면, 컴포넌트 라이브러리는 호출된 해당 인터페이스에 할당된 도메인 컴포넌트 아이디, 데이터 처리 단위, 변화요인 등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휘처 모델 생성 과정(S302), 이벤트 DB 생성 과정(S304), 워크플로우 DB 생성 과정(S306), 워크플로우 다이어그램 생성 과정(S308) 및 워크플로우 작업 리스트 생성 과정(S310)을 통해 생성된 자산DB들은 서버, 이동식 메모리 등의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새로운 공정제어 애플리케이션을 설계하는 개발자가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된 자산 DB를 이용하여 효율적인 소프트웨어 설계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컴포넌트 리스트에서 각 데이터마다 심볼을 할당하여 이용할 수 있다. 이는 다수의 소프트웨어에서 컴포넌트 리스트에 있는 데이터를 서로 공유하여 사용하기 위하여 특정 데이터를 공통된 심볼로서 정의한 것이다.
즉, 컴포넌트 리스트를 구성할 때 '데이터 처리 단위'에서 처리해야 하는 데이터를 심볼로 표기함으로써, 상기 컴포넌트 라이브러리를 이용하는 모든 공정제어 애플리케이션에서는 해당 데이터를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심볼을 저장하는 공유 심볼 테이블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한다.
공유 심볼 테이블은, 공정제어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할 데이터가 메모리에 저장되는데 유지보수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각 데이터마다 심볼을 할당해놓은 DB이다.
공유 심볼 테이블은, 기존의 공정제어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하고 있는 공유 메모리를 구성하는 데이터 구조에 대해서 1차적으로 중복적인 데이터들에 대한 표준 구조로서 테이블을 구성한다.
도 12는 공유 심볼 테이블 예시를 도시한 그림으로서, 데이터 부분에는 심볼 아이디 호출 시에 실제 반환할 실제 데이터가 기록된다.
한편, 사용하는 모든 공유메모리를 1차원적으로 심볼로 맵핑하는 것은 비효율적이므로 기본적인 n차원 배열구조까지 하나의 심볼에 할당할 수 있게 한다. 배열의 인덱스를 위한 키(key)가 존재하며, 도 11을 참조하면, 'key' 필드의 '이름(name)'에는 실제로 배열의 차수(number)가 기록될 수 있다. 맵핑 대상이 되는 공유메모리가 1차원인 기본 타입(primitive)일 경우에는 'key' 필드를 기록하지 않는다.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본 발명인에 의해 출원된 '연주 시스템의 데이터 접근을 위한 인터페이스 시스템 및 방법(출원번호: 2009-0026473)에 기술되어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특허 범위는 상기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균등 범위에도 미침은 자명할 것이다.
도 1은 철강 공정 시스템에서의 공정제어 연산장치의 동작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프트웨어 자산구축 애플리케이션의 동작 을 도시한 그림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프트웨어 자산구축 애플리케이션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플로차트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주 공정'의 휘처모델을 도시한 그림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통 이벤트 집합 및 의존 이벤트 집합을 도시한 그림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벤트 DB의 예를 도시한 그림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벤트의 데이터 구조체의 예시를 도시한 그림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워크플로우 DB의 예시를 도시한 그림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워크플로우 상호작용 다이어그램의 예시를 도시한 그림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워크플로우 작업 리스트의 예시를 도시한 그림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포넌트 리스트의 예시를 도시한 그림이 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유 심볼 테이블의 예시를 도시한 그림이다.

Claims (2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기존의 사용되는 공정제어 애플리케이션에서 수행하는 이벤트를 입력받아, 각 이벤트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낸 이벤트 DB;
    공정제어 애플리케이션의 각 특징점별로 관련되는 워크플로우 항목을 기술하고, 각 워크플로우별로 발생되는 이벤트들을 기술한 워크플로우 DB;
    상기 워크플로우 DB 내의 워크플로우간에 발생되는 이벤트 흐름을 도시한 다이어그램 형태의 워크플로우 다이어그램;
    상기 워크플로우 다이어그램에 있는 각 워크플로우가 작업 수행해야 하는 컴포넌트들을 순서대로 기술한 워크플로우 작업 리스트;가 저장되며,
    상기 이벤트 DB는 모든 공정제어 애플리케이션에 적용되는 공통 이벤트 DB와 특정 공정제어 애플리케이션에 적용되는 의존 이벤트 DB로 나누어 저장되며, 상기 공통 이벤트 DB는 각 공정제어 어플리케이션에서 서로 다른 아이디를 가지지만 모든 공정제어 애플리케이션에서 동일한 작업을 수행하는 이벤트에 대해서는 동일한 아이디를 부여하여 저장되며, 상기 의존 이벤트 DB는 상호 대체 가능한 이벤트들과 상호 대체 불가능한 고유의 이벤트들에 대하여 각각 분류하여 저장되어 있는 기록매체.
  16. 삭제
  17. 삭제
  18.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DB는, 이벤트의 아이디, 이벤트의 설명, 이벤트의 발생조건,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소스 레벨, 이벤트의 데이터 구조 타입, 내부/외부 이벤트 여부, 변화요인(공통 이벤트인지 의존 이벤트인지 표시)의 항목 중에서 하나 이상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19.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DB는 데이터 구조 타입별로 데이터 구조체가 정의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구조체는, 데이터 명칭, 데이터의 타입, 데이터의 설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21.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워크플로우 DB는, 워크플로우 아이디, 이름, 워크플로우에서 수행하는 역할, 외부시스템과의 연관성, 워크플로우에서 발생되는 이벤트, 변화요인(모든 공정제어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되는 워크플로우인지 아니면 특정 공정제어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되는 워크플로우인지를 표시)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22.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워크플로우 작업 리스트는, 워크플로우별로 실행되어야 하는 작업 단위 목록인 컴포넌트의 목록이 인터페이스 이름과 함께 기술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23. 청구항 22에 있어서, 각 컴포넌트의 데이터 특성이 기술된 컴포넌트 라이브러리를 더 포함하는 기록매체.
  24. 청구항 23에 있어서, 상기 컴포넌트 라이브러리는, 컴포넌트 아이디, 컴포넌트의 인터페이스 이름, 데이터 처리 단위, 작업 설명, 변화 요인(모든 공정제어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되는 컴포넌트인지, 아니면 특정 공정제어 애플리케이션에서만 사용되는 컴포넌트인지를 표시)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KR1020090131045A 2009-12-24 2009-12-24 소프트웨어 자산구축 기록매체 KR1012646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1045A KR101264633B1 (ko) 2009-12-24 2009-12-24 소프트웨어 자산구축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1045A KR101264633B1 (ko) 2009-12-24 2009-12-24 소프트웨어 자산구축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4156A KR20110074156A (ko) 2011-06-30
KR101264633B1 true KR101264633B1 (ko) 2013-05-23

Family

ID=44404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1045A KR101264633B1 (ko) 2009-12-24 2009-12-24 소프트웨어 자산구축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46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12798A1 (en) * 2017-12-04 2019-06-13 Tasktop Technologies, Incorporated Value stream graphs across heterogeneous software development platform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0847B1 (ko) * 2011-11-11 2013-07-29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기 개발된 시스템의 소스코드를 기반으로 휘처모델을 생성하는 방법과 그 장치
KR101328346B1 (ko) * 2011-12-15 2013-11-11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애플리케이션 개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12798A1 (en) * 2017-12-04 2019-06-13 Tasktop Technologies, Incorporated Value stream graphs across heterogeneous software development platforms
US10509649B2 (en) 2017-12-04 2019-12-17 Tasktop Technologies, Incorporated Value stream graphs across heterogeneous software development platfor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4156A (ko) 2011-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ittal et al. Smart manufacturing: Characteristics, technologies and enabling factors
Schreiber Knowledge engineering and management: the CommonKADS methodology
CN101990659B (zh) 关联元数据模型表示和资产逻辑模型表示的系统及方法
US20140229212A1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construction projects
Ellingsen et al. Digitalizing the maritime industry: A case study of technology acquisition and enabling advanced manufacturing technology
Akinradewo et al. Key requirements for effective implementation of building information modelling for maintenance management
Razmi-Farooji et al. Advantages and potential challenges of data management in e-maintenance
Chabanet et al. Toward digital twins for sawmill production planning and control: benefits,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Pokojski et al. Conceptual and detailed design knowledge management in customized production–Industrial perspective
US20070150514A1 (en) Establishment and execution system for enterprise activity management systems
Poma et al. Industry 4.0 and big data: role of government in the advancement of enterprises in Italy and UAE
KR101264633B1 (ko) 소프트웨어 자산구축 기록매체
McLean et al. The role of simulation in strategic manufacturing
Randell On discrete-event simulation and integration in the manufacturing system development process
Muñoz et al. Ontological framework for the enterprise from a process perspective
Zgodavova et al. Launching new projects in industry 4.0: best practices of automotive suppliers
JP2006293548A (ja) 業務プロセストラッキングプログラム、該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および業務プロセストラッキング装置
Zada et al. Development of a Dynamic Model for Data-Driven DSS
Singh et al. Principles for Successful Deployment of NDE 4.0
Hendriks Data Governance Structures in Data Mesh Architectures
Srivastava et al. Digitally Enabled Organizations-Leveraging New Age Technologies
Jiang et al. A framework for requirements engineering process development (FRERE)
Ershadi et al. Effective application of information technology tools for real-time project management
Schuh et al. Operational Implementation of Digital Production Twins in Single and Small Batch Production
JP2005165988A (ja) 業績評価指標項目の状況を管理するための表の表示方法、業績評価指標項目の状況を管理するための表の表示システム、および表示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