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4079B1 - 선형부재 연결기구 - Google Patents

선형부재 연결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4079B1
KR101264079B1 KR1020100014773A KR20100014773A KR101264079B1 KR 101264079 B1 KR101264079 B1 KR 101264079B1 KR 1020100014773 A KR1020100014773 A KR 1020100014773A KR 20100014773 A KR20100014773 A KR 20100014773A KR 101264079 B1 KR101264079 B1 KR 1012640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misphere
socket
disc
linear member
outer circumferen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47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94998A (ko
Inventor
김명수
Original Assignee
김명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수 filed Critical 김명수
Priority to KR10201000147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4079B1/ko
Publication of KR201100949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49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40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40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18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 F16B7/185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with a node el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17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with vertical cross-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이드레일, 펜스 및 난간 등의 각종 파이프 구조물에 있어, 이 구조물을 이루는 선형부재를 다양한 각도로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연결기구에 관한 것이다.
이를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선형부재 연결기구는, 원판부, 그리고 상기 원판부 전후면에 각각 배열되어 상기 원판부와 함께 구형(球形)을 이루는 두 반구(半球)부를 포함하되, 상기 각 반구부가 이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放射狀) 배열되는 n개(n은 2이상의 정수)의 분리벽과 이 분리벽 사이사이에 배열되는 n개의 수용공간부로 이루어진 구형바디; 상기 구형바디에서 상기 각 반구부의 수용공간부에 배열되는 2n개의 커버바디; 및 선형부재 삽입부와 이에 연결된 플랜지를 포함하는 둘 이상의 소켓바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각 커버바디는 이들이 배열되는 수용공간부를 이루는 분리벽의 외주면 및 상기 원판부의 외주면에서 상기 분리벽과 비(非)교차되는 비교차영역 각각을 따라 이격되게 덮어 사이공간부를 형성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각 커버바디의 돌출부에서 서로 마주하는 돌출부끼리는 상호 이격됨에 따라 상기 각 소켓바디의 삽입부가 배치되게 이격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사이공간부에 상기 소켓바디의 플랜지가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이격공간부를 따라 상기 소켓바디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현한다.

Description

선형부재 연결기구{Connector for Linear Members}
본 발명은 가이드레일, 펜스 및 난간 등의 각종 구조물에서 있어, 이들을 이루게 하는 파이프 등의 선형부재가 결합되는 소켓바디를 이가 결합된 구형바디에서 변위(變位)되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방향에서 선형부재의 연결이 가능하여 다양한 입체적 형상의 구조물 구현이 가능한 선형부재 연결기구에 관한 기술이다.
가이드레일, 펜스 등의 경계구조물이나 옥내,외 구주물에 설치되는 파이프 구조물에 있어서 다수개의 파이프를 사용자의 구상에 따른 각도나 방향으로 편리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하는 선형부재의 연결방법은 일반적으로 모재파이프와 연결파이프를 용접하여 접합하는 방법이었다. 그러나 용접을 할 경우에는 상기 모재파이프와 연결파이프의 외경과 형상이 일치되어야 하므로 접합을 할 때마다 일일이 절단작업을 해야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하고, 용접 후에는 용접봉의 불순물로 인해 외관이 더러워지거나 외관이 매끄럽지 않아 불순물 제거 또는 연마작업등의 별도의 작업이 필요하여 불필요한 인건비 및 작업시간이 추가 소요되었다. 또한, 용접 작업시 파이프의 결합상태에 따라 용접부위의 균열로 인해 파손이나 손상 등이 발생하며, 용접에 의한 열로 인해 파이프가 휘어지게 되고, 모재파이프와 연결파이프의 재질이 다를 경우에는 용접이 어려워 알루미늄이나 스테인레스 스틸(stainless steel), 동, 플라스틱, 목재 등의 재질로 제작되는 파이프들을 이용한 혼합구조물은 용접에 의한 방법으로는 파이프 구조물 제작이 불가능하였다.
또한, 파이프들을 용접하여 구조물 전체를 일체화함에 따라, 하자 발생시에는 파이프 구조물을 해체하여 교체해야 하는 보수작업이 힘이 들어 파이프 구조물의 유지관리 비용이 증가됨은 물론, 교체한 기존의 파이프는 재활용할 수 없는 문제점도 있어 로프, 연결고리, 및 기타 연결구를 이용하여 파이프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연결고리 등이 파손되기 쉽고, 이음매가 대부분 남게 되는 문제점이 여전히 존재하므로 파이프의 연결을 쉽게 하면서 이음매 없이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구를 만들고자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도 1은 종래의 연결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원기둥 형상의 모재파이프에는 볼트삽입구멍을 뚫고, 파이프 연결구(300)의 만곡면(302)을 상기 파이프 연결구(300)가 고정되는 모재파이프의 직경과 동일한 크기의 지름을 갖는 원기둥 곡면 형상을 본체부(301)의 일측면 중앙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파여지도록 하여, 상기 모재파이프의 일측 또는 양측에 상기 파이프 연결구(300)들을 고정볼트(305)로 견실하게 고정시킨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연결기구는 모재파이프에 다수개의 연결파이프를 한꺼번에 고정시킬 수 없고, 설치되는 연결파이프의 개수에 대응하는 연결기구가 필요하므로 시공 시 많은 시간과 인력이 소요되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가 모재파이프를 관통하여 결합됨으로 2개 이상의 파이프가 다각도에서 설치될 경우 모재파이프를 관통하는 볼트가 서로 중첩될 수 있어 시공이 어려우므로 결합할 수 있는 파이프의 수가 제한될 수밖에 없으며, 상기 모재파이프의 직경이나 외관형상에 따라 상기 연결기구의 만곡면(302)의 완만한 정도를 달리하여야 함으로 다양한 형태의 만곡면(302)을 갖는 연결기구를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원판부 및 두 반구(半球)부에 의해 구형(球形)을 이루는 구형바디와, 이 구형바디의 두 반구부에 형성된 수용공간부에 배열되는 다수의 커버바디와, 상기 커버바디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구형바디에서 변위되는 소켓바디를 마련하고, 선형부재 연결 시 이와 결합되는 소켓바디의 위치를 상기 구형바디에서 다양한 각도로 변위(變位)되게 하여 다양한 방향에서 선형부재의 연결이 가능하고, 이를 통해 다양한 입체 형상의 구조물 구현이 가능한 선형부재 연결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소켓바디가 결합되고 다양한 각도로 변위되기 위한 구형바디에서 상기 소켓바디의 이탈이 용이한 위치에서 상기 소켓바디의 위치 고정을 가능케 한 선형부재 연결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각 구성 간의 상호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작업현장에서의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고, 파이프 구조물의 설치 작업능률을 향상시키며, 파이프 구조물의 하자발생 시 파이프 교체 보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이를 통해 자재 낭비를 줄이고 유지관리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한 선형부재 연결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시예를 포함한다.
원판부, 그리고 상기 원판부 전후면에 각각 배열되어 상기 원판부와 함께 구형(球形)을 이루는 두 반구(半球)부를 포함하되, 상기 각 반구부가 상기 각 반구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放射狀) 배열되는 n개(n은 2이상의 정수)의 분리벽과 이 분리벽 사이사이에 배열되는 n개의 수용공간부로 이루어진 구형바디;
상기 구형바디에서 하나의 반구부의 n개 수용공간부와 다른 하나의 반구부의 n개 수용공간부 모두에 배열되는 2n개의 커버바디; 및
선형부재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에 연결된 플랜지를 포함하는 둘 이상의 소켓바디;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각 커버바디는 상기 각 커버바디가 배열되는 수용공간부를 이루는 분리벽의 외주면 및 상기 원판부의 외주면에서 상기 분리벽과 비(非)교차되는 비교차영역 각각을 따라 이격되게 덮어 사이공간부를 형성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각 커버바디의 돌출부에서 서로 마주하는 돌출부끼리는 상호 이격됨에 따라 상기 각 소켓바디의 삽입부가 배치되게 이격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사이공간부에 상기 소켓바디의 플랜지가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이격공간부를 따라 상기 소켓바디의 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구형바디는 상기 각 반구부의 n개 분리벽 외주면에서 상호 교차되는 제1교차영역과, 상기 각 반구부의 n개 분리벽 및 상기 원판부 각 외주면에서 상호 교차되는 제2교차영역에 각각 형성되는 n+2개의 고정통공을 포함하고,
상기 각 소켓바디의 플랜지 하부면에는 상기 고정통공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구형바디의 원판부는 상기 원판부의 중심을 관통하는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구형바디의 두 반구부는 서로 마주하는 면 중심에 상기 결합공과의 상호 결합을 위한 결합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은 앞서 본 구성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원판부의 전후면에 배열되는 두 반구(半球)부의 분리벽 수와 이에 맞게 원판부와 분리벽들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 커버바디를 마련하고, 상기 커버바디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분리벽과 원판부가 이루는 외주면을 따라 소켓바디가 이동됨에 따라 상기 소켓바디에 연결되는 선형부재를 다양한 각도로 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소켓바디가 결합되고 변위되기 위한 구형바디에서 소켓바디의 이탈이 용이한 위치에 소켓바디의 고정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의 연결기구를 이루는 각 구성 간의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여 작업현장에서 설치 및 해제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파이프 구조물의 설치 작업능률을 향상시켜 주며, 파이프 구조물의 하자 발생 시 해당 부위에 대한 교체 및 보수가 용이하여 자재 낭비를 줄이고 유지관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다양한 파이프 구조물의 형상을 구상할 수 있음은 물론, 이를 통해 소비자 및 시공자 모두로 하여금 선택의 폭을 더욱 넓힐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삭제
삭제
삭제
도 1은 종래의 연결기구를 나타낸 입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기구를 나타낸 결합 입체 구성도,
도 3은 도 2의 분해 입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연결기구에서 구형바디를 나타낸 입체 구성도,
도 5는 도 4의 일부 측면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기구에서 소켓바디의 이동 및 선형부재 연결을 보여주기 위한 입체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기구를 나타낸 결합 단면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기구를 나타낸 분해 입체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 선형부재 a1 : 제1교차영역
a2 : 제2교차영역 a3 : 비교차영역
100 : 연결기구
10 : 구형바디
11 : 원판부 111 : 결합공
12 : 반구부 121 : 분리벽
122 : 수용공간부 123 : 결합돌출부
13 : 삽입통공 14 : 고정통공
20 : 커버바디
21 : 사이공간부 22 : 돌출부
23 : 이격공간부 24 : 리세스
241 : 볼트삽입공 242 : 볼트
30 : 소켓바디
31 : 삽입부 32 : 플랜지
33 : 고정돌기
삭제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선형부재 연결기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핵심을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아울러 도 7의 우측 상단 원형 쇄선 내의 도면은 해당 영역에 대한 확대 단면 구성도이다.
삭제
도 2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형부재 연결기구(100)는 크게 구형바디(10), 커버바디(20) 및 소켓바디(30)로 이루어진다.
각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
상기 구형바디(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판부(11), 그리고
상기 원판부(11) 전후면에 각각 배열되어 상기 원판부(11)와 함께 구형(球形)을 이루는 두 반구(半球)부(12)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각 반구부(12)는 상기 각 반구부(12)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放射狀) 배열되는 n개(n은 2이상의 정수임)의 분리벽(121)과 이 분리벽(121) 사이사이에 배열되는 n개의 수용공간부(122)로 이루어진다.
일 예로, 상기 n이 2일 경우 상기 분리벽(121)은 2개이고, 상기 2개의 분리벽(121)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상기 수용공간부(122)가 배열됨에 따라 상기 수용공간부(122) 또한 2개이다.
다른 예로, 본 발명의 도면 전반에 걸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n이 4일 경우 십자(+) 형태로 배열된 상기 분리벽(121)은 4개이고, 상기 4개의 분리벽(121)을 사이에 두고 네 개소(個所)에 상기 수용공간부(122)가 배열됨에 따라 상기 수용공간부(122) 또한 4개이다.
따라서 하나의 반구부(12)에 4개의 분리벽(121)과 4개의 수용공간부(122)가 배열됨에 따라 두 반구부(12)는 총 8개의 분리벽(121)과 8개의 수용공간부(122)를 갖는다.
이하에서는 상기 n이 4인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두 반구부(12)의 분리벽(121) 측면 또는 상기 원판부(11)의 측면, 또는 이들 모두에는 내주면에 나사산을 갖는 삽입통공(13)이 형성된다.
상기 커버바디(20)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2n개가 구비되어 상기 구형바디(10)에서 하나의 반구부(12)의 n개 수용공간부(122)와 다른 하나의 반구부(12)의 n개 수용공간부(122) 모두에 배열된다.
결국 상기 반구부(12)의 분리벽(121) 및 수용공간부(122)가 4개이고, 두 반구부(12)는 총 8개의 분리벽(121) 및 수용공간부(122)를 가지므로 총 8개의 상기 커버바디(20)가 구비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각 커버바디(20)는 상기 각 커버바디(20)가 배열되는 수용공간부(122)를 이루는 분리벽(121)의 외주면 및 상기 원판부(11)에서 상기 분리벽(121)과 비(非)교차되는 비교차영역(a3) 각각을 따라 이격되게 덮어 사이공간부(21)를 형성하는 돌출부(22)를 포함한다.
상기한 '비교차영역'이라 함은 상기 분리벽(121)과 상기 원판부(11)의 각 외주면 중 서로 만나게 되는 교차영역을 제외한 영역을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각 커버바디(20)의 돌출부(22)에서 서로 마주하는 돌출부(22)끼리는 상호 이격됨에 따라 후술할 각 소켓바디(30)의 삽입부(31)가 배치되게 이격공간부(23)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사이공간부(21)에 후술할 각 소켓바디(30)의 플랜지(32)가 배치됨으로써, 상기 이격공간부(23)를 따라 소켓바디(30)의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다시 말해, 소켓바디(30)의 플랜지(32)가 상기 사이공간부(21)에 위치하고 상기 돌출부(22)에 플랜지(32)의 상부면이 이탈 방지되게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이격공간부(23), 즉 경로(궤도) 역할을 하는 상기 이격공간부(23)를 따라 소켓바디(30)의 이동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커버바디(20)는 외벽에서 내측으로 요입된 형태의 리세스(recess)(24)가 형성되고,
상기 리세스(24)에는 상기 구형바디(10)의 삽입통공(13)과 대응되게 볼트삽입공(241)이 형성되며,
상기 볼트삽입공(241)을 지나 상기 삽입통공(13)에 체결되는 볼트(242)를 통해 상기 각 반구부(12)의 수용공간부(122)에 상기 커버바디(20)의 고정 결합이 이루어진다.
상기 볼트삽입공(241)은 상기 볼트(242)의 헤드가 삽입 안착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볼트(242)의 헤드를 은닉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상기 소켓바디(30)는
도 3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 등의 선형부재(1)가 삽입 결합되는 삽입부(31), 그리고
상기 삽입부(31)에 연결되는 플랜지(32)
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둘 이상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선형부재(1)로는 철이나 스테인리스, 합성수지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 봉, 와이어 또는 파이프 등이 해당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삽입부(31)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선형부재(1) 또한 외주면에 상기 삽입부(31) 나사산과의 상호 체결을 위한 대응나사산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플랜지(32)의 하부면은 상기 커버바디(20)의 이격공간부(23)을 이루는 상기 원판부(11)나 상기 반구부(12) 각 분리벽(121) 외주면 곡률에 맞게 내측으로 움푹 들어간 형태의 만곡(彎曲)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7, 특히 도 7의 우측 상단 원형 쇄선 내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삽입부(31)는 상기 커버바디(20)의 이격공간부(23)에 위치하고, 상기 플랜지(32)는 상기 이격공간부(23)에 위치하면서 상기 커버바디(20)의 돌출부(22)에 의해 지지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형바디(10)는 상기 각 반구부(12)의 n개 분리벽(121) 외주면에서 상호 교차되는 제1교차영역(a1)과, 상기 각 반구부(12)의 n개 분리벽(121) 및 상기 원판부(11) 각 외주면에서 상호 교차되는 제2교차영역(a2)에 각각 형성되는 n+2개의 고정통공(14)을 포함하고,
상기 각 소켓바디(30)의 플랜지(32) 하부면에는 상기 고정통공(14)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돌기(33)를 포함한다.
상기한 '제1교차영역'이라 함은 상기 반구부(12)를 이루는 n개의 분리벽(121)이 반구부(12)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 배열된 상태에서 각 분리벽(121)이 만나게 되는 외주면 영역을 의미한다.
아울러 상기한 '제2교차영역'이라 함은 상기 원판부(11) 양측에 두 반구부(12)의 분리벽(121)과 상기 원판부(11)와의 각 외주면에서 서로 만나게 되는 외주면 영역을 의미한다.
결국 상기 제1 및 제2 교차영역(a1, a2)은 상기 n이 4이면서 이들의 전방에 바라보았을 때 십자(+) 형상의 교차점 영역에 해당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각 고정통공(14)은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돌기(33)는 외주면에 상기 고정통공(14) 나사산과의 상호 체결을 위한 대응나사산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소켓바디(30)를 상기 고정통공(14)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커버바디(20)의 이격공간부(23)를 따라 상기 소켓바디(30) 이동 시 상기 소켓바디(30)를 상기 각 교차영역(a1, a2)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소켓바디(30)의 플랜지(32)가 상기 커버바디(20)의 사이공간부(21)에서 비스듬히 빠져나와 분리 이탈될 수 있으므로, 상기 고정통공(14)과 상기 고정돌기(33)를 이용해 상기 각 교차영역(a1, a2)에서는 상기 소켓바디(30)를 고정시킴으로써 분리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선형부재 연결기구는
일 실시예로,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구형바디(10)를 이루는 원판부(11)와 두 반구부(12)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다.
다른 실시예로,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구형바디(10)를 이루는 원판부(11)와 두 반구부(12)가 상호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를 위하여 상기 구형바디(10)의 원판부(11)는 상기 원판부(11)의 중심을 관통하는 결합공(111)이 형성되고,
상기 구형바디(10)의 두 반구부(12)는 서로 마주하는 면 중심에 상기 결합공(111)과의 상호 결합을 위한 결합돌출부(123)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결합공(111)과 상기 결합돌출부(123)의 상호 결합을 위하여,
상기 결합공(111)은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출부(123)는 외주면에 상기 결합공(111) 나사산과의 상호 체결을 위한 대응나사산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원판부(11)에 두 반구부(12)의 상호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선형부재 연결기구"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Claims (3)

  1. 원판부(11), 그리고 상기 원판부(11) 전후면에 각각 배열되어 상기 원판부(11)와 함께 구형(球形)을 이루는 두 반구(半球)부(12)를 포함하되, 상기 각 반구부(12)가 상기 각 반구부(12)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放射狀) 배열되는 n개(n은 2이상의 정수)의 분리벽(121)과 이 분리벽(121) 사이사이에 배열되는 n개의 수용공간부(122)로 이루어진 구형바디(10);
    상기 구형바디(10)에서 하나의 반구부(12)의 n개 수용공간부(122)와 다른 하나의 반구부(12)의 n개 수용공간부(122) 모두에 배열되는 2n개의 커버바디(20); 및
    선형부재(1) 삽입부(31)와 상기 삽입부(31)에 연결된 플랜지(32)를 포함하는 둘 이상의 소켓바디(3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각 커버바디(20)는 상기 각 커버바디(20)가 배열되는 수용공간부(122)를 이루는 분리벽(121)의 외주면 및 상기 원판부(11)의 외주면에서 상기 분리벽(121)과 비(非)교차되는 비교차영역(a3) 각각을 따라 이격되게 덮어 사이공간부(21)를 형성하는 돌출부(22)를 포함하고,
    상기 각 커버바디(20)의 돌출부(22)에서 서로 마주하는 돌출부(22)끼리는 상호 이격됨에 따라 상기 각 소켓바디(30)의 삽입부(31)가 배치되게 이격공간부(23)가 형성되며,
    상기 사이공간부(21)에 상기 소켓바디(30)의 플랜지(32)가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이격공간부(23)를 따라 상기 소켓바디(30)의 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부재 연결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형바디(10)는 상기 각 반구부(12)의 n개 분리벽(121) 외주면에서 상호 교차되는 제1교차영역(a1)과, 상기 각 반구부(12)의 n개 분리벽(121) 및 상기 원판부(11) 각 외주면에서 상호 교차되는 제2교차영역(a2)에 각각 형성되는 n+2개의 고정통공(14)을 포함하고,
    상기 각 소켓바디(30)의 플랜지(32) 하부면에는 상기 고정통공(14)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돌기(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부재 연결기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형바디(10)의 원판부(11)는 상기 원판부(11)의 중심을 관통하는 결합공(11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구형바디(10)의 두 반구부(12)는 서로 마주하는 면 중심에 상기 결합공(111)과의 상호 결합을 위한 결합돌출부(123)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부재 연결기구.
KR1020100014773A 2010-02-18 2010-02-18 선형부재 연결기구 KR1012640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4773A KR101264079B1 (ko) 2010-02-18 2010-02-18 선형부재 연결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4773A KR101264079B1 (ko) 2010-02-18 2010-02-18 선형부재 연결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4998A KR20110094998A (ko) 2011-08-24
KR101264079B1 true KR101264079B1 (ko) 2013-05-14

Family

ID=44930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4773A KR101264079B1 (ko) 2010-02-18 2010-02-18 선형부재 연결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407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5921B1 (ko) 2008-09-11 2009-07-02 김명수 경계 구조물의 선형부재 연결기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5921B1 (ko) 2008-09-11 2009-07-02 김명수 경계 구조물의 선형부재 연결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4998A (ko) 2011-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79087B2 (ja) 配線案内装置、モジュール及び部品キット
RU2509253C1 (ru) Способ восстановления существующей трубы
KR102043979B1 (ko) 건축물을 건설하기 위한 벽 모듈 그리고 관련 건축물
JP2009138478A (ja) Rc柱の補強方法
KR100905921B1 (ko) 경계 구조물의 선형부재 연결기구
KR101277117B1 (ko) 조립식 수상 부유구조물
JPWO2008142792A1 (ja) ハニカム建築構造体
KR101264079B1 (ko) 선형부재 연결기구
KR20130005183A (ko) 스페이스 프레임
KR20140097752A (ko) 조립식 돔 구조물의 하부 지지부재
US20150128506A1 (en) Replaceable ductile fuse
CN100368640C (zh) 支承节点
KR20110001689U (ko) 가설식 트러스 구조물
KR20110059410A (ko) 전시용 가설구조물 메인프레임 조립구조
KR200424125Y1 (ko) 트러스 구조물용 연결구
KR100631797B1 (ko) 실린더형 프레임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프레임 연결구조
KR200444777Y1 (ko) 근린시설용 기둥
KR20100004725U (ko) 조립식 구조물용 복합 조립체
KR20180000163U (ko) 행사장 구조물용 블럭 조립체
JP4805719B2 (ja) ドーム状建築物
KR101196031B1 (ko) 조립식 기둥 구조체 및 조립식 외장재 구조체
KR101120162B1 (ko) 트러스바 연결장치
CN109930730B (zh) 快装式防水硬质围护的空间网壳结构
RU2725192C2 (ru) Быстровозводимый купол
KR100660467B1 (ko) 트러스 구조물용 죠인트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