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3743B1 - keyboard - Google Patents

keyboar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3743B1
KR101263743B1 KR1020110015066A KR20110015066A KR101263743B1 KR 101263743 B1 KR101263743 B1 KR 101263743B1 KR 1020110015066 A KR1020110015066 A KR 1020110015066A KR 20110015066 A KR20110015066 A KR 20110015066A KR 101263743 B1 KR101263743 B1 KR 1012637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caps
key input
power transmission
key
inpu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506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095630A (en
Inventor
박정준
Original Assignee
박정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준 filed Critical 박정준
Priority to KR10201100150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3743B1/en
Publication of KR201200956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563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37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374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16Arrangements for ergonomically adjusting the disposition of keys of a keyboar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86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characterised by the casing, e.g. sealed casings or casings reducible in siz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키입력장치는, 다각형 입체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다수의 홀; 상기 다수의 홀의 측면들 및 밑면 각각에 하나 이상 배열된 다수의 키캡; 상기 다수의 키캡에 대응되는 다수의 스위치; 상기 다수의 키캡 각각과 결착되어 사용자의 압압에 따른 동력을 각 키캡에 대응되는 스위치로 전달하는 다수의 동력전달부재; 상기 다수의 키캡에 결착된 상기 다수의 동력전달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Key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holes formed in a polygonal three-dimensional pillar shape; A plurality of keycaps arranged on one or more sides of each of the side and bottom surfaces of the plurality of holes; A plurality of switche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keycaps; A plurality of power transmission members which are coupl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keycaps and transfer power to a switch corresponding to each keycap according to the pressure of the user; And a support member supporting the plurality of power transmission members attached to the plurality of keycaps.

Description

키입력장치{keyboard}Key input device {keyboard}

본 발명은 키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키 배열을 위한 공간을 입체적으로 형성하여 그 크기를 현격적으로 감소시킨 키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ey input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key input device in which a space for a key arrangement is formed three-dimensionally and the size thereof is significantly reduced.

정보 통신 기술의 발전에 따라 컴퓨터 및 휴대폰의 사용이 보편화되고 있음은 물론이며, 컴퓨터의 성능 향상 및 소형화가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다. 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the use of computers and mobile phones is becoming common, and the performance and miniaturization of computers are rapidly progressing.

상기한 컴퓨터 및 휴대폰을 조작하고 컴퓨터 및 휴대폰에 정보를 입력시키기 위해서는 주변 장치(peripheral device)가 요구되며, 상기 주변 장치 중에서 널리 쓰이는 것으로는 키보드가 있다.In order to operate the computer and the mobile phone and input information into the computer and the mobile phone, a peripheral device is required, and among the peripheral devices, a keyboard is widely used.

상기 키보드는 평면 패널에 배열된 문자키, 숫자키 및 기능키들과, 상기 다수 키들의 조작에 따른 키입력 신호를 컴퓨터 및 스마트 기기에 전송하는 제어모듈로 구성된다. The keyboard is composed of text keys, numeric keys and function keys arranged on a flat panel, and a control module for transmitting a key input signal according to the manipulation of the plurality of keys to a computer and a smart device.

상기한 키보드는 많은 수의 키를 평면 패널에 배열함에 따라 소형화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 이에 종래에는 상기 키보드에 구비되는 키의 크기를 줄이는 등의 방법을 채용하였으나, 손가락의 배열 구조와 크기에 의한 제약 때문에 상기 키보드의 키를 줄이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다. The keyboard has a problem in that miniaturization is not easy as a large number of keys are arranged in a flat panel. Therefore, in the related art, a method of reducing the size of a key provided in the keyboard is adopted, but there is a limit in reducing the key of the keyboard due to the limitation of the arrangement and size of the finger.

본 발명은 다각형의 입체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된 홀의 측면들 및 밑면 각각에 하나 이상의 키를 배열하여 다수의 키를 구비하는 키입력장치의 크기를 현격하게 감소시킬 수 있으며, 손가락의 이동이 적어 정확하며 신속한 작업이 가능한 키입력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significantly reduce the size of the key input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keys by arranging one or more keys on each of the sides and the bottom of the hole formed in the shape of a polygonal three-dimensional column, and the finger movement is small and accurat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key input device capable of quick operation.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키입력장치는, 상면이 개방된 다각형 입체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된 다수의 홀; 상기 다수의 홀의 측면들 및 밑면 각각에 하나 이상 배열된 다수의 키캡; 상기 다수의 키캡에 대응되며 압압에 따라 온되는 다수의 스위치; 상기 다수의 키캡 각각과 결착되어 사용자의 압압에 따른 동력을 각 키캡에 대응되는 스위치로 전달하는 다수의 동력전달부재; 상기 다수의 키캡에 결착된 상기 다수의 동력전달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재; 상기 다수의 스위치의 온에 따른 키입력신호를 생성하여 호스트 장치로 전송하는 제어모듈;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Key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plurality of holes formed in the shape of a polygonal three-dimensional column with an open upper surface; A plurality of keycaps arranged on one or more sides of each of the side and bottom surfaces of the plurality of holes; A plurality of switche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keycaps and turned on according to pressure; A plurality of power transmission members which are coupl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keycaps and transfer power to a switch corresponding to each keycap according to the pressure of the user; A support member supporting the plurality of power transmission members fastened to the plurality of keycaps; And a control module for generating a key input signal according to the on of the plurality of switches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key input signal to a host device.

상기한 본 발명은 다각형 입체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된 홀의 측면들 및 밑면 각각에 키를 배열함으로써 키입력장치의 크기를 현격하게 감소시킬 수 있고, 손가락의 이동을 최소로 하여 정확성과 신속성을 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ize of the key input device can be remarkably reduced by arranging keys on each of the sides and the bottom of the hole formed in the shape of a polygonal three-dimensional column, and the accuracy and speed of the finger can be minimized by minimizing the movement of the finger. It work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키입력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키그룹의 상면 및 측면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키입력장치의 블럭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키입력장치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키그룹의 상면 및 측면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키입력장치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실시예에 따른 키입력장치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5 내지 제7실시예에 따른 키입력장치에 구비되는 다각 입체기둥의 홀의 측면 각도를 예시한 도면.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key input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top and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key group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of a key input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key input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top and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key group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key input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key input device according to a fourth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illustrating the side angle of the hole of the polygonal solid pillar provided in the key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fifth to seven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각형의 입체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된 홀의 측면들 및 밑면 각각에 하나 이상의 키를 배열하여, 키 배열을 위한 공간을 현격하게 감소시킨다. The present invention arranges one or more keys on each of the side surfaces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hole formed in the shape of a polygonal three-dimensional column, thereby significantly reducing the space for the key arrangement.

이러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키입력장치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A key input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제1실시예>&Lt; Embodiment 1 >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키입력장치를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A key input device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상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키입력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키입력장치(100)는 직사각 입체기둥 형태의 외부 하우징 장치(102)와, 제1 내지 제8키 그룹 장치(104~118)로 구성된다. 상기 제1 내지 제8키 그룹 장치(104~118) 각각은 하나의 손가락이 인입될 수 있는 정사각 및 직사각 입체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홀의 측면들 및 밑면 각각에 배열된 5개의 키를 구비한다.Referring to FIG. 1, which illustrates a perspective view of a key input device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key input device 100 includes an external housing device 102 having a rectangular three-dimensional pillar shape, and the first to the first. It consists of eight key group devices 104-118. Each of the first to eighth key group devices 104 to 118 includes five keys arranged at each of the sides and the bottom of the hole formed in a square and rectangular solid column shape into which one finger can be inserted.

상기 제1 내지 제8키 그룹 장치(104~108)의 구조 및 동작은 동일하므로, 이하 어느 한 키 그룹 장치에 대한 구조 및 동작만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상기 도 2의 (a)는 키 그룹 장치를 상면에서 바라보았을 때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의 (b)는 키 그룹 장치를 측면에서 바라보았을 때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Since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first to eighth key group devices 104 to 108 are the same, only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any one key group devic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FIG. 2A illustrate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key group device when viewed from the top, and FIG. 2B illustrate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key group device when viewed from the side.

상기 키 그룹 장치는 상면이 개방되어 하나의 손가락이 인입될 수 있는 정사각 및 직사각 입체기둥 형태의 홀에 형성되며, 상기 홀의 측면들 및 밑면에는 제1 내지 제5키가 배열된다. 여기서, 상기 제1키는 상기 홀의 밑면에 배치되며, 제1키캡(202)과, 상기 제1키캡(202)의 배면에 결착되어 상기 제1키캡(202)의 상면에 대한 사용자 압압에 따른 동력을 제1스위치(206)로 제공하는 제1동력전달부재(204)와, 상기 제1동력전달부재(204)를 통해 전달되는 동력에 따라 온하는 제1스위치(206)로 구성된다. 상기 제2키는 상기 홀의 측면중 좌측면에 배치되며, 제2키캡(208)과, 상기 제2키캡(208)의 배면에 결착되어 상기 제2키캡(208)의 상면에 대한 사용자 압압에 따른 동력을 제2스위치(212)로 제공하는 제2동력전달부재(210)와, 상기 제2동력전달부재(210)를 통해 전달되는 동력에 따라 온하는 제2스위치(212)로 구성된다. 상기 제3키는 상기 홀의 측면중 하측면에 배치되며, 제3키캡(214)과, 상기 제3키캡(214)의 배면에 결착되어 상기 제3키캡(214)의 상면에 대한 사용자 압압에 따른 동력을 제3스위치(218)로 제공하는 제3동력전달부재(216)와, 상기 제3동력전달부재(216)를 통해 전달되는 동력에 따라 온하는 제3스위치(218)로 구성된다. 상기 제4키는 상기 홀의 측면 중 우측면에 배치되며, 제4키캡(220)과, 상기 제4키캡(220)의 배면에 결착되어 상기 제4키캡(220)의 상면에 대한 사용자 압압에 따른 동력을 제4스위치(224)로 제공하는 제4동력전달부재(222)와, 상기 제4동력전달부재(222)를 통해 전달되는 동력에 따라 온하는 제4스위치(224)로 구성된다. 상기 제5키는 상기 홀의 측면 중 상측면에 배치되며, 제5키캡(226)과, 상기 제5키캡(226)의 배면에 결착되어 상기 제5키캡(226)의 상면에 대한 사용자 압압에 따른 동력을 제5스위치(230)로 제공하는 제5동력전달부재(228)와, 상기 제5동력전달부재(228)를 통해 전달되는 동력에 따라 온하는 제5스위치(230)로 구성된다. The key group device is formed in a square and rectangular three-dimensional pillar-shaped hole in which the upper surface is open to which one finger can be inserted, and the first to fifth keys are arranged on the side surfaces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hole. Here, the first key is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hole, is coupled to the first key cap 202 and the back of the first key cap 202, the power according to the user pressur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key cap 202 And a first power transmission member 204 for providing the first switch 206 and a first switch 206 that is turned on in accordance with the power transmitted through the first power transmission member 204. The second key is disposed on the left side of the side of the hole, and is coupled to the second key cap 208 and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key cap 208 according to the user pressur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key cap 208 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member 210 for providing power to the second switch 212, and the second switch 212 to be turned on in accordance with the power transmitted through 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member 210. The third key is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side of the hole, the third key cap 214 and the third key cap 214 is coupl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third key cap 214 according to the user pressure The third power transmission member 216 for providing power to the third switch 218, and the third switch 218 to be turned on in accordance with the power transmitted through the third power transmission member 216. The fourth key is disposed on the right side of the side of the hole, is coupled to the fourth key cap 220 and the back of the fourth key cap 220, the power according to the user pressur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ourth key cap 220 And a fourth power transmission member 222 providing the fourth switch 224 to the fourth switch 224, and a fourth switch 224 turned on according to the power transmitted through the fourth power transmission member 222. The fifth key is disposed on an upper side of the side of the hole, and is attached to the fifth key cap 226 and the rear surface of the fifth key cap 226 according to the pressure of the user against the upper surface of the fifth key cap 226. The fifth power transmission member 228 for providing power to the fifth switch 230, and the fifth switch 230 to be turned on in accordance with the power transmitted through the fifth power transmission member 228.

또한 상기 장사각 및 직사각 입체기둥 형태의 홀에는 상기 제1 내지 제5키캡(202,208,214,220,226) 각각과 결착된 제1 내지 제5동력전달부재(204,201,216,222,228)를 지지하며, 상기 제1 내지 제5동력전달부재(204,201,216,222,228)가 제1 내지 제5스위치(206,212,218,224,230)를 사용자의 압압에 따라 압압하여 온되게 함과 아울러, 사용자의 압압이 없는 경우에는 원래의 상태로 복귀하여 상기 제1 내지 제5스위치(206,212,218,224,230)가 오프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지지부재(200)가 삽입된다. In addition, the first and fifth power transmission members 204, 201, 216, 222, and 228 are respectively supported by the first and fifth key caps 202, 208, 214, 220, and 226 in the long and rectangular solid pillar-shaped holes. (204,201,216,222,228) presses the first to fifth switches 206, 212, 218, 224, 230 according to the pressure of the user to turn on, and if there is no pressure of the user, returns to the original state and the first to fifth switches 206, 212, 218, 224, 230). The supporting member 200 is inserted to support it so that it can be turned off.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키입력장치(100)는 정사각 및 직사각 입체기둥 형태의 홀의 네 측면 및 밑면에 각기 다른 키를 배열하며, 상기 홀에 손가락 한개를 인입하고 상기 손가락을 이용하여 네 측면 및 밑면 중 어느 한 면을 압압하여 키를 조작할 수 있게 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key input devic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ranges different keys on four sides and bottom surfaces of a square and rectangular three-dimensional pillar-shaped hole, and inserts one finger into the hole. Using your finger, you can press one of the four sides and the bottom to operate the keys.

상기한 바와 같이 적어도 5개의 키를 하나의 입체기둥 형태의 홀에 배열한 후에 하나의 손가락을 넣어 상기 5개의 키를 압압할 수 있게 구성한 본 발명은, 키 배열을 위한 공간을 입체적으로 구성하여, 키입력장치(100)의 크기를 현격하게 감소시킨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at least five keys are arranged in one three-dimensional pillar-shaped hole, and then one finger is pressed to press the five keys. The size of the key input device 100 is significantly reduced.

또한 본 발명은 장애우 등과 같이 팔이나 손목의 움직임이 불편한 사용자도 손 자체의 움직임없이 손가락만으로도 다수의 키를 조작할 수 있게 함으로써, 장애우의 키입력 편이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he user who is uncomfortable with the movement of the arm or wrist, such as a handicapped person can operate a plurality of keys with only a finger without the movement of the hand itself, thereby improving the key input convenience of the handicapped.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키입력장치(100)의 블럭 구성도를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A block diagram of the key input devic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상기 키입력장치(100)는 제1 내지 제8키 그룹 장치(104~118) 각각에 구비된 키들 각각에 대응되는 제1 내지 제N스위치(3021~302N)와, 상기 제1 내지 제N스위치(3021~302N)에 대한 온 상태에 따른 키입력신호를 생성하여 컴퓨터 등과 같은 호스트 장치로 제공하는 제어모듈(300)로 구성된다.
The key input device 100 includes first to Nth switches 3021 to 302N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keys provided in each of the first to eighth key group devices 104 to 118, and the first to Nth switches. And a control module 300 for generating a key input signal according to the on state for the 3030 to 302N and providing the same to a host device such as a computer.

상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키입력장치(100)는 손가락 각각에 대해 별도의 키 그룹 장치를 형성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손가락 중 중지 및 약지의 경우에는 측방향 이동이 용이하지 않으므로 중지 및 약지, 소지의 경우에는 측방향 이동하지 않게 키를 배열할 수 있다.
Although the key input device 100 according to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emplarily forms a separate key group device for each finger, the middle finger and the middle finger of the finger are not easily moved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in the case of a ring finger or a ring finger, the keys can be arranged so as not to move laterally.

<제2실시예>&Lt; Embodiment 2 >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는 손가락 중 중지 및 약지, 소지의 경우에 측방향 이동이 용이하지 않은 점을 감안하여 키를 배열한 예를 나타낸 것이다. The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keys are arranged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the lateral movement is not easy in the case of the middle finger, the ring finger, and the finger.

상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키입력장치를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A key input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4 to 5.

상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키입력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키입력장치(400)는 다수의 손가락이 인입될 수 있는 직사각 입체기둥 형태의 외부 하우징 장치와, 제1 및 제2키 그룹 장치(402,404)로 구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키 그룹 장치(402,404) 각각은 직사각 입체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홀의 측면들 및 밑면 각각에 배열된 14개의 키를 구비한다.Referring to FIG. 4, which illustrates a perspective view of a key input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key input device 400 includes an external housing device having a rectangular three-dimensional column shape into which a plurality of fingers can be inserted. And first and second key group devices 402 and 404.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key group devices 402 and 404 has 14 keys arranged on each of the sides and the bottom of the hole formed in a rectangular solid column shape.

상기 제1 및 제2키 그룹 장치(402,404)의 구조 및 동작은 동일하므로, 이하 어느 한 키 그룹 장치에 대한 구조 및 동작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상기 도 5의 (a)는 키 그룹 장치를 상면에서 바라보았을 때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5의 (b)는 키 그룹 장치를 측면에서 바라보았을 때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Since the structures and opera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key group devices 402 and 404 are the same,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any one key group devic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5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key group device when viewed from the top, and FIG. 5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key group device when viewed from the side.

상기 키 그룹 장치는 상면이 개방되어 다수의 손가락이 인입될 수 있는 직사각 입체기둥 형태의 홀에 형성되며, 상기 홀의 측면들 및 밑면에는 제1 내지 제14키가 배열된다. 여기서, 상기 제1키는 상기 홀의 밑면 중 제일 왼쪽에 배치되며, 제1키캡(502)과, 상기 제1키캡(502)의 배면에 결착되어 상기 제1키캡(502)의 상면에 대한 사용자 압압에 따른 동력을 제1스위치(506)로 제공하는 제1동력전달부재(504)와, 상기 제1동력전달부재(504)를 통해 전달되는 동력에 따라 온하는 제1스위치(506)로 구성된다. 상기 제2키는 상기 홀의 밑면중 왼쪽 두번째에 배치되며, 제2키캡(508)과, 상기 제2키캡(508)의 배면에 결착되어 상기 제2키캡(508)의 상면에 대한 사용자 압압에 따른 동력을 제2스위치(512)로 제공하는 제2동력전달부재(510)와, 상기 제2동력전달부재(510)를 통해 전달되는 동력에 따라 온하는 제2스위치(512)로 구성된다. 상기 제3키는 상기 홀의 밑면중 오른쪽 두번째에 배치되며, 제3키캡(514)과, 상기 제3키캡(514)의 배면에 결착되어 상기 제3키캡(514)의 상면에 대한 사용자 압압에 따른 동력을 제3스위치(518)로 제공하는 제3동력전달부재(516)와, 상기 제3동력전달부재(516)를 통해 전달되는 동력에 따라 온하는 제3스위치(518)로 구성된다. 상기 제4키는 상기 홀의 밑면 중 제일 오른쪽에 배치되며, 제4키캡(520)과, 상기 제4키캡(520)의 배면에 결착되어 상기 제4키캡(520)의 상면에 대한 사용자 압압에 따른 동력을 제4스위치(524)로 제공하는 제4동력전달부재(522)와, 상기 제4동력전달부재(522)를 통해 전달되는 동력에 따라 온하는 제4스위치(524)로 구성된다. 상기 제5키는 상기 홀의 측면 중 우측면에 배치되며, 제5키캡(526)과, 상기 제5키캡(526)의 배면에 결착되어 상기 제5키캡(526)의 상면에 대한 사용자 압압에 따른 동력을 제5스위치(530)로 제공하는 제5동력전달부재(526)와, 상기 제5동력전달부재(526)를 통해 전달되는 동력에 따라 온하는 제5스위치(530)로 구성된다. 상기 제6키는 상기 홀의 측면 중 아랫면의 제일 왼쪽에 배치되며, 제6키캡(532)과, 상기 제6키캡(532)의 배면에 결착되어 상기 제6키캡(532)의 상면에 대한 사용자 압압에 따른 동력을 제6스위치(536)로 제공하는 제6동력전달부재(534)와, 상기 제6동력전달부재(534)를 통해 전달되는 동력에 따라 온하는 제6스위치(536)로 구성된다. 상기 제7키는 상기 홀의 측면 중 아랫면의 왼쪽 두번째에 배치되며, 제7키캡(538)과, 상기 제7키캡(538)의 배면에 결착되어 상기 제7키캡(538)의 상면에 대한 사용자 압압에 따른 동력을 제7스위치(542)로 제공하는 제7동력전달부재(540)와, 상기 제7동력전달부재(540)를 통해 전달되는 동력에 따라 온하는 제7스위치(542)로 구성된다. 상기 제8키는 상기 홀의 측면중 아랫면의 오른쪽 두번째에 배치되며, 제8키캡(544)과, 상기 제8키캡(544)의 배면에 결착되어 상기 제8키캡(544)의 상면에 대한 사용자 압압에 따른 동력을 제8스위치(548)로 제공하는 제8동력전달부재(546)와, 상기 제8동력전달부재(546)를 통해 전달되는 동력에 따라 온하는 제8스위치(548)로 구성된다. 상기 제9키는 상기 홀의 측면 중 아랫면의 제일 오른쪽에 배치되며, 제9키캡(550)과, 상기 제9키캡(550)의 배면에 결착되어 상기 제9키캡(550)의 상면에 대한 사용자 압압에 따른 동력을 제9스위치(554)로 제공하는 제9동력전달부재(552)와, 상기 제9동력전달부재(552)를 통해 전달되는 동력에 따라 온하는 제9스위치(554)로 구성된다. 상기 제10키는 상기 홀의 측면 중 우측면에 배치되며, 제10키캡(556)과, 상기 제10키캡(556)의 배면에 결착되어 상기 제10키캡(556)의 상면에 대한 사용자 압압에 따른 동력을 제10스위치(550)로 제공하는 제10동력전달부재(556)와, 상기 제10동력전달부재(556)를 통해 전달되는 동력에 따라 온하는 제10스위치(560)로 구성된다. 상기 제11키는 상기 홀의 측면 중 윗면 제일 오른쪽에 배치되며, 제11키캡(562)과, 상기 제11키캡(562)의 배면에 결착되어 상기 제11키캡(562)의 상면에 대한 사용자 압압에 따른 동력을 제11스위치(566)로 제공하는 제11동력전달부재(564)와, 상기 제11동력전달부재(564)를 통해 전달되는 동력에 따라 온하는 제11스위치(566)로 구성된다. 상기 제12키는 상기 홀의 측면 중 윗면 오른쪽 두번째에 배치되며, 제12키캡(568)과, 상기 제12키캡(568)의 배면에 결착되어 상기 제12키캡(568)의 상면에 대한 사용자 압압에 따른 동력을 제12스위치(572)로 제공하는 제12동력전달부재(570)와, 상기 제12동력전달부재(570)를 통해 전달되는 동력에 따라 온하는 제12스위치(572)로 구성된다. 상기 제13키는 상기 홀의 측면 중 윗면 왼쪽 두번째에 배치되며, 제13키캡(574)과, 상기 제13키캡(574)의 배면에 결착되어 상기 제13키캡(574)의 상면에 대한 사용자 압압에 따른 동력을 제13스위치(578)로 제공하는 제13동력전달부재(576)와, 상기 제13동력전달부재(576)를 통해 전달되는 동력에 따라 온하는 제13스위치(578)로 구성된다. 상기 제14키는 상기 홀의 측면 중 윗면 제일 왼쪽에 배치되며, 제14키캡(580)과, 상기 제14키캡(580)의 배면에 결착되어 상기 제14키캡(580)의 상면에 대한 사용자 압압에 따른 동력을 제14스위치(584)로 제공하는 제14동력전달부재(582)와, 상기 제14동력전달부재(582)를 통해 전달되는 동력에 따라 온하는 제14스위치(584)로 구성된다. The key group device is formed in a rectangular three-dimensional pillar-shaped hole in which the upper surface is open to which a plurality of fingers can be inserted, and the first to fourteenth keys are arranged on the side surfaces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hole. Here, the first key is disposed on the leftmost side of the bottom of the hole, and is coupled to the first key cap 502 and the back of the first key cap 502 to press the user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key cap 502 And a first power transmission member 504 for providing power to the first switch 506 and a first switch 506 for turning on in accordance with the power transmitted through the first power transmission member 504. . The second key is disposed at the second left side of the bottom of the hole, and is attached to the second key cap 508 and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key cap 508, according to the user's pressur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key cap 508. 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member 510 for providing power to the second switch 512, and the second switch 512 to be turned on in accordance with the power transmitted through 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member 510. The third key is disposed at the second right side of the bottom of the hole, and is attached to the third key cap 514 and the rear surface of the third key cap 514, according to the user's pressur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hird key cap 514. A third power transmission member 516 for providing power to the third switch 518 and a third switch 518 for turning on in accordance with the power transmitted through the third power transmission member 516. The fourth key is disposed at the rightmost side of the bottom of the hole, and is attached to the fourth key cap 520 and the rear surface of the fourth key cap 520, according to the user's pressur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ourth key cap 520. The fourth power transmission member 522 for providing power to the fourth switch 524, and the fourth switch 524 for turning on in accordance with the power transmitted through the fourth power transmission member 522. The fifth key is disposed on the right side of the side of the hole, is coupled to the fifth key cap 526 and the back of the fifth key cap 526, the power according to the user pressur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fth key cap 526 The fifth power transmission member 526 to provide a fifth switch 530, and the fifth switch 530 to be turned on in accordance with the power transmitted through the fifth power transmission member 526. The sixth key is disposed at the leftmost side of the lower side of the side of the hole, and is coupled to the sixth keycap 532 and the rear surface of the sixth keycap 532 to press the user against the upper surface of the sixth keycap 532. And a sixth power transmission member 534 for providing power to the sixth switch 536 and a sixth switch 536 for turning on according to the power transmitted through the sixth power transmission member 534. . The seventh key is disposed at the second left side of the lower side of the side of the hole, and is coupled to the seventh keycap 538 and the rear surface of the seventh keycap 538 to press the user against the upper surface of the seventh keycap 538. And a seventh power transmission member 540 for providing power to the seventh switch 542 and a seventh switch 542 for turning on in accordance with the power transmitted through the seventh power transmission member 540. . The eighth key is disposed at the second right side of the lower side of the side of the hole, and is coupled to the eighth key cap 544 and the rear surface of the eighth key cap 544 to press the user against the upper surface of the eighth key cap 544. The eighth power transmission member 546 for providing power to the eighth switch 548, and the eighth switch 548 to be turned on in accordance with the power transmitted through the eighth power transmission member 546. . The ninth key is disposed at the rightmost side of the lower side of the side of the hole, and is coupled to the ninth keycap 550 and the rear surface of the ninth keycap 550 to press the user against the upper surface of the ninth keycap 550. And a ninth power transmission member 552 for providing power to the ninth switch 554 and a ninth switch 554 for turning on according to the power transmitted through the ninth power transmission member 552. . The tenth key is disposed on the right side of the side of the hole, and is coupled to the tenth key cap 556 and the rear surface of the tenth key cap 556, and the power according to the pressure of the user against the upper surface of the tenth key cap 556 is provided. The tenth power transmission member 556 to provide a to the tenth switch 550, and the tenth switch 560 to be turned on in accordance with the power transmitted through the tenth power transmission member 556. The eleventh key is disposed at the rightmost side of the upper side of the side of the hole, and is attached to the eleventh key cap 562 and the rear surface of the eleventh key cap 562 to be pressed by the user against the upper surface of the eleventh key cap 562. An eleventh power transmission member 564 for providing power to the eleventh switch 566 and an eleventh switch 566 for turning on according to the power transmitted through the eleventh power transmission member 564. The twelfth key is disposed on the second right side of the upper side of the hole, and is bound to the twelfth key cap 568 and the rear surface of the twelfth key cap 568 to the user pressure against the top surface of the twelfth key cap 568. The twelfth power transmission member 570 for supplying the power according to the twelfth switch 572, and the twelfth switch 572 to be turned on in accordance with the power transmitted through the twelfth power transmission member 570. The thirteenth key is disposed at a second upper left side of the side of the hole, and is attached to a thirteenth keycap 574 and a rear surface of the thirteenth keycap 574 so as to be pressed by a user against an upper surface of the thirteenth keycap 574. A thirteenth power transmission member 576 for providing power to the thirteenth switch 578 and a thirteenth switch 578 for turning on in accordance with the power transmitted through the thirteenth power transmission member 576. The fourteenth key is disposed at the leftmost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ide of the hole, and is coupled to the fourteenth keycap 580 and the rear surface of the fourteenth keycap 580 to be pressed by a user against the upper surface of the fourteenth keycap 580. The fourteenth power transmission member 582 for providing the power to the fourteenth switch 584, and the fourteenth switch 584 to be turned on in accordance with the power transmitted through the fourteenth power transmission member (582).

또한 상기 직사각 입체기둥 형태의 홀에는 상기 제1 내지 제14키캡(502,508,514,520,526,532,538,544,550,556,562,568,574,580) 각각과 결착된 제1 내지 제14동력전달부재(504,510,516,522,528,534,54,546,552,558,564,570,576,582)를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제1 내지 제14동력전달부재(504,510,516,522,528,534,54,546,552,558,564,570,576,582)가 제1 내지 제14스위치(506,512,518,524,530,536,542,548,554,560,566,572,578,584)를 사용자의 압압에 따라 압압하여 온되게 함과 아울러, 사용자의 압압이 없는 경우에는 원래의 상태로 복귀시켜 상기 제1 내지 제14스위치(506,512,518,524,530,536,542,548,554,560,566,572,578,584)가 오프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지지부재(500)가 삽입된다. In addition, the rectangular three-dimensional pillar-shaped hole has the first to fourteenth key caps 502,508,514,520,526,532,538,544,550,556,562,568,574,580, respectively, and the first to fourteenth power transmission members 504,510,516,522,528,534,54,546,552,558,564,570,576,582) and the above-mentioned powers. The members 504, 510, 516, 522, 528, 534, 54, 546, 552, 558, 564, 570, 576, 582 push the first to fourteenth switches 506, 512, 518, 524, 530, 536, 542, 548, 554, 560, 566, 572, 578, 584 according to the pressure of the user, and return to the original state if the pressure is not returned to the original state. A support member 500 is inserted to support (506,512,518,524,530,536,542,548,554,560,566,572,578,584) to be turned off.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키입력장치(400)는 직사각 입체기둥 형태의 홀의 네 측면 및 밑면에 각기 다른 하나 이상의 키를 배열하며, 상기 홀에 다수의 손가락을 넣고 상기 다수의 손가락을 네 측면 및 밑면 중 어느 한 면의 배치된 키캡을 압압하여 키를 조작할 수 있게 한다. The key input device 400 according to the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ranges one or more different keys on four sides and a bottom of a rectangular three-dimensional pillar-shaped hole, and puts a plurality of fingers into the hole. The finger is pressed against the disposed keycaps on either side of the four sides or the bottom to enable the manipulation of the keys.

상기한 바와 같이 적어도 14개의 키를 하나의 홀에 배열한 후에 다수의 손가락을 넣어 상기 14개의 키를 압압할 수 있게 구성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는, 키 배열을 위한 공간을 입체적으로 구성하여, 키입력장치(100)의 크기를 현격하게 감소시킴과 아울러 중지와 약지,소지 등과 같이 측면 이동이 쉽지 않는 손가락에 대해서는 측면키를 입력하지 않아도 되게 함으로써 조작상의 용이성을 극대화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t least fourteen keys are arranged in one hole and a plurality of fingers are inserted to press the fourteen keys, constitutes a three-dimensional space for key arrangement. In addition, the size of the key input device 100 is greatly reduced, and the ease of operation is maximized by eliminating the need to input side keys for fingers that are not easily moved to the side such as middle finger, ring finger, and the like.

상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키입력장치(400)는 키 그룹 장치의 키들을 직사각 입체기둥 형상의 홀에 형성함에 따라 중지가 가장 길고 나머지는 점점 짧아지는 인체에 대한 고려가 없었으므로, 상기 홀에 인체공학적 특징을 부여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Since the key input device 400 according to the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s the keys of the key group device in a rectangular three-dimensional pillar-shaped hole, the longest stop and the rest of the key input device 400 are not considered. In addition, the hole may be formed by giving an ergonomic characteristic.

<제3실시예>Third Embodiment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는 중지가 가장 길고 나머지는 점점 짧아지는 인체공학적 특성을 반영하여 키를 배열한 예를 나타낸 것이다. The thir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s an example in which keys are arranged to reflect the ergonomic characteristics of the longest suspension and the shorter rest.

상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키입력장치를 도 6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A key input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상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키입력장치(600)는 갈매기 형태의 외부 하우징 장치와, 제1 및 제2키 그룹 장치(602,604)로 구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키 그룹 장치(602,604) 각각은 직사각 입체기둥이 가운데 부분을 중심으로 휘어진 형상으로 형성된 홀의 측면들 및 밑면 각각에 배열된 14개의 키를 구비한다.The key input device 600 according to the thir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chevron type external housing device and first and second key group devices 602 and 604.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key group devices 602 and 604 includes fourteen keys arranged on each of side and bottom surfaces of a hole formed in a centered shape of a rectangular solid pillar.

이러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는 손가락의 인체공학적 특성을 반영하여 자연스러운 곡선을 가지도록 홀을 형성하여, 조작자의 편리성을 배가시킨다.
The thir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lects the ergonomic characteristics of the finger to form a hole to have a natural curve, thereby doubling the convenience of the operator.

<제4실시예><Fourth Embodiment>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실시예는 검지의 경우에는 상하좌우 이동이 매우 용이한 점을 감안하여, 검지의 경우에는 하나의 손가락이 인입되어 네 측면 및 밑면에 키를 조작할 수 있게 하는 키 그룹 장치를 부여하고, 나머지 손가락의 경우에는 제2실시예와 같이 일부 측면에 대해서는 키를 배치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In the fourth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of the detection, the key group device allows the user to operate the keys on the four sides and the bottom surface by allowing one finger to be inserted in consideration of the very easy movement. And the rest of the fingers, as in the second embodiment, so as not to place keys on some side surfaces.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실시예에 따른 키입력장치를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A key input device according to a fourth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상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실시예는 검지를 위해 하나의 손가락이 인입될 수 있는 정사각 및 직사각 입체기 둥형태의 홀의 네 측면과 밑면에 키가 하나씩 배치된 제2 및 제3키 그룹 장치(704,706)와, 중지 및 약지, 소지를 위해 세개의 손가락이 인입될 수 있는 직사각 입체기둥 형태의 홀의 네 측면과 밑면에 키가 하나 또는 세개씩 배치된 제1 및 제4키 그룹장치(702,708)를 구비한다.
According to a fourth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and third key group devices 704 and 706 are provided with one key on each of four sides and a bottom of a hole having a square and a rectangular solid column in which one finger can be inserted for the index finger. And first and fourth key group devices 702 and 708 with one or three keys arranged at four sides and bottom of a rectangular three-dimensional column-shaped hole into which three fingers can be inserted for stopping, ring finger, and possession. do.

<제5실시예><Fifth Embodiment>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5실시예는 손가락을 인입하여 조작하는 키입력장치의 사용상의 용이를 위해 상기 다각형 입체기둥의 측면을 손가락이 인입되는 방향으로 기울인 것이다. A fifth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cline the side surface of the polygonal three-dimensional column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nger is inserted for ease of use of the key input device for inserting and operating the finger.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5실시예에 따른 키 그룹 장치의 측면을 도시한 도 8의 (a)를 참조하면, 상기 키 그룹의 밑면(800)은 수평 또는 비수평이고, 측면들(802,804)은 오른쪽으로 미리 정해둔 각도로 밑면과 직각 또는 직각이 아니게 기울어지게 형성된다.
Referring to FIG. 8A, which illustrates a side of a key group device according to a fifth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ttom surface 800 of the key group is horizontal or non-horizontal, and the sides 802 and 804 are right. It is formed to be inclined not at right angles or at right angles to the base at a predetermined angle.

<제6실시예><Sixth Embodiment>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6실시예는 손가락을 인입하여 조작하는 키입력장치의 사용상의 용이를 위해 상기 다각형 입체기둥의 개구면이 벌어지게 형성한 것이다. According to a sixth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ning surface of the polygonal solid pillar is opened to facilitate the use of a key input device for inserting and manipulating a finger.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6실시예에 따른 키 그룹 장치의 측면을 도시한 도 8의 (b)를 참조하면, 상기 키 그룹의 밑면(806)은 수평 또는 비수평이고, 측면들(808,810)은 개구면이 벌어지는 방향으로 미리 정해둔 각도로 기울어지게 형성된다.
Referring to FIG. 8B, which shows the side of a key group device according to the sixth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ttom surface 806 of the key group is horizontal or non-horizontal, and the sides 808 and 810 are opened. It is formed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pherical surface opens.

<제7실시예>Seventh Embodiment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7실시예는 손가락을 인입하여 조작하는 키입력장치의 사용상의 용이를 위해 상기 다각형 입체기둥의 개구면이 좁아지게 형성한 것이다. In a seventh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ning surface of the polygonal solid pillar is narrowed for ease of use of a key input device for inserting and manipulating a finger.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7실시예에 따른 키 그룹 장치의 측면을 도시한 도 8의 (c)를 참조하면, 상기 키 그룹의 밑면(812)은 수평 또는 비수평이고, 측면들(814,816)은 개구면이 좁아지는 방향으로 미리 정해둔 각도로 기울어지게 형성된다.
Referring to FIG. 8C, which illustrates a side of a key group device according to a seventh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ttom surface 812 of the key group is horizontal or non-horizontal, and the sides 814 and 816 are opened. The spherical surface is formed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in the direction of narrowing.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서는 키캡과 스위치간을 동력전달부재로 명명한 막대형상으로만 예시하였으나, 상기 동력전달부재로는 멤브레인 방식 또는 정전용량 무접점 방식, 펜터그래프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이 채용될 수 있음은 본 발명에 의해 자명하다. In the above-described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keycap and the switch are exemplified by a bar shape named as a power transmission member. However, as the power transmission member, various methods such as a membrane method, a capacitive contactless method, and a pentergraph method are used. It is apparent by the present invention that it can be employed.

100 : 키 입력장치
102 : 외부 하우징 장치
104~118 : 제1 내지 제8키 그룹 장치
100: key input device
102: external housing device
104 to 118: 1st to 8th key group device

Claims (7)

키입력장치에 있어서,
상면이 개방된 다각형 입체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된 다수의 홀;
상기 다수의 홀의 측면들 및 밑면 각각에 하나 이상 배열된 다수의 키캡;
상기 다수의 키캡에 대응되며 압압에 따라 온되는 다수의 스위치;
상기 다수의 키캡 각각과 결착되어 사용자의 압압에 따른 동력을 각 키캡에 대응되는 스위치로 전달하는 다수의 동력전달부재;
상기 다수의 키캡에 결착된 상기 다수의 동력전달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재;
상기 다수의 스위치의 온에 따른 키입력신호를 생성하여 호스트 장치로 전송하는 제어모듈;
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키입력장치.
In a key input device,
A plurality of holes formed in the shape of a polygonal three-dimensional column with an open top surface;
A plurality of keycaps arranged on one or more sides of each of the side and bottom surfaces of the plurality of holes;
A plurality of switche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keycaps and turned on according to pressure;
A plurality of power transmission members which are coupl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keycaps and transfer power to a switch corresponding to each keycap according to the pressure of the user;
A support member supporting the plurality of power transmission members fastened to the plurality of keycaps;
A control module for generating a key input signal according to the on of the plurality of switches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key input signal to a host device;
Key in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키입력장치에 있어서,
하나의 손가락이 인입될 수 있으며, 상면이 개방된 다각형 입체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다수의 홀;
상기 다수의 홀의 측면들 및 밑면 각각에 하나씩 배열된 다수의 키캡;
상기 다수의 키캡에 대응되며 압압에 따라 온되는 다수의 스위치;
상기 다수의 키캡 각각과 결착되어 사용자의 압압에 따른 동력을 각 키캡에 대응되는 스위치로 전달하는 다수의 동력전달부재;
상기 다수의 키캡에 결착된 상기 다수의 동력전달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재;
상기 다수의 스위치의 온에 따른 키입력신호를 생성하여 호스트 장치로 전송하는 제어모듈;
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키입력장치.
In a key input device,
One finger can be inserted, a plurality of holes formed in a polygonal three-dimensional column shape of the upper surface is open;
A plurality of keycaps arranged one on each of side and bottom surfaces of the plurality of holes;
A plurality of switche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keycaps and turned on according to pressure;
A plurality of power transmission members which are coupl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keycaps and transfer power to a switch corresponding to each keycap according to the pressure of the user;
A support member supporting the plurality of power transmission members fastened to the plurality of keycaps;
A control module for generating a key input signal according to the on of the plurality of switches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key input signal to a host device;
Key in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키입력장치에 있어서,
다수의 손가락이 인입될 수 있으며, 상면이 개방된 다각형 입체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다수의 홀;
상기 다수의 홀 중 측면 중 왼쪽과 오른쪽면에는 하나가 배열되고, 나머지 측면들과 밑면들에는 다수가 배열된 다수의 키캡;
상기 다수의 키캡에 대응되며 압압에 따라 온되는 다수의 스위치;
상기 다수의 키캡 각각과 결착되어 사용자의 압압에 따른 동력을 각 키캡에 대응되는 스위치로 전달하는 다수의 동력전달부재;
상기 다수의 키캡에 결착된 상기 다수의 동력전달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재;
상기 다수의 스위치의 온에 따른 키입력신호를 생성하여 호스트 장치로 전송하는 제어모듈;
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키입력장치.
In a key input device,
A plurality of holes can be inserted, a plurality of holes formed in a polygonal three-dimensional column shape of the upper surface is open;
A plurality of keycaps, one of which is arranged at a left side and a right side of the plurality of holes, and a plurality of which are arranged at the other side and the bottom;
A plurality of switche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keycaps and turned on according to pressure;
A plurality of power transmission members which are coupl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keycaps and transfer power to a switch corresponding to each keycap according to the pressure of the user;
A support member supporting the plurality of power transmission members fastened to the plurality of keycaps;
A control module for generating a key input signal according to the on of the plurality of switches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key input signal to a host device;
Key in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키입력장치에 있어서,
하나의 손가락이 인입될 수 있으며, 상면이 개방된 다각형 입체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다수의 홀, 상기 다수의 홀의 측면들 및 밑면 각각에 하나씩 배열된 다수의 키캡, 상기 다수의 키캡에 대응되며 압압에 따라 온되는 다수의 스위치, 상기 다수의 키캡 각각과 결착되어 사용자의 압압에 따른 동력을 각 키캡에 대응되는 스위치로 전달하는 다수의 동력전달부재, 상기 다수의 키캡에 결착된 상기 다수의 동력전달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로 구성되는 제1키 그룹장치들;
다수의 손가락이 인입될 수 있으며, 상면이 개방된 직사각 입체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다수의 홀, 상기 다수의 홀 중 측면 중 왼쪽과 오른쪽면에는 하나가 배열되고, 나머지 측면들과 밑면들에는 다수가 배열된 다수의 키캡, 상기 다수의 키캡에 대응되며 압압에 따라 온되는 다수의 스위치, 상기 다수의 키캡 각각과 결착되어 사용자의 압압에 따른 동력을 각 키캡에 대응되는 스위치로 전달하는 다수의 동력전달부재, 상기 다수의 키캡에 결착된 상기 다수의 동력전달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로 구성되는 제2키 그룹 장치들;
상기 제1키 그룹 장치들 및 상기 제2키그룹 장치들에 구비되는 다수의 스위치의 온에 따른 키입력신호를 생성하여 호스트 장치로 전송하는 제어모듈;
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키입력장치.
In a key input device,
One finger can be inserted, a plurality of holes formed in a polygonal three-dimensional column shape with an open top, a plurality of keycaps arranged on each of the sides and bottom of the plurality of hole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keycaps and according to the pressure A plurality of switches that are turned on, a plurality of power transmission members coupl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keycaps to transfer power according to a user's pressure to a switch corresponding to each keycap, and the plurality of power transmission members bound to the plurality of keycaps First key group devices composed of a supporting member for supporting;
A plurality of fingers can be inserted, a plurality of holes formed in a rectangular three-dimensional column shape with an open upper surface, one of the plurality of holes is arrang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ide, the other side and the bottom are arranged a plurality A plurality of keycaps, a plurality of switche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keycaps and turned on according to pressure, and a plurality of power transmission members that are coupl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keycaps and transfer power according to the pressure of the user to a switch corresponding to each keycap. Second key group devices comprising a support member for supporting the plurality of power transmission members attached to the plurality of keycaps;
A control module for generating a key input signal according to the on of a plurality of switches provided in the first key group devices and the second key group devices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key input signal to a host device;
Key input device comprising a.
삭제delete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재는 기계식 방식, 멤브레인 방식 또는 정전용량 무접점 방식, 펜터그래프 방식 중 어느 한 키보드 방식에 따른 동력전달부재임을 특징으로 하는 키입력장치.
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The power transmission member is a key in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power transmission member according to any one of a mechanical method, a membrane method or a capacitive contactless method, a pentergraph method.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각형 입체 기둥의 측면은,
미리 정해둔 방향으로 미리 정해둔 각도로 기울어지거나,
개구면이 벌어지는 방향으로 미리 정해둔 각도로 기울어지거나,
개구면이 좁아지는 방향으로 미리 정해둔 각도로 기울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키입력장치.
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The side surface of the polygonal solid pillar,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in the direction of opening
And a key input devic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opening surface is narrowed.
KR1020110015066A 2011-02-21 2011-02-21 keyboard KR10126374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5066A KR101263743B1 (en) 2011-02-21 2011-02-21 keyboar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5066A KR101263743B1 (en) 2011-02-21 2011-02-21 keyboar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5630A KR20120095630A (en) 2012-08-29
KR101263743B1 true KR101263743B1 (en) 2013-05-13

Family

ID=46886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5066A KR101263743B1 (en) 2011-02-21 2011-02-21 keyboar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3743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08156A (en) 2002-04-17 2003-10-31 Murata Mfg Co Ltd Key input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or provided with key input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08156A (en) 2002-04-17 2003-10-31 Murata Mfg Co Ltd Key input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or provided with key input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5630A (en) 2012-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140481B (en) Human interface system
US7378991B2 (en) Condensed keyboard for electronic devices
CN201392758Y (en) Handhel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EA011269B1 (en) Active keyboard system for handheld electronic devices
TW200529636A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KR20070053797A (en) A keyboard used in the information terminal and arrangement thereof
US7414614B2 (en) User interface
US20100039759A1 (en) Keyboard
KR101263743B1 (en) keyboard
WO2005064804A1 (en) Data input apparatus and data input method using the same
US20140267058A1 (en) Ambidextrous chord keying device for use with hand-held computer
US20030002007A1 (en) Handheld device with QWERTY keyboard and display
US8011842B2 (en) Apparatus for ergonomic typing
KR100749557B1 (en) Data input apparatus
US20030193418A1 (en) Method and Apparatus To Input Text On Devices Requiring A Small Keypad
KR20110098477A (en) Method for inputting word using circle character board and user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KR100777653B1 (en) Data input apparatus
KR102332178B1 (en) Time shortening keyboard system for disabled person and methods for use
JPS6077231A (en) Device for controlling movement of cursor
KR102659716B1 (en) Portable Keyboard
JP2000089896A (en) Code input device
KR102307004B1 (en) Korean alphabet keyboard with common vowel buttons for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inputting vowel using thereof
KR20070001447A (en) Mobile device containing input modules at the backside of the device
KR20070010512A (en) Keyboard which has function of mouse
KR20070071008A (en) Portable terminal keyboar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