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3290B1 - Functional pillow cover with volume pad - Google Patents

Functional pillow cover with volume pa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3290B1
KR101263290B1 KR1020100133835A KR20100133835A KR101263290B1 KR 101263290 B1 KR101263290 B1 KR 101263290B1 KR 1020100133835 A KR1020100133835 A KR 1020100133835A KR 20100133835 A KR20100133835 A KR 20100133835A KR 101263290 B1 KR101263290 B1 KR 1012632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low cover
pad
pillow
inner cushion
volume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383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072062A (en
Inventor
김권주
Original Assignee
(주)대도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도산업 filed Critical (주)대도산업
Priority to KR10201001338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3290B1/en
Publication of KR201200720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206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32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329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08Apparatus for applying pressure or blows almost perpendicular to the body or limb axis, e.g. chiropractic devices for repositioning vertebrae, correcting deformation

Abstract

본 발명은 부피형성패드를 구비한 기능성 베개커버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베개커버에 부피형성패드를 착탈 가능하게 부착하여 일반 평면쿠션을 갖는 베개에 장착해 경추지지에 의한 코골이방지 기능과 측면취침시의 높이 맞춤 기능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기능성 베개커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직사각형을 갖는 내부쿠션의 외부를 덧씌우는 베개커버에 있어서, 상기 베개커버 내면에는 내부쿠션의 상부면에 위치하도록 부피형성패드가 안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피형성패드는 내부쿠션의 길이방향 양측에 위치하여 측면취침시 머리를 지지하는 측두받침용패드이거나, 내부쿠션의 중간부분 상하에 위치하여 경추를 지지하는 경추받침용패드일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nctional pillow cover having a volume forming pad, and more specifically, to a pillow cover having a general flat cushion by detachably attaching the volume forming pad to the pillow cover and preventing snoring by cervical suppor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nctional pillow cover that can simultaneously provide a height adjusting function when sleeping.
The present invention is a pillow cover for covering the outside of the inner cushion having a rectangular, characterized in that the volume forming pad is plac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illow cover to be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cushion.
The volume forming pads may be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inner cush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support the head when lateral bedtime, or may be a cervical support pad to support the cervical spine located above and below the middle portion of the inner cushion.

Description

부피형성패드를 구비한 기능성 베개커버{FUNCTIONAL PILLOW COVER WITH VOLUME PAD}FUNCTIONAL PILLOW COVER WITH VOLUME PAD}

본 발명은 부피형성패드를 구비한 기능성 베개커버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베개커버에 부피형성패드를 착탈 가능하게 부착하여 일반 평면쿠션을 갖는 베개에 장착해 경추지지에 의한 코골이방지 기능과 측면취침시의 높이 맞춤 기능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기능성 베개커버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nctional pillow cover having a volume forming pad, and more specifically, to a pillow cover having a general flat cushion by detachably attaching the volume forming pad to the pillow cover and preventing snoring by cervical suppor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nctional pillow cover that can simultaneously provide a height adjusting function when sleeping.

일반적으로 베개는 취침 또는 휴식을 위해 누웠을 때 머리를 편하게 받치는 침구로써 숙면을 유도하고 경추 보호를 통한 신체구조의 안정성을 확보하여 호흡과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Generally, a pillow is a bedding that comfortably supports the head when lying down for bedtime or rest, and induces a good night's sleep and secures the stability of the body structure through cervical spine protection.

사람이 위를 보고 누우면 후두부가 경추보다 더 돌출됨으로 각 신체부위에 대한 압박이 부위별로 크게 차이가 나서 편안한 휴식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즉, 상기 베개는 상부면이 평면을 갖는 정형적인 형태를 갖고 있어 사용자가 위를 보고 누웠을 때 후두부와 경추부분의 다른 돌출높이에 의해 턱을 몸체로 당기는 자세로 눕게된다. 물론 베개의 몸체를 완충기능이 있는 쿠션으로 형성하여 어느정도 높이차를 흡수하도록 하고 있으나 이 역시 머리와 목에 대한 압력차를 좁히는데는 한계가 있었다. When the person is lying on the stomach, the back of the head is more protruding than the cervical spine, so the pressure on each part of the body varies greatly from site to site, thus providing no comfortable rest. That is, the pillow has a regular shape with a flat upper surface, so that the user lies down in a posture to pull the jaw to the body by different heights of protrusion of the back of the head and cervical spine when lying down. Of course, the pillow body is formed as a cushion with a cushioning function to absorb the height difference to some extent, but this also had a limit to narrow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head and neck.

근래에는 라텍스 또는 메모리폼과 같이 후두부가 위치하는 부분과 경추가 위치하는 부분의 두께를 달리하는 베개가 출시되어 후두부와 경추에 동일한 압력이 작용하도록 하여 숙면에 도움이 되도록 하고 있다.Recently, pillows with different thicknesses of the part of the back of the head and the location of the cervical spine, such as latex or memory foam, have been released, so that the same pressure acts on the back of the head and cervical spine to help sleep.

그러나 상기 베개도 머리와 목부분의 상하방향인 베개폭으로는 높이차가 형성되나 좌우 방향인 베개길이방향으로는 동일한 높이를 제공하고 있어 사용자가 옆으로 누웠을때 지면으로부터 머리까지 간격차가 발생되어 불편해진다. However, the pillow also has a height difference in the width of the pillow head and neck, but the same height is provided in the direction of the pillow length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so when the user is lying on the side, the gap is generated from the ground to the head uncomfortable .

이와같이 수면시 취해지는 자세에 따라 발생되는 높이차는 수면을 취한 후에 목덜미나 어깨 또는 허리 등이 결리게 되어 목디스크, 어깨결림 및 허리디스크 등이 발병되는 원인이 된다. In this way, the height difference generated according to the posture taken during sleep causes neck, shoulder, or waist to become stiff after taking a sleep, which causes neck discs, stiff shoulders, and waist discs to develop.

이에 공개특허 10-2007-0043320의 "경추 및 어깨 결림 방지 높낮이 베개"에서는 베개의 쿠션부재를 다수 구획하고, 구획된 베개 길이방향의 양측면과, 중간부분에서의 베개 폭방향 상하 및 중심 부분 높이를 서로 달리 형성하여 사용자가 바로 눕거나 측면으로 누웠을 때 가변되는 머리높이를 지지할 수 있는 베개를 제공하고 있다.Thus, in the "cervical spine and shoulder stiffness preventing height pillow" of Patent Publication No. 10-2007-0043320, a plurality of cushion members of the pillow are partitioned, and both sides of the partitioned pillow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pillow width direction up and down and the center part height in the middle part are divided. Formed differently to provide a pillow that can support the variable head height when the user lies directly or lying on the side.

상기 공개특허는 다양한 높이에 대한 지지력을 제공하는 효과는 있지만 필요에 따라 일측부분에 대한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내부 충진물을 빼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즉, 경추받침과 양측면의 돌출은 상황에 따라 필요유무가 수시로 변경됨으로 이때마다 충진물의 충진 또는 제거하기에 번거로움이 있는 것이다.
The disclosed patent has the effect of providing support for various heights, but there is a hassle to take out the internal filling to adjust the height for one side as needed. That is, the cervical spine support and the protrusions on both sides have a need to change from time to time depending on the situation, which is cumbersome to fill or remove the filling.

이에 본 발명의 부피형성패드를 구비한 기능성 베개커버는,The functional pillow cover with a volume forming pad of the present invention,

베개를 돌출시키는 부피형성패드를 베개커버 내측면에 안치시켜 평평한 기존 쿠션부재에 베개커버를 씌워도 베개의 양측면과 경추가 위치하는 부분을 돌출시킬 수 있으므로, 경추지지와 코골이방지 및 측면취침시 높은 위치의 머리를 지지하는 등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베개커버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Since the volume forming pad which protrudes the pillow is placed on the inner side of the pillow cover, even if the pillow cover is put on the existing flat cushion member, the sides of the pillow and the cervical spine can be protrude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illow cover having various functions such as supporting a head of a high position.

상기 과제를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부피형성패드를 구비한 기능성 베개커버는,Functional pillow cover with a volume forming pad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직사각형을 갖는 내부쿠션의 외부를 덧씌우는 베개커버에 있어서, 상기 베개커버 내면에는 내부쿠션의 상부면에 위치하도록 부피형성패드가 안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illow cover for covering the outside of the inner cushion having a rectangular, characterized in that the volume forming pad is plac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illow cover to be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cushion.

상기 부피형성패드는 내부쿠션의 길이방향 양측에 위치하여 측면취침시 머리를 지지하는 측두받침용패드이거나, 내부쿠션의 중간부분 상하에 위치하여 경추를 지지하는 경추받침용패드일 수 있다. The volume forming pads may be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inner cush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support the head when lateral bedtime, or may be a cervical support pad to support the cervical spine located above and below the middle portion of the inner cushion.

또한, 상기 부피형성패드의 안치방법으로는 베개커버 내면에는 주머니를 형성하고, 상기 주머니 내부에 부피형성패드를 담아 위치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베개커버 내면과 부피형성패드를 벨크로테이프로 부착시켜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as a method of placing the volume forming pad, a bag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illow cover, and the volume forming pad is placed inside the bag to fix the position, or the pillow cover inner surface and the volume forming pad are attached by Velcro tape. Can be.

아울러 상기 부피형성패드는 베개커버 내면에 일체로 형성되고, 일측에 개폐구가 형성되어 내부충진물의 충진량을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volume forming pad is integrally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illow cover, the opening and closing port is formed on one side to adjust the filling amount of the internal filling.

이상에서 상세히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부피형성패드를 구비한 기능성 베개커버는,As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functional pillow cover with a volume forming pad of the present invention,

베개를 돌출시키는 부피형성패드는 내장하여 평평한 기존 쿠션부재에 씌워도 베개의 양측면과 경추가 위치하는 부분을 돌출시킬 수 있도록 하여 경추지지와 코골이방지 및 측면취침시 높은 위치의 머리를 지지하는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The volume-forming pad that protrudes the pillow is built into the existing flat cushion member so that both sides of the pillow and the cervical spine can be protruded to prevent cervical vertebrae and snoring and support the head in high position during bedtime. It is effective to provide various function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베개커버를 장착한 사아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와 도 3은 도 1의 A-A단면과, B-B단면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베개커버의 내측면을 도시한 평면도.
도 5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피형성패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과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베개커버를 도시한 사시도.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arge Asia Pacific with a pillow c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and 3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 cross-section AA and BB cross-sectional view of FIG.
Figure 4 is a plan view showing the inner side of the pillow c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volume forming p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and 7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pillow cov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베개커버를 장착한 사아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와 3은 도 1의 A-A단면과 B-B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our Asia Pacific with a pillow c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2 and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section A-A and B-B of FIG.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베개커버(10)는 상부면이 평면으로 된 직사각 육면체로 형성된 내부쿠션(60)의 외부를 덧씌우게 형성된다. 상기 베개커버는 내면에 부피형성패드(20)가 안치되어 내부쿠션에 적용했을때 상기 부피형성패드가 내부쿠션 상면에 위치하도록 한다. As shown, the functional pillow cove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to cover the outside of the inner cushion 60 formed of a rectangular hexahedron whose upper surface is flat. The pillow cover has a volume forming pad 20 placed on the inner surface so that the volume forming pad is located on the inner cushion upper surface when applied to the inner cushion.

이러한 부피형성패드(20)는 내부쿠션의 길이방향양측에 위치하는 측두받침용패드(21)와, 내부쿠션 중간의 상하부분에 위치하는 경추받침용패드(22)로 구분될 수 있다. The volume forming pad 20 may be divided into a temporal support pad 21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inner cush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cervical spine support pad 22 positioned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inner cushion.

상기 측두받침용패드(21)는 사용자가 측면취침시 어깨에 의해 발생되는 지면과 머리에 높이차를 해소하여 머리를 지지하고 어깨에 가해지는 압박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The temporal support pad 21 serves to remove the pressure applied to the shoulder by eliminating the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user and the head caused by the shoulder when the user is sleeping on the side.

또한, 상기 경추받침용패드(22)는 내부쿠션에서 사용자의 목이 위치하는 부분에 형성되어 누웠을 때 경추에 가해지는 압박을 제거하여 경추가 곡면으로 안정적으로 안치될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cervical spine support pad 22 is formed in a portion where the user's neck is located in the inner cushion so as to remove the pressure applied to the cervical spine so that the cervical spine can be stably placed on the curved surface.

상기 부피형성패드(20)를 구성하는 측두받침용패드(21)와 경추받침용패드(22)는 내부에 충진되는 물질을 달리하여 다양한 추가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내부에 황토, 세라믹볼, 메밀을 충진하여 원적외선과 음이온 효과를 얻도록 하거나, 향을 발생시키는 물질(솔잎, 편백나뭇잎, 향나무, 꽃잎, 허브 등)을 충진하여 향발산으로 인한 아로마테라피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The temporal support pad 21 and the cervical spine support pad 22 constituting the volume forming pad 20 may provide various additional functions by varying materials filled therein. For example, by filling ocher, ceramic balls, and buckwheat inside to obtain far-infrared rays and anion effects, or filling incense-causing substances (pine needles, cypress leaves, juniper, petals, herbs, etc.) Can provide.

아울러 상기 부피형성패드(20)는 일측에 개폐구(23)가 형성되어 내부충진물의 충진정도를 조절하여 높이가 조절되도록 하거나, 충진물의 세척 또는 패드본체의 세척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volume forming pad 20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opening and closing port 23 to adjust the filling degree of the internal filling to adjust the height, or to facilitate the washing of the filling or pad body.

상기 측두받침용패드(21)와 경추받침용패드(22)는 어느 일측만 설치하여 사용되거나 모두 선택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모두 사용한 경우에는 도 1에서와 같이 베개의 정중앙부분을 제외하고는 사방이 돌출된 형태를 갖는다. 이때 돌출된 높이는 정중앙부분이 제일 낮고, 양측면인 측두받침용패드(21)가 제일 높게 형성하고, 경추받침용패드(22)는 중간정도의 높이를 갖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베개를 베게되면 머리 뒷통수 부분이 정중앙의 홈에 위치하게 되면서 목은 경추받침용패드(22)에 지지되고, 머리 양측면은 측두받침용패드(21) 측면에 기대어 베개에 머리가 파묻히는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측면으로 취침할시 측두받침용패드를 베어 머리의 기울임없이 지지가 이루어짐으로 높이가 낮은 베개를 벰으로써 어깨에 작용되는 압력을 제거할 수 있다.
The temporal support pad 21 and the cervical spine support pad 22 may be used by installing only one side or may be used by selecting all of them. When all of the above is used as shown in Figure 1 except for the central portion of the pillow has a shape protruding. At this time, the height of the protruding center is the lowest, the side pads 21, which are the two sides, the highest is formed, and the cervical spine pad 22 is to have a medium height. Therefore, when the user cuts the pillow, the head back of the head is located in the groove of the center, and the neck is supported by the cervical support pad 22, and both sides of the head are leaning against the side of the temporal support pad 21, and the head is undone on the pillow. Can provide buried comfort. In addition, the user can remove the pressure applied to the shoulder by holding the pillow of low height as the support is made without inclining the head of the head when the user sleeps on the side.

이와같이 측두받침용패드와 경추받침용패드로 구성되는 부피형성패드(20)를 베개커버(10)에 고정시키는 방법으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베개커버 내측면에 주머니(30)를 형성하여 상기 주머니에 부피형성패드(20)를 삽설하도록 하는 방법이 있다. Thus, as a method of fixing the volume forming pad (20) consisting of the temporal support pad and the cervical support pad to the pillow cover 10 to form a pocket 30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illow cover as shown in FIG. There is a method to insert the volume forming pad 20 in the pocket.

상기 주머니(30)를 형성하는 방법으로는 내부쿠션 상면의 길이방향과 대응되는 베개커버 내측면에 제1내피(31)를 덧붙이고,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1내피의 양단과, 이에 근접한 양측면을 베개커버에 재봉(33)하여 이루어진다. 이와같이 제1내피(31)의 양단에 형성된 대주머니(34)에는 제1내피의 중앙부분인 재봉이 이루어지지 않은 부분을 통해 측두받침용패드(21)를 삽입안치할 수 있다. 여기서 제1내피(31)의 중간부분은 그 폭을 좁게 형성하여 측두받침용패드를 대주머니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In the method of forming the bag 30, the first endothelial 31 is added to the inner side of the pillow cover corresponding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ner cushion upper surface, and both ends of the first endothelial formed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both side surfaces adjacent thereto. It is made by sewing 33 to the pillow cover. In this way, the large pockets 34 formed at both ends of the first endothelial 31 may be inserted and placed in the temporal support pad 21 through a portion in which the center portion of the first endothelial is not sewn. Here, the middle portion of the first endothelial 31 may be formed to have a narrow width so that the temporal support pad can be easily inserted into the large pocket.

아울러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를 갖는 경추받침용패드(22)는 도시된 바와같이 내부쿠션 상면의 중간부분 상하에 대응되는 베개커버 내측부분에 제2내피(32)를 덧붙이고 "ㄷ"자 형태로 재봉(33)하여 소주머니(35)를 형성하고 이의 공간에 삽설하여 보관된다. 여기서 상기 소주머니의 개구된 방향은 두 소주머니가 대향되는 중앙부분 또는 외측방향으로 향하는 부분으로 선택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ervical spine support pad 22 having a relatively small size has a second endothelial 32 attached to the inner portion of the pillow cover corresponding to the upper and lower middle portions of the upper inner cushion as shown in the figure, and is sewn in the form of "c" ( 33) to form a small pocket (35) and inserted into the space is stored. In this case, the opened direction of the small pockets may be selectively formed as a central portion or a portion facing outwardly facing the two small pockets.

상기 부피형성패드(20)를 베개커버(10)에 고정시키는 다른 방법으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벨크로테이프(40)에 의해 부착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부피형성패드를 구성하는 측두받침용패드와 경추받침용패드에 벨크로테이프를 형성하여 필요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베개커버 내면에 부착하거나 특정위치에 부착하여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Another method of fixing the volume forming pad 20 to the pillow cover 10 may be to be attached by the Velcro tape 40 as shown in FIG. That is, the Velcro tape is formed on the temporal support pad and the cervical spine support pad constituting the volume forming pad, and may be selectively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pillow cover or attached to a specific position as necessary.

상기한 바와같이 구성되는 베개커버(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이 내부쿠션을 감쌀 수 있도록 내부쿠션의 폭방향으로 길게 형성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형태의 베개커버는 내부에 고정끈(50)이 내부쿠션의 길이방향으로 다수 형성되어 감싸 놓은 베개커버가 풀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상기 고정끈(50)은 베개커버의 길이방향 일단에 근접한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고 단부를 벨크로테이프로 형성하여 부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외에 끈으로 돌출되지 않고 베개커버 길이방향의 일단 내측면에 벨크로테이프로 형성된 형태 등 다양한 공지된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The pillow cover 1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inner cushion to cover the inner cushion as shown in FIG. The pillow cover of the above shape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ner cushion with a plurality of fixing straps 50 to prevent the wrapped pillow cover is released. The fixing strap 50 may protrude from an inner surface close to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illow cover and form an end portion with a Velcro tape to facilitate attachment. In addition, various well-known methods such as a form formed of velcro tape on one inner surface of the pillow cov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out protruding with a string may be applied.

다음으로 상기 베개커버는 도 7에 도시된 바와같이 내부쿠션의 상부면과 상하부의 측면만 덮을 수 있도록 내부쿠션 폭방향의 길이가 짧은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내부쿠션(60)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끈(50)이 상기 베개커버의 내면으로부터 다수 연장 형성된다. 이러한 베개커버는 내부쿠션의 상부에 안치된 상태에서 고정끈으로 내부쿠션을 감아서 체결해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끈은 베개커버의 내측면 중 상하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사용시 베개커버가 들뜨는 것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외에 이에 재봉된 제1내피로부터 연장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Next, the pillow cover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short length of the inner cushion width direction to cover only the upper surface and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inner cushion, as shown in Figure 7, for fixing to the inner cushion 60 Fixing strap 50 is formed to extend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pillow cover. The pillow cover is fastened by fastening the inner cushion with a fixing strap in a state where it is placed on the upper side of the inner cushion. In this case, the fixing strap may extend from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inner surface of the pillow cover to prevent the pillow cover from lifting during use, and may be formed to extend from the first endothelial stitched thereto.

상기한 방법 이외에 부피형성패드가 일체로 형성된 베개커버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일체형일 경우 베개커버의 내측면에는 개폐구를 형성하여 내부충진물의 충진량 조절이 직접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예컨대 베개커버에 형성되는 부피형성패드는 내부쿠션의 양측면과 중간의 상하 부분에 각각 대응되는 위치인 4부분에 돌출된다. 상기 4개 부분에는 각각 개별적인 개폐구를 형성하여 내부충진물의 충진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각 부분을 주머니 형태로 하여 별도로 마련된 부피형성패드를 삽설하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method can provide a pillow cover formed integrally with the volume forming pad. In the case of the integral type, opening and closing holes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illow cover to directly control the filling amount of the internal filling. For example, the volume forming pad formed on the pillow cover protrudes into four portions corresponding to upper and lower portions of both sides and the middle of the inner cushion, respectively. Each of the four portions may be formed to open and close each of the individual to control the filling of the internal filling, or each portion in the form of a bag can be inserted into the volume forming pad provided separately.

상기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기능성 베개커버는 굴곡이 없는 내부쿠션에 장착하여도 베개의 상면에 돌출부를 형성하여 경추지지나 측면취침시 높아진 머리를 지지하여 어깨압박을 최소화하여 숙면을 취할 수 있게 한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functional pillow cover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protrus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illow even when the inner cushion is not curved to support the elevated head during cervical spine support or side bedtime, thereby minimizing shoulder pressure to take a good night's sleep. will be.

10 : 베개커버
20 : 부피형성패드
21 : 측두받침용패드 22 : 경추받침용패드
23 : 개폐구
30 : 주머니
31 : 제1내피 32 : 제2내피
33 : 재봉 34 : 대주머니
35 : 소주머니
40 : 벨크로테이프
50 : 고정끈
60 : 내부쿠션
10: pillow cover
20: volume forming pad
21: temporal support pad 22: cervical spine support pad
23: opening and closing
30: pocket
31: first endothelial 32: second endothelial
33: sewing 34: large pocket
35: Small pocket
40: Velcro tape
50: tie string
60: inner cushion

Claims (7)

직사각형을 갖는 내부쿠션의 외부를 덧씌우는 베개커버에 있어서,
상기 베개커버(10) 내면에는 내부쿠션(60)의 상부면에 위치하도록 부피형성패드(20)가 안치되며,
상기 부피형성패드(20)는 내부쿠션의 길이방향 양측에 위치하여 측면취침시 머리를 지지하는 측두받침용패드(21)와, 내부쿠션의 중간부분 상하에 위치하여 경추를 지지하는 경추받침용패드(22)로 이루어지고,
상기 부피형성패드(20)의 안치방법으로는 베개커버 내면에 주머니(30)를 형성하고, 상기 주머니 내부에 부피형성패드(20)를 담아 위치고정이 이루어지며,
상기 주머니(30)는 내부쿠션 상면의 길이방향과 대응되는 베개커버 내측면에 제1내피(31)를 덧붙이고,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1내피의 양단과 이에 근접한 양측면을 베개커버에 재봉(33)하여 이루어져 상기 제1내피(31)의 양단에 형성된 대주머니(34)에 제1내피의 중앙부분인 재봉이 이루어지지 않은 부분을 통해 측두받침용패드(21)를 삽입 안치하고, 상기 경추받침용패드(22)는 베개커버 내측부분에 제2내피(32)를 덧붙이고 "ㄷ"자 형태로 재봉(33)하여 소주머니(35)를 형성하고 이의 공간에 삽입 안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베개커버.
In the pillow cover which covers the outside of the inner cushion having a rectangle,
The inner surface of the pillow cover 10 is the volume forming pad 20 is placed so as to be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cushion (60),
The volume forming pad 20 is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inner cush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ead support pad 21 for supporting the head when sleeping on the side, and the cervical spine support pads located above and below the middle portion of the inner cushion to support the cervical spine Consisting of 22,
As the settlement method of the volume forming pad 20, the bag 30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illow cover, and the position is fixed by putting the volume forming pad 20 in the inside of the bag,
The pocket 30 has a first endothelial 31 added to the inner side of the pillow cover corresponding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ner cushion upper surface, and both ends of the first endothelial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both sides adjacent thereto are sewn on the pillow cover 33 ) Is placed in the large pockets 34 formed on both ends of the first endothelial 31 and inserted into the temporal support pad 21 through a portion in which the center portion of the first endothelial is not made. The pad 22 is a functional pillow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endothelial 32 is added to the inner side of the pillow cover and sewn in the shape of a "c" to form a small pocket 35 and inserted into its space. cov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개커버(10)는 내부쿠션의 폭방향으로 짧게 형성하여 내부쿠션의 상부면과 상하부면과 전후면만 덮도록 하고, 베개커버의 내면으로부터 연장형성된 고정끈(50)으로 내부쿠션을 감아서 체결해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베개커버.
The method of claim 1,
The pillow cover 10 is formed to be short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inner cushion to cover only the upper surface, upper and lower surfaces and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inner cushion, wound by fastening the inner cushion with a fixing strap 50 formed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pillow cover The functional pillow cover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ing is made.
삭제delete
KR1020100133835A 2010-12-23 2010-12-23 Functional pillow cover with volume pad KR10126329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3835A KR101263290B1 (en) 2010-12-23 2010-12-23 Functional pillow cover with volume pa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3835A KR101263290B1 (en) 2010-12-23 2010-12-23 Functional pillow cover with volume pa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2062A KR20120072062A (en) 2012-07-03
KR101263290B1 true KR101263290B1 (en) 2013-05-13

Family

ID=46706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3835A KR101263290B1 (en) 2010-12-23 2010-12-23 Functional pillow cover with volume pa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3290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9980B1 (en) * 2015-02-06 2016-08-22 이지행 Functional pillow with neck support pillow portion
KR200492646Y1 (en) * 2020-06-22 2020-11-16 한정주식회사 A pillow filled with expanded poly-propylene and cott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2062A (en) 2012-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56863B2 (en) Mattress pad
US8813283B2 (en) Supplemental sleeping pillow with detachable strap
KR100718338B1 (en) Pillow with high and low portion
US5299333A (en) Random flow down comforter with a restricted border region
US7578014B1 (en) Pillow apparatus and method
US20140007351A1 (en) Support pillow
EP2866614A2 (en) Support pillow
US20120117733A1 (en) Pillow construction
CN108402756A (en) Improvement to pad and with pad relevant improvement
KR101234996B1 (en) A pillow to stick on the cervical vertebrae for sound sleep
JP2007082590A (en) Functional pillow
KR101263290B1 (en) Functional pillow cover with volume pad
JP3111334U (en) Good sleep pillow
JP3147396U (en) Good sleep pillow
KR101318915B1 (en) Multiplex folding pillow
KR101380629B1 (en) A Pillow for Preventing the Snoring and Protecting the Cervical Vertebrae and Scapula
JP3137305U (en) Cervical spine support / height adjustment pillow
US20110131729A1 (en) Configurable Support Locations Pillow
US7055197B1 (en) Multi-pillow construction
US20130139315A1 (en) Foot warmer securable to a mattress on a bed
KR102022362B1 (en) Pillow
JP3140457U (en) pillow
KR101299401B1 (en) Multi function pillow for supporting cervical vertebrae
JP2003052509A (en) Pillow
JP3137030U (en) Sleep pillow with adjustable height and hardne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