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2552B1 - 전력량계 및 이의 보안 통신 방법, 원격 검침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력량계 및 이의 보안 통신 방법, 원격 검침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2552B1
KR101262552B1 KR1020110099594A KR20110099594A KR101262552B1 KR 101262552 B1 KR101262552 B1 KR 101262552B1 KR 1020110099594 A KR1020110099594 A KR 1020110099594A KR 20110099594 A KR20110099594 A KR 20110099594A KR 101262552 B1 KR101262552 B1 KR 1012625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erver
meter
electricity meter
authent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95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5357A (ko
Inventor
박병철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995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2552B1/ko
Publication of KR201300353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53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25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25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2/0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 G01R22/06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 G01R22/061Details of electronic electricity meters
    • G01R22/063Details of electronic electricity meters related to remote communic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4/00Tariff metering apparatus
    • G01D4/002Remote reading of utility 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1/00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 G01R21/06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by measuring current and voltag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63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certificates, e.g. public key certificate [PKC] or attribute certificate [AC]; Public key infrastructure [PKI]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B90/20Smart grids as enabling technology in buildings sec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30Smart metering, e.g. specially adapted for remote rea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용가의 전류 및 전압을 검출하는 검출부, 상위 서버와 데이터 통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검출부에서 검출한 전류 및 전압으로부터 계량 정보를 산출하고, 기기 정보를 공개키로 암호화하고, 상기 계량 정보를 비밀키로 암호화하며, 암호화한 상기 기기 정보와 계량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상위 서버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력량계 및 이의 보안 통신 방법, 그리고 전력량계와, 전력량계로부터 공개키로 암호화한 기기 정보를 수신하여 전력량계의 기기 인증을 하는 인증 서버와, 전력량계로부터 비밀키로 암호화한 계량 정보를 수신하는 검침 서버를 포함하는 원격 검침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력량계 및 이의 보안 통신 방법, 원격 검침 시스템{ELECTRONIC POWER METER AND SECURE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AUTOMATIC METER READING SYSTEM}
본 발명은 전력량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위 서버와 보안 통신이 가능한 전력량계에 관한 것이다.
전력량계는 전력계통의 전압 및 전류 신호를 이용하여 사용 전력을 측정/계량하는 장치이다. 사용전력에 따라 회전하는 원판의 회전량에 의해 숫자 차를 회전시켜 사용전력을 계수하던 과거의 기계식 유도형 전력량계로부터 최근에는 전자식 전력량계가 개발되면서 저전압, 무 부하, 역방향 전력 등 전력계통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전력량계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보여 줄 수 있게 되었다.
상기 전자식 전력량계가 사용 전력을 계량함에 있어서, 전력은 전압과 전류의 곱으로 산출할 수 있으므로, 부하의 양단에 걸리는 전압과 부하에서 소비되는 전류를 검출하여야 한다. 전압과 전류를 검출하였다면, 아날로그 신호인 전압과 전류를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를 이용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중앙처리유닛에서 신호 처리하여 전력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력을 시간에 대하여 적산함으로써 사용 전력량을 산출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전력량계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위 서버와 데이터 통신할 수 있다. 전력량계는 전류, 전압, 전력, 전력량 등의 계량 데이터를 무선 통신이나 전력선 통신 방식 등에 따라 상위 서버에 제공하는데, 이와 같은 데이터 통신에 있어서, 통신 보안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즉, 제3자가 계량 데이터 등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고, 승인되지 않은 전력량계로 교체하거나, 계량 데이터를 조작하는 등 적극적으로 악용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전력량계와 상위 서버와의 데이터 통신에 있어서, 각 전력량계의 승인 여부 확인,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암호화 등을 통하여 통신 보안(communication security) 확보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전력량계와 상위 서버의 통신에 있어서, 전력량계의 기기 인증 과정과 기기 인증 이후의 데이터 통신 과정의 암호화 방식을 달리하여 보안 통신이 가능한 전력량계, 이의 보안 통신 방법 및 원격 검침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인 전력량계는 수용가의 전류 및 전압을 검출하는 검출부, 상위 서버와 데이터 통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검출부에서 검출한 전류 및 전압으로부터 계량 정보를 산출하고, 기기 정보를 공개키로 암호화하고, 상기 계량 정보를 비밀키로 암호화하며, 암호화한 상기 기기 정보와 계량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상위 서버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일태양에 의하면, 상기 공개키는 상기 전력량계의 기기 인증 요청에 따라 상기 상위 서버가 상기 전력량계로 전송하고, 상기 기기 정보는 상기 전력량계의 고유의 기기 번호와 제조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인 전력량계의 보안 통신 방법은 공개키로 암호화한 기기 정보를 상위 서버로 제공하고, 상기 상위 서버로부터 기기 인증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기기 인증 결과에 따라, 계량 정보를 비밀키로 암호화하여 상기 상위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일태양에 의하면, 상기 공개키로 암호화한 기기 정보를 상위 서버로 제공하고, 상기 상위 서버로부터 기기 인증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상위 서버로 기기 인증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기기 인증 요청에 따라 상기 상위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공개키로 상기 기기 정보를 암호화하는 단계, 공개키로 암호화한 상기 기기 정보를 상기 상위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상위 서버로부터 기기 인증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일태양에 의하면, 상기 기기 인증 결과에 따라, 계량 정보를 비밀키로 암호화하여 상기 상위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는 기기 인증이 승인된 경우에, 상기 상위 서버로부터 계량 정보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계량 정보를 비밀키로 암호화하여 상기 상위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일태양에 의하면, 상기 기기 정보는 상기 전력량계의 고유의 기기 번호와 제조 정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인 원격 검침 시스템은 수용가의 계량 정보를 산출하고, 공개키로 암호화한 기기 정보를 인증 서버로 전송하고, 비밀키로 암호화한 계량 정보를 검침 서버로 전송하는 전력량계, 상기 전력량계로부터 상기 공개키로 암호화한 기기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전력량계의 기기 인증 여부를 판단하는 상기 인증 서버 및 상기 전력량계로부터 상기 비밀키로 암호화한 계량 정보를 수신하는 상기 검침 서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일태양에 의하면, 상기 인증 서버는 상기 전력량계 또는 검침 서버로부터 기기 인증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전력량계로 상기 공개키를 전송하고, 상기 전력량계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공개키로 암호화한 기기 정보를 해독하여, 해독한 상기 기기 정보가 미리 설정된 기기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에 기기 인증을 승인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일태양에 의하면, 상기 검침 서버는 상기 전력량계의 기기 인증이 승인된 경우에, 상기 전력량계로 상기 계량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전력량계로부터 상기 비밀키로 암호화한 계량 정보를 수신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일태양에 의하면, 상기 기기 정보는 상기 전력량계의 고유의 기기 번호와 제조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인증 서버와 상기 검침 서버는 하나의 통합 서버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력량계의 기기 인증 과정에서는 기기 정보를 공개키로 암호화하고, 기기 인증이 승인된 후의 계량 정보의 제공을 위한 데이터 통신 과정에서는 계량 정보를 비밀키로 암호화함으로써, 전력량계와 상위 서버 사이의 데이터 통신에서의 통신 보안성과 암호화 처리 속도를 극대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량계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량계의 보안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량계의 보안 통신 방법의 기기 인증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일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량계의 보안 통신 방법의 데이터 통신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일예시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모듈", "…부" 등의 용어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며,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량계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력량계(100)는 검출부(110), 제어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표시부(140), 통신부(150)를 포함한다.
검출부(110)는 부하 기기의 전류, 전압, 온도 신호 등을 검출하여 제어부(120)에 제공한다. 검출부(110)는 변압기(Potential Transformer; PT), 분압 저항을 구비할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전력 계통 또는 부하 기기의 고전압을 일정 비율의 저전압으로 변환하여 제어부(120)에 제공한다. 또한, 검출부(110)는 변류기(Current Transformer; CT)를 구비할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대전류를 일정 비율의 소전류로 변환하여 제어부(120)에 제공한다.
제어부(120)는 전력량계(100)의 전반적인 제어 및 연산을 위한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와, 일련의 처리 프로그램, 전력량계(100)의 기기 정보, 연산결과, 계량 정보 등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기기 정보는 각 전력량계의 고유한 식별 정보로서, 전력량계의 기기 번호, 제조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검출부(110)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신호 형태의 전류, 전압, 온도 신호 등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이를 연산하여 전력을 계산하고, 전력을 시간에 대하여 누적하여 전력량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계량 정보는 전류, 전압, 전력, 전력량을 포함한다. 또한, 제어부(120)는 상기 기기 정보, 계량 정보 등을 표시부(140)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전력량계에 있어서, 제어부(120)에는 상기 기기 정보 및 계량 정보를 암호화하기 위한 암호화 알고리즘이 장착될 수 있고, 암호화 알고리즘에 적용될 수 있는 암호화 키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기기 정보와 계량 정보의 암호화 방법이 상이하므로, 기기 정보를 암호화하기 위한 제1 암호화 알고리즘과 계량 정보를 암호화하기 위한 제2 암호화 알고리즘이 각각 제어부(120)에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력량계와 상위 서버와의 데이터 통신에 있어서, 통신을 개시할 경우 1회적으로 또는 통신 수행 중 주기적으로 행해지는 기기 인증에는 공개키(public key) 암호화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기기 인증 절차에서 전력량계의 기기 승인이 완료된 이후의 상기 전력량계와 상위 서버와의 데이터 통신에는 비밀키(private key) 암호화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암호화 알고리즘은 공개키 암호화 알고리즘, 상기 제2 암호화 알고리즘은 비밀키 암호화 알고리즘으로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제1 암호화 알고리즘에서의 암호화 키인 공개키는 상위 서버로부터 수신하게 되고, 상기 제2 암호화 알고리즘에서의 암호화 키인 상기 비밀키는 상위 서버와 공유하는 것으로서 상기 메모리에 미리 저장되어 있다. 상기 공개키 암호화 및 비밀키 암호화에 대해서는, 도 2에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량계의 사용자로부터 각종 명령, 설정사항 등을 입력받기 위한 구성으로서, 키 패드(key pad), 터치 스크린(touch screen)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표시부(140)는 제어부(120)의 제어를 받아서 상기 전력량계의 상태 정보(예를 들어, 전류, 전압, 온도 또는 장애 정보 등), 전력량 등의 계량 정보, 이벤트 등을 표시하는 구성으로서, 예컨대 액정표시장치(Luquid Crystal Display; LCD),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7-세그먼트 표시장치(7-Segment Display)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150)는 상위 서버와 데이터 통신을 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유선 또는 무선 방식의 다양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전력선 통신(Power Line Communication), LAN(Local Area Network), WLAN(Wireless LAN)(Wi-Fi),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의 통신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량계의 보안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력량계의 보안 통신 방법은, 전력량계에 대한 기기 인증 과정(S100)과 기기 인증 후의 데이터 통신 과정(S200)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기기 인증 과정과 데이터 통신 과정에서, 상위 서버와 송수신하는 정보는 모두 암호화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본 발명에서는, 상기 기기 인증 과정에서의 암호화 방식과 상기 데이터 통신 과정에서의 암호화 방식이 상이하다.
즉, 상기 기기 인증 과정은 전력량계의 기기 정보를 공개키로 암호화한다(S100). 상기 기기 정보는 상기 전력량계의 기기 번호, 제조 정보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각 전력량계의 고유의 식별 정보를 나타낸다. 상기 기기 정보의 암호화를 위하여, 상위 서버는 기기 인증을 요청한 전력량계로 암호화 키인 공개키를 전송한다. 상기 전력량계는 상위 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공개키로 상기 기기 정보를 암호화하고, 암호화된 기기 정보를 상기 상위 서버로 전송한다. 상기 상위 서버는 암호화된 기기 정보를 수신하고, 소정의 해독 키(즉, 복호화 키)를 이용하여 상기 암호화된 기기 정보를 해독한다. 상기 상위 서버에는 유효성이 인정되는 전력량계, 즉 기기 인증이 승인되어 등록의 유효성이 인정되는 전력량계의 기기 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다. 그러므로, 상기 상위 서버는 해독한 기기 정보를 미리 저장되어 있는 기기 정보와 비교하여, 서로 일치하면 기기 인증을 승인하고, 전력량계로 승인 정보를 전송함과 더불어 해당 전력량계를 등록한다.
상술한 기기 인증 과정에서 승인된 전력량계만이 이후의 상위 서버와의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통신은, 전력량계의 계량 정보를 상위 서버로 전송하게 되는데, 상기 계량 정보는 비밀키로 암호화된다(S200). 상기 비밀키는 상기 상위 서버와 전력량계에 미리 저장되어 있다. 상기 상위 서버는 상기 전력량계의 승인 정보를 요청하고, 승인 정보로부터 상기 전력량계의 유효성을 판단한 후, 계량 정보를 요청한다. 상기 전력량계는 미리 저장되어 있는 비밀키로 상기 계량 정보를 암호화하여 상기 상위 서버에 제공한다. 상기 상위 서버는 계량 정보를 주기적으로 요청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전력량계는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계량 정보를 상기 비밀키로 암호화하여 상기 상위 서버로 전송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전력량계와 상위 서버 사이의 데이터 통신에 있어서, 기기 인증 과정과 데이터 통신 과정의 암호화 방식을 달리 적용한다. 상기 기기 인증 과정은 공개키 암호화 방식에 따르고, 상기 데이터 통신 과정은 비밀키 암호화 방식에 따라 각기 정보를 암호화한다.
이는 보안성과 암호화 처리 속도를 적절히 조화시킨 것으로서, 공개키 암호화 방식은 암호화 키와 해독 키가 서로 상이하여 암호화 키를 제공한 주체만이 해독 키를 보유하게 되므로, 암호화 키인 공개키가 제3자에게 노출이 되더라도 암호화 정보를 해독할 수 없게 되어 고도의 보안 통신이 가능하나 암호화 과정에서 처리해야할 데이터의 양이 많아서 암호화 처리 속도가 늦다. 반면, 비밀키 암호화 방식은 정보를 주고 받는 통신 주체 사이에 암호화 키와 해독 키가 미리 공유되어 있으며, 암호화 키와 해독 키가 서로 동일하여 제3자가 암호화 정보를 해독할 수 있게 되어 보안성이 다소 떨어지나, 암호화 처리 속도가 공개키 암호화 방식에 빠른 특징이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전력량계의 보안 통신 방법은, 상위 서버와 전력량계의 데이터 통신 과정에 있어서, 통신이 개시되는 때에 1회적으로 또는 소정의 시간 간격을 두고 주기적으로 행해지는 것이 일반적인 기기 인증 과정에서는 보안성을 중시하여 공개키 암호화를 적용하고, 이후의 빈번한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지는 계속적인 데이터 통신 과정에서는 암호화 처리 속도를 중시하여 비밀키 암호화를 적용함으로써 통신 보안을 강화하면서도 통신 속도도 유지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기기 인증 과정(S100) 및 데이터 통신 과정(S200)을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량계의 보안 통신 방법의 기기 인증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일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량계의 보안 통신 방법의 데이터통신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일예시도이다.
도 3 및 도 4에서는, 상술한 상위 서버가 인증 서버와 검침 서버로 구분하여 도시된다. 상기 인증 서버와 검침 서버는 물리적으로 별개의 서버로 구성될 수 있고, 또는 물리적으로 하나의 상위 서버 내에서 각기 다른 기능을 처리하는 인증 모듈과 검침 모듈로서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서 설명한 기기 인증 과정의 상세 단계로서, 전력량계(100)가 인증 서버(200)로 기기 인증을 요청한다(S110). 도 3에는, 전력량계(100)가 기기 인증을 요청하는 주체로서 도시되어 있으나, 전력량계(100)로부터 계량 정보를 제공받고자 하는 검침 서버가, 해당 전력량계로의 계량 정보 요청을 하기 전에 기기 인증을 요청할 수도 있다.
기기 인증 요청을 수신한 인증 서버(200)는 기기 정보의 암호화를 위한 암호화 키인 공개키를 전력량계(100)로 전송한다(S120).
전력량계(100)는 상기 공개키를 수신하고, 기기 번호, 제조 정보 등을 포함하는 고유의 식별 정보인 기기 정보를 공개키로 암호화한다(S130). 이와 같은 기기 정보의 암호화는 전력량계(100)의 제어부(120)에 탑재된 상기 제1 암호화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처리될 수 있다.
전력량계(100)는 공개키로 암호화한 상기 기기 정보를 인증 서버(200)로 전송한다(S140).
인증 서버(200)는 상기 S120단계에서 전력량계(100)로 전송한 공개키에 대한 해독 키를 이용하여 상기 암호화된 기기 정보를 해독한다(S150). 인증 서버(200)에는 상기 해독 키를 이용한 복호화 알고리즘이 미리 탑재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인증 서버(200)는 상기 S150단계에서 해독한 기기 정보를 미리 저장된 기기 정보들과 비교하여 전력량계(100)의 기기 승인 여부를 판단한다(S160). 상기 S150단계에서 해독한 기기 정보가 미리 저장된 기기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에, 인증 서버(200)는 전력량계(100)의 기기 인증을 승인한다.
인증 서버(200)는 기기 인증이 승인된 전력량계(100)를 등록하고, 전력량계(100)로 승인 정보를 전송한다(S170). 상기 승인 정보에는 해당 전력량계(100)의 기기 정보, 승인 번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인증 서버(200)는, 기기 인증이 승인된 전력량계(100)와 이후의 데이터 통신을 하게 되는 검침 서버로 상기 승인 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승인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도 4는 도 2에서 설명한 데이터 통신 과정의 상세 단계로서, 상기 데이터 통신 과정 이전에 도 3에 도시한 기기 인증 과정이 수행되어야 하며, 상기 기기 인증 과정에서 기기 인증이 승인된 경우에 한하여 전력량계(100)와 검침 서버(300) 사이의 데이터 통신이 진행된다.
상기 데이터 통신 과정에서, 검침 서버(300)가 전력량계(100)로 승인 정보를 요청한다(S210).
승인 정보 요청을 수신한 전력량계(100)는 상기 기기 인증 과정에서 인증 서버(100)로부터 수신한 승인 정보를 검침 서버(300)로 전송한다(S220).
검침 서버(300)는 전력량계(100)로부터 수신한 승인 정보의 유효성을 판단한다(S230). 검침 서버(300)는 인증 서버(200)로부터 제공받은 전력량계(100)의 승인 정보를 보유하고 있으므로, 상기 S220단계에서 전력량계(100)로부터 수신한 승인 정보와 인증 서버(200)로부터 제공받은 승인 정보를 비교하여 두 개의 승인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에 상기 S220단계에서 전력량계(100)로부터 수신한 승인 정보의 유효성을 인정한다.
승인 정보의 유효성이 인정되면, 검침 서버(300)는 전력량계(100)로 계량 정보를 요청한다(S240).
전력량계(100)는 전류, 전압을 계측하고, 전류와 전압을 곱하여 전력을 산출하며, 전력을 시간에 대하여 누적하여 전력량을 산출하여, 상기 전류, 전압, 전력, 전력량 등의 계량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한다. 상기 S240단계에서 계량 정보를 요청받은 전력량계(100)는 메모리에 저장한 전류, 전압, 전력, 전력량을 포함하는 계량 정보를 비밀키로 암호화한다(S250). 상기 비밀키는 전력량계(100)와 검침 서버(300) 사이에 미리 정해진 것으로서, 전력량계(100)와 검침 서버(300)에 미리 저장되어 있다. 이와 같은 계량 정보의 암호화는 전력량계(100)의 제어부에 탑재된 상기 제2 암호화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처리될 수 있다.
전력량계(100)는 비밀키로 암호화한 계량 정보를 검침 서버(300)로 전송한다(S260). 검침 서버(300)는 상기 계량 정보를 비밀키인 해독 키로 해독하여 과금, 계량 정보의 수집 등에 이용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전력량계 110 : 검출부
120 : 제어부 130 : 사용자 입력부
140 : 표시부 150 : 통신부
200 : 인증 서버 300 : 검침 서버

Claims (13)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상위 서버로 기기 인증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기기 인증 요청에 따라 상기 상위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공개키로 기기 정보를 암호화하는 단계;
    공개키로 암호화한 상기 기기 정보를 상기 상위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상위 서버로부터 기기 인증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기기 인증 결과에 따라, 계량 정보를 비밀키로 암호화하여 상기 상위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력량계의 보안 통신 방법.
  5. 삭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인증 결과에 따라, 계량 정보를 비밀키로 암호화하여 상기 상위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는,
    기기 인증이 승인된 경우에, 상기 상위 서버로부터 계량 정보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계량 정보를 비밀키로 암호화하여 상기 상위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력량계의 보안 통신 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정보는
    상기 전력량계의 고유의 기기 번호와 제조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량계의 보안 통신 방법.
  8. 수용가의 계량 정보를 산출하고, 공개키로 암호화한 기기 정보를 인증 서버로 전송하고, 비밀키로 암호화한 계량 정보를 검침 서버로 전송하는 전력량계;
    상기 전력량계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공개키로 암호화한 기기 정보를 해독하여, 해독한 상기 기기 정보가 미리 설정된 기기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에 기기 인증을 승인하는 상기 인증 서버; 및
    상기 전력량계로부터 상기 비밀키로 암호화한 계량 정보를 수신하는 상기 검침 서버를 포함하는 원격 검침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서버는,
    상기 전력량계 또는 검침 서버로부터 기기 인증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전력량계로 상기 공개키를 전송하는 원격 검침 시스템.
  10. 삭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검침 서버는,
    상기 전력량계의 기기 인증이 승인된 경우에, 상기 전력량계로 상기 계량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전력량계로부터 상기 비밀키로 암호화한 계량 정보를 수신하는 원격 검침 시스템.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정보는
    상기 전력량계의 고유의 기기 번호와 제조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검침 시스템.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서버와 상기 검침 서버는,
    하나의 통합 서버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검침 시스템.

KR1020110099594A 2011-09-30 2011-09-30 전력량계 및 이의 보안 통신 방법, 원격 검침 시스템 KR1012625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9594A KR101262552B1 (ko) 2011-09-30 2011-09-30 전력량계 및 이의 보안 통신 방법, 원격 검침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9594A KR101262552B1 (ko) 2011-09-30 2011-09-30 전력량계 및 이의 보안 통신 방법, 원격 검침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5357A KR20130035357A (ko) 2013-04-09
KR101262552B1 true KR101262552B1 (ko) 2013-05-08

Family

ID=48437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9594A KR101262552B1 (ko) 2011-09-30 2011-09-30 전력량계 및 이의 보안 통신 방법, 원격 검침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255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7764B1 (ko) 2021-03-26 2021-11-18 가이아스 주식회사 보안 강화형 스마트 미터링 전력량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8829B1 (ko) * 2022-03-07 2022-08-04 주식회사 레오테크 보안모듈이 적용된 원격 검침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92482A (ja) 2006-04-21 2007-11-08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使用電力量把握システム
JP4641327B1 (ja) * 2010-03-25 2011-03-02 慧通信技術工業 株式会社 計測データ管理方法、計測データ管理システム、計測データ管理装置及び端末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92482A (ja) 2006-04-21 2007-11-08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使用電力量把握システム
JP4641327B1 (ja) * 2010-03-25 2011-03-02 慧通信技術工業 株式会社 計測データ管理方法、計測データ管理システム、計測データ管理装置及び端末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7764B1 (ko) 2021-03-26 2021-11-18 가이아스 주식회사 보안 강화형 스마트 미터링 전력량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5357A (ko) 2013-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70910B2 (en) Providing security in an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US1127605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venient and secure mobile transactions
TWI599136B (zh) 無線功率傳輸裝置
US10791446B2 (en) System and method for an Internet of Things (IoT) gas pump or charging station implementation
TW201631994A (zh) 於點對點通信中使用安全元件認證裝置
WO2017106222A1 (en) Internet of things (iot) apparatus and method for coin operated devices
CA3090703A1 (en) Configu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secure operation of networked transducers
EP3346635B1 (en) Controller,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system
KR101900609B1 (ko) 전력수요관리서버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수요관리시스템
KR101262552B1 (ko) 전력량계 및 이의 보안 통신 방법, 원격 검침 시스템
KR20100078559A (ko) 원격 검침을 위한 암호화 시스템 및 이의 키 교환 방법
EP2787464B1 (en) Data managing apparatus, meter apparatus and data managing method
JP4916213B2 (ja) 使用電力量把握システム
KR20190049057A (ko) 검침 정보 관리 장치 및 방법
JP2015130549A (ja) 消費エネルギーを計測するメータと、消費エネルギーを管理する管理システムと、を含むシステム。
KR101691540B1 (ko) 전력량 검침 시스템
CN111371870B (zh) 医疗设备数据传送系统及方法
CN108932619B (zh) 一种终端离线的收费服务方法及系统
KR100722668B1 (ko) 보안/인증 개념이 적용된 검출기, 자동 검침 시스템 및 그방법
CN114727268A (zh) 一种蓝牙空口数据的传输方法及系统
US9780603B2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managing a provision of energy
US20230308273A1 (en)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meter data and devices implementing said methods
US10931444B2 (en) Key selection method for cryptographic data processing
CN116319840A (zh) 一种数据跨链共享方法、系统和电子设备
KR20230027725A (ko) 양자보안 통신장치 통합형 스마트 급전제어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