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1981B1 - 수정침대 - Google Patents

수정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1981B1
KR101261981B1 KR1020100051683A KR20100051683A KR101261981B1 KR 101261981 B1 KR101261981 B1 KR 101261981B1 KR 1020100051683 A KR1020100051683 A KR 1020100051683A KR 20100051683 A KR20100051683 A KR 20100051683A KR 101261981 B1 KR101261981 B1 KR 1012619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ystal
bed
frame
fa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16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1962A (ko
Inventor
박혜영
Original Assignee
박혜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혜영 filed Critical 박혜영
Priority to KR10201000516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1981B1/ko
Priority to CN2010205248871U priority patent/CN201906362U/zh
Priority to CN2010102781905A priority patent/CN102266643A/zh
Publication of KR201101319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19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19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19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A47C21/048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004Means for protecting against undesired influence, e.g. magnetic radiation or static electric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3/00Control of temperature
    • G05D23/19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H05B1/0202Switches
    • H05B1/0225Switches actuated by tim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68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 plates or analogous hot-plates
    • H05B3/74Non-metallic plates, e.g. vitroceramic, ceramic or glassceramic hobs, also including power or control circuits
    • H05B3/744Lamps as heat source, i.e. heating elements with protective gas envelope, e.g. halogen 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Light sourc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th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침대를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인체에서 노폐물의 배출을 촉진시킬 수 있는 수정침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탑재되어 수정 에너지를 방출하는 수정판; 및 상기 수정판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수정판을 투과하여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원적외선 방출유닛;을 포함하는 수정침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수정침대{QUARTZ BED}
본 발명은 위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수정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침대는 사용자가 누워서 편히 취침을 취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침대에는 온열기능을 가지는 돌침대, 옥돌침대 및 황토매트 등 다양한 온열 침대들이 있다. 상기 온열 침대는 니크롬선의 발열에 의해 돌매트, 옥돌매트 또는 황토매트를 가열하여 사용자가 따뜻하게 취침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온열 침대는 돌, 옥돌 및 황토로부터 발생되는 열기를 인체에 전달하여 혈액순환을 활발하게 한다.
또한, 피부 미용실이나 의료시설 등 상업시설에는 고객의 피부 미용이나 물리치료를 위해 상업용 온열 침대가 구비된다. 이때, 상업용 온열 침대는 목재 프레임에 옥돌매트나 황토매트가 탑재된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상업용 온열 침대는 불특정 다수의 고객들이 열에 의해 땀과 같은 노폐물을 배출시킴에 의해 피부를 아름답게 하거나 물리치료를 한다.
그러나, 종래의 일반 및 상업용 온열 침대는 니크롬선의 발열에 의해 인체를 가열하므로, 사용자가 40~70℃ 정도로 가열된 매트에서 맨살(naked skin)을 직접 접촉한 상태로 장시간 취침할 경우 저온 화상을 입을 수 있었다.
또한, 종래의 일반 및 상업용 온열 침대는 고객이 배출한 노폐물이 매트와 목재 프레임에 스며들게 되므로, 상기 온열 침대에서 악취가 발생됨에 따라 온열 침대를 위생적으로 관리하기 곤란했다. 또한, 상업용 온열 침대는 악취가 발생될 뿐만 아니라 노폐물에 의해 목재 프레임과 매트가 젖어 있는 상태가 되므로, 다음번 고객이 온열 침대에서 다시 피부 미용이나 물리 치료를 받기를 기피하거나 불결한 느낌을 갖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상업용 온열 침대를 건조시키기 위해 오랜 시간이 소요되거나 또는 별도의 온열 기구를 사용하여 건조시켜야 했다. 이러한 문제점들은 상업용 온열 침대의 반품의 원인이 되기도 했다.
또한, 종래의 온열 침대는 목재 프레임에 의해 무거운 매트를 지지하므로, 상기 온열 침대가 일정한 장시간 사용되면 소비자와 매트의 무게로 인하여 목재 프레임이 변형된다. 특히, 상기 온열 침대는 노폐물(땀과 수분)에 항상 노출되므로, 목재 프레임의 변형이 가속화된다. 따라서, 온열 침대에서 소비자가 움직이거나 또는 오르내릴 때에 온열 침대에서 삐꺽거림이 발생되기도 했다. 나아가, 온열 침대가 삐걱거림에 따라 사용자나 고객이 정서적으로 불안함을 느끼게 되고, 제품에 대한 신뢰도를 현저히 저해시킬 수도 있었다.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나 고객이 맨살을 직접 접촉하더라도 저온 화상을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수정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피부 미용이나 물리 치료시 인체에서 배출된 노폐물이 침대에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여 위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수정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침대가 노폐물에 의해 습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수정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침대의 하중과 노폐물에 의해 프레임의 변형이 거의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침대의 삐걱거림을 방지할 수 있는 수정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하면,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탑재되어 수정 에너지를 방출하는 수정판; 및 상기 수정판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수정판을 투과하여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원적외선 방출유닛;을 포함하는 수정침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의하면,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탑재되는 수정판; 및 상기 수정판의 하측에 설치되고, 상기 수정판을 가열하여 수정 에너지와 원적외선의 방출량을 증가시키는 원적외선 방출유닛;을 포함하는 수정침대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원적외선에 의해 피부의 진피층에 온열 효과를 제공하므로, 사용자나 고객이 저온 화상을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프레임이 금속성 재질로 형성되므로, 피부 미용이나 물리 치료시 인체에서 배출된 노폐물이 침대에 스며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침대가 노폐물에 의해 습해지는 것을 방지하고 건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침대의 변형을 방지하여 삐걱거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정침대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수정침대를 도시한 상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수정침대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정침대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상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정침대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정침대의 제4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정침대의 제5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수정침대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정침대는 일반적인 가정에서 사용되거나, 피부 미용실에서 상업용으로 사용될 수도 있으며, 물리치료를 위해 병원 또는 물리 치료실 또는 한의원 등에서 의료용으로도 사용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수정침대의 제1실시예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정침대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수정침대를 도시한 상면도이며, 도 3은 수정침대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수정침대는 프레임(110), 수정판(120) 및 원적외선 방출유닛(130)을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110)은 대략 직사각틀 또는 타원형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10)은 인체에서 배출되는 땀과 같은 노폐물이 흡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금속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10)은 노폐물에 의해 부식이 되지 않는 스테인리스, 알루미늄합금 또는 구리합금 재질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110)은 부식방지를 위해 아연도금, 주석도금, 금도금 및 은도금 등과 같이 부식방지용 도금층이 코팅된 합금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10)은 금속성 재질로 형성되므로 땀과 같은 노폐물이 흡수되는 것을 방지하고 노폐물에 의해 부식이 방지될 수 있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110)은 노폐물이 내부로 침투되지 않는다.
상기 프레임(110)의 하부에는 다수의 지지레그(115)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각 지지레그(115)의 상측에는 나사선(115a)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110)의 하부에는 지지레그(115)의 나사선(115a)과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선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레그(115)들이 프레임(110)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상기 수정침대가 용이하게 이동 또는 배달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정침대의 물류 비용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지지레그(115)는 프레임(110)의 하부에 용접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10)의 내측에는 수정판(120)이 지지될 수 있도록 걸림턱(11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10)의 걸림턱(111)에는 수정판(120)의 양측이 지지된다.
상기 수정판(120)은 수정 원석으로 제작되며, 이하에서는 수정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수정은 마이너스 이온, 원원적외선 및 미약전류를 발생함과 아울러 바나듐과 게르마늄 등 미네랄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또한, 수정은 육각 구조로 인체의 기본적인 분자 구조와 일치하며, 신체의 DNA 구조와 수정의 결정 구조는 나선형 결정 구조를 갖는다. 또한, 수정은 시계나 송수신기의 발진기로 사용될 만큼 진동 특성이 안정되어 있다.
이러한 수정은 인체의 분자를 일정한 진동수로 공명시키고 조율하여 필요한 파동을 만들어준다. 또한, 수정 에너지는 피부속 3-7cm 정도의 진피층까지 스며들며, 분자를 진동에 의한 공명작용 및 에너지 흡수작용을 통하여 대사 기능을 촉진시킨다. 또한, 수정 에너지는 혈류를 촉진시키고 효소의 생성을 원활하게 함으로써 세포를 젊게 하고 다량 발한(땀)으로 노폐물을 배출시키고 불필요한 지방을 분해한다. 또한, 수정에서 발생되는 미약한 전류는 인체의 신경전달 전류와 비슷하므로 인체의 경혈로 침투하여 세포를 자극해줌으로써 세포를 활성화시킨다. 상기한 수정의 작용을 통해 인체의 미용이나 물리 치료를 할 뿐만 아니라 정신적인 치료 등에도 효과가 있다.
상기 수정판(120)은 수정 원석을 분쇄하여 고온에서 용융한 후 냉각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수정 원석으로는 백수정(crystal quartz), 홍수정(rose quartz), 자수정(amethyst quartz), 연수정(smoky quartz)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수정 원석들은 방출되는 수정 에너지의 파장이 약간씩 다르므로, 수정침대의 사용 용도 또는 사용자나 고객의 주문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수정판(120)은 수정 원석을 분쇄 및 용융하여 제작하므로, 사용자나 고객이 수정판(120) 위에 눕더라도 파손되지 않을 정도의 강성을 갖는다. 또한, 상기 수정판(120)에는 노폐물이 침투하지 못한다. 따라서, 수정판(120)에 노폐물이 묻어 있더라도 노폐물을 닦아내면, 수정판(120)에서 노폐물이 깨끗하게 제거된다.
또한, 상기 수정판에는 수정 원석과 다이아몬드 원석을 각각 분쇄한 후 혼합하고, 이 혼합물을 용융 및 냉각하여 제작할 수도 있다. 이때, 수정의 굴절률은 대략 1.55 정도이고, 다이아몬드의 굴절률은 대략 2.4 정도이다. 따라서, 상기 수정판에 수정과 다이아몬드가 혼합되면, 수정판에서 반짝거리는 정도가 더욱 증가하여 고급스런 분위기가 조성된다. 따라서, 제품의 고급화를 추구할 수 있다.
기 수정판(120)은 투명 또는 반투명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정판(120)이 투명 또는 반투명이므로, 수정판(120)의 아래에서 방출되는 원적외선의 투과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나 고객이 수정판(120)을 통해 아래에 설치된 원적외선 방출유닛(130)의 작동 여부를 시각적으로 확인함으로써 미용이나 물리치료와 함께 심리적인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정판(120)이 투명 또는 반투명으로 형성됨에 따라 수정판(120)의 청결 상태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청결에 관한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수정판(120)은 프레임(110)에 배열되는 다수의 수정판 유닛(121)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수정판 유닛(121)들 사이에는 틈새가 발생되므로, 사용자나 고객의 인체에서 배출되는 노폐물이 수정판(120)의 틈새로 배출되게 할 수 있다. 사용자나 고객이 미용치료나 물리치료를 받을 때에 너무 많은 노폐물이 배출되더라도 사용자나 고객이 불쾌함을 느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원적외선 방출유닛(130)은 다수의 원적외선 램프(131)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원적외선 램프(131)는 각 수정판 유닛(121)의 하측에 하나씩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프레임(110)의 일측에는 원적외선 램프(131)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소켓(135)이 설치된다. 상기 소켓(135)은 프레임(110)의 일측에 일렬로 배열되므로, 원적외선 램프(131)의 수명이 다했다고 판단되면 원적외선 램프(131)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수정판(120)이 투명 또는 반투명이므로, 상기 원적외선 램프(131)의 불빛을 보면 원적외선 램프(131)의 수명이 다했는지를 용이하게 알 수 있게 된다.
상기한 원적외선은 강한 열작용(진피층 가열)을 가지는데, 그 이유는 원적외선의 주파수가 물질을 구성하는 분자의 고유진동수와 거의 비슷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원적외선은 물질에 부딪히면서 공명현상을 일으켜 원적외선 에너지가 효과적으로 물질에 흡수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원적외선은 파장이 길기 때문에 자외선이나 가시광선에 비해 미립자에 의한 산란이 적어서 수정판(120)을 비교적 잘 투과한다.
또한, 상기 원적외선의 열작용은 모세혈관을 확장시켜 혈액순환과 세포조직 생성에 도움을 준다. 또한, 원적외선은 세포를 구성하는 수분과 단백질에 닿으면 세포를 진동시킴으로써 세포조직을 활성화하고 신진대사를 촉진시키며 만성피로 등 성인병 예방에 효과가 있다. 그 외에도 원적외선은 발한작용 촉진, 통증완화, 중금속 제거, 숙면, 탈취, 항균 등의 작용을 한다.
상기한 원적외선 방출유닛(130)은 수정판(120)을 가열하여 수정 분자를 여기(exciting)시킴에 따라 상기 수정판(120)의 수정 에너지와 원적외선의 방출량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인체에 수정 에너지와 원적외선이 상대적으로 다량 공급되도록 한다.
상기 프레임(110)에는 모든 원적외선 램프(131)를 한번에 일괄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온도 조절기(140)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110)에는 각 원적외선 램프(131)를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온도 조절기(14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온도 조절기(140)는 각 원적외선 램프(131)에 전원을 인가하는 다수의 버튼(141)과, 회전시킴에 의해 목표 온도를 제어할 수 있는 다이얼(142)과, 상기 다이얼(142)에 의해 조절된 목표 온도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143)와, 해당 수정판 유닛(121)이 목표 온도에 도달되면 해당 원적외선 램프(131)를 오프시키도록 제어하는 센서(144)와, 상기 원적외선 램프의 가동시간을 표시하는 타이머(45)와, 상기 온도 조절기(140)를 제어하는 제어부(4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 버튼(141)은 해당 수정판 유닛(121)에 배치된 원적외선 램프(131)를 제어할 수 있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예를 들면, 상기 다이얼(142)을 소정 온도로 조절하고 특정 버튼(141)을 누르면, 특정 버튼(141)에 대응되는 특정 원적외선 램프(131)에만 전원이 인가된다. 그리고, 특정 원적외선 램프(131)는 해당 수정판 유닛(121)을 통해 원적외선을 방출하여 해당 수정판 유닛(121)을 소정 온도로 가열한다. 그리고, 해당 수정판 유닛(121)이 소정 온도에 도달되면, 상기 센서(144)의 작용에 의해 해당 원적외선 램프(131)를 오프시킨다. 이어, 해당 수정판 유닛(121)이 기 설정 온도로 되면, 상기 제어부(46)는 해당 원적외선 램프(131)에 다시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상기 원적외선 램프(131)는 전류의 세기를 조절하거나 스위칭 소자에 의해 발열 온도가 조절될 수도 있다. 이러한 원적외선 램프(131)의 온도 조절에 관해서는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수정침대의 제1실시예에 관한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온도 조절기(140)의 다이얼(142)을 돌려 대략 30-70℃의 온도 범위에서 목표 온도를 설정한다. 또한, 버튼(141)을 눌러 일부 또는 모든 수정판 유닛(121)에 대응되는 원적외선 램프(131)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한다.
상기 원적외선 램프(131)는 발열됨에 의해 원적외선을 방출함에 의해 원적외선이 수정판 유닛(121)을 투과하면서 수정판 유닛(121)을 가열하도록 한다. 상기 수정판 유닛(121)이 충분히 가열되면, 사용자 또는 고객이 수정침대로 올라가 눕도록 한다.
상기 수정판 유닛(121)이 가열되면 상기 수정판 유닛(121)에서는 원적외선이 90% 가량 증가하여 방출된다. 이때, 상기 수정판 유닛(121)의 원적외선과 원적외선 램프(131)의 원적외선은 인체의 진피층 세포에 온열 효과를 부여하여 세포 내의 노폐물이 배출시키고 불필요한 지방을 분해를 촉진시킨다. 따라서, 노폐물의 배출과 지방의 분해를 촉진시키므로, 피부가 깨끗해지고 근육통 등이 완화되며, 몸의 밸런스를 유지하여 질병이 치료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수정판 유닛(121)과 원적외선 램프(131)의 원적외선은 인체의 진피층에 온열 효과를 부여하므로, 인체의 진피층이 표피층보다 덜 가열된다. 따라서, 인체의 진피층에 충분한 열을 제공하면서도 표피층이 화상을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정판 유닛(121)에서 방출되는 원적외선이 세포를 공진시킴에 따라 생체 기능이 활성화되므로, 수정판 유닛(121)에서 발생되는 마이너스 이온이 세포의 알칼리화를 촉진시켜 스트레스를 경감시킨다.
또한, 수정의 진동수는 인체의 진동수와 비슷하므로, 신체의 불규칙한 진동수를 정상적으로 회복시킨다. 따라서, 인체의 주파수를 정상적으로 회복시키므로, 인체의 밸런스가 정상적으로 유지되도록 하고 정신적으로 안정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원적외선 램프(131)의 원적외선과 수정판(120)의 수정 에너지가 인체에 동시에 작용하므로, 인체의 온열효과와 노폐물의 배출이 현저하게 증가된다. 또한, 인체의 생체리듬이 정상적으로 돌아와 밸런스를 유지하도록 하고, 피로 회복이 현저히 빨라진다.
한편, 상기 수정침대의 프레임(110)이 금속성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110)에 수정판(120)이 탑재되므로, 상기 프레임(110)과 수정판(120)에 흘러내린 노폐물을 닦아냄으로써 수정침대의 청결 상태를 위생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노폐물이 프레임(110)과 수정판(120)에 흡수되지 않으므로, 수정침대에서 악취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노폐물을 닦아내기만 하면 수정침대를 건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나 고객이 미용, 물리치료 및 질병치료시 쾌적한 느낌을 가지게 할 수 있다.
상기 수정침대의 프레임(110)은 금속성 재질로 형성되므로, 상기 프레임(110)이 수정판(120)의 무게와 사용자 또는 고객의 무게를 충분히 견디게 된다. 상기 수정침대가 장시간동안 사용되더라도 상기 프레임(110)이 거의 변형되지 않으므로, 수정침대에서 삐걱거림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수정침대가 금속성 재질의 프레임(110)과 수정판(120)으로 제작되므로, 수정침대가 노폐물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수정침대의 제2실시예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에는 원적외선 램프의 설치 개수가 다른 점을 제외하고는 제1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그러므로, 아래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정침대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상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원적외선 램프(131)는 각 수정판 유닛(121)의 하측에 하나 이상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목이나 다리에 대응되는 수정판 유닛(121)에는 1개 또는 2개의 원적외선 램프(131)가 설치되고, 허리나 어깨에 대응되는 수정판 유닛(121)에는 2개 내지 4개의 원적외선 램프(131)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원적외선 램프(131)의 설치 개수는 수정판 유닛(121)의 크기 및 원적외선 램프(131)의 용량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이러한 제2실시예는 신체 부위에 따라 공급되는 원적외선 방출량을 다르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신체 부위에 따라 적당한 양의 원적외선 및 수정 에너지가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수정침대의 제3실시예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에는 수정판 유닛이 2열로 배열되는 더블 침대인 점을 제외하고는 제1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그러므로, 아래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정침대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프레임(110)은 사각틀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110)의 중간부분에는 프레임(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중간 지지대(113)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중간 지지대(113)의 양측에는 다수의 수정판 유닛(121)이 프레임(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2열로 배열된다. 이러한 수정침대는 2 사람이 한꺼번에 누울 수 있는 더블 침대이다.
상기 프레임(110)의 하측에는 원적외선 방출유닛(130)이 설치된다. 이러한 원적외선 방출유닛(130)은 양측에 배열된 각 수정판 유닛(121)에 대응되는 다수의 원적외선 램프(131)를 포함한다. 이러한 더블 침대에는 원적외선 램프(131)가 2열로 배열된 구조를 갖는다.
또한, 상기 각 수정판 유닛(121)에는 하나 이상의 원적외선 램프(131)가 배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수정침대의 제4실시예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는 반사판이 추가된 것을 제외하고 제1실시예와 실적을 동일하다. 따라서,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관해서는 동일한 도번을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정침대의 제4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수정판(120)의 하부에는 원적외선 방출유닛(130)의 원적외선을 수정판(120)측으로 반사하도록 반사판(150)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반사판(150)은 다수의 반사판(150) 유닛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반사판(150)은 은(Ag)이 포함된 도료를 합성수지 필름에 코팅함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합성수지 필름의 일면에 부착력을 증진시키기 위해 하도코팅면을 형성하고, 상기 하도코팅면에 은(Ag) 착제 화합물을 도포하여 반사면을 형성하며, 상기 반사면에 반사면을 보호하기 위한 투명코팅면을 형성한다.
이러한 반사판(150)은 싱글 침대(제1실시예)와 더블 침대(제2실시예)에 모두 적용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반사판(150) 유닛의 하측을 커버하도록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반사판(150) 유닛의 크기 만큼 형성되어 각 반사판(150)의 하부에 각각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반사판(150)과 원적외선 방출유닛(130)의 하측에 반사판(150)이 배치도미에 따라 상기 원적외선 방출유닛(130)의 원적외선 방출 효율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수정침대의 제5실시예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5실시예는 제1실시예의 원적외선 방출유닛의 설치 구조를 제외하고 나머지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관해서는 동일한 도번을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정침대의 제5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원적외선 방출유닛(130)은 수정판(120)의 하부에 왕복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원적외선 방출유닛(130)은, 상기 프레임(110)의 하측에 설치되는 이송장치(160)와, 상기 이송장치(160)에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원적외선 램프(131)를 포함한다.
상기 이송장치(160)는 원적외선 램프(131)를 이송시킬 수 있는 한 다양한 구조가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이송장치(160)는 프레임(110)의 길이방향 양측에 설치되는 풀리(161)와, 상기 풀리(161)를 연결하는 벨트(163)와, 상기 풀리(161)를 회전시킴에 따라 원적외선 램프(131)를 이송시키는 모터(165)를 포함하는 벨트(163) 컨베이어 일 수 있다.
또한, 도시는 하지 않았지만, 상기 이송장치(160)는 프레임(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나선형 홈이 형성된 볼스크류(ball screw)일 수 있다.
상기 이송장치(160)는 원하는 수정판 유닛(121)을 선택하면(사용자나 고객이 원하는 부위를 선택하면) 그 수정판 유닛(121)의 아래로 이동하여 원적외선을 방출한다. 이때, 인체의 일부에 자외선과 수정 에너지가 공급된다.
또한, 상기 이송장치(160)는 일정한 시간 동안 왕복하면서 수정판(120)을 전체적으로 가열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침대를 위생적으로 사용하고 인체에서 노폐물의 배출을 촉진시킬 수 있으므로, 산업상으로 현저한 이용 가능성이 있다.
110: 프레임 111: 걸림턱
115: 레그 113: 중간 지지대
120: 수정판 121: 수정판 유닛
130: 원적외선 방출유닛 131: 원적외선 램프
135: 소켓 140: 온도 조절기
150: 반사판 160: 이송장치

Claims (17)

  1.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탑재되어 수정 에너지를 방출하는 수정판; 및
    상기 수정판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수정판을 투과하여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원적외선 방출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수정판에는 다이아몬드를 분쇄한 분말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정침대.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탑재되는 수정판; 및
    상기 수정판의 하측에 설치되고, 상기 수정판을 가열하여 수정 에너지와 원적외선의 방출량을 증가시키는 원적외선 방출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수정판에는 다이아몬드를 분쇄한 분말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정침대.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인체에서 배출되는 노폐물이 흡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금속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정침대.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정판은 투명 또는 반투명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정침대.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정판은 프레임에 배열되는 다수의 수정판 유닛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정침대.
  17. 삭제
KR1020100051683A 2010-06-01 2010-06-01 수정침대 KR1012619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1683A KR101261981B1 (ko) 2010-06-01 2010-06-01 수정침대
CN2010205248871U CN201906362U (zh) 2010-06-01 2010-09-10 水晶床系统
CN2010102781905A CN102266643A (zh) 2010-06-01 2010-09-10 水晶床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1683A KR101261981B1 (ko) 2010-06-01 2010-06-01 수정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1962A KR20110131962A (ko) 2011-12-07
KR101261981B1 true KR101261981B1 (ko) 2013-05-08

Family

ID=45500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1683A KR101261981B1 (ko) 2010-06-01 2010-06-01 수정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198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90363A (zh) * 2013-12-10 2014-10-08 深圳红硅谷科技有限公司 一种从阳光中提取光子能量的方法及装置
KR102638587B1 (ko) * 2022-04-11 2024-02-19 김창환 근적외선 침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5898Y1 (ko) * 2000-01-21 2000-06-15 장인수 침대
KR101101787B1 (ko) * 2009-08-31 2012-01-05 박준수 신체자극용 기능성 침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5898Y1 (ko) * 2000-01-21 2000-06-15 장인수 침대
KR101101787B1 (ko) * 2009-08-31 2012-01-05 박준수 신체자극용 기능성 침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1962A (ko) 2011-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00533B2 (ja) 電気温灸器
KR101129308B1 (ko) 핸드형 온열 마사지 장치
US6884256B2 (en) Multiple-effect health device
KR100841524B1 (ko) 원적외선 좌훈기
KR101261981B1 (ko) 수정침대
KR200462681Y1 (ko) 수정침대 시스템
US11285038B2 (en) Multi-function massage stone
KR102421363B1 (ko)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안면 피부관리용 마스크 장치
KR200365925Y1 (ko) 황토볼 온열 매트
KR200297648Y1 (ko) 휴대용 미용 기구
KR20090049107A (ko) 원적외선 방사 물질을 이용한 휴대용 온열기
KR200303212Y1 (ko) 건강 온열 매트
KR102448097B1 (ko) 세라믹블록을 갖는 복합 온열마사지장치
KR200422925Y1 (ko)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옥 좌욕기
KR100902883B1 (ko) 건식 수족 온열기
CN201906362U (zh) 水晶床系统
KR200321391Y1 (ko) 근적외선 좌욕기
KR200371920Y1 (ko) 원적외선을 이용한 발 전용 찜질기
KR200320968Y1 (ko) 온열매트
KR102345214B1 (ko) 다용도 온열기
KR20230174707A (ko) 자수정에 온열파동과 it를 접목하여 뜸과 마사지 기능을 갖는 셀프케어 및 마사지기기
KR200156501Y1 (ko) 거정석을 함유하는 유연성 플레이트
KR100728335B1 (ko) 쑥훈증기
KR101119936B1 (ko) 구동 가능한 발열부를 갖는 온열 매트
KR200188136Y1 (ko) 돌 황토침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