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0644B1 - 다기능 구조체를 갖는 연안 보호용 장치 - Google Patents

다기능 구조체를 갖는 연안 보호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0644B1
KR101260644B1 KR1020130024025A KR20130024025A KR101260644B1 KR 101260644 B1 KR101260644 B1 KR 101260644B1 KR 1020130024025 A KR1020130024025 A KR 1020130024025A KR 20130024025 A KR20130024025 A KR 20130024025A KR 101260644 B1 KR101260644 B1 KR 1012606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
water
coastal
water passages
water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40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수
Original Assignee
(주)씨테크알엔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씨테크알엔디 filed Critical (주)씨테크알엔디
Priority to KR10201300240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06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06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06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02B3/062Constructions floating in operational condition, e.g. breakwaters or wave dissipating walls

Abstract

본 발명은 연안에 다층으로 형성된 구성부재에 의해 다기능을 수행하도록 한 구조체를 설치하여 연안을 침식으로부터 보호함과 아울러 해조장과 같은 생태적 환경 및 배후 해역에 퇴적환경 등을 조성할 수 있도록 한 다기능 구조체를 갖는 연안 보호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연안수역에 설치되어 소정높이로 잠수될 수 있도록 한 구조체에 상,중,하층부로 이루어진 구성부재를 구비하되 제1부함의 측부에 관통되어 외해에서 내해로 해수유통이 이루어지도록 한 제1통수로에 완충돌출부재가 형성되어 있는 상층부와; 상,하층부의 제1,2부함을 상호 연결하도록 한 다수의 로프에 엽상 형태의 돌출접촉재가 형성되어 있는 제2통수로를 구비하여서 된 중층부와; 제2부함의 측부에 관통되어 외해에서 내해로 해수유통이 이루어지도록 한 제3통수로에 완충돌출부재가 형성되어 있고, 제2부함의 저면은 외해에서 내해방향으로 상향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하층부;로 이루어진 다기능 구조체를 갖는 연안 보호용 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기능 구조체를 갖는 연안 보호용 장치 {APPARATUS FOR COASTAL PROTECTION}
본 발명은 다기능 구조체를 갖는 연안 보호용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연안에 다층으로 형성된 구성부재에 의해 다기능을 수행하도록 한 구조체를 설치하여 연안을 침식으로부터 보호함과 아울러 해조장과 같은 생태적 환경 및 배후 해역에 퇴적환경 등을 조성할 수 있도록 한 다기능 구조체를 갖는 연안 보호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안 또는 강이 바다로 흘러드는 구역과 같은 연안에서는 연안이 침식되는 현상으로 모래의 유실을 야기할 뿐만 아니라 도로, 방파제, 방조제 등의 사회기반시설물에 위협적인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해안침식은 국토유실, 사유재산 및 기반시설을 파괴함으로써 심각한 자연재해로 받아들여지고 있으며, 이러한 해안침식으로부터 국토와 해안의 사유 재산을 보호하고 해안의 효율적인 이용개발을 위해 해안침식을 방지하기 위해 다양한 기술개발에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종래에는 해안 지반 위에 파도의 파력을 감소시켜줄 수 있는 소파블록만을 설치하거나 또는 테트라포트, 사석 등으로 해안선 또는 제방을 피복하여 파도에 의한 해안선의 침식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으나, 소파블록만을 설치하는 경우 해안선과 인접하여 설치된 부분의 지반이 유실되면 자동적으로 소파블록도 함께 유실되는 등, 지속적으로 발생되는 파도의 파력에 의한 유실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없는 실정이며, 또한 사석 등으로 해안선 또는 제방을 피복하거나 포설하는 경우에도 파도의 파력에 의하여 지반이 유실되면 상기 사석 또는 테트라포트 등과 같은 설치물이 상호 연결되어 있지 않아 개별적으로 각각 유실되어 해안선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없었다.
이를 감안하여 최근에는 상기한 바와 같은 해안침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방파제 이외에도, 메쉬 형태의 패널을 사용하여 이를 해변(해안선)을 가로질러 연속적으로 설치함으로써 파도나 해수의 간만작용 등에 의해 해안이 침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침식된 해안을 복원 또는 개축할 수 있게 한 신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상기의 메쉬 패널을 이용한 그물식 방파제는, 사장이 형성된 해안으로부터 바다 쪽으로 해변을 가로질러 복수의 포스트를 각각 소정 간격으로 입설하고, 그 각 포스트 간에 상기 메쉬 패널을 설치함으로써, 파도 등에 의해 해안이 침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그물식 방파제는, 설치 후 장기간의 시일 경과시 포스트와 함께 메쉬 패널이 퇴적 토사층 속으로 매몰됨으로써 그 수명을 다하게 될 뿐만 아니라, 크레인, 불도저, 덤프트럭, 모래 펌핑 장치, 암석선별기 등과 같은 각종 준설장비(Dredging Equipment)들을 동원하여 수명이 다한 상기 방파제를 제거한 후 정지 작업을 하여야 하기 때문에 그 공정이 매우 번거롭고, 복구에 소요되는 공사기간이 장기화되며, 공정 중에 심한 소음공해가 발생하게 되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선행기술로서 개시된 특허 제10-0657180호에서는 해안의 토사 침식 방지 구조물로서 일정간격을 가지도록 해안에 타설되어 있는 지주와, 상기 지주에 삽입되어 해안 바닥에 고정되어 있는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주에 삽입되어 있으며, 해수면의 높이에 따라 상기 지주에서 상하로 이동되는 부유플레이트; 및 해수에 의하여 밀려온 모래 및 부유물이 걸려서 적층되도록 하단부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고정되고 상단부는 상기 부유플레이트에 고정되어 있는 메쉬를 포함하여 구성된 해안의 토사 침식 방지 구조물이 제시되어 토사 침식 방지 구조물에 의하여 해수의 힘이 저하되고 부유플레이트가 해수의 높이에 따라 상하로 이동되어 해수에 의하여 밀려온 부유물 및 모래가 메쉬에 적층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의 선행기술을 포함하는 종래의 연안 보호 구조물은 주로 토사의 침식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한정된 보호만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파도의 흡수 및 분산효과가 미흡하고, 파도와 함께 밀려온 모래가 다시 밀려가거나 백사장에 있는 모래가 쓸려 가버리는 것을 방지하지 못하는 효과도 크지 못하였다.
특히, 종래에는 연안에서 파랑에너지의 영향 및 해조류의 생태적 환경, 표사의 유동 등과 같은 여러 가지 원인을 복합적으로 해결할 수 없었으며, 이러한 연안을 보호하기 위한 복합적인 기능을 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구조물을 설치해야되므로 구조가 복잡해지고 설치비용도 많이 들게 되는 등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연안수역에 설치되어 소정높이로 잠수될 수 있도록 한 구조체에 상,중,하층부로 이루어진 구성부재를 구비하되 상층부는 파랑에너지의 저감 및 표사의 흐름 방향을 유도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해수의 정온(靜穩)해역을 조성할 수 있도록 하고, 중층부는 파랑에너지의 저감 및 해조장을 조성할 수 있도록 하고, 하층부는 구조체의 균형 유지 및 해저의 상,하 운동에 의한 해저면 모래를 부상시켜 부유사 형성 및 부유사 이동과, 저면의 모래를 배후해역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다기능 구조체를 갖는 연안 보호용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연안수역에 설치되어 소정높이로 잠수될 수 있도록 한 구조체에 상,중,하층부로 이루어진 구성부재를 구비하되 제1부함의 측부에 관통되어 외해에서 내해로 해수유통이 이루어지도록 한 제1통수로에 완충돌출부재가 형성되어 있는 상층부와; 상,하층부의 제1,2부함을 상호 연결하도록 한 다수의 로프에 엽상 형태의 돌출접촉재가 형성되어 있는 제2통수로를 구비하여서 된 중층부와; 제2부함의 측부에 관통되어 외해에서 내해로 해수유통이 이루어지도록 한 제3통수로에 완충돌출부재가 형성되어 있고, 제2부함의 저면은 외해에서 내해방향으로 상향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하층부;로 이루어진 다기능 구조체를 갖는 연안 보호용 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2부함은 측부에 수평방향으로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수직으로 2단 이상으로 형성된 제1,3통수로가 각각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2부함을 관통하는 제1,3통수로는 길이방향으로 일직선 또는 곡선형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3통수로의 완충돌출부재는 연성재질로 구비되고, 제1,3통수로의 관로 상에 다수 형성되어 좁혀지거나 벌어지는 탄력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완충돌출부재는 외해에서 내해로 유입되는 해수유통 진행방향을 따라 제1,3통수로의 관로가 점차적으로 좁혀지도록 하는 완충경사면을 갖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통수로에 설치되는 로프의 둘레를 따라 체결되는 형태로 돌출접촉재가 형성된 구성으로 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부함과 제2부함은 해저면에 고정되는 앵커와 연결줄로 각각 연결되어 부유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기능 구조체를 갖는 연안 보호용 장치는 소정높이로 잠수될 수 있도록 한 단일 구조체에 상,중,하층부로 이루어진 복합 구성부재가 구비되어 에너지의 저감 및 표사의 흐름 방향을 유도, 해수의 정온 해역 및 해조장 조성, 부유사 형성 및 부유사 이동과, 저면의 모래를 배후해역으로 이동시키는 것과 같은 복합적인 기능을 수행하여 연안 보호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고, 설치비용 절감 및 설치작업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 구조체를 갖는 연안 보호용 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단면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 구조체를 갖는 연안 보호용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 구조체를 갖는 연안 보호용 장치에서 제1,3통수로의 구성을 나타낸 평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 구조체를 갖는 연안 보호용 장치에서 제1,3통수로의 일부확대 단면도.
제 5도는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 구조체를 갖는 연안 보호용 장치에서 제2통수로에 설치되는 로프 및 돌출접촉재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 구조체를 갖는 연안 보호용 장치에서 제1,3통수로의 또 다른 구성 실시예를 나타낸 평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연안수역에 설치되어 소정높이로 잠수될 수 있도록 한 구조체에 상,중,하층부(A)(B)(C)로 이루어진 구성부재를 구비하되 제1부함(10)의 측부에 관통되어 외해에서 내해로 해수유통이 이루어지도록 한 제1통수로(31)에 완충돌출부재(40)가 형성되어 있는 상층부(A)와; 상,하층부(A)(C)의 제1,2부함(10)(20)을 상호 연결하도록 한 다수의 로프(50)에 엽상 형태의 돌출접촉재(52)가 형성되어 있는 제2통수로(32)를 구비하여서 된 중층부(B)와; 제2부함(20)의 측부에 관통되어 외해에서 내해로 해수유통이 이루어지도록 한 제3통수로(33)에 완충돌출부재(40)가 형성되어 있고, 제2부함(20)의 저면은 외해에서 내해방향으로 상향경사면(22)이 형성되어 있는 하층부(C);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층부(A)를 구성하는 제1부함(10)은 박스 형태로 부유할 수 있도록 형성되되 측부에 수평방향으로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수직으로 2단 이상으로 형성된 제1통수로(31)가 형성되어 밀려오는 파도를 분산하도록 함과 아울러 제1통수로(31)에 형성된 완충돌출부재(40)에 의해 파랑에너지를 저감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부함(10)을 관통하는 제1통수로(31)는 길이방향으로 일직선 또는 곡선형으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이는 연안지형의 형태나 특성 등에 따라 해수를 원하는 방향으로 제1통수로(31)를 길이방향 각도를 형성하여 해수의 흐름 방향을 유도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완충돌출부재(40)는 고무나 실리콘, 우레탄 등과 같은 연성재질로 구비되어 제1통수로(31)의 관로 상에서 좁혀지거나 벌어지는 탄력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수단으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제1통수로(31)의 완충돌출부재(40)는 파랑에너지를 저감할 수 있도록 하여 정온(靜穩) 해역을 조성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완충돌출부재(40)는 외해에서 내해로 해수유통 진행방향을 따라 제1통수로(31)의 관로가 점차적으로 좁혀지도록 하는 완충경사면(42)을 갖도록 하여 표사를 연안 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층부(B)의 제2통수로(32)에 설치되는 로프(50)는 섬유를 꼬아 만든 굵은 줄로서 꼬임부에 의해 불규칙한 외주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로프(50)의 둘레를 따라 체결되는 형태로 돌출접촉재(52)가 형성된 구성에 의해 제2통수로(32)에 유통되는 해수와의 마찰력 및 항력, 관성력을 증가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미역, 다시마 등 해조류를 인공으로 키우는 해조장(海藻場)을 형성시키는 생태적 환경을 조성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하층부(C)의 제2부함(20)은 박스형으로 형성되되 저면은 외해에서 내해방향으로 상향경사면(22)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층부(C)에 구비되는 제3통수로(33) 및 제3통수로(33)에 형성되는 완충돌출부재(40)의 구성은 상기 제1통수로(31)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하층부(C)의 제2부함(20)에 형성된 제3통수로(33)는 일정한 자중에 의한 상층부(A)의 제1부함(10)과의 균형을 맞출 수 있도록 하고, 배후해역으로 부유사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제2부함(20)은 수면에 부유하고 있는 제1부함(10)의 상,하 운동을 그대로 전달받아 해저에서 상,하 운동을 하게 되며, 이러한 제2부함(20)의 상,하 운동에 의해 해저면 모래를 부상시켜 부유사 형성 및 부유사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부유사는 제3통수로(33)를 통해 배후해역으로 이동하게 하며, 이때 부유사는 제3통수로(33)의 길이방향 각도에 따라 설정된 배후해역으로 부유사를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하층부(C)를 구성하는 제2부함(20)의 저면은 외해에서 내해방향으로 상향경사면(22)이 형성되어 외해에서 내해방향으로 해수가 유통될 때 제2부함(20)의 입구면과 해저면 사이에 비해서 내측면과 해저면 사이에 더 많은 공간을 확보하도록 하여 해저면의 모래를 배후해역으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부함(10)과 제2부함(20)은 해저면에 고정되는 앵커(62)와 연결줄(60)(60')로 각각 연결되어 부유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연안지형의 형태나 특성 등에 따라 연결줄(60)(60')의 길이조절에 의해 제1부함(10)과 제2부함(20)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연안수역에 설치되어 소정높이로 잠수될 수 있도록 한 단일 구조체에 상,중,하층부(A)(B)(C)로 이루어진 복합 구성부재가 구비되어 파랑에너지의 저감 및 표사의 흐름 방향을 유도, 해수의 정온 해역 및 해조장 조성, 부유사 형성 및 부유사 이동과, 저면의 모래를 배후해역으로 이동시키는 복합 기능으로 연안 해역을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A : 상층부 B : 중층부
C : 하층부 10 : 제1부함
20 : 제2부함 22 : 상향경사면
31 : 제1통수로 32 : 제2통수로
33 : 제3통수로 40 : 완충돌출부재
42 : 완충경사면 50 : 로프
52 : 돌출접촉재 60,60' : 연결줄
62 : 앵커

Claims (8)

  1. 연안수역에 설치되어 소정높이로 잠수될 수 있도록 한 구조체에 상,중,하층부(A)(B)(C)로 이루어진 구성부재를 구비하되
    제1부함(10)의 측부에 관통되어 외해에서 내해로 해수유통이 이루어지도록 한 제1통수로(31)에 완충돌출부재(40)가 형성되어 있는 상층부(A)와;
    상,하층부(A)(C)의 제1,2부함(10)(20)을 상호 연결하도록 한 다수의 로프(50)에 엽상 형태의 돌출접촉재(52)가 형성되어 있는 제2통수로(32)를 구비하여서 된 중층부(B)와;
    제2부함(20)의 측부에 관통되어 외해에서 내해로 해수유통이 이루어지도록 한 제3통수로(33)에 완충돌출부재(40)가 형성되어 있고, 제2부함(20)의 저면은 외해에서 내해방향으로 상향경사면(22)이 형성되어 있는 하층부(C);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구조체를 갖는 연안 보호용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부함(10)(20)은 측부에 수평방향으로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수직으로 2단 이상으로 형성된 제1,2통수로(31)(33)가 각각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구조체를 갖는 연안 보호용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부함(10)(20)을 관통하는 제1,2통수로(31)(33)는 길이방향으로 일직선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구조체를 갖는 연안 보호용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부함(10)(20)을 관통하는 제1,2통수로(31)(33)는 길이방향으로 곡선형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구조체를 갖는 연안 보호용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통수로(31)(33)의 완충돌출부재(40)는 연성재질로 구비되고, 제1,3통수로(31)(33)의 관로 상에 다수 형성되어 좁혀지거나 벌어지는 탄력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구조체를 갖는 연안 보호용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돌출부재(40)는 외해에서 내해로 유입되는 해수유통 진행방향을 따라 제1,2통수로(31)(33)의 관로가 점차적으로 좁혀지도록 하는 완충경사면(42)을 갖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구조체를 갖는 연안 보호용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통수로(32)에 설치되는 로프(50)의 둘레를 따라 체결되는 형태로 돌출접촉재(52)가 형성된 구성으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구조체를 갖는 연안 보호용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함(10)과 제2부함(20)은 해저면에 고정되는 앵커(62)와 연결줄(60)(60')로 각각 연결되어 부유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구조체를 갖는 연안 보호용 장치.








KR1020130024025A 2013-03-06 2013-03-06 다기능 구조체를 갖는 연안 보호용 장치 KR1012606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4025A KR101260644B1 (ko) 2013-03-06 2013-03-06 다기능 구조체를 갖는 연안 보호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4025A KR101260644B1 (ko) 2013-03-06 2013-03-06 다기능 구조체를 갖는 연안 보호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0644B1 true KR101260644B1 (ko) 2013-05-03

Family

ID=48665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4025A KR101260644B1 (ko) 2013-03-06 2013-03-06 다기능 구조체를 갖는 연안 보호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064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27445A (ja) 2002-06-04 2003-01-29 Tokyo Jimu Service Kk 人工海草マットの敷設工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27445A (ja) 2002-06-04 2003-01-29 Tokyo Jimu Service Kk 人工海草マットの敷設工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ang et al. Very large floating structures: applications, research and development
CN103215919B (zh) 一种含柔性结构的浮式防波堤
CN103334404A (zh) 一种可拼装的柔性浮式防波堤单元体
Safari A short review of submerged breakwaters
CN106836118B (zh) 一种用于海岸带保护的阶梯式植物消浪装置
CN105155464B (zh) 一种用于沉排促淤加固的浮板装置
KR101403564B1 (ko) 부유식 소파장치
US6305877B1 (en) Breakwater/attenuation device for high speed vessel wake
KR101260644B1 (ko) 다기능 구조체를 갖는 연안 보호용 장치
KR20130027837A (ko) 조립식구조의 다목적 부유식(浮游式) 소파제(消波提)
KR101820335B1 (ko) 수류 에너지 감쇄를 통한 수중 구조물의 세굴방지 장치 및 세굴방지 장치의 시공방법
KR102253127B1 (ko) 다기능 부유체
KR101713170B1 (ko) 복합형 파랑에너지 저감 연안 시설물
CN104612106B (zh) 一种透水型土工软体排结构
KR101522923B1 (ko) 다목적 해양 인공구조물
KR101863961B1 (ko) 방파제 공사를 위한 혼합식 방파제 및 그 설치방법
Black Designing the shape of the Gold Coast Reef: Sediment dynamics
KR101797950B1 (ko) 파괴식 파랑에너지 저감 연안 시설물
CN111893943A (zh) 一种半潜式分层防冲促淤装置
KR100350895B1 (ko) 환경친화성 퇴적제어장치
JPH0432058Y2 (ko)
KR100260701B1 (ko) 방파제 시스템
KR100288513B1 (ko) 친수형 방파제 시스템
RU206923U1 (ru) Волногаситель комбинированный модульный
JP2014043754A (ja) 離岸式海中防波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