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0600B1 - Multimedia terminal holding apparatus for vehicle - Google Patents

Multimedia terminal holding apparatus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0600B1
KR101260600B1 KR1020110025307A KR20110025307A KR101260600B1 KR 101260600 B1 KR101260600 B1 KR 101260600B1 KR 1020110025307 A KR1020110025307 A KR 1020110025307A KR 20110025307 A KR20110025307 A KR 20110025307A KR 101260600 B1 KR101260600 B1 KR 1012606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rotating plate
rotating
fixed plate
multimedia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530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107668A (en
Inventor
최경수
장문석
Original Assignee
장애인표준사업장비클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애인표준사업장비클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장애인표준사업장비클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253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0600B1/en
Publication of KR201201076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766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06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060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7/00Suction cups for attaching purposes; Equivalent means using adhesives
    • F16B47/003Suction cups for attaching purposes; Equivalent means using adhesives using adhesives for attach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05Dash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56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suction c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5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adjustment by rotation in their operational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거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센터페시아 부위에 빌트인된 음향기기의 전방에 마련되는 고정판; 상기 고정판에 부착되어 멀티미디어 단말기가 탈착가능하게 거치되며, 거치된 멀티미디어 단말기를 회전시키는 회전판; 상기 회전판을 상기 고정판에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커플러; 및 상기 회전판에 거치되는 멀티미디어 단말기에 차량의 전원을 공급하거나 멀티미디어 단말기의 음향신호를 상기 음향기기로 전송하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거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멀티미디어 단말기가 거치되는 회전판이 차량의 센터페시아 부위에 마련되는 고정판에 커플러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센터페시아 부위에 매립된 상태로 멀티미디어 단말기를 거치할 수 있는 동시에 멀티미디어 단말기의 방향을 자유로이 전환시킬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media terminal mounting apparatus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a fixed plate provided in front of a built-in audio device in a center fascia portion of a vehicle; A rotating plate attached to the fixed plate to be detachably mounted to the multimedia terminal and rotating the mounted multimedia terminal; A coupler for rotatably coupling the rotating plate to the fixed plate; And a connector for supplying power to the multimedia terminal mounted on the rotating plate or transmitting a sound signal of the multimedia terminal to the audio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rotating plate on which the multimedia terminal is mounted is rotatably coupled to a fixed plate provided in the center fascia portion of the vehicle by a coupler, the multimedia terminal can be mounted in a state embedded in the center fascia portion, You can switch directions freely.

Description

차량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거치장치 {MULTIMEDIA TERMINAL HOLDING APPARATUS FOR VEHICLE}Vehicle Multimedia Terminal Mounting Device {MULTIMEDIA TERMINAL HOLDING APPARATUS FOR VEHICLE}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단말기 거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종류의 멀티미디어 단말기를 차량의 센터페시아에 거치할 수 있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거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media terminal mount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multimedia terminal mounting apparatus for a vehicle capable of mounting various types of multimedia terminals in the center fascia of the vehicle.

일반적으로 IT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과거에 휴대전화에 국한되었던 휴대용 단말기에서 벗어나, 휴대폰은 물론 DMB수신기, 네비게이션, PMP, MP3플레이어 등 다양한 종류의 휴대용 멀티미디어 단말기들이 개발되고 있는바, 현대인들은 이러한 멀티미디어 단말기들을 휴대하면서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멀티미디어를 즐기고 있다.In general, with the development of IT technology, various types of portable multimedia terminals such as DMB receivers, navigation, PMP, and MP3 players are being developed as well as mobile phones, which have been limited to mobile phones in the past. Carrying them, they enjoy multimedia regardless of time and place.

더욱이 최근에 들어서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컴퓨터와 같이 여러 기능을 통합하여 즐길 수 있는 통합형 멀티미디어 단말기가 개발되어 기존의 단말기를 대체하고 있다. In addition, recently, integrated multimedia terminals have been developed that can be integrated and enjoyed, such as smart phones and tablet computers, and replace existing terminals.

통합형 멀티미디어 단말기는 음악감상이나 DMB TV 시청, 무선인터넷, 네비게이션 기능을 하기 때문에 차량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멀티미디어 단말기를 차량에 거치하기 위한 거치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Integrated multimedia terminals have been widely used in vehicles because they play music, watch DMB TV, wireless internet, and navigation. Accordingly, mounting devices for mounting multimedia terminals on vehicles have been developed.

일반적인 거치장치는 차량과 독립된 형태로 제작되어 차량의 앞유리나 대시보드에 부착되는 방식으로 제작되고 있으나,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게 되어 안전운전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다. The general mounting device is manufactured in a form independent of the vehicle and is manufactured in a manner that is attached to the windshield or the dashboard of the vehicle, but there is a problem that obstructs the driver's view and inhibits safe driving.

또한, 기존의 거치장치는 흡착이나 접착에 의해 차량의 앞유리나 대시보드에 부착되므로 거치된 멀티미디어 단말기의 무게에 의해 부착력이 저하되며, 나아가 낙하되어 운전을 방해하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existing mounting device is attached to the windshield or the dashboard of the vehicle by the adsorption or adhesion, so that the adhesive force is reduced by the weight of the mounted multimedia terminal, there is also a problem that fall and interfere with driving.

이에 더하여, 기존의 거치장치는 멀티미디어 단말기를 차량의 음향기기에 접속시킬 수 없어서, 음향출력의 한계는 물론 멀티미디어 단말기를 충전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existing mounting apparatus has a problem in that the multimedia terminal cannot be connected to the acoustic device of the vehicle, and thus the limitation of the sound output cannot be charged, as well as the multimedia terminal.

따라서, 최근에는 차량에 매립된 상태로 멀티미디어 단말기를 거치하는 동시에 차량의 음향기기를 통해 접속할 수 있는 매립형 거치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Therefore,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 demand for the development of a buried mounting apparatus that can be connected through a sound device of a vehicle while simultaneously mounting a multimedia terminal embedded in a vehicle.

한편, 통합형 멀티미디어 단말기는 화면에 제공되는 영상 또는 이미지가 수직방향에 국한되지 않고 수평방향으로도 제공되고 있는 반면, 기존의 거치장치는 거치된 멀티미디어 단말기의 방향을 자유로이 전환할 수 없는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integrated multimedia terminal is not limited to the vertical direction, but the image or image provided on the screen is provid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hile the conventional mounting device is inconvenient to use it can not freely change the direction of the mounted multimedia terminal There is this.

다른 한편, 거치장치가 차량에 매립되어 회전하는 형태로 구성될 경우, 회전체가 원형으로 제작되어야 하는 제작상의 제약이 있으며, 또한 테블릿컴퓨터와 같이 크기가 큰 멀티미디어 단말기의 경우에는 차량의 구조물 등에 걸려서 회전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mounting device is embedded in the vehicle to rotate, there is a manufacturing constraint that the rotating body must be made in a circular shape, and in the case of a large multimedia terminal such as a tablet computer, the structure of the vehicle, etc.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be caught and rotated.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차량의 센터페시아 부위에 일체적으로 설치된 상태로 멀티미디어 단말기를 거치시키는 동시에 차량의 음향기기에 접속시킬 수 있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거치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the vehicle multimedia terminal mounting apparatus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sound device of the vehicle while mounting the multimedia terminal integrally installed in the center fascia portion of the vehicle The purpose is to provide.

특히, 멀티미디어 단말기가 거치된 상태에서 멀티미디어 단말기를 자유로이 회전시킬 수 있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거치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 In particular,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ehicle multimedia terminal mounting apparatus capable of freely rotating a multimedia terminal in a state where the multimedia terminal is mounted.

또한, 멀티미디어 단말기를 회전시키는 회전체가 차량의 형태에 따라 원형이 아닌 형태로 형성되어 매립된 경우에도 회전이 가능하며, 회전하는 멀티미디어 단말기가 차량의 구조물에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거치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 In addition, when the rotating body for rotating the multimedia terminal is formed in a non-circular form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vehicle is possible to rotate even when embedded, the vehicle multimedia terminal mounted to prevent the rotating multimedia terminal is caught in the structure of the vehicle The purpose is to provide a device.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양상은, 차량의 센터페시아 부위에 빌트인된 음향기기의 전방에 마련되는 고정판; 상기 고정판에 부착되어 멀티미디어 단말기가 탈착가능하게 거치되며, 거치된 멀티미디어 단말기를 회전시키는 회전판; 상기 회전판을 상기 고정판에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커플러; 및 상기 회전판에 거치되는 멀티미디어 단말기에 차량의 전원을 공급하거나 멀티미디어 단말기의 음향신호를 상기 음향기기로 전송하는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커플러에 의해 상기 고정판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상기 회전판을 상기 고정판의 전방으로 돌출시키는 돌출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돌출수단은, 상기 고정판에 원호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회전판의 회전을 안내하고, 일단에서 타단까지의 바닥면에 경사를 갖는 홈형태의 안내레일; 및 상기 회전판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안내레일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안내레일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안내레일의 경사에 의해 상기 고정판의 전방으로 융기하면서 상기 회전판을 상기 고정판의 전방으로 돌출시키는 이동돌기;를 포함하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거치장치에 관계한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양상은, 차량의 센터페시아 부위에 빌트인된 음향기기의 전방에 마련되는 고정판; 상기 고정판에 부착되어 멀티미디어 단말기가 탈착가능하게 거치되며, 거치된 멀티미디어 단말기를 회전시키는 회전판; 상기 회전판을 상기 고정판에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커플러; 및 상기 회전판에 거치되는 상기 멀티미디어 단말기에 차량의 전원을 공급하거나 상기 멀티미디어 단말기의 음향신호를 상기 음향기기로 전송하는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커플러에 의해 상기 고정판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상기 회전판을 상기 고정판의 전방으로 돌출시키는 돌출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돌출수단은, 상기 고정판에 원호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회전판의 회전을 안내하고, 일단에서 타단까지의 바닥면에 경사를 갖는 홈형태의 안내레일; 및 상기 회전판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안내레일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안내레일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안내레일의 경사에 의해 상기 고정판의 전방으로 융기하면서 상기 회전판을 상기 고정판의 전방으로 돌출시키는 이동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수단은, 상기 고정판과 상기 회전판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판을 회전시키면서 상기 고정판의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베어링;을 더 포함하며, 상기 이동베어링은, 상기 고정판에 끼워진 상태로 고정되며, 외주면에 다수의 롤러가 마련된 내륜; 및 상기 내륜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회전판에 고정되어 상기 내륜을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회전판을 회전시키고, 상기 내륜의 폭보다 좁은 폭으로 형성되어 상기 내륜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면서 상기 회전판을 상기 고정판의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외륜;을 포함하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거치장치에 관계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양상은, 차량의 센터페시아 부위에 빌트인된 음향기기의 전방에 마련되는 고정판; 상기 고정판에 부착되어 멀티미디어 단말기가 탈착가능하게 거치되며, 거치된 멀티미디어 단말기를 회전시키는 회전판; 상기 회전판을 상기 고정판에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커플러; 및 상기 회전판에 거치되는 상기 멀티미디어 단말기에 차량의 전원을 공급하거나 상기 멀티미디어 단말기의 음향신호를 상기 음향기기로 전송하는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커플러에 의해 상기 고정판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상기 회전판을 상기 고정판의 전방으로 돌출시키는 돌출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돌출수단은, 상기 고정판에 돌출상태로 마련되고, 상기 회전판의 회전을 안내하면서 상기 회전판을 상기 고정판과 이격되는 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한 안내나선이 외주면에 형성된 원통형의 안내슬리브; 및 상기 회전판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안내슬리브에 끼워지며, 상기 안내나선에 대응되는 회전나선이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안내나선을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회전판을 상기 고정판의 전방으로 돌출시키는 회전슬리브;를 포함하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거치장치에 관계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양상은, 차량의 센터페시아 부위에 빌트인된 음향기기의 전방에 마련되는 고정판; 상기 고정판에 부착되어 멀티미디어 단말기가 탈착가능하게 거치되며, 거치된 멀티미디어 단말기를 회전시키는 회전판; 상기 회전판을 상기 고정판에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커플러; 및 상기 회전판에 거치되는 상기 멀티미디어 단말기에 차량의 전원을 공급하거나 상기 멀티미디어 단말기의 음향신호를 상기 음향기기로 전송하는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커플러에 의해 상기 고정판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상기 회전판을 상기 고정판의 전방으로 돌출시키는 돌출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돌출수단은, 상기 커플러를 탄력적으로 지지하여 상기 회전판이 상기 커플러와 함께 상기 고정판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동력을 제공하는 탄성체; 상기 커플러의 일측에 설치되고, 가압에 의해 교번적으로 출몰하면서 상기 커플러를 상기 회전판과 함께 상기 고정판에 록킹하거나 언록킹하는 걸림집게가 마련된 걸림뭉치; 및 상기 고정판에 설치되고, 상기 커플러가 상기 회전판과 함께 상기 탄성체를 압축시킨 상태로 상기 걸림뭉치의 걸림집게에 의해 걸려서 고정되는 후크형태의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거치장치에 관계한다.
차량의 센터페시아 부위에 빌트인된 음향기기의 전방에 마련되는 고정판; 상기 고정판에 부착되어 멀티미디어 단말기가 탈착가능하게 거치되며, 거치된 멀티미디어 단말기를 회전시키는 회전판; 상기 회전판을 상기 고정판에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커플러; 및 상기 회전판에 거치되는 상기 멀티미디어 단말기에 차량의 전원을 공급하거나 상기 멀티미디어 단말기의 음향신호를 상기 음향기기로 전송하는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커플러에 의해 상기 고정판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상기 회전판을 상기 고정판의 전방으로 돌출시키는 돌출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돌출수단은, 상기 커플러를 탄력적으로 지지하여 상기 회전판이 상기 커플러와 함께 상기 고정판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동력을 제공하는 탄성체; 상기 커플러의 일측에 편축회전이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탄성체에 의해 이동하는 상기 커플러와 함께 이동하면서 상기 커플러를 상기 회전판과 함께 상기 고정판에 록킹하거나 언록킹하는 걸림핀; 상기 고정판에 마련되고, 상기 걸림핀이 삽입되는 홈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걸림핀을 일방향으로 통행시키면서 상기 커플러를 안내하는 통행트랙; 및 상기 통행트랙의 단부에 하트형태로 연장되어 상기 걸림핀이 통행하고, 통행하는 상기 걸림핀이 편축회전하면서 걸림에 의해 고정되거나 걸림이 해제되는 홈형태의 록킹트랙;을 포함하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거치장치에 관계한다.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fixed plate provided in front of the sound device built in the center fascia portion of the vehicle; A rotating plate attached to the fixed plate to be detachably mounted to the multimedia terminal and rotating the mounted multimedia terminal; A coupler for rotatably coupling the rotating plate to the fixed plate; And a connector for supplying power to the multimedia terminal mounted on the rotating plate or transmitting a sound signal of the multimedia terminal to the sound device, wherein the rotating plate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ixed plate by the coupler. Protruding means for protruding in front of the; further comprising, the protruding means is formed in an arc shape on the fixed plate to guide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plate, the guide rail of the groove shape having a slope on the bottom surface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 And a moving protrusion formed integrally with the rotating plate and moving along the guide rail in a state of being fitted to the guide rail and protruding the rotating plate toward the front of the fixed plate while being raised toward the front of the fixed plate by the inclination of the guide rail. It relates to a vehicle multimedia terminal mounting apparatus comprising a.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the fixed plate provided in front of the built-in acoustic device in the center fascia portion of the vehicle; A rotating plate attached to the fixed plate to be detachably mounted to the multimedia terminal and rotating the mounted multimedia terminal; A coupler for rotatably coupling the rotating plate to the fixed plate; And a connector for supplying power of the vehicle to the multimedia terminal mounted on the rotating plate or transmitting a sound signal of the multimedia terminal to the sound device, wherein the rotating plate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ixed plate by the coupler. Protruding means for protruding forward of the fixed plate; wherein the protruding means is formed in a circular arc shape on the fixed plate to guide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plate, the groove shape having a slope on the bottom surface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Guide rails; And a moving protrusion formed integrally with the rotating plate and moving along the guide rail in a state of being fitted to the guide rail and protruding the rotating plate toward the front of the fixed plate while being raised toward the front of the fixed plate by the inclination of the guide rail. It includes, The protruding means is installed between the fixed plate and the rotating plate further comprises a moving bearing for moving in front of the fixed plate while rotating the rotating plate, wherein the moving bearing is fitted to the fixed plate An inner ring which is fixed and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rollers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rotate the rotating plate while being fixed to the rotating plate while being coupled to the inner ring to rotate along the inner ring, the width of the inner ring being narrower than the width of the inner ring, and sliding the rotating plat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ner ring. It relates to a vehicle multimedia terminal mounting apparatus comprising a;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the fixed plate provided in front of the built-in sound device in the center fascia portion of the vehicle; A rotating plate attached to the fixed plate to be detachably mounted to the multimedia terminal and rotating the mounted multimedia terminal; A coupler for rotatably coupling the rotating plate to the fixed plate; And a connector for supplying power of the vehicle to the multimedia terminal mounted on the rotating plate or transmitting a sound signal of the multimedia terminal to the sound device, wherein the rotating plate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ixed plate by the coupler. Protruding means for protruding forward of the fixed plate; wherein the protruding means is provided in the protruding state on the fixed plate, the guide for guiding the rotating plate in a direction spaced from the fixed plate while guiding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plate A cylindrical guide sleeve having a spiral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a rotating sleeve formed integrally with the rotating plate to be fitted to the guide sleeve, the rotating spiral corresponding to the guide spiral being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rotate along the guide spiral to protrude the rotating plate toward the front of the fixed plate. Relates to a vehicle multimedia terminal mounting apparatus.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the fixed plate provided in front of the built-in sound device in the center fascia portion of the vehicle; A rotating plate attached to the fixed plate to be detachably mounted to the multimedia terminal and rotating the mounted multimedia terminal; A coupler for rotatably coupling the rotating plate to the fixed plate; And a connector for supplying power of the vehicle to the multimedia terminal mounted on the rotating plate or transmitting a sound signal of the multimedia terminal to the sound device, wherein the rotating plate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ixed plate by the coupler. And a protruding means for protruding forward of the fixed plate, wherein the protruding means elastically supports the coupler so that the rotating plate protrudes forward of the fixed plate together with the coupler; A catching bundle provided at one side of the coupler and provided with a locking pin for locking or unlocking the coupler together with the rotary plate while being alternately mounted by pressing; And a hook-type locking protrusion installed on the fixed plate and fixed by the locking pin of the locking bundle while the coupler is compressed with the elastic body together with the rotating plate.
A fixed plate provided in front of a sound device built in the center fascia portion of the vehicle; A rotating plate attached to the fixed plate to be detachably mounted to the multimedia terminal and rotating the mounted multimedia terminal; A coupler for rotatably coupling the rotating plate to the fixed plate; And a connector for supplying power of the vehicle to the multimedia terminal mounted on the rotating plate or transmitting a sound signal of the multimedia terminal to the sound device, wherein the rotating plate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ixed plate by the coupler. And a protruding means for protruding forward of the fixed plate, wherein the protruding means elastically supports the coupler so that the rotating plate protrudes forward of the fixed plate together with the coupler; A locking pin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coupler in a state capable of uniaxial rotation, and locking or unlocking the coupler to the fixed plate together with the rotating plate while moving together with the coupler moving by the elastic body; A passage track provided in the fixing plate and formed in the shape of a groove into which the engaging pin is inserted to guide the coupler while passing the engaging pin in one direction; And a locking track of a groove shape extending in a heart shape at an end of the traffic track so that the locking pin passes, and the locking pin passing through the shaft is fixed by a locking while the locking pin rotates uniaxially. Pertains to the device.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거치장치에 의하면, 멀티미디어 단말기가 거치되는 회전판이 차량의 센터페시아 부위에 마련되는 고정판에 커플러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센터페시아 부위에 매립된 상태로 멀티미디어 단말기를 거치할 수 있는 동시에 멀티미디어 단말기의 방향을 자유로이 전환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multimedia terminal mounting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rotating plate on which the multimedia terminal is mounte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ixed plate provided in the center fascia portion of the vehicle by a coupler, the multimedia terminal is mounted in a state embedded in the center fascia portion. At the same time, the direction of the multimedia terminal can be freely changed.

또, 커플러가 고정판에 마련되는 끼움축 및 회전베어링으로 구성되므로, 끼움축에 끼워지는 회전판을 회전베어링에 의해 끼움축을 중심으로 원활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coupler is composed of the fitting shaft and the rotation bearing provided on the fixed plate, it is possible to smoothly rotate the rotating plate fitted to the fitting shaft about the fitting axis by the rotation bearing.

이에 더하여, 끼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판에 형성되는 회전돌기가 회전하면서 고정판에 형성된 스토퍼에 걸려서 회전이 제한되므로 회전판의 회전각도를 제한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rotation protrusion formed on the rotating plate rotating around the fitting axis is caught by the stopper formed on the fixed plate, the rotation is restricted, thereby limiting the rotation angle of the rotating plate.

또한, 멀티미디어 단말기가 연결포트 및 접속모듈로 구성되는 커넥터에 의해 차량의 음향기기에 연결되므로, 멀티미디어 단말기의 음향신호를 차량의 스피커를 통해 증폭시킬수 있으며, 차량의 전원을 멀티미디어 단말기에 공급하여 충전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multimedia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acoustic device of the vehicle by a connector consisting of a connection port and a connection module, the audio signal of the multimedia terminal can be amplified through the speaker of the vehicle, and the vehicle power can be supplied to the multimedia terminal for charging. It may be.

이에 더하여, 접속모듈이 힌지핀에 의해 회전하면서 멀티미디어 단말기를 편축회전시키므로, 회전판에 단말기를 거치하거나 회전판으로부터 단말기를 분리할 경우, 단말기를 접속모듈에 접속된 상태에서 회전판에 거치시키거나 회전판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connection module rotates by means of a hinge pin, the multimedia terminal is rotated uniaxially. Therefore, when mounting the terminal on the rotating plate or detaching the terminal from the rotating plate, the terminal is mounted on the rotating plate or connected to the rotating module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connecting module. You can.

그리고, 회전판이 회전하면서 돌출수단에 의해 고정판의 전방으로 돌출되므로, 회전판이 원형이 아닌 형태로 형성되어 고정판에 매립된 경우에도 회전판을 회전시킬 수 있으며, 회전하는 멀티미디어 단말기가 센터페시아 부위의 구조물에 걸림이 방지되어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다. Further, since the rotating plate rotates and protrudes toward the front of the fixed plate by the protruding means, the rotating plate can be rotated even when the rotating plate is formed in a non-circular shape and embedded in the fixed plate. The jam is prevented and it can rotate smoothly.

또한, 돌출수단이 고정판에 형성된 안내레일의 경사면에 의해 고정판의 전방으로 융기하는 이동돌기로 구성되어 이동돌기의 융기에 의해 회전판이 돌출될 수 있으므로, 회전판이 회전하면서 안정적으로 돌출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otruding means is composed of a moving protrusion which is raised in front of the fixing plate by the inclined surface of the guide rail formed on the fixing plate, so that the rotating plate may protrude by the protrusion of the moving protrusion, so that the rotating plate may protrude stably.

이에 더하여, 돌출수단에 이동베어링이 마련될 경우, 이동베어링을 구성하는 외륜의 폭이 내륜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어 외륜이 내륜의 폭을 따라 이동하므로, 외륜과 함께 회전하는 회전판이 끼움축의 축방향으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moving bearing is provided on the protruding means, the width of the outer ring constituting the moving bearing is formed to be narrower than the width of the inner ring so that the outer ring moves along the width of the inner ring, so that the rotating plate rotating together with the outer ring is axially in the fitting axis. Can move smoothly.

이와 달리, 돌출수단이 고정판에 마련되는 안내슬리브 및 회전판에 형성되어 안내슬리브에 끼워지는 회전슬리브로 구성될 경우, 고정판과 회전판을 서로 정합되는 나사식으로 구성하여 회전판을 돌출시킬 수 있으므로 돌출수단이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다. On the contrary, when the protruding means is formed of a guide sleeve provided on the fixed plate and a rotating sleeve formed on the rotating plate and fitted to the guide sleeve, the protruding means may be formed by screwing the fixed plate and the rotating plate to each other to project the rotating plate. It can be manufactured easily.

덧붙여, 돌출수단이 커플러에 설치된 걸림뭉치와 고정판에 설치된 걸림돌기로 구성될 경우 회전판을 회전시키지 않고도 원터치식으로 회전판을 고정판의 전방으로 돌출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protruding means is composed of a latch provided on the coupler and a catching protrusion installed on the fixing plate, the rotating plate may be protruded to the front of the fixing plate in a one-touch manner without rotating the rotating plate.

또, 돌출수단이 커플러에 마련된 걸림핀과 고정판에 마련된 통행트랙 및 록킹트랙으로 구성될 경우 회전판의 교번적인 가압을 통해 회전판을 원터치식으로 돌출시키거나 록킹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protruding means is composed of a locking pin provided on the coupler and a passage track and a locking track provided on the fixing plate, the rotating plate may be protruded or locked in one-touch manner through alternating pressure of the rotating plate.

또한, 회전판에 제2홀더가 마련될 경우, 단말기의 크기나 형태에 따라 홀더 또는 제2홀더에 선택적으로 단말기를 거치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second holder is provided on the rotating plate, the terminal may be selectively mounted on the holder or the second holder according to the size or shape of th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거치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멀티미디어 단말기 거치장치를 나타내는 결합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멀티미디어 단말기 거치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멀티미디어 단말기 거치장치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거치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멀티미디어 단말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회전판이 돌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돌출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회전판이 돌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10은 돌출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11은 돌출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돌출수단을 나타내는 종단면도.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vehicle multimedia terminal mount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ultimedia terminal mounting apparatus shown in FIG.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multimedia terminal mounting apparatus shown in FIG.
Figure 4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multimedia terminal mounting apparatus shown in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vehicle multimedia terminal mounting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the multimedia terminal shown in FIG.
7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otating plate shown in FIG. 6 protrudes.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otrud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otating plate shown in FIG. 8 protrudes.
10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yet another embodiment of the protruding means.
Figure 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otruding means.
12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the protruding means shown in FIG.

이하에서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현예들에 대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의 범용적인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멀티미디어 단말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판(10)과 회전판(20), 커플러(30) 및 커넥터(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As shown in FIG. 2, the vehicle multimedia termin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xed plate 10, a rotating plate 20, a coupler 30, and a connector 40.

고정판(10)은 차량의 센터페시아 부위에 빌트인된 음향기기의 전방에 고정되는 부재로써,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오디오시스템(AV)이나 앰프로 구성된 음향기기(1)에 연결된다. The fixing plate 10 is a member fixed to the front of the built-in acoustic device in the center fascia portion of the vehicle, and is connected to the audio device 1 including the audio system AV or the amplifier of the vehicle as shown in FIG. 1.

이러한 고정판(10)은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향기기(1)을 차폐하면서 센터페시아 부위의 전면을 커버하는 패널로 구성될 수 있다. 즉, 고정판(10)은 차량에 따라 서로 다르게 형성된 센터페시아에 적합하게 다양한 크기 및 형태로 제작된다. 이와 달리, 고정판(10)은 판상의 부재로 형성되어 센터페시아 부위에 고정될 수도 있다. The fixing plate 10 may be configured as a panel covering the front surface of the center fascia while shielding the acoustic device 1 as shown in FIGS. 2 and 4. That is, the fixing plate 10 is manufactured in various sizes and shapes to suit the center fascia form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vehicle. Alternatively, the fixing plate 10 may be formed of a plate-like member and fixed to the center fascia portion.

회전판(2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판(10)에 부착되어 멀티미디어 단말기(SP)(이하 "단말기(SP)"라 한다)가 탈착가능하게 거치되며, 거치된 단말기(SP)를 회전시키는 부재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판(10)에 매립된 형태로 결합되며, 도시된 바와 달리 고정판(10)의 전방에 돌출된 형태로 결합될 수도 있다. The rotating plate 20 is attached to the fixed plate 10 as shown in FIG. 4 so that the multimedia terminal SP (hereinafter referred to as "terminal SP") is detachably mounted and rotates the mounted terminal SP. As a member to make, it is coupled in a form embedded in the fixed plate 10, as shown, may be coupled in a form protruding in front of the fixed plate 10, as shown.

여기서, 회전판(20)은 고정판(10)에 매립된 형태로 설치될 경우,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으로 형성되며, 고정판(10)의 전방에 돌출된 형태로 설치될 경우에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Here, when the rotating plate 20 is installed in a form embedded in the fixed plate 10,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as shown in Figure 2 and 3, when installed in the form protruding in front of the fixed plate 10 It can be formed in various forms.

이러한 회전판(20)은 스마트폰이나 태블릿컴퓨터, PND, 핸드폰 등 다양한 형태의 단말기(SP)가 거치될 수 있다. The rotating plate 20 may be equipped with a terminal (SP) of various forms, such as a smartphone or tablet computer, PND, mobile phone.

회전판(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에 단말기(SP)가 삽입되어 파지될 수 있는 오목한 형태의 홀더(23)가 형성된다. 즉, 단말기(SP)는 회전판(20)의 홀더(23)에 탈착가능하게 거치된다. 여기서 회전판(20)은 홀더(23)에 파지된 단말기(SP)를 홀더(23)로부터 배출시키는 미도시된 이젝터가 마련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2, the rotating plate 20 is formed with a holder 23 having a concave shape in which the terminal SP is inserted and gripped in front. That is, the terminal SP is detachably mounted to the holder 23 of the rotating plate 20. In this case, the rotating plate 20 may be provided with an ejector (not shown) for discharging the terminal SP held by the holder 23 from the holder 23.

한편, 회전판(2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에 형성되는 회전가이드(21)가 고정판(10)에 형성된 가이드홀더(11)의해 고정판(10)에 센터링되면서 후술되는 커플러(30)에 의해 고정판(10)에 고정된다. Meanwhile, as shown in FIG. 3, the rotating plate 20 is centered on the fixing plate 10 by the guide holder 11 formed at the rear side of the rotating guide 21 formed on the rear plate, and thus, the coupler 30 to be described later. It is fixed to the fixing plate 10 by the.

커플러(30)는 회전판(20)을 고정판(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수단으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축(31) 및 회전베어링(3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coupler 30 is a means for rotatably coupling the rotating plate 20 to the fixed plate 10, and includes a fitting shaft 31 and a rotating bearing 33 as shown in FIGS. 3 and 4.

끼움축(31)은 고정판(10)과 일체를 이루면서 회전판(20)이 끼워지는 부재로써,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의 블록으로 형성되어 회전판(20)을 관통하면서 고정볼트(BT)에 의해 고정판(10)에 고정된다. 하지만, 끼움축(31)은 도시된 바와 달리 고정판(10)에 일체로 돌출형성되어 회전판(20)이 외주면에 끼워지는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The fitting shaft 31 is a member into which the rotating plate 20 is fitted while being integral with the fixing plate 10, and is formed as a cylindrical block as shown in FIG. 3 and penetrates the rotating plate 20 to the fixing bolt BT. It is fixed to the fixing plate 10 by the. However, the fitting shaft 31 may be formed so as to be integrally protruded from the fixed plate 10 so that the rotary plate 20 is fitt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회전베어링(33)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축(31)와 회전판(20)의 사이에 설치되어 끼움축(31)을 중심으로 회전판(20)을 회전시키는 부재이다.The rotary bearing 33 is a member installed between the fitting shaft 31 and the rotating plate 20 as shown in FIG. 4 to rotate the rotating plate 20 about the fitting shaft 31.

이러한 회전베어링(33)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에 다수의 롤러(33b)가 마련되어 끼움축(31)의 외주에 고정되는 내륜(33a) 및 내륜(33a)에 결합된 상태로 회전판(20)에 고정되는 외륜(33c)으로 구성된다. 즉, 회전베어링(33)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베어링부재로 구성되어 회전판(20)을 끼움축(31)을 중심으로 회전시킨다. As shown in FIG. 4, the rotary bearing 33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rollers 33b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is coupled to the inner ring 33a and the inner ring 33a fixed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fitting shaft 31. It consists of the outer ring 33c fixed to 20). That is, the rotary bearing 33 is composed of a bearing member that is commonly used to rotate the rotating plate 20 about the fitting shaft 31.

한편, 커플러(30)는 회전베어링(33)에 의해 끼움축(31)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판(20)의 회전각도를 제어하는 회전제한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oupler 30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rotation limiting means for controlling the rotation angle of the rotating plate 20 to rotate around the fitting shaft 31 by the rotation bearing 33.

회전제한수단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돌기(35) 및 스토퍼(3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As shown in FIGS. 3 and 4, the rotation limiting means includes a rotation protrusion 35 and a stopper 37.

회전돌기(35)는 회전판(20)의 후면에 회전판(20)과 일체로 돌출형성되어 회전판(20)과 함께 회전한다. Rotating protrusion 35 is formed to protrude integrally with the rotating plate 20 on the back of the rotating plate 20 to rotate together with the rotating plate (20).

스토퍼(37)는 회전판(20)과 함께 회전하는 회전돌기(35)의 회전궤적에 대응하여 고정판(10)에 형성되며, 회전돌기(35)의 회전을 억제하여 회전판(20)의 회전을 제한하는 구성요소이다. The stopper 37 is formed on the fixed plate 10 in response to the rotational trajectory of the rotating protrusion 35 that rotates together with the rotating plate 20, and restricts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plate 20 by suppressing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protrusion 35. It is a component.

이러한 스토퍼(37)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판(10)에 회전판(20)의 회전각을 따라 이격상태로 돌출되어 전술한 회전돌기(35)가 왕복하면서 걸리는 한 쌍의 스톱돌기(37a)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회전돌기(35)가 삽입되어 회전하면서 양단부에 걸리는 홈형태의 스톱레일(37b)로 구성될 수도 있다. As shown in FIG. 3, the stopper 37 protrudes in a state of being spaced apart along the rotation angle of the rotating plate 20 to the fixed plate 10 so that the above-described pair of stop protrusions 37a are reciprocated by the rotating protrusion 35. Alternatively, the rotary protrusion 35 may be inserted and rotated, and may be configured as a groove-type stop rail 37b that is caught at both ends thereof.

여기서, 스톱돌기(37a) 및 스톱레일(37b)은 도 3에 도시된 형태로 형성될 경우, 고정판(10)의 중심에 대하여 90°의 각도를 가지므로, 회전판(20)의 회전각도를 90°로 제한하는 곡률로 형성된다. Here, when the stop protrusion 37a and the stop rail 37b are formed in the shape shown in FIG. 3, the stop protrusion 37a and the stop rail 37b have an angle of 90 °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fixed plate 10. It is formed with curvature limited to °.

커넥터(40)는 회전판(20)의 홀더(23)에 거치되는 단말기(SP)에 차량의 전원을 공급하거나 단말기(SP)의 음향신호를 음향기기(1)로 전송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포트(41) 및 접속모듈(43)을 포함한다. The connector 40 is a means for supplying a vehicle power to the terminal SP mounted on the holder 23 of the rotating plate 20 or transmitting an acoustic signal of the terminal SP to the acoustic device 1, FIG. 3. And a connection port 41 and a connection module 43 as shown in FIG. 4.

연결포트(4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판(10) 및 회전판(20)에 제각기 마련되는 연결소켓(41a) 및 연결플러그(41b)로 구성되어 서로 접속된다. As shown in FIG. 3, the connection port 41 is composed of a connection socket 41a and a connection plug 41b respectively provided on the fixed plate 10 and the rotating plate 20 and connected to each other.

접속모듈(43)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SP)가 거치되는 회전판(20)의 홀더(23)에 설치되어 단말기(SP)가 접속되며, 미도시된 케이블을 통해 연결플러그(41b)에 연결된다. 이러한 접속모듈(43)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SP)의 독커넥터에 접속되는 단자(43a)가 형성된 함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단부에 단자(43a)가 마련된 케이블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The connection module 43 is installed in the holder 23 of the rotating plate 20 on which the terminal SP is mounted, as shown in FIG. 2, to which the terminal SP is connected, and a connection plug 41b through a cable (not shown). ) As shown in FIG. 4, the connection module 43 may be configured in a box type in which a terminal 43a is connected to a dock connector of the terminal SP. In contrast, a cable type having a terminal 43a at an end thereof is provided. It may be configured as.

이와 또 달리, 접속모듈(43)은 단말기(SP)의 독커넥터에 접속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단말기(SP)의 잭홀에 접속될 수 있는 잭핀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nection module 43 may be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dock connector of the terminal SP, it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jack pin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jack hole of the terminal (SP).

이러한 접속모듈(43)은 단말기(43)의 통화에 필요한 음성신호나 음악청취에 필요한 음악신호와 같은 음향신호를 연결포트(41)를 통해 차량의 음향기기(1)로 전송하여 차량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거나, 차량의 전원을 단말기(SP)에 공급하여 단말기(SP)를 충전시킨다. The connection module 43 transmits an audio signal such as a voice signal required for a call of the terminal 43 or a music signal required for listening to music to the acoustic device 1 of the vehicle through the connection port 41 to connect the speaker of the vehicle. Outputs through or supplies the vehicle power to the terminal SP to charge the terminal SP.

한편, 커넥터(40)는 도 4에 확대도시된 바와 같이 젠더(4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Meanwhile, the connector 40 may further include a gender 45 as shown in an enlarged view of FIG. 4.

젠더(45)는 일단부가 접속모듈(43)에 착탈가능하게 접속되고, 타단부가 단말기(SP)에 접속되어 접속모듈(43)과 단말기(SP)를 연결하는 부재이다. 즉, 젠더(45)는 교체가능한 부재로써, 단말기(SP)가 반복적으로 접속되는 접속모듈(43)의 마모를 방지하며, 서로 다른 형태로 제작되는 단말기(SP)의 독커넥터를 접속모듈(43)에 호환시킨다. 이러한 젠더(45)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함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양단부에 접속단자를 갖는 젠더케이블로 구성될 수도 있다. One end of the gender 45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connection module 43,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SP to connect the connection module 43 and the terminal SP. That is, the gender 45 is a replaceable member, which prevents wear of the connection module 43 to which the terminal SP is repeatedly connected, and connects the dock connectors of the terminal SPs manufactured in different forms to the connection module 43. ) The gender 45 may be formed in a box shape as shown, alternatively, it may be configured as a gender cable having connection terminals at both ends.

다른 한편, 커넥터(40)는 힌지핀(47)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onnector 40 may further comprise a hinge pin (47).

힌지핀(47)은 접속모듈(43)을 회전판(20)에 회전가능하게 고정하여 도 4에 확대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모듈(43)에 접속된 단말기(SP)를 편축회전시키는 구성요소이다. Hinge pin 47 is a component for rotationally fixing the connection module 43 to the rotating plate 20 to uniaxially rotate the terminal (SP) connected to the connection module 43 as shown in FIG.

즉, 힌지핀(47)은 접속모듈(43)에 접속된 단말기를 편축회전시킴으로써, 단말기(SP)를 접속모듈(43)에 접속된 상태에서 회전판(20)의 홀더(23)에 거치시키거나 홀더(23)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부재이다. That is, the hinge pin 47 by rotating the terminal connected to the connection module 43, the axial rotation to mount the terminal (SP) to the holder 23 of the rotating plate 20 in the stat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module 43 or It is a member for separating from the holder 23.

여기서, 회전판(20)의 홀더(23)는 힌지핀(47)에 의해 회전하는 접속모듈(43)의 과도한 회전을 방지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회전한 접속모듈(43)을 리턴시키는 미도시된 리턴스프링이 마련될 수 있다. Here, the holder 23 of the rotating plate 20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to prevent excessive rotation of the connection module 43 rotated by the hinge pin 47, and also to return the rotated connection module 43 An unshown return spring may be provided.

또 다른 한편, 회전판(20)은 제2홀더(23a)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rotating plate 20 may further comprise a second holder (23a).

제2홀더(23a)는 회전판(20)의 홀더(23)에 홀딩되는 단말기(SP)와 서로 다른 형태를 갖는 제2단말기를 홀딩시키기 위한 것으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홀더(23)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고, 제2단말기가 삽입되어 거치될 수 있도록 오목한 홈형태로 형성된다. The second holder 23a is for holding a second terminal having a different form from the terminal SP held in the holder 23 of the rotating plate 20. As shown in FIG. It is form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and is formed in a concave groove shape so that the second terminal can be inserted and mounted.

제2홀더(23a)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전술한 접속모듈(43)이 마련되어 제2단말기와 차량의 음향기기(1)를 접속모듈(43)을 통해 연결시킨다. As shown in the second holder 23a, the above-described connection module 43 is provided at one side to connect the second terminal and the acoustic device 1 of the vehicle through the connection module 43.

여기서, 회전판(20)은 제2홀더(23a)에 제2단말기가 거치될 경우,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23)를 차폐하는 마감판(25)이 마련된다. 물론, 마감판(25)은 홀더(23)에 단말기가 거치될 경우 제2홀더(23a)를 차폐한다. Here, when the second terminal is mounted on the second holder 23a, the rotating plate 20 is provided with a closing plate 25 to shield the holder 23 as shown in FIG. Of course, the closing plate 25 shields the second holder (23a) when the terminal is mounted on the holder (23).

따라서, 회전판(20)은 단말기(SP)의 형태에 따라 홀더(23) 또는 제2홀더(23a)에 선택적으로 단말기를 거치시킨다. Therefore, the rotating plate 20 selectively mounts the terminal to the holder 23 or the second holder 23a according to the form of the terminal SP.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거치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루투스 통신칩(7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vehicle multimedia terminal moun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mprise a Bluetooth communication chip 70 as shown in FIG.

블루투스 통신칩(70)은 샌디스크 형태로 구성되어 고정판(10)에 착탈식으로 장착되며, 음향기기(1)와 단말기(SP)를 무선통신으로 연결시키는 블루투스모듈이 내장된다. 따라서, 블루투스 통신칩(70)은 무선통화에 필요한 음성신호나 무선으로 음악청취에 필요한 음악신호와 같은 음향신호를 단말기(SP)나 음향기기(1)에 무선으로 전달하므로, 전술한 접속모듈(43)에 단말기(SP)를 접속하지 않고도 음향기기(1)를 통해 단말기(SP)의 음향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The Bluetooth communication chip 70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SanDisk, detachably mounted on the fixed plate 10, and has a Bluetooth module for connecting the audio device 1 and the terminal SP by wireless communication. Therefore, the Bluetooth communication chip 70 wirelessly transmits an acoustic signal, such as a voice signal required for a wireless call or a music signal required for listening to music wirelessly, to the terminal SP or the audio device 1, and thus, the above-described connection module ( The sound signal of the terminal SP can be output through the sound device 1 without connecting the terminal SP to 43.

이러한 블루투스 통신칩(70)은 착탈식으로 고정판(10)에 착탈식으로 결합되므로 업그레이드나 교환이 용이하다. 즉, 블루투스 통신칩(70)은 블루투스 버전이 업그레이드될 경우 고정판(10)에서 분리되어 사용자의 컴퓨터에서 업그레이된 후 다시 장착될 수 있다. Since the Bluetooth communication chip 7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fixing plate 10 in a removable manner, it is easy to upgrade or replace. That is, when the Bluetooth version is upgraded, the Bluetooth communication chip 70 may be detached from the fixed plate 10 and upgraded in the user's computer, and then remounted.

이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거치장치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충전부(8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vehicle multimedia terminal moun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wireless charging unit 80 as shown in FIG.

무선충전부(80)는 차량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단말기(SP)에 무선으로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단말기(SP)의 무선충전을 가능하게 하는 구성요소이다. The wireless charging unit 80 is a component that enables wireless charging of the terminal SP by receiving power from a vehicle and wirelessly supplying power to the terminal SP.

이러한 무선충전부(8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판(20)에 매립되어 차량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전자기유도 방식으로 전류를 발생시키는 1차코일과, 단말기(SP)에 부착되어 1차코일에서 전자기유도 방식으로 공급되는 전류를 입력받는 2차코일(미도시)로 구성된다. 따라서, 무선충전부(80)는 단말기(SP)와 무접점상태에서 전원을 공급하여 단말기(SP)를 충전시킨다.The wireless charging unit 80 is embedded in the rotating plate 20, as shown, is supplied with power from the vehicle to generate a current in an electromagnetic induction method, and the terminal (SP) attached to the primary coil electromagnetic induction It consists of a secondary coil (not shown) that receives the current supplied in the manner. Therefore, the wireless charging unit 80 supplies power in the contactless state with the terminal SP to charge the terminal SP.

여기서 무선충전부(80)는 통상적으로 무선충전을 위하여 사용되는 통상의 충전부재인 바, 상세한 구성설명은 생략한다. Here, the wireless charging unit 80 is a conventional charging member that is typically used for wireless charg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onfiguration is omitted.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거치장치의 작동을 설명한다. An operation of the vehicle multimedia terminal moun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the above components will be described.

단말기(SP)를 차량에 거치할 경우, 사용자는 단말기(SP)의 형태에 따라 회전판(20)의 홀더(23) 또는 제2홀더(23a)에 삽입하면서 접속모듈(43)에 접속시킨다. 이때, 접속모듈(43)은 힌지핀(47)에 의해 회전하므로 단말기(SP)가 경사진 상태로 접속되어 힌지핀(47)을 중심으로 편축회전하면서 홀더(23)에 거치된다. When the terminal SP is mounted on a vehicle, the user connects the terminal SP to the connection module 43 while inserting the holder SP into the holder 23 or the second holder 23a of the rotating plate 20. At this time, the connection module 43 is rotated by the hinge pin 47, so that the terminal SP is connected in an inclined state and is mounted on the holder 23 while rotating uniaxially about the hinge pin 47.

회전판(20)의 홀더(23)에 거치된 단말기(SP)의 음향신호는 접속모듈(43)에 연결된 연결포트(41)를 통해 차량의 음향기기(1)로 전송되어 차량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된다. 또한, 차량의 전원은 접속모듈(43)을 통해 공급되어 단말기(SP)를 충전한다. The acoustic signal of the terminal SP mounted on the holder 23 of the rotating plate 20 is transmitted to the acoustic device 1 of the vehicle through the connection port 41 connected to the connection module 43 and output through the speaker of the vehicle. do. In addition, the power of the vehicle is supplied through the connection module 43 to charge the terminal (SP).

한편, 고정판(10)에 블루투스 통신칩(70)이 마련된 경우, 단말기(SP)의 음향신호는 무선으로 블루투스 통신칩(70)을 통해 음향기기(1)로 전송되어 스피커로 출력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Bluetooth communication chip 70 is provided on the fixed plate 10, the sound signal of the terminal (SP) is wirelessly transmitted to the acoustic device 1 through the Bluetooth communication chip 70 is output to the speaker.

이에 더하여, 회전판(20)에 무선충전부(80)가 장착된 경우, 단말기(SP)는 전자기유도 방식으로 차량의 전원을 공급받아 무선충전된다. In addition, when the wireless charging unit 80 is mounted on the rotating plate 20, the terminal SP is wirelessly charged by receiving power from the vehicle in an electromagnetic induction manner.

사용자가 단말기(SP)를 가로방향이나 세로방향으로 변경시키고 싶어 단말기(SP)를 회전시킬 경우, 사용자는 단말기(SP) 또는 회전판(20)을 회전시킨다. 이때, 회전판(2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베어링(33)에 의해 끼움축(31)을 중심으로 원활하게 회전하며, 회전 후 회전돌기(35)가 스토퍼(37)에 걸리면서 회전을 정지한다. When the user rotates the terminal SP to change the terminal SP in the horizontal or vertical direction, the user rotates the terminal SP or the rotating plate 20. At this time, the rotating plate 20 is rotated smoothly around the fitting shaft 31 by the rotary bearing 33, as shown in Figure 4, after the rotation rotating projection 35 is caught on the stopper 37 to rotate Stop.

단말기(SP)를 회전판(20)으로부터 분리시킬 경우, 사용자는 단말기(SP)를 홀더(23)의 외측으로 잡아당기거나 미도시된 이젝터를 작동시켜 단말기(SP)를 홀더(23)의 외측으로 이젝트시킨다. 이때, 접속모듈(43)은 힌지핀(47)에 의해 회전하므로 단말기(SP)가 힌지핀(47)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홀더(23)로부터 배출된다. When the terminal SP is separated from the rotating plate 20, the user pulls the terminal SP out of the holder 23 or operates an ejector not shown to move the terminal SP out of the holder 23. Eject it. At this time, since the connection module 43 is rotated by the hinge pin 47, the terminal SP is rotated about the hinge pin 47 and discharged from the holder 23.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거치장치는 단말기(SP)가 거치되는 회전판(20)이 차량의 센터페시아 부위에 마련되는 고정판(10)에 커플러(30)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센터페시아 부위에 매립된 상태로 단말기(SP)를 거치할 수 있는 동시에 단말기(SP)의 방향을 자유로이 전환시킬 수 있다. In the vehicle multimedia terminal moun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rotary plate 20 on which the terminal SP is mounted is rotated by the coupler 30 on the fixed plate 10 provided in the center fascia portion of the vehicle. Since the coupling is possible, the terminal SP can be mounted in a state embedded in the center fascia, and the direction of the terminal SP can be freely changed.

또, 커플러(30)가 고정판(10)에 마련되는 끼움축(31) 및 회전베어링(33)으로 구성되므로, 끼움축(31)에 끼워지는 회전판(20)을 회전베어링(33)에 의해 끼움축(31)을 중심으로 원활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coupler 30 includes the fitting shaft 31 and the rotating bearing 33 provided on the fixed plate 10, the rotating plate 20 fitted to the fitting shaft 31 is fitted by the rotary bearing 33. It can be rotated smoothly about the axis 31.

이에 더하여, 끼움축(31)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판(20)에 형성되는 회전돌기(35)가 회전하면서 고정판(10)에 형성된 스토퍼(37)에 걸려서 회전이 제한되므로 회전판(20)의 회전각도를 제한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rotation protrusion 35 formed on the rotating plate 20 rotating around the fitting shaft 31 is caught by the stopper 37 formed on the fixed plate 10, the rotation is restricted, and thus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plate 20 is performed. You can limit the angle.

또한, 단말기(SP)가 연결포트(41) 및 접속모듈(43)로 구성되는 커넥터(40)에 의해 차량의 음향기기(1)에 연결되므로, 단말기(SP)의 음향신호를 차량의 스피커를 통해 증폭시킬수 있으며, 차량의 전원을 단말기(SP)에 공급하여 충전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terminal SP is connected to the acoustic device 1 of the vehicle by the connector 40 composed of the connection port 41 and the connection module 43, the sound signal of the terminal SP is connected to the speaker of the vehicle. It can be amplified through, and can be charged by supplying the power of the vehicle to the terminal (SP).

또, 접속모듈(43)에 결합되는 젠더(45)가 마련될 경우, 다양한 접속형태를 갖는 단말기(SP)를 음향기기(1)에 연결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gender 45 coupled to the connection module 43 is provided, the terminal SP having various connection forms may be connected to the sound device 1.

이에 더하여, 접속모듈(43)이 힌지핀(47)에 의해 회전하면서 단말기(SP)를 편축회전시키므로, 회전판(20)에 단말기(SP)를 거치하거나 회전판(20)으로부터 단말기(SP)를 분리할 경우, 단말기(SP)를 접속모듈(43)에 접속된 상태에서 회전판(20)에 거치시키거나 회전판(20)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connecting module 43 rotates the terminal SP while rotating by the hinge pin 47, the terminal SP is mounted on the rotating plate 20 or the terminal SP is separated from the rotating plate 20. In this case, the terminal SP may be mounted on the rotating plate 20 or separated from the rotating plate 20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connection module 43.

또한, 단말기(SP)의 음향신호를 블루투스 통신칩(70)을 통해 무선으로 차량의 음향기기(1)로 전송하여 스피커로 출력할 수 있으며, 무선충전부(80)를 통해 단말기(SP)를 무선으로 충전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ound signal of the terminal SP may be wirelessly transmitted to the acoustic device 1 of the vehicle through the Bluetooth communication chip 70 and output to the speaker, and the terminal SP may be wirelessly transmitted through the wireless charging unit 80. Can be charged.

또, 회전판(20)에 제2홀더(23a)가 마련될 경우, 단말기(SP)의 크기나 형태에 따라 홀더(23) 또는 제2홀더(23a)에 선택적으로 단말기(SP)를 거치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second holder 23a is provided on the rotating plate 20, the terminal SP may be selectively mounted on the holder 23 or the second holder 23a according to the size or shape of the terminal SP. have.

한편, 도 5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거치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5 to 12 are diagrams illustrating a vehicle multimedia terminal mounting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거치장치는 고정판(10) 및 회전판(20)이 원형은 물론, 원형이 아닌 형태로도 구성되고 돌출수단(5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점이 제 1 실시예와 차이점이며, 나머지 구성요소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다. 따라서, 제 1 실시예와 중복되는 구성요소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In the vehicle multimedia terminal moun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ed plate 10 and the rotating plate 20 are configured in a circular shape as well as a circular shape, and further include a protruding means 50. Differences from the embodiment, the remaining components are the same as in the first embodiment. Therefor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omponents that overlap with the first embodiment is omitted.

고정판(1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상의 패널로 형성되어 음향기기(1)의 전면에 고정된다. The fixing plate 10 is formed of a plate-like panel as shown in FIG. 5 and fixed to the front of the acoustic device 1.

회전판(2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향기기(1)의 형태에 따라 원형이 아닌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고정판(10)에 매립상태로 설치된다. 따라서, 회전판(20)은 단말기(SP)의 방향전환을 위한 회전이 불가능하며, 거치된 단말기(SP)가 태블릿컴퓨터와 같이 크기가 큰 경우 단말기(SP)가 차량의 구조물에 걸리므로 더욱 회전이 불가능하다. As shown in FIG. 5, the rotating plate 20 is formed in an elliptical shape rather than a circular shape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acoustic device 1, and is installed in the fixed plate 10. Therefore, the rotating plate 20 cannot be rotated to change the direction of the terminal SP. When the mounted terminal SP is large, such as a tablet computer, the terminal SP is caught by the structure of the vehicle. impossible.

돌출수단(50)은 전술한 커플러(30)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판(20)을 고정판(10)의 전방으로 안내함으로써 회전판(20)을 고정판(10)의 전방으로 돌출시키는 수단으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레일(51) 및 이동돌기(5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Protruding means 50 is a means for projecting the rotating plate 20 to the front of the fixed plate 10 by guiding the rotating plate 20 rotated by the above-described coupler 30 in front of the fixed plate 10, Figure 5 and As illustrated in FIG. 6, the guide rails 51 and the moving protrusions 53 are configured.

안내레일(51)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판(10)에 원호(圓弧)형태로 형성되어 회전판(20)의 회전을 안내하는 것으로, 일단에서 타단까지의 바닥면(51a)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t)를 갖는 홈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안내레일(51)은 전술한 스톱레일(37b)과 동일하게 형성되며, 다만 바닥면(51a)이 경사(t)를 이루고 내측에 바닥면(51a)과 동일한 경사(t)를 갖는 걸림턱(51b)이 형성된 것이 차이점이다. The guide rail 51 is formed in an arc shape on the fixed plate 10 to guide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plate 20, as shown in FIG. 5, and also on the bottom surface 51a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As shown in Fig. 6, it is formed in the shape of a groove having an inclination t. The guide rail 51 is formed in the same manner as the above-described stop rail 37b, except that the bottom surface 51a forms an inclination t and the locking jaw having the same inclination t as the bottom surface 51a therein. The difference is that 51b is formed.

이동돌기(53)는 회전판(20)의 후면에 회전판(20)과 일체로 형성되어 안내레일(51)을 따라 이동하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형태로 형성되어 안내레일(51)의 걸림턱(51b)에 걸린상태로 회전판(20)과 함께 회전하면서 이동한다. The moving protrusion 53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rotating plate 20 at the rear of the rotating plate 20 to move along the guide rail 51, and is formed in a hook shape as shown in FIG. 6 to form the guide rail 51. It moves while rotating together with the rotating plate 20 while being caught by the locking jaw 51b.

이러한 이동돌기(51)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레일(51)을 따라 이동하면서 안내레일(51)의 경사(t)에 의해 고정판(10)의 전방으로 융기하여 회전판(20)을 고정판(10)의 전방으로 돌출시킨다. As shown in FIG. 7, the moving protrusion 51 is moved along the guide rail 51 and raised to the front of the fixed plate 10 by the inclination t of the guide rail 51 to rotate the rotating plate 20. Protrude forward of the fixed plate (10).

따라서, 회전판(20)은 커플러(30)에 의해 회전하면서 안내레일(51) 및 이동돌기(53)에 의해 고정판(10)의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Therefore, the rotating plate 20 may protrude forward of the fixed plate 10 by the guide rail 51 and the moving protrusion 53 while rotating by the coupler 30.

한편, 돌출수단(50)은 이동베어링(54)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protruding means 50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moving bearing (54).

이동베어링(54)은 고정판(10)과 회전판(20)의 사이에 설치되어 회전판(20)을 회전시키는 동시에, 안내레일(51) 및 이동돌기(53)에 의해 돌출되는 회전판(20)을 고정판(10)의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부재이다. The moving bearing 54 is installed between the fixed plate 10 and the rotating plate 20 to rotate the rotating plate 20, and at the same time, the rotating plate 20 protruding by the guide rail 51 and the moving protrusion 53 is fixed to the fixed plate 10. It is a member for moving forward of (10).

이러한 이동베어링(54)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판(10)에 일체적으로 결합된 전술한 끼움축(31)에 결합되고 외주면에 다수의 롤러(54b)가 마련된 내륜(54a) 및 상기 내륜(54a)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회전판(20)에 고정되어 상기 내륜(54a)을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회전판(20)을 회전시키는 외륜(54c)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이동베어링(54)은 제 1 실시예의 회전베어링(33)과 동일한 구성요소를 갖는다. This moving bearing 54 is coupled to the above-described fitting shaft 31 integrally coupled to the fixed plate 10 as shown in Figure 6 and the inner ring (54a)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rollers (54b)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and th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n outer ring (54c) is fixed to the rotating plate 20 in the state coupled to the inner ring (54a) to rotate the rotating plate 20 while rotating along the inner ring (54a). In other words, the movable bearing 54 has the same components as the rotary bearing 33 of the first embodiment.

하지만, 이동베어링(54)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륜(54c)의 폭(α)이 내륜(54a)의 폭(β)보다 좁게 형성되어, 외륜(54c)이 끼움축(31)의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형성된다. 즉, 외륜(54c)은 회전판(20)을 회전시키는 동시에 회전판(20)을 끼움축(31)의 축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판(20)을 고정판(10)의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However, as shown in FIG. 6, the movable bearing 54 is formed such that the width α of the outer ring 54c is smaller than the width β of the inner ring 54a, so that the outer ring 54c of the fitting shaft 31 is formed. It is formed to be movable in the axial direction. That is, the outer ring 54c rotates the rotating plate 20 and simultaneously moves the rotating plate 20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fitting shaft 31 to move the rotating plate 20 to the front of the fixed plate 10 as shown in FIG. 7. It is configured to be movable.

한편, 내륜(54a)은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부에 돌출턱(54d)이 형성되어 외륜(54c)의 이탈을 방지한다. On the other hand, the inner ring (54a) as shown in the projection jaw 54d is formed at both ends to prevent the departure of the outer ring (54c).

종합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거치장치는 회전판(20)에 형성된 이동돌기(53)가 고정판(10)에 형성된 안내레일(51)을 따라 회전하면서 안내레일(51)의 바닥면(51a)에 형성된 경사(t)에 의해 고정판(10)의 전방으로 이동하며, 이때, 회전판(20)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축(31)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베어링(54)의 외륜(54c)에 의해 고정판(10)의 전방으로 원활하게 돌출되면서 회전한다. In summary, the vehicle multimedia terminal moun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le the moving protrusion 53 formed on the rotating plate 20 rotates along the guide rail 51 formed on the fixed plate 10, the guide rail 51. It moves forward by the inclination t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51a of the fixed plate 10, wherein the rotating plate 20 is moved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fitting shaft 31 as shown in FIG. It rotates while protruding smoothly toward the front of the fixed plate 10 by the outer ring 54c of the moving bearing 54.

따라서, 회전판(20)은 원형이 아닌 형태로 고정판(10)에 매립된 상태에서도 돌출수단(50)에 의해 돌출되므로 단말기(SP)의 방향을 자유로이 회전시킬 수 있으며, 단말기(SP)의 크기가 태블릿컴퓨터와 같이 큰 경우에도 차량의 구조물에 걸리지 않는다. Therefore, since the rotating plate 20 protrudes by the protruding means 50 even when the plate 20 is embedded in the fixed plate 10 in a non-circular shape, the rotating plate 20 can freely rotate the direction of the terminal SP. Even large tablets do not get caught in the structure of the vehicle.

다른 한편, 돌출수단(5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슬리브(55) 및 회전슬리브(57)로 구성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protruding means 50 may be composed of a guide sleeve 55 and a rotary sleeve 57 as shown in FIG.

안내슬리브(55)는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판(10)에 돌출상태로 마련되는 원통형의 부재로써, 회전판(20)의 회전을 안내하면서 회전판(20)을 고정판(10)의 전방으로 돌출시키기 위한 안내나선(55a)이 외주면에 형성된다. The guide sleeve 55 is a cylindrical member provided in the protruding state on the fixed plate 10 as shown, and guides the protrusion of the rotating plate 20 to the front of the fixed plate 10 while guiding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plate 20. The spiral 55a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회전슬리브(57)는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판(20)의 후면에 돌출되어 안내슬리브(55)에 끼워지며, 안내나선(55a)에 대응되는 회전나선(57a)이 내주면에 형성됨으로써, 안내나선(55a)을 따라 회전하면서 회전판(20)을 고정판(10)과 이격되는 방향으로 돌출시키는 부재이다. Rotating sleeve 57 is project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rotating plate 20 as shown in the guide sleeve 55, the rotating spiral 57a corresponding to the guide spiral 55a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guide spiral ( It is a member that protrudes in the direction spaced apart from the fixed plate 10 while rotating along the 55a).

즉, 회전판(2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슬리브(55) 및 회전슬리브(57)에 의해 고정판(10)과 나사식으로 결합되어 회전슬리브(57)의 회전나선(57a)이 안내슬리브(55)의 안내나선(55a)을 따라 이동하면서 고정판(10)의 전방으로 돌출된다. That is, the rotating plate 20 is threadedly coupled to the fixed plate 10 by the guide sleeve 55 and the rotating sleeve 57, as shown in Figure 9 guides the rotating spiral 57a of the rotating sleeve 57 Protruding forward of the fixed plate 10 while moving along the guide spiral 55a of the sleeve 55.

한편, 회전판(20)은 전술한 이동베어링(54)이 마련되어 안내슬리브(55) 및 회전슬리브(57)에 의해 돌출되면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판(10)의 전방으로 이동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rotating plate 20 is provided with the above-described moving bearing 54 may protrude by the guide sleeve 55 and the rotating sleeve 57 may move in front of the fixed plate 10 as shown in FIG.

따라서, 회전판(20)은 원형이 아닌 형태로 고정판(10)에 매립된 상태에서도 돌출수단(50)에 의해 돌출되면서 회전하므로 단말기(SP)의 방향을 자유로이 전환할 수 있다. Therefore, since the rotating plate 20 rotates while being protruded by the protruding means 50 even when the rotating plate 20 is embedded in the fixed plate 10 in a non-circular shape, the direction of the terminal SP can be freely changed.

이와 달리, 돌출수단(5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체(510)와 걸림뭉치(520) 및 걸림돌기(530)로 구성될 수도 있다. On the contrary, the protruding means 50 may be composed of an elastic body 510, a locking bundle 520, and a locking protrusion 530, as shown in FIG. 10.

탄성체(510)는 커플러(30)의 끼움축(31)을 탄력적으로 지지하여 회전판(20)이 끼움축(31)과 함께 고정판(10)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동력을 제공한다. 이러한 탄성체(51)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판(10)과 끼움축(31)의 사이에 개재되는 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달리 판스프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The elastic body 510 elastically supports the fitting shaft 31 of the coupler 30 to provide the power that the rotary plate 20 protrudes forward of the fixed plate 10 together with the fitting shaft 31. The elastic body 51 may be composed of a coil spring interposed between the fixing plate 10 and the fitting shaft 31, as shown in Figure 10, it may be composed of a plate spring, unlike shown.

걸림뭉치(520)는 끼움축(31)의 일측에 내장되고, 가압에 의해 교번적으로 출몰하는 걸림집게(520a)를 통해 끼움축(31)을 회전판(20)과 함께 고정판(10)에 록킹하거나 언록킹하는 부재로써, 도 10의 "가 및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집게(520a)가 가압에 의해 인출되면서 벌어지고 재가압에 의해 인입되면서 오므라지는 통상의 록킹부재이다. 즉, 걸림뭉치(520)는 끼움축(31)에 내장된 상태로 걸림집게(520a)가 출몰하면서 회전판(20)을 끼움축(31)과 함께 전,후진시킨다. The locking bundle 520 is built into one side of the fitting shaft 31, and locks the fitting shaft 31 together with the rotary plate 20 to the fixing plate 10 through the locking clamp 520a which is alternately indented by pressure. As a member for locking or unlocking, as shown in "a" and "b" of Fig. 10, the locking clamp 520a is opened by being pulled out by pressurization and retracted while being pulled in by repressurization. The catching bundle 520 moves forward and backward together with the fitting shaft 31 while the catching claw 520a is in the state embedded in the fitting shaft 31.

여기서, 끼움축(31)은 일측에 끼움돌기(580)가 마련되고, 끼움돌기(580)를 통해 고정판(10)에 장공형태로 형성되는 끼움홈(590)에 결합된다. Here, the fitting shaft 31 is provided with a fitting protrusion 580 on one side, and is coupled to the fitting groove 590 formed in the fixing plate 10 in the form of a long hole through the fitting protrusion 580.

걸림돌기(530)는 고정판(10)에 돌출되어 걸림뭉치(520)의 걸림집게(520a)가 걸려서 고정되는 후크형태의 부재로써,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축(31)이 탄성체(510)를 압축시킨 상태로 걸림집게(520a)를 통해 걸려서 고정된다. The locking protrusion 530 is a hook-shaped member protruding from the fixing plate 10 to be caught and fixed by the locking clip 520a of the locking bundle 520, and the fitting shaft 31 is an elastic body 510 as shown in FIG. 10. ) Is fixed by being caught through the locking clip 520a in a compressed state.

이와 같이, 돌출수단(50)은 도 10의 "가"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뭉치(520)의 걸림집게(520a)가 걸림돌기(530)를 파지하면서 회전판(20)을 끼움축(31)과 함께 고정판(10)에 록킹하며,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판(20) 또는 끼움축(31)의 가압에 의해 걸림집게(520a)가 걸림돌기(530)로부터 언록킹되면서 탄성체(510)의 탄성력에 의해 끼움축(31)이 회전판(20)과 함께 고정판(10)의 전방으로 돌출된다. As such, the protruding means 50 is fitted with the rotary plate 20 while the locking clip 520a of the locking bundle 520 grips the locking protrusion 530 as shown in FIG. 10. Locking to the fixed plate 10 together with the elastic member 510 while the locking clamp 520a is unlocked from the locking projection 530 by the pressing of the rotating plate 20 or the fitting shaft 31 as shown in "b". The fitting shaft 31 protrudes forward of the fixing plate 10 together with the rotating plate 20 by the elastic force of

이때, 끼움축(31)은 일측에 형성된 끼움돌기(580)가 고정판(10)에 형성된 끼움홈(590)에 걸리면서 고정판(1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At this time, the fitting shaft 31 does not escape from the fixing plate 10 while the fitting protrusion 580 formed on one side is caught by the fitting groove 590 formed in the fixing plate 10.

따라서, 회전판(20)은 커플러(30)의 끼움축(31)과 함께 고정판(10)의 전방으로 돌출되므로, 회전하지 않은 상태로 원터치식의 가압에 의해 돌출된 후 회전하여 단말기(SP)의 방향을 자유로이 전환할 수 있으며, 특히 원형이 아닌 형태로 형성된 경우에도 돌출될 수 있다.Therefore, since the rotating plate 20 protrudes forward of the fixed plate 10 together with the fitting shaft 31 of the coupler 30, the rotating plate 20 protrudes by one-touch pressure without rotation and rotates to rotate the terminal SP. The direction can be freely switched, especially when formed in a non-round shape.

이와 또 달리, 돌출수단(50)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체(510)와 걸림핀(550), 통행트랙(560) 및 록킹트랙(570)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Alternatively, the protruding means 50 may be composed of an elastic body 510, a locking pin 550, a passage track 560, and a locking track 570, as shown in FIG. 11.

탄성체(5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커플러(30)의 끼움축(31)을 탄력적으로 지지하여 회전판(20)이 끼움축(31)과 함께 고정판(10)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동력을 제공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elastic body 510 elastically supports the fitting shaft 31 of the coupler 30 to provide the power that the rotating plate 20 protrudes forward of the fixing plate 10 together with the fitting shaft 31.

걸림핀(550)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축(31)의 일측에 편축회전이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어 끼움축(31)과 함께 이동하면서 회전판(20)을 고정판(10)에 록킹하거나 언록킹하는 부재이다. 이러한 걸림핀(55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축(31)에 삽입되면서 피벗회전하는 원판(550a)이 피벗핀(550b)을 통해 끼움축(31)에 고정되어 피벗핀(550b)을 중심으로 편축회전한다. As shown in FIG. 11, the locking pin 550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fitting shaft 31 in a state capable of one-axis rotation, and locks the rotating plate 20 to the fixing plate 10 while moving together with the fitting shaft 31. It is a member to unlock. The locking pin 550 is inserted into the fitting shaft 31 as shown in the pivot plate 550a is pivotally fixed to the fitting shaft 31 through the pivot pin 550b to pivot the pivot pin 550b. Single shaft rotation.

통행트랙(560)은 고정판(10)에 마련되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형태로 형성되어 걸림핀(550)이 끼워진 상태로 일방향 즉, 전방 또는 후방으로 통행하면서 끼움축(31)을 회전판(20)과 함께 안내한다. The passage track 560 is provided on the fixing plate 10, and is formed in a groove shape as shown in FIG. 11 to move the fitting shaft 31 while traveling in one direction, that is, forward or rearward, with the engaging pin 550 fitted thereto. Guide with the rotating plate (20).

여기서, 끼움축(31)은 일측에 마련되는 끼움돌기(580)를 통해 고정판(10)에 장공형태로 형성되는 끼움홈(590)에 결합된다. Here, the fitting shaft 31 is coupled to the fitting groove 590 formed in the long hole form on the fixing plate 10 through the fitting protrusion 580 provided on one side.

록킹트랙(570)은 도 11에 확대도시된 바와 같이 통행트랙(560)의 단부에 하트형태로 연장되고, 걸림핀(550)이 통행하면서 편축회전하여 걸림에 의해 고정되거나 걸림이 해제되는 구성요소이다. The locking track 570 extends in the shape of a heart at the end of the traffic track 560 as enlarged in FIG. 11, and the locking pin 550 rotates uniaxially while the component is fixed or released by the locking. to be.

이러한 록킹트랙(570)은 확대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핀(550)이 통행트랙(560)으로부터 진입하는 진입로(570a)와 통행트랙(560)으로 진출하는 진출로(570b) 및 걸림핀(550)이 걸려서 고정되는 걸림홈(570c)으로 구성된다. The locking track 570 is enlarged as shown by the engaging pin 550, the access track 570a entering from the traffic track 560 and the access path 570b and the engaging pin 550 to enter the traffic track 560, It is composed of a locking groove (570c) is fixed by hanging.

진입로(570a) 및 진출로(570b)는 중앙에 형성되는 걸림홈(570c)과 서로 다른 단차로 형성되어 통행하는 걸림핀(550)이 역행하지 않으며, 걸림홈(570c)은 걸림핀(550)이 걸리면서 고정되어 끼움축(31)이 회전판(20)과 함께 고정판(10)에 록킹된다. The access road 570a and the exit path 570b are not formed by the locking pins 550 which are formed in different steps from the locking grooves 570c formed in the center, and the locking grooves 570c are the locking pins 550. The locking shaft 31 is locked to the fixed plate 10 together with the rotary plate 20 while being fixed.

이와 같은 돌출수단(50)은 도 12의 "다"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핀(550)이 록킹트랙(570)에 걸리면서 회전판(20)을 고정판(10)에 록킹하며, "라"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판(20) 또는 끼움축(31)의 가압에 의해 걸림핀(550)이 록킹트랙(570)으로부터 언록킹되면서 탄성체(510)의 탄성력에 의해 끼움축(31)이 회전판(20)과 함께 고정판(10)의 전방으로 돌출된다. Such a protruding means 50 locks the rotating plate 20 to the fixed plate 10 while the locking pin 550 is locked to the locking track 570, as shown in " D " As described above, the locking pin 550 is unlocked from the locking track 570 by the pressing of the rotating plate 20 or the fitting shaft 31, and the fitting shaft 31 is rotat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body 510. And protrudes forward of the fixing plate 10.

여기서, 걸림핀(550)은 회전판(20)의 돌출을 위하여 끼움축(31)이 가압될 경우, 원판(550a)을 중심으로 편축회전하면서 후진하여 걸림홈(570c)로부터 걸림이 해제되며, 걸림홈(570c)보다 낮은 단차를 갖는 진출로(570b)로 편축회전하면서 이동한다. Here, when the fitting pin 31 is pressed to protrude the rotating plate 20, the locking pins 550 retreat while rotating uniaxially about the disc 550a to release the locking from the locking groove 570c. It moves while uniaxially rotating to the advance path 570b which has a step lower than the groove 570c.

또한, 끼움축(31)은 탄성체(510)의 탄성력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걸림핀(550)이 진출로(570b)를 따라 통행트랙(560)으로 통행하면서 회전판(20)과 함께 고정판(10)의 전방으로 이동한다. In addition, the fitting shaft 31 is moved forwar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body 510, while the locking pin 550 passes along the passageway 570b to the traffic track 560, the fixed plate together with the rotating plate 20 Move forward of (10).

이때, 끼움축(31)은 일측에 형성된 끼움돌기(580)가 고정판(10)에 형성된 끼움홈(590)에 걸리면서 고정판(1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At this time, the fitting shaft 31 does not escape from the fixing plate 10 while the fitting protrusion 580 formed on one side is caught by the fitting groove 590 formed in the fixing plate 10.

따라서, 회전판(20)은 커플러(30)의 끼움축(31)과 함께 고정판(10)의 전방으로 돌출되므로, 회전하지 않은 상태로 원터치식의 가압에 의해 돌출된 후 회전하여 단말기(SP)의 방향을 자유로이 전환할 수 있으며, 특히 원형이 아닌 형태로 형성된 경우에도 돌출될 수 있다.Therefore, since the rotating plate 20 protrudes forward of the fixed plate 10 together with the fitting shaft 31 of the coupler 30, the rotating plate 20 protrudes by one-touch pressure without rotation and rotates to rotate the terminal SP. The direction can be freely switched, especially when formed in a non-round shape.

전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적용 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동일 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한 변경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형상 및 구조의 변형은 첨부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Sinc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merely illustrative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and appropriate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idea. Therefore, since the shape and structure of each component show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arried out by deformation, it is natural that the modification of the shape and structure belong to the appended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고정판 11 : 가이드홀더
20 : 회전판 21 : 회전가이드
23 : 홀더 30 : 커플러
31 : 끼움축 33 : 회전베어링
35 : 회전돌기 37 : 스토퍼
37a : 스톱돌기 37b : 스톱레일
40 : 커넥터 41 : 연결포트
41a : 연결소켓 41b : 연결플러그
43 : 접속모듈 43a : 단자
45 : 젠더 47 : 힌지핀
50 : 돌출수단 51 : 안내레일
51a : 바닥면 51b : 걸림턱
53 : 이동돌기 54 : 이동베어링
55 : 안내슬리브 55a : 안내나선
57 : 회전슬리브 57a : 회전나선
510 : 탄성체 520 : 걸림뭉치
520a : 걸림집게 530 : 걸림돌기
550 : 걸림핀 560 : 통행트랙
570 : 록킹트랙
10: fixed plate 11: guide holder
20: rotating plate 21: rotation guide
23 holder 30 coupler
31: fitting shaft 33: rotating bearing
35: rotating projection 37: stopper
37a: Stop protrusion 37b: Stop rail
40: connector 41: connection port
41a: Connection socket 41b: Connection plug
43: connection module 43a: terminal
45: gender 47: hinge pin
50: protruding means 51: guide rail
51a: Bottom surface 51b: Hanging jaw
53: moving projection 54: moving bearing
55: guide sleeve 55a: guide spiral
57: rotating sleeve 57a: rotating spiral
510: elastic body 520: hook
520a: jammer 530: jammer
550: locking pin 560: traffic track
570: Locking Track

Claims (12)

차량의 센터페시아 부위에 빌트인된 음향기기의 전방에 마련되는 고정판;
상기 고정판에 부착되어 멀티미디어 단말기가 탈착가능하게 거치되며, 거치된 멀티미디어 단말기를 회전시키는 회전판;
상기 회전판을 상기 고정판에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커플러; 및
상기 회전판에 거치되는 상기 멀티미디어 단말기에 차량의 전원을 공급하거나 상기 멀티미디어 단말기의 음향신호를 상기 음향기기로 전송하는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커플러에 의해 상기 고정판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상기 회전판을 상기 고정판의 전방으로 돌출시키는 돌출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돌출수단은,
상기 고정판에 원호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회전판의 회전을 안내하고, 일단에서 타단까지의 바닥면에 경사를 갖는 홈형태의 안내레일; 및
상기 회전판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안내레일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안내레일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안내레일의 경사에 의해 상기 고정판의 전방으로 융기하면서 상기 회전판을 상기 고정판의 전방으로 돌출시키는 이동돌기;를 포함하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거치장치.
A fixed plate provided in front of a sound device built in the center fascia portion of the vehicle;
A rotating plate attached to the fixed plate to be detachably mounted to the multimedia terminal and rotating the mounted multimedia terminal;
A coupler for rotatably coupling the rotating plate to the fixed plate; And
And a connector for supplying power of the vehicle to the multimedia terminal mounted on the rotating plate or transmitting a sound signal of the multimedia terminal to the sound apparatus.
Protruding means for projecting the rotating plate rotatably coupled to the fixed plate by the coupler to the front of the fixed plate;
The protruding means,
A guide rail having a groove shape formed in an arc shape on the fixed plate to guide rotation of the rotating plate and having a slope on a bottom surface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And
A moving protrusion formed integrally with the rotating plate and moving along the guide rail in a state of being fitted to the guide rail, and protruding the rotating plate toward the front of the fixed plate while being raised in front of the fixed plate by the inclination of the guide rail; Vehicle multimedia terminal mounting device compris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러는,
상기 회전판에 끼워지면서 상기 고정판에 결합되는 끼움축; 및
상기 끼움축과 상기 회전판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끼움축을 중심으로 상기 회전판을 회전시키는 회전베어링;을 포함하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거치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upler,
An insertion shaft coupled to the fixed plate while being fitted to the rotating plate; And
And a rotating bearing installed between the fitting shaft and the rotating plate to rotate the rotating plate about the fitting axis.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러는,
상기 고정판에 마련된 상기 끼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상기 회전판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회전제한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회전제한수단은,
상기 회전판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끼움축을 중심으로 상기 회전판과 함께 회전하는 회전돌기; 및
상기 회전돌기의 회전궤적에 대응되도록 상기 고정판에 형성되고, 상기 회전판과 함께 회전하는 상기 회전돌기가 걸리면서 상기 회전판의 회전을 억제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거치장치.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oupler,
Rotation limiting means for limiting the rotation angle of the rotating plate rotates about the insertion axis provided on the fixed plate;
The rotation restricting means,
A rotation protrusion formed integrally with the rotation plate to rotate together with the rotation plate about the fitting axis; And
And a stopper formed on the fixed plate so as to correspond to the rotational trajectory of the rotating protrusion and stopping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plate while the rotating protrusion rotating together with the rotating plate is caugh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고정판 및 상기 회전판에 제각기 마련되어 서로 접속되는 연결포트; 및
상기 회전판에 설치되어 상기 연결포트에 연결되고, 상기 회전판에 거치되는 멀티미디어 단말기가 접속되어 상기 연결포트를 통해 차량의 전원을 멀티미디어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멀티미디어 단말기의 음향신호를 상기 음향기기에 전송하는 접속모듈;을 포함하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거치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nector,
Connection ports provided on the fixed plate and the rotating plate, respectively, and connected to each other; And
Is installed on the rotating plate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ort, the multimedia terminal mounted on the rotating plate is connected to supply the power of the vehicle to the multimedia terminal through the connection port or to transmit the sound signal of the multimedia terminal to the sound device Vehicle multimedia terminal mounting apparatus comprising a connection modul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접속모듈을 상기 회전판에 회전가능하게 고정하여 상기 접속모듈에 접속되는 멀티미디어 단말기를 편축회전시키는 힌지핀;을 더 포함하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거치장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connector,
And a hinge pin configured to rotatably fix the connection module to the rotating plate to uniaxially rotate the multimedia terminal connected to the connection module.
삭제delete 삭제delete 차량의 센터페시아 부위에 빌트인된 음향기기의 전방에 마련되는 고정판;
상기 고정판에 부착되어 멀티미디어 단말기가 탈착가능하게 거치되며, 거치된 멀티미디어 단말기를 회전시키는 회전판;
상기 회전판을 상기 고정판에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커플러; 및
상기 회전판에 거치되는 상기 멀티미디어 단말기에 차량의 전원을 공급하거나 상기 멀티미디어 단말기의 음향신호를 상기 음향기기로 전송하는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커플러에 의해 상기 고정판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상기 회전판을 상기 고정판의 전방으로 돌출시키는 돌출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돌출수단은,
상기 고정판에 원호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회전판의 회전을 안내하고, 일단에서 타단까지의 바닥면에 경사를 갖는 홈형태의 안내레일; 및
상기 회전판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안내레일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안내레일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안내레일의 경사에 의해 상기 고정판의 전방으로 융기하면서 상기 회전판을 상기 고정판의 전방으로 돌출시키는 이동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수단은,
상기 고정판과 상기 회전판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판을 회전시키면서 상기 고정판의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베어링;을 더 포함하며,
상기 이동베어링은,
상기 고정판에 끼워진 상태로 고정되며, 외주면에 다수의 롤러가 마련된 내륜; 및
상기 내륜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회전판에 고정되어 상기 내륜을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회전판을 회전시키고, 상기 내륜의 폭보다 좁은 폭으로 형성되어 상기 내륜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면서 상기 회전판을 상기 고정판의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외륜;을 포함하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거치장치.
A fixed plate provided in front of a sound device built in the center fascia portion of the vehicle;
A rotating plate attached to the fixed plate to be detachably mounted to the multimedia terminal and rotating the mounted multimedia terminal;
A coupler for rotatably coupling the rotating plate to the fixed plate; And
And a connector for supplying power of the vehicle to the multimedia terminal mounted on the rotating plate or transmitting a sound signal of the multimedia terminal to the sound apparatus.
Protruding means for projecting the rotating plate rotatably coupled to the fixed plate by the coupler to the front of the fixed plate;
The protruding means,
A guide rail having a groove shape formed in an arc shape on the fixed plate to guide rotation of the rotating plate and having a slope on a bottom surface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And
A moving protrusion formed integrally with the rotating plate and moving along the guide rail in a state of being fitted to the guide rail, and protruding the rotating plate toward the front of the fixed plate while being raised in front of the fixed plate by the inclination of the guide rail; Including,
The protruding means,
A moving bearing installed between the fixed plate and the rotary plate to move forward of the fixed plate while rotating the rotary plate;
The moving bearing is,
An inner ring fixed to the fixing plate and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rollers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The rotating plate is fixed to the rotating plate while being coupled to the inner ring to rotate the rotating plate while rotating along the inner ring, the width of the inner ring being narrower than the width of the inner ring, and sliding the rotating plate to the front of the fixed plate while sli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ner ring. Vehicle multimedia terminal mounting apparatus comprising a;
차량의 센터페시아 부위에 빌트인된 음향기기의 전방에 마련되는 고정판;
상기 고정판에 부착되어 멀티미디어 단말기가 탈착가능하게 거치되며, 거치된 멀티미디어 단말기를 회전시키는 회전판;
상기 회전판을 상기 고정판에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커플러; 및
상기 회전판에 거치되는 상기 멀티미디어 단말기에 차량의 전원을 공급하거나 상기 멀티미디어 단말기의 음향신호를 상기 음향기기로 전송하는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커플러에 의해 상기 고정판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상기 회전판을 상기 고정판의 전방으로 돌출시키는 돌출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돌출수단은,
상기 고정판에 돌출상태로 마련되고, 상기 회전판의 회전을 안내하면서 상기 회전판을 상기 고정판과 이격되는 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한 안내나선이 외주면에 형성된 원통형의 안내슬리브; 및
상기 회전판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안내슬리브에 끼워지며, 상기 안내나선에 대응되는 회전나선이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안내나선을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회전판을 상기 고정판의 전방으로 돌출시키는 회전슬리브;를 포함하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거치장치.
A fixed plate provided in front of a sound device built in the center fascia portion of the vehicle;
A rotating plate attached to the fixed plate to be detachably mounted to the multimedia terminal and rotating the mounted multimedia terminal;
A coupler for rotatably coupling the rotating plate to the fixed plate; And
And a connector for supplying power of the vehicle to the multimedia terminal mounted on the rotating plate or transmitting a sound signal of the multimedia terminal to the sound apparatus.
Protruding means for projecting the rotating plate rotatably coupled to the fixed plate by the coupler to the front of the fixed plate;
The protruding means,
A cylindrical guide sleeve provided on the fixing plate in a protruding state, and having guide spirals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for guiding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plate while guiding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plate; And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rotating plate is fitted to the guide sleeve, the rotating spiral corresponding to the guide spiral is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and rotates along the guide spiral while rotating the rotating plate protrudes in front of the fixed plate; including Car multimedia terminal mounting device.
차량의 센터페시아 부위에 빌트인된 음향기기의 전방에 마련되는 고정판;
상기 고정판에 부착되어 멀티미디어 단말기가 탈착가능하게 거치되며, 거치된 멀티미디어 단말기를 회전시키는 회전판;
상기 회전판을 상기 고정판에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커플러; 및
상기 회전판에 거치되는 상기 멀티미디어 단말기에 차량의 전원을 공급하거나 상기 멀티미디어 단말기의 음향신호를 상기 음향기기로 전송하는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커플러에 의해 상기 고정판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상기 회전판을 상기 고정판의 전방으로 돌출시키는 돌출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돌출수단은,
상기 커플러를 탄력적으로 지지하여 상기 회전판이 상기 커플러와 함께 상기 고정판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동력을 제공하는 탄성체;
상기 커플러의 일측에 설치되고, 가압에 의해 교번적으로 출몰하면서 상기 커플러를 상기 회전판과 함께 상기 고정판에 록킹하거나 언록킹하는 걸림집게가 마련된 걸림뭉치; 및
상기 고정판에 설치되고, 상기 커플러가 상기 회전판과 함께 상기 탄성체를 압축시킨 상태로 상기 걸림뭉치의 걸림집게에 의해 걸려서 고정되는 후크형태의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거치장치.
A fixed plate provided in front of a sound device built in the center fascia portion of the vehicle;
A rotating plate attached to the fixed plate to be detachably mounted to the multimedia terminal and rotating the mounted multimedia terminal;
A coupler for rotatably coupling the rotating plate to the fixed plate; And
And a connector for supplying power of the vehicle to the multimedia terminal mounted on the rotating plate or transmitting a sound signal of the multimedia terminal to the sound apparatus.
Protruding means for projecting the rotating plate rotatably coupled to the fixed plate by the coupler to the front of the fixed plate;
The protruding means,
An elastic body that elastically supports the coupler and provides the power that the rotating plate protrudes forward of the fixed plate together with the coupler;
A catching bundle provided at one side of the coupler and provided with a locking pin for locking or unlocking the coupler together with the rotary plate while being alternately mounted by pressing; And
And a hook-type locking protrusion installed on the fixed plate and fixed by the locking pin of the locking bundle while the coupler compresses the elastic body together with the rotating plate.
차량의 센터페시아 부위에 빌트인된 음향기기의 전방에 마련되는 고정판;
상기 고정판에 부착되어 멀티미디어 단말기가 탈착가능하게 거치되며, 거치된 멀티미디어 단말기를 회전시키는 회전판;
상기 회전판을 상기 고정판에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커플러; 및
상기 회전판에 거치되는 상기 멀티미디어 단말기에 차량의 전원을 공급하거나 상기 멀티미디어 단말기의 음향신호를 상기 음향기기로 전송하는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커플러에 의해 상기 고정판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상기 회전판을 상기 고정판의 전방으로 돌출시키는 돌출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돌출수단은,
상기 커플러를 탄력적으로 지지하여 상기 회전판이 상기 커플러와 함께 상기 고정판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동력을 제공하는 탄성체;
상기 커플러의 일측에 편축회전이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탄성체에 의해 이동하는 상기 커플러와 함께 이동하면서 상기 커플러를 상기 회전판과 함께 상기 고정판에 록킹하거나 언록킹하는 걸림핀;
상기 고정판에 마련되고, 상기 걸림핀이 삽입되는 홈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걸림핀을 일방향으로 통행시키면서 상기 커플러를 안내하는 통행트랙; 및
상기 통행트랙의 단부에 하트형태로 연장되어 상기 걸림핀이 통행하고, 통행하는 상기 걸림핀이 편축회전하면서 걸림에 의해 고정되거나 걸림이 해제되는 홈형태의 록킹트랙;을 포함하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거치장치.
A fixed plate provided in front of a sound device built in the center fascia portion of the vehicle;
A rotating plate attached to the fixed plate to be detachably mounted to the multimedia terminal and rotating the mounted multimedia terminal;
A coupler for rotatably coupling the rotating plate to the fixed plate; And
And a connector for supplying power of the vehicle to the multimedia terminal mounted on the rotating plate or transmitting a sound signal of the multimedia terminal to the sound apparatus.
Protruding means for projecting the rotating plate rotatably coupled to the fixed plate by the coupler to the front of the fixed plate;
The protruding means,
An elastic body that elastically supports the coupler and provides the power that the rotating plate protrudes forward of the fixed plate together with the coupler;
A locking pin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coupler in a state capable of uniaxial rotation, and locking or unlocking the coupler to the fixed plate together with the rotating plate while moving together with the coupler moving by the elastic body;
A passage track provided in the fixing plate and formed in the shape of a groove into which the engaging pin is inserted to guide the coupler while passing the engaging pin in one direction; And
Vehicle locking terminal including a; extends in the shape of a heart at the end of the traffic track, the locking pin is passed, the locking pin is a groove-shaped locking track that is fixed or released by the locking while rotating the locking pin is uniaxially rotated; .
제 1 항 또는 제 8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의 홀더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회전판에 형성되고, 상기 홀더에 거치되는 상기 멀티미디어 단말기와 서로 상이한 형태의 제2멀티미디어 단말기를 탈착가능하게 상기 회전판에 홀딩시키는 제2홀더;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거치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or 8 to 11,
And a second holder formed on the rotating plate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holder of the rotating plate and holding the second multimedia terminal having a different form from the multimedia terminal mounted on the holder on the rotating plate. Multimedia terminal device.
KR1020110025307A 2011-03-22 2011-03-22 Multimedia terminal holding apparatus for vehicle KR10126060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5307A KR101260600B1 (en) 2011-03-22 2011-03-22 Multimedia terminal holding apparatus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5307A KR101260600B1 (en) 2011-03-22 2011-03-22 Multimedia terminal holding apparatus for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7668A KR20120107668A (en) 2012-10-04
KR101260600B1 true KR101260600B1 (en) 2013-05-03

Family

ID=47279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5307A KR101260600B1 (en) 2011-03-22 2011-03-22 Multimedia terminal holding apparatus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0600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1161Y1 (en) * 2001-11-01 2002-01-19 주식회사 자티전자 a hands free cradle of a phone
KR100809047B1 (en) * 2007-03-20 2008-03-03 류희석 Dash board having receiving structure for portable terminal
JP2009083737A (en) * 2007-10-01 2009-04-23 Pioneer Electronic Corp Electric equipmen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1161Y1 (en) * 2001-11-01 2002-01-19 주식회사 자티전자 a hands free cradle of a phone
KR100809047B1 (en) * 2007-03-20 2008-03-03 류희석 Dash board having receiving structure for portable terminal
JP2009083737A (en) * 2007-10-01 2009-04-23 Pioneer Electronic Corp Electric equip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7668A (en) 2012-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54682C (en) Battery module with fixing and burglarproof functions
CN203734330U (en) System used for wireless charging of chargeable device, on-board system, and maintaining assembly
US20050151422A1 (en) Universal serial bus connector in a vehicle
CN1897603B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rotatable camera
KR101260596B1 (en) Multimedia terminal holding apparatus for vehicle
US20120242462A1 (en) External Haptic Generato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US9143587B2 (en) Cellular telephone integration system
KR20120028726A (en) Holder for multimedia terminal for vehicles
CN105936323A (en) Rear chain stirring device of electric bicycle
KR102166637B1 (en) Cradles for bluetooth headsets
CN107636932A (en) For wireless charger or the interface and mounting structure of centre part
KR101239002B1 (en) Multimedia terminal holding apparatus for vehicle
MX2008008941A (en) Holder, electrical supply, and rf transmitter unit for electronic devices.
KR20210018730A (en) Charging connector locking apparatus for electric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239024B1 (en) Multimedia terminal holding apparatus for vehicle
KR101260600B1 (en) Multimedia terminal holding apparatus for vehicle
KR101260583B1 (en) Multimedia terminal holding apparatus for vehicle
US876738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n electronic device
KR20100036501A (en) Functional blackbox for automotives
CN114843831B (en) Adjustable adapter
US20030190936A1 (en) Charge socket for hands-free cellular phone in vehicle
CN206498057U (en) A kind of fast joint type Vehicular power adapter
CN102642506A (en) Multimedia terminal mounting device for vehicle
KR20130011336A (en) Vehicle-audio system for multimedia terminal
CN208257881U (en) Handset brack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