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9426B1 - 병충해방제용 전력개폐장치 - Google Patents

병충해방제용 전력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9426B1
KR101259426B1 KR1020110021653A KR20110021653A KR101259426B1 KR 101259426 B1 KR101259426 B1 KR 101259426B1 KR 1020110021653 A KR1020110021653 A KR 1020110021653A KR 20110021653 A KR20110021653 A KR 20110021653A KR 101259426 B1 KR101259426 B1 KR 1012594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witch
voltage
power
main body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16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2839A (ko
Inventor
김태동
김정호
김현숙
유세걸
유재환
권기록
임장근
정태화
Original Assignee
서울전력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전력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울전력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101028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28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94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94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22Killing insects by electric me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35Gas-insulated switchgea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나무에 서식하는 병충해를 방제하는 다수의 병충해 방제장치에 동시에 본체내의 설치된 다수개의 전력개폐기와, 부스바, 콤몬, 안착부로 구성된 전압변환부에서 전원을 공급하고, 각각의 병충해 방제장치에 공급되는 전원의 전압을 본체내에 설치되는 전압변환부를 제어하는 제어부에 의해 전압변환부의 다수개의 전력개폐기를 선택적으로 전원을 개폐하여 발생되는 전압을 상승 또는 하강되어 다르게 출력하여 공급하며, 전압변환부에 발생되는 전압을 절연하기 위해 절연물질이 주입되도록 한 병충해 방제용 전력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병충해방제용 전력개폐장치{Electricity switch for the pest control apparatus}
본 발명은 병충해 방제장치용 전력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병충해방제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고, 병충해방제장치에 공급되는 각각 전압을 전압변환부에서 고압 또는 저압으로 상승 및 하강을 자유로 조절되게 하거나 차단하며, 본체의 내에 절연가스를 주입하여 본체내의 전압변환부에서 발생되는 전압이 상기 본체내에서 불통전되게 절연화하도록 한 병충해방제용 전력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림(山林)에 식재(植栽)되어 있는 여러종류의 나무에 매년 병충해로 말미암은 식물의 피해가 심각하다.
병충해는 병해와 충해로 나누어지는데, 병해는 곡물, 채소, 과수, 꽃, 임목 등 농작물을 포함한 모든 유용식물이 병균에 의하여 고사, 부패되어 수확량이 줄어들거나 품질이 떨어지는 것을 말한다.
충해는 벌레에 의해 식해(食害), 흡수해(吸收害) 등을 입는 것을 말한다.
식물에 피해를 주는 벌레를 해충이라고 한다.
병해는 식물에 기생하는 병원(病原)에 의해 발생하는데, 전파가 빠르고 해를 입는 범위가 넓다.
병해의 피해 정도는 병원균의 종류, 작물의 종류, 품종, 병해의 발생시기, 기상조건에 따라 크게 다르다.
병원에는 곰팡이, 세균, 미코플라스마(mycoplasma), 바이러스, 비로이드(viroid) 등이 있다.
해충에는 곤충이외에 진드기, 선충류가 포함되기도 하며, 해충의 종류에 따라 충해를 입히는 방법이 다르다.
산림에는 각종 나무들이 식재되어 자연재해로부터 인간을 보호하거나 필요한 산림자원 및 맑은 공기와 휴식처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산림에 식재된 각종 나무에는 시기에 따라 각종 병충에 의해 훼손되는데, 특히 우리나라에 가장 흔한 나무인 소나무에 기생하는 솔잎혹파리라는 병충으로 인한 훼손이 가장 심각하다.
이와 같은 솔잎혹파리는 전국에 분포되어 있고, 발생시기는 산림이 가장 울창한 5~7월에 발생하게 되며,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2~3명이 1개조로 편성되어 방제액을 주입할 수 있는 수간주사기와 소나무에 구멍을 천공하기 위한 천공수단을 구비한 상태에서 한 사람이 소나무에 구멍을 천공하게 되면, 그 뒤를 따라 일정량의 방제액이 투입된 수간주사기를 이용하여 천공된 구멍에 방제액을 주입하는 것이다.
다른 병해충으로는 소나무 에이즈로 불리는 소나무 재선충이 있는데 소나무 재선충은 선충으로 암수 1마리가 20일이면 20만마리로 늘어나 나무의 물을 빨아올리지 못하게 막아 나무를 고사시키고, 크기가 1mm이하로 눈에 보이지 않고, 솔수염하늘소에 의해 다른 나무로 전염되면 100%가 말라죽을 정도로 치명적인 병이다.
그러나 솔잎혹파리는 산림이 가장 울창한 시기에 발생하게 되므로 구멍을 천공하는 사람과 수간주사기를 이용하여 방제액을 주입하는 사람이 서로 식별이 어렵게 되어 방제액이 주입된 구멍에 다시 방제액을 주입하게 되거나 또는 구멍에 방제액이 주입되지 않은 채 지나쳐버리게 되므로 방제효과를 감소시킬 뿐만아니라, 방제액을 수간주사기에 투입시 인체상에 묻게 되면 인체에 상해를 입는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사람에 의한 수작업으로 인한 방제작업이 이루어지는 경우, 우리나라 전 국토의 약 65%정도가 산림이고, 그 중 대부분이 주로 소나무인 것을 감안하면, 인력에 의해 전 국토의 65%의 대부분인 소나무를 전부 방제하기 위해서는 엄청난 인력이 필요함은 물론 인력동원에도 수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소나무 재선충의 방제방법으로는 항공기를 이용하는 항공방제를 통상적으로 이용하나, 상기 항공방제 대상지역은 음식물이나 빨래 등에 약물이 떨어져 양어, 양봉, 목축 등 농가와 차량 등에 피해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활엽수의 참나무류는 우리나라 향토수종으로서 어느곳에서나 볼 수 있는 대표적인 수종이다.
2004년 8월 경기도 성남시에서 발견된 참나무 시들음병은 일단 병원균에 감염되면 7월 말경부터 빠르게 시들면서 빨갛게 말라죽는 병으로서 급속도로 확산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병은 Raffaelea sp.(레펠리아 속의 신종 곰팡이)로서 광릉 긴 나무좀(Platypus koryoensis)이 매층으로 참나무류에 큰위협이 되고 있다.
이외, 훈증처리와 소각방법, 약제주입방법, 살충제살포 등 여러가지 방법이 있으나, 현재 확산이 되는 피해의 예방, 치료는 어려운작업으로 완벽하게 방제를 하기에는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고압을 전류를 나무에 인가하여, 병충해의 성장을 억제하고 병균을 소멸하기 위한 병충해 방제장치가 개발되었다.
하지만 각 나무와 병충해의 피해정도에 따라 전압을 조절하여 제공해야 하지만 종래 병충해 방제용 전력개폐장치는 전압레벨에 따른 다수의 전력개폐장치를 구비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출원인에 선출원하여 등록받은 특허등록 제833677호 "낙뢰를 이용한 병해충 방제장치"를 등록받은 바, 나무에 심각한 피해를 입히는 병충해를 낙뢰를 이용하여 고압의 전류를 나무에 인가하여 병해충의 성장을 억제하고 병균을 소멸시키도록 하는 병충해 방제장치가 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낙뢰를 이용한 병충해 방제장치는 낙뢰를 이용함에 따라 상시적으로 방제를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낙뢰를 대신하여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전원공급라인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런데, 병충해 방제장치는 사용되는 장소가 나무가 많이 식재된 장소로 넓은 공원이나 산일 경우,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많은 전원공급라인을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하나의 병충해 방제장치는 제한된 넓이에 속한 나무들만 방제함에 따라, 여러대의 병충해 방제장치가 사용되어야한다.
이에, 각각의 병충해 방제장치마다 각각의 전원공급라인이 구비되어야 하므로 전원공급부의 위치에서 나무가 삭재된 넓은 공원이나 산의 방제위치까지 길게 형성된 전원공급라인이 요구되고, 방제구역이 넓을수록 많은 개수의 전원공급라인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각각의 나무마다 병충해의 피해정도가 다르고, 병의 종류가 다를 수 있으므로 각각의 같은 전압의 전류를 인가할 수 없으므로 전원공급라인을 통해 공급되는 전원의 전압을 조절해야하므로 요구되는 전압마다 다른 전원공급라인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많은 전원공급라인을 공원이나 산에 설치하려면 설치비용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전원공급라인은 설치하는 것 뿐만아니라 방제작업이 끝난후 이를 철거하는 작업이 진행되어야 하므로 작업이 번거롭고 작업시간이 많이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나무에 서식하는 병충해를 방제하는 다수의 병충해 방제장치에 동시에 본체내의 설치된 다수개의 전력개폐기와, 부스바, 콤몬, 안착부로 구성된 전압변환부에서 전원을 공급하고, 각각의 병충해 방제장치에 공급되는 전원의 전압을 본체내에 설치되는 전압변환부를 제어하는 제어부에 의해 전압변환부의 다수개의 전력개폐기를 선택적으로 전원을 개폐하여 발생되는 전압을 상승 또는 하강되어 다르게 출력하여 공급하며, 전압변환부에 발생되는 전압을 절연하기 위해 절연물질이 주입되도록 한 새로운 병충해 방제용 전력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원통형의 통체로 형성되고, 상기 통체의 양측부를 커버로 탈착되게 설치되는 본체와; 상기 통체의 내부에는 나무에 전원을 인가하여 병충해를 방제하는 다수의 병충해방제장치에 동시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전압변환부와; 상기 전압변환부의 전압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압변환부는 안착부상의 후방에 다수개의 전력개폐기가 거리를 두고 설치되는 제1전력개폐부와, 상기 제1전력개폐부와 마주하여 다수개의 전력개폐기가 상기 안착부상에 설치되는 제2전력개폐부와, 상기 제1전력개폐부의 상기 전력개폐기들의 후방단자에 연결되는 제1부스바(bus bar)와, 상기 제2전력개폐부의 상기 전력개폐기들의 전방단자에 연결되는 제2부스바와, 상기 제1, 2부스바의 양측을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콤몬(common)과, 상기 제1부스바의 중앙과 제2부스바의 중앙 사이에 설치되는 콤몬과 연결되는 전압출력부와, 상기 제1전력개폐부의 상기 전력개폐기들의 전방단자 및 상기 제2전력개폐부의 상기 전력개폐기들의 후방단자(43a)에 설치되는 전압입력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 통체의 내부 양측 중앙부에는 절연재질로 형성된 상기 전압변환부 슬라이드거치대가 설치되어 상기 안착부의 양측이 양 상기 슬라이드거치대에 슬라이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 통체의 일측에는 내부에 절연가스를 주입하는 절연가스주입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 통체의 내부에는 상기 절연가스주입구와 연결되는 수분제거호스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의 하부에는 상기 통체가 바닥면에 안착될 때 이를 지지하도록 양측에 안착지지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나무에 서식하는 병충해를 방제하는 다수의 병충해 방제장치에 동시에 본체내의 설치된 다수개의 전력개폐기와, 부스바, 콤몬, 안착부로 구성된 전압변환부에서 전원을 공급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각의 병충해 방제장치에 공급되는 전원의 전압을 본체내에 설치되는 전압변환부를 제어하는 제어부에 의해 전압변환부의 다수개의 전력개폐기를 선택적으로 전원을 개폐하여 발생되는 전압을 상승 또는 하강되어 다르게 출력하여 공급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내에 절연물질인 질소가스를 주입충전시켜 본체내의 중앙에 설치된 전압변환부의 구성인 다수개의 전력개폐기끼리 절연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원통형의 통체로 형성된 본체내에 질소가스를 주입하여 압력을 상승시켜 통체가 외부의 물리적힘에 의해 변형되는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의 하부체 안착지지대가 구비됨에 따라 원통형의 통체로 구성된 본체가 안정적으로 지면에 안착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본체의 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압변환부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본체의 종단면도.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안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본체의 횡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압변환부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본체의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병충해방제장치용 전력개폐장치를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것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병충해방제장치용 전력개폐장치는 본체(10)와, 전압변환부(20)와, 제어부(30)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10)는 도 1, 도 3,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통형의 통체(11)로 형성되고, 상기 통체(11)의 양측부를 커버(12)로 탈착되게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본체(10)의 상기 통체(11)는 양측이 개구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통체(10)의 양단은 원주의 외측으로 돌출된 플랜지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통체(11)의 양단은 상기 커버(12)에 의해 커버되는데, 상기 커버(12)는 플랜지형으로 형성된 상기 통체(11)의 단부에 대응되는 원주를 갖도록 형성되어 볼트와 너트로 등으로 이루어진 결합부재(11a)에 의해 결합된다.
또한, 원통의 상기 통체(11)의 하측에는 상기 통체(11)가 바닥면에 안착될 수 있도록 안착지지대(16)가 더 설치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통체(11)의 외주연 상부면 전방에는 후술되는 상기 통체(11)내에 안착부(21)에 설치되는 전력개폐기(41)들의 후방단자(42)와 연결되게 다수개의 전원연결구(19)가 설치되고, 상기 전원연결구(19)는 상기 통체(11)에 형성된 연결홀(19')에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통체(11)의 외주연 상부면 후방에는 후술되는 상기 통체(11)내에 안착부(21)에 설치되는 전력개폐기(41a)들의 전방단자(43a)와 연결되게 다수개의 전원연결구(19)가 설치되고, 상기 전원연결구(19)는 상기 통체(11)에 형성된 연결홀(19')에 설치되어 구성된다.
즉, 상기 전원연결구(19) 및 상기 연결홀(19')은 후술되는 상기 전력개폐기(41, 41a)의 개수와 대응되는 개수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10) 통체(11)의 내부 양측 중앙부에는 절연재질로 형성된 상기 전압변환부 슬라이드거치대(13)가 설치되어 후술되는 안착부(21)의 양측이 양 상기 슬라이드거치대(13)에 슬라이드 삽입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 통체(11)의 일측에는 내부에 절연가스를 주입하는 절연가스주입구(14)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절연가스는 질소가스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질소가스는 상기 본체(10)의 내부온도를 하강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본체(10)에의 내부에 설치되는 상기 전력개폐기(41, 41a) 및 상기 제1, 2부스바(50, 50a)를 절연시키도록 절연가스인 질소가스를 상기 본체(10)내부에 주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10)내에 주입되는 질소가스의 양을 알 수있도록 상기 통체(11)의 외주연 상부에 게이지(14a)가 설치되어 상기 본체(10)내부에 절연기능을 수행할 수있는 양만큼 질소를 주입하거나, 이미 주입된 질소가스가 샐 경우 상기 게이지(14a)를 통해 이를 알고 보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본체(10)내의 질소가스가 과주입 또는 상기 본체(10)내에 설치된 상기 전압변환부(20)의 수리시 질소가스를 배기하기 위한 안전밸브(18)가 상기 본체(10)의 상기 통체(11)의 상부에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안전밸브(18)는 상기 본체(10)내에 질소가스가 주입되었을때 상기 본체(10)의 내부압력이 상기 본체(10)의 내구성보다 증대되면 승강되어 상기 본체(10)의 질소가스를 일부배출시켜 상기 본체(10)의 압력을 낮추어 상기 본체(1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본체(10)의 상기 통체(11) 내측에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에 설치된 상기 절연가스주입구(14)와 연통된 상기 수분제거호스(15)는 상기 본체(10)내에 질소가스가 주입되는 과정에서 대기중의 수분이 상기 본체(10)내에서 간섭되는 상기 전력개폐기(41, 41a)들의 간섭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상기 수분제거호스(15)는 그 길이가 상기 본체(10)의 바닥면과 맞닿아 설치되어 대기중의 미세한 수분이 상기 수분제거호스(15)의 내부에 맺히게 되도록한다.
이에 따라 수분은 상기 수분제거호스(15)에만 맺히게 되므로 상기 본체(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되므로 수분이 상기 전력개폐기(41, 41a)들과 간섭되는 것을 차단하고 그로 인해 발생되는 전기적인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본체(10)의 외주연 측면에는 후술되는 상기 전압변환부(20)의 전압출력부(52)와 연결되게 전압출력부 연결구(19a)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전압변환부(20)는 도 2 및 도 3,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통체(10)의 내부에는 나무에 전원을 인가하여 병충해를 방제하는 다수의 병충해방제장치에 동시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전압변환부(20)는 제1, 2전력개폐부(40, 40a)로 구성된다.
상기 제1전력개폐부(40)는 안착부(21)상의 후방에 다수개의 전력개폐기(41)가 거리를 두고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안착부(21)는 절연물질로 형성된 넓은 판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21)의 양측에는 홈부(44)가 형성되어 상기 절연가스주입구(14)가 상기 통체(11)내에 삽입된 하단에 연결되는 상기 수분제거호스(15)가 상기 홈부(44)에 삽입되어 상기 통체(11)의 바닥면으로 지향되게 설치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홈부(44)는 상기 수분제거호스(15)가 삽입되고, 상기 본체(10)내에 질소가스가 고루 주입되게 질소가스의 통로가 되기위해 구성된다.
그리고,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홈부(44)는 상기 안착부(21)의 양측이 상기 슬라이드거치대(13)에 삽입될시 상기 안착부(21)의 형성된 상기 홈부(44)는 상기 슬라이드거치대(13)의 내측에 형성된 걸림돌기(44a)에 삽입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1전력개폐부(40)와 마주하여 다수개의 전력개폐기(41a)가 상기 안착부(21)상에 설치되는 제2전력개폐부(40a)로 구성된다.
상기 제1전력개폐부(40)의 상기 전력개폐기(41)들의 후방단자(42)에 연결되는 제1부스바(bus bar)(50)로 구성된다.
상기 제2전력개폐부(40a)의 상기 전력개폐기(41a)들의 전방단자(43)에 연결되는 제2부스바(50a)로 구성된다.
상기 제1, 2부스바(50,50a)의 양측을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콤몬(common)(51)으로 구성된다.
상기 콤몬(51)은 상기 제1, 2부스바(50, 50a)가 전압이 통전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콤몬(common)(51)은 연결단자를 뜻하는 것이다.
상기 제1부스바(50)의 중앙과 제2부스바(50a)의 중앙 사이에 설치되는 콤몬(51a)과 연결되는 전압출력부(52)로 구성된다.
상기 전압출력부(52)는 상기 제1,2부스바(50, 50a)에 전압을 공급하는 상기 전력개폐기(41, 41a)들에의해 차단 및 통전되는 전압을 공급받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전력개폐부(40)의 상기 전력개폐기(41)들의 전방단자(42a) 및 상기 제2전력개폐부(40a)의 상기 전력개폐기(41a)들의 후방단자(43a)에 설치되는 전압입력부(53)로 구성된다.
상기 전력개폐기(41, 41a)는 공지된 것으로서 고정단자와 가동단자의 접촉여부에 의해 전원이 차단되거나 공급되게 이루어진 것으로서,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어 병충해 방제장치로 공급되는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전압변환부(20)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다양한 전압을 공급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우선 상기 전원연결구(19)들로 공급되는 전원을 상기 전압입력부(53)들을 통해 상기 제1전력개폐부(40)의 상기 전력개폐기(41)들과, 상 기 제2전력개폐부(40a)의 상기 전력개폐기(41a)들 및 상기 제1, 2부스바(50, 50a)와, 상기 콤몬(51, 51a)에 전달되어 상기 콤몬(51a)과 연결된 상기 전압출력부(53)로 전달되어 진다.
이러하게 전달되는 전압을 사용자가 요구되는 전압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후술되는 제어부(30)인 로터리스위치로 원하는 전압을 설정하게 된다.
상기 전압변환부(20)는 상기 전력개폐기(41, 41a)가 12개로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30)인 로터리스위치로 상기 전압변환부(20)의 상기 전력개폐기(41, 41a)들을 선택적으로 온 및 오프하여 상기 전압출력부(53)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220V에서 2640V로 변환되게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전압변환부(20)의 상기 전압출력부(53)에서 출력되는 전압은 상기 전력개폐기(41, 41a)의 갯수를 12개 이상 또는 이하로 구성하여 적게는 220V에서 많게는 4000V까지 사용될 수 있으나 상기 전압변환부(20)의 출력전압은 상기 전력개폐기(41, 41a)의 개수에 따라 자유롭게 조절되게 구성되므로 어느 한정되는 출력전압에 국한되지 않는 것이다.
일예로 사용자가 상기 제어부(30)의 로터리 스위치로 상기 전압출력부(53)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1540V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 상기 전압변환부(20)에 구성된 상기 제1, 2전력개폐부(40, 40a)의 구성인 상기 전력개폐기(41, 41a) 12개중 7개의 상기 전력개폐기(41, 41a)가 온되고, 5개의 상기 전력개폐기(41, 41a)가 오프되어 출력전압을 1540V를 얻게 되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 제어부(30)의 로터리 스위치로 상기 전압출력부(53)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1980V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 상기 전압변환부(20)에 구성된 상기 제1, 2전력개폐부(40, 40a)의 구성인 상기 전력개폐기(41, 41a) 12개중 9개의 상기 전력개폐기(41, 41a)가 온되고, 3개의 상기 전력개폐기(41, 41a)가 오프되어 출력전압을 1980V를 얻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전압변환부(20)의 상기 전압출력부(53)에서 출력되는 전압은 상기 전력개폐기(41, 41a)의 갯수를 12개 이상 또는 이하로 구성하여 적게는 300V에서 많게는 4000V까지 사용될 수 있으나 상기 전압변환부(20)의 출력전압은 상기 전력개폐기(41, 41a)의 개수에 따라 자유롭게 조절되게 구성되므로 어느 한정되는 출력전압에 국한되지 않는 것이다.
일예로 사용자가 상기 제어부(30)의 로터리 스위치로 상기 전압출력부(53)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2100V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 상기 전압변환부(20)에 구성된 상기 제1, 2전력개폐부(40, 40a)의 구성인 상기 전력개폐기(41, 41a) 12개중 7개의 상기 전력개폐기(41, 41a)가 온되고, 5개의 상기 전력개폐기(41, 41a)가 오프되어 출력전압을 2100V를 얻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제어부(30)의 로터리 스위치로 상기 전압출력부(53)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3300V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 상기 전압변환부(20)에 구성된 상기 제1, 2전력개폐부(40, 40a)의 구성인 상기 전력개폐기(41, 41a) 12개중 11개의 상기 전력개폐기(41, 41a)가 온되고, 1개의 상기 전력개폐기(41, 41a)가 오프되어 출력전압을 2700V를 얻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전자개폐기(41,41a)들의 온, 오프는 상기 제어부(30)인 로터리스위치로 제어된다.
상기 제어부(30)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전압변환부(20)의 전압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전압변환부(20)의 구성인 상기 전력개폐기(41, 41a)들을 온 및 오프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30)로 로터리스위치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상기 전력개폐기(41, 41a)들만 제어하는 것이아니고, 병충해 방제장치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 및 연결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전압입력부(53)들에 전원을 인가 및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본체 11: 통체 12: 커버 13: 슬라이드거치대 14: 절연가스주입구 15: 수분제거호스 16: 안착지지대 20: 전압변환부 21: 안착부 30; 제어부 40: 제1전력개폐부 40a: 제2전력개폐부 41, 41a: 전력개폐기 42: 후방단자 42a: 전방단자 43: 전방단자 43a: 후방단자 50: 제1부스바 50a: 제2부스바 51, 51a: 콤몬 52: 전압출력부 53: 전압입력부

Claims (6)

  1. 원통형의 통체(11)로 형성되고, 상기 통체(11)의 양측부를 커버(12)로 탈착되게 설치되는 본체(10)와;
    상기 통체(11)의 내부에는 나무에 전원을 인가하여 병충해를 방제하는 다수의 병충해방제장치에 동시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전압변환부(20)와;
    상기 전압변환부(20)의 전압을 제어하는 제어부(30)로 구성되고,
    상기 본체(10) 통체(11)의 내부 양측 중앙부에는 절연재질로 형성된 전압변환부 슬라이드거치대(13)가 설치되어 안착부(21)의 양측이 양 슬라이드거치대(13)에 슬라이드 삽입되고,
    상기 본체(10) 통체(11)의 일측에는 내부에 절연가스를 주입하는 절연가스주입구(14)가 설치되고,
    상기 본체(10) 통체(11)의 내부에는 상기 절연가스주입구(14)와 연결되는 수분제거호스(15)가 더 설치되며,
    상기 본체(10)의 하부에는 상기 통체(11)가 바닥면에 안착될 때 이를 지지하도록 양측에 안착지지대(16)가 설치되는 병충해방제용 전력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압변환부(20)는 안착부(21)상의 후방에 다수개의 전력개폐기(41)가 거리를 두고 설치되는 제1전력개폐부(40)와, 상기 제1전력개폐부(40)와 마주하여 다수개의 전력개폐기(41a)가 상기 안착부(21)상에 설치되는 제2전력개폐부(40a)와, 상기 제1전력개폐부(40)의 상기 전력개폐기(41)들의 후방단자(42)에 연결되는 제1부스바(bus bar)(50)와, 상기 제2전력개폐부(40a)의 상기 전력개폐기(41a)들의 전방단자(43)에 연결되는 제2부스바(50a)와, 상기 제1, 2부스바(50,50a)의 양측을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콤몬(common)(51)과, 상기 제1부스바(50)의 중앙과 제2부스바(50a)의 중앙 사이에 설치되는 콤몬(51a)과 연결되는 전압출력부(52)와, 상기 제1전력개폐부(40)의 상기 전력개폐기(41)들의 전방단자(42a) 및 상기 제2전력개폐부(40a)의 상기 전력개폐기(41a)들의 후방단자(43a)에 설치되는 전압입력부(5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충해방제용 전력개폐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10021653A 2010-03-11 2011-03-11 병충해방제용 전력개폐장치 KR1012594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2501 2010-03-11
KR20100002501 2010-03-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2839A KR20110102839A (ko) 2011-09-19
KR101259426B1 true KR101259426B1 (ko) 2013-05-06

Family

ID=44954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1653A KR101259426B1 (ko) 2010-03-11 2011-03-11 병충해방제용 전력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942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05401A (ja) 2003-06-10 2005-01-06 Nihon Setsuden:Kk 変圧器
KR100847900B1 (ko) 2007-11-15 2008-07-23 서울전력주식회사 이동식 병충해 방제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05401A (ja) 2003-06-10 2005-01-06 Nihon Setsuden:Kk 変圧器
KR100847900B1 (ko) 2007-11-15 2008-07-23 서울전력주식회사 이동식 병충해 방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2839A (ko) 2011-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iprose et al. Electrical methods of killing plants
KR100847900B1 (ko) 이동식 병충해 방제 장치
CN205756701U (zh) 一种新型烟草种植用诱虫捕虫装置
US20170020122A1 (en) Electro-Invasion Treatment for Trees, Plants or Soil Influenced by Magnetic Field and its Methods
JP2011505117A5 (ko)
CN105993733B (zh) 一种灭除农作物叶面害虫的高压物理电场电流装置
KR20140005523A (ko) 전기충격 및 증기주입을 이용한 살충살균장치
KR101259426B1 (ko) 병충해방제용 전력개폐장치
CN103109712A (zh) 一种林间减少松褐天牛密度和增加花绒寄甲密度的方法
CN103039431A (zh) 一种杀灭果树枝干内黄斑星天牛幼虫和修补蛀洞的方法
KR20140013479A (ko) 분무수와 충격 전압을 이용한 식물 병해충 퇴치장치
CN103988753A (zh) 一种无公害驱虫葡萄架
CN203369296U (zh) 一种原位注热杀灭土壤根线虫综合系统
CN105284760A (zh) 一种喷水通电流法防治农、林、园作物病虫害的装置及方法
KR100504953B1 (ko) 전류를 이용한 병해충 방제방법 및 그 방제장치
CN115152714A (zh) 一种林业有害生物防治用防护装置
CN103828779A (zh) 利用水柱或水幕做电极电击杀虫保护植物的方法装置
CN106105997A (zh) 一种核桃病虫害防治方法
KR200413492Y1 (ko) 해충제거장치
CN205305804U (zh) 一种喷水通电流法防治农、林、园作物病虫害的装置
KR20090121116A (ko) 해충방제용 수목 보호대
CN102792938A (zh) 稻田和麦田物理杀虫方法
CN205511804U (zh) 一种水、电法防治农、林、园作物病虫害的装置
CN103875662A (zh) 一种香梨优斑螟性引诱剂
CN211064759U (zh) 一种林业育苗用病虫害防治的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