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9383B1 - 백화 방지용 시멘트 조성물 - Google Patents

백화 방지용 시멘트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9383B1
KR101259383B1 KR1020100055871A KR20100055871A KR101259383B1 KR 101259383 B1 KR101259383 B1 KR 101259383B1 KR 1020100055871 A KR1020100055871 A KR 1020100055871A KR 20100055871 A KR20100055871 A KR 20100055871A KR 101259383 B1 KR101259383 B1 KR 1012593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ment
weight
whitening
water
cellulo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58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6086A (ko
Inventor
장은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브릭필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브릭필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브릭필드
Priority to KR10201000558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9383B1/ko
Publication of KR201101360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60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93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93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10Clay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06Quartz; Sand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6/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6/02Cellulosic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accelerators, shrinkage compensating agents
    • C04B22/08Acids or salts thereof
    • C04B22/14Acids or salts thereof containing sulfur in the anion, e.g. sulfides
    • C04B22/142Sulfates
    • C04B22/148Aluminium-sulf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20Resistance against chemical, physical or biological attack
    • C04B2111/21Efflorescence resistance

Abstract

본 발명은 백화 방지용 시멘트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모든 종류의 시멘트가 포함된 제품에서 발생되는 백화현상을 방지해줄 뿐만 아니라, 친환경적이고, 제품의 내구성과 강도를 증진시켜주며, 제품의 결속력을 강화시켜주는 백화 방지용 시멘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시멘트 25~30 중량%, 모레와 석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된 골재 35~40 중량%, 황산알루미늄 3~6 중량%, 셀룰로오스 3~5 중량%, 황토가루(Scarlet Powder) 20~30 중량%, 물 3~5 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백화 방지용 시멘트 조성물{CEMENT COMPOSITION FOR PREVENTING EFFLORESCENCE}
본 발명은 백화 방지용 시멘트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모든 종류의 시멘트가 포함된 제품에서 발생되는 백화현상을 방지해줄 뿐만 아니라, 친환경적이고, 제품의 내구성과 강도를 증진시켜주며, 제품의 결속력을 강화시켜주는 백화 방지용 시멘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든 건축이나 토목 공사에 있어서 시멘트가 많이 사용된다. 그러나, 높은 강도 유지 및 보수를 위해 과다한 양의 시멘트를 사용하고 있는 추세이며, 그 결과 시공 후 시멘트의 주성분인 CaO가 공기중에 CO2 및 물(H2O)과 반응하여 표면에 백화 현상이 일어나는 등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즉, 탄산칼슘을 고열로 소성시키면 시멘트와 이산화탄소가 생성되며, 이때, 이산화탄소는 대기 중으로 방출된다.
생성된 시멘트가 물과 만나면 수산화칼슘이 형성되며, 수산화칼슘은 공기 중의 이산화탄소와 만나 탄산칼슘과 물을 생성하게 되는데, 이때, 물이 증발하면서 시멘트 표면에 하얗게 탄산칼슘만 남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백화 제거를 함에 있어서 대부분 강산성 물질(염산)을 사용, 중화작용에 의한 일시적인 백화 제거를 하고 있으며, 그 결과 강산성(염산)으로 인한 토양오염 및 제품의 탈색, 변색 및 조기마모의 원인이 되고 있어 이러한 방법들은 환경오염 및 부실공사의 원인이 될 수 있으며, 백화 방지에 대한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모든 종류의 시멘트 제품의 백화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백화 방지용 시멘트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품의 내구성 및 강도를 증진시킬 수 있으며, 내부 결속력을 강화시킨 백화 방지용 시멘트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인 백화 방지용 시멘트 조성물은, 시멘트 25~30 중량%, 모레와 석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된 골재 35~40 중량%, 황산알루미늄 3~6 중량%, 셀룰로오스 3~5 중량%, 황토가루(Scarlet Powder) 20~30 중량%, 물 3~5 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달성된다.
시멘트 8~10 중량부, 모레와 석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된 골재 11~14 중량부, 황산알루미늄 1~2 중량부, 셀룰로오스 1~2중량부, 황토가루(Scarlet Powder) 6~10 중량부 및 물 1~2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달성된다.
이상에서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백화 방지에 사용되는 방법에 의한 환경오염, 조기부식으로 인한 부실 문제, 변색 및 퇴색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고, 기존 시멘트 제품의 회색빛에서 탈피해 황토의 사용으로 자연과 어우러질 수 있는 친환경적인 제품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전에 백화현상에 대해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시멘트 중의 가용성분을 용해시킨 용액은 시멘트 경화체의 표면건조에 따라 수분이 증발되면 용해성분이 경화체의 표면에 석출되는데 이때 석출된 백색물질을 백화(Efflorescence)라고 한다.
백화발생에는 혼연수에 용해된 백화성분이 시멘트 경화체 표면의 건조에 따라 석출되는 경우와, 외부의 물, 예를 들어 빗물, 지하수, 양생수 등이 일단 건조된 경화체의 내부로 침투하였다가 재건조시 표면에 콘크리트 중의 가용성분을 이끌어 석출시키는 경우 또는 가용성분을 포함하는 물이 경화체의 표면에 따라 흐르다가 경화체의 표면에서 증발건조되면서 백화성분을 표면에 남기는 경우가 있다. 전자를 1차 백화, 후자를 2차 백화라고 부른다.
1차 백화는 시공 후 수일 내에 표면화하기 때문에 공법을 바꿈으로써 막을 수 있는 경우가 많다.
1차 백화는 바닥과 벽의 흙손 처리면, 콘크리트 타설면 등의 Bleeding 수에의한 백화 현상, 콘크리트 제품의 거푸집 접촉면에서의 수막에 생기는 백색화 또는 발수성 부재를 댈 때 생기는 백색화 등을 들 수 있는데, 거의 균일하게 생기는 경우는 일반적으로 시멘트 색과 거의 같아 그다지 문제가 되지 않는다. 그러나, 착색 콘크리트의 경우는 착색효과가 나쁘고 얼룩이 생기며 방수실링제의 보수시에는 곤란한 문제를 일으킨다.
2차 백화는 시멘트 제품 자체의 치밀도 차, 수량의 차, 시멘트 제품이 받는 외적 기상조건의 차, 또는 사용조건의 차 등에 의해 시멘트제품 자체가 동일조건에 있지 않기 때문에 부분적으로 생기는데 특히 백화가 많이 생기는 부분은 물의 이동이 쉬운 구조, 조직이 되므로 계속해서 백화가 생겨 미관을 크게 해친다.
예를 들어, 창 아래 물이 흐르는 곳에 생기는 백화, 타일 및 블록의 줄눈에 생기는 백화, 콘크리트 이음부에 생기는 백화, 거푸집과 콘크리트 사이에 침습하는 빗물에 의한 백화, 실내의 벽에까지 생기는 무방수 블록의 백화,시멘트 제품을 쌓아 양생하는 경우 결로수에 의해 생기는 얼룩 등을 볼 수 있다.
시멘트 제품의 백화현상에 대해서는 오래전부터 많은 연구자에 의해 연구되었으나 확실한 정설은 없으며, 이들 연구로부터 일반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부분을 간추리면 다음과 같다.
백화의 성분은 생성되는 장소와 계절, 콘크리트의 재령과 치밀도 및 첨가제 등에 따라 다르므로 반드시 동일성분으로 나타낼 수 없지만 시멘트나 골재중의 가용성 알칼리(칼륨염, 나트륨염)나 시멘트가 물과 반응하여 생성시킨 석회분의 탄산염이나 황산염이 주성분이다. 무론 그 양도 상기조건에 따라 다르다. 예를 들면 탄산칼슘(CaCO3), 소석회(Ca(OH)2), 황산소다(Na2SO4), 탄산소다(Na2CO3), 황산칼륨(K2SO4)이 주성분인 경우도 있고 탄산소다, 탄산칼슘, 황산소다가 주성분인 경우도 있다.
시멘트 경화체중에는 가용성분으로서 황산소다, 황산칼륨, 소석회, 황산칼슘 등이 있는데 이것이 표면에 석출되는 경우 공기중의 CO2를 흡수하여 일부는 탄산염으로 된다.
특히, 소석회는 시멘트 주성분의 수화반응에 의해 필연적으로 생성되는데 이 소석회가 시멘트 경화체중에서 많이 생성되면 돌수록 그만큼 반응이 진행되어 강도가 증진된다.
또한, 알칼리염은 물에 대한 용해도가 높기 때문에 초기에 많은 백화가 생기는 원인이 되는데 외벽의 경우 빗물 등에 의해 또다시 용해유출되기 쉬우므로 장기간 표면에 존재하면 곤란하다.
소석회는 시멘트 경화체중에 무한히 많이 존재하고 일단 표면에 석출되어 탄산화하면 비교적 난용성을 물질이 되기 때문에 매우 나쁘다. 그러나 기간이 지남에 따라 비교적 표면부분의 소석회는 콘크리트 경화체중에서 탄산 칼슘으로 변화하고, 또한 경화도 진행되어 조직이 치밀화하기 때문에 그리고 알칼리 등 용해도가 큰 성분은 용출되어 소량이 되기 때문에 서서히 백화의 발생이 감소된다. 조기에 백화가 발생하는 조건이 갖추어진 경우에는 백화가 특히 심하다.
그밖에 미량성분으로 실리카(SiO2), 알루미나(Al2O3), 산화철(Fe2O3)이나 혼화제로부터 염화물, 실산염 등을 비롯하여 여러 가지 성분이 백화로서 석출된다.
백화가 생기는 것은 시멘트 경화체의 표면에서 수분이 증발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표면건조가 일어나는 조건에서 수분의 증발이 많게 되면 백화발생을 촉진하는 요인이 된다.
배합비율과 작업방법 및 시멘트와 물의 비율을 동일하게 취해도 시멘트 경화체의 표면에 백화가 생기는 경우와 생기지 않는 경우가 있는데 콘크리트 제조측의 조건보다도 콘크리트의 재령, 동서남북면 등의 시공면의 방향까지도 포함하는 기상조건이 백화발생에 보다 강한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된다.
기온이 낮고 비교적 습도가 높고 적당한 풍속, 이러한 조건이 가장 백화발생을 촉진한다. 저온시의 건조 속도는 고온시에 비해 매우 느리다. 전혀 건조를 일으키지 않는 조건의 경우에는 당연히 백화가 발생되지 않는다.
한편, 건조속도가 매우 빠른 경우에는 백화의 발생이 적다. 이것은 표면이 빠르게 건조되어 수분의 내부확산이 이에 뒤따르지 못해 표면에서 약간의 내부까지 증발을 일으킨다. 이러한 내부증발에 의해 가용성분의 대부분은 표면까지 도출되지 않고 내면에서 석출되어 버리기 때문에 표면에는 백화의 발생이 적어지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일반적으로 겨울철 특히 겨울비가 올 때 백화가 많이 발생하는데 이것은 위의 조건이 만족되었기 때문이다.
그밖에 겨울철 저온시의 백화가 많이 발생하는 원인은 다음과 같이 생각할 수도 있다.
즉, 시멘트의 수화반응은 고온시에 비해 저온시에 매우 지연되기 때문에 수화반응물질의 생성이 늦어지고 모세관의 충진이 불충분하여 수분의 이동이 용이하게 되며 미반응 시멘트 부분이 장기간 잔유하여 소석회의 공급이 계속 많아지며 또 소석회의 용해도는 크기 때문이다.
일광면에서의 백화의 발생은 적고 얼음면에서의 백화는 많이 생기는데 이것도 건조속도 즉 내부건조와 표면건조, 경화속도 등으로 설명할 수 있다.
재령이 짧은 시기에 표면이 물에 젖었다가 건조되는 것은 불리하다. 백화발생이 필요한 성분은 초기에는 거의 무한대라고 생각할 수 있을 만큼 시멘트 경화체중에 존재하여 있고 조직도 치밀하지 않기 때문에 쉽게 표면에 백화성분을 공급한다.
이상으로부터 백화가 발생하기 쉬운 조건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① 저온
② 그늘(음지)
③ 다습
④ 적당한 풍속의 바람
⑤ 시멘트 제품의 짧은 재령
기본적으로 백화현상은 한 해 겨울을 지나고 나서 그 현상이 뚜렷해 지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기상청의 자료를 토대로 우리나라의 연 평균 기온, 강수량, 습도 및 풍속량을 고려하여 주위 환경을 인위적으로 1개월간 설정하여 검토함은 물론, 본원 발명에 의한 제품을 제작하여 외부 환경에 13개월간 방치한 결과를 토대로 하였으며, 오차 범위는 ±1% 내외로 하였다.
먼저, 우리나라는 지리적으로 중위도 온대성 기후대에 위치하여 봄, 여름, 가을, 겨울의 사계절이 뚜렷하게 나타난다. 겨울에는 한랭 건조한 대륙성 고기압의 영향을 받아 춥고 건조하며, 여름에는 고온 다습한 북태평양 고기압의 영향으로 무더운 날씨를 보이고, 봄과 가을에는 이동성 고기압의 영향으로 맑고 건조한 날이 많다.
기상청에 의하면 우리나라의 연 평균기온은 대체로 10~16℃이며, 가장 무더운 달인 8월은 23~27℃, 5월은 16~19℃, 10월은 11~19℃, 가장 추운 달인 1월은 -6~7℃이다.(20년 이상 연속 관측한 60개 지점 1971년~2000년 평균값 기준)
또한, 연 강수량은 중부지방은 1100∼1400mm, 남부지방은 1000∼1800mm로 경북지역은 1000∼1200mm이며, 경남해안 일부지역은 1800mm정도, 제주도지방은 1450∼1850mm이며, 계절적으로는 연 강수량의 50∼60%가 여름에 내린다.(20년 이상 연속 관측한 60개 지점 1971∼2000년 평년값 기준)
또한, 바람은 일반적으로 겨울에 북서풍, 여름에는 남서풍이 강하며, 계절에 따른 풍계가 뚜렷이 나타난다. 9월과 10월은 바람이 비교적 약하나, 해안지방에는 해륙풍의 영향이 뚜렷하며, 기상청에 게재된 최근 5년간의 자료를 바탕으로 보면 대체적으로 0~4m/s의 지역이 다수이며, 서해안 및 남서해안 일부 지역과, 동해안 및 남동해안 일부 지역과 제주도 일부 지역에서는 4~5m/s를 나타냈으며, 남서해안과 남해안 일부 지역 및 제주도 일부 지역에서는 5~6m/s, 7m/s이상을 나타냈다.
또한, 습도는 7월과 8월이 높아서 전국적으로 80%정도이고, 9월과 10월은 70%내외이다.
본 발명은 인위적인 환경을 조성을 위해 상기 기상청의 자료를 토대로 폐쇄 및 개방된 공간을 각각 조성하였으며, 본 발명에 의한 제품을 이에 각각 3개월간 노출시켰다.
강수량, 습도, 풍량 및 온도 체크를 위해 별도로 주문제작된 디지털 체크기기를 사용하였으며, 강수량의 조성을 위해 상기 디지털 체크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물을 분사하는 스프레이를 이용하였고, 온도 및 풍속 조성을 위해서는 냉온풍기를 함께 사용하였다.
풍속은 백화현상이 잘 발생하는 0.3에서 우리나라의 기후 특성을 고려하여 10m/s까지 조성하였으며, 참고로 풍력 계급 0은 바람이 없는 상태로 10분간의 평균 풍속이 초속 0.0~0.2미터이며 육지에서는 연기가 똑바로 올라가고 바다에서는 수면이 잔잔한 상태를 말하며, 풍력 계급1의 바람은 실바람이라고 불려지며 초속 0.3~1.5미터로 불며, 연기의 이동에 의하여 풍향을 알 수 있을 정도의 약한 바람을 말하고, 선풍기의 풍속은 5~8m/s이다.
상기와 같은 환경 및 외부에 본 발명에 의해 제작된 제품을 각각 1개월과 13개월간 노출시켰으며, 백화현상 결과는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제품은 1㎏으로 제작하였으며, 기본적인 비율은 현재 건설 현장에서 사용하는 비율로 조성했으며, 백화현상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황산알루미늄, 셀룰로오스 및 황토가루의 비율만을 변화시켜 실험하였다.
하기의 <표1>에서는 황산알루미늄의 비율을 조절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상기 환산알루미늄 최적의 비율을 고정하고 셀룰로오스의 비율을 조절하여 <표2>의 결과를 얻었으며, 표2의 결과를 바탕으로 상기 황산알루미늄과 상기 셀룰로오스의 비율을 고정시키고 황토가루의 비율을 조절하여 <표3>의 결과를 얻었다.
시멘트 골재 황산알루미늄 셀룰로오스 황토가루 백화현상발생유무


비 율(g)
302.4 414.4 22.4 44.8 280 44.8
302.4 414.4 33.6 44.8 280 44.8 ×
302.4 414.4 44.8 44.8 280 44.8 ×
302.4 414.4 56 44.8 280 44.8 ×
302.4 414.4 67.2 44.8 280 44.8 ×
시멘트 골재 황산알루미늄 셀룰로오스 황토가루 백화현상발생유무


비 율(g)
302.4 414.4 44.8 22.4 280 44.8
302.4 414.4 44.8 33.6 280 44.8 ×
302.4 414.4 44.8 44.8 280 44.8 ×
302.4 414.4 44.8 56 280 44.8 ×
302.4 414.4 44.8 67.2 280 44.8
시멘트 골재 황산알루미늄 셀룰로오스 황토가루 백화현상발생유무


비 율(g)
302.4 414.4 44.8 44.8 168 44.8
302.4 414.4 44.8 44.8 220.4 44.8 ×
302.4 414.4 44.8 44.8 280 44.8 ×
302.4 414.4 44.8 44.8 336 44.8 ×
302.4 414.4 44.8 44.8 392 44.8
상기 관찰 결과 시멘트 25~30 중량%, 모레와 석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된 골재 35~40 중량%, 황산알루미늄 3~6 중량%, 셀룰로오스 3~5 중량%, 황토가루(Scarlet Powder) 20~30 중량%, 물 3~5 중량%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최적의 효과는 시멘트 27 중량%, 모레와 석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된 골재 37 중량%, 황산알루미늄 4 중량%, 셀룰로오스 4 중량%, 황토가루(Scarlet Powder) 25 중량%, 물 4 중량%의 비율에서 나왔다.
한편, 시멘트 8~10 중량부, 모레와 석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된 골재 11~14 중량부, 황산알루미늄 1~2 중량부, 셀룰로오스 1~2중량부, 황토가루(Scarlet Powder) 6~10 중량부 및 물 1~2 중량부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황산알루미늄은 황산반토라고도 하며, 화학식 Al2(SO4)3. 무수물(無水物)과 6·10·16·18·27수화물이 있는데 상온에서는 18수화물이 가장 안정하다.
무색의 결정(結晶)으로서 물, 산, 알칼리에 녹으며, 매염제(媒染劑), 포말소화제(泡沫消火劑)), 의약품, 응집제 등으로 쓰인다. 응집제 주입률은 일반적으로 10~100ppm의 범위로 사용되며, 응집반응의 최적 pH는 6.0~7.0로써, 강알칼리의 시멘트 성분을 중화시키며, 입자 간의 응집을 도와 백화현상의 원인을 차단시킨다.
또한, 식물 세포벽의 기본구조 성분인 셀룰로오스는 모든 식물성 물질의 33%(면의 90%와 나무의 50%는 셀룰로오스로 이루어졌음)를 차지하며, 천연에서 산출되는 유기화합물 중에 가장 많이 존재한다. 사람은 셀룰로오스를 소화시킬 수 없으나, 소나 말 같은 초식동물에서는 섭취된 셀룰로오스가 초식동물의 소화관에 충분히 오랫동안 머물러 있어서, 이 속에 있는 미생물에 의해 소화된다. 흰개미와 같은 곤충의 소화관 속에 있는 원생동물도 셀룰로오스를 소화시킬 수 있다. 셀룰로오스는 종이나 섬유를 생산하기 위해 처리되며, 화학적으로 플라스틱, 사진 필름, 레이온 같은 상품을 만드는 물질로 변형될 수 있기 때문에 경제적으로 중요한 물질이다. 다른 셀룰로오스 유도체들은 접착제, 폭발물, 음식의 농화제(濃化劑)와 방습용 도장(塗裝) 등에 사용되며, 고기능성, 용해성, 보수성, PH안정성, 무기재료 상용성 증가, 온도편차에 의한 동결 융해 방지, 중점접착효과, 효소 저항성 등의 특성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는 친환경제품인 황토가 사용되는데, 기본적으로 황토는 대개 균질하고 층리가 발달되어 있지 않으며, 공극률이 크다. 또한, 퇴적층을 수직방향으로 갈라지게 하는 수직한 열극들이 발달해 있다. 황토를 뜻하는 'loess'는 풍성퇴적(風成堆積 : 바람에 의한 퇴적작용) 기원이라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는데, 어원은 독일어이며 '느슨하게 교결되어 있다'는 뜻이다. 이 용어는 1821년경 라인 계곡에 최초로 적용되었다. 두꺼운 황토층은 두께 1~5m의 황토단위층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각각의 황토단위층은 황토층 또는 황토와 유사한 퇴적층을 협재(挾在)하고 있으며, 고토양층(과거 지질시대의 토양층), 모래층 및 이들과 유사한 물질을 포함하고 있다. 황토복합체는 이러한 구성원들이 모여서 이루어졌으며, 황토는 지역에 따라서 몇 종류의 변이가 나타나는데, 이러한 변이들은 진짜 황토와 함께 황토질 모래, 사질 황토, 황토질 롬(loam), 점토질 황토 등을 포함하는 황토 계열을 구성한다. 황토 계열을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원들은 서로 구분하기가 힘들기 때문에 황토를 구성하는 몇 가지 퇴적물 유형은 지역이나 국가에 따라 서로 다르게 해석된다.
또한, 오늘날 황토는 온대지역과 사막 주변부에 나타나는 반건조지역에 가장 넓게 분포하며, 지표면의 약 10%를 덮고 있다. 일반적으로 황토는 비옥한 토양으로 덮여 있어 농업에 적합하기 때문에 항상 인구집중에 영향을 미쳐왔다. 중국과 같이 인구가 밀집된 황토지역의 농업인구들은 가파른 경사지에 움막과 유사한 거주지를 파고 살았다(→ 황투 고원). 푸에블로 인디언과 같은 반건조지역 거주자들은 황토로 만든 벽돌을 이용해 집이나 요새와 같은 건물을 지었다. 오늘날 건물의 축조, 토양의 보존과 개량, 토질공학 등에 이용되는 황토는 침식력, 특정한 강도, 화학적 성질 등에 의해 그 중요성이 증가되었다.
본 발명에는 황토를 사용하였으며, 시멘트의 색상인 회색을 탈피한 것으로 질감연출, 중금속제거, 토양개량의 효과가 있으며,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제품은 황토가 가진 친환경적인 특성을 갖는다.

Claims (2)

  1. 시멘트 25~30 중량%,
    모레와 석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된 골재 35~40 중량%,
    황산알루미늄 3~6 중량%,
    셀룰로오스 3~5 중량%,
    황토가루(Scarlet Powder) 20~30 중량%,
    물 3~5 중량%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백화 방지용 시멘트 조성물.
  2. 시멘트 8~10 중량부, 모레와 석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된 골재 11~14 중량부, 황산알루미늄 1~2 중량부, 셀룰로오스 1~2중량부, 황토가루(Scarlet Powder) 6~10 중량부 및 물 1~2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백화 방지용 시멘트 조성물.
KR1020100055871A 2010-06-14 2010-06-14 백화 방지용 시멘트 조성물 KR1012593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5871A KR101259383B1 (ko) 2010-06-14 2010-06-14 백화 방지용 시멘트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5871A KR101259383B1 (ko) 2010-06-14 2010-06-14 백화 방지용 시멘트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6086A KR20110136086A (ko) 2011-12-21
KR101259383B1 true KR101259383B1 (ko) 2013-04-30

Family

ID=45502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5871A KR101259383B1 (ko) 2010-06-14 2010-06-14 백화 방지용 시멘트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93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3905A (ko) 2019-07-29 2021-02-08 김성건 폐슬레이트를 이용한 백화 현상 방지용 슬레이트 송이석의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11876A (ko) * 2007-06-20 2008-12-24 강릉대학교산학협력단 고화제 및 이를 이용한 비소성 황토 벽돌과 그의 제조방법
KR100886696B1 (ko) 2008-08-04 2009-03-04 주식회사 대겸 몰타르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941912B1 (ko) 2008-06-19 2010-02-11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비소성 황토벽돌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11876A (ko) * 2007-06-20 2008-12-24 강릉대학교산학협력단 고화제 및 이를 이용한 비소성 황토 벽돌과 그의 제조방법
KR100941912B1 (ko) 2008-06-19 2010-02-11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비소성 황토벽돌의 제조방법
KR100886696B1 (ko) 2008-08-04 2009-03-04 주식회사 대겸 몰타르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3905A (ko) 2019-07-29 2021-02-08 김성건 폐슬레이트를 이용한 백화 현상 방지용 슬레이트 송이석의 제조방법
KR102216157B1 (ko) 2019-07-29 2021-02-15 김성건 폐슬레이트를 이용한 백화 현상 방지용 슬레이트 송이석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6086A (ko) 2011-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80355B (zh) 水性有机硅防水剂
CN100445231C (zh) 土建材料固化剂及制配方法
KR100835702B1 (ko) 방청기능을 갖는 철근콘크리트용 방수재 조성물
CN103058619B (zh) 一种掺有矿粉的聚合物防水砂浆及其使用方法
CN102898114B (zh) 抗植物根穿刺环保自愈合防水粘接剂及其制备方法
CN104944828A (zh) 水泥基高分子聚合物防水砂浆添加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1531482B (zh) 混凝土减缩养护剂
CN101580356B (zh) 水乳型有机硅防水剂
CN112266638A (zh) 一种基于无机硅酸盐的憎水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3172331B (zh) 一种防泛碱园林石材粘结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方法
CN102923991B (zh) 混凝土多功能防腐剂及其制备方法
CN111533576A (zh) 一种用于填充混凝土结构微孔的纳米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1033652B1 (ko) 액상형 구체 방수재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조성물
CN103755213A (zh) 一种多功能高效混凝土防水剂的制备方法
CN101817655B (zh) 一种混凝土专用减缩密实剂
CN101786825B (zh) 一种混凝土专用减缩密实剂
KR101259383B1 (ko) 백화 방지용 시멘트 조성물
CN101503284B (zh) 一种抗侵蚀剂及含有该抗侵蚀剂的砌筑砂浆材料
CZ20002127A3 (cs) Produkt odpuzující vodu, způsob jeho výroby a způsob impregnace povrchu stavebního materiálu proti vodě
CN113845329A (zh) 一种隧道衬砌混凝土抗溶蚀外加剂、其制备方法及应用
Lee et al. Sulfate attack of cement matrix containing inorganic alkali-free accelerator
CN104072054A (zh) 一种水泥基渗透结晶型防水涂料
CN104072017A (zh) 憎水型无机胶粉复合多功能保温浆料及应用和制备方法
CN1090596C (zh) 微硅高效水泥砂浆防水剂
CN108585946B (zh) 一种环保水性地下混凝土表面保护液及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