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9248B1 - Apparatus for eliminating a water from bottom surfac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eliminating a water from bottom surfa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9248B1
KR101259248B1 KR1020100104141A KR20100104141A KR101259248B1 KR 101259248 B1 KR101259248 B1 KR 101259248B1 KR 1020100104141 A KR1020100104141 A KR 1020100104141A KR 20100104141 A KR20100104141 A KR 20100104141A KR 101259248 B1 KR101259248 B1 KR 1012592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bar
moving
air
bar
bathr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414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061132A (en
Inventor
이영구
Original Assignee
이영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구 filed Critical 이영구
Priority to KR10201001041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9248B1/en
Publication of KR201200611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113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92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924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7/00Other equipment, e.g. separate apparatus for deodorising, disinfecting or cleaning devices without flushing for toilet bowls, seats or covers; Holders for toilet brus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24H3/02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 F24H3/04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 F24H3/0405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e.g. the heating medium being a resistive element; Heating by direct contact, i.e. with resistive elements, electrodes and fins being bonded together without additional element in-betwe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14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using gases or vapours other than air or steam, e.g. inert ga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닥면 물기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는 바닥면과 일정 간격 이격된 채 이동하는 이동바(110)가 형성된다. 상기 이동바(110)에는 바닥면을 향하여 에어(air)를 분사하는 토출구(116) 및 상기 에어를 공급받는 공급구(114)가 형성되고, 이동바(110)를 지지하면서 이동할 수 있게 이동 휠(118)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바(110)가 상기 바닥면 위에서 일정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120), 상기 이동바(110)의 이동 거리나 범위를 결정하도록 소정 값을 셋팅하는 타이머(130), 상기 타이머(130)에 의해 셋팅된 값에 의해 상기 구동모터(120)를 구동하여 상기 이동바(110)가 정해진 이동 거리 또는 범위 내에서 이동하면서 에어를 분사하도록 에어 공급장치(160)의 에어 공급시점 및 차단 시점을 제어하는 제어부(140) 등이 포함되어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간단한 조작만으로 바닥면에 남아있는 물기를 제거할 수 있어, 물기로 인해 넘어지거나 미끄러지는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or draining devic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oving bar 110 is moved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by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movable bar 110 is provided with a discharge port 116 for injecting air toward the bottom surface and a supply port 114 for receiving the air, and a movable wheel to move while supporting the movable bar 110. 118 is formed. In addition, a driving motor 120 providing a driving force to move the moving bar 110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on the bottom surface, and a timer 130 for setting a predetermined value to determine a moving distance or a range of the moving bar 110. ), The driving motor 120 is driven by the value set by the timer 130 so that the moving bar 110 injects air while moving within a predetermined moving distance or range of the air supply device 160. Control unit 140 for controlling the air supply time and blocking time is configured to inclu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move the water remaining on the bottom surface with a simple opera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prevent a safety accident falling or slipping due to the water.

Figure R1020100104141
Figure R1020100104141

Description

바닥면 물기 제거장치{APPARATUS FOR ELIMINATING A WATER FROM BOTTOM SURFACE}Floor drain device {APPARATUS FOR ELIMINATING A WATER FROM BOTTOM SURFACE}

본 발명은 바닥면에 남아있는 물기를 제거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바닥면에 물기가 있는 경우에 그 바닥면과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이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바(bar)로부터 분사되는 에어(Air)에 의하여 바닥면에 있는 물기를 완벽하게 제거하도록 하는 바닥면 물기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removing water remaining on the bottom surface, and in particular, when there is water on the bottom surface air injected from at least one bar moving in a state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 It relates to a bottom surface water removing device to completely remove the water on the floor by air).

일반적으로 가정, 사무실, 공공장소 등에 있는 욕실이나 화장실 내의 바닥면에는 물기가 없어야 한다. 만약, 욕실이나 화장실 내의 바닥면에 물기가 존재하면 사용자가 미끄러지거나 넘어지는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In general, there should be no water on the floor in bathrooms or toilets in homes, offices, public places, etc. If water is present on the floor in the bathroom or bathroom, the user may frequently slip or fall.

이러한 욕실이나 화장실 내의 바닥은 타일과 같은 매우 단단한 재질로 이루어져 있어, 사고 발생시에는 단순 사고보다는 골절, 타박상, 뇌진탕 등과 같이 중상뿐만 아니라 심하게는 사망에 이르는 사고로 이어지기 때문에 매번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The floor in the bathroom or toilet is made of a very hard material such as tiles, and when an accident occurs, attention is required every time because it leads to an accident leading to serious injury as well as serious injury such as fracture, bruise, concussion, rather than a simple accident.

이러한 낙상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욕실 바닥면에 남아있는 물기를 제거해야 하는데, 이러한 방법으로는 밀대를 사용하거나, 욕실 바닥면에 방지 테이프 등을 부착하는 방법이 활용되고 있다. In order to prevent such a fall accident, it is necessary to remove the water remaining on the floor of the bathroom, such a method using a straw, or attaching a prevention tape or the like to the bathroom floor is used.

밀대를 이용하는 방법은, 상기 밀대의 바닥면과 접하는 부분에 고무 또는 스펀지가 장착되어 있어 밀대를 바닥면과 접촉시킨 상태에서 일 방향으로 밀게 되면 물기를 제거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밀대는 사용자가 잡고 밀수 있도록 손잡이 봉이 형성되는데, 이 손잡이 봉이 자주 파손되고, 파손될 경우 사용이 번거로워지는 문제를 일으킨다. 또한 이러한 밀대는 장시간 사용할 경우 고무나 스펀지가 닿게 되어 영구적 사용이 불가하고, 사용에 따라 고무나 스펀지 부분을 교체하거나 밀대 자체를 재구매해야 하기 때문에 구매비용이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더욱이 밀대를 사용할 경우는 이용자가 직접 밀대를 잡고 밀거나 당기는 동작을 해야하기 때문에, 욕실 사용자가 매번 바닥면의 물기를 제거하기는 용이하지 않다. In the method using a push rod, a rubber or sponge is attached to a portion of the push rod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and when the push rod is pushed in one direction while the push rod is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water can be removed. However, the push rod is a handle rod is formed so that the user can hold and push, the handle rod is frequently broken, causing a problem that the use is cumbersome. In addition, such a push rod is a permanent use of the rubber or sponge because it touches the rubber or sponge when used for a long tim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purchase cost is continuously generated because the rubber or sponge portion must be replaced or the push rod itself to be purchased again. Moreover, when using the push rod, the user has to push or pull the push rod directly, it is not easy for the bathroom user to remove the water on the floor every time.

다른 방법으로 욕실 바닥면에 미끄럼 방지 테이프를 붙이거나 스프레이를 뿌리는 방법이다. 그렇지만 이 경우는 미끄럼 방지 테이프나 스프레이로 인해 바닥 청소가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바닥면의 전체 면에서 일부에만 테이프나 스프레이를 붙이거나 뿌리기 때문에, 그 나머지 부분에는 여전히 물기가 있게 되어 미끄럼 위험이 존재하게 된다. Alternatively, apply a non-slip tape or spray to the bathroom floor. In this case, however, the non-slip tape or spray is not only easy to clean the floor, but the tape or spray is applied or sprayed on only a portion of the entire surface of the floor, so that the rest is still wet and there is a risk of slipping. Done.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욕실 이용자가 직접 밀대를 사용하거나 바닥면에 미끄럼 방지 테이프 등을 붙이지 않고서도 자동화 방법으로 바닥면에 있는 물기를 빠르고 완벽하게 제거하도록 한 바닥면 물기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bottom of the bathroom user to quickly and completely remove the water on the floor by an automated method without using a push rod or a non-slip tape on the floor directly It is to provide a cotton drainage devic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바닥면과 일정 간격 이격된 채 이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바; 상기 바닥면을 향하여 에어를 분사하도록 상기 이동바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토출구; 상기 에어를 공급받도록 상기 이동바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공급구; 상기 공급구를 통해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 공급장치; 상기 이동바가 상기 바닥면 위에서 일정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수단; 상기 이동바의 이동 거리나 범위를 결정하도록 소정 값을 셋팅하는 타이머; 그리고 상기 타이머에 의해 셋팅된 값에 의해 상기 구동수단을 구동하여 상기 이동바가 정해진 이동 거리 또는 범위 내에서 이동되게 하면서 상기 이동바가 이동중에만 상기 에어 공급장치로부터 상기 공급구를 통해 공급된 에어가 상기 토출구를 통해 분사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t least one moving bar moving at a predetermined interval spaced from the bottom surface; At least one discharge port formed in the moving bar to inject air toward the bottom surface; At least one supply port formed in the moving bar to receive the air; An air supply device for supplying air through the supply port; Driving means for providing a driving force to move the moving bar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on the bottom surface; A timer for setting a predetermined value to determine a moving distance or a range of the moving bar; The air supplied through the supply port from the air supply device is moved only while the moving bar is moved while driving the driving means by the value set by the timer to move the moving bar within a predetermined moving distance or rang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o spray through the discharge port.

상기 이동바가 2개 이상인 경우, 상기 이동바는 각각 길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되, 각각의 이동바를 구동하는 구동수단 및 각 이동바의 이동 범위를 결정하도록 소정 값을 셋팅하는 타이머가 추가로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이머에 의해 셋팅된 값에 의해 상기 이동바 마다 정해진 자신의 이동 거리나 범위 내에서 이동되도록 각각의 구동수단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면서 상기 이동바가 이동중에만 상기 에어 공급장치로부터 상기 공급구를 통해 공급된 에어가 상기 토출구를 통해 분사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When there are two or more moving bars, the moving bars are formed to have different lengths, and a driving means for driving each moving bar and a timer for setting a predetermined value to determine a moving range of each moving bar are further configured. The control unit selectively controls the respective driving means to move within its own moving distance or range determined for each moving bar by the value set by the timer, while the moving bar is moved from the air supply device only while the moving bar moves.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air supplied through the control to spray through the discharge port.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바가 구동 정지한 경우에도 상기 토출구를 통해 상기 에어를 분사하도록 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may allow the air to be inject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even when the moving bar stops driving.

상기 이동바를 지지하면서 상기 이동바가 바닥면과 이격된 상태로 이동궤적을 따라 이동되도록 상기 이동바에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 휠이 더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At least one moving wheel is further configured on the moving bar such that the moving bar moves along the moving trajectory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while supporting the moving bar.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에어공급장치와 상기 이동바 사이에 설치된 히팅부; 그리고 상기 에어공급장치에서 상기 이동바로 공급되는 에어의 냉난방 종류를 선택하는 냉난방선택 스위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다.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a heating unit installed between the air supply and the moving bar; And an air-conditioning selection switch for selecting a type of air-conditioning of the air supplied from the air supply device to the moving bar.

본 발명에서는 욕실 등의 바닥면과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구동수단의 구동력에 의해 소정 이동 범위 내에서 이동하는 이동바를 설치하고, 그 이동바에는 에어 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된 에어를 욕실 등의 바닥면을 향해 분사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토출구를 형성하고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oving bar moving within a predetermined moving range by a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means is installed in a state spaced apart from the floor surface of a bathroom or the like, and the moving bar is provided with air supplied from an air supply device to the moving bar. At least one discharge port that can be sprayed toward is formed.

그래서, 욕실 사용자는 욕실을 나가면서 소정 스위치를 조작하면 구동수단의 구동력이 이동바를 이동시키면서 동시에 에어 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에어가 욕실의 바닥면을 향하여 분사됨으로써, 욕실 바닥면에 남아있는 물기를 제거할 수 있게 된다. Thus, when the bathroom user operates the predetermined switch while leaving the bathroom,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means moves the moving bar, and at the same time, the air supplied from the air supply device is sprayed toward the bottom of the bathroom, thereby removing moisture remaining on the bottom of the bathroom. You can do it.

따라서, 욕실 사용자는 간단한 조작만으로 바닥면에 남아있는 물기를 제거할 수 있어, 물기로 인해 넘어지거나 미끄러지는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Therefore, the bathroom user can remove the water remaining on the bottom surface with a simple opera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afety accident that falls or slips due to the water.

도 1은 본 발명의 바닥면 물기 제거장치의 바람직한 예를 보인 블록 구성도
도 2는 도 1에 설명된 이동바의 사시도
도 3은 도 1에서 설명한 물기 제거장치 중 욕실에 이동바가 욕실에 설치된 예를 보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바닥 물기 제거장치의 동작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닥면 물기 제거장치의 다른 예를 보인 블록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바닥 물기 제거장치의 동작을 평면 상태로 나타내고 있는 예시도
Figure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preferred example of the bottom surface water remova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oving bar described in FIG.
3 is a plan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moving bar is installed in the bathroom of the water removal apparatus described in FIG.
Figure 4 is an operating state of the floor water removal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bottom surface water remova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floor water removal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planar state

이하 본 발명의 바닥면 물기 제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바닥면 물기 제거장치가 적용되는 예는 가정의 욕실을 예를 들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floor water removal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Here, an example in which the bottom surface remova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will be taken as an example of a bathroom in a home.

도 1에는 본 발명의 바닥면 물기 제거장치의 바람직한 예를 블록 구성도로 도시하고 있고, 도 2에는 도 1에 설명된 이동바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FIG.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preferred example of the floor drain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oving bar illustrated in FIG. 1.

먼저, 바닥면 물기 제거장치(100)에는 욕실의 바닥면과 일정 간격 떨어진 상태로 그 바닥면 위에서 소정 이동 궤적을 그리면서 이동하는 이동바(110)가 구성된다. 상기 이동바(110)는 욕실의 공간을 고려하여 욕실 내에 설치된 장애물(즉, 세면대, 좌변기)을 회피하면서 일축을 기준으로 하여 이동할 수 있게 소정 길이를 가진다. First, the bottom surface water removal device 100 is configured with a moving bar 110 that moves while drawing a predetermined movement trajectory on the bottom surface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bathroom. The movable bar 110 has a predetermined length so as to move based on one axis while avoiding obstacles (ie, a sink and a toilet) installed in the bathroom in consideration of the space of the bathroom.

상기 이동바(110)의 형상은 도 2에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The shape of the movable bar 110 is shown in detail in FIG.

도 2를 보면, 상기 이동바(110)는 내부는 비어있고, 양 끝단은 밀폐된 형상을 가지는 몸체(112)로 구성된다. 상기 이동바(110)에는 후술하는 에어 공급장치(160)에서 에어(air)를 공급받기 위한 공급구(114) 및 공급된 에어(air)를 욕실의 바닥면을 향해 분사하기 위한 다수의 토출구(116)가 형성된다. 상기 토출구(116)는 상기 이동바(110)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 형성되고, 물기를 밀어낼 수 있도록 바닥면을 향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공급구(114)는 상기 토출구(116)가 미 형성된 영역에 임의로 설치된다.2, the moving bar 110 is empty inside, both ends are composed of a body 112 having a closed shape. The moving bar 110 has a plurality of discharge ports for injecting the air inlet (114) and the air suppli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athroom (air) from the air supply unit 160 to be described later ( 116 is formed. The discharge port 116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oving bar 110, is formed in a position facing the bottom surface to push the water. The supply port 114 is arbitrarily installed in an area where the discharge port 116 is not formed.

상기 이동바(110)의 하부에는 이동 휠(118)이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된다. 상기 이동 휠(118)은 상기 이동바(110)를 지지하면서 바닥면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 채 이동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이동바(110)는 바닥면과 소정 간격만큼 이격된 채 설치되지만, 상기 이동바(110)의 무게로 인하여 이동바(110)의 일단이 아래로 쳐져 모양이 변경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이동바(110)의 모양이 변경되면, 원하는 에어 양과 세기로 에어를 분사할 수 없게 되어 물기 제거의 충분한 효과를 볼 수 없을 수도 있다. 그래서 상기 이동 휠은 이동바(110)의 형성모양이 변경됨과 동시에 에어를 설정된 양과 세기로 분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이동 휠(118)은 상기 이동바(110)의 길이에 따라 적정 갯수가 형성된다. At least one moving wheel 118 is installed below the moving bar 110. The moving wheel 118 serves to move while maintaining a constant distance from the bottom surface while supporting the moving bar 110. That is, the movable bar 110 is installed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by a predetermined interval, but because the weight of the movable bar 110, one end of the movable bar 110 can be struck down to change the shape. If the shape of the moving bar 110 is changed, it may not be possible to spray the air with the desired amount and strength of air may not be able to see a sufficient effect of water removal. Therefore, the moving wheel is intended to be able to spray the air at a set amount and strength at the same time the shape of the moving bar 110 is changed. The number of movement wheels 118 is formed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movement bar (110).

상기 이동바(110)의 외주면에는 하나 이상의 센서(119)가 설치된다. 상기 센서(119)는 욕실 바닥면에 남아있는 물기의 양을 감지한다. At least one sensor 119 is install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oving bar 110. The sensor 119 detects the amount of water remaining on the bathroom floor.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이동바(110)의 일단에는 구동모터(120)의 구동축(122)이 연결된다. 도면에는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상기 이동바(110)의 일단과 구동축(122) 사이에는 상기 구동모터(120)의 회전운동을 상기 이동바(110)가 바닥면 위에서 소정 반경으로 이동 궤적을 그리면서 운동할 수 있도록 해주는 각종 기어열이나 링크 부재 등이 설치된다. 이러한 구조는 일반적인 구조로서 본 실시 예에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Referring back to FIG. 1, the driving shaft 122 of the driving motor 120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moving bar 110.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movement of the driving motor 120 is rotated between the one end of the moving bar 110 and the drive shaft 122 while the moving bar 110 draws a moving trajectory with a predetermined radius on the bottom surface. Various gear trains or link members are installed to enable the operation. This structure is a general structure and will be omitted in the present embodiment.

상기 구동모터(120)의 정회전 및 역회전 구동시간을 셋팅하는 타이머(130)가 구비된다. 상기 구동모터(120)의 정회전 및 역회전 구동시간은 상기 이동바(110)가 이동 궤적을 따라 이동하면서 물기를 제거한 후에는 다시 초기 위치로 복귀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셋팅 정보는 욕실 공간의 크기, 이동바(110)의 길이 등의 정보를 기초로 하여 결정된다. The timer 130 for setting th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driving time of the drive motor 120 is provided. This is because th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driving times of the driving motor 120 are to be returned to the initial position after removing the water while moving the moving bar 110 along the movement trajectory. The setting information is determined based on information such as the size of the bathroom space and the length of the moving bar 110.

상기 타이머(130)에 의해 셋팅된 정보에 의해 상기 구동모터(12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40)가 구비된다. 상기 제어부(140)에 의해 상기 구동모터(120)는 후술하는 스위치(150)가 조작되면 상기 이동바(110)가 최초 놓여진 위치에서 소정의 이동 궤적을 따라 이동하도록 정회전되고, 이동 궤적의 마지막 지점에 도달한 후에는 상기 이동바(110)가 처음 위치로 복귀하도록 역회전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에어 공급장치(160)를 제어하여 에어의 공급시점 및 차단시점을 결정한다. 공급시점은 상기 이동바(110)가 움직이기 시작한 때이며, 차단시점은 상기 이동바(110)가 이동궤적을 1회 이동 완료한 후이거나 또는 상기 이동바(110)가 이동궤적을 왕복 이동 완료하여 처음 놓여진 위치로 복귀한 시점이 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이동바(110)가 움직일 때에만 에어를 공급하도록 하고 상기 이동바(110)가 정지상태에서는 에어 공급을 차단하도록 상기 에어 공급장치(160)를 제어할 수도 있다. 또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센서(119)의 감지 값에 따라 상기 에어 공급장치(160)에서 상기 이동바(110)로 공급되는 에어의 공급량 및 공급 세기를 조절하기도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이동바(110)의 토출구(116)에서 분사되는 에어의 분사량 및 세기가 정해진다. The controller 140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driving of the driving motor 120 based on the information set by the timer 130. When the switch 15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operated by the controller 140, the driving motor 120 is rotated forward to move along a predetermined movement trajectory at the position where the movement bar 110 is initially placed, and the end of the movement trajectory is completed. After reaching the point, the moving bar 110 is rotated back to the initial position. In addition, the controller 140 controls the air supply device 160 to determine the supply time and the interruption time of the air. The point of supply is when the moving bar 110 starts to move, and the blocking point is after the moving bar 110 completes the movement of the movement trajectory once or the movement bar 110 completes the reciprocation of the movement trace. It is time to return to the first position.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40 may control the air supply device 160 to supply air only when the moving bar 110 moves and to block the air supply when the moving bar 110 is stopped. In addition, the controller 140 may adjust the supply amount and the supply intensity of the air supplied from the air supply device 160 to the moving bar 110 according to the detected value of the sensor 119. Accordingly, the injection amount and intensity of the air injected from the discharge port 116 of the movable bar 110 are determined.

상기 구동모터(120)를 구동시키기 위한 스위치(150)가 구비된다. 상기 스위치(150)가 조작되면 상기 구동모터(120)는 상기 타이머(130)에 의해 설정된 시간 동안만 구동된다. A switch 150 for driving the drive motor 120 is provided. When the switch 150 is operated, the driving motor 120 is driven only for the time set by the timer 130.

상기 이동바(110)로 에어(air)를 공급하는 에어 공급장치(160)가 구비된다. 상기 에어 공급장치(160)는 에어를 고압 압축하고, 상술한 제어부(140)의 제어동작에 따라 고압 압축된 에어를 상기 이동바(110)로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에어 공급장치(160)와 상기 이동바(110)의 공급구(114) 사이는 에어를 공급할 수 있는 에어 공급라인(미도시)이 형성된다. An air supply device 160 for supplying air to the moving bar 110 is provided. The air supply device 160 performs high pressure compression of air, and supplies or blocks high pressure compressed air to the moving bar 110 according to the control operation of the controller 140 described above. Here, an air supply line (not shown) is formed between the air supply device 160 and the supply port 114 of the moving bar 110 to supply air.

상기 에어공급장치(160)의 후단에는 히팅부(170)가 구비된다. 그래서, 상기 에어공급장치(160)에서 상기 이동바(110)로 공급되는 에어는 차가운 에어가 공급되거나, 또는 상기 히팅부(170)를 통과할 경우 따뜻한 에어가 공급된다. The heating unit 170 is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air supply device 160. Thus, the air supplied from the air supply device 160 to the moving bar 110 is supplied with cold air or warm air when passing through the heating unit 170.

상기 차가운 에어 또는 따뜻한 에어가 선택되어 상기 이동바(110)로 공급되게 냉난방선택 스위치(180)가 구비된다. 상기 냉난방선택 스위치(180)에 따라 이동바(110)로 공급되는 에어의 종류가 선택된다. Cooling or hot air selection switch 180 is selected so that the cold air or warm air is supplied to the moving bar (110). The type of air supplied to the moving bar 110 is selected according to the air conditioning switch 180.

도 3은 도 1에서 설명한 물기 제거장치 중 욕실에 이동바가 욕실에 설치된 예를 보인 평면도이다.3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 moving bar is installed in a bathroom of the water removing apparatu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도 3에서와 같이 욕실은 그 공간에 기본적으로 욕조(1), 세면대(2) 및 좌변기(3)가 설치된다. 이러한 욕실 구조에서 사람이 욕실을 불편함 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이동바(110)는 욕실의 일 측면과 바닥면 사이에 요입된 홈(즉, 안착홈)(s)을 만들고, 그 안착홈(s) 내에 수용되게 한다. As shown in FIG. 3, the bathroom is basically provided with a bathtub 1, a sink 2, and a toilet 3. In this bathroom structure, the moving bar 110 makes a recessed groove (that is, a seating groove) s between one side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bathroom so that a person can use the bathroom without inconvenience. ) To be accommodated in

그리고 상기 이동바(110)의 일단과 연결된 구동모터(120)도 욕실의 측면내에 설치되는 것이 좋다. 이는 측면에 별도의 수납 공간을 형성하여 설치하면 가능하다. 또한 유지 보수시 수납 공간에 설치된 구성들을 점검 및 수리할 수 있도록 상기 수납 공간은 개방가능한 구조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미닫이 도어와 같은 형태이면 된다. 그러한 상기 수납 공간 내에는 제어부(140), 타이머(130), 에어 공급장치(160) 등의 구성이 소정 크기의 하우징 내에 구성되어 수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별도의 수납 공간을 형성하지 않아도 상기의 안착홈(s)의 내부에 본 발명의 물기 제거장치를 수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driving motor 120 connected to one end of the moving bar 110 may be installed in the side of the bathroom. This can be done by forming a separate storage space on the side. It is also desirable to make the storage space openable so that the components installed in the storage space can be inspected and repaired during maintenance. For example, the shape may be the same as a sliding door. In such a storage space,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rol unit 140, the timer 130, the air supply device 160, etc. are configured and accommodated in a housing having a predetermined size. Of course, even without forming a separate storage space may be configured to accommodate the water removal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mounting groove (s).

이어 상기와 같이 구성된 바닥 물기 제거장치의 동작 예를 첨부된 도 4를 참조하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Next, an operation example of the floor water removal apparatu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먼저, 상기 이동바(110)가 안착홈(s) 내에 수용된 상태에서 시작한다. 이 상태는 상술한 도 3과 같다. 이 경우는 상기 이동바(110)가 욕실의 바닥면에 노출이 안 된 상태로서 욕실 사용자는 욕실을 불편함 없이 사용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First, the moving bar 110 starts in a state accommodated in the seating groove (s). This state is the same as in FIG. In this case, as the movable bar 110 is not expos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athroom, the bathroom user can use the bathroom without inconvenience.

도 3과 같은 상태에서, 욕실 사용자는 욕실을 사용한다. 욕실을 사용할 경우, 대부분은 바닥으로 물기가 떨어져서 바닥면에 물기가 고이게 된다. In the state as shown in FIG. 3, the bathroom user uses the bathroom. If you use a bathroom, most of the water will fall to the floor and the floor will dry up.

이처럼 욕실의 바닥면에 물기가 있게 되고 이를 완전하게 제거하지 못하면 욕실 사용자는 미끄러지거나 넘어지는 사고를 당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욕실 사용자는 욕실을 나가면서 욕실의 벽면에 형성된 스위치(150)를 온 조작한다. As such, if there is water on the bottom of the bathroom and it is not completely removed, the user of the bathroom may be slid or fallen. To prevent this, the bathroom user turns on the switch 150 formed on the wall of the bathroom while leaving the bathroom.

상기 스위치(150)가 조작되면, 상기 구동모터(120)가 구동된다. 그러면 도 4a에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상기 구동모터(120)의 구동축(122)과 연결된 이동바(110)가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기 시작한다. 이때 회전중심은 상기 구동모터(120)와 연결된 축이 중심이 되고, 도면과 같이 대략 반원의 궤적을 그리면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이동바(110)가 움직이기 시작한 시점부터 상기 제어부(140)는 에어 공급장치(160)를 제어하여 고압 압축된 에어가 상기 이동바(110)의 공급구(114)를 통해 공급되게 제어한다. 즉, 욕실 사용자에 의해 스위치(150)가 조작되면, 상기 제어부(140)는 구동모터(120)를 구동시켜 이동바(110)를 이동시키고, 이와 동시에 상기 에어 공급장치(160)도 함께 제어하여 상기 이동바(110)로 에어가 공급되도록 한다. When the switch 150 is operated, the drive motor 120 is driven. Then, as illustrated in FIG. 4A, the moving bar 110 connected to the drive shaft 122 of the drive motor 120 starts to move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At this time, the center of rotation is the axis connected to the drive motor 120 is the center, as shown in the drawing moves the trace of the semi-circle as shown. At this time, from the time when the moving bar 110 starts to move, the controller 140 controls the air supply device 160 to control the high pressure compressed air to be supplied through the supply port 114 of the moving bar 110. do. That is, when the switch 150 is operated by the bathroom user, the control unit 140 drives the driving motor 120 to move the moving bar 110, and at the same time also controls the air supply unit 160 Air is supplied to the moving bar 110.

따라서, 상기 이동바(110)는 상기 구동모터(120)의 구동에 의해 정해진 이동궤적을 따라 이동하게 되고, 이때 상기 이동바(110)에 형성된 복수의 토출구(116)를 통해서는 고압 압축의 에어가 욕실의 바닥면을 향해 분사된다. Therefore, the moving bar 110 moves along a moving trajectory determined by the driving of the driving motor 120, and at this time, the air of the high pressure compression is provided through the plurality of discharge ports 116 formed in the moving bar 110. Is sprayed towards the bottom of the bathroom.

그와 같이 상기 이동바(110)의 토출구(116)를 통해 고압 압축된 에어가 분사되면, 상기 이동바(110)의 이동 방향의 전방으로 욕실 바닥면에 남아있는 물기는 밀려나게 된다. As such, when high-pressure compressed air is inject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116 of the moving bar 110, the water remaining on the bathroom floor in the front of the moving direction of the moving bar 110 is pushed out.

이와 같은 동작은 상기 이동바(110)가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욕실의 다른 측면에 도달하기까지 수행된다. 즉, 타이머(130)에 의해 셋팅된 상기 구동모터(120)의 정회전 시간동안 진행되는 것이다. This operation is performed until the moving bar 110 reaches the other side of the bathroom as shown in Figure 4b. That is, during the forward rotation time of the drive motor 120 set by the timer 130.

도 4b와 같이 상기 이동바(110)가 상기 구동모터(120)의 정회전 시간이 경과하기까지 계속 이동한 후에는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타이머(130)에 셋팅된 역회전 정보에 의하여 상기 구동모터(120)를 역회전 구동시킨다. As shown in FIG. 4B, after the moving bar 110 continues to move until the forward rotation time of the driving motor 120 elapses, the controller 140 may be configured according to the reverse rotation information set in the timer 130. The driving motor 120 is driven in reverse rotation.

그러면, 도 4a의 이동 방향과는 반대되는 방향, 즉 안착홈(s)이 있는 방향으이동궤적을 그리면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바(110)가 상기 안착홈(s)에 수용되면,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구동모터(120)의 구동을 중지시킨다. Then, it moves while drawing a movement trajectory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movement direction of FIG. 4A, that is,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ating groove s is located. When the moving bar 110 is accommodated in the seating groove s, the controller 140 stops driving of the driving motor 120.

여기서, 상기 이동바(110)가 상기 구동모터(120)의 역회전 구동에 의해 상기 안착홈(s) 방향으로 이동하기 시작하면,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에어 공급장치(160)를 제어하여 상기 이동바(110)로 에어를 계속 공급되게 하거나 차단되게 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욕실 바닥면에 물기가 계속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이동바(110)는 안착홈(s)으로 복귀할 때에도 상기 에어 공급장치(160)에서 에어를 계속 공급받아 토출구(116)를 통해 분사한다. 반면 물기가 제거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이동바(110)가 안착홈(s)으로 복귀할 때에는 상기 에어 공급장치(160)에서 에어의 공급을 차단하여, 에어 분사 동작 없이 상기 이동바(110)가 이동하도록 한다. 상기의 에어 공급 또는 차단 여부는 상기 이동바(110)의 외주면에 장착된 하나 이상의 센서(119)로부터 감지된 값과 기 설정된 기준값을 상기 제어부(140)가 비교하여 결정한다. 여기서 상기 기준값은 욕실 바닥면에서 욕실 사용자가 미끄러지거나 넘어지지 않을 정도로 남아있는 물기의 값을 수치화하여 제공된 값이다. Here, when the moving bar 110 starts to move in the direction of the seating groove s by the reverse rotation driving of the drive motor 120, the control unit 140 controls the air supply device 160 Air may be continuously supplied to the moving bar 110 or blocked. For example, if it is determined that water continues to be on the bathroom floor, the moving bar 110 continues to receive air from the air supply device 160 even when returning to the seating groove s and sprays it through the discharge port 116. .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water is removed, when the moving bar 110 returns to the seating groove s, the air supply unit 160 cuts off the supply of air, and the moving bar 110 moves without an air injection operation. Do it. The control unit 140 compares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with a value detected from one or more sensors 119 mount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oving bar 110 to determine whether the air is supplied or blocked. Here, the reference value is a value provided by quantifying the value of the water remaining so that the bathroom user does not slip or fall on the bathroom floor.

이와 같은 동작에 따라 욕실 사용자는 욕실에서 나올 때 스위치(150)를 조작하기만 하면, 욕실 바닥면을 향해 에어를 분사하는 이동바(110)의 이동에 의하여 욕실 바닥면에 있는 물기를 간단하게 제거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is operation, the bathroom user simply operates the switch 150 when leaving the bathroom, and simply removes water on the bathroom floor by moving the moving bar 110 that sprays air toward the bathroom floor. You can do it.

여기서, 사용자가 냉난방 선택스위치(180)를 조작하면 상기 이동바(110)로 공급되는 에어를 차갑게 하거나 따뜻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판단에 의해 차가운 에어로 물기를 제거할 경우, 상기 냉난방 선택스위치(180)를 냉방측에 맞추고, 반면 따뜻한 에어로 물기를 제거할 경우, 상기 냉난방 선택스위치(180)를 난방측에 맞추면 된다. Here, when the user operates the air conditioning selection switch 180, the air supplied to the moving bar 110 may be cooled or warmed. Therefore, when removing water with cold air at the user's discretion, the air-conditioning selection switch 180 may be set to the cooling side, whereas when removing water with warm air, the air-conditioning selection switch 180 may be set to the heating side. .

한편, 욕실에는 세면대(2), 좌변기(3)와 같은 각종 장애물이 설치되어 있다. 그래서 도 3과 같이 이동바(110)의 길이가 적당하다면 이동바(110)는 그 이동궤적상에 어떠한 장애물도 없이 이동하면서 욕실 바닥면에 대해 에어를 분사할 수가 있다. 그렇지만 일반적인 욕실 구조에서는 이 경우 세면대(2) 아래에 있는 물기는 제거할 수가 없게 된다. 만약 상기 이동바(110)의 길이를 더 길게 만든다면 이때에는 좌면기(3)에 의해 걸리게 되어, 도 3에서 좌변기(3)의 우측방향으로는 이동바(110)의 이동이 불가능하여 바닥면에 있는 물기를 제거할 수가 없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bathroom is provided with various obstacles, such as the sink (2), the toilet seat (3). Thus, if the length of the moving bar 110 is appropriate as shown in Figure 3, the moving bar 110 can inject air to the bathroom floor while moving without any obstacles on the moving track. However, in a typical bathroom structure the water under the sink 2 cannot be removed in this case. If the length of the movable bar 110 is made longer, it is caught by the seating machine 3, and the movable bar 110 is not moved in the right direction of the toilet seat 3 in FIG. 3. You will not be able to remove the moisture from the.

이는 이어지는 다른 실시 예를 통해 해결하고자 한다. This will be solved through the following other embodiments.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물기 제거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5 is a block diagram of a water removal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보면, 물기 제거장치(200)에는 복수의 이동바(210a)(210b)가 제공된다. 여기서는 이동바가 2개 제공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상기 이동바(210a)(210b)는 서로 다른 길이로 형성된 것만 차이가 있고(도 6a 참조), 이동바(210a)(210b)의 형상 및 이동바(210a)(210b)에 구성된 공급구, 토출구, 센서 및 이동 휠 등의 구성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와 동일하다. 여기서 2개의 이동바(210a)(210b) 중 길이가 긴 이동바(210a)를 제 1 이동바로 칭하고, 길이가 짧은 이동바(210b)를 제 2 이동바로 칭하여 설명한다. 5, the water removal apparatus 20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moving bars 210a and 210b. It will be described here that two moving bars are provided. The moving bars 210a and 210b are different only from those formed with different lengths (see FIG. 6A), and the shape of the moving bars 210a and 210b and the supply and discharge ports formed on the moving bars 210a and 210b. The configuration of the sensor, the moving wheel, and the like is the same a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Here, the long moving bar 210a of the two moving bars 210a and 210b will be referred to as a first moving bar, and the short moving bar 210b will be referred to as a second moving bar.

상기 이동바(210a)(210b)의 길이를 다르게 형성한 것은 상술한 바와 같이 좌변기(3)와 같은 장애물에 의해 하나의 이동바(즉, 제 1 이동바)(210a)가 걸리더라도 상대적으로 길이가 더 짧게 형성된 다른 이동바(즉, 제 2 이동바)(210b)는 계속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The different lengths of the moving bars 210a and 210b are relatively long even if one moving bar (ie, the first moving bar) 210a is caught by an obstacle such as the toilet seat 3 as described above. Is to shorten the other moving bar (ie, the second moving bar) 210b to keep moving.

상기 제 1 이동바(210a)와 제 2 이동바(210b)는 욕실의 소정 영역에서는 함께 움직이되 욕실의 다른 소정 영역에서는 제 2 이동바(210b)만이 움직이게 구성된다. The first moving bar 210a and the second moving bar 210b move together in a predetermined area of the bathroom, but only the second moving bar 210b moves in another predetermined area of the bathroom.

상기 제 1 이동바(210a) 및 제 2 이동바(210b)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 1 구동모터(220a) 및 제 2 구동모터(220b)가 각각 구비된다. 그리고 실질적으로 상기 이동바(210a)(210b)들은 상기 구동모터(220a)(220b)들의 제 1 및 제 2구동축(222a)(222b)과 연결되며, 여기서도 상기 이동바(210a)(210b)의 일단과 제 1 및 제 2 구동축(222a)(222b) 사이에는 상기 구동모터(220a)(220b)의 회전운동을 상기 이동바(210a)(210b)가 바닥면 위에서 미리 정해진 이동궤적을 그리면서 운동할 수 있도록 해주는 각종 기어열이나 링크 부재 등이 설치된다. A first driving motor 220a and a second driving motor 220b for driving the first moving bar 210a and the second moving bar 210b are respectively provided. Subsequently, the moving bars 210a and 210b are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driving shafts 222a and 222b of the driving motors 220a and 220b, and the moving bars 210a and 210b of the moving bars 210a and 210b are also provided. Between the one end and the first and second drive shafts (222a, 222b) the movement of the drive motors (220a, 220b) while the movement bar (210a, 210b) draws a predetermined movement trajectory on the floor surface Various gear trains or link members are installed to enable the operation.

상기 제 1 구동모터(220a)와 제 2 구동모터(220b)의 정회전 및 역회전 구동시간을 셋팅하는 타이머(230)가 구비된다. 상기 제 1 구동모터(220a)의 정회전 및 역회전 구동시간은 제 1 이동바(210a)가 최초 위치와 좌면기(3)까지의 이동 거리를 참조하여 결정되고, 상기 제 2 구동모터(220b)의 정회전 및 역회전 구동시간은 제 2 이동바(210b)가 좌면기(3)와 욕실 측면까지의 이동 거리를 참조하여 결정된다.A timer 230 is provided to set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driving times of the first driving motor 220a and the second driving motor 220b. Th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driving times of the first driving motor 220a are determined by referring to the first position and the moving distance between the first position and the seating surface 3, and the second driving motor 220b. ), Th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driving times are determined by referring to the moving distance of the second moving bar 210b to the seating surface 3 and the bathroom side surface.

상기 타이머(230)에 의해 셋팅된 정보에 의해 상기 제 1 구동모터(220a) 및 제 2 구동모터(220b)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240)가 구비된다. 또 상기 제어부(240)는 에어 공급장치(260)를 제어하여 제 1 이동바(210a) 및 제 2 이동바(210b)에 에어의 공급시점 및 차단시점을 결정한다.The controller 240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driving of the first driving motor 220a and the second driving motor 220b based on the information set by the timer 230. In addition, the controller 240 controls the air supply device 260 to determine the supply time and the interruption time of air to the first moving bar 210a and the second moving bar 210b.

상기 구동모터(220a)(220b)를 구동시키기 위한 스위치(250)가 구비된다. 상기 스위치(250)가 조작되면 상기 구동모터(220a)(220b)는 상기 타이머(230)에 의해 설정된 시간 동안만 구동된다. A switch 250 for driving the drive motors 220a and 220b is provided. When the switch 250 is operated, the driving motors 220a and 220b are driven only for the time set by the timer 230.

상기 에어공급장치(260)의 후단에는 히팅부(270)가 구비된다. 그래서, 상기 에어공급장치(260)에서 상기 이동바(210a)(210b)로 공급되는 에어는 차가운 에어가 공급되거나, 또는 상기 히팅부(270)를 통과할 경우 따뜻한 에어가 공급된다. The heating unit 270 is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air supply device 260. Thus, the air supplied from the air supply device 260 to the moving bars 210a and 210b is supplied with cold air or warm air when passing through the heating unit 270.

상기 차가운 에어 또는 따뜻한 에어가 선택되어 상기 이동바(210a)(210b)로 공급되게 냉난방선택 스위치(280)가 구비된다. 상기 냉난방선택 스위치(280)에 따라 이동바(110)로 공급되는 에어의 종류가 선택된다. A cooling / heating selection switch 280 is provided to select the cold air or the warm air to be supplied to the moving bars 210a and 210b. The type of air supplied to the moving bar 110 is selected according to the air conditioning switch 280.

이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물기 제거장치의 동작 예를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의 설명시 욕실의 구성은 상술한 도 3에 도시된 도면의 구성을 참조하기로 한다. Next, an operation example of the water removal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The configuration of the bathroom in the description of FIG. 6 will be referred to the configuration of the drawing shown in FIG. 3.

도 6a은 제 1 이동바(210a)와 제 2 이동바(210b)가 안착홈(s)에 수용된 상태이다. 6A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first moving bar 210a and the second moving bar 210b are accommodated in the seating groove s.

이후, 욕실 사용자가 욕실을 사용하여 욕실 바닥면에 물기가 있다고 가정한다. Subsequently, it is assumed that the bathroom user uses the bathroom to have water on the bathroom floor.

욕실 바닥면에 물기가 있는 상태로, 욕실 사용자는 욕실을 나오면서 스위치(250)를 조작한다. While the bathroom floor is wet, the bathroom user operates the switch 250 while leaving the bathroom.

그러면, 상기 제어부(240)의 제어동작에 따라 제 1 구동모터(220a)와 제 2 구동모터(220b)가 구동된다. 상기 제 1 구동모터(220a)와 제 2 구동모터(220b)가 구동되면, 상기 제 1 이동바(210a)와 제 2 이동바(210b)가 이동하기 시작한다. 이때, 상기 제 2 구동모터(220b)를 구동시킬 수도 있지만 제 1 이동바(210a)의 이동 진행방향에 제 2 이동바(210b)가 놓여있기 때문에, 상기 제 1 구동모터(220a)만을 구동시키고 제 2 구동모터(220b)는 구동시키지 않을 수도 있다. Then, the first driving motor 220a and the second driving motor 220b are driven according to the control operation of the controller 240. When the first driving motor 220a and the second driving motor 220b are driven, the first moving bar 210a and the second moving bar 210b start to move. In this case, although the second driving motor 220b may be driven, since the second moving bar 210b is placed i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first moving bar 210a, only the first driving motor 220a is driven. The second driving motor 220b may not be driven.

상기 제 1 이동바(210a)와 상기 제 2 이동바(210b)가 함께 이동하는 상태는 도 6b에 도시하고 있다. The state in which the first moving bar 210a and the second moving bar 210b move together is illustrated in FIG. 6B.

도 6b와 같이 상기 제 1 이동바(210a) 및 제 2 이동바(210b)가 이동할 때, 상기 제어부(240)는 상기 에어 공급장치(260)에서 고압 압축된 에어가 상기 제 1 이동바(210a) 및 제 2 이동바(210b)로 공급되게 제어한다. When the first moving bar (210a) and the second moving bar (210b) as shown in Figure 6b, the control unit 240 is a high-pressure compressed air from the air supply device 260 the first moving bar (210a) And the second moving bar 210b.

이에 따라 제 1 이동바(210a) 및 제 2 이동바(210b)에 형성된 토출구를 통해 고압 압축된 에어는 욕실의 바닥면을 향하여 분사되고, 따라서 욕실 바닥면에 있는 물기를 제거하게 된다. Accordingly, the high pressure compressed air is discharged toward the bottom of the bathroom through the discharge holes formed in the first moving bar 210a and the second moving bar 210b, thereby removing the water on the bottom of the bathroom.

도 6b와 같은 상태로 상기 제 1 이동바(210a)와 제 2 이동바(210b)가 정해진 이동궤적을 따라 이동하면서 에어를 분사하다가, 도 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이동바(210a)는 그 길이로 인해 장애물, 즉 좌변기(3)의 일단에 걸리게 된다. While the first moving bar 210a and the second moving bar 210b move along a predetermined movement trajectory in the same state as in FIG. 6B, the air is injected, and as shown in FIG. 6C, the first moving bar 210a is illustrated. Due to its length is caught on the obstacle, that is, one end of the toilet bowl (3).

그러면, 상기 제어부(240)는 상기 제 1 구동모터(220a)의 구동을 중지시켜 상기 제 1 이동바(210a)의 움직임을 중지시키고, 상기 제 1 이동바(210a)로 공급되던 에어도 차단한다. 물론, 상기 제 1 구동모터(220a)의 구동 중지는 상기 타이머(230)에 의해 셋팅된 정보에 의해 수행된다. 하지만 상기 제어부(240)는 상기 제 2 구동모터(220b)는 계속 구동시켜 상기 제 2 이동바(210b)는 계속 이동되게 한다. 즉 상기 제 2 이동바(210b)는 상기 제 1 이동바(210a)에 비해 길이가 짧기 때문에, 자신의 이동궤적 상에는 장애물이 없는 상태로서 계속 이동이 가능하다. Then, the controller 240 stops the driving of the first driving motor 220a to stop the movement of the first moving bar 210a, and blocks the air supplied to the first moving bar 210a. . Of course, the driving stop of the first driving motor 220a is performed by the information set by the timer 230. However, the controller 240 continues to drive the second driving motor 220b so that the second moving bar 210b continues to move. That is, since the second moving bar 210b has a shorter length than that of the first moving bar 210a, the second moving bar 210b can continue to move without obstacles on its moving trajectory.

상기 제 2 이동바(210b)가 이동하는 예는 도 6c에 도시하고 있다. 그와 같이 상기 제 2 이동바(210b)는 상기 제 1 이동바(210a)가 가지 못하는 바닥면을 이동하면서 에어를 분사하여 물기를 제거하게 된다. An example of the movement of the second moving bar 210b is illustrated in FIG. 6C. As such, the second moving bar 210b removes water by spraying air while mov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moving bar 210a.

상기 제 2 이동바(210b)가 타이머(230)에 의해 셋팅된 제 2 구동모터(220b)의 구동시간 정보만큼 이동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240)는 상기 제 2 구동모터(220b)를 역회전 구동하도록 제어한다. When the second moving bar 210b moves by the driving time information of the second driving motor 220b set by the timer 230, the controller 240 reversely rotates the second driving motor 220b. Control to drive

그러면, 상기 제 2 이동바(210b)는 욕실의 측면에서 다시 현재 구동 정지상태인 상기 제 1 이동바(210a) 측으로 이동한다.Then, the second moving bar 210b moves from the side of the bathroom back to the first moving bar 210a which is currently in the driving stop state.

그 시점에서 상기 제어부(240)는 타이머(230)에 설정된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제 1 구동모터(220a)를 역회전 구동시킨다. At this point, the control unit 240 drives the first driving motor 220a in reverse rotation with reference to the information set in the timer 230.

그렇게 되면, 상기 제 1 구동모터(220a)와 제 2 구동모터(220b)가 함께 구동되고, 안착홈(s)에 수용되는 시점에 상기 제어부(240)는 상기 제 1 구동모터(220a)와 제 2 구동모터(220b)의 구동을 중지시킨다. In this case, the first driving motor 220a and the second driving motor 220b are driven together, and at the time when the first driving motor 220a and the second driving motor 220b are accommodated in the seating groove s, the control unit 240 includes the first driving motor 220a and the first driving motor 220a. 2 The driving of the driving motor 220b is stopped.

여기서, 상기 제어부(240)는 상기 제 1 구동모터(220a)와 제 2 구동모터(220b)의 역회전 구동에 의해 상기 제 1 이동바(210a) 및 제 2 이동바(210b)가 이동할 때에는 상기 이동바(210a)(210b)로 에어를 계속 공급되게 하거나 차단되게 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욕실 바닥면에 물기가 계속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이동바(210a)(210b)는 안착홈(s)으로 복귀할 때에도 상기 에어 공급장치(260)에서 에어를 계속 공급받아 토출구를 통해 분사한다. 반면 물기가 제거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이동바(210a)(210b)가 안착홈(s)으로 복귀할 때에는 상기 에어 공급장치(260)에서 에어의 공급을 차단하여, 에어 분사 동작 없이 상기 이동바(210a)(210b)가 이동하도록 한다. 상기의 에어 공급 또는 차단 여부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바(210a)(210b)의 외주면에 장착된 하나 이상의 센서로부터 감지된 값과 기 설정된 기준값을 상기 제어부(240)가 비교하여 결정하게 된다. Here, the control unit 240 when the first moving bar 210a and the second moving bar 210b moves by the reverse rotation driving of the first drive motor 220a and the second drive motor 220b. The moving bars 210a and 210b may be continuously supplied with air or blocked. For exampl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water continues to be on the bathroom floor, the moving bars 210a and 210b continue to receive air from the air supply device 260 and spray through the discharge holes even when returning to the seating groove s. . 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water is removed when the moving bar (210a) (210b) is returned to the seating groove (s) by blocking the supply of air from the air supply device 260, the moving bar (210a) without the air injection operation 210b is moved.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ler 240 determines whether the air is supplied or cut off by comparing a value detected from one or more sensors mount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moving bars 210a and 210b with a preset reference value.

이와 같이 욕실 구조에 따라서 하나의 이동바로 욕실 바닥면에 있는 물기를 모두 제거할 수 없는 경우에는 복수의 이동바를 이용하여 물기를 제거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when it is impossible to remove all of the water on the bottom of the bathroom with one moving bar, the water may be removed using the plurality of moving bars.

여기서, 물기 제거시, 사용자는 상기 냉난방 선택스위치(280)를 조작하여 상기 에어공급장치(260)에서 상기 이동바(210a)(210b)로 따뜻한 에어 또는 차가운 에어를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Here, when the water is removed, the user may selectively supply warm air or cold air from the air supply device 260 to the moving bars 210a and 210b by manipulating the air conditioning selection switch 280.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욕실 등과 같은 소정 공간의 바닥면에 있는 물기를 간단하게 제거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t can be seen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remove moisture on the bottom surface of a predetermined space such as a bathroom.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들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요지 및 범위에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다양한 변형, 변경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들이 가능하다는 것을 명백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인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Although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illustrat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is is merely exemplar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various modific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hat other embodiments may be modified and equivalent. Therefore,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즉, 본 실시 예에는 이동바가 에어를 분사시켜 물기를 밀어내는 방법으로 제거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동바가 소정 이동궤적에서 이동할 때, 최초 운동시에는 에어를 분사시켜 물기를 밀어내서 제거하고, 최초 위치로 복귀하는 운동시에는 에어 대신 난풍을 분사시켜 욕실 바닥면을 마르게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예도 본 발명에 적용 가능하다. That is, in this embodiment, the moving bar is described as removing the method by injecting air to push the water, but when the moving bar moves in the predetermined movement trajectory, during the first movement, the air is sprayed to remove the water to remove, When returning to position, you can use dry air instead of air to dry the bathroom floor. Such an example is also applicable to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본 실시 예는 에어를 분사하는 이동바가 원통 형상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육면체 형상, 다각형 형상 등과 같이 다양하게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moving bar for injecting air is described in a cylindrical shape, but may be formed in various ways such as a hexahedron shape and a polygonal shape.

또한 본 실시 예의 도면에서는 이동바의 설치 장소가 세면대와 마주보는 벽면 아래에 설치하고 있으나, 반드시 그러지 않아도 된다. 즉, 본 발명은 소정 공간에서 배수구가 설치된 부분을 고려하여, 그 배수구 측을 향하여 물기를 밀어낼 수 있도록 다른 위치에도 얼마든지 설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drawing of this embodiment, although the installation place of the moving bar is installed under the wall facing the sink, it is not necessary to do so.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stalled in any other position so that water can be pushed toward the drain port side in consideration of the portion where the drain hole is installed in a predetermined space.

또한 본 발명은 물기를 제거할 수 방향으로 이동바가 진행할 경우에만 에어가 분사되게 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allow the air to be injected only when the moving bar proceeds in the direction to remove water.

110 : 이동바 120 : 구동축
120 : 구동모터 130 : 타이머
140 : 제어부 150 : 스위치
160 : 에어 공급장치
110: moving bar 120: drive shaft
120: drive motor 130: timer
140: control unit 150: switch
160: air supply device

Claims (5)

에어를 공급받는 공급구와, 바닥면을 향하여 에어를 분사하는 다수개의 토출구를 구비하고, 바닥면과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일단부를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이동바;
상기 공급구를 통해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 공급장치;
상기 이동바가 상기 바닥면 위에서 일정 범위 내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수단;
상기 이동바를 바닥면에 대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이동바의 저면에 설치되는 이동휠; 그리고
상기 구동수단에 의하여 상기 이동바가 회동할 수 있도록 구동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욕실의 일 측면과 바닥면 사이에 형성된 안착홈 내에 수용되는 바닥면 물기 제거장치.
At least one moving bar having a supply port for supplying air and a plurality of discharge ports for injecting air toward the bottom surface, and rotatably installed based on one end in a state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 air supply device for supplying air through the supply port;
Driving means for providing a driving force so that the movable bar is rotatable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on the bottom surface;
A moving wheel installed at a bottom of the moving bar to support the moving bar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riving means so that the moving bar can rotate by the driving means;
Floor draining device accommodated in the seating groove formed between one side and the bottom of the bathroo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바는 한 쌍으로 구성되고;
상기 이동바는 각각 길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되, 각각의 이동바를 구동하는 구동수단 및 각 이동바의 이동 범위를 결정하도록 소정 값을 셋팅하는 타이머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이머에 의해 셋팅된 값에 의해 상기 이동바 마다 정해진 자신의 이동 거리나 범위 내에서 이동되도록 각각의 구동수단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면서 상기 이동바가 이동중에만 상기 에어 공급장치로부터 상기 공급구를 통해 공급된 에어가 상기 토출구를 통해 분사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면 물기 제거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moving bar is composed of a pair;
The moving bars are formed to have different lengths, and further include driving means for driving each moving bar and a timer for setting a predetermined value to determine a moving range of each moving bar;
The control unit selectively controls the respective driving means to move within its own moving distance or range determined for each moving bar by the value set by the timer, while the moving bar is moved from the air supply device only while the moving bar moves. Floor drain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the air supplied through the injection through the discharge port.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바가 구동 정지한 경우에도 상기 토출구를 통해 상기 에어를 분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면 물기 제거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control unit may remove the water on the floor surface, characterized in that even when the moving bar stops driving, the air can be inject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삭제delete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공급장치와 이동바 사이에 설치되어, 이동바로 공급되는 에어를 가열할 수 있는 히팅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바닥면 물기 제거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Is installed between the air supply and the moving bar, the bottom surface moisture removal device further comprises a heating unit for heating the air supplied to the moving bar.
KR1020100104141A 2010-10-25 2010-10-25 Apparatus for eliminating a water from bottom surface KR10125924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4141A KR101259248B1 (en) 2010-10-25 2010-10-25 Apparatus for eliminating a water from bottom surfa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4141A KR101259248B1 (en) 2010-10-25 2010-10-25 Apparatus for eliminating a water from bottom surfa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1132A KR20120061132A (en) 2012-06-13
KR101259248B1 true KR101259248B1 (en) 2013-04-29

Family

ID=46611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4141A KR101259248B1 (en) 2010-10-25 2010-10-25 Apparatus for eliminating a water from bottom surfa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924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6269A (en) 2021-09-07 2023-03-14 박창석 Floor dry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20273A (en) * 1996-02-19 1997-08-26 Toto Ltd Method for preventing dirt of bathroom and device therefor
KR20060098752A (en) * 2005-03-07 2006-09-19 김대근 Umbrella dryer
KR100895869B1 (en) 2007-07-23 2009-04-30 김인수 Foot drying machine
KR20100085569A (en) * 2009-01-21 2010-07-29 최영민 Foot dri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20273A (en) * 1996-02-19 1997-08-26 Toto Ltd Method for preventing dirt of bathroom and device therefor
KR20060098752A (en) * 2005-03-07 2006-09-19 김대근 Umbrella dryer
KR100895869B1 (en) 2007-07-23 2009-04-30 김인수 Foot drying machine
KR20100085569A (en) * 2009-01-21 2010-07-29 최영민 Foot dri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1132A (en) 2012-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98005B2 (en) Pet washing and drying equipment
TWI643806B (en) Water dispenser unit
WO2006104231A1 (en) Portable facilitated toilet apparatus
US5806105A (en) Automatic toilet seat cleaning system
WO2014138473A1 (en) Dryer and towel dispenser combinations and methods of operating the same
ZA200406255B (en) Motor stoop control device for gaming machine and gaming machine provided with the motor stop control device.
KR101172463B1 (en) Apparatus for cleaning cup
US6237614B1 (en) Retractable vehicle wash system
KR101259248B1 (en) Apparatus for eliminating a water from bottom surface
KR101683151B1 (en) Automatic hand washer device
JP6134724B2 (en) Apparatus for cleaning urinal scaffold and corresponding urinal configuration
US20050015902A1 (en) Wheel cleaning apparatus for a wheelchair or the like
WO2008072677A1 (en) Toilet seat rinsing system
JP2005213785A (en) Washroom floor cleaning device
US20110030205A1 (en) Mattress material removal device
ITMI940027A1 (en) ARRANGEMENT AND PROCEDURE FOR AUTOMATIC CLEANING OF A SANITARY APPLIANCE
KR101107523B1 (en) hand drier
JPH08232329A (en) Automatic washing device in toilet room
CN105011880A (en) Barrel (basket) dishwasher
US11752526B1 (en) Shoe sole cleaning device
KR101870206B1 (en) Automatic hand washer device
KR100460591B1 (en) Apparatus for washing a pet
US8132848B1 (en) Vehicle mounted brush for footwear
JP3107538U (en) Small animal sole cleaning machine
KR101706937B1 (en) auto cleaning pad mounted transform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