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8572B1 - 공유기를 이용한 스마트 매칭 네트워킹 시스템 - Google Patents

공유기를 이용한 스마트 매칭 네트워킹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8572B1
KR101258572B1 KR1020110058906A KR20110058906A KR101258572B1 KR 101258572 B1 KR101258572 B1 KR 101258572B1 KR 1020110058906 A KR1020110058906 A KR 1020110058906A KR 20110058906 A KR20110058906 A KR 20110058906A KR 101258572 B1 KR101258572 B1 KR 1012585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target terminal
port information
information
vie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89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08889A (ko
Inventor
이점한
이요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마스터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마스터소프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마스터소프트
Priority to PCT/KR2011/004537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2128423A1/ko
Publication of KR201201088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88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85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85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6Interconnection of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54Wide area networks, e.g. public data networks
    • H04L12/2856Access arrangements, e.g. Internet acc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유기를 이용한 스마트 네트워킹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에 있는 뷰어 단말과 원격의 공유기에 맞물린 타겟 단말 사이에서 상기 공유기가 자동으로 포트 연결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원격에서 상기 공유기에 맞물리 타겟 단말과의 자유로운 접속이 가능한 공유기를 이용한 스마트 매칭 네트워킹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공유기를 이용한 스마트 매칭 네트워킹 시스템 {Matching Networking System}
본 발명은 공유기를 이용한 스마트 네트워킹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에 있는 뷰어 단말과 원격의 공유기에 맞물린 타겟 단말 사이에서 상기 공유기가 자동으로 포트 연결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원격에서 상기 공유기에 맞물린 타겟 단말과의 자유로운 접속이 가능한 공유기를 이용한 스마트 매칭 네트워킹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외부에서 공유기를 통해 다른 컴퓨터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프로그램 간 상호 정보 교환시 파일이나 임시 저장소를 거치지 않고 직접 연결하기 위한 가상의 논리적 접속 구조인 포트를 통해 연결된다. 상기 연결을 위한 대표적인 포트가 TCP, UDP 포트이다.
여기서, 외부에서 다른 컴퓨터를 원격에서 접속하기 위해서는 외부와 공유기, 공유기와 다른 컴퓨터 사이에 포트 포워딩 과정을 통해 포트 개방을 통해 외부에서 공유기에 물린 다른 컴퓨터에 원격에서 접속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포트 포워딩 과정은 IP정보나 포트 정보를 직접 입력하는 매우 복잡한 과정을 통해 설정될 수 있으므로 설정이 매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컴퓨터 세부정보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 입장에서는 컴퓨터 단말의 IP정보 확인 조차 쉽지 않기 때문에, 포트 포워딩을 직접 수행하는 자체가 매우 어려운 과정으로 인식되고 있다.
또한, 종래의 네트워킹 시스템은 공유기와 이에 맞물린 타겟 단말 사이에는 동일한 포트가 할당될 수 있으나, 외부 인터넷을 통한 뷰어 단말은 하나의 뷰어 단말만 동일한 포트로 접속이 가능하므로 다른 뷰어 단말은 별도로 포트 포워딩에 의해 포트 매핑을 처리한 후 접속하여야 하므로 접속이 매우 번거로운 문제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에 있는 뷰어 단말과 원격의 공유기에 맞물린 타겟 단말 사이에서 상기 공유기가 자동으로 포트 연결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원격에서 상기 공유기에 맞물리 타겟 단말과의 자유로운 접속이 가능한 공유기를 이용한 스마트 매칭 네트워킹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공유기를 이용한 스마트 매칭 네트워킹 시스템은 외부 인터넷을 통한 원격지의 뷰어 단말의 특정 타겟 단말로의 접속 요청에 따라 상기 특정 타겟 단말이 물려있는 공유기 접속 정보를 상기 뷰어 단말로 제공하는 관리 서버와 상기 공유기 접속 정보로 접속한 뷰어 단말에 포트 정보를 매칭하여 제공하고, 상기 포트 정보를 통해 뷰어 단말과 타겟 단말의 접속을 제어하는 공유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뷰어 단말에 뷰어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고, 상기 타겟 단말에 에이전트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프로그램 제공부와 상기 뷰어 단말로부터 특정 타겟 단말에 대한 접속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타겟 단말이 맞물려 있는 공유기 접속 정보를 추출하여 제공하는 공유기 접속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공유기 접속 정보 제공부는 클라이언트 식별 정보에 매핑하여 타겟 단말의 접속정보(타겟 단말 IP, 타겟 단말 MAC 어드레스 포함)와 상기 타겟 단말이 물려있는 공유기 접속 정보(공유기 IP 정보 포함)를 저장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유기를 이용한 스마트 매칭 네트워킹 시스템.
또한, 상기 공유기는 외부 인터넷을 통한 원격지의 뷰어 단말로부터 특정 타겟 단말에 대한 포트 정보 요청이 있는 경우 공유기와 물려있는 특정 타겟 단말과 접속 가능한 포트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뷰어 단말로 제공하여 뷰어 단말과 타겟 단말의 연결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포트 매칭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포트 매칭부는 뷰어 단말의 요청에 따라 포트 정보를 추출하여 제공하는 포트정보 추출 모듈과 상기 뷰어 단말이 상기 포트 정보 추출 모듈로부터 제공된 포트 정보 특정 타겟 단말로 접속을 요청하는 경우 상기 뷰어 단말과 타겟 단말을 연결하는 접속 관리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포트정보 추출 모듈은 뷰어 단말이 특정 타겟 단말의 접속 정보를 전송하면서 포트 정보를 요청하면, 상기 특정 타겟 단말의 실제 포트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실제 포트 정보를 이용하여 접속이 가능한 경우 실제 포트 정보를 상기 뷰어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실제 포트 정보로 접속이 불가능한 경우 이용 가능한 가상 포트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뷰어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가상 포트 정보와 실제 포트 정보를 매핑하여 저장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접속 관리모듈은 상기 뷰어 단말로부터 특정 타겟 단말의 실제 포트 정보로 접속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뷰어 단말과 상기 특정 타겟 단말을 연결시키고, 상기 가상 포트 정보로 접속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가상 포트 정보에 매핑된 실제 포트 정보로 상기 뷰어 단말과 특정 타겟 단말은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유기를 이용한 스마트 네트워킹 시스템은 외부에 있는 뷰어 단말과 원격의 공유기에 맞물린 타겟 단말 사이에서 상기 공유기가 자동으로 포트 연결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외부 포트의 사용 여부에 상관없이 원격에서 상기 공유기에 맞물린 타겟 단말과의 자유로운 접속이 가능한 탁월한 효과가 발생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매칭 네트워킹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상세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매칭 네트워킹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매칭 네트워킹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시스템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상세 블럭도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매칭 네트워킹 시스템은 뷰어 단말(40), 타겟 단말(10), 공유기(20), 관리 서버(30), 뷰어단말(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타겟 단말(10)은 클라이언트가 원격지의 뷰어 단말에서 접속을 원하는 대상으로 지정한 공유기에 맞물린 단말을 의미하고, 상기 뷰어 단말(40)은 상기 타겟 단말에 접속하기 위해 외부 인터넷을 통해 접속하는 원격지에 위치한 단말을 의미한다.
상기 타겟 단말(10)과 뷰어 단말(40)은 PC, 노트북 등의 컴퓨터 단말은 물론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모든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뷰어 단말(40)은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휴대용 스마트 폰, 이통사 기반 휴대 인터넷 단말 등인 경우 타겟 단말(10)에 원격 접속하여 타겟 단말(10)의 프로세스를 그대로 이용하여 마치 뷰어 단말(40)의 기능을 실행하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그 효용성이 매우 크다.
상기 관리 서버(30)는 상기 타겟 단말(10)과 뷰어 단말(40)에 각각 에이전트 프로그램과 뷰어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뷰어 단말(40)의 요청에 따라 타겟 단말(10)에 맞물린 공유기의 IP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관리 서버(30)는 상기 타겟 단말과 뷰어 단말에 에이전트 프로그램과 뷰어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프로그램 제공부(310)와 상기 뷰어 단말을 통해 타겟 단말의 접속을 요청하는 경우 상기 타겟 단말이 맞물린 공유기 접속 정보를 제공하는 공유기 접속정보 제공부(3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타겟 단말(10)에 설치되는 에이전트 프로그램은 공유기 중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매칭 네트워킹을 지원하는 공유기와 동기화하여 타겟 단말의 IP정보와 포트 정보를 공유하는 프로그램이다.
그리고 상기 뷰어 어플리케이션은 뷰어 단말이 지정한 타겟 단말에 접속하여 타겟 단말을 원격에서 제어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다.
결국, 상기 에이전트 프로그램과 뷰어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뷰어 단말(40)과 상기 타겟 단말(10) 사이에 포트가 연결되면 타겟 단말과 동기화되어 원격의 뷰어 단말(40)이 타겟 단말에 저장된 프로그램이나 파일을 이용할 수 있는 연결 프로그램이다.
상기와 같이 뷰어 단말의 뷰어 어플리케이션과 타겟 단말의 에이전트 프로그램을 통해 뷰어 단말이 타겟 단말의 각종 기능(예를 들어, 타겟 단말에 저장된 동영상 실행)을 원격 제어하기 위해서는 뷰어 단말과 타겟 단말 사이의 연결이 필요하고, 상기와 같은 뷰어 단말과 타겟 단말의 연결 제어를 공유기(20)가 담당한다.
이를 위해, 상기 공유기(20)는 뷰어 단말과 타겟 단말 사이의 포트 연결을 제어하는 포트 매칭부(2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포트 매칭부(210)는 외부의 뷰어 단말과 공유기 사이의 포트 연결과 공유기와 타겟 단말 사이의 포트 포워딩 연결을 자동 제어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포트 매칭부(210)는 외부 인터넷을 통한 뷰어 단말이 공유기에 맞물린 특정 타겟 단말로 접속을 요청할 경우 뷰어 단말에 접속가능한 포트 정보를 제공하는 포트정보 추출모듈(211)과 상기 제공된 포트 정보로 뷰어 단말과 특정 타겟 단말과의 접속을 연결시키는 접속 관리모듈(21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연결 방법은 후술할 스마트 매칭 네트워킹 방법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매칭 네트워킹 방법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매칭 네트워킹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먼저 타겟 단말에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인 에이전트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접속 정보를 획득한다.(S110)
보다 구체적으로, 설정 어플리케이션(110)이 설치되어 활성화되면 타겟 단말이 물려있는 공유기에 대한 공유기 IP 정보를 추출하고, 타겟 단말의 IP 주소, MAC 어드레스 정보를 추출하여 접속 정보를 획득한다. 상기 에이전트 프로그램은 공유기 IP 정보를 클라이언트가 직접 입력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지만, 설정의 편의를 위해 공유기에 저장된 IP정보를 자동으로 추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접속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에이전트 프로그램은 관리 서버에 접속하고, 클라이언트의 식별정보 설정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클라이언트의 식별정보를 설정하고, 상기 획득된 접속정보를 관리 서버로 전송한다.(S120)
이어서, 관리 서버의 공유기 접속정보 제공부는 하기의 표 1과 같이 상기 접속정보를 식별정보에 매핑한 접속정보 테이블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등록한다.(S130)
식별정보 공유기
접속정보
타겟단말
접속정보
ID 패스워드 공유기 IP 타겟단말 IP MAC 어드레스
ABC **** 211.111.XXX.XXX 192.168.XXX.XXX xx-xx-xx-xx-xx-xx
이를 통해, 원격에서 클라이언트의 식별정보(ID, 패스워드)만을 입력하면 타겟 단말의 접속정보 및 공유기 접속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만일, 이후에 공유기 또는 타겟 단말의 접속 정보, 예를 들어 IP 주소가 변경된 경우 변경된 정보가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되어 접속 정보가 갱신될 수 있다.
이어서, 클라이언트가 타겟 단말의 원격 접속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뷰어 어플리케이션을 뷰어 단말(40)에 설치한다.
먼저 뷰어 단말이 뷰어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고, 뷰어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관리 서버에 로그인(클라이언트 식별정보 입력)하고 타겟 단말이 물려있는 공유기 접속정보를 요청한다.(S140)
상기와 같이 타겟 단말(10)에 대한 접속이 요청되면, 공유기 접속 정보 제공부(320)는 상기 타겟 단말이 물려있는 공유기(20)의 접속 정보를 접속정보 테이블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뷰어 단말(40)로 전송한다.(S150)
상기 뷰어 단말의 뷰어 어플리케이션은 전송된 공유기의 접속 정보를 통해 공유기 IP로 지정한 타겟 단말로 접속하기 위한 포트 정보를 요청한다.(S160)
공유기의 포트 매칭부(210)는 상기 뷰어 단말의 요청에 따라 공유기에 맞물린 타겟 단말의 포트 접속 상태를 분석하여 자동으로 포트 매칭을 수행하여 추출된 포트 정보를 상기 뷰어 단말로 전송한다.(S170)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살펴보면, 공유기의 IP 정보가 "111.111.XXX. XXX"이고, 타겟 단말의 접속정보(IP 정보는 192.168.XXX.XXX, MAC 어드레스는 XX-XX-XX-XX-XX-XX)인 경우라 가정하고 살펴보기로 한다.
뷰어 단말이 공유기의 IP 정보로 상기 타겟 단말의 접속정보를 전송하면서 접속을 요청하면, 포트 매칭부의 포트정보 추출모듈(211)은 상기 타겟 단말의 포트 정보를 분석하여 포트정보를 추출한다.(S180)
현재, 상기 타겟 단말의 포트 정보가 "1000"인 경우 포트정보 추출모듈은 상기 타겟 단말의 포트 정보 "1000"를 뷰어 단말로 제공할 수 있으나, 현재 포트 정보"1000"가 공유기 내부에서 사용 중인 경우에는 포트 정보 "1000"을 뷰어 단말에 제공한다 하더라도 타겟 단말과 접속할 수가 없다.
왜냐하면, 공유기와 이에 맞물린 타겟 단말 사이의 내부 네트워크에서는 동일한 포트가 공유될 수 있지만, 상기 공유기와 외부 인터넷 사이에서는 동일한 포트 공유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접속 자체가 불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포트정보 추출모듈(211)은 상기 타겟 단말과 연결가능한 포트 정보 "1000"이 아닌 사용한 가상 포트 정보, 예를 들어 "1001"를 추출하여 상기 뷰어 단말에 전송한다.(S190)
이 때, 상기 실제 포트 정보("1000")와 제공된 가상 포트 정보("1001")를 포트 테이블에 매핑하여 저장 관리한다.
그러면, 뷰어 단말(40)은 상기 가상 포트 정보 "1001"로 타겟 단말과의 접속을 요청하고(S200), 포트 매칭부의 접속 관리모듈(212)은 상기 포트 테이블을 검색하여 상기 가상 포트정보("1001")과 매핑된 실제 포트 정보("1000")를 추출하여 상기 실제 포트 정보("1000")로 상기 뷰어 단말과 타겟 단말이 접속되도록 연결한다.(S210)
따라서, 뷰어 단말이 타겟 단말에 원격으로 접속되고, 원하는 기능이나 프로세스를 자유롭게 실행시킬 수 있다.
특히, 타겟 단말(10)의 에이전트 프로그램은 뷰어 단말(40)이 타겟 단말에 저장된 동영상 컨텐츠를 선택할 경우 상기 동영상 컨텐츠를 스트리밍 전송하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으므로, 뷰어 단말에서는 마치 자신의 단말에서 동영상을 실행하는 것과 동일하게 동영상이 실행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타겟 단말 20 : 공유기
30 : 관리 서버 40 : 뷰어 단말

Claims (7)

  1. 외부 인터넷을 통한 원격지의 뷰어 단말의 특정 타겟 단말로의 접속 요청에 따라 상기 특정 타겟 단말이 물려있는 공유기 접속 정보를 상기 뷰어 단말로 제공하는 관리 서버와;
    상기 공유기 접속 정보로 접속한 뷰어 단말에 포트 정보를 매칭하여 제공하고, 상기 포트 정보를 통해 뷰어 단말과 타겟 단말의 접속을 제어하는 공유기를 포함하며,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뷰어 단말에 뷰어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고, 상기 타겟 단말에 에이전트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프로그램 제공부와;
    상기 뷰어 단말로부터 특정 타겟 단말에 대한 접속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타겟 단말이 맞물려 있는 공유기 접속 정보를 추출하여 제공하는 공유기 접속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유기를 이용한 스마트 매칭 네트워킹 시스템.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기 접속 정보 제공부는
    클라이언트의 식별정보에 매핑된 타겟 단말의 접속정보(타겟 단말 IP, 타겟 단말 MAC 어드레스 포함)와 상기 타겟 단말이 물려있는 공유기 접속 정보(공유기 IP 정보 포함)를 저장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유기를 이용한 스마트 매칭 네트워킹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기는
    외부 인터넷을 통한 원격지의 뷰어 단말로부터 특정 타겟 단말에 대한 포트 정보 요청이 있는 경우 공유기와 물려있는 특정 타겟 단말과 접속 가능한 포트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뷰어 단말로 제공하여 뷰어 단말과 타겟 단말의 연결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포트 매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유기를 이용한 스마트 매칭 네트워킹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 매칭부는
    뷰어 단말의 요청에 따라 포트 정보를 추출하여 제공하는 포트정보 추출 모듈과;
    상기 뷰어 단말이 상기 포트 정보 추출 모듈로부터 제공된 포트 정보 특정 타겟 단말로 접속을 요청하는 경우 상기 뷰어 단말과 타겟 단말을 연결하는 접속 관리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유기를 이용한 스마트 매칭 네트워킹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정보 추출 모듈은
    뷰어 단말이 특정 타겟 단말의 접속 정보를 전송하면서 포트 정보를 요청하면, 상기 특정 타겟 단말의 실제 포트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실제 포트 정보를 이용하여 접속이 가능한 경우 실제 포트 정보를 상기 뷰어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실제 포트 정보로 접속이 불가능한 경우 이용 가능한 가상 포트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뷰어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가상 포트 정보와 실제 포트 정보를 매핑하여 저장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유기를 이용한 스마트 매칭 네트워킹 시스템.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관리모듈은
    상기 뷰어 단말로부터 특정 타겟 단말의 실제 포트 정보로 접속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뷰어 단말과 상기 특정 타겟 단말을 연결시키고;
    상기 가상 포트 정보로 접속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가상 포트 정보에 매핑된 실제 포트 정보로 상기 뷰어 단말과 특정 타겟 단말은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유기를 이용한 스마트 매칭 네트워킹 시스템.
KR1020110058906A 2011-03-23 2011-06-17 공유기를 이용한 스마트 매칭 네트워킹 시스템 KR1012585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1/004537 WO2012128423A1 (ko) 2011-03-23 2011-06-22 공유기를 이용한 스마트 매칭 네트워킹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5597 2011-03-23
KR20110025597 2011-03-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8889A KR20120108889A (ko) 2012-10-05
KR101258572B1 true KR101258572B1 (ko) 2013-05-02

Family

ID=47280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8906A KR101258572B1 (ko) 2011-03-23 2011-06-17 공유기를 이용한 스마트 매칭 네트워킹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857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7823B1 (ko) * 2004-05-14 2004-11-18 넷코덱(주) 네트워크 서버 프로그램이 내장된 장치를 위한 가상 ip지원 방법
JP2005073268A (ja) * 2003-08-27 2005-03-17 Thomson Licensing Sa 異種ネットワークに接続された装置間の制御方法及びかかる方法を実施する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73268A (ja) * 2003-08-27 2005-03-17 Thomson Licensing Sa 異種ネットワークに接続された装置間の制御方法及びかかる方法を実施する装置
KR100457823B1 (ko) * 2004-05-14 2004-11-18 넷코덱(주) 네트워크 서버 프로그램이 내장된 장치를 위한 가상 ip지원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8889A (ko) 2012-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2163B1 (ko) 원격 전원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20170134995A1 (en) Smart router
CN105592364B (zh) 跨终端的截屏图片获取方法和装置
US10334003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achieving cloud streaming medium file sharing based on DLNA
WO2017049797A1 (zh) 数据通信系统、方法及装置
US9572012B2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managing counterpart terminal information and recording medium
WO2016101545A1 (zh) 设备管理方法、装置及系统
KR101779917B1 (ko) 미디어 리소스 피드백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EP4024759A1 (en) Cross-network wake-up method and related device
KR101903989B1 (ko) 범용 플러그 앤드 플레이(upnp)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기능을 서비스 네트워크 엔티티와 공유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US20170041469A1 (en) Management system, computer program product, and management method
US10469573B2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managing invitations for multi-device participation in an application program
US10305905B2 (en) Access control device, communication system, progra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ccess
KR101258572B1 (ko) 공유기를 이용한 스마트 매칭 네트워킹 시스템
US9699018B2 (en) Communication terminal, communication management system, communication management method,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communication management program
US9648054B2 (en) Method of registering terminals in a transmission system
US9432420B2 (en) Communication system,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storing communication program and communication device
US20150094049A1 (en) Transmission management system, management method, and recording medium
WO2016112613A1 (zh) 接入控制方法、装置及宽带远端接入服务器bras
JP2009260913A (ja) 遠隔制御装置、遠隔制御プログラム、遠隔制御方法、及び、遠隔制御システム
KR101735714B1 (ko) 통합 원격제어 프로그램을 가지는 원격제어 장치 및 그 원격제어 방법
KR101117316B1 (ko) 댁 내 범용 플러그 앤 플레이 디바이스에 대한 원격 접속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원격 접속 서비스 프로파일 설정 방법 및 사용자 인증 방법
US9300915B2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managing data, and recording medium
WO2012128423A1 (ko) 공유기를 이용한 스마트 매칭 네트워킹 시스템
KR20130069174A (ko) 클라우드 서버 및 가상화 디바이스 api 제공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