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8477B1 - 세탁장치의 컨트롤 패널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세탁장치의 컨트롤 패널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8477B1
KR101258477B1 KR1020050128727A KR20050128727A KR101258477B1 KR 101258477 B1 KR101258477 B1 KR 101258477B1 KR 1020050128727 A KR1020050128727 A KR 1020050128727A KR 20050128727 A KR20050128727 A KR 20050128727A KR 101258477 B1 KR101258477 B1 KR 1012584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panel
button
panel assembly
operating conditions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87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67433A (ko
Inventor
김성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287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8477B1/ko
Publication of KR200700674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74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84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84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3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50Control of washer-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52Control of the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04Signal transfer or data transmission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8Indications or alarms to the control system or to the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컨트롤 패널에 설치된 복수개의 버튼 중 임의의 버튼을 서로 바꾸어 설치하더라도 상기 버튼의 특정된 운전 조건은 바뀌지 않도록 한 컨트롤 패널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세탁장치의 전면에 설치되는 컨트롤 패널; 상기 컨트롤 패널에 복수개로 설치되며, 후방에는 운전조건에 따라 각각 서로 다른 특정한 위치에 가압부가 형성된 버튼; 그리고, 각종 운전 조건이 입력되며, 상기 임의의 버튼이 눌림에 따라 상기 가압부에 접촉되되, 상기 가압부의 특정한 위치에 따라 각각 다른 운전 조건을 감지하는 감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세탁장치의 컨트롤 패널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Figure R1020050128727
건조기,컨트롤 패널,버튼,가압부,감지부,키,키셋트

Description

세탁장치의 컨트롤 패널 어셈블리{control panel assemly of laundry device}
도 1은 종래의 건조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 패널 어셈블리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 패널 어셈블리 중 버튼이 배열되는 상태를 버튼의 배면에서 나타낸 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 패널 어셈블리 중 버튼의 위치가 서로 바뀌기 전,후를 나타낸 개략도.
*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
210 : 컨트롤 패널 211 : 설치공
212 : 표시창 220 : 버튼
221 : 가압부 222 : 표시부
230 : 기판 가이드 231 : LED 램프
240 : 감지부 241 : 키
242 : 키셋트
본 발명은 세탁장치의 컨트롤 패널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컨트롤 패널에 자유롭게 배치시킬 수 있도록 한 새로운 구조의 버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장치는 세탁행정 및 탈수행정을 수행하는 세탁기와 건조행정을 수행하는 건조기 및 세탁행정과 건조행정을 동시에 수행하는 건조겸용 세탁기등을 총칭한다.
이 중, 건조기는 가열수단에 의해 건조공기를 가열한 후, 상기 건조공기를 드럼내로 송풍시켜 건조 대상물의 수분을 증발시키도록 구성된 기기이다.
통상, 세탁이 완료된 세탁물은 건조대로 운반되어 자연건조를 하게 되는데, 장마철이나 기상이 불규칙한 날의 경우에는 상기 세탁물의 자연건조가 지연되어 바쁜 일상의 현대인들이 많은 불편함을 겪게 된다.
이에따라, 기상에 관계없이 세탁물의 건조가 가능한 기기가 요구되었으며, 이로인해 개발된 기기가 건조기이다.
상기 건조기는 바쁜 일상의 현대인들에게 있어서 그 수요가 급증하는 추세이다.
첨부된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건조기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 케이스(10)와, 본체 케이스(10)의 전면 상부에 배치되면서 건조기의 운전을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된 컨트롤 패널(20)로 이루어진다.
본체 케이스(10)는 건조기의 상면을 구성하는 탑플레이트(11)와, 양측면을 구성하는 한 쌍의 사이드 캐비닛(12)과, 후면을 구성하는 백커버(미도시)와, 전면의 일부를 구성하는 프론트 캐비닛(13)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컨트롤 패널(20)은 건조기의 각종 조작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며, 프론트 캐비닛(13)의 상측에 설치된다.
또한, 컨트롤 패널(20)의 내측에는 건조기의 모든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가 설치된다.
또한, 컨트롤 패널(20)의 외측에는 건조기의 각종 조작을 위한 복수개의 버튼(21)과, 건조기의 모든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창(22)이 설치된다.
상기 버튼(21)은 특정된 운전 조건을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각각 특정된 운전 조건을 제어부에 전달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건조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컨트롤 패널(20)에 설치된 버튼(21)은 사용자의 조작 편의를 위해 상기 버튼(21)을 컨트롤 패널(20)에서 재배치하고자 하는 것이 요구되었다.
예컨대, 왼손잡이 사용자를 위한 버튼(21)의 재배치 혹은, 자주 사용하는 버튼(21)만을 한군데에 모아놓기 위한 버튼(21)의 재배치등이 요구되었으나, 상기 버튼(21)은 컨트롤 패널(20)에 임의로 재배치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21)의 표면에 운전조건이 표시된 경우에는 상기 버튼(21)을 임의로 바꾸어 설치하게 되면, 각각의 버튼(21)이 원래 수행하는 운전조건도 바뀌므로 사용자가 상기 버튼(21)을 조작하는 것이 혼란스럽게 되는 것 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각각 버튼의 위치가 임의적으로 바뀌어 어떠한 위치에 설치되더라도 상기 버튼의 특정된 운전 조건은 바뀌지 않도록 하고자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세탁장치의 전면에 설치되는 컨트롤 패널; 상기 컨트롤 패널에 복수개로 설치되며, 후방에는 운전조건에 따라 각각 서로 다른 특정한 위치에 가압부가 형성된 버튼; 그리고, 각종 운전 조건이 입력되며, 상기 임의의 버튼이 눌림에 따라 상기 가압부에 접촉되되, 상기 가압부의 특정한 위치에 따라 각각 다른 운전 조건을 감지하는 감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세탁장치의 컨트롤 패널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상기 감지부는 서로 다른 복수개의 운전 조건이 각각 입력된 복수개의 키로 이루어진 하나의 키셋트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상기 키셋트는 복수개로 구성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버튼은 개별적으로 상기 컨트롤 패널의 전면에 선택적으로 탈착 가능하게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버튼에 의해서 선택되는 운전 조건을 빛이 투과됨으로써 표시하는 투명 재질의 표시부가 버튼 각각의 전면 모서리 부위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표시부는 발광되는 빛의 산란을 최소화시키면서 버튼의 외부로 빛을 발산시킬 수 있도록 상기 버튼의 전면에서 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버튼과 표시부는 이중사출을 통하여 일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세탁장치의 컨트롤 패널 어셈블리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 패널 어셈블리가 설치되는 세탁장치는 건조기를 그 예로 하며, 이 건조기는 컨트롤 패널 어셈블리를 제외하고 종래의 건조기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트롤 패널 어셈블리(200)는 컨트롤 패널(210)과, 버튼(220)과, 기판가이드(230)와, 감지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컨트롤 패널(210)은 컨트롤 패널 어셈블리(200)의 외관을 형성하며 프론트 캐비닛(13:도 1)의 상측에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컨트롤 패널(210)의 전면에는 버튼(220)이 설치되기 위한 복수개의 설치공(211)이 형성되며, 건조기의 각종 정보를 디스플레이해주기 위한 투명 재질의 표시창(212)이 설치된다.
그리고, 버튼(220)은 건조기의 제어부(미도시)에 운전 조건을 입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버튼(220)은 컨트롤 패널(210)의 설치공(211)에 각각 대응되도록 복수개로 구성되며, 상기 설치공(211)이 형성된 부위로부터 선택적으로 착탈 가능하도 록 개별체로 구성된다.
이때, 도시는 하지 않았지만 상기 버튼(220)의 일부는 탄성력을 가지는 구조를 가지면서 컨트롤 패널(210)의 내측면의 설치공(211)부위에 탄성지지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컨트롤 패널(210)에 설치된 버튼(220)의 형상은 모두 동일하게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는, 버튼(220)이 어떠한 위치에라도 상호간에 바뀌어 설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버튼(220)의 후방에는 운전 조건에 따라 각각 서로 다른 특정한 위치에 가압부(221)가 형성된다.
이때, 가압부(221)는 버튼(220)의 후방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감지부(240)에 가압부(221)가 용이하게 접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가압부(221)는 각각의 버튼(220) 후방에 하나씩 규칙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사용자가 바뀐 버튼(220)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도 3을 참조하여 복수개의 버튼(220)이 설치된 컨트롤 패널(220)을 후면에서 봤을때, 상기 가압부(221)가 버튼의 후방에 규칙적으로 설치되게 함으로써, 버튼(220)의 원래 위치를 용이하게 알 수 있도록 하고자 한 것이다.
또한, 버튼(220) 각각의 전면 모서리 부위에는 투명 재질의 표시부(222)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버튼(220)에 의해 선택되는 운전 조건을 상기 표시부(222)를 통해 빛이 투과됨으로써, 사용자가 운전 조건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표시부(222)는 발광되는 빛의 산란을 최소화시키면서 버튼(220)의 외부로 빛을 발산시킬 수 있도록 상기 버튼(220)의 전면에서 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버튼(220)과 표시부(222)는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이중사출을 통하여 일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기판 가이드(230)에는 선택된 운전 조건을 표시하기 위해 빛을 발광시키는 복수개의 LED 램프(231)가 설치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LED 램프(231)와 근접한 면에는 감지부(240)가 설치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LED램프(231)는 상기 감지부(240)가 상기 가압부(221)에 의해 운전 조건을 감지하게되면 빛이 발광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기판 가이드(230)는 컨트롤 패널 어셈블리(200)의 맨 후방에 장착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감지부(240)는 상기 버튼(220)에 의해 선택된 운전 조건을 감지하는 역할을 하며 기판 가이드(230)에 설치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감지부(240)는 서로 다른 운전 조건이 각각 입력된 복수개의 키(241)로 구성되며, 상기 복수개의 키(241)는 하나의 키셋트(242)로 구성된다.
이때, 키(241) 는 상기 가압부(221)를 향해 돌출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키(241)와 가압부(221)의 접촉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키(241)는 버튼(220)의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된 가압부(221)에 정확히 대응될 수 있도록 규칙적인 배열에 의해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키셋트(242)는 각각의 버튼(220)에 대응되도록 복수개로 이루어진다.
또한, 감지부(240)는 상기 버튼(220)에 형성된 가압부(221)의 특정된 위치에 따라 각각 다른 운전 조건을 감지하도록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 패널 어셈블리의 결합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컨트롤 패널(210)에 형성된 복수개의 설치공(211)에 각각의 버튼(220)전면이 노출되면서 설치공(211)부위에 착탈가능하도록 설치시킨다.
이때, 버튼(220)은 설치공(211)부위에 결합되며, 탄성력을 가지면서 컨트롤 패널(210)의 전,후로 이동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다음으로, 가이드 기판(230)에는 LED램프(231)를 버튼(220)에 형성된 표시부(222)에 대응되도록 설치시킨다.
또한, 상기 기판 가이드(230) 중 LED램프(231)가 설치된 부위에는 키셋트 (242)를 상기 버튼(220)에 형성된 가압부(221)에 대응되도록 각각 설치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기판가이드(230)를 컨트롤 패널(210)의 후방으로 결합시킨다.
이때, 상기 각각의 버튼(220)에 설치된 각각의 가압부(221)는 키셋트(242)의 키(241)와 대응되도록 설치시킨다.
또한, 각각의 버튼(220)에 형성된 각각의 표시부(222)는 상기 LED램프(231)의 선단에 근접하게 설치시킨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 패널 어셈블리의 결합이 완료된다.
이하, 상기한 컨트롤 패널 어셈블리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사용자가 운전 조건을 입력하기 위해 선택한 버튼(220)을 누르게 되면, 버튼(220)은 컨트롤 패널(210)의 후방측으로 이동된다.
이때, 버튼(220)에 설치된 가압부(221)는 기판 가이드(230)에 설치된 어느 한 키(241)에 접촉하게 된다.
이때, 가압부(221)와 접촉된 키(241)는 상기 가압부(221)가 설치된 위치를 파악하여 운전 조건을 감지하게 되며, LED램프(231)에서는 빛이 발광된다.
발광된 빛은 투명재질의 표시부(222)를 통해 컨트롤 패널(210)의 외부로 발산되면서 사용자는 선택한 운전 조건을 인식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 패널 어셈블리(200)는 버튼(220)의 위치를 상호간에 임의로 바꾸더라도 상기 버튼(220)의 특정된 운전 조건은 바뀌지 않게 된다.
이를, 첨부된 도 4a 및 4b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4a 및 도 4b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버튼(220)과 키셋트(242)의 구조를 평면에서 간략하게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된 운전 조건이 각각 입력된 키셋트(242)가 복수개 구비된다.
그리고, 버튼(220)은 상기 복수개의 키셋트(242)에 대응된다.
이때, 각각의 버튼에 설치된 가압부(221)는 상기 키셋트(242) 중 서로 다른 키(241)에 각각 대응된다.
이는, 복수개의 키셋트(242)는 상기 키셋트(242)를 구성하는 키(241)의 배열이 모두 동일하게 이루어지고 반면에, 키셋트(242)에 설치된 키(241)와 접촉될 수 있도록 각각의 버튼(220)에 설치된 가압부(221)는 서로 다른 특정된 위치에 설치되기 때문이다.
즉,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220)의 위치가 바뀌어 처음에 대응된 키셋트(242)와 다른 키셋트에 대응되더라도, 상기 버튼(220)의 가압부(221)는 처음에 대응된 키(241)의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설치되면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 키와 대응되므로 버튼(220)의 특정된 운전 조건은 바뀌지 않게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건조기의 조작 편의를 위해 컨트롤 패널(210)상에 버튼(220)을 임의로 재배치하더라도 상기 버튼(220)에 특정된 운전 조건의 바뀜이 없이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세탁장치의 컨트롤 패널 어셈블리에 의하면, 컨트롤 패널에 설치된 각각의 버튼이 사용자에 의해 임의로 재배치 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는 버튼을 사용자의 취향에 맞게 재배치하여 버튼 조작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게 되었다.

Claims (7)

  1. 세탁장치의 전면에 설치되는 컨트롤 패널;
    상기 컨트롤 패널에 복수개로 설치되며, 후방에는 운전조건에 따라 각각 서로 다른 특정한 위치에 가압부가 형성된 버튼; 그리고,
    각종 운전 조건이 입력되며, 상기 임의의 버튼이 눌림에 따라 상기 가압부에 접촉되되, 상기 가압부의 특정한 위치에 따라 각각 다른 운전 조건을 감지하는 감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세탁장치의 컨트롤 패널 어셈블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서로 다른 운전 조건이 각각 입력되며, 상기 가압부와 접촉되는 복수개의 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의 컨트롤 패널 어셈블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키는 하나의 키셋트를 구성하며, 상기 키셋트는 버튼과 대응되도록 복수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의 컨트롤 패널 어셈블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은 개별적으로 상기 컨트롤 패널의 전면에 선택적으로 탈착 가능하 게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의 컨트롤 패널 어셈블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에 의해서 선택되는 운전 조건을 빛이 투과됨으로써 표시하는 투명 재질의 표시부가 버튼 각각의 전면 모서리 부위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의 컨트롤 패널 어셈블리.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발광되는 빛의 산란을 최소화시키면서 버튼의 외부로 빛을 발산시킬 수 있도록 상기 버튼의 전면에서 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의 컨트롤 패널 어셈블리.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과 표시부는 이중사출을 통하여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의 컨트롤 패널 어셈블리.
KR1020050128727A 2005-12-23 2005-12-23 세탁장치의 컨트롤 패널 어셈블리 KR1012584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8727A KR101258477B1 (ko) 2005-12-23 2005-12-23 세탁장치의 컨트롤 패널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8727A KR101258477B1 (ko) 2005-12-23 2005-12-23 세탁장치의 컨트롤 패널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7433A KR20070067433A (ko) 2007-06-28
KR101258477B1 true KR101258477B1 (ko) 2013-04-26

Family

ID=38366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8727A KR101258477B1 (ko) 2005-12-23 2005-12-23 세탁장치의 컨트롤 패널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847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21562A1 (en) 2000-08-11 2002-02-21 Team Light-emitting key with multiple independently-illuminated messages, in particular for an aviation equipment panel, and a strip constituted by such keys
KR20050037059A (ko) * 2003-10-17 2005-04-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컨트롤패널 버튼 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21562A1 (en) 2000-08-11 2002-02-21 Team Light-emitting key with multiple independently-illuminated messages, in particular for an aviation equipment panel, and a strip constituted by such keys
KR20050037059A (ko) * 2003-10-17 2005-04-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컨트롤패널 버튼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7433A (ko) 2007-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11050B1 (en) Control panel assembly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US8810423B2 (en) Integrated operation display device
US7244898B2 (en) Button assembly for home appliance
KR101563484B1 (ko) 스위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CN102042655B (zh) 一种空调器触摸显示屏
US8616026B2 (en) Control panel assembly for laundry device and laundr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20090139847A1 (en) Control panel assembly for laundry device
EP1977031B1 (en) Laundry device
KR101258477B1 (ko) 세탁장치의 컨트롤 패널 어셈블리
KR20070071021A (ko) 세탁장치의 컨트롤 패널 어셈블리
KR20070067465A (ko) 세탁 장치
TW201200667A (en) Laundry machine and drying machine for laundry purposes
KR101198094B1 (ko) 스위치의 이미지 표시 유니트 및 이를 구비한 스마트 스위치
KR20070067367A (ko) 세탁장치의 컨트롤 패널 어셈블리
KR20070067432A (ko) 세탁장치의 컨트롤 패널 어셈블리
JP4363925B2 (ja) 洗濯機の表示装置
KR101276813B1 (ko) 세탁장치의 컨트롤 패널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세탁장치
KR101276812B1 (ko) 세탁장치의 컨트롤 패널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세탁장치
KR101341455B1 (ko) 세탁장치의 컨트롤 패널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세탁장치
KR101199377B1 (ko) 세탁장치의 컨트롤 패널 어셈블리
CN207051684U (zh) 触屏式控制器
KR20090092551A (ko) 버튼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세탁장치
KR20070071022A (ko) 세탁장치의 컨트롤 패널 어셈블리
WO2002052594A1 (fr) Appareil electronique
JP4575345B2 (ja) 洗濯機の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