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8038B1 - The system which connects a electrical apparatus for a ship - Google Patents

The system which connects a electrical apparatus for a ship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8038B1
KR101258038B1 KR1020120051160A KR20120051160A KR101258038B1 KR 101258038 B1 KR101258038 B1 KR 101258038B1 KR 1020120051160 A KR1020120051160 A KR 1020120051160A KR 20120051160 A KR20120051160 A KR 20120051160A KR 101258038 B1 KR101258038 B1 KR 1012580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al connection
load
output load
main output
connection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116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고영우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511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803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80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803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007Arrangements for selectively connecting the load or loads to one or several among a plurality of power lines or power sou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3/00Protective switches, e.g. circuit-breaking switches, or protective relays operated by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s otherwise than solely by excess current
    • H01H83/20Protective switches, e.g. circuit-breaking switches, or protective relays operated by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s otherwise than solely by excess current operated by excess current as well as by some other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
    • H01H83/22Protective switches, e.g. circuit-breaking switches, or protective relays operated by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s otherwise than solely by excess current operated by excess current as well as by some other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 the other condition being imbalance of two or more currents or voltag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003Load forecast, e.g. methods or systems for forecasting future load deman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2203/20Simulating, e g planning, reliability check, modelling or computer assisted design [C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mergency Protection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PURPOSE: A system for connecting an electrical apparatus for a ship is provided to facilitate a wiring process by including a main output load and a spare output load. CONSTITUTION: An input load(25) is installed on a control panel of an input electric device. A main output load(26) is installed on a control panel of an output electric device. A spare output unit(27)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in output load. An electrical connection cable electrically connects the input load to the main output load. A current is supplied from the input load to the main output load through the electrical connection cable. [Reference numerals] (25) Input load; (26) Main output load; (27) Spare output unit; (28) Spare breaker; (29) Main breaker;

Description

선박용 전기기기 전기연결 시스템{The system which connects a electrical apparatus for a ship}The system which connects a electrical apparatus for a ship}

본 발명은 선박에 설치된 각종 선박용 전기기기(예컨대, 발전기, 변압기, 배전반, 스타터, 로컬 그룹 스타터, 모터 등)를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입력부하 및 출력부하를 연결하는 전기연결 케이블이 전기사고 예방을 위한 좀더 객관적인 기준 하에서 자신의 사이즈를 실질적으로 축소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각 선박 관련주체 측에서 전기연결 케이블의 과부하에 기인한 별도의 피해 없이도 이 전기연결 케이블의 사이즈 증가에 따른 각종 문제점(예컨대, 선박의 전체적인 제작비용 및 이에 따른 부대비용이 크게 증가하는 문제점, 배선작업에 큰 어려움이 따르는 문제점, 선체 내부의 여유 공간이 대폭 줄어드는 문제점 등)을 효과적으로 회피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할 수 있는 선박용 전기기기 전기연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electrically connecting various marine electrical equipment (for example, a generator, a transformer, a switchboard, a starter, a local group starter, a motor, etc.) installed in a vessel, and more specifically, to connect an input load and an output load. By supporting the electrical connection cable to reduce its size substantially under more objective criteria to prevent electrical accidents, it is possible to ensure that the electrical connection cable is not damaged due to the overload of the Various problems due to the increase in size (e.g., the overall manufacturing cost of the ship and the accompanying costs greatly increase, the problem of great difficulty in wiring work, the problem of greatly reducing the free space inside the hull, etc.) can be effectively avoided. Electrical connection for ship electrical equipment which can be guided It relates to the system.

통상, 선박 내에는 각종 선박용 전기기기(예컨대, 발전기, 변압기, 배전반, 스타터, 로컬 그룹 스타터, 모터 등)가 설치되어 운영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러한 선박용 전자기기들은 케이블, 전력선 등과 같은 일련의 전기연결 매개체에 의해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되는 구조를 취하게 된다.In general, various vessel electrical equipment (eg, generators, transformers, switchboards, starters, local group starters, motors, etc.) are generally installed and operated in ships. It takes a structure that is electrically interconnected by a medium.

이러한 종래의 기술에 따른 선박용 전자기기들의 전기연결 구조는 예컨대, 국내공개특허 제10-2010-51157호(명칭: 선박 거주구의 전력공급장치), 국내공개특허 제10-2012-209호(명칭: 고전압 배전반이 분리 설치된 LNG FPSO 선박) 등에 좀더 상세하게 개시되어 있다.The electrical connection structure of the electronic devices for ships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for example,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0-51157 (name: power supply device of the ship residence),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2-209 (name: LNG FPSO vessels in which the high voltage switchboard is separately installed).

이러한 종래의 체제 하에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용 전자기기 전기연결 시스템(10)은 입력전기기기(1)(전류를 입력시키는 전기기기)의 제어패널(3)에 설치되는 입력부하(5)와, 출력전기기기(2)(입력전기기기 측으로부터 입력되는 전류를 수신하여 소비하는 전기기기)의 제어패널(4)에 설치되는 출력부하(6,7)와, 이 입력부하(5) 및 출력부하(6,7)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입력부하(5) 측으로부터 송출된 전류가 출력부하(6,7) 측으로 정상 공급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전기연결 케이블(C)이 체계적으로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된다. 이 경우, 출력부하(6,7)는 <메인 출력부하(6)> 및 <이 메인 출력부하(6)의 예비적 성격을 가지는 스페어 출력부하(7)>가 체계적으로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된다.Under such a conventional system, as shown in FIG. 1, the marine electronics electrical connection system 10 is provided with an input load installed in the control panel 3 of the input electric device 1 (electric device for inputting current) ( 5) and output loads 6 and 7 provided on the control panel 4 of the output electric equipment 2 (electric equipment that receives and consumes current input from the input electric equipment side), and the input load 5 ) And the output loads 6 and 7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an electric connection cable C for systematically supplying current output from the input load 5 side to the output load 6 and 7 side is systematically provided. A combined configuration is taken. In this case, the output loads 6 and 7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main output load 6> and <a spare output load 7 having a preliminary characteristic of the main output load 6> are systematically combined. do.

이때, 메인 출력부하(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메인 브레이커(9) 측에서는 메인 출력부하(6) 측으로 과도한 전류가 흐를 경우, 이를 차단시켜, 메인 출력부하(6)를 안정적으로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며, 스페어 출력부하(7)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스페어 브레이커(8) 역시, 스페어 출력부하(7) 측으로 과도한 전류가 흐를 경우, 이를 차단시켜, 스페이 출력부하(7)를 안정적으로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main breaker (9) side which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in output load (6) when the excessive current flows to the main output load (6), by blocking it, serves to protect the main output load (6) stably The spare breaker 8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pare output load 7 also serves to stably protect the spade output load 7 by blocking an excessive current flowing to the spare output load 7 side. Will be performed.

이러한 종래의 체제 하에서, 앞서 언급한 전기연결 케이블(C)의 사이즈를 어떠한 규모로 적절하게 조절할 것인가 하는 문제는 선박의 전체적인 품질을 결정짓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게 된다. Under such a conventional system, the problem of properly adjusting the size of the aforementioned electrical connection cable (C) becomes a very important variable in determining the overall quality of the ship.

이는 만약, 각 전기연결 케이블(C)의 사이즈(예컨대, 단 면적)가 필요이상으로 과도하게 커질 경우, 선박의 전체적인 제작비용 및 이에 따른 부대비용이 크게 증가할 뿐만 아니라, 배선작업에 큰 어려움이 따르고, 선체 내부의 여유 공간이 대폭 줄어드는 등의 심각한 문제점이 불가피하게 발생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if the size (eg, the area) of each electrical connection cable C becomes excessively larger than necessary, the overall manufacturing cost of the ship and the accompanying cost greatly increases, as well as a great difficulty in wiring work. This is because serious problems such as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free space inside the hull inevitably occur.

그러나, 상황이 이러함에도 불구하고, 종래 에서는 전기연결 케이블(C)의 사이즈와 관련한 별도의 명확하고 객관적인 기준 없이 단지 과부하에 따른 전기사고를 예방하여야 한다는 맹목적인 판단 하에 전기연결 케이블(C)의 사이즈(예컨대, 단 면적)를 과도한 값으로 크게 오버 사이징(Over sizing)하여 포설하는 오류를 무분별하게 범하고 있었기 때문에, 별도의 조치가 취해지지 않는 한, 각 선박 관련주체 측에서는 전기연결 케이블(C)의 사이즈 증가에 따른 상기의 각종 문제점(예컨대, 선박의 전체적인 제작비용 및 이에 따른 부대비용이 크게 증가하는 문제점, 배선작업에 큰 어려움이 따르는 문제점, 선체 내부의 여유 공간이 대폭 줄어드는 문제점 등)을 고스란히 감수할 수밖에 없었다.However, despite this situation, the size of the electrical connection cable (C) under the blind judgment that in the prior art only to prevent electrical accidents due to overload without a separate and objective reference to the size of the electrical connection cable (C) ( For example, since the oversizing of the short area) to an excessive value is indiscriminately committed, the size of the electrical connection cable C is not limited to each ship-related subject unless special measures are taken. The above-mentioned various problems (e.g., the overall manufacturing cost of the ship and the accompanying costs greatly increase, the problem of great difficulty in wiring work, the problem of greatly reducing the free space inside the hull), etc. There was no choice but to.

국내공개특허 제10-2010-51157호(명칭: 선박 거주구의 전력공급장치)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0-51157 (Name: power supply device of the ship's residence) 국내공개특허 제10-2012-209호(명칭: 고전압 배전반이 분리 설치된 LNG FPSO 선박)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2-209 (Name: LNG FPSO Vessel with Separated High Voltage Switchgear)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선박 내에 입력부하 측으로부터 송출된 전류를 메인 출력부하 측으로 공급시키는 전기연결 케이블을 설치하면서, 이 전기연결 케이블이 수학식 [

Figure 112012038501802-pat00001
](여기서, L은 상기 메인 출력부하의 전격전류의 합, M은 전기연결 케이블의 단 면적, Q는 상기 L의 1.4배 값)을 만족하는 단 면적을 가지도록 유도하거나, 수학식 [
Figure 112012038501802-pat00002
](여기서, R은 상기 메인 출력부하의 각 전격전류의 합 + 스페어 출력부하에 전기 연결된 각 스페어 브레이커의 암페어 세팅 값의 80%에 해당하는 값의 합, M은 상기 전기연결 케이블의 단 면적, T는 상기 R의 1.4배 값)을 만족하는 단 면적을 가지도록 유도하고, 이를 통해, 해당 전기연결 케이블이 전기사고 예방을 위한 객관적인 기준 하에서 자신의 사이즈를 실질적으로 축소 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각 선박 관련주체 측에서 전기연결 케이블의 과부하에 기인한 별도의 피해 없이도 이 전기연결 케이블의 사이즈 증가에 따른 각종 문제점(예컨대, 선박의 전체적인 제작비용 및 이에 따른 부대비용이 크게 증가하는 문제점, 배선작업에 큰 어려움이 따르는 문제점, 선체 내부의 여유 공간이 대폭 줄어드는 문제점 등)을 효과적으로 회피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데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stall an electrical connection cable for supplying the current output from the input load side to the main output load side in the ship, the electrical connection cable is expressed by the formula [
Figure 112012038501802-pat00001
Where L is the sum of the electric currents of the main output load, M is the short area of the electrical connection cable, and Q is 1.4 times the L value.
Figure 112012038501802-pat00002
(Where R is the sum of each electric current of the main output load + a value corresponding to 80% of the amp setting value of each spare breake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pare output load, M is the short area of the electrical connection cable, T is induced to have a short area that satisfies 1.4 times the value of R), thereby allowing the corresponding electrical connection cable to be substantially reduced in size under an objective criterion for preventing an accident. Various problems caused by the increase of the size of the electrical connection cable (e.g., the overall manufacturing cost of the ship and the accompanying cost greatly increase, without significant damage due to the overload of the electrical connection cable on the related subject, Guides you to effectively avoid difficulties such as difficulties and the drastic reduction of free space inside the hull. It is.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Other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선박에 설치된 선박용 전기기기를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하는 선박용 전기기기 전기연결 시스템에 있어서, 입력전기기기의 제어패널에 설치되는 입력부하와; 출력전기기기의 제어패널에 설치되는 메인 출력부하와; 상기 메인 출력부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스페어 출력부하와; 상기 입력부하 및 메인 출력부하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입력부하 측으로부터 송출된 전류를 상기 메인 출력부하 측으로 공급시키는 전기연결 케이블을 포함하며, 상기 전기연결 케이블은 수학식 [

Figure 112012038501802-pat00003
](여기서, L은 상기 메인 출력부하의 전격전류의 합, M은 전기연결 케이블의 단 면적, Q는 상기 L의 1.4배 값)을 만족하는 단 면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전기기기 전기연결 시스템을 개시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hip electrical device electrical connection system for electrically interconnecting a ship electrical device installed on a ship, the input load is installed on the control panel of the input electrical device; A main output load installed on the control panel of the output electrical device; A spare output loa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in output load; An electrical connection cable electrically connecting the input load and the main output load to supply the current output from the input load side to the main output load side, wherein the electrical connection cable is represented by Equation [
Figure 112012038501802-pat00003
(Where L is the sum of the electric currents of the main output load, M is the short area of the electrical connection cable, Q is a short area satisfying the electric power of L). Start the system.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는 선박에 설치된 선박용 전기기기를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하는 선박용 전기기기 전기연결 시스템에 있어서, 입력전기기기의 제어패널에 설치되는 입력부하와; 출력전기기기의 제어패널에 설치되는 메인 출력부하와; 상기 메인 출력부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스페어 출력부하와; 상기 입력부하 및 메인 출력부하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입력부하 측으로부터 송출된 전류를 상기 메인 출력부하 측으로 공급시키는 전기연결 케이블을 포함하며, 상기 전기연결 케이블은 수학식 [

Figure 112012038501802-pat00004
](여기서, R은 상기 메인 출력부하의 각 전격전류의 합 + 상기 스페어 출력부하에 전기 연결된 각 스페어 브레이커의 암페어 세팅 값의 80%에 해당하는 값의 합, M은 상기 전기연결 케이블의 단 면적, T는 상기 R의 1.4배 값)을 만족하는 단 면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전기기기 전기연결 시스템을 개시한다. In addition, in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rine electrical equipment electrical connection system for electrically interconnecting the marine electrical equipment installed on the vessel, the input load is installed on the control panel of the input electrical equipment; A main output load installed on the control panel of the output electrical device; A spare output loa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in output load; An electrical connection cable electrically connecting the input load and the main output load to supply the current output from the input load side to the main output load side, wherein the electrical connection cable is represented by Equation [
Figure 112012038501802-pat00004
(Where R is the sum of each electric current of the main output load + a value corresponding to 80% of the amperage setting value of each spare breake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pare output load, and M is the short area of the electrical connection cable) , T discloses a ship electrical equipment electrical connec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stage area that satisfies 1.4 times the value of R).

본 발명에서는 선박 내에 입력부하 측으로부터 송출된 전류를 메인 출력부하 측으로 공급시키는 전기연결 케이블을 설치하면서, 이 전기연결 케이블이 수학식 [

Figure 112012038501802-pat00005
](여기서, L은 상기 메인 출력부하의 전격전류의 합, M은 전기연결 케이블의 단 면적, Q는 상기 L의 1.4배 값)을 만족하는 단 면적을 가지도록 유도하거나, 수학식 [
Figure 112012038501802-pat00006
](여기서, R은 상기 메인 출력부하의 각 전격전류의 합 + 스페어 출력부하에 전기 연결된 각 스페어 브레이커의 암페어 세팅 값의 80%에 해당하는 값의 합, M은 상기 전기연결 케이블의 단 면적, T는 상기 R의 1.4배 값)을 만족하는 단 면적을 가지도록 유도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구현환경 하에서, 해당 전기연결 케이블은 전기사고의 위험성이 없는 명확하고 객관적인 기준 하에서 별다른 문제점 없이 자신의 사이즈를 실질적으로 축소 받을 수 있게 되며, 결국, 각 선박 관련주체 측에서는 전기연결 케이블의 과부하에 기인한 별도의 피해 없이도 이 전기연결 케이블의 사이즈 증가에 따른 각종 문제점(예컨대, 선박의 전체적인 제작비용 및 이에 따른 부대비용이 크게 증가하는 문제점, 배선작업에 큰 어려움이 따르는 문제점, 선체 내부의 여유 공간이 대폭 줄어드는 문제점 등)을 효과적으로 회피할 수 있게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ile installing the electrical connection cable for supplying the current output from the input load side to the main output load side in the ship, this electrical connection cable is expressed by the formula [
Figure 112012038501802-pat00005
Where L is the sum of the electric currents of the main output load, M is the short area of the electrical connection cable, and Q is 1.4 times the L value.
Figure 112012038501802-pat00006
(Where R is the sum of each electric current of the main output load + a value corresponding to 80% of the amp setting value of each spare breake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pare output load, M is the short area of the electrical connection cable, Since T is induced to have a short area that satisfies the value 1.4 times of R), under the implementation environ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ic connection cable has its own size without any problem under a clear and objective standard without the risk of electric accident. It is possible to substantially reduce the size, and finally, on each ship related subject side without any damage caused by the overload of the electrical connection cable, various problems caused by the increase in the size of the electrical connection cable (for example, the overall production cost of the vessel and accordingly The problem that the extra cost is greatly increased, the problem that the wiring work is difficult, and the free space inside the hull is greatly Reducing problems, etc.) can be effectively avoided.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선박용 전기기기 전기연결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전기기기 전기연결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한 L 값 대비 M 값 조견 테이블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한 R 값 대비 M 값 조견 테이블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1 is an exemplary view conceptually showing an electrical connection system for ship electric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2 is an exemplary diagram conceptually showing an electrical connection system for ship electric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emplary diagram conceptually showing a table of L value compared to M value for the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emplary diagram conceptually showing an M value lookup table versus an R value for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전기기기 전기연결 시스템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e electrical connection system for ship electric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전자기기 전기연결 시스템(20)은 입력전기기기(21)(전류를 입력시키는 전기기기)의 제어패널(23)에 설치되는 입력부하(25)와, 출력전기기기(22)(입력전기기기 측으로부터 입력되는 전류를 수신하여 소비하는 전기기기)의 제어패널(24)에 설치되는 출력부하(26,27)와, 이 입력부하(25) 및 출력부하(26,27)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입력부하(25) 측으로부터 송출된 전류가 출력부하(26,27) 측으로 정상 공급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전기연결 케이블(C)이 체계적으로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된다. 이 경우, 출력부하(26,27)는 <메인 출력부하(26)> 및 <이 메인 출력부하(2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해당 메인 출력부하(26)의 예비적 성격을 가지는 스페어 출력부하(27)>가 체계적으로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된다.As shown in FIG. 2, the ship electronic device electrical connection system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input load 25 installed in the control panel 23 of the input electric device 21 (electric device for inputting current). And output loads 26 and 27 provided on the control panel 24 of the output electrical equipment 22 (electric equipment that receives and consumes current input from the input electrical equipment side), the input load 25 and By electrically connecting the output loads 26 and 27, an electrical connection cable C is systematically combined to support the current supplied from the input load 25 side to be normally supplied to the output load 26 and 27 side. It takes a configuration. In this case, the output loads 26 and 27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in output load 26> and <the main output load 26, and have a spare output load having a preliminary characteristic of the corresponding main output load 26. (27)> takes a systematic combination.

이때, 메인 출력부하(2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메인 브레이커(29) 측에서는 메인 출력부하(26) 측으로 과도한 전류가 흐를 경우, 이를 차단시켜, 메인 출력부하(26)를 안정적으로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며, 스페어 출력부하(27)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스페어 브레이커(28) 역시, 스페어 출력부하(27) 측으로 과도한 전류가 흐를 경우, 이를 차단시켜, 스페이 출력부하(27)를 안정적으로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main breaker 29 tha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in output load 26, when excessive current flows to the main output load 26 side, by blocking it, serves to protect the main output load 26 stably. The spare breaker 28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pare output load 27 also serves to reliably protect the spade output load 27 by blocking an excessive current flowing to the spare output load 27. Will be performed.

물론, 이러한 본 발명의 체제 하에서도, 앞서 언급한 전기연결 케이블(C)의 사이즈를 어떠한 규모로 적절하게 조절할 것인가 하는 문제는 선박의 전체적인 품질을 결정짓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게 된다. Of course, even under such a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blem of properly adjusting the size of the aforementioned electrical connection cable (C) is a very important variable in determining the overall quality of the ship.

이는 만약, 각 전기연결 케이블(C)의 사이즈(예컨대, 단 면적)가 필요이상으로 과도하게 커질 경우, 선박의 전체적인 제작비용 및 이에 따른 부대비용이 크게 증가할 뿐만 아니라, 배선작업에 큰 어려움이 따르고, 선체 내부의 여유 공간이 대폭 줄어드는 등의 심각한 문제점이 불가피하게 발생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if the size (eg, the area) of each electrical connection cable C becomes excessively larger than necessary, the overall manufacturing cost of the ship and the accompanying cost greatly increases, as well as a great difficulty in wiring work. This is because serious problems such as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free space inside the hull inevitably occur.

이러한 민감한 상황에서, 본 발명에서는 입력부하(25) 측으로부터 송출된 전류를 메인 출력부하(26) 측으로 공급시키는 전기연결 케이블(C)을 설치하면서, 이 전기연결 케이블(C)이 수학식 [

Figure 112012038501802-pat00007
](여기서, L은 상기 메인 출력부하의 전격전류의 합, M은 전기연결 케이블의 단 면적, Q는 상기 L의 1.4배 값)을 만족하는 단 면적을 가지도록 유도하게 된다.In such a sensitive situa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while the electrical connection cable (C) for supplying the current sent from the input load 25 side to the main output load 26 side is provided, this electrical connection cable (C) is
Figure 112012038501802-pat00007
Where L is the sum of the electric currents of the main output load, M is the short area of the electrical connection cable, and Q is the short area satisfying the value 1.4 times L.

이때, 예를 들어, 메인 출력부하(26)가 3개이고, 그 3개의 메인 출력부하(26)의 전격전류의 합이 140 암페어인 경우, 본 발명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L 값 대비 M 값 조견 테이블을 참조하면서(물론, 이러한 L 값 대비 M 값 조견 테이블은 당업자에게 널리 공지되어 있다), 해당 L 값 대비 M 값 조견 테이블에 기재되어 있는 여러 전기연결 케이블(C)의 단 면적 값들 중에서, 140 암페어(즉, L 값) 이상에 상응하는 전기연결 케이블(C)의 단 면적 값 내지는 [140×1.4= 196 암페어](즉, Q 값) 미만에 상응하는 전기연결 케이블(C)의 단면적 값을 포설 대상 전기연결 케이블(C)의 단 면적 값으로 선택하게 된다.At this time, for example, when the main output load 26 is three, and the sum of the electric current of the three main output load 26 is 140 amps, in the present invention, M compared to the L value as shown in FIG. With reference to the value lookup table (of course, such L value lookup M value lookup tables are well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mong the short-area values of the various electrical connection cables (C) described in the corresponding M value lookup table. ,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electrical connection cable C corresponding to less than 140 amperes (i.e., L value) or less than [140 x 1.4 = 196 amperes] (i.e., Q value). The value is selected as the short area value of the electric connection cable (C) to be installed.

물론, 이 포설 대상 전기연결 케이블(C)의 단 면적 값은 종래와 같이 단지 전기사고를 예방하여야 한다는 맹목적인 판단 하에 무작정 선택된 값이 아니기 때문에, 종래와 달리 매우 적은 수치를 나타낼 수 있게 된다. Of course, since the end area value of the installation target electric connection cable (C) is not selected at random under the blind judgment that electric accidents should be prevented as in the prior art, very small values can be displayed unlike the prior art.

당연히, 이 포설 대상 전기연결 케이블(C)의 단 면적 값은 전기사고 예방을 위한 객관적인 기준(즉, [

Figure 112012038501802-pat00008
])에 의해 정교하게 선택된 값이기 때문에, 이 값이 종래에 비해 적은 수치를 나타낸다 하더라도, 해당 포설 대상 전기연결 케이블(C) 측에서는 자신의 사이즈 축소에 따른 과부하 현상을 전혀 일으키지 아니하게 된다.Naturally, the short-area value of the installation-connected electrical connection cable (C) is an objective criterion for preventing accidents (ie, [
Figure 112012038501802-pat00008
Since the value is elaborately selected by]), even if this value is smaller than in the prior art, the installation-oriented electric connection cable C side does not cause any overload phenomenon due to its size reduction.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입력부하(25) 측으로부터 송출된 전류를 메인 출력부하(26) 측으로 공급시키는 전기연결 케이블(C)을 설치/포설 하면서, 이 전기연결 케이블(C)이 수학식 [

Figure 112012038501802-pat00009
](여기서, L은 상기 메인 출력부하의 전격전류의 합, M은 전기연결 케이블의 단 면적, Q는 상기 L의 1.4배 값)을 만족하는 단 면적을 가지도록 유도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구현환경 하에서, 해당 전기연결 케이블(C)은 전기사고의 위험성이 없는 명확하고 객관적인 기준 하에서 별다른 문제점 없이 자신의 사이즈를 실질적으로 축소 받을 수 있게 되며, 결국, 각 선박 관련주체 측에서는 전기연결 케이블(C)의 과부하에 기인한 별도의 피해 없이도 이 전기연결 케이블(C)의 사이즈 증가에 따른 각종 문제점(예컨대, 선박의 전체적인 제작비용 및 이에 따른 부대비용이 크게 증가하는 문제점, 배선작업에 큰 어려움이 따르는 문제점, 선체 내부의 여유 공간이 대폭 줄어드는 문제점 등)을 효과적으로 회피할 수 있게 된다.Thu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le installing / installing the electrical connection cable (C) for supplying the current transmitted from the input load 25 side to the main output load 26 side, this electrical connection cable (C) is
Figure 112012038501802-pat00009
Where L is the sum of the electric current of the main output load, M is the short area of the electrical connection cable, and Q is the short area that satisfies the L. Under the circumstances, the electrical connection cable (C) can be substantially reduced in size without any problems under a clear and objective standard without the risk of an electrical accident. Various problems caused by the increase of the size of the electrical connection cable (C) without additional damage due to the overload of the cable (for example, the overall manufacturing cost of the ship and the accompanying cost greatly increases, the problem that the wiring work is difficult This can effectively avoid the problem that the free space inside the hull is greatly reduced.

이때, 앞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입력부하(25) 또는 메인 출력부하(26)에(어느 한 곳에, 또는, 두 곳 모두에) 전류의 과도한 흐름을 차단하기 위한 과부하 보호 계전기(OCR: Over Current Relay)(25a,30)를 전기적으로 추가 연결시키는 조치를 강구하게 된다. 물론, 이러한 과부하 보호 계전기(25a,30)의 추가 연결 상황에서, 메인 출력부하(26), 전기연결 케이블(C) 측에서는 전류의 과부하에 기인한 피해로부터 좀더 안정적으로 벗어날 수 있게 된다.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2,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verload protection for blocking the excessive flow of current to the input load 25 or the main output load 26 (in one place, or both). Further measures will be taken to electrically connect the Over Current Relays (OCR) 25a, 30. Of course, in the additional connection of the overload protection relay (25a, 30), the main output load 26, the electrical connection cable (C) side can be more stably deviated from the damage caused by the overload of the current.

한편, 이러한 과부하 보호 계전기(25a,30)의 추가 배치에 더하여, 본 발명에서는 과도전류 경고신호 처리기(31)를 추가 설치하는 조치를 강구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in addition to the additional arrangement of the overload protection relays 25a and 30, the present invention may also take measures to further install the transient current warning signal processor 31.

이 경우, 과도전류 경고신호 처리기(31) 측에서는 과부하 보호 계전기(30,25a)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취하면서, 과부하 보호 계전기(30,25a)에 의해 전류의 과도한 흐름이 체크되는 경우, 일련의 과도전류 경고신호를 생성하고, 생성 완료된 과도전류 경고신호를 외부의 정보처리기기(예컨대, 전기기기에 설치된 경고장치, 작업자가 소지한 모바일 기기, 전기기기 주변의 컴퓨터 장치 등)로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In this case, the excessive current warning signal processor 31 has a structu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verload protection relays 30 and 25a, and when the excessive flow of current is checked by the overload protection relays 30 and 25a, Generates a transient current warning signal and outputs the generated transient current warning signal to an external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for example, a warning device installed in an electric device, a mobile device possessed by an operator, a computer device around the electric device, etc.) Will be performed.

물론, 이 상황에서, 외부의 정보처리기기(예컨대, 전기기기에 설치된 경고장치, 작업자가 소지한 모바일 기기, 전기기기 주변의 컴퓨터 장치 등)를 통해, 과도전류 경고신호를 인지한 선박 관련주체 측에서는 그에 상응하는 조치를 신속하게 취할 수 있게 되며, 결국, 메인 출력부하(26), 전기연결 케이블(C) 측에서는 전류의 과부하에 기인한 피해로부터 좀더 안정적으로 벗어날 수 있게 된다.Of course, in this situation, the vessel-related subject who recognized the transient warning signal through an external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for example, a warning device installed in an electric device, a mobile device possessed by an operator, a computer device around the electric device, etc.). Corresponding measures can be taken quickly, and eventually, the main output load 26 and the electrical connection cable C side can more stably escape the damage caused by the overload of current.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서는 입력부하(25) 측으로부터 송출된 전류를 메인 출력부하(26) 측으로 공급시키는 전기연결 케이블(C)을 설치하면서, 앞의 경우와 달리, 이 전기연결 케이블(C)이 수학식 [

Figure 112012038501802-pat00010
](여기서, R은 상기 메인 출력부하의 각 전격전류의 합 + 스페어 출력부하에 전기 연결된 각 스페어 브레이커의 암페어 세팅 값의 80%에 해당하는 값의 합, M은 상기 전기연결 케이블의 단 면적, T는 상기 R의 1.4배 값)을 만족하는 단 면적을 가지도록 유도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le installing the electrical connection cable (C) for supplying the current transmitted from the input load 25 side to the main output load 26 side, unlike the previous case, this electrical connection cable (C) ) This equation [
Figure 112012038501802-pat00010
(Where R is the sum of each electric current of the main output load + a value corresponding to 80% of the amp setting value of each spare breake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pare output load, M is the short area of the electrical connection cable, T is derived to have a short area satisfying the value 1.4 times R.

이때, 예를 들어, 메인 출력부하(26)가 3개이고, 그 3개의 메인 출력부하(26)의 전격전류의 합이 140 암페어이며, 이 3개의 메인 출력부하(26)에 2개의 스페어 출력부하(27)가 연결되어 있고, 이 2개의 스페어 출력부하(27)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각 스페어 브레이커(28)의 암페어 세팅 값이 각기 100 암페어인 경우, 본 발명에서는 수학식 [140+{100×0.8}+{100×0.8}]을 통해, R 값으로 300 암페어를 선택한 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R 값 대비 M 값 조견 테이블을 참조하면서(물론, 이러한 R 값 대비 M 값 조견 테이블 역시 당업자에게 널리 공지되어 있다), 해당 R 값 대비 M 값 조견 테이블에 기재되어 있는 여러 전기연결 케이블(C)의 단 면적 값들 중에서, 300 암페어(즉, R 값) 이상에 상응하는 전기연결 케이블(C)의 단 면적 값 내지는 [300×1.4= 420 암페어](즉, T 값) 미만에 상응하는 전기연결 케이블(C)의 단면적 값을 포설 대상 전기연결 케이블(C)의 단 면적 값으로 선택하게 된다.At this time, for example, three main output loads 26, the sum of the electric current of the three main output loads 26 is 140 amps, two spare output loads to the three main output loads 26. When (27) is connected, and the amp setting value of each spare breaker 28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se two spare output loads 27 is 100 amps, respective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quation [140+ {100 × 0.8 } + {100 × 0.8}], then select 300 amps as the R value, then refer to the M value lookup table for R values as shown in FIG. (C) corresponding to at least 300 amperes (i.e., R values), among the short-area values of the various electrical connection cables (C) listed in the M value lookup table relative to the corresponding R value). Corresponding to a shorter area value of less than or equal to [300 × 1.4 = 420 amperes] (ie, a T value). It will select the cross-sectional area value of the electric connection cable (C) to the end area of the target value of the laid electric connection cable (C).

물론, 이러한 포설 대상 전기연결 케이블(C)의 단 면적 값 역시 종래와 같이 단지 전기사고를 예방하여야 한다는 맹목적인 판단 하에 무작정 선택된 값이 아니기 때문에, 종래와 달리 매우 적은 수치를 나타낼 수 있게 된다. Of course, since the short-area value of the electric connection cable (C) to be laid is not a value that is randomly selected under the blind judgment that the electric accident should be prevented as in the prior art, a very small value can be displayed.

또한, 이 포설 대상 전기연결 케이블(C)의 단 면적 값 역시 전기사고 예방을 위한 객관적인 기준(즉, [

Figure 112012038501802-pat00011
])에 의해 정교하게 선택된 값이기 때문에, 이 값이 종래에 비해 적은 수치를 나타낸다 하더라도, 해당 포설 대상 전기연결 케이블(C) 측에서는 자신의 사이즈 축소에 따른 과부하 현상을 전혀 일으키지 아니하게 된다.In addition, the short area value of the electric connection cable (C) to be laid is also an objective criterion for preventing an electric accident (that is, [
Figure 112012038501802-pat00011
Since the value is elaborately selected by]), even if this value is smaller than in the prior art, the installation-oriented electric connection cable C side does not cause any overload phenomenon due to its size reduction.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서도 입력부하(25) 측으로부터 송출된 전류를 메인 출력부하(26) 측으로 공급시키는 전기연결 케이블(C)을 설치/포설 하면서, 이 전기연결 케이블(C)이 수학식 [

Figure 112012038501802-pat00012
](여기서, R은 상기 메인 출력부하의 각 전격전류의 합 + 스페어 출력부하에 전기 연결된 각 스페어 브레이커의 암페어 세팅 값의 80%에 해당하는 값의 합, M은 상기 전기연결 케이블의 단 면적, T는 상기 R의 1.4배 값)을 만족하는 단 면적을 가지도록 유도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변화된 구현환경 하에서도, 해당 전기연결 케이블(C)은 전기사고의 위험성이 없는 명확하고 객관적인 기준 하에서 별다른 문제점 없이 자신의 사이즈를 실질적으로 축소 받을 수 있게 되며, 결국, 각 선박 관련주체 측에서는 전기연결 케이블(C)의 과부하에 기인한 별도의 피해 없이도 이 전기연결 케이블(C)의 사이즈 증가에 따른 각종 문제점(예컨대, 선박의 전체적인 제작비용 및 이에 따른 부대비용이 크게 증가하는 문제점, 배선작업에 큰 어려움이 따르는 문제점, 선체 내부의 여유 공간이 대폭 줄어드는 문제점 등)을 효과적으로 회피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le the electric connection cable C is installed / installed for supplying the current transmitted from the input load 25 side to the main output load 26 side, the electric connection cable C Expression [
Figure 112012038501802-pat00012
(Where R is the sum of each electric current of the main output load + a value corresponding to 80% of the amp setting value of each spare breake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pare output load, M is the short area of the electrical connection cable, Since T induces to have a short area satisfying 1.4 times the value of R), even under the changed implementation environ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ic connection cable (C) is different under a clear and objective standard without the risk of electric accident. It is possible to substantially reduce their size without problems, after all, the various problems caused by the increase in the size of the electrical connection cable (C) without any damage caused by the overload of the electrical connection cable (C) on each ship related subject side (E.g., a problem that the overall manufacturing cost of the ship and its accompanying cost is greatly increased, a problem with great difficulty in wiring work, the inside of the hull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avoid the oil space, greatly reduced the problem, etc.).

한편,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서도, 앞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하(25) 또는 메인 출력부하(26)에(어느 한 곳에, 또는, 두 곳 모두에) 전류의 과도한 흐름을 차단하기 위한 과부하 보호 계전기(OCR: Over Current Relay)(25a,30)를 전기적으로 추가 연결될 수도 있다. 물론, 이러한 과부하 보호 계전기(25a,30)의 추가 연결 상황에서, 메인 출력부하(26), 전기연결 케이블(C) 측에서는 전류의 과부하에 기인한 피해로부터 좀더 안정적으로 벗어날 수 있게 된다. On the other hand,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2, the excessive flow of current to the input load 25 or the main output load 26 (either at one or both locations) is prevented. An over current relay (OCR) 25a, 30 for disconnecting may be further electrically connected. Of course, in the additional connection of the overload protection relay (25a, 30), the main output load 26, the electrical connection cable (C) side can be more stably deviated from the damage caused by the overload of the current.

나아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서는 앞의 실시와 마찬가지로 과도전류 경고신호 처리기(31)를 추가 설치하는 조치를 강구할 수도 있다.Furthermore,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easures may be taken to additionally install the transient current warning signal processor 31 as in the previous embodiment.

이 경우에도, 과도전류 경고신호 처리기(31) 측에서는 과부하 보호 계전기(30,25a)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취하면서, 과부하 보호 계전기(30,25a)에 의해 전류의 과도한 흐름이 체크되는 경우, 일련의 과도전류 경고신호를 생성하고, 생성 완료된 과도전류 경고신호를 외부의 정보처리기기(예컨대, 전기기기에 설치된 경고장치, 작업자가 소지한 모바일 기기, 전기기기 주변의 컴퓨터 장치 등)로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며, 결국, 선박 관련주체 측에서는 외부의 정보처리기기(예컨대, 전기기기에 설치된 경고장치, 작업자가 소지한 모바일 기기, 전기기기 주변의 컴퓨터 장치 등)를 통해, 과도전류 경고신호의 출력상황을 빠르게 인지하면서, 그에 상응하는 조치를 매우 신속하게 취할 수 있게 된다.Even in this case, when the excessive current warning signal processor 31 has a structu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verload protection relays 30 and 25a, and an excessive flow of current is checked by the overload protection relays 30 and 25a, Generates a series of transient current warning signals, and outputs the generated transient current warning signals to an external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e.g., a warning device installed in an electric device, a mobile device possessed by an operator, a computer device around the electric device, etc.) As a result, the vessel-related subject may use the external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for example, a warning device installed in an electric device, a mobile device possessed by an operator, a computer device around the electric device, etc.) You can quickly recognize the output and take the corresponding action very quickly.

이러한 본 발명은 전기연결 케이블의 관리가 필요한 여러 분야에서, 전반적으로 유용한 효과를 발휘한다.This invention has an overall useful effect in many fields that require the management of electrical connection cables.

그리고,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Although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nd illustrated abov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Such modified embodiments should not be understood individually from the technical idea and viewpoi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uch modified embodiments should be included in the appended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21: 입력전기기기 2,22: 출력전기기기 3,23: 입력전기기기의 제어패널
4,24: 출력전기기기의 제어패널 5,25: 입력부하
10,20: 선박용 전기기기 전기연결 시스템
6,26 메인 출력부하 7,27: 스페어 출력부하 8,28: 스페어 브레이커
9,29: 메인 브레이커
25a,30: 과부하 보호 계전기(OCR: Over Current Relay)
31: 과도전류 경고신호 처리기
1,21: input electrical equipment 2,22: output electrical equipment 3,23: control panel of input electrical equipment
4,24: control panel of output electrical equipment 5,25: input load
10,20: Ship electrical equipment electrical connection system
6,26 Main output load 7,27: Spare output load 8,28: Spare breaker
9,29: main breaker
25a, 30: Over Current Relay (OCR)
31: transient warning signal processor

Claims (4)

선박에 설치된 선박용 전기기기를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하는 선박용 전기기기 전기연결 시스템에 있어서,
입력전기기기의 제어패널에 설치되는 입력부하와;
출력전기기기의 제어패널에 설치되는 메인 출력부하와;
상기 메인 출력부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스페어 출력부하와;
상기 입력부하 및 메인 출력부하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입력부하 측으로부터 송출된 전류를 상기 메인 출력부하 측으로 공급시키는 전기연결 케이블을 포함하며,
상기 전기연결 케이블은 하기의 수학식을 만족하는 단 면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전기기기 전기연결 시스템.
Figure 112012038501802-pat00013

(여기서, L은 상기 메인 출력부하의 전격전류의 합, M은 전기연결 케이블의 단 면적, Q는 상기 L의 1.4배 값)
In the marine electrical equipment electrical connection system for electrically interconnecting the marine electrical equipment installed on the vessel,
An input load installed on a control panel of the input electrical device;
A main output load installed on the control panel of the output electrical device;
A spare output loa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in output load;
An electrical connection cable electrically connecting the input load and the main output load to supply the current output from the input load side to the main output load side;
The electrical connection cable is a ship electrical equipment electrical connec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stage area that satisfies the following equation.
Figure 112012038501802-pat00013

(Where L is the sum of the electric currents of the main output load, M is the short area of the electrical connection cable, and Q is 1.4 times the L)
선박에 설치된 선박용 전기기기를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하는 선박용 전기기기 전기연결 시스템에 있어서,
입력전기기기의 제어패널에 설치되는 입력부하와;
출력전기기기의 제어패널에 설치되는 메인 출력부하와;
상기 메인 출력부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스페어 출력부하와;
상기 입력부하 및 메인 출력부하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입력부하 측으로부터 송출된 전류를 상기 메인 출력부하 측으로 공급시키는 전기연결 케이블을 포함하며,
상기 전기연결 케이블은 하기의 수학식을 만족하는 단 면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전기기기 전기연결 시스템.
Figure 112012038501802-pat00014

(여기서, R은 상기 메인 출력부하의 각 전격전류의 합 + 상기 스페어 출력부하에 전기 연결된 각 스페어 브레이커의 암페어 세팅 값의 80%에 해당하는 값의 합, M은 상기 전기연결 케이블의 단 면적, T는 상기 R의 1.4배 값)
In the marine electrical equipment electrical connection system for electrically interconnecting the marine electrical equipment installed on the vessel,
An input load installed on a control panel of the input electrical device;
A main output load installed on the control panel of the output electrical device;
A spare output loa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in output load;
An electrical connection cable electrically connecting the input load and the main output load to supply the current output from the input load side to the main output load side;
The electrical connection cable is a ship electrical equipment electrical connec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stage area that satisfies the following equation.
Figure 112012038501802-pat00014

Where R is the sum of the respective electric currents of the main output load + the value corresponding to 80% of the amp setting value of each spare breake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pare output load, M is the short area of the electrical connection cable, T is 1.4 times the value of R)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하 또는 상기 메인 출력부하에는 전류의 과도한 흐름을 차단하기 위한 과부하 보호 계전기(OCR: Over Current Relay)가 전기적으로 추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전기기기 전기연결 시스템.The ship electric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an overload relay (OCR)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nput load or the main output load to block an excessive flow of current. Electrical connection system.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과부하 보호 계전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상기 과부하 보호 계전기에 의해 전류의 과도한 흐름이 체크되는 경우, 일련의 과도전류 경고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과도전류 경고신호를 외부 출력하는 과도전류 경고신호 처리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전기기기 전기연결 시스템.The electronic device of claim 3, wherein when an excessive flow of current is checked by the overload protection relay while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verload protection relay, a series of transient current warning signals are generated, and the generated transient current warning signal is externally output. Ship electrical equipment electrical connection system further comprising a transient current warning signal processor.
KR1020120051160A 2012-05-14 2012-05-14 The system which connects a electrical apparatus for a ship KR10125803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1160A KR101258038B1 (en) 2012-05-14 2012-05-14 The system which connects a electrical apparatus for a shi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1160A KR101258038B1 (en) 2012-05-14 2012-05-14 The system which connects a electrical apparatus for a ship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8038B1 true KR101258038B1 (en) 2013-04-24

Family

ID=48443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1160A KR101258038B1 (en) 2012-05-14 2012-05-14 The system which connects a electrical apparatus for a ship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8038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33742A (en) * 1992-02-24 1993-09-10 Sekisui Chem Co Ltd Method for selecting wiring material
JP2004164162A (en) 2002-11-12 2004-06-10 Hitachi Ltd Apparatus for preparing control panel wiring table
KR20050007966A (en) * 2003-07-12 2005-01-21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ower Cable Sizing Calculation Method
KR20120002216A (en) * 2010-06-30 2012-01-0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Electric equipment arrangement in floating marine structur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33742A (en) * 1992-02-24 1993-09-10 Sekisui Chem Co Ltd Method for selecting wiring material
JP2004164162A (en) 2002-11-12 2004-06-10 Hitachi Ltd Apparatus for preparing control panel wiring table
KR20050007966A (en) * 2003-07-12 2005-01-21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ower Cable Sizing Calculation Method
KR20120002216A (en) * 2010-06-30 2012-01-0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Electric equipment arrangement in floating marine structu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836342B (en) Electrical switchgear, particularly for connecting generators and thrusters in dynamically positioned vessels,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CN102347610A (en) Electrical power supply system for an aircraft
US10958076B2 (en) Power generation and distribution arrangement and floating unit comprising such an arrangement
US10608427B2 (en) DC power system segregated into different protection zones
KR101258038B1 (en) The system which connects a electrical apparatus for a ship
KR20190098664A (en) Power supplying system based on dc for ship capable of bi-polar dc distribution
Paul et al. A closer look at the grounding of shore-to-ship power supply system
US20100301681A1 (en) Device for High-Voltage Direct-Current Transmission
Parise et al. Neutral grounding in MV transformers substations for cranes service
KR20100004639U (en) Switchboard and electric equipment for ship
KR100987156B1 (en) A distribution panel with harmonic wave resistance
JP5470523B2 (en) Overcurrent protection device storage panel
US8322494B2 (en) Temporary main switch arrangement for connecting power supplies of a power tool and an elevator
EP4304034A1 (en) Method for controlling stray currents in a marine electrical supply system and a marine vessel comprising a marine electrical supply system
EP2072393A1 (en) Electrical system for floating installation, in particular offshore vessel, with a feeding comprising a combined transformer for resistance grounding and transformer pre-magnetization
KR20120000209U (en) Separated high voltage switchboard in LNG FPSO ship
US20110255199A1 (en) Arc flash hazard reduction for transformer secondaries
KR20190098456A (en) Power distribution system of ship
JP4836663B2 (en) Loop system protection device and method
KR101521818B1 (en) Power supply device for DPS
Wenta et al. Design and programming of a walking robot
Paul et al. System capacitance and its effects on cold ironing power system grounding
JP2006109567A (en) Ground fault current suppressing apparatus of power distribution system
SU1473000A1 (en) Ground fault current limiter in ship power system
Kasthala et al. High Resistance Grounding Systems in MV Shipboard Power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