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6880B1 - Lens fixing unit and camera device - Google Patents

Lens fixing unit and camera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6880B1
KR101256880B1 KR1020110076393A KR20110076393A KR101256880B1 KR 101256880 B1 KR101256880 B1 KR 101256880B1 KR 1020110076393 A KR1020110076393 A KR 1020110076393A KR 20110076393 A KR20110076393 A KR 20110076393A KR 101256880 B1 KR101256880 B1 KR 1012568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unit
fixing
screw
lens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639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023542A (en
Inventor
나오미치 고리
Original Assignee
니홍세이미츠소꾸기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홍세이미츠소꾸기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니홍세이미츠소꾸기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235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354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68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688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lens and mount having complementary engagement means, e.g. screw/threa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0Camera modules comprising integrated lens units and imaging uni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e.g. mobile phones or vehicl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7/00Control of exposure by setting shutters, diaphragms or filters, separately or conjointly
    • G03B7/18Control of exposure by setting shutters, diaphragms or filters, separately or conjointly in accordance with light-reducing "factor" of filter or other obturator used with or on the lens of the camera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 Barrels (AREA)
  • Structure And Mechanism Of Cameras (AREA)

Abstract

(과제) 렌즈 유닛의 위치 고정을 할 때에 광로 안으로의 이물질산란을 방지한다.
(해결수단) 렌즈(271)를 구비하는 렌즈 유닛(250B)과, 통 모양의 렌즈 유닛 장착부(210)를 구비하는 홀더 유닛(200B)과, 상기 렌즈 유닛 장착부(210)의 통 안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상기 렌즈 유닛(250B)의 위치 고정을 위해 당해 렌즈 유닛 장착부(210)의 통 바깥으로부터 통 안을 향해서 나사결합되는 고정 나사(290)를 구비하는 렌즈 고정유닛으로서, 상기 렌즈 유닛 장착부(210)에는, 당해 렌즈 유닛 장착부(210)의 통 안으로 관통하지 않는 비관통구멍(231)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비관통구멍(231)의 바닥부와 상기 렌즈 유닛 장착부(210)의 통의 내면과의 사이의 개재부(232)가, 당해 비관통구멍(231)에 나사결합된 상기 고정 나사(290)의 선단으로 가압되어서 당해 렌즈 유닛 장착부(210)의 통 내측을 향해서 변형하는 두께로 형성되어 있다.
(Problem) To prevent scattering of foreign matters in the optical path when fixing the position of the lens unit.
(Solution means) The lens unit 250B including the lens 271, the holder unit 200B including the cylindrical lens unit attaching portion 210, and the lens unit attaching portion 210 are movable. A lens fixing unit having a fixing screw 290 that is screwed from the outside of the barrel of the lens unit mounting portion 210 toward the inside of the barrel for fixing the position of the lens unit 250B to be mounted, wherein the lens unit mounting portion 210 The non-penetrating hole 231 which does not penetrate into the cylinder of the said lens unit mounting part 210 is provided, and the bottom part of the said non-penetrating hole 231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cylinder of the said lens unit mounting part 210 are provided. The intervening portion 232 therebetween is formed to a thickness that is pressed by the tip of the fixing screw 290 screwed into the non-penetrating hole 231 and deforms toward the inside of the cylinder of the lens unit mounting portion 210. .

Description

렌즈 고정유닛 및 카메라 장치{LENS FIXING UNIT AND CAMERA DEVICE}Lens fixing unit and camera unit {LENS FIXING UNIT AND CAMERA DEVICE}

본 발명은, 카메라용의 렌즈 고정유닛(lens fixing unit), 및 그 렌즈 고정유닛을 사용해서 구성된 카메라 장치(camera device)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ns fixing unit for a camera and a camera device constructed by using the lens fixing unit.

최근,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 휴대전화기, 차량, 감시용 기기 등과 같은 여러가지 기기에 소형의 카메라 장치가 탑재되어 있다. 이러한 종류의 카메라 장치는 렌즈 및 촬상소자(撮像素子)를 구비함과 아울러, 이들간의 광로(光路) 상에 필요에 따라 필터(filter)나 아이리스(iris; 조리개) 등의 광학소자(光學素子)가 배치되어서 구성된다. 또한 렌즈에 있어서는, 렌즈 고정유닛을 사용하여 광학소자 등을 내장하는 카메라 장치의 하우징 본체(이하, 간단히 「카메라 본체」라고 한다)로의 장착이 이루어진다(예를 들면 특허문헌1 참조).Background Art In recent years, compact camera devices have been mounted in various devices such as notebook personal computers, mobile phones, vehicles, and monitoring devices. This type of camera device is provided with a lens and an image pickup device, and optical elements such as a filter or an iris as necessary on an optical path therebetween. Is arranged. In the lens, a lens fixing unit is used to mount a camera device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a "camera body") of a camera device incorporating an optical element or the like (see Patent Document 1, for example).

렌즈 고정유닛으로서는, 렌즈를 지지하는 렌즈 유닛(lens unit)의 측에 수 나사부(雄螺絲部)를 설치하는 한편, 카메라 본체에 부착되는 홀더 유닛(holder unit)의 측에 당해 수 나사부와 나사결합 하는 암 나사부(雌螺絲部)를 설치해 두고, 양쪽 나사부의 나사결합에 의해 렌즈 유닛과 홀더 유닛과의 고정을 하도록 구성된 것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1 참조). 이러한 구성의 렌즈 고정유닛에서는, 암 나사부에 대한 수 나사부의 돌려 넣는 정도에 의하여 렌즈의 초점조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양쪽 나사부의 나사결합상태를 미세하게 회전조정 함으로써 렌즈의 초점을 촬상소자 상에 맞추는 것이 가능하다.As the lens fixing unit, a male screw part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lens unit that supports the lens, while the male screw part is screwed on the side of the holder unit attached to the camera body. Some female screw sections are provided, and some are configured to fix the lens unit and the holder unit by screwing both screw sections (see, 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In the lens fixing unit of such a configuration, the focusing of the lens is made by the degree of rotation of the male screw portion with respect to the female screw portion. That is, it is possible to focus the lens on the image pickup device by finely adjusting the screwing state of both screw portions.

렌즈의 초점조정이 종료한 후에는, 소형 카메라 장치의 용도에서는 렌즈 유닛의 교환 또는 재(再) 초점조정이 불필요하다. 이 때문에, 렌즈 고정유닛으로서는, 렌즈 유닛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나사가 홀더 유닛에 장착된 구성을 갖는 것이 있다. 구체적으로는, 나사결합 하는 양쪽 나사부의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홀더 유닛의 외부로부터 고정 나사를 나사결합하고, 그 고정 나사의 선단(先端)을 렌즈 유닛의 수 나사부에 밀착시키고, 이에 따라 홀더 유닛에 대한 렌즈 유닛의 위치를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2 참조).
After the focusing of the lens is finished, replacement or refocusing of the lens unit is unnecessary for the use of the small camera device. For this reason, there exists a structure in which the fixing screw for fixing the position of a lens unit is attached to a holder unit as a lens fixing unit. Specifically, the fixing screw is screwed from the outside of the holder unit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axial direction of both screw portions to be screwed, and the tip of the fixing screw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male screw portion of the lens unit. The position of the lens unit with respect to the holder unit is fixed (see Patent Document 2, for example).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 2009-92866호 공보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09-92866 일본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실개평 07-39006호 공보Published Japanese Utility Model Model Publication No. 07-39006

상기한 종래 구성의 렌즈 고정유닛에서는 고정 나사의 선단을 수 나사부에 밀착시켜서 렌즈 유닛의 위치 고정을 하므로, 당해 고정 나사를 장착하기 위한 관통구멍(貫通孔)을 홀더 유닛에 설치해 둘 필요가 있고, 그 때문에 이하에 서술하는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In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lens fixing unit, the tip of the fixing screw is fixed to the male screw to fix the position of the lens uni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through hole for mounting the fixing screw in the holder unit. Therefore, there exists a possibility that the problem described below may arise.

고정 나사용의 구멍을 관통구멍 구조로 하는 경우에는, 렌즈 유닛의 위치 고정을 할 때에, 당해 고정 나사의 선단이 당해 렌즈 유닛의 수 나사부에 대하여 직접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고정 나사의 체결 상태에 따라서는, 직접 접촉하는 부분으로부터 먼지(塵)나 티끌(埃) 등의 이물질(異物質)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러한 이물질이 광로(光路) 내에 산란(散亂)하면 촬상소자에서의 촬영 결과에 악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당해 이물질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해야 한다.In the case where the fixing screw hole has a through hole structure, when the lens unit is fixed in position, the tip of the fixing screw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male screw part of the lens unit. Therefore, depending on the fastening state of the fastening screw, there is a possibility that foreign matter such as dust, dust, etc. may be generated from the portion directly contacted. If such foreign matter is scattered in the optical path, it will adversely affect the photographing result of the image pickup device, so that the occurrence of the foreign matter should be prevented in advance.

또한 홀더 유닛에 대해서는 다이캐스팅(die casting)이나 사출성형(射出成形) 등의 성형 가공에 의해 제작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그런데 고정 나사용의 구멍을 관통구멍 구조로 하는 경우에는, 성형 가공에 의하여 관통구멍을 설치하는 것이 매우 어렵기 때문에 당해 성형 가공 후에 관통구멍을 형성하기 위한 후가공(後加工)이 필요하게 된다. 후가공에 의해 관통구멍을 형성한 후에 있어서도, 암 나사부의 내주(內周)측에 버(burr) 등의 가공 흔적이 남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연마(硏磨) 등이 더 추가되는 후가공이 필요하게 된다. 즉 관통구멍 구조는 성형 가공에 의하여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는 구조가 아니므로, 제작비용의 관점에서 어려움이 있다.In addition, the holder unit may be manufactured by molding, such as die casting or injection molding. By the way, when the hole for fixing screws is made into a through-hole structure, since it is very difficult to provide a through-hole by a shaping | molding process, post-processing for forming a through hole after the said shaping | molding process is needed. Even after the through-hole is formed by post-processing, post-processing with additional grinding or the like is necessary in order to prevent processing marks such as burrs from remaining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female screw portion. Done. In other words, the through-hole structure is not a structure that can be easily manufactured by molding, so there is a difficulty in terms of manufacturing cost.

이에 본 발명은 렌즈 유닛의 위치 고정에 있어서 광로 안으로의 이물질 산란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게다가 성형 가공에 의한 제작에 적합한 구조를 구비한 렌즈 고정유닛 및 카메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ens fixing unit and a camera device having a structure suitable for fabrication by forming and preventing foreign matter scattering into the optical path in fixing the position of the lens unit. .

본 발명은 상기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案出)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achieve the above object.

본 발명의 제1형태는, 렌즈를 구비하는 렌즈 유닛(lens unit)과, 통(筒) 모양으로 형성된 렌즈 유닛 장착부(lens unit 裝着部)를 구비하고, 당해 렌즈 유닛 장착부의 통 안에 상기 렌즈 유닛이 상기 렌즈의 광축방향(光軸方向)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홀더 유닛(holder unit)과, 상기 렌즈 유닛 장착부의 통 안에 있어서의 상기 렌즈 유닛의 위치 고정을 위해 당해 렌즈 유닛 장착부의 통 바깥으로부터 통 안을 향해서 나사결합되는 고정 나사를 구비하는 렌즈 고정유닛(lens fixing unit)으로서, 상기 렌즈 유닛 장착부에는, 상기 렌즈의 광축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당해 렌즈 유닛 장착부의 통 안으로 관통하지 않는 비관통구멍(非貫通孔)이 상기 고정 나사의 나사결합을 위한 장착구멍으로서 설치되어 있고, 상기 비관통구멍의 바닥부와 상기 렌즈 유닛 장착부의 통의 내면과의 사이의 개재부(介在部)가, 당해 비관통구멍에 나사결합된 상기 고정 나사의 선단(先端)으로 가압(加壓)되어서 당해 렌즈 유닛 장착부의 통 내측(內側)을 향해서 변형하는 두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고정유닛이다.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lens unit including a lens and a lens unit attaching portion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wherein the lens is provided in a cylinder of the lens unit attaching portion. A holder unit to which the unit is movably mounted along the optical axis direction of the lens, and a cylinder of the lens unit mounting portion for fixing the position of the lens unit in the barrel of the lens unit mounting portion. A lens fixing unit having a fixing screw that is screwed from the outside toward the inside of the barrel, wherein the lens unit mounting portion does not penetrate into the barrel of the lens unit mounting portion along a direction crossing the optical axis direction of the lens. A non-penetrating hole is provided as a mounting hole for screwing in the fixing screw. An intervening portion between the bottom of the non-through hole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cylinder of the lens unit mounting portion is pressed by the tip of the fixing screw screwed into the non-through hole. It is formed with the thickness which deforms toward the cylinder inner side of the said lens unit mounting part, The lens fixing unit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본 발명의 제2형태는, 제1형태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고정 나사의 선단에 원추(円錐)모양의 첨예부(尖銳部)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invention of the first aspect, a conical sharp portion is formed at the tip of the fixing screw.

본 발명의 제3형태는, 제1 또는 제2형태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고정 나사는 셀프탭핑 나사(self-tapping screw)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invention of the first or second aspect, the fixing screw is a self-tapping screw.

본 발명의 제4형태는, 제1, 제2 또는 제3형태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홀더 유닛은, 수지재료(樹脂材料)의 성형 가공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four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invention of the first, second, or third aspect, the holder unit is formed by molding a resin material.

본 발명의 제5형태는, 제1 내지 제4 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에 따른 렌즈 고정유닛과, 당해 렌즈 고정유닛의 렌즈투과 빛을 수광(受光)하는 촬상소자(撮像素子)를 갖춘 촬상소자 유닛을 구비해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장치이다.
According to a fif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mage capturing device including a lens fixing unit according to any one of the first to fourth aspects, and an image pickup device for receiving the lens-transmitted light of the lens fixing unit. It is a camera apparatus characterized by including the unit.

본 발명에 의하면 고정 나사를 나사결합 하는 경우에, 그 장착구멍(裝着孔)이 비관통구멍(非貫通孔)이므로, 당해 고정 나사의 선단이 렌즈 유닛 장착부의 통 안으로 노출 되어버리는 일이 없다. 즉, 고정 나사의 선단이 통 안에 장착된 렌즈 유닛에 대하여 직접 접촉하는 일이 없다. 따라서 접촉에 의한 이물질발생의 우려가 없고, 발생한 이물질이 광로 내에 산란하는 등의 원인으로 촬영 결과에 악영향을 미치게 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ixing screw is screwed in, the mounting hole is a non-penetrating hole, so that the tip of the fixing screw is not exposed to the cylinder of the lens unit mounting portion. . That is, the tip of the fixing screw does not directly contact the lens unit mounted in the barrel. Therefore, there is no fear of foreign matters generated by contact, and it can be prevented that adversely affect the photographing result due to scattering of foreign matters generated in the optical path.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고정 나사의 장착구멍이 비관통구멍이므로, 관통구멍 구조의 경우와는 달리 성형 가공에 의하여 제작하는 것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장착구멍을 형성할 때에 렌즈 유닛 장착부의 통의 내면에 버(burr) 등이 발생할 우려도 없다. 즉 관통구멍 가공, 버(burr) 제거, 통 안의 연마 등의 후가공을 요구하는 일이 없다. 따라서 관통구멍 구조의 경우에 비하여 홀더 유닛의 제작비용의 삭감이 가능하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mounting hole of the fixing screw is a non-penetrating hole, it can be easily realized by forming processing unlike the case of the through-hole structure. Moreover, when forming a mounting hole, burr etc. do not arise in the inner surface of the cylinder of a lens unit mounting part. In other words, post-processing such as through-hole processing, burr removal, and polishing in a cylinder is not required. Therefore,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holder unit can be reduced as compared with the through hole structure.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카메라 장치의 전체 구성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2는 도1의 카메라 장치에 있어서의 노광조건 전환유닛 본체(露光條件切替 unit 本體)의 전면(前面) 측의 하나의 조합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3은 도1의 카메라 장치에 있어서의 노광조건 전환유닛 본체의 후면(後面) 측의 하나의 조합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관한 렌즈 고정유닛의 제1구체예(第一具體例)에 있어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 관한 렌즈 고정유닛의 제1구체예에 있어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3면도로서, (a)는 평면도, (b)는 측면도, (c)는 A-A단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에 관한 렌즈 고정유닛의 제1구체예에 있어서의 홀더 유닛의 구성을 나타내는 3면도로서, (a)는 평면도, (b)는 측면도, (c)는 B-B단면도이다.
도7은 본 발명에 관한 렌즈 고정유닛의 제2구체예에 있어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8은 본 발명에 관한 렌즈 고정유닛의 제2구체예에 있어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3면도로서, (a)는 평면도, (b)는 측면도, (c)는 C-C단면도이다.
도9는 본 발명에 관한 렌즈 고정유닛의 제2구체예에 있어서의 홀더 유닛의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로서, (a)는 평면도, (b)는 D-D단면도, (c)는 사시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에 관한 렌즈 고정유닛의 제3구체예에 있어서의 고정 나사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에 관한 렌즈 고정유닛의 고정 나사 및 당해 고정 나사가 나사결합되는 비관통구멍에 관한 변형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camera apparatus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one example of the combination of the front side of the exposure condition switching unit main body in the camera device of FIG.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one example of a combination on the rear side of the exposure condition switching unit main body in the camera device of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first specific example of a lens fix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three sectional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first embodiment of a lens fix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plan view, (b) is a side view, and (c) is an AA sectional view.
Fig. 6 is a three 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holder unit in the first specific example of the lens fix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re (a) is a plan view, (b) is a side view, and (c) is a BB sectional view.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second embodiment of the lens fix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three sectional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second embodiment of a lens fix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plan view, (b) is a side view, and (c) is a CC sectional view.
Fig. 9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holder unit in the second specific example of the lens fix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plan view, (b) is a DD sectional view, and (c) is a perspective view.
Fig. 10 is a sid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fixing screw i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lens fix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sid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odification of the fixing screw of the lens fix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non-through hole to which the fixing screw is screwed.

이하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관한 렌즈 고정유닛 및 카메라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우선 렌즈 고정유닛을 사용해서 구성된 카메라 장치의 전체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고, 계속하여 당해 카메라 장치에 있어서의 렌즈 고정유닛의 상세한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Hereinafter, a lens fixing unit and a camera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ere, the whole structure of the camera apparatus comprised using the lens fixing unit is demonstrated first, and then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lens fixing unit in the said camera apparatus is demonstrated.

<1.카메라 장치의 전체 구성><1.Overall configuration of camera device>

본 실시형태에서 설명하는 카메라 장치는, 예를 들면 CCTV(Closed-circuit Television)카메라로서 사용된다. 다만 본 발명의 적용이 CCTV카메라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 휴대전화기, 차량, CCTV카메라 이외의 감시용 기기 등에 탑재되어서 사용되는 소형 카메라 장치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적용 가능하다.The camera device described in this embodiment is used as, for example, a 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camera. However, the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CCTV cameras, but can be similarly applied to notebook cameras, mobile phones, vehicles, and small camera devices used in surveillance equipment other than CCTV cameras.

도1은 본 실시형태의 카메라 장치의 전체 구성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2는 도1의 카메라 장치에 있어서의 노광조건 전환유닛 본체의 전면 측의 하나의 조합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3은 도1의 카메라 장치에 있어서의 노광조건 전환유닛 본체의 후면 측의 하나의 조합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camera apparatus of the present embodiment,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one combination example of the front side of the main body of the exposure condition switching unit in the camera apparatus of 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mbination example of the rear side of the exposure condition switching unit main body in the camera device of FIG.

도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 설명하는 카메라 장치는, 크게 나누면 노광조건 전환유닛 본체(10)와, 렌즈 고정유닛(20)과, 촬상소자 유닛(30)을 구비해서 구성되어 있다. 렌즈 고정유닛(20) 및 촬상소자 유닛(30)은, 노광조건 전환유닛 본체(10)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도록 부착되는 것이며, 복수의 종류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부착되도록 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 the camera apparatus described in this embodiment is configured to include the exposure condition switching unit main body 10, the lens fixing unit 20, and the image pickup device unit 30 in large divisions. The lens fixing unit 20 and the image pickup device unit 30 are attached to the exposure condition switching unit main body 10 in a detachable manner, and any one of a plurality of types is selectively attached.

이하 이들 각 유닛(10, 20, 30)에 대해서 각각의 개략적인 구성을 설명한다.Each of these units 10, 20, and 30 will be described in schematic structure.

(1-1.노광조건 전환유닛 본체의 개략적인 구성)(1-1.Schematic Configuration of Exposure Unit Switching Unit)

노광조건 전환유닛 본체(10)는, 도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외광이 입사하는 노광용의 개구부(140)를 구비한 박형 중공(薄形中孔)의 하우징(101)과, 하우징(101)의 내부에 수용된 노광조건 전환기구부(150)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하우징(101)의 외광 입사방향(外光入射方向)의 전면 측에 렌즈 고정유닛(20)(도면 중에는 일부를 표시)이 장착되고, 하우징(101)의 외광 입사방향의 후면 측에 도시되지 않은 촬상소자 유닛(30)이 장착되도록 되어 있다.As shown in FIG. 2, the exposure condition switching unit main body 10 includes a thin hollow housing 101 having an opening 140 for exposure to which external light is incident, and a housing 101. It consists of an exposure condition switching mechanism unit 150 accommodated therein. The lens fixing unit 20 (shown in part in the drawing) is mounted on the front side of the external light incident direction of the housing 101, and is not shown on the rear side of the external light incident direction of the housing 101. The imaging device unit 30 is mounted.

하우징(101)은, 외광(外光)의 입사방향의 전면 측에 위치하는 전면 케이스(이하 「상부 커버」라고도 한다)(120)와, 후면 측에 위치하는 후면 케이스(이하 「하부 베이스」라고도 한다)(110)로 구성된다. 그리고 전면 케이스(120)와 후면 케이스(110)를 서로 합쳐서 생성되는 공간의 내부에 노광조건 전환기구부(150)를 수용하고 있다. 후면 케이스(110)는, 유닛의 베이스(base)가 되는 얕은 상자모양의 부재이며, 전체적으로 평판 모양으로 형성되고, 하면(下面)(외측 표면)의 중앙부분이 평평한(flat) 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면 케이스(120)는, 유닛의 커버(cover)가 되는 평판 모양의 부재이며, 상면(上面)(외측 표면)의 전체가 평평한 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전면 케이스(120)와 후면 케이스(110)는, 내부에 노광조건 전환기구부(150)를 수용한 후에, 후면 케이스(110)의 가장자리 부분에 설치한 폴(112)에 전면 케이스(120)의 가장자리 부분에 설치한 결합부(122)를 결합시켜서, 후면 케이스(110) 위에 전면 케이스(120)를 씌우고, 그 상태에서, 전면 케이스(120)의 삽입구멍(121)에 통과시킨 나사(131)의 선단을, 후면 케이스(110)의 나사구멍(111)으로 나사 삽입하는 것에 의하여 일체로 결합되고, 이에 따라 하우징(101)을 구성하고 있다.The housing 101 includes a front case 120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top cover") located on the front side in the incident direction of external light, and a rear cas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bottom base") located on the back side. 110). In addition, the exposure condition switching mechanism unit 150 is accommodated in the space generated by combining the front case 120 and the rear case 110. The rear case 110 is a shallow box-shaped member serving as a base of the unit, and is generally formed in a flat plate shape, and the center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outer surface) is formed with a flat surface. . The front case 120 is a flat member that serves as a cover of the unit, and is composed of a flat surface of the entire upper surface (outer surface). After the front case 120 and the rear case 110 accommodate the exposure condition switching mechanism unit 150 therein, the front case 120 is mounted on the pole 112 provided at the edge of the rear case 110. The coupling part 122 installed at the edge portion is engaged to cover the front case 120 on the rear case 110, and in that state, the screw 131 passed through the insertion hole 121 of the front case 120. The front end of the casing is integrally coupled by screwing into the screw hole 111 of the rear case 110, thereby constituting the housing 101.

하우징(101) 내에 수용되는 노광조건 전환기구부(150)는, 렌즈 고정유닛(20)으로부터 하우징(101)의 개구부(140)를 통하여 도시되지 않은 촬상소자 유닛(30)에 입사하는 빛의 노광조건을 전환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개구부(140)에 의해 구성되는 광로(光路)에 대하여, 광학소자(光學素子)의 일례인 적외선 차단필터를 빼고 넣는 것에 의해 노광조건을 전환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노광조건 전환기구부(150)는, 필터 전환기구부에 상당하는 것이다. 다만 노광조건 전환기구부(150)가 필터 전환기구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아이리스(조리개)나 셔터 등의 다른 광학소자에 의해 노광조건을 전환하는 구성이어도 무방하다.The exposure condition switching mechanism unit 150 accommodated in the housing 101 is an exposure condition of light incident on the imaging device unit 30 (not shown) from the lens fixing unit 20 through the opening 140 of the housing 101. To switch. Specifically, exposure conditions are switched by removing and inserting an infrared cut filter, which is an example of an optical element, into an optical path formed by, for example, the opening 140. Therefore, the exposure condition switching mechanism part 150 in this embodiment is corresponded to a filter switching mechanism part. However, the exposure condition switching mechanism 150 is not limited to the filter switching mechanism and may be configured to switch the exposure conditions by other optical elements such as an iris or a shutter.

또, 하우징(101)을 구성하는 후면 케이스(110)의 내부에는, 전면 케이스(120)에 형성된 3개의 삽입구멍(123)에 대응시켜서, 렌즈 고정유닛(20)을 고정하기 위한 3개의 나사구멍(113)이 설치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후면 케이스(110)의 하면에는, 도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촬상소자 유닛(30)을 고정하기 위한 3개의 나사구멍(114)이 설치되어 있다.In addition, three screw holes for fixing the lens fixing unit 20 in correspondence with the three insertion holes 123 formed in the front case 120 are formed inside the rear case 110 constituting the housing 101. 113 is provided. Similarly, three screw holes 114 for fixing the imaging device unit 30 are provided in the lower surface of the rear case 110 as shown in FIG.

(1-2.렌즈 고정유닛의 개략적인 구성)(1-2.Schematic Configuration of Lens Fixing Unit)

렌즈 고정유닛(20)은, 노광조건 전환유닛 본체(10)에 있어서의 하우징(101)의 외광 입사방향의 전면 측에서, 촬상소자 유닛(30)으로의 광로 위에 배치되는 렌즈를 지지하여 고정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렌즈 고정유닛(20)은, 도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촬상소자 유닛(30)으로의 광로 상에서 집광(集光) 및 결상(結像)을 수행하는 렌즈(261, 271)를 지지하는 렌즈 유닛(250A, 250B)과, 그 렌즈 유닛(250A, 250B)을 지지한 상태에서 노광조건 전환유닛 본체(10)의 하우징(101)에 장착되는 홀더 유닛(200A, 200B)을 구비해서 구성되어 있다.The lens fixing unit 20 supports and fixes a lens disposed on an optical path to the imaging device unit 30 on the front side of the housing 101 of the exposure condition switching unit main body 10 in the external light incident direction. will be. To this end, the lens fixing unit 20 supports the lenses 261 and 271 which focus and image on the optical path to the image pickup device unit 30, as shown in FIG. The lens unit 250A, 250B, and the holder units 200A, 200B mounted on the housing 101 of the exposure condition switching unit main body 10 while supporting the lens units 250A, 250B. It is.

그런데 렌즈 고정유닛(20)으로서는, 도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2종류 타입의 것을 고려할 수 있고, 각각의 타입의 렌즈 유닛(250A, 250B)에 대응하는 2종류의 홀더 유닛(200A, 200B)이 준비되어서, 어느 하나의 홀더 유닛(200A, 200B)을 선택하여 노광조건 전환유닛 본체(10)에 부착되도록 되어 있다.As the lens fixing unit 20, two types of ones can be considered as shown in Fig. 1, and two types of holder units 200A and 200B corresponding to each type of lens units 250A and 250B are provided. In preparation, any one of the holder units 200A and 200B is selected and attached to the exposure condition switching unit main body 10.

제1타입의 렌즈 유닛(250A)은 원통형상의 렌즈 프레임(260)에 의해 렌즈(261)를 지지하고, 그 렌즈 프레임(260)의 하단 외주부(下端外周部)에 홀더 유닛(200A)과 연결하기 위한 연결 홈부(連結溝部)(262)를 형성한 것이다.The first type lens unit 250A supports the lens 261 by a cylindrical lens frame 260 and connects the holder unit 200A to the lower outer periphery of the lens frame 260. The connection groove part 262 for this is formed.

또한 제2타입의 렌즈 유닛(250B)은, 렌즈 프레임(270)과 렌즈(271)를 일체로 형성하고, 렌즈 프레임(270)의 하단에 홀더 유닛(200B)과 연결하기 위한 수 나사부(272)를 형성한 것이다.In addition, the second type lens unit 250B integrally forms the lens frame 270 and the lens 271, and has a male screw part 272 for connecting to the holder unit 200B at the lower end of the lens frame 270. It is formed.

한편 제1및 제2타입의 홀더 유닛(200A, 200B)은, 각 렌즈 유닛(250A, 250B)에 각각 맞춰서 준비되어 있지만, 노광조건 전환유닛 본체(10)로의 장착 구조는 어느 것이나 모두 공통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the holder units 200A and 200B of the first and second types are prepared in accordance with the lens units 250A and 250B, respectively, the mounting structure to the exposure condition switching unit main body 10 is common to all. .

즉 제1타입의 홀더 유닛(200A)은 원통모양으로 형성된 렌즈 유닛 장착부(210)를 구비함과 아울러, 그 렌즈 유닛 장착부(210)의 하단부에, 노광조건 전환유닛 본체(10)의 하우징(101)에 맞춘 플랜지(215)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렌즈 유닛 장착부(210)의 원통 내측(211)에는, 제1타입의 렌즈 유닛(250A)의 렌즈 프레임(260)의 하단이 꼭 들어맞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플랜지(215)에는, 하우징(101)의 전면 케이스(120)의 삽입구멍(123) 및 후면 케이스(110)의 나사구멍(113)에 대응하는 3개의 나사삽입구멍(213)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플랜지(215)의 나사삽입구멍(213)에 나사(216)를 통과시키고, 그 나사(216)의 선단을 전면 케이스(120)의 삽입구멍(123)을 통하여, 후면 케이스(110)의 내부에 형성한 나사구멍(113)에 나사 삽입하는 것에 의하여 홀더 유닛(200A)이 노광조건 전환유닛 본체(10)의 하우징(101)의 전면 측에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이 홀더 유닛(200A)에 대응하는 렌즈 유닛(250A)을, 중간부재인 홀더 유닛(200A)을 사이에 두고 노광조건 전환유닛 본체(10)에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the first type of holder unit 200A includes a lens unit mounting portion 210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at the lower end of the lens unit mounting portion 210, the housing 101 of the exposure condition switching unit main body 10. ), A flange 215 is provided. The lower end of the lens frame 260 of the first type lens unit 250A is configured to fit snugly into the cylindrical inner 211 of the lens unit attaching part 210. The flange 215 is provided with three screw insertion holes 213 corresponding to the insertion hole 123 of the front case 120 of the housing 101 and the screw hole 113 of the rear case 110. . Then, the screw 216 is passed through the screw insertion hole 213 of the flange 215, and the tip of the screw 216 is passed through the insertion hole 123 of the front case 120. The holder unit 200A is fixed to the front side of the housing 101 of the exposure condition switching unit main body 10 by screwing into the screw hole 113 formed therein. Accordingly, the lens unit 250A corresponding to the holder unit 200A can be fixed to the exposure condition switching unit main body 10 with the holder unit 200A serving as the intermediate member therebetween.

또한 제2타입의 홀더 유닛(200B)은 원통모양으로 형성된 렌즈 유닛 장착부(210)를 구비함과 아울러 그 렌즈 유닛 장착부(210)의 하단부에, 노광조건 전환유닛 본체(10)의 하우징(101)에 맞춘 플랜지(215)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렌즈 유닛 장착부(210)의 원통 내측에는, 제2타입의 렌즈 유닛(250B)의 렌즈 프레임(270)의 수 나사부(272)가 나사결합 하는 암 나사부(221)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플랜지(215)에는, 제1타입의 홀더 유닛(200A)과 마찬가지로 나사삽입구멍(213)이 설치되어 있고, 나사(216)를 사용해서 하우징(101)에 홀더 유닛(200B)이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이 홀더 유닛(200B)에 대응하는 렌즈 유닛(250B)을, 중간부재인 홀더 유닛(200B)을 사이에 두고 노광조건 전환유닛 본체(10)에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second type holder unit 200B includes a lens unit mounting portion 210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at the lower end of the lens unit mounting portion 210, the housing 101 of the exposure condition switching unit main body 10. Flange 215 is fitted. And inside the cylinder of the lens unit attaching part 210, the female screw part 221 which the male screw part 272 of the lens frame 270 of the 2nd type lens unit 250B screw-fits is provided. The flange 215 is provided with a screw insertion hole 213 in the same manner as the holder unit 200A of the first type, and the holder unit 200B is fixed to the housing 101 using the screw 216. have. Accordingly, the lens unit 250B corresponding to the holder unit 200B can be fixed to the exposure condition switching unit main body 10 with the holder unit 200B serving as the intermediate member interposed therebetween.

또 여기에서는 렌즈 고정유닛(20)으로서 2종류의 타입을 고려한 경우를 예로 들고 있지만, 렌즈 고정유닛(20)의 종류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물론이다. 즉 렌즈 고정유닛(20)은, 1종류의 타입 뿐이어도 무방하고, 혹은 3종류 이상의 타입이 있어도 무방하다.In addition, although the case where two types were considered as the lens fixing unit 20 is mentioned here as an example, the kind of the lens fixing unit 20 is not limited to this, of course. That is, the lens fixing unit 20 may be only one type, or may be three or more types.

(1-3.촬상소자 유닛의 개략적인 구성)(1-3.Schematic Configuration of Image Device Unit)

촬상소자 유닛(30)은, 노광조건 전환유닛 본체(10)에 있어서의 하우징(101)의 외광 입사방향의 후면 측에서, 촬영을 수행하기 위한 촬상소자를 지지하여 고정을 하는 것이다. 그 때문에 촬상소자 유닛(30)은, 도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CCD(Charge Coupled Device) 등의 촬상소자(370A1, 370A2, 370B)가 실장(實裝)된 회로기판(350A1, 350A2, 350B)과, 그 회로기판(350A1, 350A2, 350B)을 지지한 상태에서 노광조건 전환유닛 본체(10)의 하우징(101)에 장착되는 촬상소자 장착부재(300A, 300B)를 구비해서 구성되어 있다.The imaging device unit 30 supports and fixes the imaging device for performing imaging on the back side of the housing 101 in the exposure condition switching unit main body 10 in the external light incident direction. Therefore, the image pickup device unit 30 is a circuit board 350A1, 350A2, 350B in which image pickup devices 370A1, 370A2, 370B, such as a CCD (Charge Coupled Device), are mounted, as shown in FIG. And image pickup device mounting members 300A, 300B mounted on the housing 101 of the exposure condition switching unit main body 10 while supporting the circuit boards 350A1, 350A2, 350B.

그런데 촬상소자 유닛(30)으로서는, 도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3종류의 타입의 것을 고려할 수 있다. 다만 그 중 2개의 타입의 회로기판(350A1, 350A2)은 공통의 촬상소자 장착부재(300A)를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2종류 타입의 촬상소자 장착부재(300A, 300B)가 준비 되어진다. 그리고 어느 하나의 촬상소자 장착부재(300A, 300B)를 선택하여 노광조건 전환유닛 본체(10)에 부착되도록 되어 있다.By the way, as the imaging device unit 30, three types of things can be considered as shown in FIG. However, since the two types of circuit boards 350A1 and 350A2 can use a common imaging device mounting member 300A, two types of imaging device mounting members 300A and 300B are prepared. Then, any one of the image pickup device mounting members 300A and 300B is selected to be attached to the exposure condition switching unit main body 10.

어느 타입의 회로기판(350A1, 350A2, 350B)도, 일방의 면 측의 대략 중앙부에 종류가 다른 촬상소자(370A1, 370A2, 370B)를 실장한 것이다. 그리고 각 회로기판(350A1, 350A2, 350B)에는 나사삽입구멍(361)이 설치되어 있고, 이들 나사삽입구멍(361)에 통과시킨 나사(362)에 의하여 촬상소자 장착부재(300A, 300B)에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Both types of circuit boards 350A1, 350A2, and 350B are also mounted with different types of imaging elements 370A1, 370A2, and 370B at substantially central portions on one surface side. Each circuit board 350A1, 350A2, 350B is provided with a screw insertion hole 361, and is fixed to the imaging device mounting members 300A, 300B by screws 362 passed through these screw insertion holes 361. I can do it.

한편 2개의 타입의 촬상소자 장착부재(300A, 300B)는 노광조건 전환유닛 본체(10)에의 연결구조를 공통으로 하여, 각 회로기판(350A1, 350A2, 350B)에 각각 맞추어서 준비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two types of image pickup device mounting members 300A and 300B have a common connection structure to the exposure condition switching unit main body 10, and are prepared in accordance with the respective circuit boards 350A1, 350A2 and 350B.

즉 어느 쪽 타입의 촬상소자 장착부재(300A, 300B)도, 도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체부(310)의 적당한 부분에, 하우징(101)의 후면 케이스(110)의 나사구멍(114)에 체결하기 위한 나사(315)를 통과시키는 공통의 나사삽입구멍(314)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회로기판(350A1, 350A2, 350B)을 촬상소자 장착부재(300A, 300B)에 연결했을 때에, 촬상소자(370A1, 370A2, 370B)를 하우징(101)의 개구부(140)에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결정하면서, 외부로부터의 빛의 침입을 차단하도록 수용하는 프레임부(312)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이들 프레임부(312)의 크기나 형상 등은, 촬상소자 장착부재(300A, 300B)마다 다르게 되어 있고, 각각 대응하는 촬상소자(370A1, 370A2, 370B)의 타입에 맞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촬상소자 장착부재(300A, 300B)에는, 회로기판(350A1, 350A2, 350B)을 나사(362)로 고정하기 위한 나사구멍(316)이 설치되어 있다.That is, either type of image pickup device mounting members 300A and 300B also have a proper por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310 as shown in FIG. 3 and a screw hole 114 of the rear case 110 of the housing 101. The common screw insertion hole 314 which passes the screw 315 for fastening is provided. Further, when the circuit boards 350A1, 350A2 and 350B are connected to the image pickup device mounting members 300A and 300B, the image pickup devices 370A1, 370A2 and 370B are position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opening 140 of the housing 101. It is provided with the frame part 312 accommodating so that the intrusion of light from the exterior may be carried out while determining. However, the size, shape, and the like of these frame portions 312 are different for each of the image pickup device mounting members 300A and 300B, and are formed to match the types of the image pickup devices 370A1, 370A2, and 370B, respectively. Further, each of the image pickup device mounting members 300A, 300B is provided with a screw hole 316 for fixing the circuit boards 350A1, 350A2, 350B with the screws 362.

따라서 촬상소자 유닛(30)에서는 이들 각 촬상소자 장착부재(300A, 300B)에 대응하는 회로기판(350A1, 350A2, 350B)을, 중간부재인 촬상소자 장착부재(300A, 300B)를 사이에 두고 노광조건 전환유닛 본체(10)에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the imaging device unit 30 exposes the circuit boards 350A1, 350A2, and 350B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imaging device mounting members 300A and 300B, with the imaging device mounting members 300A and 300B serving as intermediate members interposed therebetween. It can be fixed to the condition switching unit body (10).

또한 촬상소자 유닛(30)에 있어서도, 렌즈 고정유닛(2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그 종류가 상기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물론이다.In the imaging device unit 30, as well as in the case of the lens fixing unit 20, the kind is of course not limited to the above example.

<2.렌즈 고정유닛의 상세한 구성> <2.Detailed Structure of the Lens Fixing Unit>

다음에 상기한 구성의 카메라 장치에 있어서의 렌즈 고정유닛(20)에 대해서 구체적인 예를 들고, 그 특징적인 구성을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Next, a specific example will be given of the lens fixing unit 20 in the camera device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nd its characteristic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렌즈 고정유닛(20)으로서는, 1개의 노광조건 전환유닛 본체(10)에 대하여, 복수 종류의 타입을 준비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2종류의 타입을 제1구체예 및 제2구체예로서 들고, 각각에 대해서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제1구체예 및 제2구체예의 설명 후에는, 그 변형예로서 제3구체예를 설명한다.As described above, as the lens fixing unit 20, it is possible to consider preparing a plurality of types of the exposure condition switching unit main body 10. Here, two types are described as the first specific example and the second specific example, and each will be described sequentially. In addition, after description of a 1st specific example and a 2nd specific example, a 3rd specific example is demonstrated as a modification.

(2-1.제1구체예) (2-1.First embodiment example)

제1구체예에서는, 카메라 장치의 전체 구성에 대해서 설명했을 때의 제2타입의 렌즈 고정유닛을 예로 든다.In the first embodiment, the lens fixing unit of the second type is described as an example when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camera apparatus is described.

도4는 렌즈 고정유닛의 제1구체예에 있어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5는 렌즈 고정유닛의 제1구체예에 있어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3면도, 도6은 렌즈 고정유닛의 제1구체예에 있어서의 홀더 유닛의 구성을 나타내는 3면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in a first specific example of the lens fixing unit, FIG. 5 is a three side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in a first specific example of the lens fixing unit, and FIG. It is a three side view which shows the structure of the holder unit in a 1st specific example.

제1구체예에 있어서의 렌즈 고정유닛은 도4 또는 도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렌즈 유닛(250B)과, 홀더 유닛(200B)을 구비하고 있다.The lens fixing unit in the first embodiment includes a lens unit 250B and a holder unit 200B, as shown in FIG. 4 or 5.

렌즈 유닛(250B)은, 렌즈 프레임(270)과 렌즈(271)를 일체로 형성하고, 렌즈 프레임(270)의 하단에 홀더 유닛(200B)과 연결하기 위한 수 나사부(272)를 형성한 것이다. 이 수 나사부(272)는 호칭되는 지름과 피치가, 예를 들면 M12×0.5로 되어 있다. The lens unit 250B forms the lens frame 270 and the lens 271 integrally, and forms the male screw part 272 at the lower end of the lens frame 270 for connecting with the holder unit 200B. The male screw portion 272 has a nominal diameter and pitch, for example, M12 × 0.5.

한편 홀더 유닛(200B)은 원통모양으로 형성된 렌즈 유닛 장착부(210)와, 그 하단부에 형성된 플랜지(215)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렌즈 유닛 장착부(210)의 원통 내측에는, 렌즈 프레임(270)의 수 나사부(272)가 나사결합 하는 암 나사부(221)가 형성되어 있다. 이 암 나사부(221)는, 수 나사부(272)가 나사결합 하므로, 당해 수 나사부(272)와 마찬가지로 호칭되는 지름과 피치가, 예를 들면 M12×0.5로 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holder unit 200B includes a lens unit mounting portion 210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a flange 215 formed at its lower end portion. And the female screw part 221 which the male screw part 272 of the lens frame 270 screws is formed in the cylinder inside of the lens unit mounting part 210. Since the male screw portion 221 is screwed by the male screw portion 272, the diameter and pitch, which are referred to as the male screw portion 272, are, for example, M12 x 0.5.

따라서 렌즈 유닛(250B)과 홀더 유닛(200B)에 있어서는, 수 나사부(272)와 암 나사부(221)가 나사결합 함으로써, 렌즈 유닛 장착부(210)의 원통 내에 렌즈 유닛(250B)이 렌즈(271)의 광축방향(光軸方向)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또, 여기에서 말하는 「광축방향」이라는 것은, 렌즈(271)의 회전 대칭축(回轉對稱軸)에 따른 방향이다.Therefore, in the lens unit 250B and the holder unit 200B, the male screw portion 272 and the female screw portion 221 are screwed together, whereby the lens unit 250B in the cylinder of the lens unit mounting portion 210 is the lens 271. It is mounted so that a movement along the optical axis direction of is possible. In addition, the term "optical axis direction" as used herein is a direction along the axis of rotation symmetry of the lens 271.

또한 홀더 유닛(200B)은, 플랜지(215)의 나사삽입구멍(213)에 나사(216)를 통과시키고, 그 나사(216)를 노광조건 전환유닛 본체(10)의 후면 케이스(110)의 내부의 나사구멍에 나사 삽입하는 것에 의하여 당해 노광조건 전환유닛 본체(10)의 하우징(101)의 전면 측에 고정된다. 따라서 홀더 유닛(200B)을 하우징(101)의 전면 측에 고정한 상태에서, 암 나사부(221)에 대한 수 나사부(272)의 돌려 넣는 정도를 조정하면, 렌즈 유닛(250B)에 있어서의 렌즈(271)의 초점조정이 이루어진다. 즉, 수 나사부(272)와 암 나사부(221)와의 나사결합상태를 미세하게 회전조정 함으로써 렌즈(271)의 초점을 촬상소자 유닛(30)에 있어서의 촬상소자(370A1, 370A2, 370B) 상에 맞출 수 있다.In addition, the holder unit 200B passes the screw 216 through the screw insertion hole 213 of the flange 215, and passes the screw 216 into the rear case 110 of the main body 10 of the exposure condition switching unit. It is fixed to the front side of the housing 101 of the exposure condition switching unit main body 10 by screwing into the screw hole of the said. Therefore, when the holder screw 200B is fixed to the front side of the housing 101 and the turning degree of the male screw 272 with respect to the female screw 221 is adjusted, the lens 271 in the lens unit 250B is adjusted. ) Is adjusted. That is, by finely adjusting the screw engagement state between the male screw portion 272 and the female screw portion 221, the focus of the lens 271 is focused on the image pickup elements 370A1, 370A2, and 370 ° in the image pickup unit 30. Can be adjusted.

그런데 렌즈(271)의 초점조정을 수행한 후에는 그 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정해 둘 필요가 있다. CCTV카메라 등의 용도에서는, 초점조정을 다시하는 것이 불필요한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또한 초점조정 후에 수 나사부(272)와 암 나사부(221)와의 나사결합상태가 변화해서 렌즈(271)의 초점위치에 이상이 발생하면 양호한 촬영 결과가 얻어지지 않기 때문이다.However, after performing the focus adjustment of the lens 271, it is necessary to fix it to maintain the state. This is because it is often unnecessary to redo the focusing in applications such as CCTV cameras. This is because if the screw engagement state between the male screw portion 272 and the female screw portion 221 changes after the focus adjustment, and an abnormality occurs in the focus position of the lens 271, good photographing results are not obtained.

그 때문에 렌즈 고정유닛(20)은 렌즈 유닛(250B) 및 홀더 유닛(200B)에 더하여, 고정 나사(290)를 구비해서 구성된다. 고정 나사(290)는 렌즈 유닛 장착부(210)의 원통 내에 있어서의 렌즈 유닛(250B)의 위치 고정 때문에, 당해 렌즈 유닛 장착부(210)의 원통 바깥에서부터 원통 안을 향해서 나사결합되는 것이다.Therefore, the lens fixing unit 20 is provided with the fixing screw 290 in addition to the lens unit 250B and the holder unit 200B. The fixing screw 290 is screwed from the outside of the cylinder of the lens unit mounting portion 210 toward the inside of the cylinder because of the position fixing of the lens unit 250B in the cylinder of the lens unit mounting portion 210.

또한 홀더 유닛(200B)의 렌즈 유닛 장착부(210)에는, 렌즈(271)의 광축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그 원통 바깥에서부터 원통 안을 향하고, 고정 나사(290)의 나사결합을 위한 장착구멍이 설치되어 있다. 다만 이 장착구멍은, 도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렌즈 유닛 장착부(210)의 원통 안을 관통하지 않는 비관통구멍(231)으로 되어 있다.The lens unit mounting portion 210 of the holder unit 200B is provided with a mounting hole for screwing the fixing screw 290 from the outside of the cylinder in the cylinder along the direction crossing the optical axis direction of the lens 271. It is. However, this mounting hole is a non-through hole 231 which does not penetrate into the cylinder of the lens unit mounting part 210 as shown in FIG.

고정 나사(290)의 장착구멍이 비관통구멍(231)이기 때문에 렌즈 유닛 장착부(210)에 있어서는, 비관통구멍(231)의 바닥부와 당해 렌즈 유닛 장착부(210)의 통의 내면(즉 암 나사부(221)의 나사산 부분)과의 사이에, 얇은 두께 모양의 개재부(介在部)(232)가 존재하게 된다. 이 개재부(232)는, 비관통구멍(231)에 나사결합된 고정 나사(290)의 선단으로 가압(加壓)되는 경우에, 렌즈 유닛 장착부(210)의 원통 내측을 향해서 변형하는 두께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즉 이러한 개재부(232)의 살두께가 되도록, 렌즈 유닛 장착부(210)의 통의 두께에 대한 비관통구멍(231)의 형성 깊이가 설정되어 있는 것이다.Since the mounting hole of the fixing screw 290 is the non-penetrating hole 231, in the lens unit mounting portion 210, the bottom surface of the non-through hole 231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cylinder of the lens unit mounting portion 210 (ie, the arm). Between the threaded portion of the threaded portion 221, a thin interposed portion 232 is present. The interposition portion 232 has a thickness that deforms toward the inside of the cylinder of the lens unit mounting portion 210 when the interposition portion 232 is pressed to the distal end of the fixing screw 290 screwed to the non-through hole 231. It is formed. That is, the depth of formation of the non-penetrating hole 231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 of the cylinder of the lens unit mounting part 210 is set so that the thickness of this interposition part 232 may be set.

또 렌즈 유닛 장착부(210)에 있어서의 비관통구멍(231)의 형성 부분에는, 당해 비관통구멍(231)의 형성 깊이로서 고정 나사(290)의 나사결합에 충분한 깊이를 확보하기 위해서, 당해 렌즈 유닛 장착부(210)의 원통 외주면에서 원통 바깥을 향해서 돌출한 볼록 형상부(凸形狀部)(233)를 형성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Moreover, in order to ensure the depth sufficient for screwing of the fixing screw 290 as the formation depth of the said non-penetrating hole 231 in the formation part of the non-penetrating hole 231 in the lens unit mounting part 210, the said lens It may be considered to form a convex portion 233 protruding from the cylindrical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nit mounting portion 210 toward the outside of the cylinder.

이상과 같은 구성의 렌즈 고정유닛(20)에서는 비관통구멍(231)에 고정 나사(290)를 나사결합하면, 당해 나사결합에 의해 개재부(232)가 가압되어, 당해 렌즈 유닛 장착부(210)의 통의 내면, 즉 암 나사부(221)의 나사산 부분이 원통 내측을 향해서 변형한다. 이에 따라 암 나사부(221)와 나사결합 상태에 있는 렌즈 유닛(250B)의 수 나사부(272)는 당해 암 나사부(221) 내에서의 회전이 제한되므로, 그 결과로서 당해 암 나사부(221) 내에서의 위치가 고정된다. 즉 비관통구멍(231)으로의 고정 나사(290)의 나사결합에 의하여 렌즈 유닛 장착부(210)의 통 안에 있어서의 렌즈 유닛(250B)의 위치가 고정되는 것이다.In the lens fixing unit 20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hen the fixing screw 290 is screwed into the non-through hole 231, the interposition portion 232 is pressed by the screwing, and the lens unit mounting portion 210 is screwed. The inner surface of the barrel, that is, the threaded portion of the female threaded portion 221 deforms toward the inside of the cylinder. As a result, the male threaded portion 272 of the lens unit 250B in the screwed state with the female threaded portion 221 is limited in rotation in the female threaded portion 221, and as a result, in the female threaded portion 221 The position of is fixed. That is, the position of the lens unit 250B in the cylinder of the lens unit mounting portion 210 is fixed by screwing the fixing screw 290 into the non-through hole 231.

이 때 비관통구멍(231)에 고정 나사(290)를 나사결합 하기 때문에 얇은 두께 모양의 개재부(232)의 존재에 의하여 당해 고정 나사(290)의 선단(先端)이 렌즈 유닛 장착부(210)의 원통 안으로 노출되는 일이 없다. 즉, 렌즈 유닛 장착부(210) 내에 장착된 렌즈 유닛(250B)의 수 나사부(272)에 대하여, 고정 나사(290)의 선단이 직접 접촉하는 일이 없다. 따라서 고정 나사(290)를 나사결합 하는 경우에도 당해 고정 나사(290)의 선단과 수 나사부(272)와의 접촉에 의한 이물질(異物質)발생의 우려가 없다. 이물질발생의 우려가 없으면, 당해 이물질이 광로(光路) 안으로 산란(散亂)하는 일도 없고, 그 결과로서 당해 이물질이 촬상소자 유닛(30)에서의 촬영 결과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fixing screw 290 is screwed into the non-penetrating hole 231, the tip of the fixing screw 290 is formed by the presence of the thin interposed portion 232. It is not exposed into the cylinder of. That is, the tip of the fixing screw 290 does not directly contact the male screw portion 272 of the lens unit 250B mounted in the lens unit mounting portion 210. Therefore, even when screwing the fixing screw 290, there is no fear of foreign matters generated by the contact of the tip of the fixing screw 290 and the male screw portion 272. If there is no fear of foreign matters, the foreign matters are not scattered into the optical path, and as a result, the foreign matters can be prevented from adversely affecting the photographing result in the imaging device unit 30. have.

또한 비관통구멍(231)이 설치된 홀더 유닛(200B)에 대해서는, 관통구멍 구조의 경우와는 달리, 당해 홀더 유닛(200B)을 성형 가공에 의하여 제작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즉, 관통구멍 구조는 성형 가공에 의한 제작이 곤란한 것에 비해서, 비관통구멍 구조이면 성형 가공에 의한 제작이 용이하다. 또한 비관통구멍(231)이 설치된 홀더 유닛(200B)에 있어서는, 당해 비관통구멍(231)을 형성할 때에 렌즈 유닛 장착부(210)의 원통 내면에 버(burr) 등이 발생할 우려도 없다. 즉 관통구멍가공, 버(burr) 제거, 통 안의 암 나사부 연마 등의 후가공을 요하는 일이 없다. 이에 따라, 비관통구멍 구조의 홀더 유닛(200B)은 관통구멍 구조의 경우에 비하여 제작비용의 삭감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unlike the case of through-hole structure, with respect to the holder unit 200B provided with the non-through hole 231, it becomes easy to manufacture the said holder unit 200B by shaping | molding process. In other words, the through-hole structure is easy to be manufactured by the forming process as long as the through-hole structure is difficult to produce by the forming process. Moreover, in the holder unit 200B provided with the non-through hole 231, a burr etc. do not generate | occur | produce in the cylindrical inner surface of the lens unit mounting part 210 when forming the said non-penetrating hole 231. FIG. In other words, post-processing such as through-hole processing, burr removal, and female thread grinding in the cylinder is not required. As a result, the holder unit 200B of the non-through hole structure can easily realize a reduction in manufacturing cost as compared with the case of the through-hole structure.

이러한 홀더 유닛(200B)은 압출성형이나 사출성형 등으로 대표되는 수지재료(樹脂材料)의 성형 가공에 의하여 형성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비관통구멍 구조는 관통구멍 구조와는 달리 성형 가공에 적당한 구조이기 때문이다.Such a holder unit 200B may be formed by molding a resin material such as extrusion molding or injection molding. This is because the non-through hole structure is a structure suitable for forming processing unlike the through hole structure.

또한 수지재료를 사용한 경우에는 금속 등의 타재료를 사용한 경우 에 비해, 렌즈 유닛 장착부(210)의 개재부(232)를 용이하게, 그리고 확실하게 변형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금속 등의 타재료를 사용한 경우와 비교하면, 렌즈 유닛 장착부(210)의 통 두께, 비관통구멍(231)의 깊이, 개재부(232)의 두께 등에 대해서 그 형성 치수를 고정밀도로 관리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형성 치수의 저정밀도화에 의한 홀더 유닛(200B)의 제작비용 삭감도 기대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resin material is used, the interposition portion 232 of the lens unit mounting portion 210 can be easily and reliably deformed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other materials such as metal are used. That i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other materials, such as metal, are used, it is necessary to manage the formation dimension with respect to the cylinder thickness of the lens unit mounting part 210, the depth of the non-through hole 231, the thickness of the interposition part 232, etc. with high precision. There is no. Therefore,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holder unit 200B can be reduced by lowering the formed dimensions.

다만 본 발명에 있어서의 홀더 유닛은, 수지재료의 성형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금속재료에 의한 다이캐스팅 성형품 이더라도 좋다. 또한 성형 가공 이외에 절삭가공(切削加工) 등을 거쳐서 형성되는 것이라도 좋다. 또한 수지재료를 사용해서 형성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그 수지재료의 종류가 특별하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owever, the holder unit i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a molded article of a resin material, and may be a die cast molded article made of a metal material. Moreover, what is formed through cutting processing etc. other than a shaping process may be formed. Moreover, also when forming using a resin material, the kind of resin material is not specifically limited.

홀더 유닛(200B)의 렌즈 유닛 장착부(210)에 나사결합되는 고정 나사(290)는, 셀프탭핑 나사(self-tapping screw)를 사용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셀프탭핑 나사」는, 나사산(螺絲山)이 없는 곳에 나사 자체에 의하여 나사산을 새기면서 체결해 가는 타입의 나사이다. 더 상세하게는, 나사 외경보다 작으면서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지 않거나 나사산을 형성하기 위한 보조 나사산이 형성된 구멍(탭구멍(下穴), 보스(boss))에, 나사 자체에 의하여 나사산을 새기면서 체결(고정)해 가는 셀프 탭(self tap) 기능을 갖춘 나사 뿐만 아니라 널리 당해 나사에 유사한 기구 전반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JIS(Japanese Industrial standard; 일본공업규격) B 1007에서 규정된 형상의 나사부를 구비하는 것을 들 수 있다.As the fixing screw 290 screwed to the lens unit mounting portion 210 of the holder unit 200B, a self-tapping screw may be used. The "self-tapping screw" is a screw of the type which tightens while screwing a thread by the screw itself in the place where a thread does not exist. More specifically, the screw is screwed into the hole (tab hole, boss) which is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screw and has no thread or the auxiliary thread for forming the thread. As well as screws with self-tapping (fastening), they generally mean mechanisms similar to these screws. Specifically, what includes the screw part of the shape prescribed | regulated by JIS (Japanese Industrial Standard) B1007 is mentioned.

이러한 셀프탭핑 나사를 고정 나사(290)로서 사용하면, 당해 고정 나사(290)가 나사결합되는 비관통구멍(231)에 미리 나사산을 형성해 둘 필요가 없다. 따라서 미리 나사산을 형성해 두는 경우에 비해서 홀더 유닛(200B)의 제작비용 삭감이 가능하다. 또한 미리 나사산을 형성해 둘 필요가 없기 때문에, 당해 홀더 유닛(200A)을 성형 가공에 의하여 제작하는 경우에 적용하면 매우 적합한 것이 된다.When such a self-tapping screw is used as the fixing screw 290, it is not necessary to form a thread in advance in the non-through hole 231 to which the said fixing screw 290 is screwed. Therefore,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holder unit 200B can be reduced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screw thread is formed in advance. In addition, since it is not necessary to form a screw thread beforehand, it becomes suitable when it applies to the case where the said holder unit 200A is manufactured by shaping | molding process.

고정 나사(290)로서의 셀프탭핑 나사는, 홀더 유닛(200B)이 수지재료로부터 이루어진 경우에 사용하면 매우 적합하다. 다만 본 발명에 있어서의 고정 나사가 셀프탭핑 나사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홀더 유닛(200B)이 금속재료로부터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미리 나사산을 형성해 둘 필요가 있는 나사를 고정 나사(290)로서 사용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또 고정 나사(290) 자체는, 강도확보(强度確保)라고 하는 관점에서 금속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elf-tapping screw as the fixing screw 290 is very suitable for use when the holder unit 200B is made of a resin material. However, the fixing screw in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elf-tapping screw, For example, when the holder unit 200B consists of a metal material, the screw which needs to form a screw thread beforehand is used as the fixing screw 290. It may also be considered to use. Moreo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fixing screw 290 itself is formed of a metal material from a viewpoint of securing strength.

(2-2.제2구체예) (2-2. Second embodiment example)

계속하여 제2구체예를 설명한다. 또한 제2구체예에 있어서 특별한 설명이 없는 사항에 대해서는, 제1구체예의 경우와 마찬가지인 것으로 한다.Subsequently, a second specific example will be described. In addition, about the matter which does not have a special description in 2nd specific example, it shall be the same as that of the 1st specific example.

제1구체예에서는, 나사체결 방식의 작은 직경을 갖는 렌즈 유닛에 대응하는 렌즈 고정유닛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이에 대하여 제2구체예에서는, 제1구체예와는 다른 타입으로서, 나사체결 방식의 큰 직경을 갖는 렌즈 유닛에 대응하는 렌즈 고정유닛을 예로 든다.In the first embodiment, the lens fixing unit corresponding to the lens unit having the small diameter of the screwing method has been described. On the other hand, in the second embodiment, as a type different from the first embodiment, the lens fixing unit corresponding to the lens unit having a large diameter of the screwing method is taken as an example.

도7은 렌즈 고정유닛의 제2구체예에 있어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8은 렌즈 고정유닛의 제2구체예에 있어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3면도, 도9는 렌즈 고정유닛의 제2구체예에 있어서의 홀더 유닛의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in a second embodiment of the lens fixing unit, Fig. 8 is a three side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in a second embodiment of the lens fixing unit, and Fig. 9 is a view of the lens fixing unit. It is explanatory drawing which shows the structure of the holder unit in a 2nd specific example.

제2구체예에 있어서의 렌즈 고정유닛은, 도7 또는 도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렌즈 유닛(250C)과, 홀더 유닛(200C)을 구비하고 있다.In the second embodiment, the lens fixing unit includes a lens unit 250C and a holder unit 200C, as shown in Fig. 7 or 8.

렌즈 유닛(250C)은, 렌즈(281)와, 이것을 지지하는 렌즈 프레임(280)과, 그 렌즈 프레임(280)의 하단에 형성된 수 나사부(282)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은 어느 것이나 모두, 제1구체예의 경우에 비하여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구체예에 있어서 수 나사부(272)의 호칭되는 지름 및 피치가 예를 들면 M12×0.5인 것에 대해, 제2구체예에 있어서의 수 나사부(282)는 예를 들면 내경 25.4mm(1인치), 피치 0.794mm(32 나사산/인치)인 소위 C마운트 규격에 대응하는 것으로 한 상태이다.The lens unit 250C includes a lens 281, a lens frame 280 that supports it, and a male screw 282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lens frame 280. All of these are formed in large diameter compared with the case of 1st specific example. Specifically, the male screw portion 282 in the second concrete example has an inner diameter of 25.4, whereas the diameter and pitch of the male screw portion 272 in the first specific example are, for example, M12 × 0.5. It is a state that it respond | corresponds to what is called the C mount standard of mm (1 inch) and pitch 0.794 mm (32 threads / inch).

한편 홀더 유닛(200C)은 원통모양으로 형성된 렌즈 유닛 장착부(240)와, 그 하단부에 형성된 플랜지(245)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제1구체예에 있어서의 홀더 유닛(200B)에서는 렌즈 유닛 장착부(210)의 원통 외주(外周) 보다 플랜지(215)가 외측으로 돌출한 단면 볼록형상(斷面凸形狀)으로 형성되어 있었던 것에 대해, 제2구체예에 있어서의 홀더 유닛(200C)은 큰 직경을 갖는 렌즈 유닛(250C)에 대응하므로, 플랜지(245)가 렌즈 유닛 장착부(240)의 원통 내주(內周) 측으로 돌출한 단면 오목형상(斷面凹形狀)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렌즈 유닛 장착부(240)의 원통 내측에는, 렌즈 프레임(280)의 수 나사부(282)가 나사결합 하는 암 나사부(241)가 형성되어 있다. 이 암 나사부(241)는, 수 나사부(282)가 나사결합 하므로, 당해 수 나사부(282)와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내경 25.4mm(1인치), 피치 0.794mm(32 나사산/인치)의 C마운트 규격에 대응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플랜지(245)에 형성된 나사삽입구멍(213)의 형성 피치(形成 pitch) 등은 제1구체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노광조건 전환유닛 본체(10)의 하우징(101)에 대응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holder unit 200C includes a lens unit mounting portion 240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a flange 245 formed at its lower end portion. In the holder unit 200B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however, the flange 215 is formed in a convex cross section in which the flange 215 projects outward from the cylindrical outer periphery of the lens unit mounting portion 210. On the other hand, since the holder unit 200C in the second specific example corresponds to the lens unit 250C having a large diameter, a cross section in which the flange 245 protrudes to the cylindrical inn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lens unit mounting portion 240. It is formed in concave shape. And inside the cylinder of the lens unit attaching part 240, the female screw part 241 which the male screw part 282 of the lens frame 280 screws is formed. Since the male threaded portion 241 is screwed by the male threaded portion 282, a C mount standard having an internal diameter of 25.4 mm (1 inch) and a pitch of 0.794 mm (32 threads / inch), for example, is similar to the male threaded portion 282. It is supposed to correspond to. The formation pitch of the screw insertion hole 213 formed in the flange 245 and the like correspond to the housing 101 of the exposure condition switching unit main body 10 as in the first embodiment.

따라서 제2구체예에 있어서도 수 나사부(282)와 암 나사부(241)가 나사결합 함으로써, 홀더 유닛(200C)에 있어서의 렌즈 유닛 장착부(240)의 원통 내에, 렌즈 유닛(250C)이 렌즈(281)의 광축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Therefore, also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male screw portion 282 and the female screw portion 241 are screwed together, so that the lens unit 250C has a lens 281 within the cylinder of the lens unit mounting portion 240 in the holder unit 200C. Is mounted to be movable along the optical axis direction.

또한 렌즈 고정유닛(20)은 렌즈 유닛(250C) 및 홀더 유닛(200C)에 더하여, 고정 나사(290)를 구비해서 구성된다.In addition, the lens fixing unit 20 is provided with the fixing screw 290 in addition to the lens unit 250C and the holder unit 200C.

그리고 홀더 유닛(200C)의 렌즈 유닛 장착부(240)에는, 도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렌즈(281)의 광축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그 원통 바깥에서부터 원통 안으로 향하고, 고정 나사(290)의 나사결합을 위한 장착구멍으로서, 당해 렌즈 유닛 장착부(240)의 원통 안으로 관통하지 않는 비관통구멍(231)이 설치되어 있다.In the lens unit mounting portion 240 of the holder unit 200C, as shown in Fig. 9, the lens unit mounting portion 240 faces from the outside of the cylinder into the cylinder along the direction intersecting with the optical axis direction of the lens 281, and As a mounting hole for screwing, a non-through hole 231 that does not penetrate into the cylinder of the lens unit mounting portion 240 is provided.

이러한 비관통구멍(231)이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부터, 렌즈 유닛 장착부(240)에 있어서는, 비관통구멍(231)의 바닥부와 당해 렌즈 유닛 장착부(240)의 통의 내면(즉 암 나사부(241)의 나사산 부분)과의 사이에, 얇은 두께 모양의 개재부(232)가 존재하게 된다. 이 개재부(232)는 비관통구멍(231)에 나사결합된 고정 나사(290)의 선단으로 가압된 경우에, 렌즈 유닛 장착부(240)의 원통 내측을 향해서 변형하는 살두께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즉 이러한 개재부(232)의 살두께가 되도록, 렌즈 유닛 장착부(240)의 통 두께에 대한 비관통구멍(231)의 형성 깊이가 설정되어 있는 것이다.Since the non-through hole 231 is provided, in the lens unit mounting portion 240, the bottom portion of the non-through hole 231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cylinder of the lens unit mounting portion 240 (that is, the female screw portion 241). Between the threaded portion), there is a thin interposed portion 232. The interposition portion 232 is formed to have a flesh thickness that deforms toward the inside of the cylinder of the lens unit mounting portion 240 when pressed by the tip of the fixing screw 290 screwed into the non-through hole 231. do. That is, the depth of formation of the non-penetrating hole 231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 of the barrel of the lens unit mounting part 240 is set so that the thickness of this interposition part 232 may be set.

비관통구멍(231)은, 렌즈 유닛(250C)의 직경이 크기 때문에 렌즈 유닛 장착부(240)의 복수의 부분에 설치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복수의 부분으로서는, 렌즈 유닛 장착부(240)의 원통 주상(円筒周上)의 대향하는 2군데를 들 수 있다. 다만 비관통구멍(231)의 설치 개수나 설치 장소 등이 특별하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렌즈 유닛(250C)이나 홀더 유닛(200C)의 사이즈 등을 고려해서 적당하게 설정하면 좋다. Since the diameter of the lens unit 250C is large, the non-through hole 231 may be provided in a plurality of portions of the lens unit attaching part 240. As a some part, two places where the cylindrical columnar shape of the lens unit mounting part 240 opposes are mentioned. However, the number of the non-through holes 231, the installation place, and the like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appropriately set in consideration of the size of the lens unit 250C, the holder unit 200C, and the like.

또한 비관통구멍(231)의 형성 부분에는, 제1구체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볼록 형상부(233)를 형성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In the formation portion of the non-through hole 231, it is conceivable to form the convex portion 233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first embodiment.

이상과 같은 구성의 렌즈 고정유닛(20)에서는, 비관통구멍(231)에 고정 나사(290)를 나사결합하면 당해 나사결합에 의해 개재부(232)가 가압되어, 당해 렌즈 유닛 장착부(240)의 통의 내면, 즉 암 나사부(241)의 나사산 부분이 원통 내측을 향해서 변형한다. 이에 따라 렌즈 유닛 장착부(240)의 통 안에 있어서의 렌즈 유닛(250C)의 위치가 고정된다.In the lens fixing unit 20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hen the fixing screw 290 is screwed into the non-through hole 231, the interposition portion 232 is pressed by the screwing, and the lens unit mounting portion 240 is provided. The inner surface of the barrel, that is, the threaded portion of the female threaded portion 241 deforms toward the inside of the cylinder. As a result, the position of the lens unit 250C in the cylinder of the lens unit attaching part 240 is fixed.

이 때, 비관통구멍(231)에 고정 나사(290)를 나사결합 하기 때문에 렌즈 유닛 장착부(240) 내에 장착된 렌즈 유닛(250C)의 수 나사부(282)에 대하여, 고정 나사(290)의 선단이 직접 접촉하는 일이 없다. 따라서 고정 나사(290)의 선단과 렌즈 유닛(250C)의 수 나사부(282)와의 접촉에 의한 이물질발생의 우려가 없다.At this time, since the fixing screw 290 is screwed into the non-through hole 231, the tip of the fixing screw 290 with respect to the male screw portion 282 of the lens unit 250C mounted in the lens unit attaching portion 240. There is no direct contact. Therefore, there is no fear of foreign matter generation due to contact between the tip of the fixing screw 290 and the male screw portion 282 of the lens unit 250C.

또한 고정 나사(290)의 장착구멍이 비관통구멍(231)이므로 홀더 유닛(200C)을 성형 가공에 의하여 제작하는 것이 용이하고, 또한 홀더 유닛(200C)의 제작에 있어서 관통구멍 가공, 버(burr) 제거, 통 안의 암 나사부 연마 등의 후가공을 요하는 일이 없고, 관통구멍 구조의 경우에 비하여 홀더 유닛(200C)의 제작비용 삭감이 용이하게 실현 가능하게 된다.Moreover, since the mounting hole of the fixing screw 290 is the non-penetrating hole 231, it is easy to manufacture the holder unit 200C by shaping | molding process, and also the through-hole process and burr in manufacture of the holder unit 200C. No post-processing is required, such as removal) and polishing of the female thread in the cylinder, and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holder unit 200C can be easily reduced as compared with the through-hole structure.

(2-3.제3구체예) (2-3. Third embodiment example)

계속하여 제3구체예를 설명한다. 또 제3구체예에 있어서 특별한 설명이 없는 사항에 대해서는, 제1구체예 또는 제2구체예의 경우와 마찬가지인 것으로 한다.Subsequently, a third specific example will be described. In addition, about the matter which does not have a special description in 3rd specific example, it shall be the same as that of the 1st specific example or the 2nd specific example.

제3구체예에서는, 비관통구멍에 나사결합되는 고정 나사의 형상이 제1구체예 또는 제2구체예의 경우와는 다르다.In the third embodiment, the shape of the fixing screw screwed into the non-through hole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or the second embodiment.

도10은 렌즈 고정유닛의 제3구체예에 있어서의 고정 나사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Fig. 10 is a sid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fixing screw i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lens fixing unit.

도시된 예와 같이, 제3구체예에 있어서의 고정 나사(291)는, 당해 고정 나사(291)의 선단(先端)에 원추(円錐)모양의 첨예부(尖銳部)(292)가 형성되어 있다. 첨예부(292)는, 고정 나사(291)의 선단측(즉 비관통구멍(231)의 저면(底面)의 측)을 향해서 원추모양으로 뾰족한 형상이면, 그 각도 등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나사 본체부분과 원추모양 부분과의 축심은 일치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fixing screw 291 in the third embodiment has a conical sharp portion 292 formed at the tip of the fixing screw 291. have. The sharp part 292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 conical pointed shape toward the distal end side of the fixing screw 291 (that is, the side of the bottom face of the non-through hole 231). Howe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shaft center of the screw body part and the conical part coincide.

고정 나사(291)가 셀프탭핑 나사인 경우에, 예를 들면 나사부가 JIS B 1007로 규정되는 「탭핑 나사끝 F형(tapping screw type F flat end)」이라고 불리는 형상의 것, 구체적으로는 도10(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나사부의 단면(端面)(293)이 평평하고 선단부가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테이퍼(taper)로 되어 있어서 테이퍼부에 평행 나사산의 연장(延長)이 있는 것이면, 첨예부(292)는 그 나사부의 단면(293)으로부터 돌출하도록 형성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다만 예를 들면 나사부가 JIS B 1007로 규정되는 「탭핑 나사끝 C형(tapping screw type C cone end)」이라고 불리는 형상의 것, 구체적으로는 도10(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나사부가 약45도의 뾰족한 선단(先端)을 구비한 첨부(尖部)의 선단 부근까지 나사산이 있는 것이면, 이 첨부를 그대로 첨예부(292)로서 사용해도 상관없다.In the case where the fixing screw 291 is a self-tapping screw, for example, the screw portion has a shape called "tapping screw type F flat end" defined in JIS B 1007, specifically, FIG. 10. As shown in (a), if the cross section 293 of the screw portion is flat and has a taper tapering toward the end, the tapered portion has a parallel thread extension. 292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end face 293 of the screw portion. However, for example, the screw portion has a shape called "tapping screw type C cone end", which is defined in JIS B 1007.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10 (b), the screw portion is about 45 degrees. As long as there is a thread to the vicinity of the tip end of the attachment provided with the pointed tip of the figure, the attachment may be used as the sharp part 292 as it is.

이상과 같은 구성의 고정 나사(291)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당해 고정 나사(291)를 비관통구멍(231)에 나사결합할 때에, 당해 고정 나사(291)에 있어서의 첨예부(292)가 나사삽입의 안내(가이드)로서 기능하게 된다. 따라서 첨예부(292)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면, 고정 나사(291)의 비관통구멍(231)으로의 나사결합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In the case of using the fixing screw 291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hen the fixing screw 291 is screwed into the non-through hole 231, the sharp portion 292 of the fixing screw 291 is It functions as a guide (guide) for screw insertion. Therefore,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sharp portion 292 is not formed, the screwing of the fixing screw 291 to the non-through hole 231 can be easily performed.

또한 비관통구멍(231) 안으로 고정 나사(291)를 나사결합해 가면, 당해 고정 나사(291)에 있어서의 첨예부(292)가 당해 비관통구멍(231)의 저면(底面)에 도달하지만, 이 때 당해 저면에 대하여 첨예부(292)의 정상부가 점접촉(占接觸)하게 된다. 그 때문에 고정 나사(291)가 개재부(232)를 원통 내측을 향해서 가압할 때에, 그 가압력을 점접촉하는 한 점에 대하여 집중적으로 작용시킬 수 있다. 가압변형을 위한 힘을 한 점에 집중해서 작용시키면, 집중시키지 않을 경우와 비교해서 작용시키는 힘의 압력이 증대한다. 따라서 첨예부(292)가 형성된 고정 나사(291)를 사용하면, 당해 첨예부(292)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개재부(232)를 용이하게 변형시킬 수 있다. 즉, 첨예부(292)가 없는 경우와 비교하면, 고정 나사(291)를 작은 힘에 의하여 용이하게 단단히 조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개재부(232)를 용이하게 변형시킬 수 있기 때문에 렌즈 유닛 장착부(210)에 대한 렌즈 유닛(250B)의 위치를, 작은 힘에 의하여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다.If the fixing screw 291 is screwed into the non-penetrating hole 231, the sharp part 292 in the fixing screw 291 reaches the bottom surface of the non-penetrating hole 231. At this time, the top part of the sharp part 292 makes point contact with the said bottom face. Therefore, when the fixing screw 291 presses the interposition portion 232 toward the inner side of the cylinder, the pressing force can be concentrated on one point where the pressing force is in point contact. When the force for pressure deformation is concentrated at one point, the pressure of the force acting is increased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it is not concentrated. Therefore, when the fixing screw 291 in which the sharp part 292 is formed is used, the interposition part 232 can be easily deformed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sharp part 292 is not formed. That i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re is no sharp part 292, it becomes possible to tighten the fixing screw 291 easily and easily by small force. Moreover, since the interposition part 232 can be easily deformed, the position of the lens unit 250B with respect to the lens unit mounting part 210 can be fixed reliably by small force.

(2-4.기타)(2-4.Others)

이상 설명한 제1∼제3구체예 에서는, 본 발명에 관한 렌즈 고정유닛의 바람직한 구체적 실시예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the first to third specific examples described above, preferred specific embodiments of the lens fix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제1∼제3구체예에서는, 수 나사부와 암 나사부의 나사결합에 의해 렌즈 유닛이 렌즈 유닛 장착부의 통 안에 장착될 경우를 예로 들었지만, 예를 들면 카메라 장치의 전체 구성에 대해서 설명했을 때의 제1타입과 같이, 나사결합이 아니라 꼭 맞게 끼우는 결합에 의한 경우라도, 비관통구멍으로의 고정 나사의 나사결합을 이용해서 렌즈 유닛의 위치 고정을 수행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In the first to third specific examples, the case where the lens unit is mounted in the barrel of the lens unit mounting portion by screwing the male screw portion and the female screw portion has been exemplified. However, for example, the entire structure of the camera device will be described. Like type 1, even if it is not a screwing but a tight fitting, it can be considered to perform the position fixing of the lens unit by using the screwing of the fixing screw to the non-through hole.

또한 제1∼제3구체예에서는, 렌즈 유닛 장착부가 원통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을 경우를 예로 들었지만, 렌즈 유닛을 통 안에서 이동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으면, 렌즈 유닛 장착부는 다른 형상에 의한 통 모양(예를 들면 각기둥 모양)으로 형성된 것이어도 좋다.In the first to third specific examples, the case where the lens unit mounting portion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has been exemplified. However, if the lens unit can be mounted to be movable in the cylinder, the lens unit mounting portion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eg For example, it may be formed in a columnar shape.

또한 제1 및 제2구체예에서는, 수 나사부 및 수 나사부의 호칭되는 지름과 피치에 대해서 구체적인 수치를 들었지만, 본 발명이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적당하게 변경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In addition, although the specific numerical value was mentioned about the nominal diameter and pitch which the male screw part and the male screw part call in the 1st and 2nd specific example, it cannot be overemphasized that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또한 제3구체예에서는 첨예부가 형성된 고정 나사를 예로 들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although the fixing screw in which the sharp part was formed was mentioned as the example in 3rd specific example,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도11은 고정 나사 및 당해 고정 나사가 나사결합되는 비관통구멍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Fig. 11 is a side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fixing screw and the non-through hole to which the fixing screw is screwed.

예를 들면 도11(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고정 나사(295) 및 이것이 나사결합되는 비관통구멍(231)은, 이들의 적어도 일방(도시된 예에서는 양방)에, 서로 마주 향하는 측에 볼록하게 돌출하는 돌출부(234, 296)가 설치된 것이어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도, 제3구체예에 있어서의 첨예부(292)의 경우 정도는 아니지만, 고정 나사(295)의 선단과 비관통구멍(231)의 저면과의 접촉 면적이 억제되므로, 돌출부(234, 296)가 없는 경우와 비교하면 개재부(232)를 용이하게 변형시킬 수 있게 된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11A, the fixing screw 295 and the non-through hole 231 to which it is screwed are convex on at least one of them (both in the illustrated example) facing each other. The protrusions 234 and 296 protruding from each other may be provided. Also in this structure, although it is not about the case of the sharp part 292 in 3rd specific example, since the contact area of the front end of the fixing screw 295 and the bottom face of the non-through hole 231 is suppressed, the protrusion part 234 296, the interposition portion 232 can be easily deformed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re is no.

또한 비관통구멍(231)의 저면형상에 대해서는, 당해 저면형상에 의해 특정되는 개재부(232)의 두께가 반드시 똑같을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도11(b)∼(d)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개재부(232)가 부분적으로 얇은 두께로 되는 취약부분(235)을 구비하도록 비관통구멍(231)의 저면형상을 형성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이렇게 구성하였을 경우에는, 취약부분(235)이 존재함으로써, 개재부(232)를 용이하게 변형시킬 수 있다. 게다가 개재부(232)의 전체의 두께를 얇게 만드는 경우와는 달리, 당해 개재부(232)의 파손에 의한 나사선단 노출 등의 우려도 적다. 또 취약부분(235)을 설치한 비관통구멍(231)에는, 상기한 고정 나사(290, 291, 295)의 어느 것을 나사결합 하더라도 상관없다.In addition, with respect to the bottom shape of the non-through hole 231, the thickness of the interposition part 232 specified by the said bottom shape does not necessarily need to be the same.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11 (b) to 11 (d), the bottom portion of the non-through hole 231 is formed such that the intervening portion 232 has a weak portion 235 which is partially thin. Can be considered In this case, since the weak portion 235 is present, the interposition portion 232 can be easily deformed. In addition, unlike the case where the thickness of the entirety of the intervening portion 232 is made thin, there is little concern about exposing the tip of the screw due to breakage of the interposing portion 232. The non-through hole 231 in which the weakened portion 235 is provided may be screwed to any of the fixing screws 290, 291, and 295.

이와 같이 고정 나사 및 당해 고정 나사가 나사결합되는 비관통구멍에 대해서는 상기한 구체적인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형상을 적당하게 변경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고정 나사의 선단형상 및 비관통구멍의 저면형상은, 당해 고정 나사나 당해 비관통구멍이 형성되는 홀더 유닛 등의 형성재료를 감안하면서, 각각의 형상 및 조합을 다양하게 설정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Thus, the fixing screw and the non-through hole to which the fixing screw is screwed are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xamples described above, and the shape thereof can be appropriately changed. More specifically, the tip shape of the fixing screw and the bottom shape of the non-penetrating hole allow various shapes and combinations to be set in various ways while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forming material of the fixing screw or the holder unit in which the non-penetrating hole is formed. Can be considered

이상과 같은 여러가지 변형예를 허용하는 것은, 제1∼제3구체예로 설명한 렌즈 고정유닛 뿐만 아니라 당해 렌즈 고정유닛을 구비해서 구성된 카메라 장치에 관해서도 완전히 동일한 것을 말할 수 있다.The above-mentione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said to be exactly the same with respect to the camera fixing apparatus provided with the said lens fixing unit as well as the lens fixing unit demonstrated by the 1st-3rd specific example.

즉 본 발명은, 렌즈 고정유닛 및 카메라 장치의 어느 것에 관해서도 상기한 구체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당하게 변경할 수 있다.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with respect to any of the lens fixing unit and the camera device, and can be changed as appropriate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10…노광조건 전환유닛 본체(露光條件切替 unit 本體)
20…렌즈 고정유닛(lens fixing unit)
30…촬상소자 유닛(撮像素子 unit)
200A, 200B, 200C…홀더 유닛(holder unit)
210, 240…렌즈 유닛 장착부(lens unit 裝着部)
231…비관통구멍(非貫通孔)
232…개재부(介在部)
250A, 250B, 250C…렌즈 유닛(lens unit)
261, 271, 281…렌즈
290, 291, 295…고정 나사
292…첨예부(尖銳部)
10... Exposure Condition Switching Unit Main Unit
20... Lens fixing unit
30 ... Imaging element unit
200 A, 200 B, 200 C... Holder unit
210, 240... Lens unit mounting part
231 ... Non-penetrating hole
232 ... Intervention Department
250A, 250B, 250C... Lens unit
261, 271, 281... lens
290, 291, 295... Fixing screw
292... A sharp art department

Claims (5)

렌즈를 구비하는 렌즈 유닛(lens unit)과,
통(筒) 모양으로 형성된 렌즈 유닛 장착부(lens unit 裝着部)를 구비하고, 당해 렌즈 유닛 장착부의 통 안에 상기 렌즈 유닛이 상기 렌즈의 광축방향(光軸方向)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홀더 유닛(holder unit)과,
상기 렌즈 유닛 장착부의 통 안에 있어서의 상기 렌즈 유닛의 위치 고정을 위해 당해 렌즈 유닛 장착부의 통 바깥으로부터 통 안을 향해서 나사결합되는 고정 나사를 구비하는 렌즈 고정유닛(lens fixing unit)으로서,
상기 렌즈 유닛 장착부에는, 상기 렌즈의 광축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당해 렌즈 유닛 장착부의 통 안으로 관통하지 않는 비관통구멍(非貫通孔)이 상기 고정 나사의 나사결합을 위한 장착구멍으로서 설치되어 있고,
상기 비관통구멍의 바닥부와 상기 렌즈 유닛 장착부의 통의 내면과의 사이의 개재부(介在部)가, 당해 비관통구멍에 나사결합된 상기 고정 나사의 선단(先端)으로 가압(加壓)되어서 당해 렌즈 유닛 장착부의 통 내측(內側)을 향해서 변형하는 두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고정유닛.
A lens unit having a lens,
A holder having a lens unit mounting portion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wherein the lens unit is mounted in the cylinder of the lens unit mounting portion so as to be movable along the optical axis direction of the lens. Holder unit,
A lens fixing unit comprising a fixing screw which is screwed from the outside of the barrel of the lens unit mounting portion toward the inside of the barrel for fixing the position of the lens unit in the barrel of the lens unit mounting portion,
The lens unit mount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non-penetrating hole which does not penetrate into the cylinder of the lens unit mounting portion along a direction crossing the optical axis direction of the lens as a mounting hole for screwing the fixing screw. ,
An intervening portion between the bottom of the non-penetrating hole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tube of the lens unit mounting portion is pressed by the tip of the fixing screw screwed into the non-penetrating hole. To form a thickness that deforms toward the inside of the barrel of the lens unit mounting portion.
Lens fixing unit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나사의 선단에 원추(円錐)모양의 첨예부(尖銳部)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고정유닛.
The method of claim 1,
A lens fixing unit, characterized in that a cone-shaped sharp portion is formed at the tip of the fixing screw.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나사는 셀프탭핑 나사(self-tapping screw)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고정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fixing screw is a lens fixing unit, characterized in that the self-tapping screw.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 유닛은, 수지재료(樹脂材料)의 성형 가공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고정유닛.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
And the holder unit is formed by molding a resin material.
제1항 또는 제2항의 렌즈 고정유닛과,
당해 렌즈 고정유닛의 렌즈투과 빛을 수광(受光)하는 촬상소자(撮像素子)를 갖춘 촬상소자 유닛
을 구비해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장치.
The lens fixing unit of claim 1 ,
Imaging element unit provided with an imaging element which receives the lens transmission light of the said lens fixing unit.
Camera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include.
KR1020110076393A 2010-08-02 2011-08-01 Lens fixing unit and camera device KR101256880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005165U JP3163418U (en) 2010-08-02 2010-08-02 Lens fixing unit and camera device
JPJP-U-2010-005165 2010-08-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3542A KR20120023542A (en) 2012-03-13
KR101256880B1 true KR101256880B1 (en) 2013-04-22

Family

ID=45554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6393A KR101256880B1 (en) 2010-08-02 2011-08-01 Lens fixing unit and camera device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163418U (en)
KR (1) KR101256880B1 (en)
CN (1) CN102346287B (en)
TW (1) TW201219874A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59961B2 (en) * 2013-03-15 2019-01-30 株式会社ニコン Receiver
TWI582482B (en) * 2015-11-20 2017-05-11 晶睿通訊股份有限公司 Lens fixing mechanism and image capturing device thereof
CN105353490B (en) * 2015-12-11 2018-02-02 中国工程物理研究院激光聚变研究中心 A kind of device for controlling optical mirror slip installation deformation
KR102069203B1 (en) * 2019-03-20 2020-01-22 주식회사 신흥판금 Mount apparatus for Closed Circuit Televis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86202A (en) 1996-12-24 1998-07-14 Sony Corp Lens adapter fitting device
KR20030014493A (en) * 2001-08-11 2003-02-19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lens barrel assembl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04085709A (en) 2002-08-23 2004-03-18 Tamron Co Ltd Lens barrel and monitor camera
JP2006039098A (en) 2004-07-26 2006-02-09 Fujinon Corp Lens position adjusting mechanism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93384B2 (en) * 2004-09-24 2011-06-01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Lens fixing part structure
JP4684010B2 (en) * 2005-05-31 2011-05-1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Lens holding device, lens centering device, and lens centering method
JP2007025154A (en) * 2005-07-14 2007-02-01 Fujinon Corp Lens barrel
JP2007127874A (en) * 2005-11-04 2007-05-24 Nikon Corp Lens barrel
JP2008052193A (en) * 2006-08-28 2008-03-06 Tamron Co Ltd Rotation lock mechanism, optical device and imaging apparatus
JP2009139579A (en) * 2007-12-05 2009-06-25 Fujinon Corp Lens barrel and imaging apparatus
JP2009139580A (en) * 2007-12-05 2009-06-25 Fujinon Corp Lens barrel and imaging apparatus
JP2010002856A (en) * 2008-06-23 2010-01-07 Nikon Corp Lens barrel, method of manufacturing the lens barrel and optical equipment
JP5241372B2 (en) * 2008-08-01 2013-07-17 キヤノン株式会社 Lens barrel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86202A (en) 1996-12-24 1998-07-14 Sony Corp Lens adapter fitting device
KR20030014493A (en) * 2001-08-11 2003-02-19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lens barrel assembl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04085709A (en) 2002-08-23 2004-03-18 Tamron Co Ltd Lens barrel and monitor camera
JP2006039098A (en) 2004-07-26 2006-02-09 Fujinon Corp Lens position adjusting mechanis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3542A (en) 2012-03-13
JP3163418U (en) 2010-10-14
TW201219874A (en) 2012-05-16
CN102346287B (en) 2014-05-28
CN102346287A (en) 2012-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6880B1 (en) Lens fixing unit and camera device
WO2011086646A1 (en) Plastic lens, photographing lens, image pickup apparatus, and portable apparatus
US9386198B2 (en) Image pickup apparatus having imaging sensor package
JP2008191423A (en) Lens unit, camera module and imaging apparatus equipped with camera module
US20070058272A1 (en) Lens module
JP5194519B2 (en) Imaging device
JP6159565B2 (en) Back focus adjustment mechanism
US8120695B2 (en) Camera module having a lens barrel holder including a protrusion inserted in a recess in a sidewall of the lens barrel and providing good coaxiality
KR101626579B1 (en) Camera lense module
KR101032656B1 (en) Imaging device with variable focus liquid crystal lens
CA3099714C (en) Lens assembly and camera incorporating a lens assembly
JP3693832B2 (en) Back focus adjustment mechanism
JP2005017951A (en) Imaging apparatus
KR100621306B1 (en) Image pickup device
US10893180B2 (en) Imaging device
JP2009300928A (en) Camera accessory and camera system
JPH11295579A (en) Lens device, camera and scope
EP4273595A1 (en) Imaging lens assembly, camera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JP2005338218A (en) Imaging apparatus
CN211603663U (en) Lens assembly and electronic equipment
KR20060068611A (en) Image pickup device
JP2009086044A (en) Mount structure
JP5529243B2 (en) Fastener
US20230152576A1 (en) Image pickup apparatus
US20230408788A1 (en) Lens un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