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6625B1 - 분진 흡입용 헤드 - Google Patents

분진 흡입용 헤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6625B1
KR101256625B1 KR1020100111255A KR20100111255A KR101256625B1 KR 101256625 B1 KR101256625 B1 KR 101256625B1 KR 1020100111255 A KR1020100111255 A KR 1020100111255A KR 20100111255 A KR20100111255 A KR 20100111255A KR 101256625 B1 KR101256625 B1 KR 1012566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head
circumferential surface
suction pipe
s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12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9982A (ko
Inventor
임동윤
Original Assignee
임동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동윤 filed Critical 임동윤
Priority to KR10201001112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6625B1/ko
Publication of KR201200499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99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66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66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3/00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 B60S3/04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for exteriors of land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5/00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 B08B15/04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from a small area, e.g. a to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4Cleaning by suction, with or without auxiliary a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차량 정비용 분진 흡입기에 이용되는 분진 흡입용 헤드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디스크 장치에 존재하는 분진을 흡입하기 위한 분진 흡입 장치에 이용되는 분진 흡입용 헤드로서, 하부가 개방된 투명한 재질의 보울(bowl) 형상으로, 둘레면에 에어 분출 장치의 노즐이 삽입 가능한 노즐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노즐을 통해 분사된 에어에 의해 비산되는 분진이 내부에 포집되는 헤드몸체; 및 일단이 분진 흡입 장치의 흡입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둘레면에 형성된 흡입관 연결공에 연결되는 흡입관 연결부를 포함하는 분진 흡입용 헤드에 의하면, 차량의 디스크 장치에 부착된 분진을 효과적으로 진공 흡입함으로써 차량 정비자의 건강을 보호하고 환경 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분진 흡입용 헤드{Head for dust suction}
본 발명은 차량 정비용 분진 흡입기에 이용되는 분진 흡입용 헤드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브레이크의 작동 원리는 다음과 같다. 회전 디스크의 양쪽에서 브레이크 패드를 유압으로 힘을 가하여 회전 디스크를 압박할 수 있게 함으로써 회전을 멈추게 한다. 이 경우 마찰로 인한 마모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차량 정비 과정 중에 차량의 전·후 브레이크 패드 혹은 드럼의 교체 혹은 정비가 필요하게 된다.
이 때 마모에 의해 발생한 분진이 디스크 커버 혹은 드럼의 외부에 부착되어 있다가 작업 과정에서 날리게 되어 차량 정비자가 호흡기를 통해 이를 마시게 되는 경우 건강을 해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에어 분출 장치를 이용하여 부착되어 있는 분진을 대기 중으로 날려 보내게 되는데, 이 경우 주변 환경을 오염시키게 되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다.
더구나 차량 정비 과정 중에 수동 변속기의 미션 탈착 작업 시 과다 마모된 클러치 디스크, 디스크 커버 등도 교체할 필요가 있는데, 이 경우 디스크 커버 등에 부착되어 있는 분진은 석면 가루인 바 전술한 문제점이 더 심각한 실정이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발명은 차량의 디스크 장치에 부착된 분진을 효과적으로 진공 흡입함으로써 차량 정비자의 건강을 보호하고 환경 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분진 흡입용 헤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투명창을 통해 내부 확인이 가능하여 차량 정비자가 능률적으로 정비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분진 흡입용 헤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 유입공 및 차단부재를 이용함으로써 진공 흡입 시 외부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여 원활한 공기 흐름을 유도하면서도 내부에 포집된 분진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분진 흡입용 헤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헤드덮개를 이용하여 헤드와 작업 대상물 사이의 공간을 외부와 완전 차단함으로써 분진의 외부 유출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분진 흡입용 헤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외의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차량의 디스크 장치에 존재하는 분진을 흡입하기 위한 분진 흡입 장치에 이용되는 분진 흡입용 헤드가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분진 흡입용 헤드는, 하부가 개방된 투명한 재질의 보울(bowl) 형상으로, 둘레면에 에어 분출 장치의 노즐이 삽입 가능한 노즐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노즐을 통해 분사된 에어에 의해 비산되는 분진이 내부에 포집되는 헤드몸체; 및 일단이 분진 흡입 장치의 흡입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둘레면에 형성된 흡입관 연결공에 연결되는 흡입관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진 흡입용 헤드는, 하부가 개방된 보울 형상으로, 둘레면에 에어 분출 장치의 노즐이 삽입 가능한 노즐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노즐을 통해 분사된 에어에 의해 비산되는 분진이 내부에 포집되며, 상부면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공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투명창이 상기 관통공의 외부에 결합되어 있는 헤드몸체; 및 일단이 분진 흡입 장치의 흡입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둘레면에 형성된 흡입관 연결공에 연결되는 흡입관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입관 연결부는, 내경이 전체적으로 관통되고 일단이 상기 흡입관에 연결되며 타단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연결파이프; 내부가 빈 원통 형상으로 상기 흡입관 연결공의 직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고 있어 상기 흡입관 연결공 내에 삽입되는 부싱몸체와, 상기 부싱몸체의 일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흡입관 연결공의 직경보다 큰 외경을 가지는 플랜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부싱몸체의 내경은 상기 연결파이프의 외경에 대응되고 상기 부싱몸체의 내주면에 내부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연결파이프의 타단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맞물려 나사 결합하는 부싱; 및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부싱몸체의 외주면에 형성된 외부 나사산과 맞물려 나사 결합함으로써 상기 부싱이 조임 고정되도록 하는 조임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공기는 유입시키는 공기 유입공이 상기 헤드몸체의 둘레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헤드몸체의 내면에 상기 공기 유입공의 크기보다 큰 탄성재질의 내부 분진의 유출을 차단하는 차단부재가 고정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상부와 하부에 상부 개구부와 하부 개구부를 구비하고 있는 원뿔 혹은 원기둥 형상의 덮개부재와, 상기 상부 개구부의 주연부에 제1 탄성밴드를 봉제 처리한 제1 신축부와, 상기 하부 개구부의 주연부에 제2 탄성밴드를 봉제 처리한 제2 신축부를 포함하는 헤드덮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신축부는 상기 헤드몸체의 하부 둘레에 신축성 있게 장착되며, 상기 제2 신축부는 상기 차량의 디스크 장치 둘레에 신축성 있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덮개부재는 상기 분진이 통과할 수 없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의 디스크 장치에 부착된 분진을 효과적으로 진공 흡입함으로써 차량 정비자의 건강을 보호하고 환경 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투명창을 통해 내부 확인이 가능하여 차량 정비자가 능률적으로 정비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공기 유입공 및 차단부재를 이용함으로써 진공 흡입 시 외부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여 원활한 공기 흐름을 유도하면서도 내부에 포집된 분진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헤드덮개를 이용하여 헤드와 작업 대상물 사이의 공간을 외부와 완전 차단함으로써 분진의 외부 유출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진 흡입용 헤드를 위에서 내려다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진 흡입용 헤드를 아래에서 올려다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진 흡입용 헤드를 분진 흡입 장치에 장착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몸체에 결합된 흡입관 연결피팅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진 흡입용 헤드를 이용한 차량 정비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헤드덮개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헤드덮개가 장착된 분진 흡입용 헤드를 위에서 내려다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헤드덮개가 장착된 분진 흡입용 헤드를 아래에서 올려다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진 흡입용 헤드를 위에서 내려다본 사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관련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진 흡입용 헤드를 위에서 내려다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진 흡입용 헤드를 아래에서 올려다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몸체에 결합된 흡입관 연결피팅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분진 흡입용 헤드(1), 헤드몸체(10), 노즐 삽입공(14), 흡입관 연결공(12), 흡입관 연결부(20), 연결파이프(22), 부싱(24), 조임너트(26), 관통공(16), 투명창(30), 제1 고정부재(32), 공기 유입공(18), 차단부재(40), 제2 고정부재(42)가 도시되어 있다.
분진 흡입용 헤드(1)는 헤드몸체(10) 및 일단이 헤드몸체(10)에 연결된 흡입관 연결부(20)를 포함한다.
헤드몸체(10)는 위아래가 뒤집혀 하부가 개방된 보울(bowl) 형상으로, 상부면에는 관통공(16)이 형성되어 있고 관통공(16)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투명창(30)이 결합되어 있어 외부의 작업자가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헤드몸체(10)의 하측 개방부는 작업 대상물인 차량의 디스크 브레이크, 디스크 커버, 클러치 디스크 등(이하 '디스크 장치'라 칭함)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투명창(30)은 투명한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부면의 외측에 제1 고정부재(32)에 의해 결합되어 있음으로써 추후 헤드몸체(10) 내부에 포집된 분진을 진공 흡입할 때의 흡입력에도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 제1 고정부재(32)는 예를 들어 볼트, 리벳, 핀 등과 같은 고정수단일 수 있다.
노즐 삽입공(14)은 헤드몸체(10)의 둘레면 상단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에어 분출 장치의 노즐 외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고 있어 노즐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한다. 에어 분출 장치의 노즐의 말단부가 노즐 삽입공(14)을 통해 헤드몸체(10) 내부에 삽입되어 에어를 분출함으로써 소정의 작업 지점에 있는 분진을 비산시켜 헤드몸체(10) 내부에 포집되도록 한다.
흡입관 연결공(12)은 헤드몸체(10)의 둘레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흡입관 연결부(20)이 결합되어 있다.
흡입관 연결부(20)은 연결파이프(22), 부싱(24), 조임너트(26)를 포함한다.
연결파이프(22)의 내경은 전체적으로 관통되고, 일단과 타단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연결파이프(22)의 일단은 후술할 분진 흡입 장치의 흡입관 말단부에 연결되어 헤드몸체(10) 내부에 포집된 분진을 진공 흡입하는 통로로서 이용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흡입관과 연결파이프(22)의 결합 방법으로 연결파이프(22)의 일단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 흡입관과 나사 결합하는 것을 가정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예에 따라 걸림홈과 걸림턱의 상호작용에 의한 원터치 결합 등 다양한 결합 방법이 적용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부싱(24)은 내부가 빈 원통 형상으로 흡입관 연결공(12)의 직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고 있어 흡입관 연결공(12) 내에 삽입되는 부싱몸체(24a)와, 부싱몸체(24a)의 일단부에 형성되고 흡입관 연결공(12)의 직경보다 큰 외경을 가지는 플랜지부(24b)를 포함한다.
부싱몸체(24a)의 내경은 연결파이프(22)의 외경에 대응되며, 부싱몸체(24a)의 내주면에 내부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 연결파이프(22)의 타단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맞물림으로써 나사 결합하게 된다.
조임너트(26)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 부싱몸체(24a)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외부 나사산과 맞물림으로써 나사 결합하게 된다. 부싱몸체(24a)와 조임너트(26)의 나사 결합에 의해 흡입관 연결부(20)가 헤드몸체(10)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공기 유입공(18)은 헤드몸체(10)의 둘레면에 형성된다. 도면에서는 공기 유입공(18)이 흡입관 연결공(12)과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헤드몸체(10) 내부에 포집된 분진을 진공 흡입할 때 공기 유입공(18)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됨으로써 원활한 진공 흡입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헤드몸체(10)에 진공 흡입이 따른 힘이 가해져 그 형상이 변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내부에 흡입된 분진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공기 유입공(18)에 대응되는 위치의 헤드몸체(10)의 내면에 차단부재(40)가 고정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차단부재(40)의 크기는 공기 유입공(18)의 크기보다 크며, 예를 들면 고무판 등과 같이 탄성 재질로 이루어져 있을 수 있다. 차단부재(40)의 양단은 제2 고정부재(42)에 의해 고정 결합되어 있다. 제2 고정부재(42)는 예를 들어 볼트, 리벳, 핀 등과 같은 고정수단일 수 있다.
따라서, 진공 흡입 시에는 진공 흡입력 및 공기 유입공(18)을 통한 외부 공기의 유입력에 의해 차단부재(40)의 형상이 탄성한계 내에서 헤드몸체(10)의 내부 방향으로 변형됨으로써 공기 유입공(18)과의 사이에 틈이 생겨 외부 공기가 원활히 유입되어 헤드몸체(10) 내부에 포집된 분진이 흡입관 연결공(12)을 통해 용이하게 진공 흡입되도록 하는 공기 흐름을 만들어 준다. 그리고 에어 분출을 통한 분진 포집 시에는 탄성복원력에 의해 차단부재(40)가 공기 유입공(18)을 완전 차단함으로써 내부에 포집된 분진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작업자의 건강을 보호하고 환경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진 흡입용 헤드를 분진 흡입 장치에 장착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전술한 분진 흡입용 헤드(1)는 흡입관 연결부(20)을 통해 일반적인 분진 흡입 장치(100)의 흡입관(110)에 연결되어 차량 정비 시 이용될 수 있다.
분진 흡입 장치(100)는 예를 들면 진공 청소기 등일 수 있으며, 내부에 분진 수집 공간을 구비하고 있으며 전력에 의해 구동되는 모터의 회전력에 상응하는 진공 흡입력을 발생시킴으로써 흡입관(110) 말단부에 연결된 분진 흡입용 헤드(1) 내부에 포집된 분진을 분진 수집 공간 내에 보관할 수 있다.
또한, 흡입관(110)의 임의의 위치에 1회용 분진 필터를 착탈할 수 있는 필터 착탈부(미도시)를 구비함으로써 간편하게 분진만을 걸러내어 폐기함으로써 분진 흡입 장치(100)를 매번 청소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없앨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진 흡입용 헤드를 이용한 차량 정비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연결파이프(22)가 손잡이 역할을 하며, 분진을 청소하고자 하는 차량의 디스크 장치가 헤드몸체(10)의 개방부를 통해 헤드몸체(10) 내부에 위치하도록 한다. 에어 분출 장치의 노즐(120)을 노즐 삽입공(14)을 통해 삽입한 후 에어를 분출시켜 분진을 비산시킨 후 헤드몸체(10) 내에 포집된 분진에 대하여 분진 흡입 장치를 작동시킴으로써 흡입관(110)을 통해 분진 흡입 장치의 분진 수집 공간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이를 통해 분진 없는 작업 환경 조성이 가능하여 작업자의 건강을 보호하고 주변 환경의 오염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헤드덮개의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헤드덮개가 장착된 분진 흡입용 헤드를 위에서 내려다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헤드덮개가 장착된 분진 흡입용 헤드를 아래에서 올려다본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헤드덮개(50), 덮개부재(52), 상부 개구부(54), 하부 개구부(56), 제1 탄성밴드(64), 제2 탄성밴드(66), 분진 흡입용 헤드(1), 헤드몸체(10), 노즐 삽입공(14), 흡입관 연결부(20), 관통공(16), 투명창(30), 제1 고정부재(32), 공기 유입공(18), 차단부재(40), 제2 고정부재(42)가 도시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분진 제거 작업을 수행하는 과정 중에 헤드몸체(10)의 개방부가 차량의 디스크 장치보다 큰 경우 헤드몸체(10)의 내부에 포집된 분진이 개방부를 통해 외부로 비산될 가능성이 있는 바, 전술한 분진 흡입용 헤드(1)에 헤드덮개(50)를 장착함으로써 이를 방지할 수 있다.
헤드덮개(50)는 상부와 하부에 상부 개구부(54)와 하부 개구부(56)를 구비하고 있는 원뿔 혹은 원기둥 형상의 덮개부재(52)와, 상부 개구부(54)의 주연부에 제1 탄성밴드를 봉제 처리한 제1 신축부와, 하부 개구부(56)의 주연부에 제2 탄성밴드를 봉제 처리한 제2 신축부를 포함한다.
덮개부재(52)는 분진이 통과할 수 없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예를 들어 세무 등의 섬유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신축부 및 제2 신축부는 각각 제1 탄성밴드(64)와 제2 탄성밴드(66)가 수용될 수 있는 터널식 공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탄성밴드(64) 및/또는 제2 탄성밴드(66)는 일정한 신축성을 가지는 예를 들면 고무밴드나 고무줄 등과 같은 탄성물질로 이루어진다. 제1 탄성밴드(64) 및/또는 제2 탄성밴드(66)는 일정 두께를 가지는 길이의 막대 형태로 구비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제1 탄성밴드(64) 및/또는 제2 탄성밴드(66)의 길이는 각각 덮개부재(52)의 상부 개구부(54) 및/또는 하부 개구부(56)의 둘레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또한, 제1 탄성밴드(64)의 직경은 분진 흡입용 헤드(1)의 개방부의 직경보다 작아 제1 신축부가 분진 흡입용 헤드(1)의 헤드몸체(10)의 개방부 측 외주연에 장착 가능하며 일정한 신축성으로 압박하여 분진이 빠져나갈 빈 틈이 없도록 할 수 있다.
제2 신축부는 작업 대상물인 차량의 디스크 장치 둘레에 장착 가능하며 일정한 신축성으로 압박하여 분진이 빠져나갈 빈 틈이 없도록 할 수 있다.
즉, 헤드덮개(50)는 분진 흡입용 헤드(1)와 작업 대상물 사이의 공간을 외부와 완전 차단함으로써 분진의 외부 유출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헤드몸체(10)에 관통공(16)이 형성되고 투명창(30)이 결합되어 있는 것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진 흡입용 헤드에서는 헤드몸체 전체가 투명한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져 있어 관통공(16) 및 투명창(30)이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진 흡입용 헤드를 위에서 내려다본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진 흡입용 헤드(1')의 헤드몸체(10')는 투명한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사출 성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진 흡입용 헤드(1')의 경우 헤드몸체(10')를 사출 성형을 통해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제품 단가를 낮출 수 있으며, 헤드몸체(10') 전체가 투명한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져 작업자가 내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1': 분진 흡입용 헤드 10, 10': 헤드몸체
12: 흡입관 연결공 14: 노즐 삽입공
16: 관통공 18: 공기 유입공
20: 흡입관 연결부 22: 연결파이프
24: 부싱 26: 조임너트
30: 투명창 32: 제1 고정부재
40: 차단부재 42: 제2 고정부재
50: 헤드덮개 52: 덮개부재
54: 상부 개구부 56: 하부 개구부
64: 제1 탄성밴드 66: 제2 탄성밴드

Claims (6)

  1. 차량의 디스크 장치에 존재하는 분진을 흡입하기 위한 분진 흡입 장치에 이용되는 분진 흡입용 헤드로서,
    하부가 개방된 투명한 재질의 보울(bowl) 형상으로, 둘레면에 에어 분출 장치의 노즐이 삽입 가능한 노즐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노즐을 통해 분사된 에어에 의해 비산되는 분진이 내부에 포집되는 헤드몸체; 및
    일단이 분진 흡입 장치의 흡입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둘레면에 형성된 흡입관 연결공에 연결되는 흡입관 연결부를 포함하되,
    외부 공기는 유입시키는 공기 유입공이 상기 헤드몸체의 둘레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헤드몸체의 내면에 상기 공기 유입공의 크기보다 큰 탄성재질의 내부 분진의 유출을 차단하는 차단부재가 고정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진 흡입용 헤드.
  2. 차량의 디스크 장치에 존재하는 분진을 흡입하기 위한 분진 흡입 장치에 이용되는 분진 흡입용 헤드로서,
    하부가 개방된 보울(bowl) 형상으로, 둘레면에 에어 분출 장치의 노즐이 삽입 가능한 노즐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노즐을 통해 분사된 에어에 의해 비산되는 분진이 내부에 포집되며, 상부면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공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투명창이 상기 관통공의 외부에 결합되어 있는 헤드몸체; 및
    일단이 분진 흡입 장치의 흡입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둘레면에 형성된 흡입관 연결공에 연결되는 흡입관 연결부를 포함하되,
    외부 공기는 유입시키는 공기 유입공이 상기 헤드몸체의 둘레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헤드몸체의 내면에 상기 공기 유입공의 크기보다 큰 탄성재질의 내부 분진의 유출을 차단하는 차단부재가 고정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진 흡입용 헤드.
  3. 제1항 혹은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관 연결부는,
    내경이 전체적으로 관통되고 일단이 상기 흡입관에 연결되며 타단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연결파이프;
    내부가 빈 원통 형상으로 상기 흡입관 연결공의 직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고 있어 상기 흡입관 연결공 내에 삽입되는 부싱몸체와, 상기 부싱몸체의 일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흡입관 연결공의 직경보다 큰 외경을 가지는 플랜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부싱몸체의 내경은 상기 연결파이프의 외경에 대응되고 상기 부싱몸체의 내주면에 내부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연결파이프의 타단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맞물려 나사 결합하는 부싱; 및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부싱몸체의 외주면에 형성된 외부 나사산과 맞물려 나사 결합함으로써 상기 부싱이 조임 고정되도록 하는 조임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진 흡입용 헤드.
  4. 삭제
  5. 제1항 혹은 제2항에 있어서,
    상부와 하부에 상부 개구부와 하부 개구부를 구비하고 있는 원뿔 혹은 원기둥 형상의 덮개부재와, 상기 상부 개구부의 주연부에 제1 탄성밴드를 봉제 처리한 제1 신축부와, 상기 하부 개구부의 주연부에 제2 탄성밴드를 봉제 처리한 제2 신축부를 포함하는 헤드덮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신축부는 상기 헤드몸체의 하부 둘레에 신축성 있게 장착되며, 상기 제2 신축부는 상기 차량의 디스크 장치 둘레에 신축성 있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진 흡입용 헤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재는 상기 분진이 통과할 수 없는 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진 흡입용 헤드.
KR1020100111255A 2010-11-10 2010-11-10 분진 흡입용 헤드 KR1012566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1255A KR101256625B1 (ko) 2010-11-10 2010-11-10 분진 흡입용 헤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1255A KR101256625B1 (ko) 2010-11-10 2010-11-10 분진 흡입용 헤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9982A KR20120049982A (ko) 2012-05-18
KR101256625B1 true KR101256625B1 (ko) 2013-04-22

Family

ID=46267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1255A KR101256625B1 (ko) 2010-11-10 2010-11-10 분진 흡입용 헤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662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82363B (zh) * 2018-01-19 2020-08-04 温州大学瓯江学院 一种基于大数据的便携式洗车装置
KR102244971B1 (ko) * 2019-05-31 2021-04-28 주식회사 파인테크글로벌 양각금형 가공 시스템의 칩 제거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743097A1 (en) 1995-05-15 1996-11-20 Reynolds Wheels International Ltd. A method and equipment for the removal of paint from wheel hubs
US7143464B2 (en) 2002-10-26 2006-12-05 Eisenmann Maschinenbau Kg Device for sucking off specified surface areas on powder-coated vehicle wheels
KR20080015956A (ko) * 2006-08-17 2008-02-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이물질 청소기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743097A1 (en) 1995-05-15 1996-11-20 Reynolds Wheels International Ltd. A method and equipment for the removal of paint from wheel hubs
US7143464B2 (en) 2002-10-26 2006-12-05 Eisenmann Maschinenbau Kg Device for sucking off specified surface areas on powder-coated vehicle wheels
KR20080015956A (ko) * 2006-08-17 2008-02-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이물질 청소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9982A (ko) 2012-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50738B2 (ja) 電気掃除機
KR101256625B1 (ko) 분진 흡입용 헤드
JPH02224724A (ja) タンク式電気掃除機用吸気シール
US8578554B2 (en) System and method for capturing dust from power tool operation
KR101345222B1 (ko) 먼지털이장치가 구비된 산업진공청소기
KR20160065683A (ko) 로봇 청소기
KR20150125223A (ko) 청소기
CN207642405U (zh) 一种切割机
CN114785918B (zh) 一种居民日常垃圾投放行为监控装置及处理系统
CN1590019A (zh) 动力工具及其抽吸系统
DE20308576U1 (de) Vorrichtung für eine Scheibenbremse als Radbremse bei einem Personenkraftwagen oder einem Nutzfahrzeug
KR20080015956A (ko) 이물질 청소기구
EP3058893B1 (de) Absaugvorrichtung
KR102332234B1 (ko) 팬 분리가 용이한 공기청정기
JP2018183717A (ja) ブレーキダストクリーナー
CN208809628U (zh) 一种滤芯清洗装置
JP5358631B2 (ja) 電気掃除機
CN208486768U (zh) 自动化仓储除尘门
KR102313294B1 (ko) 청소기
CN216328715U (zh) 一种木门切割床用吸尘装置
CN219075192U (zh) 一种汽车塑料通风盖板注塑加工用去毛边设备
CN216503897U (zh) 一种便于清理的辊轴磨床
CN113927427B (zh) 一种旋风集尘装置及打磨装置
CN215240225U (zh) 一种砂轮加工除尘设备
CN212311761U (zh) 一种用于抛光机的吸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