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6335B1 - 중앙원격제어 기반의 식물 재배 블럭 및 이를 이용한 재배지 이동식 식물 재배 시스템. - Google Patents

중앙원격제어 기반의 식물 재배 블럭 및 이를 이용한 재배지 이동식 식물 재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6335B1
KR101256335B1 KR1020120068857A KR20120068857A KR101256335B1 KR 101256335 B1 KR101256335 B1 KR 101256335B1 KR 1020120068857 A KR1020120068857 A KR 1020120068857A KR 20120068857 A KR20120068857 A KR 20120068857A KR 101256335 B1 KR101256335 B1 KR 1012563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plant
plant cultivation
growth
growth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88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영희
Original Assignee
노영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영희 filed Critical 노영희
Priority to KR10201200688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63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63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63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4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 A01G7/045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with electric ligh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8Greenhouses for treating plants with carbon dioxide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6Electric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otan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앙원격제어 기반의 식물 재배 블럭과 식물 재배 시스템에 필요한 각 기능 블럭들을 상호 연결하여 구현한 중앙원격제어 기반의 재배지 이동식 식물 재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각 기능 구성들을 블럭화함으로써, 재배지 이동식 식물 재배 시스템이 사용자의 목적이나 상황에 맞게 간단하게 설치 또는 변경 등이 가능하며, 별도의 설비가 각각의 재배지에 필요하지 않아,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중앙원격제어 기반의 식물 재배 블럭 및 이를 이용한 재배지 이동식 식물 재배 시스템.{A CENTRALIZED REMOTE CONTROL PLANT GROWING BLOCK AND A FARM MIGRANT STYLE PLANT GROWING SYSTEM USING THIS BLOCK}
본 발명은 중앙원격제어 기반의 식물 재배 블럭과 식물 재배 시스템에 필요한 각 기능 블럭들을 상호 연결하여 구현한 중앙원격제어 기반의 재배지 이동식 식물 재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산업은 한정된 자원을 이용하여 적은 투입량으로 많은 생산량을 얻고자 하는 방향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인구증가와 토지 부족 등의 문제로 농업에도 생산성의 향상이 주요한 개발과제로 인식되어 이를 위한 노력이 계속되어 왔다.
특히, 농업의 생산성 향상을 위해 좁은 면적에서 많은 양의 식물을 재배하는 기술이 제기되어 왔는데, 기존에는 비닐하우스와 같은 구조로, 각각의 비닐하우스 내에 식물의 재배에 필요한 성장액, 빛, 적합한 온도, 습도 등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가 별도로 설치될 것이 요구되어 왔다. 따라서, 각각의 재배 면적당 각각의 장치가 별도로 설치되어 이러한 설비 비용이 비닐하우스가 늘어날수록 함께 늘어난다는 비용적인 문제가 존재하였다.
또한 기존의 비닐하우스와 같은 구조는 하나의 비닐하우스가 추가될 때마다 그만큼의 토지가 더 소모되고, 일단 설치된 비닐하우스와 재배지는 추후에 변경하거나 제거하는 것이 매우 곤란하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인 중앙원격제어 기반의 식물 재배 블럭 및 이를 구비한 재배지 이동식 식물 재배 시스템은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기능 구성들을 블럭화함으로써, 재배지 이동식 식물 재배 시스템이 사용자의 목적이나 상황에 맞게 간단하게 설치 또는 변경 등이 가능하며, 별도의 설비가 각각의 재배지에 필요하지 않아,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10-1136032호는 다각형 형상의 상면과 하면 및 측면으로 구성되는 셀부와, 셀부의 내부 공간에 회전하면서 광을 조사하는 조명부, 작물 재식부, 양액 공급부를 포함하며, 공기가 순환되는 식물공장에 관한 것이다. 이는 조명부를 태양광과 함께 사용하여 빛의 공급 효율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공장 내부에 존재하는 셀에 대해서는 설치나 제거나 어려워, 사용자의 목적이나 상황에 맞게 쉽고 간편하게 구조의 변경이 곤란하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중앙원격제어 기반의 식물 재배 블럭 및 이를 구비한 재배지 이동식 식물 재배 시스템은 앞서 본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본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기능 구성들을 블럭화함으로써, 재배지 이동식 식물 재배 시스템(식물 공장으로도 별칭됨)이 사용자의 목적이나 상황에 맞게 간단하게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재배지 이동식 식물 재배 시스템이 블럭으로 분리되기 때문에 설치장소 변경 시에도 쉽게 이송이 가능한 블럭으로 이루어진 구조물로 재배지 이동식 식물 재배 시스템이 구현되므로, 실제로 사용하지 않는 폐공간을 활용하여 식물 재배가 가능토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 목적은 재배지 이동식 식물 재배 시스템의 식물 재배를 위해 필요한 각 기능별로 별도의 블럭을 마련함으로써, 이러한 기능블럭들의 추가와 변경, 제거를 자유롭게 하여, 재배에 필요한 비용을 낮출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4 목적은 식물의 재배를 적어도 하나의 식물 재배 블럭(block)으로 분리함으로써, 하나의 식물 재배 블럭(block)에서 발생한 전염성이 있는 병충해가 다른 식물 재배 블럭(block)으로 전염되는 것을 막을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앙원격제어 기반의 식물 재배 블럭(block)은, 식물의 성장에 필요한 빛을 제공하는 조명부; 상기 식물의 성장에 필요한 이산화탄소(CO2)를 포함하는 냉온한 공기를 제공하는 공기 공급부; 상기 식물을 일정위치에 고정시키는 식물 성장 패널(panel); 상기 식물의 성장을 촉진시키는 성장액을 상기 식물 성장 패널 내에 공급하는 성장액 공급부; 상기 식물의 성장에 적합한 온도와 습도를 조절하는 온습도 조절부; 상기 식물의 재배 환경을 감지하는 다수의 서로 다른 센서들로 이루어진 센서부; 상기 센서부에서 검출된 검출정보를 유무선으로 전송하는 송신부; 및 상기 조명부, 공기 공급부, 성장액 공급부, 온습도 조절부, 센서부 및 송신부를 구동시키는 전력을 공급할 뿐만 아니라, 상기 공기, 성장액 및 제어신호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식물 재배 블럭(block) 내 어느 한 면으로부터 연장 배선됨에 의해 이송 배관부와 연결되며, 상기 이송 배관부를 기준으로 상하좌우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식물 재배 블럭(block)을 상기 이송 배관부에 각기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 블럭(block)이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중앙원격제어 기반의 재배지 이동식 식물 재배 시스템은, 상기 식물 재배 블럭에 제공되는 성장액을 제조 및 공급하는 성장액 공급 블럭(block); 상기 식물 재배 블럭에 제공되는 이산화탄소(CO2)를 포함하는 냉온한 공기를 제공하는 공기 공급 블럭(block); 상기 식물 재배 블럭(block)의 연결부를 통해 상기 식물 재배 블럭의 구동을 지원해 주는 전력을 비롯하여 상기 공기 및 성장액을 상기 식물 재배 블럭으로 이송하는 이송 배관부; 및 상기 식물 재배 블럭(block)의 송신부에서 송신되는 제어신호를 확인하여 상기 식물 재배 블럭(block), 성장액 공급 블럭(block), 공기 공급 블럭(block) 및 이송 배관부를 각각 동작 제어하는 중앙 제어 블럭(block)를 포함하고, 상기 식물 재배 블럭(block), 성장액 공급 블럭(block), 공기 공급 블럭(block) 및 중앙 제어 블럭(block)은 상기 이송배관부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중앙원격제어 기반의 식물 재배 블럭 및 이를 구비한 재배지 이동식 식물 재배 시스템은 본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모듈들을 규격화 및 블럭화함으로써, 재배지 이동식 식물 재배 시스템(식물 공장으로도 별칭됨)을 운영하고자 하는 장소에 크게 구애를 받지 않고 쉽게 설치가 가능하며, 운영자가 원하는 규모로 자유롭게 설치가 가능한 제 1 효과를 준다.
또한, 본 발명은 재배지 이동식 식물 재배 시스템이 모듈로 분리되기 때문에 설치장소 변경 시에도 쉽게 이송이 가능한 모듈로 이루어진 구조물로 식물 공장이 구현되므로, 건축 허가 등의 복잡한 절차 없이 유휴 공간을 활용하여 식물 재배가 가능한 제 2 효과를 준다.
또한, 본 발명은 재배지 이동식 식물 재배 시스템의 식물 재배를 위해 필요한 각 기능별로 별도의 모듈을 마련함으로써, 필요한 기능별로 선택적인 모듈의 추가 및 제거가 용이하므로 식물 공장 운영의 비용을 절감하고 운영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제 3 효과를 준다.
또한, 본 발명은 식물의 재배를 적어도 하나의 식물 재배 블럭(block)으로 분리함으로써, 하나의 식물 재배 블럭(block)에서 재배하는 식물에 병충해가 발생하더라도 다른 식물 재배 블럭(block)에서 재배하는 식물에 병충해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제 4 효과를 준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앙원격제어 기반의 식물 재배 블럭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앙원격제어 기반의 재배지 이동식 식물 재배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배지 이동식 식물 재배 시스템 내 구비된 성장액 공급 블럭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재배지 이동식 식물 재배 시스템의 각 모듈들을 수평 방향으로 수직 방향으로 연결하여 3차원으로 모식화시킨 도면이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앙원격제어 기반의 식물 재배 블럭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를 참조하면, 중앙원격제어 기반의 식물 재배 블럭(1000)은 식물의 재배를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분리함으로써, 하나의 식물 재배 블럭(block)에서 재배하는 식물에 병충해가 발생하더라도 다른 식물 재배 블럭(block)에서 재배하는 식물에 병충해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모듈로, 조명부(100), 공기 공급부(200), 식물 성장 패널(panel)(300), 성장액 공급부(400), 온습도 조절부(500), 센서부(600), 송신부(700), 연결부(800) 및 공기 배출부(900)를 포함한다.
먼저, 조명부(100)는 식물의 성장에 필요한 빛을 제공하는 세부장치로, 식물 성장 패널(300)의 상부에 마련되어 식물 성장 패널(300)에서 생육되는 식물의 성장에 필요한 빛을 제공한다.
조명부(100)는 식물의 생육에 필요한 다양한 파장의 빛을 제공할 수 있도록 빛의 파장을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는 엘이디 조명으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식물 재배 블럭(1000)의 벽면으로부터 연장된 전력선(미도시)를 통해 구동 전력을 제공받는다.
공기 공급부(200)는 식물의 성장에 필요한 이산화탄소(CO2)를 포함하는 냉온한 공기를 제공하는 세부 장치이며, 공기 배출부(900)는 냉온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공기를 선순환시켜 주는 세부장치로, 식물 생육에 요구되는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 공기를 유입시키고 배출시켜 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다시 말해, 공기 공급부(200)는 연결부(800)로부터 이산화탄소(CO2)를 유입받으며 공기 배출부(900)는 공기 공급부(200)로부터 제공되는 냉온풍이나 이산화탄소를 포함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해 선순환시켜 준다.
식물 성장 패널(panel)(300)은 식물을 일정위치에 고정시키는 세부 장치로, 성장액 공급부(400)에서 보관 중인 성장액을 연결부(800)를 통해 제공받아 직접 식물을 재배하는 장소로 지정된 위치에 복수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성장액은 재배하고자 하는 식물에 성장에 적합한 성장액으로, 일반적인 수경재배에 필요한 성장액인 삭스(Sachs)액, 크놉(Knop)액, 호글랜드(Hogland)액, 또는 헤위트(Hewitt)액 등도 가능하다.
성장액 공급부(400)는 식물의 성장을 촉진시키는 성장액을 식물 성장 패널(300) 내에 공급한다.
온습도 조절부(500)는 식물의 성장에 적합한 온도와 습도를 조절한다.
센서부(600)는 식물의 재배 환경을 감지하는 다수의 서로 다른 센서들로 구성되는 모듈로,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 습도를 검출하는 습도센서, 공기 내 함유된 이산화탄소량을 감지하는 이산화탄소 감지센서, 재배하고자 하는 식물이 필요로 하는 성장액의 성분 및 재배하고자 하는 식물이 필요로 하는 성장액의 산성도를 검출하는 성장액 센서 및 성장액의 온도를 검출하는 수온 센서를 기내에 포함한다.상기 성장액은 재배하고자 하는 식물에 성장에 적합한 성장액으로, 일반적인 수경재배에 필요한 성장액인 삭스(Sachs)액, 크놉(Knop)액, 호글랜드(Hogland)액, 또는 헤위트(Hewitt)액 등도 가능하다.
송신부(700)는 센서부(600)에서 검출된 검출정보를 유무선으로 전송한다.
연결부(800)는 조명부(100), 공기 공급부(200), 성장액 공급부(400), 온습도 조절부(500), 센서부(600) 및 송신부(700)를 구동시키는 전력을 공급할 뿐만 아니라, 공기, 성장액 및 제어신호를 선택적으로 제공한다.
연결부(800)는 식물 재배 블럭(block)(1000) 내 어느 한 면으로부터 연장 배선됨에 의해 이송 배관부와 연결되며, 이송 배관부를 기준으로 상하좌우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식물 재배 블럭(block)을 이송 배관부에 각기 연결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앙원격제어 기반의 재배지 이동식 식물 재배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중앙원격제어 기반의 재배지 이동식 식물 재배 시스템(2000)은 식물 재배 블럭(1000)(1~N, 1'~N')을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하는 것으로, 본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모듈들을 규격화 및 블럭화함으로써, 식물 공장(이하, 재배지 이동식 식물 재배 시스템(2000)을 다르게 호칭할 수 있음을 전제로 함)을 운영하고자 하는 장소에 크게 구애를 받지 않고 쉽게 설치가 가능하며, 운영자가 원하는 규모로 자유롭게 설치 가능한 시스템이다.
또한, 본 발명의 재배지 이동식 식물 재배 시스템(2000)은 다수의 블럭으로 분리되기 때문에 설치장소 변경 시에도 쉽게 이송이 가능한 시스템으로 구현되므로, 건축 허가 등의 복잡한 절차 없이 유휴 공간을 활용하여 식물 재배가 가능한 식물 공장이라 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재배지 이동식 식물 재배 시스템(2000)은 적어도 하나의 식물 재배 블럭(block)(1000), 성장액 공급 블럭(block)(1100), 공기 공급 블럭(block)(1200), 이송 배관부(1300), 중앙 제어 블럭(block)(1400) 및 성장액 재처리 블럭(block)(1500)를 포함한다.
성장액 공급 블럭(block)(1100)은 적어도 하나의 식물 재배 블럭(1000)에 제공되는 성장액을 제조 및 공급한다.
성장액 공급 블럭(1100)은 도 3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성장액을 제조하는데 필요한 다수의 원료를 저장하는 N개의 원료 저장소(1110), 성장액의 산성도를 조정하는 산용액을 저장하는 산 저장소(1120), 원료와 산용액을 사전 설정된 비율로 원수와 혼합하여 성장액을 제조 및 저장하는 다수의 성장액 저장탱크를 구비하는 성장액 저장부(1130) 및 성장액 저장탱크에 저장된 성장액을 식물 재배 블럭(1000)의 식물 성장 패널(300)로 전달하는 펌프(1140)를 포함하는 블럭이다.
성장액 공급 블럭(1100)은 N개의 원료 저장소(1110)와 하나의 산 저장부(1120) 및 N개의 성장액 저장탱크(1st~Nst)를 구비한 성장액 저장부(1130)의 실시형태를 도시하고 있으나, 각 구성요소의 개수는 재배 식물의 종류에 따른 성장액의 조성이나 전체 식물 공장의 규모 등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이어서, 공기 공급 블럭(block)(1200)은 적어도 하나의 식물 재배 블럭(1~N, 1'~N')에 제공되는 이산화탄소(CO2)를 포함하는 냉온한 공기를 제공한다.
공기 공급 블럭(block)(1200)은 적어도 하나의 식물 재배 블럭(1000)에 공조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블럭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성장액 공급 모듈(1000)에 이산화탄소를 공급하고, 냉온풍을 공급하며, 환기를 제공하기 위한 각종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 공급 블럭(block)(1200)은 콘덴싱 유닛, 유닛쿨러, 히터, 이산화탄소 실린더, 이산화탄소 공급장치 및 냉난방 컨트롤 패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공기 공급 블럭(block)(1200)은 이송 배관부(1300)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식물 재배 블럭(1000)과 연결되어 공조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송 배관부(1300)는 적어도 하나의 식물 재배 블럭(block)내 구비된 연결부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식물 재배 블럭(1000)의 구동을 지원해 주는 전력을 비롯하여 공기 및 성장액을 이송한다.
이송 배관부(1300)는 각 기능 블럭들 간의 연결을 형성함과 동시에 각종 공조 및 전력을 위한 배관 및 배선을 구비하는 모듈로, 단순한 물리적 결합뿐만 아니라, 기능 모듈에서 제공하는 각종 공조 기능이나 전기적 연결을 형성하기 위한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송 배관부(1300)는 성장액 공급 블럭(1100)과 공기 공급 블럭(1200)으로부터 양산된 성장액, 이산화탄소를 적어도 하나의 식물 재배 블럭(1000)에 각각 제공하고, 각 기능 블럭에 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전력 배선 및 각 기능 블럭에서 전송하고자 하는 서로 다른 각종 검출정보를 중앙 제어 블럭(1400)로 전달하기 위한 신호 배선을 다수개 포함한다.
또한, 이송 배관부(1300)은 그 사이즈가 규격화될 수 있으며, 각 기능 블럭과 상호 결합되는 위치에서, 각 기능 블럭에 배치된 연결부(800)와 서로 대응되도록 그 위치를 사전에 설정한 규격대로 통일화함으로써, 물리적인 연결을 통해 별도의 추가 작업 없이 배관 및 배선을 용이하게 상호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중앙 제어 블럭(block)(1400)은 식물 재배 블럭(block)(1000)의 송신부(700)에서 송신되는 제어신호를 확인하여 식물 재배 블럭(block)(1000), 성장액 공급 블럭(block)(1100), 공기 공급 블럭(block)(1200) 및 이송 배관부(1300)를 각각 동작 제어한다.
중앙 제어 블럭(block)(1400)는 식물 재배 블럭(block)(1000), 성장액 공급 블럭(block)(1100) 및 공기 공급 블럭(block)(1200)으로부터 각기 전달된 서로 다른 검출정보를 입력받아 서로 다른 검출정보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결과에 따른 제어신호를 생성시켜 식물 재배 블럭(block)(1000), 성장액 공급 블럭(block)(1100) 및 공기 공급 블럭(block)(1200)를 제어한다.
부연 설명으로, 중앙 제어 블럭(block)(1400)은 CCTV를 제어하는 기능 및 RFID를 이용한 출입자 관리 기능도 더 포함할 수 있다 하겠다.
성장액 공급 블럭(block)(1100), 공기 공급 블럭(block)(1200), 및 중앙 제어 블럭(block)(1400)은 사용자의 목적이나 요구되는 환경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식물 재배 블럭(block) 사이더라도 원하는 위치에 배치하거나, 그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식물 재배 블럭(block)(1000), 성장액 공급 블럭(block)(1100), 공기 공급 블럭(block)(1200) 및 중앙 제어 블럭(block)(1400)은 이송배관부(1300)에 의해 서로 연결됨에 유의한다.
추가 구성으로 성장액 재처리 블럭(block)(1500)는 적어도 하나의 식물 재배 블럭(1000)에 제공되는 성장액 중 일부 남겨진 오염 성장액을 재처리하여 재활 성장액을 식물 재배 블럭에 재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블럭이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재배지 이동식 식물 재배 시스템(2000)은 그 사이즈가 규격화된 다수의 블럭을 수평 방향 및/또는 수직 방향으로 배치하여 하나의 식물 공장을 구성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재배지 이동식 식물 재배 시스템의 각 모듈들을 수평 방향으로 수직 방향으로 연결하여 3차원으로 모식화시킨 도면이다.
도 4에 도시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재배지 이동식 식물 재배 시스템(2000)을 구성하는 블럭을 규격화 및 블럭화함으로써, 식물 공장을 운영하고자 하는 장소에 크게 구애를 받지 않고 쉽게 설치가 가능하며, 운영자가 원하는 규모로 자유롭게 설치가 가능하다.
다시 말해, 재배지 이동식 식물 재배 시스템(2000)은 다수의 블럭으로 분리되기 때문에 설치장소 변경 시에도 쉽게 이송이 가능하며, 건축 허가 등의 복잡한 절차 없이 유휴 공간을 활용하여 식물 재배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각 모듈으로 분리되어 있어, 재배하는 식물에 병충해가 발생하더라도 다른 기능 블럭에서 재배하는 식물에 병충해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재배지 이동식 식물 재배 시스템(2000)은 식물을 재배하는데 필요한 환경을 제공하고 제어하기 위한 기능 블럭들과, 기능 블럭들을 상호 연결하고 연결된 기능 블럭들 간의 통로를 제공하기 위한 통로부(1600)로 구성된다.
또한, 재배지 이동식 식물 재배 시스템(2000)은 식물을 재배하는 N*M*K 개의 식물 재배 블럭(1000), 식물 재배에 필요한 성장액을 생산 및 보관하는 성장액 공급 블럭(1100), 식물 재배에 필요한 각종 공조기능을 제공하는 공기 공급 블럭(1200) 및, 식물 재배 블럭(1000), 성장액 공급 블럭(1100), 공기 공급 블럭(1200)을 관리 및 제어하는 중앙 제어 블럭(1400)을 포함한다.
각 기능 블럭의 뒷면에는 이송 배관부(1300)가 마련되어 각 기능 블럭들을 서로 연결함과 동시에 각 기능 블럭들에 배관 및 배선의 연결을 형성할 수 있다.
인원이 이동하기 위해 각 기능 모듈의 전면에 구비된 통로부(1600)는 N*M*K개의 식물 재배 블럭(1000)의 일면, 성장액 공급 블럭(block)(1100)의 일면 및 공기 공급 블럭(block)(1200)의 일면에 연결되어 사람이나 로봇이 통과 가능하도록 설계된 모듈로, 출입구를 통과하는 외부물질을 세정시키는 에어 샤워부스(1700)를 구비하여 외부의 오염물질과 세균의 유입을 최소화시킨다.
통로부(1600)는 블럭화되어 연결된 각 기능 모듈의 출입구 측에 인원이 이동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하기 위해 마련될 수 있으며, 한 층 내에서 수평 이동을 위해 마련되는 수평 통로(미도시)와 다른 층의 기능 모듈로 이동하기 위해 마련되는 수직 통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과 함께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요지를 포함하는 다양한 실시 형태 중의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님은 명확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의 변경, 치환, 대체 등에 의해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것이다. 또한, 도면의 일부 구성은 구성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실제보다 과장되거나 축소되어 제공된 것임을 명확히 한다.
2000 : 재배지 이동식 식물 재배 시스템
1000 : 식물 재배 블럭(block)
1100 : 성장액 공급 블럭(block) 1200 : 공기 공급 블럭(block)
1300 : 이송 배관부 1400 : 중앙 제어 블럭(block)
1500 : 성장액 재처리 블럭(block)
100 : 조명부 200 : 공기 공급부
300 : 식물 성장 패널(panel) 400 : 성장액 공급부
500 : 온습도 조절부 600 : 센서부
700 : 송신부 800 : 연결부
900 : 공기 배출부

Claims (13)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식물 재배 블럭(block)이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중앙원격제어 기반의 재배지 이동식 식물 재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식물 재배 블럭에 제공되는 성장액을 제조 및 공급하는 성장액 공급 블럭(block);
    상기 식물 재배 블럭에 제공되는 이산화탄소(CO2)를 포함하는 냉온한 공기를 제공하는 공기 공급 블럭(block);
    상기 식물 재배 블럭(block)의 연결부를 통해 상기 식물 재배 블럭의 구동을 지원해 주는 전력을 비롯하여 상기 공기 및 성장액을 상기 식물 재배 블럭으로 이송하는 이송 배관부; 및
    상기 식물 재배 블럭(block)의 송신부에서 송신되는 제어신호를 확인하여 상기 식물 재배 블럭(block), 성장액 공급 블럭(block), 공기 공급 블럭(block) 및 이송 배관부를 각각 동작 제어하는 중앙 제어 블럭(block); 및
    상기 식물 재배 블럭의 일면, 성장액 공급 블럭(block)의 일면 및 공기 공급 블럭(block)의 일면에 연결되어 사람이나 로봇이 통과 가능한 통로부 포함하고,
    상기 식물 재배 블럭(block), 성장액 공급 블럭(block), 공기 공급 블럭(block) 및 중앙 제어 블럭(block)은 상기 이송배관부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원격제어 기반의 재배지 이동식 식물 재배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성장액 공급 블럭은,
    상기 성장액을 제조하는데 필요한 다수의 원료를 저장하는 원료 저장소;
    상기 성장액의 산성도를 조정하는 산용액을 저장하는 산 저장소;
    상기 원료와 산용액을 사전 설정된 비율로 원수와 혼합하여 상기 성장액을 제조 및 저장하는 다수의 성장액 저장탱크를 구비하는 성장액 저장부; 및
    상기 성장액 저장탱크에 저장된 상기 성장액을 식물 재배 블럭의 식물 성장 패널로 전달하는 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원격제어 기반의 재배지 이동식 식물 재배 시스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제어 블럭(block)는,
    상기 식물 재배 블럭(block), 성장액 공급 블럭(block) 및 공기 공급 블럭(block)로부터 각기 전달된 서로 다른 검출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서로 다른 검출정보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결과에 따른 제어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식물 재배 블럭(block), 성장액 공급 블럭(block) 및 공기 공급 블럭(block)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원격제어 기반의 재배지 이동식 식물 재배 시스템.
  7. 삭제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부는,
    출입구를 통과하는 외부물질을 세정시키는 에어 샤워부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원격제어 기반의 재배지 이동식 식물 재배 시스템.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성장액 공급 블럭(block), 공기 공급 블럭(block), 및 중앙 제어 블럭(block)은 사용자의 목적이나 요구되는 환경에 따라 상기 식물 재배 블럭(block)들 사이에 원하는 위치에 배치하거나, 그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원격제어 기반의 재배지 이동식 식물 재배 시스템.
  10.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 재배 블럭에 제공되는 성장액 중 일부 남겨진 오염 성장액을 재처리하여 재활 성장액을 식물 재배 블럭에 재공급하는 성장액 재처리 블럭(block)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원격제어 기반의 재배지 이동식 식물 재배 시스템.
  11.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 재배 블럭은
    상기 식물을 일정위치에 고정시키는 식물 성장 패널(panel);
    상기 식물 성장 패널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식물의 성장에 필요한 빛을 제공하는 조명부;
    상기 식물성장패널의 측면에 위치하고, 연결부에 접속되어, 상기 식물의 성장에 필요한 이산화탄소(CO2)를 포함하는 냉온한 공기를 상기 식물 성장 패널의 측면부에서 제공하는 공기 공급부;
    연결부 및 상기 식물 성장 패널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식물의 성장을 촉진시키는 성장액을 상기 연결부로부터 공급받아, 상기 식물 성장 패널 내에 공급하는 성장액 공급부;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어, 상기 식물의 성장에 필요한 온도와 습도를 조절하는 온습도 조절부;
    상기 연결부와 연결되고, 상기 식물 재배 블럭 내의 일측면에 위치하여, 상기 식물의 재배 환경을 감지하는 다수의 서로 다른 센서들로 이루어진 센서부;
    상기 식물 재배 블럭 내의 벽면에 위치하여, 상기 센서부에서 검출된 검출정보를 유무선으로 수신하고, 수신된 검출정보를 다시 유무선으로 상기 중앙제어블록으로 전송하는 송신부; 및
    상기 조명부, 공기 공급부, 성장액 공급부, 온습도 조절부, 센서부 및 송신부를 구동시키는 전력을 공급할 뿐만 아니라, 상기 공기, 성장액 및 제어신호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식물 재배 블럭(block) 내 어느 한 면으로부터 연장 배선됨에 의해 이송 배관부와 연결되며,
    상기 이송 배관부를 기준으로 상하좌우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식물 재배 블럭(block)을 상기 이송 배관부에 각기 연결하는 중앙원격제어 기반의 식물 재배 블럭(block)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원격제어 기반의 재배지 이동식 식물 재배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
    상기 습도를 검출하는 습도센서;
    상기 공기 내 함유된 이산화탄소량을 감지하는 이산화탄소 감지센서;
    상기 성장액의 산성도를 검출하는 성장액 센서; 및
    상기 성장액의 온도를 검출하는 수온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원격제어 기반의 재배지 이동식 식물 재배 시스템.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냉온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외부 공기와 선순환시키는 공기 배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원격제어 기반의 재배지 이동식 식물 재배 시스템.
KR1020120068857A 2012-06-27 2012-06-27 중앙원격제어 기반의 식물 재배 블럭 및 이를 이용한 재배지 이동식 식물 재배 시스템. KR1012563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8857A KR101256335B1 (ko) 2012-06-27 2012-06-27 중앙원격제어 기반의 식물 재배 블럭 및 이를 이용한 재배지 이동식 식물 재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8857A KR101256335B1 (ko) 2012-06-27 2012-06-27 중앙원격제어 기반의 식물 재배 블럭 및 이를 이용한 재배지 이동식 식물 재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6335B1 true KR101256335B1 (ko) 2013-04-18

Family

ID=48443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8857A KR101256335B1 (ko) 2012-06-27 2012-06-27 중앙원격제어 기반의 식물 재배 블럭 및 이를 이용한 재배지 이동식 식물 재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633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6142A (ko) * 2016-11-18 2018-05-28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장미의 순환식 수경재배 방법
KR101869032B1 (ko) * 2016-11-28 2018-06-20 주종문 빅데이터 창출 지능형 agv 기반 무인 식물공장 로봇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00146A (ja) * 2002-04-24 2004-01-08 Kitaokagumi:Kk 植物の栽培方法および植物の栽培装置
JP3157454U (ja) * 2009-12-02 2010-02-18 三協フロンテア株式会社 ユニット型植物工場
KR101136032B1 (ko) * 2011-07-20 2012-04-18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식물공장 시스템
KR20120061687A (ko) * 2010-12-03 2012-06-13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랩뷰를 이용한 식물공장 제어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00146A (ja) * 2002-04-24 2004-01-08 Kitaokagumi:Kk 植物の栽培方法および植物の栽培装置
JP3157454U (ja) * 2009-12-02 2010-02-18 三協フロンテア株式会社 ユニット型植物工場
KR20120061687A (ko) * 2010-12-03 2012-06-13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랩뷰를 이용한 식물공장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1136032B1 (ko) * 2011-07-20 2012-04-18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식물공장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6142A (ko) * 2016-11-18 2018-05-28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장미의 순환식 수경재배 방법
KR101869032B1 (ko) * 2016-11-28 2018-06-20 주종문 빅데이터 창출 지능형 agv 기반 무인 식물공장 로봇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798627B (zh) 植物生长环境的自动控制装置
KR101692486B1 (ko) Led 식물공장 자동화시스템
KR101963508B1 (ko) 자체제어 및 원격제어가 가능한 식물재배 시스템
AU2019233842B2 (en) Soil ecosystem management and intelligent farming arrangement
WO2016093401A1 (ko) 공기정화 및 공기청정 기능이 부가된 식물재배장치
CN105557388B (zh) 一种设施作物二氧化碳无线智能调控方法与系统
KR101516732B1 (ko) 식물공장의 자동화를 위한 맞춤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9077571A1 (en) PROCESS FOR CULTIVATION OF AGRICULTURAL PRODUCTS
CN109634225B (zh) 一种设施农业智能管理系统
KR20140005036A (ko) 모듈형 식물 공장
JP2019118342A (ja) 多区画型栽培施設
KR101349648B1 (ko) Led 광원을 이용한 순환식 수경 재배 시스템
KR101256335B1 (ko) 중앙원격제어 기반의 식물 재배 블럭 및 이를 이용한 재배지 이동식 식물 재배 시스템.
KR100989801B1 (ko) 무창 돈사 환기관리 시스템
JP2014217309A (ja) 植物栽培システム
CN105993672A (zh) 智能式混合种植和养殖装置
EP3934411B1 (en) A vertical farm system for the cultivation of vegetable products and method for producing a vertical farm system
CN102835277A (zh) 智能型鸟巢式综合种植大棚
CN206421253U (zh) 一种智能农业种植系统
CN214593421U (zh) 一种集装箱式植物种植装置
KR102366389B1 (ko) 개인용 재배 부스를 포함하는 컨테이너형 교육용 스마트팜 시스템
CN206978206U (zh) 一种基于模块化设计思想的高适用性智能温室大棚
CN205755995U (zh) 一种智能大棚系统
CN203133576U (zh) 智能温室集群控制系统
TW202316953A (zh) 水培種植裝置以及包括水培種植裝置的系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