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4901B1 - Device for Removing Extraenous Matters in Power Plant's Intake - Google Patents

Device for Removing Extraenous Matters in Power Plant's Intak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4901B1
KR101254901B1 KR1020110091307A KR20110091307A KR101254901B1 KR 101254901 B1 KR101254901 B1 KR 101254901B1 KR 1020110091307 A KR1020110091307 A KR 1020110091307A KR 20110091307 A KR20110091307 A KR 20110091307A KR 101254901 B1 KR101254901 B1 KR 1012549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power plant
mesh
intake
removal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130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27835A (en
Inventor
이상섭
문호림
오철환
이의종
박영섭
강용철
Original Assignee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913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4901B1/en
Publication of KR201300278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783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49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490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 E02B5/085Arresting devices for waterborne materials, e.g. gra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2Sediment base gates; Sand sluices; Structures for retaining arresting waterborne material
    • E02B8/023Arresting devices for waterborne materials
    • E02B8/026Clean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전소 취수구의 이물질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발전소 취수구의 이물질 제거장치는 일정 폭을 가지며, 메쉬 구조를 갖는 체인 형태의 스크린; 스크린의 내측에 배치되어, 스크린의 내측면에서 적어도 어느 일부분이 접촉되며, 스크린의 메쉬 구조 사이를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돌출봉; 및 스크린의 내측에 배치되어, 스크린으로 고압의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 노즐;을 구비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reign material removal apparatus of the power plant intake.
The foreign material removal apparatus of the power plant intak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redetermined width, the screen of the chain type having a mesh structure; A protrusion bar disposed inside the screen to contact at least a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screen and to protrude between the mesh structures of the screen; And a spray nozzle disposed inside the screen to spray high pressure washing water onto the screen.

Description

발전소 취수구 이물질 제거장치{Device for Removing Extraenous Matters in Power Plant's Intake}Device for Removing Extraenous Matters in Power Plant's Intake}

본 발명은 이물질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발전소 취수구로 대량으로 한꺼번에 유입되는 해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이물질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bris removal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bris removal device for effectively removing debris contained in seawater flowing into a power plant inlet at once.

해안에 설치된 발전소는 발전시설의 가동을 위해 필요한 각종 시스템 용수가 필요하고, 이러한 시스템 용수로 해수를 유입하여 사용하고 있다.Power plants installed offshore require various system waters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power generation facilities, and seawater is used as such system water.

이처럼 시스템 용수로서 해수를 유입하는 과정에서 해수에 해파리, 새우, 해초류 등이 포함되어 유입되기도 한다. 이러한 해수에 포함되는 이물질들은 발전시설을 정지시키거나 각종 고장을 유발하는 원인이 된다. In the process of introducing seawater as system water, seawater may contain jellyfish, shrimp, and seaweed.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se seawater may cause the power plant to stop or cause various failures.

따라서 발전소의 취수구로 유입되는 해수에 포함되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방안이 여러 가지로 모색되고 있다. 예컨대, 일본공개특허 2004-232379호는 스크린 전·후단 수위차를 검출하여 스크린 작동에 의해 이물질을 이송하고, 중력에 의해 이물질을 배수로로 낙하시킨 후 흡입장치를 이용하여 이물질을 처리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새우, 해파리 등이 대량으로 한꺼번에 발전소 취수구로 유입될 경우, 해수 내 이물질 제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Therefore, various methods for removing foreign matters contained in the seawater flowing into the intake of the power plant have been sought. For example,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4-232379 discloses a technique for detecting foreign matters before and after the screen to transfer foreign matters by screen operation, dropping foreign matters into the drainage by gravity, and treating the foreign matters using a suction device. Doing. However, when shrimp, jellyfish, etc. are introduced into the power plant inlet at once,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in seawater.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간단한 구조의 회전망 스크린을 이용하여 해수에 포함되는 이물질, 특히 대량으로 한꺼번에 유입되는 새우, 해파리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발전소 취수구의 이물질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using a simple mesh network screen of the power plant intake for effectively removing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sea water, in particular shrimp, jellyfish, etc. that are introduced at once in large quantities The object is to provide a debris removal device.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발전소 취수구의 이물질 제거장치는 일정 폭을 가지며, 메쉬 구조를 갖는 체인 형태의 스크린; 스크린의 내측에 배치되어, 스크린의 내측면에서 적어도 어느 일부분이 접촉되며, 스크린의 메쉬 구조 사이를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돌출봉; 및 스크린의 내측에 배치되어, 스크린으로 고압의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 노즐;을 구비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apparatus for removing foreign matters from the intake of a power pla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ertain width and has a mesh-type screen having a chain structure; A protrusion bar disposed inside the screen to contact at least a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screen and to protrude between the mesh structures of the screen; And a spray nozzle disposed inside the screen to spray high pressure washing water onto the screen.

돌출봉은 스크린의 내측에서 스크린의 폭 방향과 평행하게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되는 회전축에 적어도 일렬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protruding rod may be formed in at least one line on a rotation shaft fixed to be rotatable in parallel with the width direction of the screen inside the screen.

그리고, 회전축에서 돌출봉이 배열되는 열간의 간격과 각각의 열에서 돌출봉들 간의 간격은 스크린의 메쉬 사이즈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terval between the rows in which the protrusion rods are arranged on the rotation axis and the interval between the protrusion rods in each row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mesh size of the screen.

또한, 돌출봉의 밑변은 스크린의 메쉬 사이즈보다 크고 끝단으로 갈수록 단면이 좁아지도록 첨예한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ottom side of the protrusion bar may be formed to have a sharp shape so that the cross section is narrower toward the end than the mesh size of the screen.

분사 노즐은 스크린의 내측에 배치되는 분사관으로 유입되는 세척액을 돌출봉과 맞닿는 부분 또는 그 주변의 스크린 내측면으로 분사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The spray nozzle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at which the cleaning liquid flowing into the spray pipe disposed inside the screen is sprayed onto a portion in contact with the protruding rod or to the inner surface of the screen around the screen.

본 발명에 따른 발전용 취수구 이물질 제거장치에 의하면, 발전소에 유입되는 해수에 포함되는 이물질, 특히 대량으로 한꺼번에 유입되는 새우, 해파리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apparatus for removing foreign matters from the inlet for power gen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eign substances included in seawater flowing into a power plant, in particular, shrimp, jellyfish, etc., introduced in large quantities can be effectively removed.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발전소 취수구의 이물질 제거장치를 나타내는 개요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물질 제거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이물질 제거장치의 측면도.
도 4 및 도 5는 돌출부에 의한 이물질 제거원리를 나타내는 도면.
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foreign material removal device of the power plant intak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oreign material removing apparatus shown in FIG.
Figure 3 is a side view of the foreign material remo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are views showing the principle of removing foreign matter by the protrusions.

이하 상기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된다.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above object can be specifically realized ar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the same names and symbo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and additional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below.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발전소 취수구 이물질 제거장치의 개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의한 발전소 취수구 이물질 제거장치(100)는 해안에 건설된 발전소(210)가 해수(220)를 공급받기 위한 취수구에 설치되어서 해수에 포함되는 이물질을 제거한다. 1 is a view showing the outline of the foreign matter removing apparatus of the power plant intake 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ower plant intake debris removal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intake port for receiving the seawater 220 is a power plant 210 constructed on the coast to remove the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sea water.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이물질 제거장치(100)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이물질 제거장치(100)의 스크린(130)과 이물질 제거부(110) 및 세척부(120)의 측면도이다.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oreign substance remov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ide view of the screen 130 and the foreign substance removing unit 110 and the washing unit 120 of the foreign substance remov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be.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발전소 취수구 이물질 제거장치(100)는 하우징(102) 내부에 탑재되는 스크린(130)과, 스크린(130) 내측에 배치되어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부(110) 및 세척부(120)를 구비한다.Referring to FIGS. 2 and 3, the apparatus 100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in the power plant intake 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creen 130 mounted inside the housing 102, and a foreign material agent disposed in the screen 130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Rejection 110 and the washing unit 120 is provided.

하우징(102)은 해수를 유입하여 발전소(210)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통로이면서, 해수(220)에 포함되는 해조류 및 어류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스크린(130)과 돌출봉(112) 및 분사 노즐(122)을 탑재하고 있다. The housing 102 is a passage for introducing seawater and supplying it into the power plant 210, and the screen 130, the protrusion rod 112, and the jet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such as seaweeds and fish included in the seawater 220. The nozzle 122 is mounted.

스크린(130)은 메쉬 프레임(132)들의 장축이 서로 연결봉(134)으로 일정범위 내에서 회전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체인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스크린(130)은 상부에 배치되는 모터(미도시)에 의해서 회전한다. 그리고 스크린(130)은 메쉬 프레임(132)들의 일면이 해수가 유입되는 방향을 대면하도록 하우징(102) 내부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서 메쉬 프레임(132)의 메쉬망은 해수가 유입될 때 해수에 포함되는 이물질을 일차적으로 거를 수 있다. The screen 130 has a chain structure in which the long axes of the mesh frames 132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a connecting rod 134 so as to be rotatable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The screen 130 is rotated by a motor (not shown) disposed thereon. The screen 130 is disposed inside the housing 102 such that one surface of the mesh frames 132 faces a direction in which seawater is introduced. Accordingly, the mesh network of the mesh frame 132 may primarily filter foreign matters contained in the seawater when seawater is introduced.

각각의 메쉬 프레임(132)들은 강철 등의 금속 재질로 형성되고, 도 4에서와 같이, 와이어(133)가 메쉬 구조를 갖도록 얽혀 있어서 해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일차적으로 거른다. 메쉬 프레임(132)들을 형성하는 메쉬의 간격(w)은 해수의 유입을 수월하게 하면서 이물질이 쉽게 통과하지 못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즉, 메쉬의 간격(w)이 지나치게 클 경우에는 이물질이 쉽게 통과하여 유입될 수 있고, 메쉬의 간격(w)이 지나치게 작을 경우에는 와이어(133)들 사이에서 해수의 표면장력에 영향으로 해수의 유입이 수월하지 않을 수 있다. 메쉬의 간격(w)은 이처럼 이물질의 통과 여부와 표면장력 등을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와이어(133)는 내식성이 우수한 스테인레스 강(Stainless still)을 이용하여 제작할 수 있다. Each mesh frame 132 is formed of a metal material such as steel, and as shown in Figure 4, the wire 133 is entangled to have a mesh structure to filter out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seawater. The spacing w of the meshes forming the mesh frames 132 may be set such that foreign matter does not easily pass while facilitating the inflow of seawater. That is, when the mesh spacing (w) is too large, foreign matter can easily pass through, and when the mesh spacing (w) is too small, the surface tension of the seawater may be affected by the surface tension of the seawater between the wires 133. Inflows may not be easy. The spacing (w) of the mesh may be set in consideration of the passage of foreign matter and the surface tension. In addition, the wire 133 may be manufactured using stainless steel having excellent corrosion resistance.

이물질 제거부(110)는 스크린(130)에 끼인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으로, 회전축(114)에 복수 개로 형성되는 돌출봉(112)으로 구성된다. The foreign material removal unit 110 is to remove the foreign matter caught in the screen 130, it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protrusions 112 formed on the rotary shaft 114.

돌출봉(112)은 하우징(102)의 내측에서 양단이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되는 회전축(114)에서 복수 개로 형성된다. 회전축(114)은 체인 형태의 스크린(130) 내부에서 메쉬 프레임(132)들의 장축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그리고 돌출봉(112)은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회전축(114)과 맞닿는 메쉬 프레임(132)들의 와이어(133) 사이를 돌출하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해서 돌출봉(112)은 스크린(130)의 와이어(133) 간의 간격(w)인 메쉬 사이즈보다 작은 폭을 갖는 기둥형태나 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돌출봉(112)은 스크린(130)과 돌출봉(112) 사이에 이물질이 끼이지 않도록 밑변은 매쉬 사이즈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Protruding bar 112 is formed in plurality in the rotation shaft 114 is fixed so that both ends are rotatable inside the housing (102). The rotating shaft 114 is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long axis of the mesh frames 132 within the chain-shaped screen 130. 4 and 5, the protruding rod 112 is formed to protrude between the wires 133 of the mesh frames 132 contacting the rotating shaft 114. To this end, the protrusion rod 112 may be formed in a pillar shape or a horn shape having a width smaller than the mesh size, which is a gap w between the wires 133 of the screen 130. The protruding rod 112 may have a bottom side larger than the mesh size so that foreign matter is not caught between the screen 130 and the protruding rod 112.

또한, 각각의 돌출봉(112)들은 스크린(130)의 메쉬 구조에 일대일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돌출봉(112)은 메쉬 프레임(132)에서 장축 방향(y축)으로 형성되는 메쉬 수와 메쉬 간격에 대응하는 개수 및 간격으로 회전축(114)에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회전축(114)에서 배열되는 돌출봉(112)들의 각각의 열은 메쉬 프레임(132)에서 단축 방향(x축)으로 형성되는 메쉬 간격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each of the protrusions 112 may be formed to correspond one-to-one to the mesh structure of the screen 130. That is, the protruding rods 112 may be arranged in a line on the rotation shaft 114 in the mesh frame 132 in a number and intervals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meshes formed in the long axis direction (y-axis) and the mesh spacing. In addition, each row of the protruding rods 112 arranged on the rotation shaft 114 may be formed at an interval corresponding to the mesh interval formed in the axial direction (x axis) in the mesh frame 132.

그리고, 회전축(114)은 스크린(130)이 회전하는 방향 또는 반대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축(114)은 돌출봉(112)이 스크린(130)의 메쉬에 맞물리도록 구성할 경우에, 회전축(114)은 회전을 위한 별도의 모터 등의 구동 장치가 없이도 스크린(130)의 회전에 따라서 회전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otation shaft 114 may rotat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creen 130 rotates or in the opposite direction. For example, when the rotation shaft 114 is configured such that the protrusion rod 112 is engaged with the mesh of the screen 130, the rotation shaft 114 is the screen 130 without a separate drive device such as a motor for rotation. It can rotate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또는, 회전축(114)을 회전시키기 위해 모터를 적용하는 경우에, 회전축(114)의 위치는 돌출봉(112)이 스크린(130)의 메쉬 프레임(132)과 접촉하지 않도록 가변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회전축(114)은 돌출봉(112)을 이용하지 않을 경우에, 돌출봉(112)이 스크린(130)의 메쉬 프레임(132)과 이격되도록 이동할 수도 있다.Alternatively, in the case of applying a motor to rotate the rotary shaft 114, the position of the rotary shaft 114 may be varied so that the protrusion rod 112 does not contact the mesh frame 132 of the screen 130. Accordingly, when the rotating shaft 114 does not use the protruding rod 112, the protruding rod 112 may move to be spaced apart from the mesh frame 132 of the screen 130.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서 돌출봉(112)은 스크린(130)을 구성하는 메쉬 프레임(132)에 끼인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즉, 메쉬 프레임(132)에서 메쉬 구조의 철망에 끼인 이물질들은 스크린(130)이 회전함에 따라서 돌출봉(112)과 맞닿게 되고, 이때 돌출봉(112)이 메쉬 프레임(132)의 와이어(133) 사이를 뚫도록 돌출된다. 따라서, 메쉬 프레임(132)에서 메쉬 구조의 철망 사이에 끼인 이물질들은 돌출봉(112)에 의해서 스크린(130)으로부터 분리된다.By such a structure, the protruding rod 112 can remove foreign substances caught in the mesh frame 132 constituting the screen 130. That is, foreign matters caught in the wire mesh of the mesh structure in the mesh frame 132 are in contact with the protruding rod 112 as the screen 130 rotates, and the protruding rod 112 is the wire 133 of the mesh frame 132. ) To protrude between. Therefore, foreign matters sandwiched between the wire mesh of the mesh structure in the mesh frame 132 are separated from the screen 130 by the protrusion rod 112.

세척부(120)는 이물질 제거부(110)에 의해서 일차적으로 제거된 이후에도 스크린(130)에 잔존하는 이물질들을 고압의 세척액을 이용하여 이차적으로 분리한다.The washing unit 120 separates the foreign substances remaining on the screen 130 even after being first removed by the foreign substance removing unit 110 by using a high pressure washing liquid.

분사 노즐(122)은 하우징(102)의 내측에서 양단이 고정된 수관(124)에 하나 이상이 형성된다. 수관(124)은 스크린(130)의 내측에 배치되고, 해수(220) 또는 다른 수원(water source)으로부터 세척수를 공급받는다. 그리고 분사 노즐(122)은 수관(124)을 통해서 공급되는 세척수를 스크린(130)을 향하여 고압으로 배출한다. 특히 분사 노즐(122)은 스크린(130)의 내측에서 돌출봉(112)이 배치된 영역 또는 그 주변 영역을 향해서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One or more spray nozzles 122 are formed in the water pipe 124 fixed at both ends of the housing 102. The water pipe 124 is disposed inside the screen 130 and receives the washing water from the sea water 220 or another water source. The spray nozzle 122 discharges the washing water supplied through the water pipe 124 at a high pressure toward the screen 130. In particular, the spray nozzle 122 may be formed at a position where the washing water may be sprayed toward the region where the protruding rod 112 is disposed or the peripheral region of the screen 130.

이와 같이 분사 노즐(122)을 통해서 스크린(130)에 고압의 세척수를 분사함으로써 돌출봉(112)을 통해서 메쉬 프레임(132)에 잔존하는 이물질을 분리할 수 있다. As such, by spraying high pressure washing water onto the screen 130 through the spray nozzle 122, foreign matter remaining in the mesh frame 132 may be separated through the protruding rod 112.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발전소 취수구 이물질 제거장치(100)는 해수를 유입하는 과정에서 해수에 포함되는 이물질을 스크린(130)을 이용하여 걸러낼 수 있다. 또한 이물질 제거장치(100)의 돌출봉(112)은 스크린(130)에 걸러진 이물질을 스크린(130)과 일차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물질 제거장치(100)의 분사 노즐(122)을 통한 세척수의 분사로 스크린(130)에 끼인 이물질을 이차적으로 완전하게 스크린(130)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ower plant intake debris remov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ilter the debris contained in the seawater using the screen 130 in the process of introducing the seawater. In addition, the protrusion rod 112 of the foreign matter removing apparatus 100 may primarily separate the foreign matter caught on the screen 130 from the screen 130. Then, the foreign matter stuck to the screen 130 by spraying the washing water through the injection nozzle 122 of the foreign substance removal device 100 can be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screen 130.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발전소 취수구 이물질 제거장치(100)는 이물질을 스크린(130)을 통해서 거르는 동시에, 스크린(130)에 끼이는 이물질을 돌출봉(112)과 분사 노즐(122)을 이용하여 제거하여, 스크린(130)에 끼이는 이물질로 야기되는 취수 불량으로 인한 발전소의 불필요한 정지를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apparatus 100 for removing foreign matters of the power plant intake 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lters foreign matters through the screen 130 and removes the foreign matters caught in the screen 130 by using the protruding rod 112 and the injection nozzle 122. Thus, unnecessary stop of the power plant due to poor water intake caused by foreign matters caught in the screen 130 can be prevented.

위에서 몇몇의 실시예가 예시적으로 설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이 이의 취지 및 범주에서 벗어남 없이 다른 여러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other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따라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첨부된 청구항 및 이의 동등 범위 내의 모든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
Accordingly,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considered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and all embodiments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are intended to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이물질 제거장치 210 : 발전소
220 : 해수 134 : 연결봉
102 : 하우징 110 : 이물질 제거부
112 : 돌출봉 114 : 회전축
120 : 세척부 122 : 분사 노즐
124 : 수관 130 : 스크린
132 : 메쉬 프레임 133 : 와이어
100: debris removal device 210: power plant
220: seawater 134: connecting rod
102 housing 110: foreign matter removal unit
112: protrusion bar 114: rotation axis
120: washing unit 122: spray nozzle
124: water pipe 130: screen
132: mesh frame 133: wire

Claims (5)

일정 폭을 가지며, 메쉬 구조를 갖는 체인 형태의 스크린;
상기 스크린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스크린의 내측면에서 적어도 어느 일부분이 접촉되며, 상기 스크린의 메쉬 구조 사이를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돌출봉; 및
상기 스크린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스크린으로 고압의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 노즐;을 구비하는 발전소 취수구의 이물질 제거장치.
A screen of a chain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nd having a mesh structure;
A protrusion bar disposed inside the screen to contact at least a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screen and to protrude between the mesh structures of the screen; And
Is disposed inside the screen, the foreign matter removal apparatus of the intake of the power plant comprising a; spray nozzle for spraying high-pressure washing water to the scree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봉은 상기 스크린의 내측에서 상기 스크린의 폭 방향과 평행하게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되는 회전축에 적어도 일렬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소 취수구의 이물질 제거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protruding rod is formed on at least one line of the foreign matter removal apparatus of the inlet of the power plant,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rotating shaft fixed to be rotatable in parallel with the width direction of the screen inside the screen.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에서 상기 돌출봉이 배열되는 열간의 간격과 각각의 열에서 상기 돌출봉들 간의 간격은 상기 스크린의 메쉬 사이즈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소 취수구의 이물질 제거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foreign material removal apparatus of the power plant intake port, characterized in that the interval between the rows in which the protrusion bar is arranged in the rotation axis and the interval between the protrusion rods in each row corresponds to the mesh size of the scree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봉의 밑변은 상기 스크린의 메쉬 사이즈보다 크고 끝단으로 갈수록 단면이 좁아지도록 첨예한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소 취수구의 이물질 제거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lower side of the protruding rod is larger than the mesh size of the screen and the foreign material removal device of the intake of the power plant inlet having a sharp shape so that the cross section is narrowed toward the en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 노즐은 상기 스크린의 내측에 배치되는 분사관으로 유입되는 세척액을 상기 돌출봉과 맞닿는 부분 또는 그 주변의 상기 스크린 내측면으로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소 취수구의 이물질 제거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pray nozzle is a foreign matter removal apparatus of the power plant intake port, characterized in that for spraying the cleaning liquid flowing into the injection pipe disposed inside the screen to the inner surface of the screen in contact with the protruding rod or its periphery.
KR1020110091307A 2011-09-08 2011-09-08 Device for Removing Extraenous Matters in Power Plant's Intake KR10125490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1307A KR101254901B1 (en) 2011-09-08 2011-09-08 Device for Removing Extraenous Matters in Power Plant's Intak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1307A KR101254901B1 (en) 2011-09-08 2011-09-08 Device for Removing Extraenous Matters in Power Plant's Intak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7835A KR20130027835A (en) 2013-03-18
KR101254901B1 true KR101254901B1 (en) 2013-04-18

Family

ID=48178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1307A KR101254901B1 (en) 2011-09-08 2011-09-08 Device for Removing Extraenous Matters in Power Plant's Intak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4901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86246A (en) 1975-01-24 1976-07-28 Masahiro Kojima Suichu suimentoniokerumorui jinkaitonokaishusochi
JPH06287928A (en) * 1993-03-31 1994-10-11 Hitachi Kiden Kogyo Ltd Filter element moving type dust collector
JP2000240041A (en) 1999-02-19 2000-09-05 Hitachi Plant Eng & Constr Co Ltd Dust removing device
JP2010106528A (en) 2008-10-30 2010-05-13 En-Tec Co Ltd Screen dust collecto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86246A (en) 1975-01-24 1976-07-28 Masahiro Kojima Suichu suimentoniokerumorui jinkaitonokaishusochi
JPH06287928A (en) * 1993-03-31 1994-10-11 Hitachi Kiden Kogyo Ltd Filter element moving type dust collector
JP2000240041A (en) 1999-02-19 2000-09-05 Hitachi Plant Eng & Constr Co Ltd Dust removing device
JP2010106528A (en) 2008-10-30 2010-05-13 En-Tec Co Ltd Screen dust coll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7835A (en) 2013-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58581B2 (en) Filtration device
KR102388303B1 (en) Filtration device and filter element
ATE528054T1 (en) SYSTEM AND METHOD FOR TREATING A COOLING FLUID IN MECHANICAL PROCESSING PLANTS
KR101370394B1 (en) Drum screen
RU2705068C2 (en) Device for removal of foreign objects from liquid, as well as method of cleaning corresponding device
JP2009078214A (en) Cleaning apparatus of cylindrical filter
JP2011189237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ing ballast water
KR200432736Y1 (en) Structure of filter screen of drum screen device
KR101254901B1 (en) Device for Removing Extraenous Matters in Power Plant's Intake
KR20100134991A (en) Various type tube washer
JP2017192380A (en) Vegetable washing equipment, and vegetable washing system using the equipment
KR20140148205A (en) Apparatus for preventing the clogging of grid for vessel propeller
JP2015123424A (en) Filter device, ballast water treatment apparatus using the same and treatment method of ballast water
KR100766879B1 (en) Surface cleaner for filtration
KR20090050455A (en) Cleaning apparatus of screen for treating wastewater
JP4828964B2 (en) Stainless steel strip cleaning equipment
WO2017173161A1 (en) Rotating belt filter automated self-cleaning assembly
CN101670200B (en) Ultrasonic cleaning fiber bundle filter
JP5215005B2 (en) Net cleaning device
JP4994057B2 (en) Glue net cleaning apparatus and gluing net cleaning method using the apparatus
CN211635496U (en) Sewage filtering device
CN101590475B (en) Cleaning device of raschig ring
CN110721521A (en) Sewage filtering device
JP2857267B2 (en) Sewage treatment equipment
KR20200030240A (en) Drum screen of contaminant process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