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4592B1 - Common Sport Apparatus for Measuring Exercising State using connected Mobile Device - Google Patents

Common Sport Apparatus for Measuring Exercising State using connected Mobile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4592B1
KR101254592B1 KR1020110021680A KR20110021680A KR101254592B1 KR 101254592 B1 KR101254592 B1 KR 101254592B1 KR 1020110021680 A KR1020110021680 A KR 1020110021680A KR 20110021680 A KR20110021680 A KR 20110021680A KR 101254592 B1 KR101254592 B1 KR 1012545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device
unit
exercise
use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168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012374A (en
Inventor
김요섭
민인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도화엔지니어링
(주)디자인파크개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도화엔지니어링, (주)디자인파크개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도화엔지니어링
Publication of KR201200123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237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45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459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multiple steps, i.e. more than one step per limb, e.g. steps mounted on endless loops, endless ladd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048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cantilevered support elements pivoting about an axis
    • A63B22/006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cantilevered support elements pivoting about an axis the pivoting movement being in a plan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e.g. a step and twist movement
    • A63B22/0069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cantilevered support elements pivoting about an axis the pivoting movement being in a plan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e.g. a step and twist movement about an ax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e.g. steppers with an inclined axi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03Motion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68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with article holders
    • A63B2225/685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with article holders for electronic devices, e.g. phone, PDA, GPS device, notebook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용운동기구 등에 사용자의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 운동상태 등을 측정할 수 있는 공용운동기구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지면상에 설치되는 본체를 포함하되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고정유닛과 상기 본체에 연결 구비되고 사용자의 외력에 의하여 작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운동효과를 부여하는 작동유닛과 상기 작동유닛의 작동 상태를 감지하도록 구비되는 감지센서 및 상기 감지센서와 연결되고, 상기 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신호를 전송받아 처리하는 제어부가 포함된 사용자의 모바일 디바이스를 수용하는 거치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모바일 디바이스 연결용 공용운동기구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mon exercise equipment that can measure the exercise state using the user's mobile device, such as a common exercise equipment.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installed on the ground, but is provided with a fixed unit to maintain a fixed state and connected to the main body and the operation unit and the operation unit to give a movement effect to the user by operating by the external force of the user Connected to a mobile device configured to include a detecting sensor provided to detect an operating state of the sensor and a holder for receiving the mobile device of the user, the control unit receiving and processing a signal sensed by the detecting sensor. Provide public exercise equipment for

Description

모바일 디바이스 연결용 거치대를 이용한 운동 상태 측정 기능을 갖는 공용운동기구{Common Sport Apparatus for Measuring Exercising State using connected Mobile Device}Common Sport Apparatus for Measuring Exercising State using connected Mobile Device}

본 발명은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직접 소지하고 다니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연결하여 운동상태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한 모바일 디바이스 연결용 공용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ercise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mmon exercise device for connecting a mobile device, which allows a user to directly measure the state of exercise by connecting a mobile device carried by the user.

최근 들어 산업 문화 즉, 사이버 문화의 급진적 발달에 따라 현대인들의 사회적 활동 영역이 주로 협소한 공간에서 컴퓨터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고, 이에 따라 현대인들은 자신들의 건강 도모에 많은 노력을 기하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편으로 가정 또는 가까운 피트니스클럽 등을 이용하여 자신들의 건강 증진을 도모하고 있다.Recently, due to the rapid development of industrial culture, that is, cyber culture, the social activities of modern people are mainly made through computers in narrow spaces. Therefore, modern people are making great efforts to promote their health. As a way to improve their health, they can use a home or a nearby fitness club.

이렇게 가정 또는 피트니스클럽에는 벤치 프레스, 런닝 머신, 사이클 등의 각종 운동기구가 마련되어 운동자의 건강증진을 도모하고 있으며, 이들은 운동자가 운동하면서 자신의 운동량을 체크 및 조절할 수 있도록 운동기구 마다 운동량에 따른 표시부가 구비되어 있어 운동자의 운동속도 또는 횟수, 시간 등을 표시함으로써 운동자가 그 날의 운동량을 단계적 체크하여 운동량을 서서히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자신의 신체조건을 스스로 인지 관리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In the home or fitness club, various exercise equipments such as bench press, treadmill, and cycle are provided to promote exercisers' health, and the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exercise amount for each exercise equipment so that the athletes can check and adjust their exercise quantity while exercising. Is equipped with the exercise speed or the number of times, such as by displaying the exercisers step by step to check the amount of exercise of the day to gradually increase the amount of exercise and to manage their own physical conditions.

이와 같이, 운동자는 표시부를 통해 출력된 자신의 신체조건을 일일이 노트 등에 기록하면서 자신의 체력을 증진시키고, 또한 메모리된 노트를 이용하여 트레이너의 지시를 받고 이를 수행함으로써 자신의 특성에 맞는 운동을 하게 된다.As such, the athlete improves his or her physical strength by recording his / her physical condition output through the display unit, etc., and also receives the instruction of the trainer using the memorized notes and performs the exercise according to his characteristics. do.

한편, 근래에는 이러한 건강에 대한 일반 시민들의 관심에 대응하여 일반 공원이나 아파트 단지 내에도 자유롭게 일반 주민들이 이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야외운동기구가 설치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in recent years, in response to the interest of the general citizens on the health, various outdoor exercise equipment is installed in the general park or apartment complex to be freely used by the general residents.

이러한 야외운동기구는 일반 주민들이 쉽게 접근이 가능하게 되므로 최근 들어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고 있는데, 야외운동기구는 혼자서 사용하여야 하므로 피트니스클럽 등에서와는 달리 호기심의 용도로 접근이 많이 되는 실정이며, 정확하게 올바른 방법으로 이용하는 시민들의 수는 적은 것 또한 사실이었다.These outdoor exercise equipments are easily used by the general public, so many people have recently used them. However, the outdoor exercise equipments must be used by themselves. It was also true that the number of citizens used by the method was small.

특히, 야외운동기구는 공공장소에 설치되는 관계로 설치업자로서도 운동량 등의 체크를 위한 고가의 전기적 장치를 제공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기에, 야외운동기구를 사용하는 사용자로서는 스스로 운동 시마다 운동량을 체크하여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In particular, since outdoor exercise equipments are installed in public places, it is difficult for installers to provide expensive electrical devices for checking the amount of exercise. Therefore, users who use outdoor exercise equipments must check the amount of exercise every time they exercise. There was a problem.

그러므로, 이러한 야외에 설치된 운동기구 또한 피트니스클럽과 마찬가지로 정확하고 올바르게 사용하도록 함과 동시에 설치자의 입장에서도 관리를 보다 편하게 할 수 있는 야외운동기구의 개발이 필요하였다.Therefore, it was necessary to develop an outdoor exercise device that can be used more accurately and correctly as well as a fitness club, and can be more easily managed from an installer's point of view.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 및 제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forementioned problems and drawbacks of the prior ar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첫째, 본 발명은 공용운동기구를 통하여 사용자의 운동상태를 손쉽게 체크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First,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object to make it easy to check the user's exercise state through the common exercise mechanism.

둘째, 본 발명은 사용자가 휴대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장착할 수 있는 공용운동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econd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mon exercise device that can be equipped with a mobile device that the user carries.

셋째, 본 발명은 공용운동기구에 모바일 디바이스를 장착 후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 운동량 및 운동상태 등을 체크할 수 있도록 한 공용운동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ir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mon exercise device that allows the user to check the amount of exercise and exercise state using the mobile device after mounting the mobile device in the common exercise devic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면 상에 설치되는 본체를 포함하되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고정유닛, 상기 본체에 연결 구비되고 사용자의 외력에 의하여 작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운동효과를 부여하는 작동유닛, 상기 작동유닛의 작동 상태를 감지하도록 구비되는 감지센서 및 상기 감지센서와 연결되고, 상기 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신호를 전송받아 처리하는 제어부가 포함된 사용자의 모바일 디바이스를 수용하는 거치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모바일 디바이스 연결용 공용운동기구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that is installed on the ground, but a fixed unit for maintaining a fixed state, the operation is provided to the main body and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by operating by the external force of the operation to give the user a movement effect Unit, a sensor for sens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operation unit and a cradle for receiving a mobile device of the user connected to the sensor and the control unit for receiving and processing the signal sensed by the sensor includes a control unit It provides a common exercise device for connecting the configured mobile device.

그리고, 상기 거치부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와 유선 연결되며, 상기 감지센서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The cradle may be wired to the mobile device, and the sensor may receive power from the mobile device.

또한, 상기 거치부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와 무선 연결되며, 상기 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신호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전송부 및 상기 작동유닛의 작동에 의해 전력을 발생시키고, 상기 감지센서 및 상기 전송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자가발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older is wirelessly connected to the mobile device, generates power by the operation of the transmission unit and the operation unit for transmitting a signal sensed by the detection sensor to the mobile device, the detection sensor and the transmission unit It may further include a self-generation unit for supplying power to.

여기서, 상기 거치부는 사용자의 모바일 디바이스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홈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mounting portion may include an accommodation groove that can accommodate the mobile device of the user.

그리고, 상기 수용홈을 개폐시키는 커버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nd, it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cover portion for opening and closing the receiving groove.

또한, 상기 수용홈은 상기 본체에 형성되되 상기 본체 양측으로는 슬라이딩홈이 구비되고, 상기 커버부의 양측은 상기 슬라이딩홈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함으로써 상기 수용홈을 개폐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ccommodating groove may be formed in the main body, and sliding grooves are provided at both sides of the main body, and both sides of the cover part may be inserted into the sliding groove to slide the accommodating groove.

한편, 상기 거치부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몸체가 밀착되어 지지되는 거치부 본체와 상기 거치부 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양측이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함과 동시에 부착 후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 부착된 상태의 유지가 가능하도록 하는 착탈편 및 상기 거치부 본체를 상기 고정유닛에 연결시키는 연결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mounting portion is provided in the mounting body and the mounting body main body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ody of the mobile device to be attached to both sides of the mobile device detachably and at the same time attached when the external force does not work after attachment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removable frame and a connecting frame for connecting the mounting unit body to the fixing unit to enable the maintenance of.

여기서, 상기 거치부는 상기 거치부 본체가 소정 각도로 틸팅 가능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틸팅유닛을 더 포함하거나, 상기 거치부는 상기 거치부 본체가 자유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시각적 확보가 가능하도록 한 볼힌지유닛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mounting portion further comprises a tilting unit for maintaining the state in which the mounting body main body tiltable at a predetermined angle, or the mounting portion allows the user to visually secure the ball by allowing the mounting body to be freely rotated It may further comprise a hinge unit.

또한, 상기 거치부 본체는 적어도 이단 이상의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내측으로 갈수록 그 폭이 작아지도록 구성되며, 각각의 단을 이루는 지지부마다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양변이 착탈식으로 끼워져 고정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착탈편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unting portion main body is configured to include at least two or more of the support portion is configured to be smaller in width toward the inner side, each side of the support for each end of the mobile device is detachably fitted detachable to maintain a fixed state.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more.

이 경우에도, 상기 거치부는 상기 거치부 본체가 소정 각도로 틸팅 가능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틸팅유닛을 더 포함하거나, 상기 거치부는 상기 거치부 본체가 자유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시각적 확보가 가능하도록 한 볼힌지유닛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Even in this case, the mounting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tilting unit for maintaining the state in which the mounting body is tiltable at a predetermined angle, or the mounting portion allows the mounting body to be freely rotated so that the user can be visually secured. It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ball hinge unit.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모바일 디바이스 연결용 공용운동기구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effects of the public exercise device for connecting a mobil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첫째,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항시 휴대하고 다니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 공공장소에 설치된 공용운동기구를 사용 시 운동량 또는 운동 상태 등을 측정 할 수 있게 되므로, 공용운동기구의 사용을 극대화하게 되며, 사용자로서도 운동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Fir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easure the amount of exercise or exercise state when using a common exercise equipment installed in a public place using a mobile device that the user carries at all times, thereby maximizing the use of the shared exercise equipment, and as a user. There is an effect that can increase the exercise effect.

둘째, 본 발명에 의하면 공용운동기구에 다양한 형태의 거치부가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쉽게 모바일 디바이스를 설치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Second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install a mobile device by providing a variety of forms in the common exercise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 연결용 공용운동기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 연결용 공용운동기구에 있어서, 거치부 및 모바일 디바이스가 유선 연결될 경우, 주요 구성 간의 관계를 나타낸 블록도;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 연결용 공용운동기구에 있어서, 거치부 및 모바일 디바이스가 무선 연결될 경우, 주요 구성 간의 관계를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 연결용 공용운동기구에 있어서 거치부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치부가 구비된 공용운동기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 연결용 공용운동기구에 구비되는 거치부의 일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용운동기구에 설치되는 거치부를 나타낸 사시도; 및
도 7은 상기 도 6의 측단면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ublic exercise device for connecting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a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in configuration, when the mounting portion and the mobile device is wired connection in the common exercise device for mobile device conn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b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in configuration in the common exercise mechanism for mobile device conn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radle and the mobile device is wirelessly connected;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main configuration of the mounting portion in the common exercise device for connecting mobile devi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mmon exercise mechanism equipped with a crad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one form of the mounting portion provided in the common exercise device for connecting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unting portion installed in the common exercise mechanis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7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FIG. 6.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embodiment, the same designations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and further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 연결용 공용운동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mmon exercise device for connecting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일반적으로 본 출원인이 이미 기 출원한 출원번호 20-2003-0038849, 출원번호 20-2003-0038848, 출원번호 20-2003-0038847 등은 물론 다양한 운동기구가 실제 공원 등과 같은 야외공공장소에 설치되어 있다.In general, a variety of sports equipment is installed in outdoor public places such as parks, as well as the application number 20-2003-0038849, the application number 20-2003-0038848, the application number 20-2003-0038847 already filed by the present applicant .

이하에서는 이러한 운동기구 중 롤링 웨이스트형 운동기구를 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하며, 일반적으로 이러한 운동기구 등은 주로 야외에 설치되지만 실내 체육관에도 설치가 가능하므로 공용운동기구로 통일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즉, 도 1은 다양한 공용운동기구 중 롤링 웨이스트형 운동기구에 모바일 디바이스가 연결되도록 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Hereinafter, the rolling waist type of the exercise equipment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and in general, such exercise equipment is mainly installed outdoors, but since it can be installed in an indoor gym, it will be described as a common exercise equipment. That is, FIG.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in which a mobile device is connected to a rolling waist type exercise equipment among various common exercise equipment.

롤링 웨이스트형 운동기구(100)(이하, '공용운동기구'와 혼용하여 사용함)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와 손잡이(120) 및 팬들럼(pendulum) 바아(131)와 회전력 조절유닛(1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Rolling waste type exercise equipment 100 (hereinafter,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public exercise equipment'), as shown, the body 110, the handle 120 and the pendulum (pendulum) bar 131 and the rotational force adjusting unit ( 140).

여기서, 상기 본체(110)는 상하방향으로 길이방향을 가지며, 지상 바닥면에 깊숙히 박히거나, 결합볼트 등에 의하여 견고하게 고정된다.Here, the main body 110 has a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deeply embedded in the ground floor, or firmly fixed by a coupling bolt or the like.

그리고, 상기 손잡이(120)는 상기 본체(110)의 어느 한 면으로부터 좌측과 우측으로 연장된 후 전면을 향하여 절곡되게 연장되어 사용자가 양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지상에 고정된 본체(110) 및 상기 본체(110)에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는 상기 손잡이(120) 등은 고정된 상태를 계속 유지하는 고정유닛을 이루게 된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 고정유닛이란 공용운동기구에 있어서 고정된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하는 구성은 어떤 것이든 가능하며, 설명의 편의상 롤링 웨이스트형 운동기구를 예로 들어 설명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handle 120 extends from one side of the main body 110 to the left and right side and then bent toward the front side so that the user can hold it with both hands. Here, the main body 110 fixed to the ground and the handle 120 installed in the fixed state to the main body 110, etc. form a fixed unit to maintain a fixed state.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ed unit may be any structure that continuously maintains a fixed state in the common exercise device, and for the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rolling waist type exercise device is described as an example.

한편, 상기 팬들럼 바아(131)는 일단이 상기 본체(110)의 손잡이가 형성된 면에 하측으로 연장된 형태로 설치되는데, 상기 팬들럼 바아(131)의 하측 끝단에는 사용자가 올라설 수 있도록 발판(132)이 마련된다.On the other hand, the pandulum bar 131 is installed in the form of one end is extended to the lower side on the surface formed with the handle of the body 110, the foot end 132 so that the user can rise to the lower end of the pandulum bar 131 ) Is prepared.

그리고, 상기 팬들럼 바아(131)의 상기 본체(110)에 결합되는 일단은 후술하는 회전력 조절유닛(140)에 결합되되 상기 본체(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And, one end coupled to the main body 110 of the pendulum bar 131 is coupled to the rotational force adjusting unit 140 to be described later, but is rotat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110.

상기 회전력 조절유닛(140)은 상기 본체(110) 내 설치되는데, 여기서 상기 회전력 조절유닛(140)은 사용자에게 운동효과를 부여하기 위한 부하유닛으로서, 오일 댐퍼 방식의 조절유닛 또는 마그네틱 사이의 부하를 이용한 조절유닛 등 다양한 부하유닛이 적용 가능하다.The rotational force adjusting unit 140 is installed in the main body 110, wherein the rotational force adjusting unit 140 is a load unit for imparting an exercise effect to a user, and loads between an oil damper type adjusting unit or a magnetic. Various load units such as used control unit can be applied.

회전 시 소정의 부하가 걸리도록 한 회전력 조절유닛은 이미 다양한 기술이 나와 있고 그 중 적합한 유닛이 적용가능하며, 이미 널리 알려진 기술로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그 부분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Rotation force adjusting unit that takes a predetermined load during rotation has already been shown a variety of techniques and suitable units are applicable among them, it is already well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omitte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ortion. .

그리고, 상기 팬들럼 바아(131)는 상기 회전력 조절유닛(140)에 소정 부하가 걸리며 상대회전이 가능하도록 연결된다.The fan rum bar 131 is connected to the rotational force control unit 140 by a predetermined load and to allow relative rotation.

즉,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본체(110)를 기준으로 상기 팬들럼 바아(131) 및 발판(132)을 양측으로 회전시키면서 상기 회전력 조절유닛(140)에 걸리는 부하를 이용 사용자에게 소정의 운동부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a predetermined exercise load is applied to the user using a load applied to the rotational force adjusting unit 140 while rotating the pandle bar 131 and the footrest 132 based on the main body 110 to both sides. It is to be provided.

상술한 롤링 웨이스트형 운동기구를 살펴보면, 상기 팬들럼 바아(131) 및 상기 회전력 조절유닛(140)과 같은 구성과 같은 유닛은 사용자에게 운동효과를 일으키는 부분으로서 작동유닛을 이루게 된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의 작동유닛은 이동이 가능하며, 사용자에게 운동효과를 부여하는 구성들을 의미한다.Looking at the rolling waist type exercise device described above, the unit such as the configuration of the pandle bar 131 and the rotational force adjusting unit 140 is an operating unit as a part that causes the exercise effect to the user. In other words, the operating unit in the present invention is movable, it means a configuration that gives the user the exercise effect.

상기 롤링 웨이스트형 운동기구의 경우 단순히 상기 팬들럼 바아 및 발판만으로도 운동효과가 가능하므로 작동유닛을 이룰 수 있음은 물론이며, 이러한 작동유닛은 결국 회전 또는 병진 이동 등을 일으키어 사용자에게 운동효과를 부여하는 구성은 어떤 것이든 가능하다.In the case of the rolling waist type exercise equipment, the movement effect can be achieved simply by the pandle bar and the footrest, so that the operation unit can be achieved. Of course, the operation unit causes rotation or translational movement to give the user the movement effect. The configuration can be anything.

이하에서는 사용자에게 운동효과를 일으키는 부분은 작동유닛으로 혼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art causing the exercise effect to the user will be described by mixing with the operation unit.

한편, 상기 본체(110)에는 스마트폰과 같은 사용자가 소지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설치가 가능하도록 한 거치부(20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상기 언급한 스마트폰뿐 아니라, 종래의 모바일폰 및 PDA 등 다양한 매체를 총칭한다.On the other hand, the main body 110 is provided with a mounting portion 200 to enable the installation of a mobile device possessed by a user such as a smartphone. In this case, the mobile device collectively refers to not only the aforementioned smart phone but also various media such as a conventional mobile phone and a PDA.

여기서, 거치부(200)는 모바일 디바이스와 유선 또는 무선 연결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연결 방식에 따라 공용운동기구 내의 구성요소가 다소 달라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 the holder 200 may be wired or wirelessly connected to the mobile device, the components in the common exercise equipment may vary slightly depending on the connection method. Hereinafter,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2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 연결용 공용운동기구에 있어서, 거치부(200) 및 모바일 디바이스가 유선 연결될 경우, 주요 구성 간의 관계를 나타낸 블록도이다.Figure 2a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in configuration, when the mobile unit 200 and the mobile device is wired connection in the common exercise device for mobile device conn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공용운동기구는 본체(110) 내측으로 상기 작동유닛(150)의 작동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센서(25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감지센서(250)는 중력센서 또는 가속도센서 등이 작동유닛(150)의 작동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위치로 설치된다.As shown, the common exercise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detection sensor 250 that can detect the operating state of the operation unit 150 into the main body 110. Here, the detection sensor 250 is installed at a position where a gravity sensor or an acceleration sensor or the like can detect an operating state of the operation unit 150.

구체적으로, 이와 같은 각종 센서들은 해당 공용운동기구의 작동유닛(150)의 작동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적합한 종류들이 선택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같이 롤링웨이스트형 운동기구에서는, 팬들럽 바아(131)의 왕복 회전 빈도를 감지할 수 있는 종류의 센서들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이 외의 다른 여러 운동기구의 경우에도, 해당 운동기구에 따라 가장 적합한 센서들이 하나 이상 선택 설치될 수 있다.Specifically, such various sensors may be selected and installed appropriate types that can detect the operating state of the operation unit 150 of the corresponding common exercise equipment. In the rolling waist type exercise apparatus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may be desirable to provide sensors of a kind capable of detecting the reciprocating rotation frequency of the pendulum bar 131. In addition, in the case of various other sports equipment, one or more sensors most suitable for the sports equipment may be selected and installed.

부가적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롤링웨이스트형 운동기구에 있어서 작동유닛(150)은 팬들럼 바아(131), 발판(132) 또는 회전력 조절유닛(140) 중 하나이나, 상기 감지센서(250)는 외부에 은폐된 형태로 상기 본체 내측으로 상기 회전력 조절유닛(140)의 작동 상태를 감지할 수 있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는 이유는 감지센서를 은폐시킴으로써 파손 자체를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며, 기타 다른 작동유닛(150)에 감지센서를 설치 시에는 별도의 보호케이스가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in the rolling waist type exercise device, the operation unit 150 is one of the pandle bar 131, the footrest 132, or the rotational force adjusting unit 140, but the detection sensor 250 is It is preferable to be installed to detect the operating state of the rotational force control unit 140 in the body in the form concealed to the outside. The reason for doing this is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amage itself by concealing the sensor, when installing the sensor in the other operating unit 150, a separate protective case should be applied.

다음으로, 모바일 디바이스에는, 상기 감지센서(250)에 의하여 감지된 신호를 전송받아 데이터화하는 제어부(260)가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260)를 통하여 외부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송신부(270)가 구비된다. 또한, 외부 메인서버(350)와의 데이터 교환도 가능하도록 별도의 수신부(280)도 구비될 수 있다.Next, the mobile device includes a control unit 260 that receives and transmits the signal detected by the detection sensor 250 to data, and a transmission unit 270 capable of transmitting a signal to the outside through the control unit 260 is provided. It is provided. In addition, a separate receiver 280 may be provided to enable data exchange with the external main server 350.

즉, 공용운동기구에는 작동유닛(150)의 작동상태를 감지하는 감지센서(250)만이 구비되며, 감지된 신호를 처리, 가공하는 일련의 작업은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수행하게 된다.That is, the common exercise device is provided with only the sensor 250 for detect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operation unit 150, a series of operations for processing and processing the detected signal is performed in the mobile device.

이와 같이 하는 이유는, 공용운동기구의 특성을 고려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공용 운동기구는 불특정 다수의 사용자에게 노출되기 때문이다. 가입된 회원들에게만 제공되는 피트니스 클럽 등에 구비된 운동기구의 경우, 마모, 고장 및 파손 빈도가 공용운동기구에 비해 현저히 적으며, 이에 따라 유지, 관리가 용이하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경우에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제어부(260), 송신부(270), 수신부(280) 등이 운동기구 자체에 모두 내장되어도 무방할 것이다.The reason for doing this is to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mon exercise equipment, and in general, the common exercise equipment is exposed to an unspecified number of users. In the case of an exercise equipment provided to a fitness club provided only to members, wear, failure and breakage frequency is significantly less than that of the common exercise equipment, and thus it is easy to maintain and manage. Therefore, in this case, the controller 260, the transmitter 270, the receiver 280, etc. of the mobile device may be all embedded in the exercise device itself.

반면, 공용운동기구의 경우, 남녀노소의 다양한 사용자층이 모두 사용하게 되며, 야외 등의 환경에 그대로 노출되므로 마모, 고장 및 파손이 빈번히 일어날 수 있다. 즉, 제어부(260), 송신부(270) 및 수신부(280)와 같은 전자적인 구성요소는 내구성이 비교적 약하므로, 물리적 충격, 습기, 수분 등에 의해 잦은 고장이 생길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공용운동기구 내에는 최소한의 구성요소만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common exercise equipment, the various user groups of both young and old are used, and since they are exposed to the environment such as outdoors, wear, failure and damage may occur frequently. That is, electronic components such as the controller 260, the transmitter 270, and the receiver 280 have relatively low durability, so that frequent failures may occur due to physical shock, moisture, and moisture.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only the minimum components are provided in the common exercise equipment.

다만, 감지센서(250)의 경우에는 공용운동기구 측에 구비되는 것이 유리하며, 이는 공용운동기구의 종류가 매우 다양하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공용운동기구의 종류에 따라 각 작동유닛(150)은 다양한 구동 방식을 가지며, 복수 개가 구비될 수도 있으므로, 이를 감지하는 감지센서(250)의 종류 역시 다양할 것이다. 즉, 모바일 디바이스 중 최근 많이 보급된 스마트폰의 경우에도, 몇 종류의 센서가 내장되어 있기는 하나, 이를 모든 공용운동기구에 적용하기에는 무리가 따른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detection sensor 250, it is advantageous to be provided on the side of the common exercise device, since the types of the common exercise device are very diverse. Specifically, since each operation unit 150 has a variety of driving schemes and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common exercise mechanism, the type of the sensor 250 for detecting this will also vary. That is, even in the case of smartphones, which have been widely spread among mobile devices, some types of sensors are built in, but it is difficult to apply them to all common exercise equipment.

결과적으로, 감지센서(250)는 각 공용운동기구의 특성에 따라 적합한 것으로 선택되어 공용운동기구 측에 구비되어야 정확한 데이터를 산출할 수 있는 것이다.As a result, the detection sensor 250 is select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of the common exercise equipment is to be provided on the side of the common exercise equipment to calculate the correct data.

이상을 정리하면, 공용운동기구에는 감지센서(250)만이 구비되며, 감지된 신호를 처리, 가공하는 모든 구성은 모바일 디바이스 측에 구비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n summary,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common exercise equipment includes only the sensor 250, and all components for processing and processing the detected signal are provided on the mobile device side.

한편, 도 2a에서는 거치부(200) 및 모바일 디바이스가 유선 연결됨은 전술하였다. 이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가 거치부(200)와 유선 연결될 경우, 공용운동기구에는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구비될 필요가 없다는 장점이 있으며, 이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Meanwhile, in FIG. 2A, the holder 200 and the mobile device are wired. As such, when the mobile device is wired to the holder 200,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ommon exercise device does not need to be provided with additional components,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일반적으로, 공용운동기구 내에 구비되는 감지센서(250)를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일정량의 전력이 요구되며, 이와 같은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 공급유닛이 더 구비될 필요가 있다. 하지만, 모바일 디바이스가 거치부(200)와 유선 연결될 경우, 감지센서(250)는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경우에는 별도의 전력 공급유닛이 요구되지 않는 것이다.In general, a certain amount of power is required to operate the detection sensor 250 provided in the common exercise equipment, and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such power needs to be further provided. However, when the mobile device is wired to the holder 200, the sensor 250 may receive power from the mobile device. Therefore, in this case, a separate power supply unit is not required.

다음으로, 도 2b를 살펴보도록 한다. 도 2b의 경우, 거치부(200) 및 모바일 디바이스가 무선 연결될 경우의 주요 구성 간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은 경우, 공용운동기구 측에 자가발전부(252), 및 전송부(254)가 더 구비된다.Next, look at Figure 2b. In the case of Figure 2b,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in unit 200 and the main configuration when the mobile device is wirelessly connected. In this case, the self-power generation unit 252, and the transmission unit 254 is further provided on the common exercise device side.

즉, 무선 연결의 경우, 도 2a의 유선 연결과는 달리, 감지센서(25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수단이 존재하지 않으며, 또한 감지된 신호를 모바일 디바이스에 전달하여야 하므로, 이와 같은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구성요소가 요구된다. 따라서, 감지센서(250)에 전력을 공급하는 자가발전부(252) 및 감지된 신호를 모바일 디바이스에 전달하는 전송부(254)가 더 구비되는 것이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전송부(254)는 거치부(200)에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에도 유선 연결 시와 같이 제어부(260), 송신부(270) 및 수신부(280)는 모바일 디바이스 측에 구비됨은 물론이다.That is, in the case of a wireless connection, unlike the wired connection of FIG. 2A, there is no means for supplying power to the sensor 250, and the sensed signal must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device, thereby providing such a function. There is a need for components. Therefore, the self-generation unit 252 for supplying power to the sensor 250 and the transmitter 254 for transmitting the sensed signal to the mobile device is further provided. In general, the transmitter 254 may be provided in the holder 200. However, even in this case, as in the wired connection, the controller 260, the transmitter 270 and the receiver 280 is of course provided on the mobile device side.

그리고, 상기 자가발전부(252)는 작동유닛(150)의 작동에 의해 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것으로, 이는 주지된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자가발전부(252) 대신 별도의 전원부가 구비될 수도 있다는 것은 당연하나, 감지센서(250)는 소량의 전력만으로 충분히 구동될 수 있으며, 전술한 공용운동기구의 특성을 고려하여 볼 때, 자가발전 방식이 더욱 적합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self-generating unit 252 may generate power by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unit 150, which is a well-known technology, and thus,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it is natural that a separate power supply unit may be provided instead of the self-generating unit 252, but the sensor 250 may be sufficiently driven with only a small amount of power, in view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above-described common exercise mechanism, It will be appreciated that self-generation is more appropriate.

이상으로, 모바일 디바이스 및 거치부(200)가 유/무선 연결 시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이하에서는 거치부(200)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In the above, the mobile device and the cradle 200 have been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wired / wireless connection is made. Hereinafter, the cradle 2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용운동기구에 구비된 거치부(200)의 주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main configuration of the mounting portion 200 provided in the common exercise mechani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용운동기구에 구비되는 거치부(200)는 본체(110)에 형성된 수용홈(2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ure 1 and 3, the mounting portion 200 provided in the common exercise mechani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include a receiving groove 210 formed in the main body (110).

여기서, 상기 수용홈(210) 형상으로 구성되는 거치부(200)는 내측이 일정 각도 경사지게 상기 본체(110) 내 적절 높이에 위치되도록 형성되어, 사용자의 모바일 디바이스가 안정적으로 설치됨은 물론 운동 중인 사용자의 편리한 시야각 확보에도 유리하게 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Here, the mounting portion 200 formed in the shape of the receiving groove 210 is formed so that the inside is inclined at an appropriate height in the main body 110 at a predetermined angle, so that the user's mobile device is installed stably as well as exercise It is desirable to be advantageous to ensure a convenient viewing angle of.

또한, 상기 본체(110) 내측의 제어부(260)와 케이블(221) 등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잭(220)이 별도로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jack 220 which is electrically connected through the control unit 260 and the cable 221 inside the main body 110 may be provided separately.

그러므로, 사용자의 모바일 디바이스를 연결잭(220)에 연결 시 공용운동기구의 감지센서(250)가 제어부(2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데이터의 교환이 가능하며, 외부 사용자의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한 운동 상태의 확인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user's mobile device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jack 220, the sensor 250 of the common exercise equipmen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260 to exchange data, and the exercise state of the external user's mobile device can be exchanged. You can make it available.

한편, 공용운동기구는 일반적으로 시민들이 편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공원 등과 같은 실외공간에 설치되는데, 비나 눈 등이 상기 수용홈(210) 내부로 침투하거나 사용자가 오물 등을 투척함으로써 오작동의 발생을 일으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ublic exercise equipment is generally installed in an outdoor space such as a park for the citizens to use comfortably, rain or snow, etc. can penetrate into the receiving groove 210 or throw the dirt by the user may cause the occurrence of malfunction. have.

그러므로,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별도로 상기 수용홈(210)을 개폐시킬 수 있는 커버부(23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Therefore, as shown in Figures 1 and 3, it is preferable that the cover portion 23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receiving groove 210 separately.

여기서, 상기 본체(110) 양측으로는 상기 커버부(230) 양측이 끼워져 삽입되는 슬라이딩홈(240)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부(230) 양측이 상기 슬라이딩홈(240)에 끼워져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자중에 의하여 상기 커버부(230)가 자동적으로 하향하여 수용홈(210)이 은폐되도록 함으로써 커버부(230)가 열리어 비나 눈이 오는 경우에 거치부 내부로 물 등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커버부(230)는 전방으로 절곡된 형태로 손잡이부(231)가 구비됨이 보다 바람직하며, 자중에 의하여 자유 낙하가 되는 경우에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인터페이스 화면을 볼 수 있도록 투명재질로 구성됨이 보다 바람직할 것이다.Here, both sides of the main body 110 are formed with sliding grooves 240 into which both sides of the cover part 230 are inserted and inserted, and both sides of the cover part 230 are fitted into the sliding grooves 240 to allow sliding movement. It is preferable to. In addition, the cover unit 230 is automatically lowered by its own weight so that the receiving groove 210 is concealed, thereby preventing the water and the like from penetrating into the mounting unit when the cover unit 230 is opened or rained or snowed. It will be desirable. The cover portion 230 is more preferably provided with a handle portion 231 in a form bent forward, when the free fall by its own weight is more composed of a transparent material so that you can see the interface screen of the mobile device Would be preferred.

그리고, 도시된 것처럼, 상기 본체(110)를 기준으로 양측으로 운동기구가 구비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상기 거치부(200)도 또한 상기 본체의 양측 대칭으로 구비될 것이다.And, as shown, the exercise device may be provided on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110, in this case the mounting portion 200 will also b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symmetrical.

또한, 상기 감지센서(250)와 상기 거치부(200)에 연결되는 모바일 디바이스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해서는 연결잭(220)에 의하여 연결되거나, 작동유닛의 작동상태를 사용자의 모바일 디바이스로 단거리 통신방식에 의한 송/수신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유/무선 연결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될 수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electrically connect the sensor 250 and the mobile device 200 to each other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connection jack 220, or a short-range communication method of the operation state of the operation unit to the user's mobile device It is also possible to make the transmission / reception by. That is, any one of the wired / wireless connection may be selected as described abov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 연결용 공용운동기구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common exercise device for connecting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사용자는 먼저, 상기 커버부(230)를 개방한 후, 수용홈(210) 내측으로 모바일 디바이스를 거치시키게 된다.The user first opens the cover 230 and then mounts the mobile device into the receiving groove 210.

이때, 상기 연결잭(220)에 연결되도록 거치시킬 수도 있으며, 연결잭(220)이 없는 경우에는 상기 수용홈(210) 내부에 단순히 수용시킨 형태로 설치하고 단거리 통신을 통하여 작동유닛의 상태 즉 운동상태를 확인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it may be mounted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jack 220, if there is no connection jack 220 is installed in the form simply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210 and the state of the operation unit through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You can also check.

최근 많이 사용되는 모바일 디바이스, 특히 스마트폰의 경우는 운영체제(OS)가 탑재되어 일반 PC의 운영체제와 같은 프로그램이 설치된 경우, MP3를 재생하거나 메일 송수신이 가능하며, PC 사용환경과 같이 다양한 제어가 가능하도록 제작된다. Recently used mobile devices, especially smart phones are equipped with an operating system (OS), if a program such as the operating system of a normal PC, MP3 can be played or send and receive mail, and various controls such as PC environment It is designed to be.

특히, 이러한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는 개방성이라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 주위 단거리 통신이 가능함과 동시에, 사용자가 원하는 프로그램을 전용 스토어에서 다운로드하거나 직접 제작하여 스마트폰에 설치할 수 있고, 또한 컴퓨터와의 연동을 통해 보다 다양한 작업이 가능하다.In particular, mobile devices such as smartphones have the advantage of being open, enabling short-range communication around the user, and allowing users to download desired programs from a dedicated store or install them on their smartphones, and also works with a computer. Through this, more various tasks are possible.

그러므로, 공용운동기구를 설치하는 설치업체 측에서는 미리 각각의 운동기구에 맞는 다양한 운동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러한 운동 프로그램을 전용 스토어 등에 올린 후에, 사용자가 앱스토어에서 해당 운동기구와 대응하는 적합한 운동 프로그램을 다운 받은 후에 운동기구를 사용함이 바람직할 것이다.Therefore, the installer that installs the common exercise equipment develops various exercise programs for each exercise equipment in advance, uploads these exercise programs to a dedicated store, and then downloads the appropriate exercise program corresponding to the exercise equipment from the App Store. It will be desirable to use exercise equipment after receiving.

즉,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를 상기 공용운동기구의 거치부에 거치시키기 전에 집이나 사무실 등에서 별도의 프로그램을 다운받은 후에, 공용운동기구에 장착 시 자동적으로 운동프로그램이나 각각의 공용운동기구에 맞는 개별적인 프로그램이 작동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That is, after installing a separate program at home or office, etc. before mounting the mobile device on the mounting portion of the common exercise equipment, when the exercise equipment or a separate program for each common exercise equipment is automatically installed when mounted on the common exercise equipment. You can get it to work.

결국, 사용자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운동기구에 전기적으로 연결한 후에, 작동유닛의 작동 시에 상기 감지센서(250)에 의해 감지된 신호를 제어부(260)를 통해 가공하여 사용자의 운동량을 실시간 체크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사용자의 운동량 등을 직접 사용자의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운동 중에도 적당한 운동량 및 운동상태 등을 체크할 수 있게 되며, 하루나 일정 기간에 걸쳐 정하여진 운동 및 계획적인 운동이 가능함은 체크된 운동량을 데이타화하여 저장할 수도 있게 된다.As a result, after the user electrically connects the mobile device to the exercise device, the user may process the signal sensed by the detection sensor 250 through the control unit 260 at the time of operation of the operation unit to check the user's exercise amount in real time. Will be. In addition, by allowing the user to visually view the user's exercise amount through the user's mobile device in real time, the user can check the appropriate exercise amount and exercise state during the exercise, and the exercise and The possibility of planning exercise can also save the checked exercise amount as data.

즉, 일반적인 운동량 등의 체크 및 조절이 가능한 피트니스 클럽에 구비된 운동기구를 사용할 때와 마찬가지로 외부에 설치된 공용운동기구를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사용자로서는 모바일 디바이스 하나만으로도 여러 개의 다양한 공용운동기구를 각각의 운동기구에 맞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져 온다.That is, as in the case of using the exercise equipment provided in the fitness club, which can check and adjust the general exercise amount, it is possible to use the public exercise equipment installed outside, and the user can use the various mobile exercise apparatuses with only one mobile device. Brings the effect that can be used to fit your fitness equipment.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용 공용운동기구에 있어서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치부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상기 도 4에 구비된 거치부의 측면도이다.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unting por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n the common exercise mechanism for conn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side view of the mounting portion provided in FIG.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용운동기구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301)는 본체(110)가 아닌 다른 고정유닛에 별도로 설치되는 것이며, 도 4에서는 손잡이(120)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As shown, in the common exercise mechanis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unting portion 301 is to be installed separately to the other fixed unit other than the main body 110, in Figure 4 installed on the handle 120 It is shown.

여기서, 상기 거치부(301)는 모바일 디바이스가 설치되는 거치부 본체(330)와 연결프레임(3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Here, the mounting portion 301 is configured to include a mounting body 330 and the connecting frame 310, the mobile device is installed.

상기 연결프레임(310)의 일단은 상기 손잡이(120)에 결합되며, 상기 연결프레임(310)의 타단은 상기 거치부 본체(330)에 틸팅유닛(320)에 의하여 힌지 결합된다. 그러므로, 상기 거치부 본체(330)는 사용자가 상기 틸팅유닛(320)을 이용 보기에 편한 각도로 틸팅시킬 수 있게 된다.One end of the connection frame 310 is coupled to the handle 120,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frame 310 is hinged by the tilting unit 320 to the mounting body (330). Therefore, the mounting portion main body 330 allows the user to tilt the tilting unit 320 at a comfortable angle to use.

또한, 도시된 것처럼, 상기 연결프레임(310)의 일단에는 결합브라켓(311)이 구비되어, 상기 결합브라켓(311)을 이용 손잡이(120)에 결합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one end of the connection frame 310 is provided with a coupling bracket 311, the coupling bracket 311 may be coupled to the handle 120 using.

그리고, 상기 틸팅유닛(320)은 공지된 다양한 힌지유닛 구조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In addition, the tilting unit 320 may be applied to various known hinge unit structures.

한편, 상기 거치부 본체(330) 양측으로는 사용자의 모바일 디바이스의 양측을 가압하여 고정된 상태의 유지가 가능하도록 하되, 소정 외력이 작용하는 상태에서는 착탈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는 착탈편(333)이 구비된다.On the other hand, the both sides of the mounting portion main body 330 to maintain a fixed state by pressing the both sides of the user's mobile device, the detachable piece 333 to be detachable work in a state in which a predetermined external force is applied It is provided.

또한, 상기 거치부 본체(330) 하부에는 모바일 디바이스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연결잭(340)이 구비되며, 상기 연결잭(340)은 본체 내부의 감지센서와도 전기적으로 연결됨은 물론이다.In addition, a lower portion of the holder body 330 is provided with a connection jack 340 to electrically connect the mobile device, the connection jack 340 is also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nsor inside the body is a matter of course.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용운동기구에 설치되는 거치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은 상기 도 6의 측단면도이다.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mounting portion installed in the common exercise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FIG.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용운동기구에 설치되는 거치부(302)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몸체가 밀착되어 지지되는 거치부 본체(390)와 상기 거치부 본체(390)를 상기 고정유닛(120)에 연결시키는 연결프레임(35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the mounting portion 302 is installed in the common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ounting body main body 390 and the mounting body main body 39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ody of the mobile device It comprises a connection frame 352 for connecting to the fixed unit 120.

여기서, 상기 연결프레임(310)의 일단은 상기 손잡이(120) 등과 같은 고정유닛에 결합되며, 상기 연결프레임(310)의 타단은 상기 거치부 본체(330)에 자유로운 회전각도를 가지는 볼힌지유닛(351)에 힌지 결합된다.Here, one end of the connection frame 310 is coupled to a fixing unit such as the handle 120,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frame 310 is a ball hinge unit having a free rotation angle to the mounting body (330) ( 351 is hinged.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용운동기구에 설치되는 거치부(302)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 본체(390)는 모바일 디바이스가 안착되어 지지되는 적어도 이단의 지지부(371, 381)를 가지는 형태로 구성되되 내측 지지부(371)로 갈수록 그 폭이 작아지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각각의 지지부마다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양변이 착탈식으로 끼워지되 끼워져 고정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착탈편(372,38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mounting portion 302 installed in the common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unting portion main body 390 has at least two-stage support portions 371 and 381 on which the mobile device is seated and supported. It is configured to go to the inner support portion 371 is configured to be smaller in width. In addition, each support part includes a detachable piece 372 and 382 that both sides of the mobile device are detachably fitted to each other and are held in a fixed stat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거치부의 경우에도 사용자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공용운동기구에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연결잭(317,318)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거치부(302)는 그 설계에 따라서 크기가 다른 종류의 모바일 디바이스를 설치할 수 있게 된다.Even in the case of a cradle according to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may be provided with connection jacks 317 and 318 for enabling the mobile device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 common exercise device, and such cradle 302 may be provided. Depending on the design, different types of mobile devices can be installed.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공용운동기구의 경우에도 고정유닛에 구비된 거치부(301, 302)에 모바일 디바이스를 연결하여 사용자의 운동량 등을 체크할 수 있으며 이를 활용 헬스 및 다이어트에 유용한 정보 등을 활용할 수 있게 된다.In the case of the common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the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user may check the amount of exercise of the user by connecting the mobile device to the holding units 301 and 302 provided in the fixed unit, and use the same for health and diet. Useful information will be available.

특히, 본 발명의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에 구비된 수신부(280)를 이용 외부 메인서버(350: 도 2a참조)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 등을 이용하여 각각의 상황에 맞게 운동기구를 활용하며 사용할 수도 있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an application stored in the external main server 350 (see FIG. 2A) using the receiver 280 provided in the mobile device, the exercise equipment may be used to suit each situation.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항시 휴대하고 다니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 공공장소에 설치된 공용운동기구를 사용 시 운동량 또는 운동 상태 등을 측정 할 수 있게 되므로, 공용운동기구의 사용을 극대화하게 되며, 사용자로서도 운동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된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easure the amount of exercise or exercise state when using a common exercise equipment installed in a public place using a mobile device that the user carries at all times, thereby maximizing the use of the shared exercise equipment, and as a user. You can increase the exercise effect.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It is obvious to them. 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should be regarded as illustrative rather than restrictive, and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and may be modified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100: 운동기구 110: 본체
120: 손잡이 131: 팬들럼 바아
132: 발판 140: 회전력 조절유닛
200: 거치부 210: 수용홈
220: 연결잭 230: 커버부
240: 슬라이딩홈 250: 감지센서
252: 자가발전부 254: 전송부
260: 제어부 270: 송신부
280: 수신부 310: 연결프레임
320: 틸팅유닛 330: 거치부 본체
100: fitness equipment 110: main body
120: handle 131: pendulum bar
132: scaffold 140: rotational force adjustment unit
200: mounting portion 210: receiving groove
220: connection jack 230: cover
240: sliding groove 250: detection sensor
252: self-generation unit 254: transmission unit
260: control unit 270: transmission unit
280: receiver 310: connection frame
320: tilting unit 330: mounting body

Claims (12)

삭제delete 지면 상에 설치되는 본체를 포함하되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고정유닛;
상기 본체에 연결 구비되고 사용자의 외력에 의하여 작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운동효과를 부여하는 작동유닛;
상기 작동유닛의 작동 상태를 감지하도록 구비되는 감지센서; 및
상기 감지센서와 연결되고, 상기 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신호를 전송받아 처리하는 제어부가 포함된 사용자의 모바일 디바이스를 수용하는 거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센서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와 유선 연결되며,
상기 감지센서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연결용 공용운동기구.
A fixing unit including a main body installed on the ground but maintaining a fixed state;
An operation unit connected to the main body and configured to give an exercise effect to the user by operating by an external force of the user;
A detection sensor provided to detect an operation state of the operation unit; And
It is connected to the sensor, and includes a holder for receiving a mobile device of the user includes a control unit for receiving and processing the signal sensed by the sensor,
The sensor is wired to the mobile device,
The sensing sensor is a common exercise device for connecting a mobil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power is supplied from the mobile device.
지면 상에 설치되는 본체를 포함하되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고정유닛;
상기 본체에 연결 구비되고 사용자의 외력에 의하여 작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운동효과를 부여하는 작동유닛;
상기 작동유닛의 작동 상태를 감지하도록 구비되는 감지센서; 및
상기 감지센서와 연결되고, 상기 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신호를 전송받아 처리하는 제어부가 포함된 사용자의 모바일 디바이스를 수용하는 거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센서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와 무선 연결되며,
상기 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신호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전송부; 및
상기 작동유닛의 작동에 의해 전력을 발생시키고, 상기 감지센서 및 상기 전송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자가발전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연결용 공용운동기구.
A fixing unit including a main body installed on the ground but maintaining a fixed state;
An operation unit connected to the main body and configured to give an exercise effect to the user by operating by an external force of the user;
A detection sensor provided to detect an operation state of the operation unit; And
It is connected to the sensor, and includes a holder for receiving a mobile device of the user includes a control unit for receiving and processing the signal sensed by the sensor,
The sensor is wirelessly connected to the mobile device,
A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a signal sensed by the sensor to the mobile device; And
A self-generation unit generating power by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unit and supplying power to the detection sensor and the transmission unit;
The public exercise device for connecting a mobil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지면 상에 설치되는 본체를 포함하되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고정유닛;
상기 본체에 연결 구비되고 사용자의 외력에 의하여 작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운동효과를 부여하는 작동유닛;
상기 작동유닛의 작동 상태를 감지하도록 구비되는 감지센서; 및
상기 감지센서와 연결되고, 상기 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신호를 전송받아 처리하는 제어부가 포함된 사용자의 모바일 디바이스를 수용하는 거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부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몸체가 밀착되어 지지되는 거치부 본체;
상기 거치부 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양측이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함과 동시에 부착 후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 부착된 상태의 유지가 가능하도록 하는 착탈편; 및
상기 거치부 본체를 상기 고정유닛에 연결시키는 연결프레임;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연결용 공용운동기구.
A fixing unit including a main body installed on the ground but maintaining a fixed state;
An operation unit connected to the main body and configured to give an exercise effect to the user by operating by an external force of the user;
A detection sensor provided to detect an operation state of the operation unit; And
It is connected to the sensor, and includes a holder for receiving a mobile device of the user includes a control unit for receiving and processing the signal sensed by the sensor,
The mounting portion,
A holder main body in which the body of the mobile device is in close contact and supported;
A detachable piece provided on the mounting body and configured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both sides of the mobile device and to maintain an attached state when external force does not work after attachment; And
A connecting frame connecting the mounting body to the fixed unit;
Public exercise equipment for connecting a mobil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includ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상기 거치부 본체가 소정 각도로 틸팅 가능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틸팅유닛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연결용 공용운동기구.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mounting portion,
And a tilting unit configured to maintain the tiltable main body at a predetermined angl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상기 거치부 본체가 자유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시각적 확보가 가능하도록 한 볼힌지유닛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연결용 공용운동기구.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mounting portion,
The exercise device for connecting the mobil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mounting unit further comprises a ball hinge unit to enable free rotation by allowing the user to secure visually.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 본체는,
적어도 이단 이상의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내측으로 갈수록 그 폭이 작아지도록 구성되며,
각각의 단을 이루는 지지부마다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양변이 착탈식으로 끼워져 고정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착탈편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연결용 공용운동기구.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mounting portion main body includes: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t least two stages of support, but the width is smaller toward the inside,
The common exercise device for connecting a mobil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each side further comprises a detachable piece for holding both sides of the mobile device detachably fitted to maintain a fixed stat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상기 거치부 본체가 소정 각도로 틸팅 가능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틸팅유닛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연결용 공용운동기구.
The method of claim 10,
The mounting portion,
And a tilting unit configured to maintain the tiltable main body at a predetermined angl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상기 거치부 본체가 자유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시각적 확보가 가능하도록 한 볼힌지유닛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연결용 공용운동기구.
The method of claim 10,
The mounting portion,
The exercise device for connecting the mobil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mounting unit further comprises a ball hinge unit to enable free rotation by allowing the user to secure visually.
KR1020110021680A 2010-07-30 2011-03-11 Common Sport Apparatus for Measuring Exercising State using connected Mobile Device KR101254592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74369 2010-07-30
KR1020100074369 2010-07-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2374A KR20120012374A (en) 2012-02-09
KR101254592B1 true KR101254592B1 (en) 2013-04-15

Family

ID=45836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1680A KR101254592B1 (en) 2010-07-30 2011-03-11 Common Sport Apparatus for Measuring Exercising State using connected Mobile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459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231487A1 (en) * 2016-04-14 2017-10-18 Yves Auderset Exercise device, use of such an exercise device and exercise method
KR101675548B1 (en) * 2016-05-02 2016-11-14 (주)스페이스톡 Exercise equipment capable of measuring amount of exercise and measur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1842544B1 (en) * 2017-05-22 2018-03-27 (주)스페이스톡 Non-power exercise equipment capable of measuring amount of exercise and the method thereof
KR102087580B1 (en) 2018-09-13 2020-03-12 한성대학교 산학협력단 Outdoor exercise equipment with adjustable intensity and Exercise prescription system using the same
KR102226469B1 (en) * 2019-07-02 2021-03-11 조규식 Outdoor Weight Training System capable of Controlling Weight in Flush typ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52780A2 (en) * 1984-02-02 1985-08-28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Method for increasing the porosity of a cross-linked copolymer
JP2000308697A (en) * 1999-04-27 2000-11-07 Kazumasa Sawada Fitness equipment used for both electric storage device and game
KR20080102756A (en) * 2007-05-22 2008-11-26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Game device for sports
KR20090027390A (en) * 2007-09-12 2009-03-17 이영우 Methodology and apparatus for portable and wearable type exercise electrocardiograph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52780A2 (en) * 1984-02-02 1985-08-28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Method for increasing the porosity of a cross-linked copolymer
JP2000308697A (en) * 1999-04-27 2000-11-07 Kazumasa Sawada Fitness equipment used for both electric storage device and game
KR20080102756A (en) * 2007-05-22 2008-11-26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Game device for sports
KR20090027390A (en) * 2007-09-12 2009-03-17 이영우 Methodology and apparatus for portable and wearable type exercise electrocardiograph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2374A (en) 2012-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1050B1 (en) Common sport apparatus installed in park, tourist attractions, amusement park, sports facilities, residential area for connecting mobile device
US10080918B2 (en) Portable elliptical exercise machine
KR101254592B1 (en) Common Sport Apparatus for Measuring Exercising State using connected Mobile Device
US20140221160A1 (en) Sensor Device and System for Fitness Equipment
US20240033572A1 (en) Outdoors training systems and methods for designing, monitoring and providing feedback of training
US10569124B2 (en) Portable elliptical exercise machine, resistance band extension, and transport mechanism
WO2015034265A1 (en) Virtual reality indoor bicycle exercise system using mobile device
CA2945293C (en) Heavy bag workout monitor systems
US10252102B2 (en) Portable elliptical exercise machine, resistance band extension, and transport mechanism
US11065507B2 (en) Multifunctional balance exercise machine
CN107530573A (en) inclined surface application controller
US20120083348A1 (en) Playground Device with Motion Dependent Sound Feedback
JP2008284320A (en) Balance exercise training apparatus
CN105493447A (en) Wireless initialization of electronic devices for first time use
JP2019509794A (en) Exercise management device using a hula hoop equipped with a device for measuring rotational direction and momentum
US11305153B2 (en) Portable elliptical exercise machine and transport mechanism
EP3673962A1 (en) Apparatus for checking golf divot
US9098615B1 (en) Methods for providing authenticated, interactive feedback-driven exercise
CN207456466U (en) Motion detection device
US9098614B1 (en) Systems and devices for interactive, feedback-driven exercise
KR101341678B1 (en) Virtual experience organization
CA3060627A1 (en) Under the desk fitness device and a seat that folds underneath the tabletop
TWI734526B (en) Movement information transmission device with resistance adjustment
TWM454224U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for fitness equipment
KR102051146B1 (en) System for managing exercise dat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