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4452B1 - 유량조절이 가능한 변기소음 감소장치 - Google Patents

유량조절이 가능한 변기소음 감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4452B1
KR101254452B1 KR1020110135386A KR20110135386A KR101254452B1 KR 101254452 B1 KR101254452 B1 KR 101254452B1 KR 1020110135386 A KR1020110135386 A KR 1020110135386A KR 20110135386 A KR20110135386 A KR 20110135386A KR 101254452 B1 KR101254452 B1 KR 1012544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rate
noise reduction
water
reduction device
toi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53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성수
Original Assignee
권성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성수 filed Critical 권성수
Priority to KR10201101353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44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44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44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14Noise-reducing means combined with flushin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02Energy absorbers; Noise absorbers
    • F16L55/033Noise absorbers
    • F16L55/0331Noise absorbers by inserting an elongated element in the pi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 Details Of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변기에서 물을 내릴 때 빠른 유속으로 물이 공기와 함께 좁은 배수관으로 배출됨으로써 발생하는 소음을 줄이기 위하여 유속을 제어하여 소음을 줄이고 더불어 유량도 제어할 수 있는 구조로 제작하여 유량조절이 가능한 변기소음 감소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수공 표식(52)이 마킹되어 있는 원판 모양의 안착부(51)와 상기 안착부(51)의 하부 수직방향으로 원통 모양으로 형성된 몸체부(55), 상기 몸체부(55)의 내측에는 급수 홀(54), 외측에는 다수 개의 배수공(53)이 형성되어 있는 소음 감소장치(50)와; 상기 급수 홀(54)의 길이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중심축(62)에는 유량 조절부(61)에서 부터 직각방향으로 형성된 지지대(63)와 이어져 있고, 상기 중심축(62)을 기준으로 유량 조절부(61)와 지지대(63)가 방사형으로 배치되어있는 유량 조절장치(60);로 구성되어 상기 소음 감소장치(50)와 유량 조절장치(60)의 상호 결합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량조절이 가능한 변기소음 감소장치{Water Saving And Noise Diminution Apparatus For Toilet}
본 발명은 세척밸브의 배수관에 장착되는 유량조절이 가능한 변기소음 감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양변기에서 분뇨를 흘려보낼 물이 급수되고 배수됨을 제어하는 세척밸브 내의 배수관에 장착되어 고압의 물이 배수관을 빠르게 통과하면서 발생하는 소음을 감소시켜주는 동시에 유량 조절이 가능하여 절수가 가능한 변기 소음 감소장치에 관련된 것이다.
양변기는 1775년 영국의 알렉산더 커밍에 의해 발명되었으며, 고정식 S트랩, 일명 사이펀(Siphon)구조를 사용하여‘S’모양의 관 내부에 물이 가득 채워지면 경로의 높이와 상관없이 위에서 아래로 유수가 흐르게 되는 원리를 이용하는데, 도 1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양변기는 분뇨를 흘려보내기 위한 물이 급수되는 세척밸브(10)와 분뇨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변기(2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사이펀 구조를 사용함에 따라서 ‘S’모양의 배관과 변기(20)에는 항상 일정량의 물이 채워져 있기 때문에 정화조와 연결된 배관에서 악취가 올라오는 것을 막아주고, 분뇨의 역류를 차단하며, 분뇨가 변기(20)의 내벽에 직접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여 준다. 다시 말해 배수가 되는 배관과 변기(20)에는 항상 일정 정도의 저수물이 항상 담수하고 있다가 변기(20)의 후방에 위치한 세척밸브(10)로부터 급수가 이루어지면 수압차이에 따른 사이펀원리에 의하여 변기(20) 내부의 분뇨를 순간 흡입하여 배출시키는 식으로 수세가 이루어진다.
상기 세척밸브(10)의 내·외부구조 및 작동원리는 도 1 내지는 도 2에서 자세하게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변기(20)의 후방에 설치되어 물의 공급 및 차단을 목적으로 설치되며, 레버(12)를 작동시키면 세척수가 변기(20) 내에 공급되어 분뇨가 씻겨 내려간다. 이러한 종래의 세척밸브(10)는 물이 급수되는 통로인 급수관(30)과 세척수가 배출되는 배수관(40)이 연결되어 있는 몸체부(14)와 상기 몸체부(14)의 급수관(30)과 배수관(40)의 사이에 위치되며, 배출공(15)이 구비되어있는 피스톤(11), 그리고 상기 피스톤(11)의 하단에 밀착되어 레버(12)의 움직임에 따라서 피스톤(11)을 움직여주는 암 봉(13)으로 구성되어 분료를 배출시키는 세척수의 유입을 제어하게 된다. 또한 상기 피스톤(11)에 구비되어있는 배출공(15)은 세척수와 함께 유입되는 이물질들을 걸러내는 스테인리스 재질의 여과망(16)이 설치되어있어 항시 깨끗한 물을 공급하도록 한다.
상기 구성들로 하여금 종래의 세척밸브(10)는 사용자에 의해 레버(12)가 일측 방향으로 기울어지면 레버(12)와 연결된 암 봉(13)이 피스톤(11)의 하단부를 밀어내게 되고, 동시에 피스톤(11)이 기울어지면서 배출공(15)에 틈새가 생기게 되어 급수관(30)으로부터 압력을 유지하고 있던 물이 유입됨과 동시에 몸체부(14)를 지나 배수관(40)으로 유입되어 변기(20)로 흘러들어간다.
하지만 종래의 세척밸브(10)는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레버(12)의 작동으로 암 봉(13)이 밀어지고, 이로 인하여 기울어지는 피스톤(11)의 각도가 항상 동일하기 때문에 배출되는 물의 양도 일정하므로 사용자가 소변을 보더라도 많은 양의 물이 배출되기 때문에 과도한 수자원의 낭비를 초래하게 된다. 특히 공공장소의 경우 대변보다는 소변의 이용량이 현저하게 많은데, 이때마다 많은 양의 물을 배출하게되면 추후 낭비된 물의 양이 매우 많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급수관(30)의 내부에서 압력을 유지하고 있던 물이 레버(12)의 작동과 함께 강한 압력으로 단번에 배수관(40)으로 유입되면서 발생하는 소음은 상당하며 이는 불가피한 것이었다. 또한 양변기가 발명된 때는 물 자원이 풍부하던 시대라 완벽한 세척을 위하여 많은 물의 양을 사용하는 구조로 만들어져 지금까지 사용되고 있는데, 오늘날 전세계에서는 수자원의 고갈 우려가 갈수록 심해지고 있음은 물론, 대한민국은 특히 물부족국가로 지정됨에 따라서 물의 절약을 생활화하도록 적극적으로 권고하고 있다. 이에 따라서 절수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이 커지게 됨에 따라서 다방면에서 물을 절약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각 가정이나 건물에 구비되는 수세식 양변기에서 한번의 분뇨를 배출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많은 양의 물을 줄이고자 화장실 물탱크에 벽돌을 쌓아두는 등 자구책을 강구하여 실행하기도 한다. 따라서 분뇨 배출을 위해 사용되는 물의 양을 줄이는 절수장치도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양변기에 있어서 분뇨를 흘려보낼 물이 급수되고 배수됨을 제어하는 세척밸브 내의 배수관에 장착되어 고압의 물이 배수관을 빠르게 통과하면서 발생하는 소음을 감소시켜주는 동시에 유량도 함께 조절할 수 있는 구조로 제작하여 유량조절이 가능한 변기소음 감소장치 구조로 완성하는 것이 해결 과제이다.
상기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구성되는 유량조절이 가능한 변기소음 감소장치에 있어서,
배수공 표식(52)이 마킹되어 있는 원판 모양의 안착부(51)와 상기 안착부(51)의 하부 수직방향으로 원통 모양으로 형성된 몸체부(55), 상기 몸체부(55)의 내측에는 급수 홀(54), 외측에는 다수 개의 배수공(53)이 형성되어 있는 소음 감소장치(50)와; 상기 급수 홀(54)의 길이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중심축(62)에는 유량 조절부(61)에서 부터 직각방향으로 형성된 지지대(63)와 이어져 있고, 상기 중심축(62)을 기준으로 유량 조절부(61)와 지지대(63)가 방사형으로 배치되어있는 유량 조절장치(60);로 구성되어 상기 소음 감소장치(50)와 유량 조절장치(60)의 상호 결합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배수공 표식(52)은 소음 감소장치(50)의 몸체부(55) 외측에 형성된 배수공(53)과 일직선상에 위치하며, 상기 배수공(53)의 넓이와 동일한 크기로 마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급수 홀(54)은 안착부(51)에서 부터 몸체부(55)의 하부면까지 생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유량 조절부(61)의 외주면은 급수 홀(54)의 원 둘레의 크기와 동일한 크기의 만곡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구현되는 본 발명의 유량조절이 가능한 변기소음 감소장치에 의하면, 세척밸브에서 배수관을 통하여 변기로 물이 배수될 때, 물의 압력에 따른 순간적인 유속을 감속시켜 소음을 감소할 수 있으며 더불어 세척수의 유량을 조절하여 물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세척밸브가 장착된 양변기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유량조절이 가능한 변기 소음 감소장치가 장착된 세척밸브의 내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소음 감소장치의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소음 감소장치의 내부에서 물이 순환하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소음 감소장치의 상부 형상을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유량 조절장치의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유량 조절장치의 상부 형상을 나타낸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배수관에 장착되는 유량 조절장치와 소음 감소장치의 결합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유량 조절장치와 소음 감소장치가 결합 된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유량조절이 가능한 변기 소음 감소장치로 유량을 조절하는 상태를 나타낸 작동상태도.
본 발명은 양변기에서 분뇨를 흘려보낼 물이 급수되고 배수됨을 제어하는 세척밸브 내의 배수관에 장착되어 고압의 물이 배수관을 빠르게 통과하면서 발생하는 소음을 감소시켜주는 동시에 유량 조절이 가능하여 절수가 가능한 변기 소음 감소장치에 관련된 것임을 주지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이로 인한 작용, 효과에 대해 일괄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리고,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세척밸브가 장착된 양변기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유량조절이 가능한 변기 소음 감소장치가 장착된 세척밸브의 내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소음 감소장치의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소음 감소장치의 내부에서 물이 순환하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소음 감소장치의 상부 형상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유량 조절장치의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유량 조절장치의 상부 형상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배수관에 장착되는 유량 조절장치와 소음 감소장치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유량 조절장치와 소음 감소장치가 결합 된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유량조절이 가능한 변기 소음 감소장치로 유량을 조절하는 상태를 나타낸 작동상태도이다.
도 2 내지 도 1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적용되는 유량조절이 가능한 변기소음 감소장치(100)는 소음 감소장치(50);와 유량 조절장치(60);로 구분 구성되어 이들의 상호 작용으로 물탱크(10)의 배수관(40) 내에서 소음을 감소시키고 유량을 조절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이해를 돕고자 각 구성요소를 세부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세척밸브(10) 내에서 저장되어있던 높은 압력의 물이 변기(20)로 이어져 있는 배수관(40)으로 빠른 속도로 배수됨과 동시에 발생하는 불쾌한 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설치되는 상기 소음 감소장치(50)의 상부는 배수공 표식(52)이 마킹(Marking)되어 있는 원판 모양의 안착부(5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안착부(51)의 하부 수직방향으로는 배수공(53)이 다수 개 형성되어 있는 긴 원통 모양의 몸체부(55)가 형성되어 있다.
세척밸브(10) 내에 압력을 유지하며 저장되어 있던 물이 변기(20)의 분뇨를 흘려보내기 위하여 이어져 있는 배수관(40)은 통상 직경 30mm이고, 중심에 배수 홀이 형성되어있는 관 파이프라고 할 수 있으며, 배수관(40)의 내부는 항상 물과 접촉하고 있는 상태여서 녹으로 인한 부식 발생이 비교적 적은 스테인리스강(Stainless) 재질로 만들어져 있어 깨끗한 물을 공급하도록 한다.
도 3을 참고로 하여 이상에서 설명한 배수관(40)에 결합되는 상기 소음 감소장치(50)의 상부는 넓은 원판 모양의 안착부(5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안착부(51)는 배수관(40)의 상부 입구부분 원형의 평탄면에 정확하게 안착이 되며, 상기 안착부(51)에 삼각돌기 결착구조(미도시)를 구비하여 배수관(40)을 더욱 강하게 고정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안착부(51)의 하부 수직방향으로는 직경 15mm의 긴 원통 모양으로 몸체부(55)가 형성되어 있으며, 몸체부(55)의 내측은 안착부(51)의 중심부로부터 몸체부(55)의 하단부까지 이어진 급수 홀(54)이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급수 홀(54)은 소음 감소장치(50)의 전반에 걸쳐 형성되되, 몸체부(55)의 최하단부는 막혀있는 상태 즉, 완전하게 관통되어있는 관 형상이 아닌 몸체부(55)의 최하단부가 막혀있는 수직 방향의 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몸체부(55)의 외측에는 다수 개의 배수공(53)이 형성되어 있다. 먼저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소음 감소장치(50)의 중심부에 형성되어 있는 급수 홀(54)은 안착부(51)에서부터 몸체부(55)의 하단부까지 형성되어 있으며, 몸체부(55)의 하단 끝은 막혀있는데 이것은 배수관(40)에 결합되는 소음 감소장치(50)에 형성된 급수 홀(54)로 물이 유입되어 몸체부(55)의 외측에 형성된 다수 개의 배수공(53)으로 유입된 물이 빠져나가도록 하기 위해서다. 예컨대, 소음 감소장치(50)의 내측에 형성된 급수 홀(54)이 완전히 관통되어 관 형상을 갖게 된다면 세척밸브(10) 내에 압력을 유지하며 저장되어있던 물이 변기(20)로 흘러가도록 배수되는 배수관(40)의 직경을 줄여주는 효과에만 지나지 않는데, 이렇게 되면 단지 배수관(40)의 직경을 줄인 것 만으로는 세척밸브(10)에서 변기(20)로 물을 배출 시 발생하는 소음을 줄여준다는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단지 배수관(40)의 직경만 줄여주면 되는 문제일 것이다. 하지만 상기 소음 감소장치(50)의 궁극적인 효과는 세척밸브(10)에서 변기(20)로 물이 배출될 때 압에 차있던 물이 빠른 속도로 배수관(40)의 좁은 구멍으로 배출될 시 발생하는 상당한 소음을 감소시켜주는 것으로 적막한 공간이나 시간대에서도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어 소음으로 인한 불쾌감을 없앨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여 배수관(40)에서 발생하는 극심한 소음을 감소시켜주는 본 발명의 소음 감소장치(50)는 배수관(40)에 결합 되어 상기 소음 감소장치(50)의 중심부에 형성된 급수 홀(54)로 물이 유입되면서 통상의 배수관(40)에 물이 유입되는 속도보다 반 이상 절감되어 1차적으로 소음을 상당부분 줄여줄 수 있고, 또한 소음 감소장치(50)의 몸체부(55)의 하단이 막혀있어 물이 직선방향으로 그대로 흐르지못하고 급수 홀(54)의 내부에서 순환하여 몸체부(55)의 외측 벽에 형성되어 있는 급수 홀(54)보다 더욱 좁은 다수 개의 배수공(53)을 통하여 배수되면서 2차적으로 소음이 제거되어 쾌적한 화장실 환경을 만들 수 있다. 종래의 화장실 변기에서 발생하는 소음으로 인하여 적지않게 스트레스를 받는 사람들이 있으며 무엇보다 적막한 시간대에 화장실을 사용함은 상대방에게 피해를 끼치지는 않을까 더욱 사용이 꺼려지고 조심하게 되었으나 본 발명의 소음 감소장치(50)를 장착함으로써 위와 같은 문제점들은 완전히 해결될 것이다.
그리고, 도 5를 참고하여 상기 소음 감소장치(50)의 상부인 안착부(51)에는 중심부에 형성된 원형의 급수 홀(54) 외주연을 따라서 배수공 표식(52)이 마킹되어 있다. 상기 배수공 표식(52)은 소음 감소장치(50)의 몸체부(55)에 형성된 배수공(53)의 직경과 같은 넓이로, 그리고 배수공(53)이 형성된 위치와 같은 수직선상에 마킹을 해둔 것으로 유량 조절장치(60)를 삽입하였을 시 유량을 용이하게 조절하기 위함이다.(이상 유량 조절방법은 하기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소음 감소장치(50)의 중심부에 형성된 급수 홀(54)에는 유량을 조절할 수 있는 유량 조절장치(60)가 삽입되며, 상기 유량 조절장치(60)는 유량 조절부(61)와 중심축(62), 지지대(63)로 이루어져 있다.
첨부된 도면 도 6 내지 7을 참고하여보면, 유량 조절장치(60)는 급수 홀(54)과 일치되게 삽입되는 크기로써, 직사각형 형태의 유량 조절부(61)의 외주면은 급수 홀(54)의 원 둘레의 크기와 동일한 크기의 만곡부가 형성되고, 반대편 일측은 중심으로부터 지지대(63)가 형성되어 중심축(62)과 이어져 있으며, 상기 중심축(62)을 기준으로 유량 조절부(61)와 지지대(63)가 방사형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제 상기 배수관(40)에 장착되는 소음 감소장치(50)와 유량 조절장치(60)의 결합관계와 조절에 대하여 알아본다.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유량 조절장치(60)는 소음 감소장치(50)의 중심부에 형성된 급수 홀(54)에 삽입되어 최종적으로 배수관(40)에 장착되며, 최종 결합상태는 도 9에서 자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세척밸브(10)의 배수관(40)에 장착된 유량조절이 가능한 변기소음 감소장치(100)는 분뇨를 흘려보내기 위하여 레버(12)를 당기는 순간 세척밸브(10) 내부에 압축되어 있던 물이 배수관(40)을 통하여 배수되기 시작한다. 통상의 배수관(40)의 경우 세척밸브(10)의 물이 급격한 속도로 배수되면서 상당한 소음이 발생하게 되던 문제점을 감소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유량조절이 가능한 변기소음 감소장치(100)를 배수관(40)에 장착하게 된다. 유량조절이 가능한 변기소음 감소장치(100)가 장착된 배수관(40)을 통하여 세척밸브(10)의 물이 배수될 때, 통상의 배수관(40)의 직경보다 작은 소음 감소장치(50)의 급수 홀(54)로 물이 유입되면서 변기(20)로 흘러들어가는 물의 배수 속도가 느려져 1차적으로 소음을 상당부분 감소시킬 수가 있으며, 소음 감소장치(50)의 몸체부(55) 하단부는 막혀있어 상기 급수 홀(54)로 유입된 물이 내부에서 순환하면서 급수 홀(54)보다 더 좁은 몸체부(55)의 외측면에 다수 개 형성되어 있는 배수공(53)으로 배수됨으로써 2차적인 소음 감소역할을 할 수 있다.
한편, 물세가 점차 상승되는 추세이며 국제적 물부족 국가로 지정된 우리나의 경우 물 절약을 위하여 다방면에서 힘써오고 있으며 그의 일환으로 화장실 변기에서 사용되는 물을 절약할 수 있는 목적으로 소음 감소장치(50)의 급수 홀(54)에 삽입되는 유량 조절장치(60)는 직사각형 형태의 유량 조절부(61)의 외주면은 급수 홀(54)의 원 둘레의 크기와 동일한 크기의 만곡부가 형성되고, 반대편 일측은 중심으로부터 지지대(63)가 형성되어 중심축(62)과 이어져 있으며, 상기 중심축(62)을 기준으로 유량 조절부(61)와 지지대(63)가 방사형으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유량 조절장치(60)를 급수 홀(54)에 삽입하여 유량을 조절하게 되는데 이는 첨부된 도면 도 10에서 보다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A는 유량 조절장치(60)가 몸체부(55)의 외측에 형성된 배수공(53)을 완전히 막아버린 형상을 나타낸 것이고, B는 유량 조절장치(60)가 배수공(53)을 일부만 개방하여 적은 양의 물이 흘러나오는 것을 도시하였으며, C는 유량 조절장치(60)가 배수공(53)을 완전히 개방하여 많은 양의 물이 흘러나오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처럼 소음 감소장치(50)가 배수관(40)에 장착되면 배수공(53)이 완전히 가려져 보이지가 않는다. 이 때문에 유량 조절장치(60)를 삽입하더라도 일일이 소음 감소장치(50)를 배수관(40)으로부터 빼내어 배수공(53)의 위치를 파악하고난 뒤 유량 조절장치(60)를 돌리거나 해야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하기 위하여 소음 감소장치(50)의 안착부(51)에 형성된 급수 홀(54)의 외주연을 따라서 배수공(53)과 같은 넓이, 그리고 수직선상의 위치에 배수공 표식(52)을 마킹해 둠으로써 더욱 편하고 정밀하게 유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명확히 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세척밸브 11: 피스톤
12: 레버 13: 암 봉
14: 몸체부 15: 배출공
16: 여과망 20: 변기
30: 급수관 31: 앵글밸브
40: 배수관 50: 소음 감소장치
51: 안착부 52: 배수공 표식
53: 배수공 54: 급수 홀
55: 몸체부 60: 유량 조절장치
61: 유량 조절부 62: 중심축
63: 지지대 100: 유량조절이 가능한 변기소음 감소장치

Claims (4)

  1. 변기소음 감소장치에 있어서,
    배수공 표식(52)이 마킹 되어있는 원판 모양의 안착부(51)와 상기 안착부(51)의 하부 수직방향으로 원통 모양으로 형성된 몸체부(55), 상기 몸체부(55)의 내측에는 급수 홀(54), 외측에는 다수 개의 배수공(53)이 형성되어 있는 소음 감소장치(50)와;
    상기 급수 홀(54)의 길이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중심축(62)에는 유량 조절부(61)에서 부터 직각방향으로 형성된 지지대(63)와 이어져 있고, 상기 중심축(62)을 기준으로 유량 조절부(61)와 지지대(63)가 방사형으로 배치되어있는 유량 조절장치(60);로 구성되어 상기 소음 감소장치(50)와 유량 조절장치(60)의 상호 결합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조절이 가능한 변기소음 감소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공 표식(52)은 소음 감소장치(50)의 몸체부(55) 외측에 형성된 배수공(53)과 일직선상에 위치하며, 상기 배수공(53)의 넓이와 동일한 크기로 마킹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조절이 가능한 변기소음 감소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 홀(54)은 안착부(51)에서 부터 몸체부(55)의 하부면까지 생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조절이 가능한 변기소음 감소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 조절부(61)의 외주면은 급수 홀(54)의 원 둘레의 크기와 동일한 크기의 만곡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조절이 가능한 변기소음 감소장치.
KR1020110135386A 2011-12-15 2011-12-15 유량조절이 가능한 변기소음 감소장치 KR1012544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5386A KR101254452B1 (ko) 2011-12-15 2011-12-15 유량조절이 가능한 변기소음 감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5386A KR101254452B1 (ko) 2011-12-15 2011-12-15 유량조절이 가능한 변기소음 감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4452B1 true KR101254452B1 (ko) 2013-04-12

Family

ID=48443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5386A KR101254452B1 (ko) 2011-12-15 2011-12-15 유량조절이 가능한 변기소음 감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445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05212A1 (ko) * 2014-01-10 2015-07-16 권성수 소음감소수단을 채용한 절수형 변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74017A (en) * 1987-03-18 1989-10-17 Hendrickson Donald W Screen and flow regulator assembly
KR200298906Y1 (ko) 2002-09-14 2003-01-03 하정아 소음 및 막힘 방지 기능을 갖는 배수관
KR200403829Y1 (ko) 2005-10-04 2005-12-14 천영봉 소음방지장치가 구비된 배수파이프
KR100953175B1 (ko) 2009-11-18 2010-04-19 권성수 변기 소음 감소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74017A (en) * 1987-03-18 1989-10-17 Hendrickson Donald W Screen and flow regulator assembly
KR200298906Y1 (ko) 2002-09-14 2003-01-03 하정아 소음 및 막힘 방지 기능을 갖는 배수관
KR200403829Y1 (ko) 2005-10-04 2005-12-14 천영봉 소음방지장치가 구비된 배수파이프
KR100953175B1 (ko) 2009-11-18 2010-04-19 권성수 변기 소음 감소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05212A1 (ko) * 2014-01-10 2015-07-16 권성수 소음감소수단을 채용한 절수형 변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12753B2 (ja) 可変式節水型洋式便器の汚水排出装置
US20110113541A1 (en) Water Conserving Improved Toilet
KR101254452B1 (ko) 유량조절이 가능한 변기소음 감소장치
KR101164091B1 (ko) 절수, 탈취 및 소음저감 양변기
CN208633226U (zh) 一种负压吸臭正压助冲马桶盖板
KR20150003341A (ko) 절수형 좌변기
CN203200883U (zh) 一种小便池的过滤结构
CN210917625U (zh) 一种防溅水防堵塞蹲便器
CN202148587U (zh) 防溅水马桶座
KR200349308Y1 (ko) 악취 제거기능을 겸비한 절수형 양변기
JP3737434B2 (ja) 洋式小便器
KR100573960B1 (ko) 악취 제거기능을 겸비한 절수형 양변기
KR200455687Y1 (ko) 여성용 수세식 변기
KR101196425B1 (ko) 변기용 세척 밸브
CN201390998Y (zh) 分排式节水坐便器
CN201301495Y (zh) 一种节水马桶
KR20130033855A (ko) 양변기
CN208121920U (zh) 一种储水式自清洁蹲便器
CN210315873U (zh) 一种节水型分体座厕
CN209620197U (zh) 一种负压吸附无臭无味节水陶瓷便器设备
CN218374248U (zh) 一种方便控制冲水的马桶
CN216766113U (zh) 一种基于坐便器的节水装置
KR100700306B1 (ko) 절수용 소변기
CN108505601B (zh) 一种防溅水蹲便器
KR20050050967A (ko) 대,소변용 세척수의 분리 배수형 양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