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3965B1 - 단방향 초음파 발생 트랜스듀서 - Google Patents

단방향 초음파 발생 트랜스듀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3965B1
KR101253965B1 KR1020110118659A KR20110118659A KR101253965B1 KR 101253965 B1 KR101253965 B1 KR 101253965B1 KR 1020110118659 A KR1020110118659 A KR 1020110118659A KR 20110118659 A KR20110118659 A KR 20110118659A KR 101253965 B1 KR101253965 B1 KR 1012539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in plate
ferromagnetic thin
ultrasonic wave
contact
magnetic fie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8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주승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101186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39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39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39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9/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 G01N29/04Analysing solids
    • G01N29/11Analysing solids by measuring attenuation of acoustic wav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7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 G01N27/8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for 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9/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 G01N29/04Analysing solids
    • G01N29/07Analysing solids by measuring propagation velocity or propagation time of acoustic wav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9/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 G01N29/22Details, e.g. general constructional or apparatus details
    • G01N29/26Arrangements for orientation or scanning by relative movement of the head and the sensor
    • G01N29/262Arrangements for orientation or scanning by relative movement of the head and the sensor by electronic orientation or focusing, e.g. with phased array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9/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 G01N29/34Generating the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e.g. electronic circui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방향 초음파 발생 트랜스듀서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단방향 초음파 발생 트랜스듀서는, 탐상체와 접촉하지 않는 비접촉영역 및 상기 탐상체와 접촉하는 접촉영역을 포함하는 강자성체 박판; 상기 비접촉 영역에 구비되며, 상기 강자성체 박판을 진동시켜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초음파 발생부; 및 상기 접촉영역에 구비되어 상기 강자성체 박판과 상기 탐상체를 접촉시키고, 상기 초음파를 상기 탐상체로 전달하는 접촉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단방향 초음파 발생 트랜스듀서 {Uni-directional ultrasonic transducer}
본 발명은 비파괴검사 등에서 사용되는 초음파 발생 트랜스듀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초음파를 단방향으로 발생시킬 수 있는 단방향 초음파 발생 트랜스듀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초음파는, 금속 또는 비금속 물질로 이루어지는 탐상체의 내부로 전파될 수 있으며, 상기 전파된 초음파는 상기 탐상체의 경계면에 도달하면 다시 반사되어 되돌아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초음파는 상기 탐상체 내부에 존재하는 결함 등의 계면에서도 반사될 수 있으므로, 상기 반사되는 초음파를 측정하면 상기 탐상체 내부의 결함 존재 유무, 결함의 위치, 마모 정도, 물질의 두께 및 물성치 등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초음파의 성질을 이용하면 탐상체에 대한 비파괴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비파괴 검사는, 검사하고자 하는 피검사체의 원형과 기능은 전혀 변형시키지 않고, 물리적 에너지, 예컨대, 방사선, 초음파, 전기 에너지 등을 투과하여 피검사체의 결함을 찾아내거나 마모 정도, 물질의 두께 및 물성치 등을 측정하는 검사를 의미한다.
상기 비파괴 검사 등에 사용되는 초음파 발생 트랜스듀서와 관련하여, 공개특허공보(10-2011-0002200)에는 유도초음파 변환용 자기변환 트랜스듀서 모듈이 제시된 바 있다.
다만, 종래의 초음파 발생 트랜스듀서는 양방향으로 초음파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탐상체 내부에 존재하는 결함에 대한 정확한 정보 획득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단방향으로 초음파를 발생시킬 수 있는 단방향 초음파 발생 트랜스듀서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단방향 초음파 발생 트랜스듀서는, 탐상체와 접촉하지 않는 비접촉영역 및 상기 탐상체와 접촉하는 접촉영역을 포함하는 강자성체 박판; 상기 비접촉 영역에 구비되며, 상기 강자성체 박판을 진동시켜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초음파 발생부; 및 상기 접촉영역에 구비되어 상기 강자성체 박판과 상기 탐상체를 접촉시키고, 상기 초음파를 상기 탐상체로 전달하는 접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단방향 초음파 발생 트랜스듀서에 의하면, 하나의 트랜스듀서로 단방향의 초음파를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구조가 간단하고 상기 단방향의 초음파 발생을 위하여 추가적인 장비를 구비할 필요가 없다.
또한, 단방향의 초음파를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에, 탐상체 내부 결함의 위치를 빠르고 정확하게 판별할 수 있으며, 종래의 양방향 초음파 발생 트랜스듀서에 비하여 설치위치의 제약이 적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단방향 초음파 발생 트랜스듀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단방향 초음파 발생 트랜스듀서의 성능을 시험하기 위한 실험 배치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단방향 초음파 발생 트랜스듀서의 실험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단방향 초음파 발생 트랜스듀서의 감쇠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단방향 초음파 발생 트랜스듀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단방향 초음파 발생 트랜스듀서는, 강자성체 박판(10), 초음파 발생부(20) 및 접촉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단방향 초음파 발생 트랜스듀서를 설명한다.
강자성체 박판(10)은, 탐상체(1)와 접촉하지 않은 비접촉영역 및 상기 탐상체(1)와 접촉하는 접촉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단방향 초음파 발생 트랜스듀서는, 강자성(ferromagnetic) 물질이 자기장에 의하여 외형이 변하는 현상인 자기변형(magnetostriction) 원리를 이용하는 자기변형 트랜스듀서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강자성체 박판(10)은, 상기 자기변형 현상이 일어날 수 있는 강자성 물질, 예를 들어 니켈 등의 물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강자성체 박판(10)은, 도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영역과 비접촉영역으로 구별될 수 있다. 상기 강자성체 박판(10)은 상기 접촉영역만 상기 탐상체(1)와 접촉되고, 나머지 비접촉영역들은 상기 탐상체(1)에 접촉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비접촉영역과 상기 탐상체(1) 사이에 추가적인 물질을 더 포함하여 상기 비접촉영역과 상기 탐상체(1)가 서로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비접촉영역에는 상기 초음파 발생부(2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접촉영역은 접촉부(30)를 통하여 상기 탐상체(1)에 접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강자성체 박판(10)은, 상기 강자성체 박판(10)의 단부에서 반사되는 초음파를 감쇠시키기 위한 감쇠부(4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감쇠부(40)는 상기 강자성체 박판(10)의 일 단부를 글라인딩(grinding) 처리한 것이거나 상기 단부를 웨지(wedge)형으로 가공한 것일 수 있다.
상기 감쇠부(40)에 관하여는, 도4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초음파 발생부(20)는, 상기 비접촉 영역에 구비되며, 상기 강자성체 박판(10)을 진동시켜 초음파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초음파 발생부(20)는 상기 강자성체 박판(10)에 자기장을 가하여 상기 강자성체 박판(10)의 외형을 변형시킬 수 있으며, 상기 강자성체 박판(10)의 외형 변화가 일정한 주기를 가지도록 상기 자기장의 세기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강자성체 박판(10)에 초음파를 발생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초음파 발생부(20)는, 상기 강자성체 박판(10)에 정(靜)자기장을 인가하는 정자기장 형성부(21) 및 상기 정자기장에 특정 진동수를 가지는 동(動)자기장을 인가하는 동자기장 형성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강자성체 박판(10)에 자기변형 현상이 일어나려면 일정한 세기 이상의 자기장이 상기 강자성체 박판(10)에 인가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정자기장 형성부(21)가 상기 자기변형을 유도할 수 있는 세기를 가지는 일정한 자기장을 상기 강자성체 박판(10)에 인가할 수 있다. 즉, 정자기장 형성부(21)는 상기 강자성체 박판(10)에 자기변형이 용이하게 일어날 수 있도록 상기 강자성체 박판(10)을 흥분시키는(excitation)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정자기장이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동자기장 형성부(22)가 동자기장을 상기 강자성체 박판(10)에 추가적으로 인가할 수 있으며, 상기 동자기장의 세기는 일정한 주기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동자기장의 주기는, 상기 동자기장 형성부(22)의 물리적 구조 및 상기 동자기장 형성부(22)에 인가되는 전원 즉, 펄스의 형태에 의하여 상기 동자기장 세기 변화의 주기가 결정될 수 있다.
상기 동자기장의 세기가 일정한 주기에 따라 변화하게 되면, 상기 강자성체 박판(10)의 자기변형에 의하여 상기 강자성체 박판(10)의 외형 변화량이 주기적으로 달라질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상기 강자성체 박판(10)은 진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강자성체 박판(10)의 진동수는 상기 동자기장의 주기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정자기장 형성부(21)는, 영구자석, 전자석 또는 예자화(premagnetization) 자석 중 어느 하나 일 수 있다. 상기 예자화 자석은 사용하기 전에 강자성 물질을 강한 영구자석에 한 방향으로 문지르는 예자화 과정을 거친 후에, 상기 강자성 물질에 남아있는 잔류자기장을 상기 정자기장으로 이용하는 자석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예자화 과정이 필요없는 영구자석으로 상기 정자기장 형성부(21)를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동자기장 형성부(22)는 코일(coil)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코일의 형태 및 상기 코일에 인가되는 전원의 주파수에 의하여 상기 코일이 형성하는 동자기장의 주기 및 상기 강자성체 박판(10)의 초음파 진동수가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초음파 발생부(10)는 초음파를 발생시켜 상기 탐상체(1)로 상기 초음파를 전송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나, 반대로 상기 탐상체(1)에서 반사된 초음파를 탐지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동자기장 형성부(22)의 코일은, 상기 탐상체(1) 내부에서 반사된 초음파에 의하여 유도된 자기장을 측정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상기 반사된 초음파를 탐지할 수 있다.
접촉부(30)는, 상기 접촉영역에 구비되어 상기 강자성체 박판(10)과 상기 탐상체(1)를 접촉시키고, 상기 초음파를 상기 탐상체(1)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접촉부(30)는, 접촉매질 또는 접착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촉부(30)는 상기 강자성체 박판(10)과 상기 탐상체(1)의 접촉을 지지하기 위한 것일 수 있으며, 상기 강자성체 박판(10)에서 전달된 초음파는 상기 접촉부(30)를 거쳐서 상기 탐상체(1)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접촉부(30)는 에폭시 종류의 접착물질을 이용하여거나, 점성을 가지는 잡촉매질을 이용하여 상기 강자성체 박판(10)과 탐상체(1)가 밀착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접촉부(30)에 의하여 강자성체 박판(10)과 상기 탐상체(1)가 밀착함으로써, 상기 강자성체 박판(10)으로부터 상기 탐상체(1)로의 초음파 전달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접촉부(30)가 상기 점성을 가진 접촉매질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강자성체 박판(10)을 탐상체(1)로부터 떼어낸 후 다시 재사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단방향 초음파 발생 트랜스듀서의 성능을 시험하기 위한 실험 배치도이고, 도3은 그에 따른 실험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상기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단방향 초음파 발생 트랜스듀서의 성능을 시험하기 위하여, 탐상체(1) 위에 초음파 발생 트랜스듀서(100)를 두고, 상기 초음파 발생 트랜스듀서(100)의 양 옆의 두 지점(R1, R2)에 초음파 수신기를 구비하여 상기 두 지점(R1, R2)에서 초음파를 측정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초음파 발생 트랜스듀서(100)에서 단방향으로 초음파가 발생한다면 R2에서는 초음파가 측정되고, R1에서는 초음파가 측정되지 않을 것이다.
도3은 상기 실험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로서, 도3(a)는 종래의 초음파 발생 트랜스듀서에 의한 결과이고, 도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초음파 발생 트랜스듀서에 의한 결과이다.
도3(a)의 그래프를 참조하면, R1 및 R2의 두 지점에서 거의 동일하게 초음파가 측정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종래의 초음파 발생 트랜스듀서는 양방향으로 상기 초음파를 전파시키기 때문이다.
이에 반하여 도3(b)의 그래프을 참조하면, R2지점에서 측정된 초음파의 크기는 R1지점에서 측정한 초음파의 크기보다 월등하게 크고, 상기 R1의 초음파 크기는 상대적으로 아주 작게 측정됨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3(a)의 경우와 비교할 때, 상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초음파 발생 트랜스듀서에서 발생한 초음파는 R2 방향으로만 진행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다만, 도3(b)의 그래프에 의하면, 적게나마 상기 R1지점에서 초음파가 측정되고 있는바, 이는 상기 강자성체 박판(10)의 단부에서 반사된 초음파에 의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즉, 도1(b)를 참조하면, 상기 초음파 발생부(20)에서 발생한 초음파는 화살표 방향을 따라 진행하여 접촉영역에서 상기 탐상체(1) 내부로 전파하게 된다. 다만, 상기 접촉영역은 상기 강자성체 박판(10)의 단부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상기 초음파는 상기 강자성체 박판(10)의 단부에서 반사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반사된 초음파는 상기 화살표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진행할 수 있으며, 그 중 일부가 상기 탐상체(1) 내부로 전파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R1지점에서 측정되는 초음파는 상기 강자성체 박판(10)의 단부에 의하여 반사된 초음파로 볼 수 있다. 상기 R1 지점에서 측정되는 초음파를 줄이기 위해서는, 상기 강자성체 박판(10)의 단부에서 상기 초음파가 반사되는 양을 최대한 줄이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다. 즉, 상기 단부에 초음파를 감쇠시키는 감쇠부(40)를 더 포함하여 상기 단부에서 반사되는 초음파의 양을 줄일 수 있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단방향 초음파 발생 트랜스듀서의 감쇠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상기 도4(a)를 참조하면, 상기 강자성체 박판(10)은 상기 접촉영역의 단부에 추가적으로 비접촉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추가된 비접촉영역에는 상기 감쇠부(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감쇠부(40)는 상기 감쇠부(40)로 유입된 초음파의 감쇠를 증대시켜 상기 강자성체 박판(10)의 단부에서 반사되는 초음파의 양을 줄일 수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하여, 상기 감쇠부(40)는 도4(b)와 같이, 상기 강자성체 박판(10)의 단부를 글라인딩 처리하거나, 도4(c)와 같이 상기 단부를 웨지(wedge)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단부가 글라인딩 처리되거나 웨지(wedge)형으로 형성된 경우의 초음파 감쇠량은, 상기 단부에 대한 처리가 없는 경우의 초음파 감쇠량에 비하여 현저하게 증가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상기 단부에서 반사되는 초음파의 양도 현저하게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한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권리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1: 탐상체 10: 강자성체 박판
20: 초음파 발생부 21: 정자기장 형성부
22: 동자기장 형성부 30: 접촉부
40: 감쇠부 100: 초음파 발생 트랜스듀서

Claims (6)

  1. 탐상체와 접촉하지 않는 비접촉영역 및 상기 탐상체와 접촉하는 접촉영역을 포함하는 강자성체 박판;
    상기 비접촉 영역에 구비되며, 상기 강자성체 박판을 진동시켜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초음파 발생부; 및
    상기 접촉영역에 구비되어 상기 강자성체 박판과 상기 탐상체를 접촉시키고, 상기 초음파를 상기 탐상체로 전달하는 접촉부를 포함하는 단방향 초음파 발생 트랜스듀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발생부는
    상기 강자성체 박판에 정(靜)자기장을 인가하는 정자기장 형성부; 및
    상기 정자기장에 특정 진동수를 가지는 동(動)자기장을 인가하는 동자기장 형성부를 포함하는 단방향 초음파 발생 트랜스듀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접촉매질(couplant) 또는 접착물질을 포함하는 단방향 초음파 발생 트랜스듀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자성체 박판은
    상기 강자성체 박판의 단부에서 반사되는 초음파를 감쇠시키는 감쇠부를 더 포함하는 단방향 초음파 발생 트랜스듀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감쇠부는
    상기 강자성체 박판의 일 단부를 글라인딩(grinding) 처리한 것인 단방향 초음파 발생 트랜스듀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감쇠부는
    상기 강자성체 박판의 단부를 웨지(wedge)형으로 가공한 것인 단방향 초음파 발생 트랜스듀서.
KR1020110118659A 2011-11-15 2011-11-15 단방향 초음파 발생 트랜스듀서 KR1012539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8659A KR101253965B1 (ko) 2011-11-15 2011-11-15 단방향 초음파 발생 트랜스듀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8659A KR101253965B1 (ko) 2011-11-15 2011-11-15 단방향 초음파 발생 트랜스듀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3965B1 true KR101253965B1 (ko) 2013-04-11

Family

ID=48443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8659A KR101253965B1 (ko) 2011-11-15 2011-11-15 단방향 초음파 발생 트랜스듀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396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4159A (ko) * 2017-07-03 2019-01-11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공진 구조물에 의해 출력이 향상된 자기 변형 트랜스듀서 및 트랜스듀서의 출력 향상 방법
KR102083505B1 (ko) 2018-10-05 2020-03-02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유도초음파용 트랜스듀서의 출력/감도를 향상하는 공진기 장치 및 출력 향상 조절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99458A (en) * 1990-02-26 1994-04-05 Clark Jr Alfred V Nondestructive ultrasonic evaluation of formability of metallic sheets
KR100677920B1 (ko) * 2005-10-20 2007-02-05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자기변형 효과를 이용하여 봉이나 축, 또는 배관 부재에비틀림파를 발생 및 측정하는 방법, 그 방법을 이용한자기변형 트랜스듀서, 및 구조 진단 장치
KR101052800B1 (ko) * 2009-03-30 2011-07-29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자기변형 트랜스듀서와 광대역 다중모드 sh파 분산 특성 변화를 이용한 배관 이상 감시 방법
KR101061226B1 (ko) * 2009-07-01 2011-08-31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유도초음파 변환용 자기변형 트랜스듀서 모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99458A (en) * 1990-02-26 1994-04-05 Clark Jr Alfred V Nondestructive ultrasonic evaluation of formability of metallic sheets
KR100677920B1 (ko) * 2005-10-20 2007-02-05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자기변형 효과를 이용하여 봉이나 축, 또는 배관 부재에비틀림파를 발생 및 측정하는 방법, 그 방법을 이용한자기변형 트랜스듀서, 및 구조 진단 장치
KR101052800B1 (ko) * 2009-03-30 2011-07-29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자기변형 트랜스듀서와 광대역 다중모드 sh파 분산 특성 변화를 이용한 배관 이상 감시 방법
KR101061226B1 (ko) * 2009-07-01 2011-08-31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유도초음파 변환용 자기변형 트랜스듀서 모듈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4159A (ko) * 2017-07-03 2019-01-11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공진 구조물에 의해 출력이 향상된 자기 변형 트랜스듀서 및 트랜스듀서의 출력 향상 방법
KR101960019B1 (ko) * 2017-07-03 2019-07-04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공진 구조물에 의해 출력이 향상된 자기 변형 트랜스듀서 및 트랜스듀서의 출력 향상 방법
KR102083505B1 (ko) 2018-10-05 2020-03-02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유도초음파용 트랜스듀서의 출력/감도를 향상하는 공진기 장치 및 출력 향상 조절 방법
US10732151B2 (en) 2018-10-05 2020-08-04 Seoul National University R&Db Foundation Resonator device for enhancing output and sensitivity of guided wave transducers and the method of enhancement controll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hayalan et al. A hybrid finite element model for simulation of electromagnetic acoustic transducer (EMAT) based plate waves
Ma et al. Excitation and detection of shear horizontal waves with electromagnetic acoustic transducers for nondestructive testing of plates
Cho et al. Megahertz-range guided pure torsional wave transduction and experiments using a magnetostrictive transducer
JP6362533B2 (ja) 残留応力評価方法及び残留応力評価装置
KR100561215B1 (ko) 탄성 초음파를 발생 및 측정할 수 있는 자기변형트랜스듀서와 이를 이용한 구조진단 장치
Ratnam et al. Generation and detection of higher-order mode clusters of guided waves (HOMC-GW) using meander-coil EMATs
Sun et al. Point-focusing of shear-horizontal wave using fan-shaped periodic permanent magnet focusing coils EMAT for plate inspection
CN104198594A (zh) 一种多主频组合的扭转模态电磁声阵列传感器
Liu et al. Development of a shear horizontal wave electromagnetic acoustic transducer with periodic grating coil
Zhang et al. Design of a new type of omnidirectional shear-horizontal EMAT by the use of half-ring magnets and PCB technology
Xie et al. A new longitudinal mode guided-wave EMAT with periodic pulsed electromagnets for non-ferromagnetic pipe
KR101253965B1 (ko) 단방향 초음파 발생 트랜스듀서
Hao et al. Multi-belts coil longitudinal guided wave magnetostrictive transducer for ferromagnetic pipes testing
US20110247419A1 (en) Time reversal acoustic noncontact source
CN109470774A (zh) 基于铝板缺陷检测的超声导波聚焦换能器
US20200182720A1 (en) Device for inspecting clamping means by ultrasounds and method implementing the device
JPH11326286A (ja) 電磁超音波探傷装置及び磁歪効果を用いる超音波探傷方法
CN101231269B (zh) 一种可对内置永磁体充退磁的电磁超声传感器及使用方法
EP2565642B1 (en) L-mode guided wave sensor
Bakre et al. Nonlinear mixing of laser generated narrowband Rayleigh surface waves
KR102203609B1 (ko) 전자기음향 트랜스듀서 및 이를 포함하는 배관 검사 장치
Kosaka et al. Monitoring system for pipe wall thinning management using electromagnetic acoustic transducer
Gao et al. New developments in EMAT techniques for surface inspection
Cai et al. Measurement of ultrasonic nonlinear parameter by using electromagnetic acoustic transducer
Cai et al. Optimal design of shear vertical wave electromagnetic acoustic transducers in resonant mo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