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3735B1 - Rotating Object Made of Blocks for Advertisement and Control Method therewith - Google Patents

Rotating Object Made of Blocks for Advertisement and Control Method therewith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3735B1
KR101253735B1 KR1020110098874A KR20110098874A KR101253735B1 KR 101253735 B1 KR101253735 B1 KR 101253735B1 KR 1020110098874 A KR1020110098874 A KR 1020110098874A KR 20110098874 A KR20110098874 A KR 20110098874A KR 101253735 B1 KR101253735 B1 KR 1012537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rotation
rotating
groove
upper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887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34802A (en
Inventor
권혁길
Original Assignee
(주)오비스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오비스코리아 filed Critical (주)오비스코리아
Priority to KR10201100988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3735B1/en
Publication of KR201300348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480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37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373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0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corporating moving display members
    • G09F19/10Devices demonstrating the action of an article to be advertis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1/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complete information is permanently attached to a movable support which brings it to the display position
    • G09F11/02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complete information is permanently attached to a movable support which brings it to the display position the display elements being secured to rotating members, e.g. drums, spindles
    • G09F11/025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complete information is permanently attached to a movable support which brings it to the display position the display elements being secured to rotating members, e.g. drums, spindles the members being rotated simultaneously, each face of the member carrying a part of the sig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Displays For Variable Information Using Movabl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고용 블록 회전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상단블록과, 상단블록을 상대로 회전가능한 중앙블록과, 중앙블록을 상대로 회전가능한 하단블록이 수직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열되어 형성되는 몸체부; 상단블록, 중앙블록 및 하단블록 상호 간을 결합하고 상단블록, 중앙블록 및 하단블록 각각의 중심영역에 내삽되어 회전하는 회전부; 상단블록 하측에 고정되어 중앙블록 및 하단블록을 관통하여 세로로 길게 형성되고, 회전부의 외주를 따라 회전가능하게 형성되어 몸체부의 회전을 제어하는 멈춤부; 및 몸체부 하측에 형성되고, 회전부를 정역회전시키는 구동축과, 멈춤부의 하단이 삽입되어 멈춤부의 회전을 안내하는 가이드 홈과, 하단블록과 마찰하여 하단블록의 정방향 회전을 저지할 수 있는 멈춤돌기가 형성되는 받침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정방향 회전시, 상단블록, 중앙블록 및 하단블록은 나선형으로 배열되면서 회전하며, 역회전시, 상단블록, 중앙블록 및 하단블록은 함께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각 블록의 회전부 일측에 제어돌기가 구비되고 이에 대응하는 각 블록의 내측에는 자유영역 홈이 형성된다. 이때, 자유영역 홈 구간의 길이는 몸체부의 하단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증대된다. 이로 인해 구동축의 정방향 회전시 상단블록, 중단블록 및 하단블록은 자연스럽게 나선형 배열을 이루며 회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lock rotating body for advertis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upper block, the central block rotatable relative to the upper block, the lower body rotatable relative to the central block is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sequentially arranged in the body portion; Rotating unit for coupling between the upper block, the center block and the lower block and interpolated and rotated in the center area of each of the upper block, the center block and the lower block; A stopper which is fixed to the lower side of the upper block and vertically formed through the central block and the lower block and is rotatably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rotating unit to control the rotation of the body unit; And a driving shaft formed at the lower side of the body, and having a drive shaft for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of the rotating part, a guide groove for inserting the lower end of the stop part to guide rotation of the stop part, and a stop protrusion capable of preventing forward rotation of the lower block by friction with the lower block. Comprising; formed, including; and, in the forward rotation, the upper block, the center block and the lower block is rotated while being arranged in a spiral, when the reverse rotation, the upper block, the center block and the lower block is rotated together do.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ontrol protrusion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rotating part of each block, and a free area groove is formed inside each block corresponding thereto. At this time, the length of the free region groove section is gradually increased toward the lower end of the body portion. As a result, when the drive shaft rotates forward, the upper block, the middle block, and the lower block naturally rotate in a spiral arrangement.

Description

광고용 블록 회전체 및 그 제어방법{Rotating Object Made of Blocks for Advertisement and Control Method therewith}Rotating Object Made of Blocks for Advertisement and Control Method therewith}

본 발명은 광고용 블록 회전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동축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력을 이용하여 몸체부의 상단블록, 중단블록 및 하단블록이 순차적으로 회전하여 작동하는 광고를 위하여 사용되는 회전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lock rotating body for advertising, and more particularly to a rotating body used for advertising the upper block, the middle block and the lower block of the body portion sequentially rotates using the forward or revers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e shaft. will be.

상품 광고는 TV 또는 매스미디어를 통해 영상을 제공하여 상품의 특성을 홍보하는 방식뿐만 아니라 전통적인 방식으로 간행물, 신문, 전단지, 플래카드 또는 입간판 등에 광고선전 문구 또는 도안을 기재하여 반포, 전시하는 광고방식이 있다. 광고는 소비자의 지각을 통하여 전달되는 것이기 때문에 전단지나 입간판을 이용한 광고의 경우 이는 정적인 광고로 소비자의 호기심이나 관심을 유도하기에는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Product advertising not only promot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duct by providing images on TV or mass media, but also advertises and displays promotional texts or designs in publications, newspapers, flyers, placards or publications in a traditional manner. There is this. Since advertisement is delivered through the consumer's perception, in the case of an advertisement using a leaflet or a signboard, it is a reality that it is insufficient to induce consumer's curiosity or interest as a static advertisement.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최근에는 회전식 간판을 이용하거나 움직이는 인형 등을 광고매체로 사용하기도 한다. 특히 담배광고를 위해 담뱃갑이 동적으로 움직여 소비자의 시선을 끌도록 한 것으로 출원번호 20-21001-0004291 "움직이는 광고대상 모형물을 갖는 광고판"과 출원번호 20-21006-0031519 "담배광고장치" 등이 있다. 이렇게 담배 매대 위에 놓여 담배광고를 위해 사용되는 움직이는 고안의 경우 종래의 전형적인 광고방식인 전단지나 입간판을 이용한 광고보다 소비자의 시선을 집중시킬 수 있음에 의문이 없다. 그러나 이러한 담뱃갑의 움직임은 단순히 담뱃갑이 후면에서 전면으로 돌출되거나 내용물인 담배가 움직이는 등의 폐쇄된 작은 영역에서 동작이 이루어지므로 시각적 자극에 있어서 강한 인상을 소비자에게 심어줄 수 없었다.In consideration of this, recently, a rotating signboard or a moving doll may be used as an advertisement medium. Particularly, the cigarette pack moves dynamically to attract the consumer's attention for the advertisement of cigarettes. Application No. 20-21001-0004291 "A billboard having a moving advertisement target model" and Application No. 20-21006-0031519 "Tobacco advertising device" . In the case of a moving design placed on a tobacco rack for use in tobacco advertising, there is no question that the consumer's attention can be focused more than the advertisement using a leaflet or a sign board, which is a typical advertising method. However, the movement of the packet simply did not give a strong impression on the visual stimulus because the movement was performed in a closed small area such as the cigarette protruding from the rear to the front or the contents of the cigarette moving.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구동축의 정방향 역방향 회전력을 이용하여 상단블록, 중단블록 및 하단블록이 자연스럽게 나선형 배열을 이루며 회전함으로써 블록 회전체 전면이 일측에서 모두 관찰될 수 있고 시각적으로 강한 호기심을 유발시켜 광고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광고용 블록 회전체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otate the front block, the intermediate block and the lower block in a naturally spiral arrangement by using the forward revers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e shaft, so that the front surface of the block rotating body is rotate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lock rotating body for advertisement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which can be observed on one side and can increase visual effect by inducing a strong curiosity.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은, 상단블록과, 상단블록을 상대로 회전가능한 중앙블록과, 중앙블록을 상대로 회전가능한 하단블록이 수직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열되어 형성되는 몸체부; 상단블록, 중앙블록 및 하단블록 상호 간을 결합하고 상단블록, 중앙블록 및 하단블록 각각의 중심영역에 내삽되어 회전하는 회전부; 상단블록 하측에 고정되어 중앙블록 및 하단블록을 관통하여 세로로 길게 형성되고, 회전부의 외주를 따라 회전가능하게 형성되어 몸체부의 회전을 제어하는 멈춤부; 및 몸체부 하측에 형성되고, 회전부를 정역회전시키는 구동축과, 멈춤부의 하단이 삽입되어 멈춤부의 회전을 안내하는 가이드 홈과, 하단블록과 마찰하여 하단블록의 정방향 회전을 저지할 수 있는 멈춤돌기가 형성되는 받침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정방향 회전시, 상단블록, 중앙블록 및 하단블록은 나선형으로 배열되면서 회전하며, 역회전시, 상단블록, 중앙블록 및 하단블록은 함께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eans for achiev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block, the central block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upper block, the lower body rotatable relative to the central block is formed by sequentially arranged in a vertical direction; Rotating unit for coupling between the upper block, the center block and the lower block and interpolated and rotated in the center area of each of the upper block, the center block and the lower block; A stopper which is fixed to the lower side of the upper block and vertically formed through the central block and the lower block and is rotatably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rotating unit to control the rotation of the body unit; And a driving shaft formed at the lower side of the body, and having a drive shaft for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of the rotating part, a guide groove for inserting the lower end of the stop part to guide rotation of the stop part, and a stop protrusion capable of preventing forward rotation of the lower block by friction with the lower block. Comprising; formed, including; and, in the forward rotation, the upper block, the center block and the lower block is rotated while being arranged in a spiral, when the reverse rotation, the upper block, the center block and the lower block is rotated together do.

또한, 중앙블록은 2개 이상으로 형성되어 수직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열되며, 정방향 회전시 나선형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entral block is formed in two or more are arranged sequentially in the vertical direction, characterized in that arranged in a spiral when the forward rotation.

또한, 회전부는 일측에 제어돌기가 구비되고, 제어돌기와 대응하는 상단블록, 중앙블록 및 하단블록의 내측에는, 제어돌기와 마찰력이 작용하지 않아 회전부가 자유롭게 회전가능하고 몸체부의 하단방향으로 갈수록 구간길이가 길어지는 자유영역 홈; 및 자유영역 홈과 연결되고, 제어돌기와 마찰력이 작용하여 회전부가 상단블록, 중앙블록 및 하단블록과 함께 회전할 수 있는 마찰영역 돌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rotating part is provided with a control protrusion on one side, the inner side of the upper block, the center block and the lower block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protrusion, the control protrusion and the friction force does not work, so that the rotating part can be freely rotated and the section length toward the lower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Elongated free region grooves; And a friction region protrusion connected to the free region groove and having a control protrusion and a friction force to rotate the rotating unit together with the upper block, the center block, and the lower block.

또한, 중앙블록과 하단블록의 중심영역에는 멈춤부가 회동할 수 있도록 회전부의 외주를 따라 원호형태로 형성된 회동홈이 구비되고 회동홈은 자유영역 홈의 구간길이에 대응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enter region of the center block and the lower block is provided with a rotating groove formed in an arc shape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rotating portion so that the stop portion can be rotated, the rotating groov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length of the free area groove.

또한, 가이드 홈은 정방향 회전으로 멈춤부가 더 회전할 수 있도록 하단블록의 회동홈보다 긴 회전구간을 갖는 원호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guide groove i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n arc shape having a longer rotation section than the rotation groove of the lower block so that the stop portion can be rotated further in the forward rotation.

또한, 멈춤돌기의 일단은 구동축의 중심방향으로 일정범위에서 왕복가능한 탄성력이 작용하고 역방향 회전을 저지할 수 있는 저지턱을 구비하며, 하단블록의 하면에는 멈춤돌기를 수용하고 하단블록이 회전할 수 있도록 원호형상의 수용홈을 구비하여, 몸체부의 회전범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one end of the stopper has a stopper that can be reciprocated in a certain range in the direction of the center of the drive shaft and stop the reverse rotation, the bottom of the lower block can accommodate the stopper and the lower block can rotate It is characterized by having an arc-shaped receiving groove to determine the rotation range of the body portion.

또한, 몸체부의 전면과 후면은 명도와 채도가 다르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ront and rear of the body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rightness and saturation formed differently.

또한, 몸체부는 다각기둥 또는 다면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body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olygonal column or polyhedron.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카테고리로, 구동축의 정방향 회전을 통해 상단블록 및 중앙블록이 순차적으로 회전하여 나선형을 발현하는 제 1 단계; 구동축의 정방향 회전을 통해 나선형을 유지하면서 상단블록이 180°회전될 때까지 멈춤부가 가이드 홈을 따라 회전하는 제 2 단계; 상단블록이 멈춤부 및 가이드 홈에 의해 고정된 상태로 계속적인 정방향 회전력이 작용함에 따라 나선형이 사라지는 제 3 단계; 구동축의 역방향 회전을 통해 상단블록, 중앙블록 및 하단블록이 함께 180°역방향 회전하는 제 4 단계; 및 구동축의 역방향 회전이 계속되는 제 5 단계;로 이루어져, 보는 사람의 시선을 집중시킬 수 있는 광고용 블록 회전체의 제어방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nother category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tep of the upper block and the central block to rotate sequentially through the forward rotation of the drive shaft to express a spiral; A second step of stopping the rotation along the guide groove until the upper block is rotated by 180 ° while maintaining the spiral through the forward rotation of the drive shaft; A third step in which the spiral disappears as the continuous forward rotational force is applied while the upper block is fixed by the stop and the guide groove; A fourth step of rotating the upper block, the center block, and the lower block together by 180 ° reversely through the reverse rotation of the drive shaft; And a fifth step in which the reverse rotation of the driving shaft is continued,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 control method of the advertising block rotating body that can focus the eyes of the viewer.

본 발명에 따르면 각 블록의 회전부 일측에 제어돌기가 구비되고 이에 대응하는 각 블록의 내측에는 자유영역 홈이 형성된다. 이때, 자유영역 홈 구간의 길이는 몸체부의 하단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증대된다. 이로 인해 구동축의 정방향 회전시 상단블록, 중단블록 및 하단블록은 자연스럽게 나선형 배열을 이루며 회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ontrol protrusion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rotating part of each block, and a free area groove is formed inside each block corresponding thereto. At this time, the length of the free region groove section is gradually increased toward the lower end of the body portion. As a result, when the drive shaft rotates forward, the upper block, the middle block, and the lower block naturally rotate in a spiral arrangement.

또한, 정방향 회전시 하단블록이 먼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받침부가 하단블록과 결합하는 위치에 멈춤돌기를 형성하고, 이를 통해 상단블록이 먼저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자연스러운 나선형 회전을 구현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prevent the lower block to rotate first when the forward rotation to form a stopper at the position where the support unit is combined with the lower block, thereby enabling the upper block to rotate first to achieve a more natural spiral rotation.

또한, 정방향 회전으로 멈춤부가 더 회전할 수 있도록 회동홈보다 긴 회전구간을 갖는 가이드 홈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멈춤부는 회동홈의 회전구간만큼 몸체부를 나선형태로 변화시키고, 계속된 정방향 회전력에 의해 몸체부(100)는 나선형태를 유지하면서 그 자체로 가이드 홈의 종단까지 회전하게 된다. 이렇게 가이드 홈을 회동홈보다 회전구간을 길게 형성함으로써 몸체부의 나선형 변화뿐만 아니라 몸체부 자체의 회전을 유도하여 다양한 시각적 변화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form a guide groove having a rotation section longer than the rotation groove so that the stop portion can be rotated further in the forward rotation. At this time, the stop portion changes the body portion in a spiral shape as much as the rotation section of the rotational groove, the body portion 100 is rotated to the end of the guide groove by itself while maintaining the spiral shape by the continuous forward rotational force. Thus, by forming the guide groove longer than the rotation groove, the rotational groove has the effect of inducing various visual changes by inducing the rotation of the body portion itself as well as the spiral change of the body portion.

또한, 시각적 효과에 있어서 정적인 광고물과 달리 나선형의 자연스런 순차 회전을 통해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강한 호기심을 유발시켜 시선을 장기간 집중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상품에 대한 인식도를 증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unlike the static advertisement in the visual effect, the natural sequential rotation of the spiral can cause viewers to have a strong curiosity to focus the gaze for a long time, thereby increasing the awareness of the product.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고용 블록 회전체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광고용 블록 회전체의 분해사시도.
도 3a은 상단블록의 횡단면도.
도 3b는 순차배열된 중앙블록의 횡단면도.
도 3c는 하단블록의 횡단면도 및 저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광고용 블록 회전체의 정방향 회전시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광고용 블록 회전체가 180°회전한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광고용 블록 회전체의 제어방법에 따른 순서도.
The following drawings, which are attached in this specification,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serve to further underst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not be interpreted.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lock rotating body for advertis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advertising block rotating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upper block.
Figure 3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equentially arranged central block.
Figure 3c is a cross-sectional view and bottom view of the lower block.
Figure 4 is a state diagram when the forward rotation of the advertising block rotating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tate in which the rotating block for advertising according to the invention rotated 180 °.
Figure 6 is a flow chart according to the control method of the block rotating body for adverti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구성><Configura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광고용 블록 회전체(1)의 구성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configuration of the advertising block rotating body 1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고용 블록 회전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광고용 블록 회전체의 분해사시도이다.First,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dvertising block rotating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advertising block rotating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고용 블록 회전체(1)는 대략 몸체부(100), 회전부(200), 멈춤부(300) 및 받침부(400)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ures 1 and 2, the advertising block rotating body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s of a body 100, a rotating part 200, a stop part 300 and the support part 400.

이러한 블록 회전체(1)는 다양한 형태와 크기의 입체조형물에 적용될 수 있는데 그 크기는 광고에 적용하고자 하는 입체적 목적물에 따라 작게는 수cm의 크기에서부터 수m에 이르는 대형 입체조형물에 적용될 수 있다.The block rotating body 1 can be applied to three-dimensional sculptures of various shapes and sizes, the size of which can be applied to large three-dimensional sculptures ranging from a few cm to several meters depending on the three-dimensional objects to be applied to the advertisement.

몸체부(100)는 광고의 대상이 되는 물건의 형상을 나타내는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담뱃갑 형상의 직육면체를 그 예로 하였다. 이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몸체부(100)는 수평분할되어, 상단블록(110), 중앙블록(120) 및 하단블록(130)으로 나누어지고 이는 수직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열되어 형성된다. 이때, 상단블록(110)은 중앙블록(120)과 인접하여 서로 회전가능하고 중앙블록(120)은 하단블록(130)과 인접하여 서로 회전가능하다. 이러한 몸체부(100)는 광고 대상물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바람직한 형태는 수평방향으로 분할된 몸체부(100)가 나선형태로 회전시 시각적으로 주의를 끌 수 있는 삼각기둥, 사각기둥, 오각기둥, 육각기둥 등의 다각기둥 또는 삼각뿔, 사면체, 오면체, 육면체 등의 다면체가 있다. 그리고 사용목적에 따라서는 원기둥, 구 등에도 적용가능하다. 한편, 몸체부(100)의 전면과 후면은 명도와 채도를 다르게 형성하여 몸체부(100)가 순차적으로 나선형을 이룰 때 시각적으로 소비자의 주의를 끌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몸체부(100)는 다양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지만, 연질의 내마모성이 있는 고무 또는 PVC와 같은 복합소재가 바람직하다.Body portion 100 represents the shape of the object that is the target of the advertisement,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aken a cigarette-shaped rectangular parallelepiped as an example. Referring to this, the body portion 100 is divided horizontally, divided into the upper block 110, the central block 120 and the lower block 130, which is formed by sequentially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this time, the upper block 110 is rotatable with each other adjacent to the central block 120 and the central block 120 is rotatable with each other adjacent to the lower block 130. The body portion 100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ccording to the advertisement target. However, the preferred form is a triangular prism, triangular pyramid, tetrahedron, tetrahedron, such as triangular prism, square prism, pentagonal prism, hexagonal prism that can attract visual attention when the body portion 100 divid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rotates in a spiral shape. There are polyhedrons such as cubes. Depending on the purpose of use, it is also applicable to cylinders, spheres, etc. On the other hand, the front and rear of the body portion 100 forms a different brightness and saturation can visually attract the attention of the consumer when the body portion 100 is spiral in sequence. And the body portion 100 may be made of a variety of materials, a composite material such as rubber or PVC with a soft wear resistance is preferable.

상단블록(110)의 몸체부(100)의 최상단에 구비되는 구성요소로, 대략 자유영역 홈(140), 마찰영역 돌기(150) 및 훅결합부(17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훅결합부(170a,170b)는 각 블록간을 연결하는 기능 및 몸체부(100)의 나선방향을 한쪽 방향 또는 양쪽 방향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즉, 도 2 상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블록(110) 하단 양측에 대칭되게 형성된 원호형상의 긴 홈모양의 훅결합부 홈(170a)이 있다. 그리고 이와 인접한 중앙블록(120)의 상면 양측에 약간 비틀어진 대칭형태로 형성되고, 상단블록(100)에 형성된 훅결합부 홈(170b)에 삽입되어 회동가능한 훅결합부 돌기(170b)가 있다. 이러한 훅결합부(170a,170b)가 상호 결합하는 경우 몸체부(100)는 반시계방향(정방향)으로만 나선형태를 이룬다. 다만, 중앙블록(120)의 상면에 형성된 훅결합부 돌기(170b)가 상단블록(110) 하면의 훅결합부 홈(170a)처럼 완전히 대칭된 형태라면 몸체부(100)가 양방향으로 나선형태를 이룰 수 있다.It is a component provided at the top of the body portion 100 of the upper block 110, it may be composed of a roughly free area groove 140, friction region protrusion 150 and hook coupling portion 170. In this case, the hook coupling parts 170a and 170b may have a function of connecting the blocks and the spiral direction of the body part 100 in one direction or in both directions. That is, as shown in the upper part of Figure 2, there is an arc-shaped long groove-shaped hook coupling portion groove 170a formed symmetrically on both sides of the lower end of the upper block 110. And it is formed in a slightly twisted symmetrical form on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adjacent central block 120, there is a hook coupling portion projection (170b) is inserted into the hook coupling portion groove 170b formed in the upper block (100). When the hook coupling portions 170a and 170b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body portion 100 has a spiral shape only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forward direction). However, if the hook coupling portion protrusion 170b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entral block 120 is completely symmetrical like the hook coupling portion groove 170a of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block 110, the body portion 100 has a spiral shape in both directions. Can be achieved.

중앙블록(120)은 상단블록(110)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단블록(110)의 회전에 따라 순차적으로 회전하는 구성요소로, 중앙블록(120)은 1개 내지 수백 개가 될 수 있다. 다만, 자연스러운 구동을 위해서 적정한 수로 구현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제품은 중앙블록(120)이 5개로 이루어진 것으로 제작하였다. 이러한 중앙블록(120)은 실질적으로 몸체부(100)의 나선형태를 형성하기 위해 대략 자유영역 홈(140), 마찰영역 돌기(150), 회동홈(160) 및 훅결합부(170)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central block 120 is a component that rotates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upper block 110 is located below the upper block 110, the central block 120 may be one to several hundred. However, it should be implemented in an appropriate number for natural driving. Prototy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produced as the center block 120 consists of five. The central block 120 is substantially composed of a free area groove 140, a friction area protrusion 150, a rotation groove 160 and a hook coupling portion 170 to form a spiral shape of the body portion 100. Can be.

회동홈(160)은 상단블록(110)의 멈춤부(300)가 회동할 수 있도록 중앙블록(120)과 하단블록(130)의 회전부(200)의 외주를 따라 원호형태로 형성된 홈을 말한다. 이러한 회동홈(160)의 원호길이는 멈춤부(300)의 회전범위 및 횡단면 원호의 크기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Rotating groove 160 refers to a groove formed in the shape of an arc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rotating unit 200 of the central block 120 and the lower block 130 so that the stop 300 of the upper block 110 can rotate. The arc length of the pivoting groove 160 may be variously modified according to the rotation range of the stopper 300 and the size of the cross section arc.

상단블록(110)과 그 하단의 중앙블록(120)의 연결은 상단블록(110)의 회전부(200) 하측의 결합부재 돌기(220b)와 중앙블록(120)의 회전부(200) 상측에 구비된 결합부재 홈(220a)에 의해 축결합된다. 몸체부(100)의 크기와 중량에 따라 다양한 연결방식이 사용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끼워 맞춤 연결방식이 사용되었다.The connection of the upper block 110 and the lower central block 120 is provided on the coupling member protrusion 220b of the lower portion of the rotating part 200 of the upper block 110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rotating part 200 of the central block 120. It is axially coupled by the coupling member groove 220a. Various connection methods may be used depending on the size and weight of the body portion 100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used to fit the connection method.

자유영역 홈(140) 및 마찰영역 돌기(150)는 이하의 회동부(200)에 대한 설명과 함께한다. The free area groove 140 and the friction area protrusion 150 are described together with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rotation part 200.

하단블록(130)은 중앙블록(120)의 하부에 위치하여 받침부(400)와 연결되는 구성요소로, 대략 자유영역 홈(140), 마찰영역 돌기(150), 회동홈(160), 훅결합부(170) 및 수용홈(13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수용홈(132)은 멈춤돌기(430)와 함께 그 길이를 적당히 조절함으로써 하단블록(130)의 회전범위를 다양화할 수 있고, 도 1에 도시된 몸체부(100)의 초기위치에서 역방향(시계방향) 회전을 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수용홈(132)은 하단블록(130) 하면에 구비되어 받침부(400)의 멈춤돌기(430)를 수용하고 하단블록(130)이 회전가능하도록 원호형상으로 소정길이만큼 형성된다. The lower block 130 is a component locat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central block 120 and connected to the supporting part 400. The lower block 130 is a free area groove 140, a friction area protrusion 150, a rotation groove 160, and a hook. It may be made of a coupling unit 170 and the receiving groove 132. Here, the receiving groove 132 may vary the range of rotation of the lower block 130 by appropriately adjusting the length with the stop protrusion 430, the reverse direction at the initial position of the body portion 100 shown in FIG. Clockwise) to prevent rotation. The receiving groove 132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block 130 to receive the stop projection 430 of the support portion 400 and is formed in a circular arc shape so that the lower block 130 is rotatable by a predetermined length.

하단블록(130)과 중앙블록(120)의 연결은 상단블록(110)과 중앙블록(120)의 경우와 같이 회전부(200)에 구비된 결합부재(220a,220b)를 통해 이루어진다. 그리고 하단블록(130)의 회전부(200) 하측에 구비된 결합부재 돌기(220b)와 받침부(400)의 구동축(410) 간의 축결합으로 구동축(410)의 회전력이 상단블록(110)의 회전부(200)까지 직접 전달된다.Connection of the lower block 130 and the central block 120 is made through the coupling members 220a and 220b provided in the rotating unit 200 as in the case of the upper block 110 and the central block 120. And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e shaft 410 is the rotational portion of the upper block 110 by the shaft coupling between the coupling member projection 220b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rotary unit 200 of the lower block 130 and the support shaft 410 of the base 400. Up to 200 is delivered directly.

회전부(200)는 상단블록(110), 중앙블록(120) 및 하단블록(130)의 중심영역에 각각 내삽되어 회전하는 원판형상의 구성요소로, 상/하측에 위치하는 블록의 회전부(200) 또는 구동축(410)과 각각 축결합할 수 있는 결합부재(220a,220b)가 원판형상의 중심영역에 형성된다. 그리고 원판형상의 외주 일측에는 원판의 중심방향으로 일정범위에서 왕복가능한 탄성력이 작용하는 제어돌기(21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돌기(210)는 상단불록(110), 중앙블록(120) 및 하단블록(130)에 이르기까지 같은 위치에 구비되고, 도 2와 같이 몸체부(100)가 초기위치에 있는 경우 멈춤부(300)와 인접하여 위치한다. 이러한 제어돌기(210)의 구체적 작용은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The rotating part 200 is a disk-shaped component that is inserted into and rotates in the center area of the upper block 110, the central block 120 and the lower block 130, respectively, and the rotating part 200 of the block locat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Alternatively, coupling members 220a and 220b that are axially coupled to the driving shaft 410 may be formed in a central region of a disc shape.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disc shape may be provided with a control protrusion 210 that the elastic force reciprocating in a predetermined range in the center direction of the disc. The control protrusion 210 is provided at the same position up to the upper block 110, the central block 120 and the lower block 130, the stop portion when the body portion 100 is in the initial position as shown in FIG. It is located adjacent to (300). Specific operation of the control protrusion 210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 3.

도 3a은 상단블록의 횡단면도이고, 도 3b는 순차배열된 중앙블록의 횡단면도이고, 도 3c는 하단블록의 횡단면도 및 저면도이다.Figure 3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top block, Figure 3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equentially arranged central block, Figure 3c is a cross-sectional view and a bottom view of the lower block.

여기서 자유영역 홈(140)이란 블록의 내주면 상에서 회전부(200)의 중심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들어간 부분으로, 회전부(200)의 제어돌기(210)가 블록의 내주면과 이격되어 마찰력이 작용하지 않는 영역을 말한다. 따라서 회전부(200)의 제어돌기(210)가 자유영역 홈(140) 구간에 위치하게 되는 경우, 회전부(200)는 블록과 별개로 자유롭게 회동한다. 즉, 회전부(200)만이 헛돌 수 있게 된다(이하 공회전이라 한다).Herein, the free area groove 140 is a portion that enters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center of the rotation part 200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lock, and the control protrusion 210 of the rotation part 200 is spaced apart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lock so that the friction force does not work. Say Therefore, when the control protrusion 210 of the rotating part 200 is located in the free area groove 140 section, the rotating part 200 freely rotates separately from the block. That is, only the rotating part 200 can be idle (hereinafter referred to as idling).

그리고 마찰영역 돌기(150)란 블록의 내주면 상에서 돌출된 부분으로 상기 자유영역 홈(140)과 연결되어 하나의 내주면을 이루는 구성요소로, 회전부(200)의 제어돌기(210)가 블록의 내주면과 접촉됨으로써 마찰력이 작용하는 영역을 말한다. 따라서 회전부(200)의 제어돌기(210)가 마찰영역 돌기(150) 구간에 위치하게 되는 경우, 회전부(200)의 회전은 블록을 함께 회전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friction region protrusion 150 is a component that protrudes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lock and is connected to the free region groove 140 to form on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control protrusion 210 of the rotating unit 200 is connect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lock. It refers to the area where friction force acts by contact. Therefore, when the control protrusion 210 of the rotating part 200 is located in the friction region protrusion 150 section,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part 200 may rotate the block together.

따라서, 각 블록에 구비된 회전부(200) 제어돌기(210)의 위치가 어느 영역인지에 따라 각 블록의 회전이 제어됨으로써 몸체부(100)의 회전도 제어된다.Therefore, the rotation of each block is controlled according to which area the position of the control unit 210 of the rotating unit 200 provided in each block is also controlled to control the rotation of the body unit 100.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블록(110)에는 회전부(200)의 공회전이 불가하도록 자유영역 홈(140)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구동축(410)에 정방향(화살표 방향) 회전력이 부과된 경우 이와 연결된 회전부(200)는 마찰력이 작용한 결과 상단블록(110)과 함께 회동한다. 다만, 필요에 따라서는 좁은 구간의 자유영역 홈(140)을 형성하여 좁은 범위에서 공회전하다가 상단블록(110)이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3A, the free block groove 140 may be formed in the upper block 110 such that the rotating part 200 cannot be idle. Therefore, when a forward (arrow direction) rotational force is imposed on the drive shaft 410, the rotating part 200 connected thereto rotates together with the upper block 110 as a result of the frictional force. However, if necessary, the upper block 110 may be rotated while idling in a narrow range by forming a free region groove 140 in a narrow section.

도 3b의 (a),(b),(c)에서 순차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중앙블록(120)은 상단블록(110)과 동일하게 자유영역 홈(140)의 시작위치는 같으나, 몸체부(100) 하단방향으로 갈수록 자유영역 홈(140)의 구간길이가 길어진다. As shown in (a), (b), (c) of Figure 3b, the plurality of central block 120 is the same as the upper block 110, the starting position of the free area groove 140, The length of the section of the free region groove 140 becomes longer toward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100.

이렇게 몸체부(100) 하단방향으로 갈수록 자유영역 홈(140)의 구간길이를 순차적으로 길게 형성함으로써 상단블록(110)은 공회전하지 않고 바로 회전하게 되고, 상단블록(110)의 하측에 위치한 첫 번째 중앙블록(120)은 좁은 범위에서 회전부(200)가 공회전하다가 마찰력이 작용하는 마찰영역 돌기(150)에 이르러 첫 번째 중앙블록(120)과 함께 회동하게 된다. 이후 두 번째 중앙블록(120)은 중간 범위에서 회전부(200)가 공회전하다가 회동하고, 세 번째 중앙블록(120)은 넓은 범위에서 회전부(200)가 공회전하다가 회동한다. 결국, 인접한 블록 간의 자유영역 홈(140)의 구간길이의 차를 크게 할수록 몸체부(100)의 나선형 꼬임의 정도가 증대된다.The upper block 110 is rotated immediately without idling by sequentially forming the section length of the free area groove 140 in the direction toward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part 100, the first located at the lower side of the upper block 110. The central block 120 rotates with the first central block 120 when the rotating part 200 idles in a narrow range and reaches the friction region protrusion 150 where the frictional force is applied. Then, the second central block 120 rotates while the rotating unit 200 idles in the middle range, and the third central block 120 rotates while the rotating unit 200 idles in a wide range. As a result, as the difference in the section length of the free region groove 140 between adjacent blocks increases, the degree of spiral twist of the body portion 100 increases.

한편, 회동홈(160)은 이러한 자유영역 홈(140)의 구간길이에 대응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복수 개의 중앙블록(120)은 각각의 자유영역 홈(140)에 대응한 회전뿐만 아니라 멈춤부(300) 및 각 중앙블록(120)의 회동홈(160)과 대응한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어 보다 안정적인 나선형 구현이 가능하다. 다만, 제작의 편의상 하단블록(130) 자유영역 홈(140)의 구간길이에 대응한 회동홈(160)을 모든 중앙블록(120) 및 하단블록(130)에 형성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rotation groove 160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length of the section of the free area groove 140. Through this, the plurality of central blocks 120 may be rotated corresponding to the stopper 300 and the rotational groove 160 of each of the central blocks 120 as well as the rotation corresponding to each free area groove 140. More stable spiral implementation is possible. However, for convenience of manufacturing, the pivoting groove 160 corresponding to the section length of the free block groove 140 of the lower block 130 may be formed in all the central block 120 and the lower block 130.

도 3c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블록(130)의 자유영역 홈(140)은 최하단에 위치한 중앙블록(120) 자유영역 홈(140)의 구간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므로 하단블록(130)의 자유영역 홈(140)은 가장 길게 된다. 또한, 하단블록(130)의 회동홈(160)은 이러한 자유영역 홈(140)의 구간길이에 대응하도록 형성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형성된 중앙블록(120) 및 하단블록(130)의 자유영역 홈(140)으로 인해 구동축(410)에서 전달된 회전력은 곧장 상단블록(110)을 회전시키고 순차적으로 중앙블록(120) 및 하단블록(130)을 회전시켜 각각의 블록을 나선형태로 배열시키게 된다.As shown in (a) of FIG. 3C, the free area groove 140 of the lower block 130 is formed longer than the section length of the free area groove 140 of the center block 120 located at the lowermost level. ), The free area groove 140 is the longest. In addition, the rotation groove 160 of the lower block 130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length of the section of the free area groove 140. The rotational force transmitted from the driving shaft 410 due to the free area groove 140 of the center block 120 and the lower block 130 formed in this manner immediately rotates the top block 110 and sequentially the center block 120 and By rotating the lower block 130, each block is arranged in a spiral shape.

상단블록(110)부터 중앙블록(120) 순으로 안정적인 회전이 가능한 이유는 도 3c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블록(130)의 하면에는 멈춤돌기(430) 일단에 구비된 저지턱(431)에 대응하는 형상의 수용홈(132)이 형성되어 있어 일정수준의 마찰력이 작용하게 됨으로써 정방향 회전시 하단블록(130)이 먼저 회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이다.The reason why the stable rotation is possible in the order of the upper block 110 to the central block 120 is as shown in (b) of FIG. 3C, the lower jaw provided at one end of the stop protrusion 430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block 130. This is because the receiving groove 132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reference numeral 431 is formed so that a predetermined level of frictional force acts to prevent the lower block 130 from rotating first.

한편, 하단방향으로 갈수록 자유영역 홈(140)의 구간길이를 순차적으로 작게 형성함으로써 하단블록(130)은 공회전하지 않고 바로 회전하게 하고, 상단블록(110)이 제일 나중에 회전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몸체부(100)의 나선형을 구현할 수도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by gradually forming the section length of the free area groove 140 toward the lower direction in order to make the lower block 130 to rotate immediately without idling, the upper block 110 to rotate in the last way It may be possible to implement a spiral of 100.

멈춤부(300)는 상단블록(110) 하측에 고정되어 몸체부(100)가 나선형을 이룰 때까지 구동축(410)과 함께 회동하는 구성요소로, 중앙블록(120) 및 하단블록(130)을 관통하여 받침부(400)의 가이드 홈(420)에 삽입가능할 정도로 길게 형성된다. 이러한 멈춤부(300)는 정방향 회전시 중앙블록(120) 및 하단블록(130)에 구비된 모든 회전부(200)의 제어돌기(210)를 지지할 수 있도록 제어돌기(210)와 인접하도록 구비된다. 이렇게 멈춤부(300)에 의해 제어돌기(210) 모두가 지지됨으로써 몸체부(100)의 나선형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됨과 동시에 몸체부(100)의 회전이 제어될 수 있다. 한편, 멈춤부(300)의 횡단면은 회전부(200)의 외주를 따라 회전가능한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라도 무방하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멈춤부(300)의 횡단면이 소정 길이의 원호형태인 것이 몸체부(100)의 내구성과 관련하여 바람직하다. 이러한 멈춤부(300)는 다양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지만, 강도가 좋은 알루미늄합금재가 바람직하다.The stopper 300 is a component that is fixed to the lower side of the upper block 110 and rotates together with the drive shaft 410 until the body portion 100 forms a spiral, and the center block 120 and the lower block 130 are rotated. It is formed to be long enough to be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420 of the base 400. The stopper 300 is provided to be adjacent to the control protrusion 210 so as to support the control protrusions 210 of all the rotating parts 200 provided in the central block 120 and the lower block 130 during forward rotation. . As such, all of the control protrusions 210 are supported by the stopper 300 so that the spiral state of the body 100 is stably maintained and the rotation of the body 100 can be controlled. On the other hand, the cross section of the stop 300 may be any shape as long as it is rotatable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rotating part 200. However, a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cross section of the stopping part 300 has an arc shape of a predetermined length in relation to the durability of the body part 100. The stop 300 may be made of a variety of materials, the aluminum alloy is good strength is preferred.

받침부(400)는 몸체부(100) 하측에 형성되어, 몸체부(10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구성요소로, 대략 구동축(410), 가이드 홈(420) 및 멈춤돌기(430)로 이루어진다. 구동축(410)은 회전부(200)에 정역회전의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구성요소로 받침부(400) 내부 일측에 구비된다. 이러한 구동축(410)은 다양한 동력원이 사용될 수 있다. 다만, 몸체부(100)의 나선형이 완성되어 모든 제어돌기(210)가 마찰영역 돌기(150)와 접하게 됨으로써 발생하는 마찰력보다 큰 힘을 낼 수 있고, 안정적인 구동 및 제어가 용이한 모터(미도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upport portion 400 is formed under the body portion 100, and serves to support the body portion 100, and consists of a drive shaft 410, guide groove 420 and the stopper 430. . The drive shaft 410 is a component that provides the rotational power of th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to the rotating unit 200 is provided on one side inside the base 400. The drive shaft 410 may be used a variety of power sources. However, since the spiral of the body part 100 is completed, all the control protrusions 210 may exert a greater force than the friction force generated by contacting the friction area protrusion 150, and a motor that is easy to drive and control is stable (not shown). Is preferably used.

가이드 홈(420)은 멈춤부(300) 하단이 삽입되어 멈춤부(300)의 회전을 안내하는 구성요소로, 받침부(400) 상면 일측에 원호형상으로 구비된다. 이러한 원호형상의 가이드 홈(420)은 하단블록(130)에 구비된 회동홈(160)과 동일한 길이의 원호로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가이드 홈(420)에 삽입된 멈춤부(300)는 하단블록(130)의 회동홈(160)과 동일한 구간만큼을 회전하므로 해당 회전구간만큼 몸체부(100)를 나선형태로 변화시킨다. 그리고 더 이상 상단블록(110)은 회전할 수 없게 된다.The guide groove 420 is a component that guides the rotation of the stop part 300 by inserting the bottom of the stop part 300, and is provided in an arc shape on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art 400. The arc-shaped guide groove 420 may be formed as an arc of the same length as the rotation groove 160 provided in the lower block 130. In this case, the stop part 300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420 rotates the same section as the rotation groove 160 of the lower block 130, thereby changing the body portion 100 in a spiral shape by the corresponding rotation section. . And the upper block 110 is no longer able to rotate.

그러나 도 3c의 (a)에 표시된 점선부분처럼, 정방향 회전으로 멈춤부(300)가 더 회전할 수 있도록 하단블록(130)의 회동홈(160)보다 긴 회전구간을 갖는 원호로 가이드 홈(420)을 형성한 경우, 일단 가이드 홈(420)에 삽입된 멈춤부(300)는 회동홈(160)의 회전구간만큼 몸체부(100)를 나선형태로 변화시킨다. 그리고 몸체부(100)가 나선형을 이룬 후 계속된 정방향 회전력은 하단블록(130)의 수용홈(132)과 멈춤돌기(430)의 마찰력보다 크기 때문에 하단블록(130)을 회전시키게 된다. 결국, 몸체부(100)는 나선형태를 유지하면서 그 자체로 가이드 홈(420)의 종단까지 회전하게 된다. 이렇게 가이드 홈(420)을 하단블록(130)의 회동홈(160)보다 긴 회전구간을 갖는 원호로 형성함으로써 몸체부(100)는 나선형 및 나선상태에서의 회전이 가능해 진다. 이러한 몸체부(100)의 나선형 구현 및 나선상태에서의 회전은 입체적 시각성에 추가적인 변화를 가져오므로 소비자의 주의 끌 수 있고 이로 인해 광고적 효과가 증대될 수 있다.However, as shown by the dotted line shown in (a) of FIG. 3c, the guide groove 420 with an arc having a rotation section longer than the rotation groove 160 of the lower block 130 so that the stop portion 300 can be further rotated in the forward rotation. ), Once the stopper 300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420 changes the body portion 100 in a helical shape by a rotational section of the rotation groove 160. And since the forward rotational force continues after the body portion 100 is formed in a spiral than the friction force of the receiving groove 132 and the stopper 430 of the lower block 130 to rotate the lower block 130. As a result, the body portion 100 is rotated to the end of the guide groove 420 itself while maintaining the spiral shape. Thus, by forming the guide groove 420 in a circular arc having a longer rotation section than the rotation groove 160 of the lower block 130, the body portion 100 can be rotated in a spiral and spiral state. This spiral implementation of the body portion 100 and the rotation in the spiral state can bring additional changes in the three-dimensional visibility can attract the attention of the consumer, thereby increasing the advertising effect.

이렇게 가이드 홈(420)의 원호길이는 상기 하단블록(130)의 회동홈(160)과 그 시작점을 같이하여 같은 길이로 형성하거나 그보다 길게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가이드 홈(420)은 정방향 회전시 상단블록(110)이 처음 위치에서 180°회전된 상태에서 멈출 수 있도록 형성하였고, 이는 하단블록(130)의 회동홈(160)보다 긴 회전구간을 갖는 것이다.The arc length of the guide groove 420 may be formed in the same length or longer than the starting point and the starting point of the rotation groove 160 of the lower block 130. Guide groove 420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formed so that the upper block 110 can be stopped in the state rotated 180 ° from the initial position during the forward rotation, which is more than the rotation groove 160 of the lower block 130 It has a long rotation section.

멈춤돌기(430)는 정방향 회전에 의해 몸체부(100)가 소정의 정해진 범위의 나선형을 이룰 때까지 하단블록(130)의 수용홈(132)과 마찰하여 하단블록(130)의 정방향 회전을 저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멈춤돌기(430)는 받침부(400) 상면 일측에 구비되고, 일단이 구동축(410) 방향으로 일정범위에서 왕복가능한 탄성력이 작용하며, 역방향 회전을 저지할 수 있는 저지턱(431)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멈춤돌기(430) 및 수용홈(132)의 원호길이는 하단블록(130)의 회전범위를 정하기 위해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멈춤돌기(430) 및 수용홈(132)의 원호길이는 하단블록(130)이 정방향으로 회전시 180°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였다. 또한, 초기위치의 몸체부(100)가 정방향으로 180°회전 후 다시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정확하게 초기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저지턱(431)과 이에 대응한 수용홈(132)을 형성하였다. 이러한 멈춤돌기(430)는 다양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지만, 적당한 탄성력 및 마찰력 생성을 위해 연질의 내마모성이 있는 고무 또는 PVC와 같은 복합소재가 바람직하다.
The stop protrusion 430 prevents the forward rotation of the lower block 130 by friction with the receiving groove 132 of the lower block 130 until the body portion 100 forms a spiral in a predetermined range by the forward rotation. A component that performs a function. The stop protrusion 430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400, one end of which is provided with a stopper 431 capable of reciprocating elastic force in a predetermined range in the direction of the drive shaft 410, and prevents reverse rotation. can do. The arc length of the stop protrusion 430 and the receiving groove 132 may be variously changed to determine the rotation range of the lower block 130. However, the arc length of the stop protrusion 430 and the receiving groove 132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formed so that the lower block 130 rotates 180 ° in the forward direction. In addition, the body portion 100 of the initial position was formed by the stopper 431 and the corresponding accommodating groove 132 so as to be able to return to the initial position accurately after rotating 180 degrees in the forward direction again. The stopper 430 may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but a composite material such as rubber or PVC having a soft wear resistance is preferable for generating proper elastic force and frictional force.

<작동 및 제어방법><Operation and Control Method>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광고용 블록 회전체의 작동과정 및 제어방법을 설명한다.Hereinafter, an operation process and a control method of the advertisement block rotating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to 6.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광고용 블록 회전체의 정방향 회전시 상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광고용 블록 회전체가 180°회전한 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광고용 블록 회전체의 제어방법에 따른 순서도이다.Figure 4 is a state diagram when the forward rotation of the advertising block rotating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state diagram rotated 180 ° advertising block rotating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control of the advertising block rotating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low chart according to the method.

이하에서는 정방향 회전으로 멈춤부(300)가 더 회전할 수 있도록 하단블록(130)의 회동홈(160)보다 긴 회전구간을 갖는 가이드 홈(420)이 구비된 광고용 블록 회전체를 기준으로 작동 및 제어방법을 설명한다.Hereinafter, it operates based on the advertising block rotating body provided with a guide groove 420 having a rotation section longer than the rotation groove 160 of the lower block 130 so that the stopper 300 can be further rotated by forward rotation. Describe the control method.

먼저, 도 2 내지 도 4 및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축(410)이 정방향 회전을 하게 되고 이 회전력은 모든 블록의 회전부(200)에 전달된다. 이때, 상단블록(110)은 공회전이 불가하도록 자유영역 홈(140)이 형성된 관계상, 즉각적으로 마찰력에 의해 상단블록(110)이 회전한다. 상단블록(110) 하부에 인접한 중앙블록(120)도 구동축(410)에 의해 회전부(200)의 회전이 있으나 자유영역 홈(140)이 형성된 길이만큼 공회전을 하다가 마찰영역 돌기(150)에 이르게 되면 회전부(200)의 제어돌기(210)와 마찰하여 중앙블록(120)이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단블록(110) 회전 후 시간차를 두고 그 하부의 인접된 중앙블록(120)이 회전한다. 복수 개의 중앙블록(120)에 형성된 자유영역 홈(140)은 몸체부(100)의 하단방향으로 갈수록 그 길이가 일정하게 증대되므로 이러한 순차적인 회전은 몸체부(100)를 나선형으로 만든다. 여기서 나선형은 가이드 홈(420)에 삽입된 멈춤부(300)가 하단블록(130) 회동홈(160)의 회전 종단에 도달한 경우 완성되고, 모든 제어돌기(210)는 마찰영역 돌기(150)와 접하게 된다.First, as shown in FIGS. 2 to 4 and 6, the drive shaft 410 is rotated forward and the rotational force is transmitted to the rotating unit 200 of all blocks. At this time, the upper block 110 is a free area groove 140 is formed so that the idle rotation, the upper block 110 is immediately rotated by the friction force. When the central block 120 adjacent to the lower end of the upper block 110 also rotates by the driving shaft 410, but the idle zone is formed by the length of the free zone groove 140 is formed, and reaches the friction region projection 150 The central block 120 rotates by friction with the control protrusion 210 of the rotating unit 200. Therefore, after the rotation of the upper block 110, the adjacent adjacent central block 120 rotates with a time difference. Since the free area groove 140 formed in the plurality of central blocks 120 increases in length toward the bottom of the body portion 100, the sequential rotation makes the body portion 100 spiral. Here, the spiral is completed when the stop 300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420 reaches the rotational end of the rotation block 160 of the lower block 130, and all the control protrusions 210 are friction region protrusions 150. It comes in contact with.

이때, 상단블록(110)부터 중앙블록(120) 순으로 안정적인 회전이 가능한 이유는 도 3c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블록(130)의 하면에는 멈춤돌기(430) 일단에 구비된 저지턱(431)에 대응하는 형상의 수용홈(132)이 형성되어 있어 일정수준의 마찰력이 작용하게 됨으로써 정방향 회전시 하단블록(130)이 먼저 회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이다. 이때의 마찰력은 몸체부(100)의 나선형이 완성되어 모든 제어돌기(210)가 마찰영역 돌기(150)와 접하게 됨으로써 발생하는 마찰력보다 작다(S100). At this time, the reason that the stable rotation in the order of the upper block 110 to the central block 120 is shown in Figure 3c (b),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block 130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stop projection 430 This is because an accommodation groove 132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topping jaw 431 is formed, so that a predetermined level of frictional force is applied to prevent the lower block 130 from rotating first. At this time, the friction force is smaller than the friction force generated by the spiral of the body portion 100 is completed by all the control projections 210 are in contact with the friction region projection 150 (S100).

다음으로, 멈춤부(300)가 더 회전할 수 있도록 회동홈(160)보다 긴 회전구간을 갖는 가이드 홈(420)이 받침부(400) 상면에 형성된 경우, 하단블록(130)의 수용홈(132)과 멈춤돌기(430) 사이의 마찰력 이상의 힘을 발생시키는 구동축(410)의 정방향 회전력에 의해 쉽게 멈춤부(300)가 가이드 홈(420)의 종단까지 회전한다. 이로 인해 몸체부(100)도 나선형을 유지한 채로 가이드 홈(420) 종단까지 회전한다. 이때, 가이드 홈(420)은 정방향 회전시 상단블록(110)이 처음 위치에서 180°회전된 상태에서 멈출 수 있도록 형성한다(S200).Next, when the guide groove 420 having a longer rotation section than the rotation groove 160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400 so that the stopper 300 can be rotated further, the receiving groove of the lower block 130 ( The stopper 300 easily rotates to the end of the guide groove 420 by the forward rotational force of the drive shaft 410 which generates a force greater than the friction force between the 132 and the stopper 430. For this reason, the body 100 also rotates to the end of the guide groove 420 while maintaining the spiral. At this time, the guide groove 420 is formed to stop in the state in which the upper block 110 is rotated 180 ° from the initial position during the forward rotation (S200).

다음으로, 도2, 도3, 도 5 및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블록(110)이 멈춤부(300) 및 가이드 홈(420)에 의해 고정된 상태로 계속적인 정방향 회전력이 작용함에 따라 나선형이 사라진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가이드 홈(420)은 정방향 회전시 상단블록(110)이 처음 위치에서 180°회전된 상태에서 멈출 수 있도록 형성되었기 때문에 상단블록(110)의 멈춤부(300)는 가이드홈(420)의 종단에 걸려 더 이상 회전이 불가한 상태이다. 이때, 구동축(410)의 계속된 정방향 회전으로 인해 상단블록(110)의 제어돌기(210)는 마찰영역 돌기(150) 구간을 회전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단블록(110) 하부에 인접한 중앙블록(120)의 제어돌기(210)는 마찰영역 돌기(150) 구간을 회전하면서 마찰력이 발생하게 된다. 이 마찰력으로 인해 중앙블록(120)은 정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고정된 상단블록(110)과 동일한 위상이 된다. Next, as shown in FIGS. 2, 3, 5, and 6, the continuous forward rotational force is applied while the upper block 110 is fixed by the stopper 300 and the guide groove 420. The spiral disappears accordingly. Specifically, the guide groove 420 is formed so that the upper block 110 can be stopped in a state of 180 ° rotated from the initial position when the forward rotation of the stop 300 of the upper block 110 is the guide groove ( 420 is terminated by the end of the rotation is no longer possible. At this time, the control protrusion 210 of the upper block 110 rotates the friction region protrusion 150 section due to the continuous forward rotation of the drive shaft 410. At the same time, the control protrusion 210 of the central block 120 adjacent to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block 110 generates a friction force while rotating the friction region protrusion 150 section. Due to the frictional force, the central block 120 rotates in the forward direction and is in the same phase as the fixed upper block 110.

이하 나머지 중앙블록(120) 및 하단블록(130)도 마찬가지로 각 블록의 제어돌기(210)가 마찰영역 돌기(150) 구간을 회전하면서 마찰력이 작용하게 된다. 이 마찰력으로 인해 나머지 중앙블록(120) 및 하단블록(130)은 정방향으로 회전하여 고정된 상단블록(110)과 동일한 위상이 된다. 이러한 작동을 통해 몸체부(100)의 나선형태는 사라지고 처음 위치에서 180°회전한 몸체부(100)가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제 1 단계 내지 제 3 단계 과정을 수행하는 동안 정방향 회전은 360°내외에서 이루어진다(S300).Hereinafter, the rest of the central block 120 and the lower block 130 similarly, as the control protrusion 210 of each block rotates the friction region protrusion 150 section, the friction force acts. Due to this frictional force, the remaining center block 120 and the lower block 130 are rotated in the forward direction so as to be in the same phase as the fixed upper block 110. Through this operation, the spiral shape of the body part 100 disappears and becomes the body part 100 rotated 180 ° from the initial position. As described above, while performing the first to third step processes, the forward rotation is performed at about 360 ° (S300).

다음으로, 구동축(410)의 역방향 회전을 통해 상단블록(110), 중앙블록(120) 및 하단블록(130)이 함께 180°역방향 회전한다. 제 3 단계까지의 과정을 거치면서 모든 블록의 제어돌기(210)는 모두 마찰영역 돌기(150) 구간에 위치하므로 역방향 회전에 대하여 모든 블록이 마찰력에 의해 회전부(200)와 함께 역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상단블록(110)의 멈춤부(300)도 가이드 홈(420)을 따라 역방향으로 회동하는데 가이드 홈(420)의 타단은 상단블록(110)의 멈춤부(300)가 정확하게 초기위치에 놓일 수 있도록 형성한다. 또한, 초기위치의 몸체부(100)가 정방향으로 180°회전 후 다시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정확하게 초기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저지턱(431)과 이에 대응한 수용홈(132)을 형성한다. 이를 통해 몸체부(100)는 초기위치로 정확하게 복귀할 수 있다. 제 4 단계를 거치면서 역방향으로 180°만큼 회전하게 된다(S400).Next, through the reverse rotation of the drive shaft 410, the upper block 110, the central block 120 and the lower block 130 is rotated 180 degrees in reverse. Since all the control protrusions 210 of all the blocks are located in the friction region protrusion 150 section through the process up to the third step, all the blocks are rotated in the reverse direction together with the rotating part 200 by the friction force against the reverse rotation. At this time, the stop 300 of the upper block 110 also rotates in the reverse direction along the guide groove 420, the other end of the guide groove 420 is the stop 300 of the upper block 110 to be accurately placed in the initial position. Form to help. In addition, the body portion 100 of the initial position to form a stopper 431 and the corresponding receiving groove 132 so as to be able to return to the initial position accurately after rotating 180 degrees in the forward direction again. Through this, the body portion 100 can be correctly returned to the initial position. Through the fourth step it is rotated by 180 ° in the reverse direction (S400).

다음으로, 구동축(410)의 역방향 회전이 계속된다. 이때, 받침부(400)에 구비된 멈춤돌기(430)의 저지턱(431)이 하단블록(130)의 수용홈(132)의 종단과 맞다은 관계로 하단블록(130)은 역방향 회전이 불가능하다. 그리고 고정된 하단블록(130)으로 인해 이와 인접한 중앙블록(120)은 훅결합부(170a,170b)에 의해 역방향 회전이 저지된다. 또한, 상단블록(110)의 경우에는 훅결합부(170a,170b)뿐만 아니라 멈춤부(300)가 가이드 홈(420)의 종단에 위치한 관계상 역방향 회전이 저지된다. 따라서, 몸체부(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형태를 유지하면서 모든 회전부(200)가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를 통해 정방향 회전이 계속되는 동안 마찰영역 돌기(150)에 놓였던 모든 제어돌기(210)는 자유영역 홈(140) 구간에 놓이게 된다. 제 5 단계를 거치면서 역방향으로 180°만큼 회전하게 되고,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각 블록의 제어돌기(210)는 멈춤부(300)와 접함과 동시에 자유영역 홈(140) 구간의 시작위치에 놓이게 된다. 제 4 단계 및 제 5 단계 과정을 수행하는 동안 역방향 회전은 360°내외에서 이루어진다(S500).Next, the reverse rotation of the drive shaft 410 is continued. At this time, the lower block 130 is impossible to rotate in reverse direction because the stopping jaw 431 of the stop protrusion 430 provided in the supporting part 400 is fitted with the end of the receiving groove 132 of the lower block 130. . And due to the fixed lower block 130, the central block 120 adjacent thereto is prevented from reverse rotation by the hook coupling portion (170a, 170b).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upper block 110, as well as the hook coupling portion (170a, 170b) stop 300 is located at the end of the guide groove 420, the reverse rotation is prevented. Therefore, the body portion 100, as shown in Figure 1, all the rotating portion 200 while maintaining the initial shape is to rotate in the reverse direction. As a result, all the control protrusions 210 placed on the friction region protrusion 150 are placed in the free region groove 140 section while the forward rotation continues. After the fifth step is rotated by 180 ° in the reverse direction, as shown in Figure 3, the control protrusion 210 of each block is in contact with the stopper 300 and at the start position of the free area groove 140 section Will be placed. During the fourth step and the fifth step, the reverse rotation is performed at about 360 ° (S500).

이후의 과정은 제 1 단계부터 제 5 단계까지 계속해서 반복된다. 이를 통해 보는 사람의 시선을 집중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제어방법은 가이드 홈(420)을 하단블록(130)의 회동홈(160)보다 긴 회전구간을 갖는 원호로 형성한 경우이므로 몸체부(100)는 나선형 구현 및 나선상태에서의 회전이 가능해 진다. 이는 입체적 시각성에 추가적인 변화를 가져오므로 소비자의 주의 끌 수 있고 이로 인해 광고적 효과가 증대될 수 있다.
The subsequent process is repeated continuously from the first step to the fifth step. This can focus the viewer's attention. In addition, the control method is a case in which the guide groove 420 is formed by an arc having a rotation section longer than the rotation groove 160 of the lower block 130, the body portion 100 is a spiral implementation and rotation in a spiral state It becomes possible. This brings additional changes in stereoscopic visualism, which can attract the attention of consumers and thereby increase the advertising effect.

1: 광고용 블록 회전체.
100: 몸체부 110: 상단블록
120: 중앙블록 130: 하단블록
132: 수용홈 140: 자유영역 홈
150: 마찰영역 돌기 160: 회동홈
170: 훅결합부 170a: 훅결합부 홈
170b: 훅결합부 돌기 200: 회전부
210: 제어돌기 220: 결합부재
220a: 결합부재 홈 220b: 결합부재 돌기
300: 멈춤부 400: 받침부
410: 구동축 420: 가이드 홈
430: 멈춤돌기 431: 저지턱
1: Block rotating body for advertisement.
100: body 110: upper block
120: center block 130: lower block
132: receiving groove 140: free zone groove
150: friction area projection 160: rotating groove
170: hook coupling portion 170a: hook coupling portion groove
170b: protrusion of the hook coupling portion 200: the rotating portion
210: control protrusion 220: coupling member
220a: coupling member groove 220b: coupling member protrusion
300: stop 400: support
410: drive shaft 420: guide groove
430: stopper 431: low jaw

Claims (9)

상단블록과, 상기 상단블록을 상대로 회전가능한 중앙블록과, 상기 중앙블록을 상대로 회전가능한 하단블록이 수직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열되어 형성되는 몸체부;
상기 상단블록, 중앙블록 및 하단블록 상호 간을 결합하고 상기 상단블록, 중앙블록 및 하단블록 각각의 중심영역에 내삽되어 회전하는 회전부;
상기 상단블록 하측에 고정되어 상기 중앙블록 및 하단블록을 관통하여 세로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회전부의 외주를 따라 회전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의 회전을 제어하는 멈춤부; 및
상기 몸체부 하측에 형성되고, 상기 회전부를 정역회전시키는 구동축과, 상기 멈춤부의 하단이 삽입되어 상기 멈춤부의 회전을 안내하는 가이드 홈과, 상기 하단블록과 마찰하여 상기 하단블록의 정방향 회전을 저지할 수 있는 멈춤돌기가 형성되는 받침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정방향 회전시, 상기 상단블록, 중앙블록 및 하단블록은 나선형으로 배열되면서 회전하며,
역회전시, 상기 상단블록, 중앙블록 및 하단블록은 함께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용 블록 회전체.
An upper block, a central block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upper block, and a lower block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central block and sequentially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A rotating unit which couples the upper block, the central block and the lower block to each other and interpolates and rotates in the center area of each of the upper block, the central block and the lower block;
A stopper which is fixed to the lower side of the upper block and extends vertically through the central block and the lower block and is rotatably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rotating unit to control the rotation of the body unit; And
A low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a drive shaft for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of the rotary part, a guide groove for inserting a lower end of the stop part to guide rotation of the stop part, and friction with the lower block to prevent forward rotation of the lower block; It is made, including;
In the forward rotation, the upper block, the center block and the lower block is rotated while being arranged in a spiral,
When the reverse rotation, the upper block, the center block and the lower block rotating block for advertising, characterized in that rotated togeth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블록은 2개 이상으로 형성되어 수직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열되며, 정방향 회전시 나선형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용 블록 회전체.
The method of claim 1,
The central block is formed of two or more are arranged sequentially in the vertical direction, advertising block rotation body characterized in that arranged in a spiral during forward rota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일측에 제어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돌기와 대응하는 상기 상단블록, 중앙블록 및 하단블록의 내측에는,
상기 제어돌기와 마찰력이 작용하지 않아 상기 회전부가 자유롭게 회전가능하고 상기 몸체부의 하단방향으로 갈수록 구간길이가 길어지는 자유영역 홈; 및
상기 자유영역 홈과 연결되고, 상기 제어돌기와 마찰력이 작용하여 상기 회전부가 상기 상단블록, 중앙블록 및 하단블록과 함께 회전할 수 있는 마찰영역 돌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용 블록 회전체.
The method of claim 1,
The rotating part is provided with a control projection on one side,
Inside the upper block, the center block and the lower block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protrusion,
A free region groove in which the control unit and the friction force do not act so that the rotatable part can be freely rotated and the section length becomes longer toward the lower end of the body part; And
And a friction region protrusion connected to the free region groove and having a frictional force acting on the control protrusion so that the rotating unit can rotate together with the upper block, the central block, and the lower block.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블록과 하단블록의 중심영역에는 상기 멈춤부가 회동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부의 외주를 따라 원호형태로 형성된 회동홈이 구비되고 상기 회동홈은 상기 자유영역 홈의 구간길이에 대응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용 블록 회전체.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In the center area of the center block and the lower block is provided with a rotating groove formed in an arc shape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rotating part so that the stop portion can be rotated, the rotating groove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length of the section of the free area groove Block rotating body for advertising.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홈은 정방향 회전으로 상기 멈춤부가 더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하단블록의 상기 회동홈보다 긴 회전구간을 갖는 원호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용 블록 회전체.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guide groove is an advertising block rotato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n arc shape having a rotation section longer than the rotation groove of the lower block so that the stop portion can be further rotated in the forward rota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멈춤돌기의 일단은 상기 구동축의 중심방향으로 일정범위에서 왕복가능한 탄성력이 작용하고 역방향 회전을 저지할 수 있는 저지턱을 구비하며,
상기 하단블록의 하면에는 상기 멈춤돌기를 수용하고 상기 하단블록이 회전할 수 있도록 원호형상의 수용홈을 구비하여,
상기 몸체부의 회전범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용 블록 회전체.
The method of claim 1,
One end of the stop projection is provided with a stopping jaw that can be reciprocated in a predetermined range in the direction of the center of the drive shaft and prevent the reverse rotation,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block is provided with an arc-shaped receiving groove to accommodate the stopper and rotate the lower block,
Block rotating body for advertising, characterized in that for determining the rotation range of the body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전면과 후면은 명도와 채도가 다르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용 블록 회전체.
The method of claim 1,
Front and rear of the body portion advertising block rotation body characterized in that the brightness and saturation formed differentl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다각기둥 또는 다면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용 블록 회전체.
The method of claim 1,
The body block advertising block, characterized in that the polygonal column or polyhedron.
제 5 항에 따른 광고용 블록 회전체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구동축의 정방향 회전을 통해 상단블록 및 중앙블록이 순차적으로 회전하여 나선형을 발현하는 제 1 단계;
상기 구동축의 정방향 회전을 통해 나선형을 유지하면서 상기 상단블록이 180°회전될 때까지 멈춤부가 가이드 홈을 따라 회전하는 제 2 단계;
상기 상단블록이 상기 멈춤부 및 가이드 홈에 의해 고정된 상태로 계속적인 정방향 회전력이 작용함에 따라 나선형이 사라지는 제 3 단계;
상기 구동축의 역방향 회전을 통해 상기 상단블록, 중앙블록 및 하단블록이 함께 180°역방향 회전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구동축의 역방향 회전이 계속되는 제 5 단계;로 이루어져,
보는 사람의 시선을 집중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용 블록 회전체의 제어방법.
In the control method of the advertising block rotating body according to claim 5,
A first step of sequentially rotating the upper block and the central block through the forward rotation of the drive shaft to form a spiral;
A second step of stopping the rotation along the guide groove until the upper block is rotated by 180 ° while maintaining the spiral through the forward rotation of the drive shaft;
A third step in which the spiral disappears as a continuous forward rotational force is applied while the upper block is fixed by the stop and the guide groove;
A fourth step of rotating the upper block, the center block, and the lower block together by 180 ° reversely through the reverse rotation of the drive shaft; And
A fifth step of continuing the reverse rotation of the drive shaft;
The control method of the advertising block rotating body characterized in that to focus the eyes of the viewer.
KR1020110098874A 2011-09-29 2011-09-29 Rotating Object Made of Blocks for Advertisement and Control Method therewith KR10125373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8874A KR101253735B1 (en) 2011-09-29 2011-09-29 Rotating Object Made of Blocks for Advertisement and Control Method therewit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8874A KR101253735B1 (en) 2011-09-29 2011-09-29 Rotating Object Made of Blocks for Advertisement and Control Method therewith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4802A KR20130034802A (en) 2013-04-08
KR101253735B1 true KR101253735B1 (en) 2013-04-12

Family

ID=48436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8874A KR101253735B1 (en) 2011-09-29 2011-09-29 Rotating Object Made of Blocks for Advertisement and Control Method therewith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373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3797B1 (en) 2021-02-19 2022-06-28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Observation device of rotation body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61106A (en) * 1981-05-19 1984-07-24 Lawson David A Intermeshed and interleaved dynamic display units
JP2001134222A (en) * 1999-11-02 2001-05-18 Tetsuo Yoshie Rotary advertisement device
KR100522969B1 (en) * 2003-10-30 2005-10-19 김봉현 A rotational advertisment tower with two pairs
KR20090094786A (en) * 2009-07-31 2009-09-08 이병수 Cross2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61106A (en) * 1981-05-19 1984-07-24 Lawson David A Intermeshed and interleaved dynamic display units
JP2001134222A (en) * 1999-11-02 2001-05-18 Tetsuo Yoshie Rotary advertisement device
KR100522969B1 (en) * 2003-10-30 2005-10-19 김봉현 A rotational advertisment tower with two pairs
KR20090094786A (en) * 2009-07-31 2009-09-08 이병수 Cross2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3797B1 (en) 2021-02-19 2022-06-28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Observation device of rotation bod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4802A (en) 2013-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kroll et al. Against better knowledge: The magical force of amodal volume completion
EP1585062A3 (en) Portable game machine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W20101244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yesight care
KR101253735B1 (en) Rotating Object Made of Blocks for Advertisement and Control Method therewith
KR20040040799A (en) A trigonal prism turning display device for advertisement
CN106797170B (en) Rotary power generating means and power generator
CN205003362U (en) Display device is worn to focal length setting formula
CN203224712U (en) Novel projector
TWI357396B (en) Demonstration package
CN103970543A (en) Method for efficiently displaying list contents on webpage
JP3103972U (en) Advertising display
US20200026176A1 (en) Manually-Operated Coded Image Animation Device
KR20090011316A (en) Active display apparatus for stereoscopic and an operation method thereof
KR200360172Y1 (en) Table calendar
CN201001374Y (en) Lollipop surface capable of displaying different pattern
CN110136599A (en) Advertising display board pedestal based on planetary gear principle
CN212088956U (en) Angle-adjustable visual transmission display stand
CN204795435U (en) Body three dimensional display device of no permanent display screen
JP2004113603A5 (en)
JP2020162714A5 (en)
CN213464511U (en) Multi-angle exhibition show cupboard
CN208823936U (en) It is a kind of using aircraft as the non-powered children amusement facility of prototype
CN205850195U (en) A kind of jigsaw puzzle
KR20050033702A (en) Apparatus for dispaly of lenticular sheet
JP2001513914A (en) Multipurpose advertis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