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3674B1 - Cover preventing content overflow and Container preventing content overflow using thereof - Google Patents
Cover preventing content overflow and Container preventing content overflow using t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53674B1 KR101253674B1 KR1020100135772A KR20100135772A KR101253674B1 KR 101253674 B1 KR101253674 B1 KR 101253674B1 KR 1020100135772 A KR1020100135772 A KR 1020100135772A KR 20100135772 A KR20100135772 A KR 20100135772A KR 101253674 B1 KR101253674 B1 KR 10125367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locking wall
- wall
- width direction
- blocking
- length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6—Drying gases or vapours
- B01D53/263—Drying gases or vapours by absorp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5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of special shape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ackages (AREA)
- Drying Of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용물 넘침 방지 커버 및 이를 이용한 내용물 넘침 방지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넘침 방지 커버는, 제1 차단벽; 상기 제1 차단벽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된 제2 차단벽; 및 상기 제1 차단벽과 상기 제2 차단벽의 외측면을 둘러싸며 하방에 용기와 결합을 위한 결합부를 갖는 커버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차단벽과 상기 제2 차단벽은 길이 방향 길이가 폭 방향 길이보다 길고, 상기 제1 차단벽은 폭 방향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차단벽은 폭 방향 타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ent overflow preventing cover and a content overflow preventing container using the same, the content overflow preventing cov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irst blocking wall; A second blocking wall spaced apart from the first blocking wall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 cover frame surrounding outer surfaces of the first blocking wall and the second blocking wall, the cover frame having a coupling part for engaging with the container below, wherein the first blocking wall and the second blocking wall have a longitudinal length. Longer than the length in the width direction, at least one through hole is formed in one side of the first blocking wall in the width direction, and at least one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blocking wall.
Description
본 발명은 내용물 넘침 방지 커버 및 이를 이용한 내용물 넘침 방지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액체 또는 분말 상태의 제습제, 방충제, 소취제, 방향제 등의 내용물이 외부로 넘치는 것을 방지하는 내용물 넘침 방지 커버 및 이를 이용한 내용물 넘침 방지 용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ent overflow prevention cover and a content overflow prevention container us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a content overflow prevention cover for preventing contents from overflowing to the outside, such as a dehumidifying agent, an insect repellent, a deodorant, and an air freshener in a liquid or powder state, and the same. It relates to the contents overflow prevention container used.
공기의 습도가 높으면, 가정에서 옷장, 이불장에 보관되는 옷, 이불 등이 습기에 의하여 눅눅해지고, 미생물이 번식하여 불쾌한 냄새가 발생하게 되며, 가정뿐만 아니라, 공장시설 등에서는 기계의 부식이 촉진되는 등의 문제가 생기게 된다.If the humidity of the air is high, the closet, the clothes stored in the bedding, the bedding, etc. in the home will be damp by moisture, and microorganisms will grow, causing an unpleasant odor. Problems will arise.
따라서, 제습을 위해 통상 제습기나 제습제를 사용하고 있으나, 제습기는 고가이고, 옷장이나 이불장 등의 가구의 내부에 전기를 공급하는 것은 불편하므로 제습기를 사용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이 있다. 이에, 비교적 가격이 저렴한 제습제가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통상적으로, 제습제에 사용되는 제습성분은 염화칼슘이나 염화마그네슘과 같은 염을 주성분으로 하고 있다.Therefore, although a dehumidifier or a dehumidifier is generally used for dehumidification, the dehumidifier is expensive and there are many cases in which it is difficult to use the dehumidifier because it is inconvenient to supply electricity to furniture, such as a closet or a blanket. Accordingly, relatively inexpensive dehumidifying agents are widely used, and in general, the dehumidifying component used in the dehumidifying agent mainly contains salts such as calcium chloride and magnesium chloride.
그러나, 염화칼슘이나 염화마그네슘 한 분자는 6개의 물 분자와 결합하여 고체상태의 결정구조를 형성하지만, 그 이상의 물 분자와 결합하면 액체로 바뀌는 조해 현상이 일어난다. 따라서 공기 중의 수분을 흡수하여 조해된 염화칼슘이나 염화마그네슘이 들어 있는 용기가 넘어지면 내용물이 외부로 넘치게 되어 주위를 오염시키게 된다. 내용물이 넘치게 되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통상적인 제습제 등은 용기의 개구부에 기체 투과성막을 설치하거나, 용기 내부에 겔화제를 배치하여 조해된 제습성분을 고체로 변형시키는 등의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However, one molecule of calcium chloride or magnesium chloride combines with six water molecules to form a solid crystal structure, but when combined with more water molecules, deliquescent phenomenon occurs that becomes liquid. Therefore, if the container containing dehydrated calcium chloride or magnesium chloride falls down by absorbing moisture in the air, the contents overflow to the outside and contaminate the surroundings. In order to prevent the problem of the contents overflowing, a conventional dehumidifying agent or the like uses a method such as providing a gas permeable membrane in the opening of the container or disposing the dehumidifying component to a solid by arranging a gelling agent inside the container.
기체 투과성막은 수 ㎛의 미세공이 형성된 부직포, 시트(sheet), 개방 직조 멤브레인(membrane) 또는 개방 셀 스폰지로 이루어지며, 매우 작은 미세공을 통해 액체는 쉽게 통과하지 못하고 기체 상태인 공기와 공기중의 수증기만을 통과할 수 있도록 수지를 시트형태로 가공한 것이다. 그러나 기체 투과성막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제습성분이 들어 있는 용기의 개구부를 개방한 경우와 비교했을 때, 공기의 흐름이 크게 방해되고, 수분이 막을 통과하여 용기 내부로 유입되는 속도가 매우 느린 단점이 있다. The gas permeable membrane consists of a nonwoven fabric, a sheet, an open woven membrane or an open cell sponge with several microns of micropores, and through very small micropores, the liquid does not easily pass through the gaseous air and the air. The resin is processed into a sheet so that only water vapor can pass through it. However, when gas permeable membrane is used, air flow is greatly disturbed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opening of the container containing the dehumidifying component is opened, and the rate of water entering the container through the membrane is very slow. .
겔화제를 사용하여 조해된 제습성분을 고체화하는 것은 내용물의 넘침을 방지할 수는 있다. 그러나, 제습제 본연의 기능과는 전혀 상관없는 겔화제를 사용하므로, 생산 공정이 까다로워지고 제조 단가가 상승하는 등의 문제가 여전히 존재한다.Solidifying the dehumidifying component depleted using the gelling agent can prevent the overflow of the contents. However, since a gelling agent that is not related to the function of the dehumidifying agent is used at all, there are still problems such as a complicated production process and an increase in manufacturing cost.
이와 같은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5-0015136호 및 PCT특허 WO 2003/092865 등에는 한정된 공간에서 사용 가능한 가정용 제습제가 개시되어 있다. 이 제습제는 하우징을 분해하여 제습액을 버리고 새로운 제습성분을 장착할 수 있으나, 새로운 제습성분을 장착하는 과정이 까다롭고, 제습성분 교체시에 착탈부에서 누액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문제가 있다. 또한, 리필용 제습성분 삽입을 위하여 하우징을 복잡하게 설계하여야 하고, 결국 제조 단가가 상승되는 문제가 있다.In order to compensate for this problem,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5-0015136 and PCT Patent WO 2003/092865 disclose a household dehumidifier that can be used in a limited space. The dehumidifying agent disassembles the housing and discards the dehumidifying solution and installs a new dehumidifying component. However, the process of installing the new dehumidifying component is difficult, and there is a problem that leakage occurs in the detachable part when the dehumidifying component is replaced. In addition, the housing has to be complicatedly designed for the insertion of the dehumidifying component for refilling,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manufacturing cost is increas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액체 또는 분말 상태의 내용물이 용기의 외부로 넘치지 않는 구조를 갖는 내용물 넘침 방지 커버 및 이를 이용한 내용물 넘침 방지 용기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 content overflow prevention cover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liquid or powder content does not overflow to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and a content overflow prevention container using the same.
또한, 본 발명은 내용물 넘침을 방지하면서도 제조 단가가 저렴한 구조를 갖는 내용물 넘침 방지 커버 및 이를 이용한 내용물 넘침 방지 용기를 제공하는 데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tent overflow prevention cover and a content overflow prevention container using the same, which has a structure that prevents content overflow and has a low manufacturing cost.
또한, 본 발명은 종래의 기술에 비하여 공기와 수분이 용기 내부로 유입되는 양과 속도가 증가된 내용물 넘침 방지 커버 및 이를 이용한 내용물 넘침 방지 용기를 제공하는 데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tent overflow prevention cover and an content overflow prevention container using the same, in which the amount and speed of the air and moisture are introduced into the container as compared with the prior art.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넘침 방지 커버는, 제1 차단벽; 상기 제1 차단벽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된 제2 차단벽; 및 상기 제1 차단벽과 상기 제2 차단벽의 외측면을 둘러싸며 하방에 용기와 결합을 위한 결합부를 갖는 커버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차단벽과 상기 제2 차단벽은 길이 방향 길이가 폭 방향 길이보다 길고, 상기 제1 차단벽은 폭 방향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차단벽은 폭 방향 타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contents overflow prevention cov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blocking wall; A second blocking wall spaced apart from the first blocking wall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 cover frame surrounding outer surfaces of the first blocking wall and the second blocking wall, the cover frame having a coupling part for engaging with the container below, wherein the first blocking wall and the second blocking wall have a longitudinal length. Longer than the length in the width direction, at least one through hole is formed in one side of the first blocking wall in the width direction, and at least one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blocking wall.
바람직하게, 상기 관통공이 차지하는 영역은 상기 제1 차단벽 또는 제2 차단벽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배열되어 있다.Preferably, the area occupied by the through-holes is elongat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blocking wall or the second blocking wall.
바람직하게, 상기 관통공의 직경은 0.01mm 이상이고, 상기 관통공이 차지하는 영역의 폭은 상기 제1 차단벽 또는 제2 차단벽의 폭 방향 길이의 1/2 이하이다.Preferably, the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is 0.01 mm or more, and the width of the area occupied by the through hole is 1/2 or less of the width direction length of the first blocking wall or the second blocking wall.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차단벽은 아래 방향으로 돌출되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제1 넘침 방지턱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차단벽은 아래 방향으로 돌출되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제2 넘침 방지턱을 포함한다.Preferably, the first blocking wall includes a first overflow bump protruding downward and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second blocking wall includes a second overflow bump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차단벽과 상기 제2 차단벽 사이의 간격은 0.1mm 이상이고, 상기 제1 차단벽 또는 상기 제2 차단벽의 폭 방향 길이 이하이다.Preferably, an interval between the first blocking wall and the second blocking wall is 0.1 mm or more and less than or equal to the width direction length of the first blocking wall or the second blocking wall.
본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넘침 방지 용기는, 상기 내용물 넘침 방지 커버; 및 밑판과 상기 밑판으로부터 윗방향으로 연장된 측벽을 갖고 상기 측벽의 위쪽 끝단은 상기 결합부와 결합되는 몸체부를 구비한다.Content overflow contain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overflow prevention cover; And a body having a bottom plate and a side wall extending upwardly from the bottom plate, wherein an upper end of the side wall is engaged with the coupling portion.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차단벽 및 제2 차단벽을 구비하기 때문에, 용기가 넘어져도 외부로 내용물이 넘치지 않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irst barrier wall and the second barrier wall are provided, the contents do not overflow to the outside even if the container falls down.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조 단가가 저렴한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manufacturing unit cost is low.
게다가 본 발명을 제습제 등의 용기로서 사용하게 되면, 공기 투과막을 사용한 용기보다 제습속도와 제습량이 현저하게 증가하게 된다.Moreover, 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as a container such as a dehumidifying agent, the dehumidification speed and the amount of dehumidification are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a container using an air permeable membrane.
또한, 본 발명을 제습제 등의 용기로서 사용하게 되면, 동일한 제습성분을 동일량 사용했을 때 더 많은 수분을 흡수할 수 있어서, 제습제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as a container such as a dehumidifying agent, more moisture can be absorbed when the same amount of the same dehumidifying component is used, so that the amount of the dehumidifying agent can be reduced.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넘침 방지 용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넘침 방지 커버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제1 차단벽과 제2 차단벽의 변형례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넘침 방지 용기의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다른 변형례에 따른 내용물 넘침 방지 용기의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넘침 방지 용기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넘침 방지 커버의 평면도.
도 8은 종래 기술과 본 발명에 따른 내용물 넘침 방지 용기의 수분 흡수량과 수분 흡수 속도를 비교한 그래프.1 is a view showing the contents overflow contain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lan view of the contents overflow prevention cov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first blocking wall and the second blocking wall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tents overflow prevention contain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tents overflow prevention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modific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the contents overflow contain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lan view of the contents overflow prevention cov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graph comparing the water absorption amount and the water absorption rate of the contents overflow prevention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and the present invention.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상, 하, 좌, 우, 위, 아래에 대한 기준은 특별한 언급이 없으면,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 또는 그 구성요소를 이루는 특정 부분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따라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러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the criteria for up, down, left, right, up and dow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unless otherwise noted. In the drawings, the size of each component or a specific portion constituting the components is exaggerated, omitted, or schematically illustrated for convenience and clarity of description. Therefore, the size of each component does not entirely reflect the actual siz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넘침 방지 용기(1)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넘침 방지 커버(100)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제1 차단벽(110)과 제2 차단벽(120)의 변형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넘침 방지 용기(1)의 측단면도이다.1 is a view showing the contents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넘침 방지 용기(1)는 내용물 넘침 방지 커버(100) 및 몸체부(200)를 구비한다.The content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몸체부(200)는 한변의 길이를 w, 다른 변의 길이를 ℓ로 하는 직사각형의 밑판(210)과, 이 밑판(210)으로부터 윗방향으로 연장된 측벽(220)을 갖는다. 측벽(220)의 위쪽 끝단은 내용물 넘침 방지 커버(100)의 결합부(141)와 결합된다. 1 and 4, the
도 1,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내용물 넘침 방지 커버(100)는 제1 차단벽(110), 제2 차단벽(120), 커버 프레임(140)을 구비한다. 제1 차단벽(110)은 전체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의 판재이고 길이 방향(L 방향) 길이가 폭 방향(W 방향) 길이보다 길다. 또한 제1 차단벽(110)은 폭 방향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공(130)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차단벽(120)도 전체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의 판재이고 길이 방향(L 방향) 길이가 폭 방향(W 방향) 길이보다 길다. 또한 제2 차단벽(120)은 폭 방향 타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공(130)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폭 방향 일측이란 길이 방향과 평행하고 동시에 내용물 넘침 방지 커버(100)의 중심을 통과하는 직선으로 내용물 넘침 방지 커버(100)를 나눴을 때의 일측을 의미하고, 폭 방향 타측이란 폭 방향 일측의 반대편을 의미한다. 제2 차단벽(120)은 제1 차단벽(110)과 소정 간격(h)만큼 이격되어 있으며, 이 간격(h)은 0.1mm 이상이고, 제1 차단벽(110) 또는 제2 차단벽(120)의 폭 방향 길이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간격(h)이 0.1mm 이하인 경우에는 공기의 흐름이 현격히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한편, 간격(h)이 제1 차단벽(110) 또는 제2 차단벽(120)의 폭 방향 길이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내용물 넘침 방지 용기(1)의 높이가 지나치게 높아져서 내용물 넘침 방지 용기(1)가 쓰러지기 쉬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제1 차단벽(110)과 제2 차단벽(120)의 간격(h)을 적절히 설정하여 내용물 넘침 방지 커버(100)를 제작해야 할 것이다. 1, 2, and 4, the content
도 1,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1 차단벽(110)과 제2 차단벽(120)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고, θ1과 θ2는 약 90°를 이루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도면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θ1 및 θ2의 각도는 0 ~ 180°사이의 값을 가질 수 있다. 다만, θ1 및 θ2의 각도는 90°를 기준으로 ±30°의 값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예컨대, θ1이 80° θ2가 85°라고 가정하면, 제2 차단벽(120)과 제2 차단벽(120)은 서로 평행하지 않게 되고, 도 4를 기준으로 보았을 때, 제1 차단벽(110)의 왼쪽단과 제2 차단벽(120)의 왼쪽단의 거리는 가까워지게 된다. 이처럼 θ1과 θ2를 특정각도로 설정하여 제작하면, 실질적인 제1 차단벽(110)과 제2 차단벽(120) 사이의 거리는 h로 도시된 간격보다 더욱 가까워지거나 멀어질 수 있다.1, 4, and 5, the
제1 차단벽(110)과 제2 차단벽(120) 사이의 공간에는 방충, 소취, 방향 등의 부가적인 기능을 갖는 제품이나 원료를 넣을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제품이나 원료는 시트형 또는 다양한 입체적 형상을 가질 수 있다.In the space between the
관통공(130)은 제1 차단벽(110)과 제2 차단벽(120) 상에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며, 도 1,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복수 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 상으로는 각각의 관통공(130)이 행과 열을 맞추어 배열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와는 달리 제1 차단벽(110)의 폭 방향 일측에 무작위로 배치될 수도 있고, 제2 차단벽(120)의 폭 방향 타측에 무작위로 배치될 수도 있다. 다만, 관통공(130)이 복수 개 형성된 경우에, 복수 개의 관통공(130)이 차지하는 영역은 제1 차단벽 또는 제2 차단벽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배열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차단벽(110)에 형성된 복수 개의 관통공(130)을 예로 들어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면, 관통공(130)은 폭 방향의 일측에만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관통공(130)이 형성되어 있지 않게 되며, 제1 차단벽(110)은 길이 방향 길이가 폭 방향 길이보다 길기 때문에, 복수 개의 관통공(130)이 차지하는 영역의 길이 방향 길이는 길고, 폭 방향 길이는 짧다. 이러한 관통공(130)의 배열은 도 2에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다. At least one through
제2 차단벽(120)에 형성된 관통공(130)의 배열도 제1 차단벽(110)에 형성된 관통공(130)의 배열에 대한 설명으로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고, 다만 제2 차단벽(120)은 폭 방향의 타측에 관통공(130)이 형성되어 있다는 점에서 제1 차단벽(110)과 차이가 난다.The arrangement of the through
관통공(130)의 직경은 0.01mm 이상이고, 상기 관통공이 차지하는 영역의 폭은 제1 차단벽(110) 또는 제2 차단벽(120)의 폭 방향 길이의 1/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관통공(130)의 크기가 0.01mm 이하인 경우에는 관통공(130)을 위 아래로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이 원활하지 않아서, 본 발명에 따른 내용물 넘침 방지 용기(1)를 제습제 등의 용기로 사용하는 경우에 제습속도와 제습량이 현격하게 줄어들게 되기 때문이다. 관통공(130)은 반드시 원형일 필요는 없고, 삼각형, 사각형, 별형상 등 다양한 형상일 수 있다.The through
도 3을 참조하면, 관통공(130)의 가로, 세로 폭이 반드시 비슷할 필요는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3에서는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된 복수개의 슬릿이 나란하게 제1 차단벽(110)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고,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된 복수개의 슬릿이 나란하게 제2 차단벽(120)의 타측에 형성되어 있다. 한편 이와는 달리 슬릿 형상의 관통공(130)이 폭 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 3, it can be seen that the horizontal and vertical widths of the through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다른 변형례에 따른 내용물 넘침 방지 용기(1)의 측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차단벽(110)은 아래 방향으로 돌출되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제1 넘침 방지턱(150)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차단벽(120)은 아래 방향으로 돌출되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제2 넘침 방지턱(16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기준으로하여 내용물 넘침 방지 용기(1)가 오른쪽 또는 왼쪽으로 쓰러졌을 때, 도 5의 내용물 넘침 방지 용기(1)는 도 4의 내용물 넘침 방지 용기(1)에 비하여 넘침 방지턱이 내용물이 외부로 넘치는 것을 막아주기 때문에 더욱 내용물 넘침을 방지하는 효과가 뛰어나게 된다.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tents overflow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커버 프레임(140)은 제1 차단벽(110)과 제2 차단벽(120)의 외측면을 둘러싸며, 하방에 몸체부(200)와 결합을 위한 결합부(141)를 갖는다. 도 4를 참조하면, 몸체부(200)가 내용물 넘침 방지 커버(100)에 끼워지는 깊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수평 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나, 이러한 구조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예컨대, 결합부(141)에 오목홈이 형성되어 있고, 이 오목홈에 측벽(220)의 위쪽 끝단이 삽입될 수도 있고, 결합부(141)에 형성된 홈에 측벽(220)에 형성된 돌기가 끼워지는 구조라도 무방하다. 즉, 통상적으로 커버와 몸체부(200)를 결합하는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1 and 4, the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넘침 방지 용기(1)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넘침 방지 커버(100)의 평면도이다.6 is a view showing the contents overflow
제2 실시예는 윗 방향에서 보았을 때 내용물 넘침 방지 커버(100) 및 몸체부(200)의 형상이 제1 실시예와 다른 것을 제외하고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따라서, 제1 실시예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고, 제1 실시예와 차이가 나는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The second embodiment is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except that the contents overflow
도 6을 참조하면, 제1 차단벽(110)과 제2 차단벽(120)의 길이 방향 양끝단의 형상이 둥근 곡선 형상을 취하고 있다. 또한, 이에 대응되도록 커버 프레임(140)이 제1 차단벽(110)과 제2 차단벽(120)의 외측면을 둘러싸고 있으며, 몸체부(200)의 측벽(220)도 이와 마찬가지로, 길이 방향 양끝단이 형상이 둥근 곡선 형상을 취하고 있다. 다만 이러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내용물 넘침 방지 커버(100) 및 몸체부(200)를 윗 방향에서 보았을 때 직선 부분이 없이 타원형의 형상을 취할 수도 있다. 즉, 특정한 직사각형 또는 타원형의 형상 자체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길이 방향 길이가 폭 방향 길이보다 긴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분명히 밝힌다. 이는, 길이 방향 길이가 폭 방향 길이보다 긴 경우에, 내용물 넘침 방지 용기(1)가 넘어질 때 길이 방향의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하여(도 4를 기준으로 앞쪽 또는 뒤쪽을 향하여) 넘어지는 것이 아니라, 폭 방향의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하여(도 4를 기준으로 왼쪽 또는 오른쪽을 향하여) 넘어지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제2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비교하였을 때, 길이 방향의 양끝단이 둥근 곡선 형상을 취하기 때문에, 내용물 넘침 방지 용기(1)가 넘어질 때, 폭 방향의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하여 넘어지게 되는 것을 더욱 담보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the shapes of both ends of the
이하에서는, 내용물 넘침 방지 용기(1)가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제1 차단벽(110), 및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제2 차단벽(120)을 갖는 경우에 내용물이 넘치지 않는 원리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를 기준으로 내용물 넘침 방지 용기(1)가 오른쪽으로 넘어지는 상황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하며, 이 경우에 대한 설명이 내용물 넘침 방지 용기(1)가 왼쪽으로 넘어지는 경우에 유추 적용됨을 당업자는 자명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Hereinafter,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the principle that the contents do not overflow when the contents overflow
도 1,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도 4에 도시된 내용물 넘침 방지 용기(1)가 우측으로 넘어진 상황에서, 몸체부(200)의 내부에 고여 있는 물의 높이가 D를 초과하게 되면 물이 외부로 넘치게 된다. 다시 말해, 내용물 넘침 방지 용기(1)가 우측으로 넘어졌을 때, 몸체부(200)의 내부에 고여 있는 물이 외부로 넘치지 않게 되는 물의 최대 부피(V1)는 다음의 <수학식 1>을 만족한다.
Referring to FIGS. 1, 4, and 5, when the content
<수학식 1>&Quot; (1) "
V1 = HℓD,
V1 = HℓD,
즉, 몸체부(200)의 내부에 고여 있는 물의 부피가 상기 V1을 초과하게 되면 용기가 우측으로 넘어졌을 때, 몸체부(200)의 내부에 고여 있는 물이 외부로 넘치게 된다. 따라서, D의 길이를 늘리면 물이 외부로 넘치지 않게 되는 물의 최대 부피(V1)가 늘어나게 된다. 다만, 용기가 넘어질 때는 천천히 넘어지지 않고 순간적으로 넘어지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물의 양이 상기 V1과 정확히 동일한 경우에는 물이 출렁거려서 제1 차단벽(110)에 형성된 관통공(130)을 넘치게 되고 다음으로, 제2 차단벽(120)에 형성된 관통공(130)을 넘치게 되어 외부로 물이 유출된다.That is, when the volume of the water accumulated in the interior of the
따라서, D의 길이는 여유를 두고 충분히 길게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도 5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내용물 넘침 방지 커버(100)가 제1 넘침 방지턱(150)과 제2 넘침 방지턱(160)을 갖는 경우에는, 내용물 넘침 방지 용기(1)가 오른쪽으로 넘어졌을 때 물이 넘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더욱 커지게 된다. 즉, 내용물 넘침 방지 용기(1)가 오른쪽으로 넘어졌을 때 물이 제1 차단벽(110)에 형성된 관통공(130)을 넘쳐 흐르지 않도록 제1 넘침 방지턱(150)이 물을 막아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Therefore, the length of D needs to be set sufficiently long with a margin. As shown in FIG. 5, when the contents overflow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내용물 넘침 방지 용기(1)는 도 4에 도시된 내용물 넘침 방지 용기(1)에 비해서, D의 길이를 설정하는 것에 있어서 더욱 여유가 있는 장점이 있다. 다시 말해, 도 4의 내용물 넘침 방지 용기(1)와 도 5의 내용물 넘침 방지 용기(1)에서 D의 길이가 같은 경우를 가정하면, 도 5의 내용물 넘침 방지 용기(1)가 도 4의 내용물 넘침 방지 용기(1)에 비해서 물이 넘치지 않는 효과가 우수하다고 할 것이다.
Accordingly, the content
이하에서는, 제2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넘침 방지 용기(1)와 종래 기술에 따른 제습제용 용기에 동일한 양과 동일한 성분의 제습성분(무수염화칼슘 300g)을 넣고, 양자의 수분 흡수량과 수분 흡수 속도를 비교한 실험 데이터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In the following, a dehumidifying component (calcium anhydride 300g) having the same amount and the same amount is put in the contents overflow
본 발명으로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내용물 넘침 방지 커버(100)를 사용하였고, 여기서 제1 차단벽(110)과 제2 차단벽(120)은 10mm 간격으로 설정하였고, D는 44mm, 관통공(130)의 직경은 3mm, 관통공(130)의 개수는 83개로 하였다. As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s overflow
이와 대비되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제습용기는, 공기투과도 50 sec/100cc, 투습도 7,040 g/m2x24h 을 갖는 Sekisui사 (日)의 제품을 사용하였다. In contrast, the dehumidifying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Sekisui Co., Ltd. (Japanese) having an air permeability of 50 sec / 100cc, moisture permeability of 7,040 g / m 2 x 24h was used.
상기와 같은 규격으로 제작된 제2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넘침 방지 용기(이하, 1번 용기라 함)와 종래 기술에 따른 제습제용 용기(이하, 2번 용기라 함)를 온도 30 oC, 습도 80%의 항온항습 조건에 방치하여 무게의 변화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1> 에 나타내었다.
The content overflow prevention contain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No. 1 container) and the dehumidifying agent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hereinafter referred to as No. 2 contain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above
무게 변화(g)Of the second embodiment (invention)
Weight change (g)
도 8은 종래 기술과 본 발명에 따른 내용물 넘침 방지 용기(1)의 수분 흡수량과 수분 흡수 속도를 비교한 그래프로서, <표 1>을 그래프로 표시한 것이다.FIG. 8 is a graph comparing the water absorption amount and the water absorption rate of the contents overflow
상기 <표 1> 및 도 8을 참조하면, 1번 용기는 60일 경과 후에 무게가 최고치에 달하며 이후 변하지 않고, 2번 용기는 135일이 지난 시점에서도 늘어난 무게가 1번 용기의 최고치에는 달하지 않는다. 또한, 2번 용기는 80일 가량이 경과된 시점에서는 무게 증가의 속도가 현격하게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Referring to Table 1 and FIG. 8, the first container reaches its maximum after 60 days and does not change, and the second container does not reach the maximum of the first container even after 135 days. . In addition, the second container can be seen that the rate of weight increase is significantly reduced when about 80 days have passed.
이 실험 데이터는 결과적으로, 1번 용기가 수분을 최대로 흡수하여 포화된 시점(62일)과 2번 용기가 수분을 최대로 흡수하여 포화된 시점(135일)을 비교하였을 때, 1번 용기의 제습 속도가 2배 이상인 것을 말하며, 흡수되는 수분의 최대량도 1번 용기가 451.3 g 인 것에 반해, 2번 용기는 361.7 g 이므로, 습기 제거량도 1번 용기가 2번 용기에 비하여 25%가량 더 많은 것을 나타낸다.This experimental data shows that, as a result, when
본 발명에 따른 내용물 넘침 방지 커버(100) 및 이를 이용한 내용물 넘침 방지 용기(1)는 제습제, 방충제, 소취제, 방향제 등이 용기에 들어있는 경우에만 사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며, 어떠한 용도의 내용물이더라도 그 상태가 액체 또는 분말 상태인 경우라면 본 발명에 따른 내용물 넘침 방지 커버(100) 및 이를 이용한 내용물 넘침 방지 용기(1)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험에서 사용된 종래 기술과 본 발명에 따른 내용물 넘침 방지 용기와는 다소 다른 규격을 갖고 있는 내용물 넘침 방지 용기에 대하여 같은 실험을 수행하더라도, 상기 실험 결과와 유사한 결과가 나오게 될것이다. 다시말해, 상기 실험은 한정적인 실험이 아니라, 종래 기술과 본 발명을 비교하기 위한 하나의 예시로 파악해야 할 것이다.The contents
이상에서 실시예에서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가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features, structures, effects, and the like described in the above embodiments may be combined or modified with respect to other embodiment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embodiments belong.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combinations and modifications.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taken by way of illustration, It can be seen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are possible. For example, each component specifically shown in the embodiments can be modified and implemente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all changes and modifications that come within the meaning and range of equivalency of the claims are therefore intended to be embraced therein.
1 : 내용물 넘침 방지 용기 100 : 내용물 넘침 방지 커버
110 : 제1 차단벽 120 : 제2 차단벽
130 : 관통공 140 : 커버 프레임
141 : 결합부 150 : 제1 넘침 방지턱
160 : 제2 넘침 방지턱 200 : 몸체부
210 : 밑판 220 : 측벽1: contents overflow prevention container 100: contents overflow prevention cover
110: first barrier wall 120: second barrier wall
130: through hole 140: cover frame
141: coupling portion 150: first overflow bump
160: second overflow prevention jaw 200: body portion
210: base plate 220: side wall
Claims (10)
상기 제1 차단벽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된 제2 차단벽; 및
상기 제1 차단벽과 상기 제2 차단벽의 외측면을 둘러싸며 하방에 용기와 결합을 위한 결합부를 갖는 커버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차단벽과 상기 제2 차단벽은 길이 방향 길이가 폭 방향 길이보다 길고, 상기 제1 차단벽은 폭 방향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차단벽은 폭 방향 타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공이 차지하는 영역은 상기 제1 차단벽 또는 제2 차단벽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배열되어 있으며,
상기 관통공의 직경은 0.01mm 이상이고, 상기 관통공이 차지하는 영역의 폭은 상기 제1 차단벽 또는 제2 차단벽의 폭 방향 길이의 1/2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넘침 방지 커버.A first barrier wall;
A second blocking wall spaced apart from the first blocking wall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 cover frame surrounding an outer surface of the first blocking wall and the second blocking wall and having a coupling part for coupling with the container below;
The length of the first blocking wall and the second blocking wall is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width direction, and the first blocking wall has at least one through hole formed on one side of the width direction, and the second blocking wall is the other side of the width direction. At least one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The area occupied by the through hole is elongat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blocking wall or the second blocking wall.
The diameter of the through-hole is 0.01mm or more, the width of the area occupied by the through-hole is less than 1/2 of the width direction length of the first blocking wall or the second blocking wall, contents overflow prevention cover.
상기 제1 차단벽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된 제2 차단벽; 및
상기 제1 차단벽과 상기 제2 차단벽의 외측면을 둘러싸며 하방에 용기와 결합을 위한 결합부를 갖는 커버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차단벽과 상기 제2 차단벽은 길이 방향 길이가 폭 방향 길이보다 길고, 상기 제1 차단벽은 폭 방향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차단벽은 폭 방향 타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차단벽은 아래 방향으로 돌출되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제1 넘침 방지턱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차단벽은 아래 방향으로 돌출되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제2 넘침 방지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넘침 방지 커버.A first barrier wall;
A second blocking wall spaced apart from the first blocking wall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 cover frame surrounding an outer surface of the first blocking wall and the second blocking wall and having a coupling part for coupling with the container below;
The length of the first blocking wall and the second blocking wall is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width direction, and the first blocking wall has at least one through hole formed on one side of the width direction, and the second blocking wall is the other side of the width direction. At least one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The first blocking wall includes a first overflow bump protruding downward and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second blocking wall includes a second overflow bump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protruding downward. To cover the contents overflow prevention.
상기 제1 차단벽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된 제2 차단벽; 및
상기 제1 차단벽과 상기 제2 차단벽의 외측면을 둘러싸며 하방에 용기와 결합을 위한 결합부를 갖는 커버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차단벽과 상기 제2 차단벽은 길이 방향 길이가 폭 방향 길이보다 길고, 상기 제1 차단벽은 폭 방향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차단벽은 폭 방향 타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차단벽과 상기 제2 차단벽 사이의 간격은 0.1mm 이상이고, 상기 제1 차단벽 또는 상기 제2 차단벽의 폭 방향 길이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넘침 방지 커버.A first barrier wall;
A second blocking wall spaced apart from the first blocking wall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 cover frame surrounding an outer surface of the first blocking wall and the second blocking wall and having a coupling part for coupling with the container below;
The length of the first blocking wall and the second blocking wall is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width direction, and the first blocking wall has at least one through hole formed on one side of the width direction, and the second blocking wall is the other side of the width direction. At least one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An interval between the first blocking wall and the second blocking wall is 0.1 mm or more, and the width of the first blocking wall or the second blocking wall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length, characterized in that the overflow cover.
밑판과 상기 밑판으로부터 윗방향으로 연장된 측벽을 갖고 상기 측벽의 위쪽 끝단은 상기 결합부와 결합되는 몸체부;를 구비하고,
상기 관통공이 차지하는 영역은 상기 제1 차단벽 또는 제2 차단벽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배열되어 있으며,
상기 관통공의 직경은 0.01mm 이상이고, 상기 관통공이 차지하는 영역의 폭은 상기 제1 차단벽 또는 제2 차단벽의 폭 방향 길이의 1/2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넘침 방지 용기.A cover having a first blocking wall, a second blocking wall spaced apart from the first blocking wall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 coupling part for engaging with the body part below and surrounding an outer surface of the first blocking wall and the second blocking wall. The first barrier wall and the second barrier wall, the length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width direction, the first barrier wall is formed with at least one through-hole on one side of the width direction, the second blocking The wall may include a content overflow preventing cover having at least one through hole formed at the oth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thereof; And
And a base having a bottom plate and a side wall extending upwardly from the bottom plate, wherein an upper end of the side wall is coupled to the engaging portion.
The area occupied by the through hole is elongat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blocking wall or the second blocking wall.
The diameter of the through-hole is 0.01mm or more, the width of the area occupied by the through-hole is 1/2 or less of the width direction length of the first blocking wall or the second blocking wall, contents overflow prevention container.
밑판과 상기 밑판으로부터 윗방향으로 연장된 측벽을 갖고 상기 측벽의 위쪽 끝단은 상기 결합부와 결합되는 몸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차단벽은 아래 방향으로 돌출되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제1 넘침 방지턱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차단벽은 아래 방향으로 돌출되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제2 넘침 방지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넘침 방지 용기.A cover having a first blocking wall, a second blocking wall spaced apart from the first blocking wall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 coupling part for engaging with the body part below and surrounding an outer surface of the first blocking wall and the second blocking wall. The first barrier wall and the second barrier wall, the length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width direction, the first barrier wall is formed with at least one through-hole on one side of the width direction, the second blocking The wall may include a content overflow preventing cover having at least one through hole formed at the oth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thereof; And
And a base having a bottom plate and a side wall extending upwardly from the bottom plate, wherein an upper end of the side wall is coupled to the engaging portion.
The first blocking wall includes a first overflow bump protruding downward and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second blocking wall includes a second overflow bump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protruding downward. To prevent contents overflow container.
밑판과 상기 밑판으로부터 윗방향으로 연장된 측벽을 갖고 상기 측벽의 위쪽 끝단은 상기 결합부와 결합되는 몸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차단벽과 상기 제2 차단벽 사이의 간격은 0.1mm 이상이고, 상기 제1 차단벽 또는 상기 제2 차단벽의 폭 방향 길이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넘침 방지 용기.A cover having a first blocking wall, a second blocking wall spaced apart from the first blocking wall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 coupling part for engaging with the body part below and surrounding an outer surface of the first blocking wall and the second blocking wall. The first barrier wall and the second barrier wall, the length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width direction, the first barrier wall is formed with at least one through-hole on one side of the width direction, the second blocking The wall may include a content overflow preventing cover having at least one through hole formed at the oth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thereof; And
And a base having a bottom plate and a side wall extending upwardly from the bottom plate, wherein an upper end of the side wall is coupled to the engaging portion.
An interval between the first blocking wall and the second blocking wall is 0.1 mm or more, and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width direction length of the first blocking wall or the second blocking wall.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35772A KR101253674B1 (en) | 2010-12-27 | 2010-12-27 | Cover preventing content overflow and Container preventing content overflow using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35772A KR101253674B1 (en) | 2010-12-27 | 2010-12-27 | Cover preventing content overflow and Container preventing content overflow using thereof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73868A KR20120073868A (en) | 2012-07-05 |
KR101253674B1 true KR101253674B1 (en) | 2013-04-11 |
Family
ID=46708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135772A KR101253674B1 (en) | 2010-12-27 | 2010-12-27 | Cover preventing content overflow and Container preventing content overflow using thereof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53674B1 (e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149734A (en) * | 1999-11-25 | 2001-06-05 | Fumakilla Ltd | Dehumidifying agent vessel and its coupled body |
JP2007167750A (en) * | 2005-12-21 | 2007-07-05 | Okamoto Ind Inc | Dehumidification container |
JP2007176529A (en) * | 2005-12-27 | 2007-07-12 | Earth Chem Corp Ltd | Volatile chemical agent container |
KR20090020211A (en) * | 2007-08-23 | 2009-02-26 |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 Aromatic vessel |
-
2010
- 2010-12-27 KR KR1020100135772A patent/KR101253674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149734A (en) * | 1999-11-25 | 2001-06-05 | Fumakilla Ltd | Dehumidifying agent vessel and its coupled body |
JP2007167750A (en) * | 2005-12-21 | 2007-07-05 | Okamoto Ind Inc | Dehumidification container |
JP2007176529A (en) * | 2005-12-27 | 2007-07-12 | Earth Chem Corp Ltd | Volatile chemical agent container |
KR20090020211A (en) * | 2007-08-23 | 2009-02-26 |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 Aromatic vessel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73868A (en) | 2012-07-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68866B1 (en) | Heating type humidifier using porous ceramic support | |
JP2005528529A5 (en) | ||
JP6500034B2 (en) | toilet | |
KR102195878B1 (en) | Blown bed mattress with functional frame | |
KR101783232B1 (en) | Container for dehumidification | |
KR101253674B1 (en) | Cover preventing content overflow and Container preventing content overflow using thereof | |
SE9801373D0 (en) | Porous structure comprising fungal cell walls | |
JP6038390B2 (en) | Humidifier and humidifier | |
JP2007277991A (en) | Plate-like building material | |
KR200423265Y1 (en) | a ventilating furniture | |
JP4519609B2 (en) | Deodorizing dehumidifying agent and deodorizing dehumidifier | |
JP2008038579A (en) | Humidity control member | |
KR20140011852A (en) | Egg case of pulp | |
JP2008183054A (en) | Bed with shelf | |
KR102678526B1 (en) | Dehumidifier for hangers and hanger including the same | |
KR20170028242A (en) | Humidifier and humidification filter for use in the same | |
JP2007245056A (en) | Humidity conditioning implement | |
JP4141424B2 (en) | Pet toilet | |
US20190275497A1 (en) | Desiccant and deodorizing device | |
KR20130016974A (en) | Container easy to change contents | |
KR20140004642U (en) | Humidifier made of korean paper soaked with loess water | |
KR200479694Y1 (en) | Multi-function hanger bar | |
KR200348459Y1 (en) | The Remains of the Dead Case Having Insulating Material and Charcoal Powder | |
JP2007063771A (en) | Fittings | |
JP6938018B2 (en) | Wooden filt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328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