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1391B1 - System and method for video sharing between terminals, and terminal thereof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video sharing between terminals, and terminal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1391B1
KR101251391B1 KR1020090126602A KR20090126602A KR101251391B1 KR 101251391 B1 KR101251391 B1 KR 101251391B1 KR 1020090126602 A KR1020090126602 A KR 1020090126602A KR 20090126602 A KR20090126602 A KR 20090126602A KR 101251391 B1 KR101251391 B1 KR 1012513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terminal
input
terminals
displa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660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69985A (en
Inventor
홍상우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266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1391B1/en
Publication of KR201100699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998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13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139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단말기간 영상공유시스템 및 방법, 그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네트워크로 연결된 제2단말기가 촬영하는 영상을 제1단말기가 수신하여 직접 촬영하는 영상과 함께 프리뷰 형태로 디스플레이하고 함께 저장한 후 동일 시각에 촬영된 영상을 동시에 시청하도록 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본 발명에 따르면 단말 사용자가 이격적으로 위치한 여러 장소에서 동시에 촬영되는 영상을 시청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deo sharing system and method between a plurality of terminals, and a terminal thereof. After that, a process of simultaneously viewing the image taken at the same time is includ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of allowing a terminal user to simultaneously view images captured simultaneously at various locations.

영상 촬영, 영상 전송, 단말기 카메라, 영상 공유 Video recording, video transmission, terminal camera, video sharing

Description

복수의 단말기간 영상공유시스템 및 방법, 그 단말기{System and method for video sharing between terminals, and terminal thereof}System and method for video sharing between terminals, and terminal thereof

본 발명은 복수의 단말기간 영상공유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수의 단말기간에 실시간으로 촬영하는 영상을 하나의 단말기로 전송해 프리뷰형태로 함께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는 모든 영상 또는 해당 영상의 특정 시각에 대응하는 프레임 이미지를 함께 저장하여 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단말기간 영상공유시스템 및 방법, 그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deo sharing method between a plurality of terminals, and in particular, to transmit a video taken in real time between a plurality of terminals to a single terminal to display together in the form of a preview, and all the images or corresponding images displayed according to the user's inpu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deo sharing system and method among a plurality of terminals for storing a frame image corresponding to a specific point of time so that a user can view the same.

현재 다자간 영상 통화에 대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다자간 영상 통화란 원격지에 위치한 다수의 사람이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각자의 단말기가 촬영한 영상 및 음성을 상대방단말기에 전송하는 방식으로 서로 간에 영상을 이용한 통화를 하는 것이다. 이러한 다자간 영상 통화는 유선 네트워크 및 무선 네트워크 모두를 통해 이용할 수 있으며, 영상 통화에 참여하는 사람의 단말기에서는 다른 복수의 사람이 촬영한 영상이 디스플레이된다.Currently, technology for multi-party video call is being developed. A multi-party video call is a method in which a plurality of people located in remote locations transmit video and audio photographed by their respective terminals to a counterpart terminal using a network to make a video call with each other. The multi-party video call can be used through both a wired network and a wireless network, and images captured by a plurality of other people are displayed on a terminal of a person participating in the video call.

그러나 이러한 영상통화는 자신의 단말기가 촬영한 영상 또는 타인의 단말기가 촬영하여 전송한 영상이 저장되지 않으며, 설사 저장이 된다 하여도, 복수의 단 말기에서 촬영한 영상을 동시에 재생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However, such a video call does not store images taken by one's own terminal or images taken by another's terminal. Even if the video call is stored, there is a limitation in that video captured by a plurality of terminals cannot be played simultaneously. .

이에, 복수의 단말기에서 촬영한 영상 중 동일한 시각에 촬영한 영상 부분을 동시에 디스플레이하여 특정 단말기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된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of visually displaying a portion of an image photographed by a plurality of terminals at the same time and visually expressing the image to a specific terminal user.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복수의 단말기에서 촬영하는 영상 모두를 프리뷰형태로 특정 단말기에 함께 디스플레이하고, 단말기의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선택된 영상 또는 영상의 이미지를 함께 저장하며, 이후 저장한 영상을 함께 디스플레이하여, 단말기 사용자가 이격적 위치에서 촬영한 영상을 하나의 단말기에서 동시에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단말기간 영상공유시스템 및 방법, 그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displays all images taken by a plurality of terminals together in a preview form on a specific terminal, and stores the selected images or images of the images together according to a user input of the terminal.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ideo sharing system and method among a plurality of terminals and a terminal thereof so that a terminal user can simultaneously check images captured at a remote location by simultaneously displaying the stored images. .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복수의 단말기간 영상공유시스템은,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하는 영상을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는 하나 이상의 제2단말기, 상기 하나 이상의 제2단말기가 촬영하는 영상을 수신하여 직접 촬영하는 영상과 함께 프리뷰(free view) 형태로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2단말기에서 수신한 영상과 상기 직접 촬영한 영상을 함께 저장 시, 상기 수신하는 영상과 상기 촬영하는 영상을, 상기 영상 각각에 대하여 동일시각에 촬영된 영상이 동시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상기 각각의 영상의 촬영시각 정보를 포함하여 저장하고, 상기 촬영시각 정보를 참조하여 동일시각에 촬영된 영상을 동시에 디스플레이하는 제1단말기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video sharing system between a plurality of terminal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t least one second terminal for transmitting an image to be photographed and captured over a network, and images captured by the at least one second terminal. When the image received by the second terminal and the directly captured image are stored together, the received image and the captured image are displayed together with the image received and directly photographed. The first terminal stores and stores the shooting time information of each of the images so that the images captured at the same time can be displayed at the same time, and simultaneously displays the images captured at the same time with reference to the shooting time information. Includ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복수의 단말기간 영상공유시스템에서의 단말기는, 네트워크를 통해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송수신부, 영상촬영을 위한 촬영부, 영상표현을 위한 디스플레이부, 영상저장을 위한 저장부, 사용자 입력을 위한 입력부, 및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기가 촬영하는 영상을 수신하면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하는 영상과 함께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프리뷰형태로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입력부로부터의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수신한 영상과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한 영상을 함께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수신한 영상과 상기 촬영한 영상을 함께 저장 시, 상기 영상 각각에 대하여 동일시각에 촬영된 영상을 동시에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상기 각각의 영상의 촬영시각 정보를 포함하여 저장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terminal in a video sharing system among a plurality of terminal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ransceiver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one or more other terminals through a network, a photographing unit for photographing images, and a display for displaying an image. And a storage unit for storing an image, an input unit for user input, and an image captured by the one or more other terminals through the transceiver, and are displayed in a preview form on the display unit together with the image captured by the photographing unit. When the received image and the image photographed by the photographing unit are stored together in the storage unit according to a user input from the input unit, and the received image and the photographed image are stored together, the same time is applied to each of the images. To display the image taken on the display unit at the same time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store photographing time information of each image.

본 발명의 복수의 단말기간 영상공유시스템에서의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로부터의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수신한 영상과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한 영상에 대한 특정 시각의 이미지를 함께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terminal of the video sharing system between a plurality of terminal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the storage according to the user's input from the input unit and the image of a specific time with respect to the image taken by the photographing unit together It is characterized by storing in the wealth.

본 발명의 복수의 단말기간 영상공유시스템에서의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프리뷰형태로 디스플레이하던 도중, 상기 입력부로부터의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촬영부를 이용해 사진을 촬영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기로 사진을 촬영할 것을 요청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기가 촬영한 사진의 이미지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한 사진의 이미지와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한 사진의 이미지를 함께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 terminal in a video sharing system between a plurality of terminal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while displaying in a preview form on the display unit, taking a picture using the photographing unit in accordance with a user input from the input unit and the at least one Request to take a picture with another terminal to receive an image of a picture taken by the one or more other terminals, and store the image of the received picture and the picture of the picture taken by the photographing unit together in the storage unit; It is done.

본 발명의 복수의 단말기간 영상공유시스템에서의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한 영상과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한 영상을 하나의 영상파일로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 terminal in a video sharing system between a plurality of terminal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stores the received image and the image photographed by the photographing unit as one image file in the storage unit.

본 발명의 복수의 단말기간 영상공유시스템에서의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한 영상과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한 영상을 별도의 영상파일로 상기 저장부에 각각 저장하고, 상기 수신한 영상에 대한 영상파일의 상기 촬영한 영상에 대한 영상파일의 메타데이터에 별도로 저장한 영상의 영상파일에 대한 정보를 함께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 terminal in a video sharing system between a plurality of terminal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stores the received image and the image photographed by the photographing unit as separate image files in the storage unit, respectively, and the received image. And storing information on the image file of the image, which is separately stored in the metadata of the image file, of the image of the image file.

삭제delete

본 발명의 복수의 단말기간 영상공유시스템에서의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로부터 저장할 영상에 대한 입력을 받아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terminal in the video sharing system between a plurality of terminal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for receiving an input for the image to be stored from the input unit and stores it in the storage unit.

본 발명의 복수의 단말기간 영상공유시스템에서의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로부터 상기 저장한 영상파일의 실행을 위한 입력을 받으면 상기 저장부에 저장한 각각의 영상을 함께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단말기간 영상공유시스템에서의 단말기.In a terminal in a video sharing system between a plurality of terminal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upon receiving an input for execution of the stored video file from the input unit, the respective images stored in the storage unit together with the display unit And a terminal in a video sharing system among a plurality of terminals.

본 발명의 복수의 단말기간 영상공유시스템에서의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로부터의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함께 디스플레이하는 영상의 배치를 달리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terminal in the video sharing system between a plurality of terminal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play unit is displayed by changing the arrangement of the image to be displayed together according to the user input from the input unit.

본 발명의 복수의 단말기간 영상공유시스템에서의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영상 각각에 대하여 동일시각에 촬영된 영상을 동시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terminal in the video sharing system between a plurality of terminal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for displaying the images taken at the same time for each of the displayed image at the same time.

본 발명의 복수의 단말기간 영상공유시스템에서의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영상 각각 중 특정 영상을 다른 영상보다 더 크게 디 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 terminal in a video sharing system between a plurality of terminal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play of a specific video of each of the displayed image larger than the other video.

본 발명의 복수의 단말기간 영상공유시스템에서의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더 크게 디스플레이할 영상에 대한 선택입력을 받아 상기 특정 영상을 다른 영상보다 더 크게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 terminal in a video sharing system between a plurality of terminal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receives a selection input for an image to be displayed larger through the input unit and displays the specific image larger than another image. .

본 발명의 복수의 단말기간 영상공유시스템에서의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각각의 영상 중 특정 영상에 대한 선택입력을 받으면, 상기 특정 영상만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 terminal in a video sharing system between a plurality of terminal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upon receiving a selection input for a specific image of each of the images to be displayed from the input unit, to display only the specific image on the display unit; It features.

본 발명의 복수의 단말기간 영상공유시스템에서의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로부터의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하던 각각의 영상 중 다른 영상으로 변경하여 상기 다른 영상만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 terminal in a video sharing system between a plurality of terminal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changes to another image among the displayed images according to a user input from the input unit and displays only the other image on the display unit. It is characterized by.

본 발명의 복수의 단말기간 영상공유시스템에서의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전체 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terminal in the video sharing system between a plurality of terminal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for displaying the specific image on the display unit full screen.

본 발명의 복수의 단말기간 영상공유시스템에서의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 영상의 디스플레이 도중 상기 입력부로부터 복귀입력을 받으면, 상기 디스플레이하던 각각의 영상을 동시에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 terminal in a video sharing system between a plurality of terminal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upon receiving a return input from the input unit during the display of the specific image, simultaneously displays the respective displayed images on the display unit. It is don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복수의 단말기간 영상공유방법은, 제1단말기가 하나 이상의 제2단말기와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연결을 하는 연결단계, 상기 제1단말기가 상기 하나 이상의 제2단말기가 촬영하는 영상을 수신하여 직접 촬영하는 영상과 함께 프리뷰형태로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단계, 상기 제1단말기가 직접 촬영하는 영상 및 상기 수신한 영상을 함께 저장하고, 상기 각 영상을 함께 저장 시, 상기 영상 각각에 대하여 동일시각에 촬영된 영상이 동시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상기 각 영상의 촬영시각 정보를 포함하여 저장하는 저장단계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video sharing method between a plurality of terminal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nection step in which a first terminal communicates with at least one second terminal through a network, and the first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at least one second. A display step of receiving an image photographed by the terminal and displaying it in a preview form together with an image photographed directly, storing the image photographed directly by the first terminal and the received image together, and storing the images together; And storing the photographing time information of each image so that the images photographed at the same time can be simultaneously displayed for each image.

본 발명의 복수의 단말기간 영상공유방법에 있어서, 상기 연결단계는, 상기 제1단말기가 상기 하나 이상의 제2단말기로 통신연결 요청을 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제2단말기로부터 통신연결을 허용하는 응답을 받아, 통신연결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video sharing method between a plurality of terminal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on step, the first terminal requests a communication connection to the one or more second terminals, and the response to allow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from the one or more second terminals; Receiv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본 발명의 복수의 단말기간 영상공유방법에 있어서, 상기 연결단계는, 상기 제1단말기가 상기 하나 이상의 제2단말기를 포함한 주변의 단말기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1단말기가 상기 주변의 단말기 중 상기 하나 이상의 제2단말기에 대한 선택입력을 받아, 통신연결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video sharing method between a plurality of terminal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ng step, wherein the first terminal displays the terminal information of the peripheral including the one or more second terminal, the first terminal is the Receiving a selection input for at least one second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본 발명의 복수의 단말기간 영상공유방법에 있어서, 상기 연결단계는, 상기 제1단말기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을 이용하여 상기 제1단말기의 위치에서 일정 거리 내에 있는 상기 주변의 단말기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video sharing method between a plurality of terminal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ng step, the first terminal displays the information of the surrounding terminal within a certain distance from the position of the first terminal using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Characterized in that.

본 발명의 복수의 단말기간 영상공유방법에 있어서, 상기 연결단계는, 상기 제1단말기가 현재 영상을 촬영 중인 상기 주변의 단말기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video sharing method between a plurality of terminal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ng step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terminal displays the terminal information of the peripheral area which is currently photographing the image.

본 발명의 복수의 단말기간 영상공유방법에 있어서, 상기 연결단계는, 지그비(zigbee), 피코캐스트(picocast), 블루투스(bluetooth), UWB, Wi-Fi 및 WGB 중 적어도 하나의 근거리 무선통신기술을 이용하여 통신연결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video sharing method between a plurality of terminal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on step may include at least on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of zigbee, picocast, Bluetooth, UWB, Wi-Fi, and WGB.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by using.

본 발명의 복수의 단말기간 영상공유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단계는, 상기 제1단말기가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함께 디스플레이하는 영상의 배치를 달리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image sharing method between a plurality of terminal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step,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terminal is displayed by changing the arrangement of the image to be displayed together according to the user input.

본 발명의 복수의 단말기간 영상공유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단계는, 상기 직접촬영하는 영상 및 상기 수신한 영상 중 특정 영상을 다른 영상보다 더 크게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image sharing method of a plurality of terminal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ing step, characterized in that for displaying a specific image larger than the other image of the image to be directly photographed and the received image.

본 발명의 복수의 단말기간 영상공유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단계는, 상기 제1단말기가 더 크게 디스플레이할 영상에 대한 선택입력을 받아 상기 특정 영상을 다른 영상보다 더 크게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image sharing method among a plurality of terminal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ing step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terminal receives a selection input for an image to be displayed larger and displays the specific image larger than another image.

본 발명의 복수의 단말기간 영상공유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단계는, 상기 직접촬영하는 영상 및 상기 수신한 영상 중 특정 영상에 대한 선택입력을 받으면, 상기 특정 영상만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image sharing method of a plurality of terminal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step, when receiving a selection input for a specific image of the direct-image and the received image, characterized in that to display only the specific image.

본 발명의 복수의 단말기간 영상공유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단계는, 상기 제1단말기가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하던 각각의 영상 중 다른 영상으로 변경하여 상기 다른 영상만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image sharing method between a plurality of terminal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ing step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terminal changes to another image of each of the displayed images according to a user input to display only the other image.

본 발명의 복수의 단말기간 영상공유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단계는, 상기 특정 영상을 전체 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video sharing method between a plurality of terminal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step, characterized in that for displaying the specific image in full screen.

본 발명의 복수의 단말기간 영상공유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단계는, 상기 제1단말기가 상기 특정 영상의 디스플레이 도중 복귀입력을 받으면, 상기 디스플레이하던 각각의 영상을 동시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image sharing method among a plurality of terminal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ing step may include displaying each image simultaneously when the first terminal receives a return input during the display of the specific image.

본 발명의 복수의 단말기간 영상공유방법에 있어서, 상기 저장단계는, 상기 제1단말기가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수신한 영상과 상기 촬영한 영상에 대한 특정 시각의 이미지를 함께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video sharing method between a plurality of terminal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oring step,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terminal stores the received image and the image of a specific time with respect to the captured image in accordance with the user input. .

본 발명의 복수의 단말기간 영상공유방법에 있어서, 상기 저장단계는, 상기 제1단말기가 사용자 입력에 따라 사진을 촬영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기로 사진을 촬영할 것을 요청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기가 촬영한 사진의 이미지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한 사진의 이미지와 상기 촬영한 사진의 이미지를 함께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video sharing method between a plurality of terminal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oring step, the first terminal to take a picture according to a user input and request to take a picture with the one or more other terminals to be taken by the one or more other terminals Receiving an image of one picture, characterized in that for storing the image of the received picture and the image of the photographed picture together.

본 발명의 복수의 단말기간 영상공유방법에 있어서, 상기 저장단계는, 상기 제1단말기가 상기 수신한 영상과 상기 촬영하는 영상을 하나의 영상파일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image sharing method of a plurality of terminal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oring step, the first terminal is characterized in that for storing the received image and the image taken in a single image file.

본 발명의 복수의 단말기간 영상공유방법에 있어서, 상기 저장단계는, 상기 수신한 영상과 상기 촬영한 영상을 별도의 영상파일로 각각 저장하고, 상기 수신한 영상에 대한 영상파일의 메타데이터에 별도로 저장한 영상의 영상파일에 대한 정보를 함께 저장하고, 상기 촬영한 영상에 대한 영상파일의 메타데이터에 별도로 저장한 영상의 영상파일에 대한 정보를 함께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image sharing method between a plurality of terminal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oring step, the received image and the captured image is stored in a separate image file, respectively, and separately in the metadata of the image file for the received image And storing information on the image file of the stored image together, and storing information on the image file of the image stored separately in metadata of the image file of the captured image.

본 발명의 복수의 단말기간 영상공유방법에 있어서, 상기 저장단계는, 상기 제1단말기가 상기 직접촬영하는 영상 및 상기 수신한 영상 중 저장할 적어도 하나의 영상에 대한 입력을 받고 상기 입력에 대응하는 영상만을 함께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image sharing method of a plurality of terminal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oring step, the first terminal receives an input for at least one image to be stored of the image and the received image directly taken image corresponding to the input It is characterized by storing only together.

본 발명의 복수의 단말기간 영상공유방법은, 상기 저장단계 이후에, 상기 제1단말기가 상기 저장단계에서 함께 저장한 각각의 영상을 동시에 디스플레이하는 제2디스플레이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video sharing method between the plurality of terminal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display step of simultaneously displaying respective images stored together by the first terminal in the storing step after the storing step.

삭제delete

본 발명의 복수의 단말기간 영상공유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디스플레이단계는, 상기 제1단말기가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동시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 각각 중 특정 영상을 터치 또는 드래그하여 동시에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영상의 배치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image sharing method between a plurality of terminal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display step, the first terminal is arranged to display the image simultaneously displayed by touching or dragging a specific image of each of the simultaneously displayed image according to the user input It characterized in that to change.

본 발명의 복수의 단말기간 영상공유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디스플레이단계는, 상기 제1단말기가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영상 각각에 대하여 동일시각에 촬영된 영상을 동시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image sharing method between a plurality of terminal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display step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terminal simultaneously displays the image taken at the same time for each of the image displayed.

본 발명의 복수의 단말기간 영상공유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디스플레이단계는, 상기 제1단말기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디폴트값으로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영상 각각 중 특정 영상을 다른 영상보다 더 크게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video sharing method between a plurality of terminal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display step, wherein the first terminal is to display a specific image of each of the displayed image larger than the other image with a default value according to the user input. It features.

본 발명의 복수의 단말기간 영상공유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디스플레이단계는, 상기 직접촬영하는 영상 및 상기 수신한 영상 중 특정 영상에 대한 선택입력을 받으면, 사용자가 입력장치를 탭하는 동작에 따라 상기 제1단말기가, 상기 특정 영상만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image sharing method among a plurality of terminal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display step may include a user tapping an input device when receiving a selection input for a specific image among the directly photographed image and the received image. The first terminal may display only the specific imag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본 발명의 복수의 단말기간 영상공유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디스플레이단계는, 상기 제1단말기가, 사용자로부터 특정 키 입력을 통해 상기 특정 영상의 디스플레이 도중 복귀입력을 받으면, 상기 함께 저장한 각각의 영상을 동시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video sharing method between a plurality of terminal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econd display step, when the first terminal receives a return input during the display of the specific video through a specific key input from the user, the second terminal may store each of the stored video. And simultaneously displaying an image.

본 발명에 의하면, 이격적으로 위치한 복수의 단말기에서 촬영하는 영상 및 이미지를 프리뷰형태로 하나의 단말기에서 모두 확인할 수 있고, 특정 단말기에서 촬영하는 영상만을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전체로 표현하여 촬영 내용을 좀 더 상세히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mages and images taken by a plurality of terminals which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can be checked in a preview form in one terminal, and only the images captured by a specific terminal are expressed as a whole on the display screen of the terminal. You can check it in more detail.

그리고, 단말기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영상 중 하나 이상의 영상을 지정하여 단말기에 저장할 수 있고, 이후, 저장된 각각의 영상을 함께 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시각에 촬영된 영상을 동시에 디스플레이 화면 에 표현하여, 사용자가 이격적으로 위치한 단말기에서 동시각에 촬영된 영상을 동시에 시청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erminal user may designate one or more images among the plurality of displayed images and store them in the terminal. Then, the stored images may be displayed together on the terminal, and the images simultaneously captured may be simultaneously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Expressed in, it is possible to allow the user to simultaneously view the images taken at the same time in the terminal spaced apart.

본 발명을 통해 사용자는 동일한 사물에 대한 촬영 영상을 서로 다른 거리 또는 서로 다른 시점에서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고, 저장을 통해 영속적으로 영상을 시청하는 것이 가능해질 뿐만 아니라, 동적으로 움직이는 사물이나 시간의 흐름에 따라 진행되는 광경을 서로 다른 공간적 시점에서 시청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가 증진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check the captured image of the same object in real time at different distances or at different points of time, and it is not only possible to watch the image continuously through storage, but also to dynamically move the object or time flow. In this way, the user can watch the scenes progressing from different spatial viewpoints, thereby increasing user convenienc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portions having similar functions and functions throughout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단말기간 영상공유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영상공유시스템은 제1단말기(100), 제2단말기(200) 및 네트워크(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video sharing system between a plurality of termina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the video sha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first terminal 100, a second terminal 200, and a network 300.

네트워크(300)는 제1단말기(100) 및 제2단말기(200) 간의 데이터 전송, 정보 교환을 위한 데이터 통신망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네트워크(300)는 인터넷, 인트라넷, 익스트라넷 또는 기타 널리 공지되었거나 향후 개발될 유선망, 지그 비(zigbee), 피코캐스트(picocast), 블루투스(bluetooth), UWB, Wi-Fi, WGB 또는 현재 개발되어 상용화되었거나 향후 개발된 모든 무선통신망, 이동통신 서비스 사업자의 이동통신망 또는 이들의 결합망을 포함한다.The network 300 refers to a data communication network for data transmission and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the first terminal 100 and the second terminal 200. The network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Internet, intranet, extranet or other well-known or future development of wired network, zigbee, picocast, bluetooth, UWB, Wi-Fi, WGB or It includes all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developed and commercialized or future development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s of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s, or a combination thereof.

제1단말기(100) 및 제2단말기(200)는 네트워크(300)를 통하여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는 컴퓨터, 가전기기, 이동통신기기 등 현재 개발되어 상용화되었거나 향후 개발될 모든 장비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first terminal 100 and the second terminal 200 is a concept including all equipment that is currently developed and commercialized or will be developed in the future, such as computers, home appliances, and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capable of transmitting data through the network 300. Should be interpreted.

본 발명의 제1단말기(100) 및 제2단말기(200)는 외부의 사물 또는 장면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 등의 촬영장비를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단말기(100) 및 제2단말기(200)는 네트워크(300)를 통한 데이터 송수신에 필요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가진다.The first terminal 100 and the second terminal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photographing equipment, such as a camera that can photograph an external object or scene. In addition, the first terminal 100 and the second terminal 200 has a communication interface for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through the network 300.

제1단말기(100)는 네트워크(300)를 통하여 제2단말기(200)가 촬영하는 영상을 수신하여 프리뷰(free view)형태로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현한다. 이때, 제2단말기(200)는 하나 이상의 단말기일 수 있으며, 제1단말기(100)는 직접 촬영하는 영상 및 제2단말기(200)가 촬영하는 영상을 함께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하나의 사물 또는 장면에 대하여 이격적인 위치에서 촬영하는 영상을 하나의 단말기에서 동시에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제1단말기(100)는 입력장치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함께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현하는 영상들의 배치를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배치의 변경은, 예를 들어, 터치스크린으로 이루어진 디스플레이 액정에서 특정 영상을 터치하고 드래그하여 위치를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제1단말기(100)의 설정이나, 사용자 입력에 따라 함께 디스플레이하는 영상 중 특정 영상을 다른 영상보다 더 크게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The first terminal 100 receives an image captured by the second terminal 200 through the network 300 and expresses the image captured by the second terminal 200 on the display device in the form of a free view. In this case, the second terminal 200 may be one or more terminals, and the first terminal 100 may express the image photographed by the second terminal 200 and the image photographed by the second terminal 200 together on the display device. In this way, an image captured at a location separated from one object or scene may be simultaneously checked by one terminal. In this case, the first terminal 100 may change and display the arrangement of the images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user input through the input device. For example, the arrangement may be changed by touching and dragging a specific image in a display liquid crystal formed of a touch screen to move the position. In addition, according to a setting of the first terminal 100 or a user input, a specific image may be displayed larger than other images.

제1단말기(100)가 직접 촬영하는 영상 및 제2단말기(200)가 촬영하는 영상을 프리뷰형태로 디스플레이하는 도중, 예를 들어, 제1단말기(100)의 입력장치가 디스플레이되는 복수의 영상 중 특정 영상에 대한 선택입력을 받으면, 해당 특정 영상만을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에 표현할 수 있다. 그리고 제1단말기(100)가 특정 영상만을 디스플레이하던 도중 입력장치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다른 영상으로 변경하여 변경된 영상만을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에 표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단말기가 터치스크린으로 이루어진 디스플레이 액정에서 단독으로 디스플레이되던 영상을 터치하고 상/하/좌/우로 미끄러지듯이 플릭(flick) 입력하는 신호를 수신하면, 다른 영상으로 변경하여 해당 영상만을 디스플레이 액정에 표현할 수 있을 것이다.While displaying the image captured by the first terminal 100 and the image captured by the second terminal 200 in the form of a preview, for example, the plurality of images displayed by the input device of the first terminal 100 are displayed. When the selection input for the specific image is received, only the specific image may be represented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device. In addition, while the first terminal 100 displays only a specific image, only the changed image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 user input through the input apparatus. For example, when the first terminal touches an image that was displayed alone on a display liquid crystal formed of a touch screen and receives a flick input signal as if it slides up, down, left, or right, the first terminal changes to another image and changes the image. Only the display liquid crystal can be expressed.

이때, 제1단말기(100)는 특정 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체화면으로 표현할 수 있다. 이후, 제1단말기(100)가 입력장치 등을 이용하여 복귀입력을 받으면, 특정영상만을 프리뷰형태로 디스플레이하던 상태에서 제1단말기(100)에 직접 촬영하는 영상 및 제2단말기(200)가 촬영하는 영상을 프리뷰형태로 디스플레이하는 상태로 복귀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terminal 100 may express a specific image on the full screen of the display device. Subsequently, when the first terminal 100 receives a return input using an input device or the like, the image photographed directly on the first terminal 100 and the second terminal 200 are photographed while displaying only a specific image in a preview form. The display may return to the state of displaying the image in the preview form.

제1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하는 제1단말기(100)가 촬영하는 영상 및 네트워크(300)를 통해 수신한 제2단말기(200)가 촬영하는 영상을 내부의 저장소에 함께 저장한다. 제1단말기(100)는 실시예에 따라, 프리뷰형태로 복수의 영상을 디스플레 이하고 있던 도중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은 순간의 각 단말기가 촬영한 프레임 이미지를 모아서 사진처럼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제1단말기(100)는 프리뷰형태로 복수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있던 도중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아 직접 사진을 촬영하고, 제2단말기(200)로 사진을 촬영할 것을 요청하여 제2단말기(200)가 촬영한 사진의 이미지를 수신한 다음, 제1단말기(100)가 직접 촬영한 사진 이미지와, 제2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한 사진 이미지를 함께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는 촬영하는 형태를 영상이라 표현하고 있으나, 이는 복수의 이미지로 이루어진 동영상뿐만 아니라, 단일 이미지로 이루어진 사진 등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first terminal 100 stores the image captured by the first terminal 100 displayed and the image captured by the second terminal 200 received through the network 300 together in an internal storag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the first terminal 100 may collect frame images captured by each terminal at the moment of receiving input from a user while displaying a plurality of images in a preview form, and store them as a photograph. In addition, while the first terminal 100 is displaying a plurality of images in a preview form, the first terminal 100 receives an input from the user and directly takes a photo, and requests the second terminal 200 to take a photo to the second terminal 200. After receiving the image of the photographed picture, the first terminal 100 directly stores the photographed image and the photographic image received from the second terminal 200 together. In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hotographing form is expressed as an image, but this should be interpreted as a concept including a picture composed of a single image as well as a video composed of a plurality of images.

제1단말기(100)가 영상을 저장할 때에는, 각각의 영상을 하나의 파일로 저장하거나, 별도의 파일로 저장하면서 각 파일의 메타데이터에 다른 영상파일에 대한 정보를 함께 저장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 동시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사진 등의 단일 이미지 또는 복수의 프레임으로 구성된 영상 중 단일 프레임의 이미지도 마찬가지이며 이하 모두 동일하다.When the first terminal 100 stores an image, each image is stored as a single file or stored as a separate file while simultaneously storing information on other image files in the metadata of each file and simultaneously displaying them on the display device. To be possible. As described above, a single image of a single image, such as a photograph, or an image composed of a plurality of frames is the same, and the same is the same below.

즉, 제1단말기(100)가 하나의 파일로 저장할 때에는 해당 파일이 실행되면 제1단말기(100)가 촬영한 영상 및 하나 이상의 제2단말기(200)가 촬영한 영상이 동시에 디스플레이된다. 그리고 제1단말기(100)가 제1단말기(100)가 촬영한 영상 및 하나 이상의 제2단말기(200)가 촬영한 영상을 각각의 영상파일로 저장할 때에는, 제1단말기(100)가 그 중 하나의 영상파일에 대한 실행 명령을 받은 경우 메타데이터에 포함된 다른 영상파일의 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영상들을 모두 디스플레이 화 면에 디스플레이한다. 메타데이터는 일련의 데이터를 정의하고 설명하는 데이터로서, 제1단말기(100)는 이를 이용하여 동시에 촬영되는 영상들을 함께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전달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That is, when the first terminal 100 stores one file, when the corresponding file is executed, the image captured by the first terminal 100 and the image captured by the one or more second terminals 200 are simultaneously displayed. When the first terminal 100 stores the image photographed by the first terminal 100 and the image photographed by the one or more second terminals 200 as respective image files, the first terminal 100 is one of them. When the execution command for the image file is received, all the images are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by referring to the information of the other image file included in the metadata. The metadata is data that defines and describes a series of data, and the first terminal 100 can display images simultaneously photographed together and visually deliver them to the user.

그리고 제1단말기(100)가 저장된 파일을 실행할 때에는 동일시각에 촬영한 영상이 동시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단말기(100)는 각각의 영상의 촬영시각 정보를 포함하여 저장하고, 이를 참조하여 동시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When the first terminal 100 executes the stored file, images captured at the same time may be simultaneously displayed. To this end, the first terminal 100 may store and store the photographing time information of each image, and simultaneously display the same.

제1단말기(100)가 저장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경우에는, 실시간으로 촬영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때와 마찬가지로, 사용자 입력에 따라 디스플레이하는 영상들의 배치를 바꾸거나, 설정 또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특정 영상을 다른 영상보다 더 크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선택입력에 따라 특정 영상만을 디스플레이 장치에 시청각적으로 표현할 수 있으며, 이때 해당 특정 영상을 사용자 입력에 따라 변경하여 변경된 영상만을 디스플레이하거나, 선택된 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체 화면으로 표현할 수 있다. 그리고 입력장치를 통해 복귀입력을 받으면 저장한 각각의 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에 함께 표현하는 상태로 돌아갈 수 있다. 제1단말기(100)가 저장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형태는 프리뷰형태와 대동소이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When the image stored by the first terminal 100 is displayed, as in the case of displaying an image captured in real time, the arrangement of images to be displayed may be changed according to a user input, or a specific image may be displayed according to a setting or a user input. It can display larger than other images. In addition, only a specific image may be visually represented on th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input. In this case, the specific image may be changed according to a user input to display only the changed image or the selected image may be represented on the display apparatus in full screen. . When receiving the return input through the input device, the user can return to the state of expressing each stored image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device. Since the form in which the first terminal 100 stores the image is similar to the preview form,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에 따른 제1단말기(100)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first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단말기(10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 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제1단말기(100)는 송수신부(110), 입력부(120), 촬영부(130), 저장부(140), 디스플레이부(15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2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 the first terminal 100 of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may include a transceiver 110, an inputter 120, an imaging unit 130, a storage 140, a display 150, and a controller 160. It is configured to include.

송수신부(110)는 네트워크(300)를 매개로 제2단말기(200)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가진다. 송수신부(11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Radio Frequency) 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transceiver 110 has a communication interface for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terminal 200 via the network 300. The transceiver 110 may include a radio frequency (RF) transmitter for upconverting and amplifying a frequency of a transmitted signal, and an RF receiver for low noise amplifying and downconverting a received signal.

입력부(120)는 제1단말기(100)의 조작을 위한 복수의 키 또는 터치패드 등을 제공하며, 제1단말기(100) 사용자의 입력에 따른 선택신호를 발생한다. 입력부(120)는 키패드, 터치패드와 같은 포인팅 장치, 터치스크린 등의 입력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The input unit 120 provides a plurality of keys or a touch pad for the operation of the first terminal 100, and generates a selection signal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user of the first terminal 100. The input unit 120 may be a keypad, a pointing device such as a touch pad, or an input device such as a touch screen.

입력부(120)는 네트워크(300)를 통해 제1단말기(100)와 제2단말기(200)의 통신을 연결하기 위한 입력을 받아 제어부(16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고, 디스플레이부(15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영상 중 특정 영상을 더 크게 디스플레이하거나, 특정 시각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저장하거나, 제2단말기(200)로 사진 촬영 및 촬영한 이미지의 전송을 요청하기 위한 선택입력을 받아 제어부(160)로 전달한다.The input unit 120 receives an input for connecting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first terminal 100 and the second terminal 200 through the network 300, and transmits the input to the controller 160. Among the displayed images, a larger specific image is displayed, an image corresponding to a specific time is stored, or the controller 160 receives a selection input for requesting photographing and transmission of the captured image to the second terminal 200. To pass.

또한, 입력부(120)는 디스플레이부(15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영상 중 특정 영상만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선택입력을 받아 제어부(160)로 전달하고, 특정 영상을 다른 영상으로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입력을 받아 제어부(160)로 전달하며, 디스플레이부(150)에서 특정영상만을 디스플레이 중인 경우 복수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상태로 복귀하기 위한 복귀입력을 받아 제어부(160)로 전달한다.In addition, the input unit 120 receives a selection input for displaying only a specific image among the image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0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ler 160, and receives an input for changing the specific image to another image and displaying the same. When the display unit 150 is displaying only a specific image, the display unit 150 receives a return input for returning to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images are displayed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 unit 160.

디스플레이부(150)는 영상출력부와 음향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출력부는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제1단말기(100)가 촬영하는 영상 및 제2단말기(200)가 촬영하여 네트워크(300)를 통해 전송한 영상을 출력한다. 음향출력부는 출력되는 영상에 대응하는 음향을 출력한다. 이를 위해, 영상출력부는 LCD(Liquid Crystal Display)나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등이 될 수 있고, 음향출력부로는 스피커가 사용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은 표시장치와 입력장치로서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한다.The display unit 150 may include an image output unit and a sound output unit. The image output unit outputs an image photographed by the first terminal 100 and an image photographed by the second terminal 200 and transmitted through the network 30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60. The sound output unit outputs a sound corresponding to the output image. To this end, the image output unit may b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touch screen, or the like, and a speaker may be used as the audio output unit. The touch screen simultaneously serves as a display device and an input device.

촬영부(130)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구비하고 제1단말기(100)에 내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촬영부(130)는 카메라 렌즈를 포함하며, 이를 통해 외부 사물이나 장면을 촬영한다.The photographing unit 130 preferably includes at least one camera and is embedded in the first terminal 100. The photographing unit 130 includes a camera lens, thereby photographing an external object or scene.

저장부(140)는 제어부(160)의 제어에 의해 제1단말기(100)의 동작 제어시 필요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그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며, 하나 이상의 휘발성 메모리 소자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저장부(140)는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촬영부(130)가 촬영하는 영상 및 송수신부(110)를 통해 수신한 하나 이상의 제2단말기(200)가 촬영한 영상을 함께 저장한다. The storage unit 140 stores an application program necessary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terminal 10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60, and data generated during the execution of the program, and includes one or more volatile memory devices and nonvolatile memory devices. Is made of. The storage unit 14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mbination of the image taken by the photographing unit 130 and the image taken by the at least one second terminal 200 received through the transceiver 11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60. Save it.

이때, 저장하는 영상은 하나의 파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별도의 영상 파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별도의 영상 파일로 저장하는 경우 각 파일의 메타데이터에 다른 영상파일의 정보를 함께 저장하여, 이후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모든 영 상이 함께 디스플레이부(150)에 표현될 수 있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video to be stored may consist of a single file or a separate video file. When the video is stored as a separate video file, information of the other video file is stored together in the metadata of each file, and then the controller 160 All images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0 according to the control of).

제어부(160)는 제1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즉 제어부(160)는 입력부(120)를 통하여 통신연결을 위한 입력을 받으면, 이동통신 사업자의 이동통신망이나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통신연결을 하고, 제어부(160)는 사용자입력을 받아 촬영부(130)의 카메라를 구동하고 촬영을 시작한다. 이때, 카메라의 구동 및 통신연결은 서로 순서를 바꾸어 전후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controller 16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first terminal 100. That is, when the controller 160 receives an input for a communication connection through the input unit 120, the controller 160 makes a communication connection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r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operator, and the controller 160 receives a user input and receives a photographing unit ( Drive the camera of 130) and start shooting. At this time, the driving and communication connection of the camera may be made back and forth by changing the order.

제어부(160)는 송수신부(110)를 통해 하나 이상의 제2단말기(200)가 촬영하는 영상을 수신하면, 촬영부(130)에서 촬영하는 영상과 함께 프리뷰형태로 디스플레이부(150)에 디스플레이한다. 제어부(160)는 디스플레이하는 도중 입력부(120)를 통해 입력을 받아 디스플레이부(150)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의 배치를 변경할 수 있다.When the controller 160 receives an image captured by the one or more second terminals 200 through the transceiver 110, the controller 160 displays the image captured by the photographing unit 130 on the display unit 150 in a preview form. . The controller 160 may change an arrangement of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0 by receiving an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120 during display.

예를 들어, 제어부(160)는 입력부(120)의 터치스크린을 이용하여 특정 영상에 대한 드래그 입력을 받아 각 영상의 배치를 변경하거나, 또는 일정시간동안 화면을 미끄러지도록(sliding) 입력하는 플릭(flick) 입력을 수신하면, 화면에 기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영상 중 특정 영상을 화면의 가운데에 위치하도록 디스플레이 형태를 변경하여 표현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60 receives a drag input for a specific image using a touch screen of the input unit 120 to change the arrangement of each image or to input a slide to slide the screen for a predetermined time ( When receiving a flick) input, the display form may be changed to display a specific image among a plurality of images previously displayed on the screen so as to be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screen.

제어부(160)는, 복수의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50)에 디스플레이할 때, 디폴트값(default value)으로 특정 영상을 다른 영상보다 더 크게 디스플레이하거나, 설정 또는 입력부(120)로부터의 사용자 입력에 따라 특정 영상을 다른 영상보다 더 크게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When the plurality of images ar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0, the controller 160 displays a specific image larger than another image as a default value or according to a setting or a user input from the input unit 120. One image may be displayed larger than another image.

또한, 제어부(160)는 복수의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50)에 디스플레이하던 중 특정 영상에 대한 선택입력을 수신하면, 해당 특정 영상만을 디스플레이부(15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이때에는 해당 특정 영상을 전체 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특정 영상만을 디스플레이하거나, 이를 전체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도중 입력부(160)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다른 특정 영상으로 변경하여 해당 다른 영상만을 디스플레이부(15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의 사용자 입력은, 예를 들어, 터치스크린을 포함한 입력부(120)를 통해 터치 및 드래그, 또는 슬라이딩 입력, 플릭 입력 등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when the controller 160 receives a selection input for a specific image while displaying a plurality of images on the display unit 150, the controller 160 may display only the specific image on the display unit 150. Can be displayed in full screen. In addition, the controller 160 may display only a specific image or change the display to another specific image according to a user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160 while displaying the full screen on the display unit 150. . In this case, the user input may be made through, for example, a touch and drag, a sliding input, or a flick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120 including a touch screen.

이렇게 디스플레이부(150)에 디스플레이하던 도중 사용자가 입력부(120)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저장하기 위한 입력을 하면, 제어부(160)는 디스플레이되는 촬영부(130)의 촬영 영상 및 하나 이상의 제2단말기(200)가 촬영하여 전송한 영상을 저장부(140)에 저장한다. 제어부(160)가 저장부(140)에 영상을 저장할 때에는 입력부(120)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촬영부(130)의 촬영 영상 및 하나 이상의 제2단말기(200)가 촬영하여 전송한 영상 중 하나 이상의 영상을 선택하여 저장부(140)에 저장할 수 있다.When the user makes an input for storing an image displayed through the input unit 120 while displaying on the display unit 150, the controller 160 controls the captured image of the photographing unit 130 to be displayed and at least one second terminal. The image captured and transmitted by the 200 is stored in the storage 140. When the controller 160 stores the image in the storage 140, the captured image of the photographing unit 130 and the images captured and transmitted by the one or more second terminals 200 according to a user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120. One or more images may be selected and stored in the storage 140.

그리고 제어부(160)가 저장부(140)에 영상을 저장할 때에는, 특정 시각에 대응하는 각 영상의 이미지 프레임을 추출하여 각각의 이미지 프레임을 사진과 같이 함께 저장할 수 있고, 제어부(160)가 입력부(120)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사진을 촬영하고, 송수신부(110)를 통해 제2단말기(200)로 사진 촬영을 요청하여 촬영한 사진 이미지를 수신한 후, 직접 촬영한 사진 이미지와 수신한 사진 이미지를 함 께 저장할 수도 있다.When the controller 160 stores an image in the storage 140, the image frame of each image corresponding to a specific time point may be extracted and stored together with the image frame as a photo, and the controller 160 may include an input unit ( 120, take a picture according to a user input, request a picture to the second terminal 200 through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110 to receive a photographed picture, and then directly photographed and received picture You can also save the image together.

제어부(160)가 저장부(140)에 영상을 저장할 때에는 촬영부(130)의 촬영 영상 및 하나 이상의 제2단말기(200)가 촬영하여 전송한 영상(동영상, 프레임 이미지, 사진 포함)을 하나의 영상 파일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촬영부(130)의 촬영 영상 및 하나 이상의 제2단말기(200)가 촬영하여 전송한 영상을 각각 별도의 영상 파일로 저장부(140)에 저장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저장하는 각 파일의 메타데이터에 다른 영상 파일에 대한 정보를 함께 저장하여, 하나의 영상 파일이 재생될 경우 다른 파일도 함께 재생되도록 할 수 있다.When the control unit 160 stores the image in the storage unit 140, the captured image of the photographing unit 130 and the image (including a video, a frame image, and a picture) captured by the one or more second terminals 200 are transmitted as one. Can be saved as an image file. In addition, the controller 160 may store the captured image of the photographing unit 130 and the image photographed and transmitted by the one or more second terminals 200 in the storage unit 140 as separate image files, in this case, Information about another video file may be stored together in metadata of each file to be stored so that when one video file is played, the other file may be played togeth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60)가 저장부(140)에 영상을 저장할 때에는 동일 시각에 촬영된 영상 부분이 동시에 디스플레이부(150)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각각의 영상의 촬영시각 정보를 포함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제어부(160)는 입력부(120)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저장부(140)에 저장된 각각의 영상 중 동일시각에 촬영된 영상 부분을 함께 디스플레이부(15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제1단말기(100) 사용자는, 이를 통해, 공간적으로 다른 곳에 위치한 제2단말기(200) 사용자의 시점에서의 촬영 영상을 반영구적으로 저장하고 확인할 수 있게 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ontrol unit 160 stores the image in the storage unit 140, the photographing time information of each image so that the image portion photographed at the same time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0 at the same time. You can save including. In this way, the controller 160 may display the image portion captured at the same time among the images stored in the storage 140 according to the user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120 on the display unit 150. In addition, the user of the first terminal 100 can semi-permanently store and confirm the captured image at the viewpoint of the user of the second terminal 200 located at another spatially.

저장부(140)에 저장된 각각의 영상이 디스플레이부(150)에 함께 디스플레이되는 도중, 제어부(160)가 입력부(120)를 통한 사용자 입력을 받으면, 특정 영상을 더 크게 디스플레이부(150)에 디스플레이하거나, 특정 영상만을 디스플레이부(15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60)가 디폴트값으로 특정 영상을 다른 영 상보다 더 크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특정 영상만을 디스플레이부(150)에 디스플레이하는 경우에는 전체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특정 영상만을 디스플레이하는 명령은, 예를 들어, 터치스크린을 이용하여 특정 영상을 두 번 탭(tap)하는 동작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체화면으로 특정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거나, 전체화면이 아니더라도 특정 영상만을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제어부(160)가 입력부(120)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다른 특정 영상으로 변경하여 해당 다른 특정 영상만을 디스플레이부(150)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While each image stored in the storage 140 is displayed together on the display 150, when the controller 160 receives a user input through the inputter 120, a specific imag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150 larger. Alternatively, only a specific image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0. In this case, the controller 160 may display a specific image larger than another image as a default value. In addition, when only a specific imag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0, it may be displayed in full screen. In this case, the command for displaying only a specific image may be performed by, for example, tapping a specific image twice using a touch screen. If a specific image is displayed on the full screen or only a specific image is displayed, even if it is not the full screen, the controller 160 changes to another specific image according to a user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120 and displays only the other specific image. It can also be displayed on).

그리고 특정 영상만을 디스플레이부(150)에 디스플레이하던 중, 제어부(160)가 입력부(120)를 통한 복귀입력을 받으면, 각각의 영상을 함께 디스플레이부(150)에 디스플레이하는 화면으로 복귀한다. 각각의 영상을 함께 디스플레이하는 화면으로의 복귀는, 예를 들어, 이동통신 단말기의 취소 버튼을 누르거나, 컴퓨터 키보드 등의 ESC 버튼을 누름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When only the specific imag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0, when the controller 160 receives a return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120, the controller 160 returns to the screen displaying the respective images together on the display unit 150. The return to the screen displaying the respective images may be performed by, for example, pressing a cancel butt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pressing an ESC button such as a computer keyboard.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화면의 실시예에 대해서는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An embodiment of the display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to 5.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실시예에 따라 변화된 디스플레이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실시예에 따라 변화된 디스플레이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의 실시예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예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단말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휴대 가능한 모든 종류의 단말은 물론이고 통상 휴대하고 다니지 않는 유무선 단말을 포함한다.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display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display screen chang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3, and FIG. 5 is a display chang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4. An illustration of the screen. 3 to 5 illustrate the display scree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ut th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ncludes all kinds of portable terminals as well as wired and wireless terminals which are not normally carried. .

도 3을 참조하면, 제1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 화면에는 3개의 영상을 나타내는 화면이 디스플레이되고 있다. 이는 제1단말기(100)가 직접 촬영하는 영상 및 두 개의 제2단말기(200)가 촬영하여 전송한 영상을 제1단말기(100)에 디스플레이 하고 있음을 나타낸다.Referring to FIG. 3, a screen representing three images is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of the first terminal 100. This indicates that the first terminal 100 directly displays an image photographed by the second terminal 200 and the image captured and transmitted by the second terminal 200 on the first terminal 100.

도 3의 실시예에서 촬영하고 있는 사물은 자동차이며, 가운데 화면에는 자동차의 정면에서 촬영하는 영상이, 좌측 화면에는 자동차의 좌측에서 촬영하는 영상이, 우측 화면에는 자동차의 우측에서 촬영하는 영상이 각각 디스플레이되고 있다. 이때, 예를 들어, 제1단말기(100)가 직접 촬영하는 영상을 디폴트값이나 사용자의 설정입력에 따라 가운데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FIG. 3, the object being photographed is a car, an image photographed from the front of the vehicle on the center screen, an image photographed from the left side of the car on the left screen, and an image photographed from the right side of the car on the right screen, respectively. Is being displayed. In this case, for example, the first terminal 100 may be set to display the image photographed directly in the center according to a default value or a user's setting input.

도 4의 실시예는 도 3의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사용자 입력에 따라 변화된 디스플레이 화면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제1단말기(100)가 도 3과 같이 디스플레이 하는 도중, 사용자가 터치스크린을 이용하여 화면을 터치한 상태로 우측으로 드래그하거나, 화면을 터치하면서 우측으로의 슬라이딩 입력 또는 플릭 입력을 하는 경우, 가운데 화면은 우측으로 이동하고, 우측 화면은 좌측 끝으로 이동하며, 좌측 화면은 가운데 화면으로 이동하여, 도 4와 같은 상태로 변화할 수 있다.4 illustrates a display screen changed according to a user input on the display screen of FIG. 3. For example, while the first terminal 100 displays as shown in FIG. 3, the user drags to the right while touching the screen using the touch screen, or makes a sliding input or flick input to the right while touching the screen. In this case, the center screen moves to the right, the right screen moves to the left end, and the left screen moves to the center screen, thereby changing to a state as shown in FIG. 4.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가운데 디스플레이 화면이 우측 또는 좌측의 디스플레이 화면보다 상대적으로 더 큼을 알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다른 화면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더 크게 보고자 하는 경우, 상기와 같은 드래그나 플릭입력을 통해 화면을 변화시켜 특정 영상을 더 크게 시청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도 각각의 단말기(100, 200)에서 실시간으로 촬영하는 영상을 모두 시청할 수 있음에는 변화가 없다. 그리고 시청하는 영상의 음향은, 예를 들어, 가운데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에 대응하는 음향만을 스피커 등으로 출력하거나, 모든 촬영 영상의 음향을 함께 스피커 등으로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제1단말기(100)는, 디폴트값 또는 입력장치를 통한 사용자 입력 등에 따라, 도 3의 가운데 영상과 같이 특정 영상을 다른 영상보다 더 크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음은 상기한 바와 같다.3 and 4, it can be seen that the center display screen is relatively larger than the display screen on the right or left side. In this case, when the user wants to view a larger image displayed on another screen, the user may change the screen through the drag or flick input as described above to watch a specific image larger. However, even in such a case, there is no change in being able to watch all of the images photographed in real time in each of the terminals 100 and 200. For example, the sound of the image to be watched may be output to only the sound corresponding to the image displayed in the center to the speaker or the like, or to output the sound of all the captured images to the speaker or the like. In this case,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terminal 100 may display a specific image larger than another image as shown in the center image of FIG. 3 according to a default value or a user input through an input device.

도 5를 참조하면, 도 3의 실시예에서의 좌측 화면, 도 4의 실시예에서의 가운데 화면에 대응되는 영상이 전체 화면으로 디스플레이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와 같은 디스플레이 화면 상태에서 제1단말기(100) 사용자가 터치스크린을 두 번 탭(tap)하는 경우 가운데 디스플레이되던 화면을 도 4와 같이 전체 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it can be seen that the image corresponding to the left screen in the embodiment of FIG. 3 and the center screen in the embodiment of FIG. 4 is displayed in full screen. For example, when the user of the first terminal 100 taps the touch screen twice in the display screen state as illustrated in FIG. 4, the screen displayed in the center may be displayed as a full screen as shown in FIG. 4.

그리고, 예를 들어, 도 5의 디스플레이 상태에서 제1단말기(100) 사용자가 취소버튼을 누르는 등의 입력을 하면, 도 3 또는 도 5와 같이 모든 영상을 함께 디스플레이하는 상태로 복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도 5의 디스플레이 상태에서 제1단말기(100) 사용자가 터치스크린으로 이루어진 디스플레이 액정을 터치하고 상/하/좌/우로 슬라이딩 입력 또는 플릭 입력을 하는 경우, 예를 들어, 자동차의 옆면을 나타내는 다른 영상의 화면으로 변경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user of the first terminal 100 presses a cancel button in the display state of FIG. 5, the user may return to a state in which all images are displayed together as shown in FIG. 3 or FIG. 5. As described above, when the user of the first terminal 100 touches the display liquid crystal formed of a touch screen and performs sliding input or up / down / left / right sliding input or flick input in the display state of FIG. 5, for example, It may be changed to a screen of another image representing a side surface.

상기에서는 도 3 내지 도 5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제1단말기(100)가 촬영하는 영상 및 복수의 제2단말기(200)가 촬영하는 영상을 제1단말기(100)에서 디스플레이 하는 실시예를 설명하였다. 이러한 실시예는 제1단말기(100) 내부에 해당 영상 각각을 저장하고 디스플레이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므로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In the above, an embodiment in which the first terminal 100 displays an image photographed by the first terminal 100 and an image photographed by the plurality of second terminals 2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of FIGS. 3 to 5. It was. Such an embodiment may be equally applicable to storing and displaying each corresponding image in the first terminal 100,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1단말기(100)가 저장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경우에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동일시각에 촬영된 영상을 동시에 제1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단말기(100)는 영상을 저장할 때 각 영상의 촬영 시각 정보를 함께 저장하고, 동일 시각에 해당하는 화면을 동시에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When the image stored by the first terminal 100 is displayed,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images captured at the same time may be simultaneously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of the first terminal 100. To this end, when storing an image, the first terminal 100 may store capturing time information of each image and display a screen corresponding to the same time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device.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5.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라 제1단말기(100)에서 촬영한 영상 및 하나 이상의 제2단말기(200)에서 촬영한 영상을 제1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현하는 과정에 대해서는 도 6을 참조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For a process of expressing the image photographed by the first terminal 100 and the image photographed by the at least one second terminal 200 on the display device of the first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see FIG. 6.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단말기간 영상공유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1단말기(100)는 네트워크(300)를 통하여 하나 이상의 제2단말기(200)와 통신연결을 한다(S610).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video sharing method between a plurality of termina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and 6, the first terminal 100 communicates with one or more second terminals 200 through the network 300 (S610).

단계(S610)에서의 통신연결은, 인터넷과 같은 유선망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이동통신 서비스 사업자의 통신망을 이용하여 영상통화 호 설정을 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한 거리 내에 있는 제1단말기(100) 및 하나 이상의 제2단말기(200)와 무선통신을 연결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The communication connection in step S610 may be made through a wired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may be made by establishing a video call call using a communication network of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the first terminal within a distance capable of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100 and one or more second terminals 200 may be made in a manner of connecting wireless communication.

단계(S610)에서는, 예를 들어, 제1단말기(100)가 하나 이상의 제2단말기(200)로 통신연결 요청을 하고, 하나 이상의 제2단말기(200)로부터 통신연결을 허용하는 응답을 받아, 통신연결을 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단말기(100)가 하나 이상의 제2단말기(200)를 포함한 복수의 단말기로 통신연결 요청을 하고, 이 중 통신연결을 허용한 하나 이상의 제2단말기(200)와 통신연결을 할 수 있을 것이다.In step S610, for example, the first terminal 100 requests a communication connection to one or more second terminals 200, and receives a response to allow communication connection from one or more second terminals 200. Communication connection is possible. In this case, the first terminal 100 makes a communication connection request to a plurality of terminals including one or more second terminals 200, and among them, makes a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one or more second terminals 200 that allow communication connection. Could be.

또한, 단계(S610)에서는, 예를 들어, 제1단말기(100)가 하나 이상의 제2단말기(200)를 포함한 주변의 단말기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로부터 제1단말기(100)가 주변의 단말기 중 하나 이상의 제2단말기(200)에 대한 선택입력을 받아, 통신연결을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step S610, for example, the first terminal 100 displays peripheral terminal information including one or more second terminals 200, and the first terminal 100 is selected from among the terminals. The communication input may be received by receiving a selection input of one or more second terminals 200.

이때, 단계(S610)에서 제1단말기(100)는, 예를 들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을 이용하여 제1단말기의 위치에서 일정 거리 내에 있는 주변의 단말기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또한, 현재 영상을 촬영 중인 주변의 단말기로 한정하여 해당 주변의 단말기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in step S610, the first terminal 100 may display, for example, surrounding terminal information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position of the first terminal using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It is also possible to display the information of the terminal around the current limit to the terminal around the current image.

그리고 제1단말기(100)와 하나 이상의 제2단말기(200)가 카메라 등을 이용하여 영상 촬영을 시작한다(S620). 단계(S610)에서의 통신연결과 단계(S620)에서의 촬영은 그 순서를 바꾸어 전후로 이루어지거나, 단계(S620)에서 제1단말기(100) 및 하나 이상의 제2단말기(200) 중 하나 이상의 단말기가 단계(S610) 이전에 촬영을 시작하고 나머지 단말기는 단계(S610) 이후에 촬영을 시작할 수 있다.In operation S620, the first terminal 100 and the one or more second terminals 200 start capturing images using a camera or the like.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in step S610 and the photographing in step S620 are made in a reverse order, or in step S620, one or more terminals of the first terminal 100 and the one or more second terminals 200 are moved. Shooting may be started before step S610, and the remaining terminals may start shooting after step S610.

이후, 제1단말기(100)는 네트워크(300)를 통해 하나 이상의 제2단말기(200)가 촬영한 영상을 수신하고(S630), 제1단말기(100)가 촬영하는 영상과 함께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한다(S640).Thereafter, the first terminal 100 receives an image photographed by the one or more second terminals 200 through the network 300 (S630), and displays the image on the display device together with the image photographed by the first terminal 100. (S640).

단계(S640)에서 제1단말기(100)가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때에는 제1단말 기(100)가 촬영하는 영상 및 제2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한 영상 중 특정 영상을 다른 영상보다 더 크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더 크게 디스플레이하는 영상은 제1단말기(100)가 입력장치를 통해 선택입력을 받아 더 크게 디스플레이하는 영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단말기(100)에 구비된 터치스크린에서 사용자가 특정 영상을 터치하고 일정시간이 경과하는 경우 해당영상을 다른 영상보다 더 크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을 것이다.In operation S640, when the first terminal 100 displays an image, a specific image of the image captured by the first terminal 100 and the image received from the second terminal 200 may be displayed larger than other images. Can be. In this case, the larger image may be an image in which the first terminal 100 receives a selection input through an input device and displays the larger image. For example, in a touch screen provided in the first terminal 100, when a user touches a specific image and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the corresponding image may be displayed larger than another image.

또한, 단계(S640)에서는 제1단말기(100)가 입력장치를 통한 선택입력을 받아 특정 영상만을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이때 특정 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체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또한, 제1단말기(100)가 특정 영상만을 디스플레이하는 도중, 입력장치를 통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다른 특정 영상으로 변경하여 해당 변경된 영상만을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In operation S640, the first terminal 100 may receive a selection input through an input device and display only a specific image on the display device. In this case, the first terminal 100 may display the specific image on the display device in full screen. In addition, while the first terminal 100 displays only a specific image, the first terminal 100 may change to another specific image according to a user's input through the input device and display only the changed image.

별개로, 단계(S540)에서는 제1단말기(100)가 입력장치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함께 디스플레이하는 영상의 배치를 달리하여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Independently, in operation S540, the first terminal 100 may display a different arrangement of images to be displayed together according to a user input through the input device.

이후, 제1단말기(100)는 입력장치를 통해 제1단말기(100)가 촬영하는 영상 및 하나 이상의 제2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영상 중 내부의 저장소에 저장하여 보관할 영상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받아(S650),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영상을 함께 파일로 저장한다(S660). 단계(S660)에서 영상을 저장할 때에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영상을 하나의 파일로 저장할 수 있고, 메타데이터에 다른 영상의 정보를 포함하여 별도의 파일로 저장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저장하는 영상은 특정 시각에 대응하는 각 영상의 프레임 이미지가 될 수도 있고, 이 경우 프레임 이미지는 이격적 위치에 서 촬영된 사진과 같이 저장될 것이다. 또한, 단계(S660)에서는 제1단말기(100)가 사용자 입력을 받아 사진을 촬영하고, 제2단말기(200)로 사진을 촬영하여 전송할 것을 요청하여, 직접 촬영한 사진의 이미지와 제2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한 사진의 이미지를 함께 저장할 수도 있다.Subsequently, the first terminal 100 receives a user input for an image to be stored and stored in an internal storage among the images photographed by the first terminal 100 and images received from the one or more second terminals through the input device (S650). In operation S660, the image corresponding to the user input is stored together in a file. When storing the image in operation S660, the image corresponding to the user input may be stored as one file, or may be stored as a separate file including information of another image in metadata. The image to be stored may be a frame image of each image corresponding to a specific time, and in this case, the frame image will be stored as a picture taken at a distant position. In operation S660, the first terminal 100 receives a user input to take a picture, requests to take a picture and transmits the picture to the second terminal 200, and directly captures an image of the picture and the second terminal ( The image of the picture received from the 200 may be stored together.

그리고 단계(S660)에서는 각각의 영상 중 동일시각에 촬영된 부분이 동시에 제1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촬영시각 정보를 포함하여 저장할 수 있다. 촬영시각 정보는 제1단말기(100)가 촬영하는 시각을 기반으로 측정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제2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하는 영상의 수신시각을 기반으로 측정하거나, 하나 이상의 제2단말기(200)로부터 대응되는 영상의 촬영시각 정보를 수신하여 측정할 수 있다.In operation S660, the photographing time information may be included and stored such that a portion photographed at the same time of each image may be simultaneously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of the first terminal 100. The photographing time information may be measured based on a time photographed by the first terminal 100, measured based on a reception time of an image received from at least one second terminal 200, or at least one second terminal 200. ) Can be measured by receiving information on the shooting time of the corresponding image.

그리고 제1단말기(100)가 저장한 영상 파일에 대한 실행 명령을 받으면, 저장한 파일을 실행하여 함께 저장한 모든 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한다(S670). 이 경우, 단계(S660)에서 모든 영상을 하나의 파일로 저장하였다면 해당 파일의 실행과 함께, 각각의 영상이 디스플레이 장치에 함께 디스플레이되고, 단계(S660)에서 각각의 영상을 별도의 파일로 저장하였다면 사용자가 하나의 파일을 실행함에 따라 제1단말기(100)는 해당 파일의 메타데이터에 포함된 다른 영상 파일의 정보를 참조하여, 나머지 영상에 대응하는 파일을 실행하고 모든 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에 함께 디스플레이한다.When the first terminal 100 receives an execution command for the stored image file, the first terminal 100 executes the stored file and displays all the images stored together on the display device (S670). In this case, if all the images are stored in one file in step S660, with the execution of the file, each image is displayed together on the display device, and if each image is stored in a separate file in step S660, As the user executes one file, the first terminal 100 refers to the information of another image file included in the metadata of the file, executes a file corresponding to the remaining image, and displays all the images together on the display device. do.

단계(S670)에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제1단말기(100)는 상기와 같은 촬영시각 정보를 참조하여 동일 시각에 촬영된 영상 부분이 동시에 디스플레이 장 치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할 수 있다.When the image is displayed in operation S670, the first terminal 100 may display the image portion photographed at the same time by simultaneously referring to the photographing time information.

또한, 단계(S670)에서는 제1단말기(100)가 디폴트값, 설정 또는 입력장치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특정 영상을 다른 영상보다 더 크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In operation S670, the first terminal 100 may display a specific image larger than another image according to a default value, a setting, or a user input through an input device.

이후, 제1단말기(100)가 입력장치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한 특정 영상에 대한 선택입력을 수신하면, 선택된 영상을 전체 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한다(S680). 단계(S680)에서는, 예를 들어,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된 입력장치를 두 번 탭(tap)하는 동작을 통해 특정영상을 전체 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단계(S680)에서는 제1단말기(100)가 사용자 입력에 따라 다른 영상으로 변경하여 전체 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Thereafter, when the first terminal 100 receives the selection input for the specific image input by the user through the input device, the first terminal 100 displays the selected image in full screen (S680). In operation S680, for example, the specific image may be displayed on the full screen by double tapping the input device including the touch screen. In operation S680, the first terminal 100 may change to another image according to a user input and display the full screen.

그리고 사용자가 키보드의 'ESC' 버튼이나 이동통신 단말기의 '취소' 버튼 등을 누르면, 저장된 모든 영상을 함께 디스플레이하는 화면으로 복귀한다(S690).When the user presses the 'ESC' button on the keyboard or the 'cancel' button 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user returns to the screen displaying all the stored images together (S690).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preferred embodiment for illustrat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as shown and described as such,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many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possible. And all such modifications and changes a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herefore to be regarded as be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의하면, 단말 사용자가 동일 시각에 이격적으로 위치한 여러 장소 에서 촬영되는 영상을 동시에 시청할 수 있고, 이를 저장 보관하여 영구적으로 시청할 수 있으며, 그 중 시청하고자 하는 특정영상을 선택하여 시청할 수도 있어 사용자의 편의가 증진된다. 특히, 특정 사물 또는 경치 등을 복수의 주체가 촬영하는 경우 각각의 장소로 이동하여 관찰해야 하는 불편함 없이, 이격적 장소에서 보이는 모습을 동시에 관찰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user can simultaneously watch the images taken in several places at the same time apart from each other, can be stored and stored for permanent viewing, and can select and watch a specific image to watch from among them User convenience is enhanced. In particular, when a plurality of subjects are photographing a particular object or scenery, it is possible to observe a state seen in a separate place at the same time without the inconvenience of moving to each place and observing.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단말기간 영상공유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video sharing system between a plurality of termina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단말기간 영상공유시스템에서의 단말기를 나타낸 구성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terminal in a video sharing system between a plurality of termina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display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의 실시예에 따라 변화된 디스플레이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4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changed display scree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3.

도 5는 도 4의 실시예에 따라 변화된 디스플레이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5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display screen chang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4.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단말기간 영상공유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video sharing method between a plurality of termina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제1단말기 110: 송수신부100: first terminal 110: transceiver

120: 입력부 130: 촬영부120: input unit 130: recording unit

140: 저장부 150: 디스플레이부140: storage unit 150: display unit

160: 제어부 200: 제2단말기160: control unit 200: second terminal

300: 네트워크300: network

Claims (45)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하는 영상을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는 하나 이상의 제2단말기;At least one second terminal for taking an image and transmitting the captured image through a network; 상기 하나 이상의 제2단말기가 촬영하는 영상을 수신하여 직접 촬영하는 영상과 함께 프리뷰(free view) 형태로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2단말기에서 수신한 영상과 상기 직접 촬영한 영상을 함께 저장 시, 상기 수신하는 영상과 상기 촬영하는 영상을, 상기 영상 각각에 대하여 동일시각에 촬영된 영상이 동시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상기 각각의 영상의 촬영시각 정보를 포함하여 저장하고, 상기 촬영시각 정보를 참조하여 동일시각에 촬영된 영상을 동시에 디스플레이하는 제1단말기;Receiving an image captured by the at least one second terminal and displaying the image directly taken together with an image captured directly, and storing the image received by the second terminal together with the directly photographed image. The image to be captured and the image to be photographed are stored together with the recording time information of the respective images so that the images captured at the same time can be simultaneously displayed with respect to each of the images. A first terminal for simultaneously displaying a captured image; 를 포함하는 복수의 단말기간 영상공유시스템.Image sharing system between a plurality of terminals comprising a. 네트워크를 통해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송수신부;A transceiver for communicating with one or more other terminals via a network; 영상촬영을 위한 촬영부;A photographing unit for photographing an image; 영상표현을 위한 디스플레이부;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 image; 영상저장을 위한 저장부;A storage unit for storing an image; 사용자 입력을 위한 입력부; 및An input unit for user input; And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기가 촬영하는 영상을 수신하면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하는 영상과 함께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프리뷰형태로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입력부로부터의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수신한 영상과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한 영상을 함께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수신한 영상과 상기 촬영한 영상을 함께 저장 시, 상기 영상 각각에 대하여 동일시각에 촬영된 영상을 동시에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상기 각각의 영상의 촬영시각 정보를 포함하여 저장하는 제어부;When the at least one other terminal receives an image captured by the transceiver, the image is displayed in the form of a preview on the display unit along with the image captured by the photographing unit, and the received image and the photographing unit according to a user input from the input unit. When storing the image taken in the storage unit, and when the received image and the captured image is stored together, each of the image to be taken at the same time for each of the image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t the same time A control unit for storing the image capture time information of the image; 를 포함하는 복수의 단말기간 영상공유시스템에서의 단말기.Terminal in a video sharing system between a plurality of terminals comprising a.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3. The apparatus of claim 2, wherein the control unit 상기 입력부로부터의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수신한 영상과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한 영상에 대한 특정 시각의 이미지를 함께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단말기간 영상공유시스템에서의 단말기.The terminal of the image sharing system between a plurality of terminals, characterized in that for storing the received image and the image of a specific time for the image taken by the photographing unit in accordance with the user input from the input uni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3. The apparatus of claim 2, wherein the control unit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프리뷰형태로 디스플레이하던 도중, 상기 입력부로부터의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촬영부를 이용해 사진을 촬영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기로 사진을 촬영할 것을 요청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기가 촬영한 사진의 이미지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한 사진의 이미지와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한 사진의 이미지를 함께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단말기간 영상공유시스템에서의 단말기.During display in the form of a preview on the display, an image of a picture taken by the one or more other terminals by requesting to take a picture using the photographing unit and to take a picture with the one or more other terminals according to a user input from the input unit. And storing the received image and the image of the photograph taken by the photographing unit together in the storage uni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3. The apparatus of claim 2, wherein the control unit 상기 수신한 영상과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한 영상을 하나의 영상파일로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단말기간 영상공유시스템에서의 단말기.And storing the received image and the image photographed by the photographing unit as one image file in the storage uni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3. The apparatus of claim 2, wherein the control unit 상기 수신한 영상과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한 영상을 별도의 영상파일로 상기 저장부에 각각 저장하고, 상기 수신한 영상에 대한 영상파일의 메타데이터에 별도로 저장한 영상의 영상파일에 대한 정보를 함께 저장하고, 상기 촬영한 영상에 대한 영상파일의 메타데이터에 별도로 저장한 영상의 영상파일에 대한 정보를 함께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단말기간 영상공유시스템에서의 단말기.The received image and the image photographed by the photographing unit are stored in the storage unit as separate image files, respectively, and the information on the image file of the image stored separately in the metadata of the image file for the received image together. And storing information on the image file of the image stored separately in metadata of the image file of the captured image. 삭제delet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3. The apparatus of claim 2, wherein the control unit 상기 입력부로부터 저장할 영상에 대한 입력을 받아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단말기간 영상공유시스템에서의 단말기.And receiving an input for an image to be stored from the input unit and storing the input in the storage uni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3. The apparatus of claim 2, wherein the control unit 상기 입력부로부터 상기 저장한 영상파일의 실행을 위한 입력을 받으면 상기 저장부에 저장한 각각의 영상을 함께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단말기간 영상공유시스템에서의 단말기.And receiving each image stored in the storage unit on the display unit when receiving an input for executing the stored image file from the input unit. 제2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The method of claim 2 or 9, wherein the control unit 상기 입력부로부터의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함께 디스플레이하는 영상의 배치를 달리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단말기간 영상공유시스템에서의 단말기.The terminal of the video sharing system between a plurality of terminals, characterized in that for displaying the display unit by changing the arrangement of the image to be displayed together in accordance with the user input from the input unit. 제2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The method of claim 2 or 9, wherein the control unit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영상 각각에 대하여 동일시각에 촬영된 영상을 동시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단말기간 영상공유시스템에서의 단말기.And displaying the images captured at the same time with respect to each of the displayed images at the same time. 제2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The method of claim 2 or 9, wherein the control unit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영상 각각 중 특정 영상을 다른 영상보다 더 크게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단말기간 영상공유시스템에서의 단말기.And displaying a specific image of each of the displayed images to be larger than another imag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13. The apparatus of claim 12, wherein the control unit 상기 입력부를 통해 더 크게 디스플레이할 영상에 대한 선택입력을 받아 상기 특정 영상을 다른 영상보다 더 크게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단말기간 영상공유시스템에서의 단말기.And receiving a selection input for an image to be displayed larger through the input unit and displaying the specific image larger than another image. 제2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The method of claim 2 or 9, wherein the control unit 상기 입력부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각각의 영상 중 특정 영상에 대한 선택입력을 받으면, 상기 특정 영상만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단말기간 영상공유시스템에서의 단말기.And receiving the selection input for a specific image from among the displayed images from the input unit, and displaying only the specific image on the display unit.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control unit 상기 입력부로부터의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하던 각각의 영상 중 다른 영상으로 변경하여 상기 다른 영상만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단말기간 영상공유시스템에서의 단말기.And displaying only the other image on the display unit by changing to another image among the displayed images according to a user input from the input unit.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control unit 상기 특정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전체 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단말기간 영상공유시스템에서의 단말기.And displaying the specific image on a full screen on the display unit.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control unit 상기 특정 영상의 디스플레이 도중 상기 입력부로부터 복귀입력을 받으면, 상기 디스플레이하던 각각의 영상을 동시에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단말기간 영상공유시스템에서의 단말기.And receiving the return input from the input unit during the display of the specific image, simultaneously displaying the displayed images on the display unit. 제1단말기가 하나 이상의 제2단말기와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연결을 하는 연결단계;A connection step of the first terminal communicating with at least one second terminal through a network; 상기 제1단말기가 상기 하나 이상의 제2단말기가 촬영하는 영상을 수신하여 직접 촬영하는 영상과 함께 프리뷰형태로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단계;A display step of the first terminal receiving an image photographed by the one or more second terminals and displaying the image directly in a preview form together with an image photographed directly; 상기 제1단말기가 직접 촬영하는 영상 및 상기 수신한 영상을 함께 저장하고, 상기 각 영상을 함께 저장 시, 상기 영상 각각에 대하여 동일시각에 촬영된 영상이 동시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상기 각 영상의 촬영시각 정보를 포함하여 저장하는 저장단계;When the first terminal directly stores the image photographed and the received image together, and when storing the respective images together, the recording time of each image so that the image taken at the same time for each of the images can be displayed simultaneously A storing step including information; 를 포함하는 복수의 단말기간 영상공유방법.Video sharing method between a plurality of terminals comprising a.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단계는The method of claim 18, wherein the connecting step 상기 제1단말기가 상기 하나 이상의 제2단말기로 통신연결 요청을 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제2단말기로부터 통신연결을 허용하는 응답을 받아, 통신연결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단말기간 영상공유방법.And the first terminal makes a communication connection request to the one or more second terminals, receives a response allowing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from the one or more second terminals, and establishes a communication connection.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단계는 The method of claim 18, wherein the connecting step 상기 제1단말기가 상기 하나 이상의 제2단말기를 포함한 주변의 단말기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1단말기가 상기 주변의 단말기 중 상기 하나 이상의 제2단말기에 대한 선택입력을 받아, 통신연결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단말기간 영상공유방법.Wherein the first terminal displays peripheral terminal information including the one or more second terminals, and the first terminal receives a selection input for the one or more second terminals among the peripheral terminals, and performs communication connection. A video sharing method between a plurality of terminals.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단계는The method of claim 20, wherein the connecting step 상기 제1단말기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을 이용하여 상기 제1단말 기의 위치에서 일정 거리 내에 있는 상기 주변의 단말기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단말기간 영상공유방법.And the first terminal displays information about the surrounding terminal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position of the first terminal using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단계는The method of claim 20, wherein the connecting step 상기 제1단말기가 현재 영상을 촬영 중인 상기 주변의 단말기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단말기간 영상공유방법.And the first terminal displays terminal information of the surrounding terminal which is currently capturing an image.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단계는The method of claim 18, wherein the connecting step 지그비(zigbee), 피코캐스트(picocast), 블루투스(bluetooth), UWB, Wi-Fi 및 WGB 중 적어도 하나의 근거리 무선통신기술을 이용하여 통신연결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단말기간 영상공유방법.A video sharing method between a plurality of terminal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using at least on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of Zigbee (pigcast), picocast (bluetooth), UWB, Wi-Fi and WGB.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단계는19. The method of claim 18, wherein the displaying step 상기 제1단말기가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함께 디스플레이하는 영상의 배치를 달리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단말기간 영상공유방법.And sharing the images displayed together by the first terminal according to a user input.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단계는19. The method of claim 18, wherein the displaying step 상기 직접촬영하는 영상 및 상기 수신한 영상 중 특정 영상을 다른 영상보다 더 크게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단말기간 영상공유방법.And displaying a specific image larger than another image among the directly photographed image and the received image.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단계는The method of claim 25, wherein the displaying step 상기 제1단말기가 더 크게 디스플레이할 영상에 대한 선택입력을 받아 상기 특정 영상을 다른 영상보다 더 크게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단말기간 영상공유방법.And receiving a selection input for an image to be displayed larger by the first terminal and displaying the specific image larger than another image.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단계는19. The method of claim 18, wherein the displaying step 상기 직접촬영하는 영상 및 상기 수신한 영상 중 특정 영상에 대한 선택입력을 받으면, 상기 특정 영상만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단말기간 영상공유방법.And receiving only a specific input of a specific image from among the directly photographed image and the received image, and displaying only the specific image.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단계는The method of claim 27, wherein the displaying step 상기 제1단말기가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하던 각각의 영상 중 다른 영상으로 변경하여 상기 다른 영상만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단말기간 영상공유방법.And displaying only the other image by changing to a different image among the displayed images according to a user input of the first terminal.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단계는The method of claim 27, wherein the displaying step 상기 특정 영상을 전체 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단말기간 영상공유방법.And sharing the specific image on a full screen.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단계는The method of claim 27, wherein the displaying step 상기 제1단말기가 상기 특정 영상의 디스플레이 도중 복귀입력을 받으면, 상기 디스플레이하던 각각의 영상을 동시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단말기간 영상공유방법.When the first terminal receives a return input during the display of the particular image, the video sharing method between a plurality of terminals, characterized in that for displaying the respective image at the same time.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단계는19. The method of claim 18, wherein the storing step 상기 제1단말기가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수신한 영상과 상기 촬영한 영상에 대한 특정 시각의 이미지를 함께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단말기간 영상공유방법.And the first terminal stores the received image and an image of a specific time with respect to the captured image according to a user input.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단계는19. The method of claim 18, wherein the storing step 상기 제1단말기가 사용자 입력에 따라 사진을 촬영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기로 사진을 촬영할 것을 요청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기가 촬영한 사진의 이미지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한 사진의 이미지와 상기 촬영한 사진의 이미지를 함께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단말기간 영상공유방법.The first terminal takes a picture according to a user input and requests to take a picture with the one or more other terminals to receive an image of the picture taken by the one or more other terminals, and the image of the received picture and the taken picture Video sharing method between a plurality of terminals, characterized in that for storing the image of the picture together.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단계는19. The method of claim 18, wherein the storing step 상기 제1단말기가 상기 수신한 영상과 상기 촬영하는 영상을 하나의 영상파일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단말기간 영상공유방법.And the first terminal stores the received image and the captured image as one image file.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단계는19. The method of claim 18, wherein the storing step 상기 수신한 영상과 상기 촬영한 영상을 별도의 영상파일로 각각 저장하고, 상기 수신한 영상에 대한 영상파일의 메타데이터에 별도로 저장한 영상의 영상파일에 대한 정보를 함께 저장하고, 상기 촬영한 영상에 대한 영상파일의 메타데이터에 별도로 저장한 영상의 영상파일에 대한 정보를 함께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단말기간 영상공유방법.The received image and the captured image are respectively stored as separate image files, and information about the image file of the image stored separately is stored together in metadata of the image file for the received image, and the captured image And storing information on the image file of the image, which is separately stored in the metadata of the image file.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단계는19. The method of claim 18, wherein the storing step 상기 제1단말기가 상기 직접촬영하는 영상 및 상기 수신한 영상 중 저장할 적어도 하나의 영상에 대한 입력을 받고 상기 입력에 대응하는 영상만을 함께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단말기간 영상공유방법.And the first terminal receives an input for at least one image to be stored among the directly photographed image and the received image, and stores only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input.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단계 이후에19. The method of claim 18, wherein after the storing step 상기 제1단말기가 상기 저장단계에서 함께 저장한 각각의 영상을 동시에 디스플레이하는 제2디스플레이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단말기간 영상공유방법.And a second display step of simultaneously displaying each of the images stored together by the first terminal in the storing step. 삭제delete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제2디스플레이단계는The method of claim 36, wherein the second display step 상기 제1단말기가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동시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 각각 중 특정 영상을 터치 또는 드래그하여 동시에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각 영상의 배치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단말기간 영상공유방법.And the first terminal touches or drags a specific image of each of the images simultaneously displayed according to a user input to change the arrangement of the images simultaneously displayed.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제2디스플레이단계는The method of claim 36, wherein the second display step 상기 제1단말기가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영상 각각에 대하여 동일시각에 촬영된 영상을 동시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단말기간 영상공유방법.And the first terminal simultaneously displays an image photographed at the same time with respect to each of the displayed images.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제2디스플레이단계는The method of claim 36, wherein the second display step 상기 제1단말기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디폴트값으로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영상 각각 중 특정 영상을 다른 영상보다 더 크게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단말기간 영상공유방법.And the first terminal displays a specific image of each of the displayed images to be larger than another image based on a user input. 삭제delete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제2디스플레이단계는The method of claim 36, wherein the second display step 상기 직접촬영하는 영상 및 상기 수신한 영상 중 특정 영상에 대한 선택입력을 받으면, 사용자가 입력장치를 탭하는 동작에 따라 상기 제1단말기가, 상기 특정 영상만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단말기간 영상공유방법.The first terminal displays only the specific image according to a user tapping an input device when receiving a selection input for a specific image among the directly photographed image and the received image. Video sharing method.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디스플레이단계는43. The method of claim 42, wherein the second display step 상기 제1단말기가, 사용자로부터 특정 키 입력을 통해 상기 특정 영상의 디스플레이 도중 복귀입력을 받으면, 상기 함께 저장한 각각의 영상을 동시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단말기간 영상공유방법.When the first terminal receives a return input during the display of the particular image through a specific key input from the user, the video sharing method between the plurality of terminals characterized in that for simultaneously displaying the respective images stored together.
KR1020090126602A 2009-12-18 2009-12-18 System and method for video sharing between terminals, and terminal thereof KR10125139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6602A KR101251391B1 (en) 2009-12-18 2009-12-18 System and method for video sharing between terminals, and terminal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6602A KR101251391B1 (en) 2009-12-18 2009-12-18 System and method for video sharing between terminals, and terminal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9985A KR20110069985A (en) 2011-06-24
KR101251391B1 true KR101251391B1 (en) 2013-04-05

Family

ID=44401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6602A KR101251391B1 (en) 2009-12-18 2009-12-18 System and method for video sharing between terminals, and terminal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1391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450Y1 (en) * 2013-09-09 2014-09-17 장지연 Apparatus for controlling a call of a portable terminal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5824B1 (en) 2012-10-31 2015-06-03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User participation game service apparatus and method using instantaneous flash-mob
KR101373611B1 (en) * 2012-12-28 2014-03-12 전자부품연구원 System and method for sharing 3d video with glasses type camera/display apparatuses
KR101961258B1 (en) * 2013-03-12 2019-07-17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Multi-channel network camera monitoring system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KR101598710B1 (en) * 2014-09-11 2016-0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WO2017018573A1 (en) * 2015-07-24 2017-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20385A (en) * 2003-06-26 2005-01-20 Sony Corp Image pickup device, image recorder and image recording method
JP2009118018A (en) * 2007-11-02 2009-05-28 Sony Corp 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information display method, imaging apparatus, and image data sending method in imag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20385A (en) * 2003-06-26 2005-01-20 Sony Corp Image pickup device, image recorder and image recording method
JP2009118018A (en) * 2007-11-02 2009-05-28 Sony Corp 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information display method, imaging apparatus, and image data sending method in imaging apparatu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450Y1 (en) * 2013-09-09 2014-09-17 장지연 Apparatus for controlling a call of a portable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9985A (en) 2011-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86090B2 (en) Connection method, apparatus,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KR101810935B1 (en) Method, device,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for adjusting and displaying image
JP6543644B2 (en) Video processing method, apparatus,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JP6205072B2 (en) Imaging control apparatus, imaging control method, camera, camera system, and program
KR101251391B1 (en) System and method for video sharing between terminals, and terminal thereof
RU2653230C9 (en) Method and device for the images reproduction for preview
US9609227B2 (en) Photographing apparatus, image pickup and observation apparatus, image comparison and display method, image comparison and display system, and recording medium
KR2017001217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btaining video content
JP2012099889A (en) Camera, imaging method, and imaging program
KR20170037868A (en) Method and device for shooting control
JP2017524316A (en) Video communication method, apparatus,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JP2007259329A (en) Remote control apparatus, system and method
US9652823B2 (en) Method and terminal device for controlling display of video image
JP6139829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for, and program
KR101794350B1 (en) Method for capturing picture in a portable terminal
EP2945390A1 (en) Method and device for the transmission of screenshots
US10185387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CN101751906B (en) Display method and photographing apparatus and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JP5564633B2 (en) Stereoscopic image display control apparatus, imag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nd stereoscopic image display control method
JPWO2016038977A1 (en) Live view control device, live view control method, live view system, and program
TWI439862B (en) A memory card for providing menu items to a remote wireless-enabled apparatus
KR101137348B1 (en) A mobile phone having a visual telecommunication and a visual data processing method therof
CN112261453A (en) Method, device and storage medium for transmitting subtitle splicing map
US20170041377A1 (en) File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CN108924529B (en) Image display control method and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